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문학작품을 활용한 지리적 상상력의 신장 : 소설『소나기』를 사례로

        이수정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2319

        오늘날 지리 수업에서 정보는 끊임없이 나열되며 풍부하게 제공되지만, 이를 뒷받침하는 세련된 상상력에 관한 교육은 찾아보기 힘들다. 이로 인해 지리 수업 장면에서 학습자들은 지리학적 지식의 나열과 암기의 순환 속 소극적이고 수동적인 객체로 머무는 데 그친다. 지리적 상상력 교육은 지리 수업 장면에서 배제되어온 학습자의 능동성과 적극적인 주체성에 초점을 둔다. 본 연구에서는 지리적 상상력의 신장에 초점을 두고 이를 위한 교육 방법으로 문학 작품의 활용을 고려하였다. 덧붙여 학생들의 무한한 상상력을 자극하기 위해 앞뒤 맥락이 분절된 텍스트를 활용하는 것이 아닌 사건의 흐름과 시공간적 배경을 온전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한 권의 책을 천천히 함께 읽는 방식인 ‘느리게 읽기’를 활용하였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지리적 상상력의 이론적 바탕 및 필요성을 살펴본 후, 이를 신장하기 위한 느리게 읽기의 개념 및 교육적 효용성을 이론적으로 탐색한다. 둘째, 문학 작품 느리게 읽기를 통한 지리적 상상력 신장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셋째, 문학 작품 느리게 읽기를 통한 지리적 상상력 신장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 및 시사점을 분석하고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안한다. 연구 문제를 기반으로 하여 지리적 상상력과 문학 작품의 활용에 관한 이론적 바탕을 살핀 후, 이를 프로그램 구성에 반영하였다. 지리적 상상력에 관한 다양한 개념적 논의를 종합하여, 지리적 상상력을 개인의 주관적 지리 인식을 바탕으로 객관적인 공간과 장소를 인식하고 이를 자신의 앎과 삶의 양식으로 관련짓는 것으로 개념화하였다. 이어 그 발달 위계를 ‘사적 지리의 인식’, ‘공적 지리의 인식’, ‘사적 지리와 공적 지리의 대화’, ‘공간의 창조적 구성’으로 조직화하였다. 또한, 지리적 상상력의 신장을 위한 문학 작품 느리게 읽기를 실천하기 위해 내용 구성을 위한 작품 선정 원리를 마련하였다. 그 원리는 교육성, 이해성, 흥미성, 예술성이며 이에 따라 황순원의 작품 『소나기』를 연구 활용 도서로 선정하였다. 이와 같은 이론적 고찰을 기초로 하여 총 4단계의 실행 연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1단계는 사적 지리의 인식 단계로, 작품 속 인물과 공간에의 공감 및 공감각적 상상을 통해 주관적 지리를 인식하는 단계이다. 2단계는 공적 지리의 인식 단계로, 자연환경 및 인문환경과 생활의 관련성 탐구를 통해 객관적 지리를 인식하고 자신의 지리 인식을 세련되게 다듬는 단계이다. 3단게는 사적 지리와 공적 지리의 대화 단계로, 주관적 지리 인식과 객관적 지리를 연결 지어 사적 지리에 대한 ‘낯설게 보기’ 과정을 경험하고 이를 자신의 언어로 맥락화 하는 단계이다. 4단계는 공간의 창조적 구성 단계로, 지리적 상상력을 통해 창조적 공간을 설계 및 체험하는 단계이다. 각 단계별 실행에서 나타난 유의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단계 수업에서는 학생들의 공감적 이해와 공감각적 사고를 통한 창의력의 발휘가 돋보였다. 도시 아이들에게 낯설었던 자연 경관들은 공감적 이해를 통해 의미로 가득 찬 구체적 장소가 되었으며, 아이들은 이야기에 몰입하여 드러나 있지 않은 부분까지 상상하여 서술하는 모습을 보였다. 사적 지리를 추상적 이미지 및 소리로 표현하는 과정에서도 창의적인 아이디어의 생산과 적극적인 소통을 관찰할 수 있었다. 2단계 수업에서는 학생들의 지리 인식의 정교화 과정과 다양한 자료원의 탐구를 통한 다각적인 접근이 돋보였다. 교사의 질문에 공적 지리의 내용을 응용하여 답을 하는 모습과 뉴스 기사, 사진, 그래프 등의 다중적 표상을 통해 상호 관련성을 탐색하며 공적 지리를 탐구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3단계 수업에서는 사적 장소를 낯설게 바라보며 새로운 의미를 생성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동네 뒷산의 숨겨진 역사를 알고 신기해하는 아이, 포천과 서울과의 실제 거리를 알고 놀라워하는 아이, 부산의 산지 지형에 대해 새롭게 알게 된 아이 등 친숙함에 무뎌져버린 장소를 공적 지리의 눈으로 인식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공간 인식의 방법을 경험하고 있었다. 4단계 수업에서는 공간의 창조적 설계와 체험 과정 속 발견되는 학생들의 지리 인식과 그의 활용이 인상적이었다. 학습자들은 소나기 마을의 설계를 위해 자신의 지리 스키마를 적극 활용하며 공간의 맥락에 대해 신중히 고려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양평 소나기 마을을 직접 방문하여 그 지리 세계에 금방 빠져들어 몰입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다. 프로그램 종료 후 학생들이 ‘소나기 그 후의 이야기’를 상상하여 쓴 내러티브 텍스트와 프로그램 실행 전 후에 그린 생각그물을 분석한 결과, 문학 작품을 활용한 지리적 상상력 신장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유의미한 변화를 이끌어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장소에 대한 객관적인 이해와 주관적인 감정 이입을 통해 장소 내러티브를 자신의 언어로 자연스럽게 맥락화함으로써 지리적 상상력을 발휘하고 있었으며, 장소에 대한 생각그물의 가지 수와 단계의 수가 증가함을 통해 지리 인식이 좀 더 풍부해짐을 알 수 있었다. In today's geography class, information is constantly listed and abundant, but there is no education about sophisticated imagination that supports it. As a result, learners in the geography class scene are stuck with passive objects in the sequence of geographical knowledge and the circulation of memorization. Geographical imagination education focuses on the active subjectivity of the learners who have been excluded from the geography class scene.   In this study, we focused on the enhancement of geographic imagination and considered the use of literary works as a teaching method for this. In addition, to stimulate students' infinite imagination, we used the 'slow reading' method, which slowly reads together a book so that we can fully understand the flow of events and the spatio-temporal background, rather than using text with segmented front and back context. The specific research tasks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is set as follows.   First, after explor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necessity of geographical imagination, theoretically explores the concept of slow reading and its educational effectiveness in order to enhance it. Second, we develop a program to enhance geographical imagination through slow reading of literary works. Third, we analyze the educational effect and implications of the geographic imagination enhancement program through the slow reading of literature works,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follow - up study.   Based on the research tasks,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use of geographical imagination and literary works was examined and reflected in the program composition. We conceptualized geographical imagination as recognizing objective space and place based on subjective perception of geography, and associating it with their own knowing and life style. The development hierarchy was organized into 'recognition of personal geography', 'recognition of public geography', 'dialogue between personal geography and public geography', and 'creative composition of space'. In order to use literary works for the enhancement of geographic imagination, the principle of selecting works for composition of contents was prepared. The principle is education, understanding, interest, and artistry. Therefore, Hwang, Sun-won’s 『소나기(Shower)』 is selected.   Based on these theoretical considerations, we developed a total of four stages action research programs. The first stage is the step of recognizing the personal geography through the empathy of the person and space in the work and the sense of imagination. Step 2 is the step of recognition of public geography. It is a stage to recognize objective geography and refine its own geographical awareness through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al environment and human environment and life. The third stage is the stage of dialogue between personal geography and public geography. It is a step of connecting 'subjective geography' to objective geography and experiencing the 'unfamiliarity' process of personal geography and contextualizing it in its own language. The fourth stage is the stage of creative construction of space, where the creative space is designed and experienced through geographic imagination.   The significant results observed in each stage of action research are as follows.   In the first stage, students demonstrated their creativity through empathic understanding and conscious thinking. Through empathic comprehension, natural scenes unfamiliar to urban children became concrete places filled with meaning, and they showed imagining and describing parts that were not revealed in the story. We were able to observe creative ideas and active communication in the process of expressing personal geography with abstract images and sounds.   In the second level, the students' diverse approaches through the elaboration of geographical awareness and exploration of various sources were outstanding. We could see the way of applying the contents of public geography to the teacher 's questions and exploring the public geography by exploring the interrelationships through multiple representations such as news articles, photographs and graphs.   In the third level class, we could see the creation of a new meaning by looking at the familiar place unfamiliarly. A child who aware of the hidden history of the hill in the neighborhood, a child who is surprised to know the actual distance between Pocheon and Seoul, and a child who has newly learned about the mountainous terrain of Busan. They was experiencing a new way of recognizing the space in the process of recognizing the place that has been perceived carelessly with the eyes of public geography.   In the fourth stage class, students' geographical awareness and utilization in the creative design and experience of space were impressive. The learner took a careful consideration of the context of the space by taking advantage of his geographical schema for the design of 『The Shower』 village. In addition, They visited Yangpyeong 『Shower』 Village and showed themselves immersed in the geography world.    After analyzing the narrative texts imagined by the students after the program, "After the Showers," and their mindmaps, it was confirmed that the geographic imagination enhancement program using literary works led to a significant change in student. Geographical imagination was demonstrated by naturally contextualizing the place narrative in its own language through an objective understanding of the place and subjective empathy. By increasing the number of branches and the number of stages in their mindmaps, we can see that the geographical awareness becomes more diverse and enriched.

