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영화 속 트랜스젠더의 젠더 수행성 연구 : 영화 <소년은 울지 않는다>와 <대니쉬 걸>을 중심으로

        Yan, Xinqi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6

        Transgender people are still not fully recognized by people as another minority in the LGBTQ group, and they are still living a very difficult life. Films, as the mass media, can bring transgender people into the mainstream society and deepen people's understanding of them. This article summarizes films with transgender people as the main characters that have been nominated or won awards at the top three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and Academy Awards since 1990. Boys Don’t Cry(1999) and The Danish Girl (2005) are selected. The two films have not only been recognized for their artistic qualities but also revealed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identity of trans men and trans women. Judith Butler can be said to be a pioneer in trying to deconstruct post-feminism and feminism, who tried to break away from the current flow of first- and second-generation feminism studies. Butler deconstructed the distinction between 'sex' and 'gender', and presented the theory of 'gender performativity', which currently occupies an important place in gender research. Butler considered gender performativity in three dimensions: linguistic dimension, theatrical dimension, and ritual dimension. As a result, it is understood that gender is constituted in forced and repeated citations to gender norms, like a parody without an original. This article specifically analyzes scenes that show the gender identity change of the transgender protagonists in Boys Don't Cry and The Danish Girl from three dimensions of gender performativity. With the research method that combines theoretical analysis with typical cases, the article deconstructs the seemingly immutable concept of gender, and at the same time, it analyzes that transgender people in movies constitute gender identity through quoting social norms, imitating others, and repetitive behaviors. While examining the in-depth logic behind their actions, it deepens the understanding of transgender people. Furthermore, more possibilities about gender are provided, so that LGBT people, including transgender people, can live a ‘livable life’ as ‘intelligible human beings’. 성 소수자 집단 내 또 다른 소수자인 트랜스젠더는 여전히 차별과 혐오를 겪고 있다. 대중 예술인 영화는 트랜스젠더의 정체성을 주류 문화 내에서 담론화하고, 그들에 대한 대중의 이해를 높임으로써 현실에 변화를 불러일으키는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트렌스젠더의 정체성을 다룬 영화 중 1990년 이후 국제 3대 영화제(칸·베를린·베니스 영화제) 및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후보에 오르거나 수상한 영화들을 살펴본다. 그리고 그중 <소년은 울지 않는다(Boys Don’t Cry)> (1999, 미국)와 <대니쉬 걸(The Danish Girl)> (2005, 영국) 두 작품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한다. 두 영화는 작품성을 인정받았을 뿐 아니라, 트랜스 남성과 트랜스 여성의 정체성 구성 과정을 잘 드러냈기에 연구 가치가 충분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페미니스트 철학자이자 젠더 이론의 대가인 주디스 버틀러Judith Butler의 ‘젠더 수행성gender performativity’을 중심으로 위 언급한 두 작품을 분석한다. 버틀러는 기존 1세대, 2세대 페미니즘 연구의 흐름을 벗어난 포스트 페미니즘postfeminism을 주장하고 기존 페미니즘의 범주를 해체한 선구자라 할 수 있다. 버틀러는 생리적인 성을 뜻하는 ‘섹스’와 사회적인 성을 의미하는 ‘젠더’의 구분을 해체시키며 ‘젠더 수행성gender performativity’ 이론을 제시하였다. 본문은 젠더 수행성 이론을 세 가지 차원으로 분류했는데, 이는 언어적 수행성, 연극적 수행성, 의례적 수행성이다. 즉, 젠더 수행성 이론에 따르면 젠더는 사회 담론에 의해 강제되는 허상으로서, 마치 원본 없는 패러디처럼 인용의 반복만으로 구성된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젠더 수행성의 세 가지 차원을 활용해 <소년은 울지 않는다>와 <대니쉬 걸>의 트랜스젠더 주인공이 겪는 젠더 정체성의 변화를 구체적으로 분석한다. 영화 속 두 주인공의 사례를 통해 우리는 트렌스젠더가 사회 규범을 따르고 다른 사람들을 ‘모방’하는 행위를 반복하며 자신의 젠더 정체성을 구축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트렌스젠더의 행동 이면에 존재하는 논리를 심층적으로 규명하는 한편, 이들을 판단하는 데 활용되던 젠더 개념을 해체하고 트렌스젠더의 다층적 정체성을 새롭게 고찰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최종 목적은 젠더에 대한 해석 가능성을 확장하여 트랜스젠더를 포함한 성 소수자들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는 것이다.

      • 성별영향평가 제도 수용도가 수행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김은혜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5

        본 연구는 성별영향평가제도에 대한 공무원들의 인식이 제도 수용도와 수행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는데 목적을 둔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크게 세 가지이다. 첫째, 이론적 논의를 통해 제도 수용도와 수행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제시한다. 여기서 수행성과는 선행연구를 통해 객관적 성과와 주관적 성과로 분류하였다. 둘째, 성별영향평가 성과지표를 기준으로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의 성별영향평가제도에 대한 제반요인 실태를 확인하였다. 셋째, 성별영향평가제도 인식이 제도 수용도와 수행성과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 검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설문조사이다. 문헌연구는 이론적 논의와 성별영향평가 실태조사를 위해 실시하였다. 먼저 제도 수용도의 이론적 논의는 성별영향평가제도 수용 연구와 성과관리제도 수용도 및 영향요인 연구로 범위를 확대하였다. 다음으로 수행성과의 이론적 논의는 성별영향평가에 대한 공무원들의 주관적 인식조사 연구를 참고하였다. 본 연구는 공무원들의 인식과 수행성과 사이에 제도 수용도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성과관리제도 연구, 성과관리제도 수용도와 조직성과 및 경영성과 영향관계 분석 연구까지 범위를 확대하였다. 설문조사는 2020년 12월부터 2021년 2월까지 성별영향평가 업무를 수행한 성별영향평가 담당자와 이를 지원한 여성정책부서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된 자료를 바탕으로 다중회귀분석, 단계적 회귀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 공무원들의 제도에 대한 인식과 태도는 긍정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응답자 배경에 따른 인식 차이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별에 따른 인식 차이에서 수행성과 인식은 남성이 여성보다 높고, 제도 수용도 인식은 여성이 남성보다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성평등 교육과 자료를 접한 경험이 있는 집단은 수행성과와 제도 수용도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성평등 회의 등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집단은 성별영향평가 수행성과에 대한 인식은 높지만 제도 수용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성별영향평가 근무경험에 따른 인식조사 결과 수행성과는 근무경험이 있는 집단이 높았으나 제도 수용도는 근무경험이 없는 집단이 높았다. 독립변수들이 제도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력과 수행성과에 미치는 영향력 그리고 독립변수와 수행성과 사이에 제도 수용도의 매개효과 분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과 단계적 회귀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제도 수용도의 영향요인은 제도요인, 조직요인 순으로 나타났다. 수행성과 영향요인은 제도요인, 조직요인, 정책요인, 환경요인, 개인요인이며 제도요인, 조직요인, 환경요인, 정책요인, 개인요인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도 수용도가 수행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인 수행성과 사이의 매개효과 분석에서 제도 수용도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근무경험에 따른 분석결과 제도요인, 조직요인이 제도 수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제도 수용도는 수행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행성과의 영향요인은 제도요인, 조직요인, 정책요인, 환경요인, 개인요인으로 나타났으나 근무경험에 따른 분석이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났다. 근무경험에 따른 제도 수용도의 매개요인 효과 검증결과 제도요인, 조직요인, 정책요인이 수행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제도 수용도의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음으로 경로분석 결과, 제도요인, 조직요인, 정책요인이 제도 수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제도요인, 조직요인, 정책요인이 수행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영향평가제도 수용도는 수행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관계에서 제도 수용도의 매개효과 검증결과 제도요인과 수행성과 사이에 제도 수용도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근무경험에 따른 성별영향평가제도 인식, 제도 수용도, 수행성과의 영향 관계를 검증한 결과 제도요인이 제도 수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제도요인, 조직요인, 환경요인은 수행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근무경험에 따른 성별영향평가제도 인식과 제도 수용도, 제도 수용도와 수행성과, 성별영향평가제도 인식과 수행성과의 다중집단 경로분석을 실시한 결과 제도요인과 제도 수용도와의 관계에서만 집단 간 경로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성별영향평가제도를 수행하는 주체인 공무원들의 제도 수용도가 높을수록 수행성과가 향상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도 수용도와 수행성과는 공무원들의 성별영향평가제도 인식요인이 잘 정비될수록 향상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prove how much public officers’awareness influences the acceptance and performance of Gender Impact Assessment(Gender Impact Assessment: GIA). This study purposes to investigate the factors related with GIA acceptance and performance so as to suggest tasks to enhance the GIA acceptance and performance of government employees. In order to solve above problems, this study delves into three major research task. First, GIA acceptance and performance are defined through theoretical discourse. Performance is classified into objective and subjective performance in accordance with previous studies. Second, the actual conditions of GIA with Daegu Metropolitan City and Gyeongsangbuk-do regarding theoretical factors from previous research are verified. Third, the relationship among public officer’s perception, GIA acceptance and performance was inspect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d path analys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mong the women’s policy department in both Daegu and Gyeongbuk from December 2020 to February 2021.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 of GIA performance and acceptance was positive among government officials. Second, the level of approval was found to differ by sex. Further, those who had experienced gender equality education and studied gender-related materials perceived GIA performance and acceptance more favorably than those who had not. It was also found that those who had GIA work experience and had participated in gender-related conferences were more favorable toward GIA performance. Thi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institutional and organizational factors affected acceptance of GIA. In addition, performance was influenced by institutional, organizational, policy, environmental, and individual factors. Acceptance of GIA was determined to be a mediating factor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performance. Regarding the relationship of GIA with work experience in women’s department, it was confirmed that institutional, organizational, and policy factors influence affect performance as a result of multiple-group regression analysis. Forth, path analysis found institutional, organizational, and policy factors to have an effect on GIA acceptance. Furthermore, institutional, organizational, and policy factors were found to affect performance. Acceptance of GIA was again confirmed to have an effect on performance. As a result, acceptance of GIA was verified as a mediating variable between the institutional factor and performance. Lastly, regarding the relationship of GIA with work experience in women’s department, it was confirmed that institutional factors influence acceptance, and institutional, organizati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affect performance as a result of multi-group path analysis. The result showed that the more public officials would accept the importance of GIA, the more performance would be achieved. For having positive effects with GIA acceptance and performance, it is highly important to properly arrange institutional, organizational, policy, environmental and individual factors.

