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의문문 억양 실현 연구

        구려나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07

        迄今為止,關於中國人韓語學習者的語調的相關研究主要集中在普通話的4聲調對他們韓語語調所產生的影響方面。而關於普通話輕聲和韓語語調間的關係,中國人韓語學習者的方言聲調,語調和韓語語調間的關係,以及中國人學習者的韓語水平和他們韓語語調間的關係為主的研究卻屈指可數。 著眼于此,本文以中國人韓語學習者的疑問問語調為主,分別針對不同的小主題各進行三次問卷調查,音聲分析實驗以及採訪,通過實驗數據去揭示中國人學習者對韓語語調的認知以及實際實現情況。進而論述普通話聲調語調,方言聲調語調,韓國語能力對他們在實現韓語語調時的影響。首先為了證明普通話的聲調語調對韓語語調的影響問題,本文選取了韓國人母語話者20名,中國人韓語學習者200名進行試驗,對相應的實驗數據進行對比分析。其次為了論證中國方言的聲調語調對中國人韓語語調的影響問題,本文另選取韓國人母語話者20名,普通話圈韓語學習者40名,粵語方言圈韓語學習者40名進行第二次試驗。最後為了論證中國人的韓語能力對他們的韓語語調影響問題,本文選取了韓國人母語話者20名以及處於各個韓語能力等級的中國人學習者各20名進行第三次試驗。 經過三次試驗,如下三大問題得到論證。 首先是普通話的聲調語調對韓語語調的影響可細分為普通話輕聲的影響,文末語調影響,以及普通話音節特征影響。標準普通話除了4聲調之外輕聲的變調現象也是非常普遍的。這種輕聲的變調影響在中國人韓語學習者實現韓語語調的時候也是顯而易見的。本次的研究結果顯示,大部分的實驗對象由於標準普通話的輕聲影響,用降升語調實現‘-아/어요’疑問文,升降語調實現‘-지요’疑問文的人確實很多。另外在標準普通話裡面判斷疑問文的文末語調是上升語調,確認疑問文的文末語調是下降語調。所以中國人韓語學習者在實現韓語語調的時候也會受到文末語調的影響。還有一點就是標準普通話裡面,音節是不存在類似韓語的連音現象的。所以中國人韓語學習者在說韓語的時候也受到標準普通話的影響,音節之間不連接的感覺很明顯,相應的,語調的休止現象也很多。 其次是粵語的聲調語調對韓語語調的影響也可以細分為粵語聲調體系的影響,文末語調影響以及粵語的音節特征影響。和普通話不一樣的是粵語裡雖然有9個聲調,但是卻不存在輕聲。所以粵語圈的韓語學習者在實現韓語語調的過程中並不存在輕聲的影響。關於粵語文末語調,判斷疑問文的文末語調是通過上升語調,確認疑問文的文末語調是通過下降語調來實現的。所以粵語圈的韓語學習者在實現相應的韓語語調過程中也會出現上升語調,下降語調。最後就是粵語雖然和普通話一樣音節的實現限制在一個形態素裡面,但是在實際對話裡面粵語音節的變調現象比比皆是。所以粵語圈的韓語學習者能更準確的把握韓語連音,語調休止的現象也減少很多。 最後通過觀察中國人韓語學習者的語調出現個數,語調的起始點,以及語調最高點去證實中國人韓語學習者的韓語能力對實現韓語語調也確實產生了不小的影響。簡單的說通過研究結果可知,中國人韓語學習者的語調事件個數和語調的起始點都會因為韓語能力得到改善,但是語調最高點卻不會受他們韓語能力影響,主要是由於話者強調的重點不同。 本文通過實驗論證了中國人學習者在實現韓語語調的過程中既會受到普通話的輕聲變調,文末語調的影響,也會受到方言的聲調語調,音節以及韓語水平的影響。希望此次研究能對今後的韓語語調教學中能產生積極深遠的影響。 제2언어 습득 시 학습자의 모어 억양은 큰 영향을 미친다. 이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도 마찬가지이다.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억양 실현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표준 중국어 4성조의 영향에 주목한 것은 그러한 이유 때문이다. 그러나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억양 습득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표준 중국어의 4성만이 아니다. 먼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모어는 사실상 동질하지 않다. 중국인 학습자는 많은 방언권 화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출신 지역의 방언 억양이 한국어 억양 실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다. 여기에 더불어 중국인 학습자의 숙달도에 따라 억양 실현 양상이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대한 연구도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표준 중국어 경성과 한국어 억양 실현의 관계, 중국인 학습자의 출신 지역 방언 성조·억양과 한국어 억양 실현의 관계,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숙달도 단계와 억양 실현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의문문을 중심으로 총 세 번의 실험을 진행하였고, 이를 통하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억양 실현 특징을 분석하였다. 첫 번째 실험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표준 중국어 성조·억양이 학습자들의 한국어 억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한국인 모어 화자 20명과 초급, 중급, 고급 중국인 학습자 200명, 총 220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대조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로써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전체적인 억양 특징을 파악하였다. 두 번째 실험은 중국 방언의 성조·억양이 중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억양 습득에 미치는 영향을 첫 번째 실험 결과와의 비교를 통하여 논증하였다. 즉 표준 중국어를 이용하는 한국인 모어 화자 20명, 표준 중국어권 중국인 학습자 40명, 광동 지역 출신의 월방언권 중국인 학습자 40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대조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로써 그들의 방언 특징과 한국어 억양 인식 및 실현 간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세 번째 실험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능력은 그들의 억양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첫 번째 실험 결과와 비교하여 논증하였다. 이를 위해서 한국인 모어 화자 20명과 단계별에 따른 중국인 학습자 100명을 선정하고 그들의 억양 실태를 정리함으로 미시적인 차이를 제시하였다. 첫 번째 실험을 통해서는 표준 중국어 특징의 전이 양상 연구에서는 표준 중국어의 성조, 문말 억양, 음절 특징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억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실험 결과 중국어 한국어 학습자 중 초급 단계 45%, 중급 단계 60%, 고급 단계 71.25%의 피험자가 ‘-아/어요’ 의문문을 강승 억양으로 실현하였다. 이는 표준 중국어의 경성 변조 규칙이 전이된 것으로 보인다. 다음으로 상당수 피험자가 ‘-아/어요’ 의문문을 상승 억양으로, ‘-지요’ 의문문을 하강 억양으로 실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판정 의문문을 상승 억양으로, 확인 의문문을 하강 억양으로 하는 표준 중국어의 문말 억양이 전이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 발화시 억양 휴지 현상이 많이 나타났는데, 이는 음절 결합이 한 형태소로 한정되어 음절과 음절 간 휴지가 많은 표준 중국어의 음절 특징이 한국어 발화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지역 방언이 중국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억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성조 체계, 문말 억양, 음절 특징을 통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월방언권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방언이 한국어 억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는데, 연구 결과 표준 중국어권 피험자보다 월방언권 피험자들이 억양 변화가 더 많이 나타났으나, 표준 중국어 화자들과는 달리 월방언권 화자들은 결성 변조의 영향을 많이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절 전이 양상은 표준 중국어 화자들과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억양 휴지 현상의 빈도는 표준 중국어권 화자들보다 적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중국인 피험자들의 한국어 발화 음높이 움직임 변동점 개수, 발화 시작점 음높이, 발화 최고점 음높이 세 가지 요소를 통해서 한국어 숙달도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억양 실현 간의 관계를 설명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과 한국인 모어 화자 간에 발화 음높이 움직임 변동점 개수, 발화 시작점 음높이는 유의미한 차이가 보이나 두 집단 간의 발화 최고 음높이에는 차이가 없었다.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아/어요?’ 발화의 음높이 움직임 변동점은 중급 단계부터 한국인 모어 화자와 비슷한 개수로 발화를 실현할 수 있는데, ‘-지요?’ 의문문의 경우는 고급 단계에 도달해야 가능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국인 피험자들이 ‘-아/어요’ 의문문을 발화할 때 한국인 피험자보다 더 높은 음으로 발화를 시작하고 언어 숙달도에 따라 발화 시작점은 점차 내려가는 추세를 보인다. ‘-지요?’ 항목에서는 언어 숙달도가 높을수록 발화 시작점의 음높이가 계속 내려가는 경향을 보이는데, 고급 단계의 학습자의 경우 한국인 피험자보다 심하게 발화 시작점의 음높이를 내리는 경향이 있었다. 통계 결과 ‘-아/어요’ 의문문의 경우 한국어 숙달도에 따라 한·중 피험자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보이지 않았는데 발화 초점에 따라 한·중 피험자, 발화 최고 음높이의 유의확률이 .000이어서 유의수준 .05에서 매우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마찬가지로 ‘-지요’ 의문문 발화에서 한·중 피험자들의 최고 음높이 분포 차이도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한국인 피험자와 중국인 피험자들의 발화 최고 음높이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한국어 숙달도가 아니라 발화 초점인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를 통해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억양 실현에 표준 중국어 경성의 변조, 문말 억양, 소속 방언권 성조·억양, 음절 특징, 한국어 숙달도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국인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억양 교수의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이광수 문학에 나타난 주체구성 과정과 상징적 네트워크로서 근대 경제 체제 연구

        전혜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39

        This Paper aims to analyse the aspect of modern subject related to modern economic system and examine its desire and symptom in Yi Kwang-soo’s work. Ultimately, this theme is related to an investigation of organizing process, which capitalism as a symbolic network mediating economic subject as a member of modern capitalist society. There is no significant move that study Yi Kwang-soo with economy as basis of modern society so far. It is because that only the capitalist recognition has been dealt with a condition of class literature. While the view of nationalist literature, except some writers, tend to ignore this point because capitalism alreacy has been a commen sense, reality it self, and approved presupposition. Yi Kwang-soo also approved capitalism considering how to survive, but never covered a economic system directly. Instead, he was interested in poverty and mommnism and serched for redused solution to personal moral and ascetic training without capitalist structure itself. Yi Kwang-soo and his work show apparently affirnity with capitalism. He was a leading wrighter of right-wing nationalist group and ideologue for Protestantism ethics in the era of japanese colonialism. Yi Kwang-soo embodied ideal image of nation which based on capitalism and democracy. Moreover he was generous to the pro-japanese activities, while he was constantly rigid to communists who is the same nation people though. In point of fact, his consistency of thought is firmly kept with the capital but nation. Additionally, Capitalism is not limited to the economic boundery but interfere in epimological subjectivization. In other words, the subject presented in Yi Kwang-soo’s work already act and think in the way of capitalist. This is the logical proof of preceding symbolic netwaok before subject. Therefore in Yi Kwang-soo’s work, modern subject means economic suject. organization economic subject needed preceding steps, rechanelling subject as desiring subject. Education and enlightenment had an effect of ideological foundation to subject training the way of desiring and provide good model to subject for proper object to be desired. Mommonism works the desire contral and divide properly, strenthening desire and medication libido with prohibition mechanism. Mommonist subject share the identical rule with desiring subject. At this moment surpressed desire returns to the symptom of subject, like depression and insanity(schitzoprenia). While desireing suaject ahd mommonist subject function as a form, contents filling the form is modern economic system, that is capitalism as a ideology. In a abscent cause level, intensified financial capitalism rises as a core of world construction. Yi Kwang-soo’s moral contains capitalist value like credit, vocational ethics, good capitalists as a ideal leader. In the process of turning economic idea to ethical value, limitation on actual politics drive economy and ethics into more private field. Lacking modern political notion such as liberty, equality and voting rights, the nation became to the subject had lack. Therefore class is a symptom of the nation. As class ctrodiction exposure a surtured lack of the Other, this became target of violent purification. In this case, the symptom remains subject as fascim and perversion. 본고는 이광수 문학에 나타나는 근대 주체의 양상을 근대 경제 체제와의 관련성 속에서 분석하고 그 욕망과 증상을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는 궁극적으로 자본주의라는 상징적 네트워크에 매개된 주체가 근대 자본주의 사회의 일원으로써 경제적 주체로 구성되는 과정에 대한 고찰과 관계한다. 지금까지 근대 사회의 토대로서 경제와 이광수를 함께 읽는 시도는 본격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는 자본제적 현실인식이 계급문학의 조건으로서만 깊이 다루어졌으며, 몇몇 작가를 제외하고는 민족주의 문학의 조건으로서는 깊게 다루어지지 못했다는 사실과 무관하지 않다. 말하자면 민족주의 문학의 관점에서 자본제는 이미 현실 그 자체였고, 승인된 전제였다. 이광수 역시 자본주의를 현실로서 승인하고 그 안에서 살아남는 방법에 대해 고민했지만 경제 시스템으로서 자본주의 문제를 정면에서 다루지 않았다. 그가 제기한 경제적 이슈는 빈곤과 물질만능주의 풍조 정도인데 이에 대한 해결책은 개인의 도덕과 수양 문제로 축소되었고 자본주의 구조 자체의 통찰로 이어진 적은 없었다. 본고는 자본의 문제야말로 이광수적 근대의 핵심을 관통하는 문제이자 친일 경력과 관련된 오래된 민족주의적 이슈를 정면에서 돌파하는 방법임을 밝혀보고자 한다. 이는 일차적으로 이광수와 그의 작품에서 드러나는 친자본적 성향에 근거한다. 이 같은 점은 민족주의 우파 계열의 핵심 논객으로서 일제 강점기의 프로테스탄티즘 윤리인 준비론의 이데올로그인 그의 정치적 포지션에서 잘 드러난다. 식민지라는 한계 때문에 직접적으로 표현한 바는 없었지만, 그가 상상한 미래의 국가상이 자본주의를 토대로 한 민주주의 국가였다는 사실은 쉽게 추론할 수 있다. 게다가 친일과 같은 반민족 행위에 대해서는 관대하면서도 같은 민족임에도 불구하고 계급주의에 대해서는 일관되게 적대적 태도를 유지했다는 점에서 그가 상정한 아(我) 피아(彼我)의 구분선이 어디에 위치해 있는가를 잘 알 수 있다. 요컨대 그의 사유의 일관성은 민족보다는 자본에 대해서 보다 확고하게 유지되고 있다. 다음으로 자본주의라는 경제 체제가 경제 영역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주체 구성 과정에서 이미 선험적으로 작동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즉, 이광수 작품의 주체는 자본주의에 대해 이해하기 전에 이미 자본주의적으로 행동하고 사유한다. 이는 주체에 선행하는 상징적 네트워크로서 근대 경제 체제가 이미 작동하고 있기 때문이며, 이러한 개념이 이미 사회관계 속에서 작동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광수 문학에서 근대 주체는 경제 주체로서 자리매김한다. 경제 주체는 경제 활동의 주체, 즉 자본주의적 경제 질서 안에서 경제 활동을 수행하는 주체로 정의될 수 있지만, 또한 인식론적 차원에서 경제적으로 분할된 주체로서, 근대 경제 감각이 주체의 윤리, 정치, 문화, 종교의 감각을 지배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하기도 한다. 이 같은 경제주체의 구성을 가능하게 하는 사전 단계로서 주체는 먼저 욕망하는 주체로 재구성된다. 교육과 계몽은 주체에게 욕망하는 법을 학습시키는 이데올로기적 근거로 작용하며, 근대 주체로서 적합한 욕망의 사례를 제공함으로써 주체화에 성공한다. 이렇게 형성된 욕망을 적절하게 통제하고 분배하는 데 금지의 기제가 작동하는데, 이는 욕망을 제거하거나 그 정도를 제한하는 일과 상관없이 오히려 욕망을 강화시키는 동시에 리비도를 구획된 지점으로 투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렇게 금지의 기제를 통해 탄생한 금욕의 주체는 욕망하는 주체와 동일한 원리를 공유한다. 여기서 억제된 욕망은 우울증과 광기라는 주체의 증상으로 되돌아온다. 욕망하는 주체와 금욕의 주체가 형식으로서 기능한다면, 이 형식을 채우는 내용, 즉 이데올로기적 내용을 담당하는 것이 바로 근대 경제 체제이다. 이광수 문학에서 경제는 현실적 맥락과 무의식적 맥락으로 나누어 살필 수 있다. 현실적 맥락에서 이광수에게 경제는 무한한 가능성의 영역으로 인식되었는데, 그의 표층적 인식이 민족의 생존과 번영이라는 세속적 차원에 머문 반면, 부재원인의 차원에서 이미 심화된 금융자본주의가 세계 구성의 핵심임을 드러내고 있다. 무의식적 맥락에서 이광수의 주체는 등가교환이나 상품형식 등과 같은 사회관계 속에서 이미 욕망하고 있다. 이광수의 윤리는 신용과 직업윤리, 이상적 지도자상으로서 선한 자본가 등 자본주의적 내용을 담고 있다. 경제의 내용이 윤리적 가치로 전치되는 과정에서 현실정치의 한계는 경제와 윤리를 보다 사적인 것으로 환원시킨다. 이광수의 체계에서 민족은 결여의 주체인 동시에 과잉의 주체이다. 자유와 평등, 선거권 등과 같은 근대 정치적 개념을 결여할 수밖에 없는 결여된 주체의 한계 안에서 춘원이 의지한 것은 자본주의 이데올로기였던 것이다. 그런 점에서 계급은 민족의 증상이다. 계급모순이 봉합된 정치적 한계를 폭로하는 역할을 하는 한 그것은 정화의 대상이 된다. 민족이라는 대타자, 더 정확히는 자본주의라는 대타자의 결여의 지표로서 계급모순에 대한 혐오는 논리 차원을 넘어서 향락의 차원으로 쉽게 흡수된다. 이는 춘원의 주체를 파시즘적 주체, 도착증적 주체로 이끄는 원인이 된다.

      • 한국어 표준 발음의 계량언어학적 연구

        정지은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9 국내박사

        RANK : 248607

        This is a quantitative linguistics study on standard Korean pronunciation, utilizing quantitative methods to examine the frequency of phonemes, which constitute the lexicon of the Korean language, as well as phonemic contrast, and analyzing the linguist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phonemes. Quantitative linguistics is a field of study that interprets specific linguistic phenomena based on sufficient data on the language from a linguistic viewpoint. Quantitative studies assume that differences in frequency in a given language system are not random or coincidental, but based on a general principle of the language as well as its individual structures. As such, quantitative studies complement qualitative studies and can be used as basic data in many fields of language studies. This study determines the frequency of phonemes and discusses the frequency differences based on their position within syllables, by parts of speech, and by the origins of words. Furthermore, by measuring the number of minimal pairs and changes in entropy, this study analyzes the phonemic contrasts. Studies on phonemic contrast are rare, even though they are an important subdomain of phonology along with phoneme frequencies. Related studies are conducted using dictionaries; however, analyzing dictionaries is a substantial task, and practical difficulties have led to the absence of studies. Therefore, this study utilizes the pronunciation in the entries of the Korean dictionary 『Urimalsaem』 to conduct a quantitative linguistics study on standard Korean pronunciation, and the results are summarized below. First, phoneme frequencies were measured. The ranking of phonemes from highest to lowest was turned out to be as follows: /ㄱ/ > /ㅈ/ > /ㅅ/ > /ㅎ/ > /ㅂ/ … /ㅆ/ > /ㅌ/ > /ㄸ/ > /ㅋ/ > /ㅃ/ in the onset, /ㅏ/ > /ㅣ/ > /ㅜ/ > /ㅗ/ > /ㅓ/ … /ㅝ/ > /ㅢ/ > /ㅙ/ > /ㅞ/ > /ㅒ/ in the nucleus, /ㅇ/ > /ㄴ/ > /ㄹ/ > /ㄱ/ > /ㅁ/ > /ㅂ/ > /ㄷ/ in the codas. Utilizing the phonemes with the highest frequencies in the onset, nucleus, and codas to create syllables for each part of speech results in 강 for nouns, 곤 for pronouns, 산 for numerals, 항 for verbs, 항 for adjectives, 적 for determiners, 갈 for adverbs, 란 for particles, and 강 for exclamations. Similarly, showing the results for the origins of words in terms of phonemes result in 갈 for native-Korean 강 for the Sino-Korean, and 항 for the hybrid word. This confirm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phoneme frequency by the position within the syllable, by part of speech, and by the origins of words. Second, the number of minimal pairs were measured. The ranking of phoneme pairs from highest to lowest was turned out to be as follows: /ㅅ/‒/ㅈ/ > /ㄱ/‒/ㅈ/ > /ㄱ/‒/ㅅ/ > /ㄱ/‒/ㅎ/ > /ㄱ/‒/ㅂ/ … /ㅆ/‒/ㅋ/ > /ㅉ/‒/ㅋ/ > /ㄸ/‒/ㅋ/ > /ㄹ/‒/ㅃ/ > /ㅃ/‒/ㅋ/ in the onset, /ㅏ/-/ㅗ/ > /ㅏ/-/ㅣ/ > /ㅏ/-/ㅜ/ > /ㅏ/-/ㅓ/ > /ㅗ/-/ㅜ/ … /ㅒ/-/ㅓ/ = /ㅒ/-/ㅟ/ > /ㅝ/-/ㅞ/ > ㅒ-ㅝ/ > /ㅒ/-/ㅞ/ = /ㅒ/-/ㅡ/ in the nucleus, /ㄴ/-/ㅇ/ > /ㄴ/-/ㄹ/ > /ㄴ/-/ㅁ/ > /ㄹ/-/ㅇ/ > /ㄱ/-/ㅇ/ … /ㄷ/-/ㄹ/ > /ㄴ/-/ㄷ/ > /ㄷ/-/ㅇ/ > /ㄷ/-/ㅂ/ > /ㄷ/-/ㅁ/ in the codas. However, this study compared the number of minimal pairs and frequency of occurrence by phoneme, and found that while high-frequency phonemes were largely associated with minimal pairs, there were phonemes that showe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results. They were generally phonemes that had differences in frequency according to the position within words or had high frequency of occurrence in a specific part of speech. As in frequency, there were differences based on the position within the syllable and by part of speech, and by the origins of words. By part of speech, /ㅅ/-/ㅈ/, /ㅏ/-/ㅗ/, and /ㄴ/-/ㅇ/ were the most frequent minimal pairs for nouns, /ㄱ/-/ㅈ/, /ㅓ/-/ㅗ/, /ㄱ/-/ㄴ/ for pronouns, /ㄴ/-/ㅅ/, /ㅐ/-/ㅗ/, /ㄱ/-/ㄴ/ for numerals, /ㅅ/-/ㅈ/, /ㅏ/-/ㅗ/, /ㄴ/-/ㅇ/ for verbs, /ㅅ/-/ㅈ/, /ㅏ/-/ㅓ/, /ㄴ/-/ㅇ/ for adjectives, /ㅅ/-/ㅈ/, /ㅏ/-/ㅣ/, /ㄴ/-/ㅇ/ for determiners, /ㅂ/-/ㅃ/, /ㅏ/-/ㅓ/, /ㄱ/-/ㅇ/ for adverbs, /ㄱ/-/ㄷ/, /ㅏ/-/ㅗ/, /ㄴ/-/ㄹ/ for particles, and /ㄴ/-/ㅈ/, /ㅏ/-/ㅓ/, /ㅁ/-/ㅇ/ for exclamations (in the order of onset, nucleus, and coda). By the origins of words, /ㅂ/-/ㅃ/, /ㅏ/-/ㅣ/, and /ㄷ/-/ㄹ/ were the most frequent minimal pairs for native-Korean, /ㅅ/-/ㅈ/, /ㅏ/-/ㅗ/, /ㄴ/-/ㅇ/ for the Sino-Korean, and /ㅅ/-/ㅈ/, /ㅏ/-/ㅣ/, /ㄴ/-/ㅇ/ for the hybrid word. Third, the changes in entropy of phoneme pairs were measured. The ranking of phoneme pairs from largest to smallest was turned out to be as follows: /ㅅ/-/ㅈ/ > /ㄱ/-/ㅅ/ > /ㄱ/-/ㅈ/ > /ㄱ/-/ㅎ/ > /ㄱ/-/ㅂ/ … /ㄴ/-/ㅃ/ > /ㅉ/-/ㅋ/ > /ㄸ/-/ㅋ/ > /ㅃ/-/ㅋ/ > /ㄹ/-/ㅃ/ in the onset, /ㅏ/-/ㅗ/ > /ㅏ/-/ㅣ/ > /ㅏ/-/ㅓ/ > /ㅏ/-/ㅜ/ > /ㅗ/-/ㅜ/ … /ㅒ/-/ㅓ/ > /ㅒ/-/ㅙ/ > /ㅒ/-/ㅝ/ > /ㅒ/-/ㅞ/ = /ㅒ/-/ㅡ/ in the nucleus, /ㄴ/-/ㅇ/ > /ㄴ/-/ㄹ/ > /ㄴ/-/ㅁ/ > /ㄹ/-/ㅇ/ > /ㄱ/-/ㅇ/ … /ㄷ/-/ㄹ/ > /ㄴ/-/ㄷ/ > /ㄷ/-/ㅇ/ > /ㄷ/-/ㅂ/ > /ㄷ/-/ㅁ/ in the codas. This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changes in entropy and the raw count of minimal pairs and found very high correlations, with r = 0.999 for onsets, r = 0.998 for nucleus, and r = 1.000 for codas. The results were quite similar despite differences in the two methods of calculating the trends of phonemic contrasts. On the other hand, measurements of average changes in entropy of phonemes indicated that the ranking of phoneme from largest to smallest was /ㄱ/ > /ㅈ/ > /ㅅ/ > /ㅂ/ > /ㅎ/ … /ㄲ/ > /ㅆ/ > /ㄸ/ > /ㅋ/ > /ㅃ/ for onsets, /ㅏ/ > /ㅗ/ > /ㅣ/ > /ㅜ/ > /ㅓ/ … /ㅝ/ > /ㅢ/ > /ㅙ/ > /ㅞ/ > /ㅒ/ for nucleus, and /ㄴ/ > /ㅇ/ > /ㄹ/ > /ㄱ/ > /ㅁ/ > /ㅂ/ > /ㄷ/ for codas. This study measured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changes in entropy of phonemes and its frequency, and found very high correlations, with r=0.923 for onsets, r=0.963 for nucleus, and r=0.940 for codas. However, to measure functional load in a single language, that is, the extent to which the phoneme or phonemic contrasts are involved to differentiate meaning,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method of utilizing changes in entropy, which reflect both occurrence frequency and positioning, was more appropriate. This study analyzed the pronunciation of the Korean language using diverse methods, thereby broadly examining the distributional trends and trends of contrast shown by Korean phonemes when they are used to form words. Data presented in this study are sourced from the largest amount of data and the most diverse methodologies among quantitative studies of Korean phonemes till date. As such, data from this study could be used as reliable data in various fields of linguistics that require quantitative data. Therefore, it is hoped that this study marks the beginning of expanding the domain of quantitative research in the field of Korean phonemics. 본 연구는 한국어 표준 발음에 대한 계량언어학적인 연구로 한국어의 어휘부를 구성하는 음소의 빈도와 음소 대립이 사용되는 양상을 계량적 방법으로 연구하여 음소의 언어학적 특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계량언어학이란 언어 사실에 대한 충분한 양의 자료를 바탕으로 언어학적 관점에서 특정 언어 현상을 해석하는 분야이다. 계량적 연구는 한 언어 체계에서 발생하는 빈도 차이가 무의미하고 우연한 것이 아니라 언어 보편적인 원리와 언어 개별적인 구조가 반영된 결과라는 점에 기초한다. 그럼으로써 계량적 연구는 질적 연구와 상호보완적인 가치를 갖고, 언어 연구의 여러 분야에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음소 출현 빈도를 산출하고, 음절 내 위치별, 품사별, 원어별 빈도의 차이에 대해 논의하였다. 또한 최소대립쌍의 개수와 엔트로피 변화의 측정을 통하여 음소 대립이 사용되는 양상을 분석하였다. 음소 대립 양상에 대한 연구는 음소 빈도에 대한 연구 못지않게 중요한 음운론의 하위 분야이지만 종합적으로 연구된 바가 없다. 이에 대한 연구는 기본적으로 사전을 통해서 이루어져야 하지만 사전의 분석은 방대한 작업이기에 현실적 어려움으로 인해 연구가 이루어지기 쉽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우리말샘』의 표제어 발음을 자료로 삼아 한국어 표준 발음에 대한 계량언어학적 연구를 하였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음소 출현 빈도를 산출한 결과, 초성은 /ㄱ/ > /ㅈ/ > /ㅅ/ > /ㅎ/ > /ㅂ/ … /ㅆ/ > /ㅌ/ > /ㄸ/ > /ㅋ/ > /ㅃ/ 순, 중성은 /ㅏ/ > /ㅣ/ > /ㅜ/ > /ㅗ/ > /ㅓ/ … /ㅝ/ > /ㅢ/ > /ㅙ/ > /ㅞ/ > /ㅒ/ 순, 종성은 /ㅇ/ > /ㄴ/ > /ㄹ/ > /ㄱ/ > /ㅁ/ > /ㅂ/ > /ㄷ/ 순으로 높았다. 각 품사에서 초성, 중성, 종성별로 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음소를 사용하여 음절을 만들면 명사는 ‘강’, 대명사는 ‘곤’, 수사는 ‘산’, 동사는 ‘항’, 형용사는 ‘항’, 관형사는 ‘적’, 부사는 ‘갈’, 조사는 ‘란’, 감탄사는 ‘강’이 되었다. 같은 방식으로 원어 정보에 따른 결과를 음절로 나타내면 고유어는 ‘갈’, 한자어는 ‘강’, 혼종어는 ‘항’이었다. 이를 통해 품사별, 원어별로 각기 다른 발음상의 특징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최소대립쌍의 개수를 센 결과, 초성은 /ㅅ/‒/ㅈ/ > /ㄱ/‒/ㅈ/ > /ㄱ/‒/ㅅ/ > /ㄱ/‒/ㅎ/ > /ㄱ/‒/ㅂ/ … /ㅆ/‒/ㅋ/ > /ㅉ/‒/ㅋ/ > /ㄸ/‒/ㅋ/ > /ㄹ/‒/ㅃ/ > /ㅃ/‒/ㅋ/ 순, 중성은 /ㅏ/-/ㅗ/ > /ㅏ/-/ㅣ/ > /ㅏ/-/ㅜ/ > /ㅏ/-/ㅓ/ > /ㅗ/-/ㅜ/ … /ㅒ/-/ㅓ/ = /ㅒ/-/ㅟ/ > /ㅝ/-/ㅞ/ > ㅒ-ㅝ/ > /ㅒ/-/ㅞ/ = /ㅒ/-/ㅡ/ 순, 종성은 /ㄴ/-/ㅇ/ > /ㄴ/-/ㄹ/ > /ㄴ/-/ㅁ/ > /ㄹ/-/ㅇ/ > /ㄱ/-/ㅇ/ … /ㄷ/-/ㄹ/ > /ㄴ/-/ㄷ/ > /ㄷ/-/ㅇ/ > /ㄷ/-/ㅂ/ > /ㄷ/-/ㅁ/ 순으로 많았다. 최소대립쌍의 개수와 음소의 출현 빈도를 비교해 본 결과 출현 빈도가 높은 음소는 대체로 최소대립쌍도 많이 만들었지만 차이를 보이는 음소들도 상당수 발견되었다. 이에 해당하는 음소들은 주로 단어 내 위치별로 출현 빈도에 차이를 보이거나 특정 품사에서 출현하는 빈도가 높은 것이었다. 또한 품사와 원어별로 최소대립쌍을 분석해 본 결과 다른 특징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품사별로 최소대립쌍이 가장 많은 음소 쌍은 초성, 중성, 종성의 차례대로 명사는 /ㅅ/-/ㅈ/; /ㅏ/-/ㅗ/; /ㄴ/-/ㅇ/, 대명사는 /ㄱ/-/ㅈ/; /ㅓ/-/ㅗ/; /ㄱ/-/ㄴ/, 수사는 /ㄴ/-/ㅅ/; /ㅐ/-/ㅗ/; /ㄱ/-/ㄴ/, 동사는 /ㅅ/-/ㅈ/; /ㅏ/-/ㅗ/; /ㄴ/-/ㅇ/, 형용사는 /ㅅ/-/ㅈ/; /ㅏ/-/ㅓ/; /ㄴ/-/ㅇ/, 관형사는 /ㅅ/-/ㅈ/; /ㅏ/-/ㅣ/; /ㄴ/-/ㅇ/, 부사는 /ㅂ/-/ㅃ/; /ㅏ/-/ㅓ/; /ㄱ/-/ㅇ/, 조사는 /ㄱ/-/ㄷ/; /ㅏ/-/ㅗ/; /ㄴ/-/ㄹ/, 감탄사는 /ㄴ/-/ㅈ/; /ㅏ/-/ㅓ/; /ㅁ/-/ㅇ/이었다. 그리고 원어별로 최소대립쌍이 가장 많은 음소 쌍은 고유어는 /ㅂ/-/ㅃ/; /ㅏ/-/ㅣ/; /ㄷ/-/ㄹ/, 한자어는 /ㅅ/-/ㅈ/; /ㅏ/-/ㅗ/; /ㄴ/-/ㅇ/, 혼종어는 /ㅅ/-/ㅈ/; /ㅏ/-/ㅣ/; /ㄴ/-/ㅇ/이었다. 셋째, 음소 쌍의 엔트로피 변화를 측정한 결과, 초성은 /ㅅ/-/ㅈ/ > /ㄱ/-/ㅅ/ > /ㄱ/-/ㅈ/ > /ㄱ/-/ㅎ/ > /ㄱ/-/ㅂ/ … /ㄴ/-/ㅃ/ > /ㅉ/-/ㅋ/ > /ㄸ/-/ㅋ/ > /ㅃ/-/ㅋ/ > /ㄹ/-/ㅃ/ 순, 중성은 /ㅏ/-/ㅗ/ > /ㅏ/-/ㅣ/ > /ㅏ/-/ㅓ/ > /ㅏ/-/ㅜ/ > /ㅗ/-/ㅜ/ … /ㅒ/-/ㅓ/ > /ㅒ/-/ㅙ/ > /ㅒ/-/ㅝ/ > /ㅒ/-/ㅞ/ = /ㅒ/-/ㅡ/ 순, 종성은 /ㄴ/-/ㅇ/ > /ㄴ/-/ㄹ/ > /ㄴ/-/ㅁ/ > /ㄹ/-/ㅇ/ > /ㄱ/-/ㅇ/ … /ㄷ/-/ㄹ/ > /ㄴ/-/ㄷ/ > /ㄷ/-/ㅇ/ > /ㄷ/-/ㅂ/ > /ㄷ/-/ㅁ/ 순으로 컸다. 엔트로피 변화와 최소대립쌍의 절대수치 사이의 상관계수를 구한 결과 초성은 r=0.999, 중성은 r=0.998, 종성은 r=1.000으로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음소의 대립 양상을 계산하는 두 방법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결과가 거의 같았다. 한편 음소의 평균 엔트로피 변화를 측정한 결과, 초성은 /ㄱ/ > /ㅈ/ > /ㅅ/ > /ㅂ/ > /ㅎ/ > … /ㄲ/ > /ㅆ/ > /ㄸ/ > /ㅋ/ > /ㅃ/ 순, 중성은 /ㅏ/ > /ㅗ/ > /ㅣ/ > /ㅜ/ > /ㅓ/ … /ㅝ/ > /ㅢ/ > /ㅙ/ > /ㅞ/ > /ㅒ/ 순, 종성은 /ㄴ/ > /ㅇ/ > /ㄹ/ > /ㄱ/ > /ㅁ/ > /ㅂ/ > /ㄷ/ 순으로 컸다. 음소의 엔트로피 변화와 출현 빈도 사이의 상관계수를 구한 결과 초성은 r=0.923, 중성은 r=0.963, 종성은 r=0.940으로 높은 편이었다. 하지만 한 언어에서 음소 또는 음소의 대립이 단어의 의미 구별에 관여하는 정도인 기능부담량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출현 빈도와 출현 위치가 모두 반영된 엔트로피 변화를 이용한 방식이 더 적합하다고 본다. 이상으로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의 표준 발음을 다양한 방법으로 분석하여 한국어의 음소들이 단어를 형성할 때 보이는 분포적, 대립적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그 일단을 알아볼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자료들은 지금까지 있었던 한국어 음소의 계량적 연구 중 가장 큰 자료를 대상으로 가장 다양한 방법론을 적용해 뽑은 결과물이다. 따라서 이 자료는 계량적 정보가 필요한 언어 연구의 각 분야에서 신뢰할 만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가 한국어 음운론 분야에서 계량적 연구의 영역을 넓히는 계기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조선 후기 장편소설 속 군담 연구

        서정현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07

        본고에서는 조선 후기의 장편소설 전반에 나타난 창작 군담의 양상을 종합적으로 살피고 그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장편소설의 군담은 작품 전반의 주제의식이나 핵심적인 갈등과는 거리가 있는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하지만 군담의 본질이 소설 장르의 핵심이기도 한 갈등에 있는 점, 대다수의 장편소설이 군담을 삽입하고 있으며 종종 단편 군담소설보다 훨씬 핍진한 서술과 다양한 해석 층위를 보이는 점, 소설사적으로 장편소설에서 단편 군담소설로 이어졌을 가능성이 제시되는 점은 간과할 수 없다. 장편소설 군담에 대한 주목은 비단 그것의 전모를 밝히는 데 그치지 않고, 주로 단편 군담소설을 중심으로 논의되어 온 고전소설 군담의 실체를 보다 분명히 밝히는 작업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가질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장편소설의 군담의 전체 윤곽과 그 특징을 분명하게 파악한 다음, 이를 단편 군담소설과 비교 검토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확인함으로써, 새로운 논의의 흐름을 여는 단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논의를 위해 장편소설의 창작과 유통 시기를 17·18·19세기의 셋으로 구분하고, 각 시기별로 군담이 본격화되거나 중요한 의미를 갖는 장편소설 작품들을 선정하였다. 17세기의 <창선감의록>, <소현성록>, 18세기의 <완월회맹연>, <성현공숙렬기>·<임씨삼대록> 연작, <쌍천기봉>, 19세기의 <옥루몽>, <하진양문록>, <삼한습유>의 10편의 작품을 본격적인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2장의 예비적 고찰은 크게 둘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우선 장편소설 군담의 형성 배경을 크게 전란의 체험과 대내외 전쟁관련 문헌의 영향의 두 측면에서 살폈다. 그 결과, 장편소설 군담의 형성은 전란의 체험으로 배태된 화이론을 위시한 당대 지배층의 대외인식과, 사서류 및 소설류를 비롯한 대내외 전쟁관련 문헌의 영향력이 교합한 결과로 해석된다. 다음으로 장편소설 군담의 구체적인 분석 기준을 설정하였다. 군담의 개념을 ‘영웅의 군사적 활약을 서술하는, 작중 서사의 구성 단위’로 정의하고, 여기서 핵심이 되는 세 가지 개념인 ‘영웅’, ‘군사적 활약’, ‘서사의 구성 단위’에 주목하여, 군담의 분석 기준을 ‘작중 서사 속 성격과 기능’, ‘등장인물의 성격과 상호 갈등 구도’, ‘군사적 대결의 유형과 서술 방식’의 세 가지로 삼았다. 이상의 기준들에 따라, 3장부터 5장에서는 본격적인 장편소설 군담의 분석을 진행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3장에서는 17세기의 장편소설 <창선감의록>과 <소현성록>의 군담을 분석하였다. 작중 서사 속 성격과 기능에서, 군담은 이민족을 제압한다는 내용을 중심으로, 작중 중심이 되는 서사의 유발과 지연, 해결 등의 중요한 계기를 제공한다. 이는 서사 내에서 국면 전환의 기능을 지닌다. 인물 형상과 상호 갈등 구도에서는 주인공의 위상이 절대화되고 적대자의 위상은 극히 축소되는 양상을 통해, 지배이념에 따른 선악대립이 극대화되고 있다. 부분적으로 여성영웅의 형상에 가까운 인물들을 등장시키기도 하였으나 일정한 한계를 보인다. 군사적 대결 유형과 서술 방식에서는 병법전이 무술전·도술전보다 부각되면서 사실적·합리적인 경향성이 강조되는 한편, 후대의 장편소설만이 아닌 다른 고전소설 전반에 나타나는 창작 군담의 정형화된 양식이 이 시기에 이미 성립되었음이 확인된다. 4장에서는 18세기의 장편소설 <완월회맹연>, <성현공숙렬기>·<임씨삼대록> 연작, <쌍천기봉>의 군담을 분석하였다. 작중 서사 속 성격과 기능에서, 작품들은 이민족만이 아닌 중국 내부의 반란자들와 대결하는 내용을 그리는 한편, 작중 전개의 중심이 되는 서사와 밀착하면서 서사적 긴장을 고조시키는 양상을 보인다. 인물 형상과 상호 관계·갈등 구도에서는, 17세기와는 달리 주인공의 일방적 승리를 그리지 않고 적대자의 형상과 발화가 강화되는 점, 음조형 여성영웅의 등장 등 중세적 지배이념과 질서의 절대적 우위가 흔들리고 있음이 확인된다. 군사적 대결 유형과 서술 방식에서는 무술전‧도술전 유형이 강화되면서 허구적·환상적인 성격이 두드러지는 한편, 세밀화된 묘사와 장면의 반복을 통한 서술 분량의 비약적인 확대가 드러난다. 5장에서는 19세기의 장편소설인 <옥루몽>, <하진양문록>, <삼한습유>의 군담을 분석하였다. 작중 서사 속 성격과 기능에서는 이제 군담 자체가 작중의 중심 서사로서 기능하는 한편, 개인 차원의 문제가 이전 시기들보다 부각된다. 인물 형상과 상호 관계·갈등 구도에서는 주인공의 성격 변화와 적대자의 입체적 형상, 여성영웅 형상의 일반화 등이 두드러지면서, 지배이념의 균열을 보다 크게 보여준다. 군사적 대결 유형과 서술 방식에서는 군담 자체의 편폭 확대와 함께 병법전, 무술전, 도술전이 모두 강조되면서, 사실성과 환상성이 교합하고 있다. 또한 세부적인 서술과 전개 방식의 형상화에서 다양한 시도를 행함으로써 파격적이면서도 개성적인 면모가 드러난다. 6장에서는 장편소설과 단편 군담소설의 군담을 서로 비교 검토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서사 내적 기능의 측면을 보면, 단편 군담소설의 군담은 전체 서사의 대단원에 이르는 종결의 기능에 치중한다. 반면 장편소설의 군담은 종결의 기능만이 아니라, 갈등의 유발과 지연, 대비 등 매개로서의 기능 또한 아우르면서 다양화되고 있다. 인물의 성격과 갈등 구도의 측면을 보면, 두 작품군 모두 지배이념을 수호·고수하는 데 있어서는 서로 유사한 면모를 보인다. 하지만 균열·반발의 양상을 드러냄에 있어서는 단편 군담소설이 장편소설에 비해 직설적이고 파격적인 반면, 장편소설에서는 보다 세심한 차원의 문제인식과 고찰이 드러나고 있다. 군사적 대결의 측면을 보면, 단편 군담소설의 군담은 복잡한 전개와 서술을 가급적 생략하는 단순명쾌한 진행을 중시한다. 반면 장편소설의 군담은 승패의 향방을 쉽게 가르지 않고 지연시키면서 다양한 인물과 사건, 요소들을 군담에 개입시키고 서술의 문식적 요소를 중시하는 면모를 드러내고 있음이 확인된다. 7장에서는 앞의 장절들에서 분석한 장편소설 군담의 양상을 토대로, 그것이 갖는 소설사적 의미를 정리하고자 하였다. 첫째로 장편소설의 군담은 주인공의 출정을 통해 작중 서사공간을 이동‧확장시키며, 이를 통해 소설의 서사문법을 한층 다양화한다. 둘째로 장편소설의 군담은 상류계층을 중심으로 한 소설 향유층의 지배이념의 문제가, 작품별‧세기별에 따라 어떻게 인식되고 변화되어 갔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셋째로 장편소설의 군담은 장편화에 기반한 여러 기법적 시도를 통해, 다양하면서도 개성적인 군사적 대결을 형상화하면서 흥미를 제고하며, 이는 소설 향유층의 기대지평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넷째로 장편소설과 단편 군담소설은 군담의 형상화에 있어 서로 상당한 영향을 주고받고 있었음이 확인된다. 17·8세기까지는 군담소설 형성과 성행의 원천 중 하나로 작용하였다면, 19세기부터는 서로 발전적인 방향으로 견인한 것으로 보인다. 본고의 논의를 통해, 장편소설의 군담이 통념과는 다른 진지한 문제의식을 함의한다는 점, 그러면서도 군담의 가장 주요한 특징인 흥미 유발의 형식으로서 그 기능을 극대화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장편소설 군담이 단편 군담소설과 교섭하면서 발전적으로 상호 견인하였음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여러 작품을 종합하여 논의하는 과정에서 중국에서 유입된 서사문학과의 상호관계성, 그리고 단편 군담소설만이 아닌 타 작품군과의 상호관계성에 대해서는 제한적으로 고찰한 한계가 있었다. 본고에서 다룬 바 외에도, 해당 작품군에 속하는 보다 다양한 작품들을 구체적인 논의의 대상으로 살피거나, 혹은 개별 작품론의 영역에서 한층 심도 있는 연구가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추후의 과제로 남긴다. In this paper, we trie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Changjak Kundam(創作 軍談; creative military story) of the Korean full-length novels in the late Joseon novels. It has been recognized that Kundam(軍談; military story) of the full-length novel is far from the subject consciousness or core conflict of the whole narrative. However, it is the important fact that the essence of Kundam is the core of the novel genre, most of the full-length novels including the Kundam and often showing a richer narrative and a variety of interpretation levels than the short military novels, and the possibility of the novel might have led to a short war novels from the full-length novels. The attention to Kundam of the full-length novel is not only to reveal the whole of it, but it will have an important meaning to clarify the realities of the classical novels which have been discussed mainly in short war novels. The time of creation and distribution of the Korean full-length novel is divided into three periods of the 17th, 18th, and 19th centuries, and the cases where Kundam of novels is important in each period are selected. The novels for the research are, <Changseongamuirok(彰善感義錄)> and <Sohyonsongrok(蘇賢聖錄)> of the 17th, <Wanwolhyemaengyeon(玩月會盟宴)>, <Seonghyungongsookryeolgi(聖賢公淑烈記)>·<Imssisamdaerok(林氏三代錄)> series, and <Ssangcheongibong(雙釧奇逢)> of the 18th, and <Okrumong(玉樓夢)>, <Hajinyangmoonrok(河陳兩門錄)>, and <Samhanseubyoo(三韓拾遺)> of the 19th. The preliminary consideration of Chapter 2 was divided into two parts. First, we examined the background of the formation of Kundam of full-length novels, from two aspects of the experience of the wars and the influence of Korea and Chinese war documents. As a result, As a result, the formation of Kundam of full-length novels is seen as a result of the external perception of the ruling class, and the influences of Korea and Chinese war documents including history and novels. Second, we set the analysis standard of the novel. The concept of Kundam is defined as 'the component of narrative, which describes the military activities of the hero'. The criterion of analysis of military affairs is set as 'function in the narrative', 'characters and conflict aspects', and 'type and narrative method of military confrontation'. Based on the above criteria, Chapters 3 through 5 analyzed Kundam of full-length novel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Chapter 3, we analyze <Changseongamuirok> and <Sohyonsongrok>, the 17th century full-length novels. In the function in the narrative, Kundam provides important occasions such as induction, delay, and resolution of narrative that is centered in the novels, mainly focusing on suppressing the ethnic countries. This has the function of transitioning from narrative to narrative. In the characters and conflict aspects, the aspects of the protagonists are maximized and the antagonists are minimized, and then the conflict between good and evil is maximized according to the ideology of domination. Some of the characters that are close to the female heroes have appeared, but they show certain limitations. In the type and narrative method of military confrontation, Byeongbeopjeon(兵法戰; the strategy-battle) appears more often than Musuljeon(武術戰; the martial arts-battle) and Dosuljeon(道術戰; the magic-battle), emphasizing realistic and reasonable tendencies. It is also confirmed that the stereotypes of Changjak Kundam appearing throughout the classical novels have already been established at this time. In Chapter 4, we analyze <Wanwolhyemaengyeon>, <Seonghyungongsookryeolgi> ·<Imssisamdaerok> series, and <Ssangcheongibong>, the 18th century full-length novels. In the function in the narrative, Kundam depict the confrontation with the insurgents inside China, not just the ethnic countries. On the other hand, it closely coalesces with the narrative which is the center of the development of the narrative, and shows a tendency to increase the narrative tension. In the characters and conflict aspects, unlike the 17th century, it is confirmed that the absolute superiority of medieval dominant ideology and order, such as the strengthening of the shape and the utterance of the antagonists and the emergence of a female hero, is not shaken without drawing the unilateral victory of the protagonists. In the type and narrative method of military confrontation, as Musuljeon and Dosuljeon types are strengthened, the fictitiousness and fantasy are prominent. It also reveals a dramatic enlargement of narrative content through detailed repetition and scene repetition. In Chapter 5, we analyze <Okrumong>, <Hajinyangmoonrok>, and <Samhanseubyoo>, the 19th century full-length novels. In the function in the narrative, the Kundam itself functions as the central narrative of the novels, while the problem of the individual dimension becomes more prominent than the novels of the previous periods. In the characters and conflict aspects, the chang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tagonists and the antagonists, and the generalization of the female heroes form are outstanding, showing a larger crack of the dominant ideology. In the type and narrative method of military confrontation, the enlargement of Kundam is emphasized both in Byeongbeopjeon, Musuljeon, and Dosuljeon. Thus, realistic tendencies and fantasy are interwoven. In addition, various attempts are made in the form of detailed narrative and development methods, revealing an unconventional and unique aspect. In chapter 6, we studied the comparison between the full-length novels and the short military novels. In the function in the narrative, Kundam of the short military novels focus on the function of the ending to the whole narrative. On the other hand, Kundam of the full-length novels are diversified not only by the function of the closing but also by the function of mediation such as induction, delay and contrast of conflict. In the characters and conflict aspects, Both Kundam is similar in terms of protecting and adhering to the ideology of domination. However, in revealing the aspect of cracking and repulsion, Kundam of the short military novels is more direct and extraordinary than the short story, whereas Kundam of the full-length novels reveals more detailed problem recognition and consideration. In the type and narrative method of military confrontation, Kundam of the short military novels focuses on a simple and clear process that skips complex development and narration as much as possible. On the other hand, it can be seen that Kundam of the full-length novels delayed the direction of victory and defeat, revealing the various characters, events, and elements involved in the military affairs and emphasizing the literary elements of narrative. In chapter 7, we tried to summarize the fictional meaning of the novel based on the aspect of the novel. First, Kundam of the full-length novels moves and expands the narrative space through the opening of the protagonists, thereby further diversifying the narrative grammar of the novel. Second, the novel of the long novel enables us to identify how the issue of the ideology of the readers centered on the upper class was perceived and changed according to the novels and the period. Third, Kundam of the full-length novels increase the interest of the military by forming diverse and unique military confrontations through various legal attempts based on the full-length novelization. This is closely related to the expected horizon of the novel readers. Fourth, Kundam of the full-length novels and the short military novels were influenced by each other. Until the 17th and 18th centuries, Kundam of the full-length novels served as one of the sources of formation and prosperity of the short military novels, but they seem to have led to a developmental trend from the 19th century. Through the discussion of this paper, we confirmed that Kundam of the Korean full-length novels implies a serious problem consciousnes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one, and maximizes its function as the form of interest induction, which is the most important feature of Kundam. Furthermore, it was seen that Kundam of the full-length novels were trained mutually while negotiating with the short military novels. However, in the process of collecting and discussing various novels, there was a limitation in examining the relevance of the novel in China and the relation with other Korean novels, not only the short military novels. In addition to the works dealt with in this paper, more diverse works should be examined as objects of concrete discussion, or more in-depth research should be attempted in the field of individual novels. This is left as a future task.

      • 임화 시 연구 : 임화 시에 나타난 비역사성을 중심으로

        김학중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07

        This study revisits the poems of Hwa Lim, focusing on the poet's idea of dehistoricity. It aims to consider the significance of his such attempts. The term 'dehistoricity' indicates an aspect of historicity that the existing historicism has neglected. As a member of KARF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Lim was deeply involved in the internationalist circle while leading the Bolsheviki movement. He was also related to Namro party after the 1945 Liberation. The biographical background has led scholars to read his poem within the frame of Marxism. As a critical response to the consensus, this study attempts to focus on the dehistorical aspect of Lim's poems, rather than the historical aspect. In doing so, it finds out the way in which the idea is characterised. The study calls for a delicate approach to Lim's poems, as the dehistorical mode are not presented consistently but only temporally. It is manifest when the poet tries to embody the revolutionary universality in his writing while maintaining a poetic consideration that complicates the internal structure of his poems at the same time. To investigate further, the study critically examines recent arguments in Neo Colonialism and introduces some accounts on the non-western literature as well as discourses on historical research. Though less renowned than other critics in historical scholarship, a newly-emerging group of scholars such as Dipesh Chakrabarty and Robert J. C. Young provides a useful tool to approach the non-western studies as they criticise the limits of the current postcolonial studies and succeed the tradition by that means. Their contribution is crucial as they seek to maintain the liberating aspect of Marxist criticism by criticising the Marxist view of historicism. Both Chakrabarty and Young discuss the way in which the non-west emphasises the idea of 'being present'. They argue that the non-west has existed as a historical subject simultaneously with each age, rather than merely following the historical progress of the West. In other words, they examine how a dehistorical mode can overturn the power of historicism by pointing out how historicism has excluded the non-West in the past. Moreover, their theory neither refuses nor deconstructs the established methodologies in philosophy including Western historicism; rather, their argument is articulated via the Western notion of historicism, and from there, they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non-West. As their approach appropriates the Western theories and yet can surface the points that Western theories fail to present, this study also paves a way into the dehistorical aspects of Lim's poems by taking the non-Western methodologies by revisiting the ideas of Walter Benjamin, Jacques Derrida and Giorgio Agamben. Chapter Ⅱ discusses the urgency of 'being present' that is opened up by the postal characteristics and the allusion to the dehistoricity created by the absence of Minjung -a Korean word that refers to people- in Lim's poems. The short narrative poems, which are now acknowledged as Lim's most notable achievement, were the works created by his conception of accidentality. Through the form of letters, the poems bear a postal significance. Postality is Derrida's term, which refers to a phenomenon that the word created by a speaker's illocutionary act becomes pluralised when it is expressed in the form of writing. The result of this is the impossible arrival of the speaker's words, that is, the post, and the plurality of the post. The chapter argues that, in Lim's poems, both the plurality and impossibility are embodied as a new possibility for a bond beyond the limits of Marxist internationalism. Also, the uncertainty of where the post is from and who the receiver is as well as the impossibility of reception, which is prevalent in Lim's poems, make the revolutionary possibility exist as a potential condition; the possibility 'never arrives' in Derrida's words unless it is embodied through the urgency of being present. Furthermore, the postality is illustrated as narration or dictation. In Lim's short narrative poems, narration appears as an oral expression that enables the revolutionary possibility as mediating different subjects. The chapter discusses that the tendency is represented as Lim pursued by syncing words with an action of a subject. It argues that presenting the sync as an essential condition of a subject was one of the poet's remarkable achievements in the short narrative poems. In chapter Ⅲ, Lim's sea poems are revisited. The chapter explores the way in which the oceanic imagination and the modes of liquidity are embodied in the internal structure of his poem 'the Pacific'. The existing studies have failed to clarify the significance of the Pacific despite the image that the poem constantly manifests through the expression of calling. The chapter suggests reading the sea of return and the sea of exile, pointing out the poet's direct calling of the names of the sea. Through the calling, the two seas are internally represented within the structure of the poem. It discusses how the two allude to dehistoricity in Lim's poem. Also, it argues the very calling of the name 'the Pacific' presents dehistoricity as a mode of now. The visualised, presented sea of dehistoricity deconstructs the Oceanic imagination that bases the idea of imperialism and modernity. The chapter discusses the way in which Lim's dehistorical sea radicalises the universality embedded in the Oceanic imagination through the lens of the non-west. It aims to elucidate the idea of liquidity that runs through Lim's radical sea model. Chapter Ⅳ looks at how the notion of liquidity makes the subjects in the dehistoricity present and visualise the urgency of being present in front of the reader today. Though subtly, Lim was aware of the liquidity from his early years of career. This study argues that his awareness becomes more radicalised as the notion of fluidity -which is represented in the revolutionary modes in his poems- moves onto that of liquidity. Anonymity, present via postality, is posited in the dehistorical dimension at its base in Lim's poems. Through the idea of liquidity, Lim visualises the anonymity of the namelessness and bare life that are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oletariat. Deep down under the sea poems, discussed in Chapter two, there is dehistoricity based on liquidity. In this sense, Lim's sea poems deconstruct the Oceanic imagination and clarify the essential horizon of radicalisation at the same time by locating liquidity in the base of the radicalisation. The chapter argues that Lim visualises dehistoricity here at present. Chapter Ⅴ revisits Lim's post-1945 poems and investigates what kind of relation the callings and instigation have with the expression of mourning. It argues that Lim summons the names of nameless proletariats via the mode of death, and in doing so, problematises the urgency of being present again after the Korean liberation. It also argues that such mourning is also the poet's criticism on Neo Colonialism, which was being accelerated in the post 1945 South Korea. The rhetorics of propaganda poems are considered in relation to Paracia. The turbulent decades in South Korea after liberation witnessed the failure of the historicist project and the rapid rise of Neo Colonialism, which Lim critically considered since the ontological condition of proletariats remained the same. The chapter explores how Lim performs Paracia by problematising such circumstances. Lim attempts to stage the absence of the universality of revolution, which the Marxist historicist project failed to present. To argue this, the chapter explores the way in which Lim's poems rhetorically lack the aesthetic aspects and perform the illocutionary act that might appear as propaganda. The dehistoricity of the proletariats are centred in Lim's poetic consideration after the Korean liberation. In conclusion, dehistoricity was the ultimate horizon that Lim sought after regardless of his intent while problematising the notion. The reader today can understand the subject based on dehistoricity is neither ruled by historicism nor completely excluded outside the history by the universal historicism. We, the ones without history, are not controlled. We present as those who halt the history in the place of absence, which appears inevitably as the historicists write the history of ruling us. The presence is always the presence of now. Being present, the power of now and the name of a nameless one speak in front of us by reticence. They are always here, now, in the mode of dehistoricity. Lim's poems visualise the possibility in the Korean modern literary history. 본고는 임화의 시에 나타나는 비역사성에 대한 사유를 중심으로 임화 시를 재독해하고 이것이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 규명하는 작업이다. 여기서 비역사성이란 역사주의가 배제한 역사성의 차원을 가리키는 개념이다. 임화는 일제강점기 하에서 카프(KARF)의 맹원으로 프롤레타리아트 국제주의 전선에 깊이 관여하였으며 카프의 서기장으로 활동하며 볼세비키화에 앞장 선 바 있다. 해방 후에는 남로당에 관여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임화의 면모로 인해 임화 시에 대한 연구는 마르크스주의가 내재하고 있는 역사주의적 관점의 영향권 내에서만 독해되어 왔다. 본고는 임화 시에 역사주의적 태도 이외에 비역사성이 나타나는 측면에 주목하여 이러한 비역사성이 어떤 특성을 보이고 있는지 밝히려고 하였다.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임화 시에 나타난 비역사성에 대한 신중한 접근법이 요구되었다. 왜냐하면 임화 시에서 이러한 비역사성은 임화가 혁명적 보편성을 시적으로 구현하려고 하면서도 그러한 작업을 내적으로 동요시키는 시적 사유를 수행할 때 그 시 작품 내에서 일시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분석을 위해 본고는 최근의 신식민주의 비판과 비서구 문학과 역사 연구의 담론을 경유하는 작업을 수행했다. 디페시 차크라바르티와 로버트 영으로 대표되는 일군의 연구자들은 그 연구가 덜 알려진 편이지만 탈식민주의 연구의 한계를 비판 계승하면서 비서구이론 연구의 틀을 제공한 것으로 인정받고 있다. 특히 이들의 연구는 마르크스주의의 역사주의 관점을 비판하면서도 마르크스주의가 열어놓은 해방의 차원을 지켜나가는 방식을 찾아낸 데에 의의가 있다. 이들의 이론은 비서구가 서구의 역사적 발전을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당대의 동시적 역사 주체로 존재하고 있음을 논하면서 비서구가 ‘지금’의 차원을 강조해 왔음을 논한다. 이는 역사주의가 어떻게 당대의 비서구를 배제해왔는지 밝혀내면서 비역사성의 차원이 역사주의를 어떻게 전도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 논하고 있다. 더불어 이들의 이론은 서구의 역사주의를 비롯한 여러 철학적 방법론을 단순히 거부하거나 해체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경유하면서 그 이론들이 풀어내지 못한 비서구의 특성을 검토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여러 방법론적 경유지를 허락하면서도 서구 이론이 가시화하지 못하는 지점을 문제화하고 가시화하는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본고도 비서구 이론의 논의를 중심에 두고 벤야민, 데리나, 아감벤 등 여러 방법론적 경유지를 거쳐서 임화 시에 나타난 비역사성에 대한 논의를 풀어나갈 수 있었다. Ⅱ장에서는 임화의 단편서사시가 지닌 우편성으로 인해 열린 ‘지금’의 긴급성과 민중의 부재가 가리키는 비역사성의 환기에 대하여 논했다. 임화의 대표적 성취로 이해되는 단편서사시는 우연성의 차원을 통해 명명된 시 작업이었다. 이는 단편서사시가 취한 서간체 형식의 의해서 우편성으로 확장했다. 여기서 우편성이란 데리다가 도입한 개념인데, 발화자인 주체의 발화가 글쓰기를 통해 복수화되어 나타나는 현상을 말하는 개념이다. 이때에 발생하는 것은 우편물인 발화의 도착불가능성과 더불어 발화된 우편물의 복수성이다. 임화의 시에서는 이것이 1)마르스크주의 국제주의의 경계를 넘은 연대의 가능성으로 나타난다. 또한 2)발신지의 불명확성과 수신자의 불명확성 그리고 우편의 도착 불가능성이 나타나는데, 이를 통해 혁명적 가능성은 늘 잠재적으로만 주어지면서 ‘지금’의 긴급성을 통해 현재화하지 않으면 도착하지 않는 특성을 띠게 된다. 다음으로 임화 시에서 우편성은 3)이야기하기 또는 구술성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이야기하기는 단편서사시에서 다양한 주체들을 매게하면서 혁명적 가능성을 현재화는 언표행위로 기능하였다. 그것이 바로 임화가 추구한 주체의 근간이 말과 행위의 일치였음에 대해서도 논하였다. 본고는 이것이 임화가 단편서사시에서 성취한 진정한 성취임을 논하였다. Ⅲ장에서는 태평양을 중심으로 임화의 ‘바다시’를 재독해하면서 “태평양”의 내적 구조 속에 자리한 보편성인 대양적 상상력과 액체성의 지평을 가시화하는 작업을 했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임화가 꾸준히 시어로 활용하고 호명의 언표행위를 통해 지속적으로 환기하는 “태평양”의 의미를 규명해내지 못했다. 본고는 임화가 해양명의 직접적 호명을 통해 “태평양”이 내적 구조 안에 ‘귀환의 바다’와 ‘추방의 바다’가 있음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차원이 임화 시에서 비역사성을 환기하고 있음을 논했다. 또한 “태평양”이란 해양명을 호명하는 행위 그 자체를 통해 비역사성을 현재화하고 있음을 논했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가시화되고 현재화한 비역사성의 바다는 제국주의와 근대의 기저에 놓인 상상력인 대양적 상상력을 해체하고 대양적 상상력이 지닌 보편성을 비서구의 차원에서 급진화하는데 기여한다고 논하였다. 더불어 이러한 급진화의 기저에 액체성의 차원이 기반하고 있음을 밝혀냈다. Ⅳ장에서는 임화 시의 기저에 있는 액체성이 어떻게 비역사성 속에 놓여 있는 주체들을 현재화하고 ‘지금’의 긴급성을 우리 앞에 가시화하는지를 논의했다. 임화는 초기의 작업에서부터 이러한 액체성을 미묘하게나마 감지하고 있었는데 임화가 추구한 혁명성의 차원에서부터 나타나기 시작한 유동성이 액체화하면서 더욱 급진화한다고 보았다. 우편성을 경유해 나타난 익명성은 근본적으로 비역사성의 차원에 놓여 있었다. 이는 프롤레타리아트의 근본적 특징인 이름 없음과 몫 없음을 가시화하고 있었는데 임화는 이를 액체성을 통해 가시화하는 작업으로 나아갔다. Ⅱ장에서 다룬 ‘바다시’의 기저에는 액체성에 기반한 비역사성이 깔려 있었던 것이다. 그런 점에서 임화의 ‘바다시’는 한편으로는 대양적 상상력을 해체하면서 비서구적 차원에서 급진화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그 급진화의 기저에 액세성의 차원을 두어 급진화의 근본적 지평을 밝혀냈던 것이다. 이러한 지평을 통해서 임화는 비역사성을 ‘지금’ 여기에 가시화한다. Ⅴ장에서는 해방 후의 임화 시들을 재독해하고 시에 나타나는 구호와 선동성이 애도의 언표행위와 어떤 연관을 맺고 있는지에 대해 밝혔다. 애도의 언표행위는 이름 없는 자들인 프롤레타리아트의 이름을 죽음을 경유해 불러냄으로써 ‘지금’의 긴급성을 다시 한번 해방 이후의 상황에서 문제화하였음을 밝혔다. 특히 이러한 애도가 해방 이후 남한에서 가속화된 신식민주의에 대한 비판이었음을 논하기도 하였다. 이어서 선전선동시의 수사학이 파레시아와 연관이 있음을 논하였다. 해방 이후 격변기의 남한에서 역사주의적 기획이 실패하고 신식민주의가 급속화하면서 프롤레타리아트가 처한 존재론적 기반은 변하지 않았다는데 임화의 문제의식이 있었다. 임화는 바로 이 지점을 문제화하는 방식으로 파레시아를 수행했다고 논하였다. 마르크스주의가 기반한 역사주의적 기획이 내세우는 혁명의 보편성의 부재를 나타나게 하는 것이었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 임화가 수사학적으로 미적 차원을 결여하고, 선전전동으로 보일 수 있는 언표행위를 수행했다는 것을 논하였다. 이를 통해 해방 이후에도 프롤레타리아트가 처한 비역사성의 차원이 임화 시의 중심적 시적 사유로 존재하고 있음도 논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본고는 임화가 문제화하고 있는 비역사성이 임화가 의도하지 않았지만 진정으로 추구한 지평이란 점을 논하였다. 이 논의를 통해 우리가 알 수 있는 것은 비역사성에 근거한 주체는 역사주의에 지배되지 않고 역사주의의 보편성에 의해 역사 바깥으로 완전히 배제되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우리는, 역사 없는 자들은 지배되지 않는다. 그들의 역사주의가 우리를 지배한 역사에 대해 쓰더라도 우리는 그 역사서술로 인해 나타나게 되는 부재의 자리에서 그 역사를 중지시키는 자들로서 나타난다. 그 나타남은 언제나 ’지금‘의 현존으로서 그들의 역사를 중지시킨다. 그들은 현존으로, 현재의 힘으로 자신의 이름으로 부재를 침묵으로 말함으로 인해 우리 앞에서 말한다. 그들은 비역사성 안에서 늘 지금 여기에 있다. 임화의 시가 바로 그러한 차원을 우리 근대문학사에 가시화한 것이다.

