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판 청소년 남성성 의미 척도(K-MAMS)의 타당화

        이혜령 경북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남자 청소년에게 내면화된 남성 성역할 규범은 그들의 심리 및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므로 남자 청소년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남성성을 다루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한국판 청소년 남성성 의미 척도(Korean version Meanings of Adolescent Masculinity Scale; K-MAMS)를 타당화하여 청소년의 남성성을 다차원적으로 측정하였다. 원저자에 의해 개발된 27문항을 우리말로 번안하였고, 중학교 1~3학년 남학생 202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한 후 탐색적 요인분석(EFA)를 실시하여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4문항을 삭제하였다. 본조사에서는 중학교 1~3학년 학생 329명을 대상으로 기술통계와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최종 14문항이 확정되었다. K-MAMS는 원척도와 동일하게 4요인(놀리기, 지속적 노력, 감정억압, 이성애주의)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확인적 요인분석(CFA) 결과, K-MAMS의 내적 요인구조로 이중요인 모형(bi-factor model)이 가장 적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공인 및 수렴 타당도는 K-MAMS와 남성 성역할 갈등, 공격성, 자아존중감, 상태불안과의 상관관계를 통해 지지되었다. 또한 학년별 남성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분산분석(ANOVA)과 Scheffe의 방법으로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K-MAMS가 청소년의 남성성을 측정하는 데 신뢰롭고 타당한 측정도구임을 확인하였다. K-MAMS는 남자 청소년이 내면화한 남성성이 그들의 심리적 건강과 적응적 발달에 어떻게 긍정적 혹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Although conformity with traditional male gender role norms has been linked to psychological and social adjustment in adolescent boys, there exists few study in Korea dealing with adolescent masculinity. This study sought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the Meanings of Adolescent Masculinity Scale(MAMS), which had been developed and validated for American boys. 27 items originally developed by Oransky and Fisher(2009) went through a translation and back-translation procedure to be adapted prior to data collection. The preliminary tests were administered to 202 seventh to ninth-grade boys and as the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EFA), 4 items were eliminated. With a sample of 329 seventh to ninth-grade boys, descriptive statistics and EFA were conducted and 14 items were retained in the final scale. Four factors were extracted as the original scale: Social Teasing, Constant Effort, Emotional Restriction, and Heterosexism. Subscales derived from this analysis yielded good internal reliability. The results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confirmed that the bifactor model best fits the data. Concurrent and convergent validity were supported b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K-MAMS and existing measures of male gender role conflict, aggression, self-esteem, and state anxiety. Also, using the analysis of variance(ANOVA) with Scheffe’s post-hoc tests, the significant grade differences were obtained in middle school boys’ masculinity.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K-MAMS is reliable and valid for assessing the endorsement of adolescent male gender role norms. The K-MAMS will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how endorsement of male role norms both impedes and facilitates adaptive develop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adolescent males.

