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태원의 드랙퀸들 : 젠더 정체성과 젠더 수행을 중심으로

        Yau, Geoffrey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한국적 맥락에서 드랙, 젠더 수행, 그리고 젠더 정체성에 대한 민족지적 연구를 제시한다. 이 연구의 결과는 한국의 서울 이태원에서 드랙을 하는 10명의 드랙퀸을 대상으로 한 민족지적 관찰과 인터뷰를 통해 얻어진다. 대부분의 드랙퀸들처럼, 그들은 독특한 드랙 정체성을 형성해, 같은 몸으로 다른 젠더를 표현한다. 결과를 통해 한국의 관중들은 한국의 드랙퀸에게 한국의 엄격한 이분법적 남녀 젠더 규범을 적용하지만, 외국인 드랙퀸들에게는 같은 관중들의 기대를 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했다. 마지막으로, 드랙퀸들이 공연을 통해 사회적 젠더의 개념을 전달하는 능력은 그들이 공연하는 장소와 관중들에 달려있다. This thesis presents an ethnographic study examining drag, gender performance, and gender identity within the Korean context. This study draws from ethnographic observations and interviews conducted with ten drag queens who perform drag in Itaewon, Seoul, South Korea. Like most drag queens, they have formed unique drag identities that are used to express different genders within the same body. Results also found that Korean drag queens were limited by strict dichotomous male-female gender norms in Korea, while foreign drag queens did not have the same expectations placed on them. Lastly, the ability for drag queens to convey the notion of socialised gender through their performances is dependent on the venue and the audience they perform to.