      • 한국어 조사 · 어미 결합형 명사에 대한 연구

        WANG SIYU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07

        In this paper, the phenomenon that Korean josa or ending take part in the noun formation was studied, which has not been a major issue in previous researches. In the case of noun formation system, compound nouns and derived nouns were mainly dealt with. However, it is also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josa or ending combined nouns, because they take a large portion of Korean nouns. In Korean, which is an agglutinative language, Josa and ending are distinctive as grammatical element participating in the formation of phrases. Furthermore, the case that they join into the word formation is also very common and very interesting. The nouns combined with josa or ending were studied in this paper, by focusing on this feature. In Section 1 and Section 2, firstly the concept, scope and types of Korean Josa or ending combined nouns were explicated. And then the specific aspects and formation of Korean Josa or ending combined nouns were mainly discussed. In Section 3, josa combined nouns were divided into types including 'genitive marker combined noun', 'locative marker combined noun' and 'auxiliary particle combined noun', and discussions of them were conducted correspondingly. For the genitive marker ‘ui’ combined noun, including the constitutions which were seen as unique names, jargon, idiomatic expressions in previous researches and the typical words, their aspects and method of word formation were studied. There are two main types of locative marker 'e' combined nouns. One is 'e' combined noun without 's' and the other is 'es' combined noun involving 's'. In the case of locative marker combined nouns, examples can be confirmed from Middle Korean. But it is reduced a lot until now. So its formation was discussed diachronically in this paper. 'Auxiliary particle combined nouns' were presented as three types of 'na-do ', 'neo-do', 'ye-do' and then their formations were discussed. In section 4, the ending combined nouns were divided into nominalizing ending ‘-(eu)m/gi’ combined nouns, adnominal ending ‘-(eu)n/l’ combined nouns, connective ending ‘-a/eo’ combined nouns, final ending ‘-da, -hae, -hae-yo, -gu-lyeo, -ja, -lyo(-li-o), -deo-la, -ji-ma, -la’ combined nouns, and detailed discussions were made in the paper. In the nominalizing ending ‘-(eu)m/gi’ combined nouns’ part, the author argued that ‘-(eu)m’ and ‘-gi’ participating in word formation were not suffixes but as endings, and then their appearance and the method of word formation were discussed. In the case of adnominal ending combined nouns, the author also argued that the ending ‘-(eu)n/l’ participating in the word formation was not suffix but ending, and then their appearance and word formation method were discussed. The connective ending nouns occupied the smallest quantity in this section, but unlike the above cases, they were treated as ‘non-syntactic compound words’ in previous researches. After presenting these words’ aspects, the reason why the connective endings were combined within these words was explained and discussed. Final ending participating in word formation can also be treated as ‘non-syntactic compound words’, but they are different from the situation of connective endings. The final ending is used to end a phrase or sentence, which is typical in most cases not located at the right side of the word. In this part, detailed discussions about the word formation were also conducted after confirming their aspects. After reviewing the above discussions, in Section 5, characteristics of the josa or ending combined nouns were concluded as two aspects including word formational characteristics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Firstly the difference of elements which participating in the Josa or ending combined nouns, compound nouns and derivative nouns were discussed. Josa and ending as syntactic elements but participating in word formation is not the typical word formation method like compounding or derivation, so the necessity of setting it as another type in the word formation system was emphasized. And then the josa or ending combined nouns’ characteristics were discussed by location of head. The situation that the head of the josa or ending combined nouns is noun was compared with compound nouns, and the situation that the head is not noun was compared with derivative nouns, and the differences of them were discussed. And these characteristics can be recognized as the typ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For the semantic characteristics, it was divided into ‘semantically transparency’, ‘semantically semi-transparency’ and ‘semantically opaque’, and the instances of them were taken to discuss the situations. Also the semantical differences of josa or ending combined nouns, compound nouns, derivative nouns were studied. In the last section, the contents of this paper were summarized and the limitations were pointed out. This paper has its own significance as it examines the aspects, 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josa or ending combined nouns. 이 논문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주요 관심사가 되지 못했던 한국어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에 대해 상세하게 다루었다. 명사 형성 체계에 대한 기존의 논의에서는 합성 명사와 파생 명사를 위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러나 한국어의 명사에는 합성 명사나 파생 명사로 분류하기 어려운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의 수가 상당히 많기 때문에 이에 대해 연구할 필요가 있다. 조사와 어미는 교착어로서의 한국어의 특징을 보여 주는 문법 요소로, 일반적으로 다른 단어와 결합하여 구를 구성한다. 그런데 이들이 단어 형성에도 참여한다는 것은 매우 흥미로운 일이다. 본고는 이러한 조사, 어미의 특징에 주목하여 한국어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를 연구하였다. 이 연구의 1장과 2장에서는 먼저 한국어의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의 개념, 범위, 종류 및 명사 형성 체계 내의 위치 등을 설명했다. 다음으로는 한국어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의 구체적인 양상과 형성을 조사 결합형 명사와 어미 결합형 명사로 나눠서 논의했다. 3장의 조사 결합형 명사는 관형격 조사 ‘의’ 결합형 명사, 처소격 조사 ‘에’ 결합형 명사와 보조사 ‘도’ 결합형 명사의 세 가지로 나뉜다. 관형격 조사 ‘의’ 결합형 명사는 기존 연구에서 고유 명칭, 전문용어, 관용 표현 등으로 간주한 것과 전형적인 단어를 모두 포함해서 이들의 양상과 단어 형성 방법을 논의했다. 처소격 조사 ‘에’ 결합형 명사의 양상은 주로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하나는 ‘ㅅ’이 개입되지 않는 ‘에’ 결합형 명사이고 하나는 ‘ㅅ’이 개입된 ‘엣’ 결합형 명사이다. 처소격 조사 결합형 명사의 경우는 중세 한국어에서부터 그 용례를 확인할 수 있으나 현재는 그 수가 줄었기 때문에 이 논문에서는 통시적 관점에서 ‘에(ㅅ)’ 결합형 명사의 변천을 다루고 그의 형성을 연구했다. 한편, 보조사 ‘도’ 결합형 명사는 ‘나도’류, ‘너도’류, ‘예도’류의 세 가지로 나눠서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어미 결합형 명사를 명사형 어미 ‘-(으)ㅁ/기’ 결합형 명사, 관형사형 어미 ‘-(으)ㄴ/ㄹ’ 결합형 명사, 연결어미 ‘-아/어’ 결합형 명사, 종결어미 ‘-다, -해, -해요, -구려, -자, -료(-리오), -더라, -지마, -라’ 결합형 명사 등의 네 가지로 나누어 구체적인 논의를 전개하였다. 명사형 어미 결합형 명사 부분에서는 단어 형성에 참여하는 ‘-(으)ㅁ’, ‘-기’가 접사가 아닌 어미임을 논증한 다음에 명사형 어미 결합형 명사의 양상을 살펴보고 이들 단어의 형성 방법에 대해서 논의했다. 관형사형 어미 결합형 명사 부분 역시 명사형 어미 결합형 명사처럼 단어 형성에 참여하는 ‘-(으)ㄴ/ㄹ’의 지위를 명시한 다음에 그의 양상 및 단어 형성을 연구했다. 연결어미 결합형 명사는 그 수가 가장 적은데, 다른 어미 결합형 명사들과는 달리 기존 연구에서 ‘비통사적 합성어’로 다루어 온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연결어미 결합형 명사를 다루는 부분에서는 그의 양상을 제시한 다음에 이들 단어 내부에 왜 연결어미를 결합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위주로 논의했다. 종결어미가 단어 형성에 참여하는 경우도 ‘비통사적 합성어’로 다루어 온 것이지만 그 양상이 연결어미 결합형과는 다르다. 종결어미는 한 구나 문장을 끝내는 것인데 단어의 오른쪽에 있지 않은 예가 대부분이라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5장에서는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의 특성을 단어 형성법적 측면과 의미적 측면으로 나누어 논의하였다. 먼저 단어 형성법적 특성에서는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는 합성 명사 및 파생 명사와 단어 형성에 참여하는 요소가 다르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이를 통해 통사적 요소인 조사와 어미가 단어 형성에 참여하는 것은 합성법이나 파생법으로는 설명할 수 없으며, 조어법의 측면에서 단어 형성 방식의 또 다른 유형으로 설정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또 핵의 위치에 따른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의 핵이 명사에 있는 경우는 합성 명사와 비교하고,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의 핵이 명사에 있지 않은 경우는 파생 명사와 비교하여 이들의 차이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의 이러한 특성은 한국어 명사 형성의 유형론적 특성으로 볼 수 있다. 다음으로는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의 의미적 특성을 의미적으로 투명한 경우, 반투명한 경우, 불투명한 경우의 세 가지로 나누어 구체적인 예를 통해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와 합성 명사, 파생 명사의 의미적 차이점을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6장에서는 본고의 논의를 요약·정리하고 본고의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본고는 한국어 명사 체계 내의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에 주목하여 그 양상과 형성을 살피고 이러한 단어의 형성법적, 의미적 특성에 대해서 고찰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 『문학과지성』의 비평적 글쓰기 연구 : '문학-지식'의 형성과 전개를 중심으로

        허선애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71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mmon discourse of literary theories and noetics developed through critical writings of Moonji. This shows not only the fact that Moonji was a conversational place where various discourses existed and mingled but also the interactional relationship of those who shared media. In addition, planning publishing activities of Moonji Publishing Company as an expanded type of critical writing were selected as a study object. To see how publishing companies based on professional knowledge managed and the companies and quarterlies established their joint line can be an exploration of the origin of the current literary system. Meanwhile, Moonji shows a circulatory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knowledge. This paper names their critical discourse ‘literature-intelligence’ and examines literature-intelligence as what mingle and confront with each other due to internal principles and rules such as media, systems and capital and as where literary things, academic things in the literature field, authors, intellectuals and critics are autonomously in. Chapter 2 identifies epistemology, esthetics related to universality and sociality, and social values of introspection and inner side(citizenship) through the writings of Moonji critics in 1960s. So-called 4·19 generation was categorized through the identity of reason and refinedness of linguistic sense considered to be obtained by childhood experience in war and Hanguel education, and this identity and linguistic modality are redetermined to be gained through 4·19 incident at some point. However, their linguistic awareness and identity related to global perception they continuously claim were the change that the experience in war brought them at first. Their generational identity explained without mentioning 4·19 has occupied a prerogative position in Korean history by monopolizing the symbol called 4·19. Dependence on foreign literature theories shown in 󰡔The Age of Prose󰡕 and debut works shows that they seek for the modernity of literature through western theories. This modernity can be said to be absolute purity. Yeom Moo-ung considers this as something impossible and what the author’s will is not reflected in while Kim Joo-yeon, Kim Hyun and Kim Chi-soo discover the possibility of professional reading in this literary attribute. It can be said that the modernity of literature whose meaning needs to be recreated through reading is necessarily the expansion of criticism, and furthermore, guarantees that creation through criticism is possible. Meanwhile, the awareness of tradition and universality deducted during the conflict with the postwar generation was a major problem to young critics in 1960s as well. It appears that to postwar authors, universality was what they could identify themselves with without doubt, but it was something unreachable to 4·19 generation. Such a problem related to universality makes one inquire into something internal or his own problem. At this moment, the reason for oneself, the concern about his position, this is the Korean thing, appear to be something social that literature needs to achieve, and ‘sociality’ strongly associated with esthetics emphasizing inner and autonomy emerged as a major reference point in criticism later. The point where literary positions of Baek Nak-cheong and Kim Hyun-Kim Joo-yeon that were categorized together as 4·19 generation make the difference between each other is about literature subject. Kim Hyun and Kim Joo-yeon emphasized the individual human being as a subject who autonomously considered that the meaning of the world revealed as the world and the individuals mingled. The petit bourgeois Kim Joo-yeon submitted is the pure human being who carried out epistemological severance with a possibility to change into an individual one through independent reasons and exploration into the world. As the petit bourgeois becomes an individual human being, the world and objects have their own meaning. The reality and ideology passing individualities and inner sides themselves were typical of diversity. In this way, Kim Byeongik defines the petit bourgeois as the one who seeks for ‘ethics’. For those who doubted and denied the existing world, the novelty of literature appeared as the one discovering the new world order and building the principles of life, and it paradoxically made the ‘personality’ submitted by them again obsessive to the principles of order and integration. On the other hand, ‘the petit bourgeois’ was accepted as the way of acknowledging the alienated from the community, which was only made in the relation to ‘citizen’. Writings by Kim Joo-yeon and others guided by such a critic discourse not only made ‘petit bourgeois’ into the shape considered as ‘citizen’ but also discussed it again having ‘citizen’ that projected introspection and characteristics of intellectuals in mind. However, this was not a way of identifying Baek Nak-cheong-typed ‘human being’ but a way of overlapping ‘the modernity of literature’ with ‘citizen’. In Chapter 3, the directing point of literature-intelligence established during the beginning of Moonji is examined. Individuality, universality, social things and ethics/morality as the order suggested through various conflicts and arguments in 1960s became the key criteria for their awareness and esthetics. In addition, their esthetics and awareness are re-emphasized in the way that they ‘overcame’ and ‘transcended’ the two debates that continued in the oppositional composition in the 1960s literature field. Especially, the different perceptions of Kim Yoon-sik and Kim Joo-yeon in the ideal criticism, epistemological intelligence and criticism can be referred to in identifying the epistemological attitudes of criticism coterie of Moonji different from other critics at the time. The critical writing of Moonji, a work asking about the essence of literature and criticism, forms a literary genealogy that leads to them, and it can be said that the critics of Moonji designed complete self-establishment by forming a contact point between the history of literature and ‘I’. (Section 3.1) Meanwhile, ideals of literature of Moonji become clear in ‘realism controversy’ when its first issue is about to be published. Imagination in Moonji is not a regulative judgement but a reflective one, and engagement in literature means to express meanings invisible in the not-signified phenomenon(structure/social contradiction) by a language. ‘Realism’ of Moonji including Kim Hyun is the realism as a way to recognize the world, and it was possible through the imagination recognizing the reality of the world and making it a constructive truth and the sensitivity making others’ experiences his own and understanding it as a universal thing. The reality and literary truths found in this way were involved in ‘reality’ from ‘recognizing’ them, and this also guaranteed the political character as literature.(Section 3.2) If the role of ‘literature’ is to construct reality through ‘imagination’, recognize problems and turn it into a literary form, what intelligence does is to achieve this work through ‘knowledge’. Such imagination(reflective decision) is the item required of intellectuals as well, and the intellectuals can be involved in the society through ‘social imagination’ discovering invisible social contradictions. There were literature-intellectuals’ worries and desire for freedom toward criticism in this background of noetics.(Section 3.3) Chapter 4 shows that the value of ‘reading’ and ‘readers(the public)’ and the communicational possibility of literature-intelligence were mainly sought for during the middle and the latter part of Moonji. The overall intention of Chapter 4 is to shift the focus on understanding Moonji, too. Another dimension of Moonji such as the format of intelligence suggested as not writing the history of literature by the modern theory about origination and structuralism but sharing and criticizing it, and the work’s posthumous effect in the author’s imagination and personal creativity―the implementation of creative work through reading and discovery of its possibility―will be examined. Moonji critics intended to suggest new literature-intelligence by describing history of literature such as understanding of semantic network. 󰡔History of Literature󰡕, which tried to overcome not-western-centered and independent history of literature, and the history of literature described based on the existing awareness and prejudice, relied on transcendental conditions such as backwardness, modern era and race, so it revealed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history of literature that it criticized. While sharing the planning of the history of literature, which intended to find a new relationship of literature‘s’ through ‘structural reading’ and the interpreter’s meaning making, Kim Joo-yeon and Kim Chi-soo’s historial recognition method is different from of 󰡔History of Literature󰡕. Kim Joo-yeon suggests a history of literature that focuses on authors and considers the society as a ‘place’ where the authors in. At this time, ‘society’ was another set of exceptional individuals who could see the meaning, spirit and world of the times to Kim Joo-yeon. In this way, social things can only be understood as something beyond reality, and the culture, which is the fruit of the author who is a member of this society, appears as the sublime of spiritual thing transcending marital things. On the other hand, Kim chi-soo argues that the history of literature should be written as not an unexpected and exceptional individual history of the author but the history of society system where the author is in from the viewpoint of literary sociology. What he says is that the history of literature developing individually by historicizing the western trend of literature or the trend of literature corresponding Korean society needs to be discovered. Furthermore, this awareness makes it possible to understand the order of power inherent in the composition of dominance of the developed-underdeveloped.(Section 4.1) The late 1970s was also the time when the media and publishing of literature were integrated. Publishing let their literary theories and works by the authors they evaluated in the distribution process, and this spread of literature-intelligence was their delivery of literary and esthetic values. At the same time, it was impossible to exclude the power of those who owned media and publishing capital. The will to spread intelligence was possible through the action of rationality such as choosing of excluding something, which was the desire of the enlightened who wanted to spread their knowledge. Paradoxically, however, this will of rationality was possible by turning literature-intelligence into ‘product, and while doing so, Moonji coterie accidently became aware of the ’cultural level’ of ‘reading masses’ who chose their ‘product’. (Section 4.2) The spread of publication and increase in reading population can serve as an opportunity to re-recognize ‘the public’ to them. The spread of mass media made intellectual-critic themselves aware that they were also ‘public’, and the reading phenomenon of ‘public’ or the unexpected popularity that literature-intelligence showed made it possible to see the ‘intelligence’ of ‘public’ newly and contemplate the universalization of culture or literature-intelligence. The transformation of ‘public awareness’ that appeared in the late 1970s was in this context, and the discussion on the literature technique as a form possible to communicate with ‘reading-public’ was shown as well.(Section 4.3) This discussion confirms the esthetic practice of various literary people who asked about the logic of literature and criticism in the 1970s and the function of literature, and at the same time, makes it possible to guess the continuity and disconnection from the current literary criticism. Furthermore, the formation and spread of publishing capital was confirmed to be linked to the discursive direction of literature, which showed that literature-intelligence work related to the spread of culture and intelligence was closely related to the place for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literature. In addition, a clue to precisely trace the bifurcation of study and literature and the differentiation of knowledgeable things and literary ones that appeared at this time was prepared. 이 논문은 『문학과지성』의 비평적 글쓰기를 통해 전개된 담론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는 『문학과지성』이라는 매체를 공유하면서 풍부한 사유를 제출했던 여러 비평가들의 상호 영향관계를 추적함으로써 『문학과지성』이 다양한 담론이 존재하고 교차하는 대화적 장소였음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비평적 글쓰기의 확장된 형태로서 문학과지성사의 기획 출판활동 또한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이 시기 전문적 지식을 바탕으로 한 출판사의 운영과, 출판사와 계간지의 공동 노선의 구축 과정을 살펴보는 것은 현재의 문학적 제도의 기원을 탐색하는 시도라 할 수 있다. 한편, 『문학과지성』의 비평은 문학과 지식의 순환적 관계 속에서 이루어졌다. 이 논문은 이들의 비평담론을 ‘문학-지식’으로 명명하고, 문학장(場)에서 문학적인 것과 학술적인 것, 작가와 지식인, 그리고 비평가의 공동 영역과, 매체와 제도, 자본과 같은 문학 외적 원리와 규칙에 의해 교차하고 대립해나가는 것을 확인하고 있다. 2장에서는 1960년대 『문학과지성』의 비평가들의 글을 통해 인식론, 보편성과 사회성에 관련된 미학과 성찰성과 내면의 사회적 가치(시민성)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이른바 4·19 세대는 유년의 전쟁 체험과 한글 교육을 통해 획득되었다고 여겨지는 사유의 주체성과 언어감각의 세련성을 통해서 범주화되었고, 어느 시점에 이르러서 이 주체성과 언어의 양식은 4·19라는 사건을 통해 얻어진 것으로 재규정된다. 하지만 이들이 줄곧 주장하는 그들의 언어 의식과 세계 인식에의 주체성은 애초에 전쟁 체험이 그들에게 가져다 준 변화였다. 4·19를 직접 거론하지 않고서도 설명되었던 이들의 세대적 정체성은 4·19라는 상징을 전유함으로써 한국사에서 특권적 위치를 점하게 된다.(2장1절) 󰡔산문시대󰡕와 등단작 등에서 나타나는 외국문학이론에 대한 의존성은 이들이 서구 이론을 통해 문학의 현대성을 모색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김주연과 김현, 김치수는 상투화하지 않는 20세기 문학의 창의성에서 전문적 독서의 가능성을 발견한다. 독서를 통해서 의미가 재창조되어야 하는 문학의 현대성은 비평의 영역을 확장하는 것이며 나아가 비평을 통한 창조가 가능함을 보증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한편, 한국인으로서 도달할 수 없었던 유럽적 보편성은 오히려 4·19세대로 하여금 내면성과 자기 자신의 문제에 천착하게 만들었다. 이때 자기 자신에 대한 사유, 즉 한국적인 것에 대한 고민은 문학이 성취해야 할 사회적인 것으로 전환되어 나타났다. 내면과 자율성을 강조하는 미학에 결부된 ‘사회성’은 이후 이들의 비평에서 주요한 기준점으로 나타났다.(2장2절) 김현과 김주연은 세계와 개인이 교차함으로써 드러나는 세계의 의미를 주체적으로 사유하는 개인으로서 개성적 인간을 강조하였다. 김주연이 제출한 ‘소시민’은 인식론적 단절을 감행한 순수한 인간이며, 주체적 사유와 세계에 대한 탐색을 통해 개성적 인간으로 변모할 수 있는 가능성을 담지한 존재였다. ‘소시민’이 개성적 인간이 되는 과정에서 세계와 사물은 제각각의 의미를 획득하고 이와 같인 개성과 내면을 통과한 현실과 이념은 그 자체로 다양성을 표상하는 것이기도 했다. 한편, ‘소시민’은 비-사회적 인간형을 인정하는 논법으로 받아들여졌고, 이는 시민과의 관련성 속에서만 이해되었다. 이와 같은 ‘소시민’에 대한 비판담론에 이끌려갔던 김주연 등의 글은 ‘소시민’을 시민으로 여겨지는 형상으로 만드는 동시에 성찰성과 지식인성을 투사한 시민을 염두에 둔 개념으로 재논의하고 있었다. 이는 이전부터 그들이 제출했던 ‘문학의 현대성’이 ‘시민’에게 겹쳐지는 방식이기도 했다.(2장3절) 3장에서는 『문학과지성』 창간 당시에에 구축된 ‘문학-지식’의 지향점을 확인해보고자 했다. 1960년대 여러 대립과 논쟁 등을 통해 제기되었던 개성, 보편성, 사회적인 것과 질서로서의 도덕/윤리는 이들의 인식과 미학에 주요한 기준이 되었다. 또한 1960년대 문학장에서 대립적 구도로 지속되었던 논쟁을 ‘극복’하고 ‘초월’하는 방식으로 이들의 미학과 인식은 재차 강조된다. 문학과 비평의 본질을 묻는 작업인 『문학과지성』의 비평적 글쓰기는 자신들까지 이어지는 문학적 계보를 구성하고 있는데, 이는 『문학과지성』의 비평가들이 문학사와 ‘나’의 접점을 형성함으로써 완전한 자기 정립을 구상했던 것이라 할 수 있다.(3장 1절) 한편, 『문학과지성』의 문학적 이념은 창간을 즈음한 ‘리얼리즘’ 논쟁에서 뚜렷해진다. 『문학과지성』에서 상상력은 규정적 판단이 아니라, 반성적 판단을 의미하는 것이며, 문학을 한다는 것은 의미화되지 않은 현상에서 보이지 않는 의미(구조/사회모순)를 발견하여 이를 언어로 표현하는 것이다. 김현을 비롯한 『문학과지성』의 ‘리얼리즘’은 세계를 인식하는 방법으로서의 리얼리즘으로, 이는 세계의 현실을 인식하고 이를 구성적인 진실로 만드는 상상력과 타자의 체험을 자기화하고 보편적인 것으로 이해할 수 있는 감수성을 매개로 가능한 것이었다. 이와 같이 발견되는 리얼리티, 문학적 진실은 그것을 ‘인식’하는 것에서부터 출발하여 ‘현실’에 관여하는 문제로 나아가는데, 이들은 이것이야말로 문학으로서의 정치성을 담보하는 것이라고 보았다.(3장 2절) 현실을 ‘상상력’을 통해 구성하고 문제를 인식하는 것, 그리고 이를 문학적인 형상으로 바꾸어놓는 것이 ‘문학’의 역할이었다면, 지성은 이와 같은 작업을 ‘지식’을 통해서 이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상력은 지성인에게도 요구되는 항목이며, 상상력을 통해 보이지 않는 사회적 모순을 발견할 수 있는 ‘사회적 상상력’을 통해 지식인이 사회에 관여할 수 있게 된다. 이같은 지성론의 배경에는 고민과 비판의 자유를 향한 당시 지식인의 갈망이 놓여있었다.(3장 3절) 4장에서는 『문학과지성』이 ‘독서’와 ‘독자(대중)’의 가치를 발견하고 ‘문학-지식’의 소통 가능성을 모색했음을 확인하고자 한다. 『문학과지성』의 비평적 글쓰기는 문학사 서술, 출판 등 다양한 작업으로 구현되었으며, 이는 대중담론에서 새로운 전기를 맞고 있었다. 『문학과지성』의 비평가들은 “의미인의 문학사” 서술을 통해 새로운 ‘문학-지식’을 제시하고자 했다. 󰡔한국문학사󰡕는 서구중심적이지 않고 주체적인 문학사 서술을 목적으로 기존의 인식과 편견에 사로잡힌 문학사 인식을 극복하려는 작업의 산물이었다. 그러나 후진성, 근대, 민족과 같은 선험적 조건들에 의존함으로써 자신들이 비판했던 기존 문학사의 문제점을 그대로 드러내는 한계를 보였다. 구조주의적 독서, 해석자의 능동적인 의미 부여를 통해 문학‘들’의 새로운 관계를 찾고자 했던 문학사 서술의 기획을 공유하면서도 김주연과 김치수의 역사 인식 방식은 󰡔한국문학사󰡕의 그것과는 차이를 노정하고 있다. 김주연은 작가를 중심으로 하는 문학사, 작가가 놓여있는 자리로서의 사회적인 것을 고려하는 문학사를 제안한다. 이때 김주연에게 사회는 시대의 의미와 정신, 세계를 투시할 수 있는 또다른 예외적 개인들의 집합이었다. 이렇게 볼 때 사회적인 것이란 현실 초월적인 것으로만 이해되며, 이 사회의 구성원인 작가의 산물로서 문화는 물질적인 것을 초월하는 정신적인 것의 숭고함으로 나타난다. 한편, 김치수는 문학사회학의 관점에서 작가라는 돌발적이고 예외적인 개인의 역사가 아니라, 그 작가가 놓인 사회, 체계의 역사로 문학사를 새롭게 쓰자고 주장한다. 서구의 문예사조를 상대화·역사화함으로써 개별적으로 발전하는 문학의 역사, 혹은 한국의 사회에 조응하는 문예사조를 발견하자는 것이 김치수의 주장이었다. 나아가 이와 같은 인식은 선진-후진의 우열적 구도에 내재한 힘의 질서를 간파하게 한다.(4장1절) 1970년대 후반은 문학의 매체와 출판이 통합되는 시기이기도 했다. 출판은 이들의 문학론과 자신들이 고평하는 작가의 작품이 다양한 형태로 유통할 수 있게 했다. 이와 같은 ‘문학-지식’의 확산을 통해 이들은 자신들의 미학을 전달하고자 했다. 한편, 이 출판은 매체와 출판 자본을 소유한 자들의 권력 작용을 배제할 수 없는 것이다. 지식을 확산시키려는 의지는 자신들의 앎을 확산시키고자 하는 계몽주의자의 욕망에 같으며, 이는 무언가에 대한 선택과 배제라는 이성의 작용을 통해 실현될 수 있는 것이었다. 역설적으로 이와 같은 이성의 의지는 ‘문학-지식’을 ‘상품’으로 만듦으로써 가능했고, 이 과정에서 『문학과지성』의 동인들은 우연히도 자신이 생산한 ‘상품’을 선택하는 ‘독서대중’의 ‘문화적 수준’을 자각하게 되기도 했다.(4장 2절) 출판의 확산, 독서 인구의 증가는 이들에게 ‘대중’을 재인식하는 계기로 작용하기도 한다. 대중매체의 확산은 지식인-비평가 스스로도 ‘대중’임을 자각하게 하였으며, ‘대중’의 독서 현상, 혹은 ‘문학-지식’의 출판이 보여준 의외의 흥행은 ‘대중’의 ‘지식’에 대해 새롭게 이해할 수 있는 단초를 마련해 주었고, 이는 ‘문학-지식’의 보편화에 대한 풍부한 사유를 이끌었다. 1970년대 후반에 나타난 ‘대중 인식’의 변모는 이러한 맥락에 놓여 있었고, 그 과정에서 독서 대중과 소통 가능한 형식으로서의 문학 기법이 논의되는 모습이 나타나기도 했다.(4장 3절) 이와 같은 논의는 1970년대 문학과 비평의 논리, 그리고 문학의 기능에 대해 질문했던 다양한 문학자들의 미학적 실천을 확인하는 작업이며, 동시에 현재의 문학 비평과의 연속과 단절을 짐작할 수 있게 한다. 나아가 출판자본의 형성과 확산의 과정이 문학의 담론적 향보와 연결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문화와 지식의 확산에 관한 ‘문학-지식’적 작업이 문학의 생산과 소비의 장과 긴밀한 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문학치료 관점에서의 백석 시 불안 연구

        선선미 부경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07

        In the poetry of Baek-seok, unrest has not been analyzed in depth, even though it has created an overall atmosphere. This paper focused on the unrest of Baekseok poetry, which had not been dealt with in depth in the previous study, and sought to examine the literary and therapeutic functions of Baekseok poetry, using the equation, sublimation, and insight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equation, sublimation and insight, which value the unrest of Baekseok poetry in literary treatment, this has characteristics consistent with human psychological changes handled by psychoanalysis and psychology. First, in the Baek-seok poem, the equation is described as satisfying the unconscious desire by projecting the speaker's anxiety psychology to an external object. An unconscious need is characterized by a lack of poetic self and anxiety psychology. At this time, equation in psychoanalysis does not see it as a mere imitation of an object, but has the effect of one subject assimilating the appearance or characteristics of another and transforming itself into a model. The features of equation were discussed in Chapter III of this paper. Chapter III of this paper achieves the object of self-pity by projecting it into external natural correlations. The speaker's object of self-pity was expressed as a natural object. The speaker reveals his unconscious deficiencies by empathizing the object of self-pity with external correlations. These unconscious deficiencies have the psychological effect of silently accepting the life the speaker is facing when expressed with the equation of passive attitude, and when expressed with active self-equation, the speaker is aware that he is the object of pity and has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to warm his or her psychological temperature. These features of Chapter III relate to the obsessive thinking of poets and to their anti-human-anxiety attributes. This feature in Chapter III is likely to be a literary therapy test for readers who tend to obsessive-compulsive and interpersonal anxiety. Second, Baek-seok poetry is described as realizing sublimation by expressing unconscious anxiety. Unconscientious anxiety is a narcissistic self-interested desire. This desire is associated with the complex. In the Baek-seok poem,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mplex, the inferiority complex and the superiority complex, appear simultaneously. This complex is an unconscious trait that fails to enter the symbolism system smoothly, and appears as oppression in most social situations. Jung called the complex a subconscious, seeing it as a source of life and the possibility of creation. The subconscious is what Freud said was the creative ability of art. This artistic creativity can be described as sublimating anxiety in Baek-seok poetry. The characteristics of this sublimation are discussed in Chapter IV of this paper. At Chapter IV of this paper, anxiety in Baek-seok poetry is based on the social and personal experiences. The narcissistic self-love of Baekseok City is expressed in a mythical structure. Anxiety also has a mythical aspect due to its self-replicating nature. Sublimation means not giving up on narcissism that was lost in childhood and regaining it through other substitutes. This paper looked at the aspects of fear and its resolution in Chapter IV. The shrinking self-image shown in Baekseok poetry's house and kinship image is revealed as the suppression of the symbolism system in the self. The narrator of the poem experiences sublimation by presenting with fear the existence of a symbolic father acting as oppression in the unconscious. Also, the anxious feelings of the poetic speaker are replaced by sorrow. In addition to fear, the IV chapter leads to sublimation by expressing a list of various holiday foods and playlists in repeated expressions. The sublimation of this IV field replaced the poet's complex with a symbol of fear, which led the poet to self-healing by expressing the father's instinctive love as a metaphor. The process and meaning of this sublimation are likely to be a literary therapy for potential readers with widespread anxiety. Third, in Baek-seok poetry, a human identity is explained by the meaning of insight being complete in relation to society. Personal identity is related to Rakang's desire theory, which is formed by the discovery of a others inside him. In the course of Baek-seok poetry, humor and language play are found after expression of anxiety. Humoriness in poetry is characterized by the instant return to its place, with supernatural beings intervening in the speaker's feelings with fear and excitement. This humor is characterized by turning the fear that the speaker has felt of the other person into a language play. In Baek-seok poetry, interpersonal insecurity is evident from the social ego within these entities. However, the poetry tends to resolve the anxiety-causing subject by expressing it with verbal metaphors. The social self that exists within a subject determines the actual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is identity was discussed in Chapter V of this paper. In this paper, the identity of an individual is related to the universality of life. In poetry, the speaker's identity stems from the perception that the only "I" that can't be replaced is an existence with a special character that doesn't lose even in relation to society. This identity has been explained in relation to social identity by expressing interpersonal anxiety and fear. Interpersonal anxiety is related to the growth of this poet. For poet Baek-Seok, who grew up in a house that runs a boarding house, the house was not a comfortable home. This attitude of childhood connected with the psychology of general social life. The poem in chapter five of this paper served as a self-healing function for the poet's interpersonal anxiety. Humor generated in the process is language entertainment, which is between mania and depression, which could also contribute to self-healing with symptoms of interpersonal instability. This paper examined the 'anxiety' that appeared in the poem of Baek-seok and analyzed it from the perspective of literary therapy. The result showed that the anxiety expressed in the poem of Baek-seok was a formulation of unconsciousness. Through the analysis in the text, emotions such as sadness, anger, and loneliness, which had been defined as characteristics of Baek-seok poetry, were realized in text that could be aware of pan-anxiety disorders, interpersonal fear and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and poetry writing could be identified as an activity that helped heal these symptoms. The ability of Baek-seok poetry to function as healing was possible from the poet's poetic expression, which was frankly expressed, without hiding feelings stemming from anxiety. So Baek-seok poetry was primarily a poet's self-healing function. Furthermore, the expression and process of the poet's own contribution to healing can be seen to contribute to self-preservation of reader. Key Words: Baek-seok, literary therapy, equation, sublimation, insight

      • 훼절소설의 속임수와 작가의식

        장교운 전남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07

        본고는 훼절소설 <지봉전>, <정향전>, <배비장전>, <종옥전>, <오유란전>, <이춘풍전>, <삼선기> 등에 등장하는 주인공 남성을 훼절 대상으로 삼아 벌이는 속임수와 작가의식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훼절소설의 서사는 훼절을 성공하기 위한 수단으로 속임수를 이용한다. 작가는 훼절이라는 매개를 통해 성과 인간은 불가분리라는 점을 보여주고 과도한 색욕은 화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경계의 목소리를 표명한다. 이는 무조건적인 성적 욕망의 추구나 배제는 옳지 않다는 작가의 성인식을 반영한 것이다. 그런데 선행 연구는 대체로 훼절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욕망의 실체를 밝히는 것을 등한시하였다. 그 대신 속임수 모티프 영향설과 관련한 남성훼절설화의 변이 과정과 양상이라는 거시적인 관점에서 작품에 대한 형성 배경과 유형적 특성 등을 고찰하였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토대로 훼절 실현의 수단으로 작용하는 속임수 전개 양상에서는 속이기의 배경, 전개, 결과에 따라 분석하였고, 작가의식에서는 성 본능에 대한 실상을 반영한 훼절을 성인식에 초점을 맞춰 해석하였다. 그러므로 본고는 훼절소설의 서사 구조에 대한 새로운 방향과 작가의식에 대한 새로운 논의의 실마리를 제공한 작품론이라고 할 수 있다. Ⅱ장에서는 훼절소설의 개념과 창작 배경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훼절소설에서 ‘절개나 지조를 깨뜨린다’는 뜻이 담긴 훼절의 사전적인 의미 속에는 그 행위가 타의에 의해서 뿐 아니라 자의에 의해서도 신념이 무너져 내린다는 뜻을 함께 내포한다. 훼절의 궁극적인 목적은 주인공들의 성적 위선을 폭로하는 것이며, 성격은 동기가 부여되는 사건에 따라 의미도 다르게 나타난다. 훼절 유발은 주인공과 주변 인물 사이에 첨예화된 갈등에서 비롯되고, 주된 요인은 여색에 대한 인식의 차이에서 기인한다. 주인공의 훼절을 시험하는 주변 인물의 의도 속에는 그 어떤 인물도 금욕적인 삶에 성공하지 못한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기녀가 훼절을 수행하는 것도 바로 이러한 이유에서다. 그러므로 훼절소설은 성과 관련하여 욕망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는 점과 욕망 앞에서는 그 누구라도 훼절 당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기존의 소설과는 궤를 달리한다. 훼절소설에서 훼절 방식에는 반드시 속임수가 뒤따른다. 우연을 가장한 접근이나 실재를 대신한 장치로서 속임수는 속이는 자의 도모에 의해 이루어진다. 속임수의 사전적인 의미는 ‘남을 속이는 짓 또는 그런 술수’를 가리킨다. 속임수는 속이는 자가 주체가 되어 구사하는 행위를 뜻하며 서사가 진행되는 데 있어 핵심적인 요소이기도 하다. 설화나 고소설 <구운몽>에서 먼저 구현된 속임수는 주체의 개인적 욕망을 이루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되었다. 그러나 훼절소설에서는 대상의 내면적 욕망을 폭로하는 데 수단으로 쓰이고 있다. 훼절소설이 창작되었던 18, 9세기는 소설이 전성기를 맞게 되는 시기이며 봉건 질서가 해체되는 진일보한 근대성을 보여준다. 조선시대는 사회적, 경제적 요인 때문에 많은 변화가 일어났는데, 그것은 상품과 화폐의 경제 발달에 따른 신분제 동요 등 양반층의 분화를 초래한 요인이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문학예술 부문에도 영향을 미치면서 서민 문학이 발화하게 된다. 그 대표적인 것이 서민 의식이 투영된 산문 문학으로 변모를 꾀한 소설이다. 그 가운데 훼절소설은 상층 남성들의 무능한 실체를 성적 욕망과 결부시켜 그들의 위엄과 권위를 실추시키는 주제를 구체화하였다. 훼절소설의 창작과 발달에 기초하여 남성 훼절을 중심으로 인간 내면의 성정 문제를 다루고 있는 것도 그러한 사회사적 변화나 소설사적 흐름과 깊이 관련되어 있음을 설명해 준다. Ⅲ장에서는 훼절소설에 등장하는 주인공의 훼절을 실현하는 수단으로 활용되는 속임수 전개 양상을 분석하였다. 속임수는 속이는 자와 속는 자로 대별된다. 작중 인물 간의 여색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속는 자로 하여금 훼절 유발을 가져오게 하고, 속이는 자에게는 동기와 목적을 세우게 한다. 작품에 대한 범주와 분류 체계는 공통적으로 드러나는 서사적 특징을 중심으로 하였다. <지봉전>과 <정향전>에서는 작중 인물이 실존 인물이라는 점과 속임수를 주동하는 이가 절대 권력자 왕이라는 점이다. <종옥전>과 <오유란전>과 <배비장전>에서는 작중 인물이 여색에 대해 호기로운 허세를 부리는 인물이라는 점과 과시욕이 주변 인물의 시선에 노출되면서 시험과 내기 구조로 진행된다. <이춘풍전>과 <삼선기>에서는 주요 인물이 여색에 대해 상반된 입장을 가지고 있다는 점과 그들의 속임을 주동하고 수행하는 이가 동일 인물에 의해 진행된다는 점이다. 여기에서는 새로운 삶을 살아가기 위해 여화위남의 속임수가 등장한다. 속이기의 방식은 속임을 수행하는 자가 대상자를 속여 훼절시키는 과정으로 나타난다. 이때 속이기를 완전하게 수행하기 위해 거짓으로 꾸며진 상황들이 연출된다. <지봉전>과 <정향전>에서는 백옥과 정향이 훼절 사실을 입증할 증표를 획득하기 위해 거짓된 유혹으로 정표를 받아낸다. <종옥전>과 <오유란전>과 <배비장전>에서는 훼절 사실이 대중 앞에서 폭로를 당한다는 서사 구조는 유사하지만 그것을 입증하기 위해 꾸며진 거짓된 연출에서는 차이를 드러낸다. <이춘풍전>과 <삼선기>에서는 춘풍의 아내와 유지연, 홍도화가 회계비장과 젊은 유생으로 위장하여 접근하는 방식을 보여준다. 작중에서 수행자들이 추구하는 삶을 위한 필수적인 조건이 뒤따르는데, 그것은 주요 인물들이 갖고 있는 여색에 대한 인식을 교화시키는 것이다. 속이기의 결과는 주요 인물의 훼절 사실을 드러내는 한편 갈등으로 빚어진 대립을 화합으로 마무리하는 과정을 그린다. <지봉전>과 <정향전>은 주요 인물이 상경한 자리에서 훼절 사실 여부를 확인하는 방식을 취한다. <종옥전>과 <오유란전>과 <배비장전>에서는 대중 앞에서 위선과 허위 행각을 속옷 차림과 알몸으로 드러낸다. <이춘풍전>과 <삼선기>에서는 주인공들의 변화가 성에 대한 인식과 삶이 전환하는 방식으로 나타나면서 새로운 삶으로의 꿈을 실현시켜 주는 역할을 제공한다. Ⅳ장에서는 훼절소설에서 작가가 드러내고자 하는 문제의식을 살펴보았다. 훼절소설의 주된 사건들은 주인공이 여색에 대해 남다른 인식을 가지고 있다는 문제에서 연원한다. 작품에 따라 훼절이 갖는 형식은 시험 공모, 내기 공모로 분류되고, 대상자들은 도학자(<지봉전>의 지봉, <종옥전>의 종옥, <오유란전>의 이생, <삼선기>의 이춘풍)와 풍류자(<정향전>의 양녕대군, <배비장전>의 배비장, <이춘풍전>의 이춘풍)의 면모로 구분된다. 작가는 속이고 속는 상관성을 통해 사회의 위선과 지배층 남성의 이중적 태도를 하층 여성들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폭로한다. 훼절이 발생하는 주된 요인은 인간의 본능적 욕구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일깨워주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바탕으로 시도되는 훼절은 크게 교화와 풍자의 성격이 다분하다. 작가가 표명하는 교화와 풍자는 대상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에 악의적인 감정이 개입되어 있는지 아닌지에 대한 여부로 구분된다. 우선적으로 여색에 대해 경직된 사고를 가진 인물들의 공통적인 특징은 시험 공모의 훼절 형식을 취하고, 훼절 목적이 교화성에 치중되어 있다. 이와는 달리 여색에 대해 초연하지 못하면서 그렇지 않은 척 행세하는 인물들의 공통적인 특징은 내기 공모의 훼절 형식을 취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들의 위선과 허세는 풍자성으로 드러난다. 주인공의 경직된 성인식은 훼절을 통해 변화한다. 그들은 성에 대해 지나치게 경계하다가 점차적으로 긍정하는 태도를 보인다. 작가는 작품의 서두나 결미에서 성을 무분별하게 남발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경고하고 있다. 그리고 관념적이든 가식적이든 간에 색을 경계하는 인물을 주인공으로 설정한 다음 그를 여색에 유혹을 당하는 인물로 재구성하여 훼절 당하기 이전에 인식하였던 색에 대한 경계를 완전히 무너뜨린다. 이처럼 작가는 성에 대한 편견과 오만에 빠진 주인공들의 겉모습 뒤에 잠재된 정념의 실체를 훼절을 통해 보여준다. Ⅴ장에서는 훼절소설의 소설사적 의의를 조명하였다. 조선후기 소설사에서 훼절소설은 판소리계 소설과 더불어 조선후기 서민의 의식에 기반하고 있다. 훼절소설은 소설의 창작과 수용이 활발했던 시기에 공존했던 작품군의 하나였다는 소설사적 위상을 나타낸다. 훼절소설에서 주목해야 할 사안은 상층 남성의 절개가 하층 여성에 의해 무너지고 있다는 소설적 구성이다. 절개와 지조는 조선시대 여성에게 부여됐던 필수적 덕목 가운데 목숨을 걸고서라도 지켜내야 했던 규범이었고, 훼절은 씻을 수 없는 치욕과 회복될 수 없는 불명예를 안겨준 요소였다. 그런데 역으로 훼절소설에서는 이 두 가지 덕목을 지켜내야 할 대상을 상층 남성에게 국한시켜 놓고 그들을 훼절시켜야 한다는 사안을 필수적인 요건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신분 자체가 국가에 예속되어 지배층의 유흥 문화를 책임지는 대상에 불과했던 기녀가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점에서도 기존 소설에서는 볼 수 없는 소설사적 특성이라 할 수 있다. 남성들의 향락이나 성적 대상에 불과했던 기녀들이 오히려 지배층 남성들의 권위를 성의 본질에 의해 실추시키고 있다는 점은 기녀들뿐만 아니라 당시 여성들의 성차별에 대한 불공평한 입장을 대변하는 것이다. 바로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훼절소설의 소설사적 의의를 살펴보았다. Ⅵ장에서는 지금까지 고찰한 일련의 연구 과정에 대한 결과를 종합 정리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본고는 훼절소설의 개념과 창작 배경, 속임수 전개 양상 및 소설사적 의의를 고찰하였다. 그리하여 기존의 연구 성과를 비판적으로 수용하되 훼절소설이 인간의 본능적 욕망을 다루고 있다는 점을 새롭게 차별화하였다 이를 토대로 인간 내면의 성정을 대변하는 훼절을 통해 지배층 남성의 위선과 허위를 비판하고 있음을 정리해 보았다. 따라서 본고는 훼절소설의 속임수와 작가의식을 성적 욕망과 관련하여 이해하는 데 공헌할 것이라고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deception and the writer's consciousness that the main characters of <Jibongjeon>, <Jeonghyangjeon>, <BaebiJangjeon>, <Jongokjeon>, <Oyuranjeon>, <Leechunpungjeon>, and <Samseongi>. are used as an object of hwejol. The narrative of a hwejol-novel uses deception as a means to succeed. The author expresses cautious voice that sex and human beings are inseparable through the medium of hwejol and that excessive lusts can rather cause harm. This reflects the writer's sex awareness that the pursuit or exclusion of unconditional sexual desire is not right. However, previous research generally neglected to reveal the true nature of desire that is closely related to hwejol. Instead, this paper considered the formation background and type’s characteristics of the work from the macroscopic perspective-the process of variation and patterns of male hwejol folktale related to the theory of deception motif influence. Based on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this paper analyzed the background, development, and outcome of deception in the form of deceptive development and of the writer's consciousness, interpreted the hwejol that reflect the reality of sexual instinct, focusing on the sex awareness. Therefore, this paper can be said to be a theory of work that provided a new direction for the structure of the narrative and a clue for a new discussion of the author's consciousness. In Chapter II, This paper looked at the concept and the creative background of the hwejol-novel. In the dictionary definition of hwejol, meaning "break the incision or creed" in the hwejol-novel, it implies that the act is not only broken by others, but also by one's own will. The ultimate purpose of hwejol is to reveal the sexual hypocrisy of the main characters, and the personality of hwejol also appears to have different meanings depending on the events to which it is motivated. Hwejol-triggers originate from sharpened conflicts between the main character and the surrounding figure, and the main factor is attributed to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about the feminine charms. The intent of the surrounding figure who test the main characters’ hwejol presupposes that none of the characters succeed in ascetic life. That's why a gisaeng performs a hwejol. Therefore, the hwejol-novel is different from the original novel in that it deals with the problem of desire in relation to sex and anyone can only be disturbed in the face of desire. The way of hwejol in a hwejo-novel is necessarily followed by a deception. As a device pretending to be a coincidence and replacing the real thing the deception is done by the plan of the deceiver. In the dictionary definition, deception refers to 'the act of deceiving someone or such a trick. Deception is the behavior of the deceiver as the main agent and is a key element of the narrative process. In the folktale or the ancient novel <Guunmong>, the deception showed first was used as a means to fulfill the personal desires of the subject. However, in the hwejol-novel, it is used as a means to reveal the inner desires of the object. The 18th and 19th centuries, when the hwejol-novel was created, are the period that the novel is in its prime and show the advanced modernity of the disintegration of feudal order. During the Joseon Dynasty, many changes took place due to social and economic factors, which caused the division of the aristocracy such as agitation of the status system according to the economic development of goods and currencies. The changes will also affect the literary and artistic sectors, which will ignite ordinary people's literature. The representative thing is a novel that attempts to transform itself into prose literature where the ordinary people's consciousness is reflected. Among them, the hwejol-novel embodied a theme that by combining the incompetent true nature of upper-class men with sexual desire, undermined their dignity and authority. Based on the creation and development of hwejol novels, it is also explained that it is deeply related to such social changes and the flow of the fictional history with a focus on male whejol. In Chapter III, this paper analyzed the patterns of deceptive development used as a means to realize the main character's hwejol. Deception is greatly classified into the deceiver and the deceived.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the feminine charms among the characters in the works leads the deceived to bring about hwejol and the deceiver to cause motive and purpose. The category and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work centered on the narrative features which were revealed in common. In <Jibongjeon> and <Jeonghyangjeon>, the character in the work is a real person and it was the king, a man of absolute power that leads the deception. In <Jongokjeon>, <Oyuranjeon> and <BaebiJangjeon>, the character of the work is a figure who makes a bluff about the feminine charms, putting on air and the show-off desire proceed with the structure of testing and betting. In <Leechunpungjeon> and <Samseongi>, the main character of the work has a contrary position on the feminine charms and the person who leads and performs their deception is carried out by the same person. Here appears the deception of ‘a woman disguised as a man’ to live a new life. The way of deception appears to be a process where the person performing the deception degrades the object. In this time, false-fabricated situations are created in order to perform a complete deception. In <Jibongjeon> and <Jeonghyangjeon>, Baek-ok and Jeonghyang received the token of the love with false temptations in order to obtain vouchers to prove hwejol. In <Jongokjeon>, <Oyuranjeon> and <BaebiJangjeon>, the narrative structure where the fact of hwejol is revealed in public is similar, but it reveals a difference in a false direction designed to prove it. In <Leechunpungjeon> and <Samseongi>, it is showed that how Chunpung's wife, Yoo Ji-yeon and Hong Do-hwa approach under the disguise of accounting bijang and a young a confucian student. In the works, an essential condition for life which is pursued by the performer followed : to educate the perception of the feminine charms held by the main characters. The result of deception represents the process that while revealing the hwejol of the main characters, ends the conflict with harmony. <Jibongjeon> and <Jeonghyangjeon> take the method of identifying the facts of the hwejol in the presence of the main character in Hanyang. In <Jongokjeon>, <Oyuranjeon> and <BaebiJangjeon>, hypocrisy and false behavior are revealed in the public in underwear and naked body. In <Leechunpungjeon> and <Samseongi>, the main characters' changes represent the way the perception of sex and the life change and play a role to realize their dreams of a new life. In chapter IV, this paper looked into the problem consciousness that the author tried to reveal in the hwejol novel. The main events of the hwejol novel are rooted in the problem that the main chatracters have a different perception of the feminine charms. Depending on the work, the forms of hwejol are classified as test conspiracy, betting conspiracy, and the objects are moralists (Jibong of <Jibongjeon>, Jongki of <Jongokjeon>, Leesaeng of <Oyuranjeon>, Leechunpung of <Samseongi>) and Pungryuja (Yangnyeong-daegun of <Jeonghyangjeon>), BaebiJang of <BaebiJangjeon>, Leechunpung of <Leechunpungjeon>). Mainly through the correlation between ‘deceiving and being deceived’, the author reveals the hypocrisy of society and the dual attitude of a ruling class men, centering on the relationships with lower-class women. The main cause that hwejol occurs is to awaken the right perception of human instinctual needs. The hwejol that are attempted based on this purpose is full of the character of edification and satire. The edification and satire expressed by the author is divided into whether or not malicious feelings are involved in the negative attitude toward the object. Most of all,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people with rigid thought about the feminine charms take the form of hwejol in test conspiracy, and the purpose of the hwejol is focused on the edification. On the other hand, the common traits of figures who pretend to be beyond the feminine charms but they aren’t actually is to take the form of hwejol of the betting conspiracy, and their hypocrisy and bravado turn out to be satirical. The main characters’ rigid sexual awareness changes through hwejol. They are overly wary of sex and then gradually show an affirmative attitude. The author warns that sex should not be recklessly overused in the beginning and the ending of the work, ideologically or pretentiously, sets up the figure who is wary of sex as the main character and reconstructs him as a person tempted by the feminine charms, completely breaking the line on a sex that had been perceived before being exposed to hwejol. Like this, the author shows the reality of the subconscious emotion behind the prejudice against sex and the appearance of the arrogant characters through Hwejol. Chapter V casts light on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novel. In the history of novels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hwejol novel is based on the consciousness of the ordinary person in the late Joseon period, along with the Pansori novel. Hwejol novels represent the status of the history of novel as one of the works that coexisted at the time when the creation and acceptance of novels was active. One of the issues that should be noted in the hwejol novel is the fictional structure that the incision of upper-class men was broken by lower-class women. Chastity and jijo were among the essential virtues given to women in the Joseon Dynasty, which had to be protected at the risk of their lives, and hwejol was a factor that gave them indelible disgrace and irreparable dishonor. However, on the contrary, the hwejol novel limits the object who have to keep the two virtues to upper-class men and embodies the issue which has to disrupt them as a necessary condition. In addition, though the status itself was subjugated to the nation and was the object of the entertainment culture of the ruling class, Gisaeng played a pivotal role, which is the feature of the history of novel not seen in the existing novels. The fact that gisaeng, who were merely men's pleasures and sexual objects, are rather are debasing the authority of the dominant men by the essence of sex represents an unfair stance not only on the gisaeng but also on the sex discrimination of the women at that time. From this awareness of a problem, this paper looked into the significance of the history of novel of hwejol novel. Chapter Ⅵ summarizes the results of a series of research process considered so far. Through the above discussion, this paper reviewed the concept and the creation background of the hwejol novel, the development of the deception and the significance of the history of novel of hwejol novel. Thus, while critically accepting existing research results, this paper newly differentiated in that the hwejol novel dealt with human instinctive desires. Based on this, this paper has summed up criticizing of the hypocrisy and falsehood of men in the ruling class through hwejol that speaks for innate nature of the inner of man. It is therefore expected that this paper will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deception and author's consciousness in relation to sexual desire.

      • 신동엽 시에 나타난 정치적 진리 절차 연구 : 알랭 바디우의 메타정치론을 중심으로

        김희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07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one of Korean instances of poetical politics that engaged with those ages and faithfully strove to create paths of politics of emancipation by investigating Shin Dong-yup’s poetry. Ultimately, this study is aimed at finding a point of contact that his poetry can meet poetical politics of here and now, by encountering the real of history registered in Shin Dong-yop's poetic practice. Recent studies on Shin Dong-yup’s poetry have been expanding the scope while overcoming the fixed frame―‘Shin Dong-yup=national poet’―which was the limitation of earlier studies. However, the holoscopic view of the singular schema of perception that Shin Dong-yup submitted in his ages is yet to be investigated delicately. Therefore, while following the steps of recent studies, this study attempts to focus on the process itself in which Shin Dong-yup’s poetry intensively renewed and elaborated its political thoughts through response with those ages. For this goal, it is used as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Alain Badiou’s Metapolitics which has the key concepts of subject, event, and truth. Badiou’s Metapolitics, seeking the possibility of generic emancipation of human beings through philosophy, provides an effective theoretical framework for calculating the politics of Shin Dong-yup’s poetry and its singularity in poetical history. Thus, it is considered as a ‘procedure of political truth’ in this study the entire process in which Shin Dong-yup’s poetry constructs a metapolitical narrative. The procedure of political truth of Shin Dong-yup’s poetry underwent two major transformations in its quality in the periods preceding and following the April Revolution. Therefore, it is divided the development process of Shin Dong-yup’s poetry into the early, middle, and late periods in this study. However, it must be stressed that these divisions are a logical segment as well as a simple temporal segment. This is because all three periods ultimately constitute a coherent procedure of political truth. However, in this paper it is emphasized the fact that the focus on each period is different. First of all, it is examined the procedure of political truth shown in early poems centering around texts published in the final years of post-war recovery, corresponding to those from the poet’s debut in 1959 to the times preceding and following the April Revolution. A metapolitical narrative of this period focuses on drawing a probable outline of emancipatory thought to open a space of a(n) (im)possible politics in the situation of the late 1950s, where the possibility of an event has been fundamentally blocked. At that time, the reference chosen by Shin Dong-yup is Donghak, the people’s religion of the 19th century. In particular, he actively explored how to change the oppressed multiple-people of his ages from the object of history to the subject of history, by poetic appropriation to the ‘generic equalitarianism’, which is the axiom of foundation of Donghak. At first, for identifying this point, it is examined the process in which Shin Dong-yup of this period obtains the outside-perspective that could have an macroscopic insight into the history of civilization up to this period by adopting Donghak’s subjectivation program and in which he actively investigates the possibility of an impossible politics in the ‘edges of the void’ of the times by utilizing such perspective. Next, it is explored the way in which this subject actively investigates the potential of an ‘event’ within the situations of its times, by paying attention to the figure of the ‘poet-philosopher’ appeared as the main political agent in the poetry of this period. As a result, these practices appeared in the early poems are converged to a work which found Donghak’s ‘generic equalitarianism’ as political truth. Prior to embarking on full-fledged attempts to develop paths of a procedure of political truth, the Cause that would enable the start of it was set in advance. In the second place, it is examined the procedure of political truth shown in the mid poems based on texts published at the following times. This is period consisting times shortly after the April Revolution in 1960 brimming with the heat of the revolution to the mid to late 1960s when the failure of the April Revolutions was openly discussed in the aftermath of the May 16 Coup of the following year. In particular, this period is stretched to the release of the epic poem 『Kumkang』 in 1967. A metapolitical narrative of this period focuses on signifying the April Revolution as an ‘event’ that launched enormous changes and then made a continuous flow of emancipatory politics by adding the Revolution to a list of failed people’s uprisings. At first, for identifying this point, it is examined the process in which Shin Dong-yup of this period signifies it as a starting point for an upcoming future by nominating the April Revolution as an ‘event’, and sensitively captures the signs of change that result from the event. Next, it is explored the way in which this subject prepares for the advent of a new ‘event’ that will surpass the experiences of the April Revolution through historical investigation, by attending to the figure of the ‘failed revolutionist’ appeared as the main political agent in the poetry of this period. As a result, these practices appeared in the mid poems are converged into a work signifying the spirit of the April Revolution as a symptom of history that must return at any moment and one that cannot be easily mourned. Lastly, it is examined the procedure of political truth shown in the late poems based on texts published at the following times. This period corresponds to the period from the publication of the epic poem 『Kumkang』 until the mid-1970s, when his unpublished work were intensively published in public media. A metapolitical narrative of this period focuses on linguistic and sensible practices, elaborating the ‘generic equalitarianism’ as Truth-Idea of his time, based on the lessons left by the April Revolution. At first, for identifying this point, it is examined the process that Shin Dong-yup of this period is forced into the ‘generic equalitarianism’ as the truth of a situation in local 'points' of his time, based on hopeful prospects of future newly added through the historical investigation of past ‘events’. Next, it is explored the way in which this subject seeks a generic extension, fiercely combating with the given order of representation in actual ‘points' within situation, by paying attention to the figure of the ‘generic human beings’ appeared as the main political agent in the poetry of this period. As a result, these practices appeared in the late poems are converged into a work which elaborates the ‘generic equalitarianism’ as a principle of practical movement partaking of contemporariness. Unfortunately, the process of this truth remains incomplete with the death of the poet in 1969. Through the above discussion, the entirety of the procedure of political truth of Shin Dong-yup’s poetry is fully illuminated. First, it begun in the abstract and conceptual investigation. Following them, it passed through the real encounter with the ‘event’, which is Other of history. Then, it acquired Concrete Universality. Ultimately, this process demonstrates in itself the act of poetic ‘politics’ that actually creates the path of a new resistance poetry starting in the 1960s in contemporary situation. The meaning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hich reexamines Shin Dong-yop's poetry through Alain Badiou’s Metapolitic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eanings of this study will be able to be summarized as follows : A one that made clear the whole of the schema of cognition which Shin Dong-yop had suggested to his time ; A one that dynamically reconstructed the side in which Shin Dong-yop's poetic politics is performed in practice, by getting out of the thematic and the content approaches that have made the mainstream in korean poetic history of the past ; And, also, a one that newly added a new critical viewpoint which is useful even for investigating the singularity of poetic politics of here and now. On the other h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ill be able to be summarized as follows : A one that the aspect which the procedure of political truth of Shin Dong-yup’s poetry actively had communicated with intellectual history of his time was not identified ; A one that the aspect which ‘generic equalitarianism’ proposed by Shin Dong-yeop as the Truth-Idea of politics has engaged with the theory of national literature in 1970s and the theory of people's literature in 1980s, the poetry and politics debate in the late 2000s, and so on, was not considered ; And a one that the aspect which the symptomatic of a reactive gesture adopting when Shin Dong-yeop's poetry represents, ‘Women’ was not analyzed. These limitations would be able to be complemented by further studies. 이 논문의 목적은 신동엽 시를 대상으로, 동시대와 대결하며 해방 정치의 경로를 충실히 만들어간 시적 정치의 한국적 판본 중 하나를 정밀하게 재구해보는 데 있다. 궁극적으로는 신동엽의 시적 실천에 기입된 역사의 실재와 조우함으로써 그의 시가 지금 여기의 시적 정치들과 만날 수 있는 접점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신동엽 시에 대한 최근 연구들은 초창기 연구들의 한계였던 ‘신동엽=민족시인’이라는 고정된 프레임에서 벗어나 그 깊이와 넓이를 확장시켜왔다. 그러나 신동엽이 당대에 제출한 단독적인 인식 지도의 전모는 여전히 섬세하게 규명되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이 논문은 최근 연구들의 성과를 이어받되, 신동엽 시가 자신의 정치적 사유를 당대와의 응전 속에서 치열하게 갱신하고 정교화해간 과정 자체에 주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이 선택한 방법론은 주체, 사건, 진리를 핵심 개념으로 삼는 알랭 바디우의 메타정치론이다. 인간의 유적(類的) 해방 가능성을 철학적으로 모색하는 바디우의 메타정치론은 신동엽 시의 정치성과 그것이 갖는 시사(詩史)적 단독성을 파악함에 있어 매우 유효한 논리적 도식을 제공해준다. 이에 따라 이 논문에서는 신동엽의 시가 일련의 메타정치적 서사를 구성해간 전 과정을 ‘정치적 진리 절차’로 보았다. 신동엽 시의 정치적 진리 절차는 4․19라는 역사적 ‘사건’을 전후하여 크게 두 번에 걸쳐 질적으로 변모된다. 따라서 이 논문은 신동엽 시의 전개 과정을 초기, 중기, 후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러나 이러한 시기 구분은 단순한 시간적 분절이기에 앞서 논리적 분절이기도 하다는 것을 분명히 밝혀둔다. 사실상 세 시기 모두 궁극적으로는 일관된 정치적 진리 절차의 과정에 속해 있기 때문이다. 다만 이 논문에서는 각 시기별로 초점화되는 요소가 다르다고 판단하여 그 부분을 강조하였다. 먼저 초기 시에 나타난 정치적 진리 절차는 시인이 등단한 1959년부터 4․19 발생 전후에 해당하는 전후 복구기의 막바지에 발표된 텍스트들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이 시기 메타정치적 서사의 주된 초점은 ‘사건’의 가능성이 원천적으로 봉쇄된 1950년대 말의 상황 속에서 (불)가능한 정치의 공간을 열게 해줄 해방적 사유의 윤곽을 개연성 있게 그려내는 일에 맞춰진다. 이때 신동엽이 선택한 인식론적 참조물은 바로 19세기 민중 종교 동학이다. 특히 그는 동학의 토대 공리라 할 ‘보편적 평등주의’를 시적으로 전유함으로써 당대의 억눌린 다수-민중을 역사의 대상에서 역사의 주체로 변화시킬 방법을 적극적으로 모색하고 있다. 이를 규명하기 위해 본고는 우선 이 시기의 신동엽이 동학의 주체화 프로그램을 통해 지금까지의 문명사를 거시적으로 통찰하게 해줄 바깥-시선을 확보하고, 이렇게 확보된 바깥-시선에 따라 당대의 ‘공백의 가장자리’에서 (불)가능한 정치의 가능성을 적극적으로 탐색해가는 과정을 검토한다. 그리고 이후에는 이 시기 시에서 정치의 주된 실행자로 등장하는 ‘시인-철인’의 형상에 주목하여 그러한 주체가 당대의 상황 내부에서 ‘사건’의 잠재성을 능동적으로 탐색해가는 방식을 다룬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초기 시의 실천들은 동학의 ‘보편적 평등주의’를 정치의 진리로 정초하는 작업으로 수렴된다. 정치적 진리 절차의 경로를 본격적으로 펼쳐내기에 앞서 그것의 시작을 가능하게 해줄 대문자 원인(Cause)을 우선적으로 설정하였던 것이다. 다음으로 중기 시에 나타난 정치적 진리 절차는 혁명의 열기로 가득했던 1960년 4․19 직후와, 이듬해 발발한 5․16 군사 쿠데타로 4․19의 실패가 공공연하게 이야기되던 1960년대 중후반, 특히 서사시 『금강』이 발표된 1967년 무렵까지의 텍스트들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이 시기 메타정치적 서사의 주된 초점은 당대에 발생한 4․19를 거대한 변화를 개시한 ‘사건’으로 의미화하고, 이에 따라 그것을 과거의 실패한 민중 봉기들의 목록에 등재시킴으로써 해방 정치의 연속적 흐름을 만들어내는 일에 맞춰진다. 이를 규명하기 위해 본고는 우선 이 시기의 신동엽이 4․19를 ‘사건’으로 명명함으로써 그것을 도래할 미래의 시작 지점으로 의미화하고, 이를 계기로 새롭게 돌발한 변화의 징후를 예민하게 포착해가는 과정을 검토한다. 그리고 이후에는 이 시기 시에서 해방 정치의 주된 실행자로 등장하는 ‘실패한 혁명가’의 형상에 주목하여 그러한 주체가 역사적 탐색을 통해 4․19의 경험을 넘어설 또 다른 ‘사건’을 준비해가는 방식을 다룬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중기 시의 실천들은 4․19의 정신을 손쉽게 애도될 수 없는, 언제고 다시 귀환해야 할 역사의 증상으로 의미화하는 작업으로 수렴된다. 마지막으로 다룰 후기 시의 정치적 진리 절차는 서사시 『금강』 이후부터 시인의 작고 후 그의 미발표작이 공식 지면을 통해 집중적으로 발표된 1970년대 중반까지의 텍스트들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이 시기 메타정치적 서사의 주된 초점은 4․19가 남긴 교훈에 따라 ‘보편적 평등주의’를 당대의 진리-이념으로 정교화해가는 언어적․감각적 실천들에 맞춰진다. 이를 규명하기 위해 본고는 우선 이 시기의 신동엽이 지나간 ‘사건들’에 대한 역사적 탐색 이후 새롭게 추가된 희망적 전망에 기초하여 당대의 국지적 ‘지점들’ 속에서 ‘보편적 평등주의’를 상황의 진리로 강제해가는 과정을 검토한다. 그리고 이후에는 이 시기의 시에서 해방 정치의 주된 실행자로 등장하는 ‘유적(類的) 인류’의 형상에 주목하여 그러한 주체가 상황 내부의 실제 ‘지점들’ 속에서 주어진 재현의 질서와 치열하게 대결하며 상황의 유적 확장을 도모해가는 방식을 다룬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후기 시의 실천들은 ‘보편적 평등주의’를 당대성을 띤 현실의 운동 원리로 정교화시키는 작업으로 수렴된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이러한 진리 절차는 1969년 시인의 작고로 중단됨으로써 미완(未完)으로 남겨지게 되었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신동엽 시의 정치적 진리 절차가 관념적이고 추상적인 탐색에서 시작하여, 역사의 타자인 ‘사건’과의 실재적 대면을 거친 후, 마침내 구체적 보편성을 확보하게 된 전 과정이 선명하게 드러난다. 이러한 과정은 궁극적으로 당대의 상황 속에서 1960년대 발(發) 신(新)저항시운동의 경로를 실제적으로 만들어가는 시적 ‘정치’의 실행, 그 자체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신동엽의 시세계를 알랭 바디우의 메타정치론을 통해 재검토하는 이 논문의 의의와 한계는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겠다. 먼저 의의로는, 신동엽이 당대에 제출한 인식 지도의 전모를 명징하게 보여준 점, 기존 연구사의 주류라 할 주제적․내용적 접근에서 벗어나 신동엽의 시적 정치가 실제로 수행되는 차원을 역동적으로 재구한 점, 그리고 지금 여기의 시적 정치들의 단독성을 규명하는 데에도 유효한 비평적 관점을 새롭게 추가한 점을 들 수 있을 것이다. 반면, 신동엽 시의 정치적 진리 절차가 당대의 지성사와 능동적으로 대화해간 양상을 규명하지 못한 점, 신동엽이 정치의 진리-이념으로 제안한 ‘보편적 평등주의’가 이후 1970년대 민족문학론, 1980년대 민중문학론, 그리고 2000년대 후반의 시와 정치성 논의 등과 맺는 영향 관계를 살피지 못한 점, 아울러 신동엽 시가 ‘여성’을 재현할 때 취하는 반동적 제스처의 증상적 차원을 미처 다루지 못한 점은 한계로 지적될 수 있겠다. 이러한 한계는 후속 연구로 보충하고자 한다.

