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예도보통지』연구동향 분석

        곽낙현 동양고전학회 2014 東洋古典硏究 Vol.0 No.55

        이 연구의 목적은 <무예도보통지>와 관련된 선행연구의 동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예도보통지> 관련 학위논문은 석사 29편, 박사 18편으로 총 47편이었다. 체육학이 석사 23편, 박사 12편 으로 가장 많은 연구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체육학 이외의 분야를 살펴보면, 석사논문은 문헌정보학, 공학, 예 술학, 문화콘텐츠 등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무예도보통지>를 실용적인 측면에서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있었다. 박사논문은 한국사학, 국어학, 문헌정보학, 의류학 등으로 실용적인 차원보다는 인문학적 관점에서 깊이 있게 연 구되었다. 둘째, <무예도보통지> 관련 학술지 논문은 체육학 35편, 한국사학 12편, 무도학 7편, 무용학 5편, 국어 학 5편, 민속학 3편, 한문학 2편, 미술사학 2편, 군사학 1편 등 9개 학문분야에서 총 72편의 논문이 학술지에 게재 되었다. 체육학 분야에서 <무예도보통지>에 관한 연구가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셋째, 앞으로의 <무 예도보통지> 연구방향이다. 첫 번째는 학문의 학제간 융합 연구가 필요하다. 기존의 개별적 성향의 학문분야 연 구의 틈새를 <무예도보통지> 의 집단적 연구를 통해 새롭게 확장하면서 기존의 연구틈새를 보완해 줄 수 있기 때 문이다. 두 번째는 학술지간 소통할 수 있는 표준주제어 확정 제시가 필요하다. 학술지마다 표제어와 키워드로 제 시하는 단어가 다양하며 통일성이 없으므로 <무예도보통지> 연구에 장애가 되고 있다. 따라서 <무예도보통지>의 표준주제어를 확정하여 학술지 간 소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세 번째는 <무예도보 통지> 무예 기법을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필요하다. 이를 기반으로 문화콘텐츠 분야에서 한국의 전통무예와 <무예도보통지>를 동시에 활용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rends of advanced research of 『Muyedobotongji』.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ing in these. First, the number of theses related with 『Muyedobotongji』 is 47 in total including 29 master’s theses and 18 doctor’s theses. The sports science comprises the largest proportion of study including 23 master’s degree and 12 doctor’s degree. Besides sports science field, 『Muyedobotongji』 is analyzed in various study fields such as library and information, engineering, science of art and culture contents. In master’s theses, They focused on practical ways of 『Muyedobotongji』. But 『Muyedobotongji』 is conducted by perspective of the humanities in doctor’s theses. Second, There are 72 theses related with 『Muyedobotongji』 in scientific journal. Regarding these in detail, there are 35 theses in sports science, 12 theses in Korean history, 7 theses in martial arts, 5 theses in dance studies, 4 these in Korean studies, 2 theses in Chinse studies, 2 theses in art history, 1 these in Japanese literature and 1 thesis in military science. This fact helps us understand 『Muyedobotongji』 is studied actively in sports science field. Third,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s of 『Muyedobotongji』 Should be considered in 3 categories. first, it needs to do interdisciplinary fusion research. Through this, it can complement insufficient parts of existing researches. Second, it needs to make standard Key words. The unified Key words are able to use communicating in different field of scientific journals without confusing. Third It needs to build data bases which are applied to martial art areas. It can provide chances for both Korean martial arts and 『Muyedobotongji』 to be practiced in culture contents.