      • 내러티브 글쓰기의 지리수업에의 도입

        홍서영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2319

        아인슈타인은 ‘상상력은 지식보다 중요하다.’라고 주장하였다. 지리 교과는 그 본질적 속성 상 세계의 다양한 지역의 경관을 이해시키기 위해서 아동들에게 끊임없이 상상력을 강조해야 하는 교과이기 때문에 지리 교과에서 상상력의 중요성은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리적 상상력을 함양하기 위해 내러티브 글쓰기의 방법을 도입하였다. 내러티브와 지리교과는 상상력이라는 동일한 세계를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서로의 학습에 있어서 상호 보완적인 작용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리적 상상력을 활용한 내러티브 글쓰기의 분석을 위해 연구자가 담임을 맡고 있는 서울시 종로구 소재 C 초등학교 4학년 한개 반(28명 : 남 14명, 여 14명)을 대상으로 사례 연구를 실시하였다. 세 번의 내러티브 글쓰기 결과 초등학교 학생들의 지리적 상상력과 내러티브 글쓰기 의 기본 능력은 학생마다 그 수준은 매우 상이하게 차이 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생들의 내러티브 글쓰기의 능력이 상당 수준 고착화되어 나타난다는 것도 알 수 있다. 학생들의 내러티브 글쓰기를 분석하여 세 차례의 글쓰기 모두 한 수준으로 고착되어 나타나는 네 명의 학생을 질적 분석의 대상 학생으로 선정하여 어떠한 요소로 인해 학생들의 상상력의 수준이 상이하게 차이 나는지 조사하였다. 면담의 결과 초등학교 학생들의 지리적 상상력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요소로는 학생 개인의 기질적 특성, 즉 그 학생이 새로운 장소에 대해서 얼마나 많은 호기심과 수용적 태도를 가지고 있는지와 부모와의 여행 경험, 그리고 다양한 책을 접해본 학생의 독서 습관을 들 수 있었다. 이 중에서도 학생들의 지리적 상상력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요소로는 부모와의 여행 경험을 들 수 있었다. 초등학교 시기는 아직 부모와의 유대감이 깊은 시기로 부모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평소 가정에서 부모와 함께 다양한 장소로 여행을 갔었던 경험이 학생의 지리적 상상력 형성에 많은 긍정적인 작용을 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책을 매개체로 세상과의 간접 경험을 시작하는 시기이기 때문에 학생의 바른 독서 습관과 많은 독서 경험 또한 지리적 상상력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끼쳤다고 할 수 있다.

      • 아동도서를 활용한 지리적 상상력 신장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초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이화선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32319

        More focus is shifted to an imagination. Geographical imagination is also emphasized in geographical education. But there's no study to promote the geographical imagination in school. So this study will give some suggestions to primary teachers through providing concrete program for geographical imagination. Geographical imagination is a way to understand the world using own experience and knowledge. It will help boost students' interest and geographical perspective by understanding learning objects in context. For developing geographical imagination, researcher use children books. Because children likes reading and books are useful material proved by lots of scholars in geographical education. For this, researcher develop the program through reviewing literature and adjust the program to 3rd grade students for 6 class. The program is consisted of 6 stages and 1-2 books are used for each stage. The first stage starts with "To recognize the private geography". The second stage is "To feel empathy characters in the book", the third is "To recognize relation between life and space", the fourth is "To relate oneself with environment", the fifth is “To redesign creative space Ⅰ". The last stage is “To redesign creative space Ⅱ". ” "Redesign creative space" is consisted of 2 classes. Because it's synthetical and creative space includes not only physical space reconstruction but also new perspective looking aroung.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students take participate with a passion. They get to think own meaning to space and recognize the private geography. Also they feel empathy situation in the book and get to know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s relating oneself with physical&human geography. This program also show the possibilities for class concerning region. Through this program students have a new understanding and discover new value about the region they live. As a result of applying, the following findings are given : 1. Students prefer to a book they already read or similar age character appear. Also they prefer to a book contains physical environment and life of background. 2. Researcher suggest narrow down the number of the book. It will help simple the program and be easy to adjust. 3. Adjust the implementing grade considering students. This program is made for 3rd grade, but it can be adjusted to any grade according to the students' character. 각 분야에서 상상력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지리교육 역시 지리적 상상력을 미래 지향적 가치로 내세우며, 학생들의 지리적 상상력 신장을 역설하고 있지만 실제 교육현장에서 지리적 상상력을 신장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한 연구는 전무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지리적 상상력 신장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초등 교사들에게 시사점을 주고자 한다. 지리적 상상력은 나를 둘러싼 주변을 나의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이러한 지리적 상상력을 활용한다면 학습대상을 맥락적으로 이해하게 되어 학습자의 흥미를 높이고 지리적 안목을 육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지리적 상상력을 신장하기 위한 교육소재로 교육적 가치가 입증되었으며, 학생들이 흥미 있어 하는 아동도서를 활용하였다. 연구자는 7차 개정 교육과정과 교과서,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교육내용을 추출하여 지리적 상상력 신장 전략을 모색하였으며, 이를 바탕을 초등 3학년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전문가에게 조언을 얻어 프로그램을 수정한 후 6차시에 걸쳐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적용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보완하고 시사점을 반영하여 수정된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프로그램은 모두 6단계로 구성되며, 각 단계당 아동도서를 1-2권 사용하였다. 1단계 사적지리 인식하기로 시작하여 2단계 도서 속 인물에 감정이입하기, 3단계 생활과 공간의 관련성 인식하기, 4단계 나와 관련짓기, 5단계 창조적 공간 구성하기Ⅰ, 6단계 창조적 공간 구성하기Ⅱ이다. 창조적 공간구성하기는 프로그램을 종합하는 성격을 띠며 새로운 공간 구성은 물리적 공간 재구성 뿐 아니라 주변을 바라보는 새로운 인식까지 포함하므로 이를 반영하여 2차시에 걸쳐 이루어지도록 한다. 학생들은 프로그램에 매우 즐겁게 참여했으며 강한 흥미를 나타냈다. 일지와 마인드맵, 질문지를 분석해본 결과, 아이들은 장소에 대해 자신만의 의미를 부여하고 사적 지리(private geography)를 인식하게 되었으며, 주변의 친숙한 공간을 재인식하고 재창조하게 되었다. 나아가 도서 속 상황에 감정이입하여 자연환경과 인문환경을 ‘나’와 관련지어 생각함으로써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해냈으며 차이점이 생긴 이유를 생활과 공간의 관련성 속에서 파악하였다. 또한 지역화수업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6단계 수업에서 아이들은 지역을 새롭게 인식하여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의 장점과 가치를 새롭게 찾아냈다. 그 외 사회수업과 독서교육에 대한 흥미도가 증가한 것도 프로그램의 효과라 할 수 있다. 반면 프로그램 적용 결과 문제점도 발견되었다. 1단계 적용시 학습자 눈높이에 맞지 않는 장소를 선정하여 학습자들이 어려움을 나타냈다. 또한 상대적으로 학습능력이 부족한 아이들이 학습활동에서 소외되기도 하였다. 학습 내용이 많아서 시간이 초과되기도 하였으며, 독서시기와 프로그램 적용 시기가 일치하지 않아 도서의 내용을 기억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 학습자의 흥미를 자극하고 이해를 돕는 생생한 사진자료와 학습 자료가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얻었다. 수정안에서는 이러한 점들을 보완하였다. 프로그램 적용 결과 연구자는 3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도서 선정시 유의점이다. 아이들은 학습자 또래가 나오는 이야기를 선호하였으며, 이미 읽은 도서를 선호하였다. 또 배경지의 생활모습이나 자연환경이 풍부하게 담겨 있는 도서를 선호하였다. 둘째, 프로그램에 적용하는 도서의 수를 1-2권으로 줄일 것을 권한다. 셋째, 적용 대상의 특성을 고려하여 학년을 결정한다면 더 좋은 교육효과를 얻으리라 생각한다.

