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家族主義 價値觀과 老父母 扶養 態度에 關한 硏究 : 大田廣域市 大學生을 中心으로

        南炫熟 대전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우리 사회에서 가족은 전통적으로 노인들에게 중요한 부양과 보호의 근원이었으나, 60년대와 70년대에 걸쳐 급속한 경제발전과 산업화, 도시화, 인구의 고령화, 그리고 핵가족화로 인해 노부모 부양문제는 사회적으로 제기되어온 현대사회의 문제점의 일부가 되었다. 이에 따라 요즈음 가족부양 기능이 약화되는 경향을 나타내고는 있으나 아직도 특별한 대안이 없고 노인부양의 근본은 가족부양임을 감안할 때 우리의 전통적인 가족관계, 사회·문화적인 전반에 건을 반영하고 현시대에 적합한 가족부양체계를 계속유지, 발전시켜야 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한 이유에서 본 연구는 가까운 장래에 노부모 부양의 책임을 지게 될 남·여 대학생을 대상으로 가족주의 가치관에 따른 노부모 부양의식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노부모에 대한 태도를 분석해 봄으로써, 바람직한 노인에 대한 태도와 노부모 부양의식 형성을 위한 건전한 방향을 모색하고 노부모 부양문제의 해결방안의 토대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한 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 소재 4년제 4개 대학생 365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의 전통에 대해서는 대부분 가족의 전통에 대해 지켜져야 한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평균은 대부분의 문항에서 3.0을 넘었으나, '가족보다 개인의 의사가 더 존중되어야 한다'는 문항은 2.66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이것은 우리 나라의 가족문화가 아직은 개인보다 가족중심임을 엿볼 수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둘째, 가족주의 태도에 있어서, 사회인구학적 특성인 연령, 전공, 학년, 출생순위, 가구원수, 수입, 종교의 변수로 일원배치분석(One-Way ANOVA)를 실시한 결과 대부분의 변수들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즉 가족주의 가치관에 대한 문항에서는 불교와 기독교가 가족주의 가치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그 밖의 연령에 따른 평균의 차이나, 전공에 따른 차이, 가구원수의 차이, 출생순위의 차이, 수입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결과들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부양과 관련되어 노인의 부양책임에 대해 학생들은 '능력 있는 자녀'라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부모와 따로 살기를 원하는 이유로는 '생활의 불편함'과 '세대차 갈등' 순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부양생활 중에서 가장 어려운 것으로 '경제적 능력상실, 빈곤'이 등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대상자들의 노후생활에 대한 태도를 조사한 결과, 노후에 자녀와 '따로 살면서 부양 받기'를 원하는 응답자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기대하지 않는다'는 사람이 39.5%로 나타났다. 다섯째, 노후에 자녀와의 동거에 대한 생각에서 '여건이 허락되면 함께 살겠다'는 응답이 46.0%, '따로 살겠다'는 응답이 41.9%로 나타났다. 여섯째, 노후를 위한 준비에 관한 질문에서 '적금, 보험을 들어두겠다'라고 응답한 사람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노후에 가장 중요한 문제로 생각되는 것에, 1순위로는 '건강문제', 2순위로는 '경제적 문제'에 응답하여 신세대들은 노후의 경제적 문제보다는 건강과 고독문제에 관심이 높은 것으로 보여진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증진방안을 제시하여 보고자 한다. 첫째, 사회의 가장 기초적 단위인 가정의 기능강화를 위하여 가족가치관의 기반을 조성할 필요가 있으며, 가족의 기능강화와 노부모의 가족내 통합을 목표로 하는 가족 정책적 기반 위에서 체계적으로 시행되어야 한다. 둘째, 우리 문화에 기반을 둔 가족제도의 장점을 살린 예방적 복지대책을 강구해야 할 것이며, 부모와 자녀의 동거 또는 별거라는 물리적 접촉보다는 접촉에 의한 관계의 질이 더 중요하므로 노부모의 생활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정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상담서비스, 전문적 지도와 정서적 후원 프로그램 실시 등 적절한 프로그램을 통하여 가족의 노인부양능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포괄적인 프로그램의 실시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노부모가 가족구성원으로부터 일방적인 지원만을 받는다는 인식을 바꿀 수 있도록 긍정적 인식으로 경노효친의 미풍양속에 따른 건전한 가족제도가 유지·발전되어야 하며 체계적으로 구축해 나갈 필요가 있다.

      • 한국의 가족주의에 대한 기독교 상담학적 연구 : -미누친(S. Minuchin)의 구조 가족치료이론과 융(C. G. Jung)의 콤플렉스이론을 중심으로-

        김현하 계명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Korean family members adhere to each other closely. They are extremely sensitive and susceptible to each other emotionally. In social science, this type of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 of Korean culture is called Familism. Familism is pointed out as a cause of pathological phenomena of society in Korea. Christianity also views familism of Korea as a causal factor giving influence on the structural dysfunction of churches. However, there are a lack of research in the field of social psychology and a Christian counseling on how familism works in the Korean society and psychology of each individual and what kinds of effects it gives. Familism in Korea strengthens structural adverse effects on the family. Due to familism, the structure of the family in Korea is unable to adapt flexibly to changing situations of a surrounding area but hardens in and develops a false intimacy. Moreover, it creates an excessive relationship between subordinates and superiors and emphasizes a vertical relation. Furthermore, the more familism gets emphasized, the more a border line gets loosened and makes family members get stick to each other. It eventually hinders the autonomy of each individual. On a personal side, when I think in the point of complex theory of Carl Jung, familism forms personas in Koreans and worsens stress. In Korea, under the influence of familism, ‘following decisions of a family’ is emphasized form childhood. The development of adaptability forms persona. In this process, one side of the personality an individual is repressed, and the creates shadows and complexes in an inner side. In the Christian views familism distorts the structure of church adversely. Moreover, it restricts an individual from encountering God. An individual who has been accustomed to familism defines an image of God based on rules he / she experienced in a family. This makes it difficult for Koreans to healthy relationships with God. Christian counseling that is designed to help an individual break out from familism shall approach from a big point of view, the liberation of a perfect man. The first step is to realize the dysfunctional structure individuals, families, and churches faces due to familism. Then recognizing they have distorted images of God and the kingdom of God. 한국의 가족은 가족 구성원이 밀착되어 있다. 밀착된 관계의 가족은 감정과 정서적으로 서로에 대해 지나치게 예민하고 민감하다. 사회과학에서는 이러한 한국 가족의 특징적인 성격을 가족주의라고 한다. 한국에서 가족주의는 사회의 병리적 현상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기 때문이다. 기독교에서도 한국의 가족주의가 교회의 구조적 역기능에 영향을 주고 있다고 본다. 그러나 사회심리학 분야와 기독교 상담분야의 선행연구에서는 가족주의가 한국의 가족과 개인의 심리에 구체적으로 작용하는 방법과 영향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편이다. 가족적인 측면에서 한국의 가족주의는 가족의 구조적 역기능을 강화시킨다. 구조 가족치료의 관점에서 볼 때, 한국의 가족주의로 인해 한국의 가족은 구조가 주변의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변화하지 못하고 고착되어 가짜친밀성이 발달하게 한다. 또한 하위체계들 간에 과도한 위계가 존재하게 하여 수직적인 관계가 강조되도록 한다. 더불어 가족주의가 강조될수록 경계선이 산만해 지기 때문에 가족들이 밀착되어 개인의 자율성이 발휘될 수 없다. 개인적인 측면에서 융의 콤플렉스이론을 통해 볼 때 가족주의는 한국인의 페르소나를 발달시키고 콤플렉스를 강화한다. 한국은 가족주의의 영향으로 개인에게 가족의 뜻에 순응하는 것을 어린 시절부터 강력하게 요구한다. 순응의 발달은 페르소나를 발달시킨다. 이 과정에서 자신이 갖고 있는 인격의 다른 부분들은 억눌러져 그림자와 콤플렉스를 형성하게 된다. 기독교적인 측면에서도 가족주의는 교회의 구조를 역기능적으로 왜곡시킨다. 또한 개인과 하나님의 만남을 제한한다. 가족주의에 익숙한 개인은 가족 안에서 경험된 규칙들에 미루어 하나님의 형상을 확정하기 때문에 하나님과 진실 되게 인격적인 만남을 추구하기 어렵다. 이러한 가족주의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기독교 상담은 전인해방이라는 큰 관점에서 접근해야 할 것이다. 그 첫걸음은 가족주의로 인해 개인과 가족 그리고 기독교 공동체가 처해있는 역기능적 구조와 콤플렉스를 자각하여 하나님과 하나님 나라에 대한 왜곡된 이미지를 갖고 있음을 인식하는 것에서 출발할 수 있다.

