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빈곤청소년의 학교부적응 감소를 위한 학교사회사업 프로그램 분석연구

        박윤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807

        After large complexes of rental apartments have been built, teenagers living in these areas are having a harder time getting along in school and showing more misconduct than before recently. And to solve these problems concerning teenagers from poor families, the local social welfare center started to run a school welfare program. But since such programs are new to Korea, the appropriate programs and practice models for the teenagers could not be found despite the several programs that are run for the teens from poor families. Neither were any studies or analysis done on the programs though many problems have been revealed by the practice of local social welfare centers.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programs and search for the appropriate program and model. And this study is such an analysis of school welfare programs to help teenagers from poor families to get along in school. One analysis is that of the program contents and the second is an analysis of the program model. The study is purported for coming up with the most appropriate content and model for school welfare programs that will help teens from poor families to adapt themselves to school. For this purpose the study is staged in the rental apartment complex. And 3 local social welfare centers with the best organized programs for poor teenagers have been selected for the analysis. The study concludes as follows. First, to help the teenagers do well in school, the programs must contain individual factors such as enhancing responsibility and relationship with others, family factors such as family support and understanding parental guide, school factors such as warm classroom atmosphere, teacher's support, and extracurriculum activities, and local community factors such as role models. Most programs dealt with individual factors on group basis when they should be adapted respectively to each individual, and the programs were relatively too short. Though family support had been enhanced through family counselling and education for parents, connections with parents seemed rather weak. Many programs also did not contain school factors for enhancing a warmer classroom atmosphere. This was due to the fact that students were put into the programs for punishment rather than prevention of misconduct. And though counselling and education for teachers have proven to be effective in building a supportive system, these were not practiced due to lack of man power and overload of work. Volunteer activity is judged to be the best extracurriculum activity and it is shown to be greatly effective in constructing a positive relation within the local community. Though community role models were found to be highly effective for all teenagers, those who are mentally healthy and those who don't get along in school, this was not appliable to short term programs. Among the programs analyzed, 6 of them included all 4 factors mentioned above, and more than 3 of them included more than 3 factors. So it can be said that the contents of these school welfare programs are rather well organized. But the connections with parents were weak and the short term group programs were not appropriate for solving problems of teenagers from poor families. This was due to inappropriate practice models. On the other hand, case work was most effective for enhancing responsibility, counselling for families and teachers, and role models. And group work was effective for enhancing relationship with others and education for parents and teachers. Long term case work turned out to be more effective especially for teenagers from poor families than short term group work. Group work was more effective for parents and teacher rather than the teenagers. Second, the analysis of practice models show that lack of knowledge and inappropriate application of practice models lowered the effect of the programs. Such use had especially affected the intervention of these programs. On the other hand, the school change model is not applied in Korea. This is because the model tends to change the school itself, it is risky when the program is operated by the school itself as it is in Korea. The clinical model is applied the most in Korea as 4 out of 9 programs analyzed had applied the same model. Problems due to the tendency to be based more on group instructions rather than supportive counselling, to be short term rather than long term, and practiced for punishment rather than prevention of misconduct derive from the inappropriate application of the practice model. The case management system was gradually applied for students who could not get along well in school. And this was distinctively effective for teenagers from poor families that were mentally healthy after long term intervention. 2 programs had applied the community school model and gradually organized a case management system to solve left out individual and family problems. The resources of the community were connected and organized. The 2 programs that were analyzed also contained many school-linked comprehensive services model factors. The transfer to the school-linked comprehensive services model to modify the disadvantages of the clinical model and the community school model proves that the school-linked comprehensive services model is the most appropriate practice model for helping students from poor families get along in school. The school-linked comprehensive services model was applied in 3 programs and turned out to be the most effective model for teenagers from poor families who could not adapt themselves to school. Third, the analysis of the practice models suggested the requirements for applying the school-linked comprehensive services model. The structured group programs were first sub-structured, then transferred to case management systems, and then to collaborative systems using community resources to solve problems of the community school model. This process shows what is required for applying the school-linked comprehensive services model. The model must be organized in a case management system, intervene with the individual, family, school, and community respectively, and organize and connect the community resources for this purpose. As a conclusion, the school welfare programs purported for helping poor students adapt themselves to school must be organized to include all the individual, family, school, and community factors. These 4 factors may vary according to the practice model. However, the school-linked comprehensive services model turned out to be the most appropriate since it contains all 4 factors and practices a more integrated intervention with the individual, family, school, and local community. In cases of long term intervention, clinical models turned out to be effective for poor teenager who are relatively healthy mentally. 최근 대단위 영구임대아파트 조성으로 인해 빈곤지역에 거주하는 빈곤청소년들은 학교에 부적응하고, 비행을 저지르는 등 빈곤지역의 청소년문제가 날로 심각해졌고, 이들에 대한 문제해결을 위해 지역사회복지관은 학교사회사업프로그램을 실시하게 되었다. 그러나 학교사회사업은 우리나라에서 실시초기단계에 있기 때문에, 빈곤청소년에 관한 몇몇 프로그램들이 생겨났으며, 대상자에 맞는 프로그램내용구성과 실천모델에 대한 정확한 인식 없이 혼동되어 사용되어 왔다.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복지관들의 많은 시행착오에도 불구하고, 이 프로그램들에 대한 전체적인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은 채 실시되어 지고 있다. 따라서 빈곤청소년들의 부적응의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프로그램 내용이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며, 어떤 실천모델을 가지고 실시되어야 가장 적절한지 프로그램을 분석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빈곤청소년의 학교부적응 감소를 위해 실시되고 있는 학교사회사업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분석은 프로그램내용분석과 실천모델분석의 2개 차원에서 분석되었다. 분석을 통해 빈곤청소년의 학교부적응 감소를 위한 학교사회사업프로그램은 어떤 내용과 실천모델이 적절한지를 알아보고자 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영구임대 아파트 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학교사회사업이 가장 잘 실시되고 있는 지역사회복지관 3곳의 빈곤청소년프로그램을 선정하여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내용에는 빈곤청소년의 학교부적응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개인요인으로 책임감과 대인관계기술훈련, 가정요인으로 가족의 지지와 민주적 양육태도, 학교요인으로서 민주적 학교분위기, 교사의지지, 교과과정이외의 활동, 지역사회요인으로서 바람직한 역할모델의 영향이 포함되어야 한다. 개인요인은 대부분의 프로그램에서는 개별욕구에 맞는 문제해결보다 집단 프로그램중심으로 개입되는 것이 문제로 분석되었고, 특히 그 기간이 단기프로그램인 것이 문제로 분석되었다. 가정요인으로서 가족의 지지를 위한 가족상담과 민주적 양육태도를 위한 부모교육은 청소년에 대한 지지의 효과가 현저하게 높음에도 불구하고 부모와의 연계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요인으로서 민주적 학교분위기는 해당되지 않은 프로그램들이 많이 있었고, 그 이유는 학생들을 예방차원보다는 징계차원에서 프로그램에 참여시키고 있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교사의 지지체계확보를 위한 교사상담과 교사교육은 실시한 복지관에서는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대부분의 프로그램에서는 인력부족, 사회사업가의 업무과다로 인해 실시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과과정이외의 활동으로는 자원봉사활동이 가장 긍정적 평가를 받고 있으며, 자원봉사는 지역사회와의 긍정적 관계형성에도 큰 계기를 마련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요인으로서 바람직한 역할모델의 영향은 정서적으로 건강한 청소년이나 부적응청소년 모두에게 효과가 높았던 프로그램이었지만, 단기프로그램에서는 실시될 수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내용분석결과 이 4요인들이 모두 포함되어진 프로그램은 6개, 3요인이상 포함되어진 프로그램은 3개 프로그램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빈곤청소년의 학교부적응 감소를 위한 학교사회사업프로그램들은 내용 면에서 잘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부모와 교사와의 연계가 미흡하였고, 단기-집단 프로그램중심의 개입들은 빈곤청소년의 문제해결에 맞지 않음이 나타났는데, 이는 실천모델의 혼동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가장 효과적이었던 개입방법으로는 책임감, 가족의 지지를 위한 가족상담, 교사의 지지를 위한 교사상담, 바람직한 역할모델의 영향 등의 요인은 Case work을 통한 개입방법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대인관계기술훈련, 부모교육, 교사교육은 Group Work을 통한 개입방법이 가장 효과적이었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빈곤청소년에게는 구조화된 단기집단 프로그램보다는 사례관리체계의 장기프로그램이 더욱 적절한 개입으로 나타났으며, 집단 프로그램은 청소년보다 부모와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임이 분석되었다. 둘째, 실천모델분석결과 모델에 대한 뚜렷한 인식없이 여러 모델을 혼동한 결과 프로그램내용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실천모델의 혼동은 프로그램의 개입방법에 크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천모델 중에서 학교연계통합모델이 가장 적절함이 분석되었다. 한편, 우리나라에서 학교변화모델은 실시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로서 학교변화모델은 학교자체를 변화시키려고 하기 때문에 사회사업가에게 위험부담이 큰 모델이기 때문에 학교사회사업실시단계인 우리나라에서는 실시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모델로 분석된 프로그램틀은 9개 프로그램 중 4개 프로그램으로서,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프로그램에서 실시되는 모델로 분석되었다. 지지적 상담보다 집단 지도중심의 프로그램의 문제점, 장기가 아닌 단기프로그램의 문제점, 예방적 차원이 아니라 징계차원에서 실시되고 있는 무제점이 나타났으나, 이는 실천모델을 혼동하였기 때문에 나타난 문제로 분석되었다. 부적응학생에게는 점차 사례관리체계로 변화되는 모습이 나타났다. 그러나 정서적으로 건강한 빈곤청소년에게는 그 개입효과가 뚜렷하였는데, 그 조건은 장기 개입이었다. 지역사회모델은 2개 프로그램이었는데, 개인과 가정이 간과된다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점차 사례관리체계를 구성하고, 지역사회자구언을 연계, 조직하는 모습으로 변화되었다. 분석된 2개의 프로그램에서는 학교연계통합모델의 성격을 많이 포함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이와 같이 임상모델과 지역사회모델의 각 단점들을 극복하고자 학교연계통합모델로 변화되는 과정들은 빈곤청소년의 학교부적응 감소를 위한 가장 적절한 실천모델이 바로 학교연계통합모델임을 나타내주는 증거로 해석되었다. 한편, 학교연계통합모델은 3개 프로그램으로 분석되었고, 부적응 빈곤청소년에게 가장 효과가 뛰어난 모델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빈곤청소년의 학교부적응 감소를 위한 실천모델로서 학교연계통합모델이 가장 적절한 실천모델임이 분석되었다. 셋째, 실천모델분석결과 학교연계통합모델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어떤 조건들이 필요한지 나타내주었다. 즉 구조화된 집단 프로그램들이 반구조화로 진행되고, 반구조화 프로그램들은 다시 사례관리체계로 변화되었고, 지역사회학교모델에서 문제해결을 위해 지역사회자원의 공조체계를 형성하는 과정들은 바로 학교연계통합모델이 실시되기 위해서는 어떤 조건들이 필요한지 나타내주었다. 즉 학교연계통합모델은 사례관리체계로 구성되어야 하며, 개별적인 욕구에 맞는 문제해결을 위해 개인 - 가정 - 학교 - 지역사회 각 체계에 개입해야하고, 이를 위해 지역사회자원을 조직하고 연계하는 것이 필요한 것이다. 결론적으로, 빈곤청소년의 학교부적응 감소를 위해서 학교사회사업프로그램내용은 개인요인, 가정요인, 학교요인, 지역사회요인을 포함하여 구성되어야 한다. 이 4요인들은 실천모델의 선택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이 4요인을 모두 포함하여 개인 - 가정 - 학교 - 지역사회에 통합적으로 개입하는 학교연계통합모델이 가장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비교적 정서적으로 건강한 빈곤청소년에게는 장기개입이 된다면, 임상모델도 효과가 높다는 것이 나타났다.