      • 남성성과 남성건강 : 한국 남성의 성역할규범 순응 유형 및 영향 탐색

        양준용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807

        2017년을 전후로 ‘절망으로 인한 죽음(deaths of despair)’이 보건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는 불평등에 대한 연구로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A. Deaton이 주창한 개념으로,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남성이 중독, 자살 등의 건강문제에 더 크게 노출되어 있음을 지적하는 말이다. 그간 남성의 신체, 정신, 사회적 안녕을 탐구하는 남성건강 연구는 남성의 의료이용이 적어 중재 필요성이 덜하고, 이미 남성 중심의 학문인 생의학이 존재하기에 별도로 탐구될 필요가 없다는 인식 속에서 그 중요성이 간과된 측면이 있다. 그러나 건강은 사회적 현상으로서 소득, 직종, 민족성 등으로 치환되지 않는 젠더 관계의 특성을 반영한다. 남성의 불건강은 사회의 돌봄 부담을 늘리고, 종종 남성 폭력의 원인으로 이어져 다른 성들의 건강에도 영향을 주게 된다. 젠더 사이뿐만 아니라 남성 젠더 내부에서도 개인 및 집단이 남성성을 추구하는 방식에 따라 건강행태 및 건강결과의 불평등이 나타난다. 특히 한국사회는 사망원인을 위시한 건강결과와 음주·흡연 등의 건강관련행동 차원에서 젠더와 연관된 건강 양상의 차이가 뚜렷하게 관측되고 있다. 따라서 젠더 관계 관점을 견지하는 비판적인 남성건강 연구는 일부 남성 집단뿐만이 아니라, 인구의 보편적인 건강증진을 위해 필수적이다. 현 시점 남성건강 연구의 진전을 가로막고 있는 주요한 학문적 과제는 남성성과 남성건강에 대한 통합된 이론틀의 미비이다. 남성건강 이론의 빈곤은 남성의 건강은 어떠해야 한다는 전제로부터 결과 해석을 곧장 도출하는 구조주의적 오류와, 그 반향으로 일반화된 이론적 가정 자체를 포기하는 최소주의적 한계의 원인이 되고 있다. 본고는 생물학적 성을 중심으로 여성과 남성의 건강을 단순 대비시키기보다, 남성 내부의 건강 격차가 발생하는 중범위 차원의 기전에 천착함으로써 이론적 정교화를 꾀했다. 그 과정에서 대표적인 젠더 관계 이론으로 비판적 남성건강 연구를 촉발시킨 Raewyn Connell의 ‘헤게모니적 남성성’ 개념에 주목하여, 남성성이 사회규범의 형태로 개인에게 수용되는 과정에서 규범 순응 양상이 구분되며, 이는 남성성 자본 축적 행동 및 심리적 긴장 등의 차이로 이어져 남성 내부의 건강 격차를 발생시킨다고 정리하였다. 그리고 이런 격차는 특히 남성성 규범에 극단적으로 비순응하는 유형에서 두드러져 해당 유형이 유독 나쁜 건강결과를 보일 것으로 예측하였다. 가설의 검증을 위해 별도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022년 1~2월 중 전국의 만 19세 이상 70세 미만 성인 1,331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을 이용해 “성역할과 건강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그 중 수집된 남성 사례 897개를 분석에 투입하였다. 먼저 남성성 규범 순응 유형 분류를 위해 절대적 지시적 규범으로서 남성 성역할, 상대적 지시적 규범으로서 전통적 성역할태도, 기술적 남성규범 변수를 이용한 잠재프로파일분석(Latent Profile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각종 적합도 및 분류의 질 확인 결과 4개 집단으로 규범 순응 유형이 분류되었다. 각 유형의 특성에 따라 4개 유형을 적극 순응(극단적 순응) 유형, 소극 순응 유형, 혼합 유형, 무관심(극단적 비순응) 유형으로 명명하였다. 인구사회 변수를 살폈을 때 무관심 유형(m=39.90)과 혼합 유형(m=37.24)이 다른 두 유형에 비해 평균 연령이 7~10세가량 낮았다. 또한 무관심 유형의 가구소득(약 300만원)은 나머지 유형에 비해 70만원 정도 적었다. 남성성 규범 순응과 건강관련행동 사이의 관계는 음주행동 및 음주관련변수를 중심으로 경로분석을 실시하여 살폈다. 음주관련변수로는 단체참여와 친한 이웃 수, 충동성을 선정하였다. 유형간 음주행동의 차이를 확인하자 소극 순응 유형이 혼합 유형에 비해 음주빈도와 총 음주량이 유의미하게 더 많았다. 경로분석 결과 적극 순응 유형은 단체참여와 친한 이웃 수가 높아 음주량이 많은 반면, 무관심 유형은 높은 충동성이 음주량을 늘리고 있었다. 연간음주자 남성만을 따로 뽑아 남성성 규범 순응과 고위험음주와의 관계를 살폈을 때는, 무관심 유형의 충동적 음주 행태가 고위험음주를 늘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남성성 규범 순응 유형에 따라 건강위험행동 패턴에 차이가 있다는 가정에 부합하는 것이다. 남성성 규범 순응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살피기 위해 남성성 규범 순응 유형이 일반신뢰의 차이로 이어지고, 일반신뢰는 공격적으로 맞서기 대처양식을 거쳐 우울로 귀결되는 이중매개모형을 구성하였다. 취약집단으로 지목된 무관심 유형은 다른 유형에 비해 유의미하게 일반신뢰가 낮은 반면, 공격적으로 맞서기 대처양식과 우울은 높게 나타났다.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이중매개모형을 구성하며 상정한 모든 상관관계가 신뢰수준 95%에서 유의미한 값을 보였다. 남성성 규범 무관심 유형 더미는 일반신뢰와 극단적으로 맞서기 대처양식 각각을 매개로 우울을 악화시켰으며, 두 매개변수를 모두 거치는 이중매개효과 또한 존재할 개연성이 있었다. 남성성 규범 순응과 신체건강의 연관성은 주관적 건강상태 변수를 이용해 확인하였다. 이환된 만성질환, 스트레스, 운동참여, 총 음주량 변수를 통제한 상황에서도 남성성 규범 순응 유형과 주관적 불건강 더미 사이에 상관관계가 존재하는지를 살폈다. 공분산분석 및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각종 인구사회변수 및 건강관련변수를 통제한 상황에서도 무관심 유형이 다른 규범 순응 유형에 비해 주관적 불건강이 높았다. 이는 남성성 규범 순응이 신체건강에 영향을 미친 결과로 판단되나, 심각한 신체건강 저하가 남성의 자신감을 떨어트려 각종 남성 성역할규범에 대한 순응도를 낮춘 결과일 확률도 있다. 한편 탐색적 분석 결과 적극 순응 유형이 지닌 자부심이 자신의 건강 문제를 과소 보고하는 동기가 되었을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유형 별로 연구결과를 정리하자면 남성성 규범 적극 순응 유형은 평균 연령이 높은 집단으로 권위적 남성성의 특성을 나타냈다. 이들은 남성성 자본을 많이 축적하여 사교적 음주를 하고 음주량이 많다. 다각적이고 적극적인 스트레스 대처 전략을 가지며 정신건강과 신체건강 결과가 양호하다. 다만 자기 자신에 대한 자부심으로 인해 건강 수준을 과잉 보고할 개연성이 있다. 역시 평균 이상 연령에 집중되어 있는 소극 순응 유형은 공모적 남성성의 특성을 상대적으로 강하게 띨 것으로 추측된다. 적극 순응 유형만큼은 아니나 남성성 자본이 많은 한편으로, 초남성적 행태로서 공격적으로 맞서기와 충동성 수준 또한 낮지 않은 편이다. 두 특성이 결합되어 음주 등 위험행동을 많이 하게 되나, 적절히 남성성 자본을 소비하여 완충효과를 누리는 덕에 건강을 유지한다. 한편 상대적으로 연령이 낮고, 남성 성역할엔 긍정적이나 전통적 성역할태도는 거부하는 혼합 유형은 저항적·초국적 기업가적 남성성의 모습이 비교적 크게 나타난다. 남성성 자본은 적으나 음주 행동이나 공격적으로 맞서기 등 ‘남성다운’ 위험행동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어 건강이 양호하다. 또 다른 저연령 유형인 무관심 유형은 주변화 될 위험이 있는 유형으로 남성성 규범 극단적 비순응 집단에 속한다. 이 집단은 소득이 상대적으로 낮고 남성성 자본도 쌓지 않으며 성공에 대한 기대나 희망이 적다. 다른 유형에 비해 강한 초남성적 특성을 드러내어 스트레스에 공격적으로 대처한다. 그 결과 무관심형은 충동적 음주패턴을 보이는 한편 정신건강과 신체건강 역시 가장 나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횡단면자료를 이용하여 변수 간 인과성 추론에 어려움이 있고, 장기간에 걸친 남성성 규범의 영향을 포착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사용한 도구가 남성성 규범 순응 이론에 맞춰 개발된 것이 아닌 까닭에 그 타당도와 신뢰도가 충분히 검증되지 못한 점 또한 미흡한 부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논문은 헤게모니적 남성성이 남성 내 건강 격차의 원인 중 하나임을 밝히고 있으며, 비판적 접근법을 택하여 젠더 관계 측면에서 한국 남성의 남성성과 남성건강의 기전을 분석하여 희소성이 있다. 연구 결과 남성성 혹은 남성다움에 부합하는 행동을 할수록 건강이 악화된다는 전통적인 가정을 벗어나는 양상이 관측된 점 또한 특기할 만하다. 본 논문은 이론적으로는 남성성 규범과 남성건강에 대한 보다 일반화된 가정을 제시하고 있으며, 방법론적으로 남성성 규범 순응 유형의 분류를 통해 상이한 남성성 규범 변수들을 패턴화하여 통계 분석에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는 기전에 대한 이론적 배경이나 분석 모형 없이 여러 연관 변수의 영향을 산발적으로 관찰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닌, 보다 정교한 모형을 지닌 남성건강 경험 연구의 자리를 예비한 것이다. 그리고 남성건강 연구에 남성성의 사회관계 측면을 고려하는 방안으로써 남성성 자본 개념의 활용 가능성을 보였다. 그 외에도 이론적 근거 없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은 남성건강 측정도구들과 연관 변수들의 의미를 선행연구들로부터 찾아내 명시하였으며, 경험 연구 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구체적인 문제들을 예시하고 해결책을 제의하였다. 종합하자면 이론과 방법론 양 쪽에서 향후 더욱 정합적이고 치밀한 비판적 남성건강 연구의 가능성을 개진한 데 본 논문의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젠더 관계 안에서 남성은 단일한 집단으로 존재하지 않으며, 보다 중심적인 집단과 주변화된 집단이 구분될 수 있음을 재확인한다. 더 이상 결정권자로서 가장의 지위를 약속받지 못하는, 열악한 사회경제적 조건에 놓인 청년 남성들은 가계 부양이나 성공 지향과 같은 전통적 남성성 규범들로부터 도피한다. 이들에게 건강을 위해 과거의 권위적 남성성 모델을 따르라고 강요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을 뿐더러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다. 기존의 남성성 규범이 여러 건강위험행동을 남성성의 핵심으로 규정할 뿐만 아니라, 순응 정도에 따라 발생하는 사회적 압력과 긴장이 불건강의 원인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든 젠더를 포괄하는 보편적 건강증진을 위해서는 건강을 중시하는, 보다 젠더 평등한 대안적 남성성의 구축이 함께해야 한다. 건강 자체를 인간의 권리로 여겨 서로가 서로의 건강을 지탱하는 행동방식이자 관계로서 ‘돌보는 남성성’ 등 새로운 남성에 대한 상상력이 필요하다. 생물학적 남성을 넘어 사회관계로서 젠더에 주목하는 남성건강 연구의 활성화가 현 시점에 더욱 절실한 이유이다. Around 2017, "deaths of despair" is drawing attention from the academic community. This is a concept advocated by A. Deaton, who received the Nobel Prize in Economics for his research on inequality, pointing out that men with low socioeconomic status are more exposed to health problems such as addiction and suicide. Until now, men’s health research that explores men's physical, mental, and social well-being has been overlooked. However, health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gender relationships that are not substituted for income, occupation, and ethnicity as a social phenomenon. Men’s health increases the burden of care in society and causes violence in men, affecting the well-being of other genders. Not only among genders but also within male genders, inequality in health appears depending on the pattern of individuals and groups pursuing masculinity. Therefore, critical male health research is essential for universal health promotion across the population beyond some men. It is more timely in Korean society where health gaps are clearly observed inside and outside gender. The main problem that is blocking the progress of men’s health research at this point is the lack of a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role of masculinity in men’s health. Defects in the theory of men’s health are causing structural errors that directly derive the results from the premise that men’s health should be, and give up the theoretical assumptions themselves generalized by their repercussions. This paper attempted theoretical elaboration by focusing on the mid-range mechanism in which the health gap within men occurs, rather than simply preparing for the health of biological women and men. In the process, attention was paid to the concept of hegemonic masculinity, which triggered critical research on men’s health. The differences of attitudes within types of conformity to masculinity norms leading to variances in masculinity capital accumulation behavior and psychological tension. In addition, this gap was especially noticeable in the type of extreme non-conform with masculinity norms, and it was predicted that the type would show particularly poor health results. A survey was conducted to verify theoretical assumptions. In January-February 2022, "gender role and health survey" was conducted on 1,331 adults aged 19 to 70 across the country, and 897 male cases collected were analyzed. First, a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gender roles as an absolute injunctive norm, traditional gender role attitude as a relative injunctive norm, and descriptive norm variables to classify the