      • 가족주의 가치관과 노인에 대한 태도가 노부모 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베트남 대학생을 중심으로

        김혜경 성결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인구의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한국과 베트남의 대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가족주의 가치관과 노인에 대한 태도, 노부모 부양의식을 비교하여 차이를 파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초고령 사회에서 노부모 부양에 있어 일차적 책임의 주체가 될 한국 대학생 221명, 베트남 대학생 221명, 총 44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의 분석방법은 SPSS Win 20.0을 사용하여, 신뢰도와 타당도, 빈도분석, T-test와 분산분석(ANOVA),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과 Baron & Kenny의 매개효과 검증 방법을 이용하였고, 매개효과 입증을 위하여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베트남 대학생의 가족주의 가치관, 노인에 대한 태도, 노부모 부양의식의 국가 간 차이를 확인하였다. 베트남 대학생이 한국 대학생에 비해 전통적 가족주의 가치관과 더 긍정적인 노인에 대한 태도를 보였고, 노부모 부양의식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부모 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전통적인 가족주의 가치관을 가질수록 노부모 부양의식이 높은 것으로 국가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국가 간에는 한국에 비해 베트남 대학생의 가족주의 가치관이 전통적이고 노부모 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것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셋째, 가족주의 가치관이 전통적일수록 노인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인 것으로 국가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베트남의 경우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한국 대학생에게서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국가 간 차이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넷째, 노인에 대한 태도가 더 긍정적일수록 노부모 부양의식이 높은 것으로 국가 간에 차이를 나타냈다. 한국의 경우는 유의미 하지 않았으나, 베트남 대학생은 노인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노부모 부양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가족주의 가치관의 독립변인과 노부모 부양의식의 종속변인과의 관계에서 노인에 대한 태도의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국가 간의 차이가 확인되었다. 국가별로는 베트남 대학생의 경우만 유의미하였다. 연구 분석결과 한국과 베트남은 중국으로 부터 유교사상과 문화를 계승하여 여전히 전통적인 가족주의 가치관이 노부모 부양의식에 깊은 뿌리가 되고 있다는 공통분모를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가치관은 사회의 변화를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양국 간에 정치· 사회· 문화와 차이와 경제 발전의 정도 차이에 따른 다름도 입증되었다. 베트남은 현재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여 국가적으로 한국의 사회․보건복지정책과 사회보장제도를 벤치마킹하기 시작했다. 한류 열풍이 문화 ․경제에만 국한되지 않고 노인복지부분으로 확대될 수 있도록, 한국은 노인의 경제적 자립과 가족의 부양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실천적이고 정책적인 지원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 주제어 : 가족주의 가치관, 노인에 대한 태도, 노부모 부양의식. A study on Effect of the Familism Values and Attitude towards the Aged on Consciousness of Supporting the Elderly Parents - Focused on college students in South Korea and Vietnam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compare college students in the familism values, attitude toward the aged, and consciousness of supporting the elderly parents in South Korea and Vietnam, both of which witness the fast aging of the population, and examine differences between them. The subjects include total 442 college students including 221 South Korean and Vietnamese ones each who would be the primary subjects responsible for supporting the elderly parents in the super-aged society. Data was analyzed with the SPSS Win 20.0 program and put to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In addition, regression analysis and the mediating testing method by Baron & Kenny were performed and followed by the Sobel test to demonstrate mediating effect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familism values, attitude toward the aged, and consciousness of supporting the elderly parents between the South Korean and Vietnamese college students. The latter had more traditional familism values,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aged, and higher consciousness of supporting the elderly parents than the latter. Second, the study examined effects on the consciousness of supporting the elderly parents and found that higher traditional familism values led to higher consciousness of supporting the elderly parents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nations. The Vietnamese college students showed more traditional familism values and had them exert bigger influences on their consciousness of supporting the elderly parents than their South Korean counterparts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m. Third, the more traditional familism values resulted in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aged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nations. Whil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Vietnamese college students, their South Korean counterparts had so significant differences, which indicates differences between them. Fourth,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aged led to higher consciousness of supporting the elderly parents with differences between the nations. There were no significant results among the South Korean college students, but their Vietnamese counterparts showed higher consciousness of supporting the elderly parents according to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aged. Finally, attitude toward the aged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relations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 the familism values, and the dependent one, the consciousness of supporting the elderly parents, with differences between the nations. Only the Vietnamese college students had significant results.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consciousness of supporting the elderly parents was deeply rooted in the traditional familism values based on the Confucian culture in both South Korea and Vietnam that inherited the Confucian ideas and culture from China. Given that values reflect social changes, it was also demonstrat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values according to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differences and different levels of economic development between the nations. Entering the aging society stage, Vietnam has begun to benchmark the social, health, and welfare policies and social security system of South Korea at the national level. South Korea needs to search for practical and policy-based support directions to promote the economic independence of the elderly and reduce the burden of supporting the elderly on families so that the fever of the Korean Wave will expand from culture and economy to the field of elderly welfare. Keywords: familism value, attitude toward the aged, consciousness of supporting the elderly parents.

