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여성NGO의 시민운동 참여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YWCA운동을 중심으로

        황기숙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02

        21세기는 시민사회의 특성이 보다 강화되는 시대로 그 동안 국가에서 주도해온 정치, 경제, 사회 각 분야에서 다양한 시민단체의 영향력이 급신장 할 것으로 전망되는 한편, 21세기는 여성의 세기로 여성의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도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시민사회는 아직도 가부장적인 성격을 내포하고 있기에, 새롭고 다양한 종류의 시민운동에 여성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그 어느 때보다 요구된다. 여기에 여성NGO가 주체가 되어 기존의 단체활동의 지평을 넓혀 활성화시키는 방법과 여성 개개인이 다양한 시민단체에 참여하여 주류세력을 이루는 방법을 적극적으로 탐색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여성NGO의 효시인 YWCA를 중심으로 전자에 중점을 둔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여성 NGO의 시민운동 참여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곧 여성NGO들이 시민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는 동시에, 시민운동내의 여성 역할의 새로운 위상및 방향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전국 54개 회원YWCA 1,000여명의 실무자중 각 지역의 실무자수에 비례하여 무작위로 300여명을 추출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하고, 설문은 우편교부방식을 원칙으로 하였다. 설문지는 요인분석과 T-test, 그리고 oneway-Anova analysis을 사용하여 각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조사결과를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사회에서 시민사회단체가 사회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인식하지만 국민들과 여성들의 시민운동에 참여하는 비율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YWCA의 시민운동참여와 관련하여는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못하고, 사회변화를 이끌어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자원봉사자 및 실무자의 시민운동에 대한 인식부족과, 방만한 백화점식 사업으로 전문성이 부족하고, 의사결정 과정에 있어서 신속성의 결여가 이유로 지적되었다. 둘째, 시민단체의 운영과 문화는 권위주의/학벌주의/능력주의 문화가 좀더 지배적인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운영에 있어서는 목표를 중시하고, 팀형의 토론 지향적인, 대체로 민주적인 것으로 나타난 반면, 회원단체로써 회원의 참여가 활발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성NGO 활동가의 능력과 자질에 관하여는 책임감, 열의와 신념은 강한 반면, 추진력과 논리력, 리더쉽과 조직력은 약한 것으로 나타났고, 단체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은 육아, 전문성부족, 업무과다, 재충전의 기회부족 순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여성활동가의 리더쉽 교육과 공보육제도를 실시가 개선방안으로 제시되었다. 넷째, YWCA의 타 단체와의 연대와 관련하여는 대체로 많이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타 여성단체와의 연대보다는 타 시민단체와의 연대가 더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대에 있어서는 정회원Y가 준회원Y보다 더 많이 연대활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단체간의 연대를 통해서 시민운동참여가 활성화 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앞으로 YWCA가 전개해야 할 시민운동 분야로는 새로운 분야의 확대보다는 지금까지 전개해온 사업 중 여성, 환경, 청소년분야에 중점을 두어 전개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YWCA의 시민운동 참여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YWCA는 이제 비판적이며 감시자적인 기능을 회복하여야 하며, 그것을 적극적으로 표현해야 한다. 2. YWCA는 회원들을 평등의식, 시민의식을 갖춘 21세기 시민으로 성장시키는 교육에 주력해야 한다. 3. 대안문명운동을 전개해야 한다. 생태적 세계관, 여성주의적 시각에선 운동과 삶의 실현 등을 통하여 새로운 문명을 일구어 내는 사회운동체로 나가야 한다. 4. YWCA는 여성운동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해야 한다. 이제 여성은 여성과 남성으로서가 아니라 인간으로서의 역할이 강조되어 자신의 삶을 책임질 수 있는 사회변화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 그리고 21세기에 새롭게 대두되는 여성문제를 분별해야 하고, 새로이 이원화되어 성차별이 드러날 사회적 상황에서 주체적이며 도전적 시각을 갖는 능력 있는 여성시민운동의 전개를 더욱 필요로 하는 시대를 YWCA는 읽고 여성시민운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해야 할 것이다. 여성NGO인 YWCA가 시민운동에 참여 활성화를 위해서는 앞서 제시된 문제점을 해결하고 여성참여를 방해하는 장애요인을 제거하도록 해야 한다. 또한 성인지적인 시민단체 활동과 여성을 포함한 일반회원들의 참여동기를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운영하도록 하여야 하며, 시민이 참여하고 시민이 함께 하는 여성NGO가 되도록 노력을 경주해야 할 것이다. 시민단체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요즈음 본 연구가 여성NGO의 시민운동 참여 활성화에 조금이나마 공헌하게 되기를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In the 21st century, the features of a civil society is increased. Instead of the state, a variety of the civil communities is expected to grow fast and excise influence over politics, economics, and society. The research is carried out focusing on the YWCA, which is the first instance of the Women's NGO in Korea. For purpose of the research, it is needed to search that women's NGO actively participates in the citizen movements and that the position and orientation of women's role is newly located in citizen movements. There is about 1000 people in active services of the 54 YWCA all over the country. As the subject of investigation, the sample group is made of 300 people who extracted, being proportionate to the number of them in each district. And the question for the target has to be by mail delivery. The questionnaire is constituted of the factor analysis, the T-text, and the one-way Anova analysis and makes the correlation among the variables clear. To summarize the result of study, the following is like these. 