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갈바니 전지와 전해 전지 관련 개념에 대한 예비화학교사들의 개념 유형 분석

        김연미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이 연구에서는 사범 대학 화학교육과 4학년에 재학하고 있는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갈바니 전지와 전해 전지에 대한 관련 개념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예비교사들에게 나타나는 오개념을 유형별로 분류하고, 그 원인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은 갈바니 전지와 전해 전지에서 전극의 부호 및 용어 사용에 있어서 (+)극, (-)극 그리고 산화전극, 환원전극을 바르게 선택하였으나, 그 선택에 따른 이유에 대해서는 올바른 과학 개념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전력을 측정하는 정량적인 면에서는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이 정확하게 알고 있었으나 전기 화학에서의 원리에 대한 정성적인 면에서는 전문적인 지식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다니엘 전지의 염다리 역할에 대해서는 염다리를 통한 이온의 이동에 의해 용액의 전기적 중성이 유지된다는 사실은 대부분이 정확하게 알고 있었으나 그 외에 이온의 이동에 의해 회로가 완성된다는 포괄적인 개념은 가지고 있지 못하였다. 그리고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은 수용액의 전기분해에서는 표준전극전위값을 적절하게 활용하지 못하였으며 이온만이 전기분해 반응에 관여한다고 생각하여 물의 반응을 고려하지 못했는데 그 이유는 대부분의 화학Ⅱ 교과서에서 음이온은 (+)극으로, 양이온은(-)극으로 이동한다고 서술되어 있어 물의 반응을 고려하지 못한 것으로 생각된다.

      •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eleutherosides by plant tissue culture of acanthopanax spp.

        김연미 全南大學校 1995 국내석사

        RANK : 247647

        * OPEN0300738-009.TIF * 가시오가피와 지이오가피의 식물 조직 배양을 이용한 Eleutherosides의 생산에 관한 연구 김 연 미 전남대학교 대학원 제약학과 (지도교수 : 성 충 기) (초 록) 식물 생장 조절물질인 2,4-D와 kinetin을 각각 1 mg/1, 1 mg/1 그리고 2 mg/1, 2 mg/l 함유한 Murashige-Skoog 배지를 이용하여 서 가시오가피의 배와 지이오가피의 잎 절편체로부터 callus를 유 도하였고, 가시오가피의 절편제로부터 2,4-D 1 mg/1을 함유한 MS 배지에서는 부정근을, kinetin 0.1 mg/1을 함유한 MS배지에서는 재 생된 식물을 유도하였다. 한편 가시오가피의 배로부터 2,4-D 0.5 mg/1을 함유한 MS 배지를 이용하여 부정아와 완전한 식물을 유도 하였다. Callus와 부정근, 부정아, 재생된 식물로부터 eleutheroside B와 E의 생산성을 TLC와 HPLC를 이용하여 확인, 정량하였다. 그 결 과, 가시오가피의 callus는 원식물의 근피보다는 더 적은 양의 eleutheroside B 와 E를 생산했지만, 수피속에 있는 eleutheroside B 와 E의 양과는 비슷했다. 한편, 지이오가피의 callus는 원식물의 수피나 근피속에 있는 eleutheroside B와 E보다 더 많은 양을 생산 * OPEN0300738-010.TIF * 했고 특히 원식물과 비교해서 eleutheroside B 보다는 eleutheroside E를 휠씬 더 많이 함유했다. 반면에 부정근은 주로 eleutheroside E 만을, 재생된 어린 식물과 부정아는 eleutheroside B 만을 생산 했다. 그리고 가시오가피, 지이오가피와 오가피의 수피 및 근피의 MeOH Ex.에 포함되어있는 eleutheroside B와 E의 양을 HPLC를 이용하여 정량하여서 이것들과 비교하였다. Callus was induced from explants of A. senticosus and A. chiisanensis on the Murashige and Skoog media supplemented with 2,4-D 1 mg/l, kinetin 1 mg/1 and 2,4-D 2 mg/l, kinetin 2 mg/1 respectively. Adventitious root was induced from explants of A. senticosus on the MS medium supplemented with 2,4-D 1 mg/1 and regenerated plant of A. senticosus was produced on the MS medium supplemented with kinetin 0.1: mg/1. Multiple shoots and whole plantlet were produced from the embryos of A. senticosus on MS medium supplemented with 2,4-D 0.5 mg/1. The production of eleutheroside B and E in these cultured tissues was identified by TLC and HPLC. The contents of eleutheroside B and E in callus of .A. senticosus were lower than those in root bark of intact plant but were similar to those in stem bark of intact plant. The contents of eleutheroside B and E in callus of A. chiisanensis were higher than those in intact plant. Especially, the content of eleutheroside E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eleutheroside B,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pattern of intact plant. On the other hand, adventitious root mainly produced eleutheroside E and multiple shoots and regenerated plantlet only produced eleutheroside B. The contents of eleutherosides in stem bark and root bark of A. senticosus, A chiisanensis and A. sessiliflorum were also determinted by HPLC and compared with those in cultured tissues.

