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디지털 테크놀로지와 노동의 시·공간적 확장

        신도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71

        This thesis examines how white-collar workers in their 20s and 30s engage in labor on mobile messaging applications which dismantle the previous time-space boundary of work. It researches about the discipline and control that make them embody the resulting long hour performance of work, and analyzes how the workers respond to the work-discipline enforced upon them by the instantaneity of mobile messaging. The long hour labor discussed in this thesis which is the work performed on a mobile messenger that blurs the time and space boundaries of communication has emerged as a social problem.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provide a critical analysis on this issue and to suggest countermeasures. The researcher used in-depth interview, literature review and discourse analysis for the methodology of this thesis. Thirteen Korean office workers in their 20s or 30s, who have high rates of smartphone usage, participated as informants for the in-depth interviews between February and March of 2017.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 mobile messenger functions as a virtual workplace that is an extension of physical work space. It creates the effect of enforcing workers to work through self-censorship regardless of the time and space of work which they initially agreed upon. Workers perform work outside their contractually negotiated hours because communication on the mobile messenger demands immediate action and intimacy. This demand of intimate responses on the mobile messenger is combined with the hierarchical order existing in the workplace to compel workers to perform emotional labor. Second, workers who are subordinated to the extended working hours are reacting to the current labor system by securing their own time and space, which attempts are made through the use of digital technology. Workers whose working hours have been extended through smartphones use the smartphones to engage in activities which are perceived as 'taking rest', such as hobbies or access to information of their interests online. This contradiction results in blurring not only the temporal boundaries but also the spatial boundaries of work and life. Third, the researcher argues that government intervention is needed in the negotiation on work hours and work disciplines between workers and corporations. The workers do not hold equal status as the corporations in negotiating work hours but the labor with ambiguous time-space boundaries continues to be imposed upon them. This situation demands counter-measures prepared at government level. France, which presented institutional measures against expanding working hours through the use of smartphones, decided to prohibit corporations from demanding workers to work outside the working hours based on the "right to disconnect". Germany introduced measures to block company e-mail servers in order to prevent workers from sending or receiving e-mails outside of working hours. The Japanese government is taking measures to the social issue of long working hours as these have caused overwork suicides and deaths. In Korea, a bill introducing the “right to disconnect” was proposed. Korean workers in their 20s and 30s today are experiencing the expansion of working hours which is sustained by the hierarchical order of workplace, and are forced to perform emotional labor. The interface characteristics of mobile messengers contribute to implementing work discipline and control. Workers are responding to this situation by securing private time and newly defining this time. This thesis argues that the issue should be resolved by providing detailed classification in identifying what is working hours and by initiating related measures. 본 논문은 시∙공간적 경계를 해체하는 모바일 메신저 상에서 이루어지는 업무, 이로 인해 장시간 노동의 수행을 내재하게 하는 규율과 통제에 대해 분석한다. 나아가 즉각적 반응을 이용해 강요된 노동 규율에 대한 20-30대 직장인들의 대응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가 다루는 장시간 노동은 소통의 시∙공간적 경계를 해체하는 모바일 메신저 상에서 이루어지는 업무이며 사회적 문제로 부상했다. 이에 대한 비판적인 분석을 진행하고 대응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를 위해 심층면접과 문헌조사, 담론 분석을 이용했다. 심층면접은 2017년 2월에서 3월 사이에 진행되었으며, 스마트폰 이용률이 높은 한국의 20-30대 사무직 직장인 13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고, 이를 통해 도출한 분석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모바일 메신저는 물리적 직장 공간의 연장선상에 있는 직장 공간의 역할을 수행하게 한다. 이는 직장인들로 하여금 자기 검열을 통해 지정된 업무의 시∙공간과 무관하게 노동자로서 일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모바일 메신저가 유발하는 즉각성과 친밀성이 커뮤니케이션에 요구되면서 직장인들은 자신이 계약상 협의한 노동 시간 외에도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또, 친밀성의 표현이 요구되는 모바일 메신저 공간과 직장 내 존재하는 위계질서가 결합되면서, 직장인들은 업무뿐만 아니라 감정 노동의 수행을 강요 받는다. 둘째, 확장되는 노동시간에 예속된 노동자들은 자신 고유의 시간과 공간을 확보하려는 방식으로 현 노동 체제에 대응하고 있으며, 이러한 시도는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노동시간이 스마트폰을 통해 확장된 상황에서 직장인들은 스마트폰을 이용해 취미나 관심사에 접속하여 휴식을 취한다고 믿게 되고, 이러한 모순성은 일과 생활의 시간적 경계뿐만 아니라 공간적 경계까지 흐려지게 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셋째, 연구자는 노동자와 기업 사이의 노동 시간 및 규율의 협상에 있어 정부가 개입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현재 노동시간의 협상에 있어 기업과 노동자의 관계가 동등하지 못하며, 시∙공간적 경계가 불분명한 노동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책의 마련이 정부의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스마트폰의 이용을 통해 노동시간이 확장되는 상황에 대한 제도적 대책을 마련한 프랑스는 ‘연결되지 않을 권리’를 바탕으로 근무 시간이 아닌 시간에 노동하는 것을 노사간 합의 하에 금지하도록 했다. 독일의 경우 근무시간 이외에 메일을 주고 받지 않기 위해 기업의 이메일 서버를 차단하는 대책을 내놓기도 했다. 과로로 인한 자살, 사망사건이 대두되면서 장시간 노동이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일본의 경우 정부 차원의 대책을 마련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한국에서는‘연결되지 않을 권리’를 중심으로 하는 법안이 발의되었다. 현재 한국의 20-30대 직장인들은 직장의 위계질서 노동시간의 확장을 경험하며 감정 노동의 수행도 강요 받고 있고, 여기에서 모바일 메신저의 인터페이스적 특성이 노동통제와 규율의 이행을 돕는다. 직장인들은 이러한 상황에 자신의 시간을 확보하고, 새롭게 의마화하는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다. 나아가 이 문제는 근로시간의 의미를 세분화하고, 이에 대한 꾸준한 법안의 발의를 통해 개선 되어야 한다.