1. While the communities of civil society are considered to perform important roles in Korea, it shows the participant women among a nation at low rate. In relation to the participation in citizen movements by the YWCA, the attempt is generally investigated to be not led actively and the reason is the short understanding of volunteers and activists about the citizen movements, the lack of expertise in business expansion with indiscreet operation, and the lack of promptitude in process of determining intentions. The YWCA nearly keeps up with the social change, not leading it. 2. It is investigated that an authoritarianism, an academic clique, and an ability-centered principle are widespread in the operation and culture of civil communities and that the operation is only attached to the end. While the team works are democratic and frequently have discussion, these facts are revealed that the participation of members of the group is not active and that its monitoring system is very ineffective. 3. While the responsibility, the passion, and the faith is at high level in relation to the ability and quality of a activist as member of women's NGO, the driving force, logicality, leadership, the organizing ability is at low level. In relation to the difficulties within groups, nursing of infants, the lack of professionality, the overburdened work, and the lack of rechargeable time are come out in sequence. 4. There are many solidarities in relation to other communities. Rather than other women communities, the rest groups is preferred to solidify. For solidarities, the regular member of the YWCA is more active than the associate one. 5. In the future, the YWCA is to develop the existing business for women, environment, and the youth, not to create a new business. Up to now, although the YWCA has many features for the organization of citizen movements, it is not effective in social change at the present. The YWCA is to introspect about the lack of its ability and find the solution. On the basis on the results of the preceding research, the solution is following. 1. The YWCA is recovering the function to criticize and monitor and expressing positively. 2. The YWCA is concentrating it energy on the education to qualify its members with the senses of equality and citizenship. So they is growing to be the citizen of the 21th century. 3. The alternative movements of the civilization need to be developed. To manage the movements and one's life in view of the ecological thinking and feminism, the social organization with activities will be created and it is possible to establish a new civilization. 4. The YWCA must establish its identity as a women's movement. There are two important things. The first one is that woman is not for a gender, but a human being and have to be responsible for her own life by herself. Therefore woman needs to understand circumstances with a viewpoint of feminism. The second is that new problems of women in the 21st century are to be distinguished and that, as the dichotomy between genders and the sexual discrimination are more serious, the effective movements of women citizen need to be progressed with subjecthood and challenge. The YWCA is considering these flows and developing the women's movements. Recently, the civil communities are especially considered as a important part. This research may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of being joined in citizen movements by women's NGO.

