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RISS 인기논문

        한국과 일본의 여성 아이돌 그룹의 남성 팬덤에 대한 비교 연구 : 중소 아이돌의 삼촌팬과 지하 아이돌의 오타쿠를 중심으로

        이연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지속적인 상호영향 속에서 형성되어온 한국과 일본의 아이돌 문화가 갖고 있는 유사성 및 특수성에 대한 비교와 분석을 바탕으로, 현 시점 양국의 아이돌 문화와 팬덤 문화가 지니는 특징과 사회 문화적 함의를 도출해보고자 하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현재 한국과 일본의 아이돌 산업 및 팬덤 문화에서 공통적으로 목격되는 현상은 크게 두 가지다. 첫째는 2000년대 후반 국내외적으로 큰 성과를 거둔 인기 아이돌들의 사업 모델을 활용한 후발 주자들이 대거 등장하였다는 점이고, 두 번째는 10대, 20대의 청소년이나 여성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던 기존의 팬덤 문화와는 달리 30대, 40대의 성인 남성들을 중심으로 한 팬덤 문화도 생겨났다는 점이다. 한국의 경우, 대형 기획사 출신의 인기 아이돌 그룹들과 유사한 수많은 ‘중소 아이돌’들과 그를 소비하는 삼촌팬들이 있고, 일본의 경우 AKB48로 대표되는 ‘만나러 갈 수 있는 아이돌’의 사업 모델을 활용하는 수많은 ‘지하 아이돌’들과 그를 향유하는 남성 오타쿠들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양상에 착안하여 중소 아이돌과 지하 아이돌이 기획사에 의해 어떻게 운영 및 재현되는지, 그를 소비하는 30대, 40대 남성 팬덤이 어떤 방식으로 팬 활동을 하는지, 해당 팬들의 남성성이 지닌 특성과 그로부터 도출해낼 수 있는 사회 문화적 함의가 무엇인지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약 1년 반 동안 한국과 일본을 오가며 중소 아이돌과 지하 아이돌 산업의 관계자들 및 30대, 40대 남성 팬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과 온오프라인에서의 참여 관찰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로 중소 아이돌과 지하 아이돌은 모두 성장 서사가 강조되며, 대형 기획사의 인기 아이돌과 대비되는 친근하고 접근성이 높은 대상으로 재현된다는 공통점이 있었다. 하지만 중소 아이돌의 경우 퍼포머로서의 실력과 완벽한 우상으로서의 모습이 강조되어야 하는 한국 아이돌 문화의 특성상 노래와 춤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연습생 제도와 공백기가 존재하고, 아이돌과 팬이 함께 보낼 수 있는 시간이나 나눌 수 있는 스킨십의 정도에 제한을 둠으로써 둘 사이의 거리감을 일정 이상 유지시킨다는 특징이 있다. 반면 지하 아이돌의 경우 미숙함과 성실함을 바탕으로 한 성장을 강조하는 일본 아이돌 문화의 특성상 실력이 모자란 채로 데뷔하여 공백기 없이 활동을 하는 경우가 많고, 온오프라인에서 팬과의 훨씬 더 가까운 대상으로 재현되며, 이 과정에서 유약하거나 병리적인 면모가 부각되기도 한다. 두 번째로 중소 아이돌과 지하 아이돌 문화의 특수성은 세 부류의 남성 팬들을 만들어냈다. 첫 번째 부류는 아이돌의 성장 서사에 이입하며 서포터 활동을 하는 팬들이다. 한국의 경우 활동기 사이의 공백기 동안 타 팬덤으로의 이탈이 비교적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팬 활동에 드는 지출 금액이 크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일본의 경우 아이돌들에게 공백기가 없고, 돈을 많이 쓰는 팬들이 혜택을 더 누릴 수 있다는 특성상 팬들의 충성도가 높고 지출 금액도 큰 것으로 드러났다. 두 번째 부류는 아이돌을 친구나 유사 연애 대상으로 여기는 팬들이며, 세 번째 부류는 아이돌을 성적으로 대상화하는 팬들이다. 이러한 팬 활동은 한국보다 일본에서 훨씬 더 노골적이고 공개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졌는데, 한국의 경우 중소 아이돌과 팬 사이의 거리감이 일정 수준 유지되는 반면 일본의 경우 지하 아이돌과 팬이 실제 친구나 연인처럼 시간을 보내거나 스킨십을 나누는 것이 허용되어서 몰입도가 높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또한 한국에서는 30대, 40대 남성 팬들이 팬덤 문화 내에서 비주류에 해당하여 여성 아이돌을 향한 이성애, 유성애적 욕망을 직접적으로 드러낼 수 없는 반면, 일본에서는 해당 팬들이 지하 아이돌 문화의 주 소비층이라 자유롭게 향유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팬 활동 방식은 삼촌팬들과 오타쿠들이 사회 전반과 남성성의 지형 안에서 지니는 의미를 읽어내게 한다. 이들은 모두 각국의 사회적 지형 안에서 주변부로 밀려나있거나 외모, 인간관계, 경제력, 연령 등을 이유로 결함을 지니고 있었기에 세 가지의 팬 활동 방식을 통해 그로부터 비롯된 콤플렉스를 해소하고 있는 것으로 보였다. 첫째로 성장 서사에 이입하며 서포터의 역할을 하는 부류의 경우, 한국의 삼촌팬들은 아이돌의 성공을 위한 창작이나 이벤트 개최 등과 같은 일을 담당하며 인정 욕구를 충족시키는 경향이 있고, 일본의 오타쿠들은 사회적인 지위와 경제력이 갖춰진 채로 정체되어 있기 때문에 꿈을 이루기 위해 노력하는 아이돌을 위해 경제적인 스폰서 역할을 해주며 대리만족을 통한 즐거움을 느끼고 있었다. 두 번째로 아이돌을 친구나 유사 연애 대상으로 여기는 부류의 경우, 한국과 일본 모두 인간관계에서 모종의 결핍을 느끼고 있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후자의 경우 연애와 결혼 시장에서 불리한 위치에 있거나, 팬 활동에 몰입하느라 연애 및 결혼 시장에서 멀어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로 인한 결핍을 친근하게 재현되는 아이돌과의 소통을 통해 해소하고 있었다. 셋째로 아이돌을 성적으로 대상화하는 부류 중에는 삶의 영역에서 여성을 소유하지 못 하거나 어려워하는 남성들인 경우가 많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들이 느끼는 남성으로서의 결함은 한국의 경우 헤게모니적 남성 대한 분노나 젊고 예쁜 여성에 대한 숭배와 멸시를 통해 폭력적으로 표출로 해소되는 경우들이 목격되는 반면, 일본의 경우 스스로에 대한 체념과 더불어 젊고 예쁜 여성으로 즐거움과 위안을 얻도록 부추기는 자국의 성산업을 즐김으로써 해소되는 경향이 있었다. 한편 삼촌팬들과 오타쿠들이 같은 문화를 향유하는 집단의 구성원이자 사회에서 주변화된 남성들이라는 점은 집단을 결속시키기도 했지만, 남성 팬덤 내에서도 결함이 있는 남성들은 더더욱 주변화되는 경향이 발견되기도 하였다. 한국의 경우 연령대와 외모가 위계를 나누는 요인이 되며, 일본의 경우 여기에 경제력이 더해진다. 위와 같은 정황을 보았을 때, 이들의 남성성은 남성과 여성, 남성과 남성 사이에 존재하는 기존의 젠더적 위계나 남성성의 지형을 공고히 하는 공모적 남성성이다. 이들의 남성 팬덤 문화는 사회적으로 주변화된 남성들의 이성애적, 가부장적 콤플렉스를 일시적으로 해소해줌으로써 그네들이 더욱 사회의 주변부로 밀려나지 않게 해주지만, 상호 연대를 통한 사회 공헌 등의 이타적인 가치 창출이나 새로운 대안적 남성성의 모색이 일어나는 모습은 좀처럼 관찰되지 않는 것으로 보였다.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 서로 유사하면서도 각자의 특수성을 지닌 아이돌 문화를 형성하게 되었는지를 분석하였고, 생생한 현장 연구를 바탕으로 최신 동향의 아이돌 문화와 팬덤 문화에 대한 비교 분석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그간 등한시 되어왔던 30대, 40대 남성 팬덤의 구체적인 팬 활동 방식 및 사회 문화적 함의에 대한 분석을 제시함으로써 양국의 남성성 연구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관찰 대상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대표성이 부족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으므로, 후속 연구에서 이러한 부분을 보완해야할 것으로 여겨진다. 주요어 : K-POP, 아이돌 문화, 삼촌팬, 오타쿠, 팬덤, 남성성 학 번 : 2017-28345 This paper attempts to conduct a comparative analysis on male fans in their 30s and40s of Korean “Jung-so Idols” vis-à-vis fans of Japanese “Chika Idorus” in order to derive their socio-cultural implications. There are two major phenomena in the current idol industries and existing fandom cultures of Korea and Japan. The first phenomenon is those who utilize the business model and marketing strategies of the popular idols from the 2000s. In Korea, they are “Jung-so idols,” referring to idols produced by small to medium-sized entertainment agencies. "Jung-soIdols'' tend to follow strategies laid out by the so-called “BIG THREE”entertainment agencies responsible for the proliferation of the “Hallyu Wave”. The second phenomenon pertains to the Japanese “Chika Idorus” or underground idols, utilizing the business model of “idols you can meet,” pioneered by Japanese girl group AKB48. Secondly, both Jung-so idols and Chika idorus have loyal grass-root fandoms consisting of males in their 30s and 40s.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ze how Korean Jung-so idols and Japanese Chika idorus are (1) produced and represented by entertainment agencies and media; (2) how male fans in their 30s and 40s consume them; and (3) what kind of socio-cultural implications can be derived from their fandom culture and masculinity. To obtain relevant data, an ethnographic field research was conducted in Korea and Japan for a period of a year and a half. The field research included participant observation in online and offline fan communities; in-depth interviews with (a) producers and staff of Jung-so idols and Chika idoru agencies (b) male fans in their 30s and 40s. Firstly, Jung-so idols and Chika Idorus emphasize the process of improving after debut, packaged as friendly and more approachable than their counterparts from bigger entertainment agencies. However, due to Korea's stringent public expectations of idols, Jung-so idols undergo rigid training programs and short breaks before releasing a new album in order to perfect their skills as performers. Jung-so idols are also expected to keep a certain distance with fans by limiting physical contacts and interaction time. In contrast, Chika idorus often debut with amateurish performance skills since Japanese idol culture tends to emphasize the development process of inexperienced yet sincere youngsters. Via online and offline media, Chika Idorus are also represented as friendly and relatable people, often revealing their weakness and even illness to fans. Depending on how much money they are willing to pay, fans are also allowed time to share intimate physical contacts with Chika Idorus. Secondly, the characteristics of such Jung-so idols and Chika Idorus gave rise to three types of fans who engage in fan activities in different ways: The first category consists of dedicated supporters identifying themselves with hard-working idols. In the case of Korea, due to the breaks between album releases, withdrawal to other fandoms was relatively frequent, and the amount of expenditure for fan activities was not large. Different from Jung-so idols, Chika Idorus’ fans tend to be very loyal, willing to spend much money for their idols and their own benefits. The second category and third categories are closely related. The former regards idols as friends or pseudo-girlfriends while the latter sexually objectify the idols. These fan activities were made in much more blatant and public ways in Japan than in Korea, as the distance between Jung-so idols and fans are kept at a certain level, while in Japan, fans are allowed to spend time or share physical contacts with Chika idorus like real friends or couples. Unlike Jung-so Idols, which enjoys a crowd of mixed gender fans, Chika idoru idol fans are predominantly male. This niched fan base causes fans to interact with female idols with a lack of common societal checks. Thirdly, the three kinds of fan activities of these male fans exhibit the traits and implications of their masculinity within each countries’ social geography. Majority of these male fans were socially peripheralized with defects due to reasons such as look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financial ability, age, etc. Fan activities help relieve them of these deficiencies. As for the first category, the dedicated supporters, Korean male fans seemed to be socially, financially unstable and therefore tried to satisfy their desire for recognition by making fan artworks or hosting events. Japanese male fans, in contrast, were rather socially, financially established yet feeling stagnant because of it. This trait led them to set themselves as economic sponsors for hard-working Chika idorus and experience vicarious pleasure of fulfilling dreams. For the second category of fans, who regard idols as friends or pseudo-girlfriends, it was found that in many cases, both Korean and Japanese male fans tend to be in a disadvantageous position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pecifically, most were far from dating and marriage, or were losing interest in dating and marriage due to their immersion in fan activities. Interacting with friendly idols resolves many deficits caused by the lack of heterosexual relationships. The third category of fans are those who sexually objectify idols. They tend to be men who have had difficulties with women in their own lives. In the case of South Korea, these men tend to resolve their defects by holding contempt toward hegemonic men and pretty young women. Some may choose to worship these pretty young women instead. Differing from Korea, Japanese men tends to resolve their deficits through the sex industry. Such tendency encourages men to perceive young and pretty women as someone to offer pleasure and comfort for men. While these socially peripheralized male fans tend to unite as a group of members enjoying the same sub-culture, there was also a hierarchy in between them. In Korea, age group and appearance are factors that divide the hierarchy. Japan follows similarly with the addition of economic power. So for these reasons, these male fans’ masculinity can be explained as “complicit masculinity,” as it is far from hegemonic masculinity yet solidifies the existing gender hierarchy between men and women, and among men. In conclusion, the male fandom culture temporarily resolves the heterosexual and patriarchal desires of socially peripheralized men so that they are not pushed to the periphery of society. However, it seldom reached out to pursuing altruistic values ​​such as creating social contribution through mutual solidarity or seeking alternative masculinity. This study has three significance. First, it analyzed how Korea and Japan formed idol cultures that were similar to each other yet specified in their own ways. Second, it presen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latest trends of idol culture and fandom culture based on vivid, abundant data derived from field research. Third, it presents an analysis of fan activities and socio-cultural implications of male fandoms in their 30s and 40s, which have been academically neglected so far. It is also expected to contribute to masculinity studies in both countries. However, since there is a limit that representativeness may be insufficient due to the limited observation, it is believed that this part should be supplemented in follow-up studies. keywords : K-POP, Idol Culture, Otaku, Male Fandom, Masculinity Student Number : 2017-28345

