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문화적 도시재생을 위한 지역문화매개자의 역할 분석 - 광주광역시 양림동을 중심으로 -

        장세영 전남대학교 문화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우리나라는 지난 반세기 동안 급격한 산업화를 거치며 압축성장을 달성해 나갔으나 무분별한 개발로 인한 구도심의 쇠퇴현상 또한 심화되었다. 오늘날에는 경제적 가치만을 우선시한 과거 도시개발의 반성으로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위한 노력이 정부와 민간에서 다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렇게 도시재생이 생활 전반으로 확산되면서 지역의 문화를 형성하는 다양한 자원과 지역의 사람, 지역성을 이해하고 지역문화의 창의력을 높여나가는 지역문화매개자의 역할 또한 확대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주민의 삶에서부터 변화되는 상향식의 문화적 도시재생을 이루기 위해 주민의 삶에서 문화를 공유, 소통, 관계하는 지역문화매개자의 활동을 연구하여 그들의 역할을 분석했다. 본 연구를 위해 문화적 도시재생 유형을 나누고, 지역문화매개자에 대한 개념 및 역할 적립 후, 이론적 사례분석을 진행했다. 이후 실제 광주광역시 양림동에서 활동하는 4곳의 지역문화매개자 활동을 현장조사, 결과보고서 등의 자료 조사, 심층인터뷰를 통해 이들의 활동을 토대로 역할을 도출해 내었다. 이에 본 논문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에서 역할 필요성을 인식하고 자발적인 활동을 시작하였다. 타인의 추천으로 양림동의 지역문화매개자로 활동하는 것이 아닌, 자신들의 역할 필요성을 인식하고 자발적으로 활동을 시작하였다. 둘째, 지역문화매개자들은 거점 공간을 중심으로 지역과의 교류를 시작하였으며, 재원조성은 지역의 문화 활동만으로는 재원 창출이 어려워 다른 사업을 통해 창출 하고 있다. 이들은 양림동에 거점공간을 두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공간을 통해 갤러리, 레지던시, 게스트하우스 등을 운영하고 있다. 셋째, 지역이 가지고 있는 역사·문화적 자원 및 직면한 문제에 따라 지역문화 매개자들의 활동 및 역할이 강조 된다. 그 지역이 직면한 위기상황은 행정적인 개발 계획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또한 이에 따른 주민간의 갈등도 첨예하다. 이는 지역문화매개자들이 그 안에서 할 수 있는 활동 및 역할이 다양해지고 그 영역이 폭넓게 적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넷째, 문화적 도시재생 유형에 있어 이들의 주요 활동은 구분 되나 역할은 중복되어 나타났다. 각기 다른 문화적 자원을 활용함으로써 도시재생의 활동 유형은 구분이 되나 그 활동에 따른 역할은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해 분석한 지역문화매개자의 활동은 문화적 도시재생유형에 따라 달라지고, 지역이 직면한 문제와 갈등에 따라서도 역할의 범위가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지역이 가진 정체성 및 주민들과의 네트워크 등 다양한 면에서 지역이 저마다의 특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지역문화매개자에 대한 새로운 개념 적립 및 현장성이 강조된 역할 도출을 통해 지역문화매개자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이들의 활동 가치를 높이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 시각예술의 매개 변화에 따른 플랫폼과 콘텐츠 활용 방안

        최정은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771

        본 연구는 동시대 시각예술의 매개 변화를 진단하고, 플랫폼과 콘텐츠의 활용 방안을 비즈니스모델의 관점에서 모색하려는 취지에서 진행되었다. 참여자 중심의 웹 2.0 환경과 소셜미디어로 인해 초연결 시대가 열리면서 새로운 디지털 혁명이 시작되었다. ICT 산업, 4차 산업혁명과 함께 뉴 디지털 이코노미 시대로 진입하고 있다. 최근 산업 경향은 플랫폼을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으며, 사용자들이 모이는 플랫폼 기반 사업들이 강자로 등장한다. 문화예술계 역시 플랫폼 비즈니스모델의 등장과 함께 산업 생태계 자체가 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순수예술 분야는 상대적으로 대처와 논의가 부족한 상황인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자는 이러한 현상을 공론화시키고 새로운 시각으로 접근하는 계기를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플랫폼에 대한 이론적인 고찰과 문화예술콘텐츠산업 경향 분석을 시도하였다. 플랫폼 이론을 통해 플랫폼 구조와 네트워크 효과, 수익모델 유형 등을 확인하였다. 또한 문화산업과 창조산업의 역사, 법률 정의 비교를 통해 국내에서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문화콘텐츠산업에 예술 분야까지 포함하여 문화예술콘텐츠산업으로 명명하자는 근거를 제시하였다. 방송·엔터테인먼트, 영화·드라마, 음악, 만화·웹툰, 게임, 출판, 공연, 패션·의류 분야의 장르별 플랫폼과 콘텐츠 변화들을 함께 파악하여 화두 및 쟁점을 논의하였다. 이와 함께 동시대 예술 분야 선행연구들을 고찰함으로써 포스트디지털 시대의 패러다임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오늘날 가상 뮤지엄과 온라인 콘텐츠 감상이 증가하였고, 소셜미디어 참여와 재매개·재생산이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또한 예술 분야에서 직접적인 흐름을 이끄는 매개자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프랑스에서 시작된 문화매개자 개념과 국내 정책 및 현황을 파악하여 플랫폼 환경에서의 매개자 역할에 대해 논의하였다. 예술의 비즈니스모델을 설계하기 위하여, 관련 비즈니스 이론들을 확인하고 플랫폼 산업 환경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오스터왈더의 비즈니스모델 캔버스를 최종 선택하였다. 오늘날 문화예술콘텐츠가 플랫폼과 콘텐츠, 모두 재매개를 중심으로 일어나고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연구자가 가상의 비즈니스모델 2개를 설계하였다. ‘콘텐츠의 재매개’를 활용한 비즈니스모델 A와 ‘재매개 플랫폼’을 활용한 비즈니스모델 B를 대상으로 각각 ‘구글 아트앤컬처’와 ‘유튜브’를 선택하였다. 비즈니스모델의 핵심 요소를 추출해 프레임워크를 구성하였고, 전문 매개자들에게 심층면담하는 FGI 연구 조사 분석을 진행하였다. 현재 국내 예술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30~40대 문화매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두 비즈니스모델에 대해 다양한 논의와 검증 작업을 실행하여 최종 모델을 도출하였다. 또한 제3의 모델에 대한 아이디어들을 수집하여 비즈니스모델 C를 함께 제안하였다. 구체적인 내용들은 다르지만, 창작자를 위한 플랫폼과 예술 유통 및 비즈니스를 위한 플랫폼, 예술 분야 정보를 위한 플랫폼, 향유자를 위한 플랫폼 등의 아이디어들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비즈니스모델을 토대로 플랫폼의 정의, 콘텐츠의 방향, 매개자의 역할을 제안하였다. 플랫폼은 콘텐츠 노출을 통해 원본의 가치를 높이며, 대중과 직접 소통하는 교류의 장이 되어야 한다. 콘텐츠들은 플랫폼의 생태계와 본질을 파악하여 그에 맞는 전략을 통해 문화적 가치와 기술적 효과, 스토리텔링 등의 요소를 추가하여 대중이 직접 경험하도록 돕는다. 매개자들은 문화적 흐름을 주도한다는 시대적 사명감을 갖고 변화를 적극 수용하며, 창작자와 향유자, 그리고 테크니션 등 이해관계자들을 연결하며 새로운 예술 문법을 개발하는 역할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nges of mediation currently in art, and to seek for utilization plans of platform and content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business model. The new digital revolution has begun with a hyper-connected era through Web 2.0, which is a participant-oriented web environment and social media. We are moving into the new digital economy era with the ICT industry an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Recent industry trends are being reorganized around the platform, and the platform based businesses which have attracted a large number of users have emerged as leaders. In the field of arts and culture, the industrial ecosystem itself is changing as well with the advent of platform business model. However, the fine art field seems to be relatively lacking in coping and debate. Therefore, this researcher determined that it is necessary to enhance publicity in this phenomenon and create an opportunity to approach this with a new perspective. To achieve this, first of all,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platform and an analysis of the arts and cultural contents industry were examined. Platform structure, the Network Effects and revenue models were reviewed through the platform theory. Moreover, this paper suggests expanding the term to include the Art and Cultural Contents Business, commonly known as the Cultural Contents Business in Korea by comparing the history of Culture industry and Creative industries, and the definition of law. Then, current topics and issues were discussed by identifying platform and content changes in each genre of broadcasting and entertainment, film and drama, music, animation and webtoon, games, publishing, performance, fashion and clothing. At the same time, this study analyzed the paradigm changes in the post-digital era by examining advanced studies in contemporary art. As a result, it was determined that appreciation of the virtual museums and online contents has increased, and social media use, remediation, and reproduction has been expanded. In addition,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cultural mediators leading the direct flow in the art field, the concept of Cultural Mediation originated in France; domestic cultural policies and current conditions were grasped to discuss the role of cultural mediators in the platform environment. In order to design the new business model of art, business model theories were reviewed, and then Osterwalder's Business Model Canvas, which is used the most in the platform businesses, was finally selected. This researcher designed two virtual business models noting that today’s cultural and artistic contents are centered on both platform and content. ‘Google Arts & Culture’ and ‘YouTube’ were each selected as the objects for the business model A which used ‘remediation of contents’ and the business model B which used ‘remediation platform’. The frameworks were comprised of the main elements of the Business Model Canvas, and then FGI Research & Analytics, which employed in-depth interviews with professional cultural mediators, was carried out. The final business model was completed by conducting various discussions and verifications of two business models by professional cultural mediators in their 30s to 40s who are most active in the art field nationwide. Furthermore, business model C was also proposed after gathering ideas about the third model. Although the details are all different, the ideas consisted of ideas such as platforms for creators, platforms of art distribution and business, information platforms for arts, and platforms for audiences. This study proposes the definition of platform, direction for contents, and the role of cultural mediators based on this business model. Platform should increase the value of the originality by exposing the contents and also be an interactive space to communicate with the public. Contents should be supportive of audiences having greater experiences by adding elements such as cultural values, technical effects, and storytelling through strategies that are from understanding the ecosystem and the core of platform. Mediators should actively embrace changes with a sense of mission of leading the cultural flow, and strive to develop the new grammar of the Art by connecting all stakeholders such as creators, audiences, technicians, and so on.