      • 우리나라 民法上의 戶主制度

        김학래 朝鮮大學校 大學院 1983 국내석사

        RANK : 232254

        This paper attempts to study the family-head system of the civil law in Korea, and aims to obtain the theory of legal- revise for the reformation of the present family- head system through this study and to offer the data about the establishment of the democratic family system which is based on the human equality. The methods of this study are to survey and criticize the contents of and the present - family system to reform Korean family - head system, are going to offer the legal theory to establish the new family system for Korean social development. The scopes of this study which is progressed according to the above- mentioned methods are as follows. Chapter I emphasizes the necessity of the abolition of the present family - head system and describes the continuous sequence of this study. Chapter II surveys the completion of the patriarchal family system and the development course, and is going to obtain the basis data of Korean family system by investigating her historic family system. Chapter III summarizes the contents of the family - head system on the present - civil law , and poin out the unreasonableness, undemocratic and backward motion of the present family - head system. Chapter IV indicates the inconsistency of the present family - headsysten and criticizes the problems of the family - head system by enumerating them As a conclusion, Chapter V insist on the abolition of present family- head system, and offers the legal theory for the reformation of the family- head system by clarifing the advantage and improvement methods after the abolition of the family- head system.

      • 蘇靑의 『結婚十年』 硏究 : 여성 자아 형성과 체험적 글쓰기

        김소영 延世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32235

        본 논문에서는 1940년대 上海 함락지구에서 활동을 하던 여성작가 蘇靑의 『結婚十年』이라는 장편소설을 여성주의의 시각에 입각하여 살펴봄으로써, 여성적 글쓰기를 정의하고 여성적 글쓰기의 일종인 자전적인 글쓰기를 통해 蘇靑이 어떻게 가부장제의 시스템이 주는 여성 억압을 폭로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1940년대 초반 중국의 上海는 중일전쟁의 와중에 일본에 의해 점령된 함락지구로서 일본제국주의와 친일정부에 의해, 정치·경제·사회 등 모든 면에서 통제받고 있었으며 문학도 통제의 대상에서 벗어나지 못하였다. 많은 문인들이 上海를 떠나거나, 우회적으로 자신의 심사를 말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함락지구의 환경은 비정치적인 주제를 다루며 개인의 내면을 표현하는 작가들에게는 상대적으로 자유로웠으며 글을 쓰고 발표할 더 많은 기회를 주기도 하였다. 5·4이래 반봉건의 기치와 함께 주장되던 여성해방의 움직임도 중일전쟁의 발발과 함께 변화를 꾀하게 되었다. 남성 선각자들에게 의지하여 여성해방과 남녀평등을 주장하던 여성들은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해야만 했던 것이다. 다양한 시도 속에서 일부의 여성들은 자신의 내면에 대해 탐구해 들어가기도 하였는데, 이로써 자신의 섹슈얼리티가 어떻게 구성되고 어떻게 억압당하는지를 고민하게 되었다. 그러한 여성 작가들 중 하나가 바로 蘇靑이다. 당시 蘇靑은 上海 함락지구에서 대단히 유명한 작가였으며, 『結婚十年』이라는 장편소설과 『浣錦集』이라는 산문집으로 上海에서 큰 인기를 얻었다. 특히 그녀의 『結婚十年』은 이혼 후에 자신의 결혼 생활을 돌아보며 쓴 자전체의 소설로서 짧은 기간동안 18판을 찍어내는 기염을 토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제까지의 민족주의적인, 혹은 사회주의적인 문학관 때문에, 오늘날 그녀의 이름과 작품을 아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 본고에서는 蘇靑의 여성적 글쓰기라고 생각되는 소설 『結婚十年』을 분석해 본다. 이 작품은 큰 인기를 얻었을 뿐 아니라 작가가 여성적 자아를 형성할 수 있는 장이 되었으며, 동시에 가부장제 사회에서 여성의 억압을 폭로하는 역할을 했다는 의의를 가진 소설이다. 여기서 여성적 글쓰기란 여성작가의 글들 중에서 여성의 삶에 형식을 부여하고 여성이 가부장적인 사회의 어디에서 어떻게 억압을 당하고 있는지에 대한 자의식에서 시작하여, 자신의 경험을 말하는 과정에서 여성의 언어를 만들어내며 여성으로서의 자아 정체성을 구성하는 언술행위를 말하는 것이다. 여성들은 억압 받는 존재로만 인식되어 온 것이 사실이나, 가부장제를 유지하고 있는 시스템 속에서 여성들은 권력을 쥘 기회를 가지고 있었다. 그것은 여성이 한 집안으로 시집가서 아들을 낳는 데서 시작된다. 아들을 낳은 여성은 집안에서 대우를 받을 뿐만 아니라, 후에 며느리를 얻으면 집안에서 거의 절대적인 권력을 휘두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사실들은 여성의 억압이 남성뿐 아니라 권력을 잡은 여성들에게서도 나오는 것임을 알 수 있게 해준다. 그러나 가부장제의 시스템 속에서 여성에 대한 억압은 여기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다. 현실을 살아가면서 무엇보다도 빼놓을 수 없는 것이 경제 문제일 것이다. 빈곤은 여성들에게 또 하나의 커다란 억압이다. 남편이 생활비를 주지 않는 것이 주인공 蘇懷靑에게는 하나의 고통이었다면, 남편과 헤어져서 스스로 생활비를 벌어야 하는 것은 또 다른 하나의 고통이 될 것이다. 