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韓),중(中),일(日) 장병무예(長兵武藝) 장창(長槍) 연구(硏究)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수비록(手臂錄)≫,≪민속화보(民俗畵譜)≫를 중심으로-

        김산(SanKim),김주화(JooHwaKim),김창우(ChangWooKim),송일훈(IlHunSong) 한국체육학회 2008 한국체육학회지 Vol.47 No.6

        이 연구에서는 한·중·일에 분포한 長槍 비교·분석을 통해 이에 관한 연결성 및 전통성 경로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관한 다음과 같은 결론 도출을 얻었다. 첫째, 《紀效新書》의 영향을 받은 한국의 《武藝圖譜通志》와 중국의 《手臂錄》에서는 勢의 명칭이나 그림에서 그 유사성을 찾아 볼 수 있었다. 둘째, 일본의 《民俗畵譜》에 보이는 槍에 관한 내용에는 무슨 勢라는 기록은 없지만, 한국과 중국 서적의 여러 勢라고 추측할 수 있는 그림을 찾을 수 있었다. 셋째, 일본의 《民俗畵譜》에 보이는 그림에서 《武藝圖譜通志》의 "靑龍獻爪勢"를 운용하는 연속적인 신체기법 동작을 찾아 볼 수 있었다. 넷째, 일본의 《民俗畵譜》에 보이는 그림에서 같은 동작들을 사용했지만, 《武藝圖譜通志》의 "白猿拖刀勢"와 다른 운용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찾을 수 있어 각 각의 독창성을 찾을 수 있었다. 지금까지 살펴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한·중·일의 長槍 무예에서 그 동질성을 찾아 볼 수 있었으며, 동시에 각 국의 그 문화적 유사성 및 독창성을 엿볼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삼국의 무예연구에 있어 동양무예라는 동질감 속에서 상호간의 차이를 인정하면서 상대국가의 무예를 함께 살피는 통합적인 연구방법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studies the connectivity and cultural flow of long-swordmaship through historical studies over Korea·China·Japan. Firstly, there are some resemblance of Se(勢)(movements) of Korean 《Muyedobotongji(武藝圖譜通志)》which is influenced by 《Jixiaoxinshu(紀效新書)》 and that of Chinese from 《Shoubilu(手臂錄)》. Secondly, There are less information on movement from Japanese 《Muyedobotongji(武藝圖譜通志)》, but there are some drawings that we can presume related. Thirdly, we can find consequential bodily movement of martial arts using Cheonglongheojose(靑龍獻爪勢) from 《Muyedobotongji(武藝圖譜通志)》in 《Minzokugafu(民俗畵譜)》 drawings. Fourthly, Beakwontadose(白猿拖刀勢) shows similar movement; however, we could still witness independent developments from that of 《Muyedobotongji(武藝圖譜通志)》In summary, we could see comparable similarities however we can also witness the creative independences. The research conclusion shows that martial arts of China·Korea·Japan shows similarities as well as uniqueness. This shows that it does require to study the martial arts of all three countries in recognition that there exist some similarities and historical relationships.

      • KCI등재

        從〈手臂彔〉 窺探棍槍技法之渊源

        陳振勇(Chen zhenyong),馬釗(Ma zhao) 한국무예학회 2011 무예연구 Vol.5 No.1

        고대무술문헌인 수비록 중에 수록된 곤법과 연관된 내용을 살펴, 고대 창법과 곤법의 연원을 밝히고자 한다. 수비록은 비록 창법을 논술한 무술저작이지만 문장 중에 오히려 곤법에 관한 내용이 많이 수록되어 있다. 수비록은 명대의 창법과 곤법이 혼합되어 있는 현상을 잘 분석하고 있다. 또한 소림창과 곤의 기법이 합일되어 있는 것에 관하여 논증하였다. 창법과 곤법을 진지하게 구분하는 것은 창과 곤을 연마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창법의 연습에는 육품의 설이 있으며, 곤 사용의 기법과는 일정한 차이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contexts related with art of stick, which are registered in Subirok, ancient martial art book, and describe the origin of ancient art of spear and stick. Although Subirok is the martial art book describing art of spear, it contains a lot of contexts related with art of stick. Subirok analyzes the phenomenon that art of spear and art of stick are mixed in the age of Ming Dynasty well. In addition, it proves the fact that art of Sorim spear is united with art of stick. It is very important to divide art of spear and art of stick seriously in order to learn them. In the practice of spear, there is the theory of yukpum, which is different from the skill of stick.

      • KCI등재

        흉벽 연부조직에 발생한 전이성 거대세포종 -1예 보고-

        신덕섭,정태은,이장훈,최준혁 대한흉부외과학회 2007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0 No.7

        골조직에 발생하는 거대세포종은 국소적으로는 양성이지만 재발률이 매우 높고, 아주 드물게 원격전이를 일으킬 수 있다. 우측 요골에 발생한 거대세포종이 치료 후 재발되어, 요골을 제거한 후, 다시 동측 흉벽 연부조직에 전이된 29세의 남자환자를 보고하는 바이다. 종양은 흉벽의 골조직과는 연관이 없었다. 수술은 주위 연부조직과 함께 광범위 절제하였으며, 조직학적 검사상 악성 종양을 시사하는 소견은 없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