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후기 수군의 『기효신서』 도입과 수용

        송기중(Song, Ki-Jung) 고려사학회 2019 한국사학보 Vol.- No.76

        이 연구는 『기효신서』가 조선후기 수군에 도입된 경위와 그 정도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임진왜란 당시에 수용된 병서인 『기효신서』는 조선 후기 군사제도의 변화에 막대한 영향을 주었다. 그런데 지금까지 『기효신서』 도입 논의는 주로 육군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수군이 『기효신서』를 어떻게 수용해 왔는지는 여전히 연구사적 공백으로 남아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연구사적인 공백을 메우고 수군의 제도 변화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기효신서』를 編制, 군선(군선의 승선인원까지 포함), 훈련 등으로 구분하여 내용을 정리하고, 이를 조선후기 수군의 운용 방식과 비교하는 방법을 활용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조선 정부는 자연환경과 당시 수군의 상황을 고려해서 『기효신서』의 내용을 선택적으로 수용하여 수군의 전술을 발전시키고자 했음을 밝히고자 한다. The objective of the current study is to survey the introduction and acceptance of Gihyoshinseo by the Joseon Navy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1592. The ruling class of Joseon in the aftermath of the war did not trust the previously established military system of their country. This led to the introduction of military strategy textbooks in new styles and used them to completely reform the organization of the troops. Gihyoshinseo was the strategy textbook that was adopted by the Joseon military in this process. Under this situation, it was impossible for Joseon Navy to not accept this military strategy textbook, but the method of implementing the contents of the textbook differed between the Army and the Navy. The current study divides the contents of Jusa Chapter in Gihyoshinseo into parts about organization, warships, training, and operation to analyze them. Based on this information, the contents of the book are compared to the actual operation of the Navy of the Late Joseon Era. Through this attempt, the current study seeks to elucidate the degree to which the Navy of the Late Joseon Era introduced and accepted the contents of Gihyoshinseo.