      • 家族主義·祭禮意識·祭禮行禮가 祭禮滿足에 미치는 影響 : 旣婚男女의 忌祭祀를 中心으로

        김계숙 성신여자대학교 2008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big changes in the entire Korean society have a dramatic effect on our culture of ancestor worship ceremonies. The formalities and size of the religious ceremonies have been greatly changed and its arrangement has imposed a mental, physical, economic burden on women while the entry of women in the public affairs has increased. This new trend of ancestor worship ceremonies causes various social problem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desirable attitude, rational accomplishment and ceremonial satisfaction, this thesis analyses the death anniversary ceremonies which is the basic form of the religious ceremonies. The target is married people who regularly perform the ancestor worship ceremonies and comparatively analyses consciousness,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for the object, formalities, equipment, participants and food of ceremonies. The main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solving social problems caused by the ancestor worship ceremonies and to lessen the burden of family budget and to build desirable culture of ancestor worship ceremonies by studying the relation. The key subjects are familism, religious ceremonial consciousness, and the general tendency of religious ceremonial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In addition, it applies the socio-demography variables to the relations among the consciousness,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and also controls these variable in order to assure the causal relationship. The self-respond survey was conducted by married people in the whole area of South Korea. Sampling area includes Seoul-Gyeonggi province (400 units), Gangwon province (100 units): Wonju and Gangneung, Chungcheong province (200 units): Daejeon, Yesan, Gongju, Chungju, Gyeongsang province (100 units): Andong, Busan, Jeolla province (100 units): Jeonju, Imshil, Jeju province (100 units): Jeju, Seogwipo. Total 675 out of 1000 survey papers were finally selected as datum sources. The data statistical analyses of frequency, percentage, arithmetic average, standard deviation and the Pearson and Path analysis and the Cronbach's α by the SPSS PC+. The main conclusion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familism of the married people exceeds medium and shows medium-rated level. Most of married people are aware of the necessity of the ancestor worship ceremonies, and perform them in a traditional way. Besides, they have somewhat high ceremonial satisfaction. Second,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which affect familism of the married people are gender, age, religion, education standard and the native place. In other words, more women than men, the older age, more Confucian and Buddhist than none or other religious people, and more people from Chuncheong, Gyeongsang, and Jeolla provinces than Seoul-Gyeonggi province are supportive toward familism. On the other hand, university graduates than under high school graduates have less support for familism. Third,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which affect religious ceremonial consciousness of the married people are gender, religion and the native place. The older age, more Confucian and Buddhist than none or other religious people and more people from Jeolla province than Seoul-Gyeonggi province follow traditional formalities. However, Christians have changing status of ceremonial consciousness than none or other religious people. Forth,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which affect ancestor worship ceremonial performance of the married people are gender, religion, occupation and the native place. More Confucian than none or other religious people, more professions than housewives and the unemployed, morepeople from Chuncheong, Gyeongsang province than Seoul-Gyeonggi province follow traditional performances. However, more men than women and more Christians and Catholic believers than none or other religious people have changing status of ceremonial performances. Fifth,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which affect ceremonial satisfaction of the married people are gender and age. More men than women, the older age show high satisfaction of ancestor worship ceremonies. Sixth, familism of married people effects the whole ceremonial consciousness and its subordinated variables such as ceremonial understanding and function; on the whole ceremonial performances and its subordinated variables such as ceremonial formalities and equipment, and on the ceremonial satisfaction and its subordinated variables such as object, formalities, equipment, participants and food of ceremonies. That is, the respondents who have higher support for familism agree with more traditional consciousness and follow traditional formalities and equipments with high satisfaction. Seventh, the ceremonial consciousness of married people have an effect on the ceremonial food which is a subordinated variable of ceremonial performance and on the ceremonial satisfaction and its subordinated variables such as object, formalities, equipment, participants and food of ceremonies. In other words, the respondents who have more traditional consciousness of ancestor worship ceremonies show the changing attitude and higher satisfaction. Eighth, the ceremonial performance of married people affects ceremonial food which is a subordinated variable of ceremonial satisfaction. When people have traditional performance of ancestor worship ceremonies, they are less content with the ceremonial food. Finally, the direct variables which affect the ceremonial satisfaction of married people are familism and ancestor worship ceremonial consciousness. Those who are more supportive to familism and more traditional consciousness have higher satisfaction. Moreover, familism through the medium of the ceremonial consciousness has indirect influence on