      • 뉴미디어 시대 아이돌 캐릭터의 탄생 : 촉각적 시각이 일으킨 캐릭터 변화를 중심으로

        전혜정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아이돌 캐릭터의 탄생 과정을 추적하는 동시에, 스마트폰이라는 뉴미디어가 유발한 새로운 지각 방식이 그 이후에 탄생한 이모티콘 캐릭터와 아이돌 캐릭터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하게 분석한다. 본고의 주요 분석 대상은 이모티콘 캐릭터와 아이돌 캐릭터로, 이모티콘 캐릭터는 스마트폰 메신저의 이모티콘으로 제작된 오리지널 캐릭터를 일컬으며 아이돌 캐릭터는 일반적으로 아이돌의 지식재산권(IP, Intellectual property rights)을 활용하여 제작한 캐릭터를 의미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아이돌 캐릭터를 팬들이 아이돌에 대해 느끼는 친밀감을 일상적이고 개인적인 차원에서 구현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일종의 매개자라고 정의한다. 본 연구는 주로 매체적인 관점에서 캐릭터의 변화와 아이돌 캐릭터의 등장 과정을 분석한다. 그 이유는 캐릭터의 특성 및 캐릭터와 수용자 간의 관계가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에 필요한 지각 방식인 ‘촉각적 시각(Tactile Vision)’의 영향을 받았을 것이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오늘날 아이돌 캐릭터가 아이돌의 대리자가 될 수 있게 된 것은 스마트폰을 통해 사용되는 이모티콘 캐릭터의 등장을 기점으로 국내 캐릭터의 성격이 변화하였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었다. 이전까지의 캐릭터들이 주로 시각적인 대상으로 제시되고 소비되었다면, 이모티콘 캐릭터의 단계에서부터는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의 지각 방식이자 캐릭터 이모티콘의 지각 방식인 촉각적 시각과 이모티콘 캐릭터의 유연한 특성이 맞물리며 사용자 경험이 중시되었기 시작했다. 그 결과 이모티콘 캐릭터는 사용자의 맥락에서 재구성되는 캐릭터가 되었으며, 관련 캐릭터 상품 또한 사용자의 경험 및 사용자와의 개인적 관계를 강조하는 방식으로 출시되었다. 본고가 주목하는 아이돌 캐릭터는 이러한 캐릭터의 변화 위에서 탄생할 수 있었다. 엔터테인먼트 업계가 스마트폰 기반의 플랫폼을 중심으로 친밀감의 전략을 구사하면서 아이돌은 전례 없이 친밀한 존재가 되었다. 하지만 현실에서 아이돌을 만나거나 접할 수 없다는 일종의 모순은 아이돌을 현실의 차원에서도 경험하고 싶어하는 팬덤의 욕망을 낳았다. 그 결과 팬덤은 자체적으로 아이돌을 캐릭터 굿즈(goods)의 형식으로 형상화하기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캐릭터라는 형식이 채택된 이유는 팬들이 아이돌을 캐릭터화함으로써 그들을 더욱 친근하고 안전한 존재로 소유하고 체험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 이후 팬덤뿐만 아니라 엔터테인먼트 업계에서도 아이돌 캐릭터 사업에 가담하면서, 아이돌 캐릭터는 굿즈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하는 트랜스미디어 콘텐츠로 파생되기 시작했다. 이처럼 아이돌 캐릭터는 다양한 굿즈와 콘텐츠로 파생되며 팬의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팬과의 개인적 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아이돌 캐릭터는 친밀성의 전략과 촉각적 시각으로 인해 친밀감과 현전감이 강화된 아이돌을 실생활에서 경험하고자 하는, 팬들의 니즈를 충족시키는 전략적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새로운 매체의 등장으로 인한 지각 방식의 변화라는 관점 아래 국내 캐릭터 산업의 변화 과정을 살펴보고 아이돌 캐릭터의 탄생 과정 및 그 특성을 분석한 본 연구는 관련 선행연구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아이돌 캐릭터 연구뿐 아니라 국내 캐릭터 연구에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traces the creation process of idol characters, and scrutinizes the impact of the contemporary perceptual mode established through new media, particularly smartphones, on emoticon characters and idol characters created therein. Emoticon characters, which are the main subject of analysis in this study, refer to original characters created as emoticons of a smartphone messenger. Idol characters generally refer to characters created using the IP (intellectual property) of idols, but this study defines them as a kind of mediator allowing fans to give shape to the intimacy they feel toward idols on a daily and personal level. This study examines how characters have changed and how idol characters have emerged, mostly from a media perspective. The assumption is that character traits and character-user relationships may have been influenced by the interactive nature of "tactile vision," which is a perceptual mode necessary for the touchscreen interface of smartphones. Idol characters today could represent idols because the nature of characters in South Korea has changed since the emergence of emoticon characters developed for smartphones. Characters before had mostly been presented and consumed as visual objects. Contrastingly, tactile vision, which is a perceptual mode of not only the touchscreen interface but also character emoticons, chooses to value user experience in line with the flexible characteristics of emoticon characters. Therefore, emoticon characters are reconstructed in the context of users, and the related character goods (or merchandise) that are released also emphasize experience and individuality. The idol characters examined in this study could be created based on these changes. Idols have become unprecedentedly approachable as the entertainment industry implements the intimacy strategy with a focus on platforms like smartphones. However, the irony of not being able to actually approach the idols in real life created a desire among the fandoms to experience the idols in reality as well. As a result, fandoms began to spontaneously incarnate idols in the form of goods(or merchandise). The format of characters was adopted in this process because characterizing the idols made them more familiar, safe, possessable, and available for experience. Later, in addition to fandoms, the entertainment industry also jumped into the business of idol characters, and idol characters led to the creation of not only goods but also transmedia content centered on smartphones. This induced active participation from fans, through which personal relationships could be formed with fans. Thus, idol characters can be regarded as a strategic outcome that meets the needs of fans for experiencing idols in real life. This is achieved through intimacy strategies and tactile vision, with the characters serving as mediators to increase the sense of presence and intimacy. This study examined the process of change in the character industry in South Korea based on the change in perceptual modes after the emergence of new media and analyzed the creation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idol charact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research on idol characters, which is grossly insufficient, and on characters in South Korea.

