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 청소노동 공간의 현황과 한계적 특성 : A대학 캠퍼스 청소노동자 휴게공간 사례를 중심으로

        김민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number of janitorial staffs is estimated to be more than 1 million, and it is a universal job and an essential labor force in our society, which ranks fourth in the list of employed people. Nevertheless, the rest area of many janitorial staffs is made poor in places where there is no separate space or it is not easily visible inside the building. This is not only a matter of human rights that does not recognize the humanity of janitorial staffs, but also a matter of the working environment that causes the risk of injury or death. This study attempted to derive implications for future janitorial staff space plans by examining cleaning labor, labor space, and rest space from an architectural perspective and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and specific characteristics of janitorial staff space.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janitorial staffs at ‘A’ University, where two deaths of janitorial staffs have occurred in the past three years (2019-2021).There are 17 break rooms, and a literature survey and a field survey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the specific situation. We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physical conditions of the break rooms and how users used the space, and in the two years after the death, many developments were made through various system supplementation and cleaning worker improvement projects, but defects such as seclusion, obscurity, and impermanence remained. “Seclusion” is a characteristic of the resting area being located underground or in the corner of a building, and it is basically an "unhuman rights" environment where people cannot stay because there are no windows leading to the outside. "Obscurity" is a phenomenon that occurs not only because of the isolated location of the break rooms, but also because of the lack of information on the break rooms of janitorial staffs on the university campus. The social perception of cleaning labor, called "shadow labor," and the space used by janitorial staff is "narrow" and "distributed" due to "non-visibility," so not only has an inefficient movement system, but also the break room is narrower because other labor is overlapped in the break room. “Impermanence” is the main reason for reproducing the situation of space inequality, and as janitorial staffs' break rooms are not planned in the first place, they are not dense and are vulnerable to external smells and noise and incomplete break rooms are created. In addition, you can check "irrational quantification," "space consolidation according to management efficiency," and "layout of break rooms in old buildings." Based on the above, the direction of improving the break room for janitorial staffs was considered in three aspects. First, to compensate for the limitation that existing laws are not specific and depend on quantity, we propose a 'Frame of Poorness Analysis of Rest Space' to analyze specific and qualitative aspects of break rooms. Based on the concept of campus sharing, it is necessary to change social perception so that janitorial staffs are also equal members of the campus and can participate as participants in the process of improving rest areas and discussing plans as subjects of space use. Finally, as a new space program, we propose a janitorial staff's break room, and suggest that the break room should be redefined as a "labor" space rather than simply a "rest" space. Our society's perception of cleaning labor shows a cross-section of the tilted growth of Korean society. janitorial staffs are representative reproduction workers who supported a society that was "hidden" in the shadow of growth. This labor occupies the majority of the labor market today, and the importance of cleaning labor will increase to maintain society, and the resulting change in social perception and the value of cleaning labor should be reevaluated. The break room of janitorial staffs also needs a change of perception as a labor space and an essential space in the building, and the content of the space should also be developed. In order to prepare practical policies for this, research is needed in various aspects such as society, labor, health, city, and architecture, and a venue for social discussions involving members of various societies should be prepared. 청소노동자 수는 100만명이 넘는 것으로 추정되며 취업자 순위 4위를 차지하는 우리사회의 보편직업이며 필수 노동직군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수의 청소노동자들의 휴게공간은 별도의 공간이 존재하지 않거나 건물 내부 눈에 잘 띄지 않는 곳에 열악하게 만들어 진다. 이는 청소노동자의 인간다움을 인정하지 않는 인권의 문제일 뿐만 아니라 부상이나 사망의 위험을 유발하는 근로환경의 문제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는 청소노동과 노동공간 그리고 휴게공간에 대해 건축적 시각에서 살펴보고 청소노동자 공간의 현황과 구체적인 특성을 분석하여 향후 청소노동자 공간 계획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최근 3년간 (2019~2021년) 청소노동자 사망사건이 2차례 일어난 A대학교 내 청소노동자 휴게공간 17개소이며 이에 대한 문헌조사와 구체적인 실태 파악을 위한 현장조사를 진행하였다. 휴게공간의 물리적인 조건과 사용자들의 공간 사용방식 등을 조사·분석하였으며, 사망사건 이후 2년간 여러 가지 제도 보완과 청소노동자 개선사업을 통해 많은 발전이 있었으나 여전히 폐쇄성, 비가시성, 임시성 과 같은 결점 남아있을 확인하였다. ‘폐쇄성’은 휴게공간이 위치적으로 지하나 건물의 구석인 곳에 배치되어 나타난 특성으로, 휴게공간 내부에 외부로 통하는 창문이 없어서 기본적으로 사람이 머물 수 없는 ‘비인권적’인 환경이며 비상시에는 외부로 탈출을 할 수 없고 도움을 요청할 수도 없다는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비가시성’은 휴게공간의 고립된 위치뿐만이 아니라, 대학 캠퍼스 내 청소노동자 휴게공간의 정보가 부족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그림자 노동’으로 불리는 청소노동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공간의 모습이 맞닿아 있는 모습이며 ‘비가시성’으로 인해 청소노동자들의 사용하는 공간은 ‘좁고’,‘분산’되어 있어 비효울적인 동선 체계를 가질 뿐만이 아니라 기타노동이 중첩되어 휴게공간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휴게면적은 더 협소해 진다. ‘임시성’은 공간불평등의 상황을 재생산하는 주요 원인으로 애초에 청소노동자 휴게공간이 건물내부에 계획되지 않아서 다른 용도의 공간을 개조하여 사용하거나, 건물 내부에 덧붙여 새로운 공간을 만드는 방식으로 휴게공간을 만들다 보니 밀실하지 않아서 외부 냄새와 소음에 취약하고 불완전한 휴게공간이 만들어 진다. 이뿐만 아니라 ‘비합리적 수량화’,‘관리효율에 따른 공간 통폐합’, ‘노후 된 건물 내 휴게공간 배치’ 등 도 확인 할 수 있다. 위 내용을 토대로 청소노동자 휴게공간 개선 방향을 3가지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먼저, 기존 법령이 구체적이지 않고 수량성에 의존한다는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휴게공간에 대한 구체적, 질적 측면의 분석을 위한 ‘휴게공간의 열악성 분석의 틀’을 제안한다. 캠퍼스 공유재 개념을 바탕으로 청소노동자 또한 캠퍼스의 평등한 구성원임을 밝히며 공간 사용의 주체로서 휴게공간 개선 및 계획의 논의 과정에 의사 참여기구로 참여할 수 있도록 사회적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새로운 공간 프로그램으로서 청소노동자 휴게공간을 제안하며 단순히 ‘휴식’ 공간이 아닌 ‘노동’의 공간으로 휴게공간을 재정의(redefine) 해야 함을 제안한다. 청소노동에 대한 우리사회의 인식은 한국사회의 기울어진 성장의 단면을 보여준다. 청소노동자는 성장의 그늘에 ‘가려진 채’ 사회를 뒷받침 하고 있던 대표적인 재생산 노동자이다. 이 노동은 오늘날 노동시장의 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사회유지를 위해 청소노동의 중요성은 더 커질 것이며 그에 따른 사회적 인식 변화와 청소노동의 가치는 재평가되어야 한다. 청소노동자의 휴게공간 또한 건축물 내 필수공간으로 인식전환이 필요하며 공간의 내용 또한 발전해야 한다. 이를 위한 실질적인 정책마련을 위해 사회, 노동, 보건, 도시, 건축 등 다각적 측면에서 연구가 필요하고 다양한 사회의 구성원들이 참여하는 사회적 논의의 장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디지털 테크놀로지와 노동의 시·공간적 확장

