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직접민주주의 요소의 도입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이다윗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직접민주주의에 대한 연구이다. 국민의 의사와 이익이 복잡, 다양해지고 효율적인 정책집행을 요하는 현대 사회에서 대의제 민주주의는 불가피한 선택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대의제 민주주의는 폭넓은 민의를 반영하기 어려운 현실적인 문제 때문에 국민(유권자)들의 정치적 효능감과 일체감을 저하시키고, 의회에 대한 신뢰와 지지를 하락시키는 원인으로 간주되고 있다. 오늘날 대의민주주의는 많은 도전에 직면해 있으며, 그 결과 정책 및 기타 현안에 대한 국민들의 직접적인 참여를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날로 커져왔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 하에서, 본 연구는 대의민주주의의 위기와 문제점과 직접민주주의의 필연성과 당위성을 밝히고, 한국의 직접민주주의 요소의 도입 실태와 이러한 요소의 활용과 활성화가 필요한 이유를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선진국가(스위스, 미국, 일본)의 직접민주주의적 제도 및 경험과 비교하여, 한국의 직접민주주의 제도는 시민들의 접근상의 어려움과 과도한 법률적 전문성의 요구, 국민들의 낮은 인식과 참여 등과 같은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직접민주주의는 대의제를 대체할 순 없지만 그 보완적 수단으로서 뿐만 아니라 국민들의 직접적인 참여 기제로서 상당한 의미를 갖는다. 직접민주주의 제도의 폭넓은 활용은 사회통합의 측면에서 밑으로부터의 합의적 민주주의를 정착시킬 수 있고, 정책의 추진과 집행에 있어서 직접적인 관심과 지지를 이끌어 낼 수 있으며, 국민들의 정치적 효능감과 일체감을 제고함으로써 성숙한 민주주의로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Karl Popper의 열린사회와 민주주의

        김오전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is aimed to research which one of the political systems being evolved in front of us is the society most fitting to the open society Karl Raimund Popper mentioned in his books; The Poverty of Historicism and The Open Society and Its Enemies, both were representative works done by Popper in the 1940s when the whole world was in a chaotic status. That is to say, this study, in particular, in the sections of Ⅱ, Ⅲ and Ⅳ, includes that what is the society suggested by Popper, from which ideological reactions his opinion coming, what are the philosophical implications contained into the thought as well as by what grounds the idea is supported. As presented in the introduction, "In this study, I raised a series of questions and tried to answer them by myself; they are, it is crucial to ask, whether the open society suggested by Popper is the one consistent with the liberal democratic society where we belong to; if not, what differences do these system have? And also, whether those differences can be positively settled within Popper's open society, if it is possible, what are those forms to be, if not, I analyzed the possible reasons with questions on why it is impossible and then, tried to come up with answers to how these differences can communicate with the liberal democratic system or the social democratic structure with the results we may induce from the communication". The liberal democratic society can be, in a wide sense, the answer to these questions. Of course, hardly does it mean that the current liberal democratic society is a perfect system by itself. As a result of, however, the analyzing works comparing among within the three political systems - the liberal democratic society, the social democratic system and the open nationalism structure, I have reached a conclusion as mentioned above, and the bases of the argument supporting the conclusion have been presented in the main body part of this study. 'Everything starts from a problem, and ends with another problem', Popper often says, doesn't mean a problem to be remained in the status abandoned or unsolved but to be confronted by a new problem of which status has been more advanced. Considering the aspects of (total amount of intellectual and physical bases of) the flexibility and problem-resolving ability which generously accept and correct certain problems minimizing various social and personal side effects, and of its superiority to other compared systems mentioned above, I have been able to draw a conclusion that the democratic liberal society is the one which shares the same characteristics with the open society Popper suggested.