      • 유튜브 드랙 콘텐츠에 나타난 메이크업 표현 특성 연구

        윤세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806

        2023년 현재 한국 사회는 콘텐츠 소비 세대의 변화, 유튜브 플랫폼의 사 용량 증가 등의 사회·기술적 변화로 인해 기존 미디어에서 다루지 못했던 새로운 문화가 나타나거나 다양한 장르의 콘텐츠 향유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기존에 일반인들이 쉽게 접근하기 어려웠던 새로운 문화에 대한 관심 으로 연결되며, 하위문화로 주목받지 못하던 드랙 문화가 유튜브 드랙 콘텐 츠로 확산되는 결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유튜브 드랙 콘텐츠에 나 타난 메이크업 표현 특성을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1) 유튜브 드랙 콘텐츠 내에서 드랙 아티스트가 전달하는 드랙 의 가치와 감성, 2 유튜브 드랙 콘텐츠 내에서 향유되는 드랙 아티스트의 메이크업 표현 요소 및 특성, 3) 드랙 아티스트의 메이크업 표현 특성을 전 달하기 위한 유튜브 콘텐츠의 활용, 4) 유튜브 드랙 콘텐츠에 나타난 메이크 업 표현 특성의 한국적 문화맥락에 따른 인식과 향유성을 연구 문제로 선정 하고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1. 유튜브 드랙 콘텐츠를 통해 확인된 드랙의 가치는 1) 독특하고 화려한 메이크업을 통한 시각적 자극과 향유, 2 자기표현을 중심으로 한 메시지의 전달로 개인의 가치관과 개성의 중요성 강조, 3) 다양성에 대한 존중과 수용 을 통해 새로운 문화와 콘텐츠에 대한 기대감 증가 등으로 해석할 수 있다. 2. 유튜브 드랙 콘텐츠 내에서 향유되는 드랙 아티스트의 메이크업 표현 요소를 디자인적 조형 요소와 개념적 요소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드랙 아티 스트의 조형적 특성을 통한 메이크업 표현 특성은 1) 완벽한 피부 표현과 윤곽 표현, 2 상향선을 위주로 사용하는 과장된 형태적 표현, 3) 화려하고 다이나믹한 색채 이미지 특성으로 나타났다. 드랙 메이크업의 컨셉적 특성 은 1) 인물의 성격 표현으로 이는 캐릭터 모방성과 캐릭터 창조성으로 나타 난다. 캐릭터 모방성은 자신이 동경하는 디바, 모델, 배우 등의 캐릭터를 자 신의 신체를 통해 표현하면서 그들과 동일시하고자 하는 욕구를 반영한 것 이다. 캐릭터 창조성은 드랙이 표현할 수 있는 이미지 한계를 깨고 캐릭터 를 확장해 나갈 수 있음을 보여주는 특성이다. 2 창의적 디자인 표현은 드 랙 아티스트가 신체 이미지 표현을 위해 기획, 디자인, 연출 등의 모든 과정 을 스스로 하면서 자신의 미적 감각과 실력을 디자인 요소로 창조하여 표현 하는 것으로 창의적 발상에 기반한 드랙 메이크업 표현을 말한다. 3. 유튜브 드랙 콘텐츠는 드랙 아티스트의 메이크업 표현 특성을 전달하 기 위해 드랙이 직접 제작하는 콘텐츠와 드랙 문화의 외부에서 드랙과의 인 터뷰를 진행하거나 함께 드랙 메이크업을 도전해 보는 등의 유튜브 콘텐츠 는 기존 미디어의 유튜브 채널 혹은 인기 유튜버의 개인 채널에서 다뤄지고 있었다. 유튜브 플랫폼은 대중이 드랙 콘텐츠를 통해 드랙 문화를 쉽게 이 해하고 해석할 수 있도록 의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드랙 콘텐츠의 다 양화를 통해 대중과의 접점을 만들고자 하는 드랙 아티스트들의 노력이 함 께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4. 유튜브 드랙 콘텐츠에 나타난 메이크업 표현 특성이 문화맥락에서 어 떻게 인식되고 있으며, 어떤 방식으로 향유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선 행 연구를 통해 현재 한국 사회의 특징과 문화적 배경을 찾아보고 유튜브 플랫폼을 통한 문화 소비 및 확산, 새로운 문화에 대한 접근성 등을 알아보 았다. 이를 바탕으로 드랙 콘텐츠에 나타난 메이크업 표현 특성을 한국적 맥락으로 논의하였으며, 드랙 콘텐츠를 전달하는 유튜브 플랫폼을 통한 드 랙 메이크업 표현 특성 의미를 논의하였다. 그 결과 한국의 사회적 배경과 정서를 고려했을 때 한국의 드랙 문화는 개인주의, 평등주의와 함께 인식되 었고, 2020년 이후 매체에서 다루어진 드랙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가 드랙 문화의 가치를 끌어올리는 결과로 나타났다고 해석할 수 있다. 유튜브 플랫 폼 안의 드랙 콘텐츠에 나타난 메이크업 표현 특성을 통해 드랙 문화의 확 산이 한국 사회 내에 미치는 긍정적인 정서 및 방향성에 대해 검토하여 다 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했다. 드랙 콘텐츠의 메이크업 표현 특성이 한국 사 회에 미치는 긍정적인 인식은 1) 자기 몸 긍정성으로 이상적인 신체에 대한 허구성을 제시하고 누구나 자신의 신체를 긍정적으로 바라봐야 한다는 메시 지를 전달한다는 것이다. 또한, 드랙 문화는 다문화로 변해가는 한국 사회에 서 다름을 수용하고 이해하는 범위로 확장할 수 있기 때문에 이는 2 창의 적 표현과 문화적 다양성, 공평성, 포용성을 전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드랙 문화는 한국의 사회·기술적 변화와 함께 새롭게 대중의 주목을 받고 있는 문화로 드랙 아티스트의 메이크업 표현을 통해 향유되고, 드랙의 메이크업 표현을 활용한 다양한 콘텐츠가 만들어질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문화이다. 유튜브 플랫폼을 통한 드랙 메이크업 표현 특성의 노출은 드랙 콘텐츠를 유튜브 메이크업 콘텐츠의 한 유형으로 확장할 가능성을 보 이며, 결과적으로 K-Beauty 콘텐츠의 다양성을 확보하여 드랙 메이크업이 라는 새로운 형태의 뷰티 콘텐츠를 향유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유튜브 플 랫폼 안에서 드랙 콘텐츠의 활용은 드랙 문화를 한층 대중적으로 만들고, 드랙 콘텐츠를 통한 메이크업 표현 특성은 드랙 문화에 대한 이해와 접근성 을 높이는 결과를 가져왔다. As of 2023, in Korean society, due to social and technological changes such as ch anges in the generation of contents consumption and increased usage of the YouTu be platform, new cultures that were not covered by existing media are emerging or contents of various genres is being enjoyed. This leads to interest in new cultures that were previously difficult for the general public to access, and resulted in the sp read of drag culture, which had not received attention as a subculture, through You Tube drag contents.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makeup expressions in YouTube drag contents. This study selected 1) the value and sensibility of drag delivered by drag artists within YouTube drag contents, 2 the elements and characteristics of makeup expre ssion of drag artists enjoyed within YouTube drag contents, 3) the use of YouTube contents to convey the characteristics of makeup expression of drag artists, and 4) the perception and enjoyment of makeup expression characteristics shown in YouT ube drag contents according to the Korean cultural context as research questions a nd derived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1. The values of drag confirmed through YouTube drag contents are 1) visual sti mulation and enjoyment through unique and colorful makeup, 2 emphasis on the im portance of individual values and individuality through delivery of messages centere d on self-expression, and 3) increased expectations for new cultures and contents t hrough respect and acceptance of diversity. 