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예비 한국어교사의 다문화접촉 및 다문화교육 경험이 다문화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박창선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effect of would-be Korean language teachers' type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training course and experience of contacting multi-culture and experience of multi-culture education by measuring multicultural sensitivity of Korean language teachers. Subjects of this study established to achieve above mentioned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what effect do type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training course have on multicultural sensitivity of would-be Korean language teachers? Second, what effect does experience of contacting multi-culture have on multicultural sensitivity of would-be Korean language teachers? Third, what effect does experience of multi-culture education have on multicultural sensitivity of would-be Korean language teachers?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13 people who attended Korean language teachers training course at university and graduate school located in Seoul metropolitan area. A tool that revised an instrument developed by Cheol Hyun Lee(2013) was used to measure multicultural sensitivity in this study.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survey and on-line survey.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t-test and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using SPSS program.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verage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of bachelor's degree course and non-degree course was higher than that of master's degree course and academic credit bank system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s. When it comes to average of sub areas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multi-culture exclusiveness and practic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There was a difference among groups depending on areas. Type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training course do not have effect on multicultural sensitivity of would-be Korean language teachers.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in overall average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of would-be Korean language teachers depending on experience of contacting multi-culture. When it comes to average of sub areas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multi-culture background knowledge area, multi -culture exclusiveness area, multi-culture practice area and multi-culture knowledge area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Experience of contacting multi-culture has an effect on multicultural sensitivity of would-be Korean language teachers. Third, there was a difference in overall average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of would-be Korean language teachers depending on experience of multi-culture education. When it comes to average of sub areas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multi-culture background knowledge area, multi -culture interaction area and multi-culture knowledg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Experience of multi-culture education has an effect on multicultural sensitivity of would-be Korean language teachers. keyword: would-be Korean language teachers, multicultural sensitivity, experience of contacting multi-culture, experience of multi-culture education 본 연구는 예비 한국어교사를 대상으로 다문화감수성을 측정하여 이를 전반적으로 살펴보고, 예비 한국어교사의 다문화감수성에 한국어교원 양성과정, 다문화접촉 경험, 다문화교육 경험이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은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한국어교사의 다문화감수성에 한국어교원 양성과정의 유형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예비 한국어교사의 다문화감수성에 다문화접촉 경험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예비 한국어교사의 다문화감수성에 다문화교육 경험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수도권 소재 대학, 대학원, 대학부설시관에서 한국어교원 양성과정에 재학 중인 학생 113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철현(2013)을 수정하여 다문화감수성 측정도구로 사용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은 온라인 설문지와 설문지 병행을 통해 이루어졌고, 자료 분석은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t-test, 다변량 분산 분석(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교원 양성과정 유형은 학사 과정과 비학위과정의 다문화감수성 평균이 석사 과정과 학점은행제 과정보다 높았으나 집단별로 큰 차이를 보이 않았다. 다문화감수성 하위영역 평균에서는 다문화 배타성 영역과 다문화 실천의지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영역에서도 특정한 집단이 높은 것이 아니라 영역에 따라 집단 별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한국어교원 양성과정의 유형은 예비 한국어교사의 다문화감수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둘째, 다문화접촉 경험에 따라 예비 한국어교사의 다문화감수성 전체 평균에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다문화감수성 하위영역 평균에서는 다문화 배경지식 영역, 다문화 배타성 영역, 다문화 실천의지 영역, 다문화 지식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다문화접촉 경험은 예비 한국어교사의 다문화감수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셋째, 다문화교육 경험에 따라 예비 한국어교사의 다문화감수성 전체 평균에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다문화감수성 하위영역 평균에서는 다문화 배경지식 영역, 다문화 상호작용 영역, 다문화 지식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다문화교육 경험은 다문화감수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 다문화 접촉이 다문화수용성 유형별 인식에 미치는 영향 : 다문화 배타주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민윤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3

