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공·시간적 운동예술로서의 무용예술의 특질

        백수연 조선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8831

        이 연구는 다양하고 복잡한 무용에 대한 개념정의를 보다 합리적이고 보편적인 승인을 얻도록 하여, 무용예술의 정체성을 갖게 하고, 무용과 무용학의 발전을 도모하고 궁긍적으로 무용예술의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이 연구는 이 연구에 관계된 자료수집을 통해 이를 바탕으로 이론을 도출해 내는 문헌연구로 이루어졌다. 여러 가지 계약적 조건들과 연구자의 부족한 능력이 제한적 요소로 작용하게 되었다. 무용이 예술이라는 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우선 예술의 의미부터 살펴보고, 예술이 추구하는 것이 궁긍적으로 미라는 점에서, 또한 미의 의미도 살펴보았다. 그리고 또한 예술과 미와의 관계에 대하여도 논거 되었다. 무용은 흔히 종합예술이라고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종합성에 대한 오해를 하고 있어, 본 연구에서는 종합성이 가지는 의미를 확실하게 해 주고, 또 신체와 무용, 체육과 무용과의 관계를 분명하게 밝힘과 동시에, 무용이 운동예술로서 다른 어떤 예술과도 비교할 수 없는 생명력 있고, 가장 감흥력이 강한 예술이라는 것을 밝혀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at "dance" means, using general definitions from various sources,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dance, dancing art, and dancing science. To conduct this study, the literary research was carried out based on related data. Please note that situational constraints and my own limitation were restricting factors in completing this study. form, and what it expresses is In the study, the meaning of art is discussed in order to dance as art. The meaning of beauty is also discussed, based the concept that the ultimate goal of art and beauty is considered. Some critics say that dance is a kind of artistic form, but these critics often misunderstand dance's complexity. To determine what "form" means in ar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and dance, and between physical training and dance, must be clearly defined. In conclusion, dance is a kinetic which has an incomparable vitality and is most attractive art form.

      • 무용예술강사 양성프로그램 분석을 통한 문제점 및 대안적 접근 탐색

        신주경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학교문화예술교육 예술강사 지원사업을 위한 무용분야 예술강사 직전 및 현직 양성프로그램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향후 무용교육전문인으로 거듭날 수 있는 무용예술강사 양성 교육의 목표, 내용, 방법의 차원에서의 대안적 접근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에 연구자는 문화예술교육 무용예술강사 양성프로그램의 연구개발, 운영체계, 내용 및 방법의 시기별 특징을 문서적 차원에서 고찰하였고, 높은 교육열과 수업개선의지를 가진 것으로 여겨지는 예술강사 8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고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양성 프로그램의 실천적 차원을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귀납적으로 범주 분석되었고, 연구가 이뤄지는 과정에서 연구의 진실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동료 간 협의, 구성원 간 검토, 원자료의 대한 삼각검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양성 프로그램은 그 변화 추이에 따라 형성기(2005-2009)와 과도기(2010-2014)로 분류되었고, 각각 연구개발, 운영체계, 내용 및 방법의 영역으로 세분화하여 분석할 수 있었다. 형성기는 교수-학습과정안과 양성 프로그램 개발 연구를 시작으로 2005년 초등학교부터 시행하게 되었다. 기본(A코스), 심화(B코스), 연구(C코스)의 단계별 연수를 약 3년동안 총 140시수 이상 수강해야하는 기본연수 프로그램을 구성하였고, 과목은 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교양관련, 교육과정, 교수전략 등의 교육학 관련, 무용분야 수업내용과 교수법을 배우는 실기관련 등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2009년 말부터 2014년까지 양성프로그램의 질적 성장에 대한 고민의 결과로 많은 보고서들이 발간되는 과도기를 맞이하게 된다. 2011년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이 개발되고 예술강사들의 멘토 역할을 담당할 아르떼 예술강사를 선발하고 이듬해인 2012년 아르떼 아카데미가 출범하게 된다. 2013년부터는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을 교부하기 시작하면서 양성 프로그램의 의무연수 시간이 대폭 줄어드는 전환점을 맞게 된다. 둘째, 양성 프로그램의 문제점은 목표, 내용, 방법, 운영적 차원으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목표적 차원은 불투명한 목표설정과 목표인식, 교육목표와 괴리된 양성프로그램, 내용적 차원에서는 지상병담으로만 느껴지는 이론, 내용지식과 기능만 존재하는 실기, 방법적 차원에서는 창의와 인성이 부재한 주입식 수업과 중복되는 단계별 수업, 운영적 차원에서는 시기와 시간의 문제, 유명무실한 재교육의 문제가 대두되었다. 셋째, 무용의 신체적, 인지적, 감성적, 영성적 차원의 존재를 의식적으로 드러내어 인식하고, 네 가지 차원을 무용능, 무용지, 무용심을 기르는 활동을 통해 무용소양을 함양하여 총체적 능력과 자질을 갖춘 무용교육자를 기르는 것을 목표로 삼아야 한다. 무용을 실천전통으로 바라보는 텍스트의 관점과 현재의 문화, 예술, 종교, 철학 등의 맥락들과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바라보는 콘텍스트의 관점이 녹아든 교육내용을 선정하여야 한다. 탐구적 실천가로의 성장을 위해 학습공동체를 만들고 이러한 과정에서 현장의 소리가 반영된 교안 개발에도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하며, 멘토 역할을 담당할 우수 예술강사를 적극 지원하여 롤모델로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양성과정의 교육강사는 문화예술교육을 실천전통으로 바라보는 관점을 취하고 끊임없이 고민하고 연구하는 연구자가 되어야 한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무용예술강사 양성을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무용소양을 지도하기 위해 요구되는 무용교육자의 전문성의 개념을 탐색하고, 이를 함양시키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경력 예술강사 재교육의 목표, 내용, 방법, 운영적인 측면에 대한 연구와 실천이 요구된다. 셋째, 실천전통으로서의 무용교육을 무용능, 무용지, 무용심을 길러 무용소양을 갖추도록 하는 구체적 차원의 교수-학습자료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 우리나라와 외국 무용예술학교의 교육과정 비교분석