2. The makeup expression elements of drag artists enjoyed in YouTube drag con tents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design formative elements and conceptua l elements. The characteristics of makeup expression through the formative charact eristics of drag artists were 1) perfect skin expression and contour expression, 2 e xaggerated morphological expression mainly using upward diagonal, and 3) colorful and dynamic color image characteristics. The conceptual characteristics of drag ma keup are 1) an expression of the character's personality, which appears as character imitation and character creativity. Character imitation reflects the desire to identify characters such as divas, models, and actors that one admires through one's own b ody. Character creativity is a characteristic that shows that the character can be ex panded by breaking the image limit that drag can express. 2 Creative design expre ssion refers to a drag makeup expression based on creative ideas as the drag artist creates and expresses his or her aesthetic sense and skills as a design element whil e performing all the processes such as planning, design, and directing to express bo dy image. 3. YouTube drag contents includes contents produced by drag directly to convey the makeup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drag artists, and contents such as intervie ws with drags covered on YouTube channels of existing media or personal channel s of popular YouTubers, or trying drag makeup. The YouTube platform serves to convey meaning so that the public can easily understand and interpret drag culture through drag contents, and it has been confirmed that drag artists' efforts to create a contact point with the public through diversification of drag contents are together. 4. In order to understand how the makeup expression characteristics shown in Y ouTube drag contents are recognized in the cultural context and how they are enjo yed, the characteristics and cultural backgrounds of Korean society were searched through prior research, and cultural consumption and diffusion through YouTube pl atforms and access to new cultures were examined. Based on this, the characteristi cs of makeup expressions in drag contents were discussed in the Korean context, a nd the mean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drag makeup expressions through the You Tube platform that delivers drag contents was discussed. As a result, considering Korea's social background and emotions, Korea's drag culture was perceived along with individualism and egalitarianism, and the positive images of drag covered in th e media after 2020 resulted in raising the value of drag culture. The following result s were derived by examining the positive emotions and directions of the spread of drag culture in Korean society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makeup expression in drag contents within the YouTube platform. The positive perception of the makeup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drag contents on Korean society is 1) that it presents the fiction of the ideal body with self-body positivity and sends the message that everyone should look at their body positively. In addition, since drag culture can be extended to the extent of accepting and understanding differences in a Korean socie ty that is transforming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2 it has been found to convey creative expression, cultural diversity, Equipy, and inclusion. In conclusion, drag culture is a culture that is receiving new public attention alon g with social and technological changes in Korea, and it is a culture that is enjoyed through the makeup expression of drag artists and has the potential to create vario us contents using the makeup expression. Exposure of the characteristics of drag m akeup expression through the YouTube platform has the potential to expand drag c ontents to a type of YouTube makeup contents, an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enj oy a new type of beauty contents called drag makeup by securing diversity of K-B eauty contents. As such, the use of drag contents within the YouTube platform has resulted in making drag culture more popular, and the characteristics of makeup ex pression through drag contents have resulted in enhancing understanding and acces sibility to drag cultur