      • 勞動法發達에 관한 比較法制史的 考察

        김승연 단국대학교 1997 국내박사

        RANK : 248671

        People's appreciation of labor has changed over the ages : In ancient times and in feudal societies labor was despised while in the reformation age it was believed that labor was a way of serving God. In the capitalistic society of the modem age, the capitalists over a long period monopolized the means of production and compelled the proletariat to work for them. "Labor is pain" said Adam Smith, who took into account the phenomenon of labor estrangement. Labor is an indispensable part of human life. It not only provides us with the basic necessities of life but builds character and is a source of happiness. Labor law refers to the whole body of law relating to labor. labor law basically modifies civil law principles such as absolute property and free contract in order to guarantee the livelihood of the worker as a dignified human being. At its outsets, labor law began by legalizing the negative protection of workers. Nowadays, it has developed to encompass positively protection to improve working conditions. Moreover, labor law overlaps with social legislation which includes civic labor and socially guaranteed labor. In this paper, I study the regulations of labor relations from ancient Rome to the present time. I deal with the background to and development of Korea labor law after first describing the history of labor law in other countries. In England the development of labor law had an early start, beginning in the Middles Ages with the protection of women and minors and later gaining momentum with the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United States the Civil War brought slavery to an end. With the accumulation of capital and technological advances the industrial structure after the 1860s changed to a mass production system. Following the growth of the labor market, labor unions were organized all over the country and legislation for the protection of laborers came to be introduced in wake of labor disputes. Meanwhile, the relatively late arrival of Industrial Revolution in Germany meant that the development of labor law there, compared to England, was late in coming. Nevertheless, Germany was greatlyi nfluenced by England. From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Germany has been the European leader in advocating the protection of worker's rights. In France, the development of labor law coincides with the French Revolution. However, French labor law fell on hard times when conflict flared up between those who supported the legislative approach of England's parliamentary democracy and those supporting extreme socialist views, In the process, the opposition between republicans and socialists gave birth to two divergent attitudes to labor law ; one which advocates political involvement and one which seeks separation from it. In Korea, the development of labor law began with the growth of ideological and political movements, Its origins are found in the independence and socialist movements under Japanese imperialism. Legislation on labor relations were introduced upon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government. However, the implementation of such legislation was neglected due to the poor social environment. Moreover, the frequent political and social upheaval put labor law in an unstable position. Despite this situation, advanced rules on labor relations such as the Equality of the Sexes in Employment Act, have been established. Now,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Labor Management Relation Reform Committee, arguments for the amendment of the labor law are being raised. The Labor Management Relation Reform Commitee has established rules for labor relations and has determined the basic direction of institutional improvements, the main points of which are as follows ; First, the government must have humanism as the basis for regulating labor management relations. This shall dispel mistrust and conflict between labor and management. Second, the government must establish an understanding, based on national interests, which promotes mutual prosperity as people's livelihoods are destroyed by group egoism. Finally, the government has to guarantee the economic interests of the laborers and grant them the responsibility that comes as a result of the liberalization of labor-management relations. This paper which is a comparative study of the history of labor law serves an important purpose in that by correctly assessing the past, it allows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thus pointing the way forward in labor relations.