      • 외환위기 이후 근로빈곤층의 변화추이 및 특성에 관한 연구

        이 하예진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Immediately after the economic crisis, the issue of the working poor emerged on account of instability and infirmity Korean economy and labor market had. Despite the seriousness of the problem, there have never been thorough research and enough information on the working poor. In this study, I conducted substantial research on them with the data provided by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KLIPS). I examined the size and depth of the working poor and then analyzed the common characteristics they share. In this process of analysis, I used data which have groups available for comparison from 1998 to 2006. In this respect, this study is aimed at providing basic information on the working poor. This the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poverty rate observed with the standard of absolute poverty line continually decreased. More, the poverty gap ratio got lower as time went by. Also, the proportion they take up in the poor has diminished constantly since the economic crisis. Secondly, the poverty rate of the working poor on the basis of relative poverty line increased a little more in 2005 than that soon after the economic crisis. However, the poverty gap ratio decreased a little more than that after the economic crisis. Therefore, the poverty gap ratio on the basis of relative poverty line reduced, though it is not enough. Moreover, the ratio of the working poor in the poor diminished constantly after the economic crisis. Thirdly, the large proportion of the working poor share common characteristics. They are women as breadwinners, the old over 60s, high school graduates, single moms and dads, workers under no pay, part-timers, workers in primary industries and farmers. Also, the other interesting factors I found are the location of their home, the mode of housing, and family members. Large percent of them have four family members, mostly living in midium or small-sized cities such as Dae-gu, Dae-Jeon, and so on. It is also found that they pay rent for their housing, managing unstable lives. The more time they spend getting over their poverty, the more aggravated their lives become. While the ratio of the working poor is decreasing, the number of the households which experience the extreme poverty marks 30% over in the whole working households. Although the social problems the working poor pose were solved in some degree, they are still considered as the critical issues in understanding the labor market Korea industry face now. Through the study, I suggest several policies as follows, First of all, I suggest that job training and re-education for the non-skilled workers be reinforced so that they can get decent jobs in the future. Further, government policy must be provided for them when they face unexpected financial difficulties for some time. Next, we need to provide them with family service. Following policies could be included in the category of family service: child-care system, social service for the old, and the provision of the housing for the poor. Last, continuous attention on the condition of the workers under no pay and workers with unstable condition must be taken, especially with the regard of their payment. Government policy must be made to ensure both the security and quality of employment in the field of farming, fishery, and physical working.