      • 정당민주주의 확장으로서 지방정당에 관한 연구

        우지영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807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local party as an alternative representative model for local political development and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Korean politics. To overcome the fundamental limitations of Korean party politics, it is not ‘party reform from the top’ but ‘party reform from the bottom’. Therefore, it focuses on restoring and reconstructing party politics in the provinces. The crisis of Korean political party politics occurred because party power is generated by the two major parties, local power is concentrated in central power, and political authority is not localized but centralized on the local establishment possessing vested rights. In other words, the party that is the basis of the democratic system does not operate democracy in the local politics, so the people do not ‘recognize’ the party but ‘acknowledge’ it. The institutionalization of party politics in local politics should aim at ‘more essential democracy’. It should enable ‘more democracy’ from a monopolistic to a pluralistic party structure. We must pursue ‘democracy from the bottom’ with a decentralized party structure in the central ruling party structure. In addition, the "closer democracy" should be settled by the participation of the citizens, not the center of the congress. This democratic institutionalization process is an extension of party democracy and a practical model for promoting it is local party.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entral and local politics, correlation between party democracy and local democracy, party democracy extension system and process, extension of party democracy and relationship of local political party, relations and differences between local political party and national party, and the constitutional grounds of the local political party, and antithesis between the law on political party and the constitution.   There is almost no empirical research on local political parties in Korea since local political parties can not exist according to party law. Theories and data on local political parties are lacking and there is no public awareness, so the expert opinions are essential. In this study, the delphi technique was used to derive a social consensus model for local politics and local political parties. We conducted a Delphi survey of experts who have studied political parties, politicians who have been involved in political parties, and major people in the community. The following is the content of the research that was derived through Delphi survey and analysis. First, in the crisis of Korean political party and the political party democracy, the Korean party system was diagnosed as a bi – party system and the party organization was dominated by a centralized system. Moreover, it is analyzed that the party management is top – down system with lack of participation of the party members and the people. The realization tasks of party democracy are pluralization of party, decentralization of party, and openness of party.   Second, in the ‘actualization and institutionalization of local political party politics’, local autonomy, right of intellectuals, and policy functions are all subordinated to central politics. The institutionalization of party politics, the transition from ‘centralization’ to ‘decentralization’, improvement of party nomination system, voluntary participation of party members and residents were derived. Based on this, the task of local democracy was set as ‘institutionalization of local politics’, ‘strengthening of decentralization’, and ‘expansion of self - government of residents’.   Third, in the need and task of local political parties, it is analyzed that local political parties are needed in terms of transition to multiparty system, overcoming central politics of local politics, voluntary political participation of residents, and extension of political democracy. A revision of the justice law to allow local political parties was derived.   The democracy of the part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decentralization, which is the characteristic of local politics, and the unity of local autonomy with local democracy. The link between party democracy and local democracy is defined as ‘expansion of party democracy’. In conclusion, the need for local political parties as a practical model for expanding political democracy in local politics was examined. Local political parties can substantially promote pluralistic competition between parties. Local political parties can promote party politics of representative democracy and revitalize participation of participatory democracy. This can be promoted in connection with the political development of the political party and the improvement of the living politics of the inhabitants. As a result, the expansion of the political party democracy will be promoted, so that it will develop the Korean politics.   In order to overcome the crisis of Korean party politics, local politics should be legally allowed to institutionalize and democratize party politics in local politics. Recently, the appropriateness and possibility of the emergence of local political parties in Korean party politics is increasing. Local residents have been pursuing voluntary political empowerment, and they have actually won candidates and elected candidates. In addition, the legitimacy of the reform of the decentralization is spreading. In order to institutionalize the local political party in line with this trend, we have studied the model of the Korean local party and the legislative plan.   In order to set up the Korean local party model, we examined the political empowerment experiment of domestic civil society and foreign cases of local political party. The model of local party in Korea is set as a political model of party that performs political party representation, organization and nomination function in the single - decentralized local political system. In addition, a local party model is proposed in terms of promoting the welfare of the local residents and the public interest of the local communities in the identity of the organization. Finally, the legislative plan of local political parties has studied the constitutional grounds of local political parties and the direction of reforming local autonomy. In accordance with the spirit of the Constitution, freedom of political association and fair competition base were set as the basic principles of legislation. In order to guarantee the freedom of political association, it proposed the relaxation of the establishment rules of the political parties in the direction of eliminating the maintenance provision of 5 provincial parties and more than a thousand party members. The range of candidates' nomination is based on the cases of the Netherlands, Germany, Japan, and the United States. To pursue fairness in the distribution of party national subsidies, we tries to establish a fair competition base with national political parties. For the fair distribution of state subsidies, we refer to the case of Germany and propose the direction of state subsidy support according to the competence and performance of the party. Key words: party, local political party, local party politics, party crisis, party system, party nomination, party democracy, local democracy, local election, law on political party, constitution, decentralization 본 연구는 지방 정당정치 발전을 위한 대안적 대의제 모델로서 지방정당(local party)에 관한 연구를 통해 한국 지방정치 나아가서는 한국 정치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한국 정당정치의 근원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은 ‘위에서부터의 정당개혁’이 아니라 ‘아래로부터의 정당개혁’이기에 지방에서 정당정치를 복원하고 재구성하는데 연구의 초점을 맞추었다. 한국 정당정치의 위기는 정당권력이 양대 정당으로, 지방권력이 중앙권력으로, 당원과 국민의 권력이 지역 기득권층으로 집중되어 발생되고 있다. 즉 민주주의 제도의 근간인 정당이 지방정치에서 민주주의를 작동시키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국민들은 정당을 ‘인식(認識)’하지만 ‘인정(認定)’하지는 않는 것이다. 지방정치에서 정당정치의 제도화는 ‘더 실질적인 민주주의’를 목표로 해야 한다. 독점적 정당구조에서 다원적 정당구조로 ‘더 많은 민주주의’를 가능하게 해야 한다. 중앙집권 정당구조에서 지방분권 정당구조로 ‘더 아래로부터의 민주주의’를 추구해야 한다. 또한 의회 중심에서 주민 참여로 ‘더 가까운 민주주의’가 정착되어야 한다. 이 민주적 제도화 과정이 정당민주주의 확장이며 이를 촉진하는 실천적 모델이 지방정당이다. 지방 정당정치의 위상과 의미를 제고하고 그 발전과제를 탐색하고자 본 연구는 중앙정치와 지방정치의 연관성과 차이점, 정당민주주의와 지방민주주의와의 상관관계, 정당민주주의 확장 체계와 과정, 정당민주주의 확장과 지방정당의 관계성, 지방정당과 전국정당과의 연관성과 차이점, 지방정당의 헌법적 근거와 정당법의 헌법과의 배치(背馳)등의 실증 분석에 초점을 두었다. 한국에서는 정당법에 따라 지방정당이 존재할 수 없기 때문에 한국의 지방정당에 대한 경험적 연구는 거의 전무한 상태다. 지방정당에 관한 이론과 자료가 부족하고 일반 국민들의 인식이 부재하기 때문에 전문가 의견 수렴은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방정치와 지방정당에 관한 사회적 합의 모델을 도출해 내기 위하여 델파이 기법(delphi technique)을 활용했다. 정당을 연구해온 전문가들과 정당에 종사해온 정치인, 지역사회의 주요 인사들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했다. 델파이 조사‧분석을 통해 도출된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정당정치의 위기와 정당민주주의’에서는 한국의 정당체계는 양극화된 양당제로, 정당조직은 과두화된 중앙집권식 구조로 진단하였다. 또한,정당운영은 당원과 국민들의 참여가 결여된 하향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정당민주주의 실현과제로는 정당의 다원화, 정당의 분권화, 정당의 개방화 등을 도출했다. 둘째, ‘지방정당정치의 실제와 제도화’에서는 지방자치권, 공천권, 정책기능 측면 모두 중앙정치에 예속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제도화 방안으로 정당정치의 제도화, ‘중앙집권’에서 ‘지방분권’으로 전환, 정당공천 제도 개선, 당원과 주민들의 자발적 참여 등이 도출되었다. 이를 토대로 지방민주주의 실현과제는 ‘지방정치의 제도화’, ‘지방분권 강화’, ‘주민 자치 확대’로 설정했다. 셋째, ‘지방정당의 필요성과 과제’에서는 다당체제로 전환, 지방정치의 중앙정치 예속화 극복, 주민들의 자발적 정치참여, 정당민주주의 확장 등의 측면에서 지방정당이 필요하다고 분석되었다. 지방정당 허용을 위한 정당법 개정이 도출되었다. 정당민주주의는 지방정치의 특성인 분권과 자치의 원리 지방민주주의(local democracy)와의 결합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정당민주주의와 지방민주주의와의 연계를 ‘정당민주주의 확장’으로 규정했다. 결론적으로 지방정치에서 정당민주주의 확장을 위한 실천 모델로서 지방정당의 필요성을 고찰했다. 지방정당은 정당 간 다원적 경쟁을 실질적으로 촉진할 수 있다. 지방정당은 대의민주주의의 정당정치 활성화와 참여민주주의의 주민참여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는 정당의 책임정치 발전과 주민의 생활정치 증진의 연계에서 진전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정당민주주의 확장을 실천하여 한국 정치의 발전을 도모할 것이다. 한국 정당정치의 위기극복의 방안으로 지방정당을 법적으로 허용하여 지방정치에서 정당정치를 제도화하고 민주화해야 한다. 최근 한국 정당정치에 지방정당 출현의 적실성과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지역주민들은 자발적인 정치세력화를 추진해왔고 실제로 후보를 공천하고 당선시키는 성과도 거두었다. 또한 지방분권 개헌의 당위성이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 흐름에 맞춰 지방정당의 제도화를 위해 한국형 지방정당의 모형과 법제화 방안을 연구했다. 한국형 지방정당 모형을 설정하기 위해 국내 시민사회의 정치세력화 실험과 지방정당의 외국사례를 살펴보았다. 한국의 지방정당 모형은 단일-분권의 지방정치 체제에서 정당의 대표, 조직, 공천 기능을 수행하는 정당정치 모델로 설정했다. 또한 지방정당 운영 구조는 당원과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운영되는 대중정당 모델을, 조직의 정체성에는 지역주민의 복지증진과 지역공동체의 공적이익을 도모한다는 측면에서 포괄정당 모델을 제시했다. 최종적으로 지방정당의 법제화 방안은 지방정당의 헌법적 근거, 지방분권 개헌 방향 등을 연구했다. 헌법 정신에 따라 정치결사의 자유보장, 공정한 경쟁기반 조성을 법제화 기본원칙으로 했다. 정치결사의 자유보장을 위해서 현행 정당법의 중앙당 수도소재, 5개 시‧도당과 1천명이상 당원 유지 조항을 삭제하는 방향으로 정당의 설립 규정 완화를 제시했다. 후보자 공천범위는 네덜란드, 독일, 일본, 미국 등 해외 사례를 참고하여 지방정당의 자율에 맡기는 것으로 했다. 전국정당과의 공정한 경쟁 기반 조성을 위해 정당 국고보조금의 배분에 있어 공정함을 추구하고자 했다. 공정한 국가보조금 배분에 대해서는 독일의 사례를 참고하여 정당의 역량과 성과에 따른 국고보조금 지원 방향으로 제시했다.