돈 있는 집안의 마님에서 가난한 이혼녀가 되는 것은 가부장제가주는 모든 억압뿐 아니라 보호막에서도 벗어나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가부장제가 여성들에게 행사하는 이러한 억압과 배제의 시스템에 대해서, 자신의 일상의 경험들을 바탕으로 폭로해내고 있는 것이 바로 蘇靑의 『結婚十年』이라고 할 수 있다. The female writer, Su-qing, was writing at the Shanghai, which was conquered by Japan in 1940s. This thesis through a feminist eye defines the Chinese female writing style in general, and focuses on Su-qing’s attempt to expose suppression of women within the system of paterfamilias: man or father control the family, by illustrating through typical female autobiography style. During the Sino-Japanese War, Shanghai was conquered and politically assimilated by Japan at the beginning of the 1940s. Not only were its people controlled politically, economically, and socially but their literature was stringently regulated. There was no option for writers to leave Shanghai or to even express their feelings indirectly. This repressed intellectual climate provided even more opportunities for writers accustomed to dealing with non- political subjects and describing individuals’ inside. After 5·4, the movement of women’s emancipation, which was claimed with the slogan of the anti-feudalism, started to change when the war between China and Japan began. The women who spoke the women’s emancipation and the equality of both sexes used to depend on the male pioneers now needed to find a new approach. When many of the women are exploring their interior with various trials, they started considering what their sexuality consisted of and how it was controlled. Su-qing was one of the foremost members of this movement. Su-qing was a vastly popular writer with her full-length novel, JieHunShiNian, and prose writings collection, HuanJinJi, in Shanghai. She captivated the public through her 18 edition to JieHunShiNian for a short period time, which described her marriage life after being divorced. Because of the trend in socialistic and patriotic literature, however, few people today know her name and works. This thesis analyzes JieHunShiNian, which is considered a distinct female writing style. That was not only popular for its time, but the trigger which enabled the female writer to build her own female-ego. Furthermore, this JieHunShiNian has the import of disclosing suppression of women from paterfamilias society. A better definition of “female writing style” is the description performance, which it originates in self-awareness: the female comes to realize how she is discriminated against by paterfamilias system, and also it originates in building their identity, through the development of a unique female language from her own experiences. Even though the women were considered the subject, which was perpetually under the sway of the paternal family structure, they were able to seize power through small opportunities. Female opportunity for political freedom begins with marriage and the conception of a son. What begins as an act that merely warrants social respect eventually extends itself to absolute power over the family with the emergence of a son-in-law. This shows that the suppression of women stems, ironically from the very males that oppress them and that in the long run, it is the women who are in control. The suppression of women by the paterfamilias system is not over like this. There is the economic issue, whose dire need for attention is undeniable to this day. Poverty is the other major suppression from a female perspective. Not only was Su-qing pained by her husband’s lack of financial providence for her personal needs, but her financial burden persisted after her divorce from her husband, which necessitated that she learn provide for herself. Essentially then, the woman’s transition from the lady in a rich family to a poor widow meant release not only from the suppression of paterfamilias system but also from spousal protection. This personal account of social rebirth represents Su-qing’s own JieHunShiNian, which on a societal level, exposes the system of the suppression and the alienation that the paterfamilias system imposes upon women.

