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볶은 아마란스 종실 분말 첨가 머핀의 품질특성

        조은비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에서 현재 국내에서도 재배되고 있고, 건강에 유익한 성분들이 다양하게 함유되어 있지만 제과, 제빵에서 활용이 미흡한 아마란스 종실을 볶아 항산화성을 측정하고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머핀의 기능성 및 적정 첨가량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아마란스 종실의 일반성분은 볶지 않은 아마란스 종실이 수분 9.64%, 조회분 2.65%, 조지방 7.04%, 조단백 15.74% 로 측정되었으며 볶은 아마란스 종실이 수분 0.93%, 조회분 3.36%, 조지방 3.77%, 조단백 17.38% 로 측정되었다. 항산화성은 볶지 않은 아마란스 종실보다 볶은 아마란스 종실의 항산화성이 높은 값으로 나타났다. 볶은 아마란스 종실 첨가 머핀의 품질특성은 10% 첨가구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볶은 아마란스 종실 첨가 머핀의 pH는 대조구가 가장 높았고 분말을 첨가할수록 낮아져 유의적 차이가 나타났다. 머핀의 색도에서 외관과 내부 모두 L값은 대조군이 가장 높았고, 첨가할수록 낮아졌다. a값은 대조군이 가장 낮았고,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a값은 증가하였다. b값은 대조군이 제일 높았으며, 종실이 첨가될수록 낮아져 20% 첨가군이 제일 낮은 값을 보였다. 아마란스 머핀의 경도(hardness)는 대조군이 가장 높았고 분말을 첨가할 수록 낮아져 20% 첨가군이 가장 낮은 값이 나타났으며 응집성(cohesiveness)과 탄력성(springiness)은 볶은 아마란스 종실 분말 첨가 함량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검성(gumminess)과 씹힙성(chewiness)은 대조군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분말을 첨가할수록 값은 낮아져 20% 첨가군이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머핀의 수분은 볶은 아마란스 종실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지만 증가하였고 볶은 아마란스 종실 분말은 수분 보유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아마란스 머핀의 감각평가에서 10% 첨가군이 모든 면에서 기호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마란스 머핀 제조 시 감각적인 측면, 기능적인 측면, 품질적인 측면 모두 볶은 아마란스 종실 분말을10% 첨가하는 것이 가장 적당한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를 통해 볶은 아마란스 종실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머핀은 제품의 품질적, 감각적인 측면에서 10% 첨가군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 학령전기와 초기학령기 간의 명료화 요구와 정보 제공 능력 발달

        조은비 한림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55

        In a common situation, most of the communication consists of conversations. The term dialogue refers to conversational exchange on a certain topic between a speaker and a listener. The basic rules of conversation continue to exchange conversation sessions, and the speaker alternates with the speaker and listener. For cohesive dialogue, the ability to effectively manage a single topic is required of both speaker and listener. The ability to management to initiate and maintain a topic in a context can lead to a consistent conversation manner. In conversations, speakers and listeners share various experiences and information and need to perform their roles well for smooth communication(Lloyd, 1994). In order to maintain the dialogue, the speaker should initiate the knowledge of the background of the knowledge that the listener is aware of, and pass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by distinguishing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referenced thing. The listener shall listen carefully to the information communicated by the speaker and to understand the prompt and to continue the topic in response to the prompt initiated by the speaker. Technology for these conversations skills develops as a result of age increases(Kim, 1990 ; Kwag, 2011; Ironsmith & Whithust, 1978; Llyod et al., 1995; Boada & Forns, 2004; San Matín et al., 2014). Dialogue is an important component that allows you to relate to everyday life and to acquire social rules. Therefore, identifying the development rules of children's conversational rules and applying them to the arbitration of disabled children has many significance. Through the task of painting, this study verifies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skills:휘providing information skills as a speaker from a listener's point of view; and clarification requirements skills as a listener, including listening to the partner carefully and requesting for additional data for insufficient or ambiguous information. We also wanted to confirm that the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supplied information were affected by the target audience. For an object of study, fourteens preschool(five-sixxyears old) children, twenties schoolage people(seven-eight years old) participated. The selection criteria