        한국은 외국인 주민 비율 5% 근사치로 사실상 다문화사회에 진입했다고 할 수 있다. 이렇듯 끊임없는 외국인 인구와 노동력의 유입은 한국이 가진 생산가능인구 감소 문제를 해결하는 비책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한국은 2008부터 본격적으로 범정부적 차원에서 다문화정책을 펼치고 있지만, 한국인의 다문화수용성은 뚜렷한 변화가 없어 이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특히 정부 정책의 일관성 및 통합성 결여 문제, 지나친 동화주의적 정책 문제, 정책 수혜 대상의 낙인 문제 등 정책적 문제와 더불어 한국인의 낮은 다문화수용성과 제노포비아식 배타적 행태 등 사회적 문제가 상당한 수준이다. 그러나 이에 대한 별다른 대응책이 없다는 것이 학자들의 공통된 지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수용성을 제고하는 방안을 따져보기로 한다. 다문화수용성은 그 자체로 복잡한 사회현상과 얽혀있어 논의하기에 세밀한 영향 요인을 따지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접촉이론에 따라 다문화 접촉이 다문화수용성에 어떤 방식으로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위협이론에 따라 다문화 배타주의가 어떠한 효과를 주는지 분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분석은 여성가족부의 2021년 국민다문화수용성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접접촉과 긍정적 미디어 접촉은 각각 다문화수용성과 다문화 배타주의에 대하여 상반된 영향력을 지녔다. 둘째, 직접접촉은 다문화수용성과 다문화 배타주의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친 변수였다. 셋째, 긍정적 미디어 접촉과 부정적 미디어 접촉은 문화다양성에 가장 강한 영향력을 보였다. 넷째, 다문화 배타주의는 다문화수용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직접접촉이 위협인식을 매개하여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칠 때 긍정적인 효과가, 이웃기피를 매개할 땐 부정적인 효과가 발생하였다. 반면, 긍정적 미디어 접촉이 위협인식을 매개하여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칠 때는 부정적인 효과가 발생하였지만, 이웃기피를 매개할 경우 긍정적인 효과가 발생하였다. 다문화 배타주의 중 위협인식이 대체로 이웃기피보다 더 큰 매개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연구 이론적 함의를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연구주제의 시의적인 논의가 가능하였다. 둘째, 접촉 유형을 분리하여 따로 담론한 선행연구들과 다르게 다문화 접촉 유형끼리 비교하여 분석 및 논의하였고, 미디어를 통한 다문화 간접접촉의 효과가 다문화수용성 제고에 특히 중요한 영향요인임을 밝혀내었다. 셋째, 다문화수용성의 유형별 논의로 복잡하고 추상적인 ‘다문화수용성’ 개념을 세세히 나누어 분석이 가능하였다. 넷째, 그간 분석으로 활용되기에 녹록치 않았던 다문화 배타주의 개념을 적극 활용하여 다문화 배타주의의 유형에 따라 다문화 접촉과 다문화수용성 개념과의 관계가 상이하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또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첫째, 직접접촉과 미디어접촉 간의 이미지 괴리로 인한 인지부조화를 줄여서 다문화수용성을 제고하도록 한다. 둘째, 직접접촉이 가진 양면성에 대한 대처로 지자체 등의 실효성 있는 다문화 프로그램 운영의 필요성이 있다. 셋째, 문화다양성으로부터 문화갈등이 비롯될 가능성이 농후하므로 긍정적인 문화다양성을 위하여 ‘미디어의 다양화’를 꾀해야 한다. 넷째, 한국 동화주의적이며 선진국 사대주의적인 사고방식을 지양하는 미디어 콘텐츠 생산의 정책적 장려가 필요하다. 다섯째, 다문화 배타주의가 사회갈등과 지역 인구유출을 촉발할 수 있다는 점을 경계해야 한다. It can be said that Korea has virtually entered a multicultural society with a 5% approximation of foreign residents. This constant influx of foreign population and labor could be one of the secret measures to solve the problem of decreasing the working-age population in Korea. Korea has been implementing multicultural policies at the pan-government level since 2008, but the multicultural acceptance of Koreans has not changed significantly, so discussions are needed. In particular, there are significant social problems such as low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xenophobic exclusive behavior, as well as policy problems such as lack of consistency and integration of government policies, excessive assimilation policy problems, and stigma of policy beneficiaries. However, it is a common point of scholars that there is no countermeasure to this. Therefore, in this study, we will consider ways to improve multicultural acceptance. Multicultural acceptance itself is intertwined with complex social phenomena, so it is important to consider detailed influencing factor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how and how multicultural contact affects multicultural acceptance according to the contact theory. It also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multicultural exclusionism according to the threat theory.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s 2021 National Multicultural Acceptance Survey.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irect and positive media contacts had contradictory influences on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multicultural exclusionism, respectively. Second, direct contact was the variable that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multicultural exclusionism. Third, positive and negative media contacts showed the strongest influence on cultural diversity. Fourth, multicultural exclusionism had a negative impact on multicultural acceptance. Fifth, there was a positive effect when direct contact affected multicultural acceptance by mediating threat perception, and a negative effect when mediating neighborhood avoidance. On the other hand, when positive media contact affected multicultural acceptance by mediating threat perception, negative effects occurred, but positive effects occurred when mediating neighborhood avoidance. Among multicultural exclusionism, threat perception generally showed a greater mediating effect than neighboring avoidance. From these results, the following research theoretical implications can be suggested. First, a timely discussion of the research topic was possible. Second,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separately discussed contact types, multicultural contact typ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and discussed, and the effect of multicultural indirect contact through the media was found to be a particularly important factor in enhancing multicultural acceptance. Third, it was possible to analyze by dividing the complex and abstract concept of 'multicultural acceptance' in detail through discussions by type of multicultural acceptance. Fourth, by actively utilizing the concept of multicultural exclusionism, which has not been easy to use for analysis, it was reveal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contact and the concept of multicultural acceptance differs depending on the type of multicultural exclusionism. In addition, this study presented the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First, the cognitive dissonance caused by the image gap between direct and media contacts is reduced to enhance multicultural acceptance. Second, there is a need for effective multicultural programs such as local governments to cope with the ambivalence of direct contact. Third, there is a strong possibility of cultural conflict from cultural diversity, so it is necessary to seek "diversification of media" for positive cultural diversity. Fourth,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the production of media content that avoids the Korean assimilationist and historical way of thinking in advanced countries. Fifth, it should be warned that multicultural exclusionism can trigger social conflict and local population outflow.

