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구조중심 협동학습 기반 고교영어교육의 학습양식 효과분석

        김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에서는 구조중심 협동학습 기반 고교영어교육에서 학업성취도와 영어학습태도에 대한 학습양식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구조중심 협동학습 기반 고교영어교육이 어떤 양식의 학습자에게 학업성취도와 영어학습태도 신장에 더 효과적인지 검증하여, 학습자 중심 교육 환경 설계에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문제는 ‘구조중심 협동학습 기반 고교영어교육에서 학습양식이 학업성취도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와 ‘구조중심 협동학습 기반 고교영어교육에서 학습양식이 영어학습태도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이었다. 연구를 수행하는 내용과 절차는 첫째, 고교 영어교육에서 구조중심 협동학습의 의미와 효과를 탐색하고 구조중심 협동학습의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둘째, 기존의 협동학습 모형을 토대로 협동학습 구조를 적용하여 구조중심 협동학습 모형을 도출하였다. 셋째, 고등학교 영어 교육과정에서 구조중심 협동학습에 적합한 단원을 선정하여 구조중심 협동학습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넷째, 경기도 소재 ‘ㄱ’고등학교 2학년 136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Kolb의 자기보고식 학습양식 검사지를 활용하여 학습양식 검사를 실시하고 사전 학업성취도 검사와 영어학습태도 검사를 실시하여 네 종류의 학습양식 집단이 동질한 집단임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이질적 학습양식의 학습자를 소집단으로 구성하여 4주간 4차시에 걸쳐 구조중심 협동학습 기반 영어교육을 실시하고 학업성취도와 영어학습태도에 대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여섯째, 구조중심 협동학습 기반 학습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학습양식간의 학업성취도와 영어학습태도의 하위영역에 있어서의 변화를 일원분산분석, 다변량분산분석, 다중비교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학습양식의 네 가지 유형에 따라 구조중심 협동학습 기반 고교영어교육 적용 후의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학습양식 중에서 수렴자의 학업성취도가 가장 높았으며, 조절자보다는 수렴자 학습양식이 우수한 학업성취도를 보였다. 둘째, 학습양식의 네 가지 유형에 따라 구조중심 협동학습 기반 영어교육 적용 후의 영어학습태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영어학습태도의 평균은 수렴자 집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조절자 보다는 수렴자 학습양식이 우수한 영어학습태도를 보였다. 영어학습태도의 하위영역에서는 학습양식에 따라 영어에 대한 자아개념, 영어에 대한 태도, 영어에 대한 학습습관 등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구조중심 협동학습 기반 고교영어교육에서 학습양식이 학업성취도 향상에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수렴자 학습양식의 학업성취도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구조중심 협동학습 기반 고교영어교육에서 학습양식이 영어학습태도 향상에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수렴자 학습양식의 학습태도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핵심어: 협동학습, 구조중심 협동학습, 학습양식, 고교영어교육, 학습태도, 학업성취도 구조중심 협동학습 기반 고교영어교육에서 학업성취도나 영어학습태도의 향상이 미흡한 학습양식 유형의 학습자를 위한 학습지원전략의 마련이 필요하며, 구조중심 협동학습 기반 고교영어교육의 효과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개인차 변인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 옹호연합모형(ACF)을 활용한 대학재정지원정책 분석