      • 사업 네트워크와 사용자 책임

        강주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32315

        Labor laws were created to ensure the dignity of working men and women in industrial societies. When the laws were first enacted, they formalized the standard employment relationships between employers and employees, thereby restoring the humanity of workers whose services had been commoditized in the capitalist labor market. As work relationships took on multilayered and multilateral qualities as business networks were created, various work relationships are now regulated under a market-based system of rules. To strengthen the normative power of labor laws that have protected the human-centered system, it became critical to discuss the legal responsibilities of employers in business networks, which are made in various forms under a market-based rules system. In this context, this dissertation examines the implementation structure of employer responsibility in a business network under a constitutional order that respects labor rights. The present study is composed of three parts. First, it provides the basic structure through which the employer's responsibilities in a business network are established. Before suggesting the basic structure, a normative consideration regarding the reason that labor laws exist is presented. The Korean constitution and the International Labor Organization(ILO) guarantee universal labor rights as any working person may enjoy. It is a means for realizing the human dignity of all working person and their right to decent work. Decent work can be realized by regulating all work relationships within a human-centered regulatory system. In this context, labor laws are such a system whose foundational ideology is respect for work. As such, under a constitutional rule that respects labor rights, all work relationships in a business network must be regulated within a human-centered regulatory system. The present study provides a fundamental perspective about what a structure realizing employer responsibilities within a business network should look like under a constitutional order that respects labor rights. As the subject of employer responsibilities discussed herein, a business network refers to a group of employers who enjoy the benefits of work by operating a business through a closely connected cooperative network of hierarchy or confederation based on contracts or capital. There are three types of employers who form a business network. In the narrowest sense, it refers to employers in the employment relationship as those who need to comply with classical labor laws. Under classical labor laws, employers assume all responsibilities pertaining to the employment relationship. Two or more parties who perform an employer's function while operating a single business unit assume joint responsibilities or common responsibilities as joint employers. In a broader sense, employers refer to those who enjoy the benefits of others' work in the supply chain, although they are not given the role of an employer under classical labor laws. An employer, in this broader sense, assumes the responsibility of guaranteeing compliance with labor laws. Meanwhile, employers in the broadest sense refer to those who enjoy the benefits of labor of in a new set of work relationships. These employers assume the responsibility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social discourse under a constitutional order that respects labor rights. By imposing tiered responsibilities to employers of each type, labor laws must restore their normative power as a human-centered regulatory system. Second, the present study restructures existing labor laws under the business network. In doing so, it focused on the changes in how employers use labor in the process of business network creation and the changes in the infringement upon labor rights in multilayered work relationships. By observing the changes in labor rights infringement forms, the present study restructures employer responsibilities in the following three types of work relationships. Two or more employers who engage in a single business unit by forming a business network in indirect employment relationships must assume the responsibility as joint employers. Under indirect employment relationships, two or more employers with distributed employer rights and obligations come together to form a single business unit or a joint business relationship, which enables one unit of a business that uses workers. Employers' roles are also separated into those who directly employ employees and those with the de facto decision authority over working conditions. In the field of individual labor laws, two or more employers who operate a single business and use workers must assume joint responsibilities or common responsibilities as joint employers. In the field of collective labor laws, those who directly employ employees and those with de facto control or dispositional authority over working conditions must assume the responsibilities as joint employers to refrain from unfair labor practices such as domination or intervention and the responsibility to respond to collective bargaining. In the supply chain, the infringement of the rights to work caused by market pressure and the guarantee of fundamental labor rights is not predicated on employment contract relationships. Those who enjoy the benefits of others' work in the supply chain must assume the responsibilities of employers in a broader sense. If the lead company enters into a losing contract that prevents them from complying with labor laws, the lead company must assume the responsibility to guarantee compliance with labor laws, as employers of the broader sense. Furthermore, such employers must assume the responsibility to accept the workers' exercise of collective action unless the worker's exercise of the constitutionally guaranteed right to collective action creates a significant hardship for the employers' business or other highly exceptional circumstances. The labor laws' ideology