      • 앤서니 기든스의 사회민주주의에 관한 연구 : 「제3의 길」을 중심으로

        조성문 단국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현재 국제 사회는 전세계적으로 경제적, 정치적, 사회적으로 많은 변화를 겪으면서 그에 따르는 문제점들에 직면하고 있다. 범세계화라 불리는 이러한 상황에서 앤서니 기든스가 주장하는 사회민주주의의 복원, 즉 '제3의 길'은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연구해 볼 가치가 있다고 본다. 그에 앞서 고전적 사회민주주의의 개념과 그 구조 등을 알아보는 일이 우선되어야겠다. 그런 후에야 신자유주의와 사회민주주의를 넘어서는 기든스의 '제3의 길'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가 보통 이야기하는 고전적 사회민주주의란 20세기 초에 등장한 베른슈타인의 수정주의로 잘 알려져 있다. 이는 마르크스나 레닌의 공산주의 이념을 바탕으로 하나 그들의 폭력성과 비민주성에 의해 등장하게 된 것이다. 사회민주주의자들은 민주주의가 궁극적인 목표이며, 사회주의는 민주주의로 나아가기 위한 수단이라고 말하였다. 사회민주주의는 평등을 최고의 목표로 하는데 그 결과 개인주의적 자본주의와 맞서게 된다. 또한 이들은 경제, 사회적 측면에서 국가의 개입을 중요시한다. 이런 가운데서 사회민주주의자들의 최대 관심사는 복지제도의 확립이 되었다. 복지제도를 중심으로 한 고전적 사회민주주의는 유럽사회에서 큰 성공을 했지만, 그 후 복지국가가 야기하는 실업 문제, 경제 쇠퇴 등으로 인해 내리막길을 걷게 되었다. 그 결과 신자유주의 정당들이 정권을 잡아 경제가 발전하기도 하였으나 불평등의 심화와 세계적 빈곤이라는 심각한 문제를 초래하였다. 결과적으로 사회민주주의와 신자유주의는 그 한계를 드러내며 범 세계화에 더 이상 부응할 수 없게 되었다. 이에 앤서니 기든스는 좌파와 우파를 넘어서는 '제3의 길'을 주장하기에 이르렀다. 여기서 그는 삶의 스타일의 정치로 설명되는 삶의 정치와 사회에 속해있는 개인과 집단들이 무언가를 발생하게끔 하는 발생적 정치를 언급하고 있다. 그리고 오늘날 국민들의 정치에의 무관심과 더불어 증대되는 비정부기구들의 역할 또한 큰 변화라고 지적하고 있다. 하지만 그는 정부의 역할을 다시 한번 짚어냄으로써 비정부기구들과의 관계를 재정립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또한 기든스가 현대사회의 정치에서 충분히 민주적이지 않은 민주주의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대화 민주주의라는 개념을 강조한다. 이는 말 그대로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 또는 약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마지막으로 기든스는 오늘날 공동체의 붕괴가 가속화되는 상황을 막기 위해 국가와 시민사회의 동반자적 역할을 강조한다. 가장 커다란 변화를 맞고 있는 경제 부문은 어떠한가. 기든스는 '제3의 길'에서 기본적으로 어느 한쪽으로 치우친 것이 아닌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균형으로 인한 상승효과를 강조하는 신 혼합경제를 추구한다. 또한 신 자유주의자들과 가장 대립적인 부분인 복지정책에 관해서도 기든스는 일자리를 창출하는 등의 적극적인 복지정책을 주장한다. 이는 보다 장기적인 방식의 복지로 경제적 사회적으로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끝으로 기든스는 세계 금융 시장의 규제를 위해 토빈세의 도입과 유엔 경제 안보이사회 창립 등을 제시하고 있다. 기든스 자신이 '유토피아적 현실주의'라 일컫는 '제3의 길' 정치는 그 동안 많은 학자들과 정치가들의 관심을 불러 일으켰으며, 더불어 많은 비판을 받기도 했다. 예컨대, '제3의 길'은 좌파와 우파를 넘어서는 것이라기보다 그 중간을 맴돌고 있는 독창성 없는 이론이라는 것이다. 또한 사회민주주의 내부에서도 '제3의 길'은 신자유주의의 또다른 모습일 뿐이라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하지만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새로운 이념의 등장은 불가피했으며, 그 동안 보여진 한계를 수정, 보완한다면 이 시대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훌륭한 대안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 공론장과 심의 민주주의에 대한 사회학적 연구 : 위르겐 하버마스의 사회이론을 중심으로

        황재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현대 민주주의 위기에 대한 사회학적인 대안모색의 차원에서 이루어졌다. 민주주의는 '치자와 피치자의 동일성'을 근거로 하고 있지만 현대의 대의제 자유 민주주의는 시민들이 정치적 주체성을 상실하는 위기를 목도하고 있다. 이는 민주주의가 자본주의 발달이라는 경제구조의 변화와 복합화 및 다원화라는 사회 구조의 변화 속에서 그 이념을 현대적으로 재구성해내지 못했기 때문이다. 민주주의는 현대에 이르러 법치적 민주주의, 경쟁적 엘리트 민주주의, 다원주의와 같은 모델들로 수렴되었으나 이 모델들은 민주주의라는 정치적 과정을 시장에서의 경제적 과정에 지나치게 의존하여 파악함으로써 민주주의의 이념에서 멀어졌다. 또한 민주주의가 선호집합을 기반으로 하는 대의제의 형식을 제도화함에 따라 정치의 주체와 정치의 과정이라는 두 측면에서 시민들은 주체성 탈각과 불공정성을 경험하게 된다. 이 맥락에서 체제내적 효율화 대신 정당성에 초점을 맞추는 참여민주주의가 요청되며 참여 민주주의를 구체화한 심의 민주주의가 등장한다. 하버마스의 심의 민주주의론은 의사소통적 합리성이라는 이념적 지반과 공론장, 시민사회라는 실천적 지반을 동시에 갖고 있다. 하버마스는 기존의 주체중심적인 사유에서 벗어나 의사소통적 주체를 특화하고 이를 통해 민주주의와 생활세계의 복원을 시도한다. 이 때 의사소통이 발생하고 진행되는 공간이 공론장이며, 공론장의 형성과 몰락이 바로 민주주의의 역사가 된다. 공론장의 몰락과 민주주의의 위기는 국가와 자본주의 시장경제로 대표되는 체계의 과도한 발달이 생활세계를 침범한 것에 있다. 따라서 체계의 침범으로부터 생활세계를 방어하기 위해서는 공론장의 재활성화가 과제로 제기된다. 이 때 의사소통적 합리성과 공론장은 도덕, 법, 정치권력과 연결되어 정치적 실천력을 확보해야 한다. 하버마스는 이를 위해 담론 이론적 법이론과 민주주의론을 전개하였으며, 국가와 시민사회의 관계를 재정립하는 차원에서 심의 민주주의의 이론과 모델을 제시하였다. 정치체제의 체제내적 효율화를 추구하던 기존 이론과 달리 하버마스의 사회이론은 민주주의의 복원의 관점을 국가와 시민사회의 관계로 확장하였으며 국가와 사회의 '이중 민주화'라는 전략을 제시하였다. 하버마스의 심의 민주주의론은 많은 비판을 통해 더욱 정교화되며 이후 제도화의 지향이라는 과제를 안게 된다. 공론장을 민주주의의 근거로 위치지우는 것에 대한 비판은 단수적 공론장을 복수적 공론장으로 확장시켰으며, 공론장에서의 권력문제에 대한 문제제기는 공론장의 이념과 실제를 좀 더 현실적인 차원에서 사고하게 하였다. 본 논문은 공론장을 이념적으로 강화시켜야 한다는 규범적인 주장을 통해 공론장 개념을 방어하려 하였으며, 이를 실현하기 위해 심의 민주주의의 제도화를 주장했다. 심의 민주주의의 실현가능성에 대한 비관적인 전망은 심의 민주주의를 제도화하여 생활정치의 차원에서 지속적으로 실현시키는 실천을 통해 해결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대표의 실패, 시장의 실패, 시민의 실패를 극복할 수 있다. '체계'라는 환경 위에서 민주주의를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으로부터 도출된 심의 민주주의가 한국 사회에서는 생소한 것일 수 있다. 그러나 체계의 왜곡발전과 생활세계의 저발전을 경험한 한국 사회에서, 이 두가지 모순을 동시적으로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심의 민주주의는 더욱 절실하게 요청된다는 것이 본 논문의 결론이다. 이에 심의 민주주의는 한국 사회에서 민주주의 복원을 위한 목적과 수단이라는 이중적인 의의를 갖게 된다. This study explores an alternative to the crisis of modern democracy. In modern representative democracy, citizens are not political subjects any more far away from the classical idea of democracy. It's because that modern democracy couldn't establish a productive relationship among the economic development, social change and the democracy itself. Consitutional democracy, competitive elitist democracy, pluralist democracy, which are the typical forms of modern democracy, cannot revitalize the idea of democracy as they depend upon too much market assumptions. Moreover, the universal institutionalization of representative system shows up "representative failure" in the dimension of political subject and political process. In this context, participatory democracy and deliberative democracy are called not for the efficiency but for the legitimacy. Habermas' theory of deliberative democracy ranges from normative basis of the communicative reason to practical basis of the public sphere and the civil society. The core factor of his emancipatory concern is intersubjectivity. Public sphere is very important for it is the political realization of the philosophical intersubjectivity. It can be said that public sphere is democracy itself. As the fall of public sphere and the crisis of democracy is due to colonization of lifeworld by system, revitalization of public sphere is needed to protect lifeworld from system and recover democracy. At this point, communicative reason and public sphere should obtain practical dimension through morality, law and political power supported by public discourse. Discursive theory of law and democracy are presented to turn the point of theory of democracy from state to the relationship between state and civil society in Habermas. In short, his strategy is dual democratization of state and civil society. However, Habermas' theory needs critique and enlargement. Through various kinds of critique to Habermas' public sphere, 'one public sphere' is replaced by 'many public spheres'. Power and inequality in communication and public sphere are also problematic, but it helps us to think the idea and the reality of public sphere dividedly. In this study, the normative aspect of public sphere is defended from critiques to define it as the ground of democracy. In addition, the institutionalization of deliberative democracy should be consolidated against the skepticism on the feasibility of it. That's the only way of remedy to representative failure, market failure and citizen failure. The concept "Deliberative democracy" in dilemma between efficient system and democracy may be strange to Korean society. Ironically, it is urgently needed to reform the distortion of system and underdevelopment of lifeworld in Korean society.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at deliberative democracy is a purpose as well as a means to Korean society.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호의 기원과 제정과정 연구