      • 한국 전통요소를 접목한 K-BEAUTY 드랙 메이크업 디자인 연구

        변동일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743

        본 연구의 목적은 드랙(drag)이라는 장르가 한국에서도 많은 사람에게 알려지고 이해하는 것과 한국의 전통 요소를 널리 알리는 것에 있다. 드랙은 개인의 예술 활동이나 취미라고 할 수 있으며, 개인의 생활방식이거나 직업 또는 사회문화적 표현 방식이라고도 볼 수 있으며, 아직은 익숙하진 않지만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 메이크업의 한 장르이자, 새로운 문화이다. 본 연구자는 드랙 메이크업에 한국의 전통 요소인 무궁화, 태극, 오방색, 풍물굿, 전통 탈을접목해 보았다. 논문의 연구는 선행논문, 한국의 전통 요소, 메스미디어 등의 자료를 중심으로 이론적인 배경을 고찰하였다.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전통 요소 중 5가지를 전문가 집단과의 회의를 통하여 선택하였다. 둘째, 전통 요소에서 메이크업에 접목할 수 있도록 접목 점을 도출하였다. 셋째, 전통 요소인 무궁화, 태극, 오방색, 풍물굿, 전통 탈을 드랙과 접목해 일러스트와 작품을 제작하였다. 넷째, 전문가 집단 10인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작품 적합도 검증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는 시대의 변화에 따라 드랙이라는 장르에 한국의 전통 요소를 접목하여 드랙 메이크업을 디자인하여 K-BEAUTY에서도 다양한 장르의 메이크업이 상용화되기를 바라고, 전통예술을 접목한 K-CULTURE가 다양한 문화예술 방면에서 활용되길 바란다. 향후 여러 후속 디자인 연구가 진행되었으면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pread and help understand this genre called drag, and to let more people know the Korean traditional factors. Drag can be considered as an individual artistic activity or habit, one’s lifestyle, occupation, or socio-cultural expression, and also a newly rising genre of make-up and culture. This researcher has combined Korean traditional elements like Mugunghwa, Taegeuk, Five cardinal colors, Pungmulgut, and traditional Korean masks with drag makeup. The study of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contemplation of previous researches, Korean traditional elements, and theoretical backgrounds focused on mass media data. The contents are as following. First, five representative Korean traditional elements were selected through discussions with expert groups. Second, to combine makeup with traditional elements, the researcher has deduced grafting point. Third, illustrations and works of art were created based on the combination of drag and traditional elements like Mugunghwa, Taegeuk, Five cardinal colors, Pungmulgut, and traditional Korean masks. Fourth, surveys to verify appropriateness were distributed to 10 experts and were answered. Therefore, this researcher hopes various genres of makeups to be commercialized in K-Beauty by designing unique drag makeup combined with Korean traditional elements, and wishes K-culture combined with traditional art to be utilized in many cultural fields, leading on to further future studies of design researches.

