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일 중학교 사회교과서 삽화 분석 : 지리영역을 중심으로

        김혜욱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32217

        This study aimed at groping the future improvement direction deducing many suggestions through this, while grasping the feature of the textbooks illustrations of the two country through the comparison and analysis according to the type and condition that are listed on the social studies textbooks of both countries, Korea and Japan.For this, we selected 2 volumes of textbooks in both countries selecting the chapter that conforms to the lessons of each other while collecting the textbooks of both countries according to the size of each region after classifying it into small-sized, middle-sized and large-sized regions according to the size of this region.And the study target included all illustrations listed at the range of study from introduction of the pertinent lesson chapter to the finishing page regardless of size while classifying them into four types, photo, map, diagram and picture.It compared and analyzed the enlisted status of photo, map, diagram and picture that are totalized by size of each region according to the types and conditions.As a result of comparing according to the types, first, both Korean and Japanese textbooks enlisted illustrations one or more per pag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region, and second, for the enlisted amount of the total illustrations according to both countries' publication company, Japanese textbooks enlisted more than twice the Korean textbooks. Third, both Korean and Japanese textbooks favored photos the most among the type of illustration, and totally, it enlisted one or more photos on each page. Fourth, both Korea and Japan showed the tendency that as the size of region enlarged, the amount of illustration enlisted on the textbooks reduced gradually.For the comparison and analysis according to the possessed conditions of the illustration, we looked from the 5 aspects of clearness of harmony and expression of the allocation, concreteness and scale, accurateness of area marking, utility of the paper, and association with the text contents. As a result, comparing to Korea, Japanese textbooks were enlisting various kinds of illustrations such as map, photo, diagram and picture. And from the aspect of the total allocation of illustrations or utilization of the paper, the Japanese textbooks showed flexible thoughts which avoided the typical thoughts, and we could find out several differences.First, the Japanese textbooks showed the tendency to provide various and rich illustrations than the Korean textbooks. Second, Korean textbooks showed the tendency of attaching importance to the margins in upper paragraph of left and right, but the Japanese textbooks ignored the margins and composed to make best use of illustrations such as photos. Third, Korean textbooks allocate the illustrations in the lower part or left, right, but Japanese textbooks allocated the illustrations in the upper part or left, right. Fourth, Japanese textbooks were rather clear in national areas or place name markings, but Korean textbooks had quite a few regions which omitted those(Uleungdo Island and Dokdo Island). Fifth, the illustrations enlisted on the Japanese textbooks came out later than the ones of Korea.As above, through comparing illustration Korean and Japanese textbooks, we found out the problems as follow in using the illustrations. These problems are found out in the textbooks of both Korea and Japan, and are found only in the textbooks of one country. First, excessive suggestion of illustrations has concerns about reducing the opportunity to think by the students themselves. Second, illustration of interest-centered has concerns about being instant, and third, the illustration learning that doesn't consider