      • KCI등재후보

        훈련도감 설치 및 운영의 동아시아적 특성

        김종수(Kim, Jong-soo) 한국학중앙연구원 2015 장서각 Vol.0 No.33

        조선 정부는 임진왜란 초전에 조총의 위력을 목격하면서 포수 양성에 관심을 기울였다. 그리고 양성된 포수를 정규직 군인으로 전환하는 가운데 훈련도감이 설치되었다. 훈련도감에서는 임진왜란 중 도입된 『기효신서』를 군사 편제와 전법의 지침서로 채택하려 하였다. 그런데 『기효신서』의 전법은 당시 조선의 상황에 적합하지 않았다. 냉병기의 운영을 강조하는 원앙진은 조총과 같은 화기 앞에서 무력하였고, 살수 기법 역시 조선의 현실에 맞지 않았다. 이에 따라 조선 정부는 『기효신서』의 전법을 그대로 수용하지는 않았다. 그런데 조선 정부는 군제 개편과 관련해서는 『기효신서』의 속오법을 적극 수용하였다. 임진왜란 당시 군제 개편 논의는 兵農一致 군제를 兵農分離 군제로 전환해야 한다는 주장과 將卒分離 군제를 將卒一致 군제로 전환해야 한다는 주장이 동시에 제기되었다. 병농분리 군제를 모색하는 과정에서 훈련도감은 급료병제를 채택하였다. 한편 장졸일치 군제를 수립하는 과정에서 『기효신서』의 속오법을 수용하였다. 조선 전기의 장졸분리는 군사정변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였으나, 군사력을 취약하게 만들었다. 병사들은 장수의 지휘 의도를 알기 어려웠고, 장수는 병사들의 전투 능력을 알 수 없었다. 임진왜란 초전의 참패를 통해 조선 정부는 명확한 지휘편제와 연대책임으로 군대를 운영하는 장졸일치 군제, 즉 『기효신서』의 속오법을 채택하였던 것이다. 훈련도감 군인들이 포수 중심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훈련도감에서는 조총과 화약을 대량 생산하였고, 아울러 신무기 개발에도 주력하였다. 17~18세기에 훈련도감의 조총 생산량은 계속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조총 가격도 계속 인하하였다. 그런데 이 시기 조총 가격의 인하는 훈련도감 등 국가 기관의 조총 생산량 증가뿐만 아니라, 민간 조총 제조업자들이 출현하여 조총 생산에 참여하고 있었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였다. 조선 후기에는 “곳곳에서 조총을 私造하고 있다”라고 할 만큼 조총의 민간 제작이 성행하였다. 1814년(순조 14) 영의정 김재찬이 총기의 私造ㆍ私賣를 엄단할 것을 요구할 때까지 민간에서의 조총 제작과 판매가 자유롭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러한 사회 분위기에서 조선의 화기 개발은 상당한 수준에 도달할 수 있었다. 이에 반해 중국에서는 18세기 이후 화기 개발이 정부에 의해 철저히 억제된 상태에 있었다. 청 정부는 정예 기병인 팔기병을 통치의 무력적 기반으로 삼고 있는데, 화기의 확산은 이 무력적 기반이 손쉽게 붕괴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하였다. 이에 청 정부는 화기에 대한 연구ㆍ개발을 금지시키고 민간에서 조총과 화약을 보유하는 것을 엄금하였다. 한편 일본에서는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전국을 통일한 이후 1853년 페리제독이 내항할 때까지 200여 년간 평화시대가 계속되었다. 이에 따라 한때 호황을 누리던 조총 제작도 급격히 쇠퇴하였다. 에도시대에 조총은 하위계급이나 사악한 자들이 사용하는 것으로 인식되었고, 막부에서도 지방에서의 조총 제조를 금지시켰다. 이러한 이유로 일본 근세시기에 조총의 연구ㆍ개발은 지체될 수밖에 없었다. 반면 조선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은 후 청의 재침 위협과 북벌론의 등장에 따라 화기를 끊임없이 연구ㆍ발전시켰고, 한때 조총 제조 기술은 청과 일본을 능가하기도 하였다. 이에 숙종 대에 윤휴는 우리나라의 무기가 중국보다 우수하다고 하였고, 영ㆍ정조 대 실학자 우하영도 “우리나라의 무기가 청과 일본보다 훨씬 뛰어나 이들과 싸워도 백전백승할 수 있다”고 장담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19세기에 들어와 세도정권 하에서 민간의 조총과 화약의 보유는 금지되었고, 화기의 연구ㆍ개발도 중단되었다. 이후 조선의 화기 수준도 내리막길을 걷지 않을 수 없었다. Witnessing the power of firelocks at the beginning of Imjin war (壬辰倭亂), Joseon government strived to cultivate its gunners. And in the midst of converting gunners trained in that way into regular soldiers, Hunryeondogam came to be installed. In Hunryeondogam, they tried to adopt Gihyosinseo (紀效新書) written by Ming’s general Q? Jig?ang (戚繼光) as its guideline for military organization and tactics. The tactics contained in Gihyosinseo, however, did not fit into the situation of Joseon at that time. Its emphasis on the operation of the sword was meaningless before weapons such as firelocks, and the salsu (殺手) tactics did not suit the reality of Joseon then, either. Therefore, Joseon government did not adopt the tactics in Gihyosinseo as it was. In the meantime, Joseon government accepted sogobeop (束伍法) in Gihyosinseo positively regarding its military organization. During Imjin war, about their discussion to revise the military system, they insisted that it was needed to convert the byeongnongilchi (兵農一致) military system into the byeongnongbunri (兵農分離) military system and also the jangjolbunri (將卒分離) military system into the jangjolilchi (將卒一致) military system at the same time. In the process to pursue the byeongnongbunri military system, Hunryeondogam adopted salaried army , and in the process to establish the jangjolilchi military system, it accepted sogobeop in Gihyosinseo. As Hunryeondogam’s soldiers were mostly gunners, Hunryeondogam massproduced firelocks and gunpowder and also made efforts to develop new weapons. Moreover,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firelocks were produced and sold actively by ordinary people, too. On the contrary, in China, after the 18th century, developing weapons was thoroughly suppressed by Qing government. In fact, Qing government did take palgibyeong (八旗兵), the elite cavalry, as its ground of force for ruling, and spread of weapons meant that its ground of force could collapse easily. Thus, Qing government banned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weapons. Meanwhile, in Japan, after Tokugaya Ieyasu unified the whole country, and then, in 1853, Commodore Perry visited it, its peaceful time continued for about 200 years. Along with this, manufacturing firelocks which was once flourishing in it declined rapidly. In Joseon, however, after experiencing Imjin war and Byeongja war (丙子胡亂), they again faced Qing’s threat of reinvasion and emergence of Bukbeolron (北伐論), so they were constantly involved in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weapons, and its technology to make firelocks once exceeded Qing and Japan’s. This is why Woo Hayeong (禹夏永), a scholar in Yeongjo and Jeongjo’s reign once confidently said, “Joseon’s weapons are much more superior to Qing and Japan’s, so we can defeat them at any kind of war.” After the 19th century, however, under sedo (勢道) government, private possession of firelocks and gunpowder came to be banned,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weapons discontinued. After that, the level of weapons in Joseon also could not avoid going downhill.