of respecting decent work must also be realized in platform work relationships. Platform work is a type of personal subcontracting that combines business networks with work. Labor laws must be extended to guarantee the universal labor rights to those working under platform work relationships, in addition to requiring those who use the work of workers under platform business networks to assume the responsibilities of joint employers. Third, the present study considers new ways to realize labor laws and conceptualize employer responsibilities, with an eye on the full implementation of the labor laws' respect for decent work in business networks. To realize such ideology in the rapidly changing work relationships, the subjects of work relationships must engage in democratic conversations while sharing work and social values. The slow changes in labor laws and resulting legal gaps can be filled by the subjects of work relationships engaging in democratic conversations to establish their own rules. To help these subjects form and implement their own rules, labor laws and their expansion can be made in the following two ways. The modern state is the highest-ranking manager of supply chains. The state can utilize public procurement systems to create a working environment that promotes workers' work to take place under a human-centered regulatory system and pushes the subjects of work relationships to create and implement labor rules. Under a constitutional order that respects labor rights, business networks that enjoy labor fruits must assume the responsibility to participate in social dialogues actively. The sluggish changes in labor law and resulting legal gaps can be filled by the actors of work relationships to participate in the discourse assembly about their labor, having free conversations, and forming their own rules. When conversations equipped with a democratic decision-making mechanism take place in all work relationships, labor laws will develop into a genuinely rules-based system centered around humans. 노동법은 산업사회에서 일하는 사람의 인간 존엄을 보장하기 위해 형성된 법이다. 노동법은 제정 당시 노동관계상(像)이었던 표준고용관계를 규율함으로써 자본주의 노동시장에서 상품화된 노동의 인간성을 회복시켜주는 역할을 하였다. 그런데 사업 네트워크 형성과 함께 노동관계가 중층적 혹은 다자간 관계로 변화함에 따라 다양한 노동관계는 다시 시장 중심의 규율체계에서 규율되고 있다. 인간 중심의 규율체계인 노동법의 규범력 회복을 위해 시장 중심의 규율체계에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는 사업 네트워크의 노동법상 사용자 책임에 대한 논의가 요청된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논문은 노동권을 존중하는 헌법 질서에서 사업 네트워크의 사용자 책임 실현 구조를 고찰하였다. 연구의 내용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사업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책임을 획정하는 기본구조를 제시하였다. 사업 네트워크에서의 사용자 책임의 기본구조를 제시하기에 앞서 노동법의 존재의 이유에 관한 규범적 고찰을 하였다. 우리 헌법과 국제노동기구는 일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든 향유할 권리로서 보편적 노동권을 보장하고 있다. 노동권은 모든 일하는 사람의 인간 존엄 나아가 인간다운 노동(decent work)의 실현을 위한 권리로, 인간다운 노동은 모든 일하는 관계를 인간 중심의 규율체계에서 규율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노동법은 노동 존중을 근본이념으로 하는 인간중심의 규율체계라 할 수 있으며 노동권을 존중하는 헌법 질서에서 사업 네트워크의 모든 일하는 관계는 노동법의 인간중심의 규율체계에서 규율되어야 한다. 노동법에 대한 규범적 고려에 입각하여 노동권을 존중하는 헌법 질서에서 사업 네트워크의 사용자 책임 실현 구조에 대한 기초적 시각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논하는 사용자 책임의 주체로서 사업 네트워크는 계약이나 자본에 기반하여 상호 간에 종속 내지 연합하는 형태로 밀접하게 연결된 협력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사업을 영위하고 노동을 통해 이익을 향유하는 자들의 집단을 말한다. 사업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사용자는 다음의 세 유형의 사용자로 구분된다. 가장 좁은 의미의 사용자는 고전적인 노동법의 수범자인 근로관계에서의 사용자를 의미한다. 고전적인 노동법상 사용자는 근로관계에서의 모든 책임을 부담한다. 사업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하나의 사업을 영위하고 사용자의 기능을 수행하는 자들은 공동사용자로서 연대책임 내지 공동책임을 부담한다. 좀 더 넓은 의미에서의 사용자는 기존의 노동법에서 사용자로서의 권능을 부여받지는 못하였으나 공급망에서 우월적 지위를 활용하여 타인의 노동을 통해 이익을 향유하는 자를 의미한다. 광의의 사용자는 고전적인 노동법상 사용자의 노동법 준수에 대한 보장책임을 부담한다. 가장 넓은 의미의 사용자는 새롭게 등장하는 일하는 관계에서 노동을 통해 이익을 향유하는 자를 의미한다. 최광의의 사용자는 노동권을 존중하는 헌법 질서에서 사회적 대화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책임을 부담한다. 각 유형에 따른 사용자에게 단계적 책임을 부과함으로써 노동법은 인간중심의 규율체계로서 규범력을 회복하여야 한다. 둘째, 사업 네트워크에서의 기존 노동법을 재구성하였다. 기존 노동법상 사용자 책임을 재구성함에 있어, 사업 네트워크 형성 과정에서 사용자가 노동을 사용하는 방식의 변화와 중층적 노동관계에서 노동권 침해 양상의 변화에 주목하여 다음의 세 유형의 노동관계에서 사용자 책임을 재구성하였다. 간접고용관계에서 사업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하나의 사업을 영위하는 복수의 사용자는 공동사용자로서 책임을 부담하여야 한다. 간접고용관계에서는 사용자의 권한과 의무를 분배한 복수의 사용자들이 단일 사업단위를 구성하거나 공동사업관계를 형성하여 하나의 사업을 영위하고 근로자를 사용한다. 사용자의 기능도 ‘고용주’와 ‘노동조건에 대한 실질적인 결정 권한을 보유한 자’로 분화되는 양상을 보인다. 개별적 근로관계법 영역에서 하나의 사업을 영위하고 근로자를 사용하는 복수의 사용자는 공동사용자로서 공동책임 내지 연대책임을 부담하여야 한다. 집단적 노동관계법 영역에서 ‘고용주’와 ‘노동관계에 대한 실질적인 지배력 내지 교섭사항에 대한 처분권한을 보유한 자’는 공동사용자로서 지배개입의 부당노동행위 금지의무나 단체교섭응낙의무를 부담하여야 한다. 공급망에서 우월적 지위를 활용하여 타인의 노동을 통해 이익을 향유하는 자는 광의의 사용자로서 책임을 부담하여야 한다. 공급망에서 시장압력에 의해 발생하는 노동권의 침해와 노동기본권의 보장은 반드시 근로계약관계를 전제로 하지 않는다. 원청 등 사업 네트워크 상단에 있는 자가 사용자가 노동법을 준수할 수 없을 정도의 조건으로 손실계약을 체결하여 노동권 침해가 발생한 경우, 광의의 사용자로서 법 준수에 대한 이행확보책임을 부담하여야 한다. 나아가 광의의 사용자는 헌법상 정당한 단체행동권 행사가 당해 사용자의 업무에 현저한 지장을 초래하는 등 극히 예외적인 경우가 아닌 한 근로자들의 단체행동권 행사를 수인할 의무를 부담하여야 한다. 플랫폼 노동은 20세기 초 형성된 표준고용관계와 같이 기술의 발전과 사용자의 노동력 사용 전략이 결합하여 형성된 것이다. 노동권을 존중하는 헌법 질서에서 플랫폼 노동관계는 노동법의 인간 중심의 규율체계에서 규율되어야 한다. 플랫폼 노동관계에서 일하는 사람에게 보편적 노동권을 보장하고, 플랫폼 사업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일하는 사람의 노동을 사용하는 자가 공동사용자로서 책임을 부담하도록 하는 노동법의 외연 확장이 필요하다. 셋째, 사업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책임과 관련하여 노동법을 새로이 실현하는 방안을 고찰하였다. 빠르게 변화하는 일하는 관계에서 노동법의 노동존중 이념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일하는 관계의 주체들이 노동과 사회적 가치를 공유하는 민주적 대화가 전제되어야 한다. 근로관계라는 법적 권리의무관계에 기반한 경직적인 노동법의 느린 변화와 노동법의 공백은 일하는 관계의 주체들이 민주적 대화를 통해 자신들의 규범을 형성함으로써 채워질 수 있다. 일하는 관계의 주체들의 규범형성과 그 이행을 도모하기 위한 측면에서 노동법의 외연 확장은 두 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현대 국가는 공급망의 최상위 관리자이다. 국가는 공공조달을 활용하여 일하는 사람의 노동이 인간 중심의 규율체계에서 이루어지도록 노동 환경을 조성하거나 일하는 관계의 주체들의 노동규범 형성과 그 이행을 도모할 수 있다. 노동권을 존중하는 헌법 질서에서 노동을 통해 이익을 향유하는 사업 네트워크는 적극적으로 사회적 대화에 참여할 책임을 부담하여야 한다. 노동법의 느린 변화와 법적 공백은 일하는 관계의 주체들이 자신의 노동에 관한 담론총회에 참여하여 자유롭게 대화를 나누고 자신들의 규범을 형성함으로써 채워질 수 있다. 모든 일하는 관계에서 민주적 의사결정 메커니즘을 갖춘 대화가 활성화될 때, 노동법은 진정한 인간 중심의 규율체계로 발전하여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 감정노동이 감정고갈에 미치는 영향 : 감정적 요구-능력 적합성의 조절효과