      • 버틀러와 부르디외의 주체화 이론 비교 : 양가성과 수행성 개념을 중심으로

        최연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3

        This paper aims to elaborate correlation between the theory of performativity and the theory of subjectification of Butler and Bourdieu. This paper exposes the following two points: 1) Butler advances the theory of subjectification through the reconstructed conception of performativity. 2) Butler’s reconstructed performativity makes meaningful interfaces with Bourdieu’s argument about habitus. Based on the conception of ‘subjectfication(assujettissement)’ of Foucault and Althusser, Butler and Bourdieu elaborate the conception of performativity and habitus. The arguments about subjectification focus on the incorporation of special limits of individuals to be subjects. Butler and Bourdieu interpret subjectification as an embodiment of “passionate attachment”, “collusion”, “expectations” and “preoccupation” for individuals not as a simple assignment of the power and norms. The conception of performativity is based on this expectation or préoccupation. According to their theories of subjectification, the production of the attachment to normalcy is simultaneous with the sacrifice and renunciation of special desires. However, the expectation about normalcy could be mismatched in the process of repeated formation of the subject. This bodily “discrepancy” of expectations is another core aspect of performativity. This also means the process of the embodiment of power could not be limited to only the intended effect of power. The conception of performativity based on excluded desires and bodily senses draws a different trajectory with discursive performativity. But this is correlated with the latter. Butler and Bourdieu account for the enactment of expectations and the “instability”, “senses of unease”, “discontents” disjunct from expectations through the conception of plural performativity(the linguistic performativity and the bodily performativity). They focus on the ambivalence, which is produced by desires and recognitions allocated differentially by the officialized discourse, include it in the conception of performativity. Through this, they advance the theoretical potential of self-subversion in the theory of subjectifi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버틀러와 부르디외의 주체화 이론과 두 사람의 수행성 개념의 연관성을 해명하는 것이다. 본고는 다음의 두 가지 논점을 제시한다. 하나는 버틀러가 수행성 개념의 재구성을 통해 주체화 이론을 확장한다는 점이다. 다른 하나는 버틀러의 확장된 수행성 개념이 부르디외의 하비투스 논의와 생산적인 접점을 만든다는 점이다. 두 사람은 푸코와 알튀세르의 예속적 주체화 개념을 기반으로 수행성 또는 하비투스 개념을 전개한다. 예속적 주체화를 다루는 논의들은 개인들이 주체가 되기 위해 일정한 한계를 받아들이는 과정에 주목한다. 버틀러와 부르디외는 이를 단순히 권력과 규범이 지정하는 것으로 보지 않고, 개인들의 열정적 애착, 공모, 기대, 몰입이 작용하는 체현 과정으로 제시한다. 이러한 기대와 몰입은 수행성 개념의 근간을 이룬다. 두 사람의 주체화 이론에서 규범성에 대한 애착 형성은 특정한 욕망을 단념하고 희생하는 과정과 동시적이다. 그런데 반복적인 주체 생산과정에서 규범에 대한 특정한 기대는 괴리될 수 있다. 이러한 기대의 괴리 역시 두 사람의 수행성 개념을 이루는 또 다른 주요한 측면이다. 그리고 이는 권력의 체현 과정이 단순히 권력이 의도하는 대로 이루어지지 않음을 의미한다. 배제된 욕망과 신체의 감각에 기반한 수행성은 예속적 주체화에 따르는 담론적인 수행성과는 다른 궤적을 그리면서도 상호연관된다. 버틀러와 부르디외는 복수의 수행성(언어적 수행성과 신체적 수행성) 개념을 통해 애착, 기대가 상연되는 과정과 그로부터 괴리되는 불편함의 감각, 불만, 불안정성 등이 상연되는 과정 각각에 대한 이론적인 설명을 제공한다. 두 사람은 공식화된 담론영역에서 차별적으로 할당되는 욕망과 인정이 초래하는 양가성에 주목하여 이를 수행성 개념으로 포괄한다. 이를 통해 예속적 주체화 과정의 자기전복 가능성을 이론적으로 확장한다.