were reported to be reported by the parent or school teacher or teacher of the school or school teacher, and the "xREVT (Receptive & Expressive vocabulary test) "x(Kim et al., 2009) inspection was performed for children with 20%ile or more. The task was divided into providing information and clarification requirements and was divided into two tasks and two tasks, one for consultation and one for the non-target reference. The tool used the task to complete the illustrations of the speaker‘s information, and the researcher and the audience alternate with the role of thespeaker and the listener. Through this, we examin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ability to communicate with students,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ability of information and the ability to differentiate between a target reference and non-target reference thing, and a difference in performance. The main findings and discus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휘First, the communication function of school-age children was more meaningful than preschoolers. As a result, one can confirm that communication skills develop as the age increases(Kim, 1990 ; Kwag ; 2011 ; Ironsmith & Whithust, 1978; Llyod et al., 1995; Boada & Forns, 2004; San Matín et al., 2014). This means that it can distinguish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ference material and the ability to communicate with others, and that there is more clarity in the way that it can be communicated to others, and the clarity of clarity to maintain a conversation. Seco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of reference materials for information differences between the target reference-thing and the non-target reference thing were significant, and as the age increased, Performance ability also increased. In addi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performance of the reference and the ability to perform a one between the reference and the non objects was significant in the task delivery task. Therefore, In information provision task, children shared information more easily when there was only one difference in information than when there were two; also, it was difficult for children to grasp information when the amount of information to be provided increases. Also, it is possible to verify that the provision of information is more meaningful and meaningful to the information provided by performance ability, as preschool children develop information more carefully than students. These results are similar to the results of Bunce (1989) 's intervention study where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show휘improvement in reference communication ability when there is a difference in information between the target reference and the non-target reference.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formances of the subjects regarding th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clarification request opportunities. This implies that the number of opportunities for clarification does not affect the performance of the children. Thus, suggesting that children not have an impact on performance when they do not provide multiple opportunities for clarification when providing tasks or mediating referral communication. In this study, identified differences in the ability to perform communication functions depending on the information of the ability, the development of clarify, and the difference in information between target reference and non-target reference thing. Therefore, it is meaningful to help the child choose the amount of information that will be provided to the child in the arbitration process. These communication skills may also apply to the direction of the intervention of the speaker and listener roles applied to the learning impaired children, taking into account the developmental stages of the normal children(Kim et al., 1999 ; Kim, Kim, 2014), based on the prior study of the child's importance to children's classroom discourse.

