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과 저소득층 학생의 교육포부 관계 분석 : 학생이 인식한 교사특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서지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교육복지정책의 궁극적인 목적은 학생들에게 빈곤을 대물림하지 않는 것이다. 그렇다면 가장 중요하게 살펴야 할 부분은 어떠한 교육적인 정책적 개입을 통해 학생들의 미래를 변화시킬 수 있는가일 것이다. 학생의 미래의 직업 및 소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교육수준, 즉 학생이 가진 최종 학력 수준이며, 교육포부는 이를 강력하게 예측하는 요인이다. 즉, 저소득층 학생들의 교육포부를 높이는 것은 최종 학력 수준을 높이게 되고, 나아가 학생의 미래 직업 및 소득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정책 목적인 교육취약계층 아동들이 능동적인 시민 및 자립한 성인으로 성장하는 데 있어 교육포부는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이 저소득층 학생들의 교육포부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실제적 검토를 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사업이 단위학교를 주체로 시행되는 만큼 정책의 효과는 교사의 역할에 의해 좌우된다는 점에서 교사특성을 함께 고려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저소득층 학생들의 교육포부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복지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저소득층 학생의 교육포부 및 학생이 인식한 교사특성은 일반학생에 비해 어떠한가? 둘째, 저소득층 학생의 교육포부와 학생이 인식한 교사특성은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학교 재학 여부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가? 셋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시행 학교에서 저소득층 학생이 인식한 교사특성은 그들의 교육포부에 어떠한 조절효과를 가지는가? 연구문제 확인을 위해 「한국교육종단연구 2013」의 3차에서 5차년도의 중학생 자료를 이용하여 T-검정과 합동최소자승회귀모형 및 이원고정효과모형을 활용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저소득층 학생들의 교육포부는 전체 학생 및 일반 학생에 비해 낮아 가정으로부터 부정적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시행 학교에 다니는 저소득층 학생들은 미시행 학교에 다니는 저소득층 학생들에 비해 교사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갖고 있었다. 셋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시행 학교에 다니는 것은 저소득층 학생의 교육포부를 높이고 있었으며, 이 효과는 시행 학교 내 교사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으로부터 기인하였다. 넷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시행 학교에서 교사의 성취압력은 저소득층 학생의 교육포부에 조절효과를 갖고 있었다. 교사의 성취압력은 저소득층 학생의 교육포부에 부정적 영향력을 미칠 개연성이 있었으나,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시행 학교에서는 긍정적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에서 교사의 역할을 재조명하여 저소득층 학생의 교육포부를 높이기 위한 정책적 제언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내에 단순한 경제적 지원이나, 문제 예방・해결에만 초점을 맞춘 프로그램을 넘어 교사가 주체가 되는 심리・정서 지도, 커리어 멘토링, 동기부여 워크샵 등의 프로그램을 통해 저소득층 학생들의 교육포부를 높일 필요가 있다. 둘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시행에 있어 교사의 성취압력이 교사에 대한 유대와 신뢰, 지지 등과 함께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긍정적인 효과를 발휘했다는 점에서 사업 내 교사의 주도적인 프로그램 참여 통해 저소득층 학생의 교육포부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The ultimate purpose of educational welfare policy is not to pass on poverty to students between generations. To prevent this, the most important thing to look at is what educational policy intervention can change the future of students. The variable that has the greatest impact on a student's future job and income is the level of education, that is, the level of the student's final educational attainment, and educational aspirations are the factors that strongly predict this. In other words, raising the educational aspirations of low-income students will raise the final level of education attainment and further have a positive impact on students' future careers and incomes. Therefore, education aspirations are an important factor in the growth of low-income students as mature citizens and self-reliant adults, which is the purpose of the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 In this study, I wanted to conduct a practical review on how the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 affected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aspirations of low-income students. In addition, the research was conducted by considering the aspects of teachers in that the effect of the policy depends on the role of teachers as the unit school is implemented as the main body of the project, and through this, I intended to draw implications for education welfare policies that could improve the educational aspirations of low-income students. Thus, the research questions set up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how are the educational aspirations of low-income students and the aspects of teachers perceived compared to general students? Second, how are the educational aspirations of low-income students and the aspects of teachers perceived in accordance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 Third, how do low-income students' perceived teacher aspects have any regulation effect on their educational aspirations in accordance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 In order to confirm the research problem, the T-test, Pooled OLS and Two-way Fixed Effect model were used to analyze using the data of middle school students from the 3rd to 5th data of the "Korea Education Profile Study 2013".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ducational aspirations of low-income students were lower than that of all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indicating that they were negatively affected by the family-background. Second, low-income students attending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 schools had a positive perception of teachers compared to those of low-income students who are not attending. Third, attending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 schools was raising educational aspirations of low-income students, and this effect was due to positive perception of teachers in the schools. Fourth, the pressure of teachers at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 schools had a regulation effect on the educational aspirations of low-income students. The pressure of teachers was likely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educational aspirations of low-income students, however, it had a positive impact on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 schools. Based on this results, I present the following policy suggestions to raise the educational aspirations of low-income students by shedding new lights on role of teachers in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 Firs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educational aspirations through programs such as psychological and emotional guidance, career mentoring, and motivational workshops led by teachers, beyond simple economic support or programs focusing solely on problem prevention and resolution. Second, as the pressure on teachers has worked in a combination with close relationship, trust and suppors, leadingly operating programs by teachers in the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 will enhance the educational aspirations of low-income students.

      • 교육복지사업에서 학교와 지역사회 네트워크에 관한 연구 : 서울지역 교육복지사업을 중심으로

        안병렬 서울시립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Abstract About Networking of Schools and Local Communities in Educational Welfare Projects 「Focusing on Educational Welfare Projects in Seoul region」 Ahn, Byung Lyul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Urban Sciences, University of Seoul (Supervised by Professor Kim, Ju-Il) Today the welfare for juveniles and adolescents through education is very important matter in terms of it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national advancement in the future in knowledge driven society. The demand for community educational welfare is increasing in accordance with sudden change of society. It should not be allowed of careless preparation to positively cope with the problems of educational alienation, educational maladjustment, and inequality of educational circumstance attributable to income reduction since the financial turmoil, deepening gap in labor market, increase in family dissolution, dwellers escaped from North Korea, foreign laborers, increase in international marriage of countryside, etc.