        명금록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무용예술 영역에서 선진국이라 할 수 있는 미국, 영국, 독일에서 무용예술을 전문으로 하는 학교와 우리나라 무용예술학교의 교육과정 체계와 교육목적 및 목표 그리고, 교과내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각 국가별로 정책적인 특성과 함께 각 학교의 역사적 배경과 관점을 기준으로 무용예술학교의 발전과정을 살펴보고, 교과목의 구성과 운영방법 및 체계의 특성을 살펴봄으로서 이들 국가가 무용예술의 선진국이 될 수 있었던 요인을 찾아보려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내용을 중심으로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첫째, 현 시대의 무용예술계의 흐름에 맞춰 무용예술교육의 현황을 비교 하였다. 둘째, 각 나라의 정책적인 특성과 무용예술학교의 역사적인 배경을 포함하여 교육이념 및 목표를 비교 분석하였다. 셋째, 각 무용예술학교의 전반적인 운영방법과 체계를 비교 분석하였다. 넷째, 무용예술학교의 일반적인 역할과 기능을 파악하여, 전문인력 측면에서 어떻게 무용가, 지도자, 교육자, 안무가를 배출·양성하여 사회에 기여 하는지를 알아보았다. 다섯째, 각 무용예술학교의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고, 문헌상에 나타난 특성과 실제 교육에서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보았다. 이상과 같은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우리나라의 한국예술종합학교는 국가주도로 외국의 3개교에 비하여 가장 늦게 설립되었다. 따라서 외국 예술학교의 장단점을 검토하여 개설하였으므로 포괄적이고 개성 있는 교육을 위하여 노력한 것으로 보인다. 외국의 무용예술학교에서는 전문무용가, 안무가, 교육자 등이 참가하여 각각의 전문분야를 심도 있게 연구함으로서, 전문인력 배출을 목표로 하여 개성 있는 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하고 차별화 되면서도 연계성 있는 교육과정을 개설하고 있었다. 둘째, 각 무용예술학교는 나라마다의 특색 있는 정책으로 무용예술계를 위한 제도적 기반과 경제적 지원을 마련하고 있었다. 또한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수업운영을 위해 교육목표와 교육강조점이 일관성을 가지고 깊이 있게 진행되고 있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한국 예술종합학교는 국가주도로 개설·운영되므로 학교의 특성을 살린 무용의 개발보다는 국가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 셋째, 예술적·교육적 측면에서 각 무용예술학교별 특성을 살린 운영방법을 체계적이고 단계적인 지도방법을 적용·시행하며, 타 대학교나 전문 공연센터와 공동 연구를 시행함으로써 각 학교의 설립 취지 및 기능을 강화하였다. 한국예술종합학교는 너무나 많은 교과목을 나열함으로써 한국의 전통무용 등과 같은 민족무용을 강조한 점 이외에는 독특하고 개성 있는 교육내용이나 전략은 관찰되어지지 못하였다. 넷째, 각 무용예술학교는 전문무용인, 지도자, 교육자, 안무자를 배출·양성하여 지역사회와 자국 더 나아가 세계의 무용 예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었다. 다섯째, 공연예술로서의 안무작업의 실습과 경험측면에서 전문성 있는 실기와 체계적인 이론을 준비함으로써 공연수행 능력과 예술작품의 질적인 수준을 향상시키며, 졸업 후의 진로와 직업도 고려하며, 학문영역에서의 무용학의 정립을 위한 영역도 활성화되어 있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무용을 전공하는 학생수가 매우 많으므로 일반대학의 무용과와 차별화 되는 졸업후의 진로나 직업의 개발도 병행되어야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무용예술교육과 무용예술계의 선진화를 위하여 문화선진국의 국가 정책적인 제도와 각 무용예술전문학교의 자료를 검토하고 비교 분석해 봄으로서 앞으로의 문화경쟁시대에 대응할 수 있는 우리나라의 나아갈 방향에 따른 기초자료 설정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Many great fields of arts, especially the dance, have been developed in many advanced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England, and Germany. The principal goal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rimary factors and reasons of how these countries become more powerful in artistic circles, by comparing dance educations and systems in Seoul as of 2001, of that to the education curriculum of these countries with wide latitude, systems, objects, and courses. In additions, in this study, we will study the major dance schools in different countries, we will analyze the growth and their programs, systems and the administrations based on each schools stand point of views, the historical backgrounds, and the political measure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next five concepts were chosen. First, comparing art dance educations, one could differentiate the present age of artistic dance field. Second, Comparing each art dance schools own goals and the ideologies, one would be able to conclude on the historical backgrounds. Third, one would be able to analyze each art dance schools general administrations and organizations. Fourth, Grasping the roles of each art dance schools and functions, one will discover how they train dancers, teachers, faculties, and choreographers in order for them to contribute to the societies. Fifth, Comparing and analyzing schools systems and courses, one will find out the special qualities on their documents and actual educations including practicing. With these five content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before the Korean National University of Arts wasn't very developed, Korea didn't have great systems in the dancing field. However, in the meantime, the foreign art dance education programs in schools tried very hard to grow the artistic circles with organized systems and courses. They as well concentrated on the training as an important part of their program. They were focusing on producing professional dancers, recruiting teachers and choreographers, so that they could help these dancers to grow into greater artists who, in the future, would be able to contribute back to their societies. Second, art educations and schools differ from a country to country. And each country has ones own policies and systems. With their own bases, these schools try to support and to raise funds for the world of art, especially in dance field. They consist on progressing for the utility factors and reasonable courses. Third, the artists systematically run the art dance educations and schools. For example, artists make special studies of other professional artistic schools so that they could intensify their own systems. Fourth, art dance educations and schools train professional dancers, teachers, faculties, and choreographers in order for them to contribute to the societies. Going to a step further, as a result, the development of the dance communities in the world can grow for the better. Fifth, art dance schools consider the future of students seriously and care for them very much. Therefore, schools open various kinds of new studies curriculums to have different point of views' for example, opening new operating workshops, increasing art performance etc would lead to a development of new opportunity for their students. Most of these studies are based on principles and theses. Thereupon, analyzing these foreign art dance schools and their rather different systems in other institutions and the sponsorships can help to improve Korean art dance studies. This study could be the basic information and lead the Korean art dance studies to the right direction for improving the Korean world of art dance.