      • KCI등재

        『무예도보통지』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방안

        곽낙현 동양고전학회 2016 東洋古典硏究 Vol.0 No.64

        이 연구의 목적은 『 무예도보통지』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전략과 과제를 검토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1790년(정조 14) 정조의 명에 의해 편찬된 『 무예도보통지』는 전체 5권 5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당시의 한국⋅중국⋅일본 등 동아시아 단병무예를 가장 집약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군사관련 무예기록유산이다. 둘째, 세계기록유산 등재절차는 신청서접수, 조사, 평가, 권고, 국제자문위원회에 제출, 등재까지 6단계로 진행되며, 소요되는 기간은 2년이다. 셋째, 세계기록유산 등재에 관한 구체적인 주요기준은 첫째, 유산의 진정성(Authenticity)으로 해당 유산의 본질 및 기원(유래)을 증명할 수 있는 정품이어야 한다. 둘째, 독창적(Unique)이고 비(非)대체적(Irreplaceable)인 유산으로 특정 기간 또는 특정 지역에 지대한 영향력을 끼쳤음이 분명한 경우이다. 셋째, 세계적 관점에서 유산이 가지는 중요성이다. 한 지역이 아닌 세계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 여부와 시간(Time), 장소(Place), 사람(People), 대상/주제(Subject/Theme), 형태 및 스타일(Form and Style)의 다섯 가지 요소 중 한 가지 이상 증명할 수 있어야 한다. 넷째, 보조 요건으로 ①희귀성, ②원 상태로의 보존(Integrity). ③위협(Threat), ④관리 계획(Management Plan)이다. 넷째,『 무예도보통지』 세계기록유산 등재과제는 다음과 같다. ①『 무예도보통지』의 서지학적 연구를 통한 귀중본 또는 보물 지정이 필요하다. ②『 무예도보통지』에 대한 영문 번역본 사업이 필요하다. ③『 무예도보통지』유네스코 기록유산 등재추진위원회가 준비되어야 한다. ④『 무예도보통지』등재를 위한 정부와 민간 관련 부처, 학계의 긴밀한 협조체제가 이루어야 한다. ⑤『 무예도보통지』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위해서는 유네스코가 지향하는 등재기준과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⑥『 무예도보통지』 세계기록유산과 세계무형유산 등재를 위한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다섯째,『 무예도보통지』는 세계기록유산 등재 과제를 보완함으로써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추진해야 한다. 북한이 2016년 아시아태평양 세계기록유산으로『 무예도보통지』를 등재했듯이, 우리나라도『무예도보통지』에 대한 충분한 가치와 위상을 가지고 준비해야 하며, 세계인들에게 우리의 우수한 기록문화 정신과 진정성을 보여줘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aimed at examining the strategy and task for UNESCO Memory of the World registration of 『 Muyedobotongji』.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uyedobotongji』published by King Jeongjo in 1790(Jeongjo 14th year) was composed of 5 books in 5 editions on the whole. This is military martial arts record heritage that could show East Asian Danbyung martial arts of Korea⋅China⋅Japan most intensively. Second, Memory of the World Registration procedure is proceeded in 6 stages, i.e. application form receipt, investigation, evaluation, recommendation, and submission to international consultation committee, and registration, required time thereof is 2 years. Third, concrete and major standards related to Memory of the World registration are, first, it should be the true one that can verify the essence and the origin(beginning) of the relevant heritage based on the authenticity thereof. Second, it should be the definite case that has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a specific period or specific region as a unique and irreplaceable heritage. Third, importance of the heritage based on the global viewpoint. Whether of influence of the world beyond a region, in respect of over one factor among the five factors, i.e. Time, Place, People, Subject/Theme, and Form and Style should be verified. Fourth, subsidiary factors are ①Rarity, ②Integrity, ③Threat, and ④Management Plan. Fourth, Memory of the World registration plans for『 Muyedobotongji』 are as follows. ①Designation of rare unit or treasure of『 Muyedobotongji』 through bibliographical research is required. ②English translation project of 『 Muyedobotongji』 is necessary. ③UNESCO Memory of the World registration promotion committee for『 Muyedobotongji』 should be prepared. ④Close cooperative system among the government, private relevant division, and academic circle should be prepared for the registration of『 Muyedobotongji』. ⑤For Memory of the World registration of『 Muyedobotongji』, registration standards and conditions that UNESCO aims at should be satisfied. ⑥Basis for Memory of the World and World Intangible Heritage registration should be prepared for『 Muyedobotongji』. Fifth, UNESCO Memory of the World registration should be promoted by complementing the task for the Memory of the World for『 Muyedobotongji』. As North Korea registered『 Muyedobotongji』 as 2016 Asia Pacific Memory of the World, we should prepare enough value and status for the registration of『 Muyedobotongji』, also, should show the spirit and authenticity of our excellent archival culture to the world.