      • 유럽 한국학 전공생의 정체성 연구 : 바흐친의 대화주의에 기반한 내러티브 탐구

        황은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07

        This study focuses on the language learner as a social entity from the viewpoint that the language learning process is fundamentally social, and the language is not as an abstract system but as activities, behaviors, interactions in actual human lif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in-depth meaning of Korean language learning & using experiences by European Korean Studies students both in their home country and Korea from a point of view of identity. With this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ir identity construction and negotiation process based on their agency practice. This research begins from the following research puzzles: 1) What is the starting point of learning Korean language of European Korean Studies students? With Korean language, what did they experience in various communities and their identity? What are distinct features of their identity? 2) What were the aspects of their identity struggles faced with learning and using Korean language? What did they think, feel, and have any changes according to various time span as well as different places? What were the reasons of having conflicts and struggles of identity? 3) In their using and learning Korean language, how were their agency practice emerged? What wer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ir practice of agency and their identity? How was the process of identity negotiation organized? Ultimately, what is the meaning of Korean language to their life? This study employed two theoretical perspectives to shape the framework for exploring the experiences of European Korean Studies students as they learn and use Korean language: ‘investment’, ‘imagined community’ and ‘imagined identity’ of Identity theories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Norton, 1995, 2000) and Mikhail Bakhtin’s theory on dialogism including ideological becoming. Bakhtin viewed language as comprising dynamic constellations of sociocultural resources that are fundamentally tied to their social and historical contexts. His theory not only covers both the post-structuralist viewpoint on identity and the human agency concepts, which are important in discussing identity in language education, but also overcomes of the limitations in sociocultural approach, as an useful philosophical and theoretical foundation. Since the 'dialogic development' of a language learner is achieved not only through a personally expressed story but also through a story expressed through relationship with others, learning a new language is a learning process of learning the world, and 'Identity work (Pavlenko, 2001; D.F.G., 2016; Norton, 1997, 2010, 2013)' is an approach to finding the voice of self through interaction with others. The identity of the subject of language learning is closely related to the existence of the 'other' and the distance from the other that can not be removed, that is, the experience at the 'boundary', and language learning is a process of assimilating selectively In this regard, this study sought to call the identity of language learners as 'dialogical identity'. As a qualitative study, this study consisted of the preliminary and the main study. According to the selection criterion of the objective sampling, five women students from the Korean Studies Department of the University of the Netherland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data were gathered for 10 months longitudinally around pre and after their short term stay in Korea. This study used narrative inquiry amo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o achieve meaning of learning experience and research purpose of identity inquiry. In particular, this study considers both the narrative inquiry of Clandinin & Connelly (2000) in qualitative research tradition and the tradition of narrative research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and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 carrying out narrative inquiry, in order to be complementary to philosophical, methodical, and ethical aspects. Field texts were collected through dialogues, interviews using artifacts, longitudinal interviews based on different time spans & places. Interviews were carried out with participants' preferred languages ​​(English or Korean). After transcribing, the data were analyzed by Blom (2010) 's narrative analysis model and Bakhtin' s ‘dialogis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verified as a member-check by the participants and the ethical considerations for the participants were also continuously maintained throughout the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described in Chapters 4 to 7. The research results were presented according to the three central focuses of 'multilingual speaker', 'Korean Studies major', 'Korean user', and Bakhtin's ‘ideological becoming'. In Chapter 4, Korean language learning experience of multilingual speakers is presented. The experiences of othering of Korean studies students where identity conflicts arising from encounters with others are presented in Chapter 5, The specific aspects of agency practices by Korean users are presented in Chapter 6. In chapter 7, as a result of the experience of conflict and the practice of agency as described above, participants who are living in 'boundary' become 'ideological being' making their own 'internally-persuasive discourse', and their identity construction and negotiation processes were synthetically discussed. The significanc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 examined in-depth the experiences of Korean language study and use of European Korean studies students who were overlooked in the existing research. Their experience of learning Korean language was not the simple acquisition of linguistic knowledge or communication skills but rather the process of restructuring and expanding identity through negotiation of identities with the other: Koreans, Korean language & culture. Second, I found three characteristics of the learning experience and the process of restructuring the identity of the participants, including study abroad, which are relational, emotional, and dynamic process. Their experience was essentially a relational process that it is not possible without the existence of 'other', and emotional desire for 'belonging' and 'recognition' was closely related to the learning and use of Korean in virtual and real worlds. In addition, participants' learning experiences and restructuring their identities were dynamic and gradual processes of change, and identity conflicts and negotiation processes of participants were not a one-time process but a process that was cyclical and repeatedly open-ended. Third, in relation to their Korean language learning, I point out the need for alternative language pedagogical approach based on the real ethical intercultural competence fostering the dialogical pedagogy(Matsuo, 2014, 2015), critical literacy(Freire, 1987) and 'symbolic competence’(Kramsch, 2006, 2011) based on Bakhtin’s dialogism. Therefore, based on the concept of ‘boundary’ and ‘otherness’ of Bakhtin(1981, 1986), which is considered to be essential for achieving self, rather than eliminating. I pointed out that additional or complementary interpretation of the existing ‘intercultural communication(IC)’ discussed in the essentialist view is needed. 본 논문은 언어 학습 과정이 근본적으로 사회적이라는 관점에서 학습자를 사회적 존재로 바라보며, 언어 또한 추상적 체계로서의 언어가 아니라 실제 인간 삶에서의 활동, 행위, 상호작용으로서의 언어에 초점을 두며 한국학 전공생이 한국어 학습과 사용에서 겪는 다양한 시공간적 경험의 심층적 의미를 내러티브 탐구를 통한 질적 접근으로 고찰하였다. 특별히 본고는 행위성을 비롯한 정체성 구성 및 협상이 드러나는 유럽 한국학 전공생의 한국어 학습 경험의 총체적인 양상을 탐색하기 위하여 ‘투자’, ‘상상적 공동체’, ‘상상적 정체성’을 포함하는 언어 학습의 정체성 이론(Norton, 1995, 2000)과 “삶이란 곧 타자와의 대화 속에 참여하는 것”이라고 인식한 바흐친(Bakhtin)의 ‘대화주의(Dialogism)’를 주된 해석적 렌즈로 삼았다. 바흐친의 대화주의 이론은 언어교육에서의 정체성을 논의할 때 중요하게 사용되는 후기구조주의 관점과 인간 행위성 개념을 모두 포괄하는 동시에 사회문화적 접근법의 한계를 극복하고 보완할 수 있는 본고의 유용한 철학적, 이론적 토대가 되었다. 언어 학습자의 ‘대화적 발달(dialogic development)’은 개인적으로 발현된 이야기뿐 아니라 타자와의 관계를 통해 발현되는 이야기를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새로운 외국어를 학습하는 것은 세상에 존재하는 법을 배우는 학습 과정이자 타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자아의 목소리를 찾아가는 ‘정체성 작업(identity work: Pavlenko, 2001; D.F.G., 2016; Norton, 1997, 2010, 2013)’이다. 언어 학습의 주체가 구성하는 정체성은 필수적인 ‘타자’의 존재와 제거될 수 없는 타자와의 거리, 즉 ‘경계’에서의 경험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언어를 배우고 사용하는 행위는 타자의 말에 선택적으로 동화하는 과정이라는 점에서 본고는 언어 학습자가 구성하는 정체성을 ‘대화적 정체성(dialogical identity)’으로 부르고자 하였다. 질적 연구로서 본 연구는 사전 연구와 본 연구의 절차로 이루어졌으며, 목적 표집의 선정 기준에 따라 네덜란드 A대학 한국학과 2학년 5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이들의 한국 단기체류 즉, 교환학생 기간의 전후 약 10개월 동안 종단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는 학습 경험의 의미와 정체성 탐구라는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질적 연구 방법 중에서도 내러티브 탐구를 활용하였다. 특히 본고는 내러티브 탐구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질적 연구 전통에서의 Clandinin과 Connelly(2000)의 ‘내러티브 탐구’와 제2언어습득 및 외국어 교육 분야에서의 내러티브 연구의 전통을 모두 고려함으로써 탐구 방법의 철학적, 방법적, 윤리적인 면을 상호 보완하고자 하였다. 현장 텍스트는 면담으로서의 대화, 문서 분석과 인공품을 활용한 면담, 상이한 시공간에 따른 종단적 면담을 통해 수집되었으며, 참여자가 선호하는 언어(영어 또는 한국어)로 면담이 진행되었다. 자료는 전사 후, Blom(2010)의 내러티브 분석 모형과 바흐친의 ‘대화주의’ 바탕의 분석 절차를 거쳤다. 또한 연구의 타당성 확보 측면에서 참여자의 적극적인 검토가 이루어졌으며 참여자에 대한 윤리적 고려 또한 연구 전반에 걸쳐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4장에서 7장에 걸쳐 기술되었다. 바흐친의 ‘이데올로기적 되어가기’의 과정적 요소와 참여자들에게서 나타난 ‘다중언어화자’, ‘한국학 전공생’, ‘한국어 사용자’라는 세 가지 중심적인 정체성의 다면적인 면모를 입체적으로 부각시키기 위하여, 참여자들이 겪은 다중언어화자로서 한국어 학습 경험을 4장에, 정체성 인식에서 발생한 한국학 전공생의 갈등 경험을 5장에, 한국어 사용자의 행위성 실천의 구체적인 양상을 6장에 각각 전개하며 참여자들의 다면적이고 복합적인 정체성 문제를 살펴보았다. 7장에서는 앞에서 제시된 갈등 경험과 행위성 실천의 결과로서 ‘경계’에서 살아가는 참여자들이 주체적인 ‘내적-설득 담화’를 만들어가는 ‘이데올로기적 되어가기’ 과정을 참여자들이 형성하는 ‘대화적 정체성’과 ‘정체성 협상 과정’을 중심으로 종합 논의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논의에서 간과되었던 유럽 한국학 전공생의 한국어 학습과 사용의 경험에서 나타나는 정체성 문제를 심층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들의 한국어 학습 경험은 단지 언어적 지식이나 의사소통 기술의 획득으로만 국한되지 않는 즉, 한국어로 인해 마주하게 되는 정체성 갈등의 협상을 통한 정체성 재구성과 확장의 과정이었다. 둘째, 교환학생이라는 단기유학을 포함한 참여자들의 한국어 학습과 사용의 경험에서 나타나는 정체성 인식과 협상이 ‘관계적, 정서적, 역동적인 과정’이라는 특징을 발견하였다. 이들의 경험은 본질적으로 ‘타자’의 존재 없이는 불가능한 관계적인 과정이었고, ‘소속’과 ‘인정’에 대한 정서적 갈망은 가상 및 실제 세계에서의 한국어 학습과 사용 및 투자와 밀접하게 관련되었다. 또한 참여자들의 학습 경험 및 정체성 재구성은 역동적이자 점진적인 변화의 과정으로서 참여자들의 정체성 갈등과 협상 과정은 일회적인 것이 아니라 순환적, 반복적으로 지속되는 미완결성을 지닌 과정이었다. 셋째, 한국학을 전공하는 이들의 한국어 학습과 관련하여, ‘비판적 문해(Freire, 1987/2014)’나 ‘상징적 능력(Kramsch, 2006, 2011)’과 같은 비판적 의식을 신장할 수 있는 진정한 대화와 다양한 목소리들의 공존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따라서 자아와 타자가 만나는 ‘경계’와 갈등을 제거해야 할 대상이 아니라 오히려 자아를 이뤄가기 위한 필수적인 것으로 보는 바흐친(1981, 1986)의 ‘경계’와 ‘타자’의 개념을 바탕으로 그동안 언어교육 분야에서 본질주의적 관점으로 논의되던 기존의 ‘상호문화적 의사소통(intercultural communication: IC)’에 대한 추가·보완적인 해석이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 위만주국 시기 조선인과 한인(漢人) 소설에 나타난 현실인식 연구 : 안수길과 고정(古丁)의 소설을 중심으로

        장춘메이 강릉원주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07

        일본이 청나라의 마지막 황제 부의를 내세워 수립한 위만주국에는 한족, 만주족, 조선인, 러시아인, 몽골인, 일본인 등 여러 민족이 살고 있었다. 각 민족은 문화적 배경과 현실적 상황이 달라서 위만주국에 대한 인식도 상이했다. 위만주국에 대한 인식을 보다 전면적이고 객관적으로 다루기 위해 본고는 조선인과 한인 작가의 작품에 나타난 만주국 현실에 대한 인식을 대비하여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고 이런 인식의 이동점을 발생하는 이유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본고는 위만주국 시기 조선인 작가를 대표하는 안수길과 한인 작가를 대표하는 고정이 위만주국 시기에 발표한 소설을 주제론 방법으로 대비한다. 제2장에서는 안수길과 고정의 생애를 등단 이전과 위만주국 시기의 문학 활동으로 나눠 살펴 두 작가의 문학 배경을 대비하였다. 안수길은 만주에서 중학교를 다니면서 민족주의 사상을 갖게 되어 습작기 작품에서는 조선 이주민의 고난을 소설화하였다. 그러나 처녀작의 불운과 기자생활 그리고 북향정신 등으로 인해 안수길의 위만주국 시기 작품에는 ‘흥농증산’, ‘문예보국’, ‘오족협화’ 등 국책문학의 경향을 보인다. 고정은 일본인이 설립한 초등학교, 중학교를 다녀 일본의 언어와 문화를 숙지했지만 애국사상이 갖고 있어서 북경대학 재학 시 좌련에 가입했다. 좌련 회의에서 체포되었다가 금방 석방된 고정은 변절했다는 의심을 받았다. 대학을 중퇴하고 고향에 돌아온 고정은 일본인과 함께 잡지 󰡔명명󰡕과 󰡔예문지󰡕 등을 주간하여 부진한 만주 문단을 활성화시켰다. 고정은 순문예를 주장하고 그러한 경향의 작품들을 발표했다. 이처럼 안수길과 고정은 순문예 노선에서 친일 문학으로 다가가는 공통점과 민족이 다름으로 인해 미래에 대한 전망이 다르게 나타난다. 제3장에서는 안수길과 고정의 위만주국 사회 문제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기 위하여 이주 현실과 아편 등 두 주제를 중심으로 두 작가의 작품을 대비하였다. 원래 만주 지역에 펼쳐져 있던 광활한 황무지는 민국 시기에 군벌이나 지주 등 소수 사람에게 점령되어 조선인이든 한인이든 이주민들은 소작농으로 살아갈 수밖에 없었다. 그래서 두 작가는 모두 만주 지역의 과도한 도지와 높은 이자에 시달리는 이주민의 고통을 소설화하였다. 조선인 안수길은 이주 초기 토지소유권을 얻을 수 없고, 원주민과의 갈등과 한인 관료의 배척으로 고생했지만 위만주국 수립 후에 개선된 조선 이주민의 삶을 그렸다. 반면 고정은 토지소유권을 가진 한인 이주민들이 안정된 삶을 누렸으나 일본 자본의 침략으로 서서히 몰락하는 삶을 소설화하였다. 아편은 거대한 이익과 해악이라는 이중적인 특성을 지니는 바, 안수길과 고정은 모두 부도덕하고 타락한 사람들이 아편매매를 하는 것으로 그리고 있다. 그러나 고정은 한인들이 아편으로 인해 정신과 신체가 피폐해져 윤리질서를 모두 잃고 타락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데 비해 안수길은 조선 이주민이 위만주국의 정책의 도움으로 아편재배로 큰 수익을 올리고 비적들의 습격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그리고 있다. 제4장에서는 20세기 서구 민주주의와 여성해방 사상의 핵심적 주체인 지식인과 여성을 주제로 안수길과 고정의 위만주국의 신사상에 대한 인식을 대비하였다. 두 작가의 작품에서 지식인은 소외감을 느끼고 무능력한 인물로 등장한다. 이는 신구사상이 전환하는 시기에 기득권 세력에게 소외되고 일제의 통치자에게 외면당한 당대 지식인의 모습을 반영한 것이다. 그러나 안수길의 소설에서 지식인은 만주를 제2의 고향으로 건설할 꿈과 조선인들의 지식인에 대한 기대를 반영하여 강한 사명감을 가진 지도자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반면 고정의 소설에서 지식인은 고정 자신의 삶을 반영한 듯 지식인은 자의식이 강하고 퇴폐와 타락으로 빠져드는 인물로 그리고 있다. 또 안수길과 고정의 소설에는 전통에 얽매여 불행한 삶을 살아가는 여성과 자유연애를 하거나 개인 행복을 추구하는 신여성이 등장한다. 이는 전통적인 유가 사상과 위만주국 시기의 현모양처 교육과 관련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신여성과 기녀였던 여성에 대한 인식은 안수길과 고정의 작품에서 큰 차이가 보인다. 안수길 작품에는 자유연애를 추구하는 현숙한 신여성이 등장하고, 기녀 신분을 벗어난 여성도 강한 생활력으로 화목한 가정을 꾸리는 것으로 그려진다. 반면 고정 작품에는 유부남과 연애를 하고 성관계를 맺은 후 버림당하거나 복수 심리로 여러 남성과 성관계를 맺는 등 성적으로 문란한 신여성이 등장한다. 또 창녀와 기녀 신분을 벗어난 여성들은 인간성을 상실하여 모성애나 책임감이 없고 성욕만 드러내는 타락한 여성으로 그려진다. 제5장에서 가정, 이웃, 민족 등 광범위 개념을 지닌 ‘가(家)’를 주제로 안수길과 고정의 작품을 대비하였다. 안수길 작품에 가정에서 이웃, 그리고 민족까지 화목한 모습으로 지향하는 반면에 고정 작품에 가정에서 이웃이나 친지 사이에 모두 이기적이고 불화한 모습으로 나타나고, 작품 <신생>에서 여러 민족이 화목한 관계를 맺는 모습을 그리고 있다. ‘가’에 대해서 안수길은 화(和)로 그리고 있는 데 비해 고정이 불화(不和)에서 화(和)로의 변화로 그리는 차이가 나타난 원인은 안수길과 고정의 민족과 직업 그리고 작품 창작의 시기가 다르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본고에서는 안수길과 고정이 위만주국의 동일한 정책이나 사태에 대해 서로 다르게 인식하여 작품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두 작가가 같은 시기의 위만주국 현실을 소설화하면서도 민족의 차이로 인해 현실을 서로 다르게 인식할 수밖에 없었고, 두 작가의 경력이나 직업 그리고 작품을 창작한 시기의 차이 등으로 인하여 당대 현실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본고는 한국과 중국에서 처음으로 조선인 작가 안수길과 한인 작가 고정의 작품에 나타난 위만주국의 현실에 대한 인식을 대비적으로 고찰하여 두 작가의 현실 인식의 차이와 그 차이를 자아낸 이유를 밝혔다. 이 논문에서 밝힌 안수길과 고정의 위만주국 현실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위만주국에 대한 당대 조선인과 한인의 현실인식의 차이를 보여준 것이라는 점에서 이 논문이 한중 근현대문학의 비교문학 연구에서 일정한 의의를 갖는다고 생각한다. Puppet Manchukuo, which Japan established with Puyi, the last Emperor of the Qing dynasty at the head, was home to various ethnic groups such as Chinese, Manchuria, Korean, Russian, Mongol, and Japanese, etc. Each people had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 and actual situation, so the perception towards Puppet Manchukuo was also different. To cope with the perception of Puppet Manchukuo more thoroughly and objectively,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the common points and differences in comparison with the perception of Puppet Manchukuo's reality appearing in Korean(조선인) and Chinese(한인) authors’ works, and analyze the reasons for the point of movement in this perception. To accomplish this research purpose, this study compares the themes of novels published by Ahn, Sugil, who represents Korean writers in the Puppet Manchukuo period and Gu Ding who represents the Chinese writers in the Puppet Manchukuo period. In Chapter 2, Ahn, Sugil and Gu Ding's lives were divided into literary activities of the period of debut and the period of Puppet Manchukuo to compare the literary background of the two authors. Ahn, Sugil, who attended the middle school in Manchuria, came to get nationalist philosophy and fictionalized the suffering of Korean migrants in his early works. However, Ahn, Sugil's works in the Puppet Manchukuo period show tendency of national literary literature such as ‘Heungnongjeungsan(흥농증산)’, 'Munyebokuk(문예보국)', and 'Ohjokhyeophwa(오족협화)' due to the misfortune of the first work, the journalistic life and the northward(북향) spirit. Gu Ding went to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s established by the Japanese and learned the Japanese language and culture, but when he was studying at Peking University because of his patriotism, he joined the leftist federation. Gu Ding, who was arrested at a leftist federation meeting and was released shortly after, was suspected of defection. Gu Ding, who dropped out of college and returned to his hometown, started magazines "Myeongmyeong(명명)" and "Yemunji(예문지)" together with the Japanese to activate the sluggish Manchuria literary circle. Gu Ding claimed the pure literature and arts, and published works of such tendencies. As such, Ahn, Sugil and Gu Ding have different perspectives on the future due to the similarities of approaching the pro‐Japanese literature in the pure literature and arts routes, and differences in ethnic groups. In Chapter 3, to examine Ahn, Sugil and Gu Ding's perception of the social problems in Puppet Manchukuo, this study compared two works based on two themes such as immigration reality and opium, etc. The vast wilderness originally in the Manchu area was occupied by a small number of people, such as warlords and landowners, during the Qing dynasty, and the immigrants were forced to live as peasants, regardless of whether they were Korean or Chinese. So, both writers fictionalized the suffering of migrants suffering from excessive travel and high interest in Manchu region. Korean, Ahn, Sugil failed to gain land ownership in the early days of migration, suffered conflicts with aboriginal people, and the exclusiveness of the Chinese bureaucracy. However, after the establishment of Puppet Manchukuo, the life of the improved Korean migrants was drawn. On the other hand, Gu Ding fictionalized the life of Chinese migrants who enjoyed a stable life with their land ownership, but later they gradually lived a collapsed life through the invasion of Japanese capital. As opium has a dual nature of great profits and harm, Ahn, Sugil and Gu Ding both depicted those people selling opium as immoral and fallen people. However, while Gu Ding shows that the Chineses are deprived of their moral and physical body due to opium, Ahn, Sugil believes that Korean migrants benefited greatly from opium cultivation with the help of Puppet Manchukuo's policies and are responsible for the raids of the bandits. In chapter 4, this study compared Ahn, Sugil and Gu Ding’s perception of Puppet Manchukuo's new image on the topic of intellectuals and women, the key subjects of 20th century Western democracy and women's emancipation. In the works of the two writers, the intellectual with a feeling of being alienated appears as incompetent people. This reflects the appearance of the intellectuals of the present day who were neglected by the vested powers and turned away by the Japanese rulers at the time of the transition of new and old thoughts. However, in Ahn, Sugil's novels, intellectuals play a role of leader with a strong sense of mission reflecting the dream of building Manchu as the second hometown and the expectation of Korean's intellectuals. On the other hand, in Gu Ding's novels, intellectuals seem to reflect Gu Ding's own life, and intellectuals are self‐conscious and fall into decadence and corruption. Also, in Ahn, Sugil's and Gu Ding's novels, a new woman emerges who lives an unfortunate life bound by tradition or who favors a free relationship or pursues personal happiness. This seems to be related to the traditional Confucious thoughts and the education of a good wife and wise mother in the Puppet Manchukuo period. However, Ahn, Sugil’s and Gu Ding's works show a big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women who were a new woman and a kisaeng. In Ahn, Sugil's works, a wise and virtuous new woman pursuing free love emerged, and a woman who is out of her status of kisaeng is depicted as having a good family with a strong living power. On the other hand, in Gu Ding's work, a sexually frustrated new woman comes into being, such as dating a married man, or being abandoned after having sex with a married man or having sex with a number of men with revenge psychology. In addition, women who are out of prostitution and kisaeng status are depicted as depraved women who lose their humanity and have no maternal love, no responsibility, and only sexuality. In Chapter 5, Ahn, Sugil’s and Gu Ding's works were compared on the subject of "family(家)" with a broad concept such as home, neighborhood, and people. In Ahn, Sugil's works, the harmonious image of home, neighbor, and people was inclined, but in Gu Ding's works, an image appears as a selfish and disagreeable figure at home, and in his work “New Life”, a harmonious relationship was depicted to show with many peoples. The reason why Ahn, Sugil depicts 'Ga' as ‘Hwa(和)’, while Gu Ding depicts ‘Hwa(和)’ from no‐hwa (不和) can be found in the point that each of Ahn, Sugil and Gu Ding has a different ethnic group and occupation and that the time of creation of the works are different. In this study, Ahn, Sugil and Gu Ding were found to recognize differently from the same policy or situation of Puppet Manchukuo and make a work. Due to the difference in ethnicity, the reality had to be recognized differently as the two writers fictionalized the reality of Puppet Manchukuo at the same time,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the reality at the time due to the two writers' career, occupation, and the period of time when they created their works were revealed. This study presents the difference of the perception of reality between the two artists and the reason for the difference between them, by examining the perception of Puppet Manchukuo's reality in the works of Korean writer Ahn, Sugil and Chinese writer Gu Ding for the first time in Korea and China. this study has a certain meaning in the comparative literature study of Korean and Chinese early modern and modern literature in that Ahn, Sugil and Gu Ding's difference in perception of Puppet Manchukuo reality shows that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between Korean and Chinese towards Puppet Manchukuo at the time.

      •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중 동형한자어 대조 연구

        한지현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23

        중국어권 학습자에게 한·중 동형한자어는 표기가 모어와 동일하거나 비슷하여 한국어 학습에서 초기 접근이 수월하다는 이로움이 있는 반면, 중·고급 및 그 이상의 단계로 올라가도 지속적으로 오류를 야기하는 아킬레스건이다. 이러한 현상은 모어의 간섭과 한국어 교수·학습 현장의 주된 흐름이 맞물린 결과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한국어와 중국어 두 언어의 대조를 통해 한·중 동형한자어를 대상으로 하는 별도의 어휘 학습 자료를 만들고 이를 한국어 교수·학습의 현장에서 활용해야 한다. 이 연구는 중국어권 학습자의 효율적인 한국 한자어 학습을 위해, 『한국어 기본어휘』에 드는 한자어 1,146개를 선정하고 이에 대해 여러 언어권의 사전을 활용하여 대조 분석을 진행한 후, 그 결과를 각 어휘별로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에서는 먼저 이러한 자료의 필요성을 확인하고자 중국어권 학습자가 생산한 글과 현재 사용되고 있는 학습 자료를 대상으로 검토하였다. 중국어권 학습자가 생산한 글 속에 나타난 한·중 동형한자어 오류문을 찾아 그 유형별로 분류해 봄으로써 학습자의 오류 현상을 살펴보았다. 학습자가 생산한 오류문은 모두 모어의 간섭을 드러내는 것으로서 발생할 수밖에 없는 이유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여러 사전들을 비교함으로써 논의하였다. 다음으로 중국어권 학습자가 한국어 학습 자료로 사용하고 있는 《표준국어대사전》·《现代汉语词典》·《中韓辭典》·《중국어 화자를 위한 한국어학습사전》을 비교·검토 한 결과, 현재의 학습 자료가 한·중 동형한자어를 학습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충분히 담고 있지 않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것은 한·중 동형한자어를 대상으로 하는 학습 자료가 별도로 필요함을 의미한다. 중국어권 학습자의 올바른 한국 한자어 사용을 위한 학습 자료 구축을 위해 ‘기본한자어 1,146’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어휘를 대상으로 하여 《표준국어대사전》, 《다음사전》, 《现代汉语词典》, 《中韓辭典》, 《Oxford Chinese Dictionary》,《Merriam-Webster’s Chinese-English Dictionary》, 《講5社 中日 辞典》을 함께 대조한 결과 동형동의어 563개, 동형부분이의어 333개, 동형완전이의어 53개, 《中韓辭典》에 수록되지 않은 어휘 197개로 분류되었다. 대조한 결과는 제 4장과 부록을 이용하여 각 영역 내에서 개별 어휘별로 벤다이어그램을 활용한 시각적 자료로 제시하였다. 또한, 대조 연구를 진행 하는 과정에서 발견한 《표준국어대사전》과 《中韓辭典》의 불충분한 점들을 정리함으로써 한·중 동형한자어 학습 자료에 대한 시사점을 얻었고 이것을 의미기술, 예문, 자료 제시 방법, 연구 방법으로 분류하여 제안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어휘 자료는 중국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중 동형한자어 교수·학습의 현장에서 직접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연구의과정에서 선택한 연구 자료의 확장과 벤다이어그램을 활용한 시각적 제시라는 두 가지 방법론은 이후 진행될 한·중 동형한자어 대조 연구와 사전 및 학습 자료 구축을 위한 연구에 새로운 연구방법론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이 연구는 1,146개라는 제한된 어휘를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나 이러한 연구가 한·중 동형한자어 전체로 확대되어 효율적인 학습 자료를 충분히 구축하고, 이것이 한국어 교수·학습의 현장에서 활용된다면 중국어권 학습자의 한국 한자어 학습에 도움이 될 것이라 전망한다.

      • 최승호 시와 오리앙하이 시의 비교 연구

        뭉크나랑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9 국내박사

        RANK : 248607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시인 최승호와 몽골 시인 오리앙하이의 문학사상과 작품세계를 비교 연구하는 것이다. 최승호와 오리앙하이 두 시인의 작품 속에는 동양인으로서 불교철학적인 의식과 내면성, 현대인으로서 도시화와 현대화를 비판하는 생태적인 세계관이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 두 시인은 현대 시대에 인류의 문제가 되어 있는 문명과 현대화가 자연과 인간에게 주고 있는 영향을 비판하며, 그 생태계 생태계(Ecosystem)란 물리, 화학적인 자연환경과 그 속에 살고 있는 모든 유기체들 간의 ‘총체적인 공동사회(total community)’로서 개개의 육체들은 물리, 화학적인 자연환경과 서로 작용을 주고 받기 때문에 자연 환경의 변화에 반응하기도 한다. 자연 환경을 스스로 변화시켜 나가는 거대유기체(super-organism)로 볼 수 있다. 이는 곧 지구라고 볼 수 있다. 이준우, 「생태계의 개념」, 『환경 생태학』, 동화기술, 1997, 19쪽 참조. 위기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지를 고민하고 있다. 이러한 생태적인 세계관은 불교사상에 기초하고 있는 것도 두 시인에서 찾아볼 수 있는 유사한 점이다. This paper is a comparative study which compares poetries of South Korean poet Seung Ho Choi and Mongolian poet Uriankhai based on their ideological and philosophical points. In spite of the fact that South Korea and Mongolia have been in official diplomatic relations for only 28 years, we know that two countries have been in very tight historical relations from the ancient time in various fields. One bigger example is literature relation between two countries. In contemporary literature we, the researchers can easily find many similarities of two nations, so for that reason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and Mongolian modern literature is inevitable. The two poets have already been highly evaluated in the literature of their countries. First, they are Masters who have succeeded in poetically expressing the ideas of Oriental thought and the Buddhist philosophy. Second, as poets living in a mechanized modern world, they criticize destruction of the Nature and Human beings and accuse the reality of the urbanized civilized world. Therefore they explained own ideas how to overcome the crisis and how to survive in the future. Third, they meditate what life is and expose the purpose and way of life in their poetry.

      • 한국 아동의 문법 발달에 관한 종단 연구 : 16개월에서 48개월 아동의 자연발화를 중심으로

        장경우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07

        본고는 한국어를 모어로 하는 아동(16-48개월까지)의 자연스러운 발화를 3년간 매주 평균 1시간 정도 녹음하면서 관찰하고 이를 전사한 자료에 기초하여 문법 발달 과정을 자세히 기술하였다. 한 단어로 발화하는 시기부터 접속문을 구사하는 시기까지 나타난 어휘, 조사, 어미를 구분하여 기술하고, 문장 구조를 확인한 후 다음의 몇 가지를 밝혔다. 첫째, 어휘는 구문 발달을 견인한다. 의존 명사는 내포문 형성과 관계한다. 접속 부사는 연결어미 발달의 지표가 된다. 양태 부사는 양태의 발달과 문장 호응과 관계한다. 시간부사는 시제의 발달과 관련성이 있다. 대명사는 의문문의 발달과 관련되어 있다. 동사와 형용사는 서술어의 자릿수와 관계를 맺기 때문에 문장 구조와 상관관계를 갖는다. 둘째, 조사는 문장 구조의 발달과 연관성이 있다. 구조격조사는 어순과 문장의 확대와 관련성이 있어서 목적격 조사가 문장에 실현되는 시기가 단문의 완성시기가 된다. 부사격 조사는 일찍부터 의미적 연관성을 바탕으로 발달한다. 접속 조사는 접속문의 발달과 관련이 있다. 보조사의 발달은 부사격 조사의 발달과 의미적으로 관련성이 있다. 셋째, 어미는 문장 구조의 발달과 관련이 있다. 종결어미의 발달은 문장 유형의 발달과 맞닿아 있다. 전성어미의 발달은 문장에 내포문이 형성되는 것과 관계한다. 대등적 연결어미의 발달은 접속문을 형성하는 데에 기여한다. 선어말어미는 높임법, 상, 시제, 양태와 관계하면서 발달한다. 넷째, 어휘, 조사, 어미, 문장 구조의 발달 패턴에 규칙성이 있다. 어휘는 의미를 세분화하면서 발달하고, 조사는 의미와 문장 구조가 함께 상관성을 맺으면서 발달한다. 어미는 ‘시간적 구성> 역시간적 구성> 동시간적 구성’으로 발달하는 규칙성이 나타났다. 문장을 구성할 때에 의존적인 부분이 먼저 발달하고, 독립적인 부분은 비교적 늦게 발달하는 패턴이 규칙적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문장을 확대하는 기본 원리가 된다. This manuscript described grammar development process based on the record of natural utterance of Korean-speaking child which held in averagely one hour per a week in three years. Vocabularies, postpositions and endings appeared from the time for speaking one word to the time for using conjunctive sentence are classified. After the sentence structures are identified, following some details are revealed. First, vocabulary carries syntactic development. Bound nouns are related to formation of embedded sentence. Conjunctive adverbs are the indicative of connective suffix development. Modal adverbs are related to development of modality and sentence response. Time adverbs are related to development of tense. Pronouns are related to development of interrogative sentence. Verbs and adjectives are correlated with sentence structure because these are related to place of predicates. Second, postpositions are related to sentence structure development. The time that object case markers appear is completion of a simple sentence because structural case markers are related to word order and expansion of sentence. Adverb case markers develop early based on semantic association. Connective postpositions are related to conjunctive sentence development. Development of auxiliary particles is semantically related to development of adverb case markers. Third, endings are related to sentence structure development. Development of final endings is related to development of sentence type. Development of function-converting endings is related to formation of embedded sentence. Development of subordinate endings contributes to formation of conjunctive sentence. Prefinal ending develops by relating with honorific, aspect, tense and modality. Fourth, there is regularity in the pattern of development of vocabularies, postpositions, endings and sentence structures. Vocabularies develop by subdividing meanings and postpositions develop by correlation of meanings and sentence structures. Regularity of ending appeared to be ‘temporal composition> reverse-time composition> same time composition.’ When constructing a sentence, the independent part developed first and the independent part developed relatively late, which becomes the basic principle of expanding the sentence.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제영시(題詠詩) 연구 : 한성부(漢城府)·개성부(開城府)를 중심으로

        주지영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spect and role of Jeyoung Poetry included in 『Sinjeung Dongguk Yeoji Seungram (Augmented Survey on Geography of Korea)』and to explore its significance in cultural history.『Sinjeung Dongguk Yeoji Seungram』is a representative geography book of Joseon Dynasty compiled by the government. As『Sinjeung Dongguk Yeoji Seungram』includes various poems, is evaluated as a geography book with a strong literary characteristic. 『Sinjeung Dongguk Yeoji Seungram』was published during the King Jungjong period and it supplemented the geography book, 『Dongguk Yeoji Seungram』, published during the King Seongjong period. King Seongjong designed『Dongguk Yeoji Seungram』as the cultural geography book including the poems. In the compilation process, poems were carefully selected and revised. Also,『Dongmunseon』was made with relation to 『Sinjeung Dongguk Yeoji Seungram』. The compliers had the pride of living in the era with rich cultural progress. Also, the compliers worked on 『Sinjeung Dongguk Yeoji Seungram』based on the idea that poetry is the essence of language reflecting the principle of the world and ethnic uniqueness. Jeyoung is the item which highlights the literary characteristic of『Sinjeung Dongguk Yeoji Seungram』. Jeyoung is the item arranged to include poems related to regions. Jeyoung item is composed of part which collects separate works and part which includes series of poems about scenery. The titles of the separate poems integrate the overall features of the region. The titles are designed to reflect humanistic feature, natural feature, and notional feature of the region in balanced way. In the individual poems, Hansung-bu is described as the favored capital with perfect conditions while Gaesung-bu is described as the deserted district with atmosphere of ruined country. By describing them, the poems establish contrasting images of Hansung-bu and Gaesung-bu. In addition, sub-titles of poems about the scenery suggest representative sceneries of Hansung-bu and Gaesung-bu. These sub-titles reflect the whole region comprehensively based on how each scenery is set. Also, the body parts of the poems express the people’s attitude of life and oriented value. While poems about Hansung-bu express human beings enjoying both city and nature freely and harmoniously, poems about Gaesung-bu express human beings conflicting between mundane world and nature or indulging in one side. In『Sinjeung Dongguk Yeoji Seungram』, poems are included in various items other than Jeyoung. The items can be divided into Hyeongseung and Pungsok item which utilize poems in title, Sancheon, Nujeong, Bulwoo, and Gojuk which apply poems in body parts. The poems in Hyeongseung item express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e region. The poems about Hansung-bu express the well-organized propitious site with excellent geographical features while poems about Gaesung-bu reflect the information of geographical condition or administrative division. All of the poems in Pungsok item are created by a poet of Ming Dynasty and they are all included in Hansung-bu. The poems expressed about how Joseon Dynasty got excellent custom by revering and imitating China and the poems had intention of emphasizing Hansung-bu as the only region which interacts with Ming Dynasty and shares custom. The poems in Sancheon item deliver various and detailed information related to natural space of Hansung-bu and Gaesung-bu. Also, poems in Nujeong item describe Hansung-bu as the region of leisure and culture while poems in Bulwoo and Gojuk describe Gaesung-bu as the region of retrospection and self-reflection. In 『Sinjeung Dongguk Yeoji Seungram』, Jeyoung poetry is actively applied for summarizing the overall regions and for explaining the specific places in the regions. In Jeyoung poetry helps the readers to identify detailed truth and overall characteristics through poems. Especially, Jeyoung item was arranged as the last item to integrate and conclude overall contents. Such composition shows the high expectations and respects for poems. When 『Sinjeung Dongguk Yeoji Seungram』was complied, people had common perception that poems play important role in compiling a geography book. However, the idea toward necessity of poems changed over time. In the late Joseon Dynasty, some suggested that including many poems in geography book should be avoided. 『Sinjeung Dongguk Yeoji Seungram』is the result of large-scale national business during the period when cultural development and stability continued. 『Sinjeung Dongguk Yeoji Seungram』reflects the tendency of early Joseon Dynasty putting emphasis on poems and it remains as the unprecedented humanistic geography book with strong literary characteristic. 『Sinjeung Dongguk Yeoji Seungram』has not been widely spotlighted as the literary research material because it was classified as a geography book. However, considering the features of poems included in 『Sinjeung Dongguk Yeoji Seungram』, it is important to focus on its literary characteristic.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as it analyzed the feature and role of Jeyoung poetry included in 『Sinjeung Dongguk Yeoji Seungram』and tried to highlight its value. However, this study involves limitations of restricting the regions to Hansung-bu and Gaesung-bu and lacking of clar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Sinjeung Dongguk Yeoji Seungram』by comparing with other geography books or writings of the same region in the different times. To clarify the literary characteristic of 『Sinjeung Dongguk Yeoji Seungram』in detail, the follow-up researches should complement such limitations. 본 논문은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수록된 제영시의 양상과 역할을 밝히고 그 문화사적 의의를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신증동국여지승람』은 조선의 대표적 관찬 지리지로, 많은 양의 시문을 수록하고 있어 문학적 성격이 강한 지리지로 평가된다. 『신증동국여지승람』은 조선 성종 연간에 간행한 관찬 지리지 『동국여지승람』을 중종 연간에 증보 간행한 문헌이다. 성종은 『동국여지승람』을 시문을 첨재한 문화 지리지로 기획하였다. 편찬 과정에서 시문의 선정과 교열은 특히 주의를 요하는 사안이었고, 『동문선』은 『신증동국여지승람』과의 관련성 속에서 제작되었다. 편찬자들은 자신이 살아가는 시대가 문운이 흥성한 시대라는 자부심을 지니고 있었다. 또한 시가 세계의 운영 원리를 반영하는 언어의 정수이며 민족의 고유성을 보여준다는 생각을 가지고 편찬 작업에 임하였다. 『신증동국여지승람』 의 문학적 성격을 가장 뚜렷하게 부각시키는 요소는 제영 항목이다. 제영은 지역과 관련된 시를 싣기 위해 설치한 항목이다. 제영 항목은 별개의 작품들을 모아 둔 부분과 여러 편의 집경시를 실어 둔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개별 시들의 표제구는 지역의 전체적 형상을 집약하는 역할을 한다. 표제구들은 지역의 인문적 형상, 자연적 형상, 관념적 형상을 균형적으로 반영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개별 시들의 내용을 살피면, 한성부는 완벽한 조건을 갖춘 천혜의 도읍으로, 개성부는 망국의 정조가 감도는 황량한 지역으로 형상화된다. 시는 한성부와 개성부에 대한 대조적 심상을 구축한다. 집경시의 소표제는 한성부와 개성부의 대표적 경관을 제시한다. 이 소표제들은 각각의 경관 설정 원리에 따라 지역 전체를 포괄적으로 반영한다. 집경시의 본문에는 사람들이 취하는 삶의 태도와 지향하는 가치가 나타나 있다. 한성부의 집경시에는 성시와 자연을 자유롭게 오가며 조화롭게 향유하는 인간이 나타나는 반면, 개성부의 집경시에는 세속과 자연 사이에서 갈등하거나 한쪽에 몰입하는 인간의 모습이 나타난다. 제영 외의 여러 항목에도 시가 수록되어 있다. 수록 양상에 따라 표제부에서 시를 활용하는 형승, 풍속 항목과, 본문부에서 활용하는 산천, 누정, 불우, 고적 등의 항목으로 구분할 수 있다. 형승 항목의 시는 지역의 물리적 환경을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 한성부의 시는 지세가 훌륭하고 질서가 갖추어진 천부의 길지를 표현하며 개성부의 시는 입지나 행정 구획 등의 정보를 담고 있어 대조를 이룬다. 풍속 항목의 시는 모두 명나라 시인의 창작인데, 모두 한성부에 실려 있고 개성부에는 실린 것이 없다. 시는 조선이 중화를 숭상하고 모방하여 훌륭한 풍속을 갖게 되었다는 내용으로, 한성부를 명나라와 교유하며 풍속을 공유하는 유일한 지역으로 부각하려는 의도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산천 항목의 시는 한성부와 개성부의 자연 공간에 관련된 다양하고 구체적인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누정 항목의 시는 한성부를 여유와 문화를 누리는 지역으로 인식하게 한다. 불우와 고적 항목의 시는 개성부를 회고와 감계의 지역으로 인식하게 한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서 제영시는 지역 전체를 개괄하는 데에도, 지역 내 특정한 장소를 설명하는 데에도 적극적으로 활용된다. 구체적 사실과 전반적 성격을 시로써 파악하게 한다. 특히 제영 항목은 마지막 항목으로 배치되어 전체 내용을 종합하고 매듭짓는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구성은 시에 대한 높은 기대와 존중을 보여주는 것이다. 지리지 편찬에 시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은 편찬 당대에 공유되는 인식이었고, 시대의 흐름에 따라 시의 필요성에 대한 생각은 변하였다. 조선 후기, 지리지에 많은 시문을 싣는 일은 피해야 할 문제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은 문화적 발전과 안정이 지속되던 시기의 대규모 국가 사업의 결과물로, 시문을 중시하는 조선 전기의 경향이 반영되어 강한 문학성을 띠는, 유례가 없는 인문 지리지로 남게 되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은 지리지로 분류되는 까닭에 그동안 문학 연구 자료로서 널리 각광받지 못했지만, 수록되어 있는 시문의 양상을 고려할 때 그 문학성에 더욱 주목할 필요가 있는 자료라고 판단된다. 본 논문은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수록된 제영시에 주목하여 그 양상과 역할을 본격적으로 분석하고 그 가치를 부각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고 본다. 다만 한성부와 개성부 두 지역으로 범위를 제한하였다는 점, 다른 시대의 지리지나 해당 지역에 관련된 여타 저술과 비교하여 『신증동국여지승람』의 특성을 뚜렷이 하는 작업이 미진했다는 점은 한계라 할 것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의 문학적 성격을 더욱 정교하게 밝히기 위해서는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는 작업이 후속되어야 할 것이다.

      • 한중 주체 이동 동사의 의미 대조 연구 : 단의 분포 양상을 중심으로

        백방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07

        본 연구는 한국어 주체 이동 동사와 중국어 주체 이동 동사의 의미적 공통점과 차이점을 대조,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첫째, 한국어와 중국어의 주체 이동 동사의 목록을 한정하고 동사의 의미를 평정한다. 둘째, 평정된 각각의 단의에 대해 의미의 실현 환경을 확인하고 단의의 배열 순서를 결정한다. 셋째, 낱낱의 단의들이 그래프에서 어떻게 분포되는지를 표상한다. 본 연구는 한국어와 중국어 주체 이동 동사의 의미를 상세하게 체계적으로 분석했기 때문에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동사의 의미를 다룰 때 활용될 수 있고, 기간 사전의 뜻풀이를 보완한 것이므로 향후 한중 대역사전의 편찬에 있어서 뜻풀이의 체계성을 기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인간의 의사소통에서 문장은 기본적인 언어 단위가 되는 것인데, 문장을 구성하는 여러 성분들 중에서 ‘서술어’는 가장 중요한 성분이라고 할 수 있다. ‘관형어’와 ‘부사어’는 문장 구성에 있어서 필수성분이 아닌 수의성분이기 때문에 생략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주체’는 한 문장에서 언급되는 어떤 것이고, ‘목적어’는 동사가 나타내는 행위의 대상이 된다. 일반적으로 타동사 구문에서 ‘주체’와 ‘목적어’, 자동사 구문에서 ‘주체’가 꼭 나타내야 하는데 상황에 따라 생략하는 경우도 종종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서술어’는 문장의 주체로 제시된 인물이나 사물에 대하여 그 동작・상태・성질을 설명하는 말로서 문장에서 가장 중요한 성분이며 진술의 핵심이 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문장에서 주로 서술어로 기능하는 동사는 다른 어떤 부류보다도 통사적・의미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천기석(1983)은 용언 전체를 대상으로 하여 동사를 크게 동작 동사와 상태 동사로 양분했으며 동작 동사를 다시 ‘수여 의미, 소유 의미, 이동 의미, 부정 의미, 비교 의미, 상접 의미, 조종 의미, 보류 의미’ 등 분야로 나누었고, 상태 동사를 ‘기본 도량 의미, 부착 도량 의미, 추론 의미’ 등 분야로 나누었다. 동작 동사와 상태 동사 가운데 동작 동사가 한층 더 동사적이라고 말할 수 있다(전수태 1987: 4). 이 중에서 이동은 우리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이동의 의미를 표현하는 이동 동사는 언어 구성에서 중요하다고 말할 수 있다. 이동 동사는 ‘어떤 개체의 공간적 위치 변화를 나타내는 동사’를 가리킨다. 즉 누가 어느 장소에서 어느 장소로 이동하거나, 무엇이 어느 장소에서 어느 장소로 옮겨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동하는 것이 주체인 경우 ‘주체 이동 동사’, 객체인 경우 ‘객체 이동 동사’로 부를 수 있다. ‘주체 이동’은 이동체가 자발적으로 수행하는 이동이고, 객체 이동은 외부의 힘이 이동체를 움직이게 하는 이동이다. 이 중에서 ‘주체 이동’은 객체 이동에 비하여 능동적이고 자발적인 이동의 의미를 더 선명하게 보여준다. 또한 이동 동사에는 동사의 본질적인 의미가 이동을 의미하는 것들이 있고, 동사의 본질적인 의미가 이동이 아니라 주체가 동작을 수행하기에 이동이 필수로 나타나야 하는 동사들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자의 경우 ‘본질적 이동 동사’, 후자의 경우 ‘부차적 이동 동사’로 규정한다. ‘본질적 이동 동사’와 ‘부차적 이동 동사’ 모두 동작 수행 과정에서 이동이 발생되므로 본 연구에서는 두 종류의 동사를 모두 연구대상을 삼는다. 한편 외국어를 배우는 사람에게 한 단어의 의미가 다양하다는 것은 그 언어를 습득하고자 하는 학습자에게 많은 부담이 된다. 모어 화자들은 여러 의미를 가지는 하나의 단어를 문장 안에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지만, 외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들에게 정확한 단어를 적절한 문맥과 함께 사용하는 일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그렇기 때문에 다의어 연구는 동사 연구의 기초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조언어학의 입장에서 주체 이동 동사를 대상으로 한국어와 중국어 이동 동사의 각 단의의 대응 여부와 단의들의 분포 양상을 밝힐 것이다. 이로써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이동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 양상을 띠고 있는지,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갖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어와 중국어 이동 동사 간의 미세한 차이가 밝혀질 것이다. 이는 제2언어로 한국어를 학습하는 외국인에게 어려운 항목으로 판단되는 이동 동사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모어의 간섭에 의해서 오류가 발생하는 부분을 줄이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한중 대역사전의 편찬에도 도움을 기여할 수 있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semantic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Korean and Chinese verbs. For this purpose, first, the list of principal verbs in Korean and Chinese is limited and the meaning of the verb is corrected. Second, for each equitable short, the realization of the meaning and the order of the arrangement are determined. Third, it represents how the bits are distributed on the graph. As the meaning of Korean and Chinese verbs has been analyzed systematically, this research can be used to deal with the meaning of the verb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ield and complemented the meaning of the period dictionary, so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systemicization of meaning in the compilation of the Korea-China band dictionary. In human communication, sentences are a basic unit of language, and among the various components that make up a sentence, 'description' is the most important component. Oral and adverbial are often omitted because they are nonessential, non-essential, components of a sentence. And 'subject' is something that is mentioned in a sentence, and 'target' is the subject of the verb's actions. In general, the subject and the subject must be represented in the transitive syntax, and the automatic syntax should often be omitted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However, 'description' is a term that describes the behavior, condition and nature of a person or object presented as the subject of a sentence, and is the most important component of a sentence and is the core of a statement. That is why it can be said that the company, which mainly functions as a descriptive language in a sentence, plays an important role, both synthetically and consciously, more than any other class. The moving verb refers to a verb that represents a spatial change in an object. That means someone moves from place to place or something to place. It can be called 'movement verb' if it is the subject and 'move object verb' if it is the object. 'Movement of the subject' is the movement that the mobile entity performs voluntarily, and object movement is the movement that causes the external force to move the mobile. On the other hand, the variety of meanings of a word in a foreign language puts a lot of pressure on learners who want to learn the language. Morer speakers can freely use a single word with many meanings in their sentences, but it is very difficult for learners of a foreign language to use the correct word with the appropriate context. In this study, we will examine the patterns of the distribution of the units and the response of the Korean and Chinese moving verb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ntrol linguistics. This will reveal the fine line between the Korean and Chinese verbs by looking at what the perception of migration is and what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re. This can contribute to reducing the error caused by Moore's interference in learning a mobile verb that is considered difficult for foreigners learning Korean as a second language. It can also contribute to the compilation of the Korea-China bandwagon.

      • 국어 상대 대우의 용법에 관한 연구 : 부름말과 종결어미를 관련지어

        정희선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23

        Korean relative honorifics are realized through sentence-terminating endings and designations. Nevertheless, the study on the Korean relative honorific system has so far been mainly concerned with the relative honorifics of sentence-terminating endings, has described whether to honor or not by disclosing the function of ‘-이-‘ and ‘-습-‘, forms of relative-honorifics of sentence-terminating endings, and has described the usage of relative-honorifics of sentence-terminating endings on the basis of up- and down- social factors. However, the soci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norms that determine the Korean relative honorific system reflect not only social factors such as up and down but various social factors. By the way, since these social factors are not realized in the grammatical form and specific social norms can be different according to groups or individuals, the usage of relative honorifics has not been described in active association with social norms. Social norms that determine the usage of Korean relative honorifics determine the usage of designations and sentence-terminating endings that reflects the relative honorifics. However, the usage of designations indicates social norms related to the relative honorifics better than sentence-terminating endings. Considering this, if we associate the usage of relative honorifics in designations with that in sentence-terminating endings, then we can understand better the usage of Korean relative honorifics. There are many different types of Korean designations. A variety of types of designations are due to the fact that there are various social norms dealing with the opponents in Korean. Social norms that are reflected in designations are established according to social factors such as whether they are acquaintances, relatives, ups or downs, adults, men or women, and intimacy with them. These social factors can be the semantic characteristics that determine the usage of relative honorifics. However, the usage of relative-honorifics of designations and sentence-terminating endings are realized variously according to social norms which may be accepted differently by individuals. It is because they may treat the opponents as their relatives or strangers at their own discretion. In any case, however, each case reflects the social norms that individuals accepted. Therefore, the relative-honorifics of designations and sentence-terminating endings according to social norms are described under certain rules. The social norms that determine the relative honorifics vary from society to society. Social norms in the agricultural society where people lived in the clan-centered form in the past are different from those in the industrial society where people live with others in the city-centered form like today. This indicates that the change of usage of relative-honorifics of designations and sentence-terminating endings is also associated with the change of social norms. This essay thinks that the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Korean relative honorifics reflect social norms and these social norms determine the usage of relative honorifics of designations and sentence-terminating endings, and describes the usage of relative honorifics of designations and sentence-terminating endings by associating it with social norms. In this essay, aforementioned seven (7) social factors were treated as social factors determining the Korean relative honorifics. In that case, social norms formed by seven social factors are as follows: First, strangers should be honored. In other words, if people do not know each other, they should honor their opponents. Second, the superior should be honored. The criteria for up and down are age, position, order of generation, etc. Third, others, if they are not relatives, should be honored. Someone, if he is an acquaintance but not a relative, should not be treated arbitrarily. Fourth, adults should be treated as adults. Even though they belong to younger generation, they should be honored. Fifth, if they are others other than relatives, women should be treated better than men. Sixth, you should distinguish public matters from private ones, but in public relations, public factors should take priority over private ones. Seventh, social norms will be weakened if people become very intimate each other. And the change of designations and sentence-terminating endings used in modern Korean can be also explained by the change of social norms. As the age changes, social factors such as whether they are acquaintances, adults, men or women have weakened while social factor of intimacy has been strengthened. The changes of the usage of relative honorifics due to the change of social norms formed by the social factors changed like this are as follows: First, as social norms weak for treating them differently depending on whether they are acquaintances or not, such social norms have changed into ones under which others should be also treated the same as acquaintances and thus people also use for strangers the kinship- or position-terminologies which are designations that are used only for acquaintances in general and also use a ‘해’ style if they consider the opponents as not their superiors at the sentence-terminating endings. Second, as social norms weak for treating them differently by distinguishing adults and minors when people treat their juniors, people do not use designations used for adults and also rarely use a ‘하게’ style at the sentence-terminating endings. Third, as social norms weak for treating men better than women by distinguishing between them, the designations and sentence-terminating endings used differently for men and women are being uused without distinction of gender. This can be confirmed by the words that are exchanged between husbands and wives. Fourth, as social norms weak for lowering oneself to opponents, especially superiors or others, social norms have been formed that aimed to treat the opponents as intimate relations. This can be confirmed by the fact that the accents at the designations are softened or the designations using vocative postpositions increases and, in addition, the non-formal styles increase compared to formal ones at the sentence-terminating endings. However, considering the words used in younger generation these days, the usage of Korean relative honorifics seems to be changing very rapidly and is likely to become very simplified in the future. Probably, in the future, there will remain only social forms according to ‘the up- and down- relationship with the opponents’, centering on the speaker while other social norms may gradually disappear. When we see the reality that most relative-related words other than ‘mother, father’ among the kinship terminology designations are also used for others and children consider their grandparents as relatives other than families, it can be recognized that social norms become simplified to determine the usage of relative-honorifics.

      • 중국 누리꾼들이 사용하는 한국어 차용표현 연구

        판영 대구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23

        중국 누리꾼들이 한국의 문화, 한국의 유행에 관심을 가지면서 현재까지 한국 사람을 흉내 내어 쓰고 있는 한국어 차용표현에 대해 다양한 각도에서 분석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구체적으로 한국어 차용표현의 유형과 사용 실태, 차용표현 사용의 기능, 차용표현 사용의 성별 차이에 이르기까지 사례분석과 통계분석 방법을 통하여 종합적으로 살펴봤다. 차용표현의 사용 빈도에 따라 한국어 차용표현을 ‘종결어미’, ‘호칭어’, ‘친교표현’과 ‘기타 표현’의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누었다. 쓰임 사례 분석을 통해서 중국 누리꾼들이 한국어 차용표현을 한자와 영문자를 이용하여 소리 나는 대로 다양하게 표기하며, 한국어에서와 비슷한 의미 기능으로 차용표현을 사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일부 차용표현은 뜻으로 차용되어 한자로 표기되기도 했다. 한국어 차용표현의 사용은 통신 언어로서 시작되었지만 현재 일상생활의 인쇄 매체와 영상 매체로 쓰임이 확산되었음을 관찰하였다. 한국어 차용표현은 일부 누리꾼들만 인터넷 공간에서 쓰는 것이 아니라 신문, 방송 등의 공식 매체에서도 활발히 쓰는 말이 되었다. 통계분석 결과, 대부분의 차용표현을 여성이 더 주도적으로 쓰지만 남성의 사용률도 점차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들이 차용표현을 더 활발히 쓰는 점은 한국과 한국문화에 대한 관심이 더 높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차용표현의 사용 기능에 대해 ‘높여 대우하기’, ‘한국인처럼 말하기’, ‘한국 지시하기’, ‘태도 드러내기’의 독특한 담회기능으로 나누어 분석했다. ‘높여 대우하기’ 기능은 ‘思密达(습니다)’, ‘nim’, ‘xi’ 등을 이용해 한국어의 경어법처럼 쓰는 것이고, ‘한국인처럼 말하기’ 기능은 한국인들이 말하듯이 흉내 내어 친근하고 재미있게 표현하려는 것이다. ‘한국 지시하기’ 기능은 차용표현으로 ‘한국’이나 ‘한국인’ 등을 가리키는 것이며, ‘태도 드러내기’ 기능은 ‘思密达(습니다)’ 등을 통해 한국에 대한 긍정적 태도와 부정적 태도를 드러내는 것이다. 이 연구는 중국 누리꾼들이 사용하는 다양한 한국어 차용표현의 쓰임과 기능을 구체적으로 분석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중국어 화자들의 차용표현 사용에 대한 연구의 폭을 넓힌 점도 의미가 있다. 한류를 바탕으로 한중의 교류가 크게 늘어난 상황에서 한국어와 중국어가 접촉하고, 결과적으로 많은 한국어 표현들이 중국어에 차용되어 쓰이는 점을 본격적으로 밝힘으로써 한중 교류와 두 언어에 대한 이해의 범위를 넓힌 점은 이 연구의 중요한 성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was to analyze and study the Chinese expressions borrowed from Korean which are now widely used by Chinese netizens who speak like Koreans with an interest in Korean culture and fashion. In this paper, based on the case-study and data analysis methods, the author tried to study the Korean loanwords of Chinese from the perspective of type, use, function, and the gender difference of the usage of the expressions borrowed from Korean.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of the expressions borrowed from Korean, they can be divided into four types: 'end suffix', 'salutation', 'expressions of feeling' and 'other expressions'. Through case studies, this thesis observed that Chinese netizens have written the expressions borrowed from Korean in various Chinese characters and English letters based on their pronunciations, and this paper confirmed that the expressions borrowed from Korean used by Chinese netizens and that are used by Korean had similar meanings and functions. This thesis also observed that part of expressions borrowed from Korean, which were widely used in Chinese characters, referred to the same thing. The expressions borrowed from Korea began to be used as a communication language, but it is observed that these borrowed words have extended to print media and visual media of modern life. Not just being used by netizens in the network space, the expressions borrowed from Korean had also been widely used by official media such as newspapers and broadcasts.The data result showed that women had more initiative in the use of these borrowed words, but it would be confirmed that men used them with equal vigor. This article suggests that women uses expressions borrowed from Korean more actively because they are much more interested in Korean and its culture. And the author analyzed four unique functions of the expressions borrowed from Korean which are used by Chinese netizens. They are 'honorific expression', 'speaking like a Korean', 'a reference to Korea', and 'expression of attitude'. The function of 'honorific expression' such as the use of '思密达(-습니다)', 'nim', 'xi' had the same function of the Korean language to show one's respect. The function of 'speaking like a Korean' was intended to express friendliness and humor as Koreans spoke. The function of 'a reference to Korea' referred to 'Korea' or 'Korean' as the expressions borrowed from Korean. The function of 'expression of attitude' mainly referred to the borrowed word '思密达(습니다)' that is to reveal attitude on the basis of people's positive perception or negative perception of Korea. This thesis is meaningful because of the following reasons. First, it specifically analyzes the usage and function of various expressions borrowed from Korean which are widely used by Chinese netizens. Second, the research range on the use of expressions borrowed from Korean has extended to Chinese speakers. Korean and Chinese interacts with each other in the context of frequently exchanges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on the basis of "Korean Wave". This paper officially revealed many Korean expressions which had been widely used by Chinese. Therefore the exchange and understanding of Chinese and Korean is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 achievement of this research.