      • 서울대학교 캠퍼스 녹지공간을 활용한 도시생태계 수분(受粉) 작용 활성화 식재 계획에 관한 연구

        김이경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757

        전 세계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꽃가루 수분 위기(Pollination Crisis)는 도시의 문제와 무관하지 않으며 그 위험성은 계속해서 심각해지고 있다. 지난 1970년에서 2010년까지 세계 지구생명지수가 52% 하락했다. 이는 40년 전과 비교해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생물종 수가 절반 수준으로 감소했음을 의미하며 현재 생물종의 멸종 속도는 점점 빨라지고 있다. 수분매개자와 식물 다양성이 줄어드는 현상은 도시에 사는 인간의 생존에도 치명적이다. 국내에서는 2021년 겨울 78억 마리의 꿀벌이 사라지는 꿀벌 군집 붕괴 현상(Colony Collapse Disorder, CCD)이 나타났으며 이는 전체 꿀벌의 약 18%가 사라진 것으로 대규모 꿀벌 감소 양상을 보여준다. 인간의 생존에 있어 꽃 피는 식물과 농작물의 번식을 위한 꿀벌, 나비와 같은 화분매개곤충은 필수적인 존재이다. 그러나 서울과 같이 고밀도 도시화가 이루어진 도시생태계에서 화분매개곤충의 보전에 관한 연구는 활발하지 못하다. 그동안 국내 밀원식물은 화밀의 양에 집중하여 제안해왔으며 도시 양봉이나 양봉업의 수요가 비교적 적은 편에 속하는 서울과 같은 도시 지역에서는 타당하지 않다. 특히 고밀도 도심 지역에 해당하는 서울시는 산지 안으로 파고들어 도시를 개발해왔으며 화분매개곤충의 자연 서식처가 되는 도시숲의 야생 서식지의 상실을 초래하였다. 특히 더 이상의 녹지공간 확충이 어려운 현시점에서 기존 녹지공간 중 도로 건설, 도시화 과정에서 나타난 주변부 녹지공간을 활용한 수분 친화 녹지 조성 및 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부분에 있어서 기여하고자 도시 지역 내 수분매개자의 서식처와 먹이원이 되는 도시 주변부 녹지공간 발굴 및 식생 요인을 도출하여 산지를 중심으로 도시공간을 개발한 서울대학교 캠퍼스 녹지공간을 적용 사례로 하여 수분 친화 식물종 선정 및 식재 계획을 제안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화 과정에서 나타난 주변부 녹지공간을 도로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선형 녹지공간, 주변부 녹지공간과 초지정원 해당하는 면적 공간으로 구분하였다. 선형 녹지공간은 도로 주변부로 도로를 따라 수분매개자의 서식지와 은신처의 생태통로로 기능할 수 있다. 서울대학교 캠퍼스는 도로 건설로 인하여 절단된 숲 가장자리와 도로가 만나는 경계부가 생긴다. 이러한 도로 가장자리는 주요 수분매개자의 생태계뿐 아니라 숲 식생이 노출되기 때문에 도로와 수분 친화 식재를 통해 수분 친화적 식생을 만들어 준다. 주변부 공간은 도로와 도로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으로 크게 도로 완충녹지와 건물 앞 녹지에 해당한다. 주차장의 주변부 녹지공간과 운동장 주변부 녹지공간도 포함하였다. 정원 공간은 초지에 해당하는 곳으로 자생 야생화로 수분 친화적이며 경관을 개선할 여지가 있는 공간을 선정하였다. 둘째, 도시 지역에 적용할 수 있는 수분 친화 초본 식물을 제안하였다. 기존에는 밀원숲 조성을 중심으로 밀원수를 식재했다면 도로를 통한 주변부 녹지공간과 선형공간에 적용할 수 있도록 문헌 관찰을 통하여 수분 친화 식물종으로 밀원식물, 나비목 먹이식물, 나비목 흡밀식물, 서식처 지원식물로 구분하여 선정하였다. 특정 수분매개자와 일반적인 나비목, 벌목의 서식처에 따라 식물종을 제안하였다. 밀원식물은 주로 꿀풀과, 국화과, 콩과, 붓꽃과에 속하는 식물종이 해당하며 나비목은 종마다 선호하는 먹이식물과 흡밀식물이 다양하지만, 장미과, 콩과, 백합과 운향과 식물로 선정하였다. 나비목의 흡밀식물의 경우에는 선호하는 식물종의 제안보다는 자생종을 중심으로 한 늦가을까지 꽃 필 수 있는 중부지역에 해당하는 식물종을 제안하였다. 셋째, 화분매개 곤충의 먹이원이 되는 녹지공간의 거리를 연결하고 풍부도를 높일 수 있는 자생 초본류, 협업 초본류를 중심으로 수분 친화 식물종과 식재 방법을 제안하였다. 파편화된 녹지공간은 주요 수분매개 곤충인 꿀벌이 인식하는 먹이원의 면적이 감소함을 의미한다. 적용 대상지인 서울대학교 캠퍼스는 신축 건물 조성, 오픈 스페이스의 확장, 신규 기숙사와 주차장 조성 등의 개발로 관악산 주연부를 파괴하며 녹지공간 파편화가 이루어졌다. 갈수록 극심해지는 폭염은 도시 지역에서 열섬현상으로 심화시키고 이에 건조에 비교적 강하고 유지관리가 용이한 저관리형의 자생 수분 친화 식재 수종을 씨드 혼식 식재 계획을 제안하였다. 수분 친화 씨드 혼식 식재 계획은 꿀풀과, 콩과 국화과의 비율을 설정하여 계획하였다. 본 연구는 전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꽃가루매개자 위기와 식물 다양성 감소 현상에 주목하여 산지를 중심으로 개발이 이루어진 서울대학교 캠퍼스 녹지공간을 대상으로 관악산의 야생 서식처와 연결하여 녹지공간을 조성 및 관리할 수 있는 수분 활성 식재 계획을 제안하였다. 한편, 본 연구는 서울대학교가 위치한 서울 지역을 사례 대상지로 꿀벌, 나비목에 해당하는 주요 수분곤충에 해당하는, 다소 개괄적인 화분매개 곤충에 대한 수분 활성화 식물종을 제안한 점에서 한계를 갖는다. 향후 발전된 후속 연구를 통해서 도시 지역에 서식하는 다양한 화분매개 곤충에 대한 기초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꽃가루 매개자의 다양성을 고려한 도시 내 수분 친화 수종의 발굴과 식재 계획의 기준을 마련하는 데에 기초적인 자료와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또한 수분매개자의 관점으로 도시 환경을 바라보고 자연과 인간의 공존을 위한 보다 실천적인 가능성이 제기되기를 기대한다. The pollination crisis, which is emerging worldwide, is not unrelated to urban problems, and the danger continues to be serious. From 1970 to 2010, the global life index fell 52 percent, meaning that the number of species on Earth has halved compared to 40 years ago, and the extinction rate of species is now accelerating. The decline in pollinators and plant diversity is also fatal to the survival of humans living in cities. In Korea, the Colony Collapse Disorder (CCD), in which 7.8 billion honeybees disappear in the winter of 2021, showed a large-scale honeybee decline, with about 18% of all honeybees disappearing. Potted insects such as honeybees and butterflies for the reproduction of flowering plants and crops are essential for human survival. However, research on the conservation of pollination insects in urban ecosystems with high-density urbanization such as Seoul is not active. Until now, domestic wheat plants have been proposed by focusing on the amount of nectar, which is not valid in urban areas such as Seoul, where the demand for urban beekeeping or beekeeping is relatively low. In particular,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which is a high-density urban area, has dug into the mountains to develop the city, causing the loss of wild habitats such as urban forests, which are natural sites for pollination insects. In particular, at a time when it is difficult to expand green spaces anymore, it is necessary to create and manage Pollination-friendly green spaces using the surrounding green spaces that appeared in the process of road construction and urbanization. This study was applied to this part of green spac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which is the habitat of pollinators in urban area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urrounding green space that appeared during the urbanization process was divided into a linear green space corresponding to the roadside, a marginal green space, and a meadow garden. The linear green space is the periphery of the roadside and can function as an ecological path for the habitat and shelter of pollinator along the road.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campus has a boundary where the cut forest edge meets the road due to road construction. Since these road edges expose not only the ecosystem of pollination friendly corridors but also forest vegetation, they create pollination-friendly landscape through roadsides. The marginal green space is a space that exists between roadsides, and largely corresponds to road buffer and abandoned green spaces in front of buildings. It also included green spaces around the parking lot and green spaces around the playground. The meadow garden corresponds to grasslands, and a space that is pollination-friendly with native wildflowers. Second, a pollination-friendly herbaceous plant that can be applied to urban areas was proposed. The pollination-friendly plants are mainly plant species belonging to the Lamiaceae, Asteraceae, Legumes, and Irises. Host plant was selected from Rosaceae, Legumes, Liliaceae, and Rutaceae plants, although preferred super food plants of honeybees vary for each species. In the case of the host plants of Lepidoptera, rather than suggesting a preferred plant species, plant species corresponding to the city of Seoul region, which can bloom until late autumn, centered on native flower species, were suggested. Third, it proposed a method of pollination-friendly plants that can connect the distance of green space in urban areas, which can improve abundance and diversity of flowering native plants species. The green spac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campus has been carried out by developing a new dormitory, expansion of Gwanaksan Mountain and parking spaces. As more extreme, the heat island effect has been raised in the city area, therefore, a seed mixed native flower planting plan was proposed for low-management, pollination-friendly plant species that are relatively resistant to drying and easy to maintain. The mixed planting plan for the bean-friendly seeds was planned without grass by setting the ratio of Lamiaceae, legumes and Asteraceae. This study proposed a pollination-friendly planting plan that can create and manage urban green spaces in connection with the wild habitats of Gwanaksan Mountain and the green spac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developed around forest, focusing on the global pollination crisis and reduced plant diversity. However, it also has its limitations as this study looks into a somewhat general pollination-friendly plant species that correspond to honeybees and butterflies as a case study in Seoul, where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is located. Despite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understand pollination habitat in extensively human-dominated landscapes. In addition, we look at the urban environment through the lens of pollinators and expect more practical opportunities for nature and humans to coexist.