      • 사립유치원 교사의 수업시간외 근무활동과 시간할애에 대한 조사연구

        김연미 숙명여자대학교 1992 국내석사

        RANK : 247631

        교사의 근무시간을 효과적이고 능률적으로 활용하자면 우선 근무시간과 근무내용에 대한 기초 연구가 필요하다. 그러나 유치원 교사들의 실제 1일 시간활용 정도에 관한 연구가 거의 없으며, 유치원 교사들의 근무활동에 대해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들의 수업외의 1일 근무활동 내용과 시간할애 정도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대상은 울산 시내 사립유치원 25개의 164명의 교사를 무선표집하여 질문지에 의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질문지는 본 연구자가 제작한 것으로 총 4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료처리 및 통계적 방법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변인에 따른 차이를 보기위해 F검증, t검증, X²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교사들의 1일 총 근무시간은 평균 9.64시간, 수업외의 근무시간은 5.2시간으로 나타났으며 교사들은 근무시간량이 많은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2. 교사들의 1일 수업외의 근무활동과 시간활용을 살펴보면, 원아의 등·하교지도(2시간5분), 교재 및 교구제작(1시간44분), 다음 수업준비(1시간40분), 청소 및 정리정돈(1시간14분), 점심 및 휴식시간(57분), 평가기록(45분), 교사회의(37분), 행정 사무처리(34분), 학부모 면담(30분) 등이었다. 3. 교사들이 가장 중점을 두는 업무는 다음 수업준비로 나타났으며, 가장 부담을 느끼는 업무는 환경정리 및 청소로 나타났다. 또한 퇴근지연은 한달에 9회 정도, 유치원 업무를 집에서 처리하는 경우는 한달에 5회 정도였다. 4. 수업외의 근무시간에 대한 실제시간과 기대시간 간에 1.50시간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근무내용에서는 청소 및 정리정돈시간에서 실제시간과 기대시간 간의 차이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실제로 할애하고 있는 시간보다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해야 한다고 여기는 근무내용은 점심 및 휴식시간, 다음날 수업준비, 평가기록활동 등을 지적했다. 5. 교사의 경력에 따른 근무시간을 보면, 원아 하교지도시간, 청소 및 정리정돈시간에 있어서는 경력 1년 이하의 교사들이, 사무처리시간, 수업평가 및 아동평가기록에서는 경력 4년 이상의 교사들이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 교사의 학력에 따른 근무시간을 보면, 교재 및 교구제작, 행정사무처리 및 그 기대시간은 전문대졸의 교사들이 더 많았으며, 수업평가 및 아동평가기록과 다음 수업준비의 시간에서는 4년제졸의 교사들이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다고 나타났다. 7. 유치원 학급수에 따른 근무시간을 보면, 다음 수업준비에서는 1-4학급의 유치원에 소속된 교사들이 가장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었으며, 교재 및 교구준비에서는 5-7학급의 유치원에 소속된 교사들이 가장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었다. 그리고 점심 및 휴식시간, 수업평가 및 아동평가기록을 위해서는 8학급 이상의 유치원에 소속된 교사들이 가장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사립유치원 교사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나, 근무활동과 시간할애 정도를 공립유치원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이루어져 사립유치원 교사들의 현황과 비교하여 그 차이점이나 문제점 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To make efficient and effective practical use of teacher's work time, research concerning work time and content is necessary. However research concerning kindergarten teacher's use of daily work time is almost non existent and there is very little understanding of kindergarten teacher's after school activiti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kindergarten teacher's work time and its content.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a randomly selected group of one hundred and sixty-four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of Ulsan City, Korea. The date management and statistical method were by percent and variations from that unusual cases were visible, there verifications were used F, t, and X². The study can be concluded as follows; 1. It was disclosed that the kindergarten teacher's work on the average for 9.64 hours including 5.2 hours of out-of-class activities a day, and that most teachers feel burdensome for their long-hour works. 2. Teacher's out-of-class activities are sub-divided as such: traffic guidance for children (2 hour and 5 minutes), production of education materials and tools (1 hour and 44 minutes), teaching preparation (1 hour and 40 minutes), cleaning and arrangement (1 hour and 14 minutes), lunch and rest (57 minutes), evaluation and recording (45 minutes), teachers' meeting (37 minutes), administrative works (34 minutes), meeting with parents (30 minutes), etc. 3. It was disclosed that while teachers make most of the teaching preparation, they feel burdensome most for cleaning and arrangements. what drew the researcher's attention was the fact that teachers leave their office later than the closing time approximately nine times a month and that they carry home their remaining works some five times a month. 4. A 1.50 hour difference between the expected and actual out of class work is noticed. The greatest difference appears between the expected and actual work time involved in cleaning and maintenance duties. They said that compared to the time they actually spend on duties more time was needed, particularly regarding lunch and break activities, next day class preparation, evaluation and other activities. 5. While the teachers who have worked less than one year allocate thire out-of-class time more to traffic guidance for children and cleaning/arrangements, those who have worked more than four years spend more time on administrative works and class or performance evaluations. 6. While the teachers who graduated from seminaries take more out their time for production of educational materials/tools and administrative works, those who graduated from four-year colleges or universities allocate more time to class or performance evaluation and teaching preparation. 7. While the teachers who take charge of 1-4 classes spare most of the out-of-class time for teaching preparations, those who undertake 5-7 classes spend most of the time on production of educational materials and tools. In contrast, the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8 classes or most devote most of their out-of-class time to class or performance evaluations and lunch/rest As have been discussed above, this survey was conducted on the teachers of private kindergartens. It is hoped, therefore, that similar studies would be conducted on those who work for the public kindergartens: if these kind of studies are well contrasted to this study, som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better kindergarten education can be presented.