      • 황순원 소설의 공간 연구

        김경훈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07

        본 연구는 황순원의 소설에 나타나는 공간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기존 작가 를 연구하는데 있어서 주된 경향성이었던 서정성에 대한 집중에서 벗어나 작 가가 가지고 있던 현실인식을 재조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황 순원의 전 작품을 대상으로 공간성이 두드러지는 텍스트들을 중심으로 소설 내부에 나타나는 공간이 어떻게 그의 현실인식과 연관이 있는지를 중심으로 고찰한다. 황순원 소설에 대한 연구는 1970년대부터 본격화되기 시작하였다. 이 시기 부터 기존 연구자들은 작가의식 및 기법적인 특성을 총체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 문체 미학적 특징 및 서정성을 중심으로 다각적인 검토와 연구가 이루어졌다. 하지만 이러한 주류적 경향성으로 인해 이후 황순원 문학 은 “진공관 문학” 혹은 “초월주의”적 성격을 한계로 지적받아 왔으며 후속연 구들 역시 이러한 편견에서 벗어나고 있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초기 단편소설에서 후기의 장편소설에 이르기까지 황순원의 소설은 실로 다 양한 변화 양상을 보여 왔다. 특히 근현대사의 흐름과 호흡을 같이한 그의 작 품세계 변화는 작가의 투철한 현실인식이 없이는 불가능한 작업이라는 것을 알게 해준다. 실제로 황순원의 작품은 ‘서정성’과 ‘휴머니즘’을 근간으로 하지 만 그 토대가 되는 역사적 배경은 끊임없이 변모하였으며 그 변모의 과정을 잘 나타내주는 것이 바로 작가가 작품을 통해 재현하는 공간의 변화 양상이 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기단편에서 후기장편에 이르기까지 황순원 작품을 대상으로 공간의 변화 양상을 연구하였다. 먼저 본고의 Ⅲ장에서는 2기 작품 들을 중심으로 황순원 초기 단편에서 나타나는 공간의 유형과 그 의미를 분석 하였다. 2기 작품들의 경우 시작詩作 활동을 하던 시기의 영향으로 인하여 시 적 정서가 분명하게 반영되어 있으며 그렇기에 공간에 대한 표현도 어디까지 나 환유적이다. 즉, 재현된 공간에 대한 도식적이나 설명적 태도보다는 인식과 감각에 의한 이미지적 형상을 나타낸다. 그렇기에 이 시기 작품들에서 공간은 구체적인 의미를 지니지 않은 것으로 비춰진다. 그럼에도 이 시기 작품에서 나타나는 공간에 대한 작가의 인식이 현실과 맞닿아 있다는 점, 특히 전근대 적 세계의 상실을 공간을 통해 환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황순원 작품세계에 나 타나는 공간의 시원을 파악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 시기 작품들에 나타나는 공간은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 다. 첫째로 전근대적 세계를 대표하는 절대공간. 두 번째로 근원공간. 세 번째 로 정주공간이다. Ⅲ장에서는 이들 공간에 대한 분석을 통해 각각 그 공간을 바탕으로 작가의 현실인식과 그 변화의 과정과 연관이 있음을 논하였다. Ⅳ장에서는 중·후기 장편소설에 나타나는 공간성을 분석하고 그 의미를 도 출하고자 하였다. 3기 이후의 작품들은 장편 소설이 주를 이루며 작품 내부에 공간에 대한 작가의 의식이 비교적 명확하게 드러난다. 작가는 첫 장편인 별 과 같이 살다를 간행하면서 장편소설 작가로서의 입지를 다지기 시작하였는 데 공간에 대한 작가의 새로운 재현 양상이 이 시기 두드러진다. 특히 작가의 사유가 전근대에서 근대로, 다시 탈근대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변화하는 작품 내부의 공간들은 그의 작품이 현실과 어떻게 관여하는지를 가늠하게 하는 척 도가 될 수 있다. 그렇기에 이 시기 작품에서 나타나는 공간성의 분석은 중요 하다고 할 수 있다. Ⅲ장에서 다룬 공간의 변화가 전근대성의 탈피 과정을 바탕으로 이루어 졌다면 장편소설에 나타나는 공간은 국가권력 및 자본권력과 밀접하게 연관되 는 추상공간들로 그 지배적 면모가 명확하게 드러난다. 이러한 추상적 공간은 몇 가지로 세분화되어 나타나는데 전쟁과 전후라는 특수한 역사적 사건을 바 탕으로 한 특수공간의 발현, 산업화 이후 팽창한 자본권력을 통해 구성되는 도시공간, 그리고 이러한 공간의 권력에서 자유롭고자 주체들이 추구하는 대 항공간이 바로 그것이다. 이에 인간접목, 나무들 비탈에 서다와 같이 전쟁 전후를 배경으로 한 소설들에서는 특수한 공간의 상정을 통해 당대 현실을 보여주고 있음을 밝혀 내고 이후 작품들에서 나타나는 도시공간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도시공 간에 대한 논의는 일월, 움직이는 成, 신들의 주사위를 바탕으로 도시공 간에 대한 인식이 근대에서 탈근대로 변화하고 있는 작가의 인식변화와 연관 됨을 논하였다. 마지막으로 대항공간의 추구와 관련하여 근대적 기획의 권력 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작가의 태도가 드러나는 지점임을 규명하고 그 의미를 추적하였다. 그리고 근대적 추상공간의 영향력을 벗어나기 위해 근원적 공간 을 다시금 추구하는 작가의 태도는 그의 작품 세계가 끊임없는 변화를 거쳐 다시금 시원으로 돌아가고 있음을 알 수 있게 해주는 것임을 논하였다. 본 연구는 이상의 논의들을 통해 본고에서는 황순원 문학에 나타나는 공간 성을 연구 하였다. 황순원의 작품은 역사와 현실이 결여되어 있는 순수문학으 로 이해되어 왔으며 그의 작품들이 관심을 두고 있는 것은 역사와 현실 넘어 서 있는 어떤 근원적이고 초월적인 영역으로 이해되어 왔다. 하지만 공간에 대한 작가의 추구는 현실에 대한 의식과 당대를 바라보는 통시적 관점이 없이 는 불가능한 작업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논의가 가능할 때 작가가 가 지고 있었던 현실인식이 명확하게 드러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연구를 통해 황순원의 작품을 두고 이루어져왔던 ‘서정성’에 집중된 기존 연구의 영역 이 넓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spaces in Hwang Soon-won's novels and thus shed new light on the author's perceptions of reality beyond the focus on lyricism that was the main tendency in previous studies on him. The study examined how spaces in his novels were connected to his perceptions of reality with a focus on the texts with prominent spatiality in the entire collection of his works. Researches on his novels became full-blown in the 1970s, since when old researchers have tried to figure out his consciousness as a writer and his technique features and accordingly conducted multilateral reviews and researches with a focus on his aesthetic characteristics in style and lyricism. Due to this mainstream tendency, however, his literature has been assessed to have limitations as "vacuum tube literature" or "transcendent" nature. Following studies have been restricted by this bias. Hwang's novels showed truly diverse changing patterns from his early short stories to his late novels. Following the flows and breaths in the early modern and modern history of Korea, the changes of his creative world would not have been possible without his thorough perceptions of reality. In fact, the historical backgrounds of his works continued to change even though their basis was "lyricism" and "humanism." The changing process can be found most clearly in the changing patterns of spaces reproduced in his works. The present study thus examined the changing patterns of spaces in his works from his early short stories to his late novels. The study looked into the meanings of early modern spaces in his early short stories and changes to his perceptions of the spaces, demonstrating that the works depicted a changing process of his perceptions from early modern to modern times. The study then examined special modern spaces in his middle novels, trying to shed light on the ways that his perceptions of reality were reflected in them. The study then discussed how post-modern thinking that he sought after had an encounter with reality through urban spaces in his late novels and the patterns of subjects that were wandering and having conflicts inside these urban spaces. By conducting this research on spatiality of his novels, the study broadened the horizon of research on his literature further and demonstrated that his literature was fully reflective of reality.

      • 韓國·中國·日本 근대 唯美主義 문학의 比較硏究 : 金東仁·郁達夫·谷崎潤一郞을 中心으로

        유옥평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07

        唯美主義(Aestheticism)는 美의 創造를 藝術의 唯一至上을 目的으로 삼는 藝術思潮이며, 耽美主義라고도 한다. 넓은 의미에서의 唯美主義는 美的 享受 및 美的 形成에 最高의 價値를 두는 人生觀 · 世界觀을 가리키며, 에피쿠로스(Epikuros)의 이름과 함께 오랜 歷史를 갖고 있으며, 近代에 와서 셸링(Schelling)이나 니체(Nietzsche)에 의해 再確認되었다. 따라서 藝術思潮로서의 唯美主義는 예술지상주의(藝術至上主義)의 한 分類로서 19世紀 後半에 擡頭되었다. 이 思潮는 프랑스에서는 에드거 앨런 포우(Edgar Allan Poe)의 影響을 받은 보들레드(Baudelaire)에 의해 구현되었고, 英國에서는 월터 페이터(Walter Pater)로부터 시작되어 라파엘 전파(Pre-Raphaelitism)를 거쳐 오스카 와일드(Oscar Wilde)에 이르러 全盛期를 이루었다. 이들의 主張이 반드시 一致하는 것은 아니지만, 精神보다는 感覺을, 內容보다는 形式을, 現實보다는 空想을 重視하고, 美를 眞과 善 위에 두며, 때로는 悪에서까지 美를 發見하는 점 등에서는 共通的인 思想을 보였다. 比較文學이란 一國의 文化와 他國의 文化와의 關係, 즉 文化의 交流와 그에 의한 影響을 硏究 對象으로 하는 文學史的 性格을 갖는 學問이다. 바꾸어 말하자면, 比較文學은 文學的 世界意識(Cosmopolitanism)을 갖는 사람들이 그것을 歷史的으로 硏究하고자 하는 慾望의 作用에 의해서 시작된 學問이라고 할 수 있다. 文學의 素材는 사랑, 슬픔 등 人間의 共通 感情과 病, 죽음 등의 人類 共通 運命인데, 다만 그 다루는 方法에 差異가 있을 뿐이다. 比較文學은 두 나라 또는 類似한 傾向을 가진 作家나 作品의 比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해당 國家의 文學的 傳統과 土壤의 考察에도 미칠 수 있다는 점에 그 意義가 있다. 文學을 包含한 文化는 相對的으로 發展한 地域이 後進 地域에 影響을 주는 것이 普遍的인 흐름이다. 이러한 影響 關係에서 發信者가 同一한 경우, 그 影響을 받는 相對가 서로 다른 나라일지라도 國情과 影響 經路 그리고 作家의 體驗이 恰似하다면, 아주 類似한 形態의 文學作品과 文學現象이 나타날 수 있다. 하지만 同一한 外來 影響의 受容으로 類似한 傾向을 보이던 作家이더라도 그들의 生活環境이 변하고 精神的 體驗이 不同한 方向으로 展開됨에 따라 전혀 다른 文學의 樣相을 볼 수도 있다. 본 論文은 이와 같은 觀點으로, 韓國 · 中國 · 日本 三國의 唯美主義 文學의 受容과 三國의 代表的 唯美主義 作家로 손꼽히는 金東仁 · 郁達夫 · 谷崎潤一郞의 作品을 分析하여 唯美主義의 性格이 同一한지 아닌지를 糾明하고자 하였다. 이를 解明하기 위하여, 우선 Ⅱ장과 Ⅲ장에서 唯美主義의 定義와 淵源에 관하여 簡單히 考察하고, 西洋의 文藝思潮의 發生과 흐름을 槪觀한 후, 韓國 · 中國 · 日本 三國의 唯美主義 受容 過程을 分析한다. Ⅳ장에서는 三國의 代表的 唯美主義 作家 三人의 唯美主義의 特質을 把握한다. 먼저 韓國 作家 金東仁의 唯美主義적 傾向이 잘 드러난 作品인 『배따라기』, 『狂畵師』와 『狂炎소나타』를 分析하여 그의 唯美主義 特質을 糾明한다. 다음으로 中國 作家 郁達夫의 모든 小說(1921~1935년)을 分析 對象으로 삼아, 그의 唯美主義 特質을 考察한다. 마지막으로 日本 作家 谷崎潤一郞의 耽美主義적 傾向이 잘 드러난 『문신(刺青)』, 『치인의 사랑(痴人の愛)』과 『춘금초(春琴抄)』에서 表現된 作家의 唯美主義를 分析하여 그의 唯美主義 特質을 分析한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세 作家의 作品에서 드러난 唯美主義的 特質의 共通點과 差異點을 具體的으로 考察하는데 그 目的을 두었다. 金東仁의 唯美主義는 傳統이 없는 處女地에 西洋의 唯美主義를 實驗的으로 다룬 것으로서 象徵的인 藝術至上主義로 볼 수 있다. 郁達夫의 唯美主義는 現實的인 삶을 超越하는 逃避的인 空間이 아니라 虛僞的 現實에 反抗하며 眞實한 世界를 追求하는 ‘想像的’ 空間이라고 할 수 있다. 谷崎潤一郞의 唯美主義는 傳統 위에 세워진 새로운 唯美主義이며 그의 唯美主義는 肉體를 隨伴하는 實體의 感覺을 가진다. 韓國 · 中國 · 日本 三國은 모두 西歐에서 唯美主義 文學思潮를 受容했지만, 서로 다른 政治的 · 社會的 背景과 各國의 文化的 · 歷史的 차이 때문에 각 나라에서 具體的으로 다른 樣相을 보인다. 따라서 본 論文에서는 동아시아 三國의 唯美主義 思潮가 어떻게 西洋 文藝思潮를 適用하는지, 어떻게 自己 國家의 文化 傳統 影響에서 變容하는지 照明할 것이다. 본 論文에서는 韓國 · 中國 · 日本 三國의 近代 唯美主義 特徵과 三國의 唯美主義 傾向이 있는 작가 金東仁, 郁達夫, 谷崎潤一郞의 作品을 對象으로 삼아 그들의 作品 속에 나타난 唯美主義 特性을 解明하는 것에 첫 번째의 目的을 두었다. 그 후에 精神分析 批評의 方法論을 바탕으로, 各各의 텍스트를 中心으로 具體的으로 比較硏究를 하면서 세 作家의 唯美主義 文學의 類似點과 差異點을 밝힐 것이다. 이러한 硏究는 동아시아 三國의 近代 唯美主義 文學에 대한 統合的으로 全面的이고 體系的인 硏究를 함으로써 앞으로 동아시아 唯美主義 文學을 硏究하는데 나아갈 方向性을 提示하는데 意義가 있다. 그런 점에서 본 硏究는 比較文學으로서의 價値가 있다고 본다.

      • 한중 수교 이후 재한 조선족 디아스포라 시문학에 나타난 정체성 연구

        전은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07

        본 논문에서는 한중 수교 이후 재한 조선족 디아스포라 시문학에 나타난 정체성의 문제를 연구 주제로 삼았다. 이 연구는 여러 세대에 걸쳐 디아스포라로 살아왔던 재중 조선족 집단의 한국으로의 이주가, 외적으로는 중국의 개혁개방 정책에 따른 국제적 노동이주의 성격을 띠지만, 내적으로는 ‘디아스포라의 귀환’이라는 모국과의 민족적 차원의 유대의식에서 출발한다는 것을 전제로 삼았다. 디아스포라는 이주지에 정착하려는 것과 모국과 연결을 강화시키는 것, 이‘이중적 욕망’또는 ‘사이성’을 지니는데, 이는 조선족 디아스포라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항목이 된다. 본 연구는 디아스포라의 최초의 이주가 ‘집’에서부터 시작한다는 점에 주목한다. 그들이 ‘귀환’하고자 하는 곳이 지리적 ‘공간’인‘고향’이 아니라 문화적 총제로서의 ‘장소’인‘집’이라는 점에서, ‘고향 찾기 욕망’과 ‘집 찾기 욕망’은 구별된다. 그러나 조선족 디아스포라는 이 두 욕망을 동일하게 설정하고‘귀환’했기 때문에, 욕망의 달성이 불가능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네 가지 측면에서 접근했다. 첫째, 조선족 디아스포라의 중국 이주와 정착, 그리고 한국으로의 귀환의 역사성을 통해 정체성의 형성 과정을 살펴보았다. 조선족 디아스포라는 조선인에서부터 중국 조선족으로 규정되기까지의 험난한 여정에서 겪은 ‘고향상실’의 아픔을, ‘상상속의 고향’에 대한 ‘그리움’과 ‘귀환의 욕망’을 증폭시킴으로써 스스로 위안 받았다. 또한 그들은 이주지에서 겪은 두려움과 소외감을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행동으로 전환하여‘연변조선족자치주’라는 정치적으로 공인된 ‘집’인‘조선족 공동체’를 구축한다. 그리고 그들은‘민족 정체성’을 계승-발전시켜 그것을 ‘정신적 존재감’으로 삼았다. 둘째, 한중 수교 이후 그들은‘상상속의 고향’인 한국으로 귀환하지만‘낯선 한국인’의 차별과 냉대를 통해 ‘낯선 고향’인 모국에서 ‘정체성의 혼란’에 직면한다. 그들은 중국에서 반세기 이상을 사회주의 계획경제 국가에서 살았기 때문에 한국의 신자유주의적 자본주의 경제를 받아들이는 것이 쉽지 않았고, 이데올로기의 장벽으로 왕래가 없었던 오랜 세월의 간극은, ‘상상속의 고향’에 대한 환상이나 감상적인 민족 개념으로 쉽게 극복될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그리하여 그들이 이루려던 한민족으로서의‘자격 회복’과 자본주의의 체제에 진입하려던 ‘자본의 욕망’이 모두 실패하고 만다. 그들은 모국에 대한‘그리움’이 환상이었음을, 그들이 찾고자 했던 ‘고향’과 ‘(고향)집’이 모국에 존재하지 않는다는, ‘집의 부재’를 실감한다. 셋째, 이주 3,4세대인 그들은 모국에서‘집 찾기’ 욕망이 좌절된 후, 많은 조선족들이 그들이 태어나고 자란 실재 고향인 연변으로 되돌아간다. 그러나 그들은 연변에서도 ‘집 찾기’에 실패한다. 그곳의 ‘집’은 이미 ‘추억속의 집’일 뿐이었다. 연변의 이웃들은 오래 전에 ‘(고향)집’을 찾아 떠났고, ‘조선족 공동체’도 해체되어 ‘기괴하고 낯선 고향’으로 바뀌어져 있었다. 그들이 모국에서 번 돈으로 산‘비싼 아파트’도 가족들이 살지 않는 ‘빈 집’일 뿐이었다. 넷째, 그들은 모국과 연변에서 ‘고향과 집의 해체’와 ‘조선족 공동체의 해체’를 실감하고 새로운 ‘집 찾기’또는 ‘집 짓기’를 시도한다. 이와 더불어 주목할 만한 변화가 감지된다. 몇몇 시인들이 올바른 현실인식을 통해 ‘자아성찰’과 더불어 실천적인 시적 대응을 시도한다. 이는 문제의 원인을 자신에게서 찾는‘내적귀인(內的歸因)’의 대응으로 시작된다. 시인은 정체성의 혼란과 갈등을 자기 자신과의 ‘말 걸기’와 ‘답 하기’의 형태에서, 자신의 감정이나 생각을 객체화시키는 것에서 각각 출발했다. 그리고 자신들의 ‘타자화’가 한국인이 행한 것이 아니라 스스로 만든 것임을 깨닫는다. 그리하여‘적극적인 말 걸기’와 자신을 성찰하는 ‘시 쓰기’등의 실천적 대응을 통해 자신들의 위상을 스스로‘타자’에서부터 ‘주체’로, 모국사회에 대한 태도도 일방적인 ‘기대’에서 자신에 대한 성찰로 시작하는‘관심’으로 전환시켰다. 이를 통해 모국사회의 ‘분단 트라우마’와 만나 그들의 차별과 냉대를 이해하면서, 한국인들과 자신들이 지니고 있는 ‘타자성’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 소통의 첫걸음임을 자각한다. 그리고 갈등의 원인 중의 하나가 각기 지닌 트라우마 때문이라는 것을, 자신과 한국인이 서로 다르지 않음을 발견하기에 이른다. 그들은 이러한 ‘인식의 전환’을 통해, 모든 ‘낯선 대상물’에서 ‘친숙한 것’을 찾아내어, ‘낯섦’을 ‘익숙함’으로 바꿔 불안정한 ‘공간’을 안정적인 ‘장소’로 만들기 시작했다. 그리하여 그 ‘장소’는 그들이 성공한 ‘집 찾기’가 된다. 이때 그들의 ‘집’은 긴 디아스포라의 여정 속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규정지을 수 있는 인식의 중심이 될 가능성을 지닌다. 그러므로 그러한 ‘인식의 전환’을 통해 ‘고향 만들기’와‘집 짓기’를 할 수 있다는 자각이 무엇보다도 필요하다. 물론 이러한 ‘인식의 전환’이 조선족 디아스포라 전체에 확산된 것이 아니다. 그러나 모든 혁신의 시작은 언제나 일부 선각자들에서 시작된다는 점에서, 이 혁신의 시발이 재한 조선족 시인의 시작품에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리하여 재한 조선족 디아스포라가 대림동 등지에서 짓고 있는 마을과 집이 그들이 찾아 헤매던 그 ‘고향’이며 그‘(고향)집’이며, 그들이 이루어야 할 ‘공동체’라는 사실을 그들이 자각하게 됨으로써, 그 자각의 힘이 ‘정체성의 재정립’으로,‘아비투스의 혁신’으로 이어지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identity of Korean Chinese living in Korea as represented in the diaspora poems they have written since South Korea established diplomatic ties with China. It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move of ethnic groups of Korean Chinese, who had settled as diaspora in China over generations, to Korea can be analyzed in two ways; externally, their migration seems to be that of international labor that followed China's reform and open-door policy, while internally, it started from “diasporic return,” the sense of ethnic connectedness with their homeland. Diaspora has “in-betweenness” or twofold desire; the desire both to put down roots in the settlement and to strengthen ties with their homeland. And this feature plays an important role in forming the identity of the Korean Chinese diaspora. This study places importance on the idea of “home” which is presumed to have motivated the first move of the diaspora back to Korea. Here, “a desire for a homeland” is to be distinguished from “a homing desire” in the sense that the destination of their return is not “homeland” as a geographical “space” but “home” as the “place” for a cultural whole. It seems, however, that the Korean Chinese diaspora “returned” and failed to attain what they desired, equating those two different desires. This study approached the topic in four ways. First, it examined the formation of the identity of the Korean Chinese diaspora, following the history of their move to and settlement in China and their return to Korea. The Korean Chinese diaspora had to undergo a rough journey of endeavoring to be accepted as Korean Chinese in China and tried to alleviate the frustration with “loss of a homeland” by intensifying their “longing /nostalgia” for their “imaginary homeland” and “desire for return” to it. At the same time, they transformed the sense of fear and alienation into positive and active actions and finally succeeded in establishing “Yanbianchaoxianzuzizhizhou,” “an autonomous prefecture,” a politically approved “home.” And they inherited and developed their own “ethnic identity” and took it as their “raison d’etre.” Second, after the “return” to Korea, their imaginary homeland, which the establishment of South Korea-China diplomatic relations facilitated, they were forced to face an “identity crisis” in their homeland, which became “a strange homeland” due to the discrimination and inhospitable treatment by “strange Koreans.” In addition, they had difficulties adapting themselves to the capitalist economy in Korea and a long period of gap widened by ideological barriers and by the lack of correspondence could not be filled easily with a mere fantasy or a sentimental nationalistic expectation. Consequently, they have failed in all attempts to “recover rights” as Korean people and to “crave capital” which was needed to enter the capitalist system. They found their nostalgia for the homeland was nothing but a mere illusion and that “home” as well as “homeland” they had sought did not exist anywhere. They realized “the absence of home” in their homeland. Third, these third and fourth generations of Korean Chinese immigrants returned back to their de facto hometown, Yanbian, after they had experienced serious frustration with “looking for home” in their homeland. But they failed in “looking for home” in Yanbian as well because their “home” in there turned out to be “the one that merely existed in their memories.” Most of their neighbors in Yanbian had left many years ago looking for their “home (in the homeland),” the Korean Chinese autonomous community collapsed long ago and the “expensive apartments” they had purchased with money laboriously earned in the homeland were left “empty” with no family members living in there. Fourth, after witnessing “the dissolution of homeland and home” as well as that of Korean-Chinese community both in Korea and in Yanbian, they started to attempt not only to “look for home” in a new way but to “build home.” Along with this effort, a remarkable change became noticeable. Through “self-reflection” and a more accurate understanding of reality, some poets came up with practical poetic countermeasures. This move started with what is called “an internal attribution,” an attempt to find the cause of a problem within oneself. Those poets tried to resolve their identity-related confusion and conflicts adopting poetic forms of “addressing to” and “answering” themselves and objectifying their emotions and ideas. This practice helped them to realize it was they that had created their own “otherness.” In other words, by means of practical measures such as “an active addressing” and “poetry writing” on self-reflection, they gradually have enhanced their status from “the other” to “the subject” and changed their attitude to Korean society from one-sided “expectation” to “interest.” In this process, they got to encounter “trauma of the division” of their homeland, Korea, and were able to embrace Koreans’ discrimination and cold treatment more easily than before. Furthermore, they found Korean Chinese were not different from Koreans. With this change in perception, they began to transform their unstable “space” to a stable “place” by finding out “something familiar” in “strange objects,” i.e., changing “strangeness” into “familiarity.” They also went on to realize that the “place” they were building and making could be their “homeland” and “home” they had been looking for so far; they discovered the possibility that they would be able to attain their goal of finding a homeland and home through “home building.” They also gradually became convinced that this kind of “home building” and “Korean Town”' were closely connected with “the formation of Korean Chinese community.” Of course, this “change in perception” has not expanded all over the Korean Chinese diaspora. But it is worth noting that all innovations always begin with the endeavors of a few pioneers and the innovation in this case also started from poetic works of a few of pioneer Korean Chinese poets living in Korea. Hence, once Korean Chinese residing in Korea become aware that the villages and houses the Korean Chinese diaspora have been building in Daerim-dong or other similar areas are nothing but the “homeland” and “home” they had long wandered to find and “a community” that they need to complete, the power of such awareness will be directly transformed into the driving force for “the re-establishment of identity” and “the innovation of Habitus.

      • 현대시론과 시에 수용된 몽타주 이론 및 실험 양상

        이기주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07

        This research has syntagmatically investigated the montage theory that has been accommodated to the Korean contemporary poetry, and explored·inspected the montage theory. Also, whilst examining the montage that appears in literary criticism of Kim Ki-rim·Jo Hyang·Kim Jun-ho·Lee Seung-hun·Hwang Ji-woo and their common feature and differences, this research has analyzed the experimental appearance that has applied the montage theory to the contemporary theory. Firstly, the fundamental and characteristic of montages that appeared in the literary criticism of Kim Ki-rim·Jo Hyang·Kim Jun-oh·Lee Seung-hun·Hwang Ji-woo have been studied. Kim Ki-rim has brought forth the montage theory through a new creative method, and by actively preoccupying the principle called montage to poetry and poetry criticism. He saw that the montage of these films were methods that could overcome the general poetry which shows ‘sentimentalism’. The problem of the montage that Kim Ki-rim has accepted was not simple methodological issues, but rather, it was two complex issues which exposed the poetic possibility if the imagination of the writer can be ‘conceptualized’, and another that exposed the literary directional nature of the Joseon Era under the Japanese Occupation. Jo Hyang desired to materialize the ‘timely heterogeneity’ by taking the example of ‘synchronism’,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Cubism, into his poetry. Kim Jun-oh believed that it was ‘oneness’ that poetry essentially pursues, and through the principle of ‘non-identity’ that the self-awareness collides against the world, he revealed that the phenomena of dehumanization that ‘non-identity’ shows a loss of ‘oneness’. Lee Seung-hun understood that montage, which is a fragmentary poetry writing, is how life is shown as it is in later Modern Era, saw it as a new poetic adventure to overcome a human’s limit, and therefore sought the possibility of Modern poetry. The work of Kim Jun-oh and Lee Seung-hun has theorized the montage method by analyzing Modernism poetry’s influential relationship and exploring the principles of montage. The nature of Hwang Ji-woo 's literature remains at the goal of exposing the enclosed reality that the ‘silence’ cannot reveal, and the intention of her works are exposed in the montage technique that reiterate the scenes of reality that collide and conflict into the text’s space. Hwang Ji-woo 's montage was an experiment to criticize that people’s poetry are fixed in a declarative form or an instigated form, and it was an experiment to inspire politics in reality which politics of whole realism poetry is started to become weakened. This research has, based on this knowledge, analyzed the works of poets who have accommodated the montage technique in creating their works, and compared their appearances. Firstly, together with the correlation of experience in war and surrealism that appeared in his poetry, the ‘ciné-poème’ that he wanted to pursue was examined. At this point, montage in Jo Hyang has been following the technique of ‘reformation’. ‘Reformation’ plays a role to make the reality’s hour · space to simultaneously coexist(同時同存). Jo Hyang expressed a surrealistic poetic world even immediately after the liberation of his country. The fact that his literary activities started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of Korea suggests that his poetry is significantly related to historical·social backgrounds. In this way, war affected as the most important cause that widened Modernism. ‘Ciné-poème’ was a literary experiment that could allow dialogue and music to co-exist together. In this experiment, the person escapes the real world which everything was reduced to ashes, and the sentiment of extreme anger and sadness remain that desires the person to continue the world of ‘four dimension’. Jo Hyang’s montage technique expresses the characteristic of Cubism that aims to allow simultaneous co-existence of temporal dimension through a process of ‘variation’ that desires to combine time in the same space. The most outstanding characteristic that appears from Lee Seung-hun’s poetry is his problem regarding self-exploration. This research has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Lee Seung-hun’s 1960∼80s’ early poetry, and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middle·late poetry after 1990s. Also, by corresponding ‘Discussion Montage’ and ‘Correspondence Montage’ by Vincent Amiel, the research has analyzed the transitioning appearance of literary consciousness. The early poetry of Lee Seung-hun expresses fragmented enunciation,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Modernism, and reconstruction of the world, which bears the similar characteristic and form towards Amiel’s ‘Discussion Montage’. If Lee Seung-hun’s mid-period poetry were focused on dismantling stereotypes and binary opposition system, his late-period poetry are expressing his post-modernism through Buddhist theologies, and as middle-period poetry, he is corresponding in an aesthethical form to the ‘Correspondence Montage’. Also, centering on the montage theory of Eisenstein, the research has examined the ‘intellectual effect’ that Hwang Ji-woo intends by analyzing the montage technique that is used in his poetry. A shot is one image, and it is a point where collisions occur from each direction, and this visual collision is what allows a person to discern a shot. If his poetry were focused on the suffering of subjugated class which people’s poetry were suppressed, Hwang Ji-woo induces intellectual pleasure as well as humor by disarming this painful reality. This impactful power of montage can destroy the general traditional grammar and poetic laws. The principle of ‘non-identity’ emphasized the conflict between blatant dissonance rather than the harmony diverse artistic factors. At this point, by reorganizing the reality’s fragments through montage, they are able to obtain new finished meanings. Through the multi-natured voices that are revealed from montage, the readers are able to understand their daily lives as not new, but can be self-aware of their effaced society. The criticism that Hwang Ji-woo wanted to reveal through the montage’s composed principle that changes as well as metastasizes a reader’s intellectual sentiment was the awareness of history that was sunk in everyday life, era that is no longer noble, and others. Lastly, based on the time·space montage of Robert Humphrey, this research has identified how the poetry of Jang Kyung-rin accommodates the general historical situations and the political·social reality of 1980s∼90s. First of all, through the effect of Enjambment, the characteristic form of Jang Kyung-rin’s poetry has been analyzed. Enjambment plays a role to postpone an extremely fast collision, a role to be used as a lyrical expression. and a role to connect time and space. Jang Kyung-rin has used the time montage and space montage techniques, and with the extreme collision of historical events as well as everyday events, attempting a reconstitution of the world. The montage poetry after 1980s aimed to restructured the world and overcome any abnormalities through the disclosure and dissolution of the world. Especially, the implications that Jang Kyung-rin’s poetry bear state that, through historical and everyday events’ juxtaposition, the contradictoriness that appear as a result, and it criticizes the history as well as history at the same time; this includes the person themselves. The montage of time·space is not only showing a colliding effect of a simple technique, but it also includes the intention to reconstitute the world also, and through this, the technique reveals human alienation. In contemporary poetry, montage starts from the artistic curiosity that has received the inspiration of modernism and Socialism ideologie, passing through as a method for ‘new poetry’, to an experiment in order to dismantle the preexisting literary structure and socio-historical authority. If modernism’s montage of the 1980s wanted to resist and shed away from the order and system, the contemporary poetry of the 21st century express the powerless and meaningless self-consciousness with untangled aesthetic shackles, and show the faults of this world freely. 본 연구는 한국 현대시론에 수용된 몽타주 기법을 통합적으로 살펴보고 몽타주 기법을 탐색·점검하였다. 또한 김기림·조향·김준오·이승훈·황지우의 시론에서 드러나는 몽타주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며, 현대시에 몽타주 기법이 반영된 실험적 양상을 분석하였다. 먼저 김기림·조향·김준오·이승훈·황지우의 시론에 나타난 몽타주의 원리와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김기림은 새로운 창작기법으로 몽타주 이론을 내세우며 시와 시론에 적극적으로 몽타주를 수용함으로써 몽타주라는 개념을 선취적으로 받아들였다. 그는 이러한 영화의 몽타주가 ‘센티멘털리즘’을 보여주는 기존의 시를 넘어설 수 있는 수단으로 보았다. 김기림이 받아들인 몽타주의 문제는 단순한 방법론적 문제만은 아니었으며, 작가의 상상력이 입체적으로 ‘구성’될 수 있는지에 대한 시학적 가능성과 일제 강점기 조선의 문학적 방향성을 노정하는 복합적인 문제였다. 조향은 큐비즘의 특성인 ‘동시성’의 예를 들어 ‘시간적 다질성’을 그의 시에 구현하고자 했다. 김준오는 시가 근본적으로 추구하고자 하는 것이 ‘동일성’이라고 보았는데, 자아와 세계가 대결하는 방식인 ‘비동일성’의 원리를 통해 ‘비동일성’이 보여주는 비인간화의 현상이 ‘동일성’의 상실을 보여줌을 밝혔다. 이승훈은 파편적 시쓰기인 몽타주가 후기 현대에서 삶을 그대로 나타내는 것이라고 보았고, 인간의 한계를 넘어서기 위한 새로운 시적 모험으로 보고 현대시의 가능성을 모색했다. 김준오와 이승훈의 작업은 그동안 누적되어왔던 모더니즘 시의 영향관계를 분석하면서 몽타주의 원리 또한 탐색함으로써 몽타주 기법을 이론화시켰다. 황지우 문학의 정치성은 ‘침묵’이 드러내주지 못하는 은폐된 현실을 벗겨내려고 하는 데에 있으며, 이러한 의도는 충돌하고 갈등하는 현실의 장면들을 텍스트의 공간 안으로 중첩시키는 몽타주 기법에서 드러난다. 황지우의 몽타주는 기존의 민중시가 선언적이고 선동적인 방식으로 고정화되었음을 비판하고, 리얼리즘 시 전체의 정치성이 약화되어 가는 현실에서 정치성을 고취시키고자 하는 실험이었다. 본 연구는 이를 바탕으로 실제 시 창작에 몽타주 기법을 수용하고 실험한 시인들의 작품과 그 양상을 분석해 보았다. 먼저 조향의 시에 나타난 전쟁 체험과 초현실주의의 연관성과 더불어 그가 추구하고자 했던 ‘시네 포엠’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때 조향 시의 몽타주는 ‘재구성’의 방식을 따르고 있다. ‘재구성’은 현실의 시·공간을 동시동존(同時同存)하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조향은 해방 직후부터 초현실주의적 시세계를 드러내었다. 본격적인 문학적 작업이 해방 직후부터였다는 사실은 그의 시가 역사·사회적인 바탕과 크게 관련 있음을 암시한다. 이처럼 전쟁은 모더니즘을 확대하게 한 가장 중요한 원인 중 하나로 작용하였다. ‘시네 포엠’은 회화와 음향을 동시적으로 존재하게 할 수 있는 문학적 실험이었다. 이 실험에는 모든 것이 폐허로 변한 전쟁 이후의 현실세계로부터 벗어나 ‘사차원’의 세계를 전개해 나가고자 하는 자의 극한의 불안과 슬픔의 정서가 존재한다. 조향의 몽타주 기법은 시간을 동일한 공간 안에 조합시키려는 ‘변주’의 과정을 통해 시간성의 차원을 기존 세계에 동시적으로 병존시키려는 큐비즘의 특성을 드러낸다. 이승훈의 시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특징은 자아 탐구에 대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승훈의 1960∼80년대의 초기시와 1990년대 이후 중·후기시의 특징을 비교하고, 뱅상 아미엘의 ‘담론 몽타주’와 ‘대응 몽타주’를 대응하여 시 의식의 변천 양상을 분석해보았다. 이승훈의 초기시는 모더니즘의 특징인 파편화된 언술, 세계의 재구성 등이 나타나고 있으며 아미엘의 ‘담론 몽타주’의 유형과 유사한 특징을 지닌다. 이승훈의 중기시가 기존의 고정관념이나 이항대립체계를 해체하는 데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면, 후기시는 그러한 포스트모더니즘의 입장을 불교적 사상을 통해 나타내고 있으며, 중기시와 마찬가지로 형식미학적으로 ‘대응 몽타주’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에이젠슈테인의 몽타주 이론을 중심으로 황지우 시에 쓰인 몽타주 기법을 분석함으로써 황지우가 의도하고자 하는 ‘지적 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쇼트는 하나의 이미지로 서로 충돌하며 이 시각적 충돌이 쇼트를 구분할 수 있는 지점이다. 1980년대의 민중시가 억압된 피지배층의 고통에 초점이 맞추어 있었다면 황지우의 시는 이러한 현실을 해체함으로써 지적 쾌감과 함께 해학을 유발한다. 이러한 몽타주의 충격 효과는 기존 전통 시문법의 숭고함과 엄숙함을 파괴해버리는 것이다. ‘비일치’의 원리는 다양한 예술적 요소들 사이의 조화보다는 노골적인 불협화음과 갈등을 강조한 것이다. 이때 독자는 몽타주를 통해 현실의 파편들을 재편성함으로써 완성된 새로운 의미를 체득하게 된다. 독자는 몽타주에서 드러나는 다성적인 목소리들을 통해 일상을 낯선 것으로 인식하는 동시에 망각된 현실을 자각할 수 있게 된다. 독자의 지적 정서를 질적으로 변화시키고 전이시키는 몽타주의 구성 원리를 통해 황지우가 드러내려고 했던 바는 일상성에 함몰된 역사 인식과 관습화된 소시민들의 일상, 숭고함이 사라진 시대 등의 비판이었다. 마지막으로 로버트 험프리의 시·공간 몽타주를 바탕으로 장경린 시가 기존의 역사적 사건과 1980∼90년대의 정치·사회적 현실을 어떻게 반영하는지 알아보았다. 먼저 앙장브망의 효과를 통해 장경린 시의 특징적인 형태를 분석하였다. 앙장브망은 시간과 공간의 급속한 충돌을 유예하는 역할, 일종의 서정적 표현으로서의 역할, 시간과 공간을 접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장경린은 시간 몽타주와 공간 몽타주 기법을 이용하여 역사적 사건과 일상적 사건의 급속한 충돌을 통해 세계의 재구성을 꾀한다. 1980년대 이후의 몽타주 시는 세계에 대한 폭로와 해체를 통해 세계를 재편성하고 모순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특히 장경린의 시가 갖는 시사점은 역사적 사건과 일상적 사건의 병치를 통해 나타나는 모순성이 그대로 역사와 일상을 동시에 비판하고 그 시대에 살고 있는 자신까지 비판한다는 점 등이다. 시·공간의 몽타주는 단순한 기법상의 충돌 효과만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세계를 재구성하려는 의도 또한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통하여 인간소외를 드러낸다. 우리 현대시에서 몽타주는 모더니즘과 사회주의 이데올로기의 영향을 받은 예술적 호기심으로부터 ‘새로운 시’를 위한 수단을 거쳐, 기존의 문학적 체계와 사회역사적 권력을 해체하고자 하는 실험에까지 이어진다. 1980년대 모더니즘 시의 몽타주가 질서와 체계의 억압을 저항하고 탈피하고자 하였다면, 21세기의 시들은 미학적 족쇄가 풀어진 문학적 공간에서 무력하고 무의미한 현대인의 자아와 세계의 모순들을 자유롭게 표현하고 있다.

      • 정지용 수필의 내적 의식 연구

        이정인 안동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ner consciousness of Jeong Ji-yong's essay and to explain its nature and meaning. To this end,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to Jeong Ji-yong’s essay was attempted, and based on it, the consciousness inherent in Jeong’s essay was analyzed as a sense of loss consciousness, existential consciousness and hometown consciousness. In addition, because the aesthetic form and method shown by Jeong Ji-yong's essay is also the embodiment of aesthetic consciousness, so I also understood it as an aspect of inner consciousness. Therefore, the consciousness inherent in his essay can be summarized as loss consciousness, existential consciousness, hometown consciousness, and aesthetic consciousness. The consciousness of loss is related to a childhood wound of the child, and in many essays Jeong Ji-yong describes the lonely inner aspect of the unhealthy childhood period. These scars of childhood appear as a deep concern for the variation or concentricity of tragic self-consciousness. Above all, interest in concentricity restores the injuries of youth, compensates frustrated desires, and becomes the occasion of mental healing for internal deficits. Therefore, Jeong Ji-yong concentrated to resolve internal conflict, it lead to the re-recognition of childhood, and it become the internal force of ‘new self-writing’. Existential consciousness is based on the anxiety of finite human existence. The Catholic faith in Jeong Ji-yong can be said to be an attempt to solve the anxiety of existence. For him, however, Catholic faith was not the ultimate devotion to the soul. Conflicts and doubts as a faithful were self confronted by failing to internalize faith and also manifested as signs of neuroticism in internal divisions coupled with a special era of colonialism. As a balance seeking to reach one point, inner division promotes the will to reclaim the hometown. The process of earning and meeting with faith becomes a point where Jeong Ji-yong meets an inner driver who goes to home and traditional regression. The hometown consciousness includes the consciousness of the hometown as well as the consciousness of departure. Jeong Ji-yong’s separation from his hometown is the source of loss consciousness. The hometown is not only a spatial place, but a spiritual home where the subjectivity of the subject is symbolically preserved. The separation from home brings about the emotional drift of a being. ‘Nostalgia’ is a typical image that appears as a will to recover this crack. Nostalgia is the expression of the will to recover self-identity and the center of regression. The internalization of this nostalgia leads to the aesthetic sublimation of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traditional regression. This is manifested in the late 1930s as aesthetic strategy by combining traditional orientations of Sentences and local discourse advocating the identity of Joseon(朝鮮). It appears as a mixture of the traditional and modernity in aesthetics, a tradition of ‘Naeganche’(內簡體)(a classic letter style between women) and modern sense. However, modern sense is also a sensual rediscovery and expression of Korean, so the mixture of traditional and modernity can be regarded as a literary design based on nostalgia and its return will. In addition, the technique of repetition and juxtaposition that can be found in Jeong Ji-yong’s essay can be regarded as a direction of consciousness to pursue harmony in stable form. Also, as a center point of self-gaze, it is the inner driver who overcomes the sense of loss, existential meeting and faith conflict, and its aesthetic implementation is the acceptance of the mixture of traditional and modern poetic method. In this way, the consciousness and form of the work have internal correlation with the essay. In addition, the formal characteristic of Jeong Ji-yong’s essay is the result of his own aesthetic self-consciousness about the essay style. The unique form of Jeong Ji-yong’s essay is a result that he constantly searched for as a model for his essay. In that sense, Jeong Ji-yong’s essay search is a process of establishing an example of a Korean modern essay. In addition, if lyricism is a major characteristic of the Korean modern essay, it can give meaning to the essay literature in the sense that it is a starting point of the essay. However, the location of the literary history in which Jeong Ji-yong and his essay will be located can be defined through complementation of a more comprehensive and intensive study, including the study of prose of Jeong Ji-yong after the Korean liberation, which was excluded from this study.

      • 문화지리적 이종공간의 서사적 위상학

        정미선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07

        이 논문은 ‘문화적 경관(cultural landscape)’에 대한 학제적 연구에서 핵심 논제로 상정되는 ‘공간’의 문제에 주목하여, 서사론과 인문지리학을 위시한 현대 공간 이론과의 대화를 통해 한국 현대 소설에서 문화지리에 관한 방법적 개념을 구상하고 그 소설적 계열체들을 탐색한 결과다. 2세대 인문지리학은 장소에 대한 인간의 경험 양상을 질문하는 데서 출발하여 인문환경의 중층 속에서 구성되는 다기한 공간의 생산과 수행에 대한 관심으로 이동한다. 현상학적 공간 개념에 기초한 ‘체험 공간’의 논점을 통한 관계적·구성적 개념으로서의 공간이 문제의 관건으로 부상하는 것이다. 문학지리학 또한 이러한 공간 개념을 바탕으로 문화적 경관의 중층을 탐색하는 학제적 연구 수행의 한 방편으로 제시된다. 문학지리학의 질문은 문화지리적 현상들이 서사체에 사상되어 구성된 문학적 담론 형태로 빚어질 때, 서사화된 문화지리의 양상과 의미를 묻는 데 그 요체가 있다. 이처럼 ‘문화적 경관의 서사화’가 문제시될 때, 본고는 문화적 경관이 서사화되는 방식에서 서사체에 사상된 문화적 경관의 양상들은 실체로 전제될 수 없으며 장소와 인간이라는 두 항에 고착된 반영론적 시각에 한정될 수 없음에 주목한다. 본고 전체는 이러한 전제를 바탕으로 장소가 아닌 체험 공간의 논점에서 소설의 공간을 사유할 방법론적 지평을 마련하기 위해, 무엇이 장소인가 그리고 누구의 경험인가의 두 질문을 경유하여 체험 공간의 구성소인 장소, 시간, 주체의 세 국면에서 한국 현대 소설의 이종공간적 자질을 계열화한 것이 골자다. 문화지리적 현상들이 소설의 서사 담론에 산입될 때, 소설의 공간은 어떤 물리적 연장도 전제하지 않으면서도 실제하는 장소의 문화지리적 현상들과 이를 구성하는 구성소들: 장소, 시간, 주체의 배치를 복사하고 되비추는 장소 없는 공간의 자질과 기능을 보인다. 본고는 이러한 문화적 경관이 서사화되는 방식에 있어서 소설의 공간이 갖는 자질을 이종공간으로 개념화한다. 이종공간은 소설의 공간으로 문화지리적 현상들이 위상 전이되는 과정에서 빚어지는 서사공간의 기획과 구성 상의 역동을 포착하기 위한 방법적 개념이다. 체험된 장소, 시간, 주체의 세 국면에서 장소의 이종성과 시간의 이종성이 ‘무엇이 장소인가’의 질문에서 장소의 경계와 척도에 대한 항을 통해 위상적 차이로 분화된다면, 주체의 이종성은 ‘누구의 경험인가’의 질문에서 장소를 의미화하는 시선과 거리 및 매개 구도에 대한 항을 통해 위상적 차이로 분화된다. 본고는 장소의 이종성, 시간의 이종성, 주체의 이종성이라는 세 국면에서 포착되는 소설적 사례들을 한국 현대 소설의 계보에서 가능한 한 폭넓게 집적하고 거기에서 발견되는 위상적 차이와 흐름을 분절적으로 계열화했다. 소설의 공간이 갖는 이종공간적 자질과 그 이종공간의 서사성에 있어서 핵심적 요소인 장소, 시간, 주체는 장소의 이종성, 시간의 이종성, 주체의 이종성과 서사공간으로의 위상 전이 과정에서 빚어지는 양상에서의 변별성을 구체화하여 문화적 경관의 서사적 구현에서의 제재와 구성, 담론화에 있어서의 차이성을 확보한다. 이는 문화지리적 현상들의 배치에 관여된 구성소들이 서사공간으로 위상 전이되는 과정에서 각각 실제적 지리, 실재적 지리, 심상지리로 계열화되는 위상적 구조의 세 층위와 위상적 차이를 말한다. 체험된 지리 감각으로부터 출발하여, 이 지리 감각의 연원과 결부되어 있는 공간적 배치성을 도해하는 서사공간은 실제적 지리에서 실재적 지리로의 이행으로 이해되는 위상적 차이의 한 국면이다. 또한 이러한 공간적 배치성을 재정위하여 각각 장소, 시간, 주체의 배치성을 국지화하는 서사공간은 실재적 지리에서 심상지리로의 이행으로 이해되는 위상적 차이의 또 다른 국면이다. 이와 같은 서사공간의 위상적 차이성은 체험 공간의 모의를 통하여, 미리 부여된 정태적인 것으로 이해되었던 세 요소에 대한 체험이 동반하는 배치와 질서 그리고 구성의 차원들을 증강하는 방식으로 담론화되는 문화지리적 이종공간의 서사적 구현 양상의 중핵을 이룬다. 이는 허구적 서사담론의 공간적 수행과 영역 횡단의 모의를 가시화함으로써 문화지리에 대한 서사지리학의 지평을 재구획한다. 장소, 시간, 주체의 세 국면에서 드러나는 문화지리적 이종공간의 서사적 위상은 문화지리의 심상에 사상된 원본성 없는 배치의 공간성을 전경화하고 가로지르는 문학적 담론 형태의 공간에 대한 관심으로 서사지리학의 방법적 시각을 이동하게끔 한다. 이를 통해 본고는 서사공간이 구현할 수 있는 문화지리적 담론의 양상에 대한 방법과 지평을 재고하고, 구성적·관계적 개념으로서 공간을 이해하는 시각을 문화지리에 관한 주제에서 제안하여 소설이 문학지리학의 자료가 아니라 문화지리의 담론 장에서 다기한 문학적 담론 형태로서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될 필요성을 제시했다. 문화적 경관에 대한 관심은 근대 이후 탈장소화의 패러다임 속에서 인간이 장소에 대해 질문하기 시작했다는 것으로부터 시작되어, 인간과 직접적인 매개로 단단하게 결합하는 장소적 사유의 불가능성에 대한 인식에서 촉발된다. 공간이 배치의 문제이고, 이것은 지리의 문제라고 할 때, 공간 분할과 구획 그리고 그 경계를 점이지대로서 넓히는 서사공간의 계열체들은 문화지리적 이종공간의 기획과 생산을 통하여 지리적 세계를 증강하고 변화시키는 담론의 방식으로서의 문학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처럼 탈장소화의 문화적 패러다임에서 장소로 통합되지 않는 공간의 생산을 돕는 서사체의 이종공간적 자질은 공간의 메타지리학으로서 작동하는 서사공간의 담론적 위상을 증명한다. Space is a key concept in interdisciplinary research on cultural landscape. This thesis considers the methodical concept of cultural geography in modern Korean novels through dialogue with post/modern spatial theory such as narratology and human geography, and explores novel series. Second-generation human geography begins by asking about the human experience of a place, but it does not stop there. It is shifting to the interest in production and spatial performance of various spaces constituted in multiple layers of the human environment. Emerging as the key to the problem is the space as a relational and constructive concept through the point of ‘erlebter Raum’ based on the concept of phenomenological space. Literary geography is also presented as a way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to explore the multiple layers of cultural landscape based on these spatial concepts. The question of literary geography is that when cultural geographical phenomena are made into literary discourse composed of narratives, they ask about the aspect and meaning of the narrated cultural geography. When this ‘narrative of cultural landscape’ is questioned, this thesis focuses on two premises. First, aspects of cultural landscape mapped to a narrative can not be assumed as a substance. Secondly, the narrated cultural landscape can not be confined to a reflective view fixed to both the place and the human being. The whole of this thesis goes through two questions in order to establish a methodological perspective to think about the space of novel in ‘erlebter Raum’, not place, based on this premise. What is the place and whose experience. Through these two questions, this thesis is the sequencing of the heterotopia qualities of Korean modern novel in three phases of ‘erlebter Raum’ : place, time, and subject. It should be noted that when cultural geographical phenomena are incorporated into narrative discourse, the space of the novel does not presuppose any physical extension. The space of the novel shows the qualities and functions of ‘space without place’ which copy and reflect the cultural geographical phenomena of the actual place and the agencement of the constituent elements constituting it. The qualities of these narrative spaces are conceptualized as heterotopia in this thesis. Heterotopia is a methodological concept to capture the planning and compositional dynamics of the narrative space formed by the process of phase transition of cultural geographical phenomena into the space of novel. In the three aspects of the experienced place, time, and subject, the heterogeneity of the place and the time are differentiated into a topological difference through the terms of the boundary and scale of the place in the question ‘what is the place.’ In addition, the heterogeneity of the subject is differentiated into a topological difference through the question of ‘who' s experience,’ which is a term for the meaning, the distance, and the mediating composition. This thesis integrates the fictional cases captured in three aspects of the heterogeneity of the place, the heterogeneity of the time, and the heterogeneity of the subject as broadly as possible in the genealogy of modern Korean novels and segregates the topological differences and flows found there. The heterotopia qualities of the narrative space and the key elements of narrativity of the heterotopia are the place, time, and subject, which are distinguished from the heterogeneity of the place, the heterogeneity of the time, the heterogeneity of the subject and the phase transition process in the narrative space and the differences in sanctions, composition, and discourse in the narrative implementation of cultural landscapes. This refers to the three-tiered and topological difference of the topological structure sequenced by actual geography, real geography, and imaginary geography, respectively, which are revealed in the phase transition of constituents involved in the arrangement of cultural geographical phenomena to narrative space. The narrative space, starting from the experienced geographical sense and illustrating the spatial arrangement associated with this geographical sense, is an aspect of the topological difference understood as the transition from actual geography to real geography. Also, the narrative space that localizes the agencement of each place, time, and subject to redefine this spatial agence is another phase of the topological difference understood as the transition from real geography to imaginary geography. In this way, the topological difference of the narrative space, through the simulation of ‘erlebter Raum,’ is a cultural geographical discourse as a way of enhancing the dimensions of agence, order, and composition accompanied by the experience of the three elements, It forms the core of the narrative embodiment of heterotopia. Differentiality is a key issue. This redefines the narrative geography of cultural geography by emphasizing the spatial performance of fictional narrative discourse and the simulation of cross-domain. The narrative phase of the cultural geographical heterotopia revealed in three aspects of the place, time, and subject reveals the spatiality of the originalityless agencement that is thought in the image of cultural geography and shifts the methodological perspective of narrative geography by the interest in the space of literary discourse. In conclusion, this thesis reconsideres the method and the horizon for the aspect of the cultural geographical discourse that narrative space can simulate and suggests the perspective to understand the space as the constitutive and relational concept in the topic of cultural geography, And that the novel should be understood as participating in the form of various literary discourses. The interest in cultural landscapes begins with the question of what human beings are in the paradigm of displacement since the modern times. This is triggered by the perception of the impossibility of a place that is tightly coupled with a direct mediation and the impossibility of place-based reasoning. Space is a matter of placement, and this is a matter of geography. At this time, the series of spatial divisions and compartments and the narrative spaces that extend the boundaries as dots can be understood as literature as a way of discourse that enhances and changes the geographic world through the planning and production of cultural geographical heterotopia. Thus the heterotopia qualities of the narrative that help to produce spaces that are not integrated into the place from the cultural paradigm of displacement demonstrate the discursive status of the narrative space as a meta-geography of space.

      • 陳素庵 『命理約言』의 命理 理論 硏究

        서소옥 圓光大學校 2019 국내박사

        RANK : 155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his metaphysical background and ideas through the study of the Mingli Yueyan(命理約言) by Zhensuan(陳素庵) and to see how the theory, its characteristics, and the theory of Mingli, played a role in establishing the academic system. To this end, we looked at the contributio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establishment of the theory of the Mingli, and discussed the location and future effects of Mingli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the academic system of modern Mingli research. The study identifie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of the Zhensuan(陳素庵) Mingli theory in the Mingli Yueyan(命理約言). First, the Mingli Yueyan(命理約言) detailed various existing theories related to geju(格局) and yongshen(用神), excluding the fact that the basis of torture and theory was unclear, and redefined as a unified and consistent theory. The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etting the standard were presented, and the definitions of zhengge(正格) and biange(變格) were defined accordingly, Other than this, that did not meet certain forms and requirements were not accepted to zage(잡격). It broke down the various complex shown in the writings of the previous era, and presented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geju(格局) based on the Ziping(子平) theory. This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system of modern Mingli's theory to be introduced the theory into Zipingjinzhan(子平眞詮) Second, among the existing classical theories, difficult and miscellaneous theories that do not hold water to the principle of Mingli's theory were completely excluded. Only the principles based on the principles of yinyangxuewen(陰陽五行) were recognized and explained in detail the principles and principles of rationality, which can be assessed as enhancing the academic value and status of the academic science of Mingli by organizing the theories necessary for the sake of the cause. Third, jinsoam applied the principle of zhonghe(中和) to the theory of Mingli. It was important to have a balanced structure harmoniously by controlling and supplementing if the misdeeds were excessive, and it could achieve a neutralization of the individual's life through the neutralization of sizhu(四柱) Through the above research, we could see that jinsoam viewed Myeongni not only as a tool for predicting the future of avoiding bad things and pursuing good things, but also as a study that interprets the conditions of fate given to an individual to lead an individual's subjective and active. His pursuit of Mingli theory is to interpret and apply the innate destiny in terms of expressing it in harmony with one's personal life. Through Mingli theory, he tried to find answers to their lives, and by harmonizing their innate destiny with their will, they wanted to lead a happier life. The philosophy and the theory of Mingli for the study of the essence of the destiny have a strong implication for modern Mingli theory. 본 연구는 陳素庵의 󰡔命理約言󰡕에 대한 연구로 그의 명리학적 배경과 사상을 파악해 보고 󰡔명리약언󰡕을 통해 나타난 命理 理論과 그 특성, 그리고 명리학이 학문적 체계를 갖추게 되는데 어떠한 역할을 하였는가를 알아보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명리약언󰡕의 성립과 명리 이론을 고찰하여 󰡔명리약언󰡕의 명리학 체계의 정립에 대한 기여와 특징을 살펴보았으며, 명리학에서 진소암의 위치와 후대 영향에 대하여 논의함으로써 현대 명리학 연구의 학문적 체계 정립에 대하여 기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통해 진소암의 󰡔명리약언󰡕에 나타난 진소암 명리 이론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파악할 수 있었다. 첫째, 󰡔명리약언󰡕은 格局과 용신 등에 관련된 기존의 다양한 이론들을 상세하게 파악하여 고증과 이론의 근거가 확실하지 않은 것은 배제하고, 통일되고 일관성 있는 이론으로 재정립하였다. 격을 정하는 원칙과 기준을 제시하고 그에 따라 正格과 變格을 정의하고 이들 외에 일정한 형식과 요건을 갖추지 못한 雜格들을 인정하지 않았다. 이전 시대의 명리서들에서 보여지던 다양하고 복잡한 격국들을 타파하고, 자평 이론에 근거한 격국 결정의 기준을 제시하였다. 이것은 이후 󰡔子平眞詮󰡕에 이어지면서 현대 명리학의 격국 이론의 체계 정립에 기여를 하였다. 둘째, 기존의 고전 이론 중 자평 명리학의 기본원칙인 음양오행의 生剋制化 이치에서 벗어난 신살과 납음 등 타당성이 없는 난해하고 잡다한 이론들을 철저히 배격하였다. 오직 陰陽五行의 원리를 위주로 한 격국과 억부용신의 원리와 작용만을 명리학 이론으로 인정하였으며 이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데 이는 사주 간명을 위해 필요한 이론을 체계적이고 간결하게 정리하여 명리학의 학문적 가치와 위상을 높여주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세째, 진소암은 명리 이론에 中和의 원리를 적용하였다. 사주 내의 오행이 넘치는 것은 제어하고 모자라는 것은 보완하여 오행이 조화롭게 균형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중요하게 보았고, 四柱의 중화를 통해 개인의 삶의 중화를 이룰 수 있다고 보았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진소암은 명리학을 단순히 추길피흉의 미래예측도구로서만이 아니라, 개인에게 주어진 운명의 여건을 해석하여 개인의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는 학문으로 본 것을 알 수 있었다. 그가 추구하는 명리학은 선천적으로 타고난 운명을 개인의 삶 속에서 조화롭게 발현하려는 관점에서 명리학을 해석하고 적용하는 것이다. 명리학을 통해 삶의 해답을 찾으려 했고 나아가 타고난 운명과 후천적인 노력과 의지를 조화시켜 더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하고자 한 것이다. 이러한 진소암의 命에 대한 철학과 명리 이론은 현대 명리학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 근대 시기 국어 품사 체계 형성 연구

        주현희 부경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2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Japanese grammar on the formation of the Korean grammar system. In order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examine how Korean grammar began and developed in modern times. Therefore, we first summarize the Korean grammar system, especially the formation of part of speech system, by the Korean grammarists, and examine the influence of foreign grammar theory, especially Japanese grammar theory, Relationship. First, the time range of the study was from 1868 to 1945. Second, the contents of the research will be dealt with the formation of a part speech system. In the modern period, the recognition of the word as the minimum unit of the word system, the voice, the independence and the separativeness were sprouted and the study of the grammar was in progress. Therefore, I think that it is possible to clarify the formation process of Korean grammar and the influence rel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by examining the grammar book focusing on the part-time research which was active in the modern period. Respectively. Third, the research subjects were Korean grammar books published by Westerners, Japanese and Koreans published from 1868 to 1945, and Japanese grammar books published by Japanese. In the previous research, we tried to limit the research subjects to the grammatical sentences that men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First, the system of Western and Japanese grammar was introduced to the searcher, and it was applied to Korean forcibly, and the part speech was set. The grammar of nouns and pronouns introduced in English grammar, the set of numbers, the relative pronouns, the prepositions, the articles, etc. are se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nguage, (postposition), and the setting of the investigation in the cognition and the comparative setting of the adjective were influenced by the system of foreign parts of speech. However,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behind the cognition, introducing the preposition as a 'postposition' can be seen as a part of speech setting that reflects the influence of Japanese grammar an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the introduction of honorific in personal pronouns also reflects Korean language culture and customs It is not in English law. Next, awareness of the Korean grammar system gradually began to be rooted in the awareness period. In addition to the grammatical system of the Japanese grammar, which was applied in the previous period, it is possible to set the terminology of Ju si- Kyung's words in Korean, and to set the pre-noun as an independent part of speech, The Korean movement of the part of speech system, such as setting it as "Korean", was a little bit happening. However, the concept of relational pronoun, article, and pronoun is not clear, so it is set up as decentralized adjectives, numerical adverbs, and nouns, and only the nouns and pronouns are set according to the Japanese part In addition, he showed that he could not escape the influence of foreign part time systems such as the use of vernacular, poetry, image, and setting of language on the basis of a collection of vowels in Japanese grammar. In the generator, the first a numeral was set up in 1917, and in 1926, auxiliary verb, who introduced Japanese auxiliary verb, was set up. In addition, in Lee Ewan-Eung (1926), he settled into a single independent part of speech. In addition, Otsuki adopted the subordinate clause and set it as a quasi clause in accordance with Korean characteristics. It was succeeded to Park Seung-bin (1935). As a result of these efforts of the grammaticalists, it gradually escaped the influence of the foreign grammar system. However, there were some descriptions of the pluralism of the cognition, and there were some phrases such as action nouns, And so on. There are still many parts of speech that have been introduced in Japanese grammar such as vernacular use by vowel arrangement, ending vowel classification by vowel, and setting of vowel. Finally, in the generator, the setting of sex and number introduced in English grammar which does not fit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was deleted, and the parts of speech articles such as articles and posters were also included in the sub items of nouns and investigations respectively. In addition, sub categories of adverbs and surveys introduced in Japanese grammar were also set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In addition, Park Seung-Bin and Choi Hyun-Bae succeeded Ju si-Kyung 's conventions, and Choi Hyun-Bae (1935) set them as separate parts of speech in the Japanese grammar and English law. As we have seen so far, we have provided new perspectives on Western and Japanese researchers' linguistic studies through the construction of independent grammar research methods based on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Especially, in the way of introducing the Japanese grammar and writing the Korean grammar, he gradually came to write the grammar according to the grammatical system sui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In addition, in the introduction of foreign grammar system, the difference was studied more closely through comparison and contrast between Korean and Japanese, Korean and English. Through this study, I can see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part of speech system.

      • 김기영의 시대인식과 영화세계

        조규찬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9 국내박사

        RANK : 248607

        So far, researches on Kim Ki Young’s film has dealt with only a few films including sequels to <the Housemaid>. Based on this, Kim Ki Young’s film has been estimated as “magical black aesthetics that dissected the instinct of human”. However, selecting and evaluating only a few several films may cause a problem of overestimated or distorted evaluation. With this reason, this study chose all films made by Kim Ki-Young in order to study the awareness of the time and film works of him in a precise and objective way. Those are <Yangsan Province>, <The Housemaid>, <The Sea Knows>, <Goryeojang>, <Woman>, <Len's Sonata>, <Woman of Fire>, <Insect Woman>, <Transgression>, <Promises>, <Iodo>, <Soil>, <A Woman After a Killer Butterfly>, <Woman of Water>, <Neu-mi>, <Woman of Fire 82>, <Free Maiden>, <Hunting for idiots>, <Carnivorous animals>, and <Angel, Become an Evil Woman>. These selected Kim Ki-young’s films for this research are separated as disparate and coessential fields according to the possession of symbolic capital. Characters are in confrontation with each other while they try to satisfy their desire; conflicts and collisions occur from the confrontation. This works as an important matter that makes a difference from other movies in the same period. This means that the narrative of his films work focusing on symbolic capital related with power, desires, sacrifices, and escapes. Chapter Ⅱ deals with Burdieu’s theory as the research method and separates the theory into the field of social spaces and symbolic capital. The field as the social spaces means the group of individuals who shared the common habitus; the differences of habitus classify the disparate field and the homogeneous field. Also, symbolic capital is naturally formed when retaining economic, cultural and social capital. This brings symbolic power and symbolic violence through a tacit agreement. If the tacit agreement does not last, it causes opposition with conflict and collision. Chapter Ⅲ deals with confrontations, conflicts and collisions derived from the process that individuals in the disparate fields satisfy their desire in a hierarchical relationship. In this study, these conflicts are classified as sacrifices and escapes. First of all, characters who are the rulers of <The sea knows> and <Goryeojang> choose others as “the substitute victims” to meet their desires. These rulers uses force towards the subject people for voluntary obedience. If the subject people refuse to obey or show attempts to overthrow, the way of ruling becomes violence rather than power. The violence of the ruler towards the subject people is wielded as mental and physical violence. The violence, the change of the way of ruling, causes oppositions, conflicts, and collisions and come to a close with the death of the ruler. In <Yangsan province> and <Soil>, characters of the subject people refuse voluntary obedience in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 Thus, they deny the existing power relationship and try subversion. However, if the subject people refuse the voluntary obedience, they are defined as abnormal being; the subject people are experienced with repeated violence and are forced to give up on their desire. Consequentially, the subject people fail to subvert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 because they have to give up on their desire by force rather than their willingness. The characters of the <Woman of Water> and <Hunting for idiots> have desire to get away from the isolation and the feeling of loneliness by form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other fields. However, in the process of characters’ attempts or denials of integration, their desires end up with failures since they prefer a dependant tendency without reference to the will of individuals or they do not agree with this officially. The characters of <The housemaid> express the madness to destroy others including themselves to meet their desire to be out from the feeling of isolation and loneliness from the formation of hierarchical relationship. At this time, characters try to integrate with objects by aiming for destructibility, but if the sympathizer refuses this, problems are caused. With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classifies films into <The Housemaid>, <Woman of fire> and <Insect Woman>, <Carnivorous animals>. Despite the differences, all the films are end up with death according to the common feature of destructibility. Chapter Ⅳ deals with sacrifices and escapes as conflicts and collisions occurred from the oppositions. Characters in <Woman> and <Neu-mi> have conflicts and collisions in the process of trying to own a woman through obsession. The difference of sex leads to the desire for men to own women by obsessing and restraining them and this causes the confrontation between men and women. The obsession and restriction of the man towards the woman causes mental diseases and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and drives themselves into sacrifice crisis and they end up to death. Characters in <Len’s Sonata>, <Transgression>, <A Woman After a Killer Butterfly> refuse the field they belong to in order to get rid of deficiency and give rise to confrontation in the process of pursuing another field which has new habitus. Furthermore, they become to be deported from the field they belong to and end up with sacrifice after having the crisis of survival. Characters in <Iodo> and <Angel, Become an Evil Woman> have the desire to attain the power that they are lack of by getting away from the isolation and the feeling of loneliness. Thus, characters try to harmonize to meet their own desire, this is appeared as sadism that governs and harass others. Nevertheless, they are unable to gain the power they are lack of and unable to escape from the feeling of isolation and loneliness. Thus, the sadism orientation of the characters is concluded only in failures. Characters in <Promises> and <Free Maiden> also have the desire to escape from the feeling of isolation and loneliness by acquiring their own power that they are deficient of. However, the integration with others as an option to meet their desire is shown as masochism rather than sadism. That is, they try to be dependent and subordinated to the others. This is because victims and assaulter are not divided clearly by the mental and physical violence and their goals are the same. Nevertheless, they have confrontation when they have different goals and this brings conflicts and collisions. As a result, this is led to a failure since they unable each other’s desire and want. Chapter Ⅴ examines the awareness of the time and film works that Kim Ki-young tried to deliver through his movies with periodic situations of Korean movies in 1960-70’s based on the analysis in chapter Ⅲ and Ⅳ. The period of 1960-70’s when Kim Ki-young produced a various movies is the time of the heyday and depression of Korean movies. The movies that Ki Ki-young produced in this time have distinctive features from other movies in the same period. First, Kim Ki-young constantly tried to deal with the matter of social problems in a direct and extreme ways rather than disregarding the reality. Since the social problems dealt in Kim Ki-young’s film are unable to be solved by the effort of an individual, he tried not to resolve the issue in a poor way. Thus, Kim Ki-young’s film unfolds the events in a dramatic way and it ends as tragedy. Second, Kim Ki-young tried to focus on the subject people or the relative weak people in the process of treating conflict and collisions from the characters’ confrontation. The important thing is that the result of the conflict and collision from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rulers and the subject people caused by symbolic capital does not show a perfect victory by none of the sides. This means that Ki Ki-Young only offered the opportunity for the audience to recognize the fundamental factor of social problems by themselves rather than suggesting unrealistic solutions or hope. Third, the social problems that Kim Ki-Young tried to deal with in his film is related with the symbolic capital and the matter whether one owns the symbolic capital or not causes desire of individuals. In this process of satisfying desires of individuals, conflicts and collision are caused from the confrontation with troubles with others. However, if the process of satisfying one’s own desire is done in a abnormal way, it always ends as a tragedy. As mentioned above, the awareness of the time and film works found in Kim Ki-Young’s films enables to explain the reason why his movie is distinctive from the other movies at that time and these mean that his point of view is being carried out. His films are differentiated from other movies that he constantly treated various social problems caused by the gloomy reality after the war and the control and the oppression by the government. That is, Kim Ki-Young used the film media in order to deliver diverse problems of the impoverishment after the war, the anxiety of extreme high growth, the formation of the irrational hierarchical relationship from the cornered capital phenomenon. By examining all of Kim Ki Young’s films in a general and overall way, an accurate and objective evaluation regarding the awareness of the time and film works could be done in this study. Furthermore, this study has the meaning of trying to overcome the limitations that other studies about Kim Ki Young’s movies have treated only a few particular movies.