      • 교회의 공공성 회복을 위한 교회론의 현대적 재구성 : 합리적 공공성을 넘어 종교적 수행성으로

        김성수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2

        [국문초록] 교회의 공공성 회복을 위한 교회론의 현대적 재구성 - 합리적 공공성을 넘어 종교적 수행성으로 -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조직·문화신학 전공 김성수 ‘교회’는 그 역사적 전개 과정 속에서 끊임없이 그리스도인들이 모여 이룬 신앙공동체로서, 그리스도인들은 자신의 삶의 정황과 당대의 사회 및 문화, 사상 및 역사적 배경, 세계관 등에 의거하여 교회의 정체성을 이해해 왔다. 그러므로 교회론은 결코 고정 불변의 교리를 반복하여 전달하는 것일 수 없으며, 애초에 그럴 수도 없다. 왜냐하면 삶의 구체적 정황 속에서 공동체의 신앙을 고백하고, 교회의 본질과 사명을 끊임없이 재해석하는 과정에서 맺게 되는 결실인 까닭이다. 하여, 오늘 우리는 다시 ‘교회’를 묻는다. 아니, ‘교회’에 대해서 물어야 한다. 특별히 오늘날 한국교회—특히 개신교—의 위기에 대한 분석과 성찰, 변화와 갱신의 요구는 전혀 새삼스러운 것이 아니다. 최근 일련의 한국종교에 관한 여론조사에 의하면, 한국교회가 사회로부터 가장 많은 지탄과 멸시, 사회적 불신과 냉소의 대상이 되었다는 사실을 어렵지 않게 확인한다. 이는 오늘날 사회가 한국교회를 바라보는 보편적 시선이 어떠한가를 암시한다. 온갖 부정적 이미지에서 드러나듯, 현재 한국교회는 사회문화적, 정치경제적, 생태적 위기의 현실에서 교회의 본질과 사명에 대한 근원적인 반성과 성찰을 요구받고 있는 실정이다. 비교적 최근에 이르러 교회 안팎에서 다양한 반성과 성찰의 시도가 있었는데, 그 가운데서도 단연 핵심을 이루는 주제는 ‘공공성’에 대한 문제이다. 여기서 ‘공공성’이라는 화두가 교회의 울타리를 넘어서는 시대적 요구임을 직시할 때, “교회가 세상을 향해 건강한 방향과 비전을 어떻게 제시해야 하는가”라는 물음으로 촉발되어 사회와 교회의 견실한 공공성 담론의 확장이라는 과제에서 등장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교회의 상업화와 사유화에 대한 사회 전반의 우려 및 경고와 비판”의 차원에서 반성적으로 등장하였다는 매우 안타까운 현실을 우리는 결코 쉽게 간과해서는 안 된다. 이와 같은 현실은 교회가 세상을 염려하기보다는 오히려 세상이 교회를 염려하는 현실의 상황을 적나라하게 보여주기 때문이고, 세상의 복음화 이전에 교회의 복음화가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는 교회의 복음화의 우선성 및 필연성이 매우 설득력을 얻을 수밖에 없는 서글픈 이유를 보여주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전술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그러므로 다시 근본적인 물음을 던지는 것으로부터 시작한다. 교회는 왜, 그리고 어떻게 존재해야 하는가? 교회는 응당 합리적 공공성(rational publicness)에 기초해야 하며, 합리적 공공성으로만 환원되지 않고 그것을 넘어 종교적 수행성(religious performativity)을 근간으로 나아가는 ‘하나님의 백성’이고, ‘그리스도의 몸’이며, ‘성령의 공동체’이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은 본 논문의 부제인 “합리적 공공성을 넘어 종교적 수행성으로”에서 가장 잘 드러난다. 이는 오늘날의 한국교회의 위기를 근본적으로 극복하기 위해서는 ‘합리성’에 기초한 ‘공공성’의 실현을 넘어, ‘종교성’에 근거한 ‘수행성’의 실천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것을 암시한다. 즉, 교회의 존재 근거 자체가 사회의 체계내적 합리성을 넘어서는 ‘사랑’에 있음을 강조하고 이를 수행해야 한다는 것을 함의하는 것이다. 고로, 합리성에 기초한 공공성 실현의 회복이 ‘합리적 공공성’을 의미한다면, 이를 바탕으로 사회의 체계내적 합리성을 넘어 보다 철저하게 타자를 향한 전적인 사랑의 실천 및 수행이 종교성에 근거한 수행성, 곧 ‘종교적 수행성’을 뜻한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가 직면한 심각한 문제는 사회적 의사소통마저 불가능할 정도로 상식적 지성과 합리적 공공성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고 타락한 한국교회의 비극적이고 암울한 현실이다. 이와 같은 현실을 직시하면서 합리적 공공성에 정초한 ‘공공성’이라는 핵심어를 통해, 신앙공동체라면 마땅히 종교적 수행성으로 나아가야 할 지금/여기에서의 한국교회를 위한 대안적인 교회론의 방법과 내용을 모색한다. 특별히 현대적 담론과의 적극적인 대화를 통해 교회론의 방법과 내용의 재구성을 시도한다. 본 연구는 오늘날 한국교회가 ‘고통 이후의 고통’, ‘민주화 이후의 민주화’, ‘세계화 이후의 세계화’라는 문제적 현실에 직면해 있다고 분석한다. 여기서 공통적으로 강조하려는 바, ‘이후’는 그 심각성과 중요성을 포괄적으로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고통 이후의 고통’은 고통 이후에도 만연한 고통과 깊은 절망의 시대에 제대로 응답하지 못하는 교회의 현실을 가리키고, ‘민주화 이후의 민주화’는 이미 도래한 가치다원적 민주화 시대에 다름에 대한 존중은 고사하고 오히려 다름을 향해 혐오를 조장하고 폭력을 서슴치 않는 교회의 현실을 암시하며, ‘세계화 이후의 세계화’는 자본주의의 세계화를 넘어 인간의 통제를 벗어난 자본의 영향력이 극대화된 신자유주의의 세계화라는 현실에서 급속하게 진행된 상업화되고 사유화된 교회의 현실을 의미한다. 특히 이러한 각각의 문제적 현실이 함축하는 의미가 모두 각기 다른 결을 지니면서도 동시에 공통적으로 얽히고설킨 문제임을 감안하면서, 그 핵심을 관통하고 있는 근본 원인이 ‘공공성의 상실 및 붕괴’에 있다고 파악한다. 앞서 강조했듯, 한국교회 위기의 문제적 현실이 상호 간에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함에 따라, 공공성의 상실 및 붕괴의 현실에 맞서 공공성의 회복 및 재건을 위한 공동체성을 위해 교회론을 적극적으로 검토한다. 그 이유는 교회의 본질과 사명에 대한 깊은 이해와 성찰을 위해서는 교회론의 역사적, 신학적 고찰이 반드시 요구되는 까닭이다. 교회론의 변천사를 살펴보면서 교회론의 개념과 형성 및 역사적 전개, 그리고 교회론의 신학적 이해와 성찰을 무엇보다 ‘공공성’의 관점에서 살펴본다. 이를 통해 교회는 항상 공공성을 견지해 왔으며, 공공성은 교회의 존재 근거로서 타자를 향한 사랑에 기초해 있음을, 나아가 교회의 핵심적인 특징임을 밝힌다. 그리하여 지금/여기에서 한국교회의 대안적인 교회론을 재구성하기 위한 화두로 ‘합리적 공공성(rational publicness)’을 넘어 ‘종교적 수행성(religious performativity)’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주장을 위한 토대를 마련한다. 이를 바탕으로, 교회의 공공성 회복을 위한 교회론의 현대적 재구성을 위한 방법론적 탐구를 시도한다. 이를 위해 신학 외부에서 신학적 자원을 풍부하게 활용하여 비평적, 이론적 작업을 폭넓게 진전시키면서 반향을 일으키고 있는 대표적인 현대적 사상가들—슬라보예 지젝(Slavoj Žižek)과 주디스 버틀러(Judith Butler)를 중심으로—의 사유와 개념 및 담론을 활용한다. 신학 외부에서 신학적 전회의 가능성을 깊게 함의하는 바, 그렇기에 오히려 적극적으로 그들의 사유와 사상을 통한 신학적 성찰의 작업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와 동시에, 교회론의 전통적인 은유를 의도적으로 사용하고자 한다. 그 첫 번째로, ‘하나님의 백성(people of God)’이라는 교회론의 전통적 은유와 지젝의 ‘사라지는 매개자(vanishing mediator)’ 개념을 병치시켜 읽음으로써 근대성으로부터 기인하는 다양한 오늘의 위기적 상황에서 교회의 ‘주체’의 문제와 ‘주체화’의 의미를 조명하며 분석한다. 그리하여 ‘자기를 부인하고 날마다 자기 십자가를 지는’, 나아가 ‘사라지는 매개자’가 되기를 자처한 하나님의 백성으로서의 교회를 주장한다. 두 번째로, ‘그리스도의 몸(body of Christ)’이라는 교회론의 전통적 은유와 버틀러의 ‘취약성/수행성(vulnerability/performativity)’ 개념을 병치시켜 읽음으로써 그리스도의 몸으로부터 출발하는 취약성과 그리스도의 몸을 향하는 수행성을 통해, ‘종교적 수행성’의 내용으로서의 ‘윤리’와 형식으로서의 ‘연대성’의 의미를 살펴본다. 그리하여 예수의 일관되고 중심된 사역인 ‘약자에 대한 사랑’을 중심으로 사회 도처의 연약하고 취약한 이들이 ‘연대’할 수 있는 그리스도의 몸으로서의 교회를 주장한다. 세 번째로, ‘성령의 공동체(community of the Spirit)’라는 교회론의 전통적 은유와 지젝을 통해 새롭게 이해한 ‘성령의 공동체’를 병치시켜 읽음으로써 억압적 질서와 굴레의 체제를 전복시킬 수 있는 혁명적 공동체의 가능성을 품은 교회의 의미를 분석하고 재구성한다. 특히 지젝과 아감벤이 주목하는 바울의 유보의 방법인 ‘마치 아닌듯한 태도(as-if-not)’를 통해, 오늘날의 대안적인 삶을 살아내기 위한 공동체의 삶의 방식과 태도를 지닌 세상 속에서 세상을 넘는 성령의 공동체로서의 교회를 주장한다. 교회는 사회적 부조리를 극복하는 질서 유지 차원을 넘어, 사회를 향한 자기희생과 자기비움의 십자가의 길을 걷고자 그리스도인들이 모여 이룬 공동체이다. 그러므로 교회는 사회적 부조리를 극복하기 위한 ‘합리적 공공성’을 넘어, 사회를 향한 자기희생과 자기비움의 십자가의 길을 걷기 위한 ‘종교적 수행성’을 견지해야만 한다. 그리하여 교회는 끊임없이 개인에서 타자로, 타자에서 공동체로, 점차 그 경계를 넓혀 합리적 공공성을 토대로, 그 공공성을 끊임없이 수행하고자 하는 수행성으로 나아가야만 한다. 