      • 다문화가정 청소년에 대한 청소년들의 사회적 거리감 연구 : 다문화접촉경험과 자아존중감을 중심으로

        이수연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오늘날 우리사회는 한민족 단일국가라는 특성에서 벗어나 다문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많은 현상들을 목도하고 있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은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의 증가로써, 이들에 대해 우리사회 구성원들이 가지고 있는 사회적 거리감의 정도는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의 기본적 권리와 사회통합을 저해하기에 사회문제로 거론될 수 있다. 이러한 사회적 거리감의 문제는 일선학교들에서 수행 중인 다문화이해교육을 통해 보완이 가능하다. 그러나 현재의 다문화이해교육은 단기적, 피상적, 형식적 성격으로 인해 그 기능을 온전히 수행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실제적 장기적 체험의 성격을 지닌 교육으로 전환시켜줌과 동시에 타인에 대한 긍정적인 수용을 가능케 하는 내적인 요인 또한 강화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이에 본 연구는 다문화적 요인들에 대한 직,간접적 접촉경험과 사회적 거리감의 관계, 자기수용과 연관이 깊은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거리감과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현재 다문화이해교육이 가진 단점을 보완하는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론적 검토를 통해 청소년들이 일상생활에서 다문화적인 요소들에 대해 직접적, 간접적 접촉경험이 많을수록 사회적 거리감이 완화된다는 가설과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사회적 거리감이 완화된다는 가설을 도출하였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자기응답식 설문지를 통한 양적연구를 수행하였다. 자기응답설문지는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이 밀집한 3개 지역의 중학교에 배포해 318개의 설문을 회수하였고 응답이 불성실한 사례를 제외한 289개의 설문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결과와 함의는 다음과 같다. 직접적 다문화접촉경험, 간접적 다문화접촉경험, 자아존중감은 상관관계분석에서 사회적 거리감과 부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었으며 위계적 회귀분석에서도 사회적 거리감에 부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이는 다문화이해교육의 개선방안으로 본 연구가 주목한 직, 간접적 접촉경험의 범위와 자아존중감을 신장시키는 방안이 적절함을 나타낸다. 또한 본 연구에서 주목한 다문화접촉경험의 범위는 학교, 친구, 해외여행, 미디어로 사회적 거리감 완화를 위해 매우 다양한 접촉경험의 범위를 검토해야함을 의미한다. 특히, 사회적 거리감이 자아존중감과 더불어 다문화접촉경험에도 많은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은 사회적 거리감 완화는 개인적인 시각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시각에서 접근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 대학생의 다문화 접촉경험이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관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Hyun, Young Kwon 동국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한국은 1995년부터 급격하게 증가한 국제결혼으로 한 해 약 20,000명의 다문화 가정의 자녀들이 태어나고 있고 2015년 현재에는 전체 인구의 약 3.4%가 외국출신자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UN인종차별철폐 위원회 특별보고관의 보고서와 외국인 차별에 대한 조사 통계를 보면 한국의 다문화수용성은 아직 성숙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현실 속에서 주류 사회 구성원들의 다문화수용성 향상을 위해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에 대한 의문에서 출발한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검증한 다문화 접촉경험이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재검증하려한다. 이를 위해 다문화 접촉경험을 직접 접촉과 간접 접촉으로 나누어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또한 다문화 접촉경험과 다문화수용성 사이에서 Alfred Adler의 핵심 이론인 사회적 관심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조사 대상은 서울에 입지한 3개 대학의 학생들로서 설문조사를 실시했고 53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조사 대상으로 대학생을 선정한 이유는 현 시점에서 대학생들이 성장한 시대적 배경(해외여행 자율화, 국제결혼 급증)을 감안할 때 외국출신자와의 접촉경험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었고 통계지표도 이를 검증해 주었기 때문이다. 연구를 위해 사용한 척도는 안상수 외(2012)가 보완한 다문화수용성 척도(KMCI) 개정판과 정민(2013)의 사회적 관심 척도를 사용하였다. 또한 다문화 접촉경험에 대한 조사 문항은 민무숙 외(2010)에서 제시한 문항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 번째로 주변 외국출신자의 현황에 따른 다문화수용성의 차이를 검증하였고 친·인척이나 가까운 친구 중에 외국출신자가 있는 경우가 주변에 외국출신자가 없는 경우에 비하여 다문화수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는 다문화에 대한 직접, 간접 접촉경험의 하위요인들이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는 외국인과의 대화 빈도, 해외거주경험, 외국출신자에 대해 부정적으로 묘사한 미디어에 노출된 빈도가 유의한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다문화 직접, 간접 접촉경험이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칠 때 사회적 관심이 조절효과를 보이는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간접 접촉경험과 다문화수용성 사이에서는 사회적 관심이 조절효과를 나타내었지만 직접 접촉에서는 해외거주경험과 다문화수용성 사이에서만 사회적 관심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주류사회 구성원의 다문화수용성 향상을 위해서는 직접 접촉경험으로서 외국인과의 대화 빈도, 해외거주경험이 중요하다는 것과 미디어를 통한 다문화 교육을 통해 다문화수용성 향상을 유도할 때 사회적 관심을 고취시키는 것의 효과를 알 수 있었다. 또한 선행 연구에서 사회적 관심을 높이는데 다양한 상담프로그램이 효과가 있었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다문화수용성 향상을 위해 사회적 관심을 높이는 일에 상담사의 역할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South Korea has rapidly increased international marriages from 1995, therefore, currently 20,000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have been born in 1 year, and approximately 3.4 percent of the total population is a foreign-born person in 2015. However, th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South Korea is still seen as immature according to reports of the special rapporteur of the UN CERD (Committee on the Elimination of Racial Discrimination) and statistics of discrimination against foreigners. This study starts from the question what mainstream society members have to prepare in order to improve th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for the solution of problems. In this study, the influence of multicultural contact experience about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at is verified in previous