      • 劇文學을 活用한 韓國語 文化 敎育 方案 : 吳泳鎭의 『孟進士宅 慶事』를 中心으로

        김미선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07

        第1章在韩国语教育中阐述了文化教育的研究目的及方法,并观察了先行研究。这篇论文运用了韩国吴盈真的剧本《孟进士家的庆事》,研究了作为外语的韩国语文化教育方案。作为外语的韩国语教育的目的在于培养沟通能力,而要培养以技能为中心的语言能力,还要增加文化能力。现代剧文学领域的韩国语教育,利用通过在韩国学习韩语,可以正确的欣赏,理解文学作品,在此过程中韩语知识和韩国文化知识为基础,语言文化、精神文化、生活文化等提高沟通顺利是该论文的目的。另外《孟进土宅庆事》对现有的研究结果为基础,文化教育的内容和方法提出了各种各样的文化教育方向,他利用文学中蕴含着韩国文化技术,外国学生为对象,对韩国文化考察教育方案。在该项研究中,活用戏剧文学的韩国文化教育的对象限定为韩国语高级学习者。由于文化教育的特性,活用文学在文化理解上要求具备充分的阅读能力的高级学习者。 在第二章中,包括韩国语教育在内的外语教育中,文学作为满足外语教育目标,有价值的资料备受关注。外语教育的目标是,缓解文化理解、文化之间的沟通、文化之间的冲击。为了让韩语学习者和韩国人进行良好的沟通,必须对韩国文化进行教育和理解。还有第2张1、2节里的韩国语教育的最终目标是学习韩语的沟通能力者通过提高韩国的社会和文化的理解,并在社会、文化环境中并正确适当韩国语流利地使用。为此,他论述了作为外语的韩国文化目标和内容 第三章将活用《孟进士家庆事》的韩国文化文化教育内容,分为语言文化,精神文化,生活文化进行了说明。通过这些过程,提出了根据学习者教育目的文化特征,了解到差异。通过戏剧文学可以了解到一些文化内容。第一是作为风俗习惯的理解。第二是,韓國人的行为的理解。第三是作为文化原型的理解。另外,将戏剧《孟进士家的庆事》分为语言文化方面-俗语、方言、精神文化方面-家长式儒教文化、生活文化方面-传统婚姻文化等方面进行了说明,并将其作为文学领域进行教育,为学习韩国语提供了更加丰富的文化理解。 第四章利用《孟进士家庆事》的韩国文化教育方案分为1,2,3节。在第一节的终极目标是韩语学习者活用文学作品,進行的文化教育,使对韩国文化的理解,韩国语沟通能力的提高有所帮助。在该论文中,将焦点放在了以学习者为中心的教學方法上,并观察了能够在文化教育课程上执行的教育方法。第二节在韩语教育中,家庭重要的先行课程是课程目标和设定课程计划。特别是戏剧文化教育,制定了既符合国语教育,也符合文化教育目标的教学计划。一是制定了以学习者为中心的学习计划。因为比起教师活动,学习者活动的时间要长。教师要充分了解相关单元的内容后,才能进入制定计划的工作。确保足够的资料,设定空间。戏剧的情况,至少进行5次以上的教师活动和学习者活动。第二次是教师学习单元,从而可以充分理解设定学习目标,学习的倾向,从而掌握该学习方法的设计。因此可以诊断学习者对学习单元内容的理解程度。尤其教师作为授课者,不可避免地要做出对学习者的有所诊断。教师的诊断,从而可以掌握对学习者的要求、兴趣等。诊断方法通过教师与学习者,学习者相互之间的讨论掌握。三是为有效学习必须进行学习设计。那个学习设计就是学习指导方案。学习指导方案在制定学习设计后才有可能。因为学习设计,因此要准备各種学习图案。 学习设计大体分三部分:首先是准备学习者活动符合实现,第二是活动以学习者爲中心,第三阶段是评价,教师和学生共同组成。第三节,制定了教学学习指导方案。这是由学习目标分为几个教授方案。还有在教授学习时间爲2小时3次共6小时每周2个小时1次,共计3周内完成。其次是教授作品《孟进土宅庆事》的作者对三部分简单地说明了《孟进土宅庆事》发表当时的时代背景和作品说明联系起来。阅读作品在教学学习活动中占有重要地位。阅读内容,对他进行了理解,才能展开活动。最后,《孟进土宅庆事》事件是矛盾日益突出结婚觀念爲中心的作品。另外《孟进土宅庆事》详细的結婚场面. 文学作品中教育韩国语,根据具体的阶段,并提出各種类型的韩语学习者選擇對自己的韩国语能力相符的作品相接触的机会,而且有效率的教授对他的作品。 上述研究, 将继续利用文学剧教育韩国语文化会對韓國語的日常生活中会有很大的帮助。 문학의 각 장르의 특성을 잘 드러내면서 효율적으로 교수 학습 활동을 진행시킬 수 있는 교수 학습 모형에 대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한국어 교육의 대상은 한국어를 제2언어로서 학습하는 외국인이므로 자국어로서 한국어를 학습하는 대상과 동일한 교수 학습 모형을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그러므로 한국어 문화 교육의 특성을 잘 고려하여 교수 학습 모형이 필요하다. 위와 같은 연구가 계속될 때, 극문학을 활용한 한국어 문화 교육은 한국어 문화를 배우고, 일상생활에서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스토리텔링(Storytelling) - 비평' 연구 : 영화 서사의 수용과 생산을 중심으로

        허관무 동국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07

        The main objective of my dissertation is to seek the criticism that utilizes stories from the origin of mankind. In order to achieve it, I firstly code an issue of core information of texts which are consisted of stories with some messages, that is, I would like to set up a critique methodology with the utilization of storytelling that can reproduce the texts up to the level of discourse, then I practically come up with a way of acceptance and production of the film narrative in various perspective. In chapter two, I have firstly clarified the definition and status of storytelling with a perspective which admits films as literature or new objects of literature education. After then, I draw the critique perspective which can be a strategical way of critical reading and writing in order to make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definition of ‘Storytelling-Criticism’ and ensure possibilities of its usage in the various film narratives. I take Stuart Hall’s structure of semantic analysis as a fundamental part of the storytelling, and then I explain dynamics of creation of meanings through encoding and decoding of Hall’s communication theory. I also reveal the structure of ‘Storytelling-Criticism’ with Bordwell’s argument, bull’s-eye schema of mise-en-scène critique, which is consisted of character, setting and film discourse. By the progress of decoding, I articulate the expansion of ‘self-recognition’ and ‘message’ through ‘self-examination’ that is a distinctive characteristic of critical essay; the senders and receivers do not simply accept the coded messages. To put these all together, I have made the frame of ‘Storytelling-Criticism’ and studied several meaningful film analyses with other methodologies which are similar with mine. The meaning of ‘Storytelling-Criticism’ is to drag out and code arguable and debatable issues, and reconstruct stories that can make some messages. In chapter three, I suggest the methodological structure of ‘Storytelling-Criticism’ with its elements and detailed explanations. The progress of issue coding and message reading is not just serial delivery and reflection of meanings, but those are the active creations of meanings with a process of selection and exclusion, and also can be the righteous communication and practice by making social discourses. By suggesting the model of issuing, coding and messaging process in order to show how actually ‘Storytelling-Criticism’ operates, I analyze KUNDO : Age of the Rampant with it. In chapter four, I actualize the methodological structure of ‘Storytelling-Criticism’ in three ways. First one is making a new discourse by finding and connect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characters and settings which can be called an allegorical-telling of a discourse. It is a text production of different level from original film texts. I regard Secretly Greatly as ‘romance of divided ideologies’ and Sunny(2008) as ‘politics of women representation’. Second way of ‘Storytelling-Criticism’ somehow reveals totally different two films can be a new storytelling by one single discourse, just like the two films are overlapped. In other words, one of the texts can be as a critical coordinate, and then we can find intertextuality of the two different texts by connection of elements such as characters and settings, etc. With these analytic frames and methods, I concrete Record of a Journey to Mujin and Mapado with intertextuality, and also read meanings of characters, settings and symbols and codes of discourses in Identity and Treasure Island. The final one is making particular messages with some constituent units. In my dissertation, I reconstruct ‘family story’ discourse which has ‘men, fraternal love, and the others(objectification)’ codes from Old Partner, Sunny(2011) and Roaring Currents. Through this process, I find hidden and filmic truths that deliver ‘father, family ideology, nation or system’ messages. ‘Storytelling-Criticism’ takes various texts and broad critical fields as its analytic objects, and also its usages are available not only professional critics and experts but also everyone who wants to write his/her own critiques. It also makes us possible meta-criticism which is a critique for another critique because one of its process is coding issues, that is, it makes another criticism for the existed critiques. ‘Storytelling-Criticism’ will point irrational contexts of established critiques out, and then it will proceed new perspectives and opinions as well. It also will lead us a new field of essay and discussion education where we have not ever seen yet. Key words: ‘Storytelling-Criticism’, film narrative, character, setting, discourse, issue, code, message, allegory, critical coordinate, intertextuality, sequence 본고는 인류 탄생과 함께 해 온 이야기를 활용한 비평을 모색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텍스트의 핵심 정보가 되는 이슈를 코드화해서 어떤 메시지가 담겨 있는 이야기, 즉 담론 차원의 텍스트로 재생산해낼 수 있는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비평 방법론을 정립해, 이를 바탕으로 영화 서사를 다양한 시각에서 수용, 생산할 수 있는 실제를 구안해 보았다. 2장에서 영화를 문학 또는 문학 교육의 새로운 대상이나 목적이 될 수 있는 것으로 보고 스토리텔링의 개념과 위상을 밝혔다. 그리고 그것이 갖고 있는 비평적 성격을 끌어들여 비평적인 읽기와 쓰기 방법의 전략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살핀 후, ‘스토리텔링-비평’의 개념과 활용 가능성을 다양한 영화서사에 적용해 보기 위한 ‘스토리텔링-비평’의 이론적 기초를 세워 보았다. 이를 위해 스튜어트 홀(Stuart Hall)의 의미 분석 구조를 중심으로 스토리텔링의 기본 골격을 잡고, 그의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바탕으로 기호화/기호해독을 통한 의미 생성의 역동성을 설명하였다. 또한 본고에서는 영화 서사의 수용과 생산을 중심으로 ‘스토리텔링-비평’을 다루고 있기 때문에 보드웰(Bordwell)이 주장한 미장센 비평의 ‘핵심 도식(bull's-eye schema)’을 구성하는 인물, 세팅, 영화 담론을 중심으로 ‘스토리텔링-비평’의 구조를 밝혀 보았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수신자는 송신자의 기호화된 메시지를 그대로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해독의 과정을 거치면서 비평적 에세이의 특징인 ‘성찰’을 통한 ‘자기인식’과 ‘메시지’의 확장이 가능함을 밝혔다. 이를 종합해 ‘스토리텔링-비평’의 틀을 만들고 이와 유사한 방법론을 통해 영화를 비평한 몇몇 주요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스토리텔링-비평’은 논의와 논쟁이 될 수 있는 이슈들을 끄집어내서 코드화 하고, 어떤 메시지를 생성해 내는 이야기로 재구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3장에서는 이와 같이 개념화한 ‘스토리텔링-비평’의 구성요소들에 관해 세부적인 설명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며 그 방법 구조를 제시하였다. 이슈를 코드화 하고 어떤 메시지로 읽어오는 과정은 직렬적인 의미 전달과 반영이 아니라, 선택과 배제의 원리를 통해 구성되는 능동적인 의미생성의 과정이며 사회적 담론의 형성을 통해 우리 삶에서 올바른 의사소통의 실천을 모색해 보는 과정인 것이다. 이러한 ‘스토리텔링-비평’ 방법이 어떻게 작동할 수 있는지 이슈화, 코드화, 메시지의 과정 모형을 제시해 세부 작용 과정과 방법을 영화 <군도-민란의 시대>를 통해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스토리텔링-비평’의 방법 구조를 세 가지의 방향에서 실제화 해 보았다. 첫 번째는 담론의 알레고리적 텔링으로, 인물, 세팅에서 특징적 요소들을 찾아 연결 지어 새로운 담론으로 생산하는 것이다. 원래 영화 속 이야기를 다른 차원의 텍스트로 생성해 내는 것인 데, 영화 <은밀하게 위대하게>를 ‘분단 이념의 낭만화’라는, 영화 <님은 먼 곳에>를 ‘여성을 재현하는 정치학이라는’ 메시지를 담은 서사로 의미를 파악했다. 다음 ‘스토리텔링-비평’의 두 번째는 서로 다른 장르의 텍스트를 오버랩(Overlap)시키 듯, 전혀 다른 이야기가 동일한 담론의 서사로 새롭게 스토리텔링 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 준다. 다시 말해 하나의 서사를 비평적 좌표로 삼아 인물과 세팅 등의 요소를 연결 지어 사건과 주제의 유사성을 따져보며 이질적 텍스트의 상호텍스트성을 밝혀 보는 것이다. 이러한 분석의 틀과 방법을 활용해 영화 <아이덴티티>와 소설 「보물섬」의 텍스트 속 인물, 세팅, 담론의 상징과 약호들이 갖는 의미를 읽어 내, 각각 소설 「무진기행」과 영화 <마파도>와의 상호텍스트성으로 구체화 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는 ‘스토리텔링-비평’으로 여러 텍스트를 어떤 구성단위로 해서 특정 주제를 담은 메시지로 생산해 내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영화 <워낭소리>, <써니>, <명량>을 시퀀스 단위로 해서 ‘남성, 형제애, 타자(대상)화’라드 코드를 바탕으로 하는 ‘가족이야기’ 담론으로 재구성하고, 그것을 통해 ‘아버지, 가족이데올로기, 국가 또는 체제’라는 메시지를 전달하려 하는 감추어진 영화적 진실들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앞서 제시한 이와 같은 ‘스토리텔링-비평’을 활용한 비평 활동은 전문가의 영역이 아닌, 누구나가 잘 쓰고, 잘 읽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활동으로, 그 대상도 다양하고 적용 범위도 매우 넓다고 본다. 또한 이것은 비평을 비평하는 메타비평 역시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즉 이슈를 코드화 해 새로운 메시지를 생성한다면 그것에 대한 또 다른 메시지를 이야기 형식으로 만들어 내는 ‘메타비평’ 역시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이런 비평 활동은 기존 비평의 불합리한 내용 등을 지적하며 새로운 관점의 의견을 제시할 수 있고 논술과 토론 등 국어 교육의 다양한 능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방법으로 확대해 나갈 수도 있을 것이다. 핵심어 : ‘스토리텔링-비평’, 영화 서사, 인물, 세팅, 담론, 이슈, 코드화, 메시지, 알레고리, 비평적 좌표, 상호텍스트성, 시퀀스

      • 문효치 시의 이미지 연구 : '백제 시'를 중심으로

        김미연 동국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07

        Moon Hyo Chee is best known for his poetry on Baekje (18 BC – 660 AD), one of the Three Kingdoms in Korea. Eight of ten volumes in Moon Hyo Chee Poetry Collection respectively have a section solely devoted to Baekje poetry, except for Volumes 5 and 6. It is notable that even the titles of Volumes 2, 3, 4, 8, 9, and 10 relate to Baekje. Vol. 2 <King Muryeong’s Wooden Bird>, Vol. 3 <The Moon of Baekje Rolling on the River>, Vol. 4 <The Road to Baekje>, Vol. 8 <The Sword of General Gyebaek>, Vol. 9 <The Beard of Wangin>, Vol. 10 <The Seven-Branched Sword> He also published a poetry book entitled Baekje Poems in 2004. There are two things about his life to consider in understanding why he has been so much interested in writing poems about Baekje. First, Moon Hyo Chee is a poet who early in his life went through near-death predicaments involving depression and sickness (one time losing almost 75 pounds) due to the practices of collective punishment for his father’s crossing over to the communist North Korea. This contrasts with the life of Seo Jeong Ju who is known to have seldomly experienced serious life difficulties. Seo Jeong Ju frequented Gyeongju (the capital of Silla, one of the Three Kingdoms) to inquire into the spirit of Silla for his metaphysical reasons whereas Moon Hyo Chee patronized Baekje out of his desperate life-and-death struggles. Second, Moon Hyo Chee’s poetic pursuit centers on the spirit of Baekje in contrast to his mentor Midang (honorable nickname) Seo Jeong Ju’s endeavors to substantialize the spirit of Silla. It is notable that although both of the poets were born and raised in Honam(a southwestern region of the peninsular), Seo Jeong Ju directed his attention to Gyeongsang Province (a southeastern part of the country, the site of Silla Kingdom) away from his hometown whereas Moon Hyo Chee geographically remained focused on his region Honam (the site of Baekje Kingdom). Therefore, Moon Hyo Chee is distinguished from Midang Seo Jeong Ju in that there is a correspondence between the home region of his physical living and that of his poetic specialization. These premises provide a basis for the study of the imagery instilled in Moon Hyo Chee’s Baekje poetry. The present study exposited through an imagerial analysis that Moon Hyo Chee’s imagery in Baekje poems originates in “life“ and culminates in “life.” It is contended that the initial “life“ refers to the life that had to be protected by Moon Hyo Chee, and the later “life” faced in return relates to the life that was to be served. The life protected is Moon Hyo Chee’s own life and the life served is the life of the nature. This is why this treatise centers on analyzing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images of life although it is entitled, “The Study of the Imagery Reified in Moon Hyo Chee’s Baekje Poetry.”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 that the imagery of the deteriorating and descending life is embedded in the poems written by Moon Hyo Chee prior to his appreciation of Baekje relics. In 1966, Moon Hyo Chee was first recognized as a poet as the winner of two shinchunmunye national poetry competitions administered by Junangilbo and Seoulshinmun (major newspaper organizations in Korea) in the year of his college graduation. He served in the military as a staff sergeant although he had originally wanted to be an ROTC officer. Due to his father’s crossing over to North Korea, the practices of collective punishment involving the continuous surveillance and interrogation by the military bureau of investigation followed him throughout his military service and even after his return to normal living back in society. The section entitled <Social Death Prior to Baekje Poems> analyzed the imagery of the descending facets of life in the first volume that reflects psychological distress involving fears of deteriorating health and impending death as implicated in such poems as “Darkness in a Tunnel, ” “Standing in Smoke, ” “Illness Wavering between Life and Death, ” “A Bird Strangled to Death, ” “Tinnitus Sounding Like Cicadas.” This study also illuminated that light, air, and water as prototypical symbols of life refect the imagery of resuscitation and ascension. In 1971, the ancient tomb of King Muryeong was discovered and an exhibition of its relics was held at Deoksugung Palace where Moon Hyo Chee met the Baekje artifacts. This encounter inaugurates the birth of his Baekje poems substantializing the imagery of Baekje artifacts under the theme of <Poetic Revival of Baeje Relics>. The revival of Baekje relics was initially actualized with “King Muryeong’s Gold Crown Ornaments” (Vol. 1) and “King Muryeong’s Wooden Bird” (Vol. 2). From this time forth, Moon Hyo Chee’s physical health came back to normal and his poem writing activities started to flourish. In 1988, Moon Hyo Chee’s 20-year poet career blossomed in his publication of Vol. 3 <The Moon of Baekje Rolling on the River> and Vol. 4 <The Road to Baekje> that signaled the birth of Baekje poems with the theme of “Harmonizing Baekje History with the Nature.” Moon Hyo Chee’s journey into Baekje as a traveler immersed in nostalgia was embarked on <The Road to Baekje>, visiting the old sites of Baekje and other related places. It is noted that most of his poems were inspired from this journey. His voyage in this endeavor was characterized by frequenting historic sites, mountains, and water streams with no predetermined destination in mind. In 1993, Moon Hyo Chee published <The Gate to the Sea> (Vol. 5), disclosing his sentiment by saying “Squeezing my forties into the past.” In 1997, he produced <Overlooking Seonyudo> (Vol. 6) in which he contemplates his 30-year poet career by remarking, “Living is like saying we are headed somewhere.” The poet substantialized the images collected from his visits with mountains and water streams in <Overlooking Seonyudo> (the island where mythical hermits are said to leisurely hang out) as well as stressing that the life of a human being must become like the seawater that passes through “The Gate of the Sea“ as does the flow of water which is a prototypical symbol of life. Moon Hyo Chee continues his free-floating journey while insinuating the image of “Only wanting to stand as a blossom of ‘liberty’” in <A Wildflower in Gongsanseong Fortress> located in his nostalgic home region <The Country of King Muryeong>. In 2001, he commented, “Anyhow, I have lived hanging around here and there” in <Namnaeri Postcard> (Vol. 7). The second section of this volume indicates that upon encountering the Gilt-Bronze-Maitreya-in Meditation statue, his poetic imagination began to promulgate the imagery of respecting life forms. In Volume 7, therefore, his Bakeje poems substantialized the image of the nature apart from Baekje history and in Volume 8, he traced the Baekje figures who influenced the history of Japan and the heritages of Baeje Buddhism in Volume 8. Hence, it is apparent that he reified the imagery of harmonizing the nature as the origin of life with religious contemplations. His 2010 publication <The Beard of Wangin> (Volume 9) presents his works that substantialized his appreciation of Baekje relics and religious heritages during his trip to Japan. They are called <Baekje Poems of Japan>. These poems are characterized as the imagery of poetic reification that surpasses the artificial boundaries of Japan and Korea. This means that the notions of nationality and religiosity are sublimated into the art of poetic astheticism. Baekje poems in Section 1 of his 2011 book <The Seven-Branched Sword> (Vol. 10) depicts the imagery of the nature as a prototypical symbol of life. These are labeled as <Baekje Poems of Korea> to be contrasted with <Baekje Poems of Japan>. A section is appended to attest that Moon Hyo Chee’s poems reflect the poetic reification of nostalgia as a protype of existence and homecoming as a force of reenactment. His recent books <Dotted White Geometrid Moth> (2013) and <Modemipul> (2016) embrace the imagery of caring for petty forms of life at the pinnacle of his poetic career. In the preface of <Modemipul>, Moon Hyo Chee declares, “I espouse life. Life is a god....My poetry starts with the sanctification of this god.” He then reifies the images of lower forms of life. As a study on the imagery of Baekje poems, this treatise has not reached the fullest potential in regards to the subject exposition and structuration, but analytically illuminates the processes in which: Moon Hyo Chee’s poetry of life has been transformed into the imagery of resuscitation and ascension as resulting from the consoling alliance of “the demolishment of Baekje and the collective punishment ordeal that Moon Hyo Chee went through“ (Section II) and his poetic aestheticism has been sublimated into the religious aestheticism of life with the spirit of Baekje revived in artistic forms by transcending time and space dimensions through the amalgamation of his poetic imagination and Buddhistic contemplation (Section III). It is affirmed that Moon Hyo Chee’s poetry has been sublimely transfigured from the ambiguous aestheticism of life to the religious aestheticism of life as reified in Baekje poems by embracing Baekje relics and Buddhistic contemplation practices.

      • 자기주도식 '소리 내어 읽기' 방법이 한국어 듣기에 미치는 효과 연구 : KFL 중국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두정 숙명여자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23

        本论文的主要目的是研究自主式‘放声朗读‘方法对KFL中国学生的韩语听力水平给予的影响。研究中以大学3年级60名中国学生为研究对象,通过实验得出自主式‘放声朗读’方法除了对学生的韩语听力水平影响以外,对于学习者的听力不安和学习态度也是否有影响而进行了探讨。 为此,本文考虑到学生的兴趣选择了《电视童话-幸福的世界》为实验材料,将学生分为实验组和对照组进行了研究。让实验组的学生听完听力内容后完成听力后练习题,随后不考虑练习题答案是否正确,直接进行自主式‘放声朗读’训练。对照组学生则每周提供与实验组相同的实验材料,听完听力内容后做练习题,然后通过听力文字对本确认练习题答案是否正确。反复多次后以这种实验方法检查学习者的听力水平,听力不安和学习态度的变化。 试验后将进行如下分析。首先,分析自主式‘放声朗读’学习法如何影响在中国的韩语系大学生的听力水平。其次,分析自主式‘放声朗读’方法如何影响大学生的听力不安。第三,分析自主式‘放声朗读’对大学生学习韩国时态度的影响。 分析结果如下。首先证实了自主式‘放声朗读’学习法对于提高学习者的韩语听力水平有显着影响。此外,研究表明,此方法中韩语听力水平低下者在提高听力能力方面比听力水平较高者更有效。 另外,统计学意义上自主式‘放声朗读’方法在提高‘逻辑性把握’和‘理解说话者态度’的能力方面是有效的。尤其是,听力水平较低的学生在‘掌握整体内容’,‘理解原因,根据,目的’,‘理解说话者态度,心情’等能力方面效果较显著。 其次,自主式‘放声朗读’方法被发现可以减少学生在听力中的不安,并且,比起听力水平较高者,这种方法对于听力水平低下者更有帮助。 第三,自主式‘放声朗读’方法对学习者学习听力的态度和整体学习韩语的态度有很好的影响。特别是提高‘对韩语的兴趣’,‘对学习韩语的信心’,‘对听力的重视’,‘对听力的兴趣’,‘对听力的集中度’,‘对听力的信心’,等方面被证实是有效的。 最后,自主式‘放声朗读’之后对参加实验的学生进行了进一步采访。学生们觉得自主式‘放声朗读’是可以帮助他们提高韩语听力水平,减少听力不安。而且,在这个过程中感受到了成就感,对自己学习韩语和提高听力水平有了很大的信心。除了韩语听力能力之外,韩语发音也渐渐变好了,对说韩语也有了自信。知道了自己原来发错的音和不会发的音是什么。但是,用这个方法练习的时候需要集中注意力,一直集中容易疲劳从而减少主动性。还有听力内容过长或过难的时候,容易中途放弃使用此方法。 通过以上研究结果,可提出以下三种教育意义。首先,对于那些几乎没有机会接受原语民韩语教师教育的KFL学习者来说,自主式‘放声朗读’是课外有效的自学方法。其次,自主式‘放声朗读’方法对于韩语中高级水平学习者,特别是听力水平偏下者在提高自身听力水平时应积极应用。第三,自主式‘放声朗读’方法不仅要积极地应用于听力,还可以在课外的学习过程应用于提高口语能力。 最后,本文中指出了研究的意义和局限性,并提出了未来的研究方向。 본 연구에서는 주로 자기주도식 ‘소리 내어 읽기’ 방법이 KFL 중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듣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고찰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국 대학교 한국어학과 3학년 대학생 총 6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아울러 자기주도식 ‘소리 내어 읽기’ 방법이 한국어 듣기에 대한 학습자들의 듣기 불안 및 학습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고는 학습자의 흥미를 고려한 ‘TV동화-행복한 세상’의 내용을 실험 자료로 사용하여 실험집단 학생에게 제공된 듣기 파일들을 듣고 문제를 풀어본 후 정답 선택 여부와 관계없이 자기주도식 ‘소리 내어 읽기’ 연습을 시켰다. 통제집단 학생들에게 매주마다 실험집단과 같은 실험 내용을 제공하며, 듣기 파일을 듣고 정답 선택 여부만 확인하는 문제를 풀어보는 듣기 연습을 시키도록 하였다. 이러한 실험을 실시하여 학습자의 한국어 듣기 능력, 듣기 불안, 학습 태도에 대한 변화를 고찰하였다. 분석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졌다. 첫째, 자기주도식 ‘소리 내어 읽기’ 방법이 중국 내 한국어학과 대학생의 듣기 능력 향상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가를 분석하였다. 둘째, 자기주도식 ‘소리 내어 읽기’ 방법이 중국 내 대학생의 듣기 불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폈다. 셋째, 자기주도식 ‘소리 내어 읽기’ 방법이 중국 내 대학생의 한국어 학습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았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주도식 ‘소리 내어 읽기’ 방법은 KFL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듣기 능력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를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듣기 능력 상위자보다 하위자에게 듣기 능력의 향상에 더 효과적인 것을 밝히었다. 그리고, 학습자들의 듣기 평가 문항 유형별 한국어 듣기 능력 변화의 비교에서 통계적으로 자기주도식 ‘소리 내어 읽기’ 방법이 전반적으로 ‘논리적 흐름 파악하기’와 ‘화자의 태도, 심정 파악하기’ 능력의 향상에 효과가 있다. 특히 듣기 하위자의 ‘전체 내용 파악하기’, ‘듣고 이유, 근거, 목적 파악하기’, ‘화자의 태도, 심정 파악하기’, ‘듣고 적절한 행동 고르기’ 등 능력의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자기주도식 ‘소리 내어 읽기’가 학생들의 듣기 불안 감소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만 평상시에도 불안감을 크게 느끼지 않는 부분에 있어서는 자기주도식 ‘소리 내어 읽기’를 하여도 다소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상위집단의 경우가 듣기 불안 감소에서 하위집단보다 조금 더 감소폭이 컸으므로 더 도움이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자기주도식 ‘소리 내어 읽기’ 방법이 학습자의 듣기 학습 태도 및 전반적인 한국어 학습 태도에 좋은 영향을 주므로 학습 동기 부여의 역할이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듣기 하위자의 ‘한국어에 대한 흥미도’, ‘한국어에 대한 자신감’, ‘듣기에 대한 중시도’, ‘듣기에 대한 흥미도’, ‘듣기에 대한 집중도’, ‘듣기에 대한 자신감’의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사후 심화 인터뷰에서 학습자들이 자기주도식 ‘소리 내어 읽기’ 방법이 자신의 한국어 듣기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고, 듣기 불안 감소에 다소의 효과가 있고, 이 과정에서 스스로 성취감을 많이 느끼게 되고 한국어와 듣기 학습에 자신감도 많이 생겼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자신의 한국어 듣기 능력 이외에 발음이 점점 더 좋아지게 되었으며 말하기에 대한 자신감도 많이 생겼고, 잘못 발음하는 부분이나 어려워했던 부분을 확실히 알게 되었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 듣기 연습할 때 많은 집중력이 요구되고, 계속적으로 집중해야 하기 때문에 피곤한 상태에서 활동할 때는 활동의 의욕이 감소하였으며, 듣기 지문이 길고 어려우면 중간에 포기할 수 있다는 어려운 점이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하위수준인 초·중급 학습자들의 한국어 듣기 학습에 자기주도식 ‘소리 내어 읽기’ 방법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그들의 언어 수준에 맞는 학습 자료를 제안하고, 각 단계에 자료 유형별 실제 학습 효과를 알아보려고 검증 실험을 하였다. 검증 실험 결과에서는 자기주도식 ‘소리 내어 읽기’가 듣기 자료 유형과 상관없이 듣기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듣기 활동이라는 것을 다시 한 번 증명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본고는 세 가지의 교육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첫째, 자기주도식 ‘소리 내어 읽기’ 방법은 주로 원어민 교사의 교수를 받을 기회가 적은 KFL 학습자에게 수업시간 외의 효과적인 듣기 학습 방법으로 제언한다. 둘째, 자기주도식 ‘소리 내어 읽기’ 방법은 한국어 학습자 중에 특히 듣기 하위자가 한국어 듣기 학습할 때 인지적 능력의 훈련에서 적극적으로 적용하는 것을 제언한다. 셋째, 자기주도식 ‘소리 내어 읽기’ 방법은 듣기뿐만 아니라 말하기 능력 향상을 위한 방법으로서 교실 수업 시간 이외의 학습과정에서 적극적으로 적용하는 것을 제언한다. 마지막으로 본고에서는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언급하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 '여류문학전집'(1967~1979)과 여성문학의 젠더 정치

        김은석 동국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55

        본 논문은 ‘여류문학전집’(1967~1979)을 중심으로 1960~70년대 여류문학인회를 중심으로 한 ‘여류문학’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여류문학전집’은 1960년대 전집 출판 시장의 호황과 여성 독자의 증가 속에서 출간되었고, 최초의 여성 문인 단체인 한국여류문학인회의 출판 사업으로 지속되었다. ‘여류문학전집’은 1967년 간행되어 83년까지 이어진 장기 프로젝트로, 전후 ‘여류문학’의 형성과 그 세력화 과정을 보여주는 자료이다. 본 논문은 이 시기 여성 문학을 규정해 왔던 순응과 침묵, 수동성과 체념 같은 해석이 문학 장의 행위 주체로서 여성을 생각하지 않았다는 문제 의식을 바탕으로 여성 작가 집단이 문학 장에 개입하고 위치를 취하는 전략으로서 ‘여류문학전집’을 분석했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본 논문은 부르디외의 문학 장 및 문화 이론과 아이리스 영의 민주주의의 다원주의에 입각한 피지배 집단의 성격을 이론적 근거로 활용했다. 문학전집은 한국문학사라는 문학 지식의 축적판으로 생산되었고 ‘여류문학전집’은 기존의 문학전집에서 설정한 문학적 준거들을 수정하면서 여성 작가들을 중심으로 한 여성문학사를 재구성했다. 본 논문은 피지배 집단이 단순히 억압받는 주체가 아니라 자신들만의 고유한 경험과 가치를 긍정함으로써 지배적 규범을 상대화하고 보편적 가치에 도전한다는 다원주의적 관점에서 여성 작가 집단의 전집에 나타난 문학적 실천을 살펴보았다. 이는 궁극적으로 한국문학사에 대한 수정과 위치 변경을 통해 문학을 여성의 시각으로 이행하는 작업이었다. Ⅱ장에서는 한국여류문학인회와 1960~70년대 출판 문화와 관련하여 ‘여류문학전집’의 특징을 다뤘다. 당시 도시의 여성 독자의 증가와 여성지의 인기, ‘여류신인문학상’은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출판 시장에서 문학서와 문학전집이 우세한 품목으로서 인기를 누린 시기는 ‘여류문학전집’의 출간 시점과 일치했다. 여성 작가들은 '여류'의 아비투스라고 불릴 만한 학력 자본과 문화 자본의 유사성이 있었으며 친분과 유대 의식으로 한국여류문학인회를 결성했다. 여성 작가들은 문예지 중심의 ‘여류문학전집’을 구성함으로써 여성지를 배제했다. 이는 기존 전집에 대한 모방이나 추종이 아니라 문학 장에서 ‘여류문학’을 여타의 문학 집단과 대등한 위치에 놓는 전략이었다. 문학전집의 문학성을 충족하기 위해서 ‘여류문학전집’은 주류 문단의 매체를 선별한 것은 남성 문단에서 영역을 확보하기 위한 ‘여류문학’의 이중적 상황을 보여주는 것이다. ‘여류문학전집’은 여성지를 배제하면서도 여성지로 등단한 여성 작가들을 다양하게 수용함으로써 소설의 대중성에도 관심을 두었다. ‘여류문학전집’은 한국여류문학인회의 결성으로 시작된 출판 사업이었지만 1968년 ‘신문학 60년’을 앞둔 문단의 기념사업을 의식한 ‘여류문학’의 대응이었다. Ⅲ장에서는 ‘여류문학전집’의 세 판본에 대한 비교와 특징들을 설명했다. 『한국여류문학전집』(초판, 1967)은 여성 작가의 등단 시기를 기준으로 배열했고 시 장르에서 유일하게 해설을 실었다. 『한국대표여류문학전집』(1977)은 작고 문인들을 제외하고 식민지 시기라는 기원에서 1950~60년대 작품 위주로 중심 이동을 하면서 새로운 세대의 작가들을 수용했다. 평론 장르가 신설되고 시에서는 외부 평론가의 해설을 배제한 대신 여성 시인들이 직접 작품 해설을 겸한 ‘시작 노우트’를 작성했다. 증보판 『한국여류문학전집』(1979)은 1권과 2권을 제외하면 거의 모든 장르에서 작가들과 작품들이 추가되었고, 소설에서는 1970년대 새로운 작가들이 합류했음을 알 수 있었다. 『한국여류문학전집』(초판, 1967)에서는 ‘전후세대’의 역사적 경험의 측면에서 박경리, 박순녀, 한무숙의 소설을 분석했고, 송원희의 여성 예술가 서사와 전병순의 여성지 수록작을 설명했다. 본 논문은 『한국대표여류문학전집』(1977)과 『한국여류문학전집』(증보판, 1979)의 발간 간격이 매우 짧으며 새롭게 추가된 작품들이 여성 자자성의 출현과 여성의 경험과 그 해석을 보여주고 있다고 판단하여 구혜영, 최미나, 그리고 1970년대 여성 작가들의 작품을 설명했다. 이 소설들은 여성 인물을 통해 남녀의 불평등한 관계와 여성 공간의 재현 불가능성을 그림으로써 가부장제의 영향 아래 자아 찾기에 실패하는 여성 인물들을 보여주고 있다. 1970년대 여성 작가의 소설들은 ‘주부’의 사회적 해석을 통해 가부장제와 여성이라는 동시대의 이슈를 서사화함으로써 ‘여류’의 문제를 젠더의 시각으로 이행시켰다. 이들의 소설을 주조하는 분노는 여성에게 오랫동안 금기시되었던 감정으로 외부의 문제를 주체적으로 볼 수 있게 하는 원동력이면서 관계에 대한 성찰로 이어지지는 않는다는 한계를 포함하는 것이었다. 박완서 소설의 ‘주부’는 강력한 훈육자로서 국토개발산업 논리와 공모하지만 그 계획의 실패와 좌절을 목격한다는 점에서 산업화 과정에 대한 성찰을 동시에 보여주고 있다. ‘여류문학전집’에서 1970년대는 ‘낭만적 서사’와 ‘여류’의 상관성은 가부장제와 여성이라는 새로운 이슈로 변모했다. Ⅳ장에서는 ‘여류시 전집’을 대상으로 시문학사에서 거의 다뤄지지 않았던 1960~70년대 ‘여류시’를 설명했다. 시 장르는 전집 체계에서 가장 독립적인 형식을 갖고 있었고 1960~70년대 ‘여류시’의 비평 담론과 여성 시인 동인(同人), 문학 규범과 길항하는 창작 주체의 관점을 볼 수 있는 자료로 의미가 있다. 1960년대 ‘여류시’는 새로운 감각과 사상을 지닌 신인 그룹을 의미했지만 주류 문단의 관점에서 이해되었기 때문에 미숙하고 감상적인 작품을 의미했다. 하지만 여성 시인들은 ‘여류시’에 대한 통념을 문제시함으로써 자신들의 감정과 창작 원리를 옹호했으며 여성과 일상이라는 소재에 주목했다. ‘여류문학전집’에 나타난 정전화 과정과 편집 체계는 기존의 전집이 만든 ‘한국문학사’의 ‘민족문학’과 ‘문학의 주류’가 남성 중심적 문학의 개별 보편성을 특권화하는 관점이었음을 드러내며, 그 방향을 역전시키고 상대화하려는 적극적인 시도였다. 1960~70년대 여성 작가들의 ‘여류문학전집’은 ‘여류’로 범주화되고 주변화되는 상황에 맞서 여성의 경험과 해석의 공동체를 형성함으로써 여성을 문학의 주체로 정립하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The Women’s Literary Collection by Women Writers’ Association in Korea explains the status of women’s literature during the 1960-1970s. Unlike other collections before it, the collection showcases the works of women and is significant in that it comprises works chosen by the female writers that themselves. This thesis analyzes how female authors engaged and positioned themselves in the literary field despite women’s literature in this period being defined as conformity, silence, passivity and resignation did not consider female authors an agent of action in the literary field. This article uses the characteristics of a subjugated group based on Bourdieu’s literary field and cultural theory and Iris Young’s pluralistic democracy as lenses to examine this movement in literature. The establishment and alternative canonization of the female author group during the 1960s and 1970s was a strategy that the minoritygroup enmployed in the literary field. The bond and sisterhood of the Korean Women Writers’ Association was a dispositional system derived from the socio-economic status of women such as academic backgrounds, occupations, and the cultural capital of a debut medium. Unlike Korean Women’s Literary Collection and other literary collections, the Association consistently applied the principle of self-selection to choose literary works. The Association did not emphasize certain ideologies such as “Nation” unlike other collections, and used “Women’s Literature” as a recognized preference. Korean Women’s Literary Collection was an initiative for artistic differences in the literary field and established the realm of “Women’s Literature”. The ‘literary group of female authors,’ which was established from the ‘male-dominated literary world,’ reinforced the exclusive bond of ‘women only’ based on particular academic backgrounds and cultural capital. Despite its limitation of coalitional politics that highlighted the authority of few within the renowned female writers’ group, the group still holds significance as it demonstrated the identity struggle of a minority group. The canonization and editing system of Korean Women’s Literary Collection revealed that Korean literary history favored the individual universality of male-dominated literature, which advocated for “National Literature” and “Mainstream Literature”. The Korean Women’s Literay Collection served as an active attempt to reverse course and relativize this dominance. Gender politics shown by female authors during the 1960s and 1970s through Korean Women’s Literary Collection established female authors’ literature as the agent of literary history against the situation where their works were categorized and marginalized in the literary field.

      • 모더니즘 시의 교육적 접근 방법 연구 : 김수영 시를 중심으로

        한미훈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07

        This study proves the need for education in modernism poetry in terms of social transition and literary education. And another purpose is to reveal how to approach modernism poetry when it is actually taught. For these purpose, this study defines modernism poetry as a series of poetic movements that critically embraced the changing patterns of the times and sought to embody the new forms demanded by times. I selected Kim Soo-young as the representative candidate of the modernist poetry movement and sought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ism poetry and educational use based on his poems. Society is rapidly changing and changes are required in the education of literature. But so far, poetry education has been aimed at purifying learners' emotions, mainly on traditional lyric poetry. In a world where a lot of information, diverse senses stimulate learners, traditional lyric poetry-oriented education can serve as a gap between learners and poetry education. Because it is far from one's own. Life in reality is intense. To live a worthy life, what the learner needs above all else is a fierce perception of reality. Look back on one's life and reflect on it form the core of modernism poetry. In Kim Soo-young's poems, reflective thinking works because of the shape of time and space and language. Kim Soo-young opposes the existing perception of time and space. Learners live in a reality that is different from traditional perception of time and space. The learners live in a reality that is different from their previous perceptions. By recognizing time and space, learners establish identity. From a linguistic point of view, modernist poetry requires critical reflection of the language or social order previously used unconsciously. At this time, the object of reflection extends not only to the self, but also to the society in which the self lives. Modernist languages accuse the self of being a minor citizen or an irrational society. it expands recognition as an ideal of true freedom, revolution, disconnected from it. In order to approach modernism poetry in an educational manner, it is necessary to break away from the existing information transfer-oriented education and to focus on learners' activities. The study suggested reading poems carefully, imagining narratives in poems, perfecting similar experiences in narratives and writing parody poems to learn about modernist time and space. It also proposed reading poems, drawing images, filling in blank spaces, and discussing current problems in the city from a modern point of view. The proposal was applied to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to assess the validity of modernism poetry in person. According to the assessment, the majority of learners responded that Kim's modernism poems help foster reflective and critical thinking. Critical reflection of space, time and language as a tool of self-awareness in literature education is the driving force of learner's inner strength in responding to the new modernization of future society. In a rapidly changing society, education, which teaches knowledge of the past that is cut off from the life of reality, cannot nurture human resources that respond. Based on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I think that modernism poetry should be re-evaluated of the value of education. 이 연구는 사회 전환기의 도래와 문학교육 측면에서 모더니즘 시 교육의 필요성을 증명하고, 실제 교육에 활용되었을 때 모더니즘 시를 어떠한 방향에서 접근해야 하는지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모더니즘 시의 정의를 비판적으로 시대 변화 양상을 수용하고 시대가 요구하는 새로운 형태를 구현하고자 노력했던 일련의 시 운동으로 규정한다. 그리고 모더니즘 시 운동의 대표 주자로 김수영을 선정하고 김수영 시를 바탕으로 모더니즘 시의 특성과 교육적 활용 방안을 모색하였다. 사회가 급변하고 문학교육에서도 변화가 요구되고 있지만, 지금까지의 현대시 교육은 전통 서정시 위주로 학습자의 정서 순화에 목적을 두고 있었다. 많은 정보, 다양한 감각들이 학습자를 자극하는 세상에서 전통 서정시 교육은 학습자와 현대시 교육의 간극을 벌이는 역할 또한 해왔다. 자신의 삶과 거리가 멀기 때문이다. 현실의 삶은 치열하다. 가치 있는 삶을 살기 위해, 올바른 삶을 살기 위해 학습자에게 무엇보다도 필요한 것은 치열한 현실 인식이라 할 수 있다. 자기 삶을 되돌아보고 반성하는 성찰적 사고는 모더니즘 시의 핵심을 이룬다. 김수영 모더니즘 시에서 성찰적 사고는 시공간의 모습과 언어를 촉매제로 하여 작동한다. 김수영 시에 나타난 시간과 공간의 모습은 전통적 시공간관에 대한 반기, 단절 의식을 바탕으로 형성되었다. 전통적 시공간과 구별되는 현실에 사는 자아가 자신의 시간과 공간을 성찰하며 주체성을 확립하는 것이다. 모더니즘 시는 기존에 무의식적으로 사용하는 언어나, 언어에 부여된 사회 질서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또한 요구한다. 이때 성찰의 대상은 자아뿐만 아니라, 자아가 사는 사회로 확장된다. 자아의 소시민적 모습이나, 부조리한 사회의 모습을 고발하며, 그것과는 단절된 이상 세계로 인식의 확장을 이룬다. 김수영 모더니즘 시를 교육적으로 접근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정보전달 위주의 교육에서 벗어나 학습자 활동 중심의 교육이 요구된다. 이 연구는 김수영 모더니즘 시공간 학습을 위해 ‘꼼꼼히 시 읽기, 시 속 내러티브 상상하기, 자신의 비슷한 경험을 내러티브로 완성하기, 패러디 시 쓰기’를 제안하였다. 또 모더니즘 시 언어 학습을 위해 ‘꼼꼼히 시 읽기, 이미지화 그리기, 빈칸 채우며 패러디 시 완성하기, 시에 나타난 문제 상황을 오늘날의 관점에서 토의 토론하기’ 등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제안 내용을 적용하고 학습자의 자기평가를 통해 모더니즘 시의 유효성을 평가하게 하였다. 평가 결과, 많은 학습자들은 김수영의 모더니즘 시가 성찰적 사고와 비판적 사고를 함양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였다. 주체 인식의 도구로서의 모더니즘 시의 시공간과 시 언어에 대한 고찰은 사회 전환기의 인재 양성의 내적 동인이 될 수 있다. 현실의 삶과 단절된 과거의 지식을 가르치는 교육은 급변하는 사회에 대응하는 인재를 기를 수 없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바탕을 두고 모더니즘 시 교육에 대한 가치의 재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 베트남인의 한국어 오류 양상 연구 : 어휘와 문법을 중심으로

        김순일 청주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rrors in Korean writing materials of Vietnamese learners of elementary and intermediate level and to identify the types and causes of them. The collected data are the 311 letters from 61 beginner and 55 intermediate learner students of Cheongju University Korean language center. The sample was selected as it is appropriate for analyzing the pattern and cause of error according to the level of education. Because the boundary between beginner and intermediate learners is obvious. And it excluded advanced learners who were unable to collect data continuously during the data collection period. The learners are divided into beginner and intermediate classes. The beginners are the first and second class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center in Cheongju University. The intermediate learners are the third to fourth grade learners. The number of Korean learners of Vietnamese who want to learn Korean is steadily increasing. In the previous studies, they analyzed errors from the grammar and lexical categories of Vietnamese learners. But there is still less research than other language group learners, and error analysis studies are lacking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ause, and to help the learner to prevent errors by analyzing the error data of the learners. The preceding researches have examined the trends of writing research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error studies in Korean education,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Vietnamese learners. In Chapter 2, it first introduced concepts and theories of errors. It looked at the concept of error and discussed various opinions of researchers to distinguish between mistakes and errors and it examined how the errors are viewed from the standpoint from linguistic analysis researches which is represented by the contrast analysis hypothesis and the intermediate language hypothesis. Secondly, through the error analysis hypothesis, the effectiveness of error in teaching and learning was clarified and the significance of error analysis was examined. In addition, the linguistic category and the surface strategic category were established as the criterion of the error type in this study based on the study of the typed errors by various researchers. In Chapter 3, it conducted a learner awareness survey about learning Korean on Vietnamese Korean language learners before entering into full-scale study. The purpose of this survey was to investigate what Vietnamese learners think the most important about Korean language learning, what difficulties they experience, and whether the influence of their native language affects their learning. In addition, it conducted a cognitive survey because it can be a basis for understanding the results of error analysis. In Chapter 4, it analyzed the errors in the writing data.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learner, the writing materials of beginner learners used five themes including 'weekend plan' and 'travel experience', and the intermediate subjects were seven kinds including 'smart device addiction and solution' and 'rural and urban pros and cons'. Data collection took place from March, 2017 to January, 2018, and analyzed 2,174 error sentences out of a total of 3,338 sentences. The criterion that was judged as error was first grammaticality, and it was judged whether it had language form which was completed semantically or morphologically. Secondly acceptability. Although it includes the ill-formed elements, it has been checked whether it is acceptable through socio-cultural acceptance. The error classification is linguistically divided into vocabulary and grammar and it put postpositional particle and ending as a subset of the grammar category. Classification according to error phenomenon was divided into substitution, missing, and addi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beginner learners confirmed that they committed vocabulary errors more frequently with 52.36% of vocabulary errors and 47.64% of grammatical errors. As a cause of lexical error, due to lack of Korean language learning period as a foreign language, the quantity of vocabulary itself is insufficient, and it can be seen that it is confused with meaning and can not utilize appropriate meaning and form. Also, morphological errors resulting from the Korean phoneme system were also responsible for many lexical errors. Grammatical errors appeared in the order of postposition, tense, and ending. The grammatical errors were mostly attributed to transitional errors, which were affected by the characteristics of Vietnamese. Vietnamese is a isolating language and has no use of ending and thought there are postpositions, they are not developed like Korean. This difference seems to have been difficult for Vietnamese learners to learn Korean grammar. In addition, there are many past tense errors in the tense ending especially because the tense standard in Korean is different from the Vietnamese standard. Intermediate learners showed 52.78% lexical errors and 47.21% grammatical errors. As with beginners, this study found that lexical errors were more frequent. Intermediate learners increase the amount of vocabulary they learn as compared to beginners. However, it was shown that errors occur because the vocabularies in similar meaning can not be distinguished correctly. In addition, as in the beginner learners, errors were caused by using morphological errors derived from pronunciation or vocabulary that did not fit the context. Grammatical errors appeared frequently in the order of postposition particle, connection end, and ending end. In the case of the survey, errors were often caused because the errors were not corrected at the beginner level. As the level of learning increased, the length of the sentence increased, the frequency of use of connection endings increased, and connection endings errors frequently occurred. The ending error of intermediate learners was caused by the reason that the writing material should be used in the form of a closing form used in the newspaper or in essay. Chapter 5 summarizes the causes and patterns of errors in Vietnamese learners. Errors were first classified linguistically into vocabulary and grammar, and were classified into substitution, addition, and omission. Vietnamese learners were found to be wrong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native language. The importanc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rrors and identify the causes of errors in order to help Korean learners of Vietnamese. Through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t was confirmed that the errors of the substitution of vocabulary and grammar were high. Further research is needed on the appropriate solution to the cause of the error, and it is expected that efforts will be made to study the educational plan accordingly. The discussion is concluded by hoping to enhance the effect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of the learners by the results' of the error analysis of this study linking with the follow - up study. 본 연구는 베트남인 초·중급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쓰기 자료에서 나타나는 오류를 살펴보고 그 유형과 원인을 밝히는 것에 목적이 있다. 수집한 자료는 청주대학교 내 한국어센터 초급 학습자 61명, 중급 학습자 55명 총 116명 의 쓰기 자료 311편이다. 표본은 교육과정상 초·중급 학습자의 경계가 명확하여 수준에 따른 오류 양상 및 원인을 분석하기 적합하여 선정하였고 자료 수집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자료를 수집하기 어려운 고급 학습자는 제외하였다. 학습자들은 초급 과 중급으로 분류 하였는데 초급은 청주대학교 한국어 센터 1~2급 학습자들이며, 중급은 3~4급 학습자들이다. 한국어를 학습하고자 하는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선행 연구에서 베트남인 학습자에 대한 문법과 어휘 범주의 오류 분석을 실시하기는 하였지만 여전히 다른 언어권 학습자에 비해 연구가 미진하며 오류 분석 연구는 질적, 양적으로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습자들의 오류 자료를 분석하여 원인을 밝힌 이후, 학습자들의 오류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바지하고자 하였다. 선행 연구는 한국어 교육에서의 쓰기 연구 동향, 한국어 교육의 오류 연구, 베트남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 연구로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먼저, 오류의 개념과 이론을 다루었다. 오류의 개념을 살피면서 실수와 오류를 구분하기 위한 연구자들의 다양한 의견을 살펴보았고 대조분석 가설과 중간언어 가설로 대표되는 언어 분석 연구의 입장에서 오류를 각각 어떻게 바라보는지를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오류 분석 가설을 통해 교수학습에서의 오류의 효용성을 밝히고 오류분석의 의의를 알아보았다. 또한 여러 연구자들이 유형화한 오류를 살핀 것을 바탕으로 언어학적 범주와 표면 전략적 범주를 본 연구의 오류 유형기준으로 정립하였다. 3장에서는 본격적인 연구에 들어가기에 앞서 베트남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국어 학습에 관한 학습자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다. 베트남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학습에서 실제로 무엇을 가장 중요시 여기며, 어떤 점에서 어려움을 느끼는지, 모국어의 영향이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지는 않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조사하였다. 또한 오류 분석의 결과를 해석할 수 있는 바탕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인식조사를 실시하였다. 4장에서는 쓰기 자료에 나타난 오류를 분석하였다. 쓰기 자료는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초급은 ‘주말 계획’, ‘여행경험’을 포함한 5가지의 주제에 따른 글쓰기 자료를 조사하였고 중급은 ‘스마트 기기 중독과 해결방법’, ‘시골과 도시의 장단점’을 포함한 7가지 주제에 따른 글쓰기 자료를 이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7년 3월부터 2018년 1월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총 3,338개의 문장 중 2,174개의 오류 문장을 분석하였다. 오류로 판정한 기준은 첫째 문법성으로, 의미적이나 형태적으로 완성된 언어형식을 갖추었는지를 판별하였다. 둘째, 수용가능성으로 비록 비문법적 요소가 포함되어 있음에도 사회문화적으로 수용이 가능한지를 통해 오류 여부를 가렸다. 오류 분류는 언어학적으로 어휘와 문법으로 나누었고 문법범주의 하위 항목으로 조사와 어미를 두었다. 오류 현상에 따른 분류로 대치, 누락, 첨가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초급학습자들은 어휘오류는 전체의 52.36%, 문법 오류는 47.64%로 어휘 오류를 더 자주 범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어휘 오류의 원인으로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기간이 부족하여 어휘의 양 자체가 부족하고, 의미를 혼동하거나 적절한 의미와 형태를 활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한국어의 음소 체계에 기인한 형태 관련 오류도 어휘 오류가 많은 원인이 되었다. 문법 오류는 조사, 시제어미, 종결어미 순으로 나타났다. 문법 오류는 대체로 언어간 전이에 의한 오류로 베트남어의 특성이 영향을 미쳤다. 베트남어는 고립어로 어미 활용이 없으며 조사는 존재하지만 한국어처럼 발달되지는 않았다. 이런 차이가 베트남 학습자들의 한국어 문법학습에 어려움을 보였던 것으로 파악된다. 또한 시제 어미는 특히 과거시제 오류가 많이 발생하는데 이는 한국어에서의 시제 사용 기준과 베트남어의 기준이 다르기 때문이다. 중급 학습자들은 어휘 오류 52.78%, 문법 오류 47.21%를 보여 초급과 마찬가지로 어휘오류를 더 자주 범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중급 학습자들은 초급에 비해 학습하는 어휘양이 증가하여 표현하고자 하는 것은 늘어나지만 유사한 의미의 어휘를 정확히 구분하지 못하기 때문에 오류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급 학습자와 마찬가지로 발음에서 비롯된 형태적 오류나 문맥에 맞지 않는 어휘를 사용하여 오류가 나타나기도 하였다. 문법 오류는 조사, 연결어미, 종결어미 순으로 자주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의 경우는 초급 수준에서 잘못 인식된 것이 수정되지 않아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다. 학습수준이 높아지면서 문장의 길이가 늘어지고 연결어미 사용빈도가 높아지며 연결어미 오류가 자주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급학습자의 종결어미오류는 쓰기 자료를 신문이나 글에서 진술할 때 사용하는 종결형을 사용해야 하는 이유로 오류가 발생했다. 5장에서는 베트남 학습자들의 오류의 원인과 양상을 정리하였다. 오류는 먼저 언어학적으로 어휘와 문법으로 분류했고 이를 다시 대치, 첨가, 누락으로 분류하여 각자의 오류 원인과 양상을 제시하였다. 베트남인 학습자가 한국어와 모국어의 차이로 인해 오류를 범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교육에 있어 도움이 되고자 오류를 분석하고 오류의 원인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본다. 연구 결과를 통해 어휘와 문법의 대치 오류가 높았던 것을 확인하였다. 오류 원인에 대한 적절한 해결책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며 이에 따른 교육 방안을 연구하는 노력이 이어질 것을 기대한다. 본 연구의 오류 분석 결과가 후속 연구와 연계되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교육 효과를 높이길 기대하며 논의를 마친다.

      • 明代 문인의 차문화공간 연구 : 詩·書·畵에 나타난 人·物·景을 중심으로

        이단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1551

        본 논문은 명대 차시(茶詩), 차서(茶書), 차화(茶畵)을 통해 명대의 차문화를 이해하고, 차를 음미하는 차문화공간의 디자인 및 심미 취향을 고찰함으로써 현재의 차문화공간 설계에 중요한 참고 가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차문화의 역사는 긴 역사를 거치면서 동양문화속의 유교· 불교· 도교 사상을 융합하며 우수한 문화적 의미를 담고 있어 인류의 문화생활 속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오늘에 이르기까지 차는 건강 음료로 대중적인 사랑을 받고 있을 뿐 아니라 정신적 사상과 문화서도로 사람들의 마음속에 자리 잡고 있다. 중국은 차의 고향으로, 세계 차문화 연구에서 중요한 지위를 차지한다. 그래서 중국의 차문화를 분석하고 탐구하는 것은 차 연구자의 중요한 과제이다. 중국의 차는 약· 식· 음료 세 단계를 거치면서 발전하였다. 중당(中唐)시기에 육우(陸羽, 733~804)의 『차경(茶經)』이 나왔을 때, 당대 승려와 사대부(士大夫)가 적극적으로 차회(茶會)와 연회를 추진해서 음차는 예술 및 정신적 방면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중국의 각 시대마다 음차 방식이 제차(制茶) 공예의 방법에 따라 변화되고 왔다. 당송시대는 단차(團茶)·병차(餅茶)를 마셨고, 명대 이후 에는 산차(散茶)·엽차(葉茶)를 마셔왔다. 이 음차방법의 다양한 변화 속에서, 차 마시는 방식은 예전보다 복잡하지 않게 변하여 왔고, 상류사회의 황족, 귀족, 스님 등에서부터 서민으로까지 차문화가 보급시킬 수 있었다. 이로써 차를 마시는 것은 생활필수품으로, 독서, 교우, 여행, 대화, 명상 등 여러 활동과 장소에서 출현하였다. 명대 중엽 이후 자본의 축적에 의하여 사람들의 생활에 부유함을 가져오게 되어 각 계층의 사람들은 나름대로의 개성의 표현을 추구하게 되였다. 특히 명대의 문인들의 주도로 새로운 시대적 특징을 지닌 차문화를 형성하였다. 즉, 음차환경과 분위기의 조성을 매우 중시하게 되었던 것이다. 최근 몇 년 동안, 사람들의 삶에서 ‘차문화공간’이란 말이 사용되는 빈도수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 즉, 사람들은 음차의 환경과 분위기를 점점 중시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사람들이 음차 생활에 관하여 추구하는 방식이나 격식이 점차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차의 맛과 효능적인 측면뿐 만 아니라 음차 환경 및 정신작용 또한 더욱 중요하게 부각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명대 역시 閒雅한 차문화공간과 정신작용에 많은 관심을 기울였던 시기로 이전 시대와 달리 황실이나 권력층이 아닌 문인들에 의해 차문화가 발전했던 시대이다. 특히 문인들은 늘 대자연 맑은 기운을 담은 산수를 통해 자신들의 문학적 심경을 토로하며 수많은 詩, 書, 畫 등의 작품들을 남겼다. 그 중 상당한 부분이 차사(茶事)와 관련이 있다. 그래서 명대의 차문화 관련 참고 자료들이 많이 남겨져있으니 후세 사람들의 연구에 많은 도움이 되고 있다. This paper is through the book, poetry and painting of tea to understand the tea culture in Ming Dynasty, and insights into the design thought of Ming Dynasty tea culture space and aesthetic taste, so as to give the tea culture space design of an important reference value. In the long history, tea culture merges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and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in many excellent cultures. Today, tea is not only popular as a healthy drink, but also as a spiritual support to people's beliefs. China is the hometown of tea and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research of world tea culture. Therefore, it is an important task for tea researchers to analyze and explore Chinese tea culture. Chinese tea has gone through three stages: medicine, food and drink. When <the classic of tea> by Lu Yu, in the middle Tang Dynasty, was published, the monks and scholars in the Tang Dynasty actively promoted tea parties and banquets, making tea tasting artistic and spiritual. The way of drinking tea in the past dynasties of China has changed with the evolution of tea-making technology. In the Tang and Song dynasties, tea was made into regiments and cakes, and after the Ming Dynasty, Chinese drunk the loose tea and leaf tea. This revolutionary change made tea drinking no longer complicated, from the upper class of the Royal family, nobility, monks and other popular to the common people. Since then, tea as a necessity of life, appeared in reading, making friends, traveling, chatting, sit-in and other occasions. Since the mid-Ming Dynasty, the sprout of capitalism has brought prosperity to people's lives, and people of all strata have pursued individualized expression. Especially the literati of Ming Dynasty, under their advocacy and drive, paid special attention to the tea drinking environment and atmosphere which was a characteristic of The Times. In recent years, an ever-growing frequency of ‘tea culture space’ appears in the people’s lives, which is growing on the tea standard, not only the pursuit of tea taste and efficacy but also pay more attention to the environment and the spiritual realm of drinking tea. That is to say, people are paying more and more attention to the environment and atmosphere of tea drinking. The Ming Dynasty was the period of concerned with the elegant tea space and spiritual enjoyment. Therefore, it is different from the former that the tea culture development is not the royalty or bureaucratic privilege stratum, but the literati estate. Especially, the literati often bared their soul by full of nature’s breath of landscapes, and left many poems, books and paintings. In addition, this is a considerable part of works related to tea matters. Therefore, many reference materials of tea culture in the Ming Dynasty were left, which is very helpful to later generations' research.