      • 니체 철학에 나타난 무용예술의 본질에 관한 연구

        송보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니체 사상에서 중심이 되는 예술개념에서 무용의 본질을 모색하는데 있다. 무용이 다른 어떤 예술보다 활기 있고, 생동감이 넘치며 인간의 삶과 밀접한 동시에, 역동적인 특징을 가질 때 이는 니체가 말하는 디오니소스적 예술과도 일치하며, 그것이 아폴론적 형상화를 통해 작품으로써 창조되어 공연되어 졌을 때 관객들은 무용에서 시각적으로 본 것의 이상인 그 어떤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여기서 논자는 무용에서 표현되는 그 무엇을 무용의 본질이라고 간주하고, 그것을 니체의 예술개념을 빌어 고찰해 보았다. 니체는 19C후반까지 지배적이던 관념적 형이상학이 더 이상 지배력을 갖지 못하고 쇠퇴하고 소멸할 수밖에 없는 니힐리즘을 선언하고, 기존의 '초감성적인 것'의 허구성을 극복하기 위해 새로운 가치를 제시하고자 했다. 그 새로운 가치는 바로 니체의 중심개념이 되는 디오니소스적인 것이며 힘에의 의지이다. 디오니소스적인 것과 힘에의 의지는 니체 철학에서 가장 중요한 가치들로써, 그것들은 인간의 삶에서 찾아지는 것이자 생성, 창조와 관련된 것이다. 즉 니체는 삶에서 중요한 본능, 충동, 욕구 등이 이제 하나의 거대한 이성으로서 몸의 이성을 통해 표현되고, 또 그것들에 대한 철학적 조명이 필요하다고 생각한 것이다. 그리고 본능, 충동, 욕구와 삶의 근원적인 것들은 바로 예술에서 가장 잘 나타나며 관찰 될 수 있다는 것이 그의 주장이었다. 따라서 예술의 한 장르인 무용은 니체의 힘에의 의지가 가장 잘 드러난 양식이며, 또한 과거의 전통적 형이상학에서의 가치가 전도되는 기점에서 신체의 개념이 정신적이고 합리적인 이성에서 더 중요한 개념인 몸적 이성으로 대치되면서 신체를 매개로 하는 무용의 입지를 굳건하게 세울 수 있는 타당성을 발견할 수 있다. 즉, 위에서 언급되어진 세 가지 요소들을 더 자세히 무용과 연관지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니체의 철학은 다른 철학자들의 사상에 비해 삶과 예술이 밀접하게 관련되어 설명되어 지기 때문에 무용의 본질에 대한 논의를 가능하게 여지를 많이 발견할 수 있다. 첫째, 니체는 기존의 형이상학에서 영혼불멸, 피안의 세계에 모든 관심의 초점을 두었던 것과는 달리 인간과 인간의 삶 자체에 관심을 기울이며, 관념적인 사고방법에서 몸적 사유방식으로의 전환을 시도하였다. 따라서 기존의 이원론적 사고에서 배제되었던 물(物)적 존재인 신체의 개념은 니체에 의해 커다란 이성으로써의 몸적 이성으로 대치되었고, 그럼으로써 무용의 매체인 신체의 개념은 세계해석의 출발점으로 제시되어 진다. 이러한 사상은 기존의 전통적 철학에서 신체의 물질성 및 관능성으로 인해 무용이 예술의 한 장르임을 의심하게 했던 것에서 그것(물질성 및 관능성)을 인정함과 동시에 신체를 인간의 모든 삶의 근원적인 기반으로 제시함으로써 무용의 철학적 논의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한다. 니체 철학에서 무용예술의 본질을 찾을 수 있는 두 번째 요소는 니체의 철학함에 있어서의 예술적 태도에서 발견 할 수 있다. 니체의 철학은 예술철학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그만큼 그의 철학은 예술과 관련되어 있고, 이것은 니체가 예술을 인간의 삶을 가장 잘 나타내는 양식이자 삶에 새로운 의미와 가치를 부여할 수 있는 해석이라고 간주한 것과 관련된다. 특히 이러한 새로운 의미와 가치들은 디오니소스적인 것과 힘에의 의지로 나타나게 되는데 이러한 것들은 위에서 언급했던 바와 같이 예술에서 가장 잘 드러난다. 디오니소스적인 것(혹은 이성)과 힘에의 의지는 서로 비슷한 의미로 사용되지만 디오니소스적인 것은 아폴론적인 것과 대비되면서 예술의 이원적 충동으로 제시되기도 한다. 이것은 예술의 발전이 아폴론적인 것과 디오니소스적인 것의 이중성과 관련이 있다는 니체의 명제에서 발견된다. 무용 역시 이러한 니체의 견해, 아폴론적인 것의 형식성과 디오니소스적인 것 내적 요소의 이중성을 띠며 존재하게 되지만, 모든 삶의 근원인 디오니소스적 이성이 더 잘 나타나는 예술이라 할 수 있다. 왜냐하면 무용예술이 존재하게 되는 것은 이 두 가지 예술충동의 상호작용에 의해 가능하게 되지만, 결국 그것이 표현하는 것은 인간의 삶과 정서 등을 표현하는 디오니소스적 이성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무용에서 움직임을 통해 표현되는 그 무엇은 바로 쾌의 감정과 직결되는 미적인 것이기도 한 디오니소스적 이성인 것이다. 니체의 철학에서 찾아지는 무용예술의 본질에 관한 세 번째 요소는 바로 힘에의 의지이다. 힘에의 의지란 존재자의 존재 의지로써 인간의 삶과 연관된다. 따라서 무용은 인간의 삶을 표현하는 하나의 양식으로 존재하며, 그것은 힘에의 의지에 의해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즉, 무용은 존재의 가장 내밀한 본질을 드러내는 형식으로 움직임을 통해 힘에의 의지를 드러낸다. 따라서 이러한 내적 요소와 삶의 근원적인 것은 니체 철학에서 명시된 디오니소스적 이성과 힘에의 의지며, 무용에서 표현되는 그 무엇은 인간의 감정 및 정서 등과 같은 내적 요소이므로 결국 무용은 디오니소스적 이성 및 힘에의 의지를 표현한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또한 니체 철학에서 고찰해 본 무용은 위의 세 가지를 통해 삶의 양식을 표현하는 예술이라 할 수 있다. 니체가 삶을 예술적 해석으로 풀어나가려 했듯이 무용은 인간의 감정이나 정서, 이념 등을 움직임을 통해 표현함으로써 삶에 새로운 의미와 가치를 부여한다. 그러므로 무용은 니체의 의미체계를 가장 잘 표현하는 예술이자 삶의 의미를 부여하고, 해석하게 하는 양식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무용예술에서 표현되는 그 어떤 것에 대한 논의는 현재까지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고, 이러한 과정에서 니체 철학에서의 디오니소스적인 것과 힘에의 의지는 무용예술의 본질을 파악하기에 아주 적합한 개념들이었다. 물론 그것이 니체의 철학 안에서라는 한계성을 갖지만 이러한 시도는 무용의 본질을 파악하기 위해 계속 이루어져야 하며, 또한 그러한 것들이 무용의 본질을 파악하기 위한 하나의 패러다임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무용의 본질을 파악하기 위한 일련의 작업들 중의 하나의 과정이자, 무용예술에 관한 폭 넓은 접근 방법을 제시하는 연구들 중 하나인 것이다. This study is aimed at groping for the essence of life in Nietzsche's concept of art. Nietzsche declared nihilism that explains conceptual metaphysics, which had dominated until the late 19th century, were doomed to disappear, and suggested new value to overcome the fiction of the existing 'ultra-sentimental thing'. The new value is Dionysus and willing to power. It is the most important in his philosophy, and it is related to creation in human life. That is, Nietzsche thinks that we need to philosophically review human instinct, impulse and desire because they can be well expressed as the reason of the body. Also, all the basic things of life as such are presented in art best, he insists. Accordingly, dance, one genre of art, is the type Nietzsche's willing is revealed best, and we can find the justification of firming the status of dance that takes human body as a medium in it. When a dance is characterized by vigor, livelihood, dynamics and close connection with human lives