      • 인터넷 관광담론으로 보는 한국 관광객의 상상과 시선: 뉴욕과 상해 여행 후기 비교를 중심으로

        송신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2285

        이 연구는 인터넷 관광 후기 글을 분석함으로써 한국 관광객의 지리적 상상과 관광 상상이 어떠한 시선의 형태로 구현되는지를 탐구하였다. 우리 사회의 상상과 관광 경험의 연관성을 조명하기 위해 뉴욕과 상해라는 상반된 위치의 여행지를 선택하여 비교하였으며, 각 나라에 대한 우리의 지리적 상상, 관광 상상, 그리고 관광 시선을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으로는 각종 관광 매체와 여행객들이 직접 기록한 온라인 후기들을 삼아 전문 담론과 비전문 담론 또한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여행 후기에서 각 관광지에 대한 시선 속에 우리의 지리적 상상이 명백하게 관찰되었다. 먼저 뉴욕과 상해 모두에서 한국 관광객은 서구성과 서양인에 대한 깊은 환상과 동경을 드러내 인종주의와 식민적 의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해에서는 중국에 대해 놀라움과 동요를 표현하는 한 편, 여전히 중국인과 중국 문화에 대해 편견과 무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한편 한국 관광객은 뉴욕에서 대중문화와 미디어의 영향을 깊이 받으며 다소 제한적인 여행 방식을 따르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전문 관광 매체와 다소 다른 여행 경험을 추구함으로써 인터넷 담론의 자체적인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끝으로 이 연구는 성찰적 시선을 통해 한국 관광객이 자신과 자국의 상상 체계를 돌아보고, 이를 수정하거나 강화하는 것을 밝혀내어 체험과 담론 사이의 시선의 역할을 조명했다.

      • 번역 출판의 문화정치와 사회적 상상 : 1950년대 후반-1970년대 번역서의 미디어 사회문화사

        채웅준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32284

        This thesis aims to investigate the social imaginaries and the cultural politics surrounding ransnational cultural exchange by analyzing the practices and institutions of translation publishing from the late 1950s to the 1970s. This study describes the media socio-cultural history of translated books regarding the translation as a socio-cultural practice and product beyond the textual and the intellectual. It focuses on two goals. One is to explore how the national imaginaries were related to cultural practices, cultural legitimacy, and cultural politics. The other is to identify how worldhood affected the process of cultural modernization of translation publishing. This study uses social imaginaries as a theoretical framework. Social imaginaries are vague understandings, connotations, and expectations of things interior and exterior of a society, shared among members of it. It constitutes a sense of cultural legitimacy and the repertory for legitimate collective actions. Translation has a mutually constitutive relationship with social imaginaries in that it is a con-figuring of the other and the self, and the work of imagining and bounding the world in which a society exists in specific ways. The development of translation publishing from the late 1950s onward was driven by its imagined contribution to modernizing national cultures. In this sense, the yang-seo, the books given cultural legitimacy, became a drive for cultural practices. In particular, the World Literature Anthologies crystallized the vague imaginaries of the yang-seo. As competition for yang-seo intensified, the translation publishing field attempted to institutionalize translation publishing in the mid-1960s. The Korean government provided legal and institutional support for the rationalized rules of the field to ensure that the yang-seo was aligned with the practices of reading public. In the national imaginaries, the yang-seo was not only a stake for which the translation publishing field struggled to earn, but also a cultural political object for the government to mobilize the people and a subject that constituted the discourse of the elite group. Accordingly, the center of the translation publishing field, the government, and the intellectuals formed a conspiratorial relationship for the cultural project of the yang-seo. The ak-seo were referred to the books stripped of their cultural legitimacy, that fell outside the standards of the time. These included books with popular genre novels, books published and distributed in unethical ways, and translations of Japanese novels. The ak-seo survived in the face of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yang-seo and illegalization of the ak-seo, because the foundation and logic of the yang-seo were too unstable. The promoters of yang-seo experienced discord on cultural legitimacy. In addition, as the symbolic authority and economic expectations from the government’s institutional recognition of yang-seo grew, the producers of yang-seo also made books for the struggle using the methods of ak-seo. These results reveal the limits of the dichotomous logic of the cultural project of yang-seo that separates the cultural from the economic. Meanwhile, the production and reception of popular ak-seo deprived of cultural legitimacy opened up the possibility of cultures outside the national imaginaries and a view of cultural pluralism. The process of cultural modernization was not just a domestic phenomenon but accompanied by a relationship with the world. The world was imagined as a competitive field for symbolic struggle. The yang-seo was a symptom of this imaginative geography and a weapon used by the Korean government and the translation publishing field in the unequally structured world system of translation publishing. This process of internationalization, or participation in the world system of translation publishing, was inextricably linked to the globalization of geopolitical power. Korea, a peripheral country, endorsing the international standards set by the West, sutured some critical opinions into the logic of modernization. In Korea, the connotations of translation were obsessively reduced to developing and promoting national culture. As a result, the internationalization strategy was narrowed down to adopt the Western order and obtain cultural leadership worldwide. Nevertheless, some translation practices emerged on the periphery of the domestic translation publishing field to reflect on global boundaries and power relations appropriating texts across regional differences. Through a media socio-cultural history of translation publishing from the late 1950s to the 1970s, this study discusses the effects of the social imaginaries on the legitimacy of cultural practices and products, as well as the limits and fissures of it, and the unintended political implications of those deviated from it. This thesis shows that translation fulfills an ideological function as an effect of global power relations but also has the power to make us reflect on those power relations. 이 연구의 목적은 195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 번역서와 번역 출판 실천, 담론, 제도를 분석함으로써, 사회적 상상의 작동 양상과 초국적 문화 교류를 둘러싼 문화정치를 밝히는 것이다. 이 연구는 기존의 텍스트주의적·지성사적 접근에서 벗어나 번역서의 미디어 사회문화사를 기술하고자 한다. 분석의 주요 목표는 두 가지다. 하나는 사회적 상상이 문화적 실천, 문화적 정당성, 문화정치와 어떤 관계를 맺고 있었는지 탐구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번역 출판 장의 문화적 근대화 과정에서 ‘세계적인 것’이 가져온 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 글은 사회적 상상을 이론적 틀로 삼아 논의를 전개한다. 사회적 상상이란 사회 구성원 사이에서 공유되는, 사회 그리고 사회 내외부의 존재에 대한 막연한 이해, 의미 부여, 기대를 가리킨다. 그것은 집단적 실천의 틀과 문화적 정당성에 대한 감각을 제공한다. 사회적 상상은 사회 구성원에게 일반적으로 공유되지만, 균질적인 강도와 형태로 공유되지는 않는다. 한편 번역은 타자와 자기 자신에 대한 쌍형상화로서, 타자와 자기 자신, 그리고 둘이 공존하는 세계를 일정한 방식으로 상상하고 경계 지으려는 작업이자 그 결과물이라는 점에서 사회적 상상과 상호 구성적 관계를 맺는다. 1950년대 후반부터 국내 번역 출판 분야가 급격한 성장을 이룰 수 있었던 것은 그것에 부여된 상상적 의미 작용 덕분이었다. 민족 문화에 기여할 수 있다는 상상에 따라 문화적 정당성을 부여받은 책은 ‘양서’로 불렸고, 그것은 번역 출판 장 내외부의 실천을 이끄는 동력이 되었다. 당대 제작된 세계문학전집은 모호했던 ‘양서’에 대한 상상을 구체화했다. ‘양서’를 둘러싼 경쟁이 심화되자 번역 출판 장에서는 1960년대 중반 제도화를 시도했다. 정부는 ‘양서’가 대중 독자의 실천과 연계될 수 있도록 장의 합리화된 규칙을 법적·제도적으로 뒷받침했다. 민족적 상상에 의거한 ‘양서’는 번역 출판 장에서 상징 투쟁의 내기물이었을 뿐만 아니라, 정부가 국민을 동원하기 위한 문화정치적 대상이었고, 또 문인과 지식인의 담론을 구성하는 주제였다. 이에 따라 번역 출판 장의 중심부, 정권, 그리고 문인과 지식인은 ‘양서’라는 문화적 기획을 중심으로 한 공모 관계를 형성했다. 문화적 정당성을 박탈당한 책들을 가리키던 ‘악서’는 몇 가지 정당성 기준을 벗어나 있었다. 통속적인 내용을 담은 책, 비윤리적인 방법으로 출간 및 유통된 책, 일본 번역 도서가 그것이다. 제도화 단계 이후로도 ‘악서’가 살아남을 수 있었던 것은 그만큼 ‘양서’의 토대가 불안정했기 때문이었다. ‘양서’가 무엇인지 합의되지 않은 채 진행된 제도화는 정부와 번역 출판 장의 불화를 야기했고, 정부의 제도적 인정이 주는 상징적 권위와 그에 따른 경제적 기대 효과가 커지자 ‘양서’의 생산을 위해 ‘악서’의 방법을 사용하는 부조리가 벌어졌다. 이는 문화적인 것에서 경제적인 것을 분리하려던 ‘양서’라는 문화적 기획의 이분법적 논리의 한계를 드러낸다. 그런 가운데 문화적 정당성을 박탈당했던 대중적인 번역물의 생산과 수용은 민족적 상상을 벗어난 문화의 가능성과 문화적 다원성에 대한 시야를 열어두고 있었다. 국내 번역 출판의 문화적 근대화 과정은 대내적인 것을 넘어서 세계와의 관계 속에서 이루어진 것이었다. ‘양서’는 국제화와 전 지구화가 얽히며 빚어낸 효과였다. 즉 그것은 국내 번역 출판 장과 정부가 불평등하게 구조화된 번역 출판의 세계 체제에서 국제적 상징 투쟁을 위해 내세운 무기이면서, 전 지구적 정치경제적 권력 작용을 승인한 결과였다. 이데올로기적 상상 지리가 강화되면서 국내에서 번역이 지닌 내포도 민족 문화의 창달과 세계로의 진출로 축소되었다. 그러나 국내 번역 출판 장의 주변부에서는 제3세계론의 번역을 통해, 지역적인 차이를 넘어서 텍스트를 전유하고 세계의 경계와 권력관계를 성찰하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번역의 정치성은 이처럼 ‘초국적인 것’에 대한 지향에서 발아하고 있었다. 이 연구는 1950년대 후반에서 1970년대 번역서에 대한 미디어 사회문화사를 통해 사회적 상상이 문화적 실천과 생산물의 정당성에 미치는 효과, 그리고 사회적 상상의 한계, 즉 사회적 상상으로부터 벗어나는 실천이 지닌 의도치 않은 문화정치적 의미를 논의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더불어 번역이 전 지구적 권력 작용의 효과로서 이데올로기적 기능을 수행하지만, 동시에 그러한 권력관계를 성찰하게 하는 힘을 지니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 국민국가의 카오스 : 한국전쟁 참전국 '에티오피아'의 형성과 균열하는 상상의 지리