        등몽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2015

        본 연구는 감정노동과 감정고갈 사이에 감정적 요구-능력 적합성의 조절 역할을 검증한다. 많은 선행연구에서 감정지능, 성별, 외향성과 같은 개인적 요인이나 직무 자율성과 같은 환경적 요인 등 일차원 변수들의 조절효과만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적 요소와 환경적 요소를 포함하는 이차원 변수인 감정적 요구-능력 적합성을 토론한다. 연구모형은 자원보존이론을 바탕으로 제시한 것이다. SPSS 23.0을 이용한 분석결과에 따르면 감정규율전략 중 표면연기와 감정고갈 사이에 정(+)의 관계가 존재하며 심층연기와 감정고갈 사이에 부(-)의 관계가 있다고 밝혔다. 감정적 요구-능력 적합성은 표면연기와 감정고갈, 그리고 심층연기와 감정고갈 사이의 관계에 대하여 부(-)의 조절효과가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에 따른 이론적 의의와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verify the moderating role of emotional demand-ability fi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emotional exhaustion. Most existing studies focused on the moderating role of one-dimensional variables like emotional intelligence, gender, extraversion which are variables of individual attributes, and also environmental attributes like job autonomy. This study discusses the two-dimensional variable -- emotional demand-ability fit combines both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attribute. The research model is based on the conservation of resource theor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at surface acting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emotional exhaustion, while deep acting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emotional exhaustion. Emotional demand-ability fit appeared to negatively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urface acting and emotional exhaustion, and so it did to the relationship deep acting and emotional exhaustion. Some relevant implications for the results are discussed.

      • 감정규율전략이 감정고갈에 미치는 영향 : 역할정체성과 심리적 주인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균인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1999

        본 연구는 감정규율전략과 감정고갈 사이에 역할정체성과 심리적 주인의식의 매개효과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역할정 체성이론과 자원보존이론에 기반하여 연구모델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모델에 의하면, 종업원이 어떤한 감정규율전략(즉, 표면연기, 내면연기)을 사용했느냐에 따라서 감정고갈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지다. 그 중에 역할정체성과 심리적 주인의식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이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표면연기는 감정고갈과 긍정적인(+) 관련성이 있는 반면, 내면연기는 감정고갈과 부정적인(-) 관련성이 있다. 또한, 내면연기는 역할정체성 및 심리적 주인의식과 긍정적인(+) 관계를 갖고 있으며 역할정체성은 심리적 주인의식과 긍정적인(+) 관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은 심리적 주인의식은 감정고갈과 부정적인(+) 관련성이 있다고 나왔다. 본 연구결과에 대한 시사점과 한계는 마지막 논의 부분에서 다루어진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role of role identity and psychological ownership between emotional strategies and emotional exhaustion. Most previous studies focused on the moderating role between emotional labor strategies and emotional exhaustion but ignored the importance of role identity and psychological ownership which ma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ose two elements to help employees reduce emotional exhaustion. This work proposes a research model which bases on the social identity theory and the conservation of resources theory. The model points out that employees will use the emotional strategies such as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to meet the requirement of the organization s/he worked for. Different strategies employees choose will diversely influence the degree of emotional exhaustion. During this process, role identity and psychological ownership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strategies and emotional exhaustion. These research objectives are tested using a sample of 275 employees drawn from service industries in China. From the research result, we can figure out that role identity and psychological ownership appeared no relevance to surface acting, but are positively related with deep acting. Relevant implications for the results are discussed in the paper.