        신도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87

        This thesis examines how white-collar workers in their 20s and 30s engage in labor on mobile messaging applications which dismantle the previous time-space boundary of work. It researches about the discipline and control that make them embody the resulting long hour performance of work, and analyzes how the workers respond to the work-discipline enforced upon them by the instantaneity of mobile messaging. The long hour labor discussed in this thesis which is the work performed on a mobile messenger that blurs the time and space boundaries of communication has emerged as a social problem.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provide a critical analysis on this issue and to suggest countermeasures. The researcher used in-depth interview, literature review and discourse analysis for the methodology of this thesis. Thirteen Korean office workers in their 20s or 30s, who have high rates of smartphone usage, participated as informants for the in-depth interviews between February and March of 2017.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 mobile messenger functions as a virtual workplace that is an extension of physical work space. It creates the effect of enforcing workers to work through self-censorship regardless of the time and space of work which they initially agreed upon. Workers perform work outside their contractually negotiated hours because communication on the mobile messenger demands immediate action and intimacy. This demand of intimate responses on the mobile messenger is combined with the hierarchical order existing in the workplace to compel workers to perform emotional labor. Second, workers who are subordinated to the extended working hours are reacting to the current labor system by securing their own time and space, which attempts are made through the use of digital technology. Workers whose working hours have been extended through smartphones use the smartphones to engage in activities which are perceived as 'taking rest', such as hobbies or access to information of their interests online. This contradiction results in blurring not only the temporal boundaries but also the spatial boundaries of work and life. Third, the researcher argues that government intervention is needed in the negotiation on work hours and work disciplines between workers and corporations. The workers do not hold equal status as the corporations in negotiating work hours but the labor with ambiguous time-space boundaries continues to be imposed upon them. This situation demands counter-measures prepared at government level. France, which presented institutional measures against expanding working hours through the use of smartphones, decided to prohibit corporations from demanding workers to work outside the working hours based on the "right to disconnect". Germany introduced measures to block company e-mail servers in order to prevent workers from sending or receiving e-mails outside of working hours. The Japanese government is taking measures to the social issue of long working hours as these have caused overwork suicides and deaths. In Korea, a bill introducing the “right to disconnect” was proposed. Korean workers in their 20s and 30s today are experiencing the expansion of working hours which is sustained by the hierarchical order of workplace, and are forced to perform emotional labor. The interface characteristics of mobile messengers contribute to implementing work discipline and control. Workers are responding to this situation by securing private time and newly defining this time. This thesis argues that the issue should be resolved by providing detailed classification in identifying what is working hours and by initiating related measures. 본 논문은 시∙공간적 경계를 해체하는 모바일 메신저 상에서 이루어지는 업무, 이로 인해 장시간 노동의 수행을 내재하게 하는 규율과 통제에 대해 분석한다. 나아가 즉각적 반응을 이용해 강요된 노동 규율에 대한 20-30대 직장인들의 대응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가 다루는 장시간 노동은 소통의 시∙공간적 경계를 해체하는 모바일 메신저 상에서 이루어지는 업무이며 사회적 문제로 부상했다. 이에 대한 비판적인 분석을 진행하고 대응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를 위해 심층면접과 문헌조사, 담론 분석을 이용했다. 심층면접은 2017년 2월에서 3월 사이에 진행되었으며, 스마트폰 이용률이 높은 한국의 20-30대 사무직 직장인 13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고, 이를 통해 도출한 분석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모바일 메신저는 물리적 직장 공간의 연장선상에 있는 직장 공간의 역할을 수행하게 한다. 이는 직장인들로 하여금 자기 검열을 통해 지정된 업무의 시∙공간과 무관하게 노동자로서 일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모바일 메신저가 유발하는 즉각성과 친밀성이 커뮤니케이션에 요구되면서 직장인들은 자신이 계약상 협의한 노동 시간 외에도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또, 친밀성의 표현이 요구되는 모바일 메신저 공간과 직장 내 존재하는 위계질서가 결합되면서, 직장인들은 업무뿐만 아니라 감정 노동의 수행을 강요 받는다. 둘째, 확장되는 노동시간에 예속된 노동자들은 자신 고유의 시간과 공간을 확보하려는 방식으로 현 노동 체제에 대응하고 있으며, 이러한 시도는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노동시간이 스마트폰을 통해 확장된 상황에서 직장인들은 스마트폰을 이용해 취미나 관심사에 접속하여 휴식을 취한다고 믿게 되고, 이러한 모순성은 일과 생활의 시간적 경계뿐만 아니라 공간적 경계까지 흐려지게 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셋째, 연구자는 노동자와 기업 사이의 노동 시간 및 규율의 협상에 있어 정부가 개입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현재 노동시간의 협상에 있어 기업과 노동자의 관계가 동등하지 못하며, 시∙공간적 경계가 불분명한 노동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책의 마련이 정부의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스마트폰의 이용을 통해 노동시간이 확장되는 상황에 대한 제도적 대책을 마련한 프랑스는 ‘연결되지 않을 권리’를 바탕으로 근무 시간이 아닌 시간에 노동하는 것을 노사간 합의 하에 금지하도록 했다. 독일의 경우 근무시간 이외에 메일을 주고 받지 않기 위해 기업의 이메일 서버를 차단하는 대책을 내놓기도 했다. 과로로 인한 자살, 사망사건이 대두되면서 장시간 노동이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일본의 경우 정부 차원의 대책을 마련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한국에서는‘연결되지 않을 권리’를 중심으로 하는 법안이 발의되었다. 현재 한국의 20-30대 직장인들은 직장의 위계질서 노동시간의 확장을 경험하며 감정 노동의 수행도 강요 받고 있고, 여기에서 모바일 메신저의 인터페이스적 특성이 노동통제와 규율의 이행을 돕는다. 직장인들은 이러한 상황에 자신의 시간을 확보하고, 새롭게 의마화하는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다. 나아가 이 문제는 근로시간의 의미를 세분화하고, 이에 대한 꾸준한 법안의 발의를 통해 개선 되어야 한다.

      • 공간의 기억에 관한 수행적 표현 연구

        유수진 성신여자대학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55

        연구자는 주변의 사물들과 풍경을 수집하고 그것을 기억에 연결시켜 표현하려고 하였다. 사용한 사물에는 사용한 사람의 과거 기억과 추억 등이 담겨있다. 사물들의 형태와 성격을 분석하여 장소와 사람들이 담고 있는 이야기들을 끌어내고자 한다. 인간은 공간에서 지각을 활성화할 수 있는 다양한 체험을 경험하게 되며, 인식구조와 지각의 과정이 지속적으로 순환되면서 새로운 기억과 의미가 생성되고 축적되기를 반복한다. 이로 인해, 우리는 장소에 대한 친밀감과 애착을 느끼게 되고 장소에 대한 인식과 감정이 결합되어 하나의 특별한 장소성을 형성하는 것이다. 연구자의 대상 장소는 과거에서 현재로 혹은 현재에서 새로운 변화를 일으키고 있는 곳이며, 천과 옷 공장 등 가내 수공업에 기반한 여성의 노동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연구자는 장소를 여러 차례 찾아가 공간에 대한 경험을 기록하여 오고 있다. 연구자의 작품은 단순한 재현이 아니라, 개인적이고 독특한 경험을 통해 지시적인 이미지가 아닌 새로운 미적 경험을 제시하게 된다. 연구자는 장소가 가진 상징성과 형태가 가진 심미성에 의해 물건들과 이미지들을 선택하여 수집한다. 현장의 기억을 환기하고자 하는 매개체로 선택된 물건들과 장소의 모습을 담은 사진들은 삶의 장소에서 사용되어, 낡고 보잘것없는 물건들로 치부되지만, 장소와 그 생활의 모습을 담아내고 있어, 연구자에 의해 실제 장소를 대신하여 수집되는 것이다. 연구자는 수집된 오브제들과 사진들을 콜라주 형식과 바느질 행위의 수행적이고 은유적인 방법으로 작품을 표현해 나간다. 이는 작품이 단순하게 시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장치들의 집합체가 아니라, 예술가가 행하는 행위에 따른 다양한 경험과 해석에 초점을 맞추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 관람자에게 단순히 재현과 연구자가 규정한 의미전달이 아닌 스스로 체험하는 감각적 경험으로 확장하고자 하는 것이다. 작품들은 연구자가 체험하여 경험한 장소적 맥락의 이해에 따라, 전시장 내ㆍ외부 공간에 설치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전시장은 연구자가 설계한 또 다른 장소성을 부여받게 된다. 연구자는 작품을 통해 관람자가 지각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다채로운 체험을 제시하고, 관람자는 이미지와 장소에 담긴 이야기를 감각하고, 지각하여 공간에 대한 또 다른 의미와 기억을 생성함으로써 새로운 장소성을 생성하고 경험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새로운 장소성이란 관람자가 장소가 가진 불안정성과 가치중립성에서 벗어나, 삶의 현장이자 생활 공간임을 공감하게 함으로써 장소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만들어 주는 것이다. 본 논문은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연구자의 작품들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제1장 서론에서는 연구자의 작품 연구 방향과 목적에 관해 서술하였다. 제2장 본론에서는 첫째, 삶의 지속 가능한 공간으로서의 장소성과 여성성이 드러나는 노동공간을 중심으로 작품의 형성배경을 밝히고 있다. 둘째, 수행성의 미학이 담긴 바느질 기법과 공간연출을 통한 장소 특정적 설치를 기반으로 작품의 표현방법을 알아보았다. 셋째, 본인의 작품 8점에 대하여 개별적인 제작방법과 작품 내용에 관하여 서술하였다. 제3장 결론에서는 본 논문의 내용을 정리하고 앞으로의 작업 방향을 모색하였다. The surrounding objects and landscapes have been collected by researcher and also the researcher tries connecting them to specific memories. The objects of various types have been helped us remember those who used the objects in the past. In some cases, this means the creation of specific things to keep that person’s memory with us. The researcher would like to try analyzing and drawing out collected objects’s nature and shape. Human experience a variety of places which can activate perception. As people processing with perception, cognition, new memories and meanings are generated and accumulated from the places As a result, people feel intimate and a sense of attachment to the places and the perception and emotion of the places are combined to the place. The researcher's target place is where is making new changes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or the present and also this place for a women's working space based on household chores such as cloth and clothing factories. Researcher has visited places several times to record their experience with places. Researchers' works are not merely reproductions. But researcher tried expressing personal and unique inspiration into works. they present new aesthetic experiences, not indicative images also imitate. The researcher chooses the collected objects and images by the symbolism of the place and the aesthetics of the form. Photographs of objects and places are selected as mediums to recall the memory of the scene instead of actual places by researchers. The researcher expresses the collected objects and photographs in a performance and metaphorical way in the form of sewing and collage. This is not just a collection that the work can understand visually, but to focus on various interpretations of what the artist does. In other words, this work aims to expand itself to sensory experiences to viewer not only just to reproduce or convey the meaning specified by the researcher. The works are installed in the inner and outer spaces of the exhibition hall. The viewers experienced the context of another place designed by the researcher. Researchers present various experiences that enable viewers to activate perception through works and allow viewers to create and experience new places with creating another meaning and memory of space. A new place is defined as that it is away from the value neutrality and unstable it just makes viewers sympathize with the place. Based on researchers' works from 2017 to 2021, this paper consists of the following. In Chapter 1 describes the direction and purpose of the researcher's work. In Chapter 2, The main story first reveals the background of the formation of the work, focusing on a working space where place and femininity are revealed as sustainable spaces ㅍof life. Second, we looked at sewing techniques containing performance aesthetics and how to express works based on location-specific installations through spatial production. Third, eight of works were described in terms of individual production methods and descriptions of works. In Chapter 3, Conclusion, we have summarized the contents of this paper and seeks future work directions.