      • 지각된 브랜드 유능함과 따뜻함이 브랜드 애착에 미치는 영향 : 전문성 신뢰와 호의성 신뢰의 매개효과, 제품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조은비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사람들이 상대방의 유능함과 따뜻함 지각을 토대로 그 사람에 대한 태도와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듯이 소비자들도 브랜드에게 인간적인 특성을 부여하고 그 브랜드가 따뜻한지 혹은 유능한지에 대한 지각을 토대로 브랜드에 대한 태도와 소비 행동을 형성한다. 이에 본 연구는 Susan T. Fiske가 제안한 고정관념내용모델(Stereotype Content Model)을 기반으로 브랜드의 따뜻함과 유능함 지각이 브랜드 애착에 미치는 영향과 이 관계에서의 브랜드 신뢰(전문성 신뢰, 호의성 신뢰)의 매개효과 및 제품유형(실용재 vs. 쾌락재)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한 후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272부의 표본을 수집하였고 SPSS 20.0과 AMOS 2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브랜드의 따뜻함과 유능함 인식은 모두 브랜드 애착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브랜드의 지각된 따뜻함은 호의성 신뢰에, 지각된 유능함은 전문성 신뢰에 각각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브랜드 신뢰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브랜드의 지각된 따뜻함은 호의성 신뢰를 부분매개하여 브랜드 애착에 영향을 미치며, 지각된 유능함은 전문성 신뢰를 완전매개하여 브랜드 애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브랜드의 지각된 따뜻함과 유능함이 브랜드 애착에 미치는 효과에서 제품유형(실용재 vs. 쾌락재)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브랜드의 따뜻함 인식의 경우 브랜드 애착 간의 인과관계에서 제품유형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조절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반면, 브랜드의 지각된 유능함이 브랜드 애착에 미치는 영향에서 실용재가 쾌락재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브랜드 신뢰의 두 차원인 호의성 신뢰, 전문성 신뢰가 브랜드 애착에 미치는 효과에서 제품유형(실용재 vs. 쾌락재)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호의성 신뢰가 브랜드 애착에 미치는 효과에서는 쾌락재의 경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전문성 신뢰가 브랜드 애착에 미치는 효과에서는 실용재의 경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 제품유형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과적으로 브랜드의 지각된 따뜻함과 유능함은 브랜드 애착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브랜드 신뢰의 매개로 인해 그 효과는 더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브랜드의 지각된 유능함과 따뜻함이 브랜드 애착에 미치는 효과와 브랜드 신뢰의 두 차원인 호의성 신뢰와 전문성 신뢰가 브랜드 애착에 미치는 효과 및 브랜드 신뢰의 매개효과, 제품유형의 조절효과를 규명하고 기존의 소비자행동 연구를 확장했다는 점에서 이론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감염성 설사증상 완화 프로바이오틱스 개발

        조은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Recently, the scale of the food industry has expanded and the food service culture has developed and is steadily occurring, but these infectious diarrhea account for 5% of patients who visit the emergency room and 1.5% of patients who are admitted to the general hospital. Most of them may improve their symptoms spontaneously, but the symptoms caused by the infection can cause poor growth in children and transmission to others, so prompt treatment is required. However, the therapeutic agents that can be used differ depending on the symptom, and infection may occur with the exacerbation of the symptom due to the use of incorrect treatment, and the development of health functional foods for replacing the treatment is required. Therefore, in this study, we try to develop probiotics that can be used as functional materials for the symptoms of infectious diarrhea. Previous studies have identified strains with excellent bile resistance and digestive enzyme resistance in 65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In order to confirm the safety, we confirmed whether to produce the harmful enzymes gelatinase and urease, and antibiotic resistance. The antibacterial effect was confirmed by measuring the growth of the causative strain of infectious diarrhea (Campylobacter jejuni, Clostridium perfringens, 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Salmonella Enteritidis) using lactic acid bacteria whose safety was confirmed. Experiments on HT-29 cells were carried out using the three selected strains, and long-permeability and tight junction (claudin-1, occludin, ZO-1) mRNA gene expression levels were confirmed. Growth and biochemical properties tests were performed to confirm the properties of probiotics. In order to confirm the genetic characteristics of the three strains with excellent antibacterial activity, the dielectric was analyzed to secure the dielectric information, and the phylogenetic tree and ANI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CLC genomic workbench program. After that, antibiotic resistance factor, toxicity factor, and antibacterial