      • KCI등재

        『무예도보통지』 무예 국가무형문화재 지정 방안

        곽낙현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9 동방학 Vol.0 No.4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strategies and tasks for designating 『Muyedobotongji』 martial arts as state-designated cultural property.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 the value of martial arts history of 『Muyedobotongji』 is in systemically organizing and generalizing the martial arts of Korea, China and Japan in the new perspective of Joseon. While such martial arts as long spear, bamboo long spear, gichang, dangpa, nangseon, ssangsudo, yedo, waegeom, waegeomgyojeon, jedokgeom, bongukgeom, ssanggeom, woldo, hyeopdo, deungpae, gwonbeob, gonbang and pyeongon in 『Muyejebo』, 『Muyejebobeonyeoksokjip』 and 『Muyeshinbo』 focus on infantry martial arts 18-gi, which are trained by infantry, 『Muyedobotongji』 includes not only infantry tactics but also horseback martial arts 6-gi of gichang, masang ssanggeom, masang woldo, masang pyeongon, gyeokgu and masangja, in addition to cavalry tactics. Second, the martial arts of 『Muyedobotongji』 were designated as municipal・provincial intangible cultural asset. The 24 martial arts in 『Muyedobotongji』 were designated as No. 51 Seoul Municipal Intangible Cultural Asset in February, 2019 under the name of <Traditional Military Martial Arts>. However, the city designated only the items without acknowledging holders or holding organization. The status of martial arts in 『Muyedobotongji』 can't be guaranteed due to the fact that they are the martial arts restored without academically ascertaining historical truths and that they are ununiformed techniques and revival by various organizations such as The Society for The Preservation of Sippalki, 24ban Martial Arts Gyeongdang Association and Korean Traditional Horseback Gyukgu Association. Therefore, it is urgent to draw up measures such as systemic research, support and management system of state-designated cultural property. Third, the strategies and tasks for 『Muyedobotongji』 to be designated as state-designated cultural property are as follows. ① It is necessary to research the values of designating 『Muyedobotongji』 as state-designated cultural property. ② There should be the integration of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training to overcome 『Muyedobotongji』's limit of municipal・provincial intangible cultural asset. ③ There should be historical investigation on costumes and weapons of 『Muyedobotongji』. ④ There should be practice standardization of techniques and movements of 『Muyedobotongji』. ⑤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close cooperation with the government and academic world. ⑥ It is necessary to set a base for 『Muyedobotongji』 to be listed o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이 연구의 목적은 『무예도보통지』 무예의 국가무형문화재 지정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예도보통지』의 무예사적 가치는 18세기 한국・중국・일본의 동양 삼국 무예를 조선의 새로운 안목으로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종합한 것이다. 또한 기존의 『무예제보』, 『무예제보번역속집』, 『무예신보』에 실려 있는 장창, 죽장창, 기창, 당파, 낭선, 쌍수도, 예도, 왜검, 왜검교전, 제독검, 본국검, 쌍검, 월도, 협도, 등패, 권법, 곤방, 편곤 등의 무예가 보병을 중심으로 훈련하는 보병무예 18기에 치중했다면, 『무예도보통지』는 보병전술뿐만 아니라 기창, 마상쌍검, 마상월도, 마상편곤, 격구, 마상재 등 마상무예 6기를 더하여 기병전술까지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둘째, 『무예도보통지』 무예가 시・도무형문화재에 지정되었다. 『무예도보통지』에 실려 있는 24가지 무예는 2019년 2월 <전통군영무예>라는 명칭으로 서울특별시무형문화재 제51호로 지정이 되었다. 다만, 보유자나 보유단체를 인정하지 않고 종목만을 지정하였다. 학술적으로 고증되지 않은 채 복원된 무예라는 한계와 전통무예십팔기보존회, 24반무예경당협회, 한민족전통마상무예격구협회, 수원시립공연단소속 무예24기시범단 등 여러 단체의 통일되지 않은 기법과 재현은 『무예도보통지』의 무예의 위상을 충분히 담보한다고 할 수 없다. 따라서 국가무형문화재의 체계적인 연구 및 지원책 그리고 관리체계 등의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셋째, 『무예도보통지』 무예가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는 전략 및 과제는 다음과 같다. ① 『무예도보통지』 무예의 국가무형문화재 지정가치 조사가 필요하다. ② 『무예도보통지』 무예는 시・도무형문화재라는 한계 극복을 위한 전문 인력 양성 통합이 이루어져야 한다. ③ 『무예도보통지』 무예 복장 및 무기에 대한 고증이 이루어져야 한다. ④ 『무예도보통지』 무예 기법 및 동작에 대한 실기 표준화 작업이 필요하다. ⑤ 『무예도보통지』 무예 국가무형문화재 지정을 위해서는 정부와 학계의 긴밀한 협조체제를 이루어야 한다. ⑥ 『무예도보통지』 인류무형유산 등재를 위한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 KCI등재