      • 한국 남성 아이돌 스타의 이미지 유형

        김주미 서경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최근 한국 사회에서는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성장에 따른 대중문화의 발전으로 대중스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스타의 모방이 자연스러운 현상이 되고 있으며, 대중스타의 이미지는 대중의 이상적 이미지를 반영함과 동시에 이미지 연출의 본보기로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현재 아이돌 스타는 한국 대중문화계를 장악하고 사회 트렌드를 주도하고 있으며, 남성의 외모에 대한 변화와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남성 아이돌 스타의 외적 이미지는 대중의 호응을 얻으며 남성 외모관리 산업의 발전을 이끌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남성 아이돌 스타의 이미지 유형을 분류하고 유형별 패션 및 뷰티디자인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다양한 남성 이미지 유형을 밝히고 이미지 연출의 자료를 제공함에 그 의의가 있다. 실증적 연구방법으로 2008년 2월부터 2010년 8월까지 활동한 남성 아이돌 스타 중 대중의 인지도가 높은 15개 그룹을 선정하여 그들의 활동사진 자료를 통해 이미지 유형을 분류하고 각 유형별 패션 및 뷰티디자인 특징을 분석하였으며, 유형별 이미지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미지 관련 전문가 집단의 워크샵을 통해 분류된 남성 아이돌스타의 이미지 유형은 엘리트, 어번시크, 카리스마, 반항아, 토이보이, 옴므파탈의 6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각 유형에 나타난 패션 및 뷰티 디자인 특징과 이미지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엘리트형으로 분류된 집단의 패션스타일의 특징은 무채색 계열과 내추럴 톤으로 통일감과 조화로운 느낌을 주고 있으며, 대체적으로 디테일이 단순하고 편안한 느낌의 세미정장 스타일이 주를 이루고 있다. 메이크업에 있어서는 깔끔한 이미지를 살리기 위해 피부톤 보정과 눈썹의 형태를 다듬는 정도의 기본 메이크업으로 정돈된 느낌을 보여주었으며, 헤어스타일은 자연스럽고 단정한 스타일에 내추럴 브라운 컬러로 연출하였다. 이미지 설문조사 결과 부드럽고 감성적이면서도 고급스럽고 세련되며 보수적인 이미지가 느껴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어번시크형으로 분류된 집단의 패션스타일은 무채색 계열의 몸에 피트되는 슬림한 수트형과 세미 정장 스타일로 가슴이나 팔 등의 부분 노출을 통해 잘 가꾸어진 몸매를 드러낼 수 있도록 하였으며, 눈매를 강조하는 스모키 메이크업과 초콜릿브라운 컬러의 세련된 헤어 스타일링으로 도시적인 이미지를 강조하였다. 이미지 설문조사 결과 도시적인 이미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카리스마형으로 분류된 집단의 패션 스타일은 근육질 몸매가 드러나 피트 되는 블랙위주의 의상과 가죽 소재의 액세서리로 강한 느낌을 더했다. 어두운 피부톤과 강한 라인의 스모키 메이크업, 근육을 강조하는 바디메이크업으로 남성적인 섹시미를 강조하였으며, 짙은 컬러의 쇼트헤어로 거친 느낌을 강조하였다. 이미지 설문조사 결과 섹시하고 적극적이고 자신감 있으며, 거칠고 대범하며 강한 남성적인 이미지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반항아형은 스트리트 패션에 징이 박힌 금속 액세서리 등으로 반항아와 같은 이미지를 강조하여 연출하였으며, 메이크업에 있어서는 어두운 피부톤에 스모키 아이메이크업, 컬러 스모키, 페이스페인팅 등으로 메이크업이 독특하고 강한 형태로 나타났으며, 헤어스타일은 다양한 컬러의 염색과 개성 있는 스타일이 많았다. 이미지 설문조사 결과 자유롭고 개성적인 이미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토이보이형으로 분류된 집단의 패션스타일은 전체적으로 밝고 컬러풀한 색상의 캐쥬얼한 의상에 운동화, 캡이 달린 모자 등으로 어리고 발랄한 이미지로 연출하고자 하는 특성을 보여주었다. 메이크업은 밝은 피부톤 위주의 메이크업을 하였으나, 최근에는 스모키 아이메이크업이 나타나고 있으며, 헤어스타일은 밝은 컬러의 염색에 귀여운 베이비펌 스타일이 많았다. 이미지 설문조사 결과 친근한, 편안한, 귀여운, 순수한, 자연스러운, 발랄한, 어려보이는, 연약한의 이미지가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옴므파탈형으로 분류된 집단의 패션스타일은 블랙위주의 무채색 계열에 스트롱톤의 원색 컬러로 어둡지만 화려한 이미지가 공존하고 있으며, 비치는 소재에 몸매가 드러나는 타이트한 의상과 함께 징이 박힌 초커스타일의 목걸이와 같은 악세서리로 선정적인 이미지를 강조하여 보여주었다. 메이크업에 있어서는 두꺼운 피부화장에 섀도가 짙어진 스모키 아이메이크업, 붉거나 누드톤의 입술 화장으로 여성적이면서도 선정적인 느낌을 강조하여 보여주었고, 헤어스타일은 짙은 레드 톤의 브라운 컬러 염색에 인위적인 형태의 헤어스타일로 화려한 느낌을 살렸으며, 이미지 설문조사 결과 선정적이며 어둡고 화려한 이미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6가지 남성 아이돌 스타의 이미지 유형은 현대 남성의 트렌드 이미지와 많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으며, 남성 아이돌 스타는 트렌드를 주도하면서도 대중의 선호도에 따라 이미지를 연출하고 있었다. 또한 6가지 남성 이미지 유형에서 볼 수 있듯이 최근 As pop culture has developed recently in Korea through the growth of the entertainment industry, the interest in pop celebrities has increased, and it has become a natural phenomenon to imitate the stars. The images of celebrities not only reflect ideals, but also are an example of image making. The idol stars are currently dominating Korean pop culture, and leading the social trends. With growing changes and interests in the male appearance, the external images presented by male idol stars have received a great response from the public, leading the business related to male appearance. This study aims to categorize the image types of male idol star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fashion and beauty design for each type, and through this, to identify the various types of male images and to provide data on image making. As part of the empirical study, 15 well-known male idol star groups who were active during February of 2008 and August of 2010 were selected, their image types were categorized using photographic data, and the characteristics of fashion and beauty design were analyzed for each type. In order to measure the degree of image types, a survey was also conducted. The image types of male idol stars, which were classified through a workshop by a group of image-related experts, were categorized into 6 types: Elite, Urban Chic, Charisma, Rebellious child, Toy boy, and Homme Fatale. The characteristics of fashion, beauty design, and image for each type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fashion style of the Elite group offered a sense of unity and a harmonious feeling, with an achromatic color and a natural tone, and was mostly a semi-suit style in which the details were mostly simple and comfortable. The make-up was a basic make-up with skin tone correction and a refining the shape of the eyebrows, for a clean image and neat feeling, and the hair-style was presented with a natural brown color for a natural and indecent style. The results of the image survey showed that it presented a soft, sensitive, yet luxurious, chic and conservative image. Secondly, the fashion style of Urban Chic group was a slim-fitted suit or semi-suit style in achromatic color, and exposed the chest or the arms, showing off a good physique. The urban image was also emphasized by high-lighting the eyes with smokey eye make-up and sophisticated chocolate-brown color hair styling. The results of the image survey showed that it scored the highest points for urban image. Thirdly, the fashion style of the Charisma group was mainly fitted black clothing that showed a muscular body, adding a strong feeling with leather accessories. It emphasized the muscular sexiness with dark skin tone, strong-line smokey make-up, and body make-up that highlighted the muscles, a short hair-cut with dark color also stressed the masculinity. The results of the image survey showed that it presented a sexy, assertive, and confident image, and scored the highest points for a tough, bold, strong, and masculine image. Fourthly, the fashion style of the Rebellious Child group was a street fashion with studded metal accessories to highlight the rebellious image, and its make-up was a unique and strong type with smokey eye make-up in dark skin, color smokey make-up, or face painting. The hair-style was varied with dying in many different colors and other unique styles. The results of the image survey showed the highest points were given for a free and unique image. Fifthly, the fashion style of the Toy Boy group was overall bright and colorful casual clothing with sneakers and cap hats, presenting a young and cheerful image. The make-up usually had been on a bright skin tone, but recently smokey eye make-up has been a trend as well, and the hair-style was usually a cute baby perm style with bright colors. The results of the image survey scored high for a friendly, comfortable, cute, pure, natural, cheerful, younger looking, and soft image. Sixthly, the fashion style of Homme Fatale group was a dark, yet glamorous image with strong primary colors on black or an achromatic series of colors, and highlighted provocative image with tightly-fitted clothing that reflected the body figure, and accessories like studded choker-style necklaces. The make-up was done on a thick make-up base with smokey eyes of strong shadows, also highlighted femininity while remaining provcatively-appealing with red or nude color lip make-up. The hair-style demonstrated a glamorous feeling through an artificial looking style, dyed with a strong red tone and brown color, and the results of the image survey scored the highest for a provocative, dark, and glamorous image. As seen above, the six image types of male idol stars have a great relation with the modern male trends and images, and the male idol stars have been leading the trends and presenting the image by the public preference. In addition, as shown above, the recent male image is a mixed image of femininity and masculinity, showing a complex aspect that does not dominate with one image, and was found to be constantly changing in the flow of the times.