        정재민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3

        2020년대 초반부터 우려되었던 학령인구 급감이 현실화되면서 사립대학의 재정난이 점차 심각해지고 있다. 지난 20여 년간 사립대학은 경상적 재정지원의 근거 법령의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주장하였으나, 관련한 조치 없이 기존의 정책적 대립 상황이 이어져왔다. 한편 2010년대부터 정부재정지원제한대학 선정 등과 관련하여 평가와 연계한 재정지원 방식이 대학 현장의 피로도를 증가시켰으며 신입생 충원율의 감소로 대학재정이 급속도로 악화되었다. 이에 평가 기반의 재정지원이 아닌 교부금 방식의 고등교육재정 지원에 대한 논의가 제기되고 있다. 「고등교육재정교부금법」의 필요성이 언급된 2000년대 초반부터 현재까지, 대학재정지원을 위한 정책의 산출물은 특수목적형 정부재정지원사업과 등록금 인상 제한, 대학생 개인에게 지원하는 장학제도 개선 등이었다. 일련의 정책적 흐름은 2022년 12월 24일 「고등·평생교육지원특별회계법」 제정을 통해, 일정 수준의 평가 기준을 통과한 대학의 재정지원제도가 수립되었다. 그러나 이는 3년간의 한시적인 지원 법률이며 2024년 총선 결과에 따라 「고등·평생교육지원특별회계법」의 연장 또는 폐지가 논의될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는 「고등교육재정교부금법」 제정 이슈 중 대학에 대한 정부의 재정지원정책이 결정되는 과정에 주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책 변동모형 중 하나인 옹호연합모형(advocacy coalition framework, ACF)을 적용해 대학재정지원정책이 형성되는 과정을 종합적이고 역동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사례연구방법을 통해 「고등교육재정교부금법」 제정을 중심으로 한 대학재정지원 정책을 ACF 모형을 활용하여 정책 형성과정을 분석하였다. ACF 모형에서 활용한 주요 변수는 상대적 안정 변수, 외부적 사건, 정책하위체제 행위자의 단기적 제약 조건과 가용 자원, 정책하위체제이다. 정책하위체제는 옹호연합, 신념체계, 보유자원과 전략수단, 정책중개자, 정책지향학습, 정책 산출, 정책 영향 등으로 구성하였다. 이러한 분석틀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고등교육재정교부금법」을 중심으로 입법 찬성 연합과 입법 반대 연합, 정책중개자인 집권 여당 및 교육부의 3자 간 상호작용을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대학재정지원정책을 수립 및 추진과정에 참여하는 주요 옹호연합의 주체에 따른 최근 20여 년간 대학재정지원정책의 산출과정 분석에 주안점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재정지원정책 분석에 맞게 조정된 Sabatier의 옹호연합모형을 활용하여 「고등교육재정교부금법」 제정의 ACF 정책 진행 과정을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 그림Ⅳ-8(본문 204페이지 참조) - 본 연구의 네 가지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제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재정지원정책에서 「고등교육재정교부금법」 도입의 전개 과정을 살펴본 결과, 대학재정지원정책 과정은 제도와 체계에 기반한 접근보다는 시기별 사회적 이슈에 의한 정치적인 대립과 예산 확보를 위한 재원 확충의 한계에 따라 작동하였다. 그 결과 해당 법안은 「고등교육재정교부금법」의 성격을 가진 「고등·평생특별지원회계법」이 제정되기까지 20여 년간 입법 발의 시도 및 무산이 반복되어왔다. 둘째, 대학재정지원정책 형성과정 과정에서 외적변수가 정책하위체제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결과, 「고등교육재정교부금법」 제정 정책 형성과정에서 외적변수들이 정책하위체제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외적변수는 안정적 변수와 외부적 사건이 있는데, 안정적 변수는 대학재정지원정책에 대한 문제영역의 기본속성, 사회문화적 가치, 기본 법령 구조이며, 외부적 사건은 사회·경제적 여건의 변화, 여론의 변화, 지배집단의 변화이다. 본 연구에서는 안정적 변수의 변화가 거의 없는 상황에서 외부적 사건 중 학령인구 감소라는 사회·경제적 여건의 변화가 안정적 변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셋째, 단기적 제약과 가용 자원이 대학재정지원정책 형성과정에서 하위체제에 영향을 미치는 형태 및 특성을 분석한 결과, 「고등교육재정교부금법」 제정 관련 정책 추진에 있어서 단기적 제약 및 자원은 정책하위체제에 영향을 미쳤다. 단기적 제약의 핵심적인 현상은 고등교육 투자를 위한 예산의 부족이었으며, 정책하위체제에 영향을 미치는 자원적 요인은 주로 대통령 및 정부의 관심과 추진 의지로 나타났다. 가용 자원 및 전략 수단으로는 김대중 정부의 고등교육정책, 노무현 정부의 고등교육정책, 「고등교육재정교부금법안」의 최초 입법, ‘반값등록금’ 이슈로 확대된 대학재정지원의 방향, 국가장학금 시행, 대학 입학금의 단계적 폐지, COVID-19가 가져온 시대의 변화, 제21대 국회의 「고등교육재정교부금법안」 입법 추진 등에 대한 현상이 있었다. 넷째, 대학재정지원정책 형성과정에서의 정책하위체제의 모든 변수의 역할을 통해 최종 정책 산출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대학재정지원정책이 추진되는 과정에서 중대한 정책 변동이 발생하였으며, 그 결과 정책하위체제 내 변수들에 따라 대학재정지원정책은 매우 ‘역설적’으로 추진되었다. 정책 형성과정에서 정책하위체제 내의 옹호연합들이 각각의 고유한 신념의 관철을 목표로 다양한 방법과 전략을 통해 활동하고 대응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입법 찬성 옹호연합’을 살펴보면, 국회 교육위원회 의원 중 진보진영, 대학 직능단체(유관단체), 진보 성향의 대학생‧시민단체 등으로 구성되었다. 정책의 핵심 신념은 안정적인 재정 확보를 위한 근거인 「고등교육재정교부금법」 제정이었으며 OECD 평균수준의 고등교육 재정확충을 기조로 하였다. ‘입법 반대 옹호연합’은 국회 교육위원회 의원 중 보수진영, 교육청, 유·초·중등 교육기관 등으로 구성되었다. 이들의 정책적 핵심 신념은 타 법률 개정으로 고등교육 재정확충이 이미 충분하며, 세금 투입 시 국민적 합의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정책중개자는 ‘정부연합’으로, 이들의 정책적 핵심 신념은 ‘인구감소에 따른 지방재정교부금 초과배정 문제해결 필요’, ‘칸막이 예산의 비효율성 개선’ 등이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고등교육재정교부금 법 제정을 중심으로 한 대학 재정지원 정책의 개선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언할 수 있다. 첫째, 단기적인 정책적 대응보다는 10∼20여 년에 걸친 중장기적인 고등교육재정 확충 목표를 세우고, 점진적이고 정교한 중장기적 정책 조정 과정을 통해 정권 변화에 따른 시행착오 발생과 예측 불확실성을 완화해야 한다. 정책적 일관성을 확보함으로써, 여러 옹호연합집단 간 갈등 요소를 완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대학재정지원의 공공적인 측면을 강화해야 한다. 현재 정부는 대학의 재정을 지방정부로 이관하고 있다. 대학재정지원의 공공성에 관한 법률적인 근거가 부족했다면 이제는 지방자치단체와 연합하여 지역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명분과 기회가 제공된 것이다. 셋째, 재정의 칸막이성 예산을 방지하여 효율성을 제고하는 것이 재정 당국의 굳건한 신념체계라면, 대학의 재정지원정책과 한계대학 선정을 반드시 연계하여 부실대학을 과감하게 정리하는 방안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다만 예고 없이 갑작스레 발표되는 정부의 평가 방식이 아니라, 평가에 있어서 충분한 기간과 기회를 부여하고 결과에 따른 차등적인 재정지원을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일정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대학은 일시적인 재정 중단이 아닌 점진적으로 재정지원액을 줄여가는 방식으로 대학의 안정적인 퇴출을 질서 있게 지원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최종적으로 정책 결정된 「고등·평생교육지원특별회계법」의 대학 기여 방식에 대한 성과 분석이 필요하다. 아직 예산지원이 전부 시행되지도 않은 상황이지만, 옹호연합 간의 극렬한 대립 속에서 정책중개자들의 노력으로 인해 정책 변동으로 나타난 「고등·평생교육지원특별회계법」의 효과를 분석하는 후속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 20년 이상 경과된 정책 결정 흐름을 분석해보면 옹호연합 간의 활발한 정책지향학습이 발생하지 않은 시기에는 관련 문헌 등이 남지 않아 제한적인 정보를 얻을 수밖에 없다. 전반적으로 언론사 기사에 많은 비중을 두고 분석 결과를 도출한 점은 본 연구의 한계로 작용한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에는 특별회계 종료 시점인 2025년 이전 성과분석을 기반으로 한 안정적인 재정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는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financial difficulties of private universities are gradually getting worse as the sharp declin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which has been feared since the early 2020s, has become reality. For the past 20 years, private universities have consistently insisted on the necessity for a legal basis for the current financial support, but the existing policy confrontation has continued without any related measures. Meanwhile, since the 2010s, related to the selection in universities with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restriction, the financial support method based on the evaluation has not only increased fatigue in the university field but also rapidly deteriorated university finances due to the decrease in the recruitment rate of freshmen. Accordingly, discussions on financial support for higher education in the form of grants, rather than evaluation-based financial support, have been raised. Since the early 2000s, when the necessity of the 「Higher Education Grant System Act」 was mentioned, the output of policies for university financial support was the special-purpose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project, restrictions on the tuition increase, and improvement of the scholarship system for individual university students. On December 24, 2022, through the enactment of the 「Higher·Lifelong Education Support Special Accounting Act」, a financial support system for universities that passed certain evaluation standards, was established. However, this was a three-year temporary support law, and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extension or abolition of the 「Higher·Lifelong Education Support Special Accounting Act」 will be discussed depending on the results of the upcoming general election in 2024. This study focuses on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government's financial support policy for universities from among the issues enacted by the 「Higher Education Grant System Act」. It also analyzes the process of university financial support policy formation in comprehensive and dynamic way by applying the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ACF), a policy process model. This research method analyzed the policy formation process using the ACF model for the university financial support policies focused on the enactment of 「Higher Education Grant System Act」as a case study. The main variables using the ACF model set for the analysis of the policy formation process of the university financial support based on the enactment of the「Higher Education Grant System Act」are composed of relative stability variables, external events, short-term constraints of the policy subsystem actors, available resources, and policy subsystem. The policy subsystem consisted of advocacy coalition, belief system, resources and strategic means, policy brokers, policy-oriented learning, policy output, and policy impact. Under this analysis framework, this study focuses on analyzing interaction between the three parties: the two main actors of the main advocacy coalition, the pro- and anti-legislative coalition, and the policy mediator including the ruling party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It also focuses on analyzing the process of the policy output for the university financial support over the past 20 years based on the「Higher Education Grant System Act」. In this study, the ACF policy progress of the enactment of the 「Higher Education Grant System Act」using Sabatier’s advocacy coalition model adjusted for the university financial support policy analysis is as shown below. - Figure(Body Reference P.250) - The four research questions were analyzed using Sabatier’s ACF, and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evelopment process of introducing the 「Higher Education Grant System Act」 was examined at the stage of university financial support policy formation. As a result, changes in the ruling group had a significant impact on policy decisions. Second, the influence of external variables on the policy subsystem in the process of forming university financial support policies was analyz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external parameter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olicy subsystem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Higher Education Grant System Act」. There are stable parameters and external events, the former are the basic attributes, socio-cultural values, and basic legal structure of the problem area for the university financial support policy, whereas the latter are stable parameters are changes in social and economic conditions, changes in public opinion, and changes in the ruling group. In a situation where there are little movement in the stable parameters, changes in social and economic conditions, such as a decreas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out of the external events,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stable parameters. Third, the forms and characteristics of short-term constraints and resources affecting subsystems in the process of forming university financial support policies were analyzed. The short-term constraints and resources affected the policy subsystem in promoting policies related to the enactment of the 「Higher Education Grant System Act」. The results indicate the key phenomenon of short-term constraint was the lack of budget for investment in higher education, and the resource factor affecting the policy subsystem was mainly the interest and will of the president and government. Available resources and strategic tools include the Kim Dae-jung administration's higher education finance,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s higher education policy, initial legislation regarding the 「Higher Education Grant System Bill」, the goal of university financial support being expanded to the 'half-price tuition' issue, implementation of national scholarships, gradual abolition of college admission fees, changes brought about by COVID-19, and the enactment and of the promotion of the 「Higher·Lifelong Education Support Special Accounting Bill」by the 21st National Assembly.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final policy output through the role of all variables in the policy subsystem in the process of forming university financial support policies, significant policy changes occurred in the process. It was confirmed that the advocacy coalitions within the policy subsystem acted and responded through various methods and strategies in the process of policy formation, aiming at the implementation of each unique belief. The 'Legislation Advocacy Coalition' consisted of the progressive camp among the members of the Education Committee of the National Assembly, university-related organizations, and progressive college students‧civic groups. Their core policy belief was the enactment of the 「Higher Education Grant System Act」, which is the basis for securing stable financing, and was based on the expansion of higher education finances at the OECD average level. The ‘Legislation Opposition Coalition’ consisted of the conservative camp among the members of the Education Committee of the National Assembly, the Office of Education,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kindergarten·elementary·secondary schools. Their core policy belief was that the financial expansion of higher education was already sufficient through the revision of other laws, and that public consensus was needed for using tax funds. The policy intermediary is the ‘government coalition,’ whose core policy belief is the ‘need to resolve the problem of over-allocation of local financial subsidies due to population decline’ and ‘improvement of inefficiency caused by budget gap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directions for improving university financial support policies centered on the enactment of the 「Higher Education Grant System Act」 are proposed. First, rather than short-term policy responses, mid- to long-term higher education finance expansion goals should be set for 10 to 20 years. Through a gradual and sophisticated mid- to long-term policy adjustment process, it is necessary to mitigate the occurrence of trial and error and forecast uncertainty due to regime change through a gradual and sophisticated policy adjustment process. By securing policy consistency, it is necessary to alleviate the elements of conflict between various advocacy coalition groups. Second, the public aspect of the university financial support should be strengthened. In fact, the government is currently transferring some university finances to local governments. If there was a lack of legal basis for the publicity of the university financial support, now there is a justification and opportunity to work in conjunction with local governments to solve the community problems. Third, if preventing budget gaps and improving efficiency is a firm belief system of our monetary authorities, it requires promoting measures to boldly eliminate insolvent universities by linking university financial support policy with the selection of marginal universities. However, instead of the government's evaluation method, which is announced without notice, sufficient time and opportunity should be given to the evaluation, and it should be based on differential financial support according to the results. Universities that fall short of the standard should receive a gradual reduction in financial support rather than a temporary financial suspension in order to support the stable elimination of marginal universities in an orderly manner. Lastly, it calls for analyzing the performance of the contribution of the 「Higher·Lifelong Education Support Special Accounting Act」, which has finally solidified its policy. Although the budget support has not yet been fully implemented, a follow-up study is required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Higher·Lifelong Education Support Special Accounting Act」, which resulted in policy changes due to the efforts of policy intermediaries amid fierce confrontation between advocacy coalitions. Analyzing the flow of policy decisions over 20 years ago, there is only limited information as there is no related literature for the time when active policy-oriented learning among advocacy coalitions did not occur. Overall, this research has a methodological limitation that the analysis results were drawn with a great deal of weight on media articles. Therefore, the follow-up complementary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provide another stable financial support based on performance analysis before 2025, the end of the special accounts.