      • 식민지 시기 이북명 소설연구

        신상돈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199550

        국문초록 이 논문은 이북명의 식민지 시기 소설을 연구대상으로 한다. 이북명의 본명은 이순익(李淳翼)으로, 노동자출신의 작가라는 점에서 카프의 주목을 받았다. 그의 초기소설은 자신이 직접 경험한 공장체험을 바탕으로 작품을 전개하였다. 그의 소설은 당대 비평가들로부터 현실적이라는 평가를 받았지만 저항의 모습이 소극적으로 묘사되어 정치‧계급적 의식의 부족을 단점으로 지적받았다. 그의 전향이후, 소설에서 저항의 모습은 더욱 약화되었으며 이러한 점 때문에 사회주의 소설의 관점에서 더욱 저평가되었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식민지 수탈론’을 인식틀로 이북명 소설을 ‘친일문학론’ 관점에서 분석하고 있다. 이는 그의 소설을 ‘저항/협력’이라는 이분법으로만 분석하여 그 당시 작가의 의식변화와 다양한 근대성에 대한 인식을 살피기에는 한계를 지닌다. 따라서 이 논문은 이북명 소설을 ‘파시즘문학론’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파시즘문학론’은 ‘식민지 근대성론’을 인식틀로 탈근대주의를 통해 이 시기를 파시즘으로 규정하고 근대의 규율권력을 문학 속에서 찾고자 하는데 중점을 둔다. 식민지 시기 근대적 공장은 규율권력을 통해 노동자들의 신체‧정신을 통제한다. 이러한 규율권력을 통해 노동자들은 근대적 주체로 형성된다. 공장의 노동규율은 합리성과 효율성을 중시한 시‧공간 규율과 위계제이다. 그리고 이러한 노동규율은 효과적인 감시체계와 폭력과 해고와 같은 규율기제를 통해서 노동자를 내면화시킨다. 하지만 모든 노동자들이 노동규율을 내면화하지는 못한다. 노동규율에 적응하지 못하고 공장으로부터 배제되는 노동자가 생겨나는 것이다. 여기에서 규율권력에 대한 저항이 생겨난다. 이북명은 노동소설에서 노동규율과 규율기제에 대한 저항의 모습을 보인다. 노동조합은 그 조직자체내에 또 다른 규율을 전제로 하고 있다. 따라서 그의 소설에서는 노동조합과 같은 조직‧계급적 저항은 찾기 힘들며, 소극적이고 증흥적인 저항의 모습을 보인다. 중일전쟁 이후, 일제의 탄압으로 작가들은 사상의 억압을 받게 되고 이는 작가들의 전향으로 이어진다. 이북명도 사상과 생활의 고민을 가지고 있었으며, 전향 지식인을 형상화하여 그의 고민을 간접적으로 표현한다. 하층민을 형상화한 소설에서는 근대적 자본주의에 포섭된 인물들을 부정적으로 형상화하며, 공동체적 인간을 제시하여 근대성을 뛰어넘을 방안으로 제시한다. 노동소설에서 자본주의에 의해 파탄된 생활은 사상을 통해 저항의 당위성을 갖게 하지만 전향소설에서 생활은 사상과 대립되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러한 점에서 전향소설이 노동소설과 협력소설의 가교역할을 했다고 분석된다. 협력소설은 기존의 연구에서 일제의 정책에 동조했다는 이유로 친일소설로 규정되었다. 하지만 이 논문에서는 ‘친일/저항’이라는 이분법에서 벗어나 작가가 ‘신체제’론에서 주관적으로 전유하는 부분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북명은 근대적 자본주의를 초극하는 방안으로 ‘신체제’의 국가주의를 받아들인다. 국가주의는 근대화의 자본주의적 경제체제와 개인주의를 부정하며 이러한 것들이 국가에 의해 통제되어야 한다는 것을 주장한다. 작가는 사회주의 사상의 표현이 가로막힌 현실에서 그 대안으로 ‘신체제’론의 국가주의를 전유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작가의 국가주의적 인식은 작품 속에서 ‘파시즘적 청년’을 통해 표현된다. 식민지 시기 형성된 청년담론은 엘리트로서 일본정책에 동조하며 자기희생을 통해 형성된다. 특히 작가는 여성을 타자로 부정적으로 인식한다. 이러한 여성의 부정적 타자인식은 협력소설 뿐만 아니라 그의 소설 전체에서 보인다. 이는 타자를 형성함으로서 주체의 존재양상을 더욱 부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식민지 시기 이북명의 소설은 ‘노동규율에 대한 저항’, ‘공동체를 통한 대안모색’, ‘신체제론의 국가주의 전유’를 통해 근대적 자본주의와 개인주의를 반대하였다고 분석할 수 있다. 이 논문은 기존의 이분법적 사고에서 벗어나 작가의 근대화에 대한 다양한 인식을 살펴볼 수 있는 계기를 가질 수 있다는 것에 의의를 두고자한다. *주제어 : 이북명, 탈근대, 파시즘, 규율권력, 노동소설, 전향소설, 협력소설, 청년 Abstract A Study on Lee Buk-myeong's Novels during Colonial Era Shin, Sang-don Department of Education Korean Language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yongji University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Lee Buk-myeong’s novels during colonial period. Lee Buk-myeong’s real name was Lee Sun-ik, and on the point that he was a writer with labor background, he had drawn attention of KAPF(Korea Proletariat Artist Federation). The story of his early novel was developed based on his hands-on experiences in a factory. His novel was evaluated as a realistic work from the critics at those days, however, lack of political and class consciousness in his literary works was pointed out as a weakness, for resisting profile was described in a pretty restrained, somewhat passive fashion. After his conversion, the resisting profile in his novel had been more weakened, and for such a socialistic standpoint toward novel, his literary works were more undervalued. In the existing research works, Lee Buk-myeong’s novels wer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Pro-Japanese Literary Theory,’ taking ‘Colonial Exploitation Theory’ as frame of cognition. This approach of analysis displays a limit in order to investigate perception with respect to changes in consciousness of the writers in those days, as well as the consciousness concerned with varied modernity, having analyzed his novels by applying only dichotomy method, called ‘resistance versus cooperation.’ Therefore, in this paper, researcher attempted to analyze Lee Buk-myeong’s novel on the basis of ‘Literary Theory of Fascism.’ ‘Literary Theory of Fascism’ places emphasis on activities of seeking for ruling power of the modern world through post-modernism taking ‘Colonial Modernity Theory’ as the frame of cognition, having defined this period as fascism. Modern factories in the colonial period control workers’ body and mind by means of ruling power. Through such a ruling power, workers shall be formed as a modern subject. Labor rules and regulations in factory are composed of time-space disciplines, and a hierarchical system as well that value much of rationality and efficiency. And these labor rules and regulations makes workers internalized through the ruling mechanism, such as effective supervising and monitoring system, violence, and discharge. All workers, however, are not able to internalize labor rules. And so there are workers who shall be removed from the factory, for they have not been adapted to the labor rules and regulations. Here, resistance against the ruling power occurs. Lee Buk-myeong reveals a resisting profile against the ruling mechanism as well as labor discipline in his labor novels. Labor union is premised on other different rules within its own organization. Accordingly, such organization and working-class resistances as by labor union are seldom found in his novels, and it rather showed a passive and extemporaneous resistance. After the Sino-Japanese War, writers had been suffered from the oppression of thought because of Japanese clampdown, and this led to conversions of writers. Lee Buk-myeong also had some worries about his ideology and everyday life, and he expressed his worries in an indirect way having embodied a converted intellect. In the novel in which he had embodied the people of the lower class, characters that had been pulled into the modern capitalism were configured in a negative fashion. He proposed it as for a method that would leap over modernity by presenting communal human being. In the labor novel, the living that had been ruined by the capitalism brought about the rational basis of ‘resistance’ that should be established as a matter of natural course through ideology, nevertheless, it was understood that the livelihood described in the novel writte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nvert was contrary to the ideology. In this respect, it was analyzed that a novel written by an ideological convert had played a role as a bridge that connected labor novel and collaborative novel. In the existing research works, the collaborative novels were defined as pro-Japanese novels, for the reason that it had went along with the colonial policies under Japanese reign period. However, in this paper, researcher tried to examine carefully the exclusive parts occupied by the writer objectively in ‘New System Theory,’ getting rid of such dichotomy method, called ‘Pro-Japanese versus Resistance.’ Lee Buk-myeong accepted the nationalism of ‘Neo-Systems’ or ‘The New Colonial Policy’ as a method that had resolved the modern capitalism. And he argued that nationalism should have to deny capitalistic economic system in the course of modernization as well as individualism, and that these affairs must be controlled by the state. Meanwhile, under the reality that expression of socialist ideology was blocked, the writer had taken the nationalism of ‘Neo-Systems’ theory, which was colonial reality, for his own use, as an alternative thereof. And the writer’s nationalistic consciousness was expressed through ‘Fascistic Young Man’ in his literary works. The Discourse on Young Men that had been taken shape in the colonial period was built up through self-sacrifice following the lines of Japanese colonial policies, as an elite citizen. The writer, in particular, perceived female as the other negatively. Such a negative perception on female as the other revealed in the collaborative novel as well as across his entire novels. This was because he could have engraved the modality of existence of subjectivity more and better by forming the other.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it can be said that Lee Buk-myeong’s novel during the colonial period opposed the modern capitalism and individualism as well through ‘resistance against labor rules,’ and ‘seeking an alternative through community,’ and ‘exclusive possession of the nationalism of neo-systems theory- the colonial reality.’ In this research work, the researcher could have an opportunity to examine variety of consciousnesses of Lee Buk-myeong with respect to modernization getting rid of the conventional dichotomy, and this would be of vital significance. keywords : Lee Buk-myeong, Post-modernity, Ruling Power, Labor Novel, Covert Novel, Cooperative Novel, Facism, Young Man