type of conformity to masculinity norms. As a result of checking the quality of various suitability and classification, conformity type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the four types were named as active conformity (extremely conform) type, passive conformity type, mixed type, and indifference (extreme non-conform) type. When looking at demographic and social variables, the average age of the indifference type (m=39.90) and the mixed type (m=37.24) was about 7 to 10 years lower than the other two types. In addition, household income (about 3 million won) of the indifference type was about 700,000 won less than that of the other types. The relationship between masculinity and health-related behavior was examined by conducting a path analysis focusing on drinking behavior and drinking-related variables. Group participation, the number of close neighbors, and impulsiveness were selected as drinking-related variables. When confirming the difference in drinking behavior between types, the frequency of drinking and the total amount of drinking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assive conformity type than in the mixed type. As a result of path analysis, the active compliance type had a high number of neighbors who were close to group participation, while the indifference type had a high amount of alcohol, which increased the amount of alcohol. When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ormity to masculinity norms and high-risk alcohol use, it was found that impulsive drinking behavior of the type of indifference increased high-risk alcohol using. This is consistent with the theoretical assumption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extreme non-conform type and the extreme conform type of health risk behavior.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conformity to masculinity norms on mental health, a dual-mediated model was constructed in which the conformity type led to differences in general trust, and general trust resulted in depression through aggressive coping styles. The type of indifference pointed out as a vulnerable group had significantly lower general trust than other types, while the aggressive coping style and depression were higher. As a result of conducting a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all correlations assumed by double mediation model showed significant values at the confidence level of 95%. The indifference type dummy exacerbated depression through each of the coping styles of extreme confrontation with general trust, and there was a possibility that a dual mediating effect that went through both parameters would also exist.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ormity to masculinity norms and physical health was confirmed using self-rated health(SRH) variables. Even in situations where affected chronic diseases, stress, exercise participation, and total alcohol consumption variables related to SRH were controlled, it was examined whether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type of conformity to masculinity norms and subjective poor health. As a result of covariance analysis and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even in situations where various demographic and social variables and health-related variables were controlled, the type of indifference was higher in subjective poor health than other types of conformity. This is judged to be the result of conformity to masculinity norms affecting physical health, bu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serious physical health deterioration is the result of lowering male confidence and lowering conformity to various male gender role norms. Meanwhile, as a result of exploratory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pride of the active conformity type was the motivation to underreport one's health problems.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e study by conformity type, the type of active conformity to masculinity norms was a group with a high average age and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authoritative masculinity. By accumulating a lot of masculine capital, they drink alcohol socially and drink a lot. It has a multilateral and active stress coping strategy and has good mental and physical health. However, there is a possibility of overreporting health levels due to pride. It is estimated that the passive conformity type, which is also concentrated in high age, will have relatively strong characteristics of complicit masculinity. Although not as much as the type of active conformity, there is a lot of masculine capital, while aggressive confrontation and impulsiveness are not low as hypermasculine behavior. Although the two characteristics meet and are amplifie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risk behavior such as drinking, mental health and physical health are good thanks to the buffering effect of masculine capital. On the other hand, the mixed type, which is relatively low in age and rejects traditional gender role attitudes, shows a relatively large appearance of resistant and transnational business masculinity. Although there is little masculine capital, mental and physical health are good because they tend to avoid risk behaviors such as drinking behavior or aggressive confrontation. Another low-age type, the indifference type, is a type with a risk of marginalized, and belongs to the masculine norm extreme non-conform type. This group has relatively low income and very little masculine capital. They respond aggressively to stress by showing hyper-masculine characteristics. As a result, the indifference type showed an impulsive drinking pattern, while mental health and physical health were also the worst. This study has a limitation in that it is difficult to infer causality between variables using cross-sectional data, and it is difficult to capture the influence of masculinity norms over a long period of time. Since the tool used was not developed according to the theory of conformity to masculinity norms, the lack of sufficient validity and reliability is also insufficient. Nevertheless, this paper reveals that hegemonic masculinity is one of the causes of the health gap within men. It is also provided empirical evidence to refute the traditional assumption that health deteriorates as you act in accordance with masculinity. This study theoretically suggests a more generalized assumption of masculinity norms and men’s health, and methodically suggests that different masculinity norm variables are patterned and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rough classification of types of conformity to masculinity norms. This is not just sporadic observation of the effects of several associated variables without sophisticated theoretical backgrounds or analysis models, but rather a place for men’s health research with a more sophisticated model. In addition, the meanings of men’s health measurement tools and related concepts, which are often used without theoretical background or basis, were found and specified from previous studies, and specific problems that may arise during the experience study were exemplified and solutions were proposed. In summary, both theory and methodology are significant in this paper to enhance the possibility of more consistent and sophisticated critical research on men’s health in the future. This study reaffirms that men do not exist as a single group within a gender relationship, and that a more central group and a marginalized group can be distinguished. Young men in poor socioeconomic conditions, who are no longer promised the status of the head of the household, flee from traditional masculinity norms such as household support and success orientation. Forcing them to follow the authoritative masculinity model of the past for their health is not realistic and cannot be a solution. This is because existing masculinity norms not only define various health risk behaviors as the core of masculinity, but also social pressure and tension that occur depending on the degree of conformity are causing health problems. Therefore, in order to promote universal health that encompasses all genders, the establishment of a more gender-equal alternative masculinity that values health must be accompanied. Considering health itself as a human right, it is necessary to have an imagination of new men, such as “caring masculinity," as a way of behavior and relationships that support each other's health. This is why it is more urgent to revitalize male health research that focuses on gender as a social relationship beyond biological men.