      • 퀴어 영화에서 재현되는 젠더 수행 : -주디스 버틀러의 수행성 개념을 중심으로-

        장다정 전남대학교 문화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28

        본 논문은 주디스 버틀러(Judith Butler 1956~)의 ‘수행성(performativity)’ 개념을 중심으로 현대 퀴어 영화에서 재현되는 젠더 이미지들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주체 설정의 폭력성이 매체에서 어떻게 구체적으로 재현되는지 살펴보고, 전복적인 젠더 수행을 하는 인물들의 사례를 통해 이들의 전복적 젠더 수행이 어떻게 정형성을 파괴하며 이러한 정형성의 파괴가 어떤 의의를 지니는지 논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주디스 버틀러의 수행성 개념을 ‘가변적 주체’, ‘수행성’, ‘패러디(parody)와 드랙(drag)’ 세 부분으로 나누어 정리한 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한 27편의 퀴어 영화 대부분이 공유하는 보편적인 젠더 이미지를 추출하고 논의에 맞게 분류하고 분석한다. 그리고 이 영화들 중 <가장 따뜻한 색, 블루 (2013)>, <메종 드 히미코 (2005)>, <나쁜 교육 (2004)> 세 편의 퀴어 영화를 버틀러의 수행성 개념을 중심으로 분석하며, 보편성을 파괴하는 전복적인 사례들에 대해 논의한다. 버틀러는 섹스, 젠더, 섹슈얼리티의 전통적인 구분법에 저항하며, 또한 자율성과 일관성을 주축으로 하는 기존의 주체 개념이 불가능하다고 본다. 버틀러는 행위 속에서 가변적으로 구성되는 행위자, 즉 호명에 완전히 복종하지 않고 잉여 부분을 둠으로써 완전한 복종도 완전한 저항도 아닌 복종을 하는 주체를 이야기하며 근대적 주체 개념의 해체를 지향한다. 주체의 존재를 전제하는 퍼포먼스(performance)와는 달리 오랜 시간 동안 계속되는 반복의 과정인 수행성(performativity)은 주체의 존재를 전제하지 않는다. 주체는 고정적이고 완결된 상태로 선행하는 것이 아니라 행위를 통해 가변적으로 구성되며, 주체가 형성되는 과정 중에 작동하는 것이 반복적인 수행이다. 여기서 버틀러는 다르게 반복하기를 중요하게 본다. 기존 구조를 모방하되 원본성을 조롱하고, 권력에 속하지만 권력의 이분법을 뒤흔드는 문란한 복종이나 비복종의 방식으로 논의한다. 또한 드랙과 같은 패러디적 수행은 수행자의 육체와 수행된 젠더 사이의 분열을 강조함으로써 모든 젠더 정체성의 모방적 본성을 폭로한다. 버틀러에게 있어서 젠더는 패러디적인 속성을 지닌다. 모방의 대상, 원본이라고 생각했던 것이 사실은 원본이 아니라 이상적인 관념의 패러디에 불과할 뿐이라면 원본에 우위를 두는 것은 무의미하다. 남성/여성의 이분법 자체도 실상은 남성성/여성성이라는 관념, 즉 진정한 남성이나 진정한 여성이라는 이상적인 관념만이 존재할 뿐이다. 특히 매체에서 재현되는 젠더 이미지는 기존의 이분법적인 규범을 강화하는 경향이 있으며, 규범에서 벗어난 존재들까지 규범 내부에 포섭시키곤 한다. 예를 들어 퀴어 주체의 젠더 수행의 경우에는 퀴어라는 속성 자체의 전복성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인 퀴어 영화에는 비전복적인 이미지가 많이 존재한다. 일탈적이고 비주류적인 이미지도 매체 안에서 계속 반복되다 보면 기존의 질서에 순응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모든 이미지가 정형화되는 것은 아니며, 정형화된 이미지를 벗어나 전복적인 수행을 하는 인물들은 ‘트러블’을 일으키지만, 이러한 트러블은 그 자체로 강력한 행동이 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퀴어 영화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근대적 주체 개념의 폭력성은 퀴어 주체만의 문제가 아니다. 성폭력의 문제, 에이즈 문제 등 윤리와 인권에 관한 문제도 포함되며 더 나아가 성소수자 뿐만 아니라 사회 각층의 소수자, 그리고 언제라도 배제될 가능성을 안고 살아가는 현대 사회의 모든 주체들, 즉 우리 모두의 문제가 될 수 있기에 버틀러의 논의가 일으킨 젠더 ‘트러블’에 대한 문제의식은 그 자체로 큰 의의를 지닌다고 생각한다.