      • 이주노동자소설의 공간 연구

        사승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2319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escriptive meaning of space through a mechanism that creates others in space and anxiety and countermeasure aspects of migrant workers by integrating a perspective of space being an important background of becoming others and fixing focus on others attention. Moreover, this study investigated consciousness of authors that gets revealed in space setting and narration. Narrative space analysis was conducted at a double layer of space of thematic layer and space of narrative function layer. Characteristics of work space were investigated in Chapter II, residential space in Chapter III, and private space in Chapter IV. To be specific, a mechanism of Koreans creating others that appeared in individual work and pain that migrant workers go through as others were investigated in paragraph 1‧2‧3 of Chapter Ⅱ‧Ⅲ‧Ⅳ through experience, breathing, and maternal space. Moreover, this study examined consciousness of authors that appeared in individual works. Also, in paragraph 4 of Chapter Ⅱ‧Ⅲ‧Ⅳ, this study examined responses for anxiety and otherness that migrant workers experience in three works of each category. According to the result of investigating a mechanism of Koreans creating others and aspects of anxiety of others in Chapter Ⅱ‧Ⅲ‧Ⅳ, Koreans treated labor of men as expendables because they are easy to replace and took women’s body as hostage by considering female sexuality as a target of sexual desire. Therefore, migrant workers show ethical anxiety of longing for living like a human being and economic worries of doing anything they could for living than physical anxiety or sexual objet. In residential area, Koreans treated them as others through alienation and contempt, and as a result, foreigners show uneasiness about physical injury, forced deportation and returning home. In private space, Koreans show ambivalent attitude as hospitality and alienation, and consideration and selfishness. Therefore, migrant women express anxiety caused by sexual hunger, anxiety about freedom of not making them to do anything, and anxiety of infertility. According to the result of investigating how the otherized space influences attitude of migrant workers, migrant workers of work space do not refuse conflict with Koreans and show resistant attitude. For that, they make firm spatial relocation, but it is hard for them to free themselves from the bondage of otherness even though they endure any cost by becoming illegal alien, murder, and getting their money robbed. Strangers of residential area disregard a situation of becoming otherized by focusing on inner conflicts or conflict between colleagues. They do not move space but make a habit of doing eccentric behavior as stealing, bleaching hair, and burying severed finger. Whereas migrant women of private space accept family order and do not reveal their presence externally, they long for identification internally and are searching for ways to adjust in their own way to live in Korea by supplementing deficient love outside their family. Otherness mechanism of Koreans is in line with coping patterns of migrant workers by space by resisting to physical oppression in work space, dealing emotional disregard with emotional silence in residential space, and dealing private alienation between married couple with private relationship between men and women in private space. According to the result of investigating consciousness of authors appeared in space setting and narration, authors suggested seriousness of a problem of Korean society making migrant workers into others. However, the writer himself unconsciously perceived migrant workers as others or revealed a perspective that cause for otherness is in attitude and selection of migrant workers, conflicts between them, and failure to adapt to Korean society. Authors who recognized problems of otherness and wrote novel were negligent in approaching migrant workers and paying attention to their voices. Migrant workers novels revealed exclusion, a sense of class, and duplicity that Korean society was hiding, and clearly showed precarious life of migrant workers who are living with topophilia for homeland and topophobia for Korea in both hands. Unless awareness of Koreans change and admit that migrant workers are equal human beings as themselves who need to coexist with them, independence and identity of migrant workers cannot be restored and there will be no choice for them but to be aliens forever. 이주노동자소설은 2000년대 들어 아시아의 일부 가난한 나라에서 유입된 이주노동자를 내국인에 의해 억압당하고 소외되는 이미지로 재현하고 있다. 이주노동자는 경계 해체와 공간 이동을 통해 한국에 왔으며, 낯선 공간에 배치되면서 타자성을 획득하는 과정을 거친다. 따라서 이주노동자소설은 타자에 대해 말하기이다. 낯선 타인으로서의 타자가 아니라, 지배욕망의 대상, 동일화를 강요당하는 상대, 열등한 존재로서의 타자의 삶을 이야기하고 있다. 이주노동자소설에서 공간은 타자화의 중요한 배경이 된다. 이 논문은 타자의 시선에 초점을 맞추어 공간에서 이주노동자를 타자화시키는 메커니즘과 이주노동자의 불안‧대응 양상을 통해 공간의 서사적 의미를 고찰하고자 했다. 아울러 공간 설정과 서사에서 드러나는 작가의식도 함께 살펴보았다. 이주노동자소설의 개념이 다양하므로 연구 의의에 맞게 2000년대 이후 이주노동자를 모티프로 한 소설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그중 내국인 작가가 쓰고, 한국 땅을 배경으로 하고, 저개발국에서 가난을 탈피하기 위해 한국에 온 이주노동자가 중심인물로 등장하는 소설로 연구대상을 한정했다. 한편, 탈북 주민과 중국 출신의 조선족은 내국인과 한 민족이고 같은 언어를 사용하므로 자기방어를 위한 최소한의 수단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이들을 중심인물로 한 소설은 배제했다. 서사 공간 분석은 ‘주제적 층위의 공간’과 ‘서사기능적 층위의 공간’의 이중 층위에서 진행했다. 주제적 층위의 공간은 이주노동자의 행동반경을 기반으로 하는 재현 공간으로서 노동 공간, 거주 공간, 사적 공간으로 구분했으며, 서사기능적 층위의 공간은 재현 공간에서 이주노동자의 삶이 구체적으로 형상화되는 공간으로 체험 공간, 숨통트기 공간, 모성 공간으로 구분했다. 먼저 주제적 층위의 공간의 특징을 살펴보고, 세 가지 주제적 층위의 공간에서 각각 서사기능적 층위의 공간의 서사적 의미를 고찰했다. Ⅱ장에서는 노동 공간, Ⅲ장에서는 거주 공간, Ⅳ장에서는 사적 공간에서 나타나는 공간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Ⅱ‧Ⅲ‧Ⅳ장의 각 1‧2‧3절에서는 개별 작품에서 나타나는 내국인이 이주노동자를 타자화시키는 메커니즘과 이주노동자가 타자로서 겪는 고통을 체험‧숨통트기‧모성 공간을 통해 살펴보았다. 아울러 개별 작품에서 나타나는 작가의식을 짚어보았다. 그리고 Ⅱ‧Ⅲ‧Ⅳ장의 각 4절에서는 각 범주 공간의 세 작품에서 나타나는 이주노동자가 겪는 불안과 타자화에 대한 대응방식을 다루었다. 먼저, 내국인이 이주노동자를 타자화시키는 메커니즘과 이주노동자의 불안 양상에 대해 살펴보고자 했다. 타자화 메커니즘은 타자화의 주체에 따라 각기 다른 방식으로 전개되었는데, 타자화의 주체가 사장, 공사장 관리자와 같은 권력자의 경우와 타자화의 주체가 배우자인 경우, 그리고 타자화의 주체가 뚜렷하게 드러나지 않는 경우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었다. 이에 연동해 이주노동자의 불안 양상이 나타났다. 다음은, 타자화된 공간이 이주노동자의 태도에 어떻게 관여하는가에 관해 살펴보고자 했다. 이주노동자는 타자화된 공간에서 내국인의 억압이나 소외에 대해 극단적으로 저항하거나, 한국사회의 지배질서를 수용하거나, 그런가하면 자신의 정체성을 견지하기 위해 애를 쓰는 등 세 가지 태도를 나타냈다. 첫째의 경우, 내국인과의 갈등과 충돌을 마다하지 않고 단행한 이주노동자의 저항은 불법체류자, 살인자 신세가 됨으로써 어떠한 희생을 감내해도 타자화의 굴레를 벗어나기 쉽지 않다는 걸 보여주었다. 둘째의 경우, 결혼이주여성들이 가족질서를 수용하고 존재감을 드러내려 하지 않으면서 동일화를 갈망해도 이들의 타자성 극복은 부부간의 상호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역설하고 있다. 셋째의 경우, 이주노동자들이 타자화된 상황을 외면하고 있지만, 이들의 외면은 타자화된 공간의 고립화와 강제추방을 초래하고 말아 침묵과 외면도 타자화의 극복방안이 될 수 없음을 보여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서사에서 드러난 작가의식을 몇 가지로 구분해 살펴보고자 했다. 아홉 작품 모두 이주노동자를 타자화시키는 한국사회를 고발하고 있다. 하지만 문제 해결의 방법론으로 들어가면 각자 다른 입장을 나타냈다. 이주노동자의 타자성 극복방법을 모색하는가 하면, 이주노동자 스스로 타자성을 극복할 수 없으니 내국인의 태도변화가 꼭 필요하다는 견해를 나타내기도 했다. 또한, 타자화의 책임을 내국인에게 일방적으로 물을 수 없고 이주노동자에게도 책임의 일단이 있다고 하거나, 이주노동자는 타자의 굴레에서 도저히 헤어나지 못한다는 비관적인 견해도 있었다. 이주노동자소설은 한국사회가 숨기고 있던 배타성, 계층의식, 이중성을 드러냈으며, 고향에 대한 토포필리아와 한국에 대한 토포포비아를 양손에 쥐고 사는 이주노동자의 불안한 삶을 여실히 보여주었다. 내국인의 인식이 바뀌어 이주노동자도 자신과 동등한 인간이며 공존해야할 존재라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는 한 이주노동자의 주체성과