      • 매개하는 예술가 : 전시 연계 프로그램 참여 예술가의 경험과 정체성 연구

        이아영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740

        Artists as Mediators - Research on the experiences and identities of artists who participate in exhibition-related programs - Lee, Ah Yong Dept. of Cultural Mediation The Graduate School of Communication & Arts Yonsei University Exhibition-related programs that are operated in line with exhibitions in art-related spaces, such as artist talk programs, workshops, and open studios, have continued to evolve by being categorized as "education," "events," or "programs" depending on the purposes thereof. The social, artistic, and philosophical trends of the modern society emphasizing the masses as well as people who enjoy art have encouraged artists to consider various methods of mediation whereby artists and viewers meet and interact with each other. Exhibition-related programs, in which artists meet with the viewers in person and mediate their exhibitions and artworks, have become a common form of art mediation in the contemporary society. Whereas artists have traditionally been considered as producers, they are now expanding their territory by becoming mediators who play new roles through participation in exhibition-related programs. Research analyzes, from various angles, the impacts of mediation activities through exhibition-related programs, which are becoming increasingly common for contemporary artists, on the creations and identities of artists. To observe the structures that influence artists and the actions of individual artists, this research has utilized the discussions and concepts of Pierre Bourdieu. Additionally, on the basis of discussions on cultural mediation and cultural mediators, this research seek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the role of contemporary artists as "producers as mediators." Moreover, this research also proposes "openness" and "interaction" as the domains experienced by artists who act as producers as well as mediators through exhibition-related programs, and explores how artists are adjusting this feature within their own creative territorie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11 Korean contemporary artists. Many artists who have taken part in the research are participating in exhibition-related programs by receiving suggestions from art-related spaces or exhibition hosts, and it is deemed that their mediation activities are structurally influenced to a great extent. However, it has also been shown that these artists discover the artistic value of the acts of mediation by experiencing mediation activities, or establish new individual values regarding the role of artists, and also proactively attempt mediation inside and outside of exhibition-related art programs. Through the attempts of these artists to differentiate their roles from those of professional mediators instead of simply justifying the acts that need to be performed under structural subordination and bring mediation into the domain of creation, their unique potential of "artists as mediators" can be identified. Keywords: Exhibition-related programs, artist(s), producer(s) as mediator(s), identity, openness, interaction, experience, artist talk program, workshop, open studio 매개하는 예술가 -전시 연계 프로그램 참여 예술가의 경험과 정체성 연구- 미술 매개 공간에서 전시와 함께 운영되는 아티스트 토크, 워크숍, 오픈 스튜디오 등 전시 연계 프로그램은 목적에 따라 ‘교육’, ‘행사’, ‘프로그램’ 등으로 분류되어 발전을 지속해 왔다. 대중과 향유자를 중요시하는 동시대 사회·예술 철학적 흐름은 예술과 관객이 만나 소통하는 다양한 매개 방식을 고찰하게 하였으며 예술가가 직접 관객과 만나 본인의 전시와 작품을 매개하는 작가 참여 방식의 전시 연계 프로그램은 동시대의 보편화된 미술 매개 방식으로 자리를 잡았다. 전통적으로 생산자의 영역에 머물러 있었던 예술가는 전시 연계 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써 새로운 역할을 수행하는 매개자로서 영역을 확장한다. 본 연구는 동시대 예술가에게 점차 일반적이 되어가는 전시 연계 프로그램을 통한 매개 활동이 예술가의 창작과 정체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지 다각적으로 분석한다. 연구는 예술가에게 영향을 주는 구조와 예술가 개인의 실천을 관계적으로 살펴보고자 피에르 부르디외(Pierre Bourdieu)의 논의와 개념을 연구 전반에 활용하고 있으며, 문화매개와 문화매개자 논의를 바탕으로 동시대 예술가가 수행하는 ‘매개자로서 생산자’ 역할 개념을 정립하고자 한다. 덧붙여 전시 연계 프로그램을 통해 생산과 매개를 겸하게 된 예술가가 경험하는 영역으로 ‘개방’과 ‘상호작용’을 제시하고 예술가가 이 속성을 본인의 창작 영역에서 어떻게 조절하고 있는지 파악한다. 연구는 11명의 한국 현대 미술가와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 진행되었다. 많은 연구 참여자들은 주로 미술 매개 공간이나 전시 운영 주체 측의 제안을 통하여 전시 연계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으며 이들의 매개 활동은 구조적 영향을 받는 부분이 크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매개 활동 경험을 통해 매개 행위의 예술적 가치를 발견하거나 예술가의 역할에 대한 개인적 가치관을 새롭게 정립하고 프로그램 안팎으로 적극적인 매개를 시도하는 움직임 또한 포착되었다. 구조적 종속 아래 수행되어야할 행위를 정당화하는 것을 넘어서 기존의 전문 매개자들과 본인의 역할을 구별하고자하며 창작 영역으로 매개를 불러들이는 시도들에서 ‘매개자로서 예술가’만의 잠재적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다. 핵심되는 말: 전시 연계 프로그램, 예술가, 매개자로서 생산자, 정체성, 개방, 상호작용, 경험, 아티스트 토크, 워크숍, 오픈 스튜디오