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the realities of networking of schools and local communities on educational welfare projects of depressed area which has been conducted since 2003. Educational welfare projects are educational welfare services that provide integral support on education-culture-welfare of the kids of the low-income class and local residents by unearthing local resources with cooperation of school and local community and holding in common the resources through networking. In summary, the study focused on establishing a local community of education by enhancing educational welfare projects through cooperative networking with unearthing human resources, material resources, business resources, and informational resources that exist in local community, and analyzed these local resources by distinguishing as interactive trait, structural trait, and functional trait based on relationship and structure. The analysis was studied by the relations, reciprocity, continuity, and diversity for interactive trait; approached by interactive communication, remoteness among doers, and certainty for structural trait; and conducted by the degrees of contribution on purposes and satisfaction on results. Some suggestive points from the analysis were obtained as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professional manpower who harmoniously connect schools and local communities, as getting of partnership through trust and cooperation between them, and as being in need of establishment of a system that can hold educational welfare projects with self-generation though they are formally terminated due to their completion of project terms.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some problems such as impossibility of executing various projects because of short of resources in local community, unavailability of diversification of human resources who participate in the projects, difficulty of securing its continuity because of absolute dependency on the office of education for the budget, and insufficiency of voluntary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Some solutions for these problems were provided as: first, surely holding in common the vision and the goal of networking in local community; second, surely enhancing cooperative networking among school to local community, organization to organization of local community, school to family, and the office of education to local governments; third, surely expanding a stable basis of networking through legalization; fourth, surely improving steadily the projects with enforcing manpower for executing the networking of local community and with expanding the budget; and fifth, surely raising satisfaction and contribution of local residents with positive campaigning and development of various programs for projects. In conclusion,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establish trust and reliance of schools and local communities in order to realize the eventual purpose, embodiment of educational community in local community, of this project, and it needs to continuously study and develop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welfare for local residents through a conference for periodic operation of cases in connection with various organizations of local community. So, it needs to establish a fine system of cooperative networking which takes responsibility for the bright future of juveniles and adolescents with making and utilizing excellent local resources. 〈국 문 초 록〉 오늘날 지식기반사회에서 교육을 통한 아동·청소년 복지는 미래의 국가발전과 직결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일이다. 급격한 사회의 변화에 따라 지역사회 교육복지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외환위기 이후의 소득감소, 노동시장에서의 격차 심화, 가정해체의 증가, 북한 이탈 주민, 외국인 근로자, 농촌에서의 국제결혼 증가 등으로 인한 교육소외·교육부적응·교육여건불평등의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준비를 소홀히 해서는 안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2003년부터 진행중인 빈곤지역의 교육복지사업에 대해 학교와 지역사회간 네트워크 현황을 분석하였다. 교육복지사업은 학교와 지역사회가 협력하여 지역자원을 발굴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자원을 공유하여 저소득층 아이들과 지역주민들의 교육-문화-복지를 통합적으로 지원하는 교육복지서비스인 것이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해 보면 지역사회에 존재하고 있는 인적자원, 물적자원, 사업자원, 정보자원을 발굴하여 네트워크 협력을 통해 교육복지사업의 활성화로 지역교육공동체를 만드는데 있으며 이러한 지역자원을 관계와 구조를 기본으로 상호작용적 특성, 구조적 특성, 기능적 특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내용은 상호작용적 특성은 관계내용, 호혜성, 지속성, 다양성으로 연구했고, 구조적 특성은 소통방향성, 행위자간 거리, 확정정도로 접근했으며, 기능적 특성은 목적기여도, 성과만족도로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시사점으로 학교와 지역사회를 원활하게 연결시키는 전문적인 인력의 필요성을 인식한 점, 상호간에 신뢰와 협력을 통한 파트너십이 생긴 점, 사업기간이 만료되어 형식적으로 종료되더라도 자생력을 갖고 교육복지사업을 지속시킬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는 점을 얻었다. 반면에 문제점으로 지역사회 자원부족으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지 못하는 것, 사업에 참여하는 인적자원들이 다원화되지 못한 것, 사업예산을 절대적으로 교육청에 의존하고 있어 지속성 담보가 어려운 것, 지역주민들의 자발적 참여가 부족한 것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방안으로 첫째, 지역사회네트워크의 비전과 목표를 공유할 것, 둘째, 학교와 지역사회, 지역사회 기관과 기관, 학교와 가정, 교육청과 지방자치단체간의 네트워크 협력을 강화할 것, 셋째, 법제화를 통한 네트워크의 안정적 기반을 확충할 것, 넷째, 지역사회네트워크 추진 인력의 강화와 예산 확충으로 사업을 안정적으로 발전시킬 것, 다섯째, 사업에 대한 적극적 홍보와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로 지역주민들의 만족도와 기여도를 높이는 것 등을 해결방안으로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지역사회 교육공동체 구현이라는 본 사업의 궁극적 목적 실현을 위해 학교와 지역사회간 믿음과 신뢰의 구축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다양한 지역사회 기관과 연계한 정기적인 사례관리 협의회를 통해 지역주민들의 교육복지 개선을 지속적으로 연구·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그래서 우수한 지역자원을 만들고 활용하여 아동·청소년들의 밝은 미래를 책임질 수 있는 세밀한 지역사회 네트워크 협력체제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의 네트워크 활동에 관한 연구 :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활동을 중심으로

        정영림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저소득층 밀집지역에서 생활하고 있는 아동에게 교육·복지·문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지역사회 내 조직 간의 네트워크 활동의 실태를 파악하고,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네트워크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복합적 욕구를 지닌 저속득층 가정의 아동과 부모를 통합적이고 지속적으로 지원하는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내 지역사회 네트워크 활동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이를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보다 적절하고 질 높은 교육·복지·문화 서비스 제공을 통해 그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는 갖는다. 연구문제 1.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시행 학교의 지역사회 네트워크 활동의 실태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에서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네트워크 활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전국의 초·중·고등학교에 있는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시행 학교에 근무하는 지역사회교육전문가들을 조사 하였다. 전국의 지역사회교육전문가 전수를 대상으로 161부의 설문지를 배표하였으며 그 가운데 105부가 회수되어 65%의 회수율을 보였다. 본 연구의 조사도구는 네트워크 활동인 종속 변수를 측정하기 위하여 지역사회 기관과, 각 네트워크의 유형을 제시하여 체크하도록 연구자가 직접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독립변수로 지역사회요인은 Hahn(1994)이 사용한 지역사회자원의 양적·질적 적합성 2문항과 자원다양성 1문항 등 총 3문항을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측정하였다. 학교요인은 조직이 업무의 자율성을 보장해 주는지에 대해 이현주(1998)가 사용한 조직특성척도를 사용하엿으며, Biegel, Tracy and Song(1995)의 조직체계 장애 척도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지역사회요인은 강순영(2000)의 연구에서 사용된 직무 정체성, Biegel, Tracy and Song(1995)의 연구에서 사용한 사회복지사가 인식한 지식에 대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학교의 사업시행 기간을 통제변수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기술통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가설을 중심으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원교화 기관의 다양성에는 통제변수로 사용된 사업시행기관, 지역사회요인의 자원적합성, 학교요인의 업무자율성, 교사의 인식이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자원교환 활동의 활발성에는 통제변수로 사용된 사업시행기간, 지역사회 요인의 자원적합성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업네트워크 기관 다양성에는 통제변수로 사용된 사업시행기간, 지역사회요인 중 자원적합성, 교사의인식,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전문적 능력이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사업네트워크 활동의 활발성에는 통제변수로 사용된 사업시행기간만이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셋째, 정보교환 기관 다양성에는 통제변수인 사업시행기간, 지역사회 요인인자원적합성, 학교요인인 교사인식, 지역사회교육전문가 요인인 전문적 능력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정보교환 활동의 활발성에는 지역사회 요인인 자원적합성, 학교요인인 업무자율성, 교사인식, 지역사회교육전문가 요인의 전문적 능력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클라이언트 의뢰 기관 다양성에는 통제변수로 사용된 사업시행기간과 지역사회 요인이 자원적합성이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 의뢰 지속성에는 통제변수로 사용된 사업시행기간, 지역사회 요인의 자원적합성, 지역사회교육전문가 요인의 전문적 능력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가 갖는 연구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이론적 함의로 본 연구가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의 네트워크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이해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실천적 함의로는 첫째,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시행 학교의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네트워크 활동에 대한 선행연구가 거의 없는 현실에서 본 연구는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의 지역사회교육전문가들의 네트워크 활동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둘째, 기존의 사회복지전달체계에 대한 논으는 주로 상부구조인 행정체계를 중심으로 수직적인 체계에 국한되어 논의되고 있다. 반면, 본 연구는 다양한 조직들 간의 관계를 고려하는 수평적인 체계의 구축에 대한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셋째, 지역사회의 다양한 기관들과 네트워크 활동이 활성화되어야 함을 밟혀준다. 넷째, 네트워크 관계 내용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것을 고려할 수 있다. 1. 지역사회 차원의 거시적 네트워크의 활성화 2. 지속적인 클라이언트 관리 다섯째, 본 연구의 분석전과 네트워크 활동 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을 고려할 수 있다. 1. 지역사회 자원적합성 요구 2.