      • 개발독재 체제의 '조국 근대화'와 남성성 : 황석영, 최인호의 중단편 소설을 중심으로

        정재훈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개발독재 체제가 추동한 ‘조국 근대화’가 한국 사회의 가부장제화 또는 남성 동성사회화 과정을 수반하였음을 확인하고 그 과정에서 여러 남성성 및 남성 주체가 구성되는 메커니즘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남성성 및 헤게모니적 남성성을 규정하고 그것의 구성 원리를 제시하였다. 선행연구에서 개발독재 시기의 이상적·규범적 남성성을 규정하는 관점은 크게 그것을 사회적 지위와 경제적 능력을 가져 핵가족 가정을 부양하는 가장됨으로 보는 관점, 군사적이거나 마초적인 육체의 능력 내지 이미지로 보는 관점으로 나뉘었다. 본 연구에서는 양자 모두 남성성을 모종의 속성 또는 자질들의 목록으로서 규정하려 한다고 보았으며, 그와 달리 남성성을 자본주의-가부장제 사회 근저의 젠더·섹슈얼리티 구조 내의 위치이나 관계성으로서 규정하고자 하였다. 또, 서구의 남성성과는 구별되는, 한국의 개발독재 체제의 맥락에서의 남성성 구성에 영향을 미친 핵심적인 조건을 군사적 동원과 산업적 동원이 결합된 동원 체제 하에서의 피동원성에서 찾았다. 아울러, 선행연구들 전반에 걸쳐 개발독재 체제 하에서 남성 개인들이 (체제가 표방하는 바를 따라) ‘초남성화’되었다고 보는 관점과 (체제가 ‘강한 남성성’을 독점하고 남성 개인들을 억누름에 따라) 남성성의 약화를 겪거나 심지어는 ‘여성화’되었다고 보는 관점이 혼재되어 있었는데, 이와 같은 서로 상반된 테제를 종합하는 관점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황석영의 1970년대 중단편 소설들이 일종의 ‘남자 되기’ 서사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그 텍스트들을 해석함으로써 산업화로 인해 형성되고 공고해져 간 계급 구조가 남성 동성사회적인 것임을 살펴보았으며, ‘민중’으로 표상된 군사적·산업적 피동원자 남성 특유의 남성성의 특징을 확인하였다. 황석영과 최인호 각각의 거세 서사를 나란히 놓고 분석함으로써는 개발독재 체제의 노동자 또는 국민 만들기 과정이 남성성의 순치로서의 성격을 지닌다는 점을 포착하였다. 최인호의 초기 중단편 소설이 개발독재 체제의 미시 권력 및 통치성을 예민하게 포착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산업 영역이 군사화되는 과정이 남성 개인들을 남성 동성사회화하는 과정으로 드러난다는 점을 살펴보고, 개발독재가 지배적 남성성에 관한 욕망을 부추기면서도 남성성을 순치하는 이중의 ‘남자 만들기’ 전략을 구사하며 그에 따라 남성 주체가 분열적으로 구성되거나 주변화되는 양상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텍스트 해석을 통해 고찰한 바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발독재 체제에 의해 추동된 근대화(반공적 군사주의에 의해 뒷받침된 산업화·자본주의화)는 계급 구조를 비롯한 사회의 공적 영역을 남성 동성사회화하고 그 과정에서 여성을 (이)성애적 대상으로 위치 짓는 식의 젠더·섹슈얼리티적 구조 형성을 필요로 했다. 둘째, 이는 남성 개인들에게는 남성으로 (재)주체화하는 과정이기도 했는데, 그러한 ‘남자 되기’는 (서구로부터 수입되어 모방적으로 담론화된) 헤게모니적 남성성을 달성하고 체득해나가는 과정만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며 오히려 다양한 방식의 비헤게모니적 남성성(본고의 용어로 하면 ‘경색된 남성성’) 구성 과정으로 나타났다. 셋째, 비헤게모니적 남성성들의 출현은 개발독재 체제의 ‘남자 만들기’의 젠더 정치의 실패 혹은 그에 대한 저항이 아니라, 체제가 남성 주체들을 군사적·산업적 피동원 주체로 구성하는 과정의 일환이자 남성 동성사회적 공적 영역을 위계화하는 과정의 일환이다. 넷째, 그렇지만 비규범적·비헤게모니적 남성성은 단지 지배 체제에 의해 일방적으로 구성되기만 하는 것은 아니며, 어느 정도는 대항담론의 생산자들이 스스로를 피동원적 존재로 내지는 ‘민중’으로 인식하고 재현하는 과정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기도 하다. 다섯째, 그렇다 하더라도 개발독재 시기의 남성 ‘국민’/‘민중’들은 궁극적으로는 남성성과 남성 주체를 구성해내는 체제의 젠더적 전략의 영향력 내에 들어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 전략이란, 한편으로 지배적 남성성에 대한 욕망을 포기하지 말 것을 종용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남성 주체를 동원할 수 있도록 남성성을 길들이는 식으로 이중적인 힘을 발휘하여 작용하는 것이다. 그 모순적·이중적인 힘의 작용이 어떤 다른 요인들과 만나고, 주체들이 그것을 어떻게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각자 다른 방식의 남성성 구성이 이루어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confirm that the “national modernization” propelled by the develop-mental dictatorship regime was accompanied by a process of patriarchalization or male homo¬socialization in South Korean society, and to examine the mechanisms by which multiple mas¬culinities and male subjects are constructed in the process. First, this study redefines (hegemonic) masculinity and shows its constitutive mecha-nisms. In previous studies, the perspective that defines ideal and normative masculinity in the developmental dictatorship period has been divided into two main categories: one that views masculinity as embodying social status and economic ability to support the nuclear family, and another as a militaristic or macho-like physical ability or image. This study claims that both perspectives attempt to define masculinity as a list of attributes or qualifications. In con¬trast, this paper tries to define masculinity as a position or relationality within the gender-sexuality structure underlying capitalist-patriarchal society. Moreover, this thesis argues that a key condition that influenced the construction of masculinity in the South Korean context, distinct from Western notions of masculinity, is found in the combined mobilization system of military mobilization and industrial mobilization. Furthermore, throughout previous studies, the following perspectives coexisted: first perceives male individuals under the developmental dictatorship regime as becoming “hypermasculinized” (as the regime promotes), and second perceives them as being emascu-lated or even “feminized” (as the regime monopolizes “strong” masculinity and suppresses male individuals). This study pursues developing a comprehensive perspective that reconciles and syn¬thesizes these conflicting theses. By paying attention to the fact that Hwang Sok-yong’s 1970s short stories and novellas have a narrative of “becoming a man,” the analysis of these texts reveals that the class structure formed and consolidated by industrialization is a male homosocial one, and identifies the fea¬tures of masculinity peculiar to men represented as minjung[people/folk], “the moblized men” who are called up by the mil¬itary and the industry. By analyzing the respective “castration narratives” of Hwang Sok-yong and Choi In-ho, this thesis captures how the process of making laborers or kukmin[citizens of the nation] under the developmental dictatorship possesses the character of taming masculinity. By noting how Choi In-ho’s early short stories and novellas sensitively detect and represent the micro-power and governmentality of the regime, this study examines how the process of militarizing the industrial sphere is revealed as a process of male-homosocialization of individual men, and how the developmental dictatorship employs a dual “man-making” strategy which, while fueling desires for dominant masculinity, also tames masculinity as docile, resulting in the formation of male subjects as dualistic, disrupted, or marginalized. The observations made through the analysis of these texts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irst, the modernization driven by developmental dictatorship (industrialization and capitalization supported by anti-communist militarism) necessitated the establishment of gender-sexuality structures that male-homosocialized the public sphere and positioned women within the private sphere as objects of (hetero)sexual desire. Second, this process was also a process of (re)subjectivizing as men for individual men, whereby “becoming a man” did not appear as a process of achieving and acquiring hegemonic masculinity (imported from the West and mimicked into a discourse), but rather as a process of constructing various forms of non-hege¬monic masculinities (referred to in this study as “stagnant masculinities”). Third, the emergence of non-hegemonic masculinities is not a failure of the gender politics of the developmental dictatorship regime or resistance against it, but rather an integral part of the process of con¬structing male subjects as “the mobilized” in the military and industrial spheres, as well as hierarchizing the male homosocial public sphere. Fourth, non-normative and non-hegemonic masculinities are not simply constructed by the regime, but are also, to some extent, shaped through the processes in which the producers of counter-discourses perceive and represent themselves as “the mobilized” or minjung. Fifth, even so, male “kukmin” or “minjung” are ultimately influenced by the gendered strategy of the regime that constitutes masculinity and male subjects. This strategy operates by simultaneously exerting dual, ambivalent forces: on the one hand, it exhorts men not to give up their desire for dominant masculinity, and on the other hand, it tames masculinity so that male subjects can be easily mobilized. Consequently, diverse forms of masculinity are constructed depending on how these contradictory and ambivalent forces intersect with other factors and how the subjects receive and respond to the forces.