        강응천 북한대학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국호는 일반적으로 민족적 정체성을 나타내는 부분과 정체 및 국체를 나타내는 부분으로 구성된다. 남북한은 전자의 영어 표기로 ‘Korea’를 공유하지만 한글 표기는 ‘대한’과 ‘조선’으로 갈린다. 냉전이 낳은 분단국가 가운데 이처럼 분단 양측이 민족적 고유 칭호마저 달리한 곳은 남북한이 유일하다. 1920년대 초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분열을 전후해 우익은 대한, 좌익은 조선을 선호하던 전통이 오늘날까지 이어진 것이다. 여기서 대한은 국가의 근대성, 조선은 인민과의 친화성을 더 고려한 칭호로 평가된다. 북한의 정체와 국체를 나타내는 ‘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말 자체만 놓고 보면 인민이 통치하는 근대적 공화국을 뜻하는 ‘민국’과 다르지 않다. 그러나 이 말은 세계사회주의운동의 영향 아래 전개된 한국사회주의운동사 속에서 특정한 의미를 획득했다. ‘민주주의’는 민족 부르주아지를 포함하는 민주적 계급들 간 통일전선의 코드가 되었다. ‘인민’은 더 이상 모든 시민을 의미하는 말이 아니라 노동자․농민․소부르주아지 등 피압박계급을 가리키는 말이 되었다. ‘민주공화국’은 그런 맥락에서 부르주아민주주의와 달리 인민이 적극적 역할을 하는 민주주의를 강조한다. ‘인민공화국’은 민주공화국의 진일보한 형태로서 인민이 공산당의 영도 아래 헤게모니를 행사하는 국체를 의미하게 되었다. 국내 사회주의자들을 중심으로 한 조선공산당은 코민테른의 직접적 영향 아래 ‘인민공화국’을 추구했다. 1930년대 중반부터 만주에서 항일투쟁을 벌이던 조국광복회 세력은 ‘독립적 인민정부’를 강령으로 내걸었다. 화북에서 중국공산당과 항일연합전선을 펼치던 조선독립동맹은 마오쩌둥이 제출한 신민주주의의 영향 아래 ‘독립․자유의 조선민주공화국’을 지향했다. 이처럼 국내외에서 활동하던 사회주의 계열이 세계사회주의운동과 보조를 맞추며 구상한 정체 및 국체는 ‘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기원을 이룬다. 해방 직후 조선공산당이 내세운 ‘조선인민공화국’은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대한민국’과 독립국가의 국호를 놓고 경쟁을 벌였다. 조국광복회 세력이 참여한 조선공산당북조선분국(북조선공산당)은 처음에는 주로 조선인민공화국을 슬로건으로 내걸었다. 1946년 8월 북조선공산당과 조선독립동맹 계열의 조선신민당이 합당해 북조선로동당(북로당)을 출범시킨 것을 전후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대두했다. 1947년 제2차 미소공동위원회 자문에 대한 답신안에서 남조선로동당(남로당)은 조선인민공화국, 북로당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국호로 제시했다. 양자의 경쟁은 그해 말 단정 국면의 도래와 함께 제정이 시작된 북한 헌법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국호로 명기되면서 일단락된다. 그러나 완전히 끝난 것은 아니었다. 헌법 논의 과정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국호로는 너무 길기 때문에 ‘민주주의’를 빼자는 논란이 일어났다. 그때 ‘민주주의’를 국호의 일부로 유지시킨 논리는 북한이 반동적인 미국식 민주주의에 맞서는 진보적 민주주의의 기지가 되고 있다는 것이었다. 북한 주도 세력의 시각에서는 분단 상황에서 ‘민주주의’민족통일전선이 필요한 만큼 ‘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호도 지켜야 하는 것이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북한 같은 구식민지 후진국이 빠른 시일 내에 인민적 민주주의를 이룩하고 사회주의 건설로 나아가는 것이 가능한가 하는 세계사적 실험의 코드이다. 동시에 그것은 민주주의를 위한 진보가 외세에 의해 끊긴 38선을 북한의 시선으로 바라보는 분단의 코드이기도 하다. This study aims to trace the origin and the establishing process of the official name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DPRK). The official name of a country generally consists of two parts; one denotes its national identity and the other its political system. While both North and South Koreas are using ‘Korea’ as the English expression for the former part, their original Korean versions differ. North Korea adopts ‘조선 (Joseon)’ and South Korea ‘대한 (Daehan)’ as each other's Korean name for the national identity. The earliest Korean communist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chose Joseon as the name of their organizations and the upcoming independent country. Their cause was that Joseon had been a common name of the Korean region for thousands of years and the Korean people were familiar with it. On the other hand the nationalists preferred Daehan and made it the Korean name for the national identity when they founded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PGROK) in 1919. The three words of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btained specific meanings through the history of the Korean communist movement under the influence of the world communism. Here democracy became the code of the unified front among democratic classes including national bourgeoisie. People ceased to mean the whole citizen, beginning to indicate oppressed classes such as laborers, peasants and petit bourgeoisie. So Democratic Republic in this context emphasizes the democracy where people play active roles, and People's Republic is an advanced form of democratic republic where people hold hegemony under the leadership of the communist party. In the colonial era we can see three prominent revolutionary groups which would take part in founding the DPRK and their preferred forms of a country. ① Communist Party of Korea (CPK): People's Republic of Korea (PRK), ② Association for the Restoration of the Fatherland (ARF): a genuine people’s government, ③ League for the Independence of Korea (LIK): Democratic Republic of Korea (DRK). Right after the Japanese surrender, the CPK's PRK competed with the PGROK's Republic of Korea (ROK) for the official name of the new country. The ARF group led by Kim Ilsung at first supported the PRK. In late 1946, Kim launched the Workers' Party of North Korea along with the LIK members and presented the new name - the DPRK. From then on the PRK and the DPRK competed with each other until the communists of Korea and the Soviet Union reached an agreement that the DPRK would be stipulated as the name of the country in the Constitution in late 1947. There arose the debate that the DPRK was too long for a name of a country and the word Democracy didn't have to be there. Kim Ilsung and his comrades, however, urged that this word should be kept because North Korea became the base of democracy against the reactionary US imperialism and its new colony, South Korea. They thought they needed democratic unified front with the democratic people of South Korea and that was why their country's name should be the DPRK. In conclusion, the name of the DPRK was the code of the historical experiment whether the construction of socialism through people's democracy in a backward ex-colony like North Korea was possible or not. And at the same time it was the code of the division of Korea pointing out the 38th parallel where the progress toward democracy was violently blocked up by the foreign power in the perspective of North Korea.