      • '맛집'의 구성과 의미에 관한 연구 : 맛집 소개 TV 프로그램의 라이프스타일 재현을 중심으로

        김연정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724

        이 연구는 현재 한국 사회에서 공고하게 자리 잡은 ‘맛집’에 주목하여 맛집이 하나의 라이프스타일 기제로서 구성되는 과정을 고찰하고 이를 통해 오늘날 맛집이 갖는 의미를 살펴보았다. 논의는 크게 ‘맛집의 등장과 부상배경’, ‘맛집 관련 문화매개자들’, ‘맛집이 TV에 재현되는 방식’이라는 세 가지 층위의 문제를 포함한다. 먼저 관련 기사와 문헌을 통해 하나의 트렌드로서의 맛집의 등장과 부상 배경을 고찰하였고, 이를 통해 맛집에 대한 관심이 약 2000년을 전후로 촉발, 고조되었다는 점, 그리고 이는 여가와 소비문화의 발전, 세계화, 인터넷과 디지털 카메라 등의 기술 발전 등을 배경으로 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특히 소비문화의 발전은 한국의 맛집 문화를 이해하는 중심축이 되는데, 따라서 소비문화에 관한 이론적 논의들을 검토하는 가운데 상품의 가치와 욕망을 형성하는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 즉, ‘문화매개자들의 매개 행위’라든지 ‘미디어의 영향력’에 대한 비판적 성찰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이 두 요소는 각각 본 연구의 두 번째, 세 번째 연구문제와 연결되는 부분이기도 하다. 두 번째 층위에서 연구는 먼저 ‘문화매개자’를 검토하였다. 다양한 문화매개자들 가운데 전문저술가, 저널리스트, 파워블로거, 대중비평가, 유명인사를 중심으로 그들의 매개행위를 고찰했고, 이를 통해 오늘날 한국 사회에는 맛집과 관련된 다양한 층위의 문화매개자가 존재하며 그들의 맛집 규정 기준은 서로 상이하다는 점, 그리고 이는 아직까지 한국사회에서 ‘맛집’의 실체를 뚜렷하게 알 수 없는 현상과도 맞물려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고, 이러한 상황 속에 두드러지는 현상은 개별 문화매개자가 타 매개자의 매개 행위를 참고하는 일이 빈번해지면서 특정 문화매개자의 매개 행위가 그 자체로 변별력을 갖기 힘들어진다는 점을 짚어냈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에서도 영향력을 갖는 매개 행위는 분명히 존재하는데, 이는 ‘매체 자체의 영향력’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었다. 즉, 문화매개자들이 올드미디어에의 노출을 통해 그들의 권위/영향력을 공고하게 하는 과정이 관찰된 것이다. 이는 본 연구의 마지막/종합적인 연구문제인 TV의 맛집 프로그램 분석의 의의와 연결되는 지점이기도 했다. 따라서 연구는 ‘TV'라는 영향력 있는 매체 속에서 ‘맛집’이 재현되는 방식, 그리고 재현된 맛집이 갖는 의미를 고찰하였다. 구체적인 분석 방법으로는 채트먼(Chatman)의 서사구조 분석을 활용하였고, 스토리(story) 차원에서는 등장인물과 소개되는 맛집의 장소성을, 그리고 담화(discourse) 차원에서는 맛집 프로그램의 언술 표현 양식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두 가지 차원의 분석을 토대로 하여 오늘날 맛집 프로그램들이 제시하는 맛집이 갖는 의미를 크게 다섯 가지 - 일상의 미학 공간, 여가 공간, 웰빙/건강 공간, 특별한 경험 공간, 계급 공간 - 으로 제시하였다. 즉, 맛집은 단순히 맛있는 음식을 파는 곳 이상의 복합적인 의미를 가지며, 각 의미는 라이프스타일과 밀접하게 맞닿아 있었다. 이상의 분석을 토대로 연구는 오늘날의 맛집 열풍이 결국 거시적으로는 라이프스타일과 맞닿아있다는 점, 그리고 이러한 라이프스타일은 TV와 같이 영향력 높은 언론 매체들을 통해 공고해진다는 점을 짚어내었고, 더불어 라이프스타일의 실천이 많은 경우 ‘소비’를 통해 가능해진다는 기존 논의들의 타당성을 다시 한 번 확인하였다. 한국 사회의 전반에서 단골 테마가 된 ‘맛집’ 소개를 소비문화와 관련된 사회 현상으로 읽어냈다는 점, 그리고 맛집을 찾는 행위를 라이프스타일 프로젝트(lifestyle project)의 일환으로 읽어냈다는 점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문화매개의 양상과 역할 확장

        서정원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710

        This study explores the evolving role of the "cultural intermediary," which is no longer limited to merely connecting creators and appreciators, but has expanded in various directions. The research aims to expand the discussion on the potential trajectory of the cultural intermediary. As the standard of living in Korean society improves and the art industry thrives, interest in art and culture is at an all-time high. The art ecosystem has become more complex due to the development of online platforms, which has diversified the participants in the art world and lowered barriers to entry. To ensure the autonomy of the art world and reinforce its social role, the development of an active and stable audience is crucial. The cultural intermediary may hold the key to addressing this issue.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extended role and developmental direction of the cultural intermediary by analyzing cases from contemporary art scenes. The study classifies cultural intermediaries into three types based on their direction of role extension. The traditional type, called "Professional intermediary," primarily focused on connecting creators and appreciators. However, in the rapidly changing landscape of relationships between creators, appreciators, and society, the role of the cultural intermediary is also evolving. The "Social intermediary" type aims to create a community through art and link appreciators to society by acknowledging individuals' positions in society. On the other hand, the "Converting intermediary" type transforms appreciators into mediators or even creators themselves. By examining two cases that exemplify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and converting intermediaries, this study delves into the significance of the cultural intermediary's role extension in relation to societal changes and the interpretation of art. The extended cultural intermediary operates on the premise that appreciators, once mere recipients, now become active interpreters. This trend is observed across various art genres. Extended cultural intermediaries encourage appreciators to not only participate in the creative process but also become independent and active interpreters who can enrich their personal lives through art experiences, drawing from their own experiences and memories. Such engaged appreciators become long-term participants in the art world, internalizing art experiences, and contributing to fresh discourses through art. This fosters respect for social diversity and lays the foundation for democratic publicity. In the current art world, the lines between creators, appreciators, and intermediaries have blurred, and the traditional intermediary role of "distribution" has diminished in importance.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the role of the cultural intermediary has expanded and where it is heading. The extended role of the cultural intermediary is expected to support the autonomy and healthy growth of the art world in the future. 본 연구는 문화매개의 역할이 창작자와 감상자를 연결하는 것을 넘어 다양한 방향으로 확장되고 있다고 보고, 그 방향과 의미를 살펴봄으로써 문화매개의 발전 방향을 가늠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오늘날 한국 사회의 생활 수준이 높아지고 예술산업이 발전하면서 문화에 대한 관심이 어느 때보다 높다. 온라인의 발달로 예술참여자가 다양해지고, 문화예술 분야에 대한 진입장벽이 낮아지면서 예술 생태계 또한 매우 복잡해졌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예술계의 자율성을 보장하고, 사회적 역할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적극적이고 장기적인 예술계 참여자 개발이 필요하다. 연구자는 문화매개가 이러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보고, 동시대 예술 현장의 사례들을 문화매개의 관점으로 분석하여 그 새로운 역할과 발전 방향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문화매개의 역할이 확장되어 나가는 방향을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했다. 전통적인 의미의 문화매개는 창작자와 감상자를 서로 연결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매개자 매개) 하지만 오늘날 문화의 다이아몬드를 이루는 창작자와 감상자, 사회와 예술의 관계가 변화함에 따라 문화매개의 양상도 변화하고 있다. 예술을 매개로 공동체를 형성하고, 사회 속의 개인과 타자를 인식하게 하는 방식으로 감상자와 사회를 연결하거나(사회 매개), 감상자를 매개자, 나아가 창작자로 전환시키는 것(전환 매개)이 오늘날 두드러지는 문화매개의 양상이다. 이런 변화 속에서 두 가지 사례를 통해 각 매개의 특징을 분석했다. 독일을 기반으로 하는 창작극단인 리미니 프로토콜은 2000년부터 실험적인 작업을 선보여왔는데, 관객이 직접 퍼포머가 되거나, 관객의 사적인 이야기로 극을 이끌어 가는 등 작품 이해에 있어 관객의 사적인 내러티브를 만들어내고 동시대 사회 이슈와 연결하는 작업을 위주로 분석했다. 리미니 프로토콜의 작업을 통해 관객은 평소 접하기 힘들었던 새로운 세계를 알게 되고, 개인적인 이야기를 통해 그 세계와의 공감대를 형성하며, 나아가 일상에서 인식하지 못했던 소외된 이들을 대리하는 방식으로 사회와 연결되었다. 이 사례를 통해 사회 매개의 특징과 영향을 알아볼 수 있었다. 2012 부산비엔날레 《배움의 정원》은 획기적인 관객참여 기획으로 화제를 모았다. 전시의 핵심 기획이었던 '배움위원회'는 6개월 이상의 전시 준비 기간을 함께하며 전시와 사적이고 친밀한 관계를 형성했고, 전시 기간 대화프로그램을 진행하며 직접 매개자의 역할을 하기도 했다. 이 과정은 창작자, 매개자, 감상자가 수평적인 관계를 형성한다는 전제로 운영되었다. 이런 관계를 바탕으로 감상자는 자연스럽게 적극적인 매개자로 전환되었고, 또 다른 감상자와 공감대를 형성하며 매개의 영역을 확장할 수 있었다. 배움위원회는 전환 매개의 성공적인 사례로 그 특징과 전환 매개가 형성하는 선순환 구조를 잘 보여주고 있다. 두 가지 사례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사회, 예술의 의미 변화와 맞물려 문화매개 역할의 확장이 가지는 의미를 살펴보았다. 먼저 확장된 문화매개는 수용자의 위치에 있던 감상자가 능동적인 해석가로 전환된다는 전제하에 작동한다. 예술 창작 및 수용에 있어 감상자가 중심이 되는 경향은 분야를 막론하고 관찰할 수 있다. 확장된 문화매개는 감상자를 창작과정에 참여시키는 것을 넘어, 자신의 경험과 언어를 바탕으로 해석하고 개인적 세계를 확장하는 주체적인 감상자로 만드는 데 초점을 맞춘다. 주체적인 감상자는 예술 경험을 내면화하여 적극적이고 장기적인 예술 관객이 된다. 이러한 관객들은 예술을 매개로 새로운 담론을 형성해 나가며 예술계의 사회적 역할을 강화할 수 있다. 이렇게 예술이 활발하게 사회적 역할을 하게 되면 사회적 다양성이 증진되고, 민주적 공공성을 구축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창작자와 감상자, 매개자의 구분이 없어진 오늘날의 예술계에서 기존의 매개자 역할이었던 '분배'는 그 중요성이 낮아지고 있다. 예술의 의미, 사회적 위치가 변화해 온 지금, 문화매개의 역할이 어떻게 확장해왔는지, 또 앞으로 어떻게 발전해 나갈 수 있을지를 살펴보았다. 확장해 나가는 문화매개의 역할을 통해 예술계가 사회 속에서 자율성을 유지하며 건강하게 발전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통합형 문화예술교육의 정책적 활용 방안 연구