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에 대한 교사 인식 교양 3.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전문적 능력 제고 및 교육·훈련 강화 마지막으로 정책적 함의는 첫째, 교육복지관련 관계 부처 간의 협력이 요구됨을 밝혀준다. 둘째,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의 평가체제가 수정·보완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ommunity network of the community education specialist and the school social work organizations delivering servies to the childrern living in low-income familes, and explore influencing factors on networking by community education specialist. Accordingly, b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ommunity networking of durability, suggest the direction of implication for the future practice are discussed. Ultimately this study wishes contribute to high qulity service and improve their qulity of life.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pose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 (1) How is actual condition of education welfare priority zone? (2) What is the influencing factors on networking of education welfare priority zone? Data for analysis were collected from 105 community education specialist. Collected data analyzed by using SPSS 12.0 for descriptive,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The sum up the results of the study in terms of the research hypothesis. First,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in accounting for agency diversity of resource exchange are locus of control; a period of education welfare priority zone, resource suitability, self-control of work, teacher´s cognition.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in accounting for acivity of resource exchange are locus of control; a period of education welfare priority zone, resource suitability. Secon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in accounting for agency diversity of business network are locus of control; a period of education welfare priority zone, resource suitability, teacher´s cognition, community education specialist´s professional ability.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in accounting for activity of business network are locus of control; a period of education welfare priority zone. Thir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in accounting for agency diversity of information exchange are locus of control; a period of education welfare priority zone, resource suitability, teacher´s cognition, community education specialist´s professional ability.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in accounting for acivity of information exchange are resource suitability, self-control of work, teacher´s cognition, community education specialist´s professional ability. Finally,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in accounting for agency diversity of client referrals are locus of control; a period of education welfare priority zone, resource suitability.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in accounting for durability of client referrals are locus of control; a period of education welare priority zone, resource suitability, community education specialist´s professional abilit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not only to the study on netwoking of education welfare priority zone, but also the theory building of the study of networking in education welfare priority zone The practical implications for a study on networking of education welfare priority zone reveals the importance of the following : First, We don´t see research of networking of education welfare priority zone in korea. So this study provide to preliminary date Second, administration system of superstructure. The other side, this study provide meaningful information to horizontal system. Third, It´s necessary to reinvigorate networking with diversity community organization. Fort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reinvigorate of macroscopic networking; a level of community 2. constant management about client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needs of the community resource suitability 2. Enhance teacher´s cognition of education welfare priority zone 3. Raise community education specialist´s professional ability and consolidate education and training The practical implications for a study on networking of education welfare priority zone reveals the importance of the following : First, It´s necessary to cooperate between the relevant authorities of education-welfare. Second, It´s necessary to complement to evalucation system of education welfare priority zone

      • 교육격차 분석 및 교육복지 향상방안 연구 : 강원도 농산어촌을 중심으로

        우연택 강원대학교 정보과학.행정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seek the improvement program of education and welfare to improve education situation of schools in farming, mountain and fishing village of Gangwon-do whose educational environment has been aggravated due to change in the industrial structure of our society, regional economy declined by the phenomenon of 'moving from village to city' and decreased population as well as the program to dispel the educational gap between city and farming town. To check the educational gap between farming, mountain and fishing village in Gangwon-do and city, the 7 cities in Gangwon-do were classified as urban area and eup/myun in 11 counties, as farming, mountain and fishing village to collect the relevant materials and to compare and analyze the area in the division of educational resources, educational situation and educational result. The schools in farming, mountain and fishing villages in Gangwon-do occupy 74.5% of total schools and 43.6% of schools in farming, mountain and fishing village are designated as schools in isles and isolated area by law of promoting education of isles and isolated area. Although the national population increased by 7.44% in 1995~2007, the population in the province reduced by 1.62%. While the population of urban area increased by 5.07%, that of farming, mountain and fishing village reduced by 15.4%, which shows that the population of farming, mountain and fishing village in Gangwon-do is decreasing rapidly. Checking the fluctuation ratio of number of students compared to population, the number of students in the province reduced by 12.1% in 1999~2007, which is far higher than ratio of population reduction by 3.42%. While the number of students in urban area reduced by 6.4%, that of farming, mountain and fishing village reduced by 26.4%. As the reduction ratio of the students in farming, mountain and fishing village is higher than that of urban area by 4 times, the reduction of schooling population in farming, mountain and fishing village in Gangwon-do is quite serious. Some 35% of schools in farming, mountain and fishing village are small schools with classes below 6 and 58% of them are schools with students below 100. As the size of schools in farming, mountain and fishing village is reduced, 14.4% of classes in the primary schools are double class.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s, the number of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non-major subjects is 248, which is 83.2% of 298, the total number of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non-major subjects. As it is expected that the number of pupils in primary schools is reducing constantly due to reduction of schooling population caused by tendency of low childbirth, it is anticipated that the size of schools in farming, mountain and fishing village continues to reduce. Since 53 out of 561 schools in farming, mountain and fishing villages were closed in 1999~2008, the schools in eup and myun are under the risk of emptiness. The ratio of students whose lunch are provided in the schools in farming, mountain and fishing village is 17.5% of total students. This is higher than the ratio of students of lunch support in urban area. Considering the high rate of basic life beneficiary and number of children in single-parent families, it is found that the number of students in needy family in farming, mountain and fishing village is higher than that of students in urban area. This is demonstrated by the situation of supporting school expense to students in middle and high schools. The ratio of entering kindergartens in farming, mountain and fishing village i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urban area, which may be due to the fact that the farming, mountain and fishing village has relatively fewer public kindergartens and other infantile educational institutions in comparison with city. Although the private