      • 빈곤가족 아동의 심리사회적 특성에 관한 연구 : 영구임대 아파트 지역과 일반 빈곤 지역 아동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민경화 湖南大學校 200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영구임대 아파트 지역 아동의 심리사회적 특성에 대해 일반 빈곤 지역 아동과의 비교를 통하여 영구임대 아파트 지역 아동들이 경험하는 문제의 정도를 밝히고,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구임대 아파트 지역 아동의 건전한 성장을 돕기 위하여 거주지역에 따라 아동의 심리사회적 특성은 어떤 영향을 받게 되는가를 알아보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빈곤가족 아동의 일반적인 심리사회적 특성의 실태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거주지역에 따라 아동의 심리사회적 특성에 차이가 있는가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도시빈민 밀집지역 중에서 3곳의 영구임대 아파트 지역 아동 98명과 5곳의 일반 빈곤 지역 아동 65명을 대상으로 서베이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고, 심리사회적 특성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교차분석, t-검증을 실시하였고, 빈곤가족 아동들의 심리사회적 특성중 문제행동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한국판 청소년 자기 행동 평가척도 (K-YSR) 를 위축, 우울·불안, 신체증상, 비행, 공격성, 사회적 미성숙, 사고의 문제, 주의집중 문제 등 8가지의 하위척도와 내재화 문제, 외현화 문제등 2개의 중간척도로 분류하여 사용하였다. 사회적 관계망의 크기는 빈곤가족 아동들이 친밀하다고 느끼고 있는 사람들을 사회적 관계망의 유형에 따라 응답하도록 하였으며, 사회적 관계망과 사회적 지지 척도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연구문제에 대한 가설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 존중감은 영구임대 아파트 지역 아동이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밀집 주거환경이 아동의 자아 존중감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무의미하게 나타났으나 양 집단 모두 자아 존중감이 규준점수의 평균보다 낮게 나타난 것을 보면 거주지역 보다는 빈곤자체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문제행동 증후군 점수에서는 영구임대 아파트 지역 아동과 일반 빈곤 지역 아동이 전반적으로 비슷한 점수 분포가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내재화 문제 영역에서는 영구임대 아파트 지역 아동이 높게 나타났으며, 하위 영역인 위축과 신체증상은 영구임대 아파트 지역 아동이 높았고, 우울·불안행동은 양 집단이 거의 동일하게 나타났다. 외현화 문제 영역에서는 영구임대 아파트 지역 아동이 약간 높게 나타났으며, 하위 영역인 비행이나 공격성은 모두 영구임대 아파트 지역 아동이 약간 높았다. 사회적 미성숙, 사고, 주의집중 행동 영역에서는 사회적 미성숙 행동이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사고의 문제와 주의집중 행동은 일반 빈곤 지역 아동이 조금 높았다. 총 문제 영역에서도 영구임대 아파트 지역 아동이 높게 나타나기는 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문제행동 증후군을 종합하여 살펴보면 대체적으로 영구임대 아파트 지역 아동이 약간 높은 문제행동 요인을 갖고 생활하지만 통계적으로 별다른 차이가 발견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밀집 주거환경이 심리사회적 특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셋째, 빈곤가족 아동이 여러 가지 문제를 경험하게 될 때 도움을 제공해 줄 수 있는 사회적 관계망의 크기는 양 집단이 비슷한 수준을 보였으며, 정서적, 물질적, 정보적 지지인 사회적 지지에서도 차이가 없이 거의 동일하게 나타났다. 사회적 관계망의 세부 유형에 따른 크기에서 보면 영구임대 아파트 지역 아동은 일반 빈곤 지역 아동에 비하여 동네나 학교 친구에 대한 사회적 관계망의 크기가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넷째, 과목별 학업성적에서는 과학 과목을 제외한 국어, 영어, 수학, 사회과목에서 영구임대 아파트 지역 아동의 성적이 높게 나타났으나 평균점수로 보았을 때 양 집단 모두 대체적으로 낮은 학업성취를 나타내고 있다. 연구 결과를 통하여 알 수 있듯이 영역에 따라 영구임대 아파트 지역 아동이 일반 빈곤 지역 아동에 비하여 약간씩 높게 나타나기는 했어도 부정적인 시각에 대한 사회적인 통념과는 달리 심리사회적 특성에 별다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단지 빈곤이 미치는 영향으로 평가되어지며, 이러한 결과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는 추후 많은 연구들을 필요로 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1) to identify psyco-social characteristics of poverty family children commit? 2)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children's psyco-soci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ir residential district? Data for analysis were collected from 3 permanent rental apartments and 5 common poverty district, where 98 childrens and 65 childrens were randomly sampled. To measure psyco-social characteristics, Rosenburg Self-esteem and Achenbach's K-YSR (Korean Youth Self Report Behavior Problem Scale) and the size of social network and Kim in-suk's Social Support Scale (1994) were use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Chi-square, t-test.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in the permanent rental apartments children and common poverty district children in self-esteem. Second, as for the scores of K-YSR,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in the permanent rental apartments children and common poverty district children in the internalization problems. In the sub area of contraction were higher degree in the permanent rental apartment children. As for the area of outwardly expressive problems of delinquency and aggression were a little high in the permanent rental apartment children. However, the delinquency and aggression which were its sub-areas appeared to be a little high in the permanent rental apartment children. Third, as for the size of social network which can provide help when children go through several kinds of problems, the both groups showed similar levels, and the social supports about emotion, material and information showed almost identical result without much difference. When the size according to the detailed type of the social relation net was examined, it could be interpreted that the permanent rental apartment children had the larger social relation net about their neighbor peers and school children compared with the ordinary poverty district children. Fourth, as for the academic records per subject, in the Korean, English, mathematics and sociology subjects except for science subject, records of the permanent rental apartment children appeared to be high. But, when the average scores were considered, they seemed to show relatively low academic achievement generally. As it could be seen through the research result, according to the area of psyco-social characteristics, the permanent rental apartment children showed a tendency that they had a little high scores in every area compared with the ordinary poverty district children. However, there appeared no particular difference in the misconduct factors, differently from the socially accepted idea that had the negative view about the children who seemed to be live in the rather poor environment. The result showed that the poverty itself only was evaluated to be an influential cause. Accordingly, many of the further subsequent researches were required to be followed in order to prove this result.