      • 아이돌의 뮤지컬 출연에 따른 공연시장의 변화 연구 : 뮤지컬 올슉업을 중심으로

        황원진 상명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뮤지컬은 다른 공연 장르에 비해 대규모 자본이 투입되는 특징 때문에 그에 따른 고용창출, 연계 산업과 동반 성장 등 산업적 효과 또한 높다. 1960년대부터 시작된 서양적 구성의 뮤지컬이 1980년대에 한국으로 넘어와 1990년대에 한국 뮤지컬로 자리잡기 시작하여 2000년 대 들어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2001년 오페라의 유령은 한국의 뮤지컬 시장을 산업적 영역의 기틀을 만든 작품으로 평가 받고 있다. 총 150억원의 제작비에 190억원의 매출 올리면서, 그 동안 예술이라는 영역 안에 머물렀던 한국의 무대 공연의 산업적인 가치를 증명한 공연이었다. 산업적 영역 안에서 뮤지컬 시장의 가치가 인정되고 자연스럽게 스타마케팅과 접목하게 되었다. 이는 1990년대의 음반산업에서 2000년대의 디지털음원사업으로 변환되면서 실연자 중심에서 창작자 중심으로 시장의 가치가 옮겨가면서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새로운 돌파구가 필요한 시기적 접점과 맞물리게 되었다. 특히 2000년대 중반부터는 한류의 영향과 연계되어 엔터테인먼트 산업이 본격적으로 성장하게 되었고, 아이돌 가수들이 엔터테인먼트 산업에 중심 축으로 부각되기 시작하였다. 그들의 영역이 방송, 영화, 드라마, 오락 등으로 활동 영역이 확대되고, 연기와 노래를 기본으로 갖춘 아이돌 가수들이 대거 뮤지컬시장에 진출하게 되었으며 결국 한국 뮤지컬 산업의 성장에 한 축을 담당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이돌 가수들이 본격적으로 뮤지컬 시장에 진입한 2000년대 중반부터 무대에 오른 뮤지컬 올슉업을 중심으로 아이돌 가수들의 뮤지컬시장에 진입한 이후 시장의 변화에 대해 연구해 보고자 하였다. 이에 올슉업을 통한 아이돌의 출연으로 국내 뮤지컬시장 관객의 변화와 흥행코드에 따른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이돌의 출연 계약은 공연제작사와 연예 기획사 간의 출연 계약으로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 아이돌 개인과 그룹의 경우, 연예기획사 간의 수익배분의 계약이 이뤄지게 된다. 이런 복잡한 계약과 배우의 사전 육성에 들어가는 비용과 노력 때문에 출연료의 상승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게 되었다. 둘째, 이러한 출연료의 상승 문제는 공연제작비의 급격한 상승을 불러왔고, 다시 티켓가격이 오르는 악순환의 구조를 가지게 되었다. 노래와 배우로서의 자질을 보유한 청소년들은 거의 대부분 공연업계에 진입하기도 전에 연예기획사와 계약 관계를 가지게 되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아이돌의 뮤지컬 시장 진출의 문제점은 고스란히 관객의 몫으로 넘어간다. 그렇다고 아이돌과의 뮤지컬 시장 간의 공존 방법이 없는 것은 아니다. 한정된 방송, 연예 활동에 따라 실연자로서의 아이돌의 입장에서도 뮤지컬 등의 공연 무대는 매력적인 시장 일 수밖에 없다. 그룹 활동기간 외 또는 그 이후의 각자의 특성과 능력에 따라 뮤지컬, 연기, 솔로활동 등은 매우 중요하다. 추후 인기의 거품 안에서 물러나야 할 때를 감안하면 개인의 능력을 살린 활동이 필수적 이다. 아이돌의 뮤지컬 출연은 공연업계와 연예기획사의 목적이 함께 맞아지면서 활성화 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흥행을 위해 공연제작사에서는 아이돌이 더 이상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필수적인 여건으로 받아 들여 지고 있다. 앞으로 극장 규모에 맞는 출연료의 산정, 단순 인기 보다는 준비된 연기력과 가창력을 통한 배우의 선발, 공연과 자연스럽게 하나 되는 아이돌 뮤지컬 배우들의 탄생을 기대해 본다. As the large amount of capital is invested in musical compared to other performance genres, it has excellent industrial effects such as job creation, win-win growth with linked industries, etc. Western style musical started from 1960s came to Korea in 1980s and started to take its place as Korean musical in 1990s, and in 2000s, it was rapidly developed. In 2001, The Phantom of the Opera was evaluated as the work to create the foundation in the industrial area for Korean musical market. It proved the industrial value of Korean stage performance which has been evaluated only as art as it made a profit of 19 billion won with the production cost of total 15 billion won. Musical market was recognized with its value in the industrial area, and it was naturally combined with star marketing. As the recording industry in 1990s has changed into digital music industry in 2000s, and the value of the market has also moved from performer-oriented to creator-oriented, it was an appropriate timing for new breakthroughs of the entertainment industry. Especially, since mid 2000s, the entertainment industry was grown in earnest in connection with the impact of Korean wave, and idol stars were started to be the center of the entertainment industry. Their working area was expanded to broadcasting, movie, drama, entertainment, etc, and the large number of idol stars with acting and singing talent advanced to the musical market, and they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growth of Korean musical industry. Therefore, in this research, the market change according to appearance of idol stars was studied focusing on musical All Star All Shook Up brought on the stage since mid 2000s when idol stars entered into the musical market in earnest. Problems caused by the change of audience of Korean musical market and audience value due to appearance of idol starts in All Star All Shook Up are as follows. First, the appearance agreement of idol stars is made between the performance production and the entertainment agency. That is, for individual and group idol stars, the agreement for the distribution of profit was made among entertainment agencies. Due to complicated contracts and cost and efforts for pre-training of actors, the problem of the increased payment takes place. Second, the problem of the increased payment became a vicious circle causing the rapid increase of the cost of performance production and also increasing ticket price. Therefore, most of adolescents with singing and acting talent make a contract with the entertainment agency even before entering into the performance industry. Therefore, audiences take over all those problems due to appearance of idol stars in the musical market. But, it does not mean that there is no way to co-exist between idol stars and the musical market. For idol stars as performers, stage performance like musical is the attractive market because they only experience limited broadcasting and entertainment areas. Musical, acting and solo activity except or after their group activity period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and talent are also important. Activities using individual idol stars' talent are necessary considering when they will lose their popularity someday. Appearance of idol stars in musical was activated as the purpose of the performance industry and the entertainment agency was fulfilled. Especially, performance productions have regarded appearance of idol stars as the necessity not the option for the success. In the future, I expect the selection of actors with prepared acting and singing ability rather than the payment estimation in accordance with the scale of the stage or their popularity and idol musical actors naturally constituting the performance.