factor confirmation tests were conducted. Of the 65 lactic acid bacteria, 12 strains were selected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strains that had excellent bile and digestive enzyme resistance, and all the strains did not produce harmful enzymes. It was confirmed that 7 out of 8 antibiotics were not resistant to antibiotics, and 5 strains were resistant only to tetracycline. Strains with excellent antibacterial effect, Pediococcus pentosaceus SMFM2016_NK1, P. pentosaceus SMFM2016_YK1, and P. pentosaceus SMFM2016_WK1 were selected by Agar-spot overlay assay.Experimental results confirming the expression level of mRNA closely bound to chapter permeability in HT-29 cells, Even after EHEC treatment, the result of P. pentosaceus SMFM2016_WK1 chapter permeability and mRNA expression level were significantly the same as LGG, and improvement of infectious diarrhea. As a result of the progress of dielectric analysis for 3 strains, 6 contigs of each strain were confirmed for P. pentosaceus SMFM2016_NK1 and 3 for P. pentosaceus SMFM2016_YK1 and 2 for P. pentosaceus SMFM2016_WK1. As a result of phylogenetic tree and ANI analysis, P. pentosaceus SMFM2016_NK1 is 99.93% consistent with P. pentosaceus SS1-3, P. pentosaceus SMFM2016_YK1 is 99.69% consistent with P. pentosaceus SRCM102734, and P. pentosaceus SMFM2016_WK1 is 99.43% match with P. pentosaceus SL4. In addition, P. pentosaceus SMFM2016_YK1, which showed resistance to tetracycline antibiotics, carries the tetM gene. Antibacterial effect-related factors (bacteriocin, organic acid production, etc.) were confirmed in three strains. Finally, in this study, P. pentosaceus SMFM2016_WK1 was selected as a probiotic developable strain with excellent functionality for alleviate infectious diarrhea. 최근 식품 산업 규모 확대 및 외식문화 발전 등에 따라 꾸준하게 발생하고 있는 감염성 설사의 경우, 응급실 내원 환자의 5%, 전체 병원으로 입원하는 환자의 1.5%를 차지한다. 이들은 대부분 증상이 자연적으로 호전될 수도 있으나 감염으로 인한 증상이 소아에게 성장 장애를 유발하거나, 타인을 전염 가능성이 있으므로 빠른 치료가 필요하다. 하지만, 증상에 따라 사용 가능한 치료제가 다르며, 사용에 따른 증상 악화 및 중복감염이 발생할 수 있어 이를 대체하기 위한 건강기능식품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감염성 설사증상 완화에 기능성 소재로 활용 가능한 프로바이오틱스를 개발하고자 한다. 선행연구에서 김치로부터 분리된 65개의 젖산균에 대하여 내담즙성, 소화효소 저항성이 우수한 균주를 확인하였다. 안전성 확인을 위해 유해효소인 gelatinase와 urease 생산 여부 및 항생제 내성을 확인하였다. 안전성이 확인된 균주에 대하여 감염성 설사 원인 균주 Campylobacter jejuni, Clostridium perfringens, 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Salmonella Enteritidis에 대한 생장 억제대를 측정하여 항균효과를 확인하였고, 선별한 3개의 균주에 대하여 HT-29 세포 실험으로 장투과성과 tight junction (claudin-1, occludin, ZO-1)에 대한 mRNA 유전자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프로바이오틱스가 가지는 특성확인을 위해 생장특성 및 생화학적 특성 검사를 진행하였다. 항균력이 우수한 3개 균주의 유전학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유전체를 분석하여 유전체 정보를 확보하고, CLC genomic workbench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계통수 및 ANI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후 항생제 내성 인자, 독성 인자, 항균 인자 확인 시험을 진행하였다. 65개의 젖산균 중 내담즙성, 소화효소 저항성이 우수 균주 확인 결과, 12개의 균주가 선별되었고, 모든 균주가 유해 효소를 생산하지 않았으며, 8개 항생제 중 7개 항생제에 내성이 없고, tetracycline에 대해서만 5개의 균주가 내성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Agar-spot overlay assay로 항균효과가 우수한 균주 Pediococcus pentosaceus SMFM2016_NK1, P. pentosaceus SMFM2016_YK1, P. pentosaceus SMFM2016_WK1이 선별되었다. HT-29 세포로 장투과성과 tight junction mRNA 발현량 확인 실험 결과, P. pentosaceus SMFM2016_WK1이 EHEC 처리 후에도 대조군인 LGG와 유의적으로 동일한 수준의 장투과성 및 mRNA 발현량을 보여 감염성 설사 증상 완화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3개 균주에 대하여 유전체 분석 진행 결과, 각 균주의 contig는 P. pentosaceus SMFM2016_NK1는 6개, P. pentosaceus SMFM2016_YK1는 3개 P. pentosaceus SMFM2016_WK1는 2개로 확인되었다. 계통수와 ANI 분석 결과, P. pentosaceus SMFM2016_NK1는 P. pentosaceus SS1-3과 99.93% 일치하였고, P. pentosaceus SMFM2016_YK1는 P. pentosaceus SRCM102734와 99.69% 일치하였으며, P. pentosaceus SMFM2016_WK1는 P. pentosaceus SL4와 99.43% 일치하였다. 또한, tetracycline 항생제 내성을 나타낸 P. pentosaceus SMFM2016_YK1이 tetM 유전자를 보유하였고, 내성이 없었던 P. pentosaceus SMFM2016_NK1, P. pentosaceus SMFM2016_WK1에 tetA 유전자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3가지 균주에서 항균효과 관련 인자(bacteriocin, 유기산 생성 등)를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서 P. pentosaceus SMFM2016_WK1를 감염성 설사 완화 기능성이 우수한 프로바이오틱스 개발 가능 균주로 선발하였다.