      • 클라라 비에크 슈만(Clara Wieck Schumann, 1819-1896)의 연주활동 : 파리와 런던의 연주회를 중심으로

        김연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19세기 유럽 음악사에 여성 전문 음악인으로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 클라라 비에크 슈만(Clara Wieck Schumann, 1819-1896)의 연주 활동에 대한 연구이다. 특히 독일 이외의 지역에서 여성 연주자로서, 외국인 연주자로서 청중의 수용을 얻기 위해 어떤 레퍼토리 구성을 사용하였는지, 파리와 런던 무대를 중심으로 알아본다. 클라라는 작곡가로서 피아노와 성악을 위한 곡들에 전념하였는데, 이 작품들은 로버트 슈만(Robert Alexander Schumann, 1810-1856)의 곡들과 동일한 동기 및 주제의 인용을 명백하게 보이며, 둘 사이의 음악적인 교류의 깊이를 보여준다. 그러나 그녀의 전문 음악인으로서의 행보는 유럽 전역의 다양한 문화권에서 전 생애에 걸쳐 수행한 활발한 연주 활동에서 돋보인다. 19세기 유럽은 사회의 개혁과 더불어 중산층이 대두되며 도시가 성장했고, 민족주의가 주요 이념으로 자리를 잡아가기 시작했다. 음악에서는 새로운 장르의 출현, 소재의 다양화 등과 함께 음악의 흐름의 중심에서 소외되었던 폴란드, 체코슬로바키아, 러시아와 같은 지역이 그들 고유의 음악 문화를 창출하며 다양한 음악 문화가 형성된다. 이러한 문화적인 변화 속 에서도 전문 여성음악인에 대한 차별과 편견은 지속되었고, 클라라는 자신만의 연주 레퍼토리를 정립하며 여성 연주자로서의 위치를 확고히 한다. 그녀는 우선, 19세기 외국 연주 활동의 중심지였던 파리를 데뷔무대로 정하여 1832년 첫 번째 공연을 하였다. 당시 파리 청중들은 음악에서 시각적인 즐거움을 추구했다. 화려한 연주를 통한 그들의 '볼거리'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장르사이의 교환도 나타났으며, 기악곡 중심의 연주회에 성악가들이 등장하거나 성악곡들을 악기들로 재편성하여 공연하기도 했다. 파리 청중들은 화려한 음악 외에도 특히 여성 연주자들로 부터 신체적으로 표출되는 여성성을 기대하였다. 그러나 클라라는 이에 부응하지 않았으며, 결국 파리에서의 데뷔 연주는 대중적인 호응을 얻지 못하였다. 런던 역시 여성 활동에 대해 보수적이었지만, 청중들의 성숙한 태도와 음악에 대한 높은 지적 수준은 클라라가 자신만의 레퍼토리 구성으로 활발한 연주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해 주었다. 런던에서 그녀는 연주를 통해 이루고자 했던 대중성과 전문성을 모두 성취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19세기 유럽 사회를 크게 변화시킨 계몽주의, 프랑스 혁명, 산업혁명을 언급한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는 당시 여성들에게 주어진 보수적인 시각과는 모순되는 양상으로 사회 전반에 큰 영향력을 끼쳤다. 두 번째는, 사회적 모순성 안에서 여성 연주자로서 독자적인 역할을 추구했던 클라라의 삶과 작곡 기법에 대해 간단히 살펴본다. 세 번째는, 그녀의 연주 활동에 대해 파리와 런던을 중심으로 논한다. 이 두 도시는 19세기 유럽에서 연주자로서 반드시 성공해야만 했던 중요한 무대였다. 클라라는 이곳에서의 성공을 위해, 외국인 여성 연주자로서 낯선 연주 환경에 대해 어떠한 방식으로 적응해 나갔는지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파리와 런던에서의 연주 활동을 중심으로, 두 도시의 레퍼토리와 청중의 수용 사이에서 나타나는 대중성과 전문성의 획득과 실패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의 하고자 한다. 파리는 1830년대와 1860년대의 레퍼토리 변화를 통해서, 런던은 1856년 연주 레퍼토리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이것을 통해 여성연주자의 음악활동에 청중들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볼 수 있다. 요컨대, 이 논문은 클라라를 둘러싼 19세기 유럽사회의 모습을 통해 여성연주자들의 연주활동이 갖는 의의를 찾고자 하였다. 클라라는 여성에 대한 시선을 극복하기 위해 여러 시도와 실패를 거듭하였으며 그 결과 대중성과 전문성을 확보하고, 청중들과의 소통을 이룰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of Clara Wieck Schuman (1819-1896) who wanted to get both popularity and professionality as composer and piano performer (pianist) in Paris and London stage. Clara as a composer has focused on both piano and vocal musical works especially and each works show apparently the relationship her and Robert Schumann, which means we can find the fact that she has used a same motive and a theme from Robert Schumann's a musical work on her a musical work. And Clara as a performer had has concert tour in various country including Germany, France, England, Bohemia, Austria, Hungary, Russia, Netherlands, Belgium, Denmark and Swiss throughout her whole life. This study start from understanding of mainstream culture in the 19th Century, in those days Europe had Romantic period. More advanced days differed from former times and has been changed to revolutionary society, growing cites, expansion of popular culture, appearance of bourgeois, proliferation of nationalism and showed new genres from diversity of a music materials for "new music age". But many woman musician still encounter prejudice from conservatism and Clara had broke through them with her own musical activity and made repertory and won fame as performer Paris and London musical stage in the 19th-century Europe. Clara had first debut stage on Paris in 1832. Audiences in Paris had an interest in appearance of supporting performer and vocal music in Keyboard concerts and they wanted to get visual pleasure there. Although Clara has made efforts for audience's taste, she failed getting to popularity because people in Paris wanted to not only brilliant played music but also an ornamentation of woman body and expression from her body. They hoped watching, so to speak, actress in music show not musician. As Clara didn't want fit herself on their taste, she has failed gained popularity. However Clara gained her purpose both popularity and professionality in concerts in London, where audiences had has mature attitude to player and advanced knowledge of music. This study start from understanding of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of those days : the Enlightenment, the French Revolution and the Industrial Revolution. These related to attitude for women and understanding of Clara Schumann as performer who was the most famous as contemporary female performer as in the 19th-century Europe. And then I will focus on a her music activity and music tour in Paris and London. Because both city has been very important to many players, and Clara's performance on these stage brought about definitely different results Paris and London. Those situations are what this study want to find out and explain. These acquisition (popularity and professionality) means her effort and passion as music player. In this thesis, the most interesting opinion is that actually they are not oppositive features. Popularity of performance reflected to interest of audiences and the popular player can get opportunity obtain her own professionality as performer. Finally, this study focused on evaluation about woman's culture activity, which based on investigation of her gaining from each city. At first Clara has made play list works that been different from her aimed thing and she tried to come out with supporting player or orchestra on stages. But she never adapt herself people's taste that made woman product. It's because she really hope to get respect in a class with man players from people, and stand against unfair prejudice. So, the study of thesis will find out about the process of not only Clara has effort to get communicated with people who loved music all the time as player, but also as a woman has lived in Europe she kept on her identification and got recovered fame of musician.