      • Bureaucracy and its relationship to democracy : 민주주의와의 관련을 중심으로 한 관료제의 고찰

        조남종 전남대학교 대학원 1982 국내박사

        RANK : 247807

        에치오니의 말을 빌리지 않더라도 인간생활과 조직이 불가분의 관련을 맺고 있다는 것은 일상의 사실이 되었다. 특히, 관료제화로 불리어지는 근대 사회의 전개 과정으로 인하여 현대사회를 대규모 조직의 급속한 팽창과 직접적으로 결부 시키게 되었다. 상호 복잡한 연관을 맺고 있는 이러한 대규모 조직의 편제 현상은 인간 생활의 거의 모든 영역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실로 현대인은 다른 무엇이기에 앞서 조직인으로 불리울 수 있다. 치밀하게 짜여진 대규모의 복잡하고 공식적인 조직의 구조기능적 제반 특징들은 흔히 관료제라는 용어에 결부 시킨다. 이러한 관료제의 조직은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인 안전, 질서, 그리고 무엇보다도 물질적 욕망 충족을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사회구조의 기본 바탕을 이루어 오늘날의 산업 문명과 물질적 풍요를 이룩하는데 불가결한 역할을 담당 하였다. (Key)의 이야기대로 인간의 문명 사회는 관료제 사회와 직결 되어 있는 것이다. 공공관료제가 정책결정에서 담당하는 역할은 시대적 상황에 따라 그 인식이 달라져 왔다. 관료제는 정책결정의 분야와 무관하다는 우드로우 윌슨의 이야기가 근 1세기가 지난 오늘날 공허하게 들릴 정도로 상황은 크게 변화 했다. 전통적인 의미의 입법부의 능력으로서는 복잡한 현대사회에서 제기되는 헤아릴 수 없이 많은 고도로 세분화 되고 전문화 된 문제들을 효과적으로 감당 할 능력을 상실하였다. 숫자 그 자체가 갖는 의미는 여러 가지 차원에서 조망이 되어야겠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미국에서 535명의 국회의원과 500만명의 연방 공무원이라는 현격한 숫자의 차이가 문제의 단면을 날카롭게 드러내고 있다. 관료제가 갖게 되는 이러한 막대한 권력은 크로지에의 이야기대로 피치자의 직접적인 참여가 결여 되어 있다고 할 때, 국민에의 책임 즉, 민주주의의 문제가 불가피하게 대두 된다. 관심을 돌려 개발 도상국가들을 보면 관료제외의 제도나 기관이 지극히 취약하여 권력투쟁 자체가 주로 관료제 내부에서만 일어난다. 따라서 리그스의 이야기대로 군사력을 장악하는 자가 정치권력을 장악 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 또한 놀랄 일이 아니게 된다. 여기서 또한 국민 주권이란 차원에서 관료제와 민주주의 문제가 야기 된다. 관료제란 지극히 애매모호한 용어이기 때문에 먼저 그 의미를 밝히지 않고는 불필요하고 복잡한 많은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관료제에 대한 사회 통념은 복잡한 절차, 근시안적 안목, 오만한 태도, 책임전가등 대부분 부정적인 것으로, 이러한 인식은 대중문화의 일부가 되었다. 그러나, 학문적 분석적인 차원에서의 관료제의 의미는 크게 다섯 가지로 압축 할 수 있다. 첫째, 조직의 기본적 구조적 특징이라는 점에서 고도로 정교하게 전문화 된 분업 체계위에 고도로 정교화 된 권위의 계층제가 융합된 조직 체계로 인식하는 것으로 믹스웨버의 이념형을 그 근간으로 한다. 두번째는, 인간의 집단적 사고와 행동이 갈수록 합리화 되어 간다는 관료제화 현상, 즉 관료제의 선행적 전제 조건과 그 원인적 세력에 관한 비교역사적 개념이다. 세째는, 목표 달성을 위한 가장 합리적이고 능률적인 형태의 조직이라는 일종의 "철학적" 측면이다. 네째는, 관료적 행위를 수반하는 당연한 또는 병적인 측면, 즉 형태적인 측면을 중시하는 입장이다. 다섯째는, 민주주의와 상관 관계를 촛점으로 정립한 개념이다. 본 논문에서의 관료제에 대한 분석은 위의 개념 전반을 중심으로 전개 된다. 관료제에 대한 고전적 노작은 맑스와 웨버, 밋헬스에 의행 이루어졌다. 맑스는 관료제를 자본가 계급의 착취적인 수단으로 보았고, 웨버는 합리적 기술적으로 능률적인 조직으로 보았던 한편, 마키아벨리적 비관론에 빠진 밋헬스는 관료제가 민주주의를 질식하는 숙명적 찬탈자로 보았다. 이러한 세 가지 주요한 고전적 입장은 그 모두가 개인적 집단적 차원에서의 민주주의와 깊은 연관을 맺는다는데 공통점을 갖는다. 본 논문의 골격은 웨버의 이론으로 짜여져 있지만 웨버의 이론이 맑스의 전반적인 이론 체계 그리고 구체적으로 관료제에 대한 이론에 의해 막대한 영향을 받았기 때문에, 그 한도내에서 맑스의 이론을 고찰해 본다. 헤겔과는 달리, 맑스는 국가, 그 자체가 시민 사회의 일부로서 지배계층의 특정적 이익을 대표하고 그것을 일반적 이익으로 호도한다고 생각했으며, 동시에 관료제는 사회의 지배계층이 다른 사회계층을 지배하는 수단에 불과하다고 보았다. 따라서 관료제는 생산과정과는 직접 관련이 없는 일종의 기생적 제도로서 피지배계층의 착취에 종사하는 주민의 특권과 현상을 지속시키는 것이 주 임무라고 보았다. 따라서 계층화 된 사회에서는 점진적인 관료제화가 불가피 해 진다. 관료제는 또한 사회적인 세력이 인간의 통제를 벗어나서 독자성을 얻게 되고 마침내는 인간에 거역하게 되는 인간 소외의 한 과정을 드러낸다. 이렇게 되어 국민 대다수로부터 독자적이고 억압적인 세력이 된 관료제는 자기 자신에게나 국민에게나 신비스럽고 잡히지 않는 실체가 된다. 맑스의 주장에 의하면 이러한 관료제는 프롤레타리아 혁명과 무계급사회의 도래에 따라 자연히 소멸 되리라 한다. 그러나 1917년 러시아 혁명이후 소련의 관료제는 밀폐된 특권 집단을 형성하고 갈수록 억압적 성격을 노정하면서 스탈린 치하에서는 프롤레타리아 독제가 아닌 관료제 독재를 이룩하게끔 되었다. 그 후로도 레닌이나 트로츠키의 주장과는 달리 소련 사회가 고도로 산업화를 이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관료제화의 경향은 그 기세를 숙이지 않고 있다. 여기에서 리찌나 번함의 관리 이론이 대두 된다. 아뭏든 이러한 막스의 관료제 이론은 웨버의 방법론과 이론 체계의 긍정적 부정적으로 엄청난 영향을 끼쳤다. 웨버는 비상한 지적인 갈등을 겪었던 사람으로 인간조건이 풀리지 않는 모순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예민하게 의식하면서, 역사적인 기술과 사회적 일반 이론의 틈바구니에서 개념화를 시도 하였다. 초기의 사회 현상에 대한 연구는 실증주의적 유기체설적 견해 그리고 사회 진화론이 풍미하였는데 그 후 인간사회의 개재하는 역사적인 사건이 유일 무일하게 특유한 독자성을 지닌다는 칸트의 정신 관념에서 비롯한 문화적 연구가 성행 하였는데 웨버는 자연 과학에서처럼 인문 과학에서도 일반화된 이념적 범주가 인과 관계를 증명하는데 불가결한 요소가 된다고 주장 하였다. 이념적으로는 자유 방임적 맨체스터학파와 혁명적 맑스주의의 중간 노선을 걸으면서 관료제가 인간 자유와 민주주의에 끼치는 부정적인 영향에 비관하면서도 독단적 결론은 회피 하였으며, 다만 강력한 정치 통제만을 역설 하였다. 환언하자면 웨버는 개인의 행동이 사회 분석의 기초가 된다고 주장함으로써 전체주의적 경향에 반대한 동시에 당시 공리주의 전통의 한계효용학파에서와 같은 급진적 주관론을 회피 하였다. 