      • 장애빈곤가구의 빈곤심화요인 연구 : 하한빈곤선을 중심으로

        이승신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2001년 보건복지부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평가단에서 실시한 조사자료를 사용하여, 총 2008가구의 빈곤가구, 특히 443가구의 장애빈곤가구를 주분석대상으로 이들의 빈곤실태와 빈곤심화요인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서 현재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생계급여기준인 실제현금급여액을 하한빈곤선으로 설정하여 이를 탈피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분석하였다. 하한빈곤선 탈피에 대한 회귀모델에 포함된 독립변수는 개인체계요인(성별, 연령, 교육수준, 경제활동상태, 혼인상태), 가족체계요인(가구원수, 부양가족유무), 경제활동요인(근로소득, 공적이전소득, 사적이전소득, 자활사업참여여부)이다. 뿐만 아니라 차상위 계층 및 기초법 탈락자와 수급자와의 비교를 통해 차별화된 욕구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개인체계요인 중 가구주의 경제활동상태가 유의미한 변수로 파악되었다. 즉 가구주의 경제활동이 안정적일수록 하한빈곤선을 탈피할 확률이 높았다. 둘째, 가족체계요인 중 가구원수가 유의미한 변수로 가구원수가 적을수록 빈곤선 탈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경제활동요인 중 근로소득, 공적이전소득, 사적이전소득, 자활사업참여여부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는데, 소득이 많을수록, 자활사업에 참여할수록 빈곤선 탈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현재 기초법의 'all or nothing' 구도로 인해 어떠한 혜택도 받지 못하고 기초생활보장에서 배제된 차상위 계층 및 탈락자들은 소득보장 이외에도 의료비, 교육비 등의 지원을 절실하게 필요로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 첫째, 장애인가구의 특성이 고려되지 않은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수급자 선정 기준의 개선을 통한 공공부조의 확대가 필요하다. 기초법 수급자 중에서도 이전후 소득이 빈곤선에 미치지 못하거나 비수급자 중에서도 실제 소득은 빈곤선에 이르지 못하는 가구가 매우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따라서 소득인정액 산정시 장애유형별 추가지출비용을 고려하여 보다 많은 장애인가구가 수급자로 선정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장애로 인해 지출되는 추가비용을 지원해주어야 한다. 장애가구의 경우 빈곤선 대비 공적이전의 빈곤감소효과가 77.61%에 그치고 있으며, 경증장애인은 추가비용을 전혀 보장받고 있지 못하다. 그러므로 현재 국민기초생활보장 대상자 중 1, 2급 중증장애인(중복 3급 정신지체 및 발달장애 포함)에게 제한적으로 지급되고 있는 장애수당을 지급대상과 급여수준을 단계적으로 확대하여 장애로 인한 추가비용을 보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현재 제2차 장애인복지발전 5개년 계획에 의하면 장애인의 실질적 소득보장을 위해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 계층 장애인에게 장애수당을 지급하고 중증장애인 전체로 점차 확대하는 방안을 명시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계획을 제대로 시행할 수 있도록 적절한 단계별 확대방안의 마련 및 예산확보를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셋째, 복지정책의 사각지대에 있는 장애가구들의 빈곤실태와 특성에 알맞는 정책이 필요하다. 이들은 특히 생계보장 외에도 의료보장 강화 및 교육비 지원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 빈곤층에 대해서는 의료 및 교육 등의 현물급여를 차별적 욕구에 알맞게 제공함으로써 정책의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장애인이 특성이 반영된 자활사업의 개발이 필요하다. 자활사업참여가 빈곤선 탈피에 유의미한 변수이며, 또한 근로활동이 어려운 장애의 특성상 이들의 자활사업 참여율은 현저히 낮으나 장애가구주 대부분이 참여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일반수급권자로 분류되어 있어도 장애인 수급권자가 희망할 경우 자활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제도적 보완책이 마련되어야 하며, 장애인이 참여할 수 있는 자활사업을 개발해야 한다. 다섯째, 장애인의 고용을 보장해주어야 한다. 가구주의 경제활동상태와 근로소득이 빈곤선 탈피에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의 경제활동을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근로소득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취업이 가능한 장애인을 위해 고용 및 인센티브 확대, 직업훈련 프로그램의 강화 등 다양한 고용지원책을 실시해야 한다. 본 연구는 2001년 보건복지부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평가단에서 실시한 조사자료를 사용하여, 총 2008가구의 빈곤가구, 특히 443가구의 장애빈곤가구를 주분석대상으로 이들의 빈곤실태와 빈곤심화요인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서 현재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생계급여기준인 실제현금급여액을 하한빈곤선으로 설정하여 이를 탈피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분석하였다. 하한빈곤선 탈피에 대한 회귀모델에 포함된 독립변수는 개인체계요인(성별, 연령, 교육수준, 경제활동상태, 혼인상태), 가족체계요인(가구원수, 부양가족유무), 경제활동요인(근로소득, 공적이전소득, 사적이전소득, 자활사업참여여부)이다. 뿐만 아니라 차상위 계층 및 기초법 탈락자와 수급자와의 비교를 통해 차별화된 욕구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개인체계요인 중 가구주의 경제활동상태가 유의미한 변수로 파악되었다. 즉 가구주의 경제활동이 안정적일수록 하한빈곤선을 탈피할 확률이 높았다. 둘째, 가족체계요인 중 가구원수가 유의미한 변수로 가구원수가 적을수록 빈곤선 탈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경제활동요인 중 근로소득, 공적이전소득, 사적이전소득, 자활사업참여여부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는데, 소득이 많을수록, 자활사업에 참여할수록 빈곤선 탈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현재 기초법의 'all or nothing' 구도로 인해 어떠한 혜택도 받지 못하고 기초생활보장에서 배제된 차상위 계층 및 탈락자들은 소득보장 이외에도 의료비, 교육비 등의 지원을 절실하게 필요로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 This study is on the poverty deepening factors and the poverty conditions of poor disabled households using the data survey made by the National Minimum Livlihood Assistance(NMLA) assessment team of the Ministry of Health and Social Welfare of 443 poor disabled households and 2008 poor households in total. To do this, this study placed the actual cash benefit amount of the NMLA, which is the base living benefit, as the floor poverty line and analyzed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escape from this level. The independent variable included in the regression model which sees the escape from the floor poverty line, are personal system factors(sex, age, education level, economic activity status, marital status), family system factors(number of household members, existence of dependant family), and economic activity factors(work income, public transfer, private transfer, self-support participation). The near poor group and group excluded from the NMLA and the beneficiaries of the NMLA was compared to see the difference in their need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below. First, the economic activity of the householder of the personal system factor turned out to be a significant variable. In other words, if the economic activity of the householder is secure the better the chance of escaping from the floor poverty line. Second, from the family system factor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turned out to be of significance and fewer the household member the better the chance of escape. Third, from the economic activity factor, work income, public transfer, private transfer, self-support participation all turned out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and the higher the work income and participation in self-support program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escape from poverty. Also the near poor and NWLA excluded groups, who do not receive any support whatsoever because of the 'all or nothing' composition of the current NWLA, were found to be in of great need of medical fee support, educational fee support in addition to income security. Below are some policy suggestions based on this study. First, social assistance needs to be expanded by improving the standards the NWLA benificiaries are choosen which now does not consider the differences of the disabled housholds. Many NWLA beneficiaries did not reach the poverty line even after the income transfer and a high percentage of non-NWLA beneficiaries' income did not reach the poverty line. So, when calculating the approved income, the additional cost depending on the type of disability needs to be considered so that many disabled households can recieve NWLA. Second, assistance of the extra cost needed because of disability is needed. For the disabled households the poverty deduce rate of the public assistance compared to the poverty line is only 77.61%, and the mildly disabled do not receive any extra assistance. The disabled assistance given limited to the class 1 and 2 heavily disabled of the NWLA beneficiaries needed to be expanded to maintain the extra cost from disability. Currently the second 5 eyar plan for the development of the welfare of the disabled calls for a scheme to give out disabled assistance to the NWLA beneficiaries and to the disabled near poor and in the long run to all the heavily disabled for their income maintenance. For this plan to be carried out smoothly, an appropriate phase by phase expansion plan and a plan to guarantee of government budget is needed. Third, an appropriate policy is needed to take in the disabled households who are excluded. These subjects are in need of medical security and educational fee assistance as well as income security. So to heighten the effectiveness of welfare policies different assistance like medical and educational assistance should be given according to different needs. Fourth, self-support programs which reflects the traits of the disabled are in need. Particiapation in self-support program was a significant variable in escaping poverty and although the participation rate of self-support programs are low almost all the disabled householder wants to participate. So a policy should be made so that even if catorgorized as a regular beneficiary of a disabled beneficiary wants to participate in a self-support program he can and more self-support programs for the disabled should be developed. Fifth, the employment of the disabled should be secured. The economic activity of the householder and the work income showe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in poverty escape. So to increase their work income their economic activities needs to maintain security. For this diverse employment assistance policies like expanding work and incentives and employment training programs for the disabled who can work is needed.