educational facilities in farming, mountain and fishing village is absolutely fewer than urban area due to reduced number of students, the ratio of participating in after-class school was higher than that of urban area. Checking the situation of dormitory in the schools in farming, mountain and fishing village, some farming, mountain and fishing village has 1∼2 dormitories. However, those in Chuncheon and Gangreung have 9∼10 dormitories, even showing the phenomenon of bi-polarity. The farming, mountain and fishing village has multipurpose rooms fewer than urban area by some 10%. Although the ratio of installing cooling and heating facilities is found to be generally higher than that of urban area, the gap between primary school and middle?high school is very large. The ratio of entering higher school of the middle school graduates in farming, mountain and fishing village is not so different from that of urban area. Although the ratio of entering university of the high school graduates in farming, mountain and fishing village is not so different from that of urban area, farming, mountain and fishing village shows higher ratio of entering junior college than urban area. The ratio of suspending schooling of high school students in urban area i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farming, mountain and fishing village for 3 years from 2006 to 2008. Checking the general line and the specialized line entirely, there was no large difference between urban and rural area in 2006 and 2007. The ratio of suspending schooling in specialized line is much higher than liberal arts line both in urban and rural area. The methods to improve the educational welfare of farming, mountain and fishing village in Gangwon-do are as follows. First, it is required to consider expanding education expense support to students in farming, mountain and fishing village, operating village studying room, dormitory, installation of educational facilities like village education welfare center. Second, it is necessary to dispel the double class in the schools in farming, mountain and fishing village and to introduce system of faculty substituting the military service so as to mitigate the lesson of subject by non-major teachers. Third, it is essential to implement improvement of treatment such as more favorable personnel management than that of urban workers, establishment or increase of allowance and improvement of work environment such as preferential arrangement of office assistant, new construction or remodeling of house for teachers in farming, mountain and fishing village. Fourth,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system by which teachers wishing to work in farming, mountain and fishing village or those from the region are given additional mark in the stage teacher employment test so that they compulsorily work for long time in designated term. Fifth, the consolidation of small-scaled schools shall be carried on in rational procedure by fully reflecting the opinion of regional inhabitants and fully considering the regional situation. Sixth, since schools in farming, mountain and fishing village absolutely lack private educational facilities, administration and finance should be actively supported so that the after-class school can be operated positively. Seventh,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supporting business for preferential investment area of educational welfare for farming, mountain and fishing village. Eighth, dormitory should be installed in the high schools in farming, mountain and fishing village. Ninth, it is required to expand the financial support for improvement of education circumstances for farming, mountain and fishing village and to enact ordinances of education expense of self-governing body in wide area. Tenth, it is necessary to consider establishing education welfare support center in the regional unit so as to constantly and systematically cope with the educational issue of farming, mountain and fishing village. Eleventh,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ratio of special screening of university entrance for students in farming, mountain and fishing village. Twelfth,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chool affairs for university students in farming, mountain and fishing village. The overall educational issues of farming, mountain and fishing village may be mostly caused by socio-structural part and schools play the central role of education, culture and welfare in farming, mountain and fishing village. Thus, the regional education welfare should be spread around local school and should be realized through developmental model of the region. The solution of educational problems in farming, mountain and fishing village must run parallel with effort to improve residents' life circumstances and to promote local economy. It may be important to prepare the base on which the residents of farming, mountain and fishing village may settle in the region by jointly and organically promote the regional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educational circumstances so that education, culture, welfare and economy may get elevated comprehensively. 본 연구는 우리사회의 산업구조 변화와 이촌향도(離村向都) 현상에 따른 지역경제의 쇠퇴와 인구감소로 교육환경이 악화된 강원도 농산어촌 학교의 교육여건 개선과 도농간의 교육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교육복지 향상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강원도 농산어촌과 도시와의 교육격차를 알아보기 위하여 강원도의 7개시를 도시지역으로, 11개 군의 읍·면지역을 농산어촌 지역으로 구분하여 관련 자료를 수집하여 그 영역을 교육자원, 교육여건, 교육결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강원도 내의 학교는 전체학교의 74.5%가 농산어촌 학교이고, 농산어촌 학교의 43.6%는 도서?벽지교육진흥법에 의한 도서?벽지학교로 지정되어 있다. 인구 변동현황을 보면 1995년에서 2007년 사이에 전국 인구가 7.44% 증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도내의 인구는 1.62% 감소되었다. 지역별로는 도시 지역의 인구는 5.07% 증가한 반면 농산어촌의 인구는 15.4% 감소하여 강원도 내 농산어촌의 인구가 급감하고 있음을 있었다. 인구 대비 학생수 변동 비율에서 1999년에서 2007년 사이에 도내의 학생수는 12.1%가 감소하여 인구 감소 비율 3.42%에 비하여 학생수 감소 비율이 월등히 높다. 지역별로는 도시 지역의 학생수가 6.4% 감소한데 비하여 농산어촌의 학생수는 26.4%가 감소하여 농산어촌 학생의 감소 비율이 도시 지역에 비하여 4배 정도 높게 나타나 강원도 내 농산어촌의 학령인구 감소현상이 심각함을 보여주고 있다. 농산어촌 학교의 35%가 6학급 미만의 소규모 학교이고 58%가 학생수 100명 미만의 학교이다. 농산어촌 학교의 소규모화로 초등학교 학급의 14.4%가 복식학급을 편성하고 있으며 중?고등학교의 비전공교과담당 교사가 248명으로 전체 비전공교과담당 교사 298명의 83.2%에 달하고 있다. 저출산 추세에 의한 학령인구의 감소로 초등학교 학생수는 계속 감소될 것으로 전망되어 농산어촌 학교의 소규모화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농산어촌의 학교는 1999년부터 2008년 사이 561교 중 53개교가 폐교되어 읍?면지역 학교의 공동화가 우려된다. 농산어촌 학교의 중식지원 학생은 전체학생의 17.5%로 시 지역의 중식지원 학생 비율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중 기초생활 수급자 및 모부자 가정 자녀수도 높게 나타나는 것을 볼 때 농산어촌에 가정환경이 어려운 학생이 시 지역보다 많음을 알 수 있으며, 중?고등학생 학비지원 현황에서도 이를 입증되고 있다. 농산어촌의 유치원 취원율은 도시 지역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도시에 비하여 농산어촌에는 공립유치원 외에 다른 유아교육기관이 상대적으로 적음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농산어촌은 학생수의 감소로 사교육 시설이 도시 지역에 비해 절대적으로 부족하게 나타났으나, 방과후학교 참여율은 도시 지역보다 높게 나타났다. 농산어촌 학교 기숙사 보유현황은 1∼2개를 보유한 농산어촌 지역에 비해 춘천, 강릉 지역은 9∼10개를 보유하고 있어 양극화 현상마저 보이고 있다. 또 다목적실 보유현황도 도시 지역에 비하여 농산어촌 지역이 10%정도 부족하게 나타나고 있다. 냉?난방 시설 설치 비율은 도시 지역에 비하여 대체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초등학교와 중?고등학교의 격차가 심하다. 농산어촌 중학교 졸업자의 상급학교 진학률은 도시 지역과 별 차이가 없다. 농산어촌 고등학교 졸업자의 대학교 진학률은 도시 지역과 큰 차이가 없지만, 농산어촌은 전문대학 진학율이 도시지역에 비하여 높다. 2006년도부터 2008년까지의 3년간 고등학생의 학업중단 비율은 농산어촌 지역에 비하여 도시 지역이 조금 높게 나타났다. 일반계와 전문계를 전체적으로 보면 2006년도와 2007년도에는 도?농간 별 차이가 없으며, 도?농간 공히 전문계열의 학업 중단율이 인문계열 보다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강원도 농산어촌의 교육복지 향상 방안으로는 첫째, 농산어촌 학생에 대한 교육경비 지원확대와 마을 공부방 운영, 기숙사, 마을교육복지센터 등의 교육시설 설치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둘째, 농산어촌 학교의 복식학급을 해소하고 비전공교과담당 교사 수업을 완화하기 위하여 병역의무 대체복무교원 제도를 도입하도록 한다. 셋째, 농산어촌 교직원에 대한 도시 근무자 보다 유리한 획기적인 인사우대, 수당신설 또는 증액 등의 처우 개선과 사무보조원 우선 배치, 사택 신?개축 등의 근무여건 개선이 필요하다. 넷째, 농산어촌에 근무를 희망하는 교원이나 그 지역 출신자를 교원임용시험 단계에서 가산점을 부여하여 일정기간 동안 의무적으로 장기근무 하도록 하는 제도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소규모 학교의 통폐합은 지역주민의 충분한 의견 수렴과 지역 실정을 충분히 검토하여 합리적인 절차에 의해 추진하도록 한다. 여섯째, 농산어촌 학교는 사교육 시설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만큼 방과후학교 운영의 내실화를 기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행?재정 지원을 하도록 한다. 일곱째, 농산어촌형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여덟째, 농산어촌 고등학교에 기숙사를 설치하도록 한다. 아홉째, 농산어촌 교육여건 개선을 위한 재정지원을 확대하고 광역지방단체단체의 교육경비 조례 제정이 필요하다. 열번째, 농산어촌의 교육문제에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지역단위 교육복지 지원센터 설립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열한번째, 농산어촌 학생 대학입학 특별전형 비율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열두번째, 농산어촌 대학생을 위한 학사 설립이 필요하다. 농산어촌의 전반적인 교육문제는 사회구조적인 원인에 기인하는 부분이 더 많다고 볼 수 있으며 농산어촌 지역에서는 학교가 교육, 문화, 복지의 구심점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지역의 교육복지는 지역학교를 중심으로 전개되고 지역과 함께하는 발전모델을 통해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농산어촌의 교육문제 해결은 주민 생활여건 개선과 지역경제의 진흥에 대한 노력이 병행되어야 한다. 지역개발과 교육여건 개선 등을 통합적?유기적으로 추진하여 교육, 문화, 복지, 경제가 포괄적으로 향상되도록 함으로써 농산어촌 주민이 지역에 정주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 빅데이터 분석 기법을 활용한 교육복지 정책 언론 보도 분석 : 잠재 디리클레 할당모형을 중심으로