        최명림 성균관대학교 문화융합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7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necessity and effectiveness of integrat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among Korea's culture and arts education policies and to find ways to utilize it in a policy manner as a way to foster creative integrated future talents to prepare for the changing present and unpredictable future. Therefore,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integrat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can be established through comparison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the government departments and institutions that implement policies related to culture and arts education as cultural governance, and how they can be used effectively. First, we looked at the paradigm shift in culture and arts education by comparing single-type culture and arts education with integrat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 addition, we set up sample group A for the officials of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olicy-making agencies and the implementation agencies, and set the corresponding intermediaries for art instructors and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structors as sample group B to examine the integrat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the ways to make policy use of it. In conjunction with this, three research problems were set up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the two groups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ies of phenomenological method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in-depth interview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regard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cept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the effect of the two education on the research question(1). It was recognized that integrat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was an area under the big proposition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which was necessary in terms of fostering creativity and enabling comprehensive thinking among culture and arts education. Regarding the research question(2) on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art instructor support project and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system that officials of the policy-making and policy-making agencies think, and what is the policy use of integrat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we could see that there were problems at the institutional level in relation to the art instructor support project and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system. Due to the lack of sufficient markets to accommodate the large number of cultural and artistic educators produced every year, the rejection of the art instructors' qualification system for cultural and artistic educators, and the ambiguity of the distinction between art instructors and cultural and artistic educators by acquiring the qualifications for cultural and artistic instructors, the government needs to raise the system for cultural and artistic educators. Finally, regarding the research problem(3) that the single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the integrat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structors, who are the intermediaries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policy, think about the adventages and disadvantages of single culture and arts education, it was found that the single culture and arts education has the meaning of being able to focus on one field, and that integrat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has the characteristics of enjoying comprehensive art and enabling various thought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pointed out that policy supplementation was needed in relation to the support project for art instructors and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system. First of all, there should be an establishment of the identity of art instructors and cultural and artistic educators.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issue of the utility of the qualifications of cultural and artistic educators, and to take measures to ensure that cultural and artistic educators are qualified as cultural and artistic educators and that sufficient activities are possible in the field. In addition, in order to practic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should be trained so that education can be possible, especially since experts in various fields are needed to practice integrat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with integrated characteristics, it is very important to cooperate with experts, and it is very important to invest a lot of time to create a perfect education program through cooperation of experts, and above all, sufficient budget support is essential. And the role of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is important as cooperative cultural governance. In addition, related agencies should find ways to adjust the contents of the law that mandates a certain scale of state-run organizations to deploy cultural and artistic educators or to apply it in practice. Among the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intermediaries, if integrat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is actually implemented in the field, the suppliers' satisfaction with the education was high, and most of the reasons were that the education beneficiaries were highly satisfied. However, in order for the integrat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policy to be carried out properly in the field, it is necessary to provide sufficient budget support, active cooperation from related agencies, stability of professional instructors and programs, and policy supplementation on the effectiveness of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instructorss' qualifications. 본 연구는 변화하는 현재와 예측불가능한 미래에 대비하기 위한 창의융합형 미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방안으로 한국의 문화예술교육정책 가운데 통합형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과 효과 등을 밝히고, 정책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찾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화예술교육과 통합적 문화예술교육의 비교를 통해 통합적 문화예술교육의 개념을 설정하고, 문화 거버넌스로서 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정책을 수립하는 정부 부처와 그 정책을 수행하는 기관, 그리고 그 정책을 현장에서 실제 활용하는 문화예술교육 기관 운영자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하여 예술강사와 문화예술교육사, 두 매개자를 통해 이루어지는 통합적 문화예술교육이 정책적으로 어떻게 하면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지 그 방안을 도출하고, 현재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대안을 제시해 보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먼저 단일형 문화예술교육과 통합형 문화예술교육의 비교를 통해 문화예술교육 패러다임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문화예술교육정책 수립 기관과 수행 기관 관계자들을 표본 집단 A로 설정하고, 예술강사와 문화예술교육사에 해당하는 매개자들을 표본 집단 B로 설정하여, 통합형 문화예술교육과 그것을 정책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와 연계하여 세 가지의 연구 문제를 설정하고 현상학적 방법의 질적 연구방법론을 활용하여 두 집단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다. 심층 면접 내용의 분석 결과, 문화예술교육과 통합형 문화예술교육의 개념과 두 교육의 차이점은 무엇이며 두 교육의 효과는 무엇인가 연구 문제(1)과 관련해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통합형 문화예술교육은 문화예술교육이라는 큰 명제 아래에 있는 하나의 분야에 해당하는데, 문화예술교육 중에서도 창의력을 키워주고 종합적인 사고를 가능하게 한다는 면에서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정책 수립 기관 및 정책 수행 기관 관계자가 생각하는 예술강사 지원사업과 문화예술교육사 제도의 차이점은 무엇이며, 통합형 문화예술교육을 정책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인가 연구 문제(2)에 대해서는 예술강사 지원사업과 문화예술교육사 제도와 관련하여 제도적 차원에서의 문제점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매년 배출되는 많은 수의 문화예술교육사들을 수용할만한 시장이 충분하지 않고, 예술강사들의 문화예술교육사 자격 제도에 대한 거부감과 많은 예술강사들이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을 취득함으로써 예술강사와 문화예술교육사의 구분이 모호하다는 점 등으로 인해 문화예술교육사 제도에 대한 제고가 필요한 상황이다. 마지막으로 문화예술교육정책 매개자인 예술강사와 문화예술교육사가 생각하는 단일형 문화예술교육과 통합형 문화예술교육의 장단점은 무엇이며,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인가 연구 문제(3)과 관련해서는 단일형 문화예술교육은 한 분야를 집중적으로 학습할 수 있다는 면에서 의미를 가지고 통합형 문화예술교육은 다양한 문화예술을 경험할 수 있게 함으로써 종합적인 예술을 향유하여 다양한 사고가 가능하게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 예술강사 지원사업과 문화예술교육사 제도와 관련하여 정책적인 보완이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먼저 예술강사와 문화예술교육사의 정체성에 대한 확립이 있어야 한다.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에 대한 효용성의 문제를 인식하여야 하고, 문화예술교육사가 예술강사와 같이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을 가지고 현장에서 충분한 활동이 가능하도록 할 것인지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또 문화예술교육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교육이 가능할 수 있도록 전문 인력을 양성해야 하는데, 특히 융복합적인 특성을 가진 통합형 문화예술교육을 실천하려면 여러 분야의 전문가가 필요한 만큼 전문가들의 협업도 중요하고 전문가들의 협업을 통해 많은 시간을 투자해서 완벽한 교육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무엇보다도 충분한 예산 지원이 필수 요건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협력적 문화 거버넌스로서 문화체육관광부와 교육부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또 일정 규모의 국공사립 기관에서 의무적으로 문화예술교육사를 배치하도록 정하고 있는 법률의 내용을 조정하거나 실제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관계 기관에서 방법을 찾아야 할 것이다. 문화예술교육 매개자들 가운데 통합형 문화예술교육을 실제 현장에서 실행하고 있는 경우, 교육에 대한 공급자들의 만족도가 높은 편이었는데 그 이유의 대부분은 교육 수혜자들의 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들었다. 하지만 통합형 문화예술교육정책이 현장에서 제대로 수행되기 위해서는 충분한 예산 지원과 관계 기관의 적극적인 협업, 그리고 전문 강사 및 프로그램의 안정성, 그리고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의 효용성 등에 대한 정책적인 보완 등을 통해 완전한 통합형 문화예술교육이 운영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무엇이 지역문화 거버넌스를 활성화하는가? : '네트워커'의 역할을 중심으로