이러한 교회의 이론적 토대를 근거로, 교회는 고통에서 고통으로 나아가기를 두려워하지 않고 결단하기를 머뭇거리지 않으며, 이 시대 고통의 현장에서 모든 약한 이들의 ‘곁’이 되는 해방과 구원의 공동체가 되어야 할 것이다. * 핵심되는 말 : 교회, 공동체, 교회론, 합리적 공공성, 공공성, 종교적 수행성, 수행성 [Abstract] A Study on Post-Modern Reconstructions of Ecclesiology for the Recovery of the Church’s Public presence - Beyond Rational Publicness toward the Religious Performativity Sung-soo Kim Systematic Theology/Theology of Culture The United Graduate School of Theology Yonsei University Historically, Christians have identified themselves according to different situations in their life, such as social, cultural, ideological, and historical backgrounds. So, it is necessary for Ecclesiology to confess faith in the church’s particular situation and incessantly rethink the essence and mission of the church. Ecclesiology is not about repeating and delivering “fixed” doctrines. Recently, there have not been many self-reflective efforts on behalf of contemporary Korean churches, in which the core issue has addressed the church’s “public presence.” However, it is worth noticing that the discourse of church’s public presence did not emerge from the intention of its constructive expansion, questioning that “how should the church suggest sound vision and direction for the world.” Instead, it resulted from “social concern and criticism over the church’s commercialization and privatization.” This study begins with the fundamental question: Why, and how, should the church exist? The church should be not only based on rational publicness, but also, beyond that, the people of God, the body of Christ, and the community of the Spirit, pursuing religious performativity. While the rational publicness means publicness based on reason, the religious performativity means praxis of the absolute love toward the other, founded on religiosity beyond reason. Are contemporary Korean churches practicing the religious performativity beyond the rational publicness? This study is about answering this question. The second chapter will examine the situation of Korean churches which confront despair in the era of suffering. Contemporary Korean society is undergoing suffering after suffering, democratization after democratization, and globalization after globalization. However, Korean churches have not properly coped with those issues. This study recognizes that the essential cause of this problem lies in the collapse of the Korean church’s publicness. The third chapter will focus on ecclesiology for recovery and reconstruction of church’s publicness. In order to understand and reflect on the essence and mission of the church, historical and theological comprehension of ecclesiology is required. Various aspects of ecclesiology – its notion, foundation, historical development, theological understanding – will be discussed from the perspective of publicness. Through this, this study will reveal that the church has always adhered to the publicness, and that the publicness, as the cause of church’s existence, is the core of the church. This fact will be the foundation of my thesis that the church should pursue religious performativity over rational publicness for reconstructing an alternative ecclesiology for Korean church. The forth chapter will discuss Post-Modern Reconstruction of Ecclesiology for the Recovery of the Church’s Public presence by juxtaposing the traditional metaphors of ecclesiology and thoughts, concepts, and discourses of Slavoj Žižek and Judith Butler. First, by reading “people of God” the ecclesiological metaphor, and “vanishing mediator” of Žižek together, this study will analyze the “subject” and “subjectification” of church in the face of a diversely critical situation emerging from modernity, which suggests that the church, as the people of God, “denies themselves daily”, and becomes a “vanishing mediator.” Second, by reading comparatively the ecclesiological “body of Christ” and “vulnerability/performativity” of Butler, this study will explore the meanings of “ethic” as a content, and of “solidarity” as a mode of religious performativity through the vulnerability departing from the body of Christ and the performativity heading over the body of the body of Christ. Based on this, this study will argue the church, as the body of Christ, love-centered for the marginalized, should practice solidarity with those who are marginalized and suffering. Thirdly, by re-reading ecclesiology as the community of the Spirit in the lenses of Žižek, this study will analyze and reconstruct the meaning of the church which has the possibility of a revolutionary community to overthrow oppressed orders and systems. In particular, through the concept of St. Paul’s “as-if-not” to which Žižek and Giorgio Agamben pay attention, this study will proclaim the church of the Spiritual community that has a way of communal life to live out as an alternative. The last chapter will emphasize again that the church is the Christian community which not just only overcomes social irrationality and observes social order, but also follows the path of the cross of self-denial, that is, kenosis. The church should go beyond rational publicness for overcoming social irrationality and adhere to the religious performativity of walking the path of self-sacrifice and self-denial toward society. Based on these theoretical foundations of ecclesiology, the church should not hesitate or fear to proceed toward suffering but become the liberating and salvific community as “being-with” the marginalized in the place of suffering. [Keywords] Ecclesiology, Rational publicness, Religious performativity, Publicness, Performativity, people of God, body of Christ, community of the Spirit, suffering, being-with.