더 나아가 웨버는 사회의 문명화 과정이 갈수록 합리화 되고 관료제화 한다는 점에 주목 하였다. 그것은 첫째, 확정적으로 주어진 실제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을 갈수록 정확하고 추상적인 관념에 의한 현실의 이론적인 정복으로 이루어 진다. 그러면서 사회의 창조적인 힘이 되는 카리스마 리더쉽이 사양길에 접어들고 사회는 압도적으로 일상화 된다. 사회 제도나 너무 경직하여 새로운 상황에 대처 할 수 없을 정도로 굳어졌을 때 카리스마가 출현하여 새로운 질서와 생활 양식을 열지만 그 카리스마는 다시금 일상화 되고 기존의 질서 체제가 됨으로써 막을 내린다. 자발성과 창조성은 물정적인 법규에 의해 대체되고 그 법규는 어떤 카리스마 출연도 거역하게 된다. 그러면서 현대의 관료제는 기술적 전문가인, 말하자면 전인성을 잃은 불구적 인간형을 양산하게 된다. 이점에 있어서 웨버의 태도는 눈에 띠도록 양향적 이었다. 웨버의 이념형적 관료제는 특히 세계 제2차 대전 이후로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연구와 비판의 대상이 되어 왔다. 그러나 다이아만트의 지적대로 웨버의 이념형적 관료제에 대한 비판은 초점을 잃은 경우가 허다하다. 우선 웨버는 관료제적 기능으로 여섯가지를 지적하고 그 결과 야기되는 관료의 지위를 또 여섯가지로 지적한다. 그것을 줄이자면 조직의 기본 구조는 1) 계층제 2) 세분화 또는 전문화, 그리고 3) 자격 또는 능력으로 압축된다. 그 중에서도 관료제의 과업을 이루기위한 합리성의 적용이라는 점에서 계층제가 가장 중요한 특징이 된다. 웨버에 있어 이념형의 구성은 그가 실증주의와 역사주의의 방법론적 간극을 좁히고자 하는 필생의 노력의 가장 중요한 소산이었다. 이러한 이념형 구성에 있어서의 그 자체의 방법론 또한 엄밀하게 분석하여 불필요한 오해를 회피해야 한다. 이념형은 머론이나 모형과는 달리, 현실의 특정요소를 분석적으로 강조함으로써 형성된 천당과 같은 관념으로, 우디의 말을 빌리자면 현대 행정의 "정신"을 포착하고자 하는 시도인 것이다. 벤딕스에 따르면 웨버는 현실의 무한한 다양성을 강조 하는 동시에 개념적 명확성을 위하여 뚜렷한 차이를 과장해야 할 필요 또한 역설 하였다. 따라서 방법론적 측면에서의 이념형은 "알려진 자연 법칙"에 위배되거나 그 의미의 수준이 부적절 해서는 안된다. 웨버이후 경험적 연구에 의해 조직 현상을 이해 하려고 노력한 학자중 이론이 선구자로 등장한다. 머론은 "전문화 된 무능성" "규범의 내부화"등에 착안 하였다. 콘스타스는 관료제의 두 가지 개념으로서 가치 중립적 수단적 관료제와 권력을 장악한 지배 계층적 관료제를 구분 하였다. 글드니는 전문성과 명령 통제간의 갈등을 간파 하였고 웨버의 합리적인 모형과 밋헬스, 파손즈 셀쯔닉들이 개발한 "자연 체제"의 모형을 구분한 다음 양자를 융합한 체제 모형을 제시하였는데, 즉 관료제는 전문성과 충성, 그리고 공식성과 비공식성을 동시에 요구한다고 하였다. 그는 또한 엄밀하게 규정된 법규가 인간 관계의 긴장을 완화하는 반면 최소 업무 수행을 유발시키는 양면적 귀결을 자아낸다는데 주목하였다. 셀쯔닉은 권한 위임이 이해의 분기화라는 목표 전환을 초래 하게 되는 딜렘마를 분석하였다. 에치오니는 목표 분석에의 편중 경향을 비판하고 자원의 최적배분을 강구하는 체제 모형을 제한 하였다. 파손즈는 조직 목표 달성을 위한 권력의 동원을 조직의 중추적 현상으로 보았다. 다이아만트와 조버그는 사회 체계가 서로 모순되는 기능적 요구에 시달린다는 것을 확인 하였다. 무즈리스는 일종의 종합적 분석으로 기능적 접근을 강조한다. 이처럼 웨버 이후의 대부분의 관료제 이론이고 전적 이론에서 다루어졌던 문제의 범위를 조직 수준에까지 국한시킴으로서 보다 정확하고 경험적인 방향으로 정교화 하였다. 이렇게 초점을 압축시킴으로서 보다 정확한 개념과 보다 검증 가능한 제한된 가설의 형성이 가능 하였다. 사회 현상을 연구하는 많은 학자들이 관료제화의 불가피성을 역설하고 이러한 현상이 개인의 자유와 민주적 정치제도에 가장 큰 위협이 된다고 여겨 왔다. 웨버에 의하면 과학적 진보는 인간으로 하여금 자연을 정복하고 막대한 힘을 수중에 장악하게 하였지만 종교나 전통이 인간에게 가져다 준 가치와, 삶의 의미를 파괴하고 인간으로 하여금 삶의 지향을 잃게하는 현대 문명의 자기모순을 낳았다는 것이다. 관료제가 인간과 민주주의에 끼치는 가공할 만한 위협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있지만 본 논문에선 허버트 코프만의 주장을 주로 살펴 보았다. 코프만의 관료제의 지배라는 점에서 분명히 우려는 되지만 궁극적으로 자율성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주장 함으로써 균형잡힌 견해를 피력하고 있다. 일찌기 맑스는 무계급 사회가 오면 관료제 자체가 사회에 흡수되면서 행정 기능이 사회의 모든 성원에 의해 수행되고 노동의 분업도 더 이상 존재 하지 않는 사회가 될 것이라는 관료제 소멸론을 주장한 바 있었다. 한 가지 재미있는 것은 이와 같은 순수한 맑스주의적 견해에서는 관료제가 자본주의의 억압적이고 소외적인 수단이라고 보는데 대하여 자본주의자들은 관료제를 사회주의의 중추적인 제도로 여기는 경향이 있는 것이다. 아무튼, 자본주의 쪽에서도 관료제가, 도래하는 인간형이나 사회 변화에 궁극적으로 배치 되기 때문에 소멸 할 것이라는 견해가 있는데 여기서는 외런베니스의 견해를 주로 살펴 보았다. 베니스는 앞으로의 조직 문제는 계층제와 분업이라기보다는 통합, 권력배분, 적응, 그리고 재생의 문제라고 주장한다. 왈도 또한 관료제의 종말론에 관해 적절한 조망아래 많은 이론과 견해를 분석하고 있다. 결론은 관료제화가 근본적으로 인간 사회의 필요성에 부합되어 이루어지는 일상의 사실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인간이나 인간 사회의 지향은 획일적이거나 단면적이지 않고 때로는 서로 모순 대립되는 숱한 재세력으로 이루어 진다. 현대 사회의 관료제화의 현상에서 떠나서 또 다른 많은 세력이나 지향을 상정 할 수 있고 그 중 무엇보다도 소홀히 할 수 없는 것 중의 하나가 바로 민주주의이다. 왈도는 20C를 형성 한 두 개의 중추적 세력으로 관료제와 민주주의를 꼽고 있다. 관료제와 민주주의의 문제에 있어서 마키아벨리적 비관론자 들이었던 모스카, 파레토, 그리고 밋헬스의 견해가 중요하다. 밋헬스는 어떤 조직이나 반드시 소수 지배의 철칙에 좌우 된다는 소위 과두제의 철칙이라는 주장을 내 세웠다. 우선 조직 성원 전부가 정책 결정에 참여 한다는 것은 기술적으로 불가능하다. 여기에 조직 문제가 갈수록 복잡하게 됨으로써 특별한 지식이나 훈련이 없이는 갈수록 이해 할 수 없게 되어 간다. 게다가 관료제 구조의 계층제적 측면과 의사 전달 수단의 상부 집중으로 인해 지도자의 위치가 점차 불가침의 것이 된다. 그러면서 지도자는 조직 지도에 필요한 정치적 기술을 획득하게 된다. 게다가 지도자로서 누리게 되는 권세와 명예에 한번 익숙하게 되면 그것을 버리기가 갈수록 어려워지며, 자신의 특유함과 위대함에 대한 과대망상까지 갖게되고, 스스로를 조직과 동일시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과두제는 다양한 이데올로기를 형성하게 되는데, 그 중 가장 중요한 것이 외부의 적의 위협으로부터 내부적인 총화와 단결을 강조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현 지도층에 대한 어떤 반대 의견이건 외적을 돕는 반란적인 요소로 간주 된다. 