      • 고등교육의 기회균등수준과 교육성과에 대한 연구 -중국,한국,OECD국가 비교-

        장성명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경제발전과 사회경쟁이 심화될수록 고등교육과 경제사회발전의 관계가 밀접해지고, 사회에서의 고급인재에 대한 수요도 지속적으로 증가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일반 사람들의 질 높은 교육에 대한 수요도 급속으로 늘어나게 된다. 2004년부터 2008년까지 중국의 고등 교육은 힘들게 확장 단계를 거쳤다. 이시기에는 주로 고등교육입학기회의 확대를 촉진했다. 2009년부터 고등교육은 대중화 단계에 이르기 위해 고등교육투자를 강화하기 시작했다. 수험생들이 고등교육 기회균등에 대한 경쟁으로부터 점차적으로 질 높은 고등교육 기회균등에 대한 경쟁으로 전환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왜냐하면, 학력은 직업, 소득, 다양한 삶의 기회 등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고등교육 기회를 확대하면서 성별차이, 지역차이, 계층차이 때문에 오히려 불평등현상을 초래했다. 대부분 사람들에게 고등교육기회보장수준은 낮은 편이다. 교육성과는 교육 질에 따라 나와야 되는데 중국 부패·관시 등 사회문제 때문에 보장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뿐만 아니라, 교육기회의 불평등 때문에 교육의 질도 불평등하게 되었다. 따라서 교육기회를 공평하게 보장해야 교육성과가 제대로 나타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 연구는 교육을 통해 획득한 인적 자본이 다른 사회적 차별을 완화시키거나 장벽을 뛰어 넘는 수단으로서는 어떤 의미를 갖는가를 분석하는데 초점을 둔다. 교육개혁은 탐색하고 시도해야 효과가 있는지 없는지 알 수 있다. 또한, 다른 나라의 좋은 경험을 보고 참고해서 목표를 세워야 성공적으로 개혁할 확률이 더 높다. OECD 교육발전지표체제는 교육내부의 발전변화를 정확히 기술할 뿐만 아니라, 교육배경, 과정, 산출주의에 관한 사회요소의 분석을 통해서 좋은 사회상관성, 정책상관성을 보여주고 있다. OECD발전지료체제는 끊임없는 수정과 개선을 통해 국제범위에서 광범한 인정을 받는 과학발전지표의 체제가 된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OECD 교육지표를 토대로 중국의 고등교육기회와 교육성과의 국제적 수준을 비교·분석하여 향후 중국의 고등교육이 지향해야 하는 발전방향을 탐색하는데 있다.