      • KCI등재

        임진왜란 시기 『기효신서(紀效新書)』의 전래와 군사상(軍事上)의 변화

        이조희 ( Li Zhaoxi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1 한국학연구 Vol.- No.63

        『기효신서』는 명대에 편찬된 兵書로 다루고 있는 내용이 광범위하며 실전 경험을 바탕으로 제작되어 실용성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당대를 넘어, 이후에도 폭넓게 활용되어 軍事史적으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임진왜란에 참전하여 조선군과 함께 전투하였던 명군은 『기효신서』를 바탕으로 훈련도감에서 조선군의 훈련을 도왔다. 임진왜란을 겪으며 조선군은 새로운 훈련과정을 도입하여 군제를 바꾸어 효과적인 작전을 수행하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조치로 조선 사회에 만연하였던 崇文抑武의 풍조에도 변화가 생겼다. 임진왜란 이후, 『기효신서』의 체제와 내용을 모방하여 병서를 편찬·발행하였고 특히 『陣說』, 『兵學通』, 『兵學指南』 등의 병서가 간행되어 인쇄된 횟수로 미루어 보았을 때, 『기효신서』가 조선 사회에 끼친 영향력이 적지 않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기효신서』의 전래는 임진왜란을 통해 일어난 일종의 문화적 교류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며, 더욱 중요한 것은 전래 이후 조선 내부에서 끊임없이 활용하여 조선의 문화로 발전시켰다는 점이다. 이외에도 임진왜란을 거치며 당시 한·중·일 사이에는 많은 교류가 있었을 것이므로, 각국 간의 교류를 통해 얻은 것을 자국 문화로 소화하는 과정을 추적하는 연구는 주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Jixiaoxinshu is a military book compiled in the Ming Dynasty, it’s abundant in content and practical and has an important position and influence in the military history of the Ming Dynasty and beyond.Jixiaoxinshu was sent to Joseon to fight with the Joseon Army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mjin War:1592-1598). The Ming Army was introduced to Joseon, which enhanced the overall capabilities of the Joseon Army and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Joseon's military culture.Judging from the number of Joseon military books and printing times before and after the outbreak of the Imjin War, it can be seen that Jixiaoxinshu has a great influence in Joseon. The distribution and the development of the military system have had an impact.After Jixiaoxinshu spread, Joseon military books have expanded in content and components, which shows the change in Joseon's military concepts and the development of Joseon's military culture.