      • 권리의 구조와 근거에 관한 법철학적 연구

        김연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권리론을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하여 전개한다. 권리를 가진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가에 대한 분석적 입장(권리구조의 문제)과 권리를 어떻게 정당화해야 하는가(권리의 근거지움의 문제)에 대한 규범적 입장이 바로 그것이다. 분석적 입장에서의 권리논의는 '권리'와 권리를 둘러싼 규범적 구성물들과의 의미차이로부터 제기된다. 규범적 입장에서의 권리논의는 권리를 주장하는 사람이 자신의 권리를 규범적으로 정당화하는 논증의 체계, 구체적으로는 근거지움의 체계이다. 권리에 대한 논의를 함에 있어 권리의 구조에 대한 접근이 법적 권리를 하나의 권리모델로 선택하여 권리논의의 일반화를 꾀하는 반면에, 권리근거 내지는 정당화논증은 권리의 존재조건에 대하여 정치와 법, 도덕과 법, 국민전체와 개인, 공적 이익과 개인의 이익, 평등과 자유의 관계라는 측면에서 권리의 확실성을 논하는 것이다. 이런 차이로부터 권리의 구조는 사법(민법)에서 공법(헌법상의 기본권)에로의 권리논의의 확장을, 권리의 근거는 공법에서 사법에로의 권리논의의 확장을 가져온다. 권리는 복잡한 체계이다. 권리를 둘러싼 논의들은 쉽게 파악되지 않는다. 그런 점에서 권리의 구조에 대한 분석적 접근은 권리를 둘러싼 의미들을 해명하는 작업을 필요로 한다. 권리구조의 분석적인 접근으로서 호펠드(Wesley Newcomb Hohfeld)의 권리범주는 빌딩을 구성하는 주 요소와 그 외에 중요하지 않는 요소를 구분해주는 역할을 권리논의에서 담당한다. 호펠드는 청구, 자유(특권), 권능, 그리고 면제를 법적 권리의 주된 요소로 보았다. 호펠드는 이 권리범주들의 개념적 차이를 구별해냄으로써 이전의 법학자들과는 달리 권리논의의 분석적 명확성을 드러내 주었다. 호펠드는 청구를 엄밀한(좁은) 의미의 권리로 보고, 자유로부터 권리가 유출되지 않는다는 것을 보임으로써 이전의 법학자와는 다른 권리논의방식을 채택하였다. 그는 관계의 도구(대립관계과 상관관계)를 통하여 법적 근본범주들간의 차이를 이끌어 낸다. 호펠드는 (청구)권리/무-(청구)권리/ 의무, 특권/의무/무-청구, 권능/무-권능/ 책임, 면제/책임/무-권능(권리범주/반대관계/상관관계)이라는 범주를 만들어 낸다. 호펠드의 권리범주로부터 권리는 복합적인 체계임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유권이라는 하나의 권리를 호펠드의 권리범주로 모두 설명해 낼 수 있을 정도로 권리는 복합적인 체계이다. 권리의 근거지음(ground)의 문제는 권리에 대한 여러 배경적 관념을 가진다. 관행적 권리의 관념들, 자연권적 관념들, 사회계약론을 비롯한 자유주의적 권리관념들, 그리고 결과주의적 권리관념들, 이들의 배경적 이념은 권리를 연구하는 사람들로 하여금 하나의 가치관을 선택하게 한다. 또 이러한 여러 관념들은 권리를, 법적 권리, 제도적 권리, 도덕적 권리라는 대체로 3가지의 권리양상을 구분하게 한다. 그러나 이 세 가지의 권리모두 실천적 논증의 체계로서 나타난다는 점에서 권리의 근거제시와 관련된다. 법적 권리문제는 법실증주의와 자연법적 권리논의의 양상으로 나타난다. 법적 권리는 제도적 관행적 권리의 일종이다. 법은 법규범과 법원리 양자를 모두 포함한다. 법적 권리를 법규범과 법원리에 의하여 부여된 권리라고 할 경우에, 법적 권리를 부여하는 법규범은 실정법규범과 법원리이다. 이와 비슷하게 도덕적 권리 역시도 도덕적 규범과 도덕적 원리에 의해 부여된 권리이다. 그러나 도덕적 권리는 반드시 도덕규범에 의해서만 부여된 권리는 아니다. 도덕적 권리는 도덕적 논증(moral reasons)의 체계이다. 권리는 자유를 분배하고 통제하는 역할을 한다. 자유주의 법이론에서 권리는 자유와 긴밀한 관계를 가진다. 자유가 가지는 가장 완전한 의미는 자율성일 것이다. 이 자율성을 가장 잘 설명해 주는 것 역시 권리이다. 권리논의의 양대흐름은 의사/선택설과 이익/혜택설이다. 이 두 흐름은 칸트(Immanuel Kant)와 벤담(Jeremy Bentham)과 밀(John Stuart Mill), 의무론적 윤리설과 공리주의라는 이념적 배경을 가지고 있다. 의사설의 현대적 논의를 전개한 하트(H.L.A. Hart)의 선택설(Choice theory)과 이익설의 변형된 권리논의를 펼치는 맥코믹(Neil MacCormick)과 라즈(Joseph Raz)의 권리논의는 이 양대 흐름을 형성한다. 의사설은 권리를 주장하는 궁극적인 이유가 개인의 자율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라고 본다. 이익설은 권리를 주장하는 궁극적인 이유를 행복이라고 본다. 의사설이 자율성을 가진 사람간의 관계로서 의무와 강한 상관성을 권리의 전제로 보는 반면에, 이익설은 타인의 (공법상의) 의무이행의 결과로 받게 되는 혜택이 권리라고 본다. 기존의 권리에 대한 이 양이론은 모두 나름대로의 한계를 가진다. 예를 들어 의사설은 자율성이 없는 아동의 권리를 설명해 주지 못한다. 반면에 이익설은 굶을 자유처럼 이익이 없는 곳에서의 권리를 설명하지 못한다. 호펠드의 권리범주는 양분되어 있는 권리논의를 극복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한다. 권리의 양대 흐름의 그 사상적 基底에는 형식/ 내용, 사법/ 공법, 주체/객체라는 이분법적 사유가 있다. 호펠드는 이 이분법적 사유를 극복하고 권리를 주장하는 궁극적인 목적이 자율성의 확보이든 행복이든 상관없이 청구만을 권리로 보았다. 청구만이 의무와 강한 상관관계가 있다고 본다. 현대의 권리이론가들 중 파인버그(Joel Feinberg)나 웰만(Carl Wellman)의 권리논의는 호펠드의 이러한 사유에 영향을 받은 사람들이다. 파인버그는 호펠드의 법적 청구개념을 좀더 발전시켜 인권을 포함한 도덕적 권리개념에까지 확장하려고 한다. 청구는 인간으로서의 지위에서 가지는 권리의 수행적 기능을 담당하기 때문에 권리론이 가지는 실천적·이념적 의의를 잘 설명해준다. 청구는 권리의 존재를 드러내준다. 청구는 권리의 영원한 가능태이다. 권리는 복합적인 체계이다. 권리를 주장하는 자들 사이에서 누가 현실적으로 권리를 가지는가를 설명하기 위해서 권리를 정당화(근거지움)하는 과정은 단일한 과정이 아니라 복합적인 과정이다. 권리의 단일한 근거지음은 예를 들면 드워킨과 같이 '동등한 배려와 존중을 받을 권리'라는 강한 권리논증을 중요시하는 경우이다. 즉 그는 권리를 평등에 대한 권리와 자유에 대한 권리로 나누고 전자는 강한 의미로 후자는 약한 의미의 권리라고 한다. 중요한 것은 평등에 대한 권리이다. 내가 권리를 주장하는 궁극적인 이유는 더불어 살아가는 정치적 공동체에서 동등하게 배려받고 존중받을 권리를 가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논증은 헌법적 기본권의 근거지음의 체계에서는 어느 정도 타당할지 모르나 사법상의 근거지음의 체계에서는 한계를 가진다. 따라서 권리의 (논증)근거체계는 복합적인 권리의 구조로 인해 복잡한 근거지음의 양상을 보인다. 호펠드의 권리범주들은 복합적인 권리구조에서 정의적 핵심을 형성한다. 이 정의적 핵심을 중심으로 권리는 하나의 태양계처럼 서로 강한 견련성을 가진다. 그 견련성은 자율성이라는 요소가 묶어준다. 채권자의 채무자에 대한 채무이행의 청구는 복합적 권리구조에서 청구-권이다. 이 핵심적 청구권으로부터 그 외의 채무자에게 채무를 탕감시켜줄 권능이나 채무불이행 시에 소송의 제기 여부에 대한 양면적 자유권 등과 같은 이차적 요소들도 채권자의 청구권빌딩을 구성하는 요소들이다. 그것은 복잡한 양상을 보인다. 특히 핵심적 청구권에 결집된 이러한 이차적 요소들은 보호범주로서 이 핵심적 청구권에 묶여 있다. 또 맞지 않을 도덕적 권리의 핵심은 때리지 말라고 대항할 청구권이다. 이 청구권으로부터 그 외의 여러 법적 권리범주들이 이차적인 보호의 범주를 형성한다. 때리지 않을 상대방의 의무이행을 청구할지 하지 않을 지에 대한 양면적 자유와 그 이행을 포기할 권능 등이 그에 결집된 이차적 보호범주들이다. 복합적인 권리의 근거지음은 보통 규범적인 근거지음과 사실적인 근거지음 양자 모두를 충족시키는 문제이다. 가령 이화여대 학생으로서의 나의 제도적 권리는 내가 이화여대 학생이라는 신분을 충족시키는 사실적 근거지음과 문제된 권리가 이화여대의 학칙에 규정되었는가를 논증하는 규범적 근거지음이다. 권리주장은 호펠드의 권리범주 중의 하나를 정의적 핵심(자유권인지, 면제권인지, 청구권인지, 권능권인지, 혹은 책임인지 등)으로 파악하여 그 정의적 핵심에 해당하는 권리범주와 더불어 그와 관련된 요소들을 논증하는 복잡한 체계이다. 이러한 복잡한 권리의 논증체계를 이끌고 가는 것은 결국 권리주장자의 자율성이다. 권리론의 현실적인 문제는 권리충돌이다. 권리의 복합적인 구조와 근거지음의 양상 안에서 권리충돌은 쉽게 허용되지 않는다. 권리충돌의 모습은 제도적(법적) 권리와 도덕적 권리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인다. 현실적으로 법적 권리의 충돌은 입법을 한다거나 판결을 통하여 쉽게 해결된다. 그러나 도덕적 권리들의 충돌은 복합적인 근거지음의 양상을 보인다. 20세기는 권리의 세기라 할 정도로 이론적, 실천적으로 많은 권리논의들이 있어 왔다. 그것은 누가, 어떤 권리를 가지는가의 측면에서 제기되는 권리확산의 문제로 나타났다. 