studies is to re-validate. For it, this study checked the influence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fter multicultural contact experience was divided into direct contact and indirect contact. Also, this study examines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interest as a prominent psychologist Alfred Adler's core theory between multicultural contact experience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605 students of three universities that are located in Seoul and is analyzing data on 530 of them. The reason of the selection surveyed is the growing historical background (overseas travel liberalization, increase rapidly of international marriage) of university students at the present time. So they could be expected to contact foreign-born persons often. It was verified from statistics indicators. This study uses inventories that are the social interest inventory of Jung (2013) and revised Korean multiculturalism inventory (KMCI) of Ahn (2012). In addition, the survey item of multicultural contact experience uses questions that were studied by Ahn (2012) and Min (2010) The first result of this study is relatives or close friends of foreign-born cases, when compared with the cases that do not exist, found high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e second result is the influence of indirect contact and direct contact experiences o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e results appear in the frequency of conversations with foreigners and frequency of exposure to negative media depicting foreign-born persons and overseas living experiences. Finally,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interest between multicultural direct and indirect contact experience,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s a result, social interest showed a moderating effect between indirect contact experience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However, direct contact experience is the only foreign living experience that showed a moderating effect of social interest. For suggestion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members of mainstream society for a stable multicultural society. So conversations with foreigners are important, and it is also helpful when multicultural education utilizes media and increases social interest through personal counseling or group counseling, etc. As a result, this study could also be a factor in reconsidering the role of counseling psychologists in the improvement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 공항내 문화경험이 브랜드자산 및 관계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신옥철 한국항공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687

        본 연구는 공항의 문화마케팅활동에 따른 문화접촉 경험과 브랜드애착이 브랜드 자산 구성요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이러한 브랜드자산 구성요인이 인상적 여행경험 및 관계지속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분석하는데 궁극적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두가지 연구모형을 제시하고 있는데 첫 번째 연구모형은 내국인을 대상으로 우선 각 연구변수들간의 영향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그리고 추가로 브랜드자산 구성요인 3가지가 문화접촉과 관계지속의도간에 매개효과를 보유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두 번째 연구모형은 첫 번째 모형의 내국인외에도 추가로 외국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내국인과 외국인간의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국적차이가 내외국인간에 조절효과가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인천국제공항에서 문화마케팅을 경험해 본 내국인 및 외국인 공항이용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내국인 313부 및 외국인 211부의 설문응답에 대해 구조방정식 등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첫 번째 연구모형 분석결과 문화접촉 및 브랜드 애착은 모두 브랜드인지도, 브랜드의미, 지각된 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브랜드자산 구성요인 모두는 관계지속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상적 여행경험(MTE)은 관계지속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브랜드인지도와 지각된 가치는 문화접촉과 관계지속의도간에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연구모형 분석결과 내국인과 외국인간 문화접촉, 브랜드자산 구성요인 및 관계지속의도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어 국적이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공항에서의 문화마케팅 전략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항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중장기전략 수립 및 시행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남북한 출신 청년이 만드는 접촉지대의 문화번역과 협력적 생애사 : A 독서모임을 중심으로

        Hidaka, Sawako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71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identify different shapes of power dynamics and identities that are constructed, exchanged and modified within a contact zone between young South Koreans and young North Koreans. Conducting a fieldwork on a book club organized by these young people called “Book Club A,” it finds that the gathering is a place of daily and micro-cultural activities where the cultural medium of books allows its members to share views. The club serves as a physical space of contact for the two groups of young Koreans and also deepens, psychologically and cognitively, their understanding of each other. The number of North Koreans who have defected to South Korea exceeded 30,000 