      • 아이돌보미의 직무만족이 보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안경천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807

        Recently, as nurturing function through family is rapidly weakened due to increase of dual income household and family nuclearization, necessity of social nurturing support system(chid care service) in which nurturing burden having been shifted to family so far is shared by the government and society was emerged. Under this situation, as public child care service for strengthening social child care service system has been enforced from 2006, demand of care service brought forth steady quantitative expansion. However, as a qualitative problem for nurturing service of child carer was occasionally raised, quality management of child care is required to be prioritized so that this system would be solidly settled down as child care support policy in a family.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help understand job satisfaction and ego-resiliency for child carers who are provider of care service and to pursue practical, institutional method for increasing child care efficacy of child carer. So far, a research relevant to child care was limited to a minor case and most of it was just focused on basic research and user satisfaction for base formation at an early stage of project implementation and so, a research on cognitive features of child carer is considered to be required. In this study, in order to analyze what type of factor affects chid care efficacy in job satisfaction of child carer,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were established based on 2-factor theory of Herzberg. Additionally, in a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child care efficacy,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y was intended to be verified additionally. In order to perform this empirical research, questionnaires for 253 cases were secured by visiting child carer education institution in Seoul region and 230 cases excluding cases of which reply is insincere were used as final test sample. Major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Child carers were engaged in their activity mainly based on part-time job and most of their age was 50th. Their career was mainly below 2 years, dominant income level was 0.5-1million Won/month and education level of more than half was high school graduation. In a technical statistics analysis of major variables, average score of all the variables of intrinsic satisfaction factor exceeded medium score (3 points) in Likert 5-point scale but variables of extrinsic satisfaction factor were represented as below medium level. Subodinate factors of ego-resiliency and child care efficacy showed high positive trend beyond medium score. As a next step, hypothesis of research model was verified through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It was well suited for data and explained child care efficacy (dependent variable) as 52.4%. The result of hypothesis verification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verified that intrinsic satisfaction that is sub-dimension of job satisfaction exerted a positive (+) effect on child care efficacy. On the other hand, a hypothesis that extrinsic satisfaction would affect child care efficacy was dismissed. Second, as intrinsic satisfaction was represented to exert a positive (+) effect on child care efficacy by mediating ego-resiliency, its hypothesis was supported. On the other hand, as an effect of extrinsic satisfaction on child care efficacy through ego-resiliency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its hypothesis was dismissed. Third, a career that is control variable in structural model exerted a weak effect on child care efficacy. As a result of analyzing an effect for major variables explaining child care efficacy, intrinsic satisfaction that is sub-dimension of job satisfaction not only directly affected child care efficacy but indirectly by mediating ego-resiliency. In addition, in a relationship with child care efficacy, neither direct effect nor indirect effect of extrinsic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statistically. Therefore, a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satisfaction and child care efficacy could be explained by partial mediating model. Total effect of intrinsic satisfaction on child care efficacy was represented to be more influential in direct effect than indirect effect (mediating effect). And ego-resiliency exerted a direct effect on child care efficacy and such effect was represented to be very influential. Conclusively, it was verified that in case of intrinsic satisfaction in analysis of mediating effect for major variables, only its path affecting child care efficacy by mediating ego-resiliency was significant statistically. Therefore, implication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n this study,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by categorizing satisfaction factor (motivation) of 2-factor theory as intrinsic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sanitation) factor as extrinsic satisfaction. Like this, research model being established based on 2-factor theory was well suited for actual data statistically. In other words, job satisfaction factor of child carer explained child care efficacy at the level of app. 50%. Second, it was revealed that contrary to intrinsic satisfaction factor that is sub-dimension of child care job satisfaction, extrinsic satisfaction factor did not affect child care efficacy. This result is considered to be a meaningful discovery as satisfaction of child carer for wage level or welfare is not directly related to self-confidence for child care. Third, as a result of research being observed previously, it could be presumed that self-confidence of child carer for child care would lead to child care efficacy as intrinsic satisfaction factors such as emotional stability, self-confidence and a sense of rewarding being represented in a process of performing a job rather than a fixed personality trait or perception are accumulated. This is a result of supporting an assertion of Bandura that in his self-efficacy theory, self-efficacy means expectation for self project performing ability being formed under special project situation, not a personality trait. Fourth, most of preceding studies were of an opinion that by designating job satisfaction based on result variable of teacher efficacy, an efficacy as cognitive features affects emotional satisfaction. However, in this study, considering just features of child carers who are different from child carers of existing institution, significance of research methodology could be found in that a research was tried and verified in a viewpoint different from that of the past that intrinsic satisfaction that is sub-dimension of job satisfaction or extrinsic satisfaction may be a preceding variable of child care efficacy. In a result of this study, as emotional reaction of feeling self-confidence or a sense of rewarding by child carers in performing their job provides self-confidence in child care activity, it would eventually enhance quality of child care service. Therefore, institutional care that may induce intrinsic satisfaction factor of child carer would be required. In addition, ego-resiliency of child carer was represented to affect child care efficacy significantly and in order to provide high-quality, uniformed child care service, nurturing child carer having high ego-resiliency,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 and its institutional support for enhancing ego-resiliency would be required. Together with a result of research as mentioned hereinabove, limitation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as a tool that may properly measure each concept by targeting child carers is not available, similar scale is being used. Therefore, by developing a valid, highly reliable tool by targeting child carers, foundation of theoretical verification is required to be fortified. As a next step, it is unreasonable to generalize nationwide child carer traits by limiting target of research to child carers in Seoul region only. Keywords: child carer, job satisfaction, child care efficacy, ego-resiliency 최근 맞벌이 가정의 증가와 핵가족화 등으로 인하여 가족을 통한 양육기능이 급속히 약화됨에 따라, 그간 가족에게 전가되었던 양육부담을 국가와 사회가 분담하는 사회적 양육지원제도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사회적 돌봄지원 체계를 강화하기 위한 공공 아이돌봄 지원사업이 2006년부터 시행되어 오면서 돌봄서비스의 수요는 지속적인 양적팽창을 가져왔다. 하지만 아이돌보미의 보육서비스에 대한 질적 문제가 종종 제기됨에 따라, 이 제도가 가정 내 육아지원정책으로 공고히 자리를 잡기 위해서는 돌봄의 질 관리가 우선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돌봄서비스 제공자인 아이돌보미에 대한 직무만족과 자아탄력성에 대한 이해를 돕고, 아이돌보미의 보육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실천적, 정책적 방안을 모색하려는 것이다. 그간 아이돌보미와 관련한 연구는 소수에 그치고 있으며, 대부분 사업시행 초기의 기반형성을 위한 기초연구와 이용자 만족 등에 집중되어 있을 뿐이어서, 이에 아이돌보미의 인지적 특성과 관련된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아이돌보미의 직무만족에서 어떠한 요인이 보육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기 위해 Herzberg의 2요인이론을 근거로 하여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다. 또한 직무만족과 보육효능감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추가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상의 실증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서울지역 4개 권역별 아이돌보미 교육기관을 직접 방문하여 253사례의 설문지를 확보하고, 이중에서 응답이 부실한 사례를 제외한 230사례를 최종 검정표본으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이돌보미들은 주로 시간제로 활동하고 있으며, 연령은 50대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경력은 주로 2년 미만이었으며, 소득은 월50만원-100만원이 많았고, 학력은 고졸이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주요변수의 기술 통계치 분석에서는 내재적 만족요인의 모든 변수는 Likert 5점 척도에서 평균 점수가 중간점수(3점)를 넘어 섰으나, 외재적 만족요인의 변수는 모두 중간수준 이하로 나타났다. 자아탄력성과 보육효능감의 하위요인들은 모두 중간점수를 뛰어넘어 높은 긍정적인 경향을 보였다. 다음으로, 구조방정식모델 분석을 통해 연구모형에서 설정한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모형은 자료와 잘 적합하였고, 종속변수인 보육효능감을 52.4%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검증 결과는 다음 몇 가지로 요약 할 수 있다. 첫째, 직무만족의 하위차원인 내재적 만족이 보육효능감에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 되었다. 반면에 외재적 만족이 보육효능감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정은 기각되었다. 둘째, 내재적 만족은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하여 보육효능감에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을 지지하였다. 반면에, 외재적 만족은 자아탄력성을 통한 보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가설은 기각되었다. 셋째, 구조모델에서 통제변수인 경력은 보육효능감에 약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보육효능감을 설명하는 주요변수들에 대한 효과들을 분해한 결과, 직무만족의 하위차원인 내재적 만족은 보육효능감에 직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지만,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외재적 만족은 보육효능감과의 관계에서 직접효과나 간접효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따라서 내재적 만족과 보육효능감 간에는 부분매개 모델로 설명될 수 있다. 내재적 만족이 보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의 총 효과는 간접효과(매개효과)보다 직접효과가 약간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아탄력성은 보육효능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그 영향력은 매우 크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주요변수에 대한 매개효과 분석에 있어서, 내재적 만족은 자아탄력성을 매개로하여 보육효능감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경로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에 근거한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2요인이론의 만족(동기)요인을 내재적 만족으로, 불만족(위생)요인을 외재적 만족으로 범주화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이처럼 2요인이론을 토대로 설정한 본 연구의 모델은 실제 자료와 통계적으로 잘 부합하고 있었다. 즉 아이돌보미의 직무만족 요인은 보육효능감을 약 50%정도 설명해 주었다. 둘째, 아이돌보미 직무만족의 하위차원인 내재적 만족요인과는 달리 외재적 만족요인은 보육효능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이돌보미가 임금수준이나 복리후생에 만족한다고 해서, 이것이 곧 보육에 대한 자신감으로 직결되지는 않는다는 것으로 볼 수 있어 의미 있는 발견이라고 할 수 있겠다. 셋째, 앞서 살펴본 연구의 결과, 아이돌보미들이 생각하는 보육에 대한 자신감은 고정된 개인의 성격적 특성이나 지각이라기보다는 직무 수행과정에서 나타나는 정서적 안정감, 자부심, 보람 등 내부적 만족요인이 축적되어 보육효능감으로 이어진다고 추론할 수 있다. 이는 Bandura의 자기효능이론에서 자기효능감은 성격적 특성이 아닌 특수한 과제 상황을 전제로 하여 형성된 자신의 과제 수행 능력에 대한 기대를 의미한다는 주장을 지지하는 결과이다. 넷째,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은 교사효능감의 결과변수로 직무만족을 지정하고, 인지적 특성인 효능감이 정서적 만족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관점을 취해 왔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제도권 내 보육교사와 다른 아이돌보미들만의 특성을 감안할 때, 직무만족 하위차원인 내재적 만족이나 외재적 만족이 보육효능감의 선행(원인)변인일 수 있다는 종전과 다른 관점에서의 연구를 시도하고 이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연구 방법론적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결과에서, 아이돌보미가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 자부심이나 보람을 느끼는 정서적 반응은 보육활동에 자신감을 심어 주게 되므로 궁극적으로는 돌봄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리라 본다. 따라서 아이돌보미의 내재적 만족요인을 유발할 수 있는 정책적 배려가 필요하다. 또한, 아이돌보미의 자아탄력성은 보육효능감에 매우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수준 높고 균질화 된 보육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자아탄력성이 높은 아이돌보미의 양성이 필요하다. 이에 자아탄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와 더불어 본 연구가 갖는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아이돌보미를 대상으로 한 각 개념들을 적절히 측정할 수 있는 도구가 없어 유사 척도를 사용함으로서의 한계가 있다. 따라서 아이돌보미를 대상으로 한 타당하고 신뢰도 높은 도구를 개발함으로서, 이론적 검증의 틀을 확고히 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는, 연구의 대상을 서울지역 아이돌보미로만 한정하여 전국적인 돌보미의 특성이라고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주요어 : 아이돌보미, 직무만족, 보육효능감, 자아탄력성