        김승윤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284

        본 연구는 에티오피아 한국전쟁 참전용사 담론의 지형을 분석하고, 담론의 질서 안에서 나타나는 ‘냉전’과 ‘국민국가’의 (재)구성 과정을 살핀다. 에티오피아의 참전과 관련된 다양한 언표들은 독특한 구조와 규칙을 가진 하나의 담론으로 자리 잡는다. 참전용사 담론은 상상의 지리 “에티오피아”를 생산하고, 이는 냉전 기억과 두 나라의 관계가 구성되는 데 영향력을 발휘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참전용사 담론과 냉전 지형의 관계를 규명하여, 참전의 맥락에서 특정한 방식으로 상상되는 냉전의 역사를 재구성한다. 또한, ‘국민국가’를 동질적이고 통합적인 공동체로 상상하는 강고한 믿음을 논파하려 한다. 이에 따라 연구자는 다음의 세 가지 질문을 던진다. 첫째, 에티오피아 참전용사 담론이 참전의 역사에 관하여 말하는 대상과 방식은 무엇인가? 그리고 그 가운데 어떤 역사가 밀려나는가? 둘째, 참전용사 담론이 생산하는 상상의 지리 “에티오피아”는 냉전을 기억하는 방식에 어떤 영향과 효과를 발휘하는가? 셋째, 참전용사 담론이 전제하는 “에티오피아”라는 국민국가 단위는 어떤 방식으로 성립되고 구체화하는가? 연구의 주요 현장은 춘천과 서울이다. 춘천은 에티오피아 참전용사의 주요 전투지역으로, 현재 에티오피아의 참전에 관한 기념관과 관련 단체가 소재한 곳이다. 연구자는 춘천을 방문하여 인터뷰와 자료조사를 진행했다. 그리고 서울 노량진에 위치한 에티오피아 식당에서 일하며 약 10개월간 현장연구를 수행했다. 본문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2장은 참전용사 담론의 구체적인 특징을 파악하여 담론의 지형도를 그려낸다. 한국 사회가 에티오피아의 참전을 기억하는 방식은 두 나라 현대사의 변곡점들과 맞물리며 구성되어왔다. 1990년대부터 형성된 참전용사 담론은 신화, 상상, 발전이라는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공산 진영에 맞서 한국을 지켜줬지만 결국 악에게 패배해버린 “자유의 수호자” 에티오피아의 이야기는 비극적인 영웅 신화의 형태로 기억되고 있다. 신화 속 영웅들의 땅“에티오피아”는 연속적인 하나의 역사를 토대로 형성된 국민국가라는 상상의 지리로 재현된다. 그리고 “에티오피아”의 도움에 보답하려면 한국이 나서서 그들의 개발을 도와야 한다는 ‘보은과 발전’의 서사가 자리 잡는다. 3장은 한국과 에티오피아가 제3세계 비동맹주의와 관계하는 양상에 주목한다. 한국전쟁과 참전의 역사를 기억하는 방식은 전쟁과 냉전에 대한 두 나라의 인식과 태도를 보여준다. 그러나 냉전을 자유/공산의 이분법적 대결로만 이해하는 기존의 관점은 제3세계 비동맹주의를 경유한 복잡다단한 역사를 충분히 설명하지 못한다. 특히, 에티오피아는 적극적으로 비동맹의 조류에 동참했다. 그중에서도 에티오피아와 쿠바가 보여준 제3세계 사회주의 연대의 역사는 한국의 참전용사 담론이 상상하는 “에티오피아”의 형상과 사뭇 다른 결을 드러낸다. 이처럼 냉전은 글로벌한 차원에서 펼쳐진 ‘지구사’였고, 기존의 인식론은 한국전쟁과 냉전의 중층적인 맥락을 충분히 다루지 못한다. 4장은 노량진의 에티오피아 식당 ‘셀람’에서 진행한 현장연구 자료를 바탕으로 참전용사 담론이 상상하는 국민국가 “에티오피아”를 재검토한다. ‘셀람’은 한국에 거주하는 에티오피아 이주민들에게 자국어를 사용하면서 익숙한 음식을 먹고 에티오피아 음악을 들을 수 있는 ‘집과 같은’ 장소다. 하지만 이곳은 국민국가 에티오피아가 처한 곤경, 즉 역사적으로 복잡하게 뒤얽힌 종족 갈등의 단층선이 드러나는 곳이기도 하다. 에티오피아 이주민들이 경험하는 균열은 ‘셀람’의 사운드스케이프를 통해 순간적으로 나타난다. 음악은 정치적 이슈와 맞물리며 미묘한 긴장을 조성하고, 이 과정에서 담론이 재현하는 동질적인 “에티오피아”라는 범주가 해체된다. 한편, 에티오피아라는 통일적인 단위는 거대한 인프라스트럭처, 그리고 여기에 관계된 이집트 같은 외부의 ‘적’이 있을 때 일시적으로 성립되곤 한다. 하지만 이러한 장면은 오히려 ‘국민국가’라는 범주가 매우 유동적이고 불안하다는 사실을 확인시켜줄 뿐이다. 5장은 국민국가 범주 바깥에 위치한 에티오피아 출신 난민의 활동 과정에서 참전의 의미가 전유되는 장면을 발견한다. 난민은 국민국가의 테두리 바깥에 위치한 ‘적’이자 ‘다른 인간형’으로 간주되지만, 한국의 에티오피아 난민은 참전의 역사를 통해 ‘고마우면서 불편한 존재’라는 독특한 위치를 점한다. 참전용사 담론은 에티오피아의 참전을 되갚아야하는 ‘선물’로 구성하고, 포괄적인 국제개발의 형태로 이를 되돌려준다. 하지만 국내에 거주하는 에티오피아 난민은 한국의 ‘환대’를 다시 상환하여 양측의 관계를 연장한다. 또한, 그들은 한국 정부의 난민 심사제도를 비판하며 “참전을 기억하라”고 요구한다. 이처럼 에티오피아 난민이 발휘하는 정치적인 행위자성은 참전용사 담론이 상상하는 “에티오피아”의 허구성을 증명한다. 결론적으로, 한국과 에티오피아를 연결하는 참전용사 담론은 하나의 서사로 모든 이야기를 환원한다. 담론은 한국 사회가 받아들이는 상상된 “냉전”의 세계사를 구성하는 데 요긴한 역사와 기억을 끌어당기고, 그렇지 못한 서사를 말소시킨다. 그러나 완벽한 질서를 구축한 것처럼 보이는 담론은 늘 예상하지 못한 곳에서 어긋나버린다. 본 연구는 단일한 거대서사로 상상되어 온 20세기 냉전사를 복수의 서사들이 중층적인 맥락에서 상호작용하는 역사들로 재구성하는 작업의 결과물이다. 이는 결국 ‘국민국가’라는 범주의 예측 불가능성을 증명하는 것으로 귀결된다. 연구자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내용을 근거로, ‘국민국가’라는 일반 범주를 질서 있게 배치된 코스모스가 아닌, 예측 불가능하게 충돌하고 결합하며 새롭게 생성되는 카오스적인 것으로 이해해야 할 필요성을 주장한다. 그리고 에티오피아의 참전이라는 특수한 맥락에서 국민국가가 상상되고 구성되는 카오스적인 방식들을 따라갔던 이러한 시도가 인류학적 현장을 물리적 실체로 환원하지 않는 연구의 한 사례로 읽히길 기대한다. This thesis analyzes (re)structuring courses of the ‘Cold War’ and ‘nation-state’, with examining the topography of discourse about Ethiopia’s war veterans in the Korean War. Various statements relating to Ethiopia’s participation in the Korean War become a discourse that has a unique structure and rule. The discourse of war veterans produces imagined geography as “Ethiopia” that could influence on constructing the memory of the Cold War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Ethiopia. Thus, this thesis investigates relations between the discourse and Cold War terrain and tries to restructure a history of the Cold War that is imagined in a specific way in the context of war participation. Also, It confutes a strong belief which considers a ‘nation-state’ as an identical and unitive community. Following these objects, I make three questions. First, What is the subject and method in which the discourse talks about the history of the war? And what kind of history is being pushed aside? Second, How does the imagined geography as “Ethiopia” produced by the discourse affect the way of memorizing the Cold War? Third, How is the unit of nation-state “Ethiopia” assumed by the discourse established and embodied. The Fields of this thesis are Chuncheon and Seoul. Chuncheon, the main battlefield of the Ethiopian army in the Korean War, is now the place where the memorial of Ethiopia’s war participation and relating organization locates. I visited several places there and conducted interviews and researches. Furthermore, I did fieldwork for 10 months in an Ethiopian restaurant which is placed in Noryangjin, Seoul. In Chapter 2, I figure out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 discourse and describe its