      • 한국어 첩어의 언어유형론적 연구 : Linguistic Typological Study of Korean Reduplicated Words

        虞挺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07

        대다수 언어에서 공통적인 분포를 나타내는 언어 현상 중의 하나가 ‘중첩’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언어유형론적 관점에서 한국어 첩어 분석을 통해서 한국어 첩어의 특징을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언어유형론적 방법론을 적용하여 한국어 첩어를 연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제2장에서는 언어유형론의 개관、언어보편성과 언어유형론의 연관성、언어유형론에서의 중첩 현상과 아울러 한국어에서의 중첩 현상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언어유형론은 언어의 보편성과 개별성을 탐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언어유형론에서 보편성과 개별성은 상호 보완적이며, 보편성의 발견은 개별성의 발견의 전제가 된다. 언어유형론적 관점에서 중첩 현상에 관한 연구는 크게 중첩 유형과 중첩 기능에 초점을 두어 논의하여 왔다. 제3장과 4장에서는 범언어적 차원에서 다양한 세계 언어, 특히 알타이어족에 속한 언어에서 나타난 첩어의 양상을 살펴보면서 고유어 첩어와 한자어 첩어로 나누어 구조 양상을 분석하고 중첩 기능에 대해 검토함으로써 한국어 첩어의 언어유형론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고유어 첩어의 중첩 유형을 규명하고, 중첩 과정에서 나타나는 의미 변화에 대해 검토하였다. 고유어 첩어는 ‘완전 중첩’, ‘부분 중첩’, ‘이중 중첩’에 의해 실현되었다. 완전 중첩은 음운 변동에 따라 동음 중첩과 유음 중첩, 품사 유형에 따라 명사의 중첩, 대명사의 중첩, 수사의 중첩, 형용사의 중첩, 동사의 중첩, 관형사의 중첩, 부사의 중첩, 감탄사의 중첩으로 유형화할 수 있다. 부분 중첩은 중첩 위치에 따라 어두 중첩, 어말 중첩, 내부 중첩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4장에서는 한자어 첩어의 중첩 유형을 규명하고 중첩 과정에서 나타나는 의미 변화에 대해 검토하였다. 한자어 첩어는 주로 ‘완전 중첩’과 ‘이중 중첩’에 의해 실현되었다. 한자어에서 명사, 대명사, 형용사, 관형사, 부사의 중첩만 가능하다. 이중 중첩에 의한 AABB형 첩어는 주로 한자어에서 발견되며 ‘죄죄반반’ 같은 고유어 첩어를 찾을 수 있으나 그 수는 매우 제한적이다. 또한 중첩 후 새로운 단어 형성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중첩 후 다양한 파생접미사와 결합하여 새로운 단어로 파생시키거나 다른 명사와 결합하여 합성명사를 형성하는 것이 특징적이다. 같은 유형의 언어들 내부에는 ‘유형적 보편성’이 존재하지만 서로 다른 어족 사이에 존재하는 보편성도 존재한다. 교착어인 한국어와 고립어인 중국어는 언어유형론적으로 ‘중첩’이란 보편성을 공유하고 있지만 그 세부적인 면을 살펴보면 많은 차이를 보여 주었다. 제5장에서는 서로 다른 언어 유형과 계통에 속하는 중국어와 한국어의 중첩 현상의 대조를 통해서 언어보편성을 고찰하면서 한국어 첩어의 언어유형론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완전 중첩에 의한 첩어는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모두 발견되며 한국어는 3음절 이상 동음 첩어가 많이 존재하고 있다. 또한 유음 첩어가 중국어에는 없고 한국어에만 존재한다. 한국어 첩어의 언어유형론적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는 중첩이 매우 용이하고 또한 중첩 수단이 아주 발달한 언어에 속한다. 특히 한국어에서 가장 생산적인 중첩 수단은 완전 중첩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한국어 첩어가 음절수에 따라 2음절, 3음절, 4음절, 5음절, 6음절, 8음절로 분류할 수 있으며 3음절, 5음절, 8음절인 것이 매우 드물게 관찰되었다. 중첩 형식은 AA형, AAA형, AAAA형, ABAB형, ABCABC형, ABA형, ABA형, ABBABB형, AABAAB형, ABCDABCD형, ABAC형, ABCB형, A XAB형, AAB형, ABB형, AbB형, ABCC형, ABCDD형 등 아주 다양한 유형이 가능하되, ABAB 유형이 가장 전형적인 중첩 형태이다. 셋째, 한국어는 중첩이 자유로운 언어로, 명사, 대명사, 수사, 형용사, 동사, 관형사, 부사, 감탄사에서 모두 중첩이 가능하다. 한국어는 교착어에 속하므로 음절의 중첩, 어근의 중첩, 단어의 중첩 이외에 접사를 사용한 중첩도 가능하나 구조상 음절 단위보다는 형태 단위의 중첩이 그 주류를 이루었다. 넷째, 유음 첩어는 한국어의 어휘 체계 내에서 하나의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의성어·의태어 중에 음운 교체에 의한 미묘한 감정이나 모양을 나타내는 반면에 중국어, 영어 같은 고립어나 굴절어는 그렇지 못하였다. 또한 유음 첩어에 심리기제가 반영되어 있다는 점에서 매우 흥미롭다. 다섯째, 부분 중첩에서 보이는 복제되는 단위가 음절 ‘CV’ 연쇄 음절이 기초가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섯째, 한국어 첩어가 음성 상징에 의해 질적 음성 상징에 속하는 ‘어린아이 말’과 양적 음성 상징에 속하는 ‘복수’란 보편적인 의미를 지닌다. 또한 이 외에 ‘강조, 증가, 반복, 지속’ 등과 같은 다양한 의미로 의미 확장이 일어나며 ‘배분성, 의태화, 부사화’ 등 의미도 더해진다. One of the common language phenomena shown in most languages is ‘reduplication’. T 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reduplication thro ugh the analysis of Korean reduplicated words from the perspective of language typolog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has examined Korean reduplication by applying language typological methodology. Chapter 2 discusses the overview of language typology. the relation between language universality and lan guage typology, and reduplication features in language typology, as well as reduplication in Korean. Langua ge typology aims to explore the universality and specific ity of language.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in lan gu age typology are complementary, and the discovery of universality is the premise of discovery of specif icity. The study of redup lication feature from the viewpoint of language typology has been largely discussed with focus on the types and functions of reduplication. Chapters 3 and 4 examine the features of spoken language in various world languages, e specially in the Altaic language family. The analysis has made on the structural aspects by dividing them into the original Korean reduplicated words and the Sino-Korean reduplicate d words, the studied the functions of redupli cation to examine the language typological feat ures of Korean reduplicated words. In Chapter 3, the reduplication type of the original Korean reduplicated words has been identified, and the semantic change appeared in the duplication process has been examined. The original Korean reduplicated words are realized by ‘total reduplication’, ‘partial reduplic ation’, and ‘double reduplication’. Total reduplicat ion can be classified into reduplication of homophones or assonants by phonological variation, and into red uplication of nouns, prono un, numerals, adjectives, verbs, deixes, adverbials, or exclamation by the type of word clas s. Partial reduplication can be divided into affix, suffix or internal reduplication depending o n the position of repetition. In chapter 4, the reduplication type of Sino-Korean words has been identified. and the s emantic changes which occur in the reduplication process have been examined. Sino- Korean reduplicated words are mainly realized by ‘total reduplication’ and ‘double redupl ication’. Nouns, pronouns, adjectives, deixes, and adverbs can only be duplicated in Sino-K orean words. The AABB type by double reduplication is mainly found in Chi nese words, and it is possible to find original Korean reduplicated words, sush as ‘joejoebanban’, but the nu mber is very limited. The formation of new words after reduplication is also discu ssed. The characteristic fea tures are to combine with various derivative suffixes after redu plication to form new words, or to combine with other nouns and form compound nouns. Within the same type of languages there exists ‘typological universality’, but there also un iversality exists between different language families. Korean, an agglutinating language and Chinese, isolating language share the universality of ‘reduplication’ in terms of language ty pology, however, they display notable differences in detail. In Chapter 5, the linguistic typology of Korean reduplication has been examined while considering the unive rsality of language through the contrast of reduplication phenomena of Korean and Chinese that belong to different language type and family. The words formed by the total reduplication are found in both Korean and Chinese, and there are many homo phones in Korean with more than three syllables. In addition, there is to reduplication of assonants in Chinese words, it appears only in Korean.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reduplicated word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Korean belongs to a language that is very easy to reduplicate and also has highly developed reduplicate methods. Especially, it is confirmed that the most productive reduplic ating method in Korean is a total redup lication. Second, Korean duplicated words can be classified by the number of syllables, such as 2, 3, 4, 5, 6, and 8 syllables, among them 3-, 5-, and 8 syllables are rarely observed. The pa tterns of duplication have many different types available: AA, AAA, AAAA, ABAB, ABC ABC, ABA, ABBABB, AABAAB, ABCDABCD, ABAC, ABCB, AXAB, AAB, ABB, AbB, A BCC, and ABCDD type, but the ABAB type is the most typical one. Third, Korean freely reduplicates, so that reduplication is possible in nouns, pronouns, n umerals, adjectives, verbs, deixes, adverbs, and exclamations. Since Korean is an agglutinat ing language, it is possible to reduplic ate the syllable, the root, the word, as well as the af fixes. However, the reduplication structure shows that morphological units rather than syll able units are the main. Fourth, the assonant reduplication occupies a unique position in the Korean vocabulary system. Especially, it shows subtle emotions or shapes due to phonological substitution in onomatopoeic or mimetic words, while it doesn’t show in an isolating language or an infle ctional language such as Chinese or English. It is also very interesting that psychological mechanisms are reflected in the reduplicated assonants. Fifth, it is common that the reduplicated segment seen in the partial reduplication is bas ed on the syllabl e ‘CV’ chain. Sixth, Korean reduplicated words, by the phonetic symbols, have universal meanings of ‘baby talk’ which b elongs to the qualitative speech symbol abd ‘plurality’ which belongs to the quantitative speech symbol. In addition to this, the meaning is expanded in various m eanings such as ‘emphasis, increase, repetition, con tinuation’, etc., and the meaning such as ‘distribution, mimicry, or adverbialization’ is added.

      • 문화차원을 활용한 한국어 교실 수업 연구 : 중국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HONG LU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07

        글로벌 시대에 접어듦에 따라 외국인과의 사회적 통합과 문화적 충돌에 대해 고민하는 국가들이 점차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유학생들은 새로운 문화와 환경 속에서 예기치 못한 문화적 차이를 감지하게 되는데, 심지어는 문화차이로 인해 충돌로까지 이어지는 문제들에 직면하게 된다. 그것들은 모두 유학생들의 학습과 생활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그들의 해외 유학생활의 성패를 좌우하는 요소가 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들을 줄이기 위해서는 각 문화 간의 ‘문화차원’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특히 교사와 학습자로 이루어진 교실 수업에서의 문화차원은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논문 연구의 목적은 홉스테드(Hofstede)의 문화차원(Cultural Dimensions Theory)의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문화차원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한국어 교실 수업과 관련된 내용을 탐색함으로써 교사와 학습자 사이에 발생하는 오해와 갈등을 줄일 수 있으며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해 본 연구는 홉스테드의 문화차원 이론을 바탕으로 선행된 한국인과 중국인의 문화차원 조사 결과를 살펴보고, 중국인 학습자와 한국인 학생 대상으로 한 신규 설문조사를 토대로 결과를 분석하여 중국인 학습자와 한국인 학생의 문화차원을 밝히고자 한다. 그리고 이에 따른 교실생태학적 패러다임의 틀로 한국어 교실 수업 체계를 구성하여, 한국어 교실수업에서 교실의 물리적 환경, 학습자의 특성, 교사의 역할, 그리고 교육 내용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내용을 모두 문화차원을 중심으로 전개하고자 한다. 그리고 문화차원을 활용한 교수의 행동방법과 교실 수업 운영 전략을 제시할 것이다. 또한 교사와 학습자 간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지는 교실 수업에서 문화차원을 활용한 방법에 대해 논리 검토할 것이다. 이를 통해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효율적인 한국어 교실 수업을 만들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연구자는 한국어 교실 수업에서 중국인 학습자가 취하는 행동, 태도에 대해 이해할 수 있으며 오해와 갈등이 발생되는 것을 피할 수 있음을 보여주려고 하였다. 그리고 문화차원을 이해함으로써 학습자의 학업성취에 대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 또 중국인 학습자만 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의 외국인 학습자 대상도 문화차원을 활용하여 한국어 교실 수업 연구를 이뤄진다면 효과적인 방안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As the world turns into globalization, there are more and more countries that are troubled by social integration and cultural conflicts with foreigners. International students are facing unexpected cultural differences in new cultures and new environments, which would lead to conflicts. These directly affect the study and life of international students, and sometimes would determine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ir studying abroad. To reduce these problems, we should understand the cultural dimensions between cultures. Especially in the classroom consisting of teachers and learners, the cultural dimension plays an important role. The study is based on Hofstede’s cultural dimensions theory, targeting Chinese learners to confirm the necessity to utilize the cultural dimension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exploring into Korean education related contents, it will be helpful to reduce the misunderstandings and conflicts between teachers and Chinese learners and improve the communication skills between cultures. To achieve this aim, the study analyzed the previous survey conducted by Hofstede to obtain and compare the results of the cultural dimensions of Koreans and Chinese, in order to know about the changes in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China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In the meantime, this study will set a new questionnaire and analyze the new cultural dimensions for Chinese language learners. Then, the author will constitute a Korean class system on the framework of the classroom ecology model, centering on and illustrating the physical classroom environme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arners, the role of the teachers and the content of the lectures, also propose the teaching methods and classroom operation strategy utilizing the cultural dimensions. In addition, the author will explore the use of cultural dimensions functioning on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to make the teaching Korean more effective and smooth. The study showed that, at Korean class the student’s attitudes and actions are scrutable through cultural dimensions to avoid misunderstandings and conflicts. Besides, utilization of cultural dimensions also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improvement of learner’s language ability and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In addition, it is not only for Chinese, but also Korean learners from other countries can be conducted cultural analysis by cultural dimensions so as to get better teaching results.

      • 한국어 지시화행의 담화문법 연구 : 의미, 형태, 사용에 대한 맥락 분석적 접근을 중심으로

        김강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07

        본 논문은 ‘말의 사용’에 대한 연구의 일환이다. 대개 문법에 대한 연구는 ‘말의 내재적 규칙’에 집중하지만 본고에서는 언어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의사소통’에 있다고 보고, 의사소통상에서의 ‘말의 사용 규칙’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본고의 용어로는 ‘담화문법’이라고 하였는데, 담화문법은 문법의 사용이 담화와 분리되어 일어날 수 없음을 전제로 하여, 담화 차원에서 문법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을 강조하는 개념이다. 즉, 본고는 문법 형태의 규칙을 중심으로 논의를 이끌어가는 것이 아니라, 문법 형태가 사용되는 맥락에 집중하여 논의하고자 하며, 형태가 지니는 의미에 대하여 서술하는 것이 아니라 형태가 담화상에서 지니게 되는 사용 의미, 즉 기능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특히 지시화행은 청자에 대한 ‘행위 시킴’의 뜻을 지니기 때문에 담화 참여자에게 부담을 야기하는 언어 행위이며, 따라서 상당히 맥락 의존적인 사용의 양상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지시화행이야말로 담화문법적 차원에서 연구될 필요가 있으며, 이는 다양한 맥락 요인이 나타나는 드라마 말뭉치의 맥락 분석적 접근을 통해 시도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시화행에 대한 기존의 논의는 명령문과 명령형 종결어미를 중심으로 하는 형태 중심적 논의와 요청의 전략에 관한 기능 중심적 논의로 양분되어 이루어져 온 경향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의미와 형태, 사용의 연관성 속에서 지시화행의 성격을 통합적으로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이를 위하여 구체적으로는 지시화행의 하위 유형을 담화적 사용 환경에 따라 분류하고, 개별 화행에서 나타나는 문형들의 다의성을 맥락 요인별로 상술하여 화행과 문형의 선택에 작용하는 담화적 기제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지시화행의 담화적 사용에 초점을 두지만 궁극적으로는 ‘한국어 문법론에서 왜 담화문법적 접근이 요구되는가?’에 대한 연구 문제를 다루고 있으며, 본고의 논의를 통해 담화문법의 기틀을 잡아가는 데에 필요한 기초적 논의들을 제공하고자 한다.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지시화행이 형태와 기능의 통합적 관점, 즉 담화문법적 관점에서 접근되어야할 필요성을 밝히고, 이를 위한 연구의 절차 및 방향성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2장에서는 담화문법의 이론적 토대가 되는 선행 연구들을 중심으로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용어 및 개념들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담화의 정의 및 범위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담화문법의 범주를 설정하였으며, 맥락 분석적 접근법에서 기술하고자 하는 맥락 요인들의 유형을 선별하였다. 또, 화행과 기능의 개념을 정리하고, 본 연구에서 지시화행 발화의 담화적 기제라고 생각하는 공손 및 헤지 이론에 대하여 쟁점이 되는 문제들을 정리하였다. 3장에서는 본 연구의 설계에 대하여 자세하게 기술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연구의 대상 및 방법을 다루었는데, 먼저 연구의 대상이 되는 지시화행의 정의 및 유형에 관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담화상에서 지시화행 발화에서 지시하는 명제를 청자가 실제 행위로 옮기는지의 여부에 따라 지시화행을 강제적 지시화행과 비강제적 지시화행으로 구분하였다. 또 지시화행에 준하는 담화적인 사용 양상을 나타내는 화행을 준지시화행으로 구분하여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말뭉치 기반 연구 방법론과 맥락 분석적 방법론을 사용하였는데, 준구어인 드라마 말뭉치 160,800어절을 토대로 맥락 분석 말뭉치를 구축하였으며, 이 말뭉치에는 총 14,363개의 말차례가 포함되어 있도록 설계하였다. 말뭉치에 대한 분석의 처리 기준과 통계 검정 방법에 대해서도 기술하였다. 4장에서는 담화적 사용 양상에 따른 지시화행의 하위 유형들을 맥락 요인에 따라 면밀히 분석하였다. 먼저 강제적 지시화행의 하위 유형인 명령화행, 권고화행, 요구화행, 금지화행에 대해 기술하였는데, 이들은 담화상에서 청자의 [실제 행위]로 이어지는 경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화청자의 [지위 관계] 및 [유대 관계], [담화의 격식성]에 있어서도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비강제적 지시화행의 하위 유형인 요청화행, 제안화행, 제의화행, 충고화행은 대개 [실제 행위]로 이어지지 않는 경향성이 나타났으며, 청자가 거절을 하거나 변명 및 핑계를 제시하는 인접쌍이 고빈도로 나타나는 양상을 보였다. 또 지시화행은 아니지만 담화적으로 청자 수행을 야기하여 지시화행과 유사한 양상을 보이는 허락화행은 준지시화행으로 볼 수 있다고 제시하였다. 5장에서는 지시화행 발화의 문형과 담화 기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지시화행 발화는 명령형 종결 문형, 종결어미화된 연결어미 문형, 인용형 문형, 의문형 문형, 인식 양태어미 ‘-지’ 문형, 평서형 문형 등으로 수행되는 양상이 나타났는데, 담화상에서 가장 청자의 실제 행위 수행을 야기하는 것은 ‘종결어미화된 연결어미 문형’으로 나타났고, 명령형 종결 문형은 비격식체를 중심으로 사용되되, ‘-으세요’, ‘-으십시오’ 등은 [격식적․공적] 담화에서 제약적으로 사용되는 양상이 나타났으며, 의문형 문형과 평서형 문형은 다양한 우언적 구성과 결합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인용형 문형은 부정적인 뜻을 환기하는 사용을 보였으며, ‘-지’, ‘-어야지’ 문형은 ‘-으시지요’를 제외하고는 지위 관계 [화<청]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는 제약을 보였다. 6장에서는 지시화행 발화의 공손 기능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이때, 공손 기능은 담화상에서 화자가 의사소통의 성취를 위해 고려하는 것들을 포괄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사용하였으며, 구체적으로는 헤지 이론을 중심으로 지시화행 발화의 공손 기능을분석하고자 하였다. 한국어 지시화행 발화에서 나타나는 헤지는 크게 청자 지향적 헤지, 명제 지향적 헤지, 화자 지향적 헤지, 담화 지향적 헤지로 나타난다고 하였는데, 청자 지향적 헤지로는 ‘-자, -읍시다, -을까요?’와 같은 제안 표현, ‘-을게요’와 같이 화지 이동으로 나타나는 표현, ‘-을게요, -겠습니다, -으실게요’ 등과 같이 화자의 수행에 대한 진술이 발화수반효과로서 지시화행을 수행하게 되는 표현, 후행절 생략으로 나타나는 ‘-고(요), -으시고(요), -는데(요)’ 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은 청자의 체면 보호를 고려한 쓰임인 것으로 해석하였다. 명제 지향적 헤지로는 명제의 정확성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인용표현 ‘-으라고요, -으라니까요, -는다니까요, -자니까요’ 등과 명제를 상위언어적으로 설명해주는 기능을 하는 상위언어적 표현 ‘-으란 말/뜻이다, -는 바/것이다’ 등이 있었으며, 화자의 소망을 명시적으로 드러내는 소망 표현 ‘-기 바라다, -는 게 좋겠다’ 등도 명제의 정확성을 보호하는 명제 지향적 헤지라고 보았다. 또 명제의 신뢰성을 강화하기 위한 반복 구문 ‘V자 V, V어라 V, V라면 V’등도 명제 지향적 헤지의 일환으로 제시하였다. 화자의 부담 완화나 책임을 방어하기 위한 화자 지향적 헤지로는 ‘-든가(요)’와 같이 청자의 선택권을 강조하는 문형, ‘-을래요?, -으면 안 돼요?’와 같이 청자의 의향을 강조하는 문형, ‘-지(요), -어야지(요)’와 같이 이미 앎을 전제하는 문형 등이 있었다. 이들은 청자가 거절할 경우 화자의 체면이 손상될 것을 고려하여 선택되거나 화자가 가지고 있는 결과에 대한 책임을 분산하기 위한 전략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담화 지향적 헤지는 담화 사용역이 요구하는 역할에 따라 문형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으십시오’가 격식성이나 업무적인 성격을 드러내기 위한 담화 지향적 헤지로 사용되는 양상이 있다고 하였다. 이렇게 지시화행 발화는 의사소통 맥락 속에서 화자가 보호하고자 하는 요소에 따라 다양한 차원의 헤지로 나타나며, 이는 공손성에 대한 화자의 고려로 해석할 수 있다고 하였다. 마지막으로 7장에서는 이 연구가 지니는 의의와 한계를 정리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의 지시화행을 담화적 사용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화행을 통한 개념적 기능, 문형을 통한 담화적 기능, 헤지를 통한 공손 기능으로 담화에서의 지시화행 사용을 입체적으로 기술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담화문법 체계의 정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나아가 후속 연구를 통해 한국어교육에의 적용으로 확장되어 논의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irective speech act according to the discursive use and to describe the rules of its application based on discourse grammar. The premise of discourse grammar is that the application of grammar cannot occur in disjunction with discourse. Discourse grammar studies and describes the rules of grammar from the dimension of discourse and focuses on the application rules of speech rather than the internal rules of language form. Directive speech act is a speech event related to ‘ordering someone to perform an action’ and thus is an event that puts an imposition on the discourse participant. Therefore, it is qualitatively reliant on the context, and as follows, there is a limit to approaching the actual use of directive speech act based on the locutionary meaning of words. Accordingly, the present study is needed to approach directive speech act in Korean from the discourse grammar perspective, and it seeks to establish a framework of discourse grammar in the Korean language and specify the methodology. Chapter one argues that previous studies on the articulation of directive speech act were from two perspectives of directives speech act and of imperative mood and the differences has limited the description of the usage of directives speech. To resolve the limitation, the present study poses the need for a discursive grammatical approach and explains the direction of the research. Chapter two examines the theoretical foundations in discourse and text, context and contextual factors, speech and discourse function, hedge theory, and politeness theory.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present study is explained before the research and findings. Chapter three focuses on the methodology. It overviews the basic data and composition of context analysis corpus designed of the study and explains how the data is statistically used. The research uses the data of corpus from television drama which is considered semi-colloquial language and has designed a corpus composed of 160,800 syntactical words (eojeol) and 14,363 turn taking. Chapter four defines and categorizes directives speech act, and based on the discursive condition appeared in the corpus, the sub-classification of directives speech act has been divided into coercive directive speech act and non-coercive directive speech act. The category of coercive speech act includes imperative speech act, urging speech act, demanding speech act, and prohibitive speech act. The category of non-coercive directive speech act includes requesting speech act, suggestive speech act, proposing speech act, and advisory speech act. In addition, although different than the directive speech acts, there is also the permitting speech act as a semi-directive speech act with attributes of directive speech act. The data for the study was verified through the chi-square test, and the test results showed that each of the speech acts hav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context factors. Chapter five describes how the speech acts in each of the subcategories identified in previous part are selected in a conversation according to grammatical patterns, and it also categorizes the grammatical patterns according to the discursive environment. For this, the discursive appearance of the grammatical patterns was statistically examined through a multiple correspondenc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imperative form sentence ending grammatical pattern, grammatical pattern in connective markers become sentence endings, interrogative form grammatical pattern, modality marker grammatical pattern, citation form grammatical pattern, suggestive form grammar patterns, and declarative form grammar patterns are used in the articulations of directive speech acts. It has also been observed that the specific pattern is selected based on the language user according to the context factors such as the listener performs the action,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the proximit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the formality of the location, and the publicity of the topic. Chapter six analyzes how the grammatical patterns of directive speech acts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relative status in hedge func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in Korean, directive speech act grammatical patterns are used as listener-oriented function to protect the listener’s face, as proposition-oriented function in order to protect and strengthen the details of the proposition, as speaker-oriented function to protect one’s face and reduce the burden of the act of command, and as discourse-oriented function used in order to follow the role demanded or the implicit agreement in a situation. Lastly, chapter seven summarizes the discussions in the previous sections, and the methodology of the research to describe the discourse grammar of directive speech act. It also explain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findings. The present research began from the problem in existing language research that separated the form and function of language. The present study achieved its purpose by the multiplicative analysis of the meaning, form, and usage within discourse. In the future, there is a need to discuss in detail how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can be used in language education.

      • 桃膠의 膠着劑로서 사용 가능성 연구 : 靈鷲山 興國寺 〈水月觀音圖〉의 모사복원을 통하여

        정경아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1551

        인류는 선사시대부터 그림을 그려 생활상을 표현해왔다. 이를 미술사에서 보면 안료를 화면에 부착시키는 작업이기 때문에 이러한 활동은 인류의 역사와 함께 유지·전승되었다. 동·서양에서 안료를 접착시키고 물건을 붙이는 용도로 아교가 오랫동안 보편적으로 사용되었으며, 이 외에도 물고기에서 얻어지는 어교와 식물성 풀이나 해초류도 사용되었다. 아교는 동양권에서는 안료를 접착시키는 필수적인 요소였으며, 그 기능 또한 뛰어나 생활에 필요한 물품을 만들거나 수리할 때뿐만 아니라 그림 그리는 재료로 다양하게 사용되었다. 여러 고문헌에서는 아교의 재료와 종류, 만드는 방법을 자세하게 기록하고 있으며, 그림을 그릴 때 백반과의 비율을 계절에 따라 다르게 쓰는 방법까지 기록하고 있다. 한편 어교도 생활용품이나 공예품·부금·회화제작에 많이 쓰였고, 접착력도 좋은 편이다. 동물의 가죽으로 만든 아교와 물고기의 뼈와 껍질, 부레 등으로 만든 어교는 동물성 접착제이다. 식물성 접착제로는 쌀이나 밀가루로 만든 곡물의 전분을 이용한 녹말풀이 물건과 물건을 접착할 때의 용도로 사용되었고, 수용성인 아라비아고무 등 수지 계열이 있는데, 동양권에서는 복숭아나무 수지인 桃膠가 쓰였다고 하며, 약재로도 사용되었다. 도교는 중앙아시아 지역에서는 한때 안료와 함께 사용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불화와 관련하여 쓰였다고 하나 현재로서는 기록이 남아 있지 않다. 복숭아나무는 살구와 함께 구황작물로 여겨지며,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그에 따른 설화적 요소가 많고 민속적인 이야기가 풍부한 나무이며, 귀신을 물리친다는 辟邪的 기능을 부여받은 나무이다. 중국에서는 서왕모와 관련하여 장수를 상징하는 과일이고 불로장생을 의미하기도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장수를 기원하는 의미에서 십장생도에 등장한다. 불교의 계율에 살생하지 말라는 계율과 함께 동물의 뼈 등을 사용하지 말라고 하였으며, 더 나아가 식물도 함부로 꺾거나 삶지 말라고 한 계율에 반하지 않고, 불교회화 제작이나 모사에 사용하는데 적합한 교착제라고 할 수 있다. 도교는 아교를 전적으로 대체할 수는 없겠으나, 아교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며 현재에도 사용될 수 있는 지를 연구하고자 그 특성과 접착력을 알아보았다. 도교는 물에 잘 녹지 않는 비수용성이어서 물에 담가 불려서 부드러워지게 되면, 불순물을 제거하고 입자를 잘게 부수거나 용제에 담가 액화시켜 사용한다. 아교와 비교하기 위해 시료를 만들어 접착력과 내후성을 살펴보고, 화지를 만드는 포수용 기능과 안료를 접착시키는 교착제 기능을 살펴보았다. 실험의 결과 도교의 수급 문제와 수용화 시키기 어려운 점 그리고 아교에 비해 열화가 빠른 점 등으로 인해, 화지의 포수용보다는 안료를 접착시키는 교착제로 농도의 조절과 수용화 문제를 더 연구한다면 사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도교와 혼합하여 비단과 한지에 도채 하였을 때 시간이 지나도 잘 부착되어 있고 색채도 아교와 비교하여 크게 차이가 없었다. 도교를 실제로 사용해 보기 위하여 조선후기 불화인 흥국사 〈수월관음도〉를 모사하면서 아교와 함께 사용하였다. 흥국사 〈수월관음도〉는 조선후기 독존형 관음도로 기년명이 있는 관음도 중에서 가장 이른 시기에 해당되는 불화이면서 조선후기의 〈수월관음도〉의 전형을 이룬 뛰어난 불화이다. 이 불화를 그린 義謙은 당시 전라도와 경상도 서부 지역인 지리산 일대를 중심으로 활동하면서 일세를 풍미한 金魚이다. 의겸은 약 40년간의 首畵師 활동을 하면서 3점의 수월관음도를 비롯하여 흥국사 16나한도, 선암사 감로왕도, 개암사 괘불 등 다양하고 뛰어난 불화를 남겼다. 초기에는 산수화적인 기법이 두드러진 수묵화적 표현을 가미한 불화를 그렸으며, 점차 진한 색조에 장식과 문양이 화려한 수법으로 진행되었다. 〈수월관음도〉를 모사하면서 넓은 면은 아교를 사용하고, 일정한 면적을 가진 옷이나 장식적인 부분, 특히 얼굴과 피부 부분은 도교를 사용하여 안료를 도채 하였다. 모사를 통하여 도교의 농도조절과 액화시키는 문제를 잘 조절한다면, 회화와 불화 제작에 교착제로 사용 할 수 있는 가능성이 충분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가 도교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식물성 교액이 연구되어 다양한 식물성 교착제가 활용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Human beings have expressed their life styles with paintings since the prehistoric age. From a view of art history processing that pigments are stuck to pictures has been kept and transmitted along with human history. Glue was generally used to attach pigments or something in the East and West and besides others including fish adhesive, vegetable adhesive or seaweeds were used. Glue was a fundamental element to attach pigments and its superb functions were variably used to make or repair something for daily life and for materials of paintings. Many ancient writings recorded materials, types and makings of glue in details and even the rate of white sulfate for paintings according to seasons. Fish glue was generally used for something for daily life and crafts, sculptures and paintings and excellent in adhesive strength. Starch glue made from rice or flour was used. Animal glues include one made from animal skin or fish bone, skin or bladder. Vegetable adhesive contains resins such as Arabian water-soluble rubber and in Asia peach resin was used even as a medicine. Peach resin was used with pigments in Central Asia for Buddhist paintings in Korea but there is nothing recorded about it now. A peach tree has a long tradition with an apricot because of hardy crops. It also has a lot of folk tales or fables and is thought by the public to remove ghosts. In China it symbolizes longevity in relation to His Wang Mu and means eternal youth. It is shown in Korean Sipjangsaengdo for the desire of longevity. Buddhist disciplines say that destruction of life is not allowed and use of animals' bones is prohibited and even plants are not pulled off or steamed. Peach resin does not break the disciplines and is an appropriate adhesive agent for Buddhist painting process or replication. Peach resin cannot alter glue completely but can perform as glue. So the paper investigated peach resin's specialties and adhesive strength whether peach resin can be now used. Peach resin is not water-soluble and used by liquefaction through solvent, crushed particles or eliminated impurities. The paper investigated adhesive strength and durability in order to compare glue by making samples and found out functions of adhesive agent which attach pigments to drawing papers.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use peach resin when the problems are solved. The problems are the issue of supplying peach resin, water-soluble difficulty, the level of pH and control of density as adhesive agent to attach pigments. Applying peach resin to silk and Korean paper can endure for quite a long time and has no difference from glue about colors. Peach resin was genuinely used with glue by copying <Suwolgwanemdo> at Temple Heungguk, a Buddhist painti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Suwolgwanemdo> at Temple Heungguk is the earliest Buddhist painting and a masterpiece in the late Joseon dynasty among a existence-alone Avalokiteshvara with writings including the name and the chronicle in late Joseon dynasty. Euigyeom, a monk who drew the Buddhist painting, gave his works around Mt. Jiri across Jeolla-do and western Gyeongsang-do, dominated the age. Euigyeom lived a monk to draw Buddhist paintings for about 40 years left a lot of magnificent paintings such as three pieces of Suwolgwanemdo, 16Nahando at Temple Heungguk, Gamrowangdo at Temple Seonam and Gwaebul at Temple Gaeam. Euigyeom left Buddhist paintings showing techniques from a view of landscape with black-and-white expression in his early age then moved to splendid techiniques such as vivid colors and luxurious decorations or patterns. In the progress of copying 〈Suwolgwaneumdo〉 glue was used on a large surface, whereas peach resin was used on clothes with definite areas, decorations and faces and skins especially for pigments. Controlling density and liquefaction of peach resin through copy has a sufficient feasibility as adhesive agent in the process of paintings or Buddhist paintings. The paper is expected to organize various vegetable adhesive agents through many vegetable glues as well as peach resi

      • 김창흡 시의 사상적 특성과 시적 형상화 연구

        신경훈 창원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07

        Kim Chang-heup is a professional poet in the late Joseon dynasty, who aspired to the promotion of poetry and painting by spreading the True-Poetry Movement. He takes an important place in poetry circl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His world of poetry is marked by the diversity of subjects, which comes from multi-layered cognition. The multi-layered contemplation that is appeared in his poetry is primarily attributable to his academic direction in pursuit of truth through openness and self-acquisition. Also, it was largely affected by the academic tendency focusing on reality, especially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regions, in 17th century when Practical School started to be formed. The contents of Kim Chang-heup’s poems can be categorized into two parts: the respective appearance of Taoism, Buddhism or Confucianism, and the mixture or reconciliation of the three ideologies. Reconciliatory contemplation refers to self-acquired achievement through extensive reading which allows to independently accumulate diverse information and experience. Kim’s poems, where Confucianism and Buddhism are blended in multiple layers, point to a process in which he tried to explore the genuine reality of the world, and the true picture he obtained in the process. In the process, he seeks true knowledge by adjusting the relation between cognitive subject and cognitive object, which requires to get out of subject-focused thinking in order to recover the inherent nature of things in existence. His poetry expresses the inter-subjectivity based on the thought of Laozi as an existent world of all creation where the conflict between subject and object is collapsed. With Buddhism, he realized that selecting between one or the other hinders his effort to understand the true picture of the universe. Thus, he depicted the whole picture from a balanced perspective instead of confrontation of two things. In his Confucian poems, Kim criticized the typical falsity of the Confucian circles at that time while mostly focusing on the pursuit of the law of nature by exploring dynamics. He equates taegeuk (Tai Chi) with mind to investigate things and pursue perfection of knowledge from the perspective of dynamics and to bring the differences of individuals to the equality of the logic of taegeuk, which becomes the theoretical basis of Theory of Similarity of the Nature of Men and Things. Furthermore, he discovered the energy of the universe in the life of things, of which the equality and true existence were acknowledged, and portrayed it in his poems. Kim’s reconciliation of three ideologies is based on the logic of things and their functions, which is represented both in Confucianism and Buddhism. In the structure of things and their functions, any change in the status of a thing is the action of the thing, which is the manifestation of truth. Once the change is regarded an action of truth, one can find the truth even in ordinary phenomenon. Kim frequently poeticized the harmony between principle and action by capturing the beautiful change of scenes as he believed the change was the reality of the world. These poems are the result of his acceptance of the ontological concept of both Confucianism and Buddhism, where the world is seen as the structure of things and their actions. The multiple layers in Kim’s poetry were formed thanks to a variety of thoughts and ideas that were embraced into his work in the pursuit of truth. His main poetics, Theory of Cheongi and Theory of Gwanmul, are the literary realization of such multi-layered thinking. Kim Chang-heup’s Theory of Cheongi is divided into Zhuangzi’s theory of Cheongi and the neo-confucianistic theory of Cheongi. Based on Zhuangzi’s theory of Cheongi, Kim discovered the strong liveliness of natural objects and the vivid energy of the universe. On the other hand, in the neo-confucianistic theory of Cheongi, it is believed that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man and thing were the manifestation of Cheongi. Kim found out Cheongi in the harmony seen in specific objects and presented it in the poems. Kim Chang-heup’s Theory of Gwanmul embraced Shao Yong’s Theory of Gwanmul and saw things in three different ways: with eyes, with logic and with things. The theory of Gwanmul with eyes improved pictorialness and realism in descriptive poems and informative poems while the theory of Gwanmul with logic was mostly used in poems that pursue elegance, which were written to demonstrate the neo-confucianistic logic. The theory of Gwanmul with things, which exposed the object itself by deconstructing the subject, was mainly applied in conceptual poetry and physical poetry. Kim’s poetic activities made great impact both on the same generation and the next generations as he advocated factual poetry which reconciliated the difference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and captured the Cheongi of the object. His work from the late 17th century to the early 18th century provided the poetic world of the Joseon Dynasty in the 18th century with a momentum of change by pursuing truth in theory, expressing the resulting cognition in contents, and highlighting unique expressions and realism. 김창흡은 시도 진작(振作)에 뜻을 두고 진시(眞詩) 운동을 펼친 전문시인으로서 조선후기 시단에 뚜렷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의 시세계는 인식적 다층성에 기인하는 주제의 다양성을 특성으로 한다. 그의 시문에 나타나는 다층적 사유는 개방과 자득을 통해 진실을 추구한 학문적 지향에 일차적 원인이 있다. 그리고 17세기 조선의 서울 ・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일어난 실질 중시의 학풍과 조성기의 영향이 크다. 김창흡 시의 내용을 크게 나누어 보면 도가 ․ 불가 ․ 유가사상이 독립적으로 나타나거나 혼효 또는 회통의 양상을 띤다. 회통적 사유는 다양한 방면의 독서와 체험을 주체적으로 수렴하는 활독서에 의한 자득적 성취이다. 유불도 사상이 다층적으로 섞여 있는 그의 시를 관통하는 내용은 세계의 참된 실상을 탐구하려는 과정과 그 과정에서 획득한 세계의 진상(眞相)에 대한 것이다. 그의 진지(眞知) 탐구는 인식주체와 인식대상의 관계의 조정으로 이루어지는데 존재 본래의 진성(眞性)을 회복하기 위해 주체 중심의 사고에서 벗어날 것을 요구한다. 노장사상에 기반을 둔 상호주체성은 그의 시에서 주객의 대립이 해체된 가운데 열리는 만물의 참된 실재의 세계로 표현되었다. 불교적 내용은 어느 한쪽을 간택하는 사념이 세계의 실상에 대한 파악에 장애가 됨을 확인하고, 양변 대립이 아닌 전체상을 균관(均觀=不二觀) 수행을 통해 나타내었다. 유교적 시는 당시 유학계의 폐단인 허위성을 비판하면서 역학 탐구에 의한 근원적 관점에서 천리를 추구하는 내용이 주로 표현되었다. 그는 태극과 마음을 동일시하여 심학적 격물치지의 논리를 역학적 차원에서 구명하고, 근원적 차원에서 평등성과 참된 존재성을 인정받은 사물들의 생명성에서 천기를 발견하고 그것을 시로 표현하였다. 김창흡의 삼교회통적 사유는 유불도 사상의 근저에 공유하는 체용의 논리에 기반을 두고 있다. 변화를 도의 작용으로 보는 관점에서 보면, 일상에서 접하는 만물의 현상 그 자체에서 도의 이치를 발견할 수 있다. 김창흡은 변화를 세계의 실상으로 보고 변화하는 풍경 자체를 아름답게 묘사하여 이치와 작용의 조화로운 모습을 시화한 작품이 많다. 그런 작품은 유불도에서 공통적으로 인정한 세계관, 즉 세계를 체용구조로 보는 존재론적 인식을 수용한 결과이다. 그의 대표적 시론인 천기론과 관물론은 다층적 인식의 문학적 구현이다. 김창흡의 천기론은 장자적 천기론과 성리학적 천기론으로 나눌 수 있다. 장자적 천기론에 입각하여 김창흡은 자연물에서 발랄한 생명성을 발견하고 약동하는 생명성에서 발현되는 천기를 포착하였다. 성리학적 천기론은 사람과 사물에 내재한 물성이 천리의 발현이라는 생각에 바탕을 두고 있다. 그는 천리가 구체적 사물에서 발현하는 조화로운 모습에서 천기를 발견하고 그것을 시로 표현하였다. 그의 관물론은 소옹의 관물론을 수용하였는데, 이목관물은 서경시와 기실시(記實詩)에서 회화성과 사실성을 높이는 효과를 거두고 있고, 이리관물은 성리학적인 이치를 드러내는 이취시(理趣詩)에 주로 활용되었다. 이물관물은 주체 해체를 통해 대상 자체를 드러내는 방식으로서 즉사 ・ 즉물시(卽事 ・ 卽物詩)에 주로 활용되었다. 김창흡의 시작 활동은 유불도의 차이를 회통한 융합적 사유와 대상 자체의 천기를 포착한 진시(眞詩) 쓰기를 주창한 점에서 동시대와 후세대에게 미친 영향이 크다. 17세기 후반〜18세기 초반에 활동했던 김창흡 시는 진실 추구로 일관한 사상적 궤적과 도달한 인식을 표현한 내용적인 측면, 개성적인 표현과 사실성을 중시한 점에서 18세기 조선 한시사에 변화의 계기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시사적 의의가 있다.

      • 노가재 김수장의 시조 연구

        이혜경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07

        본고는 『해동가요(海東歌謠)』에 수록된 노가재(老歌齋) 김수장(金壽長, 1690∼?) 자작 시조의 작품론을 바탕으로 하여 시조가 가집에 배열된 방식에 주목하고자 했다. 김수장은 18세기 한양에서 가곡창을 하던 가객이었으며 시조 작가이자 가집 편찬자이다. 본고는 가객의 직업적 성격을 바탕으로 김수장 작품의 성격과 그 배열 의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김수장의 거처 화개동은 중인 계급층의 터전이면서 한양의 도시화에 맞물려 유흥지로 성장한 곳이다. 예술의 향유가 이루어지는 그곳에서, 김수장은 가객 활동을 중심으로 중인 계층의 여러 인물들과 가단을 형성하고 그들만의 문화적 지위를 확보하였다. 조선후기 한양에서 예술의 수요가 늘어나게 되면서 김수장은 이에 부흥하기 위한 작품을 필요로 하였고, 이는 그의 시조 창작의 원동력이 되었다. 김수장의 자작 시조와 배열 의식을 고찰한 결과, 김수장 작품의 특성은 향수층의 취향이 반영된 사대부적 경향과 가객으로서의 주체성이 강조되는 경향으로 나누어졌다. 먼저 사대부 청중을 의식한 평시조들에서 김수장은 무극이태극 작품을 통한 존재의 기원을 시작으로 사대부의 교양서적과 용사를 활용하여 그들의 소양과 안목에 충실하고자 하였다. 이는 김수장이 해당 학문에 대한 해박한 지식은 가지고 있지 않지만 한편으로는 자신의 앎을 과시하기 위한 노력의 결과로 해석된다. 다음 작품과 그 배열에서는 가객의 정체성을 곧바로 드러내지 않고 자신의 거처 화개동에서 마주하는 자연을 무대로 사대부적 자연 경관 묘사와 풍류를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김수장의 거처인 화개동에서 사대부의 처사적 모습을 노래하며 향수자의 의식을 적극 반영하는 김수장을 살펴보았다. 김수장은 가객의 정체성을 드러내기 위해 현실의 삶에 대한 관심을 적극적으로 드러내며 은일의 삶을 부정하고 애국충절을 강조하였다. 여기에는 김수장의 신분의식이 반영되어 있다. 현재 자신의 계급적 한계에 대한 처지를 긍정하며 만족하는 자세는 기존의 가객과는 다른 것을 보여주었다. 김수장은 친경・친잠 시조를 기준으로 사설시조를 분리하였다. 이는 김수장의 편집 의식과 관련된 것이다. 그는 연행의 도입부에 필요한 개인적·집단적 풍류 의식을 표출하고 부정적 심리 기제를 해소하여 흥취를 일으키는 연행 현장을 보여주고자 했다. 다음으로 연행에 필요한 다양한 소재들을 가지고 창작한 사설시조들의 경우, 김수장은 현실적 욕망과 그 욕망을 투영시킨 신선의 세계를 제시하며 흥취를 강조하였다. 그는 다양한 시적 관심사와 상상력을 바탕으로 연행의 현장성을 주도하고자 하였다. 김수장 사설시조의 창작 및 배열은 모두 연행 예술적 측면에서 이루어진 것들이다. 김수장의 시조 창작과 편집 태도를 계명대본 『해동가요』와 주씨본 『해동가요』에 비추어 살펴보면 편집자로서의 의식이 확대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김수장이 가창자로서의 면모만 지니고 있었던 것이 아니라 급격한 음악 환경의 변화를 바탕으로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고 이를 반영하여 연상작용과 인접성의 원리에 의한 편집 원리를 통해 편집자의 역량까지 도모하였음을 보여준다. 청중의 반응을 고려한 자작 시조는 18세기 시조 문학의 변화를 시사하고 있다. 부르는 시조에서 듣는 시조로 향수자의 취향이 확고해지고 있었으며 연행 현장에서 가객은 향수자의 요구를 적극 반영하는 창작자로 확대되었음을 보여준다. 또한 18세기 초·중반의 가곡창 향유 양상에서 낙시조의 양상을 보이고 있다. This paper focuses on how the sijo is put in the Gajip based on the sijo written by Kim Su Jang (1690∼?) recorded on “Haedonggayo”. Kim Su Jang was a gagaek in Hangyang in 18th century. As a proficient sijo writer and Gajib editor, his sijo has some standard on the contents, type and process of recording on the Gajib. This paper tries to understand the natrue of his works and their layout based on the voc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gagaek. Hwagaedong was the place where Kim Su Jang lived. It was not only the hub for the middle-class people but also was famous for entertainment street as Hanyang got more urbanized in that period. At that place where the arts met the entertainment, he formed a singing troupe with a lot of middle class people and communicated with then, thus acquiring the cultural position while doing his artistic job as a gagaek. In late Joseon period, there was the increase in the demand for arts in Hanyang, and he needed the artistic work to accommodate the artistic boom, which became the motive force of his writing the sijo. The study of Kim Su Jang’s sijo and the conscience over layout of sijo showed that the nature of his works can be divided into those having the scholarly nostalgia and those having the identity as a gagaek. First, as for the ordinary sijo considering the audience of scholars, he started his works based on the philosophy of ‘mugeukitaegeuk’ or the existence of origin and used the books and poems for scholar class to understand their knowledge and viewpoints. His effort in this field may be attributed to his desire of showing off his knowledge though he did not have a lot of in-depth knowledge on the discipline. As for the works and their layout, he did not immediately express the gagaek’s identity but showed off the scholarly description of natural view and taste for the arts based considering that the nature which he met in Hwagaedong was a stage. The research has focused on Kim Su Jang’s scholarly looks in Hwagaedong and his active reflection of the nostalgic conscience through this process. To expose the gagaek’s identity, Kim Su Jang actively exposed his interests in real life and ignored the hermitic life but emphasized the patriotism and loyalty. Here, Kim Su Jang’s conscience over the status is well reflected. He accepted his limitation in the hierarchical class and was satisfied with his status, thus showing his unique conscience unlike other convectional gagaek. Kim Su Jang identified the saseol sijo based on the chingyeong and chinjam sijos. That was related to his conscience over the editing. In the introduction section of yeonghaeng in his works, he expressed his individualistic and collective taste of arts and got rid of the negative psychological mechanism, thus trying to show the artistic joy at the yeonghaeng. Next, as for the saseong sijo which was written with a lot of materials required for yeonhaeng, he suggested the realistic desire and the world of Taoist hermit while reflecting that desire to emphasize the artistic pleasure. Based on his various poetic interest and imagination, he tried to lead the reality of the yeonhaeng. Kim Su Jang’s writing and layout of the saseol sijo are all made from the artistic side of yeonhaeng. If Kim Su Jang’s attitude towards the writing and editing of sijo is studied from the Keimyung University edition “Haedonggayo” and Ju Family edition “Haedonggayo”, his conscience as the editor is found to have been expanded. This shows that Kim Su Jang had the personality not only as a poem singer but also tried to expand the capacity as an editor by accepting the new things based on the rapid change in the musical environment and reflecting them on the editing as an editor through the editing principle based on the association effect and principle of adjacency. His own sijo works implicate the change in the sijo literature in 18th century considering the audience’s reaction. They show that the tastes for arts had changed from singing sijo to listening sijo and that Gagaek had grown to be a creator by actively taking into account the audience’s demand at the site of yeonghaeng. In addition, the trend in the enjoyment of gagokchang in the early and mid 18th century shows the naksijo type. The prediction that the naksiji was enjoyed in various types in late 18th century has the implications.

      • 『五行精紀』의 命理理論 硏究

        황금옥 원광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1551

        『五行精紀』는 송대에 간행된 명리서로 책의 원본은 34권 6책이고 저자는 廖中 伯禮이다. 고법명리의 이론들을 모아 분석하고 연구하였으며, 이들 인용문헌을 밝혀 宋 당시의 命理이론을 엿볼 수 있으므로 학술적 자료로서의 가치가 높은 저작이다. 하지만 中國에서는 明代에 遺失되었다. 그 후 劉國忠이 우리나라에서 『오행정기』를 발견하여 이에 관련한 연구의 결과로 2009년 『唐宋時期命理文獻初探』을 발간하였다. 그리고 연이어 중국과 대만에서도 『오행정기』가 간행되었다. 국내에서는 10여 곳의 국공립도서관과 민간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논자는 신법명리학의 태동시기 논란을 『오행정기』 연구를 통해 究明하고자 한다. 세부연구로 『오행정기』에 대한 서지학적 考察과 眞僞문제, 한국에서의 출판연원과 발견과정, 발견의 의의 등을 포함한 『오행정기』의 역사적 배경 연구, 명리이론 연구, 후래적 영향 등의 분석을 연구의 주요 목적으로 하고자 한다. 『오행정기』가 간행된 宋朝는 중국의 학술사상과 문화의 발전과정에서 춘추전국시기 백가쟁명의 문화와 사상을 계승 발전한 제2의 발전시기이며 황금기라 할 수 있다. 儒學의 변혁과 오행사상이 중요한 사회의 통념으로 자리잡고 있던 시기였기에 당시 요중에 의하여 편찬된 『오행정기』 역시 그러한 사상적 변화가 반영되었을 것이라고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오행정기』는 백과사전식 체계로 되어 있어 학습자가 잘 분별할 수 있는 구조로 표현되어 있기에 학습자에게는 적합한 知識表象이 될 수 있다. 『오행정기』의 명리이론 체계를 살펴보면 첫 문장을 『燭神經』에서의 육십갑자로부터 시작하여 당·송대 명리 간법의 요체라 할 수 있는 祿命身, 고법명리학의 중요한 수단인 신살의 기본이론과 육십갑자, 오행의 생극에 의한 십신, 신살 중심의 看命例 및 대‧세운 등의 행운론을 고찰하였다. 또한 주필대와 악가의 서문을 통해 유학자인 요군이 기존 고법 명리서들의 오류 부분을 바로잡아 『오행정기』를 간행하고 이 저작이 세상의 가르침에 도움이 되기에 부족함이 없음을 기술하여 『오행정기』의 가치와 위상에 대해서도 論하고 있다. 『오행정기』가 간행되면서 후대에 미친 영향은 크게 두 갈래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첫째, 명리사상적 영향이다. 天理와 만물을 연결하는 중요한 개념으로서 오행사상이 송대 儒家와 命理思想의 變化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유학사상의 변화로 『周易』과 『中庸』을 철학적인 기반으로 하여 형이상학적인 원리의 개념인 무극을 우주론에 새롭게 도입하게 되었고 太極의 파생논리로서 종적인 이론체계인 우주론을 만들었다. 둘째, 명리사적 영향이다. 『오행정기』는 당대 이후 중국과 인적·물적·문화적 교류가 활발했던 12-13세기에 고려 말의 성리학자들에 의해 명리학 서적으로 유입되어 지배층과 지식인의 전유물로 역할을 하다가 그 후 점차 민간에까지 확대되어 活用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이 시기에 납음오행과 다양한 神殺이론의 고법명리론과 宋代末에 등장한 신법명리론이 명대까지 공존하면서 발전해 왔다. 시기적으로는 唐의 訓詁學에서 宋의 性理學으로 넘어가는 사상적 변화가 신법명리학의 탄생에 영향을 미쳤음을 간접적으로 類推해 볼 수 있다. 신법명리학은 徐子平이 창안하였는데 ‘자평술’과 서자평의 활동시기를 놓고 명리학계에서는 異見이 지속되고 있었다. 명대의 萬民英이 『삼명통회』「자평설변」에서 서자평을 오대 인물로 언급한 것을 근거로 서자평의 활동시기를 오대말 송초의 인물로 이야기하기도 하고 『四庫全書』에서 『珞琭子三命消息賦註』의 편찬자가 ‘宋 徐子平 撰'으로 記述한 것을 근거로 서자평을 송의 인물로 평가하기도 한다. 논자는 서자평의 활동시기 및 신법명리학의 태동시기에 대해 『오행정기』에서 해답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오행정기』는 고법 명리의 인용문헌을 밝혀 놓았는데 서자평이 오대 인물이라면 당연히 『오행정기』에 인용되었을 것이고, 그 당시 신법명리론이 존재 했다면 더욱 인용 가치가 컸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용되어 있지 않은 정황으로 봐서 서자평은 오대 인물이 아니라는 주장이 더 타당성이 있다고 보여진다. 그러므로 『오행정기』가 새롭게 연구되면서 서자평 오대설은 학술적 誤謬라고 추리해 볼 수 있게 된다. 또한 『오행정기』 연구는 신법명리학의 태동시기를 유추하게 함으로써 命理學史를 재정립하는 기회로 작용한다고 할 수 있다. The Wuxingjingji, composed of twenty volumes in ten books that contains the theory of Ming-Li were published in Song Dynasty. The author of the book, Liaozhong Boli (廖中 伯禮) analyzed and tested the classic theories of Ming-Li which he collected. Since he stated the sources of all quotation in his book, Wuxingjingji has a high academic value that reveals the theory of Ming-Li in Song Dynasty. However, the books have disappeared in China during the Ming dynasty. Later the same series of books were found by Yu Guk-Chung (劉國忠) in Korea. As a result of his study on Wuxingjingji that were kept in Korea, Yu Guk-Chung published the First Exploration of Literatures of Ming-Li in the Times of Tang and Song (『唐宋時期命理文獻初探(Dangsongsigi-myeongli-munheon-chotam』) in 2009. Following the publication of his study, Wuxingjingji has been restored and published in China and Taipei as well. In Korea, around ten national, public and civil libraries have Wuxingjingji in their collections.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argument about the arising time of studies on new Ming-Li through Wuxingjingji first. In addition, the following details of the research contain bibliographic examination, issues on authenticity, restoration and publication process of Wuxingjingji in Korea including its significance of restoration. Therefore, it is the purpose of this paper to study historical background, Ming-Li of Wuxingjingji, and its possible influence on the future studies in academia. When Wuxingjingji was published, the Song Dynasty was called 2nd renaissance period and golden age inherited by Contention of a Hundred Schools of Thought in terms of cultural and philosophical advances. The Wuxingjingji was written by Liaozhong in the period when Confucianism experienced the reformative changes and the thought of Wuxing (五行; five elements) was settling down as a common idea in societies. Therefore, It can be assumed that such changes in China was reflected on Wuxingjingji. Since Wuxingjingji has a system similar to encyclopedia, it helps learners to discern it easily. Thus, it could be the appropriate representation of knowledge for learners. Seeing the theory system of Ming-Li of Wuxingjingji, it starts with the sexagenary cycle based on Zhushenjing 『燭神經』, and investigates the three destinies concerning the fortune, destiny, and body as the core way of fortune-telling of Tang and Song Dynasty. In addition, it contains the basic theories such as shensha (神殺)-important means in ancient Ming-Li, the shishen (十神) by the sexagenary cycle and the five elements (Wuxing), and the way to tell the fortune by focusing on the shensha, along with the theories of fortunes such as a decade of fortune (Daewoon) and a year of fortune (Sewoon). The influence of Wuxingjingji on later scholars can be discussed especially in two major parts. First, Wuxingjingji has influenced the thought of Ming-Li. It is considered that the thought of five elements as an important concept connecting heavenly principles with all myriad things had an influence on a change in the Confucianism and the thought of Ming-Li of Song Dynasty. With the change of the Confucian thought, Wuji (無極), the concept of metaphysical principle based on the philosophy of the Book of Changes (『周易』) and the Doctrine of the Mean (『中庸』) was introduced to the Confucian cosmology. With the addition of the concept Wuji, established cosmology has morphed into the one based on the vertical system of theory derived from Taiji (太極). Second, Wuxingjingji has influenced on the history of Ming-Li. Wuxingjingji was introduced by Neo-Confucian scholars in the late Goryeo Dynasty of 12 to 13th century when the exchange of people, materials and culture with China were vigorous. Such introduced studies on the Ming-Li were possessed only by the ruling and the intelligent class, and later were assumed to be gradually utilized by the civilians. At that time, classical theories of Ming-Li such as five elements and various theories of shensha and new theories of Ming-Li, which arose in the late Song Dynasty, have coexisted and have been developed until the Ming Dynasty. It can be assumed indirectly that the change in thoughts in which the exegetical studies of the Tang Dynasty was converted into the Neo-Confucianism of Song Dynasty had influenced on the arising of the new studies of Ming-Li. The new studies on Ming-Li were invented by Xuziping (徐子平). However, there has been continuous debate on the time period when Ziping and his theory were active. Based on the fact that Wanminying (萬民英) of the Ming Dynasty mentioned in ‘Ziping-shuobian(子平說辨)’ of the Sanming-tonghui (『三命通會』) that Xuziping was a person of the Five Dynasties (五代), the period in which Xuziping was active is thought to be in the late Five Dynasties and the early Song Dynasty. However, the foundation that Xuziping is estimated to be a person of the Song Dynasty is that the compiler of the Luoluzi-sanming-xiaoxi-fuzhu (『珞琭子三命消息賦註』) in the Siku Quanshu (『四庫全書』) recorded that ‘Xuziping in Song Dynasty complied.’ The answer about the period of the activity of Xuziping and the period of arising of the new theory on Ming-Li can be found in the Wuxingjingji which elucidated the literature citing the classical Ming-Li. If Xuziping was a person of the Five Dynasties, he would have been cited in the Wuxingjingji. Moreover, if there was a newly created theory of Ming-Li at that time, it would have been worth to be cited. Nevertheless, there was no citations regarding Ziping and his new theory of Ming-Li. Therefore, the contention that Xuziping is not a person of the Five Dynasties has sufficient validity. In other words, as the Wuxingjingji was restored, the opinion that Xuziping is a person of the Five Dynasties can be assumed to be an academic fallacy. Furthermore, the study of the Wuxingjingji worked as an opportunity to re-establish the history of the studies on Ming-Li by making accurate the time of arising of the new studies on Ming-Li.

      • 구전이야기에 나타난 '맹인' 형상의 서사적 특성과 의미

        황은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07

        이 연구는 구전이야기에서 ‘맹인’ 형상이 가지는 서사적 특성과 그 의미를 고찰한 것이다. 그리하여 ‘맹인’으로 구현된 장애 표상의 가치를 규명하는 데 목적을 둔다. 서사와 연행의 측면으로 볼 때 구전이야기에서 맹인은, 그 신체조건에 기대하는 바를 충실하게 구현하고 있다는 점이 두드러진다. 따라서 본고는 구전이야기에 나타난 ‘맹인’ 형상을 주제에 따라 분류하고, 이를 토대로 맹안과 맹인이 가지는 상징적 의미와 기능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였다. 우선 맹인의 앎은 이야기에서 남다른 방식으로 구현된다. 맹인이라는 신체조건과 맹인의 앎이라는 인식활동이 관계 맺는 방식에 따라 ‘맹인-예지’와 ‘맹인-인지한계’로 구분하고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맹인-예지에서 맹인이 발휘하는 능력은 탐색과 변별, 전망 등 일반적으로 눈을 통한 인식과정과 유사하게 나타난다. 맹인은 사람이나 물건을 찾아주거나 중대한 기밀을 알아차리고 상대 인물에게 앞으로 일어날 사건을 내다볼 수 있는 인물로 등장한다. 해당 자료는 인식과정에 따라 찾아주기와 도와주기, 대응하기 유형으로 구분하고, 드러나는 효과에 따라 하위분류하였다. 맹인-인지한계에서 맹인의 인식은 인지능력이 아예 없거나 그릇되게 판단하고 편협하게 알아가는 방식으로 나타나고 있다. 맹인은 대상을 전혀 알아볼 수 없거나 안다고 하더라도 그릇되게 알아 가고 편협한 생각에 빠지는 인물로 등장한다. 해당 자료는 인식과정에 지각과 인식의 한계와 이를 극복하는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한편 구전이야기에 나타난 맹인의 신체변화는 정상성에 기반을 두고 있다. 맹인이라는 조건과 변화에 따른 가치 평가가 관계 맺는 방식에 따라 ‘눈-멀기’와 ‘눈-뜨기’로 구분하였다. 눈-멀기에서는 어떤 사건이 계기로 작용하여 맹인이 된다. 맹인은 선대로부터 물려받은 악업을 타고나며 본인 스스로 지나치게 행동한 결과이거나 무자비한 폭력을 당할 수밖에 없는 약자로 등장한다. 해당 자료는 맹인이 되는 동기에 따라 처벌과 액땜이라 하고, 그 하위분류는 신체변화에 따른 효과를 중심으로 하였다. 눈-뜨기에서 맹인은 어떤 배경이 계기로 작용하여 맹인으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맹인은 본인 스스로 올곧은 심성이거나, 아니면 효성스런 자녀와 동거하는 상태로 등장한다. 해당 자료는 맹인으로부터 벗어나는 동기에 따라 신성의 발현과 질서의 회복, 지성 감응, 효행의 보상 등으로 구분하였다. 이와 같은 유형 분류를 토대로 맹안과 맹인의 상징적 의미를 규명하고 이야기 연행에서 맹인이라는 형상화가 가지는 기능을 추론하였다. 구전이야기의 맹안은 눈의 인식 영역에서 물리적 한계로 알 수 없는 것을 보고 있어서 인지의 가능성을 암시한다. 동시에 인간이라면 가지는 인식적 한계를 여러 양상으로 보여준다. 우매함이나 과도한 욕심, 편견은 눈을 통해 일어나는 그릇된 인식의 결과로 야기되는 것들이다. 한편 맹인의 경우는 공공의 규칙을 위반하거나 과도한 욕심을 부린 데 대한 징계 차원에서 귀결된 상태다. 따라서 규범이라는 기준에 부합되지 않는 상태를 돌이키기 위해서는 맹인 자신과 그 주변의 지극한 마음가짐이 있어야 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고는 장애 표상으로서의 ‘맹인’이 구전이야기를 통해 어떻게 구축되고 재현되는가를 살펴본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한국어와 중국어 목적관계 접속문 대조 연구

        루광웨이 서울시립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07

        본 연구는 한‧중 목적 범주 대조 연구와 한‧중 접속문 대조 연구의 기초적 연구로서 본 연구에서는 한‧중 목적 범주의 주요 문법 표현 형식인 목적관계 접속문의 의미·화용론적 특성과 통사론적 특성을 대조분석하여 그것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혔고, 한‧중 목적관계 접속문의 중‧한 양 언어에서의 대응 표현을 살펴보았다. 또한, 한국어 목적관계 접속문의 접속표지의 형태론적 특성도 살펴보았다. 언어학에서의 목적 범주는 의미 범주에 속한다. 목적 범주는 의도성, '목적-행위' 또는 '행위-목적'의 의미관계, 비현실 등 세 가지 근본적인 의미특징을 가진다. 그리고 이 세 가지 의미특징을 의미기초로 목적 범주를 수립할 수 있다. 한·중 목적 범주의 문법 표현 형식이 같지 않다. 그런데 한·중 목적 범주의 주요한 문법 표현 형식은 모두 목적관계 접속문이다. 한국어 목적관계 접속문의 접속표지의 형태론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우선 한국어 목적관계 접속표지들은 주어존대 선어말어미 '-(으)시-'와 결합할 수 있으며, 시상 선어말어미 '-었-, -겠-, -느-, -더-, -(으)리-'와 결합할 수 없다. 그리고 이런 목적관계 접속표지 중에서 '-(으)러, -(으)려고, -기 위해/위해서, -게, -도록'은 후행 특수조사와의 결합이 가능하며, '-고자'는 후행 특수조사와의 결합에서 제약을 받고, '-느라고'는 후행 특수조사와의 결합이 매우 제한적이다. 또한 이런 목적관계 접속표지들은 대체로 격조사와 결합할 수 없다. 한·중 목적관계 접속문의 의미·화용론적 특성에 대해서 대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중 목적관계 접속문은 목적 범주를 표현하고, 둘은 모두 한·중 목적 범주의 주요한 문법 표현 형식이다. 둘째, 한국어 목적관계 접속문의 선·후행절은 일반적으로 '목적-행위'의 의미관계를 이루며, 중국어 목적관계 접속문의 선·후행절은 '목적-행위' 또는 '행위-목적'의 의미관계를 모두 이룰 수 있다. 셋째, 중국어 목적관계 접속문에서 '爲了'류와 '以便'류 접속표지 목적관계 접속문은 구득식(求得式) 목적관계 접속문에 포함되어 있고, '以免'류 접속표지 목적관계 접속문은 구면식(求免式) 목적관계 접속문에 포함되어 있으며, 한·중 목적관계 접속표지의 의미 차이로 인해 한국어 목적관계 접속문은 이렇게 분류하기가 어렵다. 넷째, 한·중 목적관계 접속문에서 목적관계 접속표지들의 기본 의미는 모두 '목적'이지만, 이들에 의한 한·중 목적관계 접속문은 각자 다른 의미·화용론적 특성을 가진다. 한·중 목적관계 접속문의 통사론적 특성에 대해서 대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중 목적관계 접속문의 기본 구조의 경우, 한국어 목적관계 접속표지는 항상 목적절 서술어 어간 또는 선어말어미 '-(으)시-' 뒤에 붙어 쓰이는 반면 중국어 목적관계 접속표지는 목적절 서술어 앞에 붙어 쓰인다. 그리고 한국어 목적관계 접속문에서는 접속표지가 반드시 사용되어야 하는데 중국어 목적관계 접속문에서는 접속표지가 종종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구조적인 면에서 한국어 목적관계 접속문에는 일반적으로 목적절이 앞에 나타나고, 행위절이 뒤에 나타나며, 중국어 목적관계 접속문 중에서 '爲了'류 접속표지 접속문은 '목적절-행위절'의 순서로, '以便'류와 '以免'류 접속표지 접속문은 대체로 '행위절-목적절'의 순서로 나타난다. 둘째, 한·중 목적관계 접속문은 주어 제약, 서술어 제약, 시상 제약, 문장 유형 제약, 부정법 제약 등 다섯 가지 통사적 제약의 측면에서 각자 다른 통사론적 특성을 나타낸다. 한·중 목적관계 접속문의 중·한 양 언어에서의 대응 표현은 다음과 같다. 한·중 목적관계 접속문은 대체적으로 서로 대응될 수 있다. 한국어 목적관계 접속문은 대체적으로 중국어 목적관계 접속문과 대응할 수 있고, 또한 중국어 긴축문(緊縮句), 연동문(連動句), 관련사어(關聯詞語)에 의한 목적관계 단문 등과 대응할 수도 있다. 중국어 목적관계 접속문은 대체적으로 한국어 목적관계 접속문과 대응할 수 있고, 또한 두 개의 단문이나 관형절 내포문 등 우회적인 대응 표현과 대응할 수도 있다. As the fundamental research of the contrastive study of Korean and Chinese purpose category and Korean and Chinese conjunctive sentence, this paper make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emantic and pragmatic features and syntactic features of Korean and Chinese purpose conjunctive sentence, which are the main grammatical manifestations of Korean and Chinese purpose category, explor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languages, and investigates the corresponding forms in Chinese and Korean purpose conjunctive sentence. In addition, this paper also investigates the morphologic features of the connective markers in Korean purpose conjunctive sentence. The purpose category in linguistics belongs to the category of semantics. The purpose category possesses three fundamental semantic features: intentionality, the semantic relationship of “purpose-action” or “action-purpose”, and irrealis. Moreover, these three semantic features can be used as the semantic foundation to establish the purpose category. Although the grammatical forms of Korean and Chinese purpose category are not completely identical, the main grammatical forms are both purpose conjunctive sentence. The morphologic features of the connective markers in Korean purpose conjunctive sentence are as follows. The Korean connective markers of purposive relationship can be combined with the pre-final ending “-(eu)si-” which indicates the respect of the subject, but cannot be combined with the pre-final ending “-eot-, -get-, -neu-, -deo-, -(eu)ri-, etc.” which indicate the tense and aspect. “-(eu)reo, -(eu)ryeogo, -gi uyhaj/uyhajo, -ge, -dorok” can be followed by the semantic particle, but “-goja” cannot be followed by semantic particle, and the combination with semantic particle after "-neurago" is greatly limited; moreover, these connective markers of purposive relationship cannot be used with case particle in general. The contrast results of the semantic and pragmatic features of Korean and Chinese purpose conjunctive sentence are as follows. First, both Korean and Chinese purpose conjunctive sentence embody the purpose category, and both are the main grammatical manifestations of the purpose category of Korean and Chinese. Second, the preceding and following clauses of Korean conjunctive sentence generally constitutes the semantic relationship of “purpose-action”, while the preceding and following clauses of Chinese purpose conjunctive sentence can constitute the semantic relationship of “purpose-action” or “action-purpose”. Third, in Chinese purpose conjunctive sentence, purpose conjunctive sentence with connective markers “wei le” category and “yi bian” category belong to purpose conjunctive sentence of “seeking to obtain”, and purpose conjunctive sentence with connective markers “yi mian” category belong to purpose conjunctive sentence of “seeking exemption”. Due to the semantic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connective markers of purposive relationships, it is difficult to classify Korean purpose conjunctive sentence as mentioned above. Fourth, the basic meaning of the connective markers of purposive relationship in Korean and Chinese purpose conjunctive sentence is “purpose”, but the Korean and Chinese purpose conjunctive sentence connected by these connective markers have different semantic and pragmatic features. The contrast results of the syntactic features of Korean and Chinese purpose conjunctive sentence are as follows. Firstly, in terms of the basic structure of Korean and Chinese purpose conjunctive sentence, the connective markers of Korean purposive relationship are always used after the predicate stem of the purpose clause or after the final ending “-(eu)si-”, while the connective markers of Chinese purposive relationship are used before the predicate of the purpose clause. Moreover, the Korean purpose conjunctive sentence must use the connective markers, while the connective markers are often omitted in Chinese purpose conjunctive sentence. In addition, in terms of the structure of purpose conjunctive sentence, the purpose clause in Korean purpose conjunctive sentence generally appears before the action clause, while in Chinese purpose conjunctive sentence, the purpose conjunctive sentence with connective markers of “wei le” category appears in order of “purpose clause-action clause”, and purpose conjunctive sentence with connective markers of “yi bian” and “yi mian” in general appear in the order of “action clause-purpose clause”. Secondly, Korean and Chinese purpose conjunctive sentence reflect their different syntactic features at the five levels of syntactic restrictions: subject restriction, predicate restriction, tense and aspect restrictions, sentence type restriction, negation restriction. The corresponding forms of Korean and Chinese purpose conjunctive sentence in Chinese and Korean are as follows. Korean and Chinese purpose conjunctive sentence can basically correspond to each other. Korean purpose conjunctive sentence can basically correspond to Chinese purpose conjunctive sentence, and also correspond to the Chinese contraction sentence and the conjunctive serial verb sentence, the simple sentence which is connected by connectives and other corresponding forms. Chinese purpose conjunctive sentence can basically correspond to Korean purpose conjunctive sentence, and also correspond to the indirect corresponding forms such as two simple sentences in Korean and the adnominal clause embedded sentence.