      • 드랙 퀸 메이크업과 헤어스타일에 관한 연구

        후의범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51

        이 논문의 목적은 많은 사람들이 드랙 퀸을 이해하는데 있다. 드랙 퀸은 개인의 예술 활동 또는 취미라 할 수 있으며, 개인의 생활방식이거나 가족을 위한 생계수단의 대상인 직업으로도 볼 수 있다. 드랙 퀸의 연구는 선행논문, 단행본, 메스미디어, 그리고 DVD 자료를 중심으로 이론적인 배경을 고찰하였다. 드랙 퀸의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드랙 퀸들의 활동 비중이 많은 중국ㆍ일본ㆍ인도ㆍ태국ㆍ미국ㆍ프랑스ㆍ브라질, 그리고 남아프리카 국가의 다양한 드랙 퀸 문화의 특징을 연구하였다. 둘째, 드랙 퀸의 영화와 공연의 특징을 파악하였다. 셋째, 드랙 퀸을 아방가르드 스타일, 에스닉 스타일, 스타 카피 스타일, 섹시 패션 스타일, 공연활동 스타일 등 5가지로 분류 하였다. 넷째, 피부색이 다양한 백인ㆍ흑인ㆍ동양인의 일반인을 대상으로 드랙 퀸 스타일을 연출하여 아메리카, 다크니스, 플라밍고, 삼바, 페스티발, 인디아, 중국 오페라, 웨딩, 여장, 아쿠아 마린, 뮤지컬이미지 등 작품 11점을 제작하였다. 따라서 21세기의 드랙 퀸의 이해와 이미지 분석의 기틀을 마련하고 드랙 퀸 스타일의 흐름과 변화를 예측하는 계기가 된 것으로 사료 된다. 그러나 8개국의 이미지요소를 활용하여 작품을 제작한 한계점이 있으며, 추후 다양한 드랙 퀸의 메이크업 연구를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about drag queens. Drag queens can be considered as personal, artistic expression, or a hobby, and a career or personal lifestyle choice. For some it also provides a livelihood. Studies of drag queens in leading papers, books, mass media, and DVD materials are done with a focus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contents of this study of drag queens is as follows: First, the consideration of the drag queen's activity in China, Japan, India, Thailand, the United States, France, Brazil, and it studied the various features of drag queen culture in South Africa. Secondly, it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lms and performances of drag queens. Thirdly, the drag queen's styles were divided into 5; avant-garde style, ethnic style, copied star style, sexy fashion style, and performance style. Fourthly, a variety of ethnicities, like black, white and Asian, were used to produce these 11 styles; American, Darkness, Flamingo, Samba, Festivals, Indian, Chinese Opera, Wedding, Cross-Dressing, Aquamarine, and Musical Images. Therefore, this study provided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and analyzing images of drag queens of the 21st century and gives an opportunity to predict the flow and changes in drag queen style. However, by utilising elements of the eight country's images and their limitations, the works were produced, and the study looks forward to the further study of the variety of drag queen makeup.