      • 아이돌보미의 효능감과 교육에 대한 요구 분석

        권정아 한국성서대학교 보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아이돌보미의 효능감과 아이돌보미 교육에 대한 요구를 조사하여, 가정 내 아동 돌봄 서비스의 질적 성장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이돌보미의 효능감(자기효능감, 보육효능감, 직무효능감)은 어떠한가? 둘째, 아이돌보미의 배경(학력, 경력, 자녀의 수, 보육관련 자격증 유․무)에 따른 효능감은 차이가 있는가? 셋째, 아이돌보미의 효능감(자기효능감, 보육효능감, 직무효능감)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넷째, 아이돌보미의 교육에 대한 요구는 어떠한가? 연구도구는 자기효능감 척도(송윤아, 2009), 보육효능감 척도(현정환, 2003), DACUM법을 이용한 아이돌보미의 직무분석을 바탕으로 제작한 직무효능감 척도, 아이돌보미의 교육에 대한 요구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지역에서 아이돌보미 지원사업을 시행하고 있는 25개 기관의 아이돌보미 239명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이돌보미의 효능감은 세 가지 하위영역인 자기효능감, 보육효능감, 직무효능감에서 보통 이상의 결과를 보였다. 그 중 아이돌보미의 활동과 직접적인 영향이 있는 직무효능감(M=3.81)이 제일 높은 결과를 보였다. 직무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식사지도(M=4.17)와 놀이활동(M=3.96)은 비교적 높은 점수가 나왔으나, 정서지원(M=3.71)과 응급처치(M=3.70)는 다른 하위요인에 비해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둘째, 아이돌보미의 효능감(자기효능감, 보육효능감, 직무효능감)에 차이를 보이는 배경요인은 아이돌보미의 학력, 활동 경력으로 나타났고, 보육관련 자격증 유‧무에 따라 자기효능감과 직무효능감의 하위영역인 행정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아이돌보미의 자녀의 수에 따른 아이돌보미의 효능감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이돌보미의 자기효능감, 보육효능감, 직무효능감 간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자기효능감은 보육효능감과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직무효능감 전체와 각 하위요인(위생관리, 식사지도, 응급처치, 놀이활동, 정서지원, 행정)들 모두와도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보육효능감은 직무효능감과 비교적 높은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으며, 직무효능감 하위요인들 모두와도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아이돌보미의 교육에 대한 요구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이돌보미 활동에 있어 양성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고, 그 가운데 안전 및 건강관리, 기본소양교육, 생활지도, 놀이지도, 행정관리, 활동사례 및 실습 순으로 중요하다고 응답하였다. 향후 아이돌보미의 양성교육 및 보수교육에 추가되어야 할 교육내용에 대해서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녀의 발달(72%)’과 ‘문제행동지도법(56.4%)’, ‘영유아 연령별 상호작용 실습(53.6%)’ 등으로 연령별 발달특성에 대한 내용과 문제행동 지도에 대한 응답이 높게 나왔다. 보수교육 진행 횟수는 년 1회가 적당하다고 하였으며, 진행기관은 아이돌보미가 소속된 기관에서 지역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보였다.

      • 아이돌 자체 제작 웹 예능의 구전 정보 특성이 휴먼브랜드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휴먼브랜드 애착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

        오채은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807

        유튜브 채널이 대중화되면서 엔터테인먼트 산업에서도 적극적으로 유튜브 채널을 필수 마케팅 활동의 일환으로 사용하고 있다. 특히, 일명 ‘자컨’이라 불리는 ‘아이돌 자체 콘텐츠’는 코로나19 이후 아이돌 팬덤을 넘어 폭넓게 소비되었으며 대중까지 사로잡았다. 하지만 아이돌 엔터테인먼트 산업에서 아이돌 자체 콘텐츠가 마케팅의 주요 요소로 자리 잡았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아이돌 자체 콘텐츠가 가지는 구전 정보 특성에 주목하였다. 팬덤과 대중은 주로 영상 SNS에 업로드되는 아이돌 자체 콘텐츠를 통해 아이돌이라는 휴먼브랜드에 노출된다. 그리고 휴먼브랜드에 대해 더욱 친밀한 욕구를 충족시키고자 하며 휴먼브랜드와 관련된 상품 등을 소비하기도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착안해 아이돌 자체 콘텐츠의 구전 정보 특성이 휴먼브랜드 애착을 매개로 하여 휴먼브랜드 구매의도에 영향을 줄 것으로 가정하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다. 이어서 가설 검증을 위해 설문조사와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아이돌 자체 콘텐츠의 구전 정보 특성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생동성, 동의성, 유희성으로 구분하고 각 구전 정보 특성에 따른 차이를 연구하였다. 아이돌 팬덤의 연령층을 고려하여 설문 대상자는 아이돌 자체 콘텐츠 시청 경험이 있는 MZ세대로 설정하였으며, 좋아하는 아이돌 자체 콘텐츠와 휴먼브랜드를 자체적으로 떠올리면서 설문하도록 설계하였다. 설문 문항은 인구 통계학 특성 및 아이돌 자체 콘텐츠 관련 특성인, 생동성, 동의성, 유희성, 휴먼브랜드 애착, 휴먼브랜드 구매의도에 대한 사항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자면, 아이돌 자체 콘텐츠의 구전 정보 특성과 휴먼브랜드 애착과의 인과관계에서는 생동성과 유희성은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동의성은 유의한 영향력을 확인하지 못했다. 휴먼브랜드 애착은 휴먼브랜드 구매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준 것으로 밝혀졌으며, 아이돌 자체 콘텐츠의 구전 정보 특성과 휴먼브랜드 구매의도의 관계에서는 동의성을 제외하고 유희성, 생동성 순으로 휴먼브랜드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휴먼브랜드 애착의 매개효과에 관해서도 동의성을 제외한 생동성과 유희성에만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때, 생동성과 휴먼브랜드 구매의도 관계에서는 휴먼브랜드 애착이 완전매개 역할을, 유희성과 휴먼브랜드 구매의도의 관계에서는 휴먼브랜드 애착이 부분매개 역할을 하였다. 생동성의 경우, 휴먼브랜드 애착이 있는 경우에만 휴먼브랜드 구매의도를 유발할 수 있다는 점을 발견했기에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최근 대다수의 아이돌 소속사에서 아이돌 자체 콘텐츠를 홍보마케팅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는 가운데 앞으로 제작 목적에 따라 어떤 기획과 전략이 필요할지 방향성을 제시해 준다는 점에서 실무적 시사점을 준다. 아이돌 자체 콘텐츠 제작 시 팬 층을 확장하며 효과적으로 휴먼브랜드 애착을 높이려면 생동성과 유희성을 모두 고려해야 하고, 매출에 더 직접적인 초점을 맞추며 휴먼브랜드 구매의도를 높이려면 유희성을 더 많이 고려해 기획해야 할 것이다. 또한 학술적으로도 다른 SNS 구전 정보 특성과 달리 아이돌 자체 콘텐츠가 가지는 구전 정보 특성에서는 동의성이 유의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아이돌 마케팅에 있어 주요 수단인 아이돌 자체 콘텐츠가 휴먼브랜드 애착을 매개로 실제로 마케팅에 기여가 되는지에 관해 객관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자료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본 연구가 향후 아이돌 자체 콘텐츠를 활용한 홍보마케팅 전략 수립에 있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With the popularization of YouTube channels, the entertainment industry has been actively utilizing them as an essential part of their marketing activities. In particular, the so-called 'self-produced idol content', also known as 'Ja-con' has been widely consumed beyond the idol fandom and has captured the attention of the general public since the outbreak of COVID-19. However, research related to idol entertainment has been insufficient despite the central role that idol content plays in marketing. This study focuses on e-WOM information characteristics of idol content. Fans and the general public are exposed to the human brand, known as idols, through idol content primarily uploaded on video-oriented social networking services. They satisfy their desire for greater intimacy with the human brand and, in turn, consume related products. This study assumes that e-WOM information characteristics of idol content will influence human brand attachment, thereby affecting human brand purchase intention.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 review of prior research was conducted, and based on this, research models and hypotheses were established. Subsequently, a survey and data analysis were conducted to verify hypotheses. The e-WOM information characteristics of idol content in this study were categorized into vividness, consensus, and playfulness, following previous research. Considering age ranges of fandom, survey respondents, who had experience watching idol content, were drawn from the MZ generation, and they were asked to complete the survey while recalling idol content they liked and human brands they could think of. The survey items were organized in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haracteristics related to idol content, vividness, consensus, playfulness, human brand attachment, and human brand purchase intention. In summary,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WOM Information characteristics of idol content and human brand attachment, with vividness and playfulness being the most significant, although consensus did not demonstrate a significant influence. Moreover, human brand attachmen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human brand purchase intention.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WOM Information characteristics of idol content and human brand purchase intention, it was found that, except for consensus, playfulness and vividness had a positive impact in that order. With regard to the mediating effects of human brand attachment, it was revealed that only playfulness and vividness significantly had a positive impa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fulness and human brand purchase intention,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fulness and vividness. Du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vividness and human brand purchase intention, human brand attachment played a complete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fulness and human brand purchase intention, human brand attachment played a partial mediating role. The perceived vividness holds significant implications, as it has been observed that it can exert a substantial influence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human brands only when there is an existing emotional attachment to the said brand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practical insights into the development of promotional marketing strategies for idol content. To effectively expand the fan base and increase human brand attachment during the production of idol content, a greater focus on both vividness and playfulness are needed. To raise the intention to purchase human brand-related products with a more direct impact on sales, a greater emphasis on playfulness is recommended in planning, rather than considering vividness. Furthermore, it holds significance in the academic realm as well. Unlike the e-WOM Information characteristics found in other researches, consensus might not always exhibit statistical significance. Additionally, in the realm of idol marketing, where the primary tool is self-produced idol content, this research could serve as objective evidence to validate whether the content contributes effectively to marketing through human brand attachment.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ful for future development in the promotion of idol content.