밋헬스의 이러한 이론은 인간행동의 경제적 결정론이라는 맑스주의적 관념을 보완 하는 것으로서, 자본의가 됐건, 사회주의가 됐건 민주주의는 환상에 지나지 않는다고 일측하였다. 이러한 밋헬스의 견해에 대해 강력한 반대의견으로서, 어떤 비관론을 펴기 이전에 어떻게 하면 관료제를 완화하여 민주주의와의 마찰을 극소화 하고 나아가서 상호보완을 도모하는 쪽으로 노력해야 한다는 굴드니의 설득력 있는 견해가 있다. 민주주의 관료제보다도 훨씬 더 애매모호하고 복잡다단하게 사용- 또는 악용-되는 개념이다. 문제는 민주주의가 인간이 근 2,500여년 이전부터 추구해 온 인류의 이상인 동시에 현실적으로 활용 가능한 사회제도 이어야 한다는 양면성을 일단 인정해야 한다면, 어떻게 하면 연구자 자신이 이데올로기나 기존 정치세력의 영향을 가능한 한 벗어나서 최대한 신뢰할 수 있는 입장을 견지하는 가에 놓여 있다. 세계 제2차 대전이후 거의 모든 국가, 사조, 또는 이념이 민주주의를 신봉하게 된 전무후무한 신격화 현상으로 서로 극히 상반된 정치, 경제, 사회구조를 가진 국가들이 서로 진정한 민주주의라고 주장함으로써 사실상 보편화 된 정치 선전 용어로 전략한 그런 측면을 고려해야 한다. 역사상으로는 1930년대에 와이마르 공화국이 몰락하고, 소련에서의 일련의 사태와, 이태리에서 대두한 파시즘으로 민주주의는 위기에 봉착 했다. 1930년대의 이러한 위기를 거친 후 대중에 대한 불신, 정치적인 이상주의를 배격하는 풍조가 빚어 졌었다. 동시에 대중 동원의 메카니즘을 고도로 유효 적절하게 제도화 한 현대 권위주의 정권이 들어섬으로서 민주주의에 무서운 도전을 하고 있다. 민주주의는 정상 상태를 가정하고 있다. 그런데 발전도상국가들에서는 위기 관리를 영속화시킴으로써 고도로 중앙집권적인 통치체계를 형성하여, 클리톤 로시터의 이른바 입헌 독재가 자행되고 있다. 여기서의 문제는 위기의 존재이기 때문에 현재 정권을 잡은 정치 지도층이 위기를 가정, 영속화 또 심지어는 조성할 수도 있다. 개발도상국가에서 정치 권력은 마치 인플레에서처럼 항상 신축적이고, 하향 경직적인 듯 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관료제가 행사하는 정치적 역할은 실로 막대하다. 이러한 민주주의의 위기에도 불구하고 민주주의가 생장 가능한 인류의 이상이라는 것을 칼만 실버트가 설득력 있게 피력하고 있다. 관료제와 민주주의가 항상 배치되는 것만은 아니다. 불라우와 메이어의 주장대로 민주적 결정된 목표의 가장 효율적인 달성을 위해 관료제를 활용할 수 있다. 문제의 핵심은 관료제와 민주주의의 최적 배합을 강구하는데 있다. 단순한 수학적 공식보다는 개별적 사례에 따라 합리적인 방안이 강구 될 수 있다. 여기에서 행정 책임, 의사전달, 위원회제, 참여, 고객위주 행정, 사회적 형평 그리고 인간 관계의 민주화등이 논의된다. 까뮈의 말대로 인간 존재에는 야누스의 얼굴처럼 모순이 개재되어 있는 것 같다. 까뮈 생각의 진부를 가리기전에 만약 우리의 어떤 생활에 모순이 있고 그 모순 때문에 고통을 받는 다면 그 모순을 완화하려고 애쓰는 것이 인간과 사회의 의무이며 지탱일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는 약 10여년 전 월남전과 워터게이트의 환멸을 배경으로 소장 행정학자들이 사회적 형평과 참여를 기치로 신행정학 운동을 전개한 것은 그에 수반하는 수 많은 문제점을 일단 인정하고라도 보다 민주적인 행정을 위한 행정학계의 능동적인 노력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아야 할 것이다. 동시에 우리나라와 같은 발전 도상국에서도 그러한 노력이 상이한 상황이라도 새로운 차원에서 이해되고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위에서 본 바대로, 관료제와 민주주의의 문제에 대한 결론적 해답을 얻는데 있는 것이 아니라, 현대 사회에 때로는 은밀하게 때로는 뚜렷하게 편재하는 관료제에 관한 고전적, 근대적 이론을 분석적으로 고찰하면서 문제의 촛점중의 하나로 자연히 부각하게 되는 민주주의와의 관련을 다소 집중적으로 살펴보는 데 있다. 현대 사회에서 관료제는 공사를 막론하고 엄청난 재화와 용역을 공급하고, 우리들의 정신적 조망 나아가서 인간성 그 자체마저 형성하는데 중요한 한몫을 담당하고 있다. 이러한 물질적 생산활동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면서도 비판을 면치 못하고 있다. 많은 학자들이 여러 가지 대안을 제시하고 있으나, 적어도 예측 가능한 미래에 있어서 관료제는 문명사회에 주어진 여건으로 간주 된다. 두 번째의 가장 뚜렷한 비판은 관료제가 구성원의 자발성, 자유, 자기실현에 심각한 장벽이 되며, 나아가 조직외적 사회전반적 민주화에 위해가 된다는 것이다. 사실 관료제의 근간을 이루는 계층제적 구조는 민주주의의 주요한 이상인 "평등"에 배치되며, 법규에의 예속은 "자유"에 배치된다. 고도의 분업화 및 전문화의 요청은 전인적 인간, 자기실현적 인간이라는 인간 존엄성의 이상에 배치 된다. 그러나 관료제는 그 근대사의 초기에 평등 원칙의 적용과 법규의 인간자의 대체로써 민주주의의 역사적 실현에 커다란 공헌을 하였으며, 현재에도 결국 정치지도력의 민주화에 대한 열망-그 밖에 어떤 정책 지침-은 현실적으로 관료제의 채널을 거치지 않으면 이루어 질 수 없다. 물론 여기서 자기 임명적 지도력과 민주적 또는 대표적 지도력간에 구별을 지어야 할 필요는 있다. 관료제와 민주주의의 문제는 몇가지의 일도 양단적 결론을 내리기에는 너무도 방대하고 착종한 문제들이 얽혀져 있다. 그중 대표적인 것들을 살펴보면, 첫째 관료제가 여론에 부합하여 민주주의의 이상을 실현하려 노력한다면, 관료제는 필연적으로 그 상위 정치 리더쉽과 정책적 차원에서 갈등을 일으키고 정권에의 반응의 신뢰성, 책임성을 위반하게 된다. 요컨데 어디까지가 관료제 나아가 행정의 고유영역인가 하는 문제이다. 둘째, 문제의 범위를 관료제 내부의 영역에 국한시켜야 하는가, 조직외적인 정치적 영역에까지 확장시킬 필요가 있는가의 문제이다. 셋째는 민주주의에서 경제적인 측면, 예컨대 배분의 균등을 고려해야 하는가, 정치적인 영역에 그쳐야 하는 가이다. 넷째는 문제화의 적절한 영역 또는 모집단이 공간적으로 얼마만큼인가 하는 것이다. 다섯째 민주주의 이외의 가치, 국가안보, 개인의 안전감-대규모 관료제안에서 개인이 느끼는 안정적 소속감은 소규모의 대면적 조직 성원의 그것과 비교해보면 알 수 있다.-, 능률등의 가치와 충돌할 때 그 적합배분의 문제이다. 이러한 그리고 다른 거대한 문제들을 고려해 볼 때, 평생 관료제와 민주주의라는 문제와 씨름을 해 오면서도 아직 한권의 책을 쓸 엄두를 내지 못했다는 왈도의 이야기가 실감이 난다. 그러나 그의 한 귀절은 기회균등을 주요 구조로 하는 democratic pluralism서의 문제를 적절하게 조망하고 있다. "모든 사람이 추상적인 개념으로서의 관료제를 혐오하고, 구체적으로 특정한 관료제를 혐오하지만, 동시에 모든 사람이 정부로부터 보다 많은 문제 해결을 기대한다. 결국 문제의 핵심은 관료제라는 현실과 민주주의라는 이상의 모순적 조합을 상황과 경우에 따라 어떻게 풀어가느냐에 있는 것 같다. 그 문제 해결의 배경이 되는 기본 개념들과 이론들을 살펴보려 했던, 논문 시작의 취지는 사실 문제의 방대함을 확실히 인정함으로써 마무리 된 느낌이다.