        李德懋의 生涯와 武藝觀 — 『武藝圖譜通志』를 중심으로 —

        곽낙현 동양고전학회 2007 東洋古典硏究 Vol.26 No.-

        이 글은 이덕무의 생애와 『청장관전서』에 수록되어 있는 『무예도보통지』편찬과 관련된 내용을 살펴보고, 당시 그가 무예교범서를 편찬하면서 가졌던 무예관은 무엇이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덕무생애를 시기별로 구분해 보면 성장기는 1∼17세까지, 처사기는 18∼38세까지, 관료기는 39∼53세로 생을 마칠 때까지라고 할 수 있다. 아울러 그의 관직은 1779년(정조3) 39세에 규장각검서관으로 시작하여, 1781년(정조5) 41세에 司䆃寺主簿, 그해 12월 경남 함양에 있는 沙近道察訪, 1784년(정조8) 44세 때는 廣興倉(大倉)主簿, 이듬해 2월 45세때는 司饔院主簿, 6월에 積城縣監에 임명되었다. 1789년(정조10) 46세에는 兼檢書로 임명, 1789년(정조13) 49세에는 瓦署別提에 임명, 1791년(정조15) 51세 때에 尙衣院主簿, 掌苑署別提, 5월에는 司饔院 主簿 등을 역임하였다. 이후 1793년(정조17) 1월 25일 그의 나이 53세에 병으로 세상을 떠났다. 이덕무의 학문적 교유관계는 ‘白塔派’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특히 朴趾源, 朴齊家, 李書九, 柳得恭, 白東修 등과 학문을 논하였다. 이외에 그가 교유했던 인물은 趙衍龜, 李萬運 등이었다. 또한 이덕무는 뛰어난 재식으로 館閣의 많은 편찬사업에 참여하였다. 그중 그의 대표적인 업적으로는 『大典通編』(1785), 『羹墻錄』(1786) 등을 校勘하였고, 『武藝圖譜通志』(1790), 『奎章全韻』(1792) 을 편찬한 것이다. 이덕무는 『무예도보통지』의 편찬내용을 어원, 법전체제의 양식, 병기사용법, 각 나라의 기계도식, 각 병기의 자세한 도해, 누구나 손쉽게 익힐 수 있는 해설, 각 병기재질의 전거, 각 병기의 자세, 조선의 역대병제, 사도세자의 계보를 잇는 것, 이덕무, 박제가, 백동수 등의 편찬분담 실무내용, 병서에서의 『무예도보통지의』위상, 『무예도보통지』를 통해 각 군영의 무예습득 통일과 체계화, 실용성을 갖춘 실전무예 강조 등으로 세분하여 놓고 있다. 이덕무의 무예관은 北學의 고증학이 밑거름이 되었다. 그 중 『무예도보통지』는 고증학의 한 분야인 名物度數를 기준으로 하는 실용적인 관점을 가지고 편찬되었다. 이를 유추할 수 있는 내용은 『편서잡고』의 『무예도보통지』범례와 부진설 그리고 『아정유고』, 선고부군의 유사, 성대중에게 보낸 글 등에서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is aimed to investigate in to Lee Deok-Moo's life and contents of 『Muyedobotongji』which is contained in 『Cheongjanggwanjeonseo』. Also this thesis seeks for his view of martial art when he had complied martial art textbook. Lee Deok-Moo's life is classified by 3 parts. The first stage is grown-up aged 1∼17, and the second stage as a retired scholar is from his age 18 to 38. The third stage as a government official is from his age 39 to 53. In addition, he had started his government service as a Gyujanggak geomseogwan in 1779 at his age 39. In 1781 he had worked as a Sadosijubu, December 1781 Sageondochealbang in Hamyang in Gyeongnam at his age 44. He had worked as Kwangheongchangjubu in February 1785 nominated a Saongwonjubu and promoted Jeoksenoghyeon-gam in same year 1785. In 1791, his age is 51. he had appointed Sang-uiwonjubu. In Jan 25 1793, he had passed away due to his chronic disease at his age of 53. Regarding his academic interchange, It had been consisted of Backtappa. Especially he dicussed his studies Park Ji-won, Park Jae-ga, Lee Seo-goo, Yoo Deok-gong, Paik Dong-soo, the others are Cho Keon-koo, Lee Man-won. moreover Lee Deok-moo has been participated in lots of compiling works and his representative achievements are editing 『Daejeon tongpyeon』and compiling 『Muyedobotongji』. He break 『Muyedobotongji』into origin of a term, use of weapon, posture of weapon, history of weapon in chosun dynasty emphasis of actual fighting etc. The historical investigation can be a basis of his view of martial art and 『Muyedobotongji』is edited with practical view of Myeongmuldosu. It can be inferred from beom-rye and bujin-sal chapter of 『Muyedobotongji』, Ajung-yugo and letter to Sung Dae-jung.