      • 고등학교 실용영어회화 교과서를 이용한 실용영문법 지도방안 연구 : 말하기를 위한 의사소통중심으로

        조은비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의 목적은 실용영어회화 교과서를 이용하여 실제 회화에서 사용하는 영문법을 지도하는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는 것에 있다. 또한, 실용영어회화 교과서 외의 각종 미디어자료와 기타 자료를 통해 말하기를 위한 실용영문법을 지도하는 방안에 대하여서도 분석해보았다. 이론적 연구에서는, 문법번역식 교수법부터 의사소통중심 교수법까지의 중요 교수법과 한국의 1차부터 2009년 개정교육과정까지 영어교육과정별로 주요 변천 과정에 있어 특징을 중심으로 알아보았다. 그 결과,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은 점차 말하기와 듣기의 회화기능과 세계와의 문화교류를 중요시하는 방향으로 교육과정이 변모해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와 모순되게도, 가장 오래되었고 현재까지 영어수업에서 일반적으로 널리 활용되는 방식이 문법번역식 교수법임을 각종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말하기를 위한 실용적 영문법 지도방안연구를 위해, 교과서분석에서는 고등학교 실용영어회화 교과서 5종에 있는 기능문장(functional sentence)과 대화 자료를 통합하여 기능별로 분류하였으며, 대화 내에 사용된 영문법의 종류 또한, 분석해보았다. 그 결과, 하나의 대화 내에서 다양한 영문법을 사용하고 있었고 일부 대화는 격식과 비격식의 대화가 혼재해있었다. 지도방안에 대한 연구 부분에서는 교과서 내의 대화를 발췌하여, 이를 통한 말하기 중심의 영문법 지도방안에 대하여 1차 시 수업분량의 과정을 나열하였다. 그중 일부 과정에서는 학생의 영어수준별로 다르게 영문법을 교수하는 방법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회화문을 이용하여 지도방안을 만들어보니, 기존의 영문법 서적을 이용한 문법수업의 방식과 차이가 있었다. 기존 영문법 서적은 문법 요소별로 명시적으로 나열하여 같은 요소별로 설명한 교재이었기에 각각의 예문을 나열하고 예문별로 연습하여 문법적으로 잘못 쓰인 부분을 찾아내거나, 주어진 문법형식에 맞춰 문장을 만들어내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회화 교과서의 대화문이 중심이 되는 영문법 지도방안을 모색해보았을 때는, 회화를 말하고 들으며 익히고 회화 내에 쓰인 영문법에 대해 탐색하며, 실제 영문법의 회화 내에서의 쓰임을 알아보고, 이를 이용하여 또 다른 회화문을 만들어 발표해보는 방식으로 지도안을 만드는 것이 가능했다. 즉, 기존의 영문법 서적으로 영문법을 지도했을 때와는 달리, 영문법 수업에서 말하기/듣기/쓰기/읽기의 활동을 복합적으로 할 수 있었다. 고등학교 실용영어회화 교과서 이외에 다른 미디어자료를 활용했을 때에도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실용영문법 지도방안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용영어회화 교과서를 활용한 영문법수업지도안을 바탕으로 하여,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1차 시 수업을 진행하였고 그에 따른 결과를 제시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은 문법내용의 이해도와 학습방법의 흥미도, 그리고 실제 영어로 대화할 때의 효율성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앞으로도 문법과 회화, 다양한 예문을 겸한 수업을 바라고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말하기를 위한 실용적인 영문법을 교수하기 위해서는 기존영문법서보다 실용영어회화 교과서를 수업에 활용하는 것이 유용하다는 판단을 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교과서 내의 대화가 더욱 현실성을 띌 수 있도록 수정되어야 하며, 나아가 실용영어회화 교과서에 대한 연구와 평가방안도 여러 방면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aim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ways to teach English grammar in use using the textbook ‘Practical English Conversation.’It also examines the ways to educate English grammar in use using other materials such as English drama script and recording files of conversation. In the part of studying theoretical methods, it examines from the traditional grammar translation method to communicative method. And also, it analyses the history of Korean national curriculum for English from the first to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s a result, although Korean national curriculum for English has changed to the ways for conversation in use, there are a large number of English grammar classes which are conducted by the traditional grammar translation method. For the study of the practical English grammar education and teaching, it classifies the functional sentences and dialogues which are written on the five textbooks, Practical English Conversation, depend on the functions. In the part of the study for teaching ways using the text books, it extracted a dialogue and functional sentences which were key sentences in the dialogue. And then, it made several teaching ways for English grammar education. It also showed that different ways for lower and upper leveled student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recognised that the grammar teaching ways using conversation books are far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ways to teach grammar using grammar books. Traditional grammar books consist of explicit grammar points and exercise grammar rules through a diversity of questions and answers. However, when researching of teaching ways using the textbook, Practical English Conversation, it was possible to combine four activities in English education; listening, speaking, writing, and reading. It differed from the traditional grammar books in this respect. Moreover, it had same result when using media materials. In spite of the merit using the textbooks, there are not enough activities and evaluations in school. Also, there are far less research and studies for the textbooks than the original English textbooks such as English I or II. In conclusion, to teach grammar in use for conversation, using Practical English Conversation is far more useful than using traditional grammar books. Thus, Practical English Conversation textbooks require modifications in sentences which sound unreal and are inappropriate in the situations. It needs, in addition, more studies and evaluations in many fields.