      • 한국과 중국의 빈곤선에 관한 비교연구

        박선영 총신대학교 기독교사회복지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오랜 시간동안 지리적으로 또 역사적으로 서로에게 영향을 끼쳐온 한국과 중국은 1992년에 수교를 맺었으며 그와 함께 활발하게 교류하며 협력해 나가고 있다. 이러한 교류와 협력을 통해 양국 두 나라는 정치와 경제, 사회와 문화를 수반하는 다양한 분야에 있어서 더욱 가까워지고 있어 사회복지에 대한 한중 연구도 중요시 되고 있다. 사회복지에서 중심으로 다뤄지는 주제는 빈곤에 대한 문제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는 세계적으로도 끊임없이 화두에 오르고 있는 만큼 한국과 중국의 빈곤에 대한 문제 또한 집중해서 다뤄질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최저생계비를 기준으로 소비자 물가지수와 불평등을 나타내는 지니계수와의 관계를 살펴봄으로 양국의 빈곤선을 비교해 보았다. 이러한 비교의 목적은 양국의 빈곤선으로서의 최저생계비가 적절하게 책정되어있는지 여부와 한국과 중국 두 나라가 각각 현 시점에서 발생하고 있는 빈곤에 대한 문제를 어떻게 풀어나가야 할 것인가에 있다. 양국의 빈곤선으로서의 최저생계비 책정에 있어서 한국은 전물량 방식을 계측방법으로 하여 지역별계측, 가구규모별계측, 가구유형별계측으로 생활실태조사를 거처 표준가구 및 가구균등화 지수를 결정 한 후 표준가구의 마켓바스켓을 결정하여 최종적으로 최저생계비를 도출하는 방법을 사용함으로 최저생계비를 계측하는 과정이 비교적 명확하게 드러나 있다. 그러나 중국은 한국에 비해 10배 이상 적은 액수이다. 비록 지니계수의 폭은 줄어들고 있으나 0.4에서 0.5를 웃돌고 있어 최저생계비에 대한 책정에 있어서 그 책정 금액이 국민들의 최소한의 생계유지를 위한 금액에 미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한국과 중국 각 나라가 현 시점에서 직면해 있는 빈곤의 문제를 살펴보았을 때 한국은 정책적으로 안정적인 면모를 갖추고 있음으로 공공부조 안에 부조로서 명시되어있는 자활부조제도 중 자활 프로그램을 좀 더 활성화 시키고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들을 운영해 간다면 빈곤해소에 좀 더 가까이 다가가게 될 수 있을 것이다. 중국은 면적도 넓고 한 지역이 도시와 농촌으로 나뉘어 있어 이원화 현상도 심하기 때문에 일괄적으로 최저생계비를 책정하고 수급하기에 쉽지 않은 부분이 많다보니 현재 중국에서는 중앙정부에서는 전체적인 틀을 살피며 관리하고 각 지방정부에서는 그 나름의 상황에 맞게 최저생계비를 책정하며 그에 관한 전반적인 책임을 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중국은 현행의 방법을 지속하되 지금보다 더 체계화를 이뤄 중앙정부와 각 지방정부의 연계가 수월하도록 시스템을 정비하고 각 지방정부들 간의 연계체제 또한 정비하여 시스템이 잘 정착 한다면 정책도 원활해지고 빈곤에 대한 문제 또한 점점 더 해결될 것이다.

      • 빈곤 여성 가구주의 복지제도 경험에 관한 연구

        김희정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807

        This study started from a question that what welfare system means for a needy female householder. Lots of benefit plans currently being conducted aim to escape from poverty first. And with the purpose,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related Ministries make welfare-related policies with the expectation that people can escape from their poverty by using the system for a certain period. When the welfare program user fails to escape from poverty, the user is regarded as just dependant or disabled. The conventional notion that staying in poverty despite using benefit plans is the user’s individual responsibility let the needy individual’s behavior restriction formed in the relationships with the welfare system invisible. From the critical view, the study focused on needy female householder’s behavior selection and regulation formed in the relationships with the welfare system, which is connected to the critical view that existing discussion on needy female householder’s poverty exit did not handle poverty policy based on the system, by focusing on the family-centered on the one hand, and the labor market-centered on the other hand. Based on the critical view, the study selected one research participant who is a householder of single parent family named Youngmi (assumed name). She is in the 40’s and divorced with three children. The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and analysis using Ethnography. First, for Child-Care, she used Child Care Subsidy Program, Day-Care Program, Community Child Center, Sportsvoucher and After-school Voucher Program. The programs played a considerable role and offered her children learning opportunity with no educational expenditure. But, the application period for Sportsvoucher Program was too short to be benefited, and Community Child Center has no class for high school students. Her eldest child in high school had to attend the class for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 for Housing, she used Single-Mother Family Shelter called Mojawon, Deposit-based Rental Housing Program, and Housing Lease Deposit Loan. Mojawon was a turning point in her life with benefits, but unfortunately it did not allow extension of the lease. She had to give up Deposit-based Rental Housing Program because the application was irregular and difficult to find a suitable house for the required conditions. But the loan ( 12M Won) through Housing Lease Deposit Loan helped her move into a rental apartment. Thus, the program was evaluated as good with financial aid and recognition as affordable. Third, Income, Self-support, and Banking, she utilized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Act, Bankruptcy Exemption System, Self-Support Program, and Employment Support Package.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Act let her be eligible to get various benefits, but feel shame and sense of stigma as well. In addition, to obtain the eligibility, there required many application forms and complex paperworks, with psychological discomfort related to her ‘ex-husband’ obligation. Bankruptcy Exemption Program was good in that it wrote off the debt as much as her 50 Million Won, but required attorney’s fee and complex paperworks. The Self-Support Program was right workplace to raise children, and the self-support subsidy was helpful with the income from a regular workplace. But unfortunately, the service was not recognized as career regardless of the period in which she worked and the period was limited to three years, finally to be an unstable job. The Employment Support Package let her get vocational education with no charge, and she was paid the allowance of the training. Under the unemployment crisis, there was limitation for trainees to find a job themselves with lack of information. Lastly, for Self-presentation, she utilized National Scholarship and Life-long Learning System. Two systems allowed her to learn what she wanted, and she evaluated them helpful. Based on the result, the study got conclusion on how the programs she experienced are connected to her life. Various benefit programs played a positive role for her child-care, housing, income, and self-presentation. Without the benefit programs, she might be lost in despair or make an extreme choice. On the other hand, the welfare system itself was regarded as a barrier. In fact, the strict eligibility standards and limited application period restricted her need and desire and regulated her behavior. The system was giant power itself for a needy individual enough not to counter. She had to go through complex procedures to step into the system, and the procedures were one-sided and even violent. Even the applicants are evaluated as inferior and incapable or belonged to such a group. She experienced direct such institutional violence, but could not resist against and accepted that, instead. She might think that it would be more miserable to reject the benefits, staying in poverty. She made a decision to get divorced from her irresponsible husband and stand alone. As a needy female householder, she tried to support her family, working in the labor market, parenting children. But all the job she could get was only ‘caring labor’ with lower income not enough to support her children. Finally, she combined her job with the welfare system. Asking the Government for help was more comfortable and wiser for her than doing her husband or family. She selected the public assistance because of the dual welfare system described as social insurance for males and public assistance for females. It is significant that the research proved that the conventional notion in existing discussion on poverty is false, and suggested the need to change existing views that it is possible to solve poverty problems with the welfare system like a cure-all.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he study tried multilateral approaches to the welfare system not explained with an existing fragmentary system evaluation, by focusing on female position as the benefit user and analysing the daily life using Ethnography.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the study suggests that there need to 1) amend the institutional standards of poverty eligibility, 2) convert to universalistic welfare system, 3) design the popularity of gender egalitarianism and gender perspective system, and 4) operate user-friendly benefit plans. 본 연구는 빈곤 여성 가구주에게 복지제도는 어떤 의미인가라는 의문으로 출발하였다. 우리나라의 많은 복지제도들은 빈곤문제 해결을 그 목적으로 하고, 또한 그런 목적 하에 비단 보건복지부를 비롯한 여러 부처에서 복지 관련 제도들을 만들어 내고 있다. 따라서 사람들은 이런 제도를 일정 기간 동안 이용하면 자연스럽게 빈곤으로부터 벗어날 것이라고 기대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많은 제도혜택을 받으면서도 탈빈곤하지 못하는 것은 순전히 개인 행위자의 의존적이고 무능력한 결과로 간주한다. 이처럼 탈빈곤을 못하고 제도 속에 머무는 결과를 개인의 책임으로 이해하는 통념은 제도와의 관계 속에서 형성되는 빈곤한 개인의 행위제약 문제를 비가시화 시켰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본 연구는 복지제도와 관계 속에서 형성되는 빈곤 여성 가구주의 행위선택과 조정의 문제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은 그동안 빈곤 여성 가구주의 탈빈곤에 대한 논의가 한편에서는 가족중심으로, 다른 한편으로는 노동시장 중심으로 치중됨으로써 제도에 기반한 빈곤정책의 문제를 정면으로 다루지 못했다는 문제의식과 맞닿아 있다. 이상의 문제의식을 반영해서 본 연구는 세 아이를 둔 40대 이혼녀이며, 한부모 가장인 영미씨(가명)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면접하고 제도적 문화기술지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면접결과, 영미씨는 자녀양육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육료지원제도, 아이돌봄제도, 지역아동센터, 스포츠바우처, 방과후학교자유수강권을 이용했다. 이 제도들은 영미씨를 대신해 엄마역할을 해주었고, 사교육비 부담을 덜고 자녀들에게 뭔가를 배울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주었다. 하지만 스포츠바우처는 신청기간이 짧아 제도혜택을 보지 못한 적이 있었고 지역아동센터는 고등반이 따로 없어서 영미씨네 큰 아이는 고등학생이지만 중학생반에 들어가 공부를 해야 했다. 두 번째 주거문제는 모자원, 기존주택전세임대, 버팀목전세자금대출제도를 이용해서 해결했다. 모자원은 영미씨 삶의 전환점을 가져왔고 혜택도 컸지만 기간연장이 되지 않았던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었고, 기존주택전세임대는 신청기간이 일정하지 않고 조건에 맞는 집을 구하는 것도 어려워서 포기해야만 했다. 한편, 버팀목전세자금 대출제도로 12백만 원을 대출받아 임대아파트에 입주할 수 있는 기회가 된 것은 크게 도움이 되었고, 금전적 도움 뿐 아니라 자신을 경제력이 있는 사람으로 대접해준 좋은 제도로 평가되었다. 세 번째 소득보장, 자활 그리고 금융문제에 있어서는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와 파산면책, 자활사업, 취업성공패키지를 이용했다.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는 수급자격을 부여받음으로써 여러 가지 혜택을 누릴 수 있어서 좋았지만, 수치심과 낙인감을 주었다. 또한 신청서류가 많고 복잡했으며 부양의무자로서 제기된 ‘전남편’으로 인해 심적으로 불편함이 동반되었다. 파산면책 제도는 부채 5천여만 원을 단번에 해결해 준 좋은 제도였지만 변호사 선임비용과 복잡한 서류절차가 불편했다. 자활사업은 아이들을 키우기에 적당한 조건의 일자리였고, 자활장려금은 다른 일반직장에 수입이 더 늘어서 경제력을 확보할 수 있었다. 하지만 몇 년을 일하건 경력이 인정되지 않았고, 참여기간도 3년으로 제한되어서 결과적으로는 불안정한 일자리였다. 취업성공패키지는 직업교육을 무료로 받을 수 있었고, 훈련수당도 지급되었다. 하지만 일자리는 본인이 직접 알아봐야 하는데, 정보가 부족하거나 지역의 취업난 상황에서는 취업에 성공하기 어려운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자기존재감에 대한 문제는 국가장학금과 평생교육제도를 이용했다. 두 제도 모두 평소에 하고 싶었던 공부를 할 수 있게 해준 제도로서 영미씨에게는 고마운 제도로 평가되었다. 이를 통해 연구자는 영미씨가 경험한 제도들이 어떻게 영미씨의 삶과 연결되었는지에 대한 결론에 도달하였다. 영미씨에게 자녀양육문제, 주거문제, 소득문제, 자기자신의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여러 복지제도는 긍정적인 역할을 했다. 아마 그 제도들이 없었다면 영미씨는 위기상황에서 더 나락으로 떨어지던지, 아니면 극단적인 선택을 했을지도 모른다. 한편 제도는 장벽으로 해석되기도 했다. 제도의 엄격한 선정기준과 신청기간제한 등은 영미씨의 필요와 욕구를 제약했고 행위를 조정하게 했다. 한편 제도는 빈곤한 개인 행위자가 대항하지 못할 거대 권력이었다. 영미씨는 제도에 진입하기 위해 복잡한 검증절차를 거쳐야하고, 그 검증절차는 일방적이고 폭력적이었다. 더불어 개인 행위자는 제도 속에서 항상 열등하고 부족한 사람으로 평가되고 그러한 집단으로 매도되었다. 하지만 영미씨는 제도의 폭력을 온몸으로 느끼면서도 그냥 숙명처럼 받아들이고 대항하지는 못했다. 어쩌면 그것은 제도를 거부하고 빈곤하게 사는 삶이 더 비참하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더불어 영미씨는 남편의 무책임에 이혼을 선언하고 과감히 홀로서기를 도전했다. 빈곤 여성가장으로 아이들을 돌보며 노동시장에 뛰어들어 살아보려고 노력했다. 하지만 그녀에게 돌아온 일자리는 돌봄노동이 대부분이었고, 그 급여로는 아이들과 살기에 역부족이었다. 그녀는 결국 일해서 버는 돈과 복지제도를 병행했다. 그녀에게는 남편이나 가족보다는 국가에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 더 편하고 현명한 방법이었다. 하지만 그녀가 선택한 복지제도는 공공부조였고, 그것은 복지의 이중체계론 즉, 남성은 사회보험, 여성은 공공부조로 대표된다는 설명과 연결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지금까지 빈곤논의에서 전제되고 있는 통념이 허구임을 밝힘으로써 제도가 만병통치약인 것처럼 복지제도만 제공된다면 빈곤은 해결될 것이라는 기존 시각을 문제화하고 관점 전환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제도 당사자이고 여성의 입장에 주목하여 일상생활의 문제들을 연대기로 분석함으로써, 단편적인 제도평가와 접근에서 설명되지 않았던 복지제도에 대한 전반적이고 다각적인 접근을 모색했다는데 미력하지만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연구자는 1) 빈곤자격을 결정하는 제도기준 수정, 2) 보편주의적 복지제도로의 전환, 3) 성평등 의식의 확산과 성인지적 제도의 설계, 4) 이용자 친화적인 복지제도 운영을 제안하였다.