as in no other form of art, it is on a par with the Dionysian art as noted by Nietzsche. As the piece is Apollonically materialized for viewers, the audiences discover something more than meets the eye. Assuming the expressed subject as the very essence of dance, the investigation is performed with respect to the Nietzsche's notion of art. A more detailed observation of the three elements coupled with dance yields the following. With the philosophy of Nietzsche having a more intricat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life compared to others, the essence of dance can be considered with a larger degree of freedom. First of all, Nietzsche attempted a transition from the idealistic thinking to the reason of the body, turning the attention from metaphysical subjects to human lives and human itself. While idea of a human body previously neglected as materialistic being by dualistic thinking has thus been replaced by a vast rationality as a reason of the body. Therefore, the human body, which is the medium of a dance is presented as the starting point of the analysis of the world. Although dance due to a body's intrinsic materialistic and sensual property was subjected to doubts whether to consider it as an art genre in the traditional frame of thoughts, such new ideas formed the platform upon which the philosophical discussion of dance is made possible by suggesting that a human body is the essence of all human lives. The second element from which the essence of dance can be derived from Nietzsche's philosophy is the fact that Nietzsche had an artistic attitude toward his work. One does not go too far by saying that Nietzsche's philosophy is a philosophy of art. Nietzsche himself has considered art to be the ultimate representation of human life and the analysis that bestows new meaning and value to life. The new meanings and values are conveyed in particular through things Dionysian and through reliance upon force which in turn is best manifested by art as mentioned above. The things Dionysian (or reason) and the reliance upon power are used in the same context, but the term Dionysian is contrasted against the term Apollonian and is represented as the dualistic impulse. The fact is found from Nietzsche's hypothesis that the development of are is related to the duality of things Dionysian and Apollonian. Dance also possesses both the formality that is Apollonian and the inner elements that are Dionysian, but is an art form with stronger reason of Dionysus. Although the existence of dance is made possible b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wo artistic impulses, the idea it conveys is in the end the Dionysian reason that manifest the lives and emotions of human beings. The subject expressed by the movements of a dance is thus directly related to the aesthetic joy that is Dionysian reason. The third element relating to the essence of dance found in Nietzsche's philosophy is the reliance upon power. Reliance upon power is the will of existence of an existing being, and is related to the human life. Dance exists as a form through which human lives are expressed, and it does so by the reliance upon power. A dance thus expresses the deepest essence of a being, surfacing the reliance upon power through movements. The intrinsic elements and the essence of life are the Dionysian reason and the reliance upon power, as expressed in Nietzsche's philosophy. The subjects presented in a dance being intrinsic elements such as human sentiments and emotions, the conclusion can be derived that dance manifests Dionysian reason and the reliance upon power. The dance considered upon Nietzsche's philosophy is an art expressing a life through above elements. As Nietzsche has tried to assess life artistically, dance bestows new meaning and value to life through movements. Dance is thus the best manifestation of Nietzsche's system as well as a form that places meanings to life and a mode of analysis. A discussion on something in dance is continuously connected and this Nietzsche's philosophical concept is very appropriate for grasping identity of dance, Of course, it is limited to Nietzsche's philosophy, but various trials like this should go on, and I believe they will become a certain paradigm in identifying the essence of dance. Accordingly, this study is the process of these serial works, and a part of studies that suggest broad approaching methods on dance art.