      • 위기적 남성성 재현에 관한 연구 : 90년대 후반 한국 영화를 중심으로

        이현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논문은 한국 사회의 근대화 프로젝트 시기에 형성된 근대적 남성성이 97년도 IMF 금융 위기로 표상되는 ‘위기’ 국면을 지나면서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영화들에 나타난 남성성의 재현 양상을 분석하고 있다. 그럼으로써 ‘위기’를 겪은 남성들이 ‘남성’ 주체를 어떻게 인식하고 현실을 어떤 방식으로 구성하고 있는지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남성 주체가 남성성의 변화를 받아들이는 태도가 ‘위기’ 전후로 어떻게 다른지를 밝힘으로써 한국 사회의 근대적 남성성이 현재까지 삶의 조건으로 융해되어 있는 특정 요인을 밝혀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한국 사회의 근대적 남성성의 범주를 1) 사회적 관계와 사회적 삶의 지표로서의 측면, 2) 사적 영역인 가정에서의 관계 측면, 3) 여성에 대한 관계 구성의 측면으로 구분하여 각 범주에 대해 1) <친구(2001)> 및 조폭 영화들, 2) <해피엔드(99)>, <플란다스의 개(2000)>, 3) <파이란(2001)>, <나쁜 남자(2001)>를 각각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이 영화들은 각 범주의 특징에 따라 1) <친구>와 같은 조폭 영화들이 아버지의 규범과 남성 연대를 준거로 하는 남성 정체성을 구성하고 있으며 한국 사회의 근대적 남성성으로 복귀를 재현하고 있다는 점, 2) <플란다스의 개>와 <해피엔드>는 가정에서의 관계에서 부양자 지위의 상실에서 비롯된 남성성의 상실을 여성에 대한 단호한 처벌과 공적 영역에서의 퇴출로 회복하려 한다는 점, 3) <파이란>과 <나쁜 남자>는 여성에 대해 성별 관계의 변화의 지평을 무시하고 있는 부적응적인 현실의 남성성이 상상적 여성성을 구성함으로써 과거의 여성성에 대한 환상을 가진 유아적 남성성으로 퇴행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렇듯 남성성은 90년대 들어서 근대 형성기와는 다른 속성으로 변화된 양상을 보여주다가, 경제적 위기의 국면을 지나면서 다시 과거로 돌아가고 싶어 하는 욕망을 보여주는 등의 굴절을 겪게 된다. 근대 사회에서 주변적이었던 주체인 조직 폭력배를 호명하면서 강하게 남성들을 결집해 내는 중심을 세우고 여성과 여성 친화적인 주체들을 소거하는 남성 연대를 도모하는 것이다. 그런가 하면 근대의 주역이었던 남성 주체들은 근대로의 복귀가 불가능하다는 현실을 깨닫지만 내재된 근대성으로 인해 변화된 지평에 적응력이 부재한 갈등을 겪는다. 그러나 이들의 선택도 역시 여성과 여성 친화적인 주체들에 대한 처벌로 회귀한다. 또한 남성 연대에서도 배제되고 여성과의 소통도 거부당한 남성은 지극히 폭력적으로 여성의 섹슈얼리티를 유린하거나 여성을 탈역사화, 탈공간화시키면서 ‘현실의 여성들’이 아니라 ‘상상의 여성’을 만들어 낸다. 이렇게 영화적으로 재현된 남성성의 위기 대응 방식은 과거로 복귀, 이분법적 성별 관계와 위치의 회복, 상상으로 퇴행이라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것은 200년대를 사는 현실의 남성들이 자아를 인식하고 현실을 구성하는 방식에서 드러나는 딜레마와 연관된다. 이 연구는 기본적으로 근대적 성별 관계가 변화해 가는 흐름에서 남성들이 자기 정체성과 성별 관계에서의 딜레마에 어떻게 적응할 수 있을 것인가에 관심을 갖는다. 여성들이 자기 정체성을 탐구하고 그 의미와 지평을 확립해 가는 여성성에 대한 연구 못지않게 남성성을 대중문화에서 그리고 현실의 사회적 조건에서 연구하는 것은 중요할 것이다. This thesis analyzes the types of masculinity representation in films in order to view how the modern masculinity in Korea has been changed through the IMF crisis. It also analyzes how the men after the 'crisis' situation would restructure the reality. Here, its focus is on the difference of the men's attitude in accepting the changes of masculinity and gender relationship so that it can clarify how the modern masculinity in Korea has lasted up to now. In this thesis, modern masculinity in Korea would be divided into 1) the aspect as social relationship and conformity, 2) the aspect of each state in a family of the private sphere, and 3) the aspect of its formation of relations with women. For each category, following films are analyzed. 1) <Friend (2001)> and other Korean gangster films 2) <Happy End (1999)>, <A Higher Animal (2000)> 3) <Failan (2001)>, <Bad Guy (2001)> The category 1) deals with the Korean gangster films as the signals of a desire for social relations. These films form a the identity of men based on the rules of 'Father' and the solidarity among homogeneous men. Also, they represent men's return to modern masculinity in Korea. Men In the category 2) lost their state as family supporter. The loss of their state causes the loss of modern masculinity in his family, and they try to recover it by punishing women with own discretion and expelling women from the public sphere. The category 3) is focused on the degenerative men to an infantile one with fantasy of feminity of the past. In the films, unadaptable men to changed circumstances in feminity and gender relationship form women in fantasy. The masculinity formed the modernization of Korean society had showed a new aspect in 90's, but as it went through the economic crisis in late 90's, it then exposed a desire of returning to the past in a way. The desire makes the gangsters who were the outsiders of modern society the core of the men solidarity and gets rid of women from the solidarity. On the other hand, the men who were the main subject of modernization realizes that the return to the modern masculinity is impossible, but the embedded modern masculinity in themselves prevents them from being adapted to the reality. Anyhow, their choice is also the punishment. And the men who were excluded by men solidarity and refused by women become one-sided and violent. They trample down the female sexuality or expel women extremely from the real history, from the real space. After all, they don't form the 'women in reality' but the 'women in fantasy'. The responses of masculinity to a 'crisis' represented in the recent Korean films show the return to the past, to the recovery of gender relationship in modern way, and the degeneration to the fantasy. These can explain the present dilemmas of men living in Korean society and exemplify the ways they recognize who they are and the way they organize their own reality. This study is basically interested in how men can be adapted to changed circumstances and face the dilemmas in their identities and in the new gender relationship. It would be important to study not only feminity who has already searched and broadened their identity, but also masculinity in the mass media and in the social condition.