the level of the learner can bring counter result.The illustrations of Japanese textbooks give us many suggestions to us in that they showed us the flexibility of thoughts different from the formal forms of Korean textbooks with the richness of the contents, accuracy and diversity of the data.The comparison like these seems to be the reference in producing the textbooks in the future by expanding the range to Japanese textbooks different from us avoiding the position comparing just between the Korean textbooks. As a result of this paper, I suggest a few improvements which I want to be reflected in our country's geographical area textbooks production at the time modifying curricula, and expect continuous research and interest of data by the production officials of the textbooks.First, pre-study about the way to read the illustration before suggesting the illustration data is needed. Second, it must make efforts to enlist selected illustrations that contain accurate contents even for other parts. Third, the illustrations of the textbooks must maintain the latest data, and we must let it devise learning volition and expansion of thinking faculty by the learners through the types and compositions of the illustrations.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 양국의 중학교 사회교과서에 실려 있는 삽화의 유형별․요건별 비교와 분석을 통하여 두 나라 교과서 삽화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여러 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여 앞으로의 개선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이를 위하여 양국의 교과서를 수집하여 이 중 서로의 학습 내용과 일치하는 단원을 선정하여 이 지역의 규모에 따라 소지역․중지역․대지역으로 분류한 후 각 지역규모별로 양국에서 교과서 2권씩을 선정하였다.그리고 연구대상은 사진․지도․도표․그림으로 삽화를 네 가지로 분류하여 크기와 관계없이 해당 학습단원이 시작되는 도입부부터 끝나는 페이지까지를 연구 범위에 게재된 삽화를 모두 포함하였다.이렇게 각 지역의 규모별로 집계된 사진․지도․도표․그림의 게재 현황을 삽화의 유형별․요건별로 비교․분석하였다.유형별 비교결과 첫째, 한국과 일본 교과서 모두 지역규모별 페이지당 한 개 이상의 삽화를 게재하였으며, 둘째, 양국의 출판사별 전체삽화의 게재량은 일본의 교과서가 한국에 비해 많게는 2배 이상을 게재하였다. 셋째, 한국과 일본 교과서 모두 삽화의 유형 중 사진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전체적으로 한 장 이상의 사진을 매 페이지마다 실었다. 넷째, 한국과 일본 모두 지역의 규모가 커질수록 교과서에 게재하는 삽화의 양은 점점 줄어드는 경향을 나타냈다.삽화의 구비요건별 비교․분석은 배치의 조화성․표현의 명료성과 구체성․축척과 영역표기의 정확성․지면의 활용성․본문내용과의 연계성의 5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한국에 비하여 일본 교과서가 지도․사진․도표․그림 등의 다양한 종류의 삽화를 게재하고 있었다. 그리고 전체적인 삽화의 배치나 지면을 활용하는 측면에서도 일본의 교과서는 정형적인 사고에서 벗어난 유연한 사고를 보였는데 한국 교과서와 다른 몇 가지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첫째, 일본의 교과서는 한국 교과서에 비하여 다양하고 풍부한 삽화를 학습자에게 제공하려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국내 교과서는 좌우상단 여백을 중요시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일본 교과서는 여백을 무시하고 사진 등의 삽화를 최대한 살릴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셋째, 국내 교과서는 대개 삽화를 하단 혹은 좌, 우측에 배치하나, 일본 교과서는 삽화를 상단 혹은 좌․우측에 배치하였다. 넷째, 일본 교과서는 국가의 영역이나 지명표기가 대체로 명확한데 비하여 한국의 교과서는 생략된 지역(울릉도, 독도)이 적지 않았다. 다섯째, 일본의 교과서에 수록된 삽화들은 한국의 것에 비하여 비교적 최신자료였다.이상과 같이 한국과 일본 교과서를 삽화 비교를 통해, 삽화의 사용에 있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은 한국과 일본의 교과서 모두에서 발견되기도 하고, 어느 한 쪽의 교과서에서만 발견되기도 하였는데 첫째, 지나친 삽화의 제시는 학생이 스스로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줄일 우려가 있으며 둘째, 흥미위주의 삽화는 일회성이 될 우려가 있고 셋째,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지 않는 삽화 학습은 역효과를 낼 수 있다는 것이다.일본교과서의 삽화는 자료의 정확성과 다양성, 그리고 그 내용의 풍부함과 함께, 한국 교과서의 정형적인 형식과는 달리 사고의 유연함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우리에게 여러 가지 시사점을 준다.이와 같은 비교는 국내 교과서만 서로 비교하던 입장에서 벗어나 우리와 다른 일본 교과서로 범위를 확대함으로써, 앞으로의 교과서 제작에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며, 본 논고의 결론으로 교육과정 개정시 우리나라 지리영역 교과서 제작에 반영되길 바라는 몇 가지 개선 방안을 제시하며 교과서 제작 관계자들의 끊임없는 자료의 연구와 관심을 기대한다.첫째, 삽화 자료의 제시에 앞서 삽화를 읽는 방법에 대한 선행학습이 필요하다. 둘째, 삽화를 통해 전달하려는 학습내용뿐 아니라 다른 부분까지 정확한 내용을 담고 있는 엄선된 삽화를 수록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셋째, 교과서의 삽화는 되도록 최신 자료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삽화의 유형 및 구성을 통해 학습자의 학습의욕 및 사고력 신장을 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