      • KCI등재

        한시를 통해 본 조선 군대의 구성에 미친 척계광의 영향

        런샤오리(任??),추이위안핑(崔元萍)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9 아시아문화연구 Vol.51 No.-

        선조는 척계광의 『기효신서』를 교과서로 삼아 조선 군대를 정비하여 조선군대의 전투력을 크게 향상시켰다. 그리고 그 후 『기효신서』는 조선왕조 삼백년간 안전한 국면 형성에 견실한 토대를 닦아놓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척계광과 그의 『기효신서』를 기리는 시작품들이 한국 역사상 중요한 인물들에 의해 창작되었고 이들 시작품은 조선에서의 척계광의 영향력을 더욱 더 확장시켰다. 또한 임진왜란 직후부터 조선왕조 말기까지 척계광과 그의 『기효신서』에 관한 작품이 창작되었다는 사실은 조선에 끼친 척계광의 영향이 매우 깊고 지속적인 것이었음을 반영한다. 우선, 이들 시작품들이 조선의 지방군대에서 오직 『기효신서』만을 믿는다든가 조선 군대 건설의 모든 면에서 책의 내용을 그대로 따른다든가 하면서 『기효신서』를 높이 평가하였다. 그다음, 조선에서 척계광 군사 사상의 핵심 요소인 연병(練兵)과 연장(練將) 인식을 잘 수용하고 지방 수비군의 정기적인 조련 장면과 지방 장교들의 시사(試射) 장면을 생생히 그려냈다. 그리고 조선에서 실전에 맞게 무기와 진법을 개발해야 한다는 척계광의 군사 사상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아낌없이 찬양하였다. King Seonjo organized the military of Joseon Dynasty and improved fighting strength greatly byased on Qi Jiguang"s Gixiao-xinshu by Qi Jiguang as a textbook.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Gixiao-xinshu had laid the foundation for national security of three hundred years of Joseon Dynasty. Therefore, poems that honor Qi Jiguang and Gixiao-xinshu were created by historically important figures of Joseon and Hansi, Korean poetries in classical chinese expanded the influence of Qi Jiguang in Joseon more broadly. In addition, The fact that works about Qi Jiguang and his Gixiao-xinshu were created from the end of Japanese Invasion of Joseon in 1592 to the end of Joseon Dynasty indicates that the impact of Qi Jiguang on Joseon was very enormous and contined. First of all, these poems have highly evaluated Gixiao-xinshu with regards to the regional military of Joseon believing it only or following all aspects of the construction of Joseon military as described in the book. Next, they positively accept the core factors of the military idea devised by Qi Jiguang such as training of military soldiers and officers and it also vividly described the scenes of regular training for the regional garrison soldiers and the trial shooting by the regional officers. In addition, it actively evaluated Qi Jiguang’s military idea which argues for the development of weapons and military tactics proper for current war time situation of Joseon and highly praised it.