동물의 권리, 태아의 권리, 환자의 권리 등 권리의 확산현상은 정치적 사회현상을 '권리'담론화 함으로써 일면에서는 부정적 결과를 가져오기도 한다. 권리의 확산현상은 이익이 있는 곳에는 권리가 있다라는 이익설을 취할 경우에 쉽게 허용될 수 있다. What are the rights? What is the ground of the rights? The former is the aspect of the structure of rights. The latter is the aspect of reasons to justify the rights and is concerned with the nature of rights. Rights talk about analytical perspective concerning with the structure of the rights. The rights discourse in analytical reasoning arises from the difference of meaning between rights and normative artifacts(duty, responsibility, liberty etc.) surrounding rights. Rights discourse in respect of justification reasoning is the normative aspect. The ground(foundation or reason)of rights is the system of reasoning that rights-holder answers about the reason of 'having rights'. This essay treats two aspects : the structure and ground of rights. My discussion of rights should begin with an analysis of what a 'right' is. We might suppose that we all know what the right is. But the concept of the right is not easily figured out. So we must choose one analytical conception of rights building. Like the structure of building, the approach to rights also could be the structural approach. We are going to explain the structure of rights with the category of rights that W. N. Hohfeld classified. Hohfeld characterized the fundamental legal conception with the categories of four rights, for examples, 'claim-rights', 'liberty-rights', 'power', and 'immunities'. His classical analysis about the categories of four rights produced the jural relation of opposition and correlation. He produced four distinct types of jural relation, that is, fundamental legal conception(rights category /jural opposites/jural correlatives; claim- right/no-right/duty; privilege/duty/no-right; power/disability/liability; immunity/ liability/disability). We use the single term 'right' to cover four quite different entiltlements. But Hohfeld thought that the different usage of the term 'right' caused confusion. He himself called claim-rights 'rights in the strict sense'. Because only claim-right has the correlation to duty. Hohfeld characterized a right as a relation between two persons. If A is the right-holder, B has a duty. So all rights are not rights in rem(rights to a thing) but rights in personam. My study of Hohfeld's rights resides in the distinct between claims and privileges. Privilege means the absence of duty. Hohfeld said that there is an unprotected domain with respect to privilege. It means the division(splitting) between permissible activities and inviolabilty. A legal power is usually defined as the legal ability to change a legal relation. To possess an immunity is to be not subject to another's power. In Hohfeld's analysis, immunity stand to powers as liberty-right(privilege) stands to claim-right. To possess an immunity is to be free of another's power. After Hohfeld we have disputed about correlative thesis between right and duty. Hohfeld's analysis is of legal right. Whether it the conception of Hohfeldian legal right can be usefully applied to non-legal right remains to be seen. We must identify a few conceptions with respect to legal rights and non-legal rights. It is also related to the ideas of right. The ideas of rights are legal positivism, natural law and natural right, liberalism whether social contract theory or non-social contract theory, utilitarianism whether consequentialist theory or non-consequentialist theory. Legal rights are the institutional rights. Legal right is a clear model among institutional rights. The institutional rights in the extensive sense cover legal rights, institutional rights in the strict sense, positive morality right. All institutional rights have the character of convention as social facts. The study of existence requirements of legal rights as a model is analogized with other institutional rights. The reason why this study needs resides in the proliferlation of rights. This phenomenon blinds and impedes the authenticity of rights and make us hard to identify the genuine and real rights. In discussing right, we must have a certain conception of rights. In part III, I studied two theories of rights, the will/choice theory of rights and the interest/ benefit theory of rights. I. Kant, C. Savigny, H.L.A. Hart, C. Wellman, and H. Steiner belong to the former. J. Bentham, R. Jehring, N. MacCormick, and J. Raz belong to the latter. The choice theory of rights thesis implies a deep correlation between rights and duty. The one to have rights is only a person to exercise an act. Only a person can have a liberty to have equal right to freedom. To Hart's version, the liberty-right is bilateral. There is a bilateral liberty to claim to enforce or waive duty in a core of