      • 빈곤 청소년들의 진로와 대학 진학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홍미소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nd reveal the experiences of the students in adverse environmental conditions who have gone to college in search of their own specific career paths and experiences in the process. Therefor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follows. First, what do low-income students experience as they navigate, organize, and enter college? Second, what meaning did they add onto their experiences and their lives? Third, what is the educational meaning of these experiences? To answer these questions, a narrative inquiry was conducted with three low-income students who entered the university. In Chapter III, the answers to the first and second research questions were revealed: what low-income students experienced as they navigated and organized their careers, enter college, and the meaning they added onto. Career and college entrance experience to research participants was ‘a thing that could not be done by themselves'. The care provided by others, not the family, within the fence of the school and the community, made them explore and seek opportunities beyond their socioeconomic environment. Beings who have affirmed the stories of the students and focused on the possibility of subjective choice and growth rather than adverse conditions enabled the research participants to achieve educational growth beyond what is expected from ordinary low-income students. Also it became a support and a pillar for them to become a speaker of their own life and to draw the future.   In addition, research participants clarified what they wanted to do in the process of carrying out various roles, not from information either knowledge related to career. In these stories, career is not different from care for themselves and family and community. College entrance is regarded not only as socially important achievement, but also the way to add depth to learning through more professional knowledge. Next, in chapter IV,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narrated experiences are elicited, and a new imagination of resilience and low-income students’ career is attempted. Their story set poverty as a detrimental factor that brings out the negative outcome of human development. It emphasized that in spite of this, those who did not display problematic behavior were not defined as ‘resilience,’ which is what current normative grammar does. Their stories that utilized normative grammar of ‘being so’ in which poverty was accepted as condition of life, and owing to this thought, things that they would know and meet made them exist did point out poverty as a unique context that enabled new interpretation of life, not cessation either subject of restoration.   In addition, caring for others and their community beyond their families not only gives them the power to reinterpret the experience of poverty by supporting their lives, but also made them want to care someone in a broader sense of career. And their career as a "circulation of care" shows that resilience outcomes and educational growth can not be confined to school life adjustment, academic achievement, and compliance with the norms. It expanded the paradigm of resilience as well as the concept of career.   And there was a process of constructing a story of life that links past, present and future through reflection on various roles until they made concrete decision about career. This suggests that individuals should organize their careers through various learning experiences that they encounter while living, rather than information or knowledge. It also showed that education should be preceded by encouraging the ability to lead the life of oneself by letting them narrate about their own liv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e necessity of school and community unit safety net for growth of low-income students. In addition, it suggested that low-income students were not only the subject of care, but they were also able to create opportunities for changes in individuals and societies by sublimating their environmental conditions into a single point of view toward themselves and society. In addition, I asked for college and society-level efforts to ensure that they continue to grow and resume their resilience after college. 본 연구는 불리한 환경적 조건에 놓인 빈곤 청소년들 중 분명한 진로를 찾아 대학에 진학한 이들이 그 과정에서 경험한 것과 그 의미를 이해하고 드러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따라 연구자는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빈곤 청소년들은 진로를 탐색, 구성하고 대학에 진학하는 과정에서 무엇을 경험하는가? 둘째, 이들은 자신의 경험과 자신의 삶에 어떤 의미를 부여하고 있는가? 셋째, 이들의 경험이 지니는 교육적 의미는 무엇인가? 이와 같은 연구 문제를 풀어나가기 위해 대학에 진학한 세 명의 빈곤 청소년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내러티브 탐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Ⅲ장에서는 첫 번째, 두 번째 연구문제에 대한 답으로 빈곤 청소년들이 진로를 탐색, 구성하고 대학에 진학하는 과정에서 무엇을 경험하는지와 그들이 부여한 의미가 무엇인지를 드러내었다. 연구 참여자들에게 진로와 진학은 ‘혼자서 할 수 없었던 일’로, 학교와 지역사회의 울타리 안에서 가족이 아닌 타인이 제공한 돌봄은 그들의 삶을 제약하는 사회경제적인 조건 너머의 가능성을 탐색할 힘과 동력, 기회였다고 이야기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이야기를 긍정하고, 불리한 조건이 아닌 주체적 선택과 성장의 가능성에 집중해준 존재들은 연구 참여자들이 일반적인 빈곤 청소년들에게 기대되는 바를 뛰어넘은 교육적 성장을 이룰 수 있게 해주었고, 회복탄력성을 지닌 존재가 되어 자기 삶의 화자가 되어 미래를 그려나갈 수 있게 하는 울타리이자 지지대가 되어주었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은 진로와 관련된 정보나 지식이 아닌 다양한 장면,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과정 속에서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구체화, 명료화하였다. 이들이 이야기에서 진로란 자신은 물론 가족과 공동체에 대한 돌봄과 다르지 않은 것이며, 진학은 사회적으로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관문임과 동시에 자신들의 삶의 지향, 즉 넓은 의미로의 진로와 관련하여 함께할 사람들을 만나고 보다 전문적인 지식을 통해 배움의 깊이를 더하기 위한 것이었다. 다음으로 Ⅳ장에서는 이들의 이야기된 경험이 지니는 교육적 의미를 드러내고 이를 토대로 회복탄력성과 빈곤 청소년 진로에 대한 새로운 상상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이들의 이야기가 빈곤을 인간 발달의 부정적인 결과를 낳게 하는 위험 요인으로 규정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문제 행동을 보이지 않는 이들을 회복탄력적이라고 정의하는 기존의 문법으로 쓰여 있지 않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빈곤을 삶의 조건으로 받아들이고 그로 인해 알게 되고 만나게 된 것들로 인해 현재의 자신이 있다는, ‘그렇기 때문에’의 문법으로 쓰고 살아낸 이들의 이야기는 빈곤을 단절이나 극복의 대상이 아니라 삶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가능케 하는 고유한 맥락으로 재해석할 것을 요청하였다. 또한 가족을 넘어선 타인과 공동체의 돌봄은 이들의 삶을 지지함으로써 빈곤 경험을 재해석할 수 있는 힘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이들이 자신이 받았던 돌봄을 다시 누군가에게 제공하는 것을 넓은 의미의 진로, 삶의 지향으로 삼을 수 있도록 해주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들의 ‘돌봄의 순환’으로서의 진로와 진학은 회복탄력적 결과와 교육적 성장의 양상을 단지 학교생활 적응이나 학업 성취, 규범을 준수하는 것에 한정할 수 없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회복탄력성 패러다임은 물론 진로 개념의 확장까지 모색하게 한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들이 진로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의사 결정을 내리기까지 다양한 역할에 대한 체험이 이루어졌으며 그에 대한 성찰을 통해 과거와 현재, 미래를 잇는 삶의 이야기를 구성해나가는 과정이 있었음에 주목하였다. 이는 정보나 지식이 아닌 개인이 살아가면서 만나는 다양한 학습 경험을 통해 진로를 구성해나가야 하며, 이를 위해 자기 자신이 살아온 삶에 대해 이야기하도록 함으로써 자신의 삶을 주도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역량을 키워주는 교육이 선행되어야 함을 보여주었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는 먼저 빈곤 청소년의 성장을 위한 학교, 지역사회 단위 안전망의 필요성을 보여준다. 또한 빈곤 청소년들이 돌봄의 대상일 뿐만 아니라 자신의 환경적 조건을 자신과 사회를 바라보는 하나의 관점으로 승화시킴으로써 개인의 변화는 물론 타인과 사회에 대한 변화의 기회를 창조할 수 있는 존재임을 시사하는 것이기도 하다. 더불어 대학 진학 이후에도 이들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회복탄력적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대학과 사회 차원에서의 노력을 요청하였다.