      • 외국인 이주 노동자 공간 재현에 대한 연구 : 조선일보와 한겨레 신문에 대한 담론 분석

        이유리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32317

        전 세계적으로 세계화가 진행됨에 따라 국경을 초월하여 이동하는 노동력으로 인해 발생하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가시화 되고 있다. 특히 언론은 한 시대를 가로지르고 있는 인식을 볼 수 있는 바로미터라는 점에서 노동력의 이동과 그들의 공간 형성에 대한 한 사회의 시각을 살펴보기에 좋은 재료다. 따라서 본 논문은 외국인 이주 노동자 공간을 재현하는 한국 언론의 전반적인 경향과 시기별 재현 특징을 통해 한국 사회에서 외국인 이주 노동자 공간이 어떻게 재현되어 왔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르페브르는 자신의 공간 이론을 통해 공간은 각 시대의 특성을 담고 있으며, 그러한 공간의 특징을 드러내기 위해 공간의 3층위로의 분석을 강조했다. ‘공간적 실천’, ‘공간의 재현’, ‘재현의 공간’으로 이름 붙여진 각 층위들은 사회 공간의 생산과 재생산 관계의 상호작용을 파악하기 위한 개념으로, 이들 사이의 삼각 변증법적 관계를 통해 사회 공간의 역동성을 파악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본 논문은 ‘공간의 재현’ 측면에서 한국 언론이 외국인 이주 노동자 공간을 어떻게 보도해 왔는지 먼저 저널리즘의 측면에서 전반적인 경향성을 살펴보고, 시기별 분석을 통해 공간 재현의 변화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한국 언론이 우리 사회에 새롭게 등장한 외국인 이주 노동자 공간이라는 현상을 어떻게 보도하고 또한 개념화 하는지에 대해 파악할 수 있었다. 먼저 한국 언론의 외국인 이주 노동자 공간 보도는 공간 실천과는 다른 경향성을 보이고 있다. 1990년대 후반에서 2000년대로 넘어가면서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외국인 이주 노동자 수와 더불어 외국인 이주 노동자와 그들의 공간에 대한 언론 보도 역시 양적으로는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양적 증가는 외국인 이주민들 중에서도 특히 결혼 이주 여성 공간에 치우쳐 있었다. 또한 언론의 재현은 외국인 이주 노동자가 공간을 점유하고 있는 거주 공간의 구체적인 지역 특성과 함께 보도 된다기 보다는 외국인 이주 노동자를 위해 결성된 시민단체들 사이의 네트워크에 따라 보도되는 방식을 보인다. 특히 2000년대 이후 이주 노동자 공간이 실제로 점차 주변화 되는 것에 비해 기사 속 이주 노동자 공간은 점차 다문화 체험과 소비의 중심 공간으로 묘사되고 있었다. 이러한 한국 언론의 이주 노동자 공간 보도 경향성을 바탕으로 공간 재현의 특징을 개념화 해 보면 크게 세 가지 측면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이주 노동자 공간은 우리가 도와주어야 하는 주변 공간에서 색다른 문화를 체험하거나 이벤트성 문화 축제가 열리는 문화의 공간, 즉 소비의 공간으로 재현되고 있다. 즉 외국인 이주 노동자 공간은 자본주의 중심 공간으로서 이주 노동자들이 한국 사회에 들여온 다양한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소비의 공간이자 우리와는 다른 문화를 가진 타자들의 공간이다. 동시에 일상적이고 영속적이라기보다는 단기적이며 이벤트성으로 조직되고 쉽게 흩어지는 공간으로 재현된다. 둘째, 외국인 이주 노동자 공간은 초기 외국인 이주 노동자에 대한 부정적 시선에서 출발해 슬럼화 되거나 우범지역과 같은 주변 공간으로 재현되고 있다. 외국인 이주 노동자의 집단이나 공간에 대한 언론의 개념이 미비했던 90년대부터 외국인 이주 노동자는 법의 바깥에 존재한 채 쉽게 불법 체류자가 되는 부정적 공간이었다. 이후 언론의 비판적 기능과 함께 외국인 이주 노동자 공간은 지나치게 슬럼화 된 외곽지역이나 비위생적이고 범죄가 끊이지 않은 우범지역으로 재현되었다. 셋째, 최근 외국인 이주 노동자 공간을 재현함에 있어 이주 노동자 스스로를 공간 점유의 주체로서 파악하거나 지방자치단체들의 정책적 지원을 소개하는 재현 방식을 통해 자립의 공간으로 묘사하는 방식이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이러한 방식의 재현이 빈번하게 이루어지거나 다양하게 나타나지는 않으며, 종종 민족주의적 이데올로기에 머물러 있는 모습을 보인다. 또한 대체로 비서울 지역을 다룬 기사 면에서 지자체의 정책을 소개하는 사실 전달의 방식으로 언급되기 때문에 사회적으로 이주 노동자 공간에 대한 이미지를 새롭게 만들어 가는데 한계가 있다. 결론적으로 한국 언론의 외국인 이주 노동자 공간 재현은 다양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자본주의 중심 공간으로서 이주 노동자 공간을 소비의 공간으로 묘사하는 것은 점차 주변화 되고 있는 이주 노동자 공간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지원의 필요성을 드러내지 못한다. 따라서 이주 노동자 공간의 문제점을 드러내는 방식의 재현이 요구 되지만, 이주 노동자 공간에 대한 지나친 비판적 이미지 차용은 오히려 실제 이주 노동자 공간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를 가속시킬 수 있다.