in 2017. Ever since, South Korea has searched for ways to better support South Koreans and North Koreans to "coexist". A series of developments in the two Koreas’ 2018 international relations, including the inter-Korean summit and the North Korea–United States Summit, has heightened much of the South Korean society’s interest in its Northern counterpart. Some in the South have advocated that North Korean defectors should be integrated into South Korea referring to their shared ethnicity. Indeed, South Korea has been an active party of the inter-Korean relations in a macroscopic sense, and yet it has overlooked the fact that there emerged another form of inter-Korean relations at a microscopic level – that between South Koreans and North Korean defectors. This thesis attempts to translate the varying terms through which the young people of two Koreas build their relationships in a cultural space of a book club, and to inquire into the ensuing changes in how they identify themselves in the course of such development. It employs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to reveal what conventions are mutually understood by the members and what their respective locations imply. It may be safe to assume that young South Koreans are the majority while the young North Korean defectors are minority in the South Korean society. And it is an uncontested fact that power relations between them already exists in many areas. Book Club A becomes a space inconsistent with the outside world. Books lay the foundation for conversations led by shared interests while the formality and rituals set by the club endorse equitable social membership. Here in this quotidian and microscopic space, all members, those native to South Korea and those who defected from the North alike, encounter and practice mutual recognition that cannot be experienced beyond its doors. Also, the discussion about books is based on their life experience, which heals them related to the historical division of Korean peninsula and forms mental bond between them. This process can be analyzed through the concept, Collaborative Life History as well as the example of German reunification and separated Korean people. Book Club A is different from public institutions in that it does not provide financial supports to the young North Korean defectors in the South Korean society. Its impact, after all, lies in offering the young North Koreans with the experience of social recognition and interaction that are as crucial to a settlement in the Korean society as is any public support. The presence of this space has a great social significance; it signals to the young generation of the Korean society, whose ethnic diversity exhibits continuous growth in the face of globalization,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with the minorities of their society. 본 연구는 남북한 출신 청년들이 A 독서모임이라는 문화적 접촉지대에서 역동적인 권력 관계와 정체성을 만들어내고 그것을 서로 교환하며 변화시키는 모습을 분석(번역)하는 연구이다. 연구현장인A 독서모임은 책이라는 문화적 장치를 통해 의견을 나누는 일상적이고 미시적인 문화활동의 장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A 독서모임을 단순히 한국과 북한 출신 청년이라는 두 집단이 물리적으로 접촉하는 공간으로만 보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서로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켜나가는 심리적, 인지적 공간으로서의 문화적 접촉지대로 본다. 한국에서는 북한이탈주민 3만 명 세대라고 불리던 2017년쯤부터 본격적으로 북한이탈주민과 한국 사람이 ‘상생’하기 위한 방향성이 계속해서 모색되어 왔다. 특히 2018년에 들어 남북정상회담과 북미정상회담이 연이어 개최되는 등 국제관계가 요동치는 가운데 한국 사회에서는 북한에 대한 관심이 한층 더 높아지고 있다. 한편 한국 사회에서는 민족성을 언급하면서‘한국 사람’인 북한이탈주민을 ‘우리’안에 편입시켜야 하는 존재로 보는 시선이 존재한다. 또한 국제관계라는 거시적인 관점에서 볼 때 한국은 남북관계의 주체라고 하지만 국내라는 미시적인 관점에서 볼 때 한국 사람과 북한이탈주민 간의 작은 남북관계에 대해서는 별로 관심을 보이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A 독서모임이라는 문화적 공간에서 남북한 출신 청년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관계를 맺어가는 모습과 그들의 변화하는 정체성을 참여 관찰과 심층 면접을 통해 분석(번역)하고 일상적인 현장에서의 남북한 출신 청년의 상호이해와 그들의 위치가 시사하는 의미를 밝혔다. 한국 사회에서 한국 출신 청년은 다수를 차지하며 북한이탈주민인 북한 출신 청년은 소수자인 것은 사실이다. 이들 간에는 여러 분야에 걸쳐 권력 관계가 이미 존재한다. 그러나 A 독서모임에서는 책이라는 문화적 매개체를 통해 그들 간의 대화를 가능케 한다. 또한 동등한 사회적 동료로서 이야기를 나눌 수 있도록 만들어진 의례를 토대로 남북한 출신 청년은 일상적이고 미시적인 공간에서 외부 사회에서는 경험하지 못하는 상호인정의 관계를 실천하고 있다. 또한A 독서모임에서 이루어지는 토론과 논의는 개개인의 인생경험을 공유함으로써 역사적인 분단, 민족의 이산 등의 경험으로 인한 고통과 고독감이 치유되고 구성원 간에서의 공동체성이 생기는 효과를 낳는다. 이러한 과정은 독일통일과 한민족 이산의 사례와 같이 협력적 생애사라는 개념으로 해석할 수 있다. A 독서모임은 공공기관의 지원정책과는 달리, 북한 출신 청년을 경제적으로 지원하지는 못하지만, 한국 사회에 정착하는 데에 있어 경제적 지원 못지않게 중요한 사회적 인정의 감각과 소통의 경험을 제공해준다. 이것은 앞으로도 지구화로 인해 다문화사회가 진행될 한국 사회를 만들어가는 주체인 청년에게 소수자와의 교류와 소통의 가능성을 깨닫게 해준다는 사회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

      • 청소년의 제노포비아에 미치는 영향에서 편견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박여경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70