        성연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29

        What makes the collaborative relationship between local government and civil society in local cultural governance? In local cultural governances developed in a similar condition, how a large gap showed in the level of collaboration? As the ‘local’ an administrative term has recently been re-defined to be a cultural living space, local cultural level and capacity began to be acknolwedged to be an important aspect in Social Quality. Following this, local cultural activation is on going through a partnership called ‘local cultural governance’ in many regions in Korea. Here, local cultural governance is defined as an organization which incorporates participations of various stakeholders including a public, private and intermediary organization. There finds a large gap in the activation level of local cultural governance. For example, in Seongbuk and Eunpyeong, both are exemplars of the civil-led governance, a recent conflict between public and private has resulted in such a contrasting direction. In Seongbuk, when the local government peremptorily intervened into the issue of consign management of one local cultural space, many citizens and activists joined together in the form of ‘post-it’ protest and has finally resolved the issue, on the other hand, in Eunpyeong, when local festival which is the symbol of Eunpyeong civil society has peremtorily been cancelled by the local government, no any civil society showed any kinds of collective movements. This article as focusing on this drastic contrast among different regions, asking following questions to figure out the mechanism of collaborative governance. First, what is the mechanism in facilitating civil society to actively participate in governance to achieve a public policy agenda? Second, what makes the efforts of the public such as building a system, bringing resources, and institutionalization helps accelerating autonomy and participation of the civil society? To be short, this article is to figure out the mechanism of the structure, ‘self-interest becomes public-interest, and public-interest becomes self-interest’. The previous research on collaborative governance has explained the mechanism mainly by institution, system and structure, however, it failed to explain the limitation why governance cannot brings such collaborative behaviors from agents in spite of the facilitating system. In contrast to this, this research is focusing on how agency affects and changes the structure of the governance. To refrain, in this article, agent and structure is not a dichotomy. To explain the distinctive agency of the agent as well as to explain the change of institution and structure of the governance is the main purpose of this article. To link the agent and structure, which means micro and macro, this article adopts social capital theory as a theoretical construct. Applying a bonding-bridging social capital notion suggested by Putnam, how governance organizes solidarity and builds a strong community internally, and how various agents and resources are connected to the governance so to develop into an influential community outernally is explained here. In this argument, the article focuses on special types of professionals who deal with faciliation, brokerage, and connection, and denominates them as ‘Networker’. The main findings of the analysis as follows. First of all, this article denominates brokering professionals as a ‘Networker’ as the crucial element of activating the local cultural governance. Networker is a professional appeared across an emerging social policy field such as cultural policy, cultural planning, social innovation, and city renovation after 2000s in Korean society. Networker incorporates profound and deep knowledge of one field and diverse experiences of various organizations and teams, which makes them to detect and discover contexts of one field. They are also an entrepreneur who pursue not only self interests but also succesiv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ir given fields. Their goal is to expand the total impact of the field. Networker is often appeared in the environment where complex network is structured with abstract knowledge and value system, which is most of the times an emerging field newly building a grammar and norms of one field. This article defines the agency strategy of the networker as the four steps, ‘connecting-interperting-facilitating legitimacy-signalling’. Second, due to the elements and agency strategy of the networker, this article analyzes the local cultural governance of Seongbuk, Eunpyeong, Seocho, and Gwanak. The result shows that the role of networker is most importantly activiated in the case of Seongbuk. Networkers in Seongbuk delivered decisive information in between public and private required to move on the project and utilized resources through their expanded networks, and to reduce the difference between public and private, networkers interpret and decode the language of each parts to make a communal norm. Also, by bringing in external public support programs into Seongbuk, the justification of cultural policy is facilitated, and networkers also help founding a cooperative association and working group. On the other hand, professionals in Eunpyeong have been successful in bonding the civil society together, but as the political confrontation and conflicts became severe, Eunpyeong Nuri Festival finally be restrained in fighting of the justification. In the case of Seocho, where no any professionals or networkers working as a broker existing, difference between stakeholders cannot be reduced or resolved so that commons of the local culture could not be established. Lastly, in the case of Gwanak, some networkers be in active and establish a platform where information is communicated within it, however, due to a low solidarity and settlement of artists, civil resources brought into the governance cannot be maintained as the lasting resources. Third, this article held a social network analysis of public culture and arts activities held in 2019 in four regions to figure out how local cultural governance brings in and adopts resources in multiple networks. The result shows that the format of network is heavily influenced by the existence and activation of the networker. For example, the result of Gwanak shows the traditional top-down administrative system of cultural policy, while the case of Seocho demonstrates the centralization of power centering around Seocho local government and Seocho cultural foundation. The result of Eunpyeong is a type of ‘local-centered network’ in high solidarity by several civil society groups, and the case of Seongbuk shows ‘horizontal-expanding network’ which is largely connected with metropolitan and national level cultural institutions. To sum up, Seongbuk is utilizing resources in multiple networks most attentively to expand the boundary of local culture. Fourth, as theoretically speaking, networkers are deeply embedded in the network as to accumulate bonding social capital and attentively activiate bridging social capital to activate the governance by bringing in outernal resources. To activate the local cultural governance, the process of accumulating bonding social capital should guarantee the openness of governance to be maintained to help participants of the governance continuously circulated. Also, brokers or bridges in the local cultural field such as networkers and local cultural foundation should not only act as a broker but also deeply embedded into the local society to effectively detect, discover and assign resources brought in. As a summary, the article categorizes total eight typologies from a ‘public-private-networker’ axis. The most activated and successful typology is the ‘dynamic equilibrium governance’. This typology tells that to activate the locla cultural governance, the active participation of public and private is not enough and makes some conflicts, so that networkers in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should act as the broker to reduce difference and disparity among them. Through this, public and private each can participate in the governance for their own interests but their participation can bring the achievement of the public policy agenda. 지역문화 거버넌스에서 정부와 시민사회의 협력적 관계를 형성하게 하는 요인은 무엇인가? 비슷한 조건에서 성장한 지역문화 거버넌스 간에 협력적 수준의 큰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행정 단위로서의 지역이 최근 문화적 생활공간으로 재편되며, 지역의 문화예술 수준과 역량이 사회의 질의 중요한 차원으로 간주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전국적으로 여러 지역에서 ‘지역문화 거버넌스’라는 이름의 민관 파트너십을 통한 지역문화 활성화가 진행 중이다. 지역문화 거버넌스란 공공(지방정부), 민간(시민사회, 예술가), 중간지원조직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참여하여 지역문화 활성화를 위해 협력하는 조직 구조를 의미한다. 그런데 이런 지역문화 거버넌스의 활성화 정도에는 큰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일례로 서울 자치구 중 민간이 주도해 지역문화 거버넌스를 운영하는 것으로 유명한 성북과 은평은 최근 민과 관 사이에 갈등이 발생한 상황에서 상이한 방향으로 귀결되었다. 성북은 지역문화공간의 위탁운영단체 선정 문제에 관해 관의 독단적인 의사결정을 시민들의 ‘포스트잇 시위’와 다양한 문화예술단체의 연대로 해결한 반면, 은평은 민간주도성의 상징인 지역축제가 관의 독단적 판단으로 취소된 상황에서 이에 항의하고 대응하는 민간의 집합적 행동이 발현되지 않았다. 이 연구는 이러한 지역 간 차이에 주목해, 다음의 연구 질문에 대한 답을 구하는 과정에서 협력적 거버넌스의 성공 요인을 탐구하고자 한다. 첫째, 거버넌스에서의 민간 참여와 시민사회 주도성이 공공의 정책 의제를 실현하는 중요한 자원으로 기능하기 위한 메커니즘은 무엇인가? 둘째, 거버넌스에서 공공의 시스템 구축, 자원 도입, 제도화의 노력이 민간의 자율성과 참여를 더 촉진하는 방향으로 가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가? 이 질문을 요약하면, ‘사익이 공익이 되고, 공익이 사익이 되는 구조’를 만드는 메커니즘을 탐구하는 것이다. 협력적 거버넌스에 대한 기존 연구는 주로 거버넌스의 제도, 체계, 구조를 중심으로 거버넌스의 협력적 메커니즘을 설명하였는데, 갈등 중재를 위한 조직 체계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행위자로부터 의도한 협력적 행위를 끌어내지 못하는 거버넌스의 한계를 충분히 설명하지 못했다. 이와 달리 이 연구는 행위자의 행위성(agency)을 통해 거버넌스의 구조가 변화하고 구성되는 지점에 주목하였다. 즉, 이 연구에서 행위자와 제도/구조는 이분법적인 개념이 아니다. 선행 연구가 주목하지 않은 행위자의 독특한 행위성을 설명하면서 동시에 이 행위성으로 인해 거버넌스의 제도적, 구조적 변화를 서술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 연구는 제도와 행위자, 다른 말로 거버넌스에서 거시와 미시적 측면을 연결하는 종합적 관점을 제시하고자 ‘사회자본 이론’을 적용하였다. 사회자본 이론의 범주 중 퍼트남이 제시한 결속-교량 사회자본 구분 틀에 맞추어 거버넌스가 어떻게 내적으로 결속과 연대가 강력한 공동체로 조직화되는지, 그리고 외적으로 다양한 행위자 및 자원과 연결되어 궁극적으로 거버넌스를 지역사회의 영향력 있는 커뮤니티로 발전시키는지 설명하였다. 그 과정에서 이 연구는 거버넌스에서 촉진, 매개, 연결 기능을 담당하는 전문가 집단의 역할에 주목해, 이들을 ‘네트워커’라고 명명하고 네트워커의 속성과 행위 전략을 정의하여 네트워커를 통한 지역문화 거버넌스의 활성화를 설명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지역문화 거버넌스 활성화의 핵심 요소인 매개자형 전문가를 ‘네트워커’라고 명명하고, 이들의 특성을 설명하였다. 네트워커는 문화정책/문화기획 분야 뿐 아니라 사회혁신, 도시재생 등 2000년대 이후 한국 사회에서 새롭게 등장한 사회정책 분야 전반에 걸쳐 활동하는 전문가로, 해당 분야의 깊은 전문성과 다양한 조직과 집단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대상과 맥락을 간파하는 능력을 보유한 사람이다. 이들은 동시에 기업가 정신을 가진 사람들로 자신의 활동을 통해 사적 이익만을 추구하기보다 자신이 속한 분야의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을 도모하며 결과적으로 자신의 활동을 통해 공동의 가치인 ‘임팩트(Impact)’를 확장해 간다. 네트워커는 흔히 추상적인 지식과 가치 체계로 구성된 복잡한 네트워크의 환경에서 출현하며, 특히 분야의 문법과 규범을 만들어나가는 신흥 분야에서 더욱 활발히 활동하는 특징을 가진다. 이런 네트워커의 행위 전략을 이 연구는 ‘이어주기-해석하기-정당성 촉진-경험의 전파’의 4단계로 정의하였는데, 이중에서 특히 ‘해석하기’는 지역문화 거버넌스의 사례처럼 서로 상이한 가치체계를 가진 공공과 민간을 융합하여 협력으로 나아가게 하기 위한 해독, 번역, 이해의 행위를 통칭하는 과정이다. 둘째, 이러한 네트워커의 속성과 행위성에 기반해 서울의 성북, 은평, 서초, 관악의 지역문화 거버넌스를 분석한 결과 성북의 사례에서 네트워커의 역할이 가장 두드러졌다. 성북의 네트워커는 민과 관 사이에서 프로젝트 추진에 필요한 결정적인 정보를 전달하고 넓은 네트워크 풀을 활용해 전문성을 연계하였으며, 민과 관의 이질성을 줄이기 위해 서로의 언어를 해석하여 공동의 규범으로 치환하는 작업을 맡았다. 또한 외부 지원사업을 적극 유치해 지역문화 거점으로 성북의 문화정책적 정당성을 촉진하였고, 성북 거버넌스 내에서 이런 경험을 전파하기 위한 협동조합, 워킹그룹의 설립을 도왔다. 반면 은평의 전문가 집단은 시민사회의 결속력 강화에는 성공하였으나, 민과 관의 정치적 대립과 갈등의 심화로 은평누리축제가 정당성 투쟁에 얽매이는 결과를 낳았으며, 서초의 경우 매개자 역할을 하는 전문가가 전혀 부재한 상황에서 구성원 간의 이질성이 극복되지 못하고 상호 간 갈등과 오해가 심화되어 지역문화의 공유지를 만들지 못했다. 마지막으로 관악은 네트워커 역할을 하는 전문가가 존재하고 이들을 통해 정보를 유연하게 소통하는 플랫폼이 만들어지지만, 예술가의 낮은 정주성 및 거버넌스의 낮은 결속력으로 인해 지역문화의 미래를 상상하는 힘이 부족하고, 결과적으로 거버넌스에 유입된 예술가가 지속적인 자원으로 남지 못하는 결과를 낳는다. 셋째, 4개 지역의 2019년 공공 문화예술 행사의 사회 연결망 분석을 수행하여, 지역문화 거버넌스가 실제 지역문화 현장에서 다층적인 네트워크의 자원을 얼마나 동원하고 활용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네트워커의 존재/활동 유무에 따라 네트워크의 양상이 달라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예를 들면, 관악은 중앙-광역-기초로 하달되는 전통적 전달체계 구조의 ‘수직적 네트워크’에 해당하였고, 서초는 서초구청과 서초문화재단을 중심으로 많은 예술단체가 연결된 ‘중앙집권적 네트워크’로 나타났다. 은평은 몇 개의 시민사회 진영을 중심으로 높은 결속력을 나타내는 ‘로컬 네트워크’의 특성을 보였고, 성북은 타 자치구문화재단과의 연합이나 전국 단위 문화예술 지원기관과 폭넓게 연결된 ‘수평-확장형 네트워크’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결과적으로 4개 구 중에서 성북이 다층적 네트워크의 관계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지역문화의 경계를 확장해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네트워커는 이론적으로 보면 네트워크에 깊게 배태되어 결속형 사회자본을 축적함과 동시에 교량형 사회자본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외부 자원을 효과적으로 동원하여 소속된 조직의 활성화를 도모하는 사람이다. 이렇게 결속형·교량형 사회자본의 상관관계를 매개하는 네트워커의 역할에 주목해 4개 구의 사례를 분석해보면, 지역문화 거버넌스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신뢰와 호혜성이라는 결속형 사회자본의 축적을 통해 거버넌스의 활성화를 도모하는 과정에서 동시에 거버넌스의 개방성을 유지하여 구성원이 계속 순환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어야 하며, 교량 역할을 수행하는 지역문화재단이나 매개자는 교량/매개 역할만 하는 것이 아니라 동시에 지역 사회에 깊게 배태하여 외부로부터 매개한 자원을 적재적소에 배치하는 전략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이 연구는 종합적으로 공공-민간-네트워커라는 3자 축에서 총 8개의 가능한 유형을 모두 도출하고, 이 중에서 지역문화 거버넌스의 가장 성공적인 협력을 이루기 위한 유형으로 ‘역동적 균형 거버넌스’ 유형을 제시하였다. 이 유형이 말해주는 것은, 결국 지역문화 거버넌스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공공과 민간의 적극적인 참여만으로는 상호 간 이해도와 협력의 경험이 낮아 갈등을 만들기 쉽기 때문에 이 둘의 중간에 위치한 전문가 집단인 ‘네트워커’가 매개 역할을 수행하여야만 공공과 민간의 간극을 최소화하여 각자가 자신의 이익을 위해 거버넌스에 참여하면서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지역문화 활성화라는 공공의 의제가 달성될 수 있는 이상적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 초등 미술교과에서 해석학적 접근으로 그림책을 활용한 감상 지도 연구