        이종승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교육복지를 주제로 보도된 언론 데이터를 수집하여 빅데이터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고 정권별로 정리한 것이다. 교육복지의 개념은 법제화되지 않은 탓에 아직 만족스러운 합의에 이르지 못하였으나, 교육 발전에 크게 기여하는 유용성의 관점에서 문민정부부터 본격적으로 정책화 과정에 이르렀다. 이에 우리는 언론 보도가 정책 여론의 쟁점과 논의를 심층 보도하는 성격에 따라 정책 형성과 결정 과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을 근거로 실증적인 관점에서 탐색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최근 교육복지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언론 보도를 잠재 디리클레 할당(LDA) 모형으로 분석한다. 잠재 디리클레 할당 모형은 현존하는 토픽 모델링 기법 중 언론 분석을 하는데 적합한 모형이라 할 수 있다. 연구 진행을 위해 교육복지를 키워드로 한 기사 18,843개의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각 정권별 키워드 기사를 정리하여 3,782개의 데이터를 추가로 수집하였다. 수집한 데이터는 자연어 처리 과정(NLP)을 거쳐 분석을 진행하였다. 교육복지는 정부 관점에 따라 적용 대상별 차이가 있었으나, 언론 보도는 교육복지 정책을 어떻게 보도하는지, 언론 보도는 그 당시 교육복지 정책의 주요 쟁점과 사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교육복지를 보도하는 보수 언론과 진보 언론은 보도 경향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교육복지에 대한 언론 보도는 정권별로 경향성을 드러내는지를 파악할 수 있었다. In this reaserch, It collects media data reported under the theme of educational welfare, analyze it using big data techniques, and organize it by regime.Although the concept of educational welfare has yet been reached in a satisfactory settlement due to the lack of legislation, the civilian government has reached a full-fledged policy-making process in terms of the usefulness that contributes greatly to the development of education.Therefore, we need to explore from an empirical point of view based on the fact that media reports can directly affect the process of policy formation and decision-making,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that press reports are likely to give a full and particular account of Issues and Discussions of Policy Public Opinion. The study analyzes media reports as a model of potential diriglass allocation as social interest in educational welfare has increased recently.The Latent Dirichlet Allocation is the most advanced and widely used algorithm among existing topical modeling techniques and is suitable for media analysis.For the research, 18,843 articles with educational welfare keywords were collected using crawling technique, and 3,782 additional data were collected by organizing keyword articles according to each regime.The collected datas were analyzed through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lthough educational welfare was different in applying their policy to people, from the point of view of government, But it was able to figure out the way mess media report educational welfare policy, What is the effect of press report when they handle key Issues and incidents in educational welfare policy, What kind of differences exist between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media by reporting on educational welfare, If Reports regarding to educational welfare show any tendency by regime.

      • 유아교육용 멀티미디어 소프트웨어에 나타난 복지교육의 내용분석

        김현주 숙명여자대학교 199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유아 교육용 멀티미디어 소프트웨어에 나타난 복지교육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멀티미디어 기능이 지원되며 상호작용이 가능한 유아를 대상으로 한 교육용 멀티미디어 소프트웨어에 한정한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가운데 연구 목적에 따라 CD-i Title ‘열린 유치원 시리즈 I, II(14개 title)’와 현재 시판되고 있는 유아 교육용 소프트웨어 중 통합 교육 내용을 담고 있는 멀티미디어 소프트웨어 6가지를 선정했다. 연구 분석의 준거는 복지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유아기에 적용했을 때 기본목표와 교육내용이 가장 근접한다고 생각한 교육부의 유치원 교육과정 영역 중 사회생활 영역(1992)과, 이원영 등(1991)이 조사한 우리나라 유아들에게 꼭 필요한 18개 사회적 덕목을 기초로 하여 구성하였다. 따라서 연구에서의 분류기준은 복지교육을 생명존중, 주체적 자립, 공동체의식, 기본생활 능력, 사회현상·환경에 대한 관심 등 5가지 항목으로 구분하고, 5개의 항목은 다시 21개의 내용으로 분류된다. 복지 교육의 목표와 내용에 근거하여 설정한 분석 준거에 의거하여 연구 자료인 멀티미디어 소프트웨어에 나타난 복지 교육의 존재 유무와 복지교육 을 다루는 데 있어서 필요다고 생각한 각 항목들을 어느 정도 다루었는지, 그리고 그 내용들은 지식, 사고과정, 기술, 가치·태도의 어떤 측면에서 다루어졌는지를 알아보려고 하였다. 그 결과 첫째, 복지 교육의 항목별 비중을 보면 사회현상·환경에 대한 관심이 37.7%로 가장 많고 공동체의식이 23.2%, 기본 생활능력이 23.2%, 주체적 자립이 13.0%, 생명존중이 2.9%로 나타나고 있다. 다른 항목에 비해 생명존중 항목의 비중이 소홀하게 다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복지교육의 가장 기본적인 항목이므로 보다 많이 다루어져야 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둘째, 복지교육의 서술방식을 살펴보면 지식이 41.2%, 사고과정이 3.7%, 기술이 36.2%, 가치·태도가 18.7%를 각각 차지하고 있다. 유아기의 특징상 지식 관련 비중이 많은 것이 자연스럽다고 볼 수도 있으나 복지교육이나 사회교육의 목표가 객관적 사회인식 능력과 다양한 사고력, 문제해결 능력을 갖춘 민주 시민을 양성하는 것이라고 할 때, 비판적, 창의적 사고력과 문제 해결능력을 함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사고과정 범주의 비중이 너무 미흡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구체적 내용을 분석한 결과는 전반적으로 내용이 부족하고 복지 교육의 목표 및 내용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의 복지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멀티미디어 소프트웨어의 효과적 활용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유아교육용 멀티미디어 소프트웨어의 내용의 다양화이다. 한글 익히기, 영어, 수리, 동화 영역 위주의 내용에서 유아의 전인적 발달을 도모하고, 미래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사회생활 영역이 확장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유아교육용 소프트웨어의 개발과정에 전문가의 참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용 소프트웨어는 그 특성상 유아의 발달 단계와 인지양식을 고려하고 각 영역의 발달 목표를 명확하게 인지하고 있으며 그 위에 사회적 흐름을 반영할 수 있는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보다 유아의 발달 수준에 맞고 교육적으로 효과적인 내용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사회생활 영역을 내용으로 하는 교육용 소프트웨어에 복지적 관점이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복지교육은 인간 존엄의 정신을 바탕으로 개인의 성장, 발달과 현대 산업사회의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 및 사회적 책임감을 가지게 하는 것을 추구하고 있다. 이러한 복지교육의 목표는 교육의 궁극적 목표와 연결되어 있으며 이기주의와 물질 만능주의를 바탕으로 인간의 소외와 불평등이 심화되어 가고 있는 오늘날의 사회를 극복하기 위한 바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측면을 고려할 때 소프트웨어의 내용 중에서 인간과 사회를 이해하고 문제에 직면한 인간에 관심을 유도할 수 있는 내용들이 포함되어야 하는데 예를 들면 장애인, 무의탁 노인. 아동, 빈민 등 사회적 약자에 대한 내용들과 사회문제, 환경문제, 인권과 생명에 대한 지식과 이해를 들 수 있겠다. 넷째, 유아기에 사회생활의 가장 중요한 대상은 또래집단일 것이다. 그러므로 사회생활 영역을 다루는 내용에서는 또래들 사이의 갈등과 조정, 화해를 통해 문제를 해결해나가고 합의를 도출해내는 과정이 풍부하게 제시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더불어 타인에 대한 존중을 바탕으로 다양한 개성을 가진 사람들이 상호의존하며 공존하고 있음을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이 포함 되어야 할 것이다. The ultimate goal of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is to develop democratic citizenship which emphasizes basic social manners, the abilities to control their emotion, relationship with others and problem solving about various social problems in the modern society. To accomplish this goal, it is appropriate to include the contents of welfare education in social curriculum and the content of textbooks. This study purports to maximize the effectivenes of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by considering the welfare education appeared in multimedia software and to present new direction of social studies education. The subject of the analysis are the multimedia software containing integrated education. Both quantative and qualitive method were used in reviewing the type, level and the style of presentation of welfare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content analysis, the analysis table of welfare education has been classified into the respect for living things, independent self establishment, sense of community, basic social manners, interest in social phenomenon and environment. The result of the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y analyzing in terms of the items of welfare education in multimedia software, interest in social phenomenon and environment were addressed most frequently , but the respect forliving things were treated severely. Second, proportion of the presentation level of contents reflecting the welfare education showed a dominance of contents concerning knowledge, skill. In contrast, thought process were treated severely. And the contents of welfare education in multimedia software were insufficient and imperfect Especially contents about the responsibility, self regulation and ability to make concession should be included. From these result the following tasks were put forth in order to update the welfare education in social studies education and to make efficient use of multimedia software. First, the proportion alloted to welfare education in multimedia software needs to be increased. Second, in the process of producing multimedia software, participation of expert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essential.