      • 아이돌보미의 효능감과 직무만족도에 대한 연구

        유순란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research aimed at providing basic material to improve nanny's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in order for them to undertake childcare by feeling more stable and satisfied with their job by analyzing nanny's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who are undertaking care at home, and contributing to improvement of childcare service quality. Research problems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are as follows. Research problem 1. What is the research objects'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characteristic? Research problem 2. Is there difference in efficacy along with nanny's general characteristic? Research problem 3. Is there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along with nanny's general characteristic? Research problem 4. Is there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along with nanny's efficacy? As the research method, the researcher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437 nannies in 21 cities and counties in Jeollanam-do for 1 month, May 27~June 27, 2014, total 369 questionnaires were utilized as the final research material. Here,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nannies'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characteristic are as follows. Nannies' efficacy appeared higher than the average in order of job efficacy (M=4.14), care efficacy(M=3.88), self-efficacy(M=3.83) among three subordinate scope, dining education(M=4.43) appeared the highest among job efficacy. Nannies' job satisfaction also appeared higher than the average, job satisfaction in private lesson method development(M=4.29) appeared the highest, and job satisfaction in wage and employee welfare(M=3.19) appeared the lowest. Second, difference in efficacy(job efficacy, care efficacy, self-efficacy) along with nannies' general characteristic and job satisfaction is as follows. In respect of efficacy along with nannies' general characteristic, job efficacy showed meaningful result in monthly average activity hours, income contributiveness, and residential area, nannies' job efficacy appeared higher when they had more monthly average activity hours, when their income contributiveness was major source of income of family, and residential area was rural area. Care efficacy showed meaningful result in academic ability, monthly average activity hours, and care-related certificate, nannies' care efficacy, who had care-related certificate, appeared high. Self-efficacy showed meaningful result in income contributiveness and residential area, nannies' self-efficacy appeared high when income contributiveness was the major income of family, and residential area was rural area. In respect of job satisfaction along with nannies' general characteristic, meaningful result appeared in monthly average activity hours, income contributiveness, and residential area, also, nannies' job satisfaction appeared high when they had more monthly average activity hours, when their income contributiveness was the major income of family, and residential area was rural area. Third,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along with nannies' efficacy is as follows. Job satisfaction along with nannies' efficacy showed meaningful result all in job․care․self-efficacy, the upper group with high job․care․self-efficacy showed high job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per sub factor along with job efficacy showed meaningful result all in human relation, job performance, wage and employee welfare, and private lesson method development, job satisfaction per sub factor along with care efficacy showed meaningful result in human relation, job performance, and private lesson method development, and job satisfaction per sub factor along with self-efficacy showed meaningful result all in human relation, job performance, wage and employee welfare, and private lesson method development.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 the researcher suggests a few points as follows. First, it is urgently required to improve nannies' working environment and treatment. Second, considering that nannies' job satisfaction appeared high, who had high efficac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implement complementary education content to improve nannies' efficacy. Third, it is necessary to unify complementary education to improve nannies' professionalism. Complementary education for nannies is divided into individual complementary education, conducted by service providing institution and group complementary education, conducted by complementary educational institution, also, in respect of educational content, there are big differences in care service level per city․county․borough, since individual complementary education is implemented differently per service providing institu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complementary education for nannies with common care service by implementing with the same curriculum in the educational institution. This research has the limitation as follows. This research has a limitation to generalize nationally, since this research targeted some nannies of Jeonnam region, also, this research has inadequate point, since it utilized by restructuring and structuring the used questions through extracting them by verifying reliability and validity among the questionnaires of the advanced research related to kindergarten teachers and nannies' job satisfaction and efficacy, since the research tool on nannies'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was not standardized.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 내 돌봄을 책임지고 있는 아이돌보미의 효능감과 직무만족도에 대해 분석해 봄으로써 아이돌보미들이 보다 더 안정적이고 자신의 직무에 만족을 느끼며 아동보육을 책임질 수 있도록 아이돌보미의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며, 아이돌봄 서비스 질 향상에 기여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조사대상자의 효능감과 직무만족도 특성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아이돌보미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효능감은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3. 아이돌보미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4. 아이돌보미의 효능감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차이가 있는가? 연구방법은 전라남도 21개 시․군에서 활동 중인 아이돌보미 437명을 대상으로 2014년 5월 27일~6월 27일까지 1개월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총 369부의 설문지를 최종 연구 자료로 사용하였다. 이에 본 연구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이돌보미의 효능감과 직무만족도 특성은 다음과 같다. 아이돌보미의 효능감은 세 가지 하위영역에서 직무효능감(M=4.14), 보육효능감(M=3.88), 자기효능감(M=3.83) 순으로 모두 보통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직무효능감 중에서는 식사지도(M=4.43)에 대한 직무효능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아이돌보미의 직무만족도도 보통이상으로 나타났는데 개인교수법개발(M=4.29)에 대한 직무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급여 및 복리후생(M=3.19)에 대한 직무만족도는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아이돌보미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효능감(직무효능감, 보육효능감,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도 차이는 다음과 같다. 아이돌보미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효능감에서는 직무효능감은 월평균활동시간, 소득기여도, 거주지역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월평균활동시간이 많을수록, 소득기여도가 가정의 주 수입원일 때, 거주지역이 농촌지역일 때 아이돌보미의 직무효능감이 높게 나타났다. 보육효능감은 학력, 월평균활동시간, 보육관련자격증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학력이 높을수록, 월평균활동시간이 많을수록, 보육관련자격증이 있는 아이돌보미의 보육효능감이 높게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은 소득기여도, 거주지역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소득기여도가 가정의 주 수입원일 때, 거주지역이 농촌지역일 때 아이돌보미의 자기효능감이 높게 나타났다. 아이돌보미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에서는 월평균활동시간, 소득기여도, 거주지역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월평균활동시간이 많을수록 소득기여도가 가정의 주 수입원일 때, 거주지역이 농촌지역일 때 아이돌보미의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이돌보미의 효능감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아이돌보미의 효능감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직무․보육․자기효능감에서 모두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직무․보육․자기효능감이 높은 상위 집단이 직무만족도도 높게 나타났다. 직무효능감에 따른 하위요인별 직무만족도는 인간관계, 직무수행, 급여 및 복리후생, 개인교수법개발 모두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으며, 보육효능감에 따른 하위요인별 직무만족도는 인간관계, 직무수행, 개인교수법개발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자기효능감에 따른 하위요인별 직무만족도는 인간관계, 직무수행, 급여 및 복리후생, 개인교수법개발 모두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아이돌보미의 근로환경과 처우개선이 시급하다. 둘째, 효능감이 높은 아이돌보미의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을 고려할 때 아이돌보미의 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수교육 내용을 개발하여 실시해야 한다. 셋째, 아이돌보미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 보수교육을 일원화시켜야 한다. 아이돌보미 보수교육은 서비스제공기관에서 실시하는 개별보수교육과 보수교육기관에서 실시하는 집합보수교육으로 양분화되어 있으며 교육내용도 개별보수교육의 경우 서비스제공기관마다 다르게 실시하고 있어 시․군․구별 돌봄 서비스 수준 차이가 많이 나고 있다. 따라서 아이돌보미 보수교육은 교육기관에서 동일한 커리큐럼을 가지고 실시함으로써 공통된 돌봄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전남지역 일부 아이돌보미를 대상으로 한 것이므로 연구결과를 전국적으로 일반화시키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아이돌보미의 효능감과 직무만족도에 대한 조사도구가 정형화 되어 있지 않아 유치원교사,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효능감에 관련된 선행연구의 질문지 중 신뢰도와 타당성을 검증하여 사용된 질문을 추출하여 재구성하고 구조화시켜 사용하였기 때문에 미비한 점이 있다.