      • KCI등재

        전통무예서의 권법 분석

        곽낙현,임태희 동양고전학회 2014 東洋古典硏究 Vol.0 No.54

        이 연구는 『무예도보통지』의 권법을 종합적인 관점에서 해석하는 것이다. 권법에 대한 인용서목 분석과 『기효신서』, 『무예제보번역속집』, 『무비지』의 권법 자세를 비교하는 목적이 있다. 문헌고찰을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 다. 첫째, 『무예도보통지』권법의 인용서목을 검토한 결과, 중국문헌 14개, 한국문헌 2개 등 총 16개로 나타났다. 일본의 문헌은 권법 내용에 실리지 않았다. 중국의 대표적인 문헌으로는『한서, 『기효신서』, 『무비지』등이었고, 한국의 대표적인 문헌으로는 『무예제보번역속집』이었다. 둘째, 중국의 『기효신서』, 『무비지』, 한국의 『무예제보번역속집』, 『무예도보통지』등 4개의 문헌을 통해 나타 난 동일한 자세는 현각허이세, 기고세, 안시측신세, 염주세, 포가세 등이었다. 『기효신서』를 제외한 3개의 문헌에서는 정란, 귀축각, 지당세, 수두세, 신권, 일조편, 작지룡, 조양수 등 8개의 동일한 자세가 나타났다. 『무비지』와 『무예도 보통지』의 문헌에서만 보이는 동일한 자세로는 나찰의출문가자변하세, 금계독립세였다. 셋째, 권법 자세를 비교한 결과, 무엇보다 한국의 『무예제보번역속집』에서는 축천과 응쇄익이라는 독특한 자세가 나 타났고, 『무예도보통지』에서는 오화전신세와 갑을상부라는 독특한 동작이 나타났다. 문헌 연대로는 『기효신서』가 가장 빠르지만 기술특성을 고려할 때 『무예제보번역속집』과 『무예도보통지』에서 자세에 대한 변화가 점차 생기기 시작하였고, 무엇보다 조선 시대상에 맞는 독특한 자세들이 개발되기 시작하였다고 볼 수 있다. 종합적으로, 『무예도보통지』의 권법은 『한서』, 『기효신서』, 『무비지』의 중국 문헌과 『무예제보번역속집』의 한국 문헌을 참고해서 집필되었다. 권법의 자세는 중국의 『기효신서』, 『무비지』, 한국의 『무예제보번역속집』, 『무예도보통지』에서 5개의 동일한 동작 외에 다른 동작들은 점차 변화하였고, 『무예제보번역속집』부터 8가지의 새로 운 자세가 나타나기 시작하였고, 축천세와 응쇄익세의 2개 동작은 『무예제보번역속집』에만 나타났다. 특히 우리나라 권법은 축천세와 응쇄익세, 갑을상부, 오화전신세는 중국문헌의 권법 관련내용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새로운 기술들을 개발함으로써 점차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변화를 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 연구의 의의는 조선시대 권법의 무술사적 의미를 해석하고 오늘날 맨손무예로 각광받고 있는 태권도의 전통주의적 관점에서 역사해석의 토대마련을 위한 징검다리를 놓았다는 점이다. 후속연구에서는 『무예도보통지』와 태권도의 기술에 대한 차이와 유사성 분석을 통해 태권도와 권법 사이에 관련성을 확인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Gwonbeop motions among 『Gihyosinseo』, 『Mubiji』, 『Muyejaebobunyuksokjib』 and to analysis catalogue of books on Gwonbeop for comprehensive interpretation in 『Muyedobotongji』. the conclusion through literature review was as follows. First, There were total 16 references which were composed of 14 references of China and 2 references of Korea. In particular there was no reference of Japan for Gwonbeop. In detail, unrepresentative references of China were 『Hanseo』, 『Gihyosinseo』, 『Mubiji』and unrepresentative reference of Korea was Muyejaebobunyuksokjib. Second, We compared motions of Gwonbeop between China and Korea. There were located 5 motions such as Gyungakguheese(False Prey Posture), Gigose(Flag Beating Posture), Ahnshichukshinse(Goose Wing Posture), Jumjoose(Picking Elbow Posture), Pogase(Throwing Shelf Postere). In other three references unmentioned 『Mubiji』there were located 8 motions such as Jungranse(Spring Railing Posture), Gichukgakse(Ghost Kicking and Leg Striking Postere), Jidangse(Open Finger Attacking Posture), Soodoose(Beast Head Shield Posture) Shingwon (Heavenly Fist Posture), Il-jopyunse(Whipping Lunging Posture), Jakjiryongse(Dragon Prey Snatching Posture), Joyangsoose(Slanting Hero Hand Posture), In two references of Korea there were located 2 unique motions such as Nachaluichoolmun Gakabyunhase(Low Encountering Posture), Gumgyedongnipse(Single Leg Throwing Postere). Third, Most of all we found two kinds of unique motions such as Chukcheonse and Eungswaeik on 『Muyejaebobunyuksokjib』and such as Nachaluichoolmun Gakabyunhase(Low Encountering Posture), Gumgyedongnipse (Single Leg Throwing Postere) on 『Muyedobotongji. Based on chronological table although 『Gihyosinseo』is the longest literature, there was begun changing techniques in details on literatures of Korea. Transformed into techniques of Gwonbeop on Korea could be supposed that those skills were reflected in society and culture of the Joseon Dynasty. To sum it up, Gwonbeop of 『Muyedobotongji』was written by 『Gihyosinseo』, 『Mubiji』, 『Muyejaebobunyuksokjib』but most motions of Gwonbeop were begun to change gradually except 5 motions of 『Gihyosinseo』. Especially, there were 8 unique motions which could not be found in references of China. Those unique motions of Korea literatures were living proof of attempting transfiguration from motions of China.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as to be able to put stepping-stone to interpretate history of Taekwondo which takes center stage on bare hands martial arts and analyzed the meaning of historical martial arts on Gwonbeop in Joseon Dynasty.