rights. According to Hart's logic, power is the special case of liberty-right and claim-right is the special case of power. To the contrary of Hohfeld, the most important aspect in Hart's legally respected choice model is liberty that is not defined as an absence of duty but as connection with the 'perimeter of protection'. Rights imply a duty as a role of protection. Like Kant, Hart also combined two features of permissibility and inviolability. But the focus of Hart's rights theory is 'power' by modern will theory. This power is described by a 'small sovereignty'. The only person to have power can have rights. To have power is to have a legally protected choice. Where rights exist, the enforcement of duties is not a matter for the state in pursuit of collective policies , but a matter for the choice of private individuals. Rights allot the domain of freedom. There is criticism that the function of power is too extensive. Rights have a peremptory force for private individuals. The interest theory holds the right to be the normative ground for imposition of duties. According to its theory, the relation between rights and its corresponding duties is not symmetry but a justificatory relation. MacCormick's interest theory holds Children's moral rights(inalienable rights) as a ground to impose duties to others. Contrary to classical interest theory, modern interest theory grounds rights in the interests. Even if Raz's interest theory accepts the plurality of incommensurable values, it respects general wealfare and collective well-being seriously more than individual aspects. If rights is not protected by duties, then what is the thing that can protect rights? interests? Balancing of interest or well-being makes rights zero. In part IV, I studied new theories of rights. J. Feinberg's and C. Wellman's theories of right belong to them. Feinberg holds the rights as a valid claim. He developed Hoheld's calim-right into a general rights model including moral rights. His message of rights as a valid claim informed us why rights need. But Are there very strong reasons for takings rights seriously? Wellman's real rights or dominion model answer 'individual autonomy system' about this question. All rights including the legal rights have a complicated(complex) system. Wellman chooses legal right as a model of rights. A right has a legal advantage. A legal right consists of a collection of legal claims, liberties, power, immunities and duties. All rights have a defining core. It is defined as one among Hohfeldian categories, for example, a right of liberty-right, claim-right and so on. For example, the core of the creditor's right to repayment is claim- right. The core defines the essential content of the right. Like solar system, the core is a single central sun. "A number of planets constitute a single right because of the way in which they all relate to a single central sun, so a number of liberties, powers, immunities, and duties constitute a single right because of the way in which they all relate to a single core. Legal right grow, diminish, and change as the processes of legislation and adjudication add or substract associated Hohfeld elements. Binding together a defining core and associated Hohfeld elements is an autonomy as freedom-control. By alloting an autonomy, one party's right is a real right and another right is an alleged right. In parts V and VI, I reconstructed the structure and ground of rights. My version is a will theory, but tries to overcomes it. My version depends on Wellman. By reconstructing the structure of rights, I explained a part which a given will theory did not justify children's right. Rights are a complex system with Hohfeldian elements. But the conflict of rights happen in a concrete situation. It is not rights not to be struck but my right not to be struck. The defining core for my right not to be struck is a claim-right. This claim-right identifies a first order of rights system. The name of rights building is claim-right. Because of a defining core we can know the existence of rights. Its associated elements include at least (1) bilateral moral liberty to exercise or not to exercise core power to claim performance, (2) moral power to waive core claim, (3)moral immunity against loss of core claim by independent act of another. Because of the existence of these elements, the rights not to be struck is protected. These elements consist of the second protection order of rights system. Reconstructing the ground of rights makes the reason to have rights. Legal Rights is a right given by legal rules and legal principle. Moral rights are not rights given morality right(moral norm, moral principle, for example, such as mores) but moral reasons. The idea of right exposes a status as human being.