      • 미디어 사용, 주관적 건강인식과 인터넷 건강정보이해력이 동아시아 기혼여성의 올바른 손씻기에 미치는 영향

        조은비 동덕여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손씻기는 질병을 예방하는 비용효과적인 방법이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손씻기의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으나 올바른 실천이 부족하다. 따라서 올바른 손씻기 실천 증가를 위한 헬스커뮤니케이션 전략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2017년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자료를 활용한 연구이다. 20세 이상 40세 이하의 한국(서울), 중국(베이징), 일본(도쿄)에 거주하는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2017년 1월 한 달 동안 웹설문조사(computer-assisted web interviews)를 시행하였다(n=2,134). 연령이 낮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올바른 손씻기를 실천할 가능성이 높았다(p<0.001). 아울러 텔레비전, 라디오, 도서, 인터넷을 많이 이용할수록 올바른 손씻기를 실천할 가능성이 높았으며(p<0.05), 인터넷 건강정보이해력과 주관적 건강인식이 높을수록 올바른 손씻기를 실천할 가능성이 높았다(p<0.001). 한국은 도서를, 중국과 일본은 텔레비전을 많이 이용할수록 올바른 손씻기를 실천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따라서, 미디어를 많이 활용하고 주관적 건강인식이 높은 것이 손씻기 실천률 향상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인터넷 건강정보이해력이 높을수록 올바른 손씻기를 수행할 가능성이 높았다. 동아시아 3국은 각각 특정 미디어의 이용이 올바른 손씻기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Hand-washing is a cost-effective method that can prevent disease like MERS and COVID-19. The majority of people know the importance of hand-washing but there is not enough the hand-washing practice. Therefore, effective health communication strategies are needed to increase hand-washing practice. This study is based on data that was carried out with support from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in 2017. The computer-assisted web interview was conducted on married women who are aged from 20 years to 40 years old and are living in Korea(Seoul), China(Beijing), and Japan(Tokyo) (n=2,134). The respondents were more likely to engage in hand-washing when they had low age or/and high level of education(p<0.001). As for media use, the respondents were more likely to engage in hand-washing when they use to the television, radio, book, internet(p<0.05). In addition, the respondents were more likely to engage in hand-washing when they had high e-health literacy or/and high self-perceived health status(p<0.001). By the East Asian countries, it were more likely to perform the hand washing that is, Koreans get information by reading book, China respondents listened through radio, while Japan respondents watch television(p<0.05). From the view of health communication, media use and perceived health status has been shown to help enhance hand-washing practice. In addition, e-health literacy performs a role that strengthens further this relationship. Additionally, hand-washing practice improvement among the three East Asian countries are needed to require the use of specific media by the country.

      • Whitening effect of phenolic compounds from Apple blossom extracts in B16F10 melanoma cells

        조은비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멜라닌은 흑갈색의 고분자 화합물로서 사람의 피부색을 결정하고 자외선으로부터 피부 세포 손상을 억제하는 기능을 하지만 과도할 경우 주근깨, 잡티 등을 생성하게 된다. 장미과에 속하는 사과꽃에 관련 효능으로는 항산화 효과가 밝혀져 있을 뿐 다른 효능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과꽃 추출물을 이용하여 인체에 안전하고 미백효과를 갖는 천연소재를 개발하고자 멜라닌 생합성저해효과 및 tyrosinase 저해효과를 통한 미백활성을 평가함으로써 천연물 기반의 미백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먼저, 사과꽃 추출물의 미백 효과에 대한 예비실험을 위해 열수, 40% 에탄올로 사과꽃을 추출하여 phenol 함량을 25-200 µg/mL로 조절한 뒤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사과꽃 추출물이 농도 의존적으로 tyrosinase 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 하였다. 사과꽃 추출물의 세포 독성을 측정한 결과, 200 µg/mL 농도에서 독성이 관찰되어 사과꽃 추출물의 농도 구간을 25, 50, 100 μg/mL로 선정하여 다음 실험을 진행하였다. α-MSH로 자극한 B16F10 melanoma cell에 사과꽃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cellular tyrosinase와 melanin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고 western blot을 통해 melanin 생성과 관련된 단백질의 발현량을 확인 한 결과 고농도의 사과꽃 추출물을 처리한 그룹에서 TRP-1, TRP-2, Tyrosinase, MITF의 발현량이 더욱 더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들을 종합하여 향후 사과꽃 추출물이 미백효과를 가지는 천연 소재로서 기능성 식품과 기능성 화장품에 적용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Melanin is a dark brown polymer compound that determines the color of human skin and inhibits skin cell damage from UV rays. However, melanin produces freckles and blemishes when excessive. Currently, the antioxidant effect has been found to be related to apple blossoms belonging to the Rosaceae family, but studies on other effects are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possibility of natural whitening cosmetic material by evaluating the whitening activity through melanin