      • 신자유주의 시대 한국 영화의 비정규 여성 노동자와 공간 : <카트>(2014), <성실한 나라의 앨리스>(2015), <소공녀>(2018)를 중심으로

        Yang Wenjing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2316

        This paper aims to reveal the interaction relationship between Non-regular female workers and spaces through <!-- Not Allowed Tag Filtered --><Cart>(Ji Soo-young, 2014) and <!-- Not Allowed Tag Filtered --><Alice in Earnestland>(Ahn Kook-jin, 2015) and <!-- Not Allowed Tag Filtered --><Microhabitat>(Jeon Go-woon, 2017). we inte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how capital and power, gender, and conflict surrounding the lives of female workers are visualized through space. This is because the space of the film reflects the character's characteristics and characteristics, and these themes are important conditions for grasping the power relationship of neoliberalism in the film. The neoliberal ideology is regarded as a project to restore the power of the capital class and as a means to conceal polarization rather than contributing to the actual process of capital accumulation. Space becomes capitalized as excess accumulation from the production of space increases. Real estate has become an important means and method of compressing the surplus value, and the exchange value of a house has come to dominate the value of use.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workplace and residential space of female workers using spatial theory and analyzes the change of solidarity formed by spatial mobility. As the liquidity and instability of female worker jobs increased due to the neoliberal flexibility policy, the solidarity of female workers became more complex, and loneliness increased. To materialize this, the concepts of space and place, place and non-place were used. The mart space shown in <!-- Not Allowed Tag Filtered --><Cart> becomes a place, that is, a 'center of value', which is, a place where meaning and value are given through the struggles of female workers on a small scale. In this study, the places related to 'abnormal' are analyzed as spaces constructed by 'otherness' and 'exclusion' by neoliberal ideology, and heterotopy, a resistive space. The solidarity of the female worker community goes beyond sisterhood, and it is a work of sharing compassion after learning that they are in the same situation as women and workers. Sunam(Jung hyun Lee), the heroine of <!-- Not Allowed Tag Filtered --><Alice in Earnestland>, becomes a murderer in order to regain freedom and happiness in the symbolic situation of economic redistribution of redevelopment. Sunam's 'madness' is a counterattack against the upper classes, the cause of creating this society. This madness leads Sunam to escape from the capitalized space created by neoliberalism in conjunction with patriarchy and to perform 'Traversing Fantasy'. Finally, the fact that a fixed space does not appear in <!-- Not Allowed Tag Filtered --><Microhabitat> reflects the increase in social mobility. Miso(Esom), which has become the division of the 'Societies of Control', is separated from the past and always exists only in the present. Miso is temporarily redefined using 'non-place' rather than 'human place' that is central to others. The meaning derived through this analysis is as follows. <!-- Not Allowed Tag Filtered --><Cart> captured the absence of room for female workers who bear dual labor, and examined a new female worker community solidarity, not sisterhood, through "creating a place" inherent in the mart struggle. Next, by analyzing the motives behind the murder in <!-- Not Allowed Tag Filtered --><Alice in Earnestland>, it proved that neoliberalism uses the reproduction of space to fix the power of the capital class. Finally, through <!-- Not Allowed Tag Filtered --><Microhabitat>, it was suggested that the homogeneity and solidarity felt by female workers in places weaken and the loneliness increases as spatial mobility increases. 본 논문은 비정규 여성 노동자를 다루고 있는 <카트>(부지영, 2014) 및 <성실한 나 라의 앨리스>(안국진, 2015)와 <소공녀>(전고운, 2017)를 통해 비정규 여성 노동자와 공간의 상호 작용 관계를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여성 노동자의 삶을 둘러싼 자본과 권력, 젠더와 갈등이 공간을 통해 어떻게 가시화되고 있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영화의 공간은 등장인물의 성격과 특징을 반영하며, 이러 한 주제들은 영화 속 신자유주의의 권력관계를 파악하게 하는 중요한 조건이기 때문 이다. 신자유주의 이데올로기는 실제 자본축적 과정에 기여하기보다는 자본계급의 권 력 회복을 위한 프로젝트이며 또한 양극화를 은폐하기 위한 수단으로 간주된다. 공간 의 생산으로 얻는 과잉 축적이 갈수록 많아짐에 따라 공간은 자본화된다. 부동산은 잉여가치를 압축하는 중요한 수단과 방법이 되고, 집의 교환 가치는 사용가치를 지배 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공간 이론을 이용하여 여성 노동자의 직장 공간과 주거 공간을 살 펴보며, 공간적 이동(spatial mobility)에 의해 형성된 연대의 변화를 분석한다. 신 자유주의의 유연화 정책으로 여성 노동자 일자리의 유동성과 불안정성이 높아짐에 따 라 여성 노동자의 연대가 복잡해지면서 외로움이 많아졌다. 이를 구체화하기 위해 공 간과 장소, 장소와 비장소 개념을 활용하였다. <카트>에 나온 마트 공간(place)은 소 규모로 긴밀하게 맺어진 여성 노동자 투쟁을 통해 의미와 가치가 부여된 곳인 장소 (place), 즉 ‘가치의 중심지’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비정상’과 관련된 장소를 신자 유주의 이데올로기에 의해 ‘타성’과 ‘배제’로 구축된 공간, 그리고 저항적인 공간인 헤테로토피아로 분석한다. 여성 노동자 공동체의 연대는 자매애를 넘어서는 것이며, 여성이자 노동자로서 서로 같은 처지에 처한 것을 알게 된 후에 연민의 정을 나누는 작업인 것이다. 한편, <성실한 나라의 앨리스>의 여주인공 수남(이정현 분)은 재개발이라는 경제적 재배분의 상징적 상황 속에서 자유와 행복을 되찾기 위해 살인자가 된다. 수남의 ‘광기’는 이런 사회를 만든 원인인 상위계급을 향한 반격이다. 이러한 광기는 신자 유주의가 가부장제와 연합해서 만든 자본화된 공간에서 수남이 탈출하도록 유도하고 ‘판타지 가로지르기’(Traversing Fantasy)를 수행하게 만든다. 마지막으로 <소공 녀>에 고정된 공간이 등장하지 않는 것은 사회적 이동성의 증가를 반영한다. ‘통제 사회’의 분체(dividuals)가 된 미소(이솜)는 과거와 분리되어 항상 현재에만 존재한 다. 미소는 다른 이들에게 중심이 되는 ‘인간적 장소’보다 ‘비장소’를 이용하여 일시적으로 재규정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도출한 의미는 다음과 같다. <카트>에서 이중적 노동을 부담하 는 여성 노동자에게 ‘자기의 방’이 부재하다는 것을 포착하였고, 마트 투쟁에 내재 된 ‘장소 만들기’를 통해 자매애가 아닌 새로운 여성 노동자 공동체 연대를 살펴보 았다. 다음으로 <성실한 나라의 앨리스>에서 살인 행위 뒤에 숨겨져 있는 동기를 분 석하여, 신자유주의가 공간의 재생산을 이용하여 자본계급의 권력을 고정시키는 양상 을 증명하였다. 마지막으로 <소공녀>를 통해 공간적 이동성의 증가에 따라 여성 노동 자가 장소에 느끼는 동질감과 연대감이 약해지며 외로움이 강해진다는 사실을 제시하 였다.