      • 드랙 퀸 이미지 유형별 메이크업 디자인 분석

        원지현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51

        현대사회가 급속도로 변화하고, 다양화됨에 따라 영상매체와 공연예술, 미술, 음악, 건축, 미용 등 다양한 영역에 걸쳐 기존의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새로운 미를 추구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현재는 드랙 퀸(Drag Queen)문화가 새로운 트렌드로 급부상하고 있으며, 그들은 자신의 다양한 자아를 표출하는 의미로 메이크업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또 다른 자신의 자아를 표현하는 방법으로의 드랙 퀸 문화는 뉴미디어 등 여러 매체를 통해 큰 파급력과 바이럴 효과를 창출하고 있다. 각종 미디어와 영상매체로 자기 자신을 표현하고 드러내는 것이 자연스러워지며 타인의 시선에 신경 쓰지 않고 여러 방식으로 나만의 모습을 이야기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드랙 퀸 메이크업 이미지를 유형화하고 메이크업 디자인을 분석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으며, 연구 방법으로 드랙 퀸 메이크업 이미지에 대한 감성척도를 규정하고, 이를 토대로 드랙 퀸 메이크업의 디자인 요소 분석을 위해 문헌 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하였다. 조사 방법은 1차 이미지 자료 300개를 수집하여 전문가 집단의 세미나를 통해 30개를 제외한 270개의 이미지 자료가 최종 분석 자료로 활용되었다. 270개의 이미지 자료를 토대로 2차 심층 워크숍을 통해 드랙 퀸 메이크업 이미지별 그룹 핑을 실시하였으며, 4가지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4가지의 유형 중 그룹별 총 16개의 이미지 자극물을 제작하여 성인 남자, 여자를 대상으로 드랙 퀸 이미지에 대한 감성척도 어휘 선정을 위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120부의 설문지 중 응답내용이 불성실한 것을 제외한 총 109부를 SPSS 21.0 Version 프로그램을 이용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드랙 퀸 감성어휘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4개의 요인으로 추출되었으며 전형성 유형, 관능성 유형, 유희성 유형, 과장성 유형으로 요인명이 명명되었다. 둘째, 각 유형별 분포비율은 전형성 유형 28.5%, 관능성 유형 27.4%, 유희성 유형 23.7%, 과장성 유형 20.4%로 전형성 유형, 관능성 유형, 유희성 유형, 과장성 유형 순으로 도출되었다. 셋째, 각 유형별 메이크업 디자인 분석 결과 전형성 유형은 부드러운 곡선과 오브제, 펄을 사용하여 여성의 미를 강조하며, 로맨틱함을 부각하여 여성의 화려하고 아름다움을 드러낸다. 관능성 유형은 볼륨감을 살리는 컨투어링 기법과 상승형의 아이메이크업, 저명도 저채도의 검붉은 입술 색상 사용으로 여성의 매력적인 팜므 파탈 형태로 드러난다. 유희성 유형은 웃음을 자아내는 표현으로 과감한 틀의 변형과 다양한 색감표현에 집중된 형태로 드러난다. 과장성 유형은 아이메이크업에서 확대가 많았으며 입술확장과 신체왜곡 형태로 미의식을 통하여 원래의 모습을 강조, 확대해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드랙 퀸의 메이크업 이미지를 통해 메이크업 디자인 요소를 분석하다 보니 질감 표현에 있어 빛과 조명의 차이에 따라 다른 표현 효과가 나타나 질감의 표현 요소를 국한하여 구성요소를 규정지은 한계점이 있다. 향후 드랙 퀸의 새로운 창의적인 현대 감각으로 재해석한 작품을 제안하는 후속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하며 본 논문을 통해 메이크업 트렌드 연구와 예술작품을 창작할 수 있는 미용 산업 발전에 기초가 되는 자료 제공에 의의가 있으며 메이크업 디자인 영역의 확대 및 발전을 기대한다.