        신백경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26

        본 연구는 초등 미술교과에서 해석학적 접근으로 그림책을 활용한 감상지도 연구로써 우선, 초등 미술과 감상의 이해를 위해 2007년 새로 개편된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그와 더불어 미술 교육의 변화에 따른 미술 감상의 목적이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를 문헌연구와 선행연구를 통하여 감상의 이해를 넓히고 있다. 이는 새 교육과정 목표에 적합한 감상 지도의 올바른 이해를 형성하고자 함이다. 그 다음으로는 해석학적 접근의 이해를 파악하기 위해 해석학의 개념과 해석학적 접근에 의한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대화를 통한 해석학적 접근에 의한 미술 감상의 이론적 배경과 방법을 파악하여 본 연구의 교육 철학적 기반을 다질 수 있도록 하였다. 해석학적 접근은 어린이의 삶과 앎의 관계를 정립하고 그 연결고리를 대화라는 끈으로 묶어 어린이의 정서와 감정을 보다 풍요롭게 해 줄 수 있는 교수·학습인 동시에, 미성숙한 인간이 진리를 찾아가는 또 하나의 길을 제시해 주는 것이며, 삶 속에 녹아 있는 실천지(實踐知)에 대한 깨달음을 일깨우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그 다음으로 그림책이란 학습 매체를 이해하기 위해서 우선 그림책의 의미와 그림과 글 읽기에 의한 경험과 감상, 그림책의 교수⋅학습 매체로써의 활용 방법에 대하여 미술 교과적 측면에서 심도 있게 알아보았다. 그림책의 텍스트는 아름답고, 탐구심을 유발하고 회화적이며, 어린이 문화가 담겨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텍스트와 함께 하는 탐구적인 활동은 초등학교 교과학습에 적용하길 권장할 만한 교수·학습 방법임을 밝히고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미술 교과의 성격으로 의사소통의 가치와 문화적 가치 부분을 강조함으로써, 미술이 표현 중심에서 벗어나 인간과 인간이, 매체와 인간이 서로 소통할 수 있음을 밝히고 있다. 이는 경험과 삶의 지평을 융합하는 해석학의 대화 중심의 교육철학적 배경에 기반하고 있다. 좀 더 세분화된 연구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해석학적 접근에 의한 미술과 감상 교수․학습의 감상 요소의 특성으로 첫째, 의미 해석자로서의 어린이 특성과 둘째 예술 경험으로써의 그림책 특성, 셋째, 교수·학습 매개자로서의 교사 특성을 들 수 있다. 우선 의미 해석자로서의 어린이의 발달적 특성과 인지적 특성, 조망능력 특성과 그림책 감상과의 연계성을 형성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또한, 그림책의 시각적 특성과 상징성, 색채, 기법 등 그림책의 예술성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그림책이 과연 예술 경험으로써 어린이에게 미치는 교육적 가치와 역할이 어떤 위치를 차지하는지를 정할 수 있는 근거를 들어 이해를 도모하였다. 그 다음으로 학습 매개자로서의 교사 특성으로 교사는 어린이 각자가 개별적인 주체로서 자신이 갖고 있는 현재의 개념체계나 이해구조가 불완전함을 스스로 인식하고 보다 상위의 이해 수준으로 발전해 나갈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고무하고 격려해야 할 특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림책을 활용한 교수·학습에서는 특히 교사는 그림책에 대한 전문가적 수준을 갖추고 교사가 먼저 그림책을 이해하고 스스로 그림책을 즐기며, 기쁨을 나눌 수 있어야 함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다음으로는 교수·학습의 기본 방향으로 본 연구에서 지향하고 있는 미술 감상의 핵심인 시각적 문해력과 상상력에 대해 알아보았다. 작가의 의도를 파악하고 그림책이 전하는 메시지나 숨겨진 감정들을 이해하고 느끼는 것이 문해력 형성에 대한 문제라면, 그러한 것을 뛰어넘어 자신의 이미지와 언어로 자신을 표현하고, 투영해 보는 것이 바로 상상력의 통합적인 계발로 보고 이를 어린이에게 경험하게 하여 자기화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자 하였다. 그와 더불어 연구의 심화로써, 미술 감상의 교수⋅학습 모형을 만들어 적용해 보았다. 본 연구의 그림책 감상은 질문과 답변으로부터 감상이 시작될 수 있었다. 이러한 대화를 통한 감상은 단계적인 읽기를 통해 그 깊이를 더해 갈 수 있었다. 처음에는 단지 텍스트를 직관적으로 읽기에서 출발하여, 텍스트의 내용과 경험이 융합하고 마침내는 내면화의 과정에 이르게 되는 단계적 감상 모형을 적용하여 교수·학습을 분석하기에 이른 것이다. 이어서 미술 감상 교수·학습의 실제와 적용의 결과 분석을 하고 결론을 도출하였다. 교수·학습 실제의 예를 들어, 어린이들이 시각적 문해력의 향상과 상상력이 통합적으로 계발되었음을 밝히고 있다. 또한 감상 지도를 마치고 난 후 대부분의 어린이가 이번 미술 감상 수업이 자신에게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언급한 부분을 제시하고 있다. 대다수의 어린이가 그림책을 감상하고 난 후, 상상하여 표현하는 것을 즐겁게 받아들였다. 이로써 <초등 미술교과에서 해석학적 접근으로 그림책을 활용한 감상 지도>에서 ‘시각적 문해력 형성’과 ‘상상력의 통합적인 계발’이란 기본 방향이 성과를 얻었음을 알 수 있었다. 어린이들이 즐거운 마음으로 교수·학습에 임하고 몰입하였으며, 자신의 상상력을 펼쳐볼 수 있는 경험을 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끝으로 본 연구의 후속 연구로써, 그림책의 심도 있는 연구와 교과간의 통합 교수·학습에 적용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연구를 심화시킬 다양한 교수법의 개발과 감상 교육 요소의 특성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를 제언하고 있다. This thesis is about a teaching method of Hermeneutics Approaches utilizing pictures book concerning the elementary arts curriculum. In this thesis, it is analyzed the modified elementary arts curriculum in 2007. In addition, it is presented how the purpose of arts appreciation has been changed by studying literatures and earlier researches. As a result, more appropriate and understandable teaching methods can be made for the new elementary arts curriculum. Next, the concept of Hermeneutics Approach and professor learning are explained. This aimed for better comprehension of the teaching method of Hermeneutics Approaches. Lastly, the teaching philosophy of this study is searched and answered by understand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methods of arts appreciation. Conversation is an important key factor at this stage of Hermeneutics Approaches. First, the meaning of Hermeneutics Approaches is examined. It helps children to build a bridge between life and knowledge by means of conversation, which enriches their emotions and feelings. It also suggests a vision to the truth and leads the premature to realize the real world around them. Second, the concept of pictures book, the experiences and appreciation of picture and text, the utilization of pictures book as a professor learning channel have been explored. All the points are closely examined as a view of elementary arts curriculum. Texts within a pictures book are generally beautiful, pictorial and containing culture of children. They are also making children wonder and be curious. As a result, it is recommendable to include texts (within a pictures book) to elementary arts curriculum. This thesis emphasizes the values of conversation and culture as characteristics of an arts curriculum, which is important to declare that arts is not only an expression channel but also a channel between human and human, and other media. This point of view is based on the fundament of Hermeneutics Approaches of conversation centered teaching philosophy. This study examines three characteristics of art appreciation and professor learning when it comes to Hermeneutics Approaches. First, children as readers. Second, pictures book as art experiences. And lastly, teachers as Hermes. It is given evidences that may explain connections between development of children and their view of picture books. Furthermore, by investigating features of pictures book as art work such as, visual images, symbols, colors and techniques, this thesis attempts to find out the educational value of pictures book. Teachers should recognize that children need to see their imperfect conceptual system and low ability to understand, and encourage them to develop themselves towards higher level. It is also discussed that teachers should posses expertise of pictures book. They should fully understand the pictures book in advance and enjoy themselves when they use pictures book in their class. The next step of the study focuses on the basis of professor learning, how to view arts. Arts appreciation enlightens not only visual literacy but also integration of children’s internal and external imaginations. To enhance visual literacy, it has to be understood the writer’s purpose as well as the hidden message and emotions of the arts. The integra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imaginations is more developed concept of arts appreciation than visual literacy. It makes children express their feelings by using their own words and reflect it with their own way. A model of professor learning within arts appreciation, has been carried out. The experiment of this arts appreciation started from simple questions.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the arts became deeper gradually through reading. The first stage of the experiment was limited to intuitive reading. But after all, the contents of the text connected to the individuals’ experiences, and at the end, the internalization of the arts appreciation was witnessed. Through this stepwise experiment,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effects of professor learning. The analysis and conclusion of professor learning in practice are presented next. It is shown that children has improved their ability to imagine as well as visual understanding through professor learning. Few examples are presented in the chapter. In addition, most of children who attended to the experiment named that the arts appreciation class had helped them. They mentioned that they enjoyed the last stage of the professor learning, which they expressed their imagination come from the pictures book. This proves that < Teaching method of Hermeneutics Approaches utilizing pictures book> can successfully improve children’s integration of imagination as well as their visual literacy. Since most of the children who attended the experiment enjoyed the professor learning class and they could also experience their imagination to grow in their mind during the experiment. Lastly, further studies of professor learning, such as case studies or deeper researches on pictures book in practical elementary arts curriculum are suggested. Developments of various teaching methods and continuous study on characteristics of arts appreciation are also recommended.