topography. The way which Korean society memorizes Ethiopia’s participation in the Korean War has been interlocked with turning points of modern histories. The discourse, being built from the 1990s, consists of myth, imagination, and development. The story about Ethiopia as “Guardians of Freedom” which protected South Korea against the communist camp but had been defeated by ‘evil’ is now memorized as a kind of tragic hero myth. “Ethiopia” which is the land of a hero is represented as imagined geography which means a nation-state based on a unilinear history. Then, the narrative of ‘Repaying and Development’ establish, calling for Korea to help Ethiopia’s development to appreciate their sacrifice. In Chapter 3, I focus on the aspect that Korea and Ethiopia connected with the Non-alignment movement of the Third World. The way of memorizing the Korean War history could show how do both two countries cognize and have attitudes about the Korean War and Cold War. But, the existing viewpoint, which understands the Cold War only as a dichotomy of liberalism/communism, fails to explain complicated histories related to the Non-alignment movement. In particular, Ethiopia joined the current of Non-alignment actively. Above all, the history of the third world socialism solidarity between Ethiopia and Cuba reveals a quite different side with a shape of imagined “Ethiopia”. In this way, the Cold War has been a ‘global history’ that spread worldwide, and the conventional epistemology cannot handle the multi-layered context of the Korean War and Cold War enough. In Chapter 4, I reexamine the nation-state “Ethiopia” which is imagined by the discourse based on fieldwork data about the Ethiopian restaurant ‘Selam’ in Noryangjin. This restaurant is a place like ‘home’ for Ethiopian migrants living in Korea. Because they could use their language, enjoy familiar food, and listen to Ethiopian music there. However, this is the place where the predicament of nation-state Ethiopia comes out. In other words, a fault line of ethnic conflict, which is historically intertwined with each other, shows its existence. Ruptures experienced by Ethiopian migrants appear through the ‘soundscapes’ of ‘Selam’ in a moment. Music interlinked with political issues fosters subtle tensions. In the meantime, the category which is represented by the discourse as identical “Ethiopia” is deconstructed. Withal, this unitary unit temporarily constructs when the mega infrastructure project regarding with ‘enemy’ of the nation-state, such as Egypt, exist. This phenomenon, though, only confirms the fact that the category of ‘nation-state’ is very fluid and precarious. In Chapter 5, I capture scenes that refugees from Ethiopia, who stand outside of the nation-state, appropriate the meaning of war participation during their activity in Korea. Refugees are usually considered ‘enemy’ who locates outside of the nation-state’s boundary, or ‘a type of person’. But Ethiopian refugees in Korea occupy the distinctive position that is ‘thankful but uncomfortable being’ on account of war participation history. The discourse transforms the devotion of Ethiopia into a ‘gift’ that should be repaid, then gives it back with a form of comprehensive international development. Nevertheless, Ethiopian refugees exte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by repayment for Korea's ‘hospitality’. They, also, request to “Remember war participation”, criticizing the refugee screening system of Korean governments. On this account, their political activity proves the fabrication of imagined “Ethiopia”. In conclusion, the discourse about war participation, which connects Ethiopia and Korea, reduces every kind of story to one single narrative. It pulls some history and memory which are useful for constructing the world history of imagined “Cold War”, acceptable for Korean society. It, on the other hand, erases unuseful narratives. But the discourse, seeming like forge the perfect order, is always disjunctured in unexpected places. This thesis is an outcome of reconstruction that tries to rewrite the Cold War history imagined as a single ‘Master Narrative’ to ‘histories’ which consist of multiple narratives in multi-layered contexts. As well, the thesis ends up describing the unpredictability of the ‘nation-state’ category. On the basis of this thesis, I argue that we need to understand the fact that a general category ‘nation-state’ is not the cosmos which is arrayed in orderly, but the things of chaotic which collide, combine, and create with each other unpredictably. I, finally, hope that this thesis, which follows the chaotic way in which the nation-state is imagined and constructed in the specific context of Ethiopia’s war participation, will be read as an example of research that does not reduce anthropological fields to a physical entity.