      • 中國 留學生의 大學生活 適應能力 向上方案

        고준생 한서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몇 천 년 동안 인류문명의 발전과 진보는 끊임없이 학습하고 탐색하는 과정에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문명사회에서 교육의 중요성은 말하지 않아도 알 수 있다. 18세기중기 산업혁명 시대 고등교육 체계가 탄생되었으며, 약 백 년 동안 발전되어 온 고등교육은 교육의 가장 중요한 구성요소로서 그 사회적 지위가 점차 높아져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서양사회의 경제, 정치, 문화, 예술, 군사 등 전체적인 진보와 그 이후 제국주의의 해외확장에 상당히 심오한 영향을 끼치었다. 20세기, 즉 80년대 세계적으로 경제가 일체화된 이후에 고등교육은 국제화발전을 이바지하였다. 20여 년 동안 국가 간의 교류와 협력은 더욱더 긴밀해지고, 고등교육의 국제화는 이미 지식경제 시대의 주류의식이 되었다. 중국의 고등교육은 19세기말 청나라 양무운동 시대부터 시작되었는데, 가난하고 쇠약한 청나라와 그 이후 줄곧 전쟁상태에 처했던 중화민국정부는 고등교육을 발전시켜나가기가 매우 어려웠다. 심지어 혼란 시대에는 고등교육이 완전히 파괴되었다. 개혁개방 이후 방치되거나 지체된 각종 일들이 모두 시행되기를 기다리며 등소평 선생님은 중국 고등교육의 발전전략에 대하여 고등교육은 현대화, 세계화, 미래화로 향해야 한다는 지도사상을 발표하였다. 이에 따라 중국의 고등교육은 점차 회복되었고, 국제화 발전을 위하여 진행되었다.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는 경제실력에 따라 중국의 고등교육은 정화교육 단계에서 공중교육 단계로 승격되었다. 그러나 이미 충족되지 않은 고등교육 자원은 끊임없이 확장되고 있는 학생규모에 비하면 너무 보잘 것 없는 것이었다. 많은 학생들은 이런 경우 때문에 해외로 유학을 떠나기 시작했다. 중국 교육부에 소속한 통계부문에서 나온 정보에 의거하여 중국 2000년 이후, 유학생의 총수는 121만 명에 달하며 아직 해외에 체류하고 있는 유학생의 총수는 약 90만 명이다. 중·한 양국은 지연이 가깝고 전통적인 유가 문화권에 속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에서는 소비수준이 유럽·미국 등과 같은 나라에 비하면 중국 노동자계급 가정에 더 맞기에 상당히 많은 중국 유학생들이 한국으로 왔다. 2009년도 한국에 있는 중국 유학생총수는 6만3천 명 정도 이며 한국에 있는 유학생의 84%를 점유하고 있다. 그리고 그 비율은 계속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그러나 2005년도 이전에 한국에 있는 중국 유학생총수는 만 명 안팎이었다. 규모가 급격하게 커진 중국 유학생은 중·한 양국의 경제, 문화, 학술 등 교류를 추진하는 동시에 새로운 문제를 이야기하고 있었다. 현재 이 분야에서 연구하는 학자도 많지 않고 관련된 논문이나 저작도 많지 않아서 본인은 한국에 있는 중국 유학생을 연구대상로서 문헌자료를 검토하고 설문조사를 하여 중국 유학생의 주관적인 학습 및 생활 방면 그리고 객관적인 학교 및 사회 방면에 있는 문제점을 분석하여 합리적인 개선방안을 탐구하였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아래와 같다. 제1장은 이 논문의 연구목적 및 연구방법과 범위를 제시하였다. 제2장은 고등교육 국제화 과제에 대한 일반 이론, 중·한 양국 고등교육의 현황비교, 선행연구 및 차이점 검토, 연구 분석의 틀 등 포함된 이론적 고찰을 제시하였다. 제3장은 한국에 있는 중국인 유학생의 현황분석과 설문지에 대한 설명을 제시하였다. 제4장은 설문지에 나온 분석결과에 의거하여 문제점을 검토하고 대응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제5장은 결론 부분으로서 이상한 논의를 요약하기로 종합하였으며 본 연구에 대한 한계점을 언급하였다. 그 다음에 참고문헌 검토, 영문요약, 감사의 글, 설문지 내용인 부록 등 따로 제시하였다. For thousands of years, the civilization process of human being is the process of continuous learning and exploration. Education holds significant meaning for civilized society. Since the high education system was born during the industrial revolution of the western world in 18th century, it has been develop for a hundred years as part of education, and has been recognized of its high importance. The development of western world's politics, economy, culture, art and military have all been deeply influenced by the high education system. Since the 80's of 20th century, together with the trend of globalization, high education also commence its global development. During a short period of two decades, the educational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among nation shave been growing more and more frequent. Globalization of high education has become the main stream of this era of knowledge economy. The high education of China burgeoned during the Westernization Drive of late Qing Dynasty in late 19th century. Yet the week and poor government of Qing and the Republic of China have little strength to develop high education, and even let it die in the years of political turbulence. Since the reform and open up, Mr. Deng-XiaoPing has come up with the important guidance for high education, which is "education should face modernization, the world and the future." The high education of China has gradually recovered and step out on the globalization process. Along with the fast development of China's economic power, high education of China has transformed from elite education to mass education. The originally undeveloped high education resources appear difficult to meet the continuously increasing number of freshmen students. Many students choose to study abroad under such background. According to related statistics, ever since the year of 2000, the total number of students who went abroad for study reaches 1.21 million, and the Chinese students studying abroad was around 0.9 million. South Korea is geographically near to China and also belongs to Confucius culture circle. Compared to western countries, the cost for study in South Korea is much lower, which attracted many Chinese students from normal salary family to study here. Currently the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South Korea reaches 63 thousand, which accounts for 84% of the total foreign students in South Korea, and the number is still increasing. Before 2005, the total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South Korea were not more than 10 thousand. While on one hand, the fast increasing number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brought fast development of Sino-Korea communication, local economy, culture and academics, on the other hand, many new problems occur. Yet there are few scholar or related works or paper on this subject. Thus I shall take Chinese students who study in South Korea and research subject and discuss their problems in study and life by means of investigating related references and interviews, any tries to search for reasonable solutions for these problems. The major points are listed as follows: 1. Subjective reasons a. Study a) low language level b) lack of active study habit c) lack of creative thought d) lack of team work spirit b. Life a) lack of respect to foreign culture b) lack of leisure time activities c) lack of self-protection conciousness 2. Objective reasons a. College Aspect a) lack of scholarship b) loose evaluation system c) lodge and board service unsuitable to Chinese habit b. Society Aspect a) lack of part-time job opportunities b) lack of cultural experiencing programs c) lack internship opportunities Solutions: 1. Subjective reasons a. Study a) open intensive language classes b) supervise students to form active study habit c) train and inspire the creativity of students d) train students of team work spirit b. Life a) propaganda and education of respect to foreign culture b) support students unions and societies to diversify leisure time activities c) strengthen student's self-protection consciousness 2. Objective reasons a. College Aspect a) increase scholarship b) tighten valuation system c) provide food that cater to Chinese eating habit; enhance lodging conditions for Chinese students b. Society Aspect a) loosen the limitations of part-time job and increase part-time positions b) organize cultural experiencing activities c) arrange internships for graduating students