      • KCI등재후보

        《무예도보통지》의 쌍수도의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기효신서》, 《무예제보》, 《무비지》, 《무예도보통지》의 무예 동작 비교를 중심으로-

        박귀순 ( Cindy Park ),신영권 ( Young Kwan Shin ) 대한무도학회 2010 대한무도학회지 Vol.12 No.3

        《기효신서》, 《무예제보》, 《무비지》, 《무예도보통지》, 쌍수도, 《Gixiao-xinshu》, 《Muye-jebo》, 《Wubeizhi》, 《Muye-dobo-tongi》, Duouble-hands sword 본 연구는 첫째, 《기효신서》, 《무예제보》, 《무비지》, 《무예도보통지》의 쌍수도의 개괄 및 내용을 살펴보았으며, 둘째, 《무예도보통지》쌍수도의 무예 동작을 중심으로《기효신서》, 《무예제보》, 《무비지》의 공통점과 상이점을 검토하였고, 셋째, 이를 통하여《무예도보통지》쌍수도의 형성과정을 살펴보았다. 또한 본 연구는《무예도보통지》의 편찬, 간행 시, 참고가 된《기효신서》, 《무예제보》, 《무비지》를 중심으로 하여 관련된 문헌 및 자료를 수집, 분석, 검토하였다. 4권 서적의 쌍수도의 개괄 내용 및 무예 동작의 비교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4권 서적의 개괄 및 내용을 통해 쌍수도의 도입 과정, 쌍수도의 제원, ``창류지목록`` 및 그림자와 원숭이 형상의 시범자의 내용을 알 수 있었고, 둘째, 4권 서적의 쌍수도 비교, 검토를 통해 동작의 명칭, 쌍수도의 동작, 시범자 복장의 공통점과 상이점을 알 수 있었으며. 셋째, 《무예도보통지》의 쌍수도는 보병에게 효과적인 무기로서, 《기효신서》, 《무예제보》, 《무비지》를 참조하여 기재되었지만, 단지 모방에 그치지 않고 조선의 자국화 과정을 거친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formation process of ``double-hands sword`` of the《Muye-dobo-tongi》, and focus on the comparison of movements of the《Gixiao-xinshu》, 《Muye-jebo》, 《Wubeizhi》, 《Muye-dobo-tongi》. So first was intends to review the summary and contents of 4 books; second was to review the common and difference point of double-hands sword movement of 4 books; third was examined the formation process of ``double-hands sword`` of 《Muye-dobo-tongi》. The conclusion was to understand, first was the introduction and mention of double-hands sword in 4 books, the specification of double-hands sword in 4 books, the mention of ``Changliu`s list``, shadow and monkey demonstrator`s movements; second was the name of movement in 4 books, the first and final movement of double-hands sword and its total number of movement in 4 books, the demonstrator`s costume in 4 books; third was《Muye-dobo-tongji》was mentioned to refer《Gixiao-xinshu》, 《Muye-jebo》and 《Wubeizhi》.