      • 미디어 리터러시 신장을 위한 영화 활용 지리 수업 : 영화 '스텝업 4: 레볼루션'과 '도시 재개발' : Movie ‘Step up 4: Revolution' and 'Urban redevelopment'

        박효진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2270

        These days a variety of information can be provided easily and quickly anytime and anywhere due to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evelopment.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here are more chances for students to see the world indirectly but rather through the various media platforms. Therefore, the importance of ‘Media Literacy’ education (A course about how to read and interpret media )has been stressed with the increase of awareness. There should be constant emphasis placed on learning about the media and its value. Therefore, I analyze the class effect while designing geography lesson plan and applying it to the students. The students had to develop a geopraphic imagination by finding a geographic phenomena and critically analyzing it.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wo hundred and eighty-eight second graders in highschool and I choose ‘Lesson 4. A Space for Living and Leisure – Urban redevelopment.’ The topic was about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city and their changes. A 7 period-lesson plans was created around education through cinema in order to increase media literacy. After the class, survey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students and I judged whether the lesson goals were achieved or not by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survey. Most of the students were interested and actively involved in these classes of reading and interpreting the media. They clearly analyzed the reproduction process of the media such as spatial features of the city, conflicts and characters as well as suggesting a the solution for the urban problems based on it. There is getting across the information about various places throughout media. The geographical phenomenon which was taken by media could approach to critical object and interpret it. We have to make students understand about our revolutionized world and promote geographical imagination through this course. This study was for the improvement of media literacy – the ability to catch geographical phenomenon by media by analyzing and interpreting it. What is important is the development of specific lesson plan by seeking ways to improve critical thinking and geographic imagination. We can do this through activities such as students’ reading, interpreting and actively reproducing the geographic phenomena seen in the media. 오늘날 정보통신의 발달로 다양한 정보를 언제 어디에서나 쉽고 빠르게 제공 받을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은 변화에 따라 학생들은 세계를 직접적으로 경험하기 보다는 다양한 미디어를 통해 간접적으로 세계와 만나는 경우가 더 많아지고 있다. 따라서 그들의 올바른 지식과 가치 태도 형성을 위해서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한다는 인식과 함께 미디어를 바르게 읽고 해석하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지리수업에서 미디어의 역할은 더욱 중요하다. 왜냐하면 세계에 대한 많은 지리적 지식들이 미디어를 통해 전달되기 때문이다(조철기, 2012). 따라서 미디어 속에 담긴 다양한 장소가 가진 표상을 재해색하여 미디어에 의해 재현된 지리 현상을 찾고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장소에 대한 지리적 상상력을 키울 수 있는 지리과 교수 학습 과정안을 설계하고 이를 학생들에게 적용하여 그 수업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고등학교 2학년 288명이며 한국지리에서 도시의 공간적 특징과 그 변화를 주제로 한 ‘Ⅳ. 거주와 여가의 공간- 도시재개발’ 단원을 선정하였다. 도시 단원과 관련이 깊으며 도시의 특징과 도시 재개발 문제가 잘 나타난 영화 ‘스텝업 4: 레볼루션(Step Up 4 : Revolution, 2012)’ 을 선정하였다. 미디어 리터러시를 신장하기 위한 7차시의 영화 활용 지리 수업과 교수 학습 과정안을 설계하여 수업을 실시하였다. 수업을 진행 한 후 학생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학생들의 탐구활동지를 분석하여 수업 목표 도달여부를 판단하였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미디어를 읽고 해석하는 수업에 흥미를 가졌고 적극적인 참여가 돋보였다. 미디어 속 도시의 공간적 특징과 갈등구조, 인물의 특징 등 미디어 속에 재현 과정을 비교적 뚜렷하게 분석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실제 도시문제의 해결 방안을 제시하였다. 다양한 장소에 대한 정보가 미디어를 통해 전달되고 있다. 우리가 미디어에 의해 얻어지는 지리적 현상은 비판하고 해석해야하는 대상으로 접근하여야 한다. 이러한 접근을 통해 학생들에게 미디어에 의해 재현 되는 세계를 이해하고 그 과정을 통해 지리적 상상력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는 미디어에 나타난 지리적 현상이 미디어에 의해 재현된 모습임을 알고 이것을 해석하고 분석하는 능력을 키우는 미디어 리터러시 신장을 위한 지리수업을 연구하였다. 이것은 기존의 미디어를 활용하는 지리교육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지리교육 안에서 미디어에 재현된 지리적 현상을 학생들이 바르게 읽고 해석하며 능동적으로 재창조하는 활동을 통해 비판적 사고력과 지리적 상상력 및 사고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구체적인 교수 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현대도시 서울의 형성과 1960-70년대 소설의 문화지리학