      • 『장화홍련전』 연구

        윤정안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2234

        「장화홍련전」은 1656년 철산에서 있었던 실제 사건과 신원설화가 결합되어 탄생한 작품이다. 「장화홍련전」은 많은 이본이 있으며, 계모형 소설의 대표적인 작품으로서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논의되었다. 「장화홍련전」은 17세기를 전후하여 벌어진 가족제도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특히 계모의 위상 변화는 작품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요소이다. 이에 본고는 17세기 가족제도의 변화에 따른 계모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추적함으로써 「장화홍련전」을 이해할 수 있는 단초를 마련하고자 했다. 또한 「장화홍련전」이 허구화되는 메커니즘을 Rene Girard의 ‘희생양’ 개념을 통해서 규명해보려 했다. 아울러 방각본의 환생담의 의미를 작품 전체와의 상관성 안에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Ⅱ장에서는 「장화홍련전」의 이본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실사와 설화가 결합하여 발생한 「장화홍련전」은 박인수본을 통해서 19세기 초 혹은 18세기 말에는 사건의 패러다임이 전동홀에서 장화·홍련으로 바뀌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점을 염두에 두고 이본의 양상을 작품의 결말에 나타나는 재생 모티프를 기준으로 재생담이 없는 이본과 재생담이 있는 이본으로 나누었다. 재생담이 있는 이본은 다시 재생의 방법에 따라서 부활과 환생으로 분류했다. 부활의 방법은 다른 소설들에서도 흔히 보이는 방식으로 「장화홍련전」의 독특함을 담보하지 못한다. 그러나 환생의 방식으로 장화와 홍련이 재생하는 것은 다른 소설에는 없는 매우 독특한 유형이다. Ⅲ장에서는 「장화홍련전」을 둘러싼 가족제도의 변화와 소설화의 메커니즘을 밝히기 위한 논의가 진행되었다. 「장화홍련전」의 서술 초점은 계모에게 있다. 17세기 이후 가족제도는 종법제를 바탕으로 한 가부장제로 바뀌었고, 이에 따라서 계모의 사회적 조건이 변화하게 된다. 계모는 재혼 가정으로 ‘시집을 가게’ 되고 ‘어머니’의 지위를 획득하게 된다. 그러나 계모는 가족의 구성원으로 인정받지 못한다. 여기서 ‘희생양 메커니즘’은 작동한다. 즉, 가족 구성원으로 보이지만 사실은 외부인으로 취급을 받으며, 폭력의 피해자가 되었을 때 복수를 할 수 없는 계모는 공동체가 폭력으로 물드는 것을 막기 위해 ‘희생양’이 된다. 계모는 모든 가정불화의 원인으로 지목되지만, 실상 그것은 변화된 가족제도 속에서 발생할 수 있는 폭력을 환상적인 수법으로 해소하고 있을 뿐이다. 환생담의 의미 역시 이러한 희생양 메커니즘이 작동하고 있다. 표면적으로는 전기적 구성의 완성, 그리고 권선징악이라는 고전소설의 문법을 완성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그 이면에서는 계모가 없는 가정에는 아무런 불화도 발생하지 않는다고 말함으로써 여전히 계모에게 가정불화의 모든 책임을 전가하고 있다. 또한 결혼을 하는 여성들이 시댁에서 언제든 희생양이 될 수 있다는 불안을 친정과의 관계를 계속 유지하는 모습을 통해서 해소함으로써 희생양의 조건에서 빗겨가려는 당대 여성들의 소망을 반영하고 있다. JANGHWA-HONGRYEN-JON(장화홍련전) is the story which is made by mixing with the grudge tale and the actual event on Chulsan in 1656. JANGHWA-HONGRYEN-JON has many different editions and it is the most important work of the stepmother typed novel discussed by many researchers. JANGHWA-HONGRYEN-JON is closely connected with the change of the family system in 17th century off and on. Especially, the change of phase of the stepmother operates as a important element for understanding the story. Accordingly, this article tried to provide the first step to be able to understand JANGHWA-HONGRYEN-JON by going chase after the change of recognition of the stepmother as the change of the family system. Also, this article tried to find out the mechanism of fabricating JANGHWA-HONGRYEN-JON by the concept of Rene Girard's 'Scapegoat'. In addition, this article intended to examine the meaning of rebirth story of Banggakbon(방각본) in interrelationship of the whole work. In chapter Ⅱ, this article examined many different editions of JANGHWA-HONGRYEN-JON. The paradigm of the event on JANGHWA-HONGRYEN-JON which is united with a real event and a tale is changed to JANGHWA·HONGRYEN from Jeon, Dong-Hol(전동홀) at the beginning of the 19th century or the end of the 18th century by Park, In-Soo(박인수) edition. With keeping in this view, the aspect of the different edition is divided into the one with regeneration and the other one without regeneration on a standards of the regeneration motif appeared in the conclusion of the work. The different edition is divided into resurrection and rebirth again by the method of regeneration. The method of resurrection can't guarantee the unique of JANGHWA-HONGRYEN-JON as the way showed commonly in other stories. However, the things regenerating by Janghwa and Hongryen is a very unique pattern which is not found in other stories. In chapter Ⅲ, there are discussion about the mechanism of the novelizing and the change of the family system surrounding JANGHWA-HONGRYEN-JON. The narration focus of JANGHWA-HONGRYEN-JON is on the stepmother. As The family system after 17th century was changed into a paterfamilias system based on clan rules, the social condition of the stepmother was also changed. The stepmother 'married into' the stepfamily and got the position of 'mother'. But she wasn't accepted as the member of the family. Scapegoat mechanism worked at this point. In other words, she looked as the member of the family but actually she was treated as outsider, and when she was the victim of the violence, she became the 'scapegoat' to protect the community from rampant violence who couldn't pay off. Stepmother was pointed out as all the cause of the family trouble, but actually it was nothing but dissolving the violence by fantastical technique which could be happened in the changed family system. The meaning of the rebirth story is also effected by scapegoat mechanism. Superficially, it looks as completion the fictional biographical construction and the descriptive grammar of the classic novel called promotion of virtue and reproval of vice. However, it says in the other side that there are no troubles in the family without stepmother, so it still shifts all the responsibility of the family trouble to the stepmother. Also, it reflects the wishes of the women those days who deflect the condition of the scapegoat by dissolving the anxiety - woman who get married can be the scapegoat at any time in the house of her husband - through keeping maintaining relations with the parents home of a married woman.