      • 저소득가정 아동의 학교적응과 관련변인 : 모애착, 사회적 지지, 교육복지프로그램 만족도를 중심으로

        김현정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이 지각하는 모애착, 사회적지지 및 교육복지프로그램 만족도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본 결과, 아동이 지각한 모애착의 전체 평균은 3.18점으로 전반적으로 중간점수보다 높게 나타났다. 아동이 지각한 모애착의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신뢰감(M=3.28), 소외감(M=3.14), 의사소통(M=3.14)순으로 나타났다.아동이 지각한 사회적지지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보면 사회적지지의 전체 평균은 3.12점으로 중간 이상의 사회적지지를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지지의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아동들은 가족지지(M=3.31)를 가장 높게 지각하였고, 그 다음으로 친구지지(M=3.18), 교사지지(M=2.90)의 순으로 나타났다. 아동이 가족지지를 가장 높게 지각하는 것은 아동은 가정에서 여러 가족원의 지지적인 관계를 통해 얻게 되는 심리적 안정감과 지식과 경험, 도움 등을 바탕으로 아동이 성장해 가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으므로 매우 바람직하다고 보겠다. 또한 교사지지를 가장 낮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교육복지 프로그램 만족도에 대한 일반적 경향을 살펴보면, 전체 평균은 4.16으로 중간이상의 높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다.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정서․심성영역(M=4.32)을 가장 높게 지각하였고, 복지․지원영역(M=4.28), 문화․체험영역(M=4.27), 학습영역(M=3.85)순으로 나타났다. 교육복지 만족도와 성과분석(2007:한국교육개발원)에서 보면 프로그램 중 가장 낮은 도움 정도가 정서․심성영역 이였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정서․심성영역의 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학교적응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보면 전체 평균은 3.09점으로 중간이상의 학교적응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친구영역(M=3.24)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그 다음은 학교생활영역(M=3.08), 학교공부영역(M=3.05), 교사영역(M=2.98)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과 학년에 따른 아동의 모애착, 사회적지지 및 교육복지프로그램 만족도와 학교적응을 살펴본 결과, 먼저 아동의 모애착 에서는 성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신뢰감영역에서는 남아가 여아보다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의사소통영역에서도 남아가 여아보다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외감 영역에서는 여아가 남아 보다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학년에 따른 모애착 차이를 분석한 결과 아동의 모애착은 학년에 따라 4학년과 5학년, 6학년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신뢰감 영역에서 4학년(M=3.40, SD=.35)이 높게 지각 하고 있으며 5학년(M=3.26, SD=.43), 6학년(M=3.19, SD=.43)으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의사소통영역과 소외감영역 또한 4학년이 높게 지각하고 있으며 5학년, 6학년으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는 성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친구지지영역과 교사지지영역에서 여아가 남아보다 사회적 지지를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학년에 따른 사회적지지 차이를 분석한 결과 가족지지영역은 4학년과 5학년, 6학년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또한 교사지지 영역에서도 4학년과 5학년, 6학년으로 차이를 보이고 있다. 교육복지프로그램 전체 만족도는 여아가 남아보다 더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 빈도에 있어서는 문화․체험영역이 415명으로 가장 많은 참여도가 보였고, 복지․지원영역이 233명으로 가장 낮은 참여율을 보였다. 영역별 만족도를 살펴보면 정서․심성영역이 가장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으며 다음으로 복지․지원영역, 문화․체험영역, 학습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성별로 보면 남학생들은 복지․지원영역에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고, 여학생은 정서․심성영역에 가장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한편 남아와 여아 모두 학습영역에서는 가장 낮은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아동의 학년에 따른 만족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년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학습영역은 학년에 따라 4학년과 5학년, 6학년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또한 문화․체험영역에서도 4학년과 5학년, 6학년으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정서․심성영역, 복지․지원영역 또한 4학년과 5학년,6학년으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아동이 지각한 학교적응은 성별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교사적응영역에서는 여아가 남아보다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생활적응영역에서도 여아가 남아보다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학년에 따른 학교적응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습적응영역은 학년에 따라 4학년과 6학년, 5학년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교사적응영역 에서는 4학년과 5학년, 6학년으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마찬가지로 학교생활적응영역 에서도 4학년과 5학년, 6학년으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셋째, 아동의 학교적응에 대한 모애착, 사회적지지 및 교육복지 프로그램 만족도의 하위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학교적응의 하위요인들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면, 먼저 전체학교적응에서 모애착, 친구지지, 가족지지, 교사지지, 교육복지프로그램만족도 등 모두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63%의 높은 설명력을 보이고 있다. 또한 교사지지, 친구지지, 교육복지프로그램만족, 가족지지, 모애착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학교공부영역에서는 모애착, 친구지지, 교사지지, 교육복지프로그램만족도 등 가족지지를 제외한 요인이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영향력을 미쳤고, 35%의 설명력을 보이고 있다. 학교공부영역은 친구지지, 교사지지, 모애착, 교육복지프로그램만족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친구영역에서 친구지지, 교육복지프로그램만족도 등 2개 요인이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영향력을 미쳤고, 57%의 높은 설명력을 보이고 있다. 친구영역은 친구지지, 교육복지프로그램만족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교사영역에서 가족지지, 교사지지, 교육복지프로그램만족도 등 3개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54%의 높은 설명력을 보이고 있으며, 교사지지, 교육복지프로그램만족도, 가족지지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학교생활영역에서 아동이 지각한 모애착, 친구지지, 교사지지, 교육복지프로그램만족도 등 가족지지를 제외한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났다. 38%의 설명력을 보이고 있으며, 교사지지, 교육복지프로그램만족, 모애착, 친구지지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사회적 지지체계가 빈약하고 학교적응에 어려움이 있는 저소득가정의 4,5,6학년 자녀를 대상으로 모애착과 사회적지지 및 교육복지프로그램 만족도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이를 바탕으로 저소득 가정 자녀의 학교적응을 돕는 기초 자료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의 실태와 활성화방안 : 청주지역을 중심으로

        이부영 청주대학교 사회복지·행정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교육복지 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은 교육취약 아동・청소년의 교육기회, 과정, 결과에서 나타나는 주요 취약성을 최대한 보완하기 위한 교육, 문화, 복지 등의 통합지원시스템 구축사업으로, 학교가 중심이 되는 지역교육공동체 구축을 통해 학습・문화・심리・정서・보건 등 삶 전반에 대하여 지원함으로써 교육취약 아동・청소년의 교육적 취약성을 해소해 나가고자 하는 데 그 주요 특징이 있다. 선진 외국에서도 교육 불평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오고 있으며, 미국의 헤드 스타트사업과 프랑스와 영국의 취약지역에 대한 특별지원정책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교육복지 지원사업의 주요 영역은 학습영역, 문화・체험영역, 심리・심성영역, 복지영역, 지원영역, 영・유아영역의 6개 영역으로 나뉘어져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2006년 5월부터 교육복지 지원사업을 수행중인 청주시 흥덕구 4개 학교(초등학교 2, 중학교 2개교)와 2007년 7월부터 교육복지 지원사업을 시작한 상당구 5개 학교(초등학교 3, 중학교 2개교)로 총 9개 학교를 대상으로 현재 수행되고 있는 교육복지 지원사업에 대한 평가는 대부분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교육복지의 필요성과 중요성은 가정에서 방치되기 쉬운 저소득층 학생들의 개인생활에 대해 교육복지 지원사업을 통한 개입이 건강하고 건전한 생활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주지역의 사업성과로는 교육복지 마인드 확산, 자체 사업기반조성, 학교와 지역사회의 협력강화를 들 수 있다. 