inhibitory effect and tyrosinase inhibition effect to develop natural material with safe and whitening effect on apple blossom extracts. First, for preliminary experiments on the whitening effect of apple blossom extracts, apple blossoms were extracted with hot water and 40% ethanol to adjust the phenolic content to 25-200 µg/mL and then measure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As a result, apple blossom extracts inhibited tyrosinase activity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cytotoxicity of the apple blossom extracts, toxicity was observed at the concentration of 200 μg/mL, and the following experiment was conducted by selecting the concentration range of the apple blossom extracts as 25, 50, and 100 μg/mL. The inhibition of melanin formation and cellular tyrosinase of apple blossoms was determined by measuring melanin production in α-MSH stimulated B16F10 melanoma cells. Protein expression levels were confirmed by western blot in B16F10 melanoma cells stimulated with α-MSH. The expression levels of TRP-1, TRP-2, Tyrosinase, and MITF proteins related to melanin production were confirmed to decrease in the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when apple blossom extracts were trea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determined that apple blossom extracts could be applied to functional foods and functional cosmetics as a natural material with whitening effect.

      • 혁신학교의 민주시민교육 실천 경험 이해 : A 초등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조은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School is a place for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e school is a place where diverse people come together to live together, and students can practice and participate in community civic life at the school and develop their capacities as democratic citize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experience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A Innovative School based on a qualitative case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of A Innovative School is being practiced through links between the curriculum, school life, inside and outside of the school, and to analyze its meaning. As a result, the practice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A Innovative School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in the practice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curriculum, the learners were able to determine the contents and goals of the learning process, lead the whole learning process, and realize the learner-led curriculum that evaluates the learning contents themselves. A Innovative School practiced collaborative learning and project learning based on learning content linked to learners' lives Through this, the case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tegrating knowledge and practice was confirmed. Second, we could confirm the educational efforts to guarantee participation in the practice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school life without compromising student autonomy. Students were improving their lives based on “participation,” and teachers and parents provided the students with the things they needed to solve problems. Teachers and parents ensured the autonomy of the students and provided appropriate support through social processes, dialogues, and discussions with the students to ensure that they were responsible for their own responsibility. A Innovative school students were empowered in their school life to embody their ideas throughout the school. Third, the school established an educational community i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rough linkage inside and outside the school. In addition, the school endeavored to practice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rough links with local communities. A Innovative schools have been exploring various mechanisms for restoring the right to education of marginalized students and parents, and educational activities have been conducted to recognize the three subjects of education(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In addition, when the school and the community were organically connected and build a network, we could expand the learning place so that students can grow and learn in the context of life. A Innovation School provided students with opportunities for hands-on civic engagement through curriculum, school life and community links. In addition, scaffolding of teachers and parents was combined to enable students to experience high quality civic participation and empower them as democratic citizens through experience.