      • 다문화교육을 통한 초등 도덕과 통일교육에 대한 연구

        김연미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대한민국은 다양한 문화가 혼재된 다문화사회이다. 학생들이 다양한 시각으로 세계를 이해할 수 있는 교육활동이 요구된다. 다문화교육은 다양한 배경을 지닌 사람들에 대한 편견이나 고정관념을 갖지 않고 나와 다른 개인과 타문화에 대한 인식과 존중감을 높여주는 교육 활동이다. 통일교육은 남한과 북한의 통일에 기여할 수 있는 교육이다. 도덕과 통일교육은 현시대의 문화적 흐름을 반영하여 다문화교육과의 연관성 속에서 통일교육의 방향을 제시해야 한다. 다문화적 통일교육의 전개는 남한과 북한, 넓게는 한반도와 세계와의 관계 속에서 통일 문제를 이해하는 시야의 확대를 가져온다. 서로 달라진 남한과 북한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고 북한에 대한 차별의식을 체제에 따른 차이임을 인식함으로써 북한과의 문화적 격차 해소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통일교육은 다문화교육이 추구하는 교육 목적과 상응하는 교육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다문화교육을 통한 통일교육의 방향과 연관성을 모색하였다. 그리고 통일교육과 다문화교육에 대한 이해를 통해 다문화교육의 관점을 반영한 초등 도덕과 통일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다문화교육에서 강조되는 문화 이해를 남한과 북한의 이해로, 반편견교육을 북한에 대한 객관적 인식에 초점을 두었다. 궁극적으로 한국사회 구성원들의 바람직한 정체성을 형성하여 통일 의지를 고취시킬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일교육과 다문화교육의 의미, 목표와 내용체계의 검토를 통해서 통일교육과 다문화교육의 교육적 접목을 시도하였다. 다문화교육이란 인종, 계층, 문화 등 사회문화적 다양성을 지닌 학생들이 다양한 문화에 대한 이해와 존중을 바탕으로 문화공동체 사회에서 조화를 이루며 살아가도록 돕는 교육이다. 다문화교육을 통한 통일교육은 문화적 다양성 가치의 이해와 존중, 긍정적인 통일 한국인으로서 문화정체성 형성, 상대적인 가치 이해를 통한 비판적 문화 성찰, 북한 문화 집단에 대한 배려, 민족공동체 일원으로서의 역량 강화를 목표로 한다. 둘째, 2007년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이 담고 있는 통일교육 내용을 분석하여 다문화교육을 통한 통일교육의 도덕적 가치를 파악하였다. 2007년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통일교육과 관련된 영역은 ‘나라․민족․사회와의 관계’ 영역이다. 2007년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통일교육의 방향에 부합하는 가치로 문화적 다양성의 이해와 존중, 사회 정의 실현, 한민족의 정체성 함양을 제시하였다. 다양한 인종, 계층, 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편견과 고정관념을 극복하여 북한 문화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갖게 함으로써 통일 의지를 고취시킬 수 있는 중요한 가치덕목이다. 셋째, 다문화교육을 통한 통일교육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다문화사회, 민족주의와 통일이라는 한국 사회의 특수성을 고려한 교육 방안이다. 구체적인 내용과 방법은 다문화 체험활동을 통한 통일교육, 다문화 미디어를 통한 통일교육, 협동학습을 통한 통일교육, 도덕적 상상력을 통한 통일교육과 그리고 타문화 배려를 통한 통일교육 등으로 제시하였다. 오늘날 다문화사회 현실을 반영한 통일교육은 북한과 분단의 현실을 이해하고, 통일에 대한 열망을 지님으로써 미래 통일한국의 주역으로서 실천의지를 다지는데 초점을 둔다. 변화하는 세계화, 다문화의 환경 속에서 우리 사회는 진정한 통합을 이루어야만 올바른 통일 국가로 다시 태어날 수 있다. 다문화교육에서 추구하는 문화 공존의 가치는 통일을 위한 기초가 되므로 앞으로도 다문화교육을 통한 통일교육 교수학습 프로그램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Students are living in the Globalized Age. Various educational activity which is close to the world by various sights and understand a society is required. Education reflect social demand.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s the educational activity which don't have a prejudice or a fixed idea regarding the people who carried various settings. And it goes to recognition and esteem regarding person and other cultures. Moral Unification education reflected cultural streams in the present society. So it shall present a direc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in connected with Multicultural education. A spread of Multicultural unification education brings a visual expansion understanding a unitary issue at relation with South & North Korea and the world. It gives help to cultural difference solution to look up South & North Korea common point and difference point and to recognize a difference regarding to a system. This study developed elementary moral Unification education programs in a viewpoi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It is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to inspire unitary intention by forming ethnic identity. And it focuses on South & North Korea understanding, prejudice conquest regarding North Korea. First, this study drived educational meaning through a review of meaning, object and contents system about Unification and Multicultural education. The Unification education is the education that can contribute to unification of the divided Korea. It means all education to do for the purpose of cultivation of value and attitude that are necessary to accomplish a unity and realize peaceful settlement between South & North Korea. And that education bases faith on liberal democracy and ethnic community consciousness. For this, this study presented Unification educational contents to unitary necessity, figure understanding of North Korea society, a change of unitary environment, unitary national realization and our attitudes preparing unity.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s the education helping students who had various races, levels and social culture to achieve harmony in culture community societies. The Unification education through Multicultural education aimes of understanding and esteem of cultural variety, culture identity formation as positive unitary Koreans, consideration regarding a North Korean culture group and ability enhancement as ethnic community members. Second, this study examinated of Unification education in 'a morality educational process revised 2007 years'. And it groped for moral value for Multicultural unification education. The scope related to Unification education in that educational process is 'the scope related with a nation, a race and society'. The value to agree in a direction of the Unification education are understanding and esteem of cultural variety, social justice education and culture identity formation as Koreans. They are the important value that students inspire unitary intention to have positive attitude regarding North Korean culture, so based on understanding of various races, levels and cultures it is to overcome a prejudice and a fixed general idea. Third, this study presented the Multicultural unification education programs. Korean social specificity is nationalism and unity. So five programs took social specificity and teachers can use to teach. There are Unification education through the multicultural experience activity, Unification education through the Multicultural media, Unification education through the cooperation learning, Unification education through the moral imaginations, Unification education through the other culture considerations. The Multicultural unification education which reflected multicultural society actuality focus in all to practical will as the leading roles of future unitary Korea. Students can understand of North Korea and division and carry an ardent wish regarding unification by that education. We have to understand a country which North Korea is in the world and the citizens whom North Korean are in the world. And North Korea is historical root like us. The unitary consciousness formation through life living together is effective on an interest that we faced around lives and practice in the lives. In the globalization and multicultural environments. A unitary Korea aim for cultural coexistence through harmony. It is based on elementary school. Therefore I expect for Unification education programs through Multicultural education to develop.