      • 노동의 삶과 일상 : 아버지의 철공소

        한영림 서울시립대학교 디자인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287

        이 논문은 노동하는 공간과 일상을 시각 이미지로 기록한 연구 과정을 담고 있다. 크게 시간의 흔적이 남은 공간, 도구, 인물로 나누어 성실하게 삶을 꾸려온 아버지를 이야기한다. 아버지는 강릉의 작은 철공소를 운영하고 있다. 80년대 조성된 공업단지에 위치한 ‘합동기공’은 50여 년 인생이 담긴 아버지의 일터이자 가족들이 성장해온 집이다. 복잡하고 오래된 기계들이 자리 잡고 있는 철공소는 나에게 있어 일하는 장소였을 뿐이었다. 하지만 오랜 세월 아버지가 꾸려온 역사가 발을 딛고 있는 바닥, 손으로 짚은 벽에 남아있다. 그 안은 끊임없이 일구어낸 노동의 숨결로 가득했다. 아버지는 쇠를 다루는 장인이다. 철공소에는 무엇인가로 만들어질 것과 그렇게 만들어진 것이 있다. 그리고 이를 예술처럼 만들어내는 노동자가 있다. 성실한 노동자의 시간은 고스란히 공간 전체에 스며든다. 그 자취들로 나는 아버지의 삶을 읽을 수 있었다. 철공소는 창작의 공간이라 많은 자재와 도구로 채워져있다. 낯선 공간이 잘 읽히기 위해서는 맥락을 잡아 기록하는 것이 우선이었다. 그래서 기록을 크게 ‘철공소’와 ‘아버지’로 나누었다. 전자는 공간의 풍경과 개체를 통해 장소 기록에 초점을 두었고, 후자는 삶의 이야기를 그림으로 전달하는데 의미를 두었다. 현장은 아버지에게만 국한된 장소가 아니다. 나 자신의 기억과도 맞물려 감정은 고스란히 그림에 드러난다. 철공소를 추억하고 따뜻한 시선이 담긴 내 감정을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은 빛의 온도를 표현하는 것이었다. 물론 이 연구에서는 다양한 시점으로 화면 기록을 하므로 방법이 모두 동일하지 않다. 예를 들면 오래된 기계는 정보 기록의 가치를 생각하여 구조 표현에 힘을 실었다. 완성작들은 다양한 색채와 화면을 보여주지만, 오직 아버지에 대해 말하고 있다. 자식으로서 아버지의 공간에 담긴 서사를 다시 읽어보는 일은 긴 호흡이 필요했다. 너무도 익숙하여 무뎌진 감각을 일깨우는 것부터 시작이었다. 부녀 관계의 거리를 한 발짝 떨어뜨리자 지나쳤던 일상을 환기된 시점으로 새로이 마주할 수 있었다. 자식과 기록자의 중간 지점을 찾고 나서야 담담하게 그림으로 이야기 할 수 있는 상태가 되었다. 이 연구에 담긴 아버지는 노동으로 사회 발전에 보탬이 되고자 했던 그 시대 청장년층의 현재다. 아버지와 비슷한 나이대의 분들이 도시 속에서 현대의 장인이라는 이름으로 살아간다. 나의 기록이 이 시대 아버지들의 삶을 탐구하고 공감하는 매개가 되길 바란다. 주제: 노동, 공간, 기록 This paper presents the investigator’s research process of recording labor spaces and daily life in visual images, talking about her father that lived a hardworking life according to spaces, tools, and figures bearing traces of time. My father is running a small iron foundry in Gangreung. Located in an industrial park built in the 1980s, his “Hapdonggigong” is his workplace reflecting his life of 50 years or so and also the home of his family. His iron foundry with old complex machines was nothing but a place of work to me. The history that he has written over many years is, however, alive in the floors that his feet touch and in the walls that his hands touch. The iron foundry is full of the breath of contin- uous labor inside. My father is a master artisan working with iron. His iron foundry is not a place of the past for the family and workers, but its fast disappearance seems natural in the modern times that are changing rapidly. There are things to be made into products and finished products in the iron foundry, which also holds workers that turn their work into art. The time of hardworking workers permeates in the entire space of the iron foundry as it is. Its traces helped me read the life of her father. I had a lot of contemplation over light to express what I felt on the floor of the iron foundry. I found a method of conveying my emotions while reminiscing about the iron foundry like in a dream and looking at it with heartwarming eyes in the temperature of light. The focus was, however, on structural expressions given the value of old machines as information recorders. My finished works all talk about my father with various colors and screens. I needed to take long breaths to read again the narratives of my father’s spaces as his child. The starting point was to awaken my dull senses. Once I took a step away from my relation- ship with my father as his daughter, I was able to face anew the daily life I passed with an aroused viewpoint. Only after finding a halfway point between his child and the recorder was I able to find a state in which I could talk with my illustrations in a calm manner. My father in this study represents the present of young adults and middle-aged men that worked har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ociety with their labor those days. Many people in the same age group as my father are living in cities as modern artisans. These re- cords of my works will hopefully serve as media to make an inquiry into the lives of fathers of our times and sympathize with them. Keywords: labor, space, record

      • 취업형태 다양화에 따른 노동관계법 적용 확대에 관한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 노동법 체계 개편과 관련하여