      • 다무라 도시코(田村俊子)의 작품론 : 여성주의 관점에서 본 젠더 갈등의 양상

        오상은 濟州大學校 大學院 2023 국내박사

        RANK : 232221

        다무라 도시코는 메이지 유신 이후 제도적으로 정립된 현모양처 이데올로기가 지배하는 일본사회에서 여성의 목소리로 여성의 자립과 섹슈얼리티를 당당하게 주장한 보기 드문 작가이다. 도시코 작품 속의 여주인공들은 강렬한 자아의식을 지녔다는 공통점이 있다. 본고는 견고한 가부장제로 표상되는 남성중심 사회에서 여성의 목소리를 당당하게 낸 도시코의 작품을 여성주의 관점에서 고찰했다. 도시코는 작품에서 여성도 남성과 마찬가지로 정신적인 일을 직업으로 선택해 경제적 자립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것은 고정적 젠더역할에 대한 도전이며 이로 인해 갈등을 빚을 수밖에 없었던 도시코의 삶을 투영했다고 보았다. 도시코가 창출한 여성들의 자아의식은 때로는 미숙하기도 하지만 당시로서는 새로운 자아개념을 정립하고자 분투한 흔적을 발견할 수 있다. 도시코 작품의 주제는 남성중심 사회에서 남성과 여성의 연애와 결혼을 둘러싼 갈등이 중심적인 축을 이루고 있다. 도시코는 자신을 비롯한 주변의 신여성들의 삶을 관찰하여 작중에서 실험하고 있음에도 주목했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작품 여섯 편을 선정하여 주인공의 삶과 의식의 발전 단계를 연대기적으로 추적하여 젠더 갈등의 양상을 도출했다. 첫 번째 작품 『생혈(生血)』은 미혼 여성이 처음으로 성적 체험을 한 이후 겪게 되는 내면의 복잡한 심리를 그린 작품이다. 메이지 말기부터 대두된 청년들의 자유연애와 성에 관한 담론을 소재로 남성과 여성간의 불평등한 젠더 위상에 대해 고발하고 있다고 보았다. 그럼에도 작품 속 여주인공의 의식은 주위의 시선을 부단히 의식하고 있어서 전근대적이라는 한계를 보여주고 있음을 도출했다. 두 번째 작품『미라의 입술연지(木乃伊の口紅)』는 오랜 연애기간을 거쳐 결혼에 이른 근대적인 부부의 생활을 그린 작품이다. 미노루와 요시오는 결혼 이후 요시오의 작품이 팔리지 않아 경제적으로 난관에 봉착하게 된다. 이 때 남편 요시오가 제시한 방책은 결별이라는 수순이다. 이에 반해 아내 미노루는 자신이 돈을 벌면 되니까 결별할 수 없다고 단호한 의지를 보인다. 여기서 남성의 무능과 비겁한 자세가 부각된다. 요시오는 저널리즘 시대의 도래로 여성 문인들도 돈을 벌 수 있는 기회가 생긴 것을 기민하게 포착한다. 미노루는 요시오의 권고로 현상공모에 소설을 투고하여 당선된다. 여성도 전통적인 젠더역할의 제약에서 벗어나 지적인 일로 경제적 자립을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보여준 작품이라고 보았다. 작품의 마지막에 나오는 미라 꿈은 이를 상징적으로 전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세 번째 작품『여작가(女作者)』는 문필업으로 생계를 이어가는 작가 부부가 등장인물이다. 여작가는 일상에 찌든 속악한 마음으로 글쓰기를 하는 것은 예술에 대한 모독으로 생각하는 진지한 인물이다. 순수한 예술혼을 지닌 소설가로 변신하기 위해 정성스럽게 화장을 하고 창작에 임하게 되는데 이것은 예술에 대한 진지한 태도에서 나온 하나의 성스러운 의식이라고 보았다. 또한 이 작품에 나오는 부부 갈등은 아내의 예술에 대한 남편의 몰이해이며 가치관의 차이에서 기인하고 있다고 도출했다. 남편과의 갈등의 골을 메울 수 없으면서도 결별을 하지 못하는 것은 첫사랑이라는 주박에서 벗어나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여작가는 별거 결혼이라는 결혼형태를 제시하고 당시로서는 최선의 형태로 주장하고자 했음을 알 수 있었다. 네 번째 작품『포락지형(炮烙の刑)』은 여성의 불륜에 대해서만 제도적으로 강하게 처벌하는 불평등한 법제도에 도전장을 내민 작품이라고 보았다. 이 작품의 여주인공은 남편이 있음에도 다른 남성을 사랑하는 행위에 대해 인정해 줄 것을 당당하게 주장한다. 여주인공 류코에게서 비정상적으로 과잉된 자아의식을 볼 수 있다. 하지만 남성에게는 여러 명의 처첩이 용인되지만 여성에게는 그것이 왜 불가능한지 항의하는 도발적인 문제제기라고 도출했다. 다섯 번째 작품『그녀의 생활(彼女の生活)』은 도시코의 실생활과 합치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실험을 시도한 작품으로 보았다. 여주인공 마사코는 결혼을 하지 않고 독신으로 살면서 자유롭게 자신의 삶을 영위하고자 하는 인물이다. 그러던 중 여성을 독립된 자아로서 인정하고 자아실현을 하는 데 적극적으로 협조하겠다는 남성을 만나 결혼한다. 이 약속은 결혼 이후 지켜지지 않는다. 이것은 인습적인 가부장사회에서 젠더 구조를 바꾼다는 것이 얼마나 힘든지를 말해준다. 결국 여주인공이 현실과의 타협점으로 찾은 것은 ‘사랑의 힘’ ‘사랑의 신앙’ 이라는 정신승리이다. 이 작품은 그 당시 여성들이 처한 딜레마를 대변하고 있다고 하겠다. 따라서 여성 스스로가 근대적 자아의식과 더불어 양성평등이라는 젠더의식을 지니지 않는 한 해결할 수 없다는 것을 작가가 역설하고 있다고 보았다. 마지막 작품『파괴하기 전(破壊する前)』은 도시코 부부상극의 마무리라 할 수 있는 작품이다. 쇼교와 결별을 결심하고 에쓰를 선택하는 과정을 면밀히 그리고 있다. 『파괴하기 전』의 ‘파괴’는 F와의 결혼생활에 대한 종지부를 의미하고 있다고 보았다. 여주인공 미치코는 남편에게 끌려 다니고 억압 받던 끝에 심신이 피폐해진 인물이다. 이 때 나태와 방종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진심 어린 충고를 해주는 인물 R이 나타난다. R의 진심 어린 인간애에 마음이 움직이게 된 미치코는 거듭나게 되고 타성적으로 살아온 남편과의 생활에 종지부를 찍게 된다. 