      • 세계화가 민주주의와 부패에 미치는 영향

        기남훈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에서는 세계화 -> 민주주의 제고 -> 반부패에 이르는 고전적인 믿음에 대하여, 적절한 방법론적인 통제를 가한 후 실증적 분석을 수행 한다. 본 연구에서는 민주주의와 부패의 상호관계에 대한 종합적인 모형을 구성하고, 구조방정식의 잠재성장 모형이라는 새로운 접근을 하고자 한다. 또한, 그동안 주로 행해졌던 상관관계 분석이나, 회귀분석의 접근에서 벗어나, 1차년도(2004년)의 세계화가 1, 2, 3(2004, 2006, 2008년) 차의 시기에 있던 민주주의와 부패의 발달 궤적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도록 하겠다. 이는 단순히 세계화, 민주주의, 부패에 대한 상관관계를 설명하는데 그치지 않고, 세계화가 민주주의 부패의 상호 발달에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설명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또한, 종단적 잠재성장 모형은 민주주의와 부패 그리고 세계화 사이에 있을 있는 양방향의 인과성을 통제할 수 있기에 방법론적 타당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분석 결과, 본 연구의 분석시기에 있어 초기의 세계화 정도가 민주주의의 발전 궤도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지만, 민주주의의 발전을 통하지 않고도, 청렴도의 상승 변화 궤도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준다는 해석이 가능했다. 결국, 본 연구의 분석 시기에 있어서, 세계화가 민주주의를 통하여 부패를 감소시킨다는 고전적인 논의는 재조명할 필요성이 있다.

      • 電子民主主義와 現代的 憲法 構造의 變化

        성충익 建國大學校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e-democracy on constitutional system. We are here concerned with the key aspects of the e-democracy currently needed. This is a comparative syudy of the capitausm democracy and e-democracy. Also,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e-democracy on separation of powers. The first chapter describes the change of e-democracy and powers, and the second chapter describes the constitutional powers and ideologie, and the third chapter examine the impact of e-democracy on separation of powers. The final part presents the e-democracy and the change in contemporary constitutional system. There has been a renewal of interest in e-democracy, especially among the netizen in recent years. Over the past few years, several studies have been made on the impact of political by e-democracy. But, studies have focused on fundamental rights. Little attention has been given to the constitutional system. I think we need to remember that when we look ahead and speculate about the impact of the internet on the world we live in today. It is relatively easy to project the technical trends, of higher bandwidth, of greater use of wireless technologies, of a world where domestic appliances and pocket devices are all connected to the internet. It is much harder to foresee the impact on our societies, or the way that other social change may interact with new technologies. I believe the internet can and will have a positive impact on many aspects of our democratic system, in particular through the greatly increased two-way communication it allows between government and citizens. I hope that that will help to increase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the political process. But I suspect the greatest impact may come through the way it interacts with wider changes in society, in ways that we may not foresee at all. The internet has unleashed huge new opportunities for people to take more control over their lives. And I suspect that will be the biggest driver of political change. E-democracy may come about in quite unexpected ways. In Minnesota, when JesseVentura the former professional wrestler was standing for Governor in 1998, he caught the imagination of young people, many of whom wouldn't normally have voted at alt.They became enthusiastic supporters, discussing and campaigning for him over the internet. Ventura won despite a hostile conventional media, who often sought to portray him as a buffoon. And in the recent Republican Presidential primary, the internet helped to generate momentum for John McCain's campaign, even though it was ultimately unsuccessful. McCain started off with relatively little funding, but attracted large amounts of small donations over the internet. More recently, we have seen examples of consumer-driven developments in the explosive growth in trading music files over the internet, predominantly using the MP3 format. Although developments like this were foreseen for the longer term, the speed with which this has taken off has caught the music industry by surprise. As the internet has become more and more part of the mainstream, rather than a tool for early adaptors, so we are beginning to see a clash of cultures. Between those who want to preserve the freedom of access, the freedom of expression and the creativity that have been so important in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And those who see a need or a commercial argument for introducing greater structure and control in how people access the internet. Governments are inevitably getting sucked into this debate. As the internet and e-commerce become more and more a part of everyday life, so issues like consumer protection, legal redress, tax, broadcasting licencing and so on all have tc be addressed. But what we mustn't overlook is that the key influence of Governments so far has largely been through their role in liberalising markets and promoting competition, particularly in the telecoms industry. I was struck by the story told by Lawrence Lessig, the Berkman Professor of Law at Harvard, about arguing with young Congressional staffers about the need to ensure open access to broadband cable systems. He was met by the response tha he was calling for government regulation: and where would that end? He had to gi back and explain that it has been open access to telephone systems, in many case; against the wishes of the incumbent telephone companies, that has enabled the internet to take off in the way it has. For a electronic democracy the ideology is important role. The constitution structure which is stabilized most not must be does not change the basis of constitution system of present time. Introduction of the electronic democracy for a righteousness proposal reinforcement leads and as the evening twilight of the constitution structure where putting the place focus which it magnifies and strengthens a righteousness my democracy is stabilized most is a possibility of doing. The ideology and politics do when only Korea presenting an idea knows Korea advances the citizen, to present the map direction of percentage idea. Finally the politics which looks away the earnest desire of the netizen against a electronic democracy is the branch not to be able long and accomplishes the propulsion of electronic democracy in such private ownership and the influence must present the democracy mortgage against that power in the citizen. As that principal, the separation of electronic democracy power will propel and being prerequisite, with percentage element the power intensively will reach from the condition which becomes, it snatches again and comes, the thing the experience of political history e being difficult, is difficult, to draw and to choose it does to know the fact that it is to become. Revolution of the electronic democracy which it discusses from over there is a water service which to stand in subject of control the water service which with the citizens oneself will do to stand letting on the center of public opinion, will do. The ticket of the political doctor only will dance the bay knows the possibility of raising the interest degree against a politics is the point is presenting the method for the approach in the democracy where the electronic democracy recovers more means the thing. The such electronic democracy as one recognition as one thought enough is to be value in the citizens, such value the constitution pursues and to bring the approach which is sensitive to the problem of percentage power more it does. The power separation will become the technical means of the democracy to defend a electronic democracy. Also electronic democracy will be the possibility the true feelings grudge democracy way of thinking becoming fixation anger from only democracy base place which cabinets to the principal of restraint and balance of pow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