      • 2000년대 한국 독립출판물 생산자 연구 : 미디어 문화 생산자 정체성을 중심으로

        은지희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8

        This study intends to discuss the media and cultural meanings of independent publishing, which had first emerged in the early 2000s and has now settled down as a type of publishing and one of the cultural phenomena, and to ponder on the identity of the producers of independent publishing. A number of notions have been used as a theoretical framework of this study, including Pierre Bourdieu's concept of 'Habitus and Champ;' a concept of 'cultural intermediaries,' which had been developed from cultural sociology after Bourdieu; and discussions on 'multiple' and 'decentralized' postmodern identities from studies by Giddens, A. and Laclau,E. On the basis of these information, this study aimed to first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independent publishing, which had emerged among the changing printed and publishing media and the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and to show the transforming media and culture production fields by inquiring the producers of independent publishing from various perspectives. Next, this study gave analysis to how the producers of independent publishing thought of themselves based on in-depth interviews with them. Through self-awareness of the production of independent publishing,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 in the values of today's media produc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ers' identity by probing into their subjective perceptions as amateurs as well as their professional perceptions. It introduced the change in the symbolic values of the printed and published media. Lastly, this study looked into how the producers of 'independent publishing' responded to the selection process of various values regarding the production of independent publishing by inquiring the self-awareness of their acts as producers. They refused to use the expression 'independent,' and they desired to create their own identity as the media and culture producers instead of conforming to the external regulations. Indeed they were not someone who could be defined by being called 'independent;' each of them were main agents with multiple personalities from a decontextualized perspective. To sum up, it can be said that the producers of independent publishing do not passively accept the stories of others, which are created under the formality of ready-made publication, but rather actively reveal their desires as the media and culture producers who establish their own lifestyle and new cultural tastes. 본 연구는 2000년대 초반 시작되어 점차 하나의 문화적 흐름이자 출판의 형태로 자리잡아가고 있는 독립출판물의 미디어·문화적 의미에 대해 논의 해보고자 시작되었으며, 독립출판물을 생산하는 생산주체인 독립출판물 생산자의 정체성에 대한 글이다. 이에 대한 탐구를 위해 부르디외의‘아비투스(habitus)와 장(場)’이론, 부르디외 이후 문화사회학에서 발전해온‘문화 매개자’개념과 함께 기든스, 라클라우의 연구를 중심으로 한‘다중적’,‘탈중심적’인 포스트모던 정체성에 대한 논의들을 이론적 틀로 사용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자는 첫 번째 연구 문제를 통해‘디지털 미디어의 발달과 인쇄·출판 미디어의 변화의 흐름가운데서 등장한 독립출판물의 특징’을 정리하고, 독립출판물 생산자들을 다양한 관점에서 바라봄으로써 오늘날 미디어·문화 생산 지형이 변화하고 있는 모습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두 번째 연구 문제에서는 독립출판물 생산자들에 대한 심층 인터뷰를 통해 이들이 스스로를 독립출판물 생산자로서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독립출판물에 생산에 대한 자기 인식을 통해 오늘날 미디어 생산의 가치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독립출판물 생산자들이 가진 직업적인 인식과 아마추어로서의 주관적 인식을 탐구함으로써 독립 출판물 생산자가 가지는 정체성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세 번째 연구 문제로는 ‘독립출판물’생산자의 행위에 대한 스스로의 인식을 탐구함으로써 이들이 독립출판물 생산과정을 둘러싼 다양한 가치 선택과정에 있어서 어떻게 대응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독립출판물 생산자는‘독립’이라는 호명을 거부하며, 외부의 규정이 아닌 미디어·문화 생산자로서 스스로 정체성을 만들어가고자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함께 독립출판물 생산자들은‘독립’이라는 하나의 지점으로 정의될 수 있는 성격의 주체들이 아니며, 이들은 각각 다중화 돼 있고 탈맥락화된 지점에서 주체를 구성하고 있었다. 또한 전문가와 아마추어의 구분 없이 독립출판물이 생산되면서 이들은 호모 루덴스와 같은 성격을 가지며, 비물질 노동의 성격을 가진 생산 행위를 한다고 정리할 수 있었다. 이상의 논의들은 독립출판물 생산자가 기존 출판장과 독립출판물 생산장 안에서 다양한 주체들 간의 역동적이고 지속적으로 상호 영향을 주며 교섭을 통해 존재한다는 것을 말해준다. 이러한 논의를 종합해 볼 때, 독립출판물 생산자들은 기성출판의 형식에 포장되어 만들어지는 타인의 이야기를 수동적으로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문화적 취향과 라이프 스타일을 생산하는 미디어·문화 생산자로서 자신의 욕망을 직접 드러내는 존재라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은 독립출판물 생산자의 독립출판물 생산 경험과 정체성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오늘날 미디어·문화 생산의 방식과 그 주체의 성격이 변해가는 흐름을 짚어보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