      • KCI등재

        한(韓),중(中),일(日) 장병무예(長兵武藝) 장창(長槍) 연구(硏究)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수비록(手臂錄)≫,≪민속화보(民俗畵譜)≫를 중심으로-

        김산(SanKim),김주화(JooHwaKim),김창우(ChangWooKim),송일훈(IlHunSong) 한국체육학회 2008 한국체육학회지 Vol.47 No.6

        이 연구에서는 한·중·일에 분포한 長槍 비교·분석을 통해 이에 관한 연결성 및 전통성 경로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관한 다음과 같은 결론 도출을 얻었다. 첫째, 《紀效新書》의 영향을 받은 한국의 《武藝圖譜通志》와 중국의 《手臂錄》에서는 勢의 명칭이나 그림에서 그 유사성을 찾아 볼 수 있었다. 둘째, 일본의 《民俗畵譜》에 보이는 槍에 관한 내용에는 무슨 勢라는 기록은 없지만, 한국과 중국 서적의 여러 勢라고 추측할 수 있는 그림을 찾을 수 있었다. 셋째, 일본의 《民俗畵譜》에 보이는 그림에서 《武藝圖譜通志》의 "靑龍獻爪勢"를 운용하는 연속적인 신체기법 동작을 찾아 볼 수 있었다. 넷째, 일본의 《民俗畵譜》에 보이는 그림에서 같은 동작들을 사용했지만, 《武藝圖譜通志》의 "白猿拖刀勢"와 다른 운용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찾을 수 있어 각 각의 독창성을 찾을 수 있었다. 지금까지 살펴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한·중·일의 長槍 무예에서 그 동질성을 찾아 볼 수 있었으며, 동시에 각 국의 그 문화적 유사성 및 독창성을 엿볼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삼국의 무예연구에 있어 동양무예라는 동질감 속에서 상호간의 차이를 인정하면서 상대국가의 무예를 함께 살피는 통합적인 연구방법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studies the connectivity and cultural flow of long-swordmaship through historical studies over Korea·China·Japan. Firstly, there are some resemblance of Se(勢)(movements) of Korean 《Muyedobotongji(武藝圖譜通志)》which is influenced by 《Jixiaoxinshu(紀效新書)》 and that of Chinese from 《Shoubilu(手臂錄)》. Secondly, There are less information on movement from Japanese 《Muyedobotongji(武藝圖譜通志)》, but there are some drawings that we can presume related. Thirdly, we can find consequential bodily movement of martial arts using Cheonglongheojose(靑龍獻爪勢) from 《Muyedobotongji(武藝圖譜通志)》in 《Minzokugafu(民俗畵譜)》 drawings. Fourthly, Beakwontadose(白猿拖刀勢) shows similar movement; however, we could still witness independent developments from that of 《Muyedobotongji(武藝圖譜通志)》In summary, we could see comparable similarities however we can also witness the creative independences. The research conclusion shows that martial arts of China·Korea·Japan shows similarities as well as uniqueness. This shows that it does require to study the martial arts of all three countries in recognition that there exist some similarities and historical relationships.

      • KCI등재후보

        《무예도보통지》의 쌍수도의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기효신서》, 《무예제보》, 《무비지》, 《무예도보통지》의 무예 동작 비교를 중심으로-