      • 빈곤청소년의 사회적 자본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신원영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우리사회는 빈곤층이 급증하였고, 이에 따라 가족의 경제 상태에 전적으로 의지하는 아동과 청소년 빈곤율이 증가하였다. 아동 및 청소년기의 빈곤 경험은 학업성취에 부정적 결과를 가져 올 수 있는 원인이 된다. 학업성취는 상급학교 진학과 직업선택에 있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기 때문에, 낮은 수준의 학업성취는 성인기에 저임금, 불안정한 고용상태, 높은 실업률 문제를 초래하여 빈곤이 대물림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빈곤의 대물림을 끊을 수 있는 출발점인 교육격차를 줄이는 방법은 아동과 청소년 시기의 학업성취를 높이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빈곤 청소년의 학업성취에 있어서 사회적 자본의 유용성 및 효과성에 대해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Coleman의 사회적 자본 이론을 바탕으로 사회적 자본을 가정내와 가정외로 나누고, 가정내 사회적 자본은 가족배경 변인과 부모-자녀관계로 가정외 사회적 자본은 학교와 지역사회로 구분하여, 빈곤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의 사회적 자본의 영향을 비교하였다. 두 집단의 비교를 통해 빈곤 청소년에게 강력하게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자본을 탐색하고, 빈곤 청소년에게 결핍되어 있는 사회적 자본을 찾아 이를 보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빈곤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의 학업적 성취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가정내 사회적 자본이 빈곤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의 학업적 성취에 미치는 영향은 각각 어떠한가? 셋째, 가정외 사회적 자본이 빈곤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의 학업적 성취에 미치는 영향은 각각 어떠한가? 위의 연구문제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강서구내 영구임대아파트 단지에 소재한 중학교에 재학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빈곤 여부는 저소득층 자녀에게 지원되는 학교급식지원 여부로 판단하였다. 급식지원을 받는 빈곤 청소년(151명)과 급식지원을 받지 않는 일반 청소년(300명)으로 집단을 나누어 각각의 사회적 자본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과 효과에 대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빈곤 청소년은 일반 청소년에 비해 낮은 학업성취를 나타냈으며 부모의 인적?경제적 자본에 의해서도 불리한 환경에 처해 있음이 확인되었다. 둘째, 가정내 사회적 자본 중 부모-자녀관계 사회적 자본은 빈곤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의 학업성취를 가장 강력하게 설명해 주는 변인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영향을 미치는 하위 변인에 있어 빈곤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에 있어 차이가 있었다. 두 집단은 공통적으로 ‘부모의 관심과 대화 변인’이 학업성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빈곤 청소년은 ‘통제와 훈육 변인’이 강한 영향을 미치며 일반 청소년은 ‘부모의 학교교육 참여’와 ‘미래 기대’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가정외 사회적 자본 중 지역사회 사회적 자본은 빈곤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 모두 별다른 영향력을 미치지 못했다. 그러나 학교내 사회적 자본 중 교사관계가 빈곤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 모두에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빈곤 청소년의 불리한 환경을 극복 할 수 있는 기제로 사회적 자본이 학업성취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빈곤 청소년의 사회적 자본이 일반 청소년의 사회적 자본보다 학업성취를 설명하는 양이 높았으며, 특히 가정외 사회적 자본보다 가정내 부모-자녀관계 사회적 자본은 빈곤 청소년의 학업성취를 가장 강력하게 설명해 주는 변인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사회적 관계망에서 형성되는 사회적 자본은 빈곤 청소년의 가정의 인적?경제적 자본의 결핍을 보완할 수 있으며 학업성취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또한 빈곤 청소년의 사회적 자본을 높일 수 있는 정책적·실천적 방안이 모색된다면, 사회적 자본이 빈곤 청소년의 학업성취의 미치는 긍정적 효과는 더욱 확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effectiveness of social capital for academic achievement of adolescents with low income family backgrounds. The study compared effects of the social capital for the poor adolescents and the general adolescents with basis on the theory of Coleman's Social Capital. For this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poor adolescents (151 students) who were supoorted offering lunch from government program and general adolescents(300 students) among the students of the middle schools at a community where long lease apartment complexes located in the Kangseogu, Seoul-city.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statistics program. Statistical techniques for this study include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test using Cronbach-alpha, factor analysis,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 Firstly, the results showed the poor adolescents's academic achievement lower than the average and also they are in disadvantage of economic capital and human capital. Secondly, the social capital of parent-child relationships in the family proved to be the factor which affects strongly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the factor that influence for the academic achievement. It showed the factor of 'Social capital of educational concern and communication' affects strongly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students in both groups. The factor of 'Control and drill' influence strongly adolescents in poverty and 'Parental participation in the school education' as well as 'Anticipation for the future' affect the general adolescents. Thirdly, the community social capital of outside of family influenced a little bit for the both groups. however It was identified that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s influenced them all In overall, the social capital for the poor adolescents explained academic achievement longer than that of the general adolescents and it was identified the social capital affect students separately with parent's human capital. Consequently, the study concluded that the social capital would supplement the deficit of human capital in the family and of economic capital of the poor adolescents to contribute for their academic achievement.