      • 강원도 무용공연예술을 위한 가치 생태학적 모델

        김석란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831

        한국의 무용공연예술은 관객 수의 감소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선행 연구들은 이 문제의 해결을 위해 경제학에서 개발된 가치사슬 이론을 적용하려고 노력해왔다. 그러나 경제학에서 가치사슬 모델의 상품을 대체하는 무용이 공연 도중 관객을 다양하게 자극하기 때문에 해법을 찾기가 어려웠다. 관객들은 계속해서 변하는 무용의 시청각적 장면을 평가하지만, 경제학에서의 제품은 조각이나 그림같이 고객이 평가하는 동안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생태학에 기반을 두고 경제학에서 처음 제안된 가치 생태학적 모델을 적용한다. 생태학적 무용공연은 지속 가능성 즉, 건강함의 표시로서 참여, 에너지, 흐름에 집중한다. 본 연구는 무용공연에 대한 잠재적 관객인 강원도민의 관심을 높이기 위해 3가지 핵심 요소로 구성된 지속 가능한 가치 생태학적 모델을 제안한다. 이 모델은 강원도민의 폭넓은 연령대가 무용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함으로써 무용에 대한 보편적인 관심을 높이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첫 번째 구성 요소는 무용공연 프로그램 으로, 무용 기량보다는 강원도민들이 신속하게 무용공연에 미적 관심을 두고 무용공연의 주제에 공감할 수 있도록 기획되어야 한다. 두 번째는 영유아와 청소년 무용 교육을 위한 무용 프로그램이다. 세 번째는 노인의 건강증진에 이바지할 수 있는 무용 프로그램이다. 이러한 모델을 위해서는 신경과학과 관련한 선행 연구 결과의 활용방안을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이론적인 3-요소 무용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향후 안정적인 무용공연 체계가 구축될 때까지 함께 발전해야 하는 연구 분야로, 무용공연의 운영 조직인 마케팅 서비스 분야, 홍보 분야, 그리고 재정 운영 분야와 관련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이런 연구 분야는 특히 무용공연과 관객과의 간극이 좁혀질 때 상대적으로 중요해지고, 또 많은 전문 지식도 필수적이다. Dance performing arts in South Korea are generally suffering from a decrease in the number of audience. Previous studies have tried to apply the value chain theory developed in economics to provide theoretical solutions. However, it was not easy to find a solution because the performing dance that replaces the final product of the value chain model could stimulate the audience in various ways during the performance. Audiences evaluate the ever-changing audiovisual scene of a dance, but in economics a product, like a sculpture or a painting, does not change while the customer evaluates it. This study applies the value ecological model which was first proposed also in economics based on ecology. Dance performing art based on ecology focuses on engagement, energy, and flows as a sign of sustainability that means the health. This study proposes a sustainable value ecological model consisting of three key elements to increase the interest of Gangwon-do residents, a potential audience for dance performing arts. The main purpose of this model is to increase universal interest in dance by directly or indirectly participating in dance by a wide range of Gangwon-do residents. The first component is the development of dance performance programs, which are designed to allow Gangwon-do residents to quickly pay attention to dance performances and sympathize with the theme of dance programs rather than dance skills. The second is the development of dance programs for early childhood and youth dance education and finally, the development of dance programs that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health of the elderly. For the development of these models, the results of neuroscience-related studies already conducted can be utilized. In connection with the development of the theoretical three-factor dance program, follow-up studies related to marketing service which is the operating organization of performing dance, public relations, and financial management, are needed. This field of research becomes relatively important especially when the gap between performing dance and the audience is narrowed and a lot of expertise is also essential.