        구건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32268

        [Abstract] A Study on the Application Expansion of Labor Relations Act according to Diversification of Employment Type - Regarding the reorganization of the labor law system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globalization and neoliberalism employment types are becoming diversified. In the newly emerging on-demand sharing economy and platform economy, the number of workers who are subject to the labor law is decreasing, increasing the use of special type workers and platform type workers. As a result, “non-employment-related jobs”, a phenomenon where independent self-employed workers take the place of laborers, are spreading. Nevertheless, since traditional labor law judges whether a laborer is based on the constraints of time and space and the human dependency of command order, it becomes difficult to regulate the new employment types due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lthough the Supreme Court considers economic dependency criteria together with human dependency, it is impossible to encompass so various forms of new types of labor trade. In addition, in spite we have reviewed 8~10 human dependency and economic dependency criteria, we are to conclude that it is ‘an employee’ or not after a comprehensive review. The comprehensive review would have the risk of falling into the logical trap of being right no matter what conclusion is reached. Especially, the conclusion of ‘all or nothing’ or such dichotomous method as workers vs independent self-employed persons cannot control the special type workers and platform type workers in the gray zone. But those who work in such gray zone would not be regarded as independent business owners who make their own business decisions or make profits by themselves. An organization or platform that makes income by using physical and mental labor powers of others has a social responsibility to protect those who provide such labor. The socialized nation is responsible for arranging the system so that working people who need protection are able to live a human life through labor law or social insurance law. Constitutional grounds for the protection of legislators, whether in the form of the current Labor Standards Act, the revision of the Trade Union Act, the way in which special legislation is enacted, or in the type of special or platform types, can be found in the Principle of Social States. The economic order in our Constitution is based on the free economic order that guarantees private property and private autonomy and respects the freedom and creativity of the individual and the economy of the individual and corporations, but also accepts national regulations and adjustments to realize social welfare and social justice. It embraces Principle of Social States. Labor order is one of the important elements of economic order. The Constitution provides for the rights of labor and three books of labor in Articles 32 and 33 concerning labor market and labor relations. The original Constitution recognizes private autonomy in order to guarantee individual freedom of self-determination. However, if one party to the contract is in a superior position to the other party so that the contract can be unilaterally determined in reality, the other party will be given only a decision other than self-determination. The effect of the contract on the contracting parties in this subordinate position may be considerably detrimental, so that the content control of these contracts is justified by the constitutional guarantee of the self-governance and the socialized nation principle. Therefore, this contract is subject to the content control when there is no correspondence among the parties so that the contractual contents of the contract can be determined unilaterally by the employer in the legal relation of the special type workers and platform type workers. If there is a need to recognize the necessity of prot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workers in the actual labor supply process, the state should be obliged to protect the workers in the special type and platform type so that they are not excluded from the protection. The scope of the labor provider's protection of the new types of employment needs to be coordinated so that the principle of underdog protection and the principle of private autonomy can be harmonized. The legislative form for special type workers is a way to apply a part of the compulsory law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the ‘special law’ rather than the current revision of the labor law, and to guarantee the private autonomy through the legislation of the employment contract law. Considering the fact that economic dependency exists, they should also consider opening up to participate in labor union activities, collective bargaining and collective action by submitting them under the category of guarantee of the three rights of labor. In this cas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private autonomy may collapse due to the strong bargaining power of special type workers, so it is necessary to positively examine unfair labor practices of labor unions or union officials and legislate them together. If not, there will be a partial playground that is too tilted to the union, and there is a risk that the balance of bargaining power as well as fair social development through labor-management autonomy will be ruined. In today's trade unions, the scale is large, bargaining power and financial ability are comparable or even stronger among employers, and over equality of the labor union that surpasses the employers in balance of power sometimes causes the problem of reverse discrimination in the law. The legal discipline of labor unions, which are already superior in social relations, needs to be approached with a frame of private autonomy rather than a frame of weak protection. In terms of platform type workers, labor law does not have to interfere if the platform plays merely an intermediary role. If any employee is subject to one platform, she or he can be protected by labor law as an employer of labor law. However, since most platform operators will take the form of free labor trade in labor law, in reality, it is necessary to make a legislative alternative to protect workers of these platforms in Social Insurance Act and Social Security Act. Laws governing workers in the type of platforms that are spreading widely, whether they are applied to certain parts of the labor law through special laws or as workers in the social insurance law, must be enacted. This is because they are the socially disadvantaged who use their labor power to maintain their livelihoods. Because the platform can unilaterally define and enforce rules, fees, and service charges, platform type workers are indirectly dependent on the platform company. In addition, the platform is also considered to be able to earn business income, such as fees, because workers in the platform type supply the labor force. The platform for earning income through the labor force of a person has a minimum protection obligation to the person, and it is the Principle of Social States that confirms this. The change in the way of production that is underway is called the fourth industry ‘revolution’ because it means that the size and depth of change is exceptionally large and that the paradigm shift is underway. Employment relations are changing with production methods. On the one hand, employment insecurity is worsening and incomes are moving in place or declining. On the other hand, there are tremendous opportunities, but few people have the adaptability to capture those opportunities. This leads to an increase in the concentration of income and a widening gap in working conditions. The traditional labor law code does not adequately protect labor providers, which are the socially disadvantaged to be protected, and also creates a paradox that further protects the socially strong people who are no longer in need of protection. If the labor law is not properly coordinated with the norms of the times in the period of transformation, social unrest may result and changes may be made in a revolutionary way. Labor law, which is the last safeguard of capitalist society, needs to find a way to protect the ‘labor provider’ as a socially weak person who is out of the fence of labor law protection and establishes a gray zone between workers and independent businesses, It is reasonable to enact a ‘special law’ to apply. The digitalization of labor poses philosophical questions about why labor laws should exist, an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alls for reconstruc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s and labor laws as digital virtual spaces. The answer to the philosophical question must be found in a harmonious balance between the weak protection principle’ and the ‘private autonomy principle’ 취업형태 다양화에 따른 노동관계법 적용 확대에 관한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 노동법 체계 개편과 관련하여 - 세계화, 신자유주의, 개인화, 디지털 기술의 발전을 바탕으로 취업형태가 다양화되고 있다. 아울러 디지털 플랫폼경제에서는 노동법의 보호대상인 근로자는 줄어들면서, 노동법에서 자유로운 특수형태업무종사자와 플랫폼형태업무종사자 등 ‘고용적자영업자’가 늘어난다. 따라서 이들이 근로자를 대신하는 현상인 ‘근로관계 아닌 일자리’가 확산되고 있다. 그럼에도 전통적인 노동법은 ‘시간?공간의 구속성과 지휘명령’이라는 인적종속성을 기준으로 근로자 여부를 판단하기 때문에 기술발전과 경제?사회변화에 따른 다양한 취업형태를 규율하기 어려워진다. 대법원은 인적종속성과 함께 경제적종속성 판단기준을 고려한다고 하지만,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는 취업형태를 전부 규율하기는 불가능하다. 더구나 8~10개 정도의 인적종속성과 경제적종속성 판단기준을 제시하면서도 종합적으로 검토해보니 ‘근로자다’ 또는 종합적으로 검토해보니 ‘근로자가 아니다’라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종합적으로 검토한다는 것은 어떤 결론을 내리더라도 옳다는 논리적 함정에 빠질 수 있는 위험이 상존한다. 특히 ‘근로자 vs 자영업자’, ‘전부 아니면 전무’라는 이분법적인 판단방식은 중간지대에 있는 고용적자영업자를 규율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이들 중간지대에 있는 노무공급자들도 자신의 사업을 경영하는 사업가나 스스로 모든 것을 결정하면서 이윤을 취득하는 독립자영업자라고 보기는 어렵다. 다른 사람의 육체적, 정신적 노동력을 활용해서 소득 또는 이윤을 얻는 기업이나 플랫폼은 노무공급자를 보호할 사회적 책임이 있다. 사회국가는 보호의 필요성이 있는 노무공급자들을 노동관계법 또는 사회보험법 등을 통해 인간다운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제도를 정비할 정책적 책임과 의무가 있다. 현행 노동법을 개정하는 방법이든, 특별법을 제정하는 방법이든 고용적자영업자에 대해서 보호 입법을 해야 하는 헌법상의 근거는 사회국가원리에서 찾을 수 있다. 우리 헌법은 사유재산 및 사적 자치를 보장하고, 개인과 기업의 경제상의 자유와 창의를 존중하는 자유경제질서를 기본으로 하면서도 사회복지?사회정의를 실현하기 위하여 국가적 규제와 조정을 용인하는 사회국가원리를 수용하고 있다. 노동법은 경제질서를 구성하는 하나의 요소이면서, 반대로 경제질서를 재편할 수 있는 힘을 갖고 있다. 노동시장 및 노동관계에 관하여 헌법은 제32조, 제33조에서 근로권과 노동3권을 보장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헌법은 개인의 자기결정의 자유를 보장하기 위하여 사적자치를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계약당사자 일방이 계약내용을 사실상 일방적으로 결정할 수 있을 정도로 상대방에 대하여 우월적 지위에 있을 때에는 그 상대방에게는 자기결정이 아닌 타인결정만이 주어지게 된다. 이러한 종속적 지위에 있는 계약당사자에 대하여 그 계약의 효과는 현저히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으므로 사적자치의 헌법상 보장 및 사회국가원리에 의하여 이러한 계약에 대한 내용통제가 정당화된다. 따라서 고용적자영업자의 법률관계에서 사실상 사업주, 플랫폼이 계약내용을 일방적으로 결정할 수 있을 정도로 당사자 사이에 대등성이 결여되어 있는 때에는 이 계약은 내용통제의 대상이 된다. 그리고 실제 노무제공과정에서 근로자에 준하는 보호필요성이 인정될 만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는 고용적자영업자가 보호대상에서 제외되지 않도록 국가에게 보호의무가 주어져야 하는 것이다. 다양한 취업형태에 대한 노무공급자의 보호범위는 ‘약자보호의 원리’와 ‘사적자치의 원리’가 조화될 수 있도록 조율할 필요가 있다. 오랫동안 논쟁을 해온 특수형태업무종사자에 대한 입법형식은 현행 노동법의 개정보다는 ‘특별법’의 제정으로 근로기준법의 일부를 적용해서 약자를 보호하고, 고용계약법의 입법을 통해서 사적자치를 보장하는 방식이 타당하다. 또한 이들도 경제적종속성이 존재하는 점을 고려하면 노동3권 보장의 범주로 포섭해서 자율적으로 노동조합 활동과 단체교섭, 단체행동을 할 수 있도록 개방하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 이럴 경우 자칫 특수형태업무종사자들의 강한 교섭력 때문에 사적자치가 무너질 우려가 있으므로 노동조합이나 노조간부의 부당노동행위를 긍정적으로 검토해서 함께 입법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 않을 경우 일부이지만 노동조합으로 지나치게 기울어진 운동장이 되어 교섭력의 균형은 물론 노사자치를 통한 공정한 사회발전이 무산될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오늘날 노동조합 중에는 그 규모가 크고 교섭력과 재정적인 능력이 사용자와 대등하거나 더 막강한 사례도 있다. 이러한 힘의 균형상 사용자를 능가하는 노동조합에 대한 과보호 때문에 법률상 역차별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미 사회적 세력관계에서 우월한 노동조합에 대한 법적인 규율은 약자보호의 프레임이 아닌 사적자치의 프레임으로 접근할 필요성이 있다. 새롭게 등장하는 플랫폼형태업무종사자와 관련해서 플랫폼이 단순히 중개역할만 하는 경우에는 굳이 노동법이 간섭하지 않아도 된다. 반대로 하나의 플랫폼에 전속되고 사용종속성이 인정되는 경우에는 그 플랫폼을 노동법상의 사용자로 의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플랫폼은 노동법에서 자유로운 노동력거래방식을 취할 것이므로 현실적으로는 우선 사회보험법과 사회보장법에서 이들 플랫폼형태업무종사자를 보호할 수 있는 입법적인 대안을 만들어야 한다. 특별법을 통해서 노동법의 일정부분을 적용하는 방식이든, 사회보험법상의 근로자로 인정하는 방식이든 다양하게 확산되고 있는 플랫폼형태업무종사자를 규율하는 법률이 필요하다. 이들도 자신의 노동력을 활용하여 생계를 유지하는 사회적 약자이기 때문이다. 플랫폼이 규정이나 수수료, 서비스 요금을 일방적으로 정하고 알고리즘에 의하여 배제할 수도 있으므로 플랫폼형태업무종사자들은 플랫폼에 간접적으로 종속되어 있다. 또한 플랫폼은 플랫폼형태업무종사자가 노동력을 공급하기 때문에 수수료 등 사업소득을 얻을 수 있다는 점도 고려 대상이다. 사람의 노동력을 활용해서 소득을 얻는 플랫폼은 그 사람에 대한 최소한의 보호의무가 있으며, 이를 확인해주는 것이 사회국가원리이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생산방식의 변화를 제4차 산업‘혁명’이라고 부르는 것은 통상적 변화라고 보기에는 변화의 규모나 깊이가 예외적으로 크고 프레임을 바꿀 수 있는 거대한 변혁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기 때문이다. 생산방식과 함께 노동력거래방식도 바뀌고 있다. 한편에서는 고용불안이 심해지고 소득이 제자리를 걷거나 감소하고 있다. 다른 한편에서는 엄청난 기회가 존재하지만 이러한 기회를 포착할 수 있는 적응력을 지닌 사람은 소수에 머무르고 있다. 이로 인해 소득집중도는 심해지고 근로조건 격차도 커지고 있다. 전통적인 노동법 규범은 보호해야 할 사회적 약자인 노무공급자를 제대로 보호하지 못하고, 보호가 더 이상 필요 없는 사회적 강자는 더욱 보호하는 역설을 낳기도 한다. 이러한 거대한 변화의 물결에 노동법이 시대에 맞는 규범으로 적절히 조율하지 않으면 사회불안이 초래되고 ‘혁명’적인 방식으로 세상이 바뀔 수도 있다. 자본주의 사회의 마지막 안전판인 노동법은 보호의 울타리에서 벗어나 있는 사회적 약자로서의 ‘노무공급자’를 어떤 방식이든 규율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하며 근로자와 독립자영업자 사이에 중간지대를 설정해서 노동법의 일부조항을 적용하는 ‘특별법’ 제정이 타당할 것이다. 노동의 디지털화는 노동법이 왜 존재해야 하는지, 어떻게 존재해야 하는지, 어떤 모습으로 존재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철학적인 질문을 던지고 있다. 그 질문에 대한 답은 ‘약자보호 원리’와 ‘사적자치 원리’의 조화로운 균형에서 찾아야 한다. 제4차 산업혁명은 디지털 가상공간으로서의 인공지능 알고리즘과 노동법의 관계에 대한 재구성을 요구하고 있다.