      • 2000년대 한국 디지털 비디오예술을 통해 본 여성의 몸에 나타난 타자의 정치적 수행성

        김연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802

        This study’s main purpose is to examine the political performativity of the ‘other’ by female bodies, using Korean digital video art of the 2000s as reference material. In Korea, women's bodies have been abhorred, excluded, and stigmatized simply for existing in society. Numerous individuals’ ‘faces’ deviate from the norms and rules established by systems of patriarchal reproduction. Among these are female survivors of sexual violence, digital sex crime victims, illegal migrant women, female workers, and sexual minorities. These identities are revealed as one becomes a 'face' which is located beyond. In this context, I have focused on Korean digital video art, which has long attempted to reproduce ethically the female body in the neo-liberal system that was combined with Korean patriarchal system. These kinds of works, which have been appearing in Korea for about 20 years, was distorted in the eyes of the dominant power, and became invisible, In digital video art, women are challenging the system of representation of male-centered heterosexuality politically through their bodies. In the Korean digital video art of the 2000s, objects reproduced in an incomplete figures. These figures were reproduced in the image with the trace, the absent face, the stranger, and the image of discrete. These imperfect forms are associated with feminine trauma, gendered performativity, and the otherness of feminization of immigration. The reason for taking this approach is not to get caught up in the patriarchal representation system. The reproduction method of the patriarchal representation system is that the woman's body or other person needs to be distorted or targeted to be stigmatized. It is a manifestation that the incomplete way is not to be caught by the patriarchal representation system. In this study, the way of representing the signs, the absent face, the stranger, and the forms of distinction may be shown in a 'not perfect' way in the recreation system. It is approached as a resignification when it comes to the otherized woman’s body. This study examines the assumption that the incomplete approach is a political device that seeks a way not to further deepen dispossession of the others. If politics is about political phenomena such as conflicts and struggles in human or group relations in human society, the discussion of political implications revealed by others' discourses may be another politics of the others. This study examines the potential political analysis of political and strategic discourse in Korean digital video art. In addition, we examine how political development of the others was presented in the body of women. So that purpose of the paper could be achieved. This study examines the three political performativity of others through the female body. The first is about hysteretic performativity. Feminist trauma has historically been related to hysteria research. This hysteria is a language which is not be comprehended by the patriarchal language. So hysterical is treated as a woman's feelings that don’t fit in patriarchal society. However, this is because the female traumas, which were submerged in unconsciousness, appear as hysteria Feminine traumas can also be read in hysteria when they appear in the work. This hysteria representation has hysterical performativity, and it can be said to have the effect of lamenting the female trauma by representing the memories which were not caught in the language in patriarchy. Thus, hysterical performativity has the effect of mourning the damages from the patriarchal system through re-performance of the damages. The second is performativity as a abjection. The female body has become a feminine trauma because of the gender system and hierarchy. Butler's statement, which is "Sex is a gender", is important. Since sex is also a social form of the judicial system. In other words, sex and gender are social productions, and the body is just an empty place. Women no longer need to take the femininity from the patriarchal system, but when they do not take femininity, they are socially excluded and hateful. If a female body has a political performativity as a abjection, it becomes a body which is capable of breaking solidity as it crosses inside and outside. In other words, if female body becomes ambiguous in sex and gender dichotomy, it becomes possible to visualize that the internal composition is a fictitious creature. The third is about the space and ethical performance of the other. The biggest problem in the patriarchal system is that women with hysterical performativity and abjection performativity are otherized in subject space. That is, it is necessary to reconstruct the space from the other point of view. In the patriarchal space, even if the hysterical performativity and the independent gender performativity are not constructed, then the politics can not be obtained. In this study, we have examined the space of the private spaces such as home and home. These spaces were planned as a patriarchal space, but they were also places where the others originally lived together. It is necessary to reconfigure the space of the private into the space of the other, and there is a difficulty in not being trapped in the patriarchal representation system. Therefore, this study has examined the ways to reconstruct and otherize the home and house without being not caught by the patriarchal representation system. In this study, we have examined whether hysterical performativity, abjection, and ethical performativity can acquire new in the patriarchal representation system. Korean modern history has not broached the topic of women’s history. Accordingly, has been absent, fragmented, and excluded from today's scholarship. Butler's discussion of political performativity suggests methods which individuals can use within the patriarchal system. Thus, this study’s purpose is to discover how the otherness of women’s bodies functions as a political to threaten patriarchal power systems. 이 논문은 2000년대 한국 디지털 비디오예술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여성의 몸에 나타난 타자의 정치적 수행성을 고찰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한국에서 여성의 몸은 가부장재현체계에 길들여진 여성성을 제외하고는 사회에 존재를 드러낸다는 것만으로도 혐오, 배제, 낙인의 대상이 되어왔다. 성폭력 여성 생존자, 디지털 성범죄 피해여성, 불법이주여성, 여성노동자, 여/성소수자 등 가부장 재현체계 규범에서 벗어나는 ‘얼굴’은 드러나는 동시에 경계 너머에 위치되어야할 ‘얼굴’로 낙인화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필자는 한국의 가부장제와 공모한 신자유주의체제 속에서 오랫동안 여성의 몸을 윤리적으로 재현하려한 한국 디지털 비디오예술에 주목하였다. 국내에서 약 20여 년간 간혹 모습을 드러낸 이러한 작품들은 그 동안 지배적인 권력의 시선에서 왜곡되거나, 유령화되어 ‘보이지 않는 것’, 발화하는 즉시 공중에 분해되거나 ‘생략’되버리는 수많은 상황들에 처해지곤 하였다. 디지털 비디오예술에서 여성은 자신의 몸을 매개로 정치적으로 성인 남성 이성애 중심의 재현체계에 정면으로 도전하고 있다. 2000년대 한국 디지털 비디오예술에서 완전하지 않은 방식으로 재현된 형상물들이 등장하였다. 이 형상물들은 대략 흔적, 부재하는 얼굴, 이방인, 이산의 모습을 한 채로 영상에 재현되었다. 이 완전하지 않은 형상물들은 여성의 트라우마, 젠더화된 수행성, 이주의 여성화라는 타자성과 연관이 된다. 이러한 방식을 취하는 이유는 가부장 재현체계에 걸려들지 않기 위한 것이다. 가부장 재현체계의 재현방식은 그동안 여성의 몸이나 타자를 왜곡하거나 대상화해서 낙인화해버리기 때문이다. 완전하지 않은 방식이 가부장 재현체계에 걸려들지 않기 위한 표상으로 드러난 것이다. 이 논문은 흔적들, 부재하는 얼굴, 이방인, 이산의 형상들을 표상하는 방식이 재현체계에서는 ‘완전하지 못한’ 방식으로 해독되지만, 여성의 몸의 타자성을 재의미화(resignification)할 수 있는 정치적 수행성으로 접근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 논문은 이 ‘완전하지 못한’ 방식이 ‘타자의 박탈(dispossession)’을 더 심화시키지 않을 수 있는 방식이 모색된 정치적 장치들이라고 가정하고 고찰하고자 한다. 정치성이 인간 사회에서의 인간 또는 집단 관계에서의 갈등, 투쟁과 같은 정치 현상에 관한 것이라면, 타자의 담론이 드러내는 정치적 함의들에 관한 논의도 타자의 정치성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논문은 한국 디지털 비디오예술이라는 장치에서 정치적이고, 전략적일 수 있는 담론에 대한 잠재적 분석의 자료를 얻을 수 있다고 판단하였으며, 이를 통해 여성의 몸에 나타난 타자의 정치적 수행성을 살펴보는 본 논문의 목적에 다다를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이 논문은 여성의 몸을 통해 세 가지의 타자의 정치적 수행성을 검토하였다. 첫 번째는 히스테리 수행성에 관한 것이다. 여성의 트라우마는 역사적으로 히스테리 연구와 연관이 있다. 이 히스테리 언어는 가부장 언어로 포획되지 않는 언어이다. 그래서 히스테리컬하다는 의미는 가부장사회에서 어울리지 않는 여성의 감정들로 취급된다. 그러나 이것은 무의식에 침잠해있던 여성의 트라우마가 다양한 히스테리 증상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작품에서 여성의 트라우마는 히스테리 표상으로 수행성을 갖는데, 가부장제에서 언어로 포획되지 않았던 기억들이 표상됨으로써 여성의 트라우마를 애도하는 효과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즉, 히스테리 수행성은 상처의 재수행을 통해 가부장체제에서 배제되는 과정에서 받게 된 상처를 애도하는 효과를 낳는다. 두 번째는 비체적 존재로서의 수행성에 관한 것이다. 여성의 몸은 그동안 여성스러움이라는 젠더체계와 위계로 인해 여성의 트라우마를 갖게 되었다. 버틀러는 ‘섹스는 젠더이다’라는 논의를 통해 섹스 역시 사법체계에 의해 구성된 사회적 양식물이라 논의한다. 즉 섹스도 젠더도 사회적 양식물로 사실 몸은 텅빈 기표, 텅빈 장소에 불과하다. 여성은 더 이상 가부장체제가 구성한 여성스러움을 취하지 않아도 되지만, 여성스러움을 취하지 않을 때 사회적으로 배제되고 혐오화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즉, 여성의 몸이 비체적 존재로 수행성을 가진다면, 성차이분법이 모호하게 되면서 몸에 규범화된 내부의 구성물이 허구적 인공물임을 가시화할 수 있게 된다. 세 번째는 타자의 공간과 윤리적 수행성에 관한 것이다. 여성의 트라우마, 젠더 수행성을 가진 여성이 주체의 공간에서 자신의 타자성을 드러낼 때 가부장체제에서 타자화된다. 가부장제의 공간에서 정치적 수행성을 취하더라도 공간을 구성하는 재현체계가 재구성되지 않으면 쉽게 정치성을 획득할 수 없다. 이 논문에서는 가정, 집과 같은 사적 영역의 공간을 중심으로 타자의 공간이 획득될 수 있는 윤리적 수행성을 살펴보았다. 사적 공간은 가부장제의 공간으로 기획되었지만, 원래 타자도 함께 살았던 집이다. 이러한 ‘집’이라는 공간을 타자의 공간으로 살펴본 작품들을 통해 가부장 재현체계에 포획되지 않는 전략을 세 가지 윤리적 수행성 전략으로 살펴보았다. 본 논문은 히스테리 수행성, 비체적 존재로서의 수행성, 윤리적 수행성으로 여/성이 가부장 재현체계에서 새로운 재-현을 획득할 수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한국 근현대사는 여성의 역사를 다루어오지 않았다. 그렇기에 여성의 역사는 부재하고 파편화되어있으며, 오늘날의 역사에서 주변화 돼있다 할 수 있다. 버틀러의 정치적 수행성 논의는 동일자가 오랫동안 형성해온 가부장체제에서 각 개인이 할 수 있는 정치적 방법들을 제시해준다. 버틀러의 논의에 기대어 본 연구자는 타자로서의 여성의 몸에 드리워진 타자성이 오히려 여/성의 도구가 되어 권력체계를 위협하는 정치적 장치들로 기능함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아방가르드 연극의 수행성과 변용