      • 무용예술단체의 6대륙 지역별, 역사별, 참여빈도별, 관계강도별 SNS 활용 분석

        양유나 서경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831

        국 문 요 약 무용예술단체의 6대륙 지역별, 역사별, 참여빈도별, 관계강도별 SNS활용 분석 본 연구는 해외 무용예술단체의 SNS(Social Network Service) 활용과 관심에 대한 전반적인 분석을 위해 실시되었다. 해외 무용예술단체의 6대륙 지역별, 유형별 SNS 활용 현황을 조사 하였고, 6대륙 지역별 SNS 활용을 유형별, 역사별, 참여빈도별, 관계강도별 구분기준에 따라 분석 하였다. 또한 역사별 SNS 활용을 유형별, 참여빈도별, 관계강도별 구분 기준에 따라 분석 하였으며, 참여빈도별 SNS 활용을 유형별, 관계강도별 구분기준에 따라 분석 하였다. 관계강도별 SNS 활용을 유형에 따라 분석 하였으며, 역사별, 참여빈도별, 관계강도별 SNS활용을 6대륙 지역별, 유형별에 따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의 대상은 주요 포털 사이트 네이버(NAVER)와 구글(Google), balletcompanies(Dick Heuff 가 1998년 설립)가 제공하는 전 세계 6대륙 87개국 국·공립, 사설, 개인 무용예술단체 총 3,501개의 대상으로 하였다. 각 무용단의 웹사이트를 방문해 홈페이지의 메인 화면에 SNS 표시 여부에 따라 SNS를 운영 중인지를 판단하였다. 그 중 SNS를 1개라도 운영하는 532개의 단체를 선정하여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 기간은 2012년 5월에서 10월, 총 6개월로 참여빈도별 분석과 관계강도별 증가 수를 알기 위해 1개월에 한번 532개 단체의 SNS를 방문해 게시글 수와 회원 수의 변화를 조사 하였다. 6대륙 지역별, 역사별, 참여빈도별, 관계강도별 구분기준에 따른 분석은 10월 13일 최근의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해외 무용예술단체의 6대륙 지역별, 유형별 SNS활용 현황은 대륙별, 유형별로 차이가 있었다. 1) 6대륙 지역별 SNS 활용 현황은 대륙별로 차이를 보였다. 6대륙 중 북아메리카 대륙의 무용예술단체가 SNS를 가장 많이 활용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프리카 대륙의 무용예술단체가 SNS을 가장 적게 활용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유형별 SNS활용 현황은 3개의 SNS 중 페이스북을 사용하는 단체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투브를 사용 하는 단체가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2. 해외 무용예술단체의 6대륙 지역별 SNS 활용을 유형별, 역사별, 참여빈도별, 관계강도별 구분기준에 따라 분석한 결과 구분 기준별로 차이를 보였다. 1) 유형에 따른 분석은 3개의 SNS 중 2개의 채널을 사용 하는 단체가 가장 많았으며, 그 중 페이스북을 가장 선호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역사별 구분기준에 따른 분석은 오세아니아 대륙의 SNS 사용기간이 가장 긴 것으로 나타났으며, SNS 평균 사용기간이 3년 이상 으로 나타났다. 3) 참여빈도별 구분기준에 따른 분석은 북아메리카 대륙의 참여빈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프리카 대륙 무용예술단체의 참여빈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4) 관계강도별 구분기준에 따른 분석은 북아메리카 대륙의 관계강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프리카 대륙의 관계강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3. 해외 무용예술단체의 역사별 SNS활용을 유형별, 참여빈도별, 관계강도별 구분기준에 따라 분석한 결과 구분 기준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 유형에 따른 분석은 3개의 SNS 중 유투브가 가장 먼저 사용 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용기간도 가장 긴 것으로 나타났다. 2) 참여빈도별 구분기준에 따른 분석은 SNS 사용기간이 평균(3년) 이상인 223단체 중 참여빈도가 높은 단체는 25단체(11%)로 참여빈도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3) 관계강도별 구분기준에 따른 분석은 SNS 사용기간이 평균(3년) 이상인 223단체 중 관계강도가 높은 단체는 23단체(11%)로 관계강도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4. 해외 무용예술단체의 참여빈도별 SNS 활용을 유형별, 관계강도별 구분 기준에 따라 분석한 결과 구분기준별로 차이가 나타났다. 1) 유형에 따른 분석은 3개의 SNS 중 트위터의 참여빈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투브의 참여빈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 관계강도별 구분기준에 따른 분석은 참여빈도가 높은 33단체 중 관계강도가 높은 단체는 14단체(44%)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 해외 무용예술단체의 관계강도별 SNS활용을 유형에 따라 분석한 결과 유형별로 차이를 보였다. 3개의 SNS 중 페이스북의 관계강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투브의 관계강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6. 해외 무용예술단체의 역사별, 참여빈도별, 관계강도별 SNS 활용을 6대륙 지역별, 유형별 구분 준에 따라 분석한 결과 구분 기준별로 차이를 보였다. 1) 6대륙 지역별 구분기준에 따른 분석은 북아메리카 대륙의 무용예술단체 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대부분의 단체가 발레단체 인 것으로 나타났다. 2) 유형에 따른 분석은 페이스북의 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투브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SNS utilization analysis as per six continental areas, history, frequency of participation and strength of relationship aimed at Dance arts organizations Yang, Yuna Major in Dance Art Graduate School Seo-Kyeong University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overall analysis for the interests and uses of SNS (Social Network Service) of the overseas dance arts organizations. I researched the current SNS utilization situation of the overseas Dance arts organizations as per six continental areas and types. Then I analyzed the SNS utilization of each six continental area as per the classification standards of types, frequency of participation and strength of relationship. I also analyzed the SNS utilization of history depending on the classification standards of types, frequency of participation and strength of relationship and analyzed the SNS utilization of frequency of participation as per the classification standards of types and strength of relationship. I also analyzed the SNS utilization of strength of relationship as per the classification standards of types, and analyzed the SNS utilization of history, frequency of participation and strength of relationship as per the classification standards of six continental areas and typ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otal 3,501 of countries, public, private and personal