      • 한국 드랙킹씬의 탄생과 퀴어 페미니스트 정치학

        박예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358

        본 연구는 2018년 태동한 한국 드랙킹씬이 2010년대 중반 이후 페미니즘 대 중화 현상의 자장 안에서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를 분석한다. ‘드랙킹’은 남 성 복장을 하고 퍼포먼스를 하며 사회적 남성성을 풍자하고 재해석하는 드랙 퍼 포머를 뜻한다. 2000년대 중반 이후로 한국에서 활동했던 드랙킹의 기록이 몇 남아있긴 하지만 그들의 활동은 하나의 씬을 이루거나 지속적으로 이어지지 못 했다. 연구자는 2018년 이후 한국에서 드랙킹씬이 만들어질 수 있었던 이유를 페미니즘 리부트 현상에서 찾고, 드랙킹들의 활동을 페미니즘 운동의 한 갈래로 의미화한다. 2015년 디지털 공간에서 시작된 한국의 새로운 래디컬 페미니즘 물결은 ‘여성’ 이라는 범주에 동일시하는 정체성 운동을 펼쳐나갔다. 그러나 드랙킹 퍼포머들 은 ‘여성’ 뿐만 아니라 ‘퀴어’이자 ‘드랙애호가’라는 다중적 정체성으로 인해 이 운동이 주체로 상정하는 ‘여성’에 자신이 온전히 포함되지 못한다고 느끼고 있 었다. 이들은 게이 중심의 드랙퀸 문화와 지정성별 여성 중심의 래디컬 페미니 스트 운동 사이에서 자신들의 다중적 정체성에 맞는 방향성을 모색했다. 이들의 드랙킹 퍼포먼스는 퀴어 여성의 몸으로 한국 사회를 살아가면서 경험 한 남성성을 표현하며 이뤄졌다. 때로 그 남성성은 공포를 불러일으키는 폭력성 이기도 했고, 무력하고 비굴한 주변적 남성성이기도 했으며, 또는 여성들만이 표현할 수 있는 판타지적 남성성이기도 했다. 이 다양한 남성성들은 지정 성별 여성 신체에 표현되었다는 점에서 모두 ‘여성의 남성성’이며, 남성 신체와는 상 관없이 존재할 수 있는 남성성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퍼포먼스로 이 가능성을 실현함으로써 드랙킹들은 자신의 퀴어한 몸을 새로운 방식으로 긍정하거나, 공 연을 통해 습득한 새로운 젠더 표현 방식을 일상에서도 실천하게 되었다. 올헤 일은 매우 제한된 커뮤니티 안에서 공연을 홍보함으로써 같은 문화를 공유하며 공연의 복잡한 맥락을 잘 이해할 수 있는 퀴어 페미니스트 관객을 모집했으며, 관객과 퍼포머의 이런 유사성은 공연의 효과를 극대화시켰다. 퍼포머가 공연을 통해 자신의 몸에 대해 새로운 발견을 하고 정화효과를 얻거나 이행한 것처럼, 관객 또한 공연을 보며 기존에 갖고 있던 자신의 몸과 젠더, 섹슈얼리티에 대한 관념이 흔들리는 문지방 효과를 경험하게 되었다. 관객들은 드랙킹 퍼포머들이 공연에서 표현하는 여성 신체에 대한 긍정, 여성의 남성성, 다양한 종류의 섹슈 얼리티 표현에 큰 감화를 받았으며 이로 인해 역치성을 느끼고 공연 후 다른 상 태로 이행하게 되었다. 드랙킹 공연은 지정 성별 여성 퀴어가 평소에 자신의 신체에서 억압되었던 남 성성을 표현한다는 공연이라는 점, 숙련이 필요한 전문성 있는 공연이 아닌, 자 신의 정체성과 남성성에 대한 컨셉을 갖고 짧은 기간 내에 연습하여 선보일 수 있는 공연이라는 점에서 기존 대중문화와는 다른 매력을 지니고 있다. 대중 문 화가 그 전문성과 매체의 특성으로 인해 고정적이며 창작자과 수용자 사이의 거 리가 비교적 멀다면, 드랙킹 공연은 그 아마추어성과 퀴어 여성의 문화라는 특 수성 때문에 퍼포머와 관객 간의 거리가 매우 가깝고 언제든 뒤섞일 수 있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때문에 드랙킹 공연에서는 일시적으로 퍼포머와 관객 사이에 매우 강렬한 대항공중이 형성되며, 젠더를 패러디하고 전복하는 공연의 특성으 로 인해 관객들에게 성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열어주는 교육과 이행의 효과를 발휘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