        본 연구는 다문화사회로 진입한 한국에서 외국인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함을 인식하고, 다문화를 많이 접하는 청소년에 주목하여 청소년의 제노포비아에 미치는 요인들을 밝히고자 하였다. 국내의 제노포비아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문헌고찰 수준에 머무르고 있으며, 실제 한국 청소년의 제노포비아 수준, 제노포비아에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외집단과의 접촉을 통해 편견을 낮출 수 있다는 접촉이론과 죽음에 대한 잠재적인 불안이 외집단에 대한 편견과 적대감을 유발시킨다는 공포관리이론을 통해 제노포비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도출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 지역에 거주하는 만15세~24세 청소년 85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는 2018년 2월 19일부터 3월 26일까지 진행하였으며, 자료 점검을 통해 최종 831명의 응답결과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및 기술통계분석, 신뢰도분석(Cronbach's α), T-test, ANOVA 분석, Scheffe's 사후검증, Baron과 Kenny의 회귀분석, 그리고 경로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Sobel-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 및 논의를 통해 도출한 결론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다문화접촉경험과 제노포비아 간의 관계에서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에 대한 편견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완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청소년의 다문화접촉경험이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에 대한 편견을 통해 간접적으로만 제노포비아에 관계가 있음을 의미한다. 즉, 청소년의 제노포비아 수준은 다문화접촉경험이 아닌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에 대한 편견을 통해서 영향을 받게 된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제노포비아 수준을 낮추기 위해서는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에 대한 편견을 낮출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가정은 편견적 태도를 형성하는 근본적 환경이기에 가정 안에서부터 반편견 교육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현재 한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반편견 교육은 유아나 초등학생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가정 안에서 자연스러운 반편견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부모대상 반편견 교육, 그리고 청소년대상 반편견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편견을 낮추기 위해서는 청소년들이 자신과 다른 문화를 가진 다양한 사람들과의 접촉을 많이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통합학교 및 다양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또한 다문화 청소년에게만 초점을 둔 선별적 지원이 아닌 다문화 청소년과 비다문화 청소년 통합을 기반으로 한 지원 및 정책이 필요하다. 둘째, 청소년의 죽음불안인식과 제노포비아 간의 관계에서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에 대한 편견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죽음불안인식과 제노포비아의 관계에서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에 대한 편견을 통한 간접효과뿐만 아니라 죽음불안인식이 제노포비아에 직접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즉, 죽음불안인식이 높을수록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에 대한 편견이 높고, 편견이 높을수록 제노포비아 수준은 증가한다는 것이다. 또한 죽음불안인식이 높을수록 제노포비아 수준이 증가한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죽음불안인식이 편견과 제노포비아에 중요한 변인임을 파악할 수 있다. 공포관리이론에 따르면 죽음불안인식이란 인간이 죽음에 대해서 생각을 했을 때 발생하는 불안을 의미한다. 불안은 긴장감과 두려움의 느낌을 갖고 외집단에 대해 위협으로 인식하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불안을 낮추는 것은 외집단에 대한 편견과 제노포비아 수준을 낮출 수 있다. 현재 보건복지부(2018)에서는 한국인의 정신건강을 위해 지역사회에 정신건강복지센터를 설치 및 운영하여 정신건강 위험요인 보유자 등을 포함한 지역주민 전체를 대상으로 치료연계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한국인의 불안을 관리하기 위해 이러한 치료 사업이 더욱 활발히 진행될 수 있도록 정신건강복지센터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 셋째,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제노포비아 간의 관계에서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에 대한 편견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자아존중감과 제노포비아의 관계에서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에 대한 편견을 통한 간접효과뿐만 아니라 자아존중감이 제노포비아에 직접효과도 있음을 의미한다. 즉,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에 대한 편견이 높고, 편견이 높을수록 제노포비아 수준이 증가한다는 것이다. 또한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제노포비아 수준이 증가한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자아존중감이 편견과 제노포비아에 중요한 변인임을 파악할 수 있다. 현재 교육부에서는 청소년들의 정신건강,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해 자유학기제, 자원봉사활동 등 청소년들이 다양한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청소년활동경험은 청소년들의 정신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청소년들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더 많이 확대하고 다양한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보다 적극적인 홍보와 관심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제노포비아 수준을 밝히고, 제노포비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검증한 연구로서 제노포비아 수준을 낮추는 방법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되어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saw a need for Koreans to have a new approach toward foreigners in South Korea with regard to the introduction of a multicultural society, and it sought to determine the factors that influence youth xenophobia among the young people who are more exposed to several cultures. The existing domestic studies on xenophobia have been discontinued at the level of reviewing literature, thereby failing to properly deal with the Korean youth xenophobia levels and the influencing factors of xenophobia. For this reason, this study derived the influencing factors of xenophobia and established a research model based on the contact theory that prejudice can be alleviated through contact with the external groups, and the terror management theory that the potential anxiety about death can trigger prejudice and hostility against the external groups. To that end, 851 young people aged 15 to 24 years old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were surveyed from February 19, 2018 until March 26, 2018, and the collected data were checked and analyzed.