dance arts organizations in 87 countries on six continents provided by the major portal sites NAVER, Google, and ballet companies (established in 1998 by Dick Heuff). I visited each web site of dance company and judged whether each dance company operates SNS or not depending on the display of SNS on its main screen. I selected 532 organizations which operate at least one SNS, and included them in this study. The period of survey was total six months from May to October 2012 and for the analysis of frequency of participation and strength of relationship, I visited each web site of 532 organizations once a month and researched the number of posts and members changed. The analysis as per six continental areas, history, frequency of participation and strength of relationship was based on the recent data on Oct 13 and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1. The SNS utilization status as per six continental areas and types of overseas dance arts organizations vary from each continent and type. 1) The SNS utilization status as per six continental areas differed depending on the continents. Among six continents, it showed that dance arts groups of the North American continent took advantage of SNS the most and dance arts groups of the Africa continent the least. 2) Among three types of SNS, the SNS utilization status as per types showed that FACEBOOK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by organizations and YouTube the fewest. 2.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the overseas dance arts organizations' SNS utilization status of six continental areas as per types, history, frequency of participation and strength of relationship, there was difference from classification standards. 1) For the analysis of types, most organizations used two channels of three SNS and FaceBook was their favorite. 2) For the analysis of history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standard, the period of using SNS in Oceania continent was the longest and it appeared that the period of using SNS was over three years in all five continents except Africa. 3) For the analysis of frequency of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standard, it showed that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on the North America was the highest and frequency of participation on Africa was the lowest. 4) For the analysis of strength of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standard, the North American continent showed the highest strength of the relationship and the African continent the lowest. 3.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the overseas dance arts organizations' SNS utilization status of history as per types, frequency of participation and strength of relationship, there was difference from classification standards. 1) According to the type of analysis, it showed that YouTube was the first used SNS among three SNS and the period of using YouTube was the longest. 2) For the analysis of frequency of the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standard, it was not high as 25 of groups (11%) among 223 organizations which had a period over 3(average) years of using SNS had a high frequency of participation. 3) For the analysis of strength of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standard, it was not high as 23 of groups (11%) among 223 organizations which had a period over 3(average) years of using SNS had a high strength of relationship. 4.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the overseas dance arts organizations' SNS utilization status based on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as per types and strength of relationship, there was difference from classification standards. 1) Among 3 types of SNS, the SNS utilization status as per types showed that Twitter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by organizations and YouTube the fewest. 2) For the analysis of strength of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standard, it was high as 14 groups of 33 organization showed the high strength of relationship. 5.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the overseas dance arts organizations' SNS utilization status based on the strength of relationship, there was difference from each type. Among three SNS, the strength of relationship of FaceBook was the highest and YouTube was the lowest. 6.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the overseas dance arts organizations' SNS utilization status based on the history, frequency of participation and strength of relationship, as per six continental areas and types, there was difference from classification standards. 1) According to the analysis as per six continental areas, it showed that the greatest numb