      • 대학 진학 및 전공 선택의 영향 요인 분석 : 2008년과 2018의 차이를 중심으로

        임서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3

        Despite the univers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the results of higher education in Korean society still works as a social stratification mechanism. Considering that the results of major selection can affect not only the satisfaction of college life but also the career path,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results of major selection as well as college entrance. To this end, this study identified factors of college entrance and major selection in South Korea and derived implications. Also, this study attempted to deepen this understanding by analyzing differences in college entrance and major selection patterns by comparing 2008 and 2018. This study addressed three research questions. First,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llege entrance results and the following variables—high school students’ motivations for college entrance, meaningful people, and factors (e.g., the social reputation of a university) when choosing a college? Second, what ar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result of college entrance? Third, what ar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result of major selection? Differences between 2008 and 2018 were examined for each question. The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I and II were used, and the chi-square test, binomial logistic analysis, and multinomial logit analysis were employed.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hree variables—high school students’ motivations for college entrance, meaningful people, and meaningful factors when choosing a college—and the results of four-year and top-tier universities. The differences persisted or expanded by household income level group in 2018 compared to 2008. The motivation for social recognition for higher education results along with the one for pursuing academics was remarkable. Students who went to top-tier universities had academic expectations for college in 2018. The meaningful people when choosing college stood out as the self in 2018 in both four-year and top-tier university entrance. Students who went to top-tier universities showed a low response rate of guardians in 2018, putting more emphasis on their own will than on their guardians. Also, students who went to four-year universities regarded the social reputation of a university and grades as important when choosing a college, but in 2018, they also regarded aptitude and hope as important. Students who went to top-tier universities emphasized the social reputation of a university in both times. Second, the motivation for going to college did not affect the admission to a four-year university at both times, but in 2018, the motivation for pursuing academics affected the admission to a top-tier university. In 2018, meaningful people when choosing a college were teachers for 4-year college students and guardians for top-tier university students. However, the more prioritized guardians, the less likely students were to go to a top-tier university. Also, the more important career-related interests are, the higher the likelihood for a lower-tier university. The more important aptitude and employment outlook were when choosing a college in 2008, and the more important grade and family circumstances were in 2018, the lower the likelihood of a top-tier university. Meanwhile, in 2008, gender, educational aspirations, grades, and in addition to this, study time was found to be a factor for four-year university entrance, and in 2008, educational aspirations and grades were found to be factors for a top-tier university entrance. However, in 2018, unlike 2008, the longer the study time, the higher the likelihood of entering a four-year and top-tier university. Third, regarding family factors, the influence of family background continued in the admission of four-year and top-tier universities, and the influence was relatively reduced in the results of four-year universities. For a four-year university, the higher the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and the higher the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 the higher the likelihood of its admission, but in 2018, only the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 remained a factor. Fourth, regarding the school factors, the location and type of high school were found to be factors influencing four-year and top-tier university entrance. For a four-year university, the likelihood of entrance was lower as students enrolled in high schools in the metropolitan area. In contrast, for top universities, students who enrolled in the metropolitan high school were more likely to be admitted in 2018. Meanwhile, students from foreign language high schools, international high schools, science high schools, and autonomous high schools had higher likelihood for a top-tier university than general high schools in 2008 and 2018. The main results and implications of influencing factors of major selection results are as follows, and the analysis was conducted by setting an engineering major as a reference group. Fifth, gender differences in the results of major selection were confirmed in both times. Although higher education opportunities have expanded for female students, gender inequality in higher education has still been confirmed. For the diversity of the academic community,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them with engineering aptitude to enter the major. Sixth, professional values such as emphasizing employment and a high income, of engineering students were consistent. In contrast to humanities and arts and sports in 2008, engineering students considered ‘expect a high income’ as the top priority when choosing a job. In addition, in contrast to humanities, social studies, and natural sciences in 2018, it was confirmed that engineering students were most affected by the employment outlook when choosing a major. Seventh, the higher the grade, the higher the likelihood of going to education compared to engineering. On the other hand, the more important the grades were when choosing a major, the higher the likelihood of going to engineering. In other words, students who have chosen education majors have superior grades compared to students majoring in engineering at both time points. In addition, students in education further considered their aptitude when choosing a major. Eighth, in 2018, students attending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Meister high schools were more likely to select engineering majors compared to humanities, social studies, education, and medicine. It seems to b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s established with a certain purpose, such as training technicians. Ninth, engineering students had higher expenditures for shadow education and cultural life. In 2018, the more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s were spent compared to the humanities, social studies, and education, the more engineering departments were selected, but the effect of private education expenses was not confirmed in the natural and medical fields. Meanwhile, engineering students spent more on cultural life than on the ones from arts and sports and natural sciences majors. Lastly, unlike in 2008, when gender was identified as the only factor in the results of engineering compared to medicine majors, in 2018, meaningful people and factors, motivation for college entrance, educational aspirations, parental education, and high school location and types appeared when choosing a university. In 2018, the greater the influence of guardians and the more important the job prospects when choosing a university, the more they chose medicine. On the other hand, students who chose engineering showed high educational aspirations as well as academic motivation in 2018. This study found that despite the univers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its stratification is still occurring in South Korean society according to the hierarchy of universities. By analyzing the results of major selection as well as college entrance and delving into the differences between 2008 and 2018, the author explored the phenomenon of higher education in South Korea comprehensively. 