      • 남성군인의 남성성에 대한 수용자 해석 연구 : 채널A <강철부대> 수용자를 대상으로 한 포커스 그룹 뷰잉 앤 인터뷰 결과를 중심으로

        윤상호 고려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채널A <강철부대 시즌2>에서 재현하는 우리 사회의 남성성에 대해 이해하기 위해 코넬(Connell)이 제시한 지배적 남성성에 대한 개념과 멀비(Mulvey)의 시선에 대한 논의를 활용했다. 남성성은 그 시대적 상황에 따라 변화하며, 내부적으로는 다양한 형태의 남성성이 지배적 남성성의 지위를 차지하기 위해 경쟁한다. 우리 사회의 남성성 역시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화해왔다. 전통적인 남성성은 강하고 마초적인 형태였다면, 현대적인 남성성은 부드러운 모습을 보인다. 미디어 역시 이렇게 변화하는 남성성에 대한 담론에 맞추어 남성을 재현한다. 본 연구는 강한 남성의 모습을 보여주는 군대를 배경으로 한 예능프로그램에서 해석할 수 있는 남성성에 대한 담론에 대해 고찰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20대 대학생 및 대학원생 18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뷰잉앤 인터뷰(Focus Group Viewing and Interview)를 진행했다. 인터뷰를 통해 미디어에서 재현하는 군인의 모습과 현 시대의 지배적 남성성에 대한 담론을 이해하고 군인정신과 남성성의 맥락을 해석하고자 했다. 나아가 군인의 몸을 바라보는 시선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 했다. 연구 결과, 군인의 남성성은 우리 사회의 남성성과 비슷하게 조금 더 따뜻하고, 덜 마초적인 형태로 나타났다. 또한 군인정신은 지배적 남성성과 연결되어 있었으며, 우리 사회에서도 이러한 군인정신을 개인들에게 요구하는 측면이 있었다. 특히 인터뷰 참여자들은 군인정신에 대해 투혼, 의지, 정신력, 리더십, 팔로우십, 인내심, 명예, 희생정신 등의 키워드로 연관지었다. 한편 군인의 몸을 바라보는 시선은 성별, 성장 환경에 따라 다양했으나, 남성 수용자들은 동경과 경외심이 어린 시선으로 군인의 몸을 응시하고 있었다. 또한 남성 수용자의 경우 여성들이 군인의 몸을 섹슈얼리티적 관점에서 바라볼 것이라 이해하고 있었으나, 여성들은 그러한 관점에서 군인의 몸을 응시하지 않았다. 이는 <강철부대> 전반에 흐르는 전투적인 배경음악, 분위기 등 여러 환경이 여성들의 성적 응시를 가로막는 장애물로 작용했다. 본 연구는 남성과 여성 수용자들이 이해하는 군인에 대한 남성성을 해석했다. 현대의 남성성은 과거의 마초적인 남성성과는 다르며, 그렇기에 군인의 모습을 미디어에서 재현할 때도 이러한 시대적 변화에 맞추어 조금은 부드러운 형태의 군인을 재현할 필요가 있다. 비록 군(軍)은 강하고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킬 수 있는 모습의 군인을 미디어를 통해 홍보하고 싶어 하지만, 그러한 노력이 국민적 눈높이와 차이가 있다면 홍보 효과는 미미해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렇기에 본 연구는 향후 군인의 미디어 재현을 지원하는 군(軍)의 콘텐츠 제작 업무에 지향해야 할 시사점을 발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In order to understand the masculinity of our society reproduced in Channel A <Iron Squad Season 2>, this study used the concept of dominant masculinity presented by Connell and the discussion of Mulvey's perspective. Masculinity changes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of the times, and internally, various forms of masculinity compete for the position of dominant masculinity. The masculinity of our society has also changed with the trend of the times. While traditional masculinity was strong and macho, modern masculinity shows a soft appearance. The media also reproduces men in line with this changing discourse on masculinity. This study examined the discourse on masculinity that can be interpreted in entertainment programs set in the military, which shows the appearance of strong men. To confirm this, a focus group viewing and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18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in their 20s. Through interviews, we tried to understand the discourse on dominant and non-dominant masculinity in the current era through the appearance of soldiers reproduced in the media and also interpret the context of military spirit and masculinity. Furthermore, I wanted to examine the view of the soldier's bod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masculinity of soldiers appeared in a warmer and less macho form, similar to the masculinity of our society. In addition, the military spirit was connected to the dominant masculinity, and in our society, there was an aspect that required this military spirit from individuals. In particular, the interviewers related the military spirit with keywords such as fighting spirit, will, mental strength, leadership, follow-up, patience, honor, and sacrifice spirit. Meanwhile, the view of the soldier's body varied depending on gender and growth environment, but male inmates were staring at the soldier's body with longing and awe. In addition, male interviewees understood that women would look at the soldier's body from a sexuality point of view, but women did not stare at the soldier's body from that point of view. This served as an obstacle to women's sexual application, including the combative background music and atmosphere flowing throughout the "Iron Squa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nterpreted the masculinity of male and female interviewees against soldiers and found implications for content production that supports the reproduction of soldiers' media in the future.