        박귀순 ( Cindy Park ),신영권 ( Young Kwan Shin ) 대한무도학회 2010 대한무도학회지 Vol.12 No.3

        《기효신서》, 《무예제보》, 《무비지》, 《무예도보통지》, 쌍수도, 《Gixiao-xinshu》, 《Muye-jebo》, 《Wubeizhi》, 《Muye-dobo-tongi》, Duouble-hands sword 본 연구는 첫째, 《기효신서》, 《무예제보》, 《무비지》, 《무예도보통지》의 쌍수도의 개괄 및 내용을 살펴보았으며, 둘째, 《무예도보통지》쌍수도의 무예 동작을 중심으로《기효신서》, 《무예제보》, 《무비지》의 공통점과 상이점을 검토하였고, 셋째, 이를 통하여《무예도보통지》쌍수도의 형성과정을 살펴보았다. 또한 본 연구는《무예도보통지》의 편찬, 간행 시, 참고가 된《기효신서》, 《무예제보》, 《무비지》를 중심으로 하여 관련된 문헌 및 자료를 수집, 분석, 검토하였다. 4권 서적의 쌍수도의 개괄 내용 및 무예 동작의 비교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4권 서적의 개괄 및 내용을 통해 쌍수도의 도입 과정, 쌍수도의 제원, ``창류지목록`` 및 그림자와 원숭이 형상의 시범자의 내용을 알 수 있었고, 둘째, 4권 서적의 쌍수도 비교, 검토를 통해 동작의 명칭, 쌍수도의 동작, 시범자 복장의 공통점과 상이점을 알 수 있었으며. 셋째, 《무예도보통지》의 쌍수도는 보병에게 효과적인 무기로서, 《기효신서》, 《무예제보》, 《무비지》를 참조하여 기재되었지만, 단지 모방에 그치지 않고 조선의 자국화 과정을 거친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formation process of ``double-hands sword`` of the《Muye-dobo-tongi》, and focus on the comparison of movements of the《Gixiao-xinshu》, 《Muye-jebo》, 《Wubeizhi》, 《Muye-dobo-tongi》. So first was intends to review the summary and contents of 4 books; second was to review the common and difference point of double-hands sword movement of 4 books; third was examined the formation process of ``double-hands sword`` of 《Muye-dobo-tongi》. The conclusion was to understand, first was the introduction and mention of double-hands sword in 4 books, the specification of double-hands sword in 4 books, the mention of ``Changliu`s list``, shadow and monkey demonstrator`s movements; second was the name of movement in 4 books, the first and final movement of double-hands sword and its total number of movement in 4 books, the demonstrator`s costume in 4 books; third was《Muye-dobo-tongji》was mentioned to refer《Gixiao-xinshu》, 《Muye-jebo》and 《Wubeizhi》.

      • KCI등재

        『무예도보통지』「등패」의 그림 배치 오류와 진법 연관성

        최형국(Choi, hyeong-guk) 한국무예학회 2021 무예연구 Vol.1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무예도보통지』에 실린 등패의 원전 그림과 비교자세 분석을 통해 도판 배치 오류를 짚어내고, 향후 연구에서 올바른 시각으로 원전을 읽는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또한 단순히 무기 하나에 치중하는 것이라, 그것의 실제적인 군사 운용법인 진법 속에서 다른 무기들과 조화로운 움직임을 연결지어 연구하여 보다 근원적인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기한 것들을 몇가지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무예도 보통지』에 실린 그림 중 자세의 연결된 그림인 ‘총도’의 중요성과 그 의미성을 확인하였다. 둘째, 『무예도보통지』에 실린 등패보의 낱개 그림을 연결그림인 ‘등패총보’와 비교해 보았을 때, 목판을 제작하는 시점에서 설명과 그림이 어긋나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이 병서의 바탕이 되는 『무예제보』와 『기효신서』를 교차검증했을 때에도 역시 『무예도보통지』에 실린 등패의 낱개 그림들의 판본이 뒤바뀌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등패는 단독으로 전투에 참가하는 것이 아니라, 낭선과 함께 한 쌍을 이뤄 전술을 전개하는 방식이기에 등패의 오류는 낭선을 이해하는데 혼란을 가중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원전에 대한 맹목적인 믿음 보다는 상호 교차검증을 통해 그 오류를 파악하여 『무예도보통지』의 올바른 이해가 필요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fundamental error by comparing the original picture of 「Deungpae(藤牌)」published in 『Muyedobotongji(武藝圖譜通志)』with the posture. Future studies have described how to read the appropriate visual Original book. Nor is it simply focused on one weapon which is mong the practical martialarts of the military group, I tried to connect and study the movements in harmony with other weapons, and try to help a more fundamental understanding.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some of the issues raised in this paper. First, I confirmed the importance and meaning of ‘Deungpaechongbo(藤牌總譜)’, which is a linked figure of the posture of 『Muyedobotongji』. Secondly, I compared it with ‘Deungpaechongbo(藤牌總譜)’ of 『Muyedobotongji』. This confirmed that there was an error in the explanation and figure at the time of making the woodblock. To verify this, I cross-validated the original book in 『Muyejebo(武藝諸譜)』and 『Gihyosinseo(紀效新書)』in this book. After all, I was able to know that the original woodblock version of the piece figure of 『Muyedobotongji』has errors. Third, 「Deungpae」was a method of developing tactics by pairing with ‘Nangseon(狼筅)’, rather than participating in battle alone. I"ve confirmed that 「Deungpae(藤牌)」error can add confusion to understanding ‘Nangseon(狼筅)’.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error through cross-validation rather than blind trust in the original book through these studies. This confirmed that a correct understanding of 『Muyedobotongji』was required.