      • 연변 지역어 사용자의 SNS 부호 전환 연구

        량빈 전남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07

        이 논문의 목적은 SNS 상에서 나타나는 연변 지역어 사용자의 부호 전환 기능과 그 사용 양상을 사회언어학적 관점으로 분석하는 데에 있다. 그리고 부호 전환 기능과 화자의 사회적 요인이 연변 지역어 사용자의 부호 전환 양상에 어떻게 영향을 끼치는지를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1장에서는 본고의 연구 목적과 함께 연구 대상과 연구 필요성을 명확히 설정하였다. 또한, 기존 논의의 연구 방법론상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부호 전환 연구의 의의에 근거하여 본고에서 해결해야 할, 세 개의 논의 주제를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주요 논의 주제인 부호 전환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들을 소개하면서, 본고에서의 논의 방법과 분석에 필요한 이론적 배경들을 기술하였다. 또한, 연변 지역의 언어적 특수성을 살펴보면서 연변 지역어가 L1으로, 중국어가 L2로, 한국어가 L3로 사용되는 다중 언어 사회로 정의하였다. 3장에서는 SNS 상에서의 대화를 연구 대상으로 채택한, 본고의 연구 타당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연변 지역어와 중국어, 연변 지역어와 한국어’의 분류 기준과 ‘사회적/화용론적’ 기능과 기저 언어의 분석 기준을 기술하였다. 4장에서는 질적 연구의 관점에서 SNS 상의 대화에서 발견할 수 있는 부호 전환의 ‘사회적/화용론적’ 기능에 대하여 논의를 하였다. 이를 위하여 SNS에서 발견할 수 있는 부호 전환의 기능 중, ‘정보, 관계, 대화 전개’와 같은 의사소통적 기능의 사용 양상을 기술하고, ‘성별, 연령, 힘의 관계, 상황’과 같은 사회적 요인에 따른 부호 전환의 사용 양상을 언급하였다. 5장에서는 양적 연구의 관점에서 SNS 상의 대화에서 발견할 수 있는, ‘사회적/화용론적’ 부호 전환의 요인과 부호 전환 사용 사이의 관계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이를 위하여, 4장에서 논의한 바에 대해 카이제곱 검증을 하였다. 또한 검증 결과를 통하여, 대화 순서에 따라 부호 전환의 사용과 상관성을 보이는 ‘사회적/화용론적’ 요인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하여 대화 순서에 따라 부호 전환의 사용을 예측할 수 있는 ‘사회적/화용론적’ 요인이 무엇인지를 고찰하였다. 6장에서는 이 논문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기술하였다. 연변 지역어 사용자가 SNS 대화상에서 사용하는 부호 전환의 ‘의사소통적 기능’들은 부호 전환의 ‘보편적 기능, SNS 상의 특징, 연변 지역 특징’에 의해서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사회적 요인’에 따른 부호 전환의 사용 양상 차이는 L1, L2, L3 각각의 언어에 대한 연변 지역 다중 언어 화자의 태도에 기인한 것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횡적 또는 종적 대화 순서에 따라, 검증 결과에서 차이가 있지만, 이 논문에서는 ‘화자의 동기, 결속’과 같은 발화자의 심리 태도와 ‘연변 다중 언어 사회의 특징’과 같은 거주 지역의 언어 상황이 부호 전환의 사용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상술한 내용을 통해서 이 논문은 그 동안 질적 분석으로만 논의된 다중 언어 화자의 부호 전환 연구에서 양적 분석의 필요성과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또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본고의 연구 방법론이 타당함을 증명하면서, 부호 전환의 보편적인 사용 동기를 분석하고자 노력하였다. 이러한 논의 과정을 통해, 다중 언어 화자의 부호 전환에 대하여 복합적인 질적/양적 분석의 필요성과 방법론적 객관성을 확보했다는 것이 이 논문의 의의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좀 더 세세한 질적 분석을 하지 못했다는 점과 다양한 방법론에 의거한 양적 분석이 미비했다는 점이 이 논문이 갖는 한계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후속 연구를 통해 개선하고 보완해 나가고자 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function and use patterns of Yanbian local language speakers’ code switching found in SNS from a sociolinguistic perspective. It also explores how functions of code-switching and social factors of speakers influence the code-switching patterns of Yanbian local language speakers. To this end, Chapter 1 establishes the research purpose and clearly explains the research subject and the need for this research. Additionally, this chapter demonstrates problems of research methods used in prior studies and suggests three discussion topics that should be addressed based on the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on code-switching. Chapter 2 introduces some discussions regarding code-switching in conversations, which is the key discussion topic of this study. It provides the theoretical backgrounds necessary for the discussion methods and analysis used in this study. This chapter reviews distinct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the Yanbian region and defines the region as a multilingual society where L1 is the Yanbian regional language, L2 is Chinese, and L3 is Korean. Chapter 3 highlights this study’s importance, discussing conversations on SNS. This chapter also describes the classification criteria for Yanbian regional language and Chinese, and Yanbian regional language and Korean. The analysis criteria discussed are social/pragmatic functions and a matrix language. Chapter 4 discusses the social/pragmatic functions of code switching found in conversations on SNS from the perspective of qualitative research. Accordingly, this chapter describes, among many functions of code switching found in SNS, use patterns of communicational functions such as exchanging information, building relationships, and developing conversations. It discusses the use patterns of code-switching that depend on social factors such as gender, age, power relationships, and situations. Chapter 5 discu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of social/pragmatic code switching found from conversations on SNS and the use of code switching from a quantitative research perspective. Accordingly, a chi-square test was conducted on the material in Chapter 4. Furthermore, this chapter, using the test result, analyzes social/pragmatic factors correlated with the use of code switching in order of conversation sequence. Meanwhile, this chapter also identifies social/pragmatic factors that allow us to predict the use of code-switching in order of conversation sequence by conducting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gain reliability of the analysis. Chapter 6 provides a comprehensive discussion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chapter confirms that “communicational functions” of code-switching used by speakers of Yanbian local language in conversations on SNS are being used by “the general function of code-switching, characteristics of SNS, and characteristics of Yanbian region.” Additionally, this chapter confirms that differences in the use patterns of code-switching depending on “social factors” are attributable to the multilingual speakers’ language attitude toward each L1, L2, and L3 languages. Last, this study found that the psychological attitude of speakers such as “motives or binding” and the language situation of the region where the speakers live in such “characteristics of Yanbian multilingual society” influence the use of code-switching. Test results varied depending on the horizontal or longitudinal conversation sequence. Through the above discussions, this study demonstrates the need for and methodology of quantitative analysis for research on code-switching of multilingual speakers, which is a field that has only been examined by qualitative analysis. Furthermore,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a universal motive for the use of code-switching while showing tha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research methodology used in this study was vali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fact that it emphasizes a need for a comprehensive qualitative/quantitative analysis of code-switching. Objectivity regarding the research method was attained through the above discussion process. However,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its failure to conduct a more detailed qualitative analysis and an inadequate quantitative analysis based on a variety of methods. We intend to improve and supplement such shortcomings in future studies.

      • 스테레오타입의 매체기호학적 연구 : 온라인디지털 텍스트에 나타난‘전업주부’를 중심으로

        윤예영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07

        스테레오타입의 매체기호학적 연구 -온라인디지털 텍스트에 나타난 ‘전업주부’ 연구- 본고는 온라인디지털 글쓰기 공간에서 스테레오타입이 어떻게 만들어지고 사용되며, 이를 통해 어떤 효과들이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스테레오타입을 이론적 대상으로 정립하기 위해 기호학과 매체 이론의 관점에서 스테레오타입을 매체기호로 정의하고 스테레오타입의 매체기호학을 설계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설계의 이론적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2010년대 한국의 인터넷 텍스트 공간에서 문제적인 현상으로 지목된 여성혐오의 이데올로기적 기표, ‘전업주부’ 스테레오타입을 분석한다. 이러한 연구는 뉴미디어의 텍스트적 공간인 한국의 온라인디지털 텍스트 공간에서 왜 이렇게 스테레오타입이 많이 생산되고 소비되는가, 스테레오타입을 사용될 때 이루어지는 담론적 ․ 매체적 효과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에서 출발했다. 이러한 질문에 답하고자 II 장에서는 온라인디지털 텍스트의 미디어리터러시를 규명하고, 그 안에서 스테레오타입은 어떤 자리에 놓일 수 있는지를 검토한다. 따라서 스테레오타입이란 무엇인가, 온라인디지털 텍스트는 어떤 텍스트인가의 문제로 되돌아가서 이 둘을 방법론적으로 연결하는 것이 II 장의 기획이며, 문제적 현상에 대하여 이론적으로 해결을 시도한다는 점에서 정치기호학적 기획이기도 하다. II 장에서는 스테레오타입이 어떻게 생성되는지를 의미론과 매체론으로 나누어서 스테레오타입 생산의 모델을 구축하고자 했다. 이때의 의미론과 매체론은 별도의 영역이라기보다는 스테레오타입 안에서 통합될 수 있는 층위의 개념에 가깝다. 스테레오타입의 의미론이 스테레오타입이 전달하는 이데올로기적 메시지가 어떻게 생산되는가에 대한 문제라면, 스테레오타입의 매체론은 이러한 이데올로기적 메시지가 스테레오타입의 물질적인 층위에 의해 어떻게 결정되는가에 대한 문제이다. 따라서 스테레오타입을 담화와 텍스트, 의미와 사물(기호의 물질적 층위)로 구성되는 매체기호로 재정의함으로써 스테레오타입이 어떻게 이데올로기적 담론을 생산하고 발화주체의 개인적, 집단적 정체성을 효과로 생산하는지 규명하고자 했다. 본고에서는 현실태로서의 텍스트적 공간인 특정한 커뮤니티에서 스테레오타입이 더 활발하게 생산, 소비, 재생산되는 것은 발화에 선행하는 발화주체의 정체성 때문이 아니라 미디어리터러시 때문이라고 보았다. Ⅲ장에서는 이러한 방법론에 기반하여 2010년도 초반부터 온라인디지털 미디어 공간에서 널리 생산, 소비된 ‘전업주부’ 스테레오타입을 분석했다. ‘전업주부’ 스테레오타입은 2010년대 온라인디지털 텍스트에서 만들어진 기혼여성에 대한 혐오발화의 일종이다. ‘전업주부’는 젠더 ․ 인종 ․ 경제적 계층 등 복합적인 범주에 관련된 스테레오타입이며, 담론을 생산하는 기표이자 대상을 왜곡하는 차별적 기표로서의 특성이 모두 드러난다는 점에서Ⅱ장에서 설계한 스테레오타입에 대한 일반론을 예증하기에 적절한 사례이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얻은 잠정적 결론은 인쇄/기술 매체에서의 ‘주부’ 혹은 ‘전업주부’가 2010년대 비공시적 담론장으로서인 인터넷 공간에서 생산되고 소비될 때, 혐오발화적 성격이 더 강해지는 것은 온라인디지털 텍스트의 미디어리터러시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결론은 어떤 텍스트가 올드미디어의 리터러시와 뉴미디어의 리터러시 중에서 무엇을 매개하는가에 따라서 서로 다른 매체적 효과가 만들어진다는 점을 함축한다. 따라서 뉴미디어 리터러시에 기반한 스테레오타입의 경우, 더 이상 종전의 스테레오타입과 동일하다고 볼 수 없으며 더 나아가 스테레오타입이 해체되거나, 인터넷밈처럼 유사해보이지만 전혀 다른 매체기호로 전환된다고 본다. IV자에서는 ‘전업주부’를 스테레오타입이 아니라 ‘회절의 기호’로 다시 읽는 텍스트적 실천을 통해 스테레오타입의 해체 가능성을 모색한다. 이를 위해 스테레오타입의 매체적 효과로 구성된 개인의 정체성과 집단의 정체성이 온라인디지털 공간에서 서로 연결되고 충돌할 때, 네트워크상의 하위부족으로 서로서로 만났을 때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에 대해서, 그리고 어떤 ‘말’을 건네야 하는지에 대해 전망해보았다. 그리고 그 속에서 개인 혹은 또 다른 하위부족으로서의 ‘전업주부’는 무엇을 이야기하고 무엇을 쓸 수 있는가에 대해서도 질문한다. ‘전업주부’ 스테레오타입이라는 하나의 사례만으로 스테레오타입의 일반론을 규명하고 이론적 타당성을 주장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보다는 ‘전업주부’ 스테레오타입이 어떻게 생산되고 소비되고, 재생산되고 해체되는지를 세밀하게 기술함으로써 이데올로기적 담론을 어떻게 해체할 수 있는지 텍스트적으로 실천해보고자 했다. 이러한 실천 속에서 ‘전업주부’는 기혼여성의 부불노동과 노동의 극단에 서 있는 플랫폼 노동자의 비물질노동과의 관계를 드러내고, 온라인디지털 미디어에서 글쓰기는 어디에서 시작해서 어디에서 끝나는지 등의 무한한 스펙트럼을 만들어내는 프리즘, ‘회절의 기호’로 다시 쓸 수 있다.

      • 춘원과 루쉰의 농촌서사에 나타난 이주담론 연구

        양닝 아주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07

        19C 한·중양국은 부패한 관료와 지주들의 착취와 수탈, 그리고 일제의 침략으로 대내적으로 봉건제도가 몰락하고, 대외적으로 식민지와 반식민지로 가는 격변의 시기였다. 이 시기의 백성들의 삶은 너무나도 궁핍하여 처참 그 자체였으며, 이로 인해 암울한 현실을 벗어나 새로운 곳으로 이주하기를 희망하는 사람들이 늘게 되었고, 농촌이 피폐해짐에 따라 대내이주 및 대외이주가 성행하게 되었다. 이때, 당대 한·중양국을 대표하는 작가 춘원과 루쉰은 억압 받고 차별 받는 백성들에게 유정한 사회를 만들어 주기 위해 농촌을 서사한 문학작품을 집필하게 되었다. 본고는 봉건제도가 붕괴되고 근대화로 접어드는 격변기에 한 나라의 지식인으로서 백성들의 삶과 잃어버린 나라를 위해 고뇌했던 작가 춘원과 루쉰의 농촌서사작품을 분석하여 이들의 농촌서사문학을 이주담론의 시각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Ⅱ장에서는 춘원과 루쉰의 작품을 이해하기에 앞서 당대의 시대적 배경과 그 시대를 살아갔던 작가들의 경험을 조명해 보고자 한다. 당시 양국은 부패한 관리와 지주들의 수탈로 인해 농민들의 피폐함이 극에 달했으며, 여기에 한국은 일본의 식민화 정책이 본격화됨에 따라 일제의 수탈까지 가미되었고, 중국은 일본과 합의한 21조로 인해 사실상 일제의 통치하에 있던 상황이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농촌에서의 백성들의 삶을 제 눈으로 목도한 춘원과 루쉰은 농촌에서의 경험과 유본 유학생활에서 겪은 경험을 바탕으로 농촌을 변화시키기 위한 개혁 의지를 뚜렷이 하였고, 또한 그들은 문학작품을 통해서 농촌의 한계를 드러내는 동시에 목표와 방향을 설정하여 이를 제시하기도 하였다. 그렇다면 한·중을 대표하는 춘원과 루쉰은 왜 농촌에 관심을 두고 농민들을 개혁의 대상이자 개혁의 주체로 바라보았는지 이를 살펴보지 않을 수 없으며, 이를 위해선 작가들이 살아왔던 당대의 시대적 배경들을 우선적으로 고찰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다음 Ⅲ장에서는 춘원과 루쉰의 네 편의 농촌서사문학을 이주담론의 시각에서 살펴보고, 작가들이 작품을 통해서 드러내고자 했던 그들의 사상이 무엇인지 밝혀보고자 한다. 두 작가의 농촌 소설의 출현은 시기를 달리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춘원의 농촌시사는 1910-1930년대, 루쉰은 1920년대에 형성하고 있다고 보고 있으며, 본문에 들어가기에 앞서 춘원과 루쉰의 네 편의 농촌서사문학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춘원의 첫 번째 작품 <삼봉이네 집>은 대외이주를 다룬 소설이자 조선 농촌을 떠나 만주로 이주하는 농민들의 계급적 질곡을 노래한 작품으로, 소설은 부패한 관료와 지주들을 통해 왜 농민들이 대대손손 이어온 자신들의 삶의 터전 ‘농촌’을 떠날 수밖에 없었는지 지배층과 피지배층간의 갈등을 비롯한 조선 농촌의 현실을 적나라하게 서술하면서 궁극적으로 모범촌의 이상 실현을 위해 고향을 떠나야 하는 농민들의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농민들의 애환’이란 공감대를 이끌어 내었다. 또한 소설은 주인공을 비롯한 수많은 조선인들이 만주로 이주함으로써 겪게 되는 계급 갈등과 이로 인해 야기되는 새로운 억압과 수탈이란 고통을 보여줌으로써 대외이주의 어려움과 한계를 드러내는 한편,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책으로서 현지인들과의 융합에 대한 문제가 개인의 문제가 아닌 민족의 문제이며, 더 나아가 민족을 넘어 국가와 제도의 문제라는 점을 제시하면서 대외이주에서의 모범촌에 대한 춘원의 사상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춘원의 두 번째 작품 <흙>은 대내이주를 다룬 소설로, 춘원은 작품에서 주인공 허숭을 통해서 개혁된 농촌과 계몽된 농민을 그렸다. 그는 작품을 통해서 비록 지주와 관료들의 횡포로, 혹은 무지하고 의지박약한 농민들로 변혁의 어려움을 겪지만, 궁극적으로 농민이 개조의 대상이자 개조의 주체로서 모범촌을 만들고 이끌어 가야함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한편 루쉰의 첫 번째 작품 <故鄕>은 대내이주의 소설로, 루쉰은 당시 기득권층이었던 관료와 지주들의 부패함과 수탈을 일삼는 행패를 보여줌으로써 황량한 농촌의 현실을 고발하는 한편 무의미한 향로와 촛대, 그릇에 집착하는 농민들의 모습을 통해 농민들의 계급에 대한 동경과 농민들의 뇌리에 깊게 박힌 노예의식, 그리고 봉건적 폐습을 타파하지 못하는 무지한 농민들의 한계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또한 루쉰은 무엇보다 소설을 서술함에 있어서 1인칭 관찰자 시점을 선택하여 객관성을 확보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사람들에게 노예근성을 객관적으로 보여줌으로써 그들로 하여금 스스로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도록 보조 역할을 하기도 하였다. 루쉰의 두 번째 작품 <阿Q正傳>은 대내이주 이주의 소설로, 칼자루를 쥐고 혁명에 참여하는 유랑 농민을 비추면서도 이들이 일제에 가담함으로써 결국 그 칼날이 자신에게 돌아올 수 있음을 도시와 농촌을 반복적으로 오가는 무지한 유랑 농민을 통해 적나라하게 드러내고자 하였다. 또한 루쉰은 작품을 통해서 당시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었던 소작농 아Q와 赵氏와의 갈등을 통해 당대 소작농의 불합리한 착취 과정을 서사함으로써 계급사상에서 파생된 노예사상이 농민들의 뇌리에 깊이 자리 매겨 있음을 경고하는 동시에 변화와 혁신을 꿈꾸는 농민들에게 방관자의 시선으로 접근한다면 그들이 비극적 종말을 맞은 것처럼 우리 또한 비극적 종말을 겪게 될 것이라는 경종을 울리면서 농민들을 개조의 주체로 인색해야 함을 강조하기도 하였다. 마지막 Ⅳ장에서는 농촌서사작품에서 춘원과 루쉰이 말하고자 하는 바를 이주담론의 시각에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문학적 의의를 확인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당시 시대적 상황에서 농민들이 왜 이주하고자 하였고, 이주하는 과정에서 한계는 없었는지 또 이러한 ㅏ한계에서 모범촌에 대한 농민들의 이상을 어떻게 실현할 수 있었는지 등등 이와 관련해서 이주를 통해 모범촌을 마련하고자 하던 농민들의 이상 그리고 그 과정에서 농민들의 변화가 궁극적으로 국가를 변화시키는 동력을 발휘하였는지에 대한 여부와 작가들의 농촌 경험과 일본 유학 경험을 바탕으로 어떠한 계몽사상과 실천적 전략을 문학작품 속에 투영시켰는지를 종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와 같이 본 논문은 한·중양국의 농촌서사문학을 이주라는 관점에서 작품에 드러난 당대 사회적 문제의 근본적인 원인과 이를 위한 해결방안을 어떻게 제시하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당대 시대상과 사회문제를 이해하게 될 뿐만 아니라 동아시아의 시대상에 대한 입체적, 종합적인 연구의 서막과 지평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높은 의의를 지닐 것이다.

      • 惠慶宮 洪氏 回甲宴의 宮中裝飾繪畵와 宮中床花 연구

        김보경 원광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1551

        혜경궁 홍씨(1735~1815)는 사도세자의 빈(嬪)이며, 정조의 모친(母親)이다. 그녀의 회갑연은 1795년(정조 19) 화성행궁에서 베풀어졌다. 이에는 화성행궁 행차와 봉수당진찬에 관한 자료를 남기고 있는데, 󰡔원행을묘정리의궤󰡕의 《화성능행도병》, <봉수당진찬도> 등은 자료적 중요성이 배가 된다. 본 연구는 이들 자료를 비롯하여 조선 시대 궁중 의례에 사용된 장식회화인 <일월오봉도>과 <십장생도>의 의미와 현대적 가치를 고찰하였다. 궁중행사도와 의궤의 도판과 기록으로 남은 고배상의 궁중상화 등 의례에 장식된 꽃에 대한 상징적 의미와 공예미술로서 가치에 대해 밝힌 것이다. 조선 시대 왕실은 강건과 다산을 기원하고 왕실 어르신들의 건강과 장수를 염원하는 마음을 담아 진찬을 베풀었다. 이러한 진찬에 사용된 궁중장식회화와 궁중상화, 문안제신들을 위한 산화, 내외빈 및 제신들과 여령들을 위한 수공화를 장식하였다. 또한 귀빈을 위한 환영과 무희들의 춤을 더욱 돋보이게 표현하기 위한 정재여령수공화, 진찬이 열리는 진연청 앞마당을 화려하게 꾸며주는 준화 등을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천된 양식과 민간 전례에 대해 알아보았다.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적인 정신문화가 깃들여진 궁중장식의 품위 있는 미감의 표현을 재현하여 사라져 버린 궁중 문화의 격조 높은 아름다움이 반영된 궁중 문화에 깊은 의미를 담아 현대생활 속에 연출하여 우리나라의 유구한 역사를 통한 전통문화에 대한 자긍심을 후대에 전승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 한국 고유의 전통문화를 고수하는 것은 대중들에게 배척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전통문화는 퓨전으로 변해 대중들에게 가깝게 접근하는 긍정적인 영향도 미치고는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국적 불문의 퓨전 문화는 전통성을 왜곡하고 그 의미도 흐려지고 있는 문제점도 있다. 오늘날 대중에게 무관심한 전통문화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우리 고유의 전통을 배제하지 않고 혼합하여 현대적으로 재해석 할 수 있는 궁중 의례 장식에 대한 전통성의 기준 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사라져 가는 궁중 문화를 복원하는 것은 전통공예로서의 문화재적 가치를 고려하여 무형문화재 보존의 차원에서 전수 및 이수의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궁중상화에 대한 연구는 궁중음식과 분리되어 궁중상화만의 독립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만 우리 민족만의 독특한 궁중 문화인 궁중상화를 보존 전승 할 수 있다. Crown Princess Hong(1735~1815) was the wife of Crown Prince Sado and the mother of King Jeongjo. Her 60th birthday anniversary took place at Hwaseonghang Palace in the year of 1795(King Jeongjo 19). Documents of parade at Hwaseonghang Palace and Painting of Banquet in Bongsudang remain on information on the anniversary. More important for data value are 《Royal Procession to the Ancestral Tomb in Hwaseong》and <Painting of Banquet in Bongsudang> from 󰡔Wonhaengeulmyojeongriuiguae󰡕. This paper investigated the meaning and value for the present of <Painting of Irwol Obongdo> and <Painting of Longevity Symbols>, which were used to royal rituals in Joseon Dynasty. This paper demostrated the symbolic meaning and value for court decoration paintings and flowers such as Gungjungsanghwa decorated at the rituals shown in plates or writings of Uiguae. The royal family of Joseon dynasty conferred wonderful feast with the pray for health and longevity of its seniors and strength and productivity of its sons and daughters. Decorations such as Court Decoration Painting, Gungjungsanghwa, Sanghwa for retainers and handmade flowers for visitors, guests and helping women were arranged. The paper investigated handmade flowers for helping women to express welcome of guests and emphasize dancers and Junhwa for a front garden of Jinyeoncheong for the place of wonderful feast with changed types and public rituals according to times. The paper was written to realize the expression of the sense of beauty that is noble enough to reflect royal decorations with Korean traditional soul, figure out royal cultures reflecting high quality which have vanished and take over the pride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s surviving through long-lasting histories. Sticking to Korean traditional cultures is disregarded by the public and the cultures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public by transforming themselves into fusion. Yet the fusion cultures that are ambiguous about nationality distort traditionalism and importance. In order to keep traditional cultures which the public are unaware of studies are necessary to mix our unique tradition into them and retranslate with a contemporary way for decorations of royal rituals. Restoring royal cultures which disappear needs systematical training about instruction and transfer from a view of preserving intangible cultural assets by considering the value of traditional crafts. Studies of Gungjungsanghwa are necessary to be divided into royal cuisines in order to secure individual investigation for Gungjungsanghwa and take over Gungjungsanghwa, a Korean native royal culture.

      • 한·중 이중언어 배경을 가진 중국인 아동의 언어 습득과 교육에 관한 연구 : 발음과 어휘를 중심으로

        리인 圓光大學校 2019 국내박사

        RANK : 248607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 거주하는 중국인 가정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발음과 어휘 사용의 특징과 문제점을 조사하고, 이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이중언어 배경에 있는 아동들의 인지 특성을 고려한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1장에서는 연구 목적, 선행 연구 검토, 이론적 논의와 연구 방법 그리고 논문 구성을 제시하여 본 연구 전개 과정을 제시하였다. 제2장에서는 이중 언어배경을 가진 중국인 가정 아동의 언어습득 사례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 선행 연구 자료에서 유관 문제를 이용하여 설문지를 작성하여 중국어와 한국어의 이중 언어 배경하의 중국인 가정 아동들을 대상으로 발음, 어휘를 중심으로 언어습득에 대한 설문을 하였다. 설문지를 통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대표적 통계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제3장은 제2장의 분석에 기초하여 이중 언어 배경을 가진 중국인 가정의 아동을 대상으로 한중의 발음과 어휘 비교를 통해 언어습득의 특성과 오류를 분석하였다. 제4장은 제3장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이중언어 배경을 가진 중국인 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발음과 어휘에 대한 과정에서는 언어습득 교육 방안을 차례로 제안하였다. 제5장은 결론의 장으로서 연구 목적을 토대로 결론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rrors and problems in the learning process of pronunciation and vocabulary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3rd and 5th graders) who are living in Korea, And to propose a suitable method for their language acquisition. For this purpose, questionnaires were created and analyzed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theories. Based on the results, suggestions for instruction on pronunciation and vocabulary were suggested. Chapter 1 presents the background of this study, research objectives, research methods, and the composition of the thesis. In Chapter 2, we conducted a bilingual background study on Chinese children's language acquisition. For this purpose, questionnaires were drawn up using the related problems in the previous research data, and the questionnaires on the pronunciation of Chinese children and their vocabulary were given to Chinese children under the bilingual background of Chinese and Korean.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analyzed using representative statistical analysis. In Chapter 3, based on the analysis of Chapter 2, we investigated language acquisition characteristics and errors by comparing Chinese pronunciation and vocabulary with Chinese children in bilingual background. In Chapter 4,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 Chapter 3, each Chinese language family background was raised in bilingual background based on the results of research on pronunciation and vocabulary. Chapter 5 summarizes the whole study based on the research purpose as a conclusion.

      • 한국어 교재의 접속부사 연구 : 한국 간행 한국어 교재의 중문판과 중국 간행 한국어 교재를 중심으로

        유샤오잉 동국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39

        Taking textbooks of Korean languages as the research objectives, this paper is to research and analyze the semantics of conjunctive adverbs, Korean language textbooks written in Chinese published in Korea and China separately, the corresponding expressions in Chinese of conjunctive adverbs in corpus, and features of conjunctive adverbs. This paper focuses on the conjunctive adverbs ‘그래서’, ‘그러나’, ‘그러니까’, ‘그러면(그럼)’, ‘그런데(근데)’, ‘그리고’, ‘그리하여’, ‘하지만’ which are polysemous and used frequently. Meanwhile, from the perspectives of syntax and pragmatics, this paper is to summarize and clarify how to embody the semantics of eight conjunctive adverbs mentioned above and what are their features of usage frequency. In order to research and analyze conjunctive adverbs in the textbooks, particularly the features in corresponding Chinese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written in Chinese, many materials such as corpus, novels, news and TV drama scripts are selected to compare with Korean language textbooks so as to summarize the features of conjunctive adverbs in the textbooks. It will helpful for compiling textbooks, teaching Korean language and understanding Korean conjunctive adverbs.

      • 텔레비전 현상과 현대 드라마의 미학

        권두현 동국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07

        This study attempts to approach the media materialistic and technological phenomenon to the aesthetics of Korean modern drama. The media technology that this research has found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aesthetics of Korean modern drama is television. Televisions exert electro-optical effects and operate in accordance with telecommunications engineering principles. The Phenomenological Experience of the Audience on Electro-Optic Effects and Communications Engineering Principles raises unconsciousness. This study named this phenomenological unconsciousness as a 'television phenomena' and tried to prove the aesthetic relation of this phenomena and Korean modern drama in various ways. Television in postwar Korea has created a television broadcasting play. It is seen as the works which make the optical ontology as the ideological basis of the drama, such as “The Valiant”, “The Glittering Gate” which corresponds to Korean first television broadcasting play, and “Assi”, which established the practices of Korean TV soap opera. According to the optical ontology suggested by these dramas, the audiences of the drama actively imagine the flash. The audience's imagination of the flash that follows the drama's development is completed by the phenomenological experience in combination with the flash from the television screen. In other words, the phenomenological experience of the audiences surrounding a television broadcasting play is completed through a combination of optical events and dramatic events. The phenomenological unconsciousness of Audience, which is created through the combination of optical events and dramatic events, is the electro-optic unconsciousness. The technological principle of television, which works in the process of preparing the audiences' electro-optic unconsciousness, is microscopic electron optics. The microscopic electro-optics, which is completed through the use of flash, operates on the assumption of macroscopic electro-optics based on the remote movement and translation of electronic waves corresponding to the physical premise of flashes. Modern dramas introduce these macroscopic electro-optics as aesthetic principles, which can be confirmed through some modern films. As a contemporary film, “The Great Monster Yonggari” and “Paldo-Gangsan” series presents a geometric picture of the world(Weltbild) through a wide screen, which is accompanied by a topological view of the world(Weltansicht) through macroscopic electro-optics. This modern field of view secures its modernity through the theory and practice of electro-optics transcending physiological and geometrical optic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ories and practices of electro-optics are derived from television.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modern theatre requires attention because it embeds the communication engineering unconsciousness of the playwright who was a member of the electronic wave regime. The spread of electronic wave regime with the spread of television, the renewal of the information concept with the spread of the electronic wave regime, the discovery of the virtual made with the renewal of the information concept. Korean modern drama has hidden these somewhat complicated logical processes throughout the works. This is the work of Lee Geun-sam, Lee Gang-baek, Lee Hyun-hwa. Their dramatic works often show drama of virtuality, and the material basis of television is secretly located in such aesthetics of virtuality. However, Korean modern drama goes beyond showing such a material basis to showing the virtual centered on the body. In this way, this study confirmed the connection between technology and art, focusing on television and Korean modern drama. Through this, this study sought to emphasize that technology has had a profound influence on Korean modern drama. The influence was not just about the use of technology as a tool of art, but rather the more fundamental dimension of reorganizing aesthetics as a sensory system that establishes art. 본 연구는 한국 현대 드라마의 미학에 대한 매체유물론적·기술현상학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가 한국 현대 드라마의 미학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고 파악한 미디어 테크놀로지는 텔레비전이다. 텔레비전은 전자광학적 효과를 발휘하고, 통신공학적 원리에 따라 작동한다. 전자광학적 효과 및 통신공학적 원리에 대한 오디언스의 현상학적 체험은 무의식을 야기한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현상학적 무의식을 ‘텔레비전 현상’이라 명명하고, 이 현상과 한국 현대 드라마의 미학적 관계를 다각도에서 입증하고자 했다. 전후 한국에 등장한 텔레비전은 텔레비전 방송극을 탄생시켰다. 한국 최초의 텔레비전 방송극에 해당하는 <사형수>와 <빛의 문>, 그리고 한국 텔레비전 연속극의 관행을 정착시킨 <아씨> 등은 광학적 존재론을 드라마의 사상적 근간으로 삼고 있는 작품들로 볼 수 있다. 이들 드라마가 제시하는 광학적 존재론에 따라 방송극의 오디언스는 섬광을 적극적으로 상상하게 된다. 드라마의 전개에 따라 이루어지는 섬광에 대한 오디언스의 상상은 텔레비전 화면으로부터 발휘되는 섬광과 결합하여 현상학적 체험으로 완결된다. 다시 말해, 텔레비전 방송극을 둘러싼 오디언스의 현상학적 체험은 광학적 사건과 극적 사건의 결합을 통해 비로소 완결되는 것이다. 광학적 사건과 극적 사건의 결합을 통해 마련되는 오디언스의 현상학적 무의식, 그것이 바로 전자광학적 무의식이다. 오디언스의 전자광학적 무의식이 마련되는 과정에서 작동하는 텔레비전의 기술적 원리는 미시적 전자광학이라 할 수 있다. 섬광의 발휘를 통해 완결되는 미시적 전자광학은 섬광의 물리적 전제에 해당하는 전파의 원격 이동 및 변환을 전제로 한 거시적 거시광학을 전제로 작동한다. 현대 드라마는 이러한 거시적 전자광학을 미학적 원리로 도입하기도 하는데, 이는 몇몇 현대 영화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현대 영화로서 <대괴수 용가리>와 <팔도강산> 시리즈는 와이드 스크린을 통해 기하학적 세계상을 제시하는데, 여기에는 거시적 전자광학을 통해 마련된 위상학적 세계관이 결부되어 있다. 이처럼 현대 시각장은 생리학적이고 기하학적인 광학을 초월한 전자광학의 이론 및 실천을 통해 그 현대성을 확보한다. 전자광학의 이론 및 실천이 광학적 미디어로서 텔레비전으로부터 연유하고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한국 현대 연극은 전파체제의 일원일 수밖에 없었던 극작가들의 통신공학적 무의식을 내장하고 있어 주목을 요한다. 텔레비전의 보급과 함께 이루어진 전파체제의 확산, 전파체제의 확산과 함께 이루어진 정보 개념의 갱신, 정보 개념의 갱신과 함께 이루어진 가상계의 발견. 한국 현대 희곡은 이와 같은 다소 복잡한 논리적 과정을 작품 곳곳에 숨겨두고 있다. 이근삼, 이강백, 이현화의 작품들이 여기에 해당한다. 이들의 희곡 작품은 종종 가상성의 드라마를 선보였으며, 이와 같은 가상성의 미학에는 텔레비전이라는 물질적 토대가 은밀하게 자리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 현대 희곡은 이와 같은 물질적 토대를 벗어나 몸을 중심에 둔 가상계를 펼쳐 보이는 지점으로까지 나아간다. 이처럼 본 연구는 텔레비전과 한국 현대 드라마를 중심으로 기술과 예술의 연관 관계를 확인했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테크놀로지가 한국 현대 드라마에 심중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음을 부각시키고자 했다. 그 영향력은 테크놀로지가 단순히 예술의 도구로서 활용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예술을 성립시키는 감각체제로서의 미학을 재편하는, 보다 근본적인 차원에 미치고 있었다.

      • 근대시에 나타난 여행 체험과 조선 인식

        정영효 동국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07

        This thesis examines the travel experience in the modern poetry and how poets recognized and shaped 'Joseon' based on them. Travel is a process of thinking about the world through the movement and experience of space. In Joseon, where interest in civilization and the national system was high due to the intervention and domination of Japan during the colonial period and the importation of various cultures and theories, travel also served as an important mechanism for grasping internal and external situations and circumstances. Especially, as the territory of the empire expanded and reinterpreted the geographical and historical meaning of Joseon, the status of Joseon changed. In the process, the travel began to be recognized as a means by which Joseon people could explore their identity and recognize colonial reality. At that time, the poets also reinterpreted the history and culture of Joseon by discovering the meaning of the history while strengthening the recognition of the nation by specially thinking about the space called 'Joseon' through travels of pilgrimage and exploration. In addition, for the purpose of studying abroad, immigration, and wandering, the poets toward Japan and Manchuria reflected the self-consciousness as the colonial subject by looking at the boundary and the space of the exorcism centered on Joseon. The purpose of this paper, which is based on the consciousness of this problem,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dern city and travel experience, and to identify the poet's viewpoint and sense of history and culture as well as the politics and society of the colonial period, It was to grasp the influence. For this purpose, this paper shares the aspect of travel experience and paid attention to the background of poets' cognition of Joseon, its meaning, and the character of the destination. The recognition of national territory and border in the modern poetry reflected the poets' willingness to make the area of Joseon into a unique space through the history and meaning of the nation. Especially, the process of creating poetry on the basis of national travel was established by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Joseon people and sublimating them into poetic values. Despite the fact that the travel experience was mobilized, most of the works were limited to ideological orientations rather than the senses accompanying travel. Nonetheless, homeland travel has contributed to the process of projecting travel experiences into modern poetry by motivating poets to create. In addition, it can be guessed that the poetry writing made through the national trip was a personal creation experience, and they functioned as the basis of the precedent in the process of carrying out the trip, thinking about the space called "Joseon", and shaping the experience as poetry. On the other hand, the poets, who pay attention to the change of the border, looked at the migration and wanderings of the Joseon people as well as themselves in terms of people and individuals. This is because their travels proceeded for the purpose of living and escaping from colonial reality. This thesis looked at the occasion that the colonial period antiquity travel became active and the point of the poets who pursued through the antique travel. Although Japan arbitrarily interpreted the "history" of Joseon in order to demonstrate the logic and dignity of the empire while re-spatializing Joseon through a multifaceted development and maintenance plan, the poets of Joseon tried to find the value and meaning of the archaic . Japan systematically promoted the re-spatialization of Joseon, and promoted colonial Joseon and revitalized tourism by creating landmarks centered on historical sites in order to realize the logic of domination. The phenomenon and the crack that accompanied such a sightseeing could be confirmed through the poems of Kim Gi-lim and Lim Haksu. This thesis examines the experience aspect of foreign travel and the Joseon / foreign recognition of poets based on it. Since the colonial-era poets had a purpose related to studying, livelihood, and political affairs, their travel experience was absorbed into the works in connection with the times. Especially, the scenery and realities of the foreign countries encountered in Japan and Manchuria were placed in them as objects to confirm their identity as 'inside / outside' and Joseon people. In Japan and Manchuria-related works, the station and the harbor were also represented as a place to express the direction / return. It is a phenomenon that happened because poets who came to the inside / outside of Joseon projected their sense of their home country, Joseon, on their works while perceiving the reality through the station and the port. In the end, the reality that the poets should look at Joseon, which is the hometown of Joseon through the port and station, in the space of the empire reveals the situation of the colonialist who is trapped in the boundaries of the empire. The dominance of Japan and the expansion of territory weakened the status of Joseon's territory and border, and the situation of the rise of the meaning of the historical meaning gave the poets the motive and purpose of travel such as pilgrimage and exploration, It affected the senses a lot. In addition, studying, migration, and wandering led to the colonial system and reality through Japan and Manchuria. In the context of the colonial Joseon dynasty, poets' travel was a result of voluntary choices and political and social factors combined, so it is not easy to include travel experiences in modern cities in specific categories. However, this thesis focuses on poets' perception of Joseon because their travels are closely linked to the geography, politics, and history of Joseon. In short, the poets reviewed the self - consciousness and identity of the Joseon people through the travel experience, and reconsidered the ways of symbolizing the territory, the borders, the historical and the exotic. And this led to the implementation of common values ​​and the self - regulation of the poetic subject, but on the other hand it acted on them as a power to search for the personal sense and viewpoint of the object.

      • 15세기 의존명사의 형태와 분포

        서정호 동국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ist of 15th century Korean bound nouns and their distribution patterns. Until now, medieval Korean bound nouns have been discussed based on defin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bound nouns in modern Korean. However, the list of medieval Korean bound nouns presented in previous studies on medieval Korean bound nouns differed. Therefore, in this study, we examined 15th century bound nouns of the forms and distribution patterns of the preceding and following forms of the bound nouns, focusing on the forms discussed in the medieval Korean bound nouns in previous studies. In Chapter 2, we discussed the basic idea of ​​‘bound noun’ which is the center of discussion. We define bound noun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bound nouns such as ‘dependency’ and ‘nounness’, and examined the identification criteria that distinguish between bound nouns and related categories, ‘independent noun, suffix, auxiliary particle, ending’. In Chapter 3, we first review and compare the medieval Korean bound nouns with the focus on examine the medieval Korean bound nouns, focusing on Ryu, Chang-Don(1973b), Huh Woong(1975), Ko, Yong-Kun(1982), Jeong, Ho-Wan(1987), Lee, Ju-Haeng(1988). Next, we refer to bound nouns discussed in previous studies such as ‘다. 뎌, , 이긔, 젼’, and the 15th century bound noun of this article to be discussed in Chapter 4-5 has re-established the list. Bound nouns in the re-establishing list of 15th century bound nouns are divided into bound nouns without distribution constraints of the preceding and following forms and bound nouns with distribution constraints of the preceding or following forms. In Chapter 4, we examine bound nouns that have no distribution constraints of the preceding or following form among the 15th century bound nouns discussed in previous studies in Chapter 3. These bound noun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receding forms, which bound noun preceded by the adjective endings ‘-ㄴ, -ㄹ/ㅭ’ such as ‘곧1, 1, 2, , , 디4, 덛, 바, 줄1’, and the bound nouns preceded by the adjective endings and adnominal such as ‘곧2, 놈, , 분, 앛, 이, 제, 줄2’, and the bound nouns preceded by the adjective endings and ‘substantives+(-/의/ㅅ)’ structure such as ‘만1, ’, and the bound noun preceded by the adnominal and ‘substantives+(-/의/ㅅ)’ structure such as ‘’, and the bound nouns preceded by the adjective endings and adnominal, ‘substantives+(-/의/ㅅ)’ structure such as ‘것, 녁, , 닷(탓), , 적, 즈’. As a result, we examined whether the bound nouns discussed in previous studies were bound noun on 15th century. In Chapter 5, we examine bound nouns that have distribution constraints of the preceding or following form among the 15th century bound nouns discussed in previous studies in Chapter 3. These bound nouns are classified into bound nouns with distribution constraints of the preceding form such as ‘간, 겿, 대, 대로, 만2, , , , 시, 자히, ’, and the bound nouns with distribution constraints of the following form such as ‘거긔, 게, 그, , 긔, 시(드시, 디시), , 손, 슻’, and the bound nouns with distribution constraints of the preceding form and following form such as ‘3, 다, , 디1, 디2, 디3, 직’. As a result, we examined whether the bound nouns discussed in previous studies were bound noun on 15th century. In Chapter 6, we summarizes the discussion of the bound nouns of the 15th century, which were examined in Chapters 4-5. In this study, ‘것, 곧, 1, 닷/탓, 만1, 바, , 자히, 적, 줄1, 하’ were regarded as a bound noun of the 15th century which has a strong ‘bound nounness’, and ‘간, 겿, 놈, 녁, 2, , , , 다, 대, 덛, , 디2, 마/머, 만2, 분, , , 슻, 앛, 이, 제, 줄2, 직’ were regarded as a bound noun of the 15th century which has a weak ‘bound nounness’. On the other hand, among the bound nouns of the 15th century discussed in previous studies, ‘시’ was regarded as a combination of the bound noun ‘’ and the suffix ‘-이’, and ‘드시/디시’ were regarded as a different transcription of ‘시’. ‘게, , , /듸, 대로, 디4, 맛, 매, , 시, 제, 해’ were regarded as ‘bound noun+postposition’ structure or ‘bound noun+coupla’ structure such as ‘것+-이, +-, +-, +-/의, 대+-로, +-이/이-, 마+-ㅅ, 마+ㅣ-, +-, +-이/이-, 적+-의, 하+-이’ respectively. In addition, ‘곧2, , 젼, 즈’ were regarded as a independent noun, and ‘디1, ’ were included in a compound ending ‘-ㄴ디’ and ‘-ㄹ’, which are fused with the preceding adjective ending ‘-ㄴ’ and ‘-ㄹ’. Next, ‘다’ was regarded as a derivation adverb or a conjugation of verb. ‘/, 거긔, 게, 그, 이긔’ were regarded as an adverb, and ‘거긔, 게, 그’, ‘/’ preceded by the genitive postposition ‘-/의/ㅅ’ were also used in the 15th century as postposition and auxiliary particle. In addition, ‘뎌’ was the same structure as ‘noun phrase+-에’, ‘’ is a possible form of bound noun, but in the 15th century it was considered to be a fossilized form that is difficult to recognize as a bound noun. Finally, ‘긔, 손’ were regarded as a postposition. ‘’ preceded by ‘substantives+locative postposition’ structure and ‘만2’ preceded by ‘마곰, 맛감’, ‘언마’ categories were regarded as auxiliary particle. In addition, ‘, ’ preceded by verb stem were regarded as ending, ‘’ was not a bound noun, but it is possible that it was a bound noun.

      • 조선전기 筆記의 의식지향과 성격 연구

        곽미라 東國大學校 2019 국내박사

        RANK : 248607

        朝鲜王朝前期笔记的意识取向及性质研究 本文旨在分析朝鲜王朝时期笔记的共同倾向,探明其意识取向的呈现状态,这也是了解当时笔记的整体特征及文学史的一个过程。 到目前为止,对笔记的研究倾向于集中在对个别作品集(特别是『慵斋丛话』)及部分有叙事性内容轶事的研究。尤其是在研究笔记的体裁性质及分类方面,相对而言,忽视了对于网罗多种笔记集的综合性分析及取向的探索。因此,作为综合研究朝鲜王朝前期笔记的全新尝试,笔者专注于阐释笔记作者的意识取向。因为充分了解笔记集潜在的内部秩序,不仅能够发现作者个人的关注点和个性,同时也能够成为判定笔记整体性质及特征的根据。 笔记作者在作品中记录下自己日常生活中发生的事件及周围人物的简短轶事,如果只分析单个作品,那它不过是一个非常短小的故事。其实,可以毫不夸张地说,大部分笔记都是这种类型的记录。那样的话这些短篇作品的目的仅仅是单纯地记录并传达自己生活中的见闻,还是通过这些记录旨在表达些什幺,仅通过分析单个作品是很难得出答案的。但是如果将单个作品汇总进行分析,就不难参透作者的意图了。因为作者并不是在个别作品中展现自己的单一视角,而是在多个作品中脉络相互重叠的情境之下,流露出自己迂迴式且多元化的认知。因此作者想要表达的意图在单个作品中没能得到很好的体现,但通过作品集聚,反而会得到充分的展示,这也是作者所追求的目标。即作者偏向于在编纂笔记集的过程中,预先设定好自己想要表达的对象和理念,对此选取多种多样的轶事进行叙述,来展现自己的世界观。 由于笔记集是多种单一短篇作品的合集,并不适用于固定统一的结构框架,所以必须要了解笔记的整体取向,进而提取出根据这种整体取向自然体现出来的性质及特征。基于这种问题意识,本文将『笔苑杂记』、『靑坡剧谈』、『慵斋丛话』、『秋江冷话』、『謏闻琐录』等五部基本具有笔记综合性质的笔记集作为主要研究对象。另外,对于今后将如何研究韩国文学中的笔记,本文中所做出的尝试及说明也是很值得思考的内容。 即使是具有综合性质的笔记集,根据作者核心目标的不同,各自也具有不同的特性,但是可以确定的是作品都体现了作者身为“士”的主观意识的觉醒及文明意识。朝鲜王朝前期笔记中所强调的“时事”,根据时代的变迁及作者在社会上、政治上的立场变化必然会有所改变,不过仍然存在一种共同的时代精神,即在歷史的转折点上完善国家体制、重建自己所构想的理想社会、使朝鲜王朝成为文明国家等。他们通过笔记描写再现了自己周边的人物,从某种程度上来讲,这些人物代表了自己及自己的内心世界,这是一种为确保自身行为及理念的正确性、对自身本质的探索。同时,在这个过程中,对包含自己在内的文人知识分子阶层能力的炫耀、对这一阶层其他人物的喜爱及连带感也有所体现。 在朝鲜王朝中期,对于这种本质的探索已告一段落,当时作者的注意力主要转移至对历史事件的叙述。尤其是历经四次士祸,他们所遭受的流放、死亡等不可抗性的政治挫折及苦痛,而这些反而成为了文学创作的题材。因此可以说朝鲜王朝前期的笔记是士阶层探寻自身本质的过程,这是与中期笔记相比,前期笔记所具有的的独特之处。 本文的研究成果总结如下: 在进入本论之前,作为准备工作,首先明确了笔记的定义和范围,并确定好主要研究对象。即笔记是士阶层散乱记述自己见闻的短篇记录性作品;士祸这一历史因素,改变了朝鲜王朝时期文学史的走向,所以本文以士祸作为划分朝鲜王朝前期(15世纪)笔记的界限;当时共有11名作者编纂的15部笔记作品集,除去专门类笔记,本文的研究对象则定为『笔苑杂记』、『靑坡剧谈』、『慵斋丛话』、『秋江冷话』、『謏闻琐录』等具有笔记综合性质的作品集。 在第二章中,笔者主要针对丽末鲜初时期笔记得以产生并盛行的社会、文化、历史背景及笔记的创作主体士大夫文人等方面从三个角度考察了文学史的走向。 首先,通过对武臣统治时期文人知识分子阶层的动向和思想的考察,阐明笔记的形成动因。从高丽王朝前期的门阀士族,到高丽王朝后期的新兴士大夫,为迎合对自身本质的探索,他们开始进行笔记创作。当时,李仁老的『破闲集』展现了笔记最初的样貌,之后,崔滋编写的『补闲集』使韩国文化史上笔记文学这一重要走向得以形成。早期的笔记可概括为“诗话”,是与传统诗文形式完全不同的一种体裁和写作风格。 其次,考察了笔记受到唐宋笔记类作品引入的影响后所发生的变化。在高丽王朝中期时正式引入了宋代历史记录型笔记,这类笔记给韩国文学带来知识性刺激,在相当程度上为韩国笔记提供了外在的框架。其中,『归田录』的影响尤为深远。在很多文献中都有关于韩国文人诵读『归田录』的记录,可以试说笔记在某种程度上受到了该作品样式的影响。考察结果表明,早期笔记以诗话为主,直至『栎翁稗说』发生了明显变化,作品中轶事所占比重大幅上升。实际上,『栎翁稗说』的体裁和内容与『归田录』十分类似,而且作品中野史色彩也十分鲜明。 第三,笔者将朝鲜王朝前期笔记盛行的背景及变化与士大夫文人相关联,并在这种关系中对其进行考察。朝鲜王朝前期的士大夫文人批判之前以诗话为主的叙述,强调“时事”的重要性,这种观点在当时极为普遍。于是,笔记中所记录的素材和内容得到了扩展,并且更贴近现实、可以涵盖更为多种多样的人物和社会现象。另外,在朝鲜王朝前期开展了一系列国家层面的活动,如在成宗的好学博学下展开的弘文馆活动、赐暇读书、国家编纂项目等。因此,士大夫文人得以积累各种经验和知识,并开始注重“时事”,这样笔记的性质也发生了一定的改变。 在第二章的基础上,第三章将朝鲜王朝前期笔记集中的内容从“人物”、“社会”、“知识”三个层面进行分类分析,细致考察了其中的意识取向形态,目的是超越每部笔记集所固有的特性,以更为广阔的视角来阐明朝鲜王朝前期笔记所具有的整体取向价值。 首先,笔者将记录人物轶事的作品汇总,考察笔记作者身为“士”所向往的意识取向形态。朝鲜王朝前期笔记集里所描绘的人物形象是理想型的士大夫形象,这些士大夫形象具体表现为清廉而朴素、有度量、坚守信念并且为人正直,或是德行高尚全心爱民等等。除此之外,还有很多才艺超群、各式各样的人物轶事收录其中。作品中主要通过周围人物的评价来对人物形象进行刻画,强调其“能力出众”和“天赋异禀”。不过,对人物的描写与评价并不是基于其地位或名声,而是单纯地评价其能力,这也是笔记作者所追求的价值取向。可以确定的是他们通过这样的书写来认识自己,无论他们各自的实际生活如何,他们同作为文人知识分子阶层是相互团结在一起的。 接下来主要分析了笔记中具有野史性特征的作品,阐明笔记作者身为“官吏”所向往的意识取向形态。在这一部分中考察了士阶层眼中的朝鲜王朝前期社会政治的现实状况,探讨了他们关于历史和风俗方面的记录和评价。他们最先捕捉到的现实问题就是前朝残留下来、带来更严重社会问题的佛教弊病和奢侈享乐之风。除此以外,他们也很关注官员录用问题,因为宦路是证明自身实力、发挥自己能力的途径。作者在笔记中描述了这些社会问题,并对其进行揭露和批评。此外,将忠、孝、烈等儒家道德理念视为普遍价值并对其进行追求的一面、自身主体意识的觉醒等在作品中也有所体现。当时笔记作者通过强调这些儒家伦理不仅在自身所处阶层,在下层人民的实际生活中也有所体现这一事实,来确认和宣扬人类的普遍价值。 最后,将笔记中具有知识谈论性的作品汇总,考察笔记作者身为“文人”所向往的意识取向形态。笔记作者这一知识分子阶层关注历史、渴望广泛了解周边事物,拥有对典籍的探索及对文学、艺术的文化性追求。他们基于丰富的体验和灵活的思考,表现出对知识的渴望,所以笔记中所收录的素材和内容十分丰富。其中,尤其是在国内游览,并作为使节前往中国和日本,接触并体验多样的文化后,他们的视野也随之拓宽,对世界的认知也随之扩展。这样,当时士大夫社会中所充斥的这种对于博学的追求既是对自身知识性欲望的满足,也是理解社会现实、解决社会问题所需的一种方法。另外,士阶层也是一种在学问方面相互竞争的产物。到朝鲜王朝中后期时笔记的这种取向则延续至类书类、丛书类笔记的编写,成为“箚记体笔记”的一部分。 在第四章中,主要考察了笔记的外延扩展和变化现象。笔者注意到与高丽王朝时期的笔记相比,朝鲜王朝前期笔记中稗说、笑谈的色彩更为鲜明,于是,在文学史的大背景之下对两个时期的作品进行了对比分析。朝鲜王朝前期的笔记尽管基于作者的意识取向形成了自己独有的特征,但是并没有脱离士大夫文人社会的界限。不过『慵斋丛话』中所记录的对象扩展至民间故事,发生了很大变化。例如,如果说之前笔记中大部分记录的是作者生活周围所见所闻的士大夫轶事的话,那么现在开始大量收录具有稗说倾向的作品。在内容方面,随着民间说话的引入,添加了非现实性要素,也带有笑谈的倾向。最终,单调的叙事方法变得多样化,叙事的篇幅也有所增加。通过这种方式,朝鲜王朝前期笔记中引入民间说话,进而笔记兼具见闻记录与稗说双重性质。这样一来,笔记的外延得以扩展和并发生改变,这也是之后野谈得以形成的决定性因素,在笔记历史中具有很重要的意义。 通过以上的研究,揭示了朝鲜王朝前期笔记的整体面貌及意识取向形态,找出了贯穿韩国文学中笔记历史的基准点。然而,尽管取得了这些研究成果,但是对于该时期笔记的整体探索,仍有很多问题亟待解决。例如,在朝鲜王朝前期,士大夫文人的意识取向通过多种文学体裁得以展现。毋庸置疑,在各类体裁中,笔记中所暗含的这种士大夫意识是最为丰富的。通过与其他体裁的比较,详细考察其具体形态如何,便是问题之一。另外,也有必要将其与朝鲜王朝中后期的笔记进行比较,来探索前期的关注点及意识取向是如何维持及改变的,这样,朝鲜王朝前期笔记的整体外观及性质将会更加明朗,这也是今后将要探讨的课题。 关键词:朝鲜王朝前期,笔记,士阶层,意识取向,性质,本质,时代精神,内在意识 This study was conceived by a plan to analyze the common tendencies of Pilgis[筆記] in the former half of Joseon and figure out the ways that the aspects of conscious-orientedness were expressed in them. The study also presented a process of examining the total nature and flow of Pilgis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those days. Previous studies on Pilgis were concentrated on individual collections of Pilgis, especially Yongjaechonghwa[󰡔『慵齋叢話』,], and tended to focus on only some episodes considered to have narrativity. As researchers devoted their efforts to the genre nature of Pilgis or the classification of their types, an inquiry into total analysis or orientation encompassing various collections of Pilgis was pushed outside their attention. Making a new attempt at examining Pilgis in the former half of Joseon in a synthetic manner, the study focused on the conscious- orientedness of their compilers. Looking into an internal order that Pilgi collections were oriented toward would help to show the individual interest and individuality of compilers and, at the same time, provide a set of criteria to figure out the overall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Pilgis. Based on this problematic consciousness, the study focused on five Pilgi collections that basically had total nature including Pilwonjapgi[『筆苑雜記』,], Chongpageukdam[『靑坡劇談』,], Yongjaechonghwa[『慵齋叢話』,], Chugangnaenghwa[『秋江冷話』,], and Somunsoaerok[『謏聞瑣錄』,]. The attempt and interpretations of the study will provide an important point that should be considered as to the future direction of research on Pilgis in Korean literature. The findings show that compilers would reveal their respective individuality according to their central indexes even in Pilgi collections of synthetic nature but all have independent awakening and civilized consciousness as "classical scholars." "Current events" emphasized in Pilgis in the former half of Joseon could not help having different textures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times and compilers' social and political positions. They all, however, had the common spirit of the times to complete a state system at a historical turning point and reorganize the state into their ideal society under the goal of building Joseon as a nation of civilization. In Pilgis, they objectified constantly their aspects and internal consciousness by depicting and embodying figures in their surroundings, which was their inquiry into identity to ensure the legitimacy of their acts and ideology. In this process, they would develop affection and solidarity for their same kind, showing off the abilities of their groups. In middle Joseon, their inquiry into identity was completed. The compilers would now move their main interest to historical events. Going through four massacres of scholars, in particular, they suffered irresistible political frustration and pain such as exile and death and found active literary materials in their experiences. It is thus safe to say that Pilgis in the former half of Joseon were part of the process for the Sa[士] class to find their identity. It is a characteristic unique to the Pilgis in the former half of Joseon compared with the nature of Pilgis in middle Jose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checked the overall aspects of Pilgis in the former half of Joseon and the patterns of conscious-orientedness in them and developed a set of reference points to figure out the historical flows of Pilgis consistently in Korean literature. Despite these research achievements, however, there is a need to solve much more issues to make a total approach to Pilgis during this period. In the former half of Joseon, various literary genres revealed the conscious- orientedness of literary figures among noblemen. It is not, of course, Pilgis that contain their consciousness in the most colorful ways, but they need thorough examination for their specific patterns in comparison with other genres. It is also needed to compare them with their counterparts in middle and late Joseon to see how people's interest and orientation during the former half of Joseon continued and changed. These efforts will help to depict the total aspects and nature of Pilgis in the former half of Joseon more clearly. This issue will be one of future tasks. Keywords: former half of Joseon, Pilgi, Sa[士] class, nature, conscious-orientedness, identity, spirit of the times, internal consciousness 본 논문은 조선전기 筆記의 공통적 성향을 분석하여 의식지향의 면모가 어떠한 양태로 표출되고 있는지 밝히고자 계획한 것이다. 이는 이 시기 필기의 총체적인 성격과 문학사적 흐름을 파악하기 위한 과정이었다. 지금까지 필기에 대한 연구는 개별 작품집 연구-특히 『용재총화』,에 집중되었으며, 서사성이 있다고 간주되는 일부 일화만을 중심으로 진행되어온 경향이 있다. 특히 필기의 장르적 성격이나 유형 분류 등에 천착하게 되면서, 여러 필기집을 포괄하는 종합적인 분석이나 지향에 대한 탐색은 상대적으로 관심의 영역 밖에 놓이게 되었다. 따라서 조선전기 필기를 종합적으로 연구하기 위한 새로운 시도로써 찬자의 의식지향에 주목하여 개진해본 것이다. 필기집이 지향하고 있는 내적인 질서를 파악하는 것은 찬자 개인의 관심과 개성을 드러내는 동시에 필기 전반의 성격과 특징을 가늠할 수 있는 기준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토대로 작성되었으며, 기본적으로 필기의 종합적 성격을 지니고 있는 5종의 필기집 『筆苑雜記』, 『靑坡劇談』,, 『慵齋叢話』,, 『秋江冷話』,, 『謏聞瑣錄』,을 주요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한국문학에서 필기에 대한 연구가 앞으로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인가 하는 점에 있어서, 본 논문의 시도와 해석은 마땅히 고려해 볼 만한 중요한 지점이었다. 그 결과 종합적인 성격의 필기집이라도 찬자의 중심 지표가 어디에 있느냐에 따라 각각의 개성을 지니게 되었지만, 모두 ‘士’로서의 주체적 각성과 문명 의식이 있었음을 확인하게 되었다. 조선전기 필기에서 강조한 ‘時事’는 시대의 변화, 찬자의 사회‧정치적 입장에 따라 그 결이 달라질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역사적 전환점에서 국가의 체제를 완성시키고, 자신들이 그리는 이상적인 사회로 재편하여, 조선을 문명의 국가로 만들어야 한다는 공통된 의식이 존재했다. 그들은 필기를 통해 자기 주변의 인물들을 묘사하고 구현해내면서 자신의 모습과 내면 의식을 일정하게 대상화하였다. 이는 자신의 행위와 이념의 정당성을 확보하려는 正體性의 모색이었다. 그 과정에서 자신이 속한 집단의 능력을 과시하는 등 동류에 대한 애정과 연대감이 발생되기도 했다. 조선중기에는 이러한 정체성의 모색이 일단락되었으며, 이제 찬자의 주된 관심은 역사적 사건으로 옮겨가게 되었다. 특히, 네 차례의 士禍를 겪으면서 그들이 경험한 유배와 죽음 등의 불가항력적인 정치적 좌절과 고통은 오히려 적극적인 문학제재가 되었던 것이다. 이렇듯 조선전기 필기는 사계층의 정체성 찾기의 한 과정이었다고 해도 무방할 것이다. 조선중기 필기의 성격과 비교해 보았을 때, 이는 조선전기 필기만의 특징적인 면모라고도 할 수 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서 조선전기 필기의 전반적인 면모와 의식지향의 양상을 확인하고, 우리문학에서 필기의 史的 흐름을 일관되게 파악할 수 있는 준거점을 마련할 수 있었다. 다만, 이러한 연구 성과에도 불구하고 이 시기 필기의 총제적 접근을 위해서는 더 많은 문제들이 해소되어야 한다. 조선전기에는 다양한 문학 장르에서 사대부 문인의 의식지향을 드러내고 있다. 물론, 사대부의 의식을 가장 다채롭게 담아낸 것이 필기라고 할 수 있지만, 그 구체적인 양상은 어떠한지 다른 장르와의 비교를 통해 면밀히 고찰해 보아야 할 부분이다. 또한 조선전기의 관심과 지향이 어떻게 지속되고 변모하는지 조선중‧후기의 필기와 대비시켜 파악할 필요가 있다. 그렇게 했을 때, 조선전기 필기의 총체적인 면모와 성격이 보다 뚜렷해질 것이다. 이 문제는 앞으로의 과제로 남겨둔다. 핵심어: 조선전기, 필기, 사계층, 의식지향, 성격, 정체성, 시대정신, 내면의식