      • 한중 아이돌 팬덤(fandom) 문화 비교연구

        라위운 호서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한중의 아이돌 팬클럽의 활동을 통해서 양국의 팬덤문화의 본질적 내용과 그 의미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먼저 아이돌 팬덤의 발전과정을 관찰한 후, 팬클럽의 운영방식, 팬클럽의 응원도구 및 팬클럽의 기부활동 등 3가지 측면에서 그 구체적 내용과 의미를 분석하였다. 먼저, 한중의 팬덤 발전과정을 관찰하기 위해 먼저, 한국과 중국의 모두 3기로 나누어 관찰하였다. 다음, 한중의 팬덤문화를 이해하게 위해 한중의 팬클럽 운영방식, 응원도구 및 기부활동 등 3가지 측면에서 팬클럽 활동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첫째, 팬클럽 운영방식에서 한중의 팬클럽은 공식 팬클럽과 비공식 팬클럽으로 나뉘어 있는데, 그 각각의 운영방식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여준다. 둘째, 응원도구의 측면에서 응원도구는 한국과 중국이 다소의 차이가 있다. 또 한국은 그 응원대상이 아이돌그룹 전체이지만, 중국은 아이돌 그룹 내의 특정인이 응원대상이다. 셋째, 기부 활동 측면에서 한국과 중국은 중요한 차이를 보여준다. 한국은 기부활동이 국내 수준에 머무르지 않고, 아이돌 그룹의 국제적 이미지 제고와 확산을 위해 국제적인 수준으로 확대되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중국은 사회주의 국가체제하에서 공인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기 때문에 자국 내에서 사회적 영향력 확대에 더 중점을 두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ses the nature of fandom culture and its significance in both countries through the activities of idol fan clubs in Korea and China. Therefore, the study firstly observed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idol fandom, and analyzed the specific content and significance of fan club from three aspects: managing style, supporting materials and donation activities of fan club. First of all, in order to observe the development of idol fandom in Korea and China, observations in both Korea and China were divided into three stages. Secondly, for purpose of understand the fan culture in both countries, the study analyzed fan club activities from three aspects: managing style, supporting materials and donation activities. To be specific, firstly, Korean and Chinese fan clubs operate as official fan clubs and unofficial fan clubs that exists considerable differences. Secondly,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 support materials between Korea and China. While the supporters in Korea are all idol groups, in China, specific people in idol groups are thesupporters. Thirdly, Korea and China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donation activities. In order to raise and enhance the international status of idol groups, donations in Korea are not only made at home, but also try to expand to the international level. However, China’s idol groups has focused on expanding its social influence within the country, because socialist country emphasizes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public figures.

      • 아이돌 중심 대중음악시장의 한계에 관한 연구 : 아이돌 가수 탄생에 미치는 영향력을 중심으로

        김진아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음악 프로그램뿐 아니라 드라마, 시트콤, 예능, 광고, 뮤지컬까지. 현재 대한민국 대중음악시장은 가요계를 출발점으로 해 방송국을 점령한 뒤 대중문화계를 장악하고 한국 사회의 트랜드를 주도하는 핵심으로 자리매김한 아이돌 가수들의 천국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아이돌 가수 소속 기획사 담당자 및 대중음악 작사가, 전직 아이돌 가수 등 다양한 분야에 종사하고 있는 생산자들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 2010년 현재 대한민국 대중음악시장에서 나타나고 있는 아이돌 가수 편향현상과 그러한 현상이 발생하게 된 배경을 알아보고 급부상 현상의 중심에 있는 아이돌 가수들의 탄생과정과 그 과정에서 미치는 영향력은 무엇인지를 분석해봄으로써 대한민국 대중음악계의 아이돌 문화의 한계와 문제점을 논의한다. 연구결과, 한국 대중음악 시장에서 아이돌 편향현상이 일어나게 된 주요인에는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자본의 영향력이라는 사실을 알아낼 수 있었다. 디지털 기술의 발달은 대중음악 시장에 보는 음악 시장의 시작, 음반의 형태 변화, 음반 발매 기간의 단축 등과 같은 커다란 변화들을 몰고 왔다. 이와 같은 변화로 퍼포먼스와 볼거리가 중시되기 시작하였고 음악의 주요 통로가 10, 20대가 주로 이용하는 온라인으로 이동하여 아이돌 가수들이 부각될 수밖에 없게 되었다는 것을 밝혀냈다. 자본의 영향력 역시 크게 작용하였는데 생산자들은 아이돌 가수들을 하나의 상품으로 인식하고 트레이닝 기간 동안 엄청난 비용과 오랜 시간을 투자하여 데뷔 시킨 후 투자비용의 회수를 위하여 다양한 장르에 진출시키고 해외 진출을 모색하기도 한다. 더불어 그들이 만들어 낸 상품의 가치를 오랫동안 유지시키기 위하여 꾸준히 아이돌 가수들의 과거와 현재의 사생활 관리도 해오고 있다는 사실 역시 알 수 있었다. 또 불확실한 엔터산업의 특성상 아이돌 가수 양성은 일부 거대 기획사에서만 가능하게 되었고 중, 소 기획사는 그들이 만들어 놓은 흐름에 따라갈 수밖에 없게 되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구조와 관행들로 인하여 가요계는 다양성을 상실하고 일부 거대 기획사에서 만들어낸 특정한 이미지의 가수들이 탄생되거나 성을 상품화 하는 등의 선정적이고 자극적인 모습들이 나타나기도 하는데 이러한 것들은 모두 자본의 영향과 시장의 구조로 인하여 보여 지는 현상들이라고 볼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 대중음악 시장의 한계성에 대해 간단하게 정의를 내린다면 단연코 시장의 구조에서 오는 자본의 흐름으로 인해 부득이하게 나타날 수밖에 없는 생존의 강요라고 말할 수 있다. 국문 키워드 : 아이돌 가수, 편향현상, 영향력, 디지털 기술, 자본, 대중음악 시 장, 탄생과정, 한계성, 생산자 Nowadays, teen idols who lead the Korean popular culture are the main stream of the Korean public music market. They have been played an important role not only in the music market but also overall mass media such as soap operas, situation comedies, entertainments, advertisements, and musicals. This study focuses on the limits and problems of recent teen idols-dominated Korean public music market based on analyzing teen idols bias phenomenon and the background of this phenomenon: the birth process of teen idols and the various factors which affect on this process, by depth-interview with managers of their agency, lyricists, and previous teen idols. After reviewing and analyzing, we conclude that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the influence of capital are the main factors which cause the teen idols-dominated Korean public music market.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has led the huge changes in music industry such as developing visual music market, new forms of recoding album and the time reduction in producing music albums. By means of these changes, the performance and visual effects which are the advantages of teen idols have become important and online media which is mostly used by the teenagers and the 20s becomes a main resource of music contents. The influence of capital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for instance, album producers treat teen idols as profit products. Producers invested enormous cost and time during the training period and make their teen idols debut. After the debut, they make their teen idols to work in various fields and even consider finding a larger market abroad in order to their cost-recovery. In addition, they have managed the past and present private lives of the teen idols consistently to maintain the value as a product they produced for a long time. Furthermore, they claim that the producing of teen idols has become possible only for a few large agencies due to the uncertainty of the entertainment industry and thus small and medium agencies can only follow the trend created by large agencies. Because of these problems, recent Korean music industry has lost their diversity and makes provocative and sensational singers who have specific images or commercializing the sex. Through this study, the simple definition of the limits of the Korean popular music market would be the enforcement of survival which is inevitable because of the flow of capital. Keywords : teen idol, singer, bias phenomenon, influence, digital technology, capital, popular music market, music, birth process, limits, and produc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