      • KCI등재

        전통무예서의 권법 분석

        곽낙현,임태희 동양고전학회 2014 東洋古典硏究 Vol.0 No.54

        이 연구는 『무예도보통지』의 권법을 종합적인 관점에서 해석하는 것이다. 권법에 대한 인용서목 분석과 『기효신서』, 『무예제보번역속집』, 『무비지』의 권법 자세를 비교하는 목적이 있다. 문헌고찰을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 다. 첫째, 『무예도보통지』권법의 인용서목을 검토한 결과, 중국문헌 14개, 한국문헌 2개 등 총 16개로 나타났다. 일본의 문헌은 권법 내용에 실리지 않았다. 중국의 대표적인 문헌으로는『한서, 『기효신서』, 『무비지』등이었고, 한국의 대표적인 문헌으로는 『무예제보번역속집』이었다. 둘째, 중국의 『기효신서』, 『무비지』, 한국의 『무예제보번역속집』, 『무예도보통지』등 4개의 문헌을 통해 나타 난 동일한 자세는 현각허이세, 기고세, 안시측신세, 염주세, 포가세 등이었다. 『기효신서』를 제외한 3개의 문헌에서는 정란, 귀축각, 지당세, 수두세, 신권, 일조편, 작지룡, 조양수 등 8개의 동일한 자세가 나타났다. 『무비지』와 『무예도 보통지』의 문헌에서만 보이는 동일한 자세로는 나찰의출문가자변하세, 금계독립세였다. 셋째, 권법 자세를 비교한 결과, 무엇보다 한국의 『무예제보번역속집』에서는 축천과 응쇄익이라는 독특한 자세가 나 타났고, 『무예도보통지』에서는 오화전신세와 갑을상부라는 독특한 동작이 나타났다. 문헌 연대로는 『기효신서』가 가장 빠르지만 기술특성을 고려할 때 『무예제보번역속집』과 『무예도보통지』에서 자세에 대한 변화가 점차 생기기 시작하였고, 무엇보다 조선 시대상에 맞는 독특한 자세들이 개발되기 시작하였다고 볼 수 있다. 종합적으로, 『무예도보통지』의 권법은 『한서』, 『기효신서』, 『무비지』의 중국 문헌과 『무예제보번역속집』의 한국 문헌을 참고해서 집필되었다. 권법의 자세는 중국의 『기효신서』, 『무비지』, 한국의 『무예제보번역속집』, 『무예도보통지』에서 5개의 동일한 동작 외에 다른 동작들은 점차 변화하였고, 『무예제보번역속집』부터 8가지의 새로 운 자세가 나타나기 시작하였고, 축천세와 응쇄익세의 2개 동작은 『무예제보번역속집』에만 나타났다. 특히 우리나라 권법은 축천세와 응쇄익세, 갑을상부, 오화전신세는 중국문헌의 권법 관련내용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새로운 기술들을 개발함으로써 점차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변화를 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 연구의 의의는 조선시대 권법의 무술사적 의미를 해석하고 오늘날 맨손무예로 각광받고 있는 태권도의 전통주의적 관점에서 역사해석의 토대마련을 위한 징검다리를 놓았다는 점이다. 후속연구에서는 『무예도보통지』와 태권도의 기술에 대한 차이와 유사성 분석을 통해 태권도와 권법 사이에 관련성을 확인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Gwonbeop motions among 『Gihyosinseo』, 『Mubiji』, 『Muyejaebobunyuksokjib』 and to analysis catalogue of books on Gwonbeop for comprehensive interpretation in 『Muyedobotongji』. the conclusion through literature review was as follows. First, There were total 16 references which were composed of 14 references of China and 2 references of Korea. In particular there was no reference of Japan for Gwonbeop. In detail, unrepresentative references of China were 『Hanseo』, 『Gihyosinseo』, 『Mubiji』and unrepresentative reference of Korea was Muyejaebobunyuksokjib. Second, We compared motions of Gwonbeop between China and Korea. There were located 5 motions such as Gyungakguheese(False Prey Posture), Gigose(Flag Beating Posture), Ahnshichukshinse(Goose Wing Posture), Jumjoose(Picking Elbow Posture), Pogase(Throwing Shelf Postere). In other three references unmentioned 『Mubiji』there were located 8 motions such as Jungranse(Spring Railing Posture), Gichukgakse(Ghost Kicking and Leg Striking Postere), Jidangse(Open Finger Attacking Posture), Soodoose(Beast Head Shield Posture) Shingwon (Heavenly Fist Posture), Il-jopyunse(Whipping Lunging Posture), Jakjiryongse(Dragon Prey Snatching Posture), Joyangsoose(Slanting Hero Hand Posture), In two references of Korea there were located 2 unique motions such as Nachaluichoolmun Gakabyunhase(Low Encountering Posture), Gumgyedongnipse(Single Leg Throwing Postere). Third, Most of all we found two kinds of unique motions such as Chukcheonse and Eungswaeik on 『Muyejaebobunyuksokjib』and such as Nachaluichoolmun Gakabyunhase(Low Encountering Posture), Gumgyedongnipse (Single Leg Throwing Postere) on 『Muyedobotongji. Based on chronological table although 『Gihyosinseo』is the longest literature, there was begun changing techniques in details on literatures of Korea. Transformed into techniques of Gwonbeop on Korea could be supposed that those skills were reflected in society and culture of the Joseon Dynasty. To sum it up, Gwonbeop of 『Muyedobotongji』was written by 『Gihyosinseo』, 『Mubiji』, 『Muyejaebobunyuksokjib』but most motions of Gwonbeop were begun to change gradually except 5 motions of 『Gihyosinseo』. Especially, there were 8 unique motions which could not be found in references of China. Those unique motions of Korea literatures were living proof of attempting transfiguration from motions of China.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as to be able to put stepping-stone to interpretate history of Taekwondo which takes center stage on bare hands martial arts and analyzed the meaning of historical martial arts on Gwonbeop in Joseon Dynasty.