현재 청주시에서 수행되고 있는 교육복지 지원사업은 5년 예정의 프로젝트사업으로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이 기간 동안에 달성해야 할 과제를 목표로 설정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5년 동안 반드시 달성하지 않으면 안되는 목표는 결국 프로젝트 종료 후에도 교육복지 지원사업의 안정적 운영을 할 수 있도록 ‘자립기반을 확충’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첫째, 대상 집단에 대한 집중지원의 효과성이 가시화 되어 교육복지 지원사업의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 지지를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며, 둘째, 예산지원의 대폭적인 감축이나 중단과 무관하게 자생적인 사업수행 역량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예산지원이 집중되는 1,2년차 기간 동안 첫 번째 목표를 달성하는 것은 가능하고 상대적으로 용이하다고 볼 수 있다. 즉 대상학생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학습능력향상 등 몇 가지 지표영역에서 성과를 보이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두 번째 목표인 교육복지 지원사업의 자생적인 역량의 확충은 예산지원만으로는 달성할 수 없는 것으로서 보다 많은 노력과 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일찍부터 그 목표 인식을 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자원을 발굴하고 이를 적극 활용하고, 적극적인 지원연계망을 구축하는 것이 그것이다. 특히 교내의 인적자원인 교직원을 최대한 동반자로 확보하고, 지역사회의 다양한 기관과 인적자원과의 연계를 확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목표가 되어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 살펴본 조사결과와 운영현황에 대한 분석, 그리고 기본방향 및 목표에 기초하여, 청주시 교육복지 지원사업의 발전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복지기반 확충을 위한 지원연계망 구축을 위해 학교 내부 인적 자원의 적극적 활용과 연계강화를 위한 교사들의 역할 강화, 행정기관의 영향력 강화 교사전체의 협력과 실천 강화, 교사를 위한 전문교육 실시, 교사에 대한 인센티브 부여와 탄력적 인사제도 도입 등을 들 수 있다. 둘째, 지역사회 자원발굴과 연계강화를 위해서는 공공성이 강한 기관과의 연계, 교육복지 자원 맵의 작성과 서비스 중복의 조정, 사업실행 중심의 지역사회 네트워크 기관을 발굴 추가가 필요하다. 셋째, 가정연계 강화를 위해 가정방문에 대한 학생들의 초기저항의 적절한 대처, 가정방문의 사전예고 및 다양성 활용, 초기 접촉 시 가능하면 담임교사를 매개로 접촉시도 및 사업대상 학교 간 연계 협력강화를 할 필요가 있다. 넷째, 지역전문가의 역할 및 입지 강화를 위해서는 지역전문가의 업무리스트를 작성하고 지역전문가의 참여와 개입을 강화하고, 지역전문가에 대한 대우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교육복지의 취지에 맞는 효율적인 프로그램 운영에 있어서는 교육적 적절성, 대상자 형평성 등을 고려한 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하며 대상 학생의 의존성과 낙인감 극복을 위한 배려가 필요하고 비 예산의 일상적인 활동 및 프로그램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The support project for the education welfare investment priority area is to supplement weakness at education opportunities, courses and results, etc of children and youth being short of education as much as possible and to build an integrated support system of education, culture and welfare, etc and to build school-oriented education community and to solve educational weakness problems of children and youth. The advanced countries made efforts continuously to solve educational inequality problems, for instance, the Head Start Programme in the United States, and special support policy in favor of vulnerable zones in France and the UK. The educational welfare support project has six areas such as learning, culture and experience, psychology and nature, welfare, support, and infants and children, etc to promote the project. The subjects were nine schools, that is to say, four schools, in other words, two elementary schools and two middle schools in Heungdeok-gu, Cheongju-si that promoted educational welfare support project since May 2006, and five schools, in other words, three elementary schools and two middle schools in Sangdang-gu, Cheongju-si that launched educational welfare project since July 2007: Most of those programs were rated to be affirmative, and educational welfare needs and values were thought to be important to help low income family students who were easy to be left at home without care to live healthy and sound lives by the programs. The project in Cheongju accomplished expansion of educational welfare mind, development of self-project base and good cooperation between schools and communities, etc. The educational welfare support project in Cheongju is under progress to complete them in five years so that objectives within corresponding period are needed to set up. Objectives that should be compulsorily accomplished during the five years shall expand self supporting bases to operate the project in stable way even after the project is over. Therefore, the project shall be done as follow: First, supports for group shall be effective to get social support on needs of educational welfare support project. Second, self-generating program capability is required regardless of drastic reduction and suspension of budget supports. From such a point of view, objectives can be accomplished relatively easily in the first and second year when budget supports are concentrated. In other words, the project can elevate students' satisfactions and learning abilities to get good results at some of index areas. However, the second objective that is expansion of self-generating ability of the project cannot be realized by budget supports only to require more efforts and time, so that cognition on the objectives is needed from early stage. In this regard, active discovery and use of resources are needed to build up support networks. In particular, teachers and staffs at schools shall be used as many as possible to be partners and to link with various kinds of organizations as well as human resources. The findings suggest development subjects of the project as follow: First, support networks for expansion of educational welfare base shall be built up to make use of human resources in schools actively and to reinforce teachers' roles to link each other and to elevate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influence, teachers' cooperation and practices and to train teachers and to give teachers incentives and introduce flexible personnel management system. Second, resource discovery and linkage in community require connections with public organizations, preparation for educational welfare resources and adjustment of service overlap, and discovery of program execution-oriented community networks, etc. Third, some actions shall be taken to develop linkage with home, for instance, taking proper actions against students' initial resistance to home visit, notice of home visit in advance and use of diversity, contact through a teacher in charge at initial contact, if possible, and more cooperation between schools of the project, etc. Fourth, roles and positions of local experts shall be developed by preparation of job lists of the experts, participation and involvement of the experts, and better treatment of the experts, etc. Fifth, programs that can satisfy educational adequacy and subjects' equity shall be made to run effective programs being suitable to purposes of educational welfare, so that students shall overcome reliance and stigma and non-budget daily activities and programs shall be developed.