ceremonial satisfaction. In conclusion, the value of familism is likely to be changed and the ancestor worship ceremonial consciousness is also in changing status from now on. In order to enhance the ceremonial satisfaction and to hand down ancestor worship ceremonies as our traditional culture to descendants, death anniversary should be familial festival for warm relationships and provide the real meaning of traditional ceremonies along with big movement of changing values in the entire society. Especially, the family rite needs to be improved and be efficiently performed for the high living satisfaction and development of home life. Since consciousness, performance and the satisfaction of ancestor worship ceremonies are found to have the meaningful relations, more sophisticated standards and sampling of ancestor worship ceremonies are needed for future study. Moreover, I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thesis can apply to the basic materials for the development of desirable ancestor worship ceremonial model. In the continuous rise of various family forms with different religions and generations, and multi-cultural family, there are conflicts over ancestor worship ceremonies among family members. I expect that this thesis will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and instruction through mass communication in order to provide the real meaning of traditional ancestor worship ceremonies. 오늘날 사회 전부분에서의 커다란 변화는 우리사회의 제례문화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즉 제례절차나 규모도 많이 변화하였으며, 여성의 사회진출로 인한 시간의 쫒김은 제수준비에 심리적,육체적, 경제적 부담을 안겨주었으며 이러한 제례풍조는 여러 가지 사회문제를 야기 시키고 있다. 이에 제례에 대한 건전한 의식을 함양하고 제례를 합리적으로 수행하며 제례만족을 높이기 위해 실제로 제례를 주관하고 제수(祭需)준비를 하는 기혼남녀를 대상으로 가정에서 보편적으로 가장 많이 수행하고 있는 기제사를 중심으로 제사대상, 제사절차, 제사용품, 제사행위자 및 제사음식으로 한정하여 그 각각에 대한 의식과 행례 및 만족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혼남녀를 대상으로 그들의 제례의식과 제례행례 및 제례만족 간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제례를 수행할 때 빚어지는 제 문제를 해결하고 가계의 부담을 덜어주며 바람직한 제례문화 정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연구의 주요 목적으로 삼고자 한다. 그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들을 살펴보았다. 즉, 기혼남녀의 가족주의·제례의식·제례행례 및 제례만족의 일반적인 경향, 기혼남녀의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가족주의·제례의식·제례행례 및 제례만족과의 관계, 기혼남녀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을 통제 했을 때 가족주의·제례의식·제례행례 및 제례만족 간의 인과관계 등을 살펴보았다. 이상의 연구문제를 분석하기 위하여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구성하였으며, 조사대상자는 전국에 거주하는 기혼남녀를 대상으로 하였다. 표집지역을 살펴보면 서울·경기도지역(400부)은 특정지역을 정하지 않고 표집 하였으며 강원도(100부)는 원주·강릉지역, 충청도(200부)는 대전·예산·공주·충주지역, 경상도(100부)는 안동·부산지역, 전라도(100부)는 전주·임실지역, 제주도(100부)는 제주·서귀포지역 등을 포함한다. 예비조사를 거쳐 본 조사를 실시하였고 모두 1,000부를 배부하였으나 수거되지 않은 것과 부실기재된 것을 제외한 675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자료는 SPSS PC+를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산술평균, 표준편차,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 Regression analysis, Path analysis, Cronbach's α의 통계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혼남녀의 가족주의는 중간점을 상회하여 중도적인 가족주의를 보였다. 또한 기혼남녀들은 제례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고 제례행례 또한 전통지향적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다소 높은 제례만족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혼남녀의 가족주의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사회인구학적 변인으로는 성별, 연령, 종교, 교육수준, 출신지역으로 나타났다. 즉 조사대상자는 여자보다 남자가, 연령이 높을수록, 무교·기타종교인보다 유교인과 불교인인 경우, 서울·경기도보다는 충청도·경상도 및 전라도가 가족주의에 대한 지지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고졸이하보다는 대졸이상은 가족주의에 대한 지지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째, 기혼남녀의 제례의식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사회인구학적 변인으로는 연령, 종교, 출신지역으로 나타났다. 즉 조사대상자는 연령이 높을수록, 무교·기타종교인보다는 유교인과 불교인인 경우, 서울·경기도보다는 전라도가 제례의식에 있어 전통지향적으로 나타났지만, 무교·기타종교인보다는 기독교인은 제례의식이 변화지향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혼남녀의 제례행례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사회인구학적 변인으로는 성별, 종교, 직업, 출신지역으로 나타났다. 즉 조사대상자는 무교·기타종교인 보다는 유교인인 경우, 전업주부·무직보다는 전문관리직인 경우, 서울·경기도보다는 충청도·경상도가 제례행례를 전통지향적으로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여자보다는 남자가, 무교·기타종교인보다는 기독교·천주교인은 제례행례를 변화지향적으로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기혼남녀의 제례만족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사회인구학적 변인으로는 성별, 연령으로 나타났다. 즉 조사대상자는 여자보다는 남자가, 연령이 높을수록 제례에 대한 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기혼남녀의 가족주의는 전체 제례의식과 그 하위변인인 제사인식·제사기능, 전체 제례행례와 그 하위변인인 제사절차·제사용품, 그리고 전체 제례만족과 그 하위변인인 제사대상·제사절차·제사용품·제사행위자 및 제사음식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조사대상자는 가족주의에 대한 지지 정도가 높을수록 제례의식은 전통지향적이며 제례행례 중 제사절차·제사용품에 대한 행례를 전통지향적으로 수행하며, 또한 제례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기혼남녀의 제례의식은 제례행례변인의 하위변인인 제사음식, 전체 제례만족과 그 하위변인인 제사대상·제사절차·제사용품·제사행위자 및 제사음식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조사대상자는 제례의식이 전통지향적일수록 제사음식에 대한 행례를 변화지향적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제례의식이 전통지향적일 때 제례만족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기혼남녀의 제례행례는 제례만족 변인에서 그 하위변인인 제사음식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즉 조사대상자는 제례행례를 전통지향적으로 수행할 때 제사음식에 대한 만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기혼남녀의 제례만족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가족주의와 제례의식이었다. 즉 가족주의에 대한 지지 정도가 높을수록, 제례의식이 전통지향적일수록 제례만족이 높았다. 또한 가족주의는 제례의식을 매개로 하여 제례만족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향후 점점 가족주의에 대한 가치가 변화 되고 제례의식도 변화지향적으로 변화될 것이므로 향후 제사의 변화 방향을 짐작케 하고 있다. 이에 제례만족을 높여 우리의 전통생활문화인 제례를 후손들에 의해 이어가게 하기위해서는 기일이 가족 간의 친목도모와 축제의 장이 될 수 있도록 하고, 전통제례에 담겨 있는 진정한 의미를 바르게 알리며, 가족의 중요성을 일깨워주는 등 사회 전반적으로 활발한 의식변화 운동이 수반되어야 한다고 본다. 특히 가정의례를 각 가정의 형편에 맞게 보완하고 효율적으로 실행함으로서 생활만족도를 높이며 가정생활의 향상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기혼남녀의 제례의식과 제례행례 및 제례만족 간에는 의미 있는 관계가 성립되므로 좀 더 정교한 척도개발과 표집에 의한 제례가 연구되기를 기대하며 본 연구의 결과가 건전 제례행례모델 개발의 기초 자료로서 활용되기를 바란다. 또한 오늘날과 같이 종교간·신구세대간·다양한 가족형태와 다문화 가정이 증가하는 추세에서 가족 간의 제례에 대한 갈등 속에 전통제례의 진정한 의미를 바르게 알고 그 뜻을 살려 실천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대중매체를 통한 계몽을 하는데 기초 교육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가족주의’에 대한 들뢰즈의 비판 : 그 가능성과 한계