고등교육 기회의 양적 팽창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한국 사회에서 고등교육 진학 결과는 사회 계층화 기제로 작동하고 있다. 또한 고등교육 진학 시점의 전공선택 결과가 대학생활 만족도뿐만 아니라 졸업 이후 진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대학진학은 물론 전공선택의 결과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 따라 한국에서의 대학진학 및 전공선택 현상을 조망하고자 본 연구는 대학진학 및 전공선택의 영향 요인을 파악하고 그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10년의 시점 차이가 있는 자료를 통해 대학진학 및 전공선택 양상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이러한 이해를 심화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살핀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대학진학 동기, 대학선택 시 의미있는 사람, 대학선택 시 의미있는 요인(예: 대학의 사회적 평판)에 따라 대학진학 결과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대학진학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셋째, 전공선택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연구 문제별로 지난 10년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한국교육고용패널(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KEEP) I, II 데이터를 활용하였고 카이제곱 검정, 이항 로지스틱 분석, 다항로짓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대학진학 동기, 대학선택 시 의미있는 사람 및 요인과 4년제 및 상위권 대학의 진학 결과 간 연관성이 2008년 대비 2018년에는 가구소득 수준 집단별로 지속 또는 확대되었다. 대학진학 동기에서는 학문 추구 동기를 비롯하여 고등교육 진학에 대한 사회적 대접의 동기가 두드러졌다. 상위권 대학 진학 학생들은 미진학 학생 대비 2018년에 여전히 대학에 학문적 기능을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선택 시 의미있는 사람은 4년제 및 상위권 대학 진학 모두에서 2018년에 ‘본인’으로 두드러졌다. 상위권 대학에 진학한 학생들은 2018년에 ‘부모님(보호자)’의 응답 비율이 낮게 나타나 보호자보다는 본인 의사를 중시하였다. 대학선택 시 의미있는 요인은 2008년부터 대학진학 결과와의 유의한 관계가 2018년까지 지속되었다. 4년제 대학 진학 학생들은 ‘대학의 사회적 평판’과 ‘성적’을 중시하였는데 2018년에는 ‘본인의 적성과 희망’도 중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위권 대학 진학 학생들은 두 시점 공통 ‘대학의 사회적 평판’을, 미진학 학생들은 ‘취업전망’을 중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고등학생의 대학진학 동기, 대학선택 시 의미있는 사람 및 요인이 위계 서열에 따른 대학의 진학 결과와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 보여준다. 특히 이는 세 변인과 대학진학 결과 간 관계를 가구소득 수준 집단에 따라 계층별로 드러낸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다. 다음으로 대학진학 결과에 대한 영향 요인의 분석 결과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이를 개인 요인, 가정 요인, 학교 요인으로 나누어 논의하였다. 개인 요인에서는 대학진학 동기, 대학선택 시 의미있는 사람 및 요인의 결과를 먼저 살펴보겠다. 둘째, 대학진학 동기는 두 시점 공통 4년제 대학 진학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2018년에는 학문 추구 동기가 상위권 대학 진학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최근의 상위권 대학 진학 학생들이 대학교육의 의미를 학문적인 기능에서 찾고 있다는 결과는 바람직하다. 그러나 대학이 소위 취업 기관으로 전락하고 있음이 지속적으로 우려되는 실정을 고려하여 이러한 결과의 뜻을 주의하여 해석할 필요가 있다. 2018년에 대학선택 시 의미있는 사람은 4년제 대학 진학자에게 ‘학교 선생님’, 상위권 대학 진학자에게는 ‘부모님(보호자)’로 나타났다. 4년제 대학 진학에 대한 이러한 결과는 4년제 대학의 입시로 초점화된 진로 지도, 또는 4년제 진학자가 선생님과 맺는 우호적인 관계를 시사할 수 있다. 한편 ‘본인’ 대비 ‘부모님(보호자)’를 대학선택 시 우선시할수록 상위권 대학에 진학할 가능성이 낮았다. 이는 보호자에게 휘둘리지 않는 능동성이 상위권 대학 진학을 예측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대학선택 시 의미있는 요인의 분석 결과, 취업이나 적성 같은 진로 관련 관심도를 대학선택 시 중시할수록 낮은 위계 서열 대학에 진학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대학선택 시 2008년에는 취업전망을, 2018년에는 이와 함께 적성과 희망, 성적을 중시할수록 전문대학 진학 가능성이 높았다. 더불어 2008년에는 대학선택 시 적성과 희망, 취업전망을, 2018년에는 이와 함께 성적, 가정형편을 중시할수록 상위권 대학의 진학 가능성이 낮아졌다. 4년제 대학 대비 전문대학 진학자의 결과는 취업 성격의 학과를 갖춘 전문대학의 특성에 비추어 이해될 수 있다. 그러나 상위권 대학 진학의 분석 결과는 이전의 첫 번째 논의와 연결하면 우려스럽다. ‘대학의 사회적 평판’을 중시하는 한편 진로 측면 관심도는 비교적 낮은 것으로 해석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들은 대학교육에 대한 학문 추구 동기를 가졌기 때문에, 대학 재학 동안 이들이 적성과 희망을 탐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대학 내 제도가 요구된다. 한편 2018년에는 대학선택 시 가정형편을 중시할수록 상위권 대학 진학 가능성이 낮아졌는데, 가정배경에도 불구하고 학업을 지속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복지 장학금 같은 대학의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이외의 개인 요인의 분석 결과를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2008년에는 성별, 교육포부, 성적, 2018년에는 이에 더하여 공부 시간이 4년제 대학 진학 영향 요인으로, 2008년에는 교육포부, 성적, 2018년에는 이와 함께 공부 시간이 상위권 대학 진학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선 고등교육 보편화에도 불구하고 지속되고 있는 4년제 대학 진학의 성 불평등 양상을 드러낸다. 성적과 교육포부가 높을수록 대학위계 서열과 무관하게 진학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은 이와 동일 결과를 보고한 선행연구와 일맥을 이룬다. 한편 2018년에는 2008년과 다르게 공부 시간이 길수록 4년제, 나아가 상위권 대학 진학 가능성이 높았는데, 최근 대입에서는 명망 있는 학교로 진학하려면 과거 대비 더 많은 공부 시간이 투입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셋째, 가정 요인을 살펴보면, 4년제 및 상위권 대학 진학에서 가정배경 영향력이 지속되었고, 4년제 대학의 결과에서는 영향력이 다소 위축되었다. 4년제 대학 진학에서는 2008년에 사교육비 지출과 부모 학력이 높을수록 진학 가능성이 높았으나 2018년에는 부모 학력만이 영향 요인으로 남았기 때문이다. 부모 학력은 두 시점 공통 4년제 및 상위권 대학 진학에 영향 요인으로 작용하여 여전히 한국의 고등교육 진학은 가정배경 영향력에서 자유롭다고 보기 어렵다는 결론을 내렸다. 특히 부모 학력에 따라 가정 내 진로 지도 수준, 문화자본 획득 양상이 다를 수 있음을 고려한다면 이는 가정배경의 상당한 영향력을 시사할 수 있다. 가정배경의 영향력을 최소화하려면 부모 학력과 무관하게 학생들이 자신의 적성에 맞는 진로를 추구하고 그 실현을 위하여 적합한 고등교육을 받게 하는 지원이 요구된다. 넷째, 학교 요인을 살피면, 고등학교 소재지 및 유형은 4년제 및 상위권 대학 진학의 영향 요인으로 밝혀졌다. 4년제 대학 진학에서는 수도권 고등학교 재학생일수록 4년제 대학 진학의 가능성이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반대로 상위권 대학에서는 2018년에만 수도권 고등학교에 다닐수록 진학 가능성이 높았다. 수도권 지역 학생들이 전문대학 진학 가능성이 높다는 결과는 비수도권 학생들이 4년제 대학 진학을 더 열망함을 보여주는 것으로도 해석될 수 있는데, 이는 지역 격차와 고등교육 계층화 측면에서는 일견 바람직한 결과이다. 그러나 상위권 대학 분석 결과, 수도권 고등학교에 다닐수록 2018년에는 진학 가능성이 높았다. 이는 위계 서열이 높은 대학의 진학에서 최근 두드러진 지역 격차를 드러내어 고등교육 계층화의 일면을 보여준다. 한편 두 시점 공통 외국어고, 국제고, 과학고, 자율고는 일반고 대비 4년제, 나아가 상위권 대학 진학 가능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공학 계열을 준거 집단으로 설정하여 분석된 전공선택 결과의 영향 요인에 대한 주요 결과와 시사점을 논의하도록 하겠다. 다섯째, 전공선택 결과에 대한 성차가 시점 공통 확인되었다. 고등교육 기회가 여학생에게도 과거에 비하여 보편화되었음에도 여전히 고등교육의 성별 불평등이 확인되었다. 학문 공동체의 다양성을 위해서라도 이공계 적성의 여학생들이 공학 계열에 진학하도록 장려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조성될 필요가 있다. 여섯째, 공학 계열에 진학한 학생들의 취업, 특히 높은 소득 직업을 중시하는 직업적 가치관이 일관되게 나타났다. 2008년에는 인문, 예체능 계열과의 대비에서, 2018년에는 인문, 사회, 교육, 예체능 계열과의 대비에서 공학 계열 학생들은 직업선택 시 ‘높은 소득을 기대할 수 있어서’를 1순위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18년에는 인문, 사회, 자연 계열과의 대비에서 공학 계열 진학 학생들은 전공선택 시 ‘취업전망’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일곱째, 성적이 높을수록 공학 계열 대비 교육 계열 진학 가능성이 높았으나, 전공선택 시 성적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할수록 공학 계열 진학 가능성이 높았다. 즉, 교육 계열 진학한 학생들이 두 시점 공통 공학 계열 학생 대비 성적이 우수한 것이다. 또한 교육 계열 학생들은 전공선택 시 진로와 적성을 더욱 고려하였다. 여덟째, 2018년에는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에 다니는 학생일수록 인문, 사회, 교육, 의약 계열 대비 공학 계열 진학 가능성이 높았다. 이는 취업 또는 기술인 양성 같은 뚜렷한 목적하에 설립된 해당 고교 유형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아홉째, 공학 계열 진학 학생들은 사교육비, 문화생활비 지출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2018년에는 인문, 사회, 교육 계열 대비 사교육비를 많이 지출할수록 공학 계열을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자연, 의약 계열에서는 사교육비의 영향이 확인되지 않았다. 이는 공학 계열 진학에 최근 더 많은 사교육비가 요구됨을 시사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공학 계열의 학생들은 예체능, 자연 계열 대비 문화생활비 지출이 더 높았다. 이 결과의 함의는 후속 연구로 살필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의약 계열 대비 공학 계열의 분석 결과에서, 유일한 영향 요인으로 성별이 확인된 2008년과 달리 2018년에는 이와 함께 대학선택 시 의미있는 사람과 요인, 대학진학 동기, 교육포부, 부모 학력, 고등학교 소재지와 유형이 새롭게 등장하였다. 2018년에는 대학선택 시 부모님(보호자)의 영향이 가장 클수록, 대학선택 시 취업전망을 최우선시할수록 의약 계열을 선택하였다. 이는 최근의 의약 계열 광풍 현상과 일맥을 이룬다. 반면 이러한 실정에서도 공학 계열을 택한 학생들은 2018년에 학문 추구의 대학진학 동기를 가졌을 뿐만 아니라 높은 교육포부를 보였다. 의약 계열 쏠림 현상에 따른 이공계 인재 유출을 고려하면, 공학 계열에 대한 학문적 동기와 교육포부가 높은 학생들을 지원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고등교육의 보편화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한국 사회에서 대학의 위계 서열에 따른, 즉 질적 차별화를 통한 고등교육의 교육계층화가 발생하고 있음을 실증적으로 구명하였다. 대학진학은 물론 전공선택 결과까지 분석하여 두 시점의 비교를 통한 차이를 탐색함으로써, 한국 고등교육 현상을 보다 종합적이고 심층적으로 조망하였다.