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SPSS 23.0 program through the frequency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ronbach's α), t-test, ANOVA, Scheffe's post-test, and Baron and Kenny's regression analysis. Meanwhile, Sobel test was conducted in order to prove the significance of the path. The study results are outlined below. Fir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ulticultural experience of the Korean youth and their xenophobia, the mediating effect of their prejudice against the foreigners residing in South Korea was verified, thereby suggesting a complete mediating effect. This suggests that the multicultural experience of the young Koreans only has an indirect relationship with xenophobia through their prejudice against the foreigners residing in South Korea. In addition, the youth xenophobia levels are influenced not by multicultural experience, but by the prejudice of the young Koreans against foreigners residing in South Korea. Measures should be explored in order to alleviate the xenophobia levels of these young Koreans. Since homes provide a fundamental environment for preconception, it is important to naturally provide education on anti-prejudice that starts within homes. However, the anti-prejudice education, which is currently implemented in South Korea, is focused on preschoolers 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order to ensure a natural anti-prejudice education at home, it is deemed necessary to promote the anti-prejudice education to the parents and the young people. In order to alleviate prejudice, there is a need to develop integrated schools and diverse programs to enable young people to socialize with people from different cultur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nsure support efforts and policies, which are focused not only on multicultural young people, but also on the integration of the multicultural young people and non-multicultural young people.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ath anxiety consciousness of the Korean youth and their xenophobia, the mediating effect of their prejudice against foreigners residing in Korea was verified, thereby suggesting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is suggests tha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ath anxiety consciousness and xenophobia, death anxiety consciousness not only has indirect effects, but also direct effects on xenophobia based on the prejudice of the Koreans against foreigners in South Korea. The greater the death anxiety consciousness, the greater the prejudice of the Koreans against foreigners in South Korea; and the greater the prejudice, the greater the xenophobia level. In addition, as the death anxiety consciousness increases, the xenophobia level increases. Therefore, it was found that death anxiety consciousness is an important variable of prejudice and xenophobia. According to the terror management theory, death anxiety consciousness refers to the anxiety that arises when a person thinks about death. Anxiety is characterized by feelings of tension and fear, and recognizing external groups as threats. By alleviating anxiety, prejudice and xenophobia levels against external groups can also be reduced. Currentl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8) has established mental health and welfare centers for communities in order to boost the mental health of Koreans and conduct treatment-linked programs that targeted people in the community, including people with mental health risk factors. Mental health and welfare centers should be promoted to further activate such treatment programs aimed at managing the anxiety of the Koreans.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esteem of the Korean youth and their xenophobia, the mediating effect of their prejudice against foreigners residing in South Korea was verified, thereby suggesting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is means tha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xenophobia, self-esteem not only has indirect effects, but also direct effects on the prejudice and xenophobia of the Koreans against the foreigners in South Korea. The lower the self-esteem, the higher the prejudice against foreigners in South Korea; and the greater the prejudice, the greater the xenophobia. In addition, if self-esteem decreases, the xenophobia level will increase. Therefore, it was found that self-esteem is an important variable of prejudice and xenophobia. Currently, the Ministry of Education provides different environments, such as the free semester system and volunteer activities, in order to improve the mental health and self-esteem of the youth. Furthermore, these activities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their mental health. In order to improve the self-esteem of the young peopl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ir chances of participating in diverse activities, as well as promote and take a positive interest in such programs to allow them to engage in more activities.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Korean youth xenophobia levels, verify the xenophobia-influencing factors, and help prepare methods for alleviating xenophobia levels.