        백훈기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789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avant-garde theatre movement in the early 20th century on modern theatre. Theatre originated in religious ceremonies in which everyone had participated. But western theatre has developed in a way that separates the audience from the stage. In the West, mimesis has become a central concept in art and theatre theory since Plato. And since the official theatre has been resumed after middle ages, the drama-style play had become a representative form of western theatre. And through the realism and naturalism movement of the latter half of the 19th century, drama on stage had reinforced the tendency to imitate the appearance of ordinary life and made audience in the dark to sneak a look at the performance without participation. Avant-garde theatre movement of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led to a change in the mainstream of this drama play. A series of experimental theatre movements such as symbolism, expressionism, futurism, dadaism and surrealism opened the way of new theatre, and the progressive and experimental theatre practices led to the theorization of new theatre of Brecht and Artaud. These practitioners developed an alternative and experimental theatre movement that sought to find new artistic forms based on the changing perception of the world and the reflec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atre and audience. In this study, practices of avant-garde theatre are examined in terms of performativity. Performativity is a concept that had been set off by John L. Austin in linguistics and then applied extensively to gender, politics, and culture. Performativity make us interested in aspects of action rather than mea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effects and results of the movement by grasping the new search shown by the practices of avant-garde theatre through connection with action. It also aims to examine the theatre in terms of its influence and context not only on the producers' side but also on the audience. In addition, through the viewpoint of performativity, we can try to look at avant-garde theatre practice as a process of change in theatre history rather than a fixed result. Today's theatre reveals a variety of aspects that goes beyond the framework of drama through various approaches. The development of the technical media is changing the conditions of human life and concept of art. In the meantime, the traditional and the new attempts are combined and various theatrical acts are being done in or outside of the traditional theater space. Avant-garde theatre has had a profound impact both aesthetically and practically on today's theatre. After the movement, it has become hard for many practitioners to look at theatre and life from a classical perspective. Avant-garde theatre pioneers attempted to break the customs, creating a theatrical practice of making cracks in the western drama tradition of mimesis. These pioneering practices are intimately permeating today's theatre and revealing their influence. Although historical avant-garde theatre movement had exposed many aspects, one of the most important aspects of avant-garde theatre was to try to break the strict separation between stage and the audience, and to place the audience in the center of the theatre. Western theatrical tradition created an opportunity to be transformed extensively through the avant-garde theatre and the theory and practice of the Artaud and the Brecht. 본 논문의 목적은 20세기 초반의 아방가르드 연극 운동이 현대 연극에 끼친 영향을 탐찰하는 데 있다. 모방은 플라톤 이후 서구에서 예술과 연극 이론에 중심 개념으로 자리잡아왔다. 또한 근세로 넘어오면서 공식적인 연극이 재개된 이후 드라마 연극은 서구 연극의 대표 형식으로 자리매김하였고, 19세기 후반의 사실주의와 자연주의를 거치면서 삶의 외양을 모방하는 방식을 통해 무대와 객석의 분리를 강화하는 경향을 확고히 해왔다. 19세기 말과 20세기 초반에 있었던 소위 역사적 아방가르드 연극 운동은 이러한 현실의 모방을 기반으로 하는 당시 드라마 연극의 주류적 흐름에 변화의 가능성을 이끌어냈다. 상징주의, 표현주의, 미래주의, 다다이즘, 초현실주의 등 일련의 실험적인 연극 운동들은 연극의 새로운 모색의 길을 열어내었고, 이러한 진취적이고 실험적인 연극 실천은 브레히트와 아르토를 통해 새로운 연극의 이론화로 이어졌다. 이 실천가들은 세계에 대한 변화된 인식, 그리고 연극과 관객의 관계에 대한 성찰을 기반으로 하여 새로운 예술적 형식 모색을 시도하는 대안적이며 실험적인 연극 운동을 전개했다. 본 연구에서 아방가르드 연극의 실천과 지향은 수행성의 측면에서 살펴진다. 수행성은 언어학자 오스틴을 통해 제시된 후 점차 확장되어 오늘날에는 젠더와 정치와 문화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개념이다. 수행성을 매개로 하여 논의를 전개하는 것은 의미보다는 행위의 측면에 관심을 두는 것이 된다. 본 연구는 아방가르드 연극의 실천들이 보여준 새로운 모색을 행위와의 연계를 통해 파악함으로써 이 운동이 이끌어낸 효과와 결과를 선명하게 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통해 연극을 생산자의 측면만이 아니라 수용자들에게 끼치는 영향 및 맥락과의 관계에서 살피고자 하는 것이다. 수행성의 관점으로 아방가르드 연극 실천을 살피는 입장을 통해 우리는 이 의미심장한 일련의 실천을 연극사적 흐름 속에서 일어나는 변화의 과정으로 보는 보다 유리한 위치에 설 수 있게 될 것이다. 오늘날의 연극은 다양한 접근 방식을 통해 드라마라는 틀을 넘나드는 다채로운 양상을 드러낸다. 기술 매체의 발전은 인간 삶의 조건들을 크게 바꾸어냈다. 이는 예술에 대한 변화된 입장과 개념들의 출현에도 영향을 주었다. 오랜 역사를 지닌 연극 예술에 있어서는 전통적인 것과 새로운 시도들이 결합되고, 극장이라는 전통적 공간에서 벗어나 다양한 연극 행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오늘날의 상황에서 고전적인 시각만으로는 연극 예술과 삶을 바라보기는 어렵게 되었다. 20세기 초반의 아방가르드 연극은 이러한 현대 연극의 성격을 선구적으로 드러내며 미학적으로나 실천적으로 연극적 변화를 예시하고 예고하였다. 아방가르드 연극은 관습을 타파하고 연극의 원형적 추구를 시도하였으며, 모방과 드라마라는 서구 연극 전통에 균열을 만드는 연극적 실천을 만들어냈다. 이러한 선구적 실천은 오늘날의 연극에 고스란히 스며들어 그 영향력을 드러내고 있다. 하지만 무엇보다 아방가르드 연극이 부각시킨 중요한 점으로 무대와 객석의 엄격한 분리를 깨고자 한 시도와, 이 바탕 위에서 관객을 연극의 중심적 자리에 위치시켰다는 부분을 들 수 있다. 아방가르드 연극 운동의 여러 방향에 따른 변별성이 있기는 하지만 관객을 능동적으로 만들고자 한 점과 관객의 변화를 연극의 궁극적 목적으로 삼은 점은 오늘날의 다양한 연극 실천에 선구가 된다. 사실주의를 거쳐 자연주의에 이르기까지 강화된 드라마 전통은 아방가르드 연극과 아르토 및 브레히트의 이론과 실천을 통해 확장적으로 변모하는 계기를 맞았던 것이다.