        주현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family is the smallest unit society because it is the first place where human socialization takes place. As the shape of society has changed, the shape of the family has changed. In the capitalist society, the family is a shelter for the family members in the sense that it contributes to the enhancement of labor productivity and the reproduction of the labor force itself. However, it is limited to the ‘bourgeois class’ to have a family in Marx-Engels perspective. That is, only the bourgeoisie can accumulate private property. In order to accumulate private property systematically, the family becomes a structure in which the bestowal is made through the absolute blood tie, so that only the bourgeois class is monopolized. But in modern capitalist societies there is a lack of explanation of families at this class level. ‘Family’ criticized by Deleuze works in a much more subtle way. It is from the capitalist society that the function as a shelter for the members of society, as a shelter, is imme-diately obtained by receiving a so-called "normal family” image. ‘Normal family’ is an exemplary family model, such as a family of ‘father-mother-me'. Of course, there are various family structures in this society.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capitalist society gives a name tag of ‘normal' family to the family and executes the family system based on this family model. Thus, the analysis of the family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family is a structure that is closely connected with the social system, not being defined as belonging to a certain class. Deleuze criticizes psychoanalysis as contributing to the creation of a family's representational image. In his book "Anti-Oedipus”, analyzing capitalism in society, he redefines the definition of desire within capitalist societies. Based on the new perspective on his desire, he analyzes how ‘familialism' as a representative image of family transformed desi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odern capitalist society’ and ‘family of minimum unit society’ through a new interpretation of Deleuze's theory of desire. Deleuze's analysis of society is made through the critique of familialism. The family itself, however, has existed before it was symbolized by the capitalist system. This paper attempts to understand the contradictory structure of modern society in relation to family by examining how modern capitalist societies are related to the represented family(familialism). The reason why we focus on the fact that the analysis of society and family is centered on desire is based on the idea that the concept of the family that the paper looks at exceeds the existing definition of family. The reason for paying attention to Deleuze's analysis of the society through criticism of familialism is to confirm that ultimately beyond family criticism, we can discover new possibilities of the family itself. Therefore, the conclusion of the paper is concluded by looking for conceptual possibilities for family beyond familialism. This point is ‘the singular point’ of this paper. And the study of this family is done through concepts related to the analysis of desire that Deleuz uses to criticize familialism. By examining the criticism of Deleuze's familialism, we can deduce the various family problems of modern society at the same time. It is questioning the definition of an existing family with a comfortable image and suggesting that a different approach to the question of the role and existence of the family is needed. Therefore, this paper discusses Deleuze's criticism of familialism with a same critical mind. And it is an important process to examine these concepts because it is to suggest ‘family beyond familialism' by applying several concepts presented in Deleuze philosophy. 가족은 인간의 사회화가 최초로 이뤄지는 장소이기 때문에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라고 할 수 있다. 사회의 모습이 변화함에 따라 가족도 그 형태가 변화되어 왔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가족이 가족 구성원의 쉼터가 된다는 것은 그것이 노동 생산력의 증진과 노동력 자체의 재생산에 기여한다는 의미에서이다. 그런데 맑스·엥겔스 관점에서 가족을 가질 수 있는 것은 부르주아 계급에 한정돼 있다. 즉 부르주아 계급만이 사유재산을 축적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가족은 사유재산을 수직적으로 축적하기 위해 혈연이라는 절대적 계약을 통해 증여가 이루어지는 구조가 됨으로써 부르주아 계급만이 전유하는 대상이 된다. 그러나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서 가족을 이와 같은 계급적 차원에서 설명하기에는 부족한 부분이 있다. 들뢰즈가 비판하는 가족은 훨씬 교묘한 방식으로 작동한다. 그것은 자본주의 사회로부터 이른바 ‘정상 가족’이라는 표상화된 이미지를 얻어 사회 구성원들에게 안식처로서, 그들의 쉼터로서의 기능이 절대시 되는 것이다. 정상 가족이란 ‘아버지-어머니-나’로 구성된 성가족과 같은 모범적 가족 모델이다. 물론 이 사회에는 다양한 가족 구조가 존재한다. 그러나 자본주의 사회가 가족에 ‘정상적’인 가족이라는 이름표를 주고 이러한 가족 모델을 중심으로 가족 제도를 실행하고 있다는 데에 문제가 있다. 이에 가족에 대한 분석은 가족이 특정 계급의 소유물로서 규정되는 것을 벗어나 사회 체제와 긴밀하게 연결된 구조라는 사실 그 자체에 집중한다. 들뢰즈는 가족의 표상화된 이미지를 만드는 데 일조한 것이 정신분석학이라고 비판한다. 자본주의를 사회를 분석한 그의 저서 『안티 오이디푸스』에서 그는 자본주의 사회 내에서 욕망의 정의를 새롭게 정립한다. 그리고 그의 욕망에 대한 새로운 시각에 입각하여, 표상화된 가족 이미지로서의 ‘가족주의’가 어떻게 욕망을 변형시켰는지 분석하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현대 자본주의 사회’와 ‘가족이라는 최소 단위의 사회’ 간의 관계를 들뢰즈의 욕망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통해 조망해 보는 것이다. 들뢰즈의 사회에 대한 분석은 가족주의 비판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가족 그 자체는 그것이 자본주의 체제에 의해 표상화 되기 이전부터 존재해 왔다. 이에 본 논문은 현대 자본주의 사회가 어떻게 표상화된 가족(가족주의)과 관계하는지 살펴봄으로써 현대 사회의 모순적 구조를 가족과 관련하여 파악해 보고자한다. 사회와 가족에 대한 분석이 욕망을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는 이유는, 논문이 직시하는 가족이라는 개념이 가족에 대한 기존의 정의를 초과한다는 생각에 기초한다. 즉 가족을 통해 사회를 역으로 투과해 볼 수도 있다는 것이다. 들뢰즈의 가족주의 비판을 통한 사회체 분석에 주목하는 이유도, 궁극적으로 가족주의 비판을 넘어 가족 그 자체의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서이다. 그렇기 때문에 논문의 결론은 가족주의를 넘어서는 가족에 대한 개념적 가능성을 찾는 것이다. 이 지점이 본 논문의 특이점이라고 할 수 있겠다. 그리고 이 가족에 대한 연구는 들뢰즈가 가족주의 비판에 사용하고 있는, 욕망에 대한 분석과 관련된 개념들을 통해 이뤄지고 있다. 들뢰즈의 가족주의에 대한 비판을 살펴봄으로써 현대 사회의 다양한 가족 문제를 동시에 유추해 볼 수 있다. 그것은 안락한 이미지를 지닌 기존의 가족에 대한 정의에 의문을 던지는 것이며, 가족의 역할과 존재에 대한 물음에 관하여 다른 식의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들뢰즈의 가족주의 비판에 대한 문제의식을 좇아 논의가 진행된다. 그리고 들뢰즈 철학에서 제시하는 몇 개의 개념을 적용해 ‘가족주의를 넘어서는 가족’을 제시하는 것이기 때문에 해당 개념들을 검토하는 것이 중요한 수행과정으로 판단된다.