등장인물들의 연대기적 성장과정을 보여주는 마지막 작품이 『파괴하기 전』이라고 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것처럼 다무라 도시코의 문학은 자신의 결혼생활을 기저로 하여 다이쇼기 남성과 여성의 불평등한 젠더의 위상과 여성의 자립이라는 문제를 주제로 삼았음을 알 수 있었다. Toshiko Tamura was an exceptional novelist who confidently advocated women’s independence and sexuality in the voice of a woman in Japanese society, dominated by the ideology of “wise mother and good wife,” a concept which was institutionally established following the Meiji Restoration. The heroines in her works have one thing in common: they all have a strong sense of self. This paper examines the works of Toshiko Tamura, who had a voice with confidence as a woman in a male-centered society represented by a solid patriarchal system, from a feminist perspective. In her novels, Toshiko Tamura demonstrates that women, just like men, can choose a job requiring mental intelligence and, as a result, achieve economic independence. Not only is this a challenge to the rigidly fixed gender roles of women, but it can also be seen as a reflection of Toshiko’s life, in which she was bound to have conflicts. Although the self-awareness of the women created by Toshiko Tamura is sometimes immature, the traces of struggles to establish a new self-concept in those days can be found. The main theme of Toshiko’s works is the conflicts surrounding the love and marriage between men and women in a male-centered society. This paper also pays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author observed the lives of modern women, including herself, and experimented with her observations in her works. This paper selects six of her representative novels that encapsulate what Toshiko Tamura was trying to say and chronologically traces the lives and development stages of consciousness of the protagonists to draw the aspects of gender conflicts. Ekichi (Lifeblood: 生血), the first novel this paper deals with, portrays the mixed emotions that a single woman feels after having her first sexual experience. With the discourse on free love and sex among young people as its subject, which started to emerge from the end of the Meiji era, she tries to report the unequal gender status between men and women. However, the novel still shows the limitation of being old-fashioned as the heroin is constantly conscious of how others around her think about her. The second novel, Miira no Kuchibeni (Rouge-lipped Mummies: 木乃伊の口紅), depicts the life of a modern couple who got married after dating for a long time. Since Minoru and Yoshio got married, the couple has faced financial difficulties as Yoshio’s works have not sold well. Against this backdrop, the solution that Yoshio, the husband, comes up with is to divorce. On the other hand, Minoru, the wife, shows a firm determination that she won’t separate from him because she thinks that she can earn money. In the scene, men’s incompetence and cowardly attitude are highlighted. Yoshio swiftly detects that female writers are given an opportunity to make money thanks to the advent of journalism. Yoshio recommends Minoru to submit her fiction to the contest for money and she ends up winning the prize. It is considered to be a work that shows the confidence that women can gain from becoming economically self-sustaining by engaging in intellectual work, breaking away from the constraints of traditional gender roles. The mummy’s dream at the end of the novel conveys it symbolically. Onna Sakusha (A Woman Writer: 女作者), the third novel, features a couple who earns a living by writing literary works. The woman writer is a serious person who thinks that writing with a vulgar mind, exhausted from everyday life, is an insult to art. In order to transform into a novelist with a pure artistic spirit, she engages in writing after carefully putting on makeup, and she regards it as a sacred ritual born out of her sincere attitude toward art. In addition,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marital conflict shown in this novel stems from the lack of the husband’s understanding of his wife’s art and the difference in values that each pursues. The reason why the wife’s not able to separate from her husband even though she cannot fill the chasm of conflict with her husband is that she’s still bound to the fact that he is her first love.