      • 젠더 수행성과 현상학적 몸 : 버틀러와 메를로퐁티의 상호보완적 관계

        장혜현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774

        본 논문에서는 몸과 지각에 관한 문제를 중심으로 버틀러(Judith Butler)의 젠더 수행성(gender performativity) 이론과 메를로퐁티(Merleau-Ponty)의 몸의 현상학(phenomenology)을 상호보완적인 관계로 읽는 것이 어떤 점에서 생산적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버틀러는 『젠더 트러블』(Gender Trouble)에서 젠더를 문화적 규범 아래서 반복된 양식화된 행위의 결과 및 담론의 효과로 보는 젠더 수행성 개념을 주장하였다. 그렇지만 그녀의 주장은 곧 감각하고 경험하는 몸의 직접적인 체험을 무시하고 몸을 언어와 담론의 효과로 환원시켰다는 비판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러한 비판에 대한 대응으로 버틀러는 『중요한 몸』(Bodies That Matter)에서 몸의 물질성을 물질화 개념으로 설명하였다. 그럼에도 일부 학자들은 그녀의 수행성 이론과 현상학에서의 몸의 개념을 대립되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본 논문은 버틀러의 수행성과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이 서로 반목하는 것이 아니라 상호보완적인 관계에 있다는 점을 논증하려는 시도이다. 버틀러는 초기에 수행성 개념을 이론화하며 현상학의 행위(act) 및 구성(constitution) 개념에 영향을 받았으며, 특히 메를로퐁티의 몸의 역사성 개념을 참조하였다. 이에 버틀러는 긴 시간에 걸친 몸의 반복된 행위 및 표현을 강조함으로써, 몸은 역사적 가능성을 체현하며 사회적 시간성(social temporality)에 따라 젠더 정체성이 구성된다고 주장하게 된다. 그리고 사회적 시간성의 핵심을 이루는 현상학의 침전(sedimentation) 개념은 두 이론 모두 젠더 및 섹슈얼리티의 변화 가능성을 제시하며 반-본질주의를 공통적으로 지향하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물론 메를로퐁티와 버틀러 사이에는 차이점도 있다. 후자는 시간에 따라 규범과 권력의 장에서 몸이 어떻게 물질화되는지에 초점을 맞추지만, 전자는 몸주체가 대상 및 세계와 맺는 생생한 지각의 관계에 중점을 둔다. 본 논문은 이러한 차이가 양자의 이론적 장점을 상쇄하는 것이 아니라 그러한 각 이론의 빈틈을 보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준다고 주장한다. 몸 현상학에서는 특정한 몸들이 배제되는 방식을 폭로하는 수행성 이론의 담론적 관점을 참조할 수 있다. 반대로 수행성 이론은 몸 현상학이 강조하는 지각과 공존의 의미를 참조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버틀러의 수행성 이론과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의 만남은 ‘나’와 ‘너’의 관계성에 대한 생산적인 논의로 이끌 것이다. This paper explores the complementary relation between Judith Butler's gender performativity and Merleau-Ponty's phenomenology. Butler in Gender Trouble defined gender as a series of effects of a stylized repetition of acts and discourse within cultural norms. Critics blamed her for ignoring the lived body's experience and its materiality: gender performativity reduced the body into the effect of discourse. Butler's next book Bodies That Matter is an attempt to refute this criticism and she defined body as a process of materialization. Against her critics, this paper argues that she did not ignore the lived body's experience and her formulation of performativity has a strong affinity with Merleau-Ponty's phenomenology of the body. Performativity and phenomenology are not in a contradictory but in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Butler could not have theorized performativity successfully if she did not consult with Merleau-Ponty's historicity of the body. Butler's performativity as a set of repeated acts and expressions of the body over time is a feminist re-articulation of Merleau-Ponty's embodiment. What is the body if not the body as historical possibilities? And gender identity is constructed according to social temporality. Moreover, the concept of sedimentation in phenomenology that lies under social temporality reveals that gender and sexuality have changeability over time. Therefore, their temporality aims for anti-essentialism in common. Of course,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Merleau-Ponty and Butler. The latter emphasized materialization as a discursive process, while the former emphasized the lived body’s experience. However, such a difference does not nullify each other. Performativity reveals the way certain bodies are excluded by gender norms, and this perspective of queer theory can be useful in phenomenology of the body. On the contrary, the theory of performativity can refer to the concept of intersubjective coexistence emphasized by phenomenology of the body. In this way, Butler’s performativity and Merleau-Ponty’s phenomenology will work together and their association will lead us to a more productive discu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 and ‘You’.