      • KCI등재

        일본의 《兵法秘傳書》와 《紀效新書》《武備志》의 관련 연구

        朴貴順 한국체육사학회 2004 체육사학회지 Vol.13 No.-

        In this research, the comparison of the picture and description of the movement which are looked at by Byon bep bi zhen se (《兵法秘傳書》) is carried out with a Ki hyo shin se (《紀效新書》)and Mu bi zi (《武備志》. To clarify these relevance, the process of compilation of Byon bep bi zhen se (《兵法秘傳書》), Ki hyo shin se (《紀效新書》)and Mu bi zi (《武備志》), and its background are examined.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1. The result which carries out comparison examination of the movement of Byon bep bi zhen se (《兵法秘傳書》), the difference is the description method of each movement. However, through the movement of the Byon bep bi zhen se (《兵法秘傳書》)is the same as that Ki hyo shin se (《紀效新書》)and Mu bi zi (《武備志》), so the relevance of martial arts between both countries can be checked. 2. Byon bep bi zhen se(《兵法秘傳書》) was compiled based on Ki hyo shin se (《紀效新書》) and Mu bi zi(《武備志》).

      • KCI등재

        沈大允의 私撰兵書 『大順新書』 소개: 재야지식인의 군사지식과 그 한계점에 대한 小考를 겸하여

        심규식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9 규장각 Vol.55 No.-

        본고는 沈大允(1806-1872)이 편찬한 私撰 兵書 『大順新書』를 학계에 소개하고, 『대순신서』에 나타나는 심대윤의 軍政 개혁안이 지닌 특징과 한계를 분석했다. 『대순신서』는 일실된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서울역사박물관에 『大順堂濟民新書』와 『大順堂救民秘訣』 2책으로 분권된 필사본이 소장되어 있으며, 연세대학교에 『대순당제민신서』의 교정본이 소장되어 있음을 확인했다. 『紀效新書』의 영향을 받아 13개의 篇目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순신서』는 동시기에 저술된 『政法隨錄』 「兵制」편의 내용을 보완해서, 練兵․軍律․陣法․軍器 등의 다양한 내용을 수록했다. 그러나 심대윤은 軍政의 실무 경험이 없어, 조선의 화승총 및 화포 중심 군제와 괴리가 있는 兵制와 戰術을 추구했으며, 兵車를 도입하고자 하거나 軍政을 禮樂 및 『周易』의 數와 연관 짓는 등 관념성을 보였다. 다만, 동시기 兵馬節度使 趙禹錫에 의해 저술된 『武備要覽』이 기존 병서를 발췌한 것에 반해 『대순신서』는 심대윤의 독창적인 사유 결과이다.

      • KCI등재

        조선후기 {紀效新書節要}에 대한 검토

        곽낙현 동양고전학회 2011 東洋古典硏究 Vol.42 No.-

        이 논문의 목적은 조선후기 선조대에 간행된 {紀效新書節要}에 대한 내용을 검토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결론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紀效新書節要}는 {紀效新書}의 내용 가운데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내용을 발췌하여 조선의 군사상황에 맞게 필요한 내용만을 새롭게 간추렸다고 볼 수 있다. 둘째, {紀效新書節要}는 명나라에서 들여온 새로운 전술체계를 조선의 군사실정에 맞게 이해하고 정리한 무예서이다. 셋째, {紀效新書節要}는 {紀效新書}의 내용을 군사조련과 진법훈련의 목적에 맞추어 하나하나 재조합하여 조선의 책으로 다시 펴냈다는 사실 자체가 새로운 군사기술을 습득하고자 했던 조선의 적극적인 자세를 재확인시켜주었다. 넷째, 조선에서 간행된 {紀效新書節要}는 {紀效新書}의 요약서임에도 불구하고 조선의 단병전술체계에 시발적인 역할을 하였다는 점에서 조선후기 무예사적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Gihyosinsejeoryo published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The conclusion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 Gihyosinsejeoryo is accounted of a book extracted from the Gihyosinse and summarized according to military situation in Joseon. Second, the Gihyosinsejeoryo is considred a military book that is organized and understood of a new military strategy system in Myung Dynasty in China. Third, Gihyosinsejeoryo is reconfirmed as an active position of Joseon to acquire new military skills because it is republished as a book of Joseon recombined contents of Gihyosinse with the purpose of military training and battle formation. Forth, even though Gihyosinsejeoryo is the summary of Gihyosinse, it can be given important meaning in martial art history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because it played an ground role in military strategy system in Joseon dynast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