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woman writer suggests a marriage where they don’t live together and still argues that it is the best option at the time. The fourth novel, Horaku no Kei (The Torture of Hot Pillar: 炮烙の刑), is a work that challenges the unequal legal system in which only women receive severe punishment for infidelity. The heroine of this novel boldly demands that her husband should accept the fact that she loves another man, even though she’s a married woman. An abnormally excessive sense of self can be seen from Ryuko, the heroine. However, it is concluded that the author raises a provocative question to protest why women are not allowed to have several husbands and male concubines, while men are allowed to do so. The fifth work, Kaisetsu Saegusa Kazuko (Her Daily Life:彼女の生活), is viewed as an experimental work in that it doesn’t match Toshiko Tamura’s real life. Masako, the female protagonist, is a person who wants to lead her own single life freely, without getting married. However, she meets and marries a man who recognizes that women are independent beings and who tells her that he will actively help her to realize herself. However, he fails to keep his promise after marriage. This tells people how difficult it is to change the gender structure in a traditional patriarchal society. In the end, what the heroin finds as a compromise with her reality is the spiritual victory of “the power of love” and “the faith in love.” It can be said that this novel represents the dilemma women faced at that time. As such, the author emphasizes that such a dilemma cannot be resolved unless women themselves have modern self-awareness along with a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The last novel that this thesis covers is Hakai Suru Mae (Before the Fall: 破壊する前), and it can be said to be a work that concludes the conflict between Toshiko Tamura and her husband. The fiction describes how the protagonist decides to break up with Shokyo and chooses Etsu in detail. It can be seen that the “fall” in Hakai Suru Mae represents the end of the marriage with character F. Michiko, the heroine, is a person who is physically and mentally exhausted after being dominated and oppressed by her husband. Appearing then is a character R, who gives her sincere advice so that she can break from indolence and self-indulgence. Michiko, whose heart was touched by R’s sincere love for humanity, is finally reborn and puts an end to her life with her husband, who had been controlling her. Hakai Suru Mae can be said to be the last work showing the chronological growth process of the characters. As discussed above, it can be said that Toshiko Tamura’s literature, based upon her own marriage, deals with the unequal gender status of men and women and women’s independence during the Taishō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