      • 노무공급 관계의 체계적 규율에 관한 연구 : 직업안정법상 '근로자공급사업'의 재구조화를 중심으로

        진명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199548

        전 세계적으로 낮은 성장률과 높은 실업률이 지속되며 고용시장은 계속 악화하고 있다. 이에 기업들은 생산비 절감을 위해 생산의 핵심인력과 부서를 제외한 나머지를 아웃소싱하는 방식으로 이른바 ‘외주화’를 진행시켜왔다. 사용자와 근로자 사이의 전통적 고용관계가 아니라 근로자의 노무제공과 관련해 다른 중간매개자가 개입하는 근로자파견사업 등 간접고용이 확산되어 왔다. 이러한 간접고용은 근로자를 고용하는 자와 실제 사용하는 자가 분리되기 때문에 근로자의 고용에 대한 노동법적 책임을 누가 지게 될 것인지가 불명확해져 근로자의 지위가 불안정하게 되고, 원하청 하도급 거래의 관행에 따라 근로조건이 악화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간접고용에 대한 법적규율을 위해서는 사용자, 근로자, 중간매개자의 3면 관계에 대한 법적규율이 필요하게 된다. 현행법에 따르면, (1) 직업안정법상 ‘근로자공급사업’, (2) 파견법상 파견근로, (3) 민법상 도급의 범주에서 이뤄지게 된다. (1) 그러나 직업안정법상 ‘근로자공급사업’은 원칙적으로 금지되며, 그 허가 대상을 노동조합으로 제한하고 있어, 과거 항만하역업에 연원을 두고 있는 ‘근로자공급사업’의 성격상 사실상 항운노조에게만 인정되는 실정이다. 즉 ‘근로자공급사업’은 다면적 근로관계를 규율하기 위한 제도로서는 거의 사문화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2) 파견법상 파견근로사업은 파견근로 대상 업무를 열거하여 정하고 있어 이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에는 파견법의 적용을 받을 수 없으며, 엄격한 파견법 규율을 회피하기 위해 위장도급 등이 발생한다. 대표적인 형태가 외연은 도급이나 실질은 파견의 구조를 취하는 사내하도급이 해당되며, 이들은 ‘파견과 도급의 구별 기준’ 법리에 따라 불법파견 또는 도급으로 인정될 수 있다. 불법파견인 경우 파견법에 따라 처리될 것이나, 진정한 의미의 도급인 경우에는 노동법적 규율이 배제된다. (3) 위와 같이 노동법적 규율에서 배제되는 경우에는 민법상 도급의 규정에 따라 규율되는데, 이러한 경우 일반적인 계약법이 적용되어 실질적으로 사용종속관계에서 노동력을 제공한 근로자로서는 불리한 계약 당사자의 지위에 서게 된다. 특히, 이러한 노동법적 규율의 사각지대에는 가사사용인‧간병인 등 돌봄노동 종사자, 디지털‧공유경제 출현에 따른 플랫폼노동 종사자 등 사회 취약계층이 해당되는데, 이들의 근로조건이 열악하고 고용불안이 극심하여 노동법과 사회보험의 사각지대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노동법적 보호를 받지 못하는 결과에 이르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직업안정법상 ‘근로자공급사업’을 재구조화하여 노무공급에 관한 다면적 관계에 대한 체계적 규율을 시도하고자 한 것이다. 이러한 입법․정책적 방법론의 제안을 통해 종래 파견과 도급의 구별기준에 따라 발생하는 사내하도급, 가사․간병 등 돌봄노동, 플랫폼노동에 있어 노무제공자에 대한 노동법적 규율의 사각지대를 해소하고자 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현재 직업안정법상 ‘근로자공급사업’의 의의와 법적 규율의 전개과정을 이해하고, 최근 변화한 노동시장의 상황에 따라 직업안정법상 ‘근로자공급사업’이 재구조화될 필요성이 있음을 논증하였다. 이에 노무공급 관계를 총괄적이고 체계적으로 규율하는 새로운 틀로서 ‘노무공급사업’을 설계하였다. ‘노무공급사업’은 먼저 기존 ‘근로자공급사업’의 허가제를 폐지하여 허가 대상을 현재의 노동조합뿐만 아니라 협동조합, 협회 등의 단체를 포함한 민간으로 확대하는 것으로 하였다. 다만, 공급사업주로서 책임부담 능력에 대한 검증과 국가의 최소한의 규제․감독을 위해 고용서비스기관의 인증 제도를 두도록 하였다. 이처럼 확대되는 근로자공급사업의 규율범위에 따라 근로자보다 넓은 개념인 ‘노무제공자’의 개념을 정립하고, 이들 노무제공자의 노동력을 공급하는 ‘공급자’, 그리고 공급자와 공급계약을 통해 노동력을 이용하는 ‘공급받는 자’의 법적구조를 구성하였다. 이에 따라 ‘노무공급사업’에 적용되는 통칙을 정리하였다. 노무공급의 다면적 관계를 규율하기 위해서는 먼저 파견, 도급 등 다른 다면적 노무제공 관계와 규율 체계가 정리될 필요가 있다. 우선 파견은 기존의 파견법 체계를 그대로 두고, 일정한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파견법으로 처리되도록 하였다. 도급에 대해서는 개념을 구분하여 작업도급과 같이 ‘진정한 의미에서 도급’을 민법에 따라 규율되는 것으로 하였으며, 외관은 도급이나 실질은 파견근로사업과 같은 형태로 노동법적 규율이 필요한 도급의 유형을 ‘노무도급으로서 사내하도급’이라고 개념화하여, 이를 ‘노무공급사업’에 따라 규율하는 것으로 하였다. ‘노무공급사업’에 따른 법적구조는 공급자와 공급받는 자 사이에 노무공급에 관한 공급계약이 존재해야 하고, 공급자와 노무제공자 사이의 관계는 (ⅰ)고용, (ⅱ) 기타 유사한 계약, (ⅲ) 사실상 근로를 지배하는 관계 중 하나에 해당하여야 한다. 또한, 공급받는 자와 노무제공자 사이에는 사실상 사용관계가 성립되어야 한다. 이러한 구성요건을 충족하는 경우, ‘노무공급사업’에 따른 고유한 법적효과가 발생된다. 기본적으로 공급받는 자와 공급자가 부담하는 책임으로는 노무제공의 대가인 보수에 대한 연대책임, 근로기준법상 인권보호에 관한 규정, 산업재해에 대한 책임, 서면계약체결 의무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공급자와 노무제공자의 관계가 (ⅰ)고용계약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파견법의 대상에 해당하면 파견법의 규율이 이뤄지게 되지만, 그 대상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에는 직업안정법상 ‘근로자공급사업’의 재구조화에 따른 ‘노무공급사업’의 고유한 법적효과가 적용된다. 이에 해당하는 경우는 ‘노무도급으로서의 사내하도급’ 등이 될 수 있는데, 파견법의 파견기간에 대한 제한, 직접고용의무는 발생하지 않는 등 그 책임의 수준을 파견근로사업보다 완화하였다. (ⅱ) 기타 유사한 계약 및 (ⅲ) 사실상 지배관계의 경우에는 고용관계에 따른 노동법적 규율이 전혀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 놓여 있지만, 노무공급자에 대하여 우월적인 경제․사회적 지위에서 조직적 종속성을 지닌 공급자가 근로시간, 휴일, 휴가 등에 대해 일정한 부분 책임을 지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이에 따르면, ‘노무도급으로서 사내하도급’은 (ⅰ) 고용계약의 유형에 따라 규율되나, 돌봄노동, 플랫폼노동 등의 경우에는 공급자와 노무제공자의 관계에 따라 그 규율이 달라진다. 즉 공급자가 고용서비스제공기관인 경우에는 (ⅰ) 고용계약으로 공급자와 노무제공자가 근로관계가 성립되므로 근로기준법에 따라 규율이 이뤄지게 되지만, (ⅱ) 기타 유사한 계약, (ⅲ) 사실상 지배관계와 같이 비고용형태인 경우에는 근로기준법상 근로시간, 휴일, 휴가에 관한 규정이 조정되어 직업안정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그 효과가 이뤄지게 될 것이다. 이러한 직업안정법상 ‘근로자공급사업’의 재구조화를 통해 노무공급 관계에 대해 완전한 규율을 달성하기는 어렵지만, 적어도 현재 다면적 노무제공 관계에서 발생하는 사각지대를 노동법적 규율의 영역으로 끌어들여 노무제공자에 대한 최소한의 노동법적 보호를 구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돌봄노동, 플랫폼노동에 이어 새로운 일하는 방식과 일자리의 변화에 따라 각각의 노동법적 보호를 어떠한 방식과 수준으로 구할 것인지에 대한 연구는 후속과제로 남겨 둔다.