      • 가족주의 가치관의 변화에 따른 대학생의 노부모 부양의식에 관한 연구

        송근자 동아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에서는 가족주의 가치관과 노부모 부양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배경으로 하여 가족주의 가치관의 차이에 따른 노부모 부양의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설문지 조사를 통한 경험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노부모 부양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크게 5개의 변수군(사회인구학적 특성, 노인관, 노인관련 봉사경험 유무, 부모와 배우자부모와의 동거의사, 가족주의 가치관)으로 구분하였으며 이러한 요인들과 노부모 부양의식과의 관계에 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의 가족주의 가치관의 일반적 경향은 3.14점으로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나 가족중심적 집합주의 경향을 갖고 있었다. '부모 공경의식'을 가장 중시하여 부모에 대한 집합주의는 비교적 높으나 '형제·자매및 친척간 사회·경제적 유대의식'은 낮게 나타나 동거하는 부모나 가족을 더 우선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들의 노부모 부양의식은 전반적인 경향은 3.81점으로 높았고 경제적 부양의식 3.96점, 신체적 부양의식 3.80점, 정서적 부양의식 3.68점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족중심의 가치관에서 개인중심의 가치관으로 점차 변하하고 있어도 부모에 대한 효의식이나 부양의식이 높음은 매우 바람직한 일이라 할 수 있다. 셋째, 가족주의 가치관과 노부모 부양의식의 상관관계에서 부양의식 전반의 인과적 효과도 상당히 높아 상대적으로 영향력이 큰 변인으로 가족 중심적 집합주의 가치관을 가질수록 노부모 부양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노부모 부양의식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부양의식이 높게 나타났다는 것은 부계 중심적 전통적인 사고에서 비롯된다고 사료된다. 다섯째, 노인관과 노인 봉사경험의 변수에서는 노인에 대한 인식이 높을 수록 노인관련 자원 봉사경험이 많을수록 부양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의식은 경험을 통해 학습되어져 가는 것으로 볼 때 교육의 필요와 젊은이에게 다양한 경험의 장을 만들어 줄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여섯째, 부모와의 동거의사 변수에서는 동거의사가 높을수록 의식이 높게 나타났다. 이 또한 유의한 결과로 볼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가족주의 가치관과 노부모 부양의식과의 관계는 상당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우리사회에서 형성되어 있는 노부모 부양의식은 부양의 책임이 여전히 가족에게 있다고 인식되는 것이라 판단된다. 그러므로 노부모 부양에 대한 의식을 높이기 위해 젊은 세대인 대학생들에게 가족주의 가치관의 고취는 의미 있는 일이라고 하겠다. In this thesis, I studied on supporting consciousness for the aged parents of university students in accordance with the differences of a value on familism. I studied it with a background of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concerning to the value on familism and supporting consciousness for the aged parents. Then a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I divided factors affecting to the supporting consciousness into 5 groups as demographic variables, a view on the older, the experience of service for the older, opinion for living together with parents, and the value on familism. The results of this surve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value on familism of the university students showed high score(3.14). In particular, the university students thought that the "respect consciousness for parents" is very important. On the contrary, the survey showed lower scores on the "social and economic relations with brothers, sisters, and the relatives". Second, The supporting consciousness for the old parents of the university students showed high score(3.81). Among the factors of supporting consciousness, the economical supporting consciousness was highest(3.96), and the next was the physical supporting consciousness(3.80), and the emotional supporting consciousness was lowest(3.68). Even if this meant that our community was changing to the value on individual core from the value on family core, the dutiful awareness or supporting consciousness of the university students are still high, and it would be said that it Is very desirable phenomena. However, comparing with results of the preceding studie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higher scores than preceding studies on the supporting consciousness. So we can guess that there might be some differences between the supporting consciousness and actual supporting action. Third, since relationship between the value on familism and the supporting consciousness was high, so it showed that the higher the value on familism, the higher the supporting consciousness of the students. Fourth, There were no relationship between the demographic variables and supporting consciousness for the older except sex. The male students had higher supporting consciousness for the older than female students. And the experience of service for the older, and the opinion for living together with parents had positive relationship with supporting consciousness for the older. In conclus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lue on familism and the supporting consciousness for the old parents showed positive relations. We could explain the result by the fact that most people in our society believes the duty of supporting old parents might be their familiy's responsibility. Therefore, the endeavor to inspire the value on the familism of the university students is very important to resolve social problem of supporting the older.