      •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활성화 방안 연구

        김은선 한서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경제적 위기상황(IMF경제위기상황)으로 인한 경제적 양극화 현상은 경제적 효율성 중심의 가치 극대화 추구에 따라 사회저변에 깔려있는 문제점들이 출현하게 되었으며 무엇보다도 사회적 안전망을 위협하는 문제로 가정경제의 위기를 초래하기에 충분하였으며, 이로 인해 학교를 중심으로 하는 교육소외, 교육불균등의 문제로 확대, 진화하는 결과를 초래하기에 이르렀다. 물론 우리나라는 해방 이후 교육 기회의 균등을 실현하기 위한 많은 노력을 경주해 온 것 또한 사실이다. 하지만 경제발전 우선전략 정책 추진에 따른 사회적 현상의 결과로 나타난 빈부격차는 곧바로 교육격차로 이어지고, 빈곤이 대물림되는 악순환을 초래하고 있는 상황에 대해 국가적인 차원에서 대책이 절실히 요구되어지고 있는 상황이라 할 수 있다. 우리 스스로가 해결해야 만하는 이러한 사회구조적 문제 해결을 위한 결과물로써 대표적인 교육정책의 하나가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복지국가를 지향하고 있는 가운데 교육복지가 추진되고 교육복지가 복지라는 큰 그림 속에서 추진되는 예들과 다르게 우리나라의 경우 교육계에서 전적으로 이 사업을 진행하면서 이 사업에 대한 복지적인 접근은 매우 미시적이고 보완적인 수준에 머물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사회적 문제와 경제적 상황에 따른 교육부문에서의 안전망으로써 또 교육복지 실현을 위한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에 대하여 선진국의 사례와 선행연구를 통해 그 내용과 정책적 수단으로써의 기능, 더 나아가 보다 발전적이고 현실적인 교육복지 실현을 위한 정책으로써의 기능에 충실토록 재조명, 정리함과 정책추진을 위한 정책적 제안을 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로 교육복지 증진과 교육의 불평등 해소를 위한 제언으로써, 명확한 교육복지실태 파악을 통한 범정부적 대책을 수립 및 관리 기구신설과 그 기능을 확대토록 제언하였고, 모든 교육수혜자가 사회적 시민권자로서 교육의 권리를 향유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함을 또한 제언하였으며, 이 사업이 학업성취를 위한 보조사업으로 전락되지 않도록 제도적 접근을 피력하였으며, 복지국가를 앞당기는 국가의 책무성을 명확히 하고, 교육정책 수립 시 전문적 확보를 제언하였다. Problems underlying the base of the society have emerged according to the pursuit of maximizing the economic efficiency-centered value from the economic polarization due to the economic crisis (IMF economic crisis); first of all, the issues that threaten the social safety net were sufficient to cause the crisis of home economics, resulting in the expansion and evolution to school-related problems such as underprivileged education and educational inequality. Of course, it is true that our country has devoted efforts to achieve the 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since the Independence. However, we are in a situation that urgent national level measures are needed due to the vicious cycle that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resulted from the social phenomena according to the promotion of the economic development-priority strategic policy leads immediately to the gaps in the education, and the poverty generation after generation. The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rogram can be called one of the major education policies as the result of solving social structural problems we have to address. However, unlike the examples that education welfare are promoted in the big picture in the middle of our country pursuing a welfare state, It cannot be denied that the welfare-centered approach towards this program stays in a very microscopic and complementary level while the program is handled sorely by the educational circles in the case of Korea. Therefore, this paper, with respect to the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rogram as a safety net in the education sector subject to social issues and economic situation, and as the tool to realize the educational outreach, is aimed to re-illuminate and reorganize the program as a policy for ensuring the faithfulness of the function to realize the more advanced and realistic educational welfare and to propose institutional suggestions for promoting the policy, by examining the examples and previous studies. As a result, it has provides suggestions to promote educational welfare and eliminate the educational inequalities such as: a suggestion to establish a government-wide measures, and establish management organizations and expand its capabilities, through a clear grasp of educational welfare situation; a claim to support every educational beneficiary to enjoy the right to education as a social citizen; an expression of institutional approach not to degenerate into a secondary business to achieve academic success; an expression to make the national accountability to accelerate welfare of the country clear and a proposal to secure professionalism on establishing education policies.

      • 학생 1인당 교육복지비 분석 연구 : 경상북도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황금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학생 1인당 교육비가 교육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학생 1인당 교육복지비 또한 학생들의 잠재능력을 발휘하여 행복한 삶을 영위하기 위한 교육활동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학생 교육복지비에 대한 연구와 분석이 심도 있게 논의되어야 하지만 이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 그리고 전체 교육복지사업비 지출 결과와 관련하여 교육복지 통계항목 중심 중앙정부차원의 연구와 시․도교육청 단위의 연구는 매년 이루어지고 있지만 교육복지의 최종 실천 현장인 단위학교 중심의 교육복지비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다. 특히, 고등학교는 같은 시·도안에서 자유롭게 자신의 적성과 진로에 따라 계열별 학교를 선택할 수 있는데, 자신의 선택에 따라 교육복지 혜택이 차이가 나지 않도록 교육복지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수익자부담경비는 새로운 교육격차 요인이 되며 학교회계에서 공부담 공교육비보다 더 큰 규모가 되어가고 있는데 수익자부담경비가 학생 1인당 교육복지비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고 있는지에 대한 관심이 낮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경북도내 고등학교 학교회계 결산 자료를 분석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경북교육청 재정분석 자체보고서’에서 고등학교 교육복지 투자 비율은 해마다 감소하고, 학생 1인당 교육복지비가 2016년에 비해 2018년 감소하였는데, 학교규모별, 설립별, 계열별 학생 1인당 교육복지비를 분석한 이 연구에서는 35개 단위 중 26개 단위에서 3년간 학생 1인당 교육복지비는 증가하였고, 학교규모가 작아질수록 학생 1인당 교육복지비는 대체로 많았으며 설립별 비교 가능한 14개 규모 중, 8개 규모에서 공립이 사립보다 교육복지비가 많았다. 둘째, 경북지역 전체 고등학교 2016년~2018년 3년 평균 학생 1인당 교육복지비는 국립이 5,733천원, 공립 4,388천원, 사립 4,349천원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면지역 5,714천원, 읍지역 4,685천원, 동지역 4,067천원 순으로 나타났고, 계열별로는 특목고 7,942천원, 특성화고 6,185천원, 자율고 4,005천원, 일반고 3,701천원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목고와 자율고는 지자체이전비와 학부모수입이 많은 반면, 특성화고는 지자체이전비와 학부모수입이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3학급 이하 일반고와 이외 모든 규모, 모든 계열에서 학부모수입이 지자체이전비보다 교육복지비에 더 많은 영향을 주었다. 지자체이전비가 많은 3학급 이하 특성화고는 일반고에서 특성화로 전환하면서 지자체이전비를 일시적으로 많이 받았고, 다른 학교규모에서도 특성화고 전환이나 특성화고 학과개편에 따른 지자체이전비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폐교 위기에 놓인 지역 소규모학교를 존속시키기 위한 지역사회의 관심이 반영된 결과로 볼 수 있다. 넷째, 학부모수입이 학교회계에서 공부담 공교육비보다 오히려 더 큰 규모가 되어가고 있는데 우리는 학교회계 수익자부담경비가 학생 1인당 교육복지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심을 거의 가지지 않았다. 그리고 교육재정 통계자료나 교육복지비 분석 보고서 등에서 재원을 구분하여 나타내고 있지 않아서 교육복지비 지출 재원은 대부분 공교육비인 교육비특별회계 재원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 이 연구를 통해 설립별 비교 가능한 14개 단위 중, 8개 단위에서 공립 고등학생 교육복지비는 사립 고등학생 교육복지비보다 지자체이전비의 영향이 크고, 학부모수입은 13개 단위에서 사립이 공립보다 교육복지비에 더 많은 영향을 주고 있었으며 면지역인 농촌지역은 교육복지비의 학부모수입 영향이 적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공교육 안에서도 학부모의 교육복지비 부담이 크고 공립보다 사립학교에서 학부모부담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