      • 조선시대 자수 흉배 연구 : 출토 유물을 중심으로

        김연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kinds and production methods of embroidery Hyoongbae excavated from tombs in Joseon Dynasty and to make reproductions of the relic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Literary documents about costumes ornamented with embroidery have remained so far through Joseon Dynasty since the Three Kingdom Period. Introduced first in Joseon Dynasty, Hyoongbae was used by directly weaving patterns or making and attaching additional patterns to men's official dress, Dalyeong, or women's formal dress, Wonsam or Dangeui, and especially it was such important a part of the costume those days that the kinds of animal patterns were determined depending on wearers' official ranks. As for the research methods and contents, this study examined the literary documents and relic data about embroidery and Hyoongbae, and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epared a list of excavated relics. After photographing each relic of embroidery Hyoongbae, this study investigated its composition with pattern and embroidery techniques and made a reproduction of Hak (crane) Hyoongbae designed by Jeong Tae-je (1621~1669) and stored in Seok Juseon Memorial Museum. This relic only didn't have any damaged part out of all the embroidery Hyoongbae relics excavated and was filled with embroider threads without blank space, and especially it was the only case that the crane pattern was processed with inside stitch and then with couching stitch with gold threads. Through the literary documents, it was found that embroidery was used for Buddhist articles, ornamental goods and household items in addition to costumes even before Joseon Dynasty. Besides, during the periods of Goryeo Dynasty and Joseon Dynasty, there were master craftsmen working for a governmental agency to supply embroidery used for the palace, and in such areas as Anju and Soonchang, even commercial embroidery was produced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The Hyoongbae system was first introduced in the second year of King Danjong's reign (1454) to be used for the third official grade, and there were a variety of animal patterns to symbolize people's social position and status. Afterwards, its use was expanded to the sixth official grade in the 18th year of King Sukjong's reign (1692) and to the ninth official grade in the 18th year of King Jeongjo's reign (1794) once again, but it was simplified to the crane patter for civil servants and the tiger pattern for military servants. It was found that the 67 pieces of Hyoongbae excavated from the tomb belong to the period between the 16th century and the 19th century, and in terms of production method, they were classified into Jickgeum (Weave with Supplememtary Wefts), Jickgeum-janghwadan (Brocade) and embroidery. Whenever patterns were directly put on the cloth, spun gold thread was used for Jickgeum Hyoongbae. Embroidery Hyoongbae features in having appeared after the 17th century and was composed of animal patterns, plant patterns and longevity patterns, and especially this study found that it was produced with such embroidery techniques as satin stitch, outline stitch, knot stitch, couching stitch and mat stitch.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into literary documents and relic data, this study made a reproduction of embroidery Hyoongbae so that it might express similarities in the frontal and back sides of embroidery Hyoongbae and the materials and production methods. For the first time, this study presented pictures of each part of the relic and attempted Nabsasu Technique used for Hyoongbae. As for the materials, this study used cotton yarn thick enough to express cubic effect, different-thickness gold threads to express the crane and tiger patterns and spun colored thread specially produced for this study.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provided basic data in making reproductions of other embroidery products excavated. Moreover, it is anticipated that with the production methods and embroidery techniques of the excavated Hyoongbae and reproduction, Jickgeum or Jickgeum-janghwadan Hyoongbae can be produced by using gold and colored threads. 본 연구는 조선시대 분묘(墳墓)에서 출토된 흉배(胸背)의 종류와 자수(刺繡) 흉배의 제작 방법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유물을 복제(複製)한 것이다. 자수로 장식된 복식(服飾)의 문헌 기록은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를 거쳐 현재까지 이어진다. 조선시대에 처음으로 제도가 도입된 흉배는 남자의 관복(官服)인 단령이나 여자의 예복(禮服)인 원삼, 당의 등에 무늬를 직접 직조(織造)하거나 별도로 만들어 부착(附着)하여 사용하였고, 특히 품계별로 동물의 종류가 정해져 사용될 만큼 복식의 중요한 부분이었다. 연구방법과 내용은 자수와 흉배에 관한 문헌과 유물 자료를 통해 살펴보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출토 유물의 목록을 작성하였다. 그중에 자수 흉배는 유물별로 사진 자료를 제시한 후 무늬와 자수기법으로 구성을 살펴보았고, 직접 열람한 유물 중 석주선기념박물관에 소장된 정태제(鄭泰齊, 1621~1669) 학흉배를 선택하여 복제품을 제작하였다. 이 유물은 출토된 자수 흉배 중에서 파손된 부분이 없고 전체가 여백이 없이 자수실로 채워졌으며, 학에 속수를 한 후 금사를 징금수한 유일한 경우였다. 문헌자료를 통해서 조선시대 이전부터 복식과 함께 불교용품, 감상용품, 생활용품 등에 수(繡)가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고려와 조선에서는 궁(宮)에서 쓰는 수를 제작하고 공급하기 위해 국가에 소속된 장인(匠人)이 있었으며, 조선시대의 안주와 순창 지역에서는 상품용 자수가 생산되기도 하였다. 흉배 제도는 단종 2년(1454)에 3품까지 사용하도록 도입되었고 신분을 상징하는 동물의 종류가 다양하였다. 이후 숙종 18년(1692)에는 6품까지 확대되었으며, 정조 18년(1794)부터 9품으로 계층은 확대되었으나 문관(文官)은 학, 무관(武官)은 호랑이로 단순화되었다. 유물자료를 통해 살펴본 67점의 출토 흉배는 16세기부터 19세기에 해당되며, 제작 방법으로는 직금(織金), 직금장화단(織金粧花緞), 자수로 분류되었다. 직금 흉배는 옷감에 직접 무늬를 넣은 경우 모두 연금사(撚金絲)를 사용하였다. 자수 흉배는 17세기 이후에만 보인다는 특징이 있었으며 동물문, 식물문, 장생문 등으로 구성되었고 평수, 이음수, 매듭수, 징금수, 자리수 등의 자수기법으로 제작된 것을 살펴볼 수 있었다. 문헌과 유물자료의 연구를 바탕으로 자수 흉배의 앞면과 뒷면, 재료와 방법이 유사하게 표현되도록 복제품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처음으로 유물의 부분사진을 제시하고 흉배에 사용된 납사수(納紗繡) 기법을 시도하였으며, 재료로는 입체감을 표현한 두꺼운 면사(綿絲)와 학과 구름에 굵기가 다른 금사(金絲), 직접 제작한 연채색사(撚彩色絲)를 사용하였다. 이는 출토된 다른 자수의 복제품을 제작할 때 참고가 될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겠다. 아울러 출토 흉배와 자수 흉배 복제품의 제작 방법을 활용하여 직금이나 직금장화단 흉배도 자수 기법으로 금사와 색사를 사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길 제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