      • '일본사회의 남성성'에 관한 실증적 연구 : 홉스테드(Hofstede)의 국가문화이론에 준거하여

        최두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6

        현대 일본문화론의 연구는 일본패전을 계기로 한 베네딕트(Benedict)의 『국화와 칼』에서 출발하여, 이후 나카네(中根千枝)의 『일본적 사회구조의 발견』, 도이(土居健郞)의 『아마에의 구조』, 하마구치(浜口惠俊)의 『‘일본다움’의 재발견』, 그리고 이어령의 『축소지향의 일본인』등 수많은 저서가 발표되었다. 하지만 이들은 선택적이며 내재적인 연구에 머물러 자기완결에 그침으로써, 세계 각국의 문화라는 전체 틀 속에서 일본문화를 이해하는 데에는 적절하지 못하였다. 사회과학적으로 보다 보편타당한 연구가 되기 위해서는, 모든 국가에 적용되고 계량적으로 검증되는 문화측정 척도를 개발하고, 이를 통해 세계각국의 문화속에서 개별 국가의 문화를 설명하는 연구가 요구되었다. 현대의 사회과학자들은 높은 추상성의 문화를 측정가능한 문화차원들로 재구성하여 문화를 설명하고자 하였는데, 이중에서 가장 널리 수용되어 국가문화 평가의 패러다임으로 자리잡은 것이 홉스테드(Hofstede)의 국가문화이론이다. Hofstede는 다국적기업 IBM의 72개국 11만 7천명에 이르는 지사 직원들을 대상으로 광범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세계 각국의 문화를 비교설명하였다. 그리고, IBM조사 결과로 나타난 문화차원들에 대해 2차자료와의 접목을 통해 각 문화차원에 따르는 하위가치와 사회규범 및 현상을 제시하였다. Hofstede의 연구에서 일본은 세계에서 가장 높은 남성성의 국가이고, 따라서 ‘남녀차를 강조한다, 자기주장적이다, 능력에 따른 차별을 지향한다, 독립지향이다, 성취를 추구한다, 크고 빠른 것이 아름답다’는 가치를 지닌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일본문화의 기존연구나 실제상과는 상당한 차이를 보이는 평가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Hofstede의 국가문화이론에 준거하여 일본사회에서 남성성의 하위가치들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조사하여 일본사회의 남성성을 평가하였다. 조사방법으로는 일본기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일본관련 문헌조사를 병행하였다. Hofstede가 남성성의 하위가치에 따르는 사회규범 및 현상으로 제시한 사례들을 질문문항으로 전환하여 설문문항을 만들었으며, 설문결과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관련 문헌조사를 병행하였다. 조사결과, 일본은 남녀차별적이면서도, 자기주장보다는 겸손을, 능력에 따른 차별보다는 평등을, 독립보다는 협력을, 성취보다는 삶의 질을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크고 빠른 것이 아름답다’는 하위가치는, Hofstede의 결과도출 과정이 논리적 타당성이 약하고 제시한 근거가 부정되어 검증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일본이 남녀차별적이면서 동시에 겸손, 평등, 협력, 삶의 질을 보다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를 보면, Hofstede가 남성성 차원을 정의한 보편적 기준에서는 일본사회는 낮은 남성성의 사회라고 할 수 있다. 그러면서도 남녀차별적인 것으로 나타나는 것은 서양과는 다른 유교적 문화를 가진 일본사회의 특수성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Hofstede가 ‘작업목표에 관한 설문조사’를 일본 IBM직원들에게 실시한 결과에서는 일본이 높은 남성성의 국가로 평가되었는데, Hofstede의 최종정의에 근거한 설문조사를 순수일본기업에 실시한 본 연구에서는 일본사회가 낮은 남성성으로 평가된 것은 주로 설문대상과 조사시기의 차이에 기인했던 것으로 보여진다. IBM은 일본사회에서 상당히 서구적 가치에 편중된 집단이고, Hofstede의 연구는 일본이 삶의 질 보다 성취를 중시하던 30년 전에 행해져 본 연구의 결과와 다르게 나타났을 것이다. 실증적 연구를 통해 일본사회를 낮은 남성성의 문화로 평가한 본 연구는, 일본 사회의 남성성과 관련하여 향후 여러 학문분야에서 적용함에 있어서 좀더 주의를 기울이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 research about modern Japanese culture had started from Ruth Benedict's 『The Chrysanthemum and the Sword』with Japanese defeat as a momentum. After that, so many books related to Japanese culture, Chie Nakane's 『A Discovery of Japanese Social Structure』, Takeo Doi's 『A Structure of Amae』, Eshun Hamaguchi's 『Rediscovery of Japanese style』, LeeOeRyong's 『Reduction Oriented Japanese』and so on, were released. But these researches were remained optional and internal, so they were not proper to understand Japanese culture in the frame of world national culture. To be more universal research, it required a cultural measurement which could apply to all of the countries and could estimate numerically. Modern social scientists tried to explain a national culture through analyzation into several culture dimensions which can be estimated. Among these tries, Hofstede's national culture theory was the most broadly accepted one, and it became a paradigm on national culture evaluation. H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n IBM employees of 72countries and , through this, compared the world national cultures. Moreover, connecting his research with secondary data, he clarified the sub-values of each culture dimensions and presented social phenomenons as expressions of the sub-values. In Hofstede's Research, Japan was the highest Masculine nation in the world, and it implied Japan has national values of ‘stress distinction between the sexes, be assertive, pursue distinction along ability, be self-oriented, pursue success, big and fast are beautiful’. But these were far different with almost other Japanese culture researches and real aspects. So, I investigated whether the sub-values of Japanese masculinity can be verified or not on the basis of the Hofstede's definition. As research method, a questionnaire survey and documents review were conducted. Questionnaire contents were made by converting social phenomenons which Hofstede presented and related documents review was attached to increase the credibility. As a result, except ‘stress distinction between the sexes', the sub-values of Japanese masculinity were inclined to modesty than assertiveness, equality than distinction along ability, cooperation than self-orientation, and quality of life than success. The value of 'Big and fast are beautiful' was excluded as a research target, cause Hofstede's explanation itself was not logically reasonable. The result that Japanese put importance to modesty, equality, cooperation, and quality of life means Japan should be evaluated to low masculine culture as a whole on the basis of Hofstede's national culture theory. And yet, Japan showed distinction between the sexes. It's cause Japan has the unique culture of Confucianism which Western countries don't have. The reason why my evaluation differed with Hofstede's can be found on the differences of survey target and survey period. IBM was a organization much inclined to western values, so I surveyed more Japanese like companies. And Hofstede conducted survey 30years ago when success was more important than quality of life in Japanese society. Through empirical research, I evaluated Japan as a low masculine society. I hope this result can contribute to be careful on application of Japanese Masculinity in various disciplines.

      • 제국주의적 남성성과 대안적 남성성: D. H. 로렌스의 중·단편 소설에 나타난 남성성 연구

        박동학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6

        This study examines masculinity in some selected novellas and short stories of D. H. Lawrence from diverse viewpoints, focusing on the elements of class, imperialist ideology, and Englishness. Overall, it aims to foreground the negative effects of masculinity and its alternatives in Lawrence's fictional narratives. In the introduction, it illumines Lawrence’s biographical backgrounds to look into the multivalent meaning of masculinity to the author, on the one hand, and surveys critical perspectives on the subject, on the other. The first chapter on Daughters of the Vicar explores class aspects of masculinity as they are represented by the male characters. Coming from the middle class, Massey is physically weak, but asserts his ego to the surrounding characters with rational thought and cool-headed judgment, whereas Alfred coming from the working class grows one-step further mentally and physically through military and coal-mine life. Further, this chapter analyzes the malady of class supremacy demonstrated by another notable male character, the vicar Mr. Lindley, who isolates himself with a sense of superiority and narrow-mindedness. The second chapter on The Virgin and The Gipsy focusing on the gipsy character who is a racial other and a second-class citizen, analyzes the fixed idea and the prejudices on gipsy, and examines the ways he changes a white woman. Also, with regard to the old lady the Mater, it suggests that she has internalized patriarchal mentality, which had been regarded as a man’s exclusive property, examining Lawrence’s critique of the imperialist ideologies in this work. Next, considering “England, My England”, this study comparatively analyzes differences in position between the two men on British masculinity from the viewpoint of the mainstream masculinity in the imperialist era. One of the characters, who stand for masculinity in two classes, is a dilettante Egbert who lives being locked in his own boundary, far away from the mainstream male image of practical and progressive Victorian Age, even if being a British gentleman and an art lover. The other is the patriarch Marshall who holds onto economic activity rather than leisure life and has responsibilities as a head of household. The last chapter on “The Prussian Officer” investigates the significances of forced masculinity and homosexuality in the story. The Officer, who fails to properly express his own emotions due to his social status and internalized homophobia, vents his frustrated feelings in a wrong direction, thereby failing to lead an organization efficiently. In this way, his homosexual desire becomes a malady, which is also an outcome of a narrow-minded perspective on masculinity. Grown up by parents whose class difference prevented them from leading a happy family life, Lawrence failed to have a peacefully marital relationship and had to roam around the world in his adult years away from a tranquil ordinary living as a man. As is shown in the works examined in this study, Lawrence explores masculinity’s varied aspects, both its harmful effects and possibilities that can renew a character’s life. In doing so, he also puts forth the significances of underprivileged people such as woman and gipsy in suggesting alternative masculinities in opposition to the imperialist culture. 본 논문은 로렌스(D. H. Lawrence)의 중·단편 소설에 나타나는 남성성을 제국주의 이념과 관련하여 살펴보며 계급 및 영국성의 요소들을 중심으로 다양한 관점에서 남성성 문제를 검토한다. 서론에서는 로렌스의 성장과정과 시대적 배경이 그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고, 그에게 남성성이 갖는 의미와 남성성 문제를 로렌스 비평가들이 어떤 관점에서 접근해왔는지 알아본다. 본론에서는 4편의 중·단편을 통해 로렌스가 어떠한 폐단을 적시했고 어떤 대안을 제시하려 했는지 살펴본다. 우선 『목사의 딸들』에서는 육체적인 약점을 지니고 있지만 이성적 사고와 냉철한 판단력으로 주변 인물들에게 자아를 내세우는 중류 계층 출신 매시(Massey)와 군 생활과 탄광 생활을 통해 정신적, 육체적으로 한 단계 성장한 노동계층 알프레드(Alfred)를 통해 이들이 각 계급의 남성성을 대표하는 방식을 살펴본다. 또한 신분적 우월감과 편협한 태도로 고립된 생활을 자초하는 린들리 목사(Mr. Lindley)의 사례를 통해 계급 우월주의가 초래하는 결과와 그 의미를 분석한다. 인종적 타자이자 사회적 약자인 집시(Gipsy)를 새로운 관점에서 접근하는 『처녀와 집시』에 관한 장에서는 집시에 대한 고정관념과 잘못된 편견을 분석하며 집시의 어떠한 모습이 백인 여성의 태도를 변화시키는지를 주로 살펴본다. 또한 남성의 전유물로 여겨졌던 가부장적인 태도를 체화한 이베트 할머니(The Mater)를 통해 제국주의적 병폐를 비판하려 했던 로렌스의 의도를 논의한다. 다음으로 「영국 나의 영국」에서는 영국적 남성성에 대한 두 남성간의 입장 차이를 제국주의 시대의 주류적 남성성의 관점에서 비교 분석한다. 신사이자 예술 애호가지만 실리적이고 진취적인 빅토리아 시대 주류적 남성의 모습과는 거리가 멀며 자기 삶의 테두리에 갇혀 사는 몽상가 에그버트(Egbert)와 여가생활보다는 경제활동과 가장으로서의 책임감을 갖춘 마셜(Marshall)은 두 가지 상반되는 남성상을 대표하는 인물들이다. 마지막으로 「프러시안 장교」에 대한 장에서는 강요된 남성성과 동성애를 주로 논의한다. 주변의 시선과 군인이라는 신분 때문에 자신의 감정을 섣불리 표출하지 못하는 장교는 자신의 후임병사에게 느끼는 동성애적 감정 때문에 효율적으로 조직을 이끌지 못하고 잘못된 방법으로 자신의 감정을 나타낸다. 이는 사회가 만들어 놓은 남성성에 대한 고정관념과 편협한 관점이 만든 병폐로 설명할 수 있다. 로렌스는 계급차가 나는 부모 사이에서 성장기를 보내고 행복하지 못했던 결혼생활을 겪었으며 여러 나라를 방황하면서 생을 이어갔다. 그는 사회적 약자로 치부되는 여성, 집시, 원주민과 같은 인물들을 전면에 내세워 그들 삶의 진실을 구현하려 했으며 제국주의 시대가 만들어 놓은 병폐를 타파할 대안적 남성성을 제시하기 위해 노력한 작가라 할 수 있다.