      • 한국의 가족주의 전통과 그 변화

        신수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goal of this thesis is to observe the familism of the Chos n Dynasty which can be regarded as the origin of Contemporary Korean familism, and to examine the developments of the familism over the past few centurie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an comprehensive structure of the familism of Korea. Early studies on Korean Familism tend to adress its ideological tendencies not sufficiently. In this paper, the focus is given on the "family" as a socio-cultural unit. "Familism" which is the central governing principle in Korean families has been related to the individual, the family and the society. In accordance with the understanding the current concepts of Korean familism were regrouped and reorganized. At the same time, the background of familism in Korea, its developmental process and its current state were examined in a comprehensive way. In this manner, the ideological nature of Korean familism and the socio-cultural symptoms resulting from the individual adaption of Koreans to this familism are verified. Examining these cultural ripple effects is part of the research object of this paper. The thesis can be divided into two large parts. The first part deals with research and analysis of written materials on the fundamental idea of familism, its developmental process, current state, changes and the resulting socio-cultural impacts in modern times. The second part is about a demonstrative study seeking to understand, by formulating the scale for traditional familism, the level of continuity of traditional familism in Korea. The study also seeks to examine the resulting cultural tendencies by measuring the tendencies of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in Korea. According to written records, Koreas familism is based on the Confucian value of "ka(家)" (meaning "The Family") and has placed an emphasis on patrilineage(父系), respect of elders(長幼有序), filial piety(孝), ancestor worship(祖上崇拜), and the continuity of the patrilineal family(父系 家系繼承). Such a philosophy was handed down throughout the whole Chos n era and its effects are still perceived in the contemporary Korean society in the form of the cultural unconscious and ideology. The familism manifested in the present day can be seen as a modified form of the traditional one with instrumental, emotional, quasi-familisms and family centrism incorporated. Through the experimental study, one could easily note that traditional familism ideology is still alive. The study also shows that the Korean social character as assessed by the tendencies of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is predominantly individualistic despite of collective emotion of the society as a whole ( as we have seen that 64.6% of the respondents manifested a tendency of individualism ). Moreover, the tendencies of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vary depending on the level of awareness of the traditional familism ideology. It was also evident that the Korean familism, as a major factor influencing the tendencies of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of the Korean individual, made the foundation of Koreas social culture. However, the level of awareness of the familism ideology depends on the social tendencies of the individual and It is seen that the tendencies of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can be also different. Lastly, one can clearly see that the more complicated is the society, the more significant is the individuals adaptation to society. The conclusion of the research and its implication are as follows: First, Koreas family ideology today continues to reflect traditional familism, marked by "ideals of the stem family" with an accent on the authority of the patrilineal family and the continuation of that lineage. However, the actual changes in family lifestyle show that a gap is being created between the ideals and reality of Koreas familism and subsequently a disparity exists between the ideal family and the actual family. Secondiy, respondents who have different family ideology seem differently in individualistic/collectivist tendencies as well. This demonstrates the existence of a relationship between family culture and social culture; but, there is another thing between the family and social cultures, and it is called the "individual adaptation", a result of this thesis, which can be understood through the manifestation of family ideology and socio-cultural qualities which are dependent on the individuals social tendencies, and through Francis L. K. Hsus Psychosocial Homeostasis. Thirdly, the fact that 64.6% of these respondents showed a tendency of individualism makes it possible to estimate the direction of future developments of the Korean society. One should also consider the possibility of individualistic behavior in an emotionally collectivist society being interpreted as egoistic. Fourthly, the ideological inclination of Koreas familism is apparent in everyday life. Subsequently, it is quite possible that the cultural unconscious which is explained by such inclination will continue to be a basis in the lives of Koreans under the banner of "cultural tradition". Fifthly, "the family" as a unit of explanation of social culture is not only of importance for its mediating role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society, but also for its usefulness as a "specific framework" for tangible research topics as family life culture. Furthermore, "the family", as a specific unit of cultural analysis, reflects the importance level of family ideology in a given society and therefore serves as an useful measurment for the influence of "family culture" on the social culture. The methodology used in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that, in order to present a comprehensive investigation of Koreas family and familism,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encompassing the "family-related" fields of religion, philosophy, anthropology, psychology, sociology and family studies was utilized. In addition, resorting to extensive reading of written materials and utilizing social survey methodologies enriched the research both in quality and in quantity. It is the authors belief that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formulation of a methodology of Korean Studies,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studies using a interdisciplinary approach. It is also hoped that the limit of this paper can be improved by subsequent future research in the field of "Family Studies" and "Korean Studies". 본 연구는 가족주의에 대한 이제까지의 연구들이 그 이데올로기적 성향에 대해 충분히 분석되어 있지 않은 것을 계기로 한국 가족주의의 시초로서의 조선시대 가족주의를 살펴보고, 그것이 현재까지 어떻게 지속 변화되었는지를 고려해봄으로써 이에 대한 총체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특히 문화분석 단위로서의 가족에 초점을 두고, 한국 가족의 중심원리인 가족주의를 개인-가족-사회와의 연관하에 연구하고자 했다. 따라서 한국 가족주의에 대한 기존의 개념들을 통합하여 새로이 재구성함과 동시에 가족주의가 생겨난 근원적 배경을 비롯해서 정착과정, 정착기제, 변화양상을 종합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한국의 가족주의가 견지하고 있는 이데올로기적 특성을 확인하고, 한국인 개개인이 가족주의적 특성에 적응한 결과로 나타나게된 사회문화적 징후를 현 시점에서 확인해봄으로써 그 문화적 파급성을 진단해보려는 목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는 크게 두 부분으로 이루어졌는데 첫 번째 부분에서는 가족주의의 근본 이념과 정착과정, 정착 기제, 변화양상, 그리고 결과로서 나타나는 현재의 사회문화적 징후를 문헌고찰을 통해 살펴보았으며, 두 번째 부분은 실증연구로서 전통적 가족주의 이념 척도를 구성하여 현 시점에서의 전통적 가족주의 이념의 존속 정도와 그 결과로서 나타나는 한국의 문화적 특성을 집단주의·개인주의 성향을 통해 파악하고자 했다. 문헌고찰 결과, 한국의 가족주의는 유교적 가(家)개념에 바탕하여 부계혈통 강조, 장유유서 또는 효(孝)의미의 강조, 조상숭배 및 부계가문의 영속성 강조를 통한 당위적 원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조선시대의 통치이념에 의해 위로부터 강조되어 온 규범으로써 현재까지 한국사회에 문화적 무의식, 이데올로기적으로 존재하고 있다. 현재에 나타나는 가족주의의 모습은 전통적 가족주의의 일부 요소들이 변화 또는 부각된 것으로 도구적 가족주의(instrumental familism), 정서적 가족주의(emotional familism), 유사가족주의(quasi familism), 가족 이기주의(family centrism) 등으로 설명될 수 있다. 실증연구의 결과를 통해 현재에도 전통적 가족주의 이념이 존속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응답자들은 전통적 가족주의의 세 영역 중 가족우선성 영역을 가장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집단주의·개인주의 성향으로 본 한국사회의 문화적 특징으로서 60.8%가 수평적 개인주의 성향을 나타냄으로써 전체사회의 집단주의적 정서에도 불구하고 개인주의적 성향이 대다수임이 나타났다. 또한 집단주의·개인주의 성향은 전통적 가족주의 이념의 인식 정도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것이 나타나 한국의 가족주의는 개인의 집단주의·개인주의 성향에 중요한 영향요소로서 사회문화 형성에 중요한 기반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개인의 사회적 특성에 따라 가족주의 이념의 인식 정도가 다르고 집단주의·개인주의 성향도 다르다는 것이 나타나, 사회가 복잡해짐에 따른 개인의 적응양식이 중요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과 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가족의 이념은 여전히 직계가족적 이상을 기본으로 부계가문과 권위성, 그리고 가통의 계승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전통적인 가족주의 이념을 반영하고 있다. 그러나 현실에서 나타나는 가족생활의 변화는 한국 가족의 이념과 실제를 괴리시킬 수 있고, 따라서 이상적 가족과 현실적 가족의 모습이 달라지게 만든다. 둘째, 가족이념에서 차이를 보이는 응답자들이 집단주의·개인주의 성향에서도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난 실증연구의 결과는 가족문화와 사회문화의 연관성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가족-사회문화를 매개하는 것은 개인의 적응능력으로서, 이는 본 연구의 결과로서 개인의 사회적 특성에 따라 가족이념, 사회문화적 특성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통해서, 그리고 Hsu의 심리사회적 항상성(Psychosocial Homeostasis)에 근거하여 이해할 수 있다. 셋째, 실증조사 결과, 응답자의 64.6%가 개인주의 성향을 보이는 것은, 앞으로 한국사회의 변화방향을 추측해볼 수 있게 한다. 또 집단주의적 정서 속에서 살고 있는 개인주의적 개인의 행동 기준은 이기주의로 나타날 가능성도 있음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넷째, 한국 가족주의는 이데올로기적 편향성이 현실 생활에서 적용되고 있고, 따라서 이런 경향으로 설명되는 문화적 무의식은 앞으로 문화적 전통이라는 이름으로 계속해서 한국인들의 삶에 중심원리가 될 가능성이 있다. 다섯째, 사회문화 해석단위로서의 가족의 역할이란 개인과 사회를 매개해주는 입장에서 뿐 아니라 가족생활문화 등 가시적 연구대상으로 삼을 수 있는 구체적 틀이 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또한 문화분석의 구체적 단위로서 가족을 바라보는 경우, 가족이념은 그 사회에서 가족이 담당하는 중요성 정도를 설명해줌으로써 사회문화에 대한 가족문화의 영향력 정도를 가늠해보는 중요한 잣대가 된다. 본 연구의 방법론적 의의는 한국 가족과 한국 가족주의에 대한 종합적 고찰을 위해 가족 관련 분야인 종교학, 철학, 역사학, 인류학, 심리학, 사회학, 가정학 등에 대한 학제간(interdisciplinary) 접근을 시도하고, 또 문헌고찰을 통한 질적연구와 사회조사방법론을 적용한 양적연구를 함께 행한 점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연구는 학제간 접근을 통한 문화학으로서의 한국학 방법론 확립에 분수령이 되리라 생각하며, 계속적으로 진행되는 가족학과 한국학 분야의 후속연구에 의해 본 연구의 문제점들이 수정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자기자비에 의해 조절된 가족완벽주의 격차지각의 종단 매개효과

        이정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family perfectionistic discrepancy, self-compassion, and depression in university students. Specifically, the effect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n depression,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 perfectionistic discrepancy,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were examined in a three-wave longitudinal design. A sample of 253 undergraduate students completed online self-report questionnaires at three time points over three weeks with a one-week interval. Results provided strong support for the notion that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confers risk for depressive symptoms via family perfectionistic discrepancy (full mediation). This path was significantly moderated by self-compassion, implying that self-compassion acts as a protective factor against depressive symptoms. The findings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depression in the family context. Implications for academic and counseling contexts, and future direc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 가족완벽주의 격차지각, 자기자비, 우울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대학생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그 과정에서 가족완벽주의 격차지각의 매개효과와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시간지연 모델을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505명을 대상으로 부모의 심리적 통제, 가족완벽주의 격차지각, 자기자비, 우울을 측정하는 설문을 온라인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은 일주일 간격으로 총 세 번 진행되었으며 세 차례 설문을 모두 완료한 253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AMOS 23.0을 사용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우울로 이행되는 관계에서 가족완벽주의 격차지각의 완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둘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가족완벽주의 격차지각을 매개로 하여 우울로 향하는 경로에서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하였으며, 이는 자기자비가 우울을 완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종단적 모형을 사용해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우울로 이르는 과정에서 우울을 심화할 수 있는 위험요인과 동시에 이를 완충할 수 있는 보호요인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가족이라는 맥락 안에서 우울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학술적 의의와 실무적 시사점, 그리고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점을 논의하였다.