      • 호서지역 청동기시대 전기 문화접촉 양상 검토

        성호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68

        호서지역 청동기시대 전기에는 미사리․가락동․역삼동유형이 일정 기간 병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세 유형 간 접촉 형태를 분류하고 시간에 따른 문화접촉의 변천 및 전개 양상을 살펴보았다. 유형 간 접촉 형태는 크게 A, B, C, D의 4가지 타입으로 구분할 수 있다. 우선 A타입은 서로 다른 유형의 요소가 유물 단위에서 결합되어 나타나는 형태이다. 이와 달리 B타입은 특정 유형의 취락 내 타 유형의 유물이 개별 기종으로 유입되는 경우이며, C타입은 타 유형의 주거 양식이 유입되는 경우에 해당한다. 한편, A+B, A+C, B+C와 같이 복수의 접촉 타입이 조합되어 나타나는 경우도 존재하는데, 이를 D타입으로 설정하였다. 문화접촉의 종류로는 교환, 이주, 전파가 있으며 호서지역 청동기시대 전기 세 유형 간 접촉 타입도 이러한 틀에서 해석할 수 있다. B타입의 경우 도구의 교환, A․C타입은 타 유형 주민의 이주까지도 상정 가능하다. 각 타입이 복수로 나타나는 D타입의 경우에 대해서는 보다 지속적인 접촉 또는 직접적인 이주의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단계별 호서지역 청동기시대 전기 유형 간 문화접촉의 전개상을 살펴보면, 우선 세 유형이 호서지역 내 유입되는 1단계부터 상호 간 교환․이주 등의 접촉이 나타난다. 2단계에는 가락동-역삼동유형 간 접촉이 증가하는 한편, 미사리유형은 쇠퇴하면서 주변 가락동유형 취락으로 유입되는 양상이 일부 관찰된다. 이후 3단계에는 미사리유형이 소멸하고 가락동․역삼동유형도 쇠퇴하면서 전기 유형 간 접촉 흔적이 급격히 감소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In the early Bronze Age period in the Hoseo area, it is known that the culture types of Misari, Garak-dong, and Yeoksam-dong coexis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this paper, the cultural contact types between these three culture types were classified, and the changes of cultural contact over time were examined. Cultural contact type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four types: A, B, C, and D. First of all, type A is a form in which different culture elements are combined in the relic unit. Type B corresponds to the case which other culture type′s relics are flowed as individual model, and type C corresponds to the case which other culture type′s housing styles flow in. On the other hand, there are cases which multiple cultural contact types are combined, such as A+B, A+C, and B+C, and this is set as D type. The types of cultural contact include exchange, migration, and diffusion. The types of cultural contact between the three culture types of the early Bronze Age in the Hoseo area can be interpreted in this framework. In the case of type B, tool exchange can be assumed, and in the cases of type A and C, even the migration of residents in other culture types can be assumed. For type D, each type appears in multiple, the possibility of more continuous contact or direct migration can be considered. Observing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ontact of the early Bronze Age in the Hoseo area by stage, first of all, contact such as exchange and migration appears from the first stage when the three culture types flow into the Hoseo area. In the second stage, as the contact between Garak-dong and Yeoksam-dong types increases, while the Misari type declines, some patterns of inflow into the surrounding villages of Garak-dong type are observed. After that, in the third stage, as the Misari type disappears and the Garak-dong and Yeoksam-dong types also decline, it can be seen that the contact traces between culture types of the early Bronze Age in the Hoseo area rapidly decrease.

      • 한국에 대한 문화접촉도, 국가이미지 및 제품평가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시장의 한국산 화장품을 중심으로

        김설령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8

        With the globalization of the world market, Chinese domestic market demands have significant strategic meanings to our own industries in South Korea. The rapidly rising economy of China made multi-corporations from all over the world to consider Chinese market as the most attractive one. In fact, over 400 multi-corporations of the world’s biggest 500 corporations have been expending their production bases in China. Recently, South Korea is increasing her national images by using cultural arts with the name so called “Korean Wave”. In this paper, “Korean Wave” will be discussed and measured to verify either it’s simply just a form of cultural arts or a huge boosting element of improving the national images among countries. Furthermore, the paper will talk about whether “Korean Wave” influences the purchases of Korean made products among buyers, what kind of effects the national images contribute towards product ratings, and whether there is any “Country of Origin Effects”. The research focuses on Chinese young women who are the essential class in Chinese society because they can highly influence the trends and consumptions. One of the reasons to choose this particular group is to enhance international marketing theories throughout studying cosmetic products ratings and sales amounts which may be affected by the awareness of South Korean culture and the national images. Another very important reason is to find out the effecting elements of creating positive national image and cultural relations in order to support decision makers and the strategic directions at the operation lines.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South Korean cultural awareness, national image, and product ratings affect the intention of purchases in positive ways. However, national images don’t show relevant impact to product ratings, and the causing elements are also varied in terms of importance of the changes. Many consumers consider national images of the product’s origin a lot while they choose foreign imported goods, and the cultural components play significant roles in terms of influencing the purchasing decisions. In order to Chinese market more efficiently, a detailed research is required about Chinese people. If only building marketing strategies by using the similarities of cultural contacts and national images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wisely, we can penetrate the market more successfully by overcoming the high reversal resistance of the current mark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