      • Research Trend Analysis on Chinese MOOC for higher education from 2012 to 2016

        곽, 오쌍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고등교육 분야의 무크 관련 연구를 연구주제와 연구방법,연구기관의 특성 측면에서 분석하고 이를 통해 연구발전 실태 및 연구 동향을 파악하여 앞으로의 중국 고등교육 분야의 무크의 발전 방향과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위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2012 년부터 2016 년까지 중국 고등교육분야의 무크에 관한 연구주제의 연구동향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2. 2012 년부터 2016 년까지 중국 고등교육분야의 무크에 관한 연구방법의 연구동향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3. 2012 년부터 2016 년까지 중국 고등교육분야의 무크에 관한 연구기관의 특성은 무엇인가?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CNKI 에서 2012 년부터 2016 년까지의 발표된 핵심 정기 간행물중, 중국 고등교육 분야의 무크와 관련된 논문 총 227 편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논문은 발표연도, 연구주제, 연구기관, 연구방법의 세부범주에 따라 분류한 후 연구주제와 연구방법을 다시 각 연도별로 분류하여 전체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2012 년부터 2016 년까지 중국 고등교육분야의 무크에 관한 연구의 동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12 년부터 2016 년까지 중국 고등교육 분야의 무크에 관한 연구 발표연도를 살펴보면, 논문 편수는 2012 년부터 2015 년까지 전반적으로 점차 증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2016 년에는 논문 편수가 2015 년보다 줄어들어 2014 년과 동일하였다. 둘째, 연구의 주제를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고등교육 분야의 무크에 대한 품질 모니터링과 평가가 가장 빈번히 이루어졌으며, 무크 디자인과 개발이 뒤따랐다. 셋째, 연구 주제를 세분화하여 살펴보면, 가장 활발히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품질 모니터링와 평가 영역에 대한 연구는 주로 ‘기여와 영향’과 ‘반성 및 대책’ 두 분야에 편중되어있다. 반면, 무크에 대한 과정 평가 체계와 학점 인정 분야 관련 연구는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주제의 하위영역별 연도별 연구 동향 분석결과, 무크에 관한 연구는 2015 년에 제일 많았으며 학점인정 분야에 관한 연구 또한 2015 년부터 시작되었다. 이는 2015 년에 두 중요한 정책이 발표되었기 때문이며, 중국 고등교육분야의 무크에 관한 연구는 중국의 정책과 긴밀한 관계가 있는 것을 나타낸다. 다섯째, 중국 고등교육분야의 무크에 관한 연구기관은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대학교에서 나온 연구 수가 가장 많았으며, 무크 관련 연구는 중국 청화대학교에서 가장 활발히 이루어졌다. 청화대학교는 중국에서 처음으로 무크 과정을 개설하였으며 첫번째 무크의 플랫폼을 마련한 기관이다. 무크에 관한 연구 수와 연구기관과의 관계는 직접 무크에 참여하는지의 여부와 상관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연구의 방법에서는 내용분석이 가장 많았으며, 이론 연구, 사례연구, 조사연구, 비교 연구, 모형개발, 행동 연구의 순으로 이루어졌다. 일곱째, 연구방법의 하위영역별 동향 분석결과, 내용분석과 사례연구의 경우, 꾸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하지만 비교 연구는 2014 년부터 시작했는데 이는 중국의 무크가 2013 년부터 발전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위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중국 고등교육분야의 무크에 대한 동향 분석에 대한 연구자의 더 많은 관심과 중국 고등교육분야의 무크에 관한 연구의 더욱 명확한 세분화 분류 기준이 필요하다. 둘째, 2015 년에 학점인정과 관련된 정책이 나왔으므로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무크에 대한 과정 평가 체계와 학점 인정 분야에 관한 연구도 지속적으로 진행해야 한다. 또한, 정책과 제도에 관한 연구가 부족하였으므로 중국 고등교육분야의 무크에 관한 정책과 후속 평가에 관한 연구가 추후 요구된다. 셋째, 요인분석이나 척도개발 등 중국 무크의 발전과 평가범주 분야에서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방법이 필요하다. 넷째, 연구기관은 주로 대학교에 집중되어 있으므로, 출판사나 디지털 자원 제공 회사 등 다양한 연구 기관이 연구에 참여하기를 제언한다. 고등교육분야의 무크의 플랫폼 건축과 확대를 위해서는 다양한 협력과 공통발전 체계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다섯째, 본 논문의 연구 대상인 중국 고등교육분야의 무크 관련문헌들은 CNKI 를 기반으로 수집되었으므로, 해당 데이터베이스에서 제공되지 않는 논문은 본 연구의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향후 심도 있는 분석을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제외된 다양한 연구자료들을 포함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 한·중 고등교육서비스의 상호 수출입과 경쟁력