      • 정보기술의 도입과 노동통제의 변화에 관한 연구 : B공장 사례를 중심으로

        함영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199502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기술의 도입으로 노동통제 방식이 어떻게 변화되고 있으며, 변화된 노동과정에서 노동자들의 일상적 경험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작업장 사례연구를 통해 분석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기존의 노동통제유형의 거시적이고 추상화된 개념의 한계를 비판하고, 미시적 수준의 접근을 통해 정보기술에 의한 통제방식의 변화를 보여주고자 한다. 정보기술 도입 이전의 노동통제는 관료제적 위계질서에 기반한 통제와 인격적 통제가 결합된 병영적 통제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병영적 통제는 노동자들의 저항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B공장은 생산성의 문제와 통제를 안정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수단으로 정보기술을 도입하였다. 정보기술을 통한 통제는 작업지시, 감시·감독, 평가·보상의 기능을 연속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노동통제와 노동강도를 더욱 강화시키고 있다. 정보기술로 가능해진 실시간 통제는 작업 수행 평가에 있어서도 항상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노동자들에게 불안감과 긴장감을 증대시키고 있다. 나아가 실시간 작업평가에 기초한 통제는 개인별, 팀별 성적을 게시하고, 임금체계에 반영함으로써 노동자간의 경쟁을 구조화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노동자들은 자신의 작업속도를 지속적으로 증가시킬 수밖에 없는 것이다. 노동자간 경쟁시스템의 구조화는 "노동의 문제"를 자본의 "구조적 문제"로 등치시키는 것이 아니라, 노동자간 경쟁을 유발시켜 개별적 능력의 문제로 고착화시킴으로써, 노동자간 연대의식을 희석화 시키고 있다. 따라서 고용주는 정보기술을 통해 노동자의 "부정적 이탈"로부터 발생 할 수 있는 문제를 최소화하고, 긍정적 이탈(예컨대, 노동자간의 경쟁)을 극대화시킴으로써 통제의 안정성과 노동생산성 효과를 동시에 극대화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노동생산성의 증대를 위해 부정기적으로 시행되었던 시간-동작연구는 정보기술에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개별노동자의 작업량에 대한 산출을 실시간 방식을 통해 과학적으로 계산하고, 해당 노동자의 생산량과 목표량의 수행여부를 평가함으로써 노동자간의 경쟁을 가속화시킨다. 노동자간의 갈등과 경쟁은 자본의 이윤 극대화만을 성취하는 것이며, 노동자들은 "자기통제"를 통해 강압적 동의를 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정보기술은 단순반복 노동을 더욱 강제하는 것이며, 테일러주의 작업조직 원리를 구조화시키는 것에 다름 아니다. 정보기술이 미치는 효과는 여기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다. 노동자들이 작업조건에 대한 불만으로 일으키는 태업도 정보기술을 통해 사전에 적발함으로써 규율적 권력을 더욱 강화시키고 있는 것이다. 무엇보다 노동자들은 그들의 작업과정이 모두 감시되고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으며, 작업수행에 대한 일탈이 발견되면, 공개적인 모욕이 필연적으로 가해진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정보기술을 통한 통제는 강력한 규율적 힘을 가져오는 것이다. 이처럼 정보기술에 의한 감시체계는 과거의 병영적 통제보다 더 강도높은 감시·통제체계라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지속적인 감시와 평가 체계의 연속성에서 비롯되는 경쟁시스템의 구조화는 노동자들간의 신뢰구조를 파괴시키고 있으며, 소외감을 더욱 확산시키고 있다. 요컨대 정보기술에 기반한 통제는 전자감시와 노동자간의 감시의 불안한 교합속에서 노동자들의 일상을 침식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통제구조속에서 노동자들은 무력감, 무의미성, 도구적 작업지향의 지루한 일상경험 만을 반복적으로 되풀이 하는 것이다. 이처럼 정보기술에 의해 내재화된 통제의 작동규칙은 노동과정을 쉴 새 없이 변형시키는 역동적이고 혁명적인 통제양식에 다름 아니다. 그 과정은 위장과 물신화를 거듭하며, 창조적 파괴를 통해 인간의 노동과 희망의 가능성을 착취하는 비윤리적 과정으로 규정지울 수밖에 없는 것이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analyze the change of labor control and laborers everyday experience with introduc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IT). This thesis criticizes macroscopic abstract conception of existing labor control type and tries micro level approach. I tried to show demonstratively the distinctive feature of way of control with IT. In the case of B factory, they used to utilize barrack control combined with bureaucratic control and personal control, but it had confronted with laborer resistance. In response to this, they took IT to bring problems of production and labor control to a stable settlement. IT control is strengthening labor control and labor intensity through 3 elements of control system such as direction, monitor supervision and evaluation reward . Especially, real-time control in the area of accomplishment evaluation increases anxiety and tension of laborer. With posting a notice of the accomplishment of productivity and reflecting it on salary system, they are systemizing the competition amongst laborers. Accordingly laborers couldn't be helped but increasing working speed. So laborers are likely to be controlled by sense of rivalry rather than solidarity. In short, systemizing of competition amongst laborers does not equalize labor problem to structural problem of capital, but to matter of individual capacity in order to dilute laborers solidarity. Employer with IT can maintain control stability and effect of labor productivity through minimizing possible problems from negative exit and taking full advantage of affirmative exit (e.g. competition of laborers). The study of time-movement that was implemented to increase productivity in the past is completed by Information Technology. Now they can calculate the amount of work done for individual laborer and evaluate productivity out of targeted amount so that they are deepening competition amongst laborers. The dissension and competition is to maximize profit Labor intensity is getting worse since laborers consent repressively with self-control. Consequently, IT is coercing simple-repetition work and systemizing principal of work organization of Taylorism. We still can go on with examples of negative effect of IT in labor control area. They expose work stoppage in advance and gives black marks on it caused from discontent about working condition. So control based on IT is strengthening disciplinary power even more. Laborers of B factory are well aware of surveillance and public insult in case of deviation. Surveillance of IT is much more stronger that of barrack control. It is breaking down the trust amongst laborers through systematizing competition system with sustaining surveillance and evaluation system so that laborers are expressing alienation. The daily life of laborers is eroding in the joint of IT supervision and labor self-surveillance. Under this surveillance system, laborers are suffering from powerlessness, meaninglessness and instrumental work orientation. It is not easy for laborers under this system to express discontent about working condition. Their solidarity is controlled by electronic surveillance. Operating rules of IT intrinsic control is nothing but dynamic and revolutionary way of control that keep changing labor process. That way should be defined as an immoral process that is exploiting labor and possibility of hope of human by repeating camouflage and reif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