      • 물질의 특성과 수행성을 통한 사회적 성찰의 반영 : 연구자 작품을 중심으로

        바이티엔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773

        This paper was mainly conducted by the reflection of social introspection through the specificity and performativity of materials in contemporary art. In modern art, people abandoned their obsession with beauty and sought to combine art and social phenomena. So he expresses his thoughts in a more thought-potential way. Some artists use a variety of materials to express their ideas in their works with the unique properties of matter. This study mainly focuses on how to express ideas through materials of different properties in works of art. Today, all-around research is conducted through artists who are proficient in artistic ideas using material specificities. In addition, social reflection is presented through representations of material symbols and performance shown in researchers' works. The paper studies the works of three artists: Bill Viola, 1951–, Olafur Elíason, 1967–, and Francis Alÿs, 1959–. Bill Viola uses a medium called video to deal with the most fundamental problems of man, life, death, and existence, and tries to borrow materials from nature to find answers. From the 1970s, he mainly created Japanese Zen Buddhism, which was a period of various religions and Taoist philosophy, including Westerners. In this social atmosphere, he became interested in Eastern religions, which sought harmony between nature and man, and reflected it in his work. He explored the existence of humans in nature in art, and used water, fire, air, and soil, which are the main materials of nature. Olafur Elíason, an Icelandic Danish writer, constantl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science and humans by combining various elements of natural phenomena with mechanical devices. Elements such as water, air, light, ice, and soil were brought to the exhibition space to recreate natural phenomena and landscapes. Iceland's natural environment, including its unique weather and terrain, is a source of inspiration and an important factor in completing the work. In particular, he embodied natural phenomena using natural, dematerialization, fluid properties, and expressed them as climatic phenomena such as rain fog, rainbows and sun. In addition, Chapter 3 also studies the combination of materiality and performance, methods of expression, and symbolic meaning in Francis Alÿs. The performance in Alÿs' work is that he has a close-range observation of daily life and a sensitivity to social problems. His work continued to have a detailed record of Mexico, and he maintains a record as objective as possible. In the work, the artist is creating works to enhance public awareness and political power awareness in a complex and diversified environment. In order to express the unique ideas of the work, the researcher's work contains materials with specificity and creates a combination of human beings, religion, society, and nature. It explores how the specificity of matter expresses the ideas contained in the work. In this world of materials, there are many materials with specificity, and there are many genres and expressions of modern art, and combining materials with specificity requires a lot of research. Researchers also fuse performing art creation concepts in the art creation process. The center of gravity of art creation was shifted to social phenomena, and the emphasis on mental transmission was greater than the material itself, the medium of the work. In addition, it is hoped that more people will pay attention to the social reflection and natural harmony of modern society through research on the art creation of "material specificity and performativity." 본 연구는 주로 현대예술에서 물질의 특성과 수행성을 통한 사회적 성찰의 반영으로 이루어졌다. 현대예술에서 사람들은 일찍이 미(美)에 대한 집착을 버리고 예술과 사회현상의 결합을 추구했다. 그래서 좀 더 전위적인 방식으로 자신의 생각을 표현한다. 일부 예술가는 다양한 물질을 바탕으로 작품 속에서 물질의 독특한 속성으로 자신의 생각을 표현한다. 본 연구는 주로 예술작품에서 어떻게 다른 성질의 물질을 통해 사상을 표현하는가를 위주로 서술했다. 현대 예술에서 뛰어난 예술가 및 작품에 대한 분석을 통해 연구자의 작품을 결합하여 연구한다. 또한, 연구자의 작품에 나타난 물질 상징과 수행성의 표현을 통해 연구자 본인이 사회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예술을 매개로 성찰한 것을 제시했다. 본 논문은 주로 빌 비올라(Bill Viola, 1951- ), 올라퍼 엘리아손(Ólafur Elíasson, 1967-)과 프랜시스 엘리스(Francis Alÿs, 1959- ) 세 명 예술가의 작품에 나타난 정신주제와 표현 방법을 연구했다. 또한, 구체적으로 작품에 관해 검토한다. 빌 비올라는 비디오라는 매체를 이용해 삶과 죽음은 인류의 가장 근본적인 문제라는 점과 동시에 존재의 문제를 다루고 자연 속의 물질을 빌려 답을 찾으려 한다. 그는 주로 1970년대부터 예술 작품을 창작했는데, 이때 주로 일본의 선불교에 주목하는 것은 서양인들이 다양한 종교와 도교 철학을 받아들이던 시기였기 때문이다. 이런 사회 속에서 그는 인류와 자연의 조화를 추구하는 동양종교에 관심을 갖게 됐고, 이를 작품에 반영했다. 그는 예술에서 자연 속의 인간 존재를 탐구하고, 자연의 대표 물질 요소인 ‘물, 불, 공기, 흙'을 주요 소재로 삼았다. 아이슬란드계 덴마크 작가인 올라퍼 엘리아손은 자연현상의 여러 요소들을 기계장치와 결합해 자연과 과학, 인간 사이의 관계를 끊임없이 탐구한다. 물, 공기, 빛, 얼음, 흙 등의 요소를 전시 공간으로 가져가 자연현상과 경관을 재현했다. 아이슬란드의 독특한 기상과 지형 등 자연환경은 그의 영감의 원천이자 작업을 완성하는 중요한 요소다. 그는 특히 자연적인 비물질적 유동적 특성을 이용해 자연현상을 구현하고, 비안개 무지개 태양 등의 기후현상으로 표현했다. 또한, 제2장에서는 프랜시스 엘리스 작품에서 물질성과 수행성의 결합형식과 표현 방법, 상징적 의미에 대해서도 연구한다. 엘리스의 작품 속 수행성은 일상생활에 대한 미시적 관찰과 사회문제에 대한 민감성을 갖고 있다는 점이다. 그의 작품에는 멕시코에 대해 치밀하게 관찰했고, 가능한 한 객관적인 기록을 유지하고 있다. 작품 속에서 작가는 정치의식과 복잡하고 다원화 된 환경 속에서 공공의식 및 정치권력의식을 제고하기 위해 노력한다. 연구자의 작품에는 작품의 독특한 사상을 표현하기 위해 특수성을 지닌 물질들을 녹여냈고, 인간과 종교, 사회, 자연의 관계를 결합하여 창작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물질의 특수성이 작품 속에 담긴 사상을 어떻게 표현하는지 탐구한다. 물질로 이루어진 이 세계에는 특수성을 지닌 물질이 매우 많고 현대예술의 장르와 표현방식도 많은데, 특수한 성질을 가진 물질과 예술을 결합시킨 것은 예술가의 사상을 깊게 표현하는데 의미를 갖는다. 연구자는 예술 창작 과정에서 수행적인 예술 창작 개념도 융합한다. 예술 창작의 무게중심을 사회 현상에 옮겨 담아냈고, 작품 매개체인 물질 그 자체보다 정신적인 성찰 전달에 대한 강조가 더 컸다. 아울러 ‘물질의 특성과 수행성’의 미술 창작에 대한 연구를 통해 많은 사람들이 현대미술의 창작 과정에 관심을 갖게 하고 현대사회의 사회적 성찰과 화합적 통일 관계에 중점을 둔다.

      • 조선산업에서 공급사슬의 수행성과에 대한 측정과 활용방법에 관한 연구

        박희태 서울시립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773

        기업의 경쟁우위 확보 수단으로서 공급사슬관리를 활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프로세스의 효과측정(effectiveness evaluation), 대 내•외 지표(bench marking)의 설정, 최상의 실행방안(best practice)의 탐색 및 우선순위 설정, 개선 전후의 수행성과(performance)의 비교를 위해서는 공급사슬의 수행성과에 대한 측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공급사슬의 이행성과에 대한 측정과 활용 방법을 관련 문헌의 고찰과 실무적으로 접근하는 방법을 수립하여 조선산업에 적용하고 여기서 얻어진 결과를 분석하여 봄으로서 계량화된 방법으로 공급사슬관리를 실무에 적용하는 일반적인 연구 결과를 제시하고저 함. 또한 공급사슬망 전체의 성과를 측정하고 관리하기 위한 방안으로 SCM(Supply Chain Management) Council 에서 개발한 SCOR Model 9.0 (Supply Chain Operations Reference Model)을 이용하여 공급사슬망 단위 구성원인 공급자들의 수행성과와 공급사슬망 전체의 성과를 측정하였다. 적용한 측정절차는 수행 프로세스의 특성별 핵심 성과지표를 선정하였고, 선정된 성과지표들을 대상으로 기업 내부자료를 활용, 측정치를 산출하는 방법을 제시하였고, 측정된 성과 지표는 만족도 함수를 이용한 교정과정을 거쳐 일반화 하였고, 각 지표간 기여도에 따라 일반화된 성과지표의 가중평균을 구하여 공급자별로 통합된 평가치(score)를 도출하였다.또한 공급사슬망 전체의 성과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각 단위 구성원의 성과와 구성원과의 관계에 따라 구성원의 기여도를 분배하고, 기여도에 따른 가중평균을 구하는 통합하는 과정을 통하여 공급사슬망 전체의 최종 성과 측정치를 산출토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렇게 산출된 측정치를 분석하고, 실무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활용 방안과 그 활용가능성 을 제기하였으며 예상되는 효과를 정리하였다. Performance measurement of supply chain is necessary for effectiveness evaluation of process, internal / external bench marking, research of best practice and their prioritization, and performance comparison at before and after improvements so Supply Chain Management is utilized as a support tool that provides competitive edge for a company. This article was intended to provide practical frameworks resulting from studies of related references in performance measurement of supply chain, their practical methodologies to measure and quantifying analysis being applied for Shipbuilding industries. Performance of whole supply chain network and suppliers as its components was measured as well using SCOR 9.0 which has been developed to measure performance and control supply chain. procedures applied for measuring are: to select the core performance metrics matching characteristics for applied processes; to present the measuring methodologies to the selected metrics using company’s internal data; to normalize the measured performance through transformation using exponential desirability functions; to score each supply using weighted means of the normalized measured values of performance; to distribute weight factors according to contribution of unit supply; to calculate the performance measurement value using weighted mean of supply chain. After analyzing the performance measurements, conclusions made how to use the measurements in the field and to raise the applicability as well as to expect foreseeing reven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