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was connected and influenced each other based on the interaction of learners, teachers, and parents. When comprehensively examining the experience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A Innovation School, A Innovation School tried to practice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by forming a “school ecosystem” based on the participation of educational community. The basis is as follows. A In Innovation School, first, in terms of educational philosophy, members shared the view that 'the school is a space that grows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school members.' Second, in terms of the curriculum, education was conducted by shar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and interacting with teachers and learners in a horizontal relationship. Third, there was a culture of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in terms of community culture. Fourth, the space was designed to improve the space that was designed and designed centered on school and teacher. Fifth, efforts were made to connect with local communities in terms of educational network construction. The elements of educational philosophy, curriculum, culture of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space, and the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network were positively influencing each other and virtuous cycle. ……………………………………… keywords :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school democracy, case study, innovative school, practical experience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e democracy of everyday life Student Number : 2017-21697 학교는 민주시민교육의 장이다. 학교는 다양한 사람들이 함께 모여 생활하는 곳이며, 학생들은 학교에서 공동체적 시민 생활을 실천하고 참여하며 민주시민으로서 역량을 갖춰나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질적 사례 연구(qualitative case study)를 바탕으로 A 혁신학교의 민주시민교육 실천 경험을 연구하여, 학교를 민주시민교육의 장으로 조성하고자 한 학교의 사례를 다루고자 하였다. 연구에서 A 혁신학교의 민주시민교육이 교육과정, 학교생활 속, 학교 안과 밖의 연계를 통해 어떻게 실천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그 의미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A 혁신학교의 민주시민교육 실천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첫째, 교육과정 속 민주시민교육 실천에 있어서 학습자가 주체가 되어 학습 내용과 목표를 결정하고, 학습 과정 전체를 주도하며 학습 내용에 대해 스스로 평가하는 학습자 주도형 교육과정을 실현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A 혁신학교에서는 학습자의 삶과 연계된 학습 내용을 바탕으로 협력학습 및 프로젝트 학습을 실천하였다. 이를 통해 지식과 실천을 통합한 민주시민교육의 사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학교생활 속 민주시민교육 실천에 있어서 학생의 자율성을 침해하지 않으며 참여를 보장하고자 하는 교육적 노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생들은 ‘참여’를 바탕으로 자신들의 생활을 개선해 나가고 있었으며, 교사와 학부모는 학생이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데 필요한 것들을 마련해주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사와 학부모들은 학생들의 자율성을 보장하면서, 학생들이 자율에 따르는 책임을 스스로 질 수 있도록 학생들과의 사회적 과정, 대화, 토론 등을 통하여 적절한 도움을 주었다. A 혁신학교 학생들은 학교생활 속에서 실질적인 권한을 부여받아 자신들의 생각을 학교 곳곳에서 구현해 나가고 있었다. 셋째, 학교 안과 밖의 연계를 통한 민주시민교육 실천에 있어서 학교의 교육공동체를 구축한 후 지역사회와 연계를 통하여 학교 안과 밖의 연계를 통한 민주시민교육을 실현하고자 노력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A 혁신학교에서는 소외되어 있는 학생, 학부모의 교육권을 회복할 수 있는 기제를 다방면으로 탐색하여 학생, 학부모, 교원의 3주체를 인정하는 방향으로 교육 활동이 진행되고 있었다. 또한 학교와 지역사회가 유기적으로 연결될 때, 학생들이 삶의 맥락 속에서 성장하고 배울 수 있도록 배움터를 확장해 나갈 수 있기 때문에 지역사회와의 네트워크 구축을 위하여 노력하고 있었다. A 혁신학교에서는 교육과정, 학교생활,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바탕으로 학생들에게 실제적 시민 참여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학생들이 양질의 시민 참여를 경험하여 경험을 통해 민주시민으로서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교사, 학부모의 뒷받침(scaffolding)이 병행되었다. 학습자, 교사, 학부모의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민주시민교육이 연결되어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A 혁신학교의 민주시민교육 실천 경험을 종합적으로 살폈을 때, A 혁신학교에서는 교육 공동체의 참여를 기반으로 ‘학교 생태계’를 형성하여 민주시민교육을 실천하고자 하였다. 그 근거는 다음과 같다. A 혁신학교에서는 첫째, 교육 철학 측면에서 구성원들이 ‘학교는 학교 구성원의 참여를 통해 성장하는 공간’이라는 인식을 공유하고 있었다. 둘째, 교육과정 측면에서 교사와 학습자가 수평적 관계에서 지식과 정보를 공유하고 상호작용을 하며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셋째, 공동체 문화 측면에서 소통과 협력의 문화가 형성되어 있었다. 넷째, 공간 측면에서 학교 중심, 교사 중심으로 설계되고 디자인되었던 공간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다섯째, 교육 네트워크 구축 측면에서 지역사회와 연계하고자 노력하였다. 교육 철학, 교육과정, 소통과 협력의 문화, 공간, 교육 네트워크 구축이라는 요소는 서로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선순환하고 있었다. 주요어 : 민주시민교육, 민주시민교육 실천 경험, 학교 민주주의, 사례 연구, 혁신학교, 생활 속 민주주의 학 번 : 2017-21697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