      • 근로빈곤층의 사회안전망에 관한 연구 : 영국의 제도를 중심으로

        함성규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807

        사회안전망인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는 국민의 생활안정과 기본권을 보장하고 보다 나은 삶의 질을 위한 근간으로써 사회안전망의 절대적인 위치를 자리하고 있다. 그런 면에서 한국의 IMF는 새천년과 함께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를 탄생시키는 계기가 되었고 이것이 복지국가로 발돋움하는 복지도약의 전환점이 되었음은 자명하다할 것이다. 그러나 서구 유럽의 여러 복지국가들보다 반세기 이상을 뒤진 한국의 복지제도는 시행연륜이 말해주듯 상당한 시행착오와 함께 끊임없는 논쟁만을 반복해온 것이 사실이다. 분단된 조국과 외세의 끊임없는 도전들은 지금까지도 어쩌면 한국의 복지성장에 커다란 걸림돌이 되고 있는지도 모른다.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가 시행된 지도 벌써 만 12년이 지났고 시행착오도 컸지만 국민의 복지와 복지의식도 적잖이 성장했다는 점에서 매우 긍정적인 면이 없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이 인간답게 살 권리와 삶의 질이라는 테두리에서 볼 때 근로빈곤층의 사회안전망은 아직까지 현실적이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국가 간 제도비교를 통해서도 대상자 선정기준과 부양의무자 기준, 통합급여체제와 지역적 불균형 등과 같은 운영체계상의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개선되지 않고 있음이 노정되고 있다. 수급자가 탈수급을 원치 않는다는 것은 수급자로 안주하겠다는 의도보다는 탈수급의 미래가 불안정하기 때문이다. 자활사업이 성공적이지 못하다는 것은 재정적인 문제보다도 전략의 문제가 있다고 본다. 근로빈곤층이 근로연계를 통해서도 복지혜택을 누릴 수 없다면 분명 제도상의 문제가 있는 것이다. 반복빈곤의 악순환은 결국 수급자를 비롯한 차상위계층까지도 수급자로 전락시킬 우려가 크다. 따라서 근로빈곤층을 위한 사회안전망 확충방안은 첫째, 성장과 분배를 기초로 하는 고용안정과 질 좋은 일자리 창출의 제도적 보완, 둘째, 근로의욕고취와 자립정신에 입각한 직업능력교육의 확대, 셋째, 적극적 노동시장정책과 관련 사회지출의 확대, 넷째, 전략적 자원분배와 가구특성별 맞춤서비스, 다섯째, 기초자산형성의 활성화와 자활시스템의 강화, 여섯째, 노동연계를 통한 고용의 합리적 정책대안 모색, 일곱째, 급여시스템의 제도적 개선과 재정확충 등을 들 수 있다. National Basic Living Security Guarantee System, which is the society’s safety net, enjoys absolute position as a social safety net since it guarantees the citizens’ everyday life stability and basic rights and aims to offer them increased quality of life. From this respect, the IMF crisis in Korea served as the turning point for giving birth to the National Basic Living Security Guarantee System along with the arrival of the new millennium. Likewise, it is not an overstatement to declare that this system served as the spring board with which Korea became a welfare nation. However, it is also true that the welfare system in Korea, which lags behind that of the various welfare nations in the Western EU by at least half a century, underwent repetitive and considerable trial and error, and incessant disputes as the years of experience in implementation attests. Perhaps the fact that Korea is divided and the incessant challenges presented by the outside powers are still acting as major impediments for the growth of welfare in Korea even to this day. It has already been 12 years since the National Basic Living Security Guarantee System was executed. Although there were many trials and errors, it is also perceived under positive light since it helped to raise the citizens’ perception and image of welfare as well. Despite this, however, it is judged that the society’s safety net for the financially marginalized people in the society is not yet realistic when perceived from the boundary pertaining to the human beings’ right to live like human beings and to the quality of life. Even the comparison of systems among nations is showing that the operational issues such as standard for the selection of beneficiaries, standard for the care takers, integrated compensation system and inter-regional imbalance and so forth are not being improved continually. Beneficiaries do not want to leave behind the beneficiary status, not so much because they want to settle down as beneficiaries. Instead, the future after they stop being beneficiaries is uncertain. Likewise, rehabilitation projects are not successful, not much because of financial reasons, but due to the strategy related problems. If the financial marginalized people cannot benefit from welfare benefits, linked with labor, this means that the problems are structural issues. Vicious cycle of repetitive poverty can turn lower income families including the beneficiaries into the beneficiaries as well. Accordingly, measures for the expansion of society’s safety net for the poor working class people include the following. First measure is to ensure employment stability and to create quality jobs structurally based on the principles of growth and distribution. Second measure is to expand occupational training based on the goals of increasing motivation to work and sense of independence. Third measure is the expansion of the social spending related to the active labor market policy. Fourth measure is the strategic resource allocation and service customiz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households. Fifth measure is the vitalization of the basic asset formation and strengthening of self-support system. Sixth measure is the pursuit of the rational policy alternative for employment by linking with labor. Seventh measure is the structural improvement of the salary system and increased financial resour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