      • 직업무용수들의 공연예술지원제도에 대한 관심도가 활성화 지수에 미치는 영향

        최영숙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에서는 직업무용수들의 공연예술지원제도에 대한 관심도가 활성화 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자료 수집을 위하여 2007년 현재 서울·경기지역 소재의 무용단에서 무용 활동을 하고 있는 직업무용수들을 대상으로 420명을 조사하였으나, 이 가운데 자료가 불성실한 것을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자료는 총 402명이다. 본 연구에서 자료 수집을 위한 측정도구로 사용한 설문지는 2001년 윤진영의 논문에서 이미 개발된 척도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에 사용된 구체적인 통계방법은 기술통계분석(descriptive statistics)과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표준다중회기분석(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등을 사용하였다. 이상의 연구 방법과 연구과정에서 얻어진 결과를 기반으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설정한 직업 무용수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에 따른 공연예술지원제도에 대한 관심도와 활성화 지수에는 집단 간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를 구체적으로 하위 요인별로 살펴보면, 성별·최종학력·지원공연경험여부·창작안무경험유무에 따른 공연예술지원제도에 대한 활성화 지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연령·무용시작시기·무용전공·직업무용수 경력에 따른 공연예술지원제도에 대한 활성화 지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직업 무용수들의 공연예술지원제도에 대한 관심도는 활성화 지수에 영향을 미친다. 이를 세부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직업 무용수들의 공연예술지원제도에 대한 관심도의 하위변인 중 공연예술지원제도에 대한 지식이 활성화 지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업 무용수들의 공연예술지원제도에 대한 관심도가 활성화 동의에 미치는 영향은 관심도의 하위변인 중 공연예술지원제도에 대한 관심과 참여, 효과 변인이 활성화 동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직업무용수들의 공연예술지원제도에 대한 관심도가 활성화 지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구체적이고, 실증적으로 검증되었다.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level of interest in support system for performing arts on activation index. To that end, the study has conducted surveys of 420 professional dancers, members of dance troupes in the metropolitan area as of 2007. Yet, the study has taken into account 402 surveys with the exclusion of the others that contain not trustworthy comments. The questionnaire used in the study for the purpose of collecting information is a revised version of the measure already developed in the thesis written by Yun Jin-Young in 2001. To be more specific, statistical methods used include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OVA and 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partial differences among groups in the level of interest and activation index in support system for performing arts, depending on demographic variables of professional dancers. To classify them into sub- categories, activation indices of sex, final education, experience in supporting performance and in engaging in creative choreography have shown no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indices such as their age, when they first started dancing, whether they major in dance, their career as professional dancers, have shown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the level of interest in support system for performing arts affects activation index. To be more concrete, among sub-variables of professional dancers’ level of interest in the system, knowledge about the system has shown to have significant impact on activation index. And, when it comes to the impact of interest level on activation drives, variables such as interest, participation and effect regarding the system have become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activation drives. The study has verified the effect of professional dancers’level of interest in the support system for performing arts on activation index in a more concrete and positive w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