        송은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32252

        이 논문은 1960-70년대 문학 텍스트에 재현된 서울에 관한 표상과 담론 등을 사회적·지리적 맥락 속에서 살펴봄으로써, 문학의 재현방식이 서울이라는 도시공간의 생산과 맺는 관계를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이 글은 서울의 공간적 변화와 문학적 상상력의 사회공간적 의미를 가장 잘 보여주는 1961-79년을, 문학 텍스트가 서울의 도시공간에서 일어나는 변화에 대응하여 보여주는 재현 방식의 변화에 근거하여 세 시기로 나누어 고찰했다.서울이 현대도시로 재탄생하게 되는 기반이 마련되는 1961-66년은, 서울의 지리적 경계가 거의 지금과 같이 확장되고 도시계획법과 건축법이 새롭게 제정되어, 현대 도시 서울이 탄생할 수 있는 물리적·법적 기반이 마련된 시기에 해당한다. 그러나 국가의 정책과 영향력이 대중의 무정형적 힘과 욕망 앞에서 큰 힘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었기 때문에, 아직 서울은 상업지역과 거주지가 혼재하는 ‘점이도시’의 양상을 띠고 있었다. 또한 명목상으로 확장된 지리적 경계와 상관없이 대중들의 지리적 감각은 전통적인 보행권 범위의 공간에 한정되어 있었으며, 도시의 여러 장소들은 새로운 가치체계 속에 편입되지 못한 채, 역사적 기억을 통해 인식되고 환기되고 있었다.1960년대 초중반 한국 사회에서 서울이 지니는 의미와 역할을 변화시킨 것은 국가 권력이 아니라, 무작정 서울에 몰려든 사람들이 뿜어내는 욕망과 그들이 만들어낸 서울에 대한 관념이었다. 이 시기를 다룬 문학 텍스트들은 서울의 이미지를 새롭게 형성하는 데 동참하면서, 대중의 욕망을 포착하기 위해 현실과 다른 허구적 관념들을 서울에 덧씌우기도 한다. ‘서울에 대한 동경과 갈망’을 표현하는 서사들은, 1950년대 중반부터 시작된 서울로의 인구집중 현상을 미학화시킨다. 특히 서울의 바깥에서 서울을 ‘고향’처럼 상상하고 향수병을 앓는 청년들의 내면에 대한 묘사는, 서울을 향한 맹목적 동경을 정서적·문화적으로 정당화시키는 기제가 된다. 이와 반대로 서울 사람의 이미지와 내용에 상경민들의 삶을 채워 넣는 서사들은, 상경민들이 서울을 자신의 것으로 전유하여 ‘재영토화’하는 한 가지 방식을 보여주는 것이다. 서울과 지방이 내용을 상호교환하는 문학적 서사들은 결국 서울과 지방의 위계화를 강화하는 역할을 담당한다.또한 문학 텍스트들은, 서울에 갓 진입한 사람들이 서울에서 느끼는 ‘좌절’과 ‘희망’의 상반된 내면적 상황들을 일상생활의 양상과 사적 공간, 그리고 거리와 여러 문화공간들을 비롯한 공공의 공간에 각각 다르게 투사시킨다. 즉 상경민과 월남민들이 거주하는 빈민가 판자촌의 단칸방들은 좌절과 번뇌가 숨쉬는 공간으로 묘사되는 데 반해, 서울의 거리와 특정 장소들은 경제적·문화적·성적 욕망의 실현을 기대하게 하는 희망의 공간으로 처리된다. 문학 텍스트는 마치 서울이 사회적 약자들에게도 성적 자유와 해방감을 안겨주고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공간이라도 되는 것처럼 재현함으로써, 서울에 대한 사람들의 맹목적인 열망에 정당성을 부여하는 한편 서울이 지방과의 관계에서 차지하는 우위와 절대적 중심성을 반복적으로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동시에 문학 텍스트들은, 진정한 서울 사람이 되고 싶은 비(非)서울 출신 사람들의 위악적 삶을 서울의 진정한 실체이자 주류적 삶으로 묘사하고 서울 토박이들을 서울의 변화에 적응할 수 없는 사람으로 퇴출시킴으로써, ‘서울 사람’의 이미지를 상상적으로 재구성하는 데 기여한다. 아울러 이 시기 서울의 현재에 내포된 미래의 가능성과 부정성을 비판적으로 선취하고 있는 텍스트는, 서울 사람들의 욕망이 자본주의가 보여주는 경제적 여유와 번영을 향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일종의 ‘할렘’으로 은유되는 서울은, 개발이라는 명목으로 전통의 고도(古都)를 점령하고 유린하게 될 서울의 상황을 정확하게 집약하고 있다.국가의 강력한 개발 정책으로 인해 서울의 도시공간과 일상생활에 큰 변화가 일어나기 시작하는 1966-71년은, 문학 텍스트들이 서울의 변화를 계층화와 특권적 사유화에 불과한 것으로 인식하게 되는 시기이다. 1966년 이후 제 1차 경제개발계획의 성과를 바탕으로 제 2차 계획이 시작되면서 자본주의적 경제 논리가 도시공간에 침투하고, 김현옥 서울 시장의 ‘불도저’식 시정 운영이 서울의 밑그림을 바꾸게 된다. 이에 따라 문학 텍스트들은 사람들의 지리적 감각에 포착된 광역화, 계층화, 가속화 현상을 재현함으로써, 서울이 불평등한 공간 이동에 의존하고 새로운 경쟁의 질서로 진입하고 있음을 보여준다.당시 서울의 도시공간에 일어난 사회 변화는 ‘중심의 강화’라는 측면에서 재현되고 있다. 일상적 생활공간들이 상업, 문화, 유행, 소비의 도심 집중과 결합시키며 공간 이동을 따라 흘러가는 문학적 서사가 자본주의 경제논리에 따라 막대한 자본이 투여된 도심을 상징적 층위에서 서울 내부의 중심으로 계속하여 재생산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이 시기의 문학 텍스트들은 도시공간의 전체적 재배치와 그것을 가능하게 했던 경제호황에 따른 계층분화가 도시의 사적 공간에 미친 영향을 그대로 드러내 보여준다. 서민 계층의 분화와 이에 따른 사적 공간의 계층화가 선명하게 나타나 있을 뿐 아니라, 도시 공간의 재배치에 따른 내면적 갈등의 양상도 좀 더 다양해진 것이다.무엇보다도 문학 텍스트는 ‘개발’과 ‘조국 근대화’의 구호 아래 행해지기 시작한 당시의 여러 정책들이 일반 대중들을 발전의 중심에서 ‘배제’하여 추방시키고 탈락시키는 것임을 간파한다는 점에서, 이 시기 국가정책에 내포된 지배 이데올로기의 의미를 공간적 변화의 측면에서 인식하게 만드는 역할을 담당한다. 문학 텍스트들은, 공간을 이용하는 시간을 통제하고 규율하는 국가적 시스템이 이러한 공포와 불안의 신호를 잠재우고 있음을 간파한다. 상시적인 통행금지 제도와 크리스마스의 임시 해제는 서울이라는 도시 공간에서 시간과 공간의 배급과 사용을 제한하는 동시에, 계급적 차이를 가시화시키는 계기가 된다. 이는 서울 도심 재개발과 변두리 확장에 따른 공간적 계층화와 보조를 같이 하는 현상으로, 도시 공간이 시간적 차원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불평등하게 개인들에게 이용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것이다.아울러 다른 문학 텍스트들은 서울의 변화가 비의적이고 불가해적인 성격으로 체험되는 방식을 보여주고 예술보다 더 우위에 있는 현실의 환상성을 강조해서 보여주면서, 그것을 이해하는 의식적 차원에 대한 메타적 반성을 보여준다. 또한 이 시기의 문학은 서울의 도시경관과 사적 공간이 현대 도시로의 변화 속에서 고유성을 잃고 있으며, 서울이 무장소성의 도시로 태어나고 있음을 주목한다. 전반적으로 볼 때, 1966-71년 사이에 씌어진 소설들은 도시 인구와 공간의 재배치, 새로운 연결망의 건설에 주력하는 국가 정책이 도시 공간의 계층화, 특권 계층의 공간 점유, 무역사성의 심화등을 유발하는 원인임을 파악하고, 서울에서 벌어지는 여러 변화에 대해 비판적 목소리를 내는 데 동참하는 경향을 보인다.그러나 1971-79년에 이르면, 서울의 도시공간의 구조와 배치에 새로운 변화가 일어나고 이에 따라 문 재현하는 서울의 사회적 공간으로서의 특성도 바뀌게 된다. 1970년대는 서울이 지금과 같은 모습의 현대 도시로 정착하면서, 도시 공간의 내부와 바깥 모두에서 새롭게 중심이 고착되는 시기로서, 기존의 강북 도심에 개발제한 정책이 실시된 것과 달리 서울의 문화·지리·경제의 지형도를 바꾼 강남 개발이 각종 특혜 속에 본격화된 시기이다. 이는 기존의 도시공간 위주로 이루어졌던 공간과 인구 재배치가 새로운 중심의 형성 위주로 바뀌게 된 것을 의미한다. 또한 그 자체가 하나의 중심인 서울과 바깥의 위성도시 간의 ‘안과 밖’의 위계적 관계가 가시화되면서, 서울 중심주의에 내포된 계급적 위계화와 폭력성이 공간적 계급 갈등으로 드러나게 된다.이 시기의 문학 텍스트들은 서울의 도시공간 내부에서 새롭게 정립되는 공간적 질서들을 보여주는데, 특히 강남 개발은 도시공간을 생활과 주거의 장소에서 벗어나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관점에서 바라보는 경제적 공간감각을 탄생시키는 계기가 된다. 새롭게 창출된 도시공간인 강남은 낯설고 생경한 거부감을 주면서도, 대중들이 새롭게 지향하는 경제적·문화적 가치를 집약한 공간으로 묘사된다. 이는 강북을 낙후되고 정체되어 있으며 혐오감을 불러일으키는 곳이라고 느끼는 감각과 연관되어 있다. 그것은 국가정책의 관심과 자본이 강남에 집중되어 있음을 알려주는 것인 동시에, 도시공간을 바라보고 평가하는 기준이 새롭게 바뀌었음을 보여준다.아울러 이 시기의 문학은 서울이 주변의 위성도시 위에 군림하는 새로운 의미에서의 중심으로 기능하기 시작했음을 보여주는데, 예컨대 위성도시 성남의 서울에 대한 종속성을 사람들의 수치심을 통해 형상화하는 텍스트가 이에 해당한다. 문학 텍스트들은 계급의식을 토대로 서울 내부의 공간적 분리에 대해 새로운 재현방식을 제시하기도 한다. 이 소설들은 서울의 빈민지대를 계급 투쟁의 장으로 묘사함으로써, 서울을 새로운 정치적 의미를 지닌 사회적 공간으로 상징화하고 있다.이 시기 서울의 공간표상 중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다른 특성은, 서울이 문화, 교육, 취향, 소비 등과 관련된 상징적 투쟁의 장으로 변모했다는 점이다. 예컨대 이 시기의 문학 텍스트들은 강남 지역의 공간적 특성을 문화, 교육, 위생 등 여러 항목과 결합시키는 서사 형식을 통해, 계급 분화와 갈등을 심화시키는 공간적 구별짓기의 들을 채택하고 있다. 사람들의 욕망이 투사되는 아파트 공간에 대한 문학적 재현양상들은, 중산층의 욕망이 공간적 점유를 통한 동화와 문화적 구별짓기라는 이중적 시스템 속에서 가시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대학생 청년들의 소비 풍속도를 ‘차이’의 지향이라는 방식으로 묘사하는 소설들은 서울에 새로운 사회적·정치적 의미를 띤 소비공간으로서의 의미를 적극적으로 부여하고 있다.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1960-70년대에 씌어진 한국 문학 텍스트들이 당시 급격한 자본주의화가 부추긴 서울의 현대도시화와 그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를 포착하는 한편, 그것을 통해 문학적 상상력이 서울이라는 공간의 사회적 생산에 동참하고 그것을 실천적 장으로 만드는 방식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현대 도시 서울의 형성과 변화 과정을 야기한 국가 정책과 경제 성장의 의미를 현재 우리의 삶 속에서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다. 문학 텍스트들은 서울의 도시 공간과 사람들의 일상생활의 공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으며 또 그것이 어떠한 방식으로 체험되어 우리의 기억에 잠재되어 있는가를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 Being born anew as a modern city in the 1960s - 1970s period, Seoul has been a juncture of symbolic importance, which has given a glimpse on all the social phenomena occurring across the nation. Korean literature of this time captures modern urbanization of Seoul boosted by rapid capitalization and its consequences for daily lives, and thereby shows how literary imagination participated in the social formation of Seoul and turned it into the city of reality.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deals with the relations between the recreation method of literature and the formation of Seoul by examining symbolization and discussion of the city in the 1960s and the 1970s in the social and geographical contexts. To this end, this study will focus on the period from 1961 through 1979 when the changes of Seoul and socio-geographical significance of literary imagination became clear, and divide this period into three phases according to the changes of recreation methods in relation to the real changes that took place in Seoul.From 1961 to 1966, when the foundation of Seoul as a modern city was laid, Seoul had almost the same geographical boundary that it does now. The laws of urban planning and construction were newly established as a physical and a legal basis for the birth of modern Seoul. However, the authority and the influence of the government was still too weak in the face of enormous power and desire of people, and Seoul still remained in a transitional status where the business area was mixed with the residential area. Despite the seemingly extended geographical boundary, people's notion of Seoul was limited to the area where they could reach by walk and many places within the cities were recognized only through reminiscing them from the history rather than as a part of the new value system.It was not the political power of a strong government, but the yearnings of people who rushed to Seoul and their notion about Seoul that changed the meaning and the role of the city in early and mid 1960s. Literary texts about this period played their role in making fictional images