      • 한국 남성의 남성성 재현과 제품 및 브랜드 소비와의 관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술 소비문화를 중심으로

        강신웅 동국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6

        In general, gender identity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creating a person's overall identity. Accordingly, it has become an important issue recently for marketers and researchers to identify changes in the meaning and role of gender. This study shows how the male alcohol consumers in Korea defined masculinity, what alcohol consumption relates to this representation of masculinity, and what the relationship exist between brand and brand consumers in order to represent of masculinity in the alcohol market. The first theme is about the Korean drinking style and how modern men are adapting or refusing to the Korean drinking culture associated with alcohol consumption. The second theme, ‘alcohol's essential function and its social function’, can be aligned to the same lines as the first theme, as it relates to its masculinity and alcohol consumption. The two themes are explained by interviews with men about their subjective experiences.

      • 한국 기혼남성의 50대 삶의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수도권 중산층 50대 유자녀 기혼 남성을 중심으로

        양윤정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806

        This study aims to present practical ways of understanding and caring for married men in their 50s’ living in Korean society by revealing the essential meaning and structure of their experience as well as analyzing the world in which they lead their life. To achieve such purpose, a pilot study was first conducted to examine the practicability of the research and the validity of methodology involved. The main study used Max van Manen’s hermeneutical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ology and Larry K. Graham’s psycho-systemic approach to analyze and interpret the participants’ experience in their 50’s. The participants are 6 married Korean males between age 50 to 59 (those who were born in the 1960’s) who still engage in economic activities, have children, and reside in the Greater Metropolitan Seoul Area. The study proceeded in the following order: data collection through interviews, constructing texts based on the information from the collected data,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through hermeneutical phenomenological reflection, and writing on the hermeneutical phenomenological outcome. This study yielded 6 phenomenological topics and 16 sub-topics, and the meanings of each of these topics were subsequently analyzed. The 6 topics are ‘the father in me’, ‘perception of aging’, ‘forbidden stories’, ‘powerful wealth’, ‘actions of generativity’, and ‘absence of a self’ ‘The father in me’ refers to the ‘embedded masculinity’ the participants internalized and the ‘perception of aging’ is a set of physical, psychological, and relational phenomena which participants experienced as loss and anxiety. ‘Forbidden stories’ are the stories that the participants withheld from their friends or wives and such lack of expression and suppression of emotions led them to feel isolated, left out, and disconnected from others even when they were engaging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 topic ‘powerful wealth’ is about the powerful influence of money; the participants view money as an indispensible means of sustaining their life while also seeing that there is a ‘regal’ value to it. ‘Actions of generativity’ are the actions that Erickson considered to demonstrate generativity. These are actions of taking on the role of a permanent guardian by supporting their children and dedicating themselves to society while also yearning to be recognized for such actions. ‘Absence of a self’ is an experience in which the participants lose their sense of self as they focus on fulfilling their duties and responsibilities. Such absence is the form of existence the participants take in this world, which leads them to self-isolation and solitude. The participants are “existences in this world” whose experiences are formed through interactions with the world. The world in which the participants live consists of five extistentials which were experienced in certain ways. Corporeality is experienced as “an aging body”, and temporality as “time experienced in the form of the present.” Spatiality is experienced as “the space in between”, relationality as “paradoxical relationship”, and materiality as “two faces of Janus.” These five existentials are distinct from one another but inseparable and interrelated as they create meanings out of one another to form a multifaceted world. The five existentials were integrated with, and became part of the identities of the participants through such process. The essence of the life-experience of the participants as Korean male in their 50’s was mainly created by the process of “aging” and “embedded masculinity” interacting together, with the “embedded masculinity” based on patriarchal values. As such, the distinct meaning of the experience of the participants as Korean male in the 50’s is a sense of void and nihilism, which could only be appreciated when we pay close enough attention to the unique nature and the structure of the peculiar experience created by the process of “aging” and “embedded masculinity” of patriarchal nature. Thus, the true meanings of their experience in their 50’s are uncovered only after one focus on unique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of the experiences formed by the context of ‘embedded masculinity’ and event of ‘aging phenomenon’. The experiences of married Korean men in their 50's take place within psycho-systemic constructs called the individual, the family, the society, the culture, and the nature. Such constructs are independent from one another and yet interact with a certain tendency as a result of dynamics created by five different psycho-systemic connectors which are contextual organization, contextual creativity, bi-polar power, contending values, and reciprocal transaction. The contextual organization is the very basis of the participants' psycho-systemic construct which is the 'embedded masculinity' on the individual level, the role of a breadwinner on the family level, patriarchy and capitalism on the sociocultural level. As the participants enter the 50's, they start to experience unexpected changes in their life such ad perceiving that they are aging, increased life expectancy, and their children living with them longer than the participants lived with their parents. Situations like these require the participants to become creative, which also forces their psycho-systemic constructs to adjust to new changes. Such demand to adapt posed by new situations lead to imbalance between two opposing forces - femininity versus masculinity, and the true self versus personas of an individual. Femininity that goes against the 'embedded masculinity' in an individual is suppressed and this, in turn, reinforces the personas representing that which is considered manlike, distancing the individual from his true self even further away. Such internal imbalance of power that takes place within the minds of the group of men represented by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is what puts these men in a dilemma. Dilemmas of similar nature, however, are also found to be created by competing values within the psycho-construct of these men, which is 'what is expected of them' versus 'what they desire' as individuals. It is the friction between 'the desire to be acknowledged by others' and 'the desire to assert oneself' which can be seen as the same kind of tension that Benjamin (2018) said would occur between acknowledgement by others and self-assertion. Most participants chose to give up on their desires rather than bearing such tension, thereby opting for avoiding the tension as opposed to embracing it. By choosing to avoid the tension, the participants had to go through an experience in which they repeatedly felt humiliation and frustration instead of mutual respect. Reciprocal transaction depicts internal connection within cyclical process in psycho-system(Graham, 1992), which was interpreted to be operated by dominative masculinity of Korean society, under their strong responsibility. Dominative masculinity was first, embedded in men in socio-cultural background of patriarchy and capitalism as a contextual organization. This kind of masculinity made aging as an uncomfortable phenomenon that includes dependence and loss, and tasks that should be overcome for adaptation, which in fact emerges as contextual creativity. Also, among the conflicting and competing values, that is responsibility versus pursuing own desire, others’ acknowledgements versus self-assertiveness, dominative masculinity supports fulfilling responsibility and receiving acknowledgements from others, and by suppressing femininity in both conscious and unconscious level, it leads to imbalance between the power of masculinity and femininity as a twofold influence. In this study, the life experience of married men in their 50’s is named as “Hollow Tree Phenomenon”, and the “life following the script of embedded masculinity” under the patriarchy is identified as the essential topic of life experience of those in 50’s. From this,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self-isolation and emptiness that men experience are ‘crisis of their embedded patriarch masculinity’ rather than ‘crisis of transition into middle-age’. Based on this, a new form of masculinity is required, and for this to be done, every individual of men should get to notice the identity and structure of power that competently interacting within oneself. Men perceiving the structure of tension and conflict occurring between their reality and what they have learned through this conscientization, can be a starting point of reconsidering and reconstructing one’s masculinity formed by patriarchy. This point should be where pastoral caring upon them should start. To apply this outcome to caring married Korean men in their 50’s, the directions of systemic caring are presented based on 5 principles of Graham(1992), which are organicity, simultaneity, conscientization, advocacy, and adventure. 국문요약 한국 기혼남성의 50대 삶의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본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50대’를 살아가는 기혼남성들의 경험의 본질적 의미와 구조를 드러내고, 그들의 생활세계를 분석함으로써 그들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돌봄의 실천적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예비 연구를 통해 연구의 실행 가능성과 타당한 방법론을 점검했고,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방법과 Larry K. Graham의 심리체계적 접근을 통하여 연구 참여자들의 50대 경험을 분석하고 해석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면서 아직 경제활동을 하고 있는 50세와 59세 사이(60년대 생)의 유자녀 기혼남성 6명이다. 연구는 참여자들과의 면담을 통한 자료의 수집과, 수집한 자료에 근거한 텍스트의 구성, 해석학적 현상학적인 반성을 통한 분석, 그리고 해석학적인 현상학적 글쓰기의 절차로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로 도출된 6개의 현상학적 주제들과 이들의 16개의 하위 주제들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6개의 현상학적 주제들은 “내 안의 아버지”, “나이듦에 대한 자각”, “금지된 이야기”, “군림하는 재력” “성숙성의 행동”, “나의 부재” 이다. “내 안의 아버지”는 그들의 내면화되고 “체화된 남성성”을 의미하며, “나이듦에 대한 자각”은 50대에 들어서 연구 참여자들이 경험하는 신체적, 심리적, 관계적 현상으로, 이는 상실과 불안으로 경험되었다. “금지된 이야기”는 연구 참여자들이 친구나 아내에게도 말하지 않는, 말 하지 못하는 이야기를 가지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그들의 비표현성은 감정의 억압으로, 인간관계에서 함께 있으나 연결되지 못하고 분리되는 경험이다. “군림하는 재력”은 연구 참여자들이 경험하는 “돈”의 영향력으로, 돈은 그들의 삶에서 필수불가결한 수단인 동시에 그 자체로 제왕적인 가치를 가진다. “성숙성의 행동”은 Erickson의 성숙성(Generativity)에 해당하는 모습들로서, 자식들에 대한 지원과 사회적 헌신을 통해 영원한 보호자로서 역할을 감당하고자 하고, 이에 대한 인정을 받고자 하는 것들이다. “나의 부재”는 연구 참여자들이 역할과 책임을 다하며 살아오는 동안, 자기가 없음을 느끼는 것을 의미한다. 부재로 현존하는 것은 그들의 존재 방식이며, 이는 자기 소외와 고독으로 이어진다. 연구 참여자들은 “세계 내 존재”로서, 그들의 경험은 그들의 세계와의 상호작용 속에서 구성되었다. 그들의 생활세계를 구성하는 다섯 가지 실존체들(existentials) 중 먼저 신체성(corporeality)은 “나이 들어가는 몸”으로, 시간성(Temporality)은 “현재로 경험되는 시간”으로, 공간성(Spatiality)은 “끼여 있는 공간”으로, 관계성(relationality)은 “모순적인 관계”로, 그리고 물성(Materiality)은 “야누스의 두 얼굴”로 경험되었다. 이 다섯 개의 실존체들은 구분될 수는 있어도 각각 분리될 수는 없는 상호 교섭적인 관계에 있으며, 서로가 서로의 근거가 되어 의미를 만들어 가는 입체적인 생활세계를 형성하면서 연구 참여자들의 정체성에 통합되어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의 50대 삶의 경험의 본질은 “체화된 남성성(embedded masculinity)”과 “나이듦”의 상호작용에 의해 구성되고 있었고, 이 체화된 남성성은 가부장적 가치관을 내면화하고 있었다. 그렇기에 연구 참여자들의 50대 경험의 고유한 의미는 공허함과 허무함으로, “체화된 가부장적 남성성”이라는 맥락과 “나이듦의 현상”이라는 사태가 만들어내는 경험의 독특한 성격과 구조에 귀 기울일 때 비로소 드러나게 된다. 한국의 50대 기혼 남성들의 삶의 실제적인 경험은 개인, 가족, 사회, 문화, 자연이라는 심리내적 체계 속에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심리 체계 구조들은 각각 독립적인 위치를 지니면서도, 다섯 가지 심리체계 연결조직들(psychosystemic connectors), 즉 상황적 조직구성(contextual organization), 상황적 창의성(contextual creativity), 이중 구조적 영향력(bi-polar power), 경쟁적 가치들(contending values), 그리고 상호적 거래(reciprocal transaction)의 작용에 의해 방향성을 가지고 상호작용한다. 연구 참여자들의 심리 체계 구조의 배경적 기반으로서의 상황적 조직은 개인 체계 안에 있는 체화된 남성성, 가족체계에서의 생계부양자로서의 역할, 그리고 사회문화체계로서의 가부장제와 자본주의라고 할 수 있겠다. 50대에 접어들면서, 나이듦의 자각, 자녀들의 독립시기의 지연, 기대수명의 연장 등의 상황적 창의성은 그들의 심리체계 시스템에 변화와 재조정을 요구한다. 이러한 요구는 양극적인 힘의 불균형과도 연결된다. 이는 여성성과 남성성, 참자기와 페르조나 사이의 불균형을 의미하며, 체화된 남성성에 위배되는 여성성은 억압되고, 이는 다시 남성다움의 페르조나를 더욱 더 강화하게 됨으로써 자신의 참 자기와는 멀어지게 된다. 이 같은 내면의 힘의 불균형은 남성들로 하여금 딜레마에 빠지게 한다. 이러한 딜레마는 그들의 심리체계 구조에서 서로 경쟁하는 가치들에서도 발견되는 것으로, 이는 이들에게 기대되는 책임과 그들 내면의 욕구, 타자인정과 자기주장의 경쟁이다. 이는 Benjamin(2018)이 말하는 자기주장과 타자 인정 사이에서 발생하는 긴장으로도 볼 수 있다. 대부분의 연구 참여자들은 이러한 긴장을 견디기보다는 자신의 욕구를 포기함으로써 긴장의 수용이 아니라 긴장의 회피를 택하였다. 그들은 긴장을 회피함으로써 상호인정이 아니라 지배와 굴복의 자리를 왕복하는 경험을 하였다. 상호적 거래는 심리체계에서 순환과정과 내적 연관성을 보여주는 것으로(Graham, 1992), 그들의 강한 책임감의 기저에 있는 한국 사회의 지배적인 남성성에 의해 작동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지배적인 남성성은 먼저, 상황적 조직 구성으로서의 가부장제와 자본주의라는 사회문화적 배경에서 남성들에게 체화되었다. 이러한 남성성은 상황적 창의성으로 등장하는 나이듦을 의존과 상실이 내포되어 있는 불편한 현상으로, 적응을 위하여 극복해야 하는 과제로 만들었다. 또 상충하는 경쟁적 가치들로서의 책임 대 자아 욕구, 타자인정 대 자기주장 가운데 지배적인 남성성은 책임완수와 타자 인정을 지지하며, 의식적, 무의식적 차원에서 여성성을 억압함으로써 이중적 영향력으로서의 남성성과 여성성의 힘의 불균형을 초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50대 기혼 남성들의 삶의 경험현상을 “할로우 트리 현상(Hollow Tree Phenomenon)”이라고 표현하고, 가부장적인 “체화된 남성성의 대본을 따라 사는 삶”이 50대 삶의 경험의 본질적인 주제임을 드러냈다. 이런 점에서 남성들이 경험하는 자기 소외와 공허함은 ‘중년의 전환기적 위기’라기보다는 그들의 ‘체화된 가부장적 남성성의 위기’라고 해석할 수 있겠다. 이에 이를 대체할 새로운 남성성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서는 남성들 개개인이 자기 내면에서 서로 경쟁적으로 상호작용하고 있는 힘의 정체와 구조를 알아차릴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의식화는 가부장제에 의해 형성된 자신들의 남성성을 재고하고, 재구성할 수 있는 출발점이 될 수 있다. 바로 여기가 그들에 대한 목회적 돌봄의 시작점이 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한국의 50대 기혼남성들을 위한 돌봄에 적용하기 위하여, Graham(1992)의 목회적 돌봄의 5가지 원리(유기체성(organicity), 동시성(simultaneity), 의식화(conscientization), 지지(advocacy), 모험(adventure))를 기반으로 체계적 돌봄의 방향을 제시해 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