      • KCI등재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 '기예질의(技藝質疑)'의 의미

        차명환 한국무예학회 2018 무예연구 Vol.1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universal theory for Korean martial arts system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universal theory notification and the analysis of the content of the questionnaire for the purpose of realizing uniqueness of intuitive knowled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ive meaning to the extension of epistemological outline of Muyedobotongji. First, in order to realize the intrinsic value of Muyedobotongi, it is required to discover the uniqueness of intuitive knowledge, and to make an epistemological approach to establish universal theory by continuously producing basic concepts about martial arts. Secondly, the contents of the 'heoyugyektapmun' included in ‘Kiyejileui’ is intuitive knowledge acquired without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conceptualization of judgment or reasoning against the empirical knowledge. However, even though it is not conceptualized, it can be included as a source of meaningful thought in terms of the existence of reality and the dissemination of thorough personal thought from Muyedobotongji’, and ‘Kiyejileui’. 본 연구는 한국무예의 독자적 학문체계 구축을 위한 보편이론을 정립하는데 있어 '武藝圖譜通志'관련 연구동향 검토와 '技藝質疑'의 내용 분석을 근거로 실증적 지식과 배치되는 직관적 지식의 고유성을 구현하기 위한 실마리를 추적하고, '武藝圖譜通志'연구의 인식론적 외연 확장에 의미를 부여하고자 하는 시론적 연구이며, 그 과정을 통해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武藝圖譜通志'의 내재적 가치구현을 위해서는 직관적 지식의 고유성을 발견하고, 이를 통해 무예일반에 대한 기초개념들을 지속적으로 생산하여 보편이론을 정립할 수 있는 인식론적 접근이 요구된다. 둘째, '技藝質疑'에 수록된 ‘허유격답문(許遊擊答問)’의 내용들은 실증적 지식과 대립되어 판단이나 추론의 개념화 과정을 거치지 않고 획득되는 직관적 지식이다. 그러나 개념화 되지 않았음에도 실체가 존재한다는 점과 철저한 개인적 사고의 소산이라는 측면에서 유의미한 사고의 원천으로 포섭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武藝圖譜通志' 및 '技藝質疑'를 통해 추구하고자 했던 가장 큰 목표는 바로‘무예수련’을 위한 지식의 전달이었다. 무예의 수련은 곧 몸이 인식주체가 되고, 몸으로 체득되어지는 직관적 지식의 습득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실증적 지식과 대비되는 중요한 인식론적 단초가 될 수 있음을 숙고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