      • 지역산업의 숙련특화와 지역의 직종적 이점에 따른 생산성의 증대

        이헌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2268

        오늘날 국제무역의 확대와 기술변화 경로의 복잡성이 증가하면서 지역은 자신의 숙련기반과 생산기능을 높은 강도로 특화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산업부문내의 기술적 분업이 공간상에 전개되는 노동의 공간적 분업이라는 지리현상이 야기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지역경제의 실증적 분석도구로써 산업 개념의 한계를 강하게 부각하는 것으로, 동종 산업부문에 속한 지역산업들이 동질적인 속성을 공유한다는 것을 가정하기란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많은 학자들은 지역경제의 대안적인 실증분석 도구로 직종 개념의 유용성을 강조한다. 직종은 단순히 최종 생산품을 바탕으로 구분되는 산업과는 달리 인간의 활동에 기초해 구분되는 영역으로, 실제 지역경제에서 어떠한활동이 수행되는가를 재현한다는 점에서 개념적 이점을 가지는 것이다. 또한 이처럼 활동에 주목한다는 점에서, 직종 개념은 오늘날 지역성장의 주요한 동인으로 이해되는 인적자본 및 지식 외부효과에 대한 논의와 높은 이론적 정합성을 가지며, 또 이들이 지역경제 성장을 야기하는 기제를 탐구가능토록 한다는 점에서 지역경제성장의 암상자를 해부하는데 있어 유용한 접근방법으로 이해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직종 개념에 기초하여, 부문 내에서 이루어지는 공간적 분업을 관찰하고, 이러한 공간적 분업이 지역산업의 동태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에 따라, 우선 탐색적 연구의 일환으로 연구의 실증지표를 도출하고 그 유용성을 확인하며, 부문 내에서 이루어지는 노동의 공간적 분업을 탐구하였다(제4장). 이어지는 설명적 연구에서는 숙련특화로 조작화된 이러한 공간적 분업이 생산성을 중심으로 지역산업의 동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였다(제5장). 또한 연구의 시각을 지역노동시장 수준으로 확장하여 직종적 이점으로 정의된 지역수준의 기능적 분업이 지역산업의 동태에 미치는 영향과, 지역노동시장과 지역산업의 기능적·숙련적 특성이 가지는 상보성을 탐구하였다(제6장). 연구는 미국 제조업 부문을 대상으로 2003~2009년간의 패널자료를 활용하여, 지역산업의 기능적이고 숙련적인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실증지표를 도출하고, 이원다변량분산분석과 종단적 다층모형을 이용한 실증분석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분석결과, 지역산업의 숙련특화로 이해되는 노동의 공간적 분업을 미국 제조업 부문에서 관찰할 수 있었으며, 또한 이는 공간단위에서 이종적인 산업 간에도 전개됨으로서 도시와 지역의 기능적 특화가 야기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숙련특화가 지역산업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한 결과, 어떠한 숙련의 차원에서 특화되었는지가 지역산업의 동태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설명요인이 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동시에 지역산업의 직종적 다양성이 생산성을 증대하는 영향을 가짐을 실증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지역노동시장의 직종적 이점으로 이해되는 기능적 특화가 지역산업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한 결과, 특정한 숙련차원의 지역노동시장의 숙련특성이 지역산업 부문의 생산성을 강하게 증대시키는 영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영향은 지역산업의 숙련특성과 특정한 상보적인 관계를 가지고 강화됨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상의 실증분석 결과로부터 살펴볼 수 있는 본 연구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우선 제4장의 논의를 바탕으로 직종은 산업으로 나타낼 수 없는, 지역산업의 여러 유용한 특성을 묘사할 수 있는 개념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동시에 직종은 산업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짐과 동시에 구분되는 설명영역을 가지는 개념으로, 지역산업을 온전히 재현하는데 있어 직종과 산업에 대한 종합적인 접근이 요구됨을 살펴볼 수 있었다. 제5장의 논의를 통해서는 지역산업의 양적인 측면의 특성을 묘사하는데서 나아가, 기능적이고 숙련적인 차원에 이를 묘사하고, 이에 기초하여 그 동태를 설명할 필요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숙련의 특화와 다양성이 구분되는 개념으로 각각 지역산업의 동태에 대해 중요한 설명영역을 가짐을 살펴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제6장의 논의에 기초하여, 구분되는 지식과 숙련의 차원과 그 각각의 특질에 따라, 지식 외부효과에 있어 공간적 함의가 상이하게 작용함을 살펴볼 수 있었다. 또한 특정한 숙련의 조합이 상보성을 가짐에 따라, 지역노동시장과 지역산업의 기능적이고 숙련적인 특성에대한 이해와 분석이 구분된 차원에서 전개될 것이 아니라 상호작용적으로 확장될 필요성이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정책적 측면에서 지역산업의 질적인 차원의 특성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으며, 산업과 직종에 대한 양방향의 목표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또한 숙련의 상보성에 대한 이해에 기초하여 지역산업 정책이 지역사회의 맥락에 민감하게 수립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