      • 연변조선족의 가족주의 가치관과 복지의식 연구 : 연변 조선족자치주 거주하는 성인을 중심으로

        최계숙 신라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연변조선족의 현재 가지고 있는 가족주의 가치관이 복지제도에 대한 인식, 복지프로그램에 대한 욕구, 복지정책에 대한 욕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이다. 문화대혁명 이후에 채택된 개혁개방 정책의 실질적 효과와 한국과 중국의 국교정상화의 체결로 인해 조선족사회의 급속한 변화는 가족의 안정성에도 엄청난 충격을 주었다. 특히 가족의 결속력이 늘어났고, 가족주의 가치관이 흔들리는 실정에 비추어서 복지의식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연구해보는 것은 앞으로 중국 조선족의 사회문화적 특성에 적합한 복지정책의 방향성을 정립하는데 의미가 있고, 그 목적은 첫째, 중국 연변조선족의 복지에 대한 의식은 어떠한 경향을 띠고 가족주의 가치관과 어떠한 관련성을 갖는가? 둘째, 복지의 1차적 책임주체가 누구라고 생각하는지, 복지프로그램욕구와 복지정책에 대한 욕구는 어떠한지, 가족주의 가치관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 이다. 분석을 위하여 현재 연변 연길, 용정, 화룡, 도문, 훈춘에 거주하는 기혼조선족을 체계적 층화표집과 할당표집으로 표본추출하였으며, 총 289명이 분석대상이 되었고, 통계는 SPSS 12.0K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조선족의 가족주의 가치관은 비교적 높은 편이였고, 복지의식은 가족주의 가치관과 많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복지제도에 관한 인식에서 가족주의 가치관이 낮은 집단에서 복지제도 인식이 높게 나타났지만 두 집단이 다 비교적 높이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복지프로그램에 대한 욕구와 복지정책에 대한 욕구에 있어서는 가족주의 가치관이 높은 집단이 욕구가 더 높았다. 특히 복지정책에 대한 욕구에서는 가족주의 가치관이 낮은 집단이 3.9929점, 가족주의 가치관이 높은 집단이 4.1645점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가족주의 가치관이 복지의식에 정적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연변조선족에 있어서는 가족기능을 보완하고 증진하는 복지정책이 필요하고 강화해야 하고, 한국에서도 가족주의 가치관과 정책에 관한 욕구가 서로 배치적인 것으로 인식하지만 이번 연구를 통해 조화와 연계의 가능성도 충분히 제기되었으므로 한국의 사회보장정책에 있어서도 가족기능과 사회복지제도사이의 통합적 정책발전방향에 대한 연구와 실천제도의 개발에 적극적 추진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currently Korean-Chinese's values in Yanbian of familism had an effect on the understanding of welfare system and the need of a welfare program and policy. Since the Cultural Revolution, the rapid changes in Korean-Chinese society have shocked stability in family, because of the effectiveness of the open-door policy and the conclusion of diplomatic relations' normalization between Korea and Chines. At this time traditional values of family have been shaken, it is meaningful to study their understanding of welfare so as to stand a correct direction of welfare policy in Korean-Chinese society. The major subjects are as follows. First, How tendence do Korean-Chinese in Yanbain carry about the understanding of welfare? What is it the relation between the understanding of welfare and their value of familism? Second, Who is the initial responsible core of welfare? How degree is the need of welfare program and policy? What kind of difference from their value of familism is shown? The sample size of this study was 289, which made it possible to sample with systematic stratified sampling andthe quota sampling. As statistical program, SPSS 12.0 was used. The study found that the Korean-Chinese value of familism was somewhat high and that their understanding of welfare had much to do with the value of familism. On the understanding of welfare system, the lower group in the value of familism than higher had higher understanding of welfare system. But it was not statistical meaning. On the need of welfare program and policy, however, the group that value of familism was higher of two had higher need. Especially, on the need of welfare policy, all two groups were high. These findings provided that Korean- Chinese in Yanbian needed a welfare policy to promote and make up for family function. Also, we had to study about integrated policy between family function and welfare system and develop practical system in Korean social security system.

      • 중국 1990년대생 지우링허우(九零后)여성노동자의 출산·양육과 가족주의 : 쓰촨성 도시 여성노동자 인터뷰를 증심으로

        마천혜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논문은 중국 쓰촨성 도시지역에서 1990~1999년생 여성 노동자의 출산·양육 태도와 가족주의에 대한 연구다. 1980년대 시작된 경제개혁과 1자녀 정책은 중국 사회의 구조를 심각하게 바꿔놓았다. 한편 중국은 고도로 압축된 현대화를 거쳐 벤처사회로 진입했다. 반면 기존 복지제도가 해체되고 3세 이하 아동 돌봄은 가족과 시장의 몫이 됐다. 여성 노동자는 시장 경쟁에서 불리한 위치에 있고, 가족과 일의 갈등 속에서 균형을 맞춰야 한다. 가족은 중국 전통생활에서 핵심적인 위치를 갖고 있으며, 조화로운 가족은 사회 전체의 원활한 운영을 위한 전제조건으로 여겨진다. 중국은 압축적 현대화 과정에서 재귀속 메커니즘이 부족하지만 가족은 개인화 과정에서 박리된 자아를 다시 연결하고 안정감을 구축하는 가장 중요한 메커니즘이 된다. 가족의 도구성도 중요해지고 세대 간 협력이 시장 경쟁과 위험 사회에 대처하는 흔한 적응책이 되면서 여성 노동자들이 대가족과 친인척의 지지를 구하는 일이 늘고 있다. 본 논문은 3자녀 정책 개방 이후의 중국 사회에 입각한 것이다정부는 아동돌봄 지원체계를 제대로 갖추지 못했고, 가족주의는 여성 노동자의 일-가족 갈등에 대한 안전망이 됐다. 가족주의는 여성 노동자의 일-가족 갈등에 대한 안전망이 됐다. 치열한 시장 경쟁, 개인주의, 3자녀 정책에 따른 출산휴가 연장도 여성 노동자의 출산 의지 형성에 악영향을 미쳤다. 가족의 지원은 여성의 출산 욕구를 증가시킨다. 가족 지지는 집안일, 아동 돌봄, 직접적인 경제적 지원 등 어른으로부터 나오는 경우가 많다. 세대 간 관계도 바뀌고 있다. 효도 규범도 도덕적 요구에서 감정과 친밀감을 더 중시하는 쪽으로 바뀌고 있다. 세대 간 권력 이양으로 자녀 돌봄에서 엄마가 더 대화권을 갖게 된 것이다. 또 모계 돌봄망도 부상하고 있는데 이는 전통적인 부계 돌봄 규범을 흔들며 양자 간 관계를 보이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