        두, 리나 부산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Nowadays, as a result of economic globalization and changes to the international trade structure, the trade in higher education services has rapidly developed. The trade in higher education services has become one of the fastest growing markets in the service sector, and is strongly supported by UNESCO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the World Bank and other international organizations. The Chinese and Korean higher education services trade is also developing rapidly, however, it is still at a competitive disadvantage in the international market. As a result, further research into the development of China and Korea's higher education services market is required. This paper has three main objectives. Firstly, to evaluate the competitiveness of higher education services trading in China and Korea. Secondly, determin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market, and thirdly, propose ways Korea and China can improve their respective higher education services industries in the future. This paper is divided into five chapters. Chapter one outlines the background, objectives, research methodology and scope of the study. Chapter two reviews the theory and concepts related to the higher education services trade. Chapter three includes an analysis of the two countries'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n higher education services trading based on the volume of current exports. From the analysis it can be concluded that although the two countries' trading in higher education services is developing quickly, their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s still weak. Chapter four analyses the two countries' respective market structures to identify the factors weakening their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and proposes measures to improve competitiveness in the future. Lastly, chapter five concludes the study with a summary of all the important issues raised in this paper.

      • 학력간 교육투자 수익률 분석

        김희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고등교육의 급속한 팽창으로 고등교육 진학률이 80%를 초과하는 상황에서 고등교육에 대한 투자 수익률이 과연 어느 정도인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 된다. 본 연구는 학력간 임금격차를 비교 분석하여 교육투자의 상대적인 임금 변화를 추정하여 고등교육 투자 결정자 및 관련 정책 결정에 보다 정확한 고등교육 투자 수익률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에서 활용할 교육투자 수익률 분석모형은 Jacob Mincer(1974)의 단순 교육 모형(simple schooling model)이다. 이 연구의 분석 대상은 한국노동패널조사(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의 7차(2004년)~10차(2007년)년도 응답자 중 취업상태에 있는 20세~65세 임금 및 비임금 근로자로서, 월평균 소득 값이 존재하며 학력이 중졸이상인 자로 제한하였다. 본 논문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력간 교육 투자 수익률에 유의한 차이가 있고, 그 순위는 대학교, 대학원, 전문대학, 고등학교, 중학교 졸업 순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고등교육에 투자함으로써 향후 더 높은 경제적 수익이 있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것이다. 교육단계가 높을수록 그 수익률 또한 높게 나타났지만 전반적으로 교육투자 수익률은 계속 하락추세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교육투자 수익률과 임금격차의 하락추세에도 불구하고 고등교육이 누리는 임금 프리미엄은 여전히 높았으며, 이러한 프리미엄의 크기를 고려해 볼 때 고등교육의 수요는 계속 지속될 것이라 전망할 수 있다. 교육단계외의 기타변수로는 경험년수 ․ 근속년수 ․ 주당 근로일수가 많을수록 금전적 수익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사업체 규모별 분석에서는 사업체 규모가 클수록 더 많은 소득을 얻고 있고, 직종별 분석에서는 고급직종일수록 더 많은 임금혜택을 누리고 있었다. 노조별 분석에서 노조가 존재하는 사업체가 노조가 존재하지 않은 사업체 보다 더 많은 임금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혼인변수에서는 기혼자가 미혼자보다 더 많은 임금을 받고 있었지만 여성근로자의 경우에는 미혼여성과 기혼여성 간에 임금차이가 거의 없었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학력간 투자 수익률 분석 결과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고등교육 투자 결정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사회가 필요로 하는 고등교육 인력을 정확하게 분석하여 교육과 노동시장의 구조적인 메커니즘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ccording to rapid growth of higher education, a question has raised about the degree of return to investment in education in a present status where the ratio of students who go on to a high school exceeds 80%. An analysis model of the ratio of return to investment in education to be utilized in the study is Jacob Mincer(1974)'s simple schooling model. Objects of analysis in the study are wage workers and non-wage workers, aged from 20 to 65, who have been employed, with restriction to people who have monthly average incomes and educational attainments equal to and higher than those of high school graduate, among answerers from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between the 7th (2004) and the 10th year (2007).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atio of return to investment in education by educational attainments, and its ranking is as follows, university graduate, graduate school graduate, technical college graduate, high school graduate and middle school graduate. Such results of the study prove that the investment in higher education may make higher economic profits in the future. The higher the level of educational attainments is, the higher its ratio of return is, but, in general, the ratio of return to investment in education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continuously. In spite of such tendency of the ratio of return to investment in education and the wage differential to decrease, wage premiums for higher education were still higher. According to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such premium, it is possible to forecast the demand for higher education will be continuously getting higher. For other variables, in addition to the level of educational attainments, according as the number of years of experience, the number of years of service and the number of days of service per week become higher, it has shown high pecuniary profitability. In the analysis by business sizes, the business size becomes larger, it has shown much more incomes, and, in the analysis by job classification, higher occupations have received much higher wage benefits. According to the analysis by labor unions, workers in a business with its labor union have receives higher wages, in comparison with a business without its labor union. For the variable of marriage, married persons have received higher wages in comparison with unmarried persons, but there was little difference between wages of married women and unmarried women in case of women workers. Finally, it is necessary to analyze factors to influence the decision-making of investment in higher education in order to make a close investigation into causes of results of the study according to analysis of the ratio of return to investment by educational attainments of the study. Moreover, it requires positive studies on structural mechanism of education and labor markets by accurate analysis of human resources for higher education necessary for the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