of Seoul to capture the public desire as well as in creating the new images of the city. The texts depicting the admiration and the yearning for Seoul portray the population concentration from mid-1950s aesthetically. The description of the youth who missed Seoul from outside the city provides emotional and literary basis for justifying blind adoration for Seoul. Meanwhile, other texts are about newcomers who fit their lives into the images and the lifestyle of native Seoulites. These texts show how these newcomers made Seoul their own home. By letting Seoul and provinces exchange the lives of their own people, these texts strengthened the hierarchy between Seoul and provinces.Literature of the 1960s and 1970s reveals the opposite feelings of despair and hope experienced by newcomers to the city in different situations such as daily routines, private spaces, streets and cultural places. In these texts, slums where people from provinces or North Korea lived are the space of despair and agony, while the downtown and some special places are the space arousing expectations for realizing economic, cultural and sexual desires. Literary texts recreates Seoul as a space where even the disadvantaged can satisfy their sexual and cultural desires, and thereby justifies yearnings for Seoul and repeatedly emphasizes the superiority of Seoul to provinces. At the same time, however, these texts depicts the newcomers who wanted to become real Seoulites as the real identity and mainstream of the lives in Seoul, while regarding native Seoulites as being isolated from the changes that Seoul was going through. By doing so, they contributed to creating imaginary faces of Seoulites. Some texts adopt critical approach to the possibilities and uncertainties of Seoul and shows people's desires for the economic prosperity promised by the capitalism. They compares Seoul to Harlem and points out how the traditional city was violated in the name of development.Literary texts began to recognize that the changes of Seoul were the process of stratification and privatization of privileges in the period of 1966-1971 when the government-led strong development drive brought about dramatic changes to the city of Seoul and the daily lives of those living in the city. Building on the first economic development plan, the second stage of the development was kicked off in 1966 and the capitalistic principles penetrated the city life with Kim Hyun-ok, then mayor of Seoul, pushing for reckless development campaign and altering the landscape of the city. Fictions of the time describes how Seoul moved toward the new and unfair rules of competition by reproducing the phenomena such as expansion, stratification and acceleration in view of people's geographic sense.The social changes witnessed in Seoul in this period were viewed as 'strengthening of the center.' With places of routines being mixed with concentration of commerce, culture, trend and consumption, the literary narrations are streaming along the space into the very center of Seoul and reproducing it as the symbolic core where enormous resources were flowing in. At the same time, literature reveals the influence of overall rearrangement of the city and economic prosperity behind it on private spaces. Accordingly, inner conflicts resulting from the rearrangement became diverse and the stratification of the mid-low class and the consequent division of private spaces became clear.Literary texts help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dominant ideologies of then government's policies in view of spatial changes by pointing out that the isolation of general public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and modernization. These texts reveal how the government's system based on control over time and space suppressed the fear and anxiety. Permanent curfew and temporary lifting of it on Christmas Eve demonstrates the government-control over time and space, and class differences in Seoul. These were in line with redevelopment of the downtown and expansion of the outskirts, showing how the spaces within the city were distributed inequally among different classes. Other texts show the inconceivable way people experienced the changes in Seoul and the fantasy of reality above art as well as the meta-reflection to the cognition of understanding the fantasy. Literary texts also focus on the Seoul's loss of traditional features and its becoming placeless. Generally speaking, fictions during the period of 1966 to 1971 recognize the government drive for construction of new networks and for the rearrangement of citizens and spaces caused stratification within the city, occupation of spaces by the privileged and aggravation of ahistoricity, and added critical voices against the changes that Seoul was undergoing. However, from 1971 to 1979, the space within and the structure of Seoul became rearranged again and the characteristics of Seoul as a social space in literatures also changed. In 1970s, Seoul acquired the features of a modern city that it presently has and new centers were designated within and out of the city. While the development drive in the past was focused on the north of the river Han-gang or Gangbuk area, in 1970s development projects taking advantage of various privileges were concentrated on the southern part of Seoul, changing the cultural, geographical and economic landscape of the city. The development of the south indicates the shift of focus in the rearrangement of the space and the population to the creation of a new center. At the same time, as the hierarchy that divided Seoul and satellite cities became tangible, so did class conflicts among different spaces. Literary texts of 1970s reveal the new spatial order established within the city. In particular, the development of the south or Gangnam area gave people a new perspective on a city as a space producing economic value. In these texts, the newly born area of Gangnam seemed strange and unfamiliar, but it was the very space of economic and cultural wealth that the general public came to yearn for. Meanwhile, the north or Gangbuk was degraded into an underdeveloped and stagnant district. The degradation of Gangbuk demonstrates the concentration of the government interest and resources on Gangnam and the newly established criteria for evaluation of city districts.Literature of 1970s shows how Seoul began to rule the neighboring cities as a center in a different meaning. Some texts typically describe the sense of humiliation experienced by people in one of the satellite cities to demonstrate the dependency of those cities on Seoul. Other stories describe the spatial division within Seoul as class consciousness. For example, they depict a slum as a field of class strife and turns Seoul into a space of soci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The most outstanding feature of Seoul captured by writers of this period was the struggles over culture, education, tastes and consumption that took place in the city. For instance, these writers combine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Gangnam with various aspects such as culture, education and hygiene and adopted a distinction system aggravating the divergence and conflicts among classes. The description of lives in an apartment shows how the desire of the middle class became clear by two opposite systems of assimilation and cultural distinction. Some texts describing the consuming trend among college students as inclination to be different see Seoul as a space of consumption full of social and political implications.As we discussed above, Korean literary texts written in the 1960s and the 1970s capture the urbanization and the changes of lives caused by rapid capitalization, and thereby show how literary imagnation contributed to the creation of Seoul as a social space and turned it into a space of real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