      • 20世紀 前半期 韓國 現代詩 題目의 計量的 硏究

        왕위령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1807

        韓國現代詩歌題目語料庫收集有20世紀前半期,即20年代到50年代由韓國344名 詩人創作、出版的8,217首詩歌題目。本論文以韓國現代詩歌題目語料庫為研究对 象,重點考察20世紀前半期韓國現代詩歌題目的功能以及題目詞彙的文學統計特 徵。本論文的結論主要可以概括為以下兩個方面。 首先是依據羅曼·雅各布森的語言交際理論對韓國現代詩歌題目的功能特徵進行了 歸納總結。 1. 韓國現代詩歌題目所發揮的支配性功能共計六種,即指稱功能、情緒功能、交際功能、元語言功能、詩的功能、意動功能,而其所發揮的輔助性功能共計五種,即指稱功能、情緒功能、交際功能、詩的功能、意動功能。 2. 該時期韓國現代詩歌題目所發揮功能中最引人注目的一點是,無論是在支配性功能還是在輔助性功能之中,指稱功能在數量上都佔據絕對的壓倒性優勢。依據指稱功能的一級和二級分類標準可以得知,韓國現代詩歌題目中指稱功能佔據支配地位時,指稱‘自然’的題目為數最多,之後依次分別是指稱‘空間’、‘人類’、‘人工物品’、‘抽象概念’、‘時間’、‘動作·狀態’、‘其他’、‘修飾語’的題目。韓國現代詩歌題目中指稱功能佔據輔助地位時,‘動作·狀態’的題目為數最多,之後依次分別是指稱‘空間’、‘人類’、‘時間’、‘自然’、‘抽象概念’、‘修飾語’、‘人工物品’、‘其他’的題目。 3. 韓國現代詩歌題目的支配性情緒功能主要是通過疑問式終結詞尾、感歎式終結詞尾、感嘆號、補助形容詞、感情感歎詞、問號來實現的。而輔助性情緒功能則主要是通過感嘆號和感情感歎詞來實現的。 4. 韓國現代詩歌題目的支配性意動功能主要是通過命令式終結詞尾、共動式終結詞尾、補助動詞、意志感歎詞來實現的。而輔助性情緒功能則主要是通過意志感歎詞來實現的。 5. 韓國現代詩歌題目的元語言功能主要是通過‘無題’和‘失題’型題目,以及圖形的形式來實現的。 6. 韓國現代詩歌題目的支配性詩的功能主要是通過省略法來實現的。而輔助性詩的功能則是通過對偶、反復、倒置等修辭手法來實現的。 7. 韓國現代詩歌題目的支配性交際功能主要是通過人稱代名詞來實現的。而輔助性詩的功能則是通過敬語、人稱代名詞、呼格助詞、與格助詞來實現的。 其次是詩歌題目的文學統計特徵。 1. 從統詞構成的角度來看,該時期韓國現代詩歌的題目主要是由詞彙、短語和句子構成的。其中由詞彙構成的題目為數最多,其次是短語和句子。由詞彙構成的題目中,名詞詞彙所佔據的比率最大。由短語構成的題目中,名詞短語最多,其次 是動詞短語和副詞短語。句子形態的詩歌題目中出現了陳述句、疑問句、命令句、感歎句、共動句五種形式,其中陳述句的比例最高。 2. 以語料庫中收錄有10篇以上詩歌作品的114名詩人為對象,重點分析了這些詩人詩歌題目長度的最大值、最小值、平均值等信息。通過分析發現,詩歌題目長度平均值偏高的詩人傾向于使用短語或句子形式的題目,而詩歌題目長度平均值偏 低的詩人則傾向于使用詞彙式題目。 3. 該時期韓國現代詩歌題目中所使用的高頻度詞彙主要由固有詞彙和漢字詞彙構成。從詞彙論的角度分析,共出現了1音節、2音節、3音節、4音節四種形式,其中2音節的詞彙所占的比重最大。對高頻度詞彙意義論的考察按照名詞、動詞、 人稱代名詞、形容詞的順序依次展開。在意義論分析時重點結合了韓國當時的社會和歷史背景。 4. 該時期韓國現代詩歌題目的詞彙主由固有詞彙、漢字詞彙、外來詞匯和其他類型的詞彙所構成。其中固有詞彙的比重最高,其次是漢字詞彙。 5. 該時期韓國現代詩歌題目中低頻度詞彙的考察主要是圍繞‘個人詞彙’展開的。‘個人詞彙’中名詞的比率最高,固有名詞、動詞、形容詞、副詞、數詞所占的比率也相對偏高。從內容上看,‘個人詞彙’主要由固有名詞、字典收錄詞彙、字典未收錄詞彙、錯誤標記詞彙、異型標記詞彙構成。論文針對語料庫中收錄有10篇以上作品的114名詩人在題目中所使用的‘個人詞彙’進行了文學統計分析。 6. 通過借助相關指數的計算方法,得出該時期韓國現代詩歌題目中所使用的詞彙與詩歌本體中所用的詞彙之間存在有密切的相關性。 본 논문은 20세기 전반기 한국현대시제목코퍼스(이하 ‘제목코퍼스’로 칭함)를 연구대상으로 삼아, 문학통계의 방법으로 한국 현대시 제목의 기능적 특징 및 계량적 특징을 고찰하였다. 제목코퍼스는 1923-1950년 사이에 출판된 한국현대시집에 수록된 8,217 편 시작품(시인수 344명)의 제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한국현대시 제목이 수행하는 기능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제목의 지배적 기능은 언어전달이론에서 말하는 6 가지 양상을 보이는데, 곧 지시적 기능, 정서적 기능, 명령적 기능, 메타언어적 기능, 시적 기능, 친교적 기능이다. 보조적 기능은 메타언어적 기능이 제외된 나머지 5 가지 기능이 포함된다. 2. 제목의 지시적 기능이 지배적 기능과 보조적 기능에서 월등이 높게 나타난다. 지시적 기능을 세분화하면 지배적으로는 ‘자연’, ‘공간’, ‘인간’, ‘인공물’, ‘관념어’, ‘시간’, ‘동작·상태’, ‘기타’, ‘수식언’의 순으로, 보조적으로는 ‘동작·상태’, ‘공간’, ‘인간’, ‘시간’, ‘자연’, ‘관념어’, ‘수식언’, ‘인공물’, ‘기타’의 순이다. 3. 제목의 정서적 기능은 지배적으로 의문형 종결어미, 물음표, 감탄형 종결어미, 느낌표, 감정 감탄사, 보조형용사 등 형식을 통해서 의문이나 감탄, 의도의 정서를 표현한다. 보조적으로 느낌표와 감정 감탄사를 통해서 감탄의 정서를 표현한다. 4. 제목의 명령적 기능은 지배적으로는 명령형 종결어미, 보조동사, 의지 감탄사, 청유형 종결어미 등을 통해 적극적 명령과 소극적 명령을 표현한다. 보조적으로는 의지 감탄사와 느낌표에 의한 명령을 표현한다. 5. 제목의 메타언어적 기능은 지배적으로 ‘무제’와 ‘실제’, 도형의 형식으로 이루어진다. 6. 제목의 시적 기능은 지배적으로는 생략법, 보조적으로는 대구법, 반복법, 도치법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 7. 친교적 기능의 지배적 표현으로는 인칭대명사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보조적 표현으로는 높임법, 인칭대명사, 호격조사, 여격조사 등 수단, 그리고 이 네 가지 수단 중에 두 가지 이상을 결합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둘째, 한국 현대시 제목의 계량적 특징은 6 가지로 요약된다. 1. 제목은 한 단어, 구, 문장의 통사적 구성을 가진다. 한 단어로 구성된 제목의 비중이 제일 크고, 그 다음에 구와 문장의 순이다. 2. 구나 문장으로 된 제목을 많이 쓰는 시인의 제목 길이는 높은 수치로 나타나고, 한 단어로 구성된 제목을 많이 쓰는 시인의 제목 길이는 낮은 수치로 나타난다. 3. 제목의 어휘 종류별 특성으로는 고유어 어휘의 비율이 높고, 그 다음에 한자어, 기타, 외래어의 순서이다. 4. 고빈도 어휘의 음절은 1음절, 2음절, 3음절, 4음절 4가지 양상을 보이고, 그중에서 2음절 어휘의 비중이 제일 높다. 5. 개인시어는 고유명사, 사전 등재어와 비등재어 등으로 구성된다. 6. 상관지수의 개념을 통해 한국현대시 제목 어휘와 본문 어휘 사이에는 뚜렷한 상관성이 존재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 순천지역 판소리 전승 양상 연구

        정혜정 전남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07

        Pansori is an art that appear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Pansori singer need long efforts to get the status of honorary mention. They were recognized as a master singer in the process of being recognized by many people for their pansori sound skills. This means that pansori is an art that is consumed and produced mainly by the coriander layer. Until now, the study of pansori has mainly been centered on the central stage. But, Pansori also exists in the area. Therefore, research on this is also necessary. It is important to look at how the unique localities and historical features of a particular area are related to the local Pansori culture. This will help you to understand Pansori as a whole. In the late Joseon Dynasty, Honam area was the main activity area of Pansori master singer. It is also the place where personal patron such as Shin Jae Hyo wh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Pansori acted. and Jeoll Provincial Office, Government office, and Military camp are the centers of Pansori development. It served as a pansori consumer. The Suncheon area is geographically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six districts east of Jeolla province. and facilitates cultural exchange with the surrounding area. So it is easy to have cultural exchange with the surrounding area. Suncheon has a tradition of Suncheon Dohobu and Gunjin. It is also the area where the Pansori ritual such as the Suncheon daesaseup is held. In addition, the harbor and the market have developed, and products and cultural exchanges have been actively organized.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the city grew into a provincial city. As a result, it became the center of education and transportation. and It became a consumer and educational center of Pansori. Suncheon had a tradition of aesthetic culture, such as Seonyurak(Boating Dance), performed at Hwanseonjeong. The Jeolla-Jwasuyeong, ChiTa military office(Korean instrument orchestra) and Gyobang were the source of the pansori tradition. Pansori in Suncheon area could develop in The Japanese occupation. because of local maintenance who were both pansori enjoyinger and patron. As a pansori patron, they did not spare material and spiritual support. The sponsorship culture of Suncheon area was maintained until The Japanese occupation. However, after liberate, it gradually weakened. In the 1970s, Pansori supporters were formed centering on local supporting member. However, it was dissolved for various reasons. After that, sponsorship culture was activated again after 1980s. The sponsorship culture is greatly contributing to the Pansori tradition in Suncheon area. 'Suncheon Gwonbeon(a gisaeng call-office)' is the first pansori organization in Suncheon area. Suncheon Gwonbeon is a Sunchon Pansori educational institute that links Shinchung(a shamanistic organization) and Gyobang. The Suncheon Gwonbeon first started in cooperative form. In 1936, it was changed to Gwonbeon. Since 1946, 'Suncheon Kukjakwon' has been in charge of Pansori education in Sunchon area. However, after Park Bong Sul left Sunchon, Pansori education enters a recession period. There were no local patron and After the liberation, the confused situation of the times was duplicated. For this reason, education has not been done well. It is noteworthy, however, that the local Changgeuk activities were carried out in the Suncheon area during this period. In the 1970s, the 'Suncheon Korean Traditional Music Association' was founded, and Pansori education was revitalized around this place. In the 2000s,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ansori Promotion Association' was established in Suncheon area. Pansori contributed greatly to being listed as a UNESCO humanity'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 records of Pansori singer in Suncheon area start with 'Oh, Kyoung-Joon' and 'Kim, jil-yup'. This record is in book ‘󰡔Chosun Changgeuksa󰡕’. Among the nationally active singer, there are those who made the Suncheon area the main activity and educational site. For example, ‘Song, Mun-Gap’, ‘Yoo, Sung-Joon’, and ‘Park, Bong-Sul’. ‘Park Bong-Sul’ is educated many students as an educator. So, it is a person who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tradition of Pansori in Suncheon area. Among Pansori intestines in Suncheon area, there are "Hyang Chang" in the area. "Hyang Chang" is refers to a Pansori singer based on a specific area. They have influenced the tradition of Pansori in Suncheon area. Most of them are from a shaman family and have a kinship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After the foundation of the Suncheon Korean Music Association in the 1970s, there were Hyang Chang who acted as Pansori drummer. They are still active. In Suncheon, ‘Song, Soon-Seop’ and ‘Ju, Sun-Ja’ are trying to teach pansori. There is a record of the Pansori tradition in the Suncheon area. It is <GwanGeuk․Si․Sa> and <Suncheonga> which Lee Young-min created. These are the literary achievements of Pansori in Suncheon area. In the Suncheon area, Dongpyeonje was mainly handed down at the time of 'Oh, Kyoung-Joon' and 'Kim, jil-yup' activities. Sopyonje and Boseong Pansori were also handed down in Japanese occupation. It is because of the change of taste of the pansori enjoyers. The Hyang Chang in Suncheon area learned together with Sopyonje and Boseong Pansori. As a result, the sound of the area has diversified. However, the tradition of Dongpanje still remains strong compared to other regions. It is because of the influence of the ‘Park Bong-Sul’.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the Pansori performance in Suncheon area was centered on theater and ‘Pung Lyu Bang’(taste[appreciation] for the arts Room). The theater, which is a complex cultural space, appears in Suncheon, and it is considered that the Pansori ritual was performed more actively. Suncheon is a concert venue that can be visited with local people. So it was an open space for everyone 'Sung, Jung-Su' is Sunchon's representative Pansori Enjoyer and patron. The house of Sung Jeong-su served as ‘Pansori Pung Lyu Bang’ in Suncheon area. Pansori tradition continued around this place. It can be seen that the culture of pansori enjoyment centered on these few people was in the 1990s. However, since the pansori performance centered on the ‘Pung Lyu Bang’ can only be enjoyed by a small number of people, the Enjoyers is limited. The significance of Pansori in Suncheon area to culture and art histor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is a record left by Byeok So 'Lee, Young-Min'. This record proves that the literature related to Pansori has been produced and preserved in Suncheon. This record is of great value because it is an invaluable archival material for our cultural and art history. Secondly, the tradition of the East Pyejae, which is followed by ‘Song, Mun-Gap’ - ‘Park, Bong-Sul’ - ‘Song, Soon-Seop, is now under way. This proves that Suncheon is the linking area of Dongpyeonje. Third, Hyang Chang's continued activity has contributed greatly to the tradition of Pansori culture in Suncheon area. It is meaningful that Hyang Chang can confirm that he plays another part in the local Pansori tradition. Fourth, the culture of sponsoring Pansori continued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until the present day. This sponsorship culture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tradition of Pansori in Suncheon area. It can be seen that sponsorship culture is an important element of Pansori tradition. 판소리는 조선후기에 새롭게 등장한 흥행 예술이다. 판소리 창자들은 오랜 기간 각고의 수련 과정을 거치고, 대중 앞에서 판소리 소리 실력을 인정받는 과정을 통해 명창의 반열에 올랐다. 대중에게 인정받는 과정을 거쳤다는 것은 판소리가 향유층을 중심으로 소비되고 생산되는 예술이라는 것을 뜻한다. 지금까지는 이루어진 판소리 연구는 주로 중앙무대 중심이었다. 하지만 지역에도 판소리는 존재하고 있기에 이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특정 지역만의 독자적인 지역성과 역사성 등이 지역 판소리 문화와 어떤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판소리 전반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기 때문이다. 조선후기 호남지역은 판소리 명창들의 주요 활동지였다. 아울러 판소리의 발전에 영향을 끼친 신재효와 같은 개인 후원자가 활약했던 곳이기도 하다. 또한 전라감영과 관아, 군진 등은 판소리 발전의 중심지로 자리매김 하였는데, 판소리 소비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순천지역은 지리적으로 전라도 동부 6군의 중앙에 위치하여 주변 지역과의 문화적 교류가 용이한 곳이다. 순천도호부와 군진이 있었던 순천은 읍치의 전통을 지닌 곳으로 순천대사습과 같은 판소리 연행이 펼쳐진 지역이기도 하다. 또한 해로와 장시가 발달되어 상품과 문화교류가 활발히 이뤄진 곳으로, 일제 강점기 근대화 과정을 거치면서 지방의 거점 도시로 성장한 지역이기도 하다. 그 결과 교육과 교통의 중심지가 되었고, 판소리의 소비지이자 교육지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 순천은 환선정에서 행해졌던 선유락과 같은 풍류문화의 전통을 지니고 있었던 곳으로, 전라좌수영의 취타군청과 교방 등은 판소리 전승의 담당층을 배출할 수 있는 원천이 되었다. 일제 강점기 순천지역 판소리 발전 배경으로 판소리 향유자이면서 후원자였던 지역의 유지들의 역할을 들 수 있다. 이들은 판소리 후원자로서 물질적·정신적 후원을 아끼지 않았다. 일제 강점기까지 유지되던 순천지역 후원문화는 해방 후 점차 약화되었다. 1970년대에는 지역유지들을 중심으로 판소리 후원회가 결성되었으나 여러 가지 이유로 해산하게 된다. 그러다가 1980년대 이후 다시 후원문화가 활성화되면서 순천지역 판소리 전승에 큰 도움이 되고 있다. 순천지역의 판소리 관련 단체로는 일제 강점기의 ‘순천권번’을 제일 먼저 들 수 있다. 순천권번은 신청과 교방을 잇는 순천 판소리 교육기관이다. 초기 조합 형태로 출범하였다가 1936년 권번으로 바뀌었음을 확인하였다. 순천권번 해체 후 ‘순천국악원’이 1946년부터 순천지역의 판소리 교육을 담당하였다. 그렇지만 박봉술이 순천을 떠난 후 판소리 교육은 침체기에 접어든다. 지역의 후원자가 없었다는 점과 해방 전후의 혼란 등 시대적 상황 등이 중첩되면서 소강상태가 지속되었기 때문이다. 다만 이 시기 순천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한 향창들이 지역창극단 활동을 하였다는 것은 주목할 만하다. 이후 1970년대에 ‘순천국악협회’가 창립되었고, 이곳을 중심으로 판소리 교육이 다시 이뤄졌다. 2000년대에 들어와 순천지역에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판소리진흥회’가 설립되었는데, 판소리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는데 크게 일조하였다. 순천지역 판소리 창자에 대한 기록은 󰡔조선창극사󰡕의 ‘오끗준’과 ‘김질엽’에 관한 내용에서부터 시작된다. 전국을 기반으로 활동했던 창자 중에는 순천지역을 주요 활동지와 교육지로 삼았던 이들이 있는데, 송만갑, 유성준, 박봉술 등이 대표적이다. 그 중 박봉술은 교육자로서 많은 제자를 양성하였기에 순천지역 판소리 전승에 큰 영향을 끼친 인물이라 할 수 있다. 순천지역 판소리 창자 중에는 지역을 기반으로 한 향창들이 있다. 향창은 특정 지역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창자를 말한다. 향창은 순천지역의 판소리 전승에 많은 영향을 끼친 이들이라 할 수 있다. 향창들은 대부분 무계집안 출신의 혈연관계로 이어져 있는데, 상호 연계하여 활동하였다. 1970년대 순천국악협회가 창설된 후 판소리 고수로 활약한 향창들이 있었는데, 이들은 현재도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지금은 송순섭과 주순자 등이 판소리 교육에 힘쓰고 있다. 순천지역 판소리 전승에 대해 알 수 있는 기록으로 이영민의 <관극·시·사>와 <순천가>가 있다. 이것은 순천지역 판소리를 문학적으로 전승한 결과물들이다. 순천지역은 오끗준과 김질엽이 활동하던 시기, 동편제가 주로 전승되고 있었으나 일제 강점기에 들어서 서편제와 보성소리도 함께 전승되었다. 판소리 향유층들의 소리 취향 변화로 인해 순천지역 향창들은 서편소리와 보성소리를 함께 배워 전승하게 되된 것이다. 이로 인해 이 지역의 소리제가 다양화되었다. 그러나 박봉술의 영향으로 지금도 동편제의 전통이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하게 남아 있다. 일제 강점기 순천지역의 판소리 연행은 극장과 풍류방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복합문화공간인 극장이 순천에 생기면서 판소리 연행이 보다 활발히 이루어졌을 것으로 여겨진다. 순천은 인근 지역민을 아우르는 연행공간이었기에 그 향유자의 층위 역시 개방적이었다. 판소리 향유자이자 지원자였던 성정수의 거처는 순천지역 판소리 풍류방 역할을 하였으며, 이곳을 중심으로 판소리 전승이 지속되었다. 이런 소수 집단을 중심으로 한 판소리 향유문화는 1990년대에도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풍류방 중심의 판소리 연행은 소수 특정인들만이 그 문화를 향유할 수 있었기 때문에 향유층은 제한적이라 할 수 있다. 이상의 내용들을 통해 순천지역 판소리가 문화·예술사에 끼친 의의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벽소 이영민이 남긴 기록 유산들은 순천지역이 판소리와 관련된 문학작품이 생산하고 보존되어 왔던 곳임을 입증하고 있다. 이 기록 유산들은 우리나라 문화·예술사에 귀중한 기록 자료라는 점에서 그 가치를 찾아 볼 수 있다. 둘째, 송만갑-박봉술-송순섭으로 이어지는 동편제의 전승이 현재 진행 중이라는 점이다. 이는 판소리사에 있어 순천이 동편제 계보의 계승지라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셋째, 지속적인 향창의 활약은 순천 지역 판소리 문화 전승에 크게 일조하고 있다. 향창이 지역 판소리 전승에 또 다른 한축을 담당하고 있음을 확인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넷째, 판소리 후원문화가 일제 강점기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지속되었고, 순천지역 판소리의 전승에 영향을 끼쳤다는 점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이는 후원문화가 판소리 전승에 있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게 해준다.

      • 『窮通寶鑑』의 月命에 관한 硏究

        강래군 圓光大學校 2019 국내박사

        RANK : 1551

        본고는 『窮通寶鑑』에 나타난 月令의 특징과 구성체계, 그리고 『窮通寶鑑』에 영향을 준 고대 월령의 의미와 기원을 살피면서 이것이 명리학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가를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명나라 초기에 저자와 저작연대가 확인되지 않는 『欄江網』은 이것의 필사본을 友人에게 받은 余春台가 새로 편집하여 간행하면서 『窮通寶鑑』이라 하였다. 현재 『窮通寶鑑評註』로 명명되는 책은 1937년에 徐樂吾가 원문에 주석을 단 것이고, 이것이 오늘날 보편화되고 통용되는 실정이다. 『窮通寶鑑』은 唐代까지 사용해 왔던 간법 즉, 년지 중심과 神煞을 배제하고 오로지 十干의 성정과 계절의 진퇴로써 운명의 喜忌를 논하여 격국의 高下를 정함으로써 간명의 새로운 변화를 시도하였다. 구성요소적인 측면에서 『窮通寶鑑』은 본신에 해당하는 10개의 천간이 四時와 十二月에 따라서 구성되어 있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계절적 旺相休囚死論을 기반으로 한 월령론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月令에 따른 調候用神을 결합시켜 사람의 운명을 해석한 최초의 명리서가 바로 『窮通寶鑑』이다. 『窮通寶鑑』의 특징은 크게 다섯 가지로 설명할 수가 있다. 첫째는 각 월령에 따른 십간의 희기이며, 둘째는 계절에 따른 온도와 습도를 나타내는 조후이고, 셋째는 기의 전입과 전이의 과정이 드러나는 진기와 퇴기이며, 넷째는 月令의 희기로 파생된 용신에 따른 육친의 변화이고, 다섯째는 사주원국에서의 위치에 따른 풍수와 음덕에 있다. 이러한 다섯 가지의 특징은 『窮通寶鑑』에서 주로 월령적 관점에서 서술되고 있다. 『窮通寶鑑』은 月令을 기준으로 하여 나누어진 사계절을 통해 오행의 衰弱과 長盛을 살피는 방식이다. 이처럼 사계절의 순환이치와 月令의 관계를 통한 사주를 간명하는 방식인 月令과 격국은 떨어질 수 없는 관계임을 알 수 있었다. 본고는 이러한 내용을 월령적 논리로 조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그 예시로 『窮通寶鑑』「論木」의 내용 중 甲木의 봄과 가을에 해당되는 내용과, 「論金」의 내용 중 庚金의 봄과 가을에 해당되는 내용을 대비시켜 분석함으로써 月令의 중요한 개념이 『子平眞詮』에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리고 『窮通寶鑑』의 내용 중 해석이 불분명 했던 ‘採芹拾芥’에 관한 해석과 ‘풍수’와 ‘음덕’에 관한 명리적 해법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조후에 따른 용신으로 표출된 육친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위상이 있는 『窮通寶鑑』에 대한 연구와, 인간의 생활속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월령은 명리학 분야 뿐 아니라 다른 학문에서도 앞으로도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was written to investigate specialities, systems, meanings and origins of monthly ordinances of 󰡔Kungtongbogam󰡕 and figure out how they had an influence on Myung-Ri. In the early Ming dynasty 󰡔Nangangmang󰡕, whose writer and writing year was unidentified, was newly editted and releashed by Yeo Chun Tae, who received its manuscript from a friend, and named as 󰡔Kungtongbogam󰡕. The book, now named as 󰡔Kungtongbogampyeongju󰡕, added notes to its original script in 1937 by Seo Rak O and the version is common and universial. 󰡔Kungtongbogam󰡕 excluded Sinsal and Nyeongji, a Gan used until the Tang dynasty then commented Heuigi of fate as the nature of Sipgan and the advent of seasons in order to set the ups and downs of Gyeokguk and try a new change in Ganmyeong. 󰡔Kungtongbogam󰡕 demonstrated 10 Cheongan consisting of four times and 12 months which belong to the main part and the concrete contents refers to the theory of monthly ordinances based on seasonal Wangsanghuesusaron. 󰡔Kungtongbogam󰡕 is the first book of Myung-Ri that interpreted human fates by combining Johuyongsin according to the monthly ordinances. Specialties of 󰡔Kungtongbogam󰡕 were five. The first one was the Heuigi of Sipgan according to the monthly ordinances. The second one was the Johu representing temperature and humidity. The third one was the JIngi and the Toigi covering entrance and exit of Gi. The fourth one was the change in Yukchin according to Yongsin derived from the Heuigi of the monthly ordinances. The last one was Feng-Shi and Eumdeok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Saju-Wonguk. The five specialties were written from a view of the monthly ordinances in 󰡔Kungtongbogam󰡕. 󰡔Kungtongbogam󰡕 looked into weakness and strength of the Five Elements through four seasons divided by the monthly ordinances. The monthly ordinances had an inseparable relation with Geokguk through the circulation reason of four seasons and the method of Saju related to the monthly ordinances. This paper found out the contents with the reason of the monthly ordinances. In order to figure out any impact of the important concept from the monthly ordinances on 󰡔Japyeongjinjeon󰡕 this paper showed an example that the contents related to spring and summer of Gapmok from 「Nonmok」 were compared with the ones related to spring and summer of Gyeonggeum from 「Nongeum」 This paper gave a solution of Myung-Ri for ‘Feng-Shi’ and ‘Eumdeok’ and a translation for ‘Chaegeunseupgae’, which was unclarified on 󰡔Kungtongbogam󰡕. This paper also analyzed the change in Yukchin expressed as Yongsin according to Johu.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o investigate 󰡔Kungtongbogam󰡕 as 󰡔Kungtongbogam󰡕 has the above value and the monthly ordinances, which have a huge impact on human life on other studies except Myung-Ri.

      • 한국어 학습자 간 학습활동 대화 연구 : 과제 수행에서의 지식 구성을 중심으로

        손혜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07

        본 연구는 학습자 간의 대화가 한국어 습득에서 지식 구성이라는 차원에서 기여한다는 것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과제 수행 상황을 중심으로 학습자들이 과제와 관련된 다양한 지식을 구성하는 대화를 분석하여 지식이 구성되는 과정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과제를 보다 성공적으로 완수하고, 구성된 지식을 전유하게 됨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에 먼저 관련 이론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학습자 간 대화가 무엇인지 그 개념과 특징을 명확히 정의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사회문화이론과 협력학습을 통해 동료 학습자와의 대화를 통해 학습이 이루어지는 원리를 살펴보고, 제2언어 교육 분야에서 학습자 대화가 다루어져 온 관점을 의사소통 활동으로서의 관점과 지식 구성으로서의 관점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본고의 핵심이 되는 학습자 간 대화를 ‘학습활동 대화’라는 개념으로 제시했다. 학습활동 대화란 지식 구성을 중심으로하는 지적 활동으로서의 학습자 간 대화이다. 학습자는 학습활동 대화에 참여하며 인지 활동과 상위인지 활동을 활성화함으로써 과제 수행에 요구되는 다양한 지식을 동료 학습자와 함께 구성해 나가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학습자는 한국어 사용과 관련된 다양한 지식을 다룸으로써 현재 참여 중인 과제를 보다 성공적으로 수행하게 되는 것은 물론, 한국어 습득에 관련된 지식을 전유하게 된다. 이어서 학습활동 대화가 실제 발생하는 양상을 조사하기 위해, 24명의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말하기 과제인 역할극 수행 상황에서의 학습활동 대화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이론적 고찰을 통해 논의한 바와 같이 학습자들은 과제와 관련된 다양한 지식을 구성하기 위해 함께 노력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학습자들은 역할극에서 사용할 언어, 역할극을 구성하는 내용 및 맥락, 그리고 역할극 수행을 관리하고 조절하는 과제 조작과 관련된 지식을 학습활동 대화를 통해 구성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각각의 지식을 구성하는 학습활동 대화는 직접적으로 지식에 대해 대화하는 활동이라고 볼 수 있는 인지 활동, 개별적 지식 구성을 이끄는 인지 활동을 점검하고 조절하는 미시적 상위인지 활동, 학습활동 대화를 통해 나타나는 학습자의 지식 구성 및 지적 활동 전반을 관리하고 조절하는 거시적 상위인지 활동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며 전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습활동 대화를 통해 학습자들은 서로의 사고를 자극하며 인지적 부담을 나누어 가지며 지식을 구성해 나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자기상위인지, 타자상위인지, 공유상위인지와 같이 상위인지를 다차원으로 활성화하여 지식 구성을 중심으로 한 과제 수행 과정 및 결과를 관리하고 조절하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학습활동 대화를 살펴본 결과, 학습자의 능동적 학습 참여 유도, 한국어 학습 기회의 확장, 의사소통적 한국어 능력을 구성하는 지식의 구성, 과제 수행의 결과의 질적 향상이라는 학습활동 대화의 교육적 의의를 실제 사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학습자 간 대화를 통한 지적 활동의 촉진과 지식 구성이라는 현상을 학습활동 대화라는 틀에 기반하여 이론과 실증을 통해 고찰하고자 했다. 지금까지 한국어교육에서 학습자 간 대화는 주로 말하기 기능을 연습하기 위한 것으로 인식되어왔고, 지적 활동으로서는 상대적으로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 그러나 이 연구를 통해서 학습자들이 목표어인 한국어를 사용하여 지적 활동을 동료 학습자와 공동으로 수행하고 지식을 구성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어교육 연구에서 지식 구성으로서의 학습자 간 대화의 기능에 대해서는 그동안 체계적으로 다루어진 바가 부족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지적 활동으로서의 학습자 간 대화에 대한 탐색적 연구로서, 학습자 간 대화를 학습활동 대화라는 현상으로 개념화하고, 그 현상이 보여주는 특징을 개별 사례를 통해 상세히 보고하고 해석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또한 지식을 구성하는 지적 활동으로서의 학습자 간 대화를 말하기 연습을 위해서 뿐만 아니라 더욱 다양한 상황과 목적으로 한국어 교실에서 활용할 근거를 마련하였다는 것 역시 연구의 성과로 볼 수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at dialogue between learners contributes to the knowledge construction while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In particular,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rocess in which knowledge is constructed by analyzing the learner-learner dialogue that deals with various types of knowledge related to specific tasks. It is revealed that this kind of dialogue helps learners to successfully complete the task and acquire task related knowledge. In order to clarify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he learner-learner dialogue, this study applies a theory that investigates the principle of learning through peer dialogue, based on socio-cultural theory and collaborative learning. In addition, the study examines the two perspectives of learner-learner dialogue in the field of second language education; the learner-learner dialogue for communication, and the learner-learner dialogue for knowledge construction. Based on these theoretical considerations, this study presents the concept of 'learning-activity dialogue'. The learning-activity dialogue is an intellectual activity between learners, focusing on knowledge construction. Learners that participate in the learning-activity dialogue activate both cognitive and metacognitive activities. As a result, learners construct the various types of knowledge required for the task performance, together with their peer learners. Through this process, learners deal with knowledge related to the use of the Korean language, thus they are able to successfully perform their tasks. In addition, they also acquire knowledge that comprise the communicative language abilit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ctual occurrence of the learning-activity dialogue, the study collected learning-activity dialogues from 24 Korean language learners. Learners participated in learning-activity dialogues during role playing tasks. As a result of the data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learners worked together to construct knowledge related to the task, as discusse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s. In particular, learners constructed the content and context knowledge of role playing, language knowledge to be used in role playing, and the knowledge related to the manipulation of the task in order to manage and control the role playing task. It was revealed that the learning-activity dialogue consists of cognitive activities that can be seen as activities that directly deal with knowledge, micro-metacognitive activities that check and control cognitive activities leading to certain knowledge constructs, and the macro-metacognitive activities that manage and control the overall intellectual activities. In terms of the cognitive activities, learners were able to stimulate each other's thinking, share their cognitive burden, and construct knowledge, all through the learning-activity dialogue. For the metacognitive activities, the learning-activity dialogue activated several kinds of metacognition, for example individual metacognition other-metacognition, and shared metacognition. Through this empirical investigation, the study determined the importance of the learning-activity dialogue in Korean language learning. In particular, the learning-activity dialogue can encourage the active participation of learners in learning Korean, expanding opportunities to learn Korean, construct knowledge relating to communicative abilities in Korean, and improve the quality of the outcome of the task performance. As mentioned above, this study has tried to examine the learning-activity dialogue of the leaner-learner dialogue in order to activate intellectual activity and knowledge constructing, both theoretically and empirically. Until now, the dialogue between learner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been mainly recognized in terms of speaking practice, and learner-learner dialogue as an intellectual activity has not received much attention. However, this study has confirmed that learners can use their target language Korean to jointly perform intellectual activities with their peer learners, thus constructing knowledge.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the function of the learner-learner dialogue as a knowledge constructing tool has not yet been systematically discussed. This exploratory study has tried to present the detailed features of the intellectual activity and knowledge constructing dialogue between learners with real cases, based on the concept of the learning-activity dialogue. This can lead to a systematic discussion on learner-learner dialogues in terms of intellectual activity and knowledge constructing tools in the future. This study also can act as a basis for the using learner-learner dialogue, not only in terms of speaking practice, but also for more varied situations and purposes in the Korean language classroom.

      • 한국 노년소설에 나타난 말년의식과 죽음

        서정현 조선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07

        대부분의 한국인이 생각하는 좋은 죽음은 신체가 고통 받지 않고 자연스럽게 마감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런 죽음 인식은 현대인들이 체감하는 죽음에 대한 불안과 공포를 넘어설 근본적인 대안을 제공하지 못한다. 이에 인간은 역으로 인간적이고도 인격적인 차원의 죽음 인식을 가질 수 있다. 오늘날 현대인의 죽음이 생물학적인 차원에 머물고 있다면, 이를 넘어선 고유하고도 존엄한 차원을 문학에서도 지향할 필요가 있다. 말년에 어떤 생사관을 지니고 있느냐에 따라 죽음을 맞이하는 방식은 차이가 크다. 그런 의미에서 노년작가들의 죽음 인식은 기존 한국문학에서 다루었던 소재주의적 죽음 인식과는 변별력이 있다. 그것은 말년의식을 매개로 죽음을 고유화하고 개별화하기 때문이다. Most Koreans consider the absence of physical pain and natural finish of life as good death. This idea of death, however, offers no fundamental alternatives to overcome anxiety and fear about death among modern people. Inversely, human beings can have an idea of death at the human and character level. If it is true that the death of modern people today remains at the biological level, literature will need to be oriented toward a unique and dignified level beyond it. There are huge differences in the ways that people face their death according to their views of life and death in their latter years. In this sense, the idea of death among elderly writers is discriminated from the material-centric idea of death addressed in the old Korean literature as they make their death unique and individual via their awareness of their latter years.

      • 중한 은유 번역 전략 연구 : 모옌의 작품을 중심으로

        장혜선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9 국내박사

        RANK : 248607

        본고는 의사소통 이론인 적합성 이론을 틀로 삼아 중한 문학 작품의 은유 번역 전략을 계량화하고 그 양상을 분석하여 번역자가 취한 다양한 전략이 어떤 효용성이 있는지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2장에서 관련된 이론을 검토하였다. 이는 논지의 두 가지 줄기인 은유와 적합성 이론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번역에서의 은유 문제를 다루기 위하여 필요한 개념을 정리하였다. 본고는 은유 번역에 관련된 제 문제를 검토하기 위하여 문자적 의미를 넘어선 함의를 지니는 모든 비문자적(figurative) 언어를 은유표현으로 보았다. 그리고 ST 중심의 은유 번역 전략과 더불어 TT 중심의 은유 번역 전략, 즉 은유화 번역 전략의 개념과 필요성에 대해서도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적합성 이론에 대해서 은유 번역의 관점에서 그 유용성을 고찰하였다. 은유표현은 비문자성이라는 기본적인 특성으로 인해 문자적 해석에 의한 번역 행위뿐만 아니라 ST의 의도가 ST 독자에게 전달하는 맥락적 효과가 TT에서도 그대로 구현되는지가 중요하다는 것을 논하였다. 따라서 적합성 이론은 번역을 번역자와 독자 간의 의사소통 과정으로 보고 은유가 독자에게 수용되는 측면을 살필 수 있다는 유용성이 있음을 밝혔다. 3장에서는 분석 대상으로 삼은 작품과 분석 방식을 정리하였다. 분석 대상 작품의 특징을 살피고, 2장에서 논의한 이론적 틀에 따라 은유 번역 전략과 은유화 번역 전략의 분류 기준을 나누고 적합성 이론을 적용하는 방식에 대해서도 고찰하였다. 은유표현의 정량적 분석을 진행하기 위하여 중국의 소설가 모옌의 두 작품에서 계량적 자료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모두 변화한다』에서 398회, 『사부님은 갈수록 유머러스해진다』에서 275회, 총 673회의 은유표현을 추출할 수 있었다. 본고는 은유 번역 전략과 은유화 번역 전략 분석을 위하여 각각 ST 중심, 그리고 TT 중심의 자료가 별도로 필요하므로 은유 표현의 자료 추출은 두 가지 방향으로 진행하였다. 즉 중국어 소설 텍스트 내에 등장하는 은유 표현을 정성적 분석 방식으로 정리하고, 그 다음으로는 은유화 전략의 분석을 위하여 번역문을 기준으로 원문에서 은유표현이 쓰이지 않은 경우를 추출하였다. 4장에서는 은유 번역 전략의 양상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가장 높은 빈도로 선택된 전략은 은유의 자국화(M→M’)이었다. 번역자는 도착어의 언어·문화적 관습에 최대한 수용되는 방향으로 은유를 번역하는 전략을 택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가장 이상적인 것으로 알려진 은유를 그대로 번역하는 전략(M→M) 또한 많이 사용되어 두 문화권에서는 비교적 은유의 직역으로도 이미지의 전달을 효과적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은유를 비은유적인 기술로 번역하는 전략(M→D)은 번역자가 심사숙고해서 택해야 할 전략으로 드러났는데, 적합성이 떨어지는 사례가 직역과 자국화 전략에 비하여 많이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이는 번역자가 ST의 복잡한 은유표현을 자연스러운 TT 문장으로 재탄생시키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는 것을 말해준다. 특히 성어나 관용구의 경우 은유표현이 가진 함축적 의미를 온전히 이해하지 못하거나, 이해하고 있더라도 독자의 정보처리 노력을 가중시키고 은유의 상징적 이미지를 왜곡시키는 경우가 발견되었다. 은유를 직유로 번역하는 방식(M→S) 또한 적합성을 유지하는 비율이 적은 전략임이 드러났다. 이는 두 언어의 통사적 차이로 인하여 가독성 있는 문장을 만들기 어렵고 성어나 헐후와 같은 중국어 은유 표현의 복합적 의미 체계를 단순히 직유법 연결어를 첨가하는 것만으로 번역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는 것을 뜻한다. 또한 전체적으로는 적합성을 유지하는 번역의 비율은 87.3%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ST에서 TT로 전환된 후 의미가 유지되었다고 해서 모두 최적의 적합성을 유지하는 것이 아닌 것이 발견되었으며, 이와 같은 맥락에서 의미가 변동되었다고 해서 모두 적합성이 떨어지는 번역문이라고는 할 수 없다는 것 또한 밝혔다. ST와 TT의 독자들이 받는 맥락적 효과를 유지시키고 TT 독자들의 처리 비용을 낮추려는 시도는 때로는 의미의 변동을 야기시키기도 했기 때문이다. 5장에서는 은유화 번역 전략에 대하여 4장과 마찬가지로 정량 및 정성적 분석을 진행하였다. 우선 크게 비은유의 은유화 번역과 은유의 첨가로 분류한 후, 그것을 다시 은유의 기능에 따라 재개념화, 선명성, 강조, 압축으로 분류하여 번역 양상을 살폈다. 비은유의 은유화 번역 전략 중에서 가장 빈번히 사용된 기능은 선명성과 재개념화 기능이었다. 이는 소설의 특성 상 배경과 인물의 감정을 보다 생생하게 그림을 그리듯이 재현하려는 번역자의 의도가 개입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재개념화는 주로 의인화와 개념적 은유 원리에의한 일상적 관용표현으로 많이 등장하였다. 강조와 선명성, 압축의 경우에는 관용 표현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은유가 사용되었다. 은유의 첨가 전략 중에서는 강조의 기능으로 사용된 경우가 가장 많았다. 그러나 문자적으로 정도의 강조와 과장의 의미로 표현되어 있더라도 관습적인 은유의 틀을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의미가 있는 것은 4장과 5장의 모든 은유 번역 전략을 합친 전체적인 비율 안에서 보면 은유화 번역 전략의 비중이 낮지 않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즉 은유화 번역 전략은 전체 은유 번역 전략 중 22.4%를 차지한다. 세부적으로는 은유가 아닌 표현을 은유로 번역한 것은 전체의 16%, 아무것도 없던 곳에 은유를 추가한 전략은 6.8%로 나타나 결코 적지 않은 빈도로 사용되고 있는 것을 확인한 것이다. 번역자가 원문에서 아무것도 없던 곳에 은유를 첨가하였다면 이것은 필수적인 것이 아닌 선택적인 전략이고, 적극적인 개입 전략인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이것은 가독성과 표현력을 높이기 위한 자연스러운 번역 전략의 하나로 수행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또한 개입의 정도가 큰 것으로 보이는 이러한 전략이 정보량의 증가를 크게 가져오지 않고 맥락적 효과를 유지하면서 최적의 적합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은 관습화된 표현이 주는 안정감과 자연스러움 때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추가된 은유표현은 일상적 은유표현으로 번역자는 이러한 은유를 은유라는 인식 없이 자연스럽게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은유는 부차적인 것이 아니라 언어의 본질적인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즉 은유화 전략은 번역자가 불가피한 경우에 고려하는 전략이 아니라 적극적인 번역 전략의 하나로 선택될 수 있다. 본고는 적합성 이론을 중한 문학작품에서 사용된 은유 번역에 적용하여 그 효용성을 살펴보았다는 데 그 첫 번째 의의가 있다. 은유의 번역의 다양한 사례를 원문과 번역문, 원작자와 번역자, 번역자와 독자 간의 의사소통 과정으로 보고 이것을 번역의 분석에 사용한 것이다. 적합성 이론은 의사소통 측면에서 번역문이 수용되는 결과를 기준으로 번역문의 적합성을 설명하는 데 유용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시 말해, 은유가 가진 상징과 이미지를 최대한 보존하면서 관용성과 사용 빈도, 독자의 스키마 등이 고려되어야 독자에게 수용도가 높은 번역문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 그러나 은유 표현의 번역 전략에 있어서 적합성 이론은 충실도를 점검하는 수단이 될 수는 있으나 은유 번역의 완성도를 높이는 대안을 제시하지는 못한다. 단지 적합성 이론이 분석의 틀이 될 수 있었던 것은 Kußmaul(1995: 72)이 지적한 바와 같이, 문화적 비유나 대상들을 생략할지, 아니면 도착어 문화권의 대상으로 대체할지, 또는 함축적인 정보를 보다 외연적으로 드러낼지 등 어떤 전략이 적당한지를 결정할 때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두 번째로 은유 번역에서의 최대의 과제는 함축적 의미를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확인한 것이다. 두 언어의 속담과 성어, 그리고 관용표현의 상당수가 그 함축적 의미를 공유하고 있으나, 성어와 헐후어가 문어와 구어를 막론하고 빈번히 등장하는 중국어 텍스트의 특성 상, 은유 표현을 구성하는 글자 하나하나의 함의를 모두 유지하려는 전략은 조심히 다루어져야 함을 밝혔다. 이것은 M→D 전략이 의미 유지에도 실패하고, 낮은 적합성을 보인 것으로 증명되었다. 번역자는 은유의 함의가 유지되었다고 해도 은유성에 변동이 생긴 경우, 독자의 수용도가 달라질 수 있으며 이것은 번역 전략을 택할 때 은유가 문학작품에서 가지는 상징성과 기능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마지막으로, 본고는 은유 번역과 관련된 전략에 은유화 번역 전략을 포함시켜 계량적 분석을 시도한 것에 의의가 있다. 은유화 전략을 배제하여 논의한 기존의 연구들과 달리 TT 중심의 은유화 번역 전략을 은유 번역 전략의 일부로 다루어야 하는 이유를 문학작품의 실제 번역 양상을 통해 밝힌 것이다. 이를 통해 일상적 은유표현을 사용한 은유화 번역 전략은 정보량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적합성이 높은 번역문을 만들 수 있는 전략으로 고려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이는 특히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번역 교육을 학습하는 외국인의 은유 번역 교수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은유화 번역 전략은 번역자가 불가피한 경우에 고려하는 전략이 아니라 적극적인 번역의 전략의 하나로 선택되고 있다. 따라서 가독성과 자연스러움이 부족한 문장을 구사하는 외국인 학습자들이 은유 표현의 첨가 전략을 적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은 한국어 번역 교육에서 중요할 것이다. This study discusses Chinese-Korean translation of metaphoric expressions in the indigenous literature, with the use of relevance theory(RT): this analyzes metaphor translations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We can assess this in two ways: ‘metaphor translation’ and ‘translation through metaphorizing’. Two recent Chinese novels by Moyan, translated in Korean, are analyzed. The ‘domestication of metaphor(M→M')’ is the most frequently selected pattern of metaphorical translation; this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acceptable format, which includes cultural customs of the target text(TT). ‘Literal translation of metaphor(M→M)’ is also widely used, and is known to be the ideal strategy. This demonstrates how two cultures can share the same metaphorical ideas through literal translation. Translating ‘metaphor into non-metaphoric description(M→D)’ is considered, as many cases involving poor relevance are compared to the first(M→M') and second(M→M). Translators experience difficulty reproducing STs(Source Texts) and complex metaphors with a natural TT sentence, particularly in the case of four-character Chinese idiomatic expressions. The implicit meaning of the metaphor may not be fully understood, such that the reader’s ‘processing effort’ is increased while the symbolic image of the metaphor is distorted. Translating ‘metaphor into a simile(M→S)’ is shown to have a low ratio of maintained relevance. It is difficult to preserve readability of syntactic differences between languages; this limits the translation of complex Chinese metaphor semantics, such as four-character idioms with the addition of simile markers. Only 87.3% of translations preserve their relevance. However, maintained meaning does not necessarily signify there can be optimal pertinence. It has been found that changes in meaning do not necessarily lead to low relevance. Preservation of the contextual effects of ST and TT readers may lower TT processing costs, but may simultaneously cause changes in the meaning. The metaphorizing strategy is a new concept here, but has rarely been addressed in Korean translation studies. This effort falls into two categories: translating non-metaphoric expressions into metaphor(D→M) and then adding a metaphor(∅→M). This analysis is based on the function of metaphor, including ‘vividness’ and ‘reconceptualization’, and the translator's effort to reproduce the character’s emotions while translating the novel. Reconceptualization appears mainly as often-used idioms through personification and conceptual metaphor. In the case of ‘emphasis’, ‘vividness’, and ‘compactness’, a metaphor that actively uses idiomatic expressions can be recognized. Adding a metaphor is often for emphasis, but if expressed literally, it is for exaggeration purposes; the added metaphor will be largely conventional, so the translator's intervention is somewhat marginalized. Metaphorizing strategy works well in the overall ratio of metaphor translations, which accounts for 22.4% of them. Given more detail, the D→M strategy comes out to be over 16% and accounts for 6.8% of the. If the translator adds a metaphor, with very few appearing in the original text, this an optional strategy, not an essential one: this is known as an active intervention. This study shows that metaphor can be carried out as a viable translation method for readability and naturalness. This often-used intervention maintains optimal relevance while maintaining contextual effect, without an increase of information; thus, this is related to the stability and natural quality of conventional metaphor. Such metaphors are traditional, and translators may use them without recognizing they have similar proper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RT can be effective in applying Chinese-Korean translation of metaphors in literary texts. Examples are seen as the communication process between STs and TTs, the original writer and translator, the translator and reader, all of which can be used to analyze the text. RT is useful in explaining the suitability of translations based on communicat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conventionality, frequency of use, and the reader’s schema, while maximally preserving symbols and images of the metaphor. However, in the translation of metaphoric expressions, RT can check their credibility, but does not enhance their completeness. As Kußmaul(1995:72) shows, RT can be effective as an analysis framework, when translators focus on appropriate strategies; for example, omitting cultural elements of STs and replacing them with what is used in TTs, or else subtle information could be exposed. (2)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task of metaphor translation is not maintaining connotations: rather, it is maintaining proverbs, idioms, and idiomatic expressions with common implications in both languages. Due to the nature of the Chinese text, in which proverbs and four-character idioms frequently appear, nuances of individual words that form metaphoric expressions must be addressed with caution. This is shown by the M→D strategy, which failed to maintain meaning, and is of less relevance as a result. Even if the metaphor is retained, reader acceptance may change if ‘metaphoricity’ changes; symbolism and metaphoric function in literature should not be overlooked when choosing a translation strategy. (3) Finally, this study is the first to attempt to quantitatively analyze metaphorizing as one aspect of metaphor translation. TT-focused strategies are explained through translation of literary texts, unlike previous research that excluded them. The approach that includes ‘metaphoricity’ and ‘conventionality’ creates highly compatible translations without increased information. We understand how to teach foreign learners to resolve readability and naturalness: shifting the focus and adding metaphor is essential to Korean translation. The metaphoric translation is kept active as necessary; foreign learners must use the metaphoric expression addition strategy.

      • 문학콘텐츠를 활용한 문학관 활성화 방안 연구

        홍미희 목포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23

        국내에서는 2016년 문학진흥법의 제정으로 문학 진흥을 위한 사회 환경의 변화가 조성되었다. 문학관의 설립과 운영에 관한 법률적 토대가 마련되었고 특히 문학계의 오랜 숙원이었던 국립한국문학관이 부지가 확정되어 건립이 진행 중이다. 이러한 시점에 문학관 활성화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해 문학관이 향후 질적인 성장을 이룰 수 있도록 할 필요성이 있다. 본 논문은 최근 다양하게 논의되고 있는 문학관 활성화에 대한 연구이다. 문학성을 기반으로 한 문학관의 문학콘텐츠를 활용하여 문학관의 기능을 점차 확장시킴으로써 문학관이 지역의 문학거점으로서 더 나아가 문화거점으로서의 위상을 갖을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을 알아보았다. 궁극적으로는 문학이 우리 삶에 주는 무한한 창조적 생산적 에너지를 문학관이라는 터미널을 통해서 대중들과 함께 소통하고 공유함으로써 삶의 질을 높히고자 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이다. 먼저, 문학관을 둘러싼 사회적 환경의 변화를 통해 연구의 목적을 밝히고 연구 내용과 방법을 제시하였다.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문학관에 대한 연구 성과가 미비한데에 대한 문제제기를 하고 이를 바탕으로 문학관의 개념과 역사를 통해 설립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으며 문학관의 정책, 기능, 유형을 고찰하였다. 문학관은 작가의 손때 뭍은 생활 유품에서 부터 생가, 문학비, 작품 속 공간까지 문학의 현장이자 문학콘텐츠의 집산지이다. 문학관의 문학콘텐츠를 기능을 중심으로 문학 전시, 행사, 교육, 체험, 관광의 측면에서 활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특히 국내외 문학관의 실제 문학콘텐츠 활용 사례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문학관의 문학콘텐츠를 실제 현장을 통해 실증적으로 알아보고자 문학콘텐츠를 활용한 특성화 사례로 목포문학관을 살펴봤다. 작가 중심의 콘텐츠 구축과 풍부한 문학자료 제공, 교육·행사콘텐츠를 활용한 지역문학 역량 확장, 체험·관광콘텐츠 개발로 참여형 문학 공간 조성, 만족도 조사를 통한 이용자와의 교류 소통을 통해 문학관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문학관의 질적 성장과 활성화 방안에 대해 알아봤다. 문학관의 질적 성장을 위한 기반 구축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문학관 운영의 체계적인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경쟁력을 확보하고 문학관 이용자와의 소통을 강화함으로써 만족도를 향상시켜야 한다. 또한, 문학성을 담은 질 높은 문학콘텐츠를 꾸준히 개발해 제공해야 하며 문학관협의회와의 교류 및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대외적인 역량을 강화하여야 함을 제안하였다. 문학관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문학콘텐츠의 다양한 활용이 중요하다. 문학관 문학콘텐츠의 스토리텔링을 통한 확장, 문학관 문학콘텐츠와 타장르의 융합을 통한 재창조, 에듀테인먼트 융복합형 가치 전달, 복합문화공간으로서 지역문학콘텐츠의 거점화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문학성을 담은 문학관의 문학콘텐츠에 주목하고 이를 적극 활용함으로써 문학관의 활성화 방안을 찾았다는 것에 의의를 가진다. 문학관이 활성화됨으로써 문학을 통해 인간의 삶이 풍요로울 수 있도록 체계적인 문학관 정책과 지원 방안이 수립되는데 본 고가 기여하기를 바란다. 또한 본 연구를 초석으로 문학관에 대한 논의가 더욱 확장되어 문학관이 지역의 문학거점을 넘어 문화거점으로서 위상을 갖을 수 있기를 바란다. In Korea, from the enactment of the Literary Promotion Act in 2016, changes of the social environment for the promotion of literature have been made. The legal basis to establish and operate the Literature Museum was made. The National Literature Museum, which the literary world has been eager for, was decided where to be built. The construction is underway in that area. At this point, there is a need to actively seek ways to revitalize the literary museum and to achieve qualitative growth in the future. This thesis is about 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of the literature museum which is discussed in various ways recently. By using the literary contents of the literary museum based on literature, the function of the literary museum has been gradually expanded. Various methods have been examined so that the literary museum can become a regional literary base and have a status as a cultural base. Ultimately, This is a study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by communicating to the public and sharing the infinitely creative and productive energy that our literature gives to our lives through the terminal called Literary Pavilion. First, we clarified the purpose of the study through the change of the social environment surrounding the literature museum, and presented the content and method of the study. By reviewing the precedent research, I brought up some problems that a product of our study was inadequate. Based on this, I examined the change of establishment through the concept and history of the literary museum. I also examined the policies, functions, and types of the literary halls. The Literary Museum is the site of literature and the place of literary contents from the handmade artifacts of the artist to the birthplace and the literary cost to the spaces in the works. We looked into the use of literary contents in terms of functions, exhibitions of literature, events, education, experience, and tourism at the literary museum. In particular, the literary contents of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I examined the Mokpo literature museum as a specialized example using literary contents in order to investigate literature contents of literary museum in the actual field. It is aimed to revitalize the literary museum by building content for writers and providing them with rich literary materials, expanding local literary competence using education and event contents, developing contents that can experience and tour, creating a participatory literary space and communicating with users through satisfaction surveys. Finally, I looked into the qualitative growth and plans to activate of the literary museum.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foundation for qualitative growth of the literary museum. To do this, we should improve our satisfaction by securing competitiveness by building systematic system of operation of literature museum and strengthening communication with users of literature museum. Also, it is suggested that we should constantly develop the high quality literary contents abouts and provide them. In addition, we should build an exchange and cooperation system with the Literature Council and strengthen the external capacity. In order to revitalize the literature museum, it is important to utilize various contents of literature. Literature Library It is suggested to expand literary contents through storytelling, to recreate literature through fusion of literary contents and other genres, to deliver edutainment fusion value, and to localize literary contents as a complex cultural space. This study focuses on the literary contents of the literary museum that contains literature, and makes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finding ways to activate the literary museum by actively utilizing it. I hope that this thesis will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atic policy and support the system for literatures. By activating the literary museum, human life can be enriched through literature through the activation of the literary museum. In addition, I hope that the debate about literature museum as a cornerstone of this study will be expanded. So the literary museum will be able to become a cultural base beyond the local literature base.

      • 한국어 구어의 종결 축약 표현의 기능과 사용 양상 연구

        한승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07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구어에서 문장을 종결하는 축약 표현들의 유형을 밝히고 사용 양상과 특징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종결 축약 표현은 구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고 종결어미와 같은 문법범주로 종결어미화되는 문법화의 양상을 보여 실제적인 구어 자료를 이용하여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이 연구는 의사소통 중심의 문법 교육의 필요성에 의해 구어적인 형태를 한국어 교육의 영역에서 다루어 왔다는 점에 착안하여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주로 다루어진 문장 종결 축약 표현들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이 연구는 다음 세 연구의 목표에 따라 진행되었다. 첫째, 한국어 구어 발화를 종결하는 축약 표현의 유형을 밝힌다. 둘째, 문장 특성에 따른 종결 축약 표현의 양상을 밝힌다. 셋째, 담화 특성에 따른 종결 축약 표현의 의미 기능과 사용 양상을 밝힌다. 이 세 연구 목표에 따라 한국어 구어 말뭉치를 연구 자료로 활용하였으며 한국어의 종결 축약 표현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21세기 세종계획>의 구어 말뭉치 중 장르를 균형적으로 고려하여 10만 어절의 규모로 재구성한 구어말뭉치를 활용하였다. 장르는 담화의 성격이 사적인지 공적인지에 따라, 화청자 상호작용의 정도에 따라 ‘대화’와 ‘독백’, ‘토론/회의’, ‘연설/강의/강연’의 네 가지로 구성이 되었다. 이 연구 자료를 활용하여 종결 축약 표현을 추출하고 각 종결 축약 표현의 문장 특성 및 담화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이 되는 종결 축약 표현은 이희자·이종희(1999), 백봉자(1999/2006), 국립국어원(2005ㄴ), 강현화 외(2016)의 네 한국어 교육용 사전을 검토하여 귀납적으로 유형화한 뒤 선정하였다. 검토한 결과 종결 축약 표현의 유형으로는 ① 간접 인용 구성 축약 표현, ② '-(으)려고 하-' 결합 구성 축약 표현, ③ '-어야/아야/여야 하-' 결합 구성 축약 표현, ④ 의존 명사 구성 축약 표현, ⑤ 보조사 결합 구성 축약 표현, ⑥ 어미 ‘-지’ 결합 구성 축약 표현으로 나타났다. 이후 문장 유형에 따라 종결 축약 표현을 살폈는데 종결 축약 표현이 쓰인 문장 종결 유형에 따라 약 90% 정도가 평서문의 문장으로 나타났으며 약 10% 정도가 의문문으로 나타났다. 상대높임법에 따라 종결 축약 표현을 분석하였는데 구어말뭉치에서는 대부분 비격식체의 두루높임과 두루낮춤의 화계에서 종결 축약 표현이 사용되었다. 이는 종결 축약 표현이 문장 내에서 문장을 종결하고 상대높임법을 나타내는 종결어미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보여준다. 이후 담화에 따라 종결 축약 표현의 양상을 분석하였는데 크게 장르와 발화자 변인에 따라 종결 축약 표현을 구어 말뭉치에서 분석하였다. 종결 축약 표현은 상호작용성과 공공성에 따라 나눈 장르 유형에 따라 그 양상이 많이 달라지는 결과를 보였다. 발화자 변인으로 크게 발화자의 성별과 연령에 따라 종결 축약 표현의 사용 양상을 보였는데 여성이 남성보다 종결 축약 표현을 좀 더 많이 사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발화자 연령별로 종결 축약 표현을 분석할 때 담화 장르나 담화 맥락에 따라 양상이 달라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 연구에서는 화청자의 성별, 연령의 맥락 요인에 따라 종결 축약 표현의 사용 양상을 분석하였으나 사용한 구어 말뭉치 자료의 한계로 직업이나 화청자 관계와 같은 추가적인 담화 특성에 따른 분석의 한계가 있었다. 결과적으로 종결 축약 표현은 문법 항목의 하나로 문법화 과정 중에 있는 부류로 각각이 한국어 구어에서 다양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문장 특성에 따라 종결 유형과 화계가 한정되어 나타나지만 담화 특성에 따라서는 담화 상황과 맥락, 발화자의 변인에 의존하여 사용 양상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난다. 이에 따라 한국어 구어 연구에 담화적인 문법 연구가 보다 더 필요할 것이다. 또 종결 축약 표현뿐 아니라 종결어미를 포함하는 종결 표현 전체를 연구하는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종결 축약 표현들의 개별적이고 세부적인 논의도 이 연구에 이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types of contraction expressions that close sentences in Korean spoken languages and to reveal their uses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sentence-ending contraction expressions using practical colloquial data, as they show a pattern of grammaticalization that is widely used in spoken languages and is embodied in the same grammatical category as the sentence-final ending. The study targeted sentence-ending contraction expressions mainly covered in the field of Korean education, based on the fact that spoken forms have been covered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due to the need for communication-oriented grammar education. The study was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objectives of the study presented below. First, reveal the type of sentence-ending contradiction expression that ends Korean spoken language. Second, reveal the uses of the sentence-ending contraction expressions according to the sentence characteristics. Third, reveal the meaning function and uses of closing abbreviated expression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course is revealed. In line with the need for such research, the Korean spoken corpus was used as a research material and the Korean sentence-ending contraction expressions were analyzed. First, the concept and criteria of sentence-ending contraction expressions were presented and various types were shown. The sentence-ending contraction expressions were then examined according to the sentence type and the hearer honorific expressions. The sentence-ending contraction expression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discourse, and the spoken corpus, largely according to genre and speaker variation.

      • 망자김유감 서울새남굿 연행 연구 : 2009년 7월1-2일 남산한옥마을 민씨가옥의 사례를 예증삼아

        윤정귀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07

        This paper is the result of studying the performance of Seoulsaenamgut as an example of Min family house in Namsan Hanok village on 1-2 July 2009.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paper are summarized. In Chapter 2, we attempted to construct the history of Seoulsaenamgut in Seoul through the historical documents and local handouts of. Evidence of Seoulsaenamgut clearly remains in the literature. And these historical results confirm that in the Joseon Dynasty, Seoul is composed of concrete evidence. The fact that the result of the passion passed until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is still clear is the fact that there was a Seoulsaenamgut of Jung Kyung-ok, which corresponds to the middle-class of Seoulsaenamgut, and that it is the tradition of the successors of Seoul, there was. In Chapter 3, we examine the life of Dead Woman The Kim Yugam, who was the recipient of the Seoulsaenamgut at that time, and tried to examine the order and procedure of the gods, At that time, the holder of the 104th National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died and made a Gut for this soul. Especially, Seoulsaenamgut continued with the Buddhist ritual 49 Buddhist rituals and was able to understand the fusion of shamanism and Buddhism in the gut. Clearly, it is evident that Seoulsaenamgut is composed with Buddhist traditions. In Chapter 4, I examined various elements of the shaman songs in Seoulsaenamgut in detail. Various elements are operated like other Gutgeori in Seoul gut. We systematically summarized them and studied specifically how gut is carried. And the gut is divided into two parts together with the components of the shaman songs. Andangsagyeongchigi is the center of the happiness and happiness of the family. At the same time, the center tells the story of the deceased and the bereaved family in terms of the deceased and tells the family to speak to the deceased. In the middle, there was a shaman. In the same way as Jinjiogut, Cheongeunsaenamgut is said to be aiming to sublimate into the world of dead paradise with the guidance of Princess Bari. It is a complicated process and involves various plays. In Chapter 5, I focused on the material culture of Seoulsaenamgut, which covered tools, clothes, prizes, and decorations of the Good Hall. It shows the most spectacular view of Seoul's food and shelf. It shows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Seoulsaenamgut in showing the 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nd intangible cultural composition of. There are a variety of tools, but usually refers to the extension of writing Gut. Clothes refers to the garments of the gods that are dressed differently by the nature of God. A prize for a prize is a food prize dedicated to God. The decoration of the Good Hall refers to various ornaments of a worthy goddess worthy of. I have described all of these facts. In Chapter 6, I talked about the significance of taking care of the deceased person rite. Seoulsaenamgut is a gut that is hard to see. This gut has been designated as an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in the national institution and managed.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see this gut, and it is revealed that there is significance of carrying out the study of this gut based on data. It was a new understanding of the Seoulsaenamgut. In this paper, I tried to reveal the process of the taking, revealing the overall character rather than analyzing it. It is a critical limitation of this paper that the data and analysis of other Seoulsaenamgut were not analyzed. In the future, I hope to make up for this inadequate result and make it a new study material. 이 논문은 망자김유감을 대상으로 2009년 7월1-2일에 남산한옥마을 민씨가옥에서 거행된 서울새남굿을 사례로 서울새남굿의 연행을 연구한 결과이다. 이 논문에서 얻은 결과를 요약하고자 한다. 먼저 제2장에서는 서울새남굿의 역사적 문헌과 현지 전승되는 결과를 통해서 서울새남굿의 역사를 구성하고자 하였다. 문헌에 뚜렷하게 서울새남굿의 증거가 남아 있다. 그리고 이 역사적 결과들은 과거 조선왕조시대에 서울새남굿이 구체적으로 존재한 증거들로 구성되는 점을 확인하게 한다. 그리고 20세기초반까지 왕성하게 전승된 결과로 서울새남굿의 중시조에 해당하는 정경옥의 새남굿을 들 수 있으며, 오늘날에 전승되는 서울새남굿은 바로 그 후계자들의 전승임을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제3장에서는 당시 있었던 서울새남굿을 받는 당자인 김유감의 생애에 대해서 살펴보고, 굿에 참여한 사제자, 악사, 등과 굿의 순서와 절차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피고자 하였다. 당시에 국가중요무형문화재 제104호 보유자가 사망하여 그 영혼을 위한 굿을 하였는데 이 굿의 구성 요소와 진행 절차를 요약하였다. 특히 서울새남굿이 불교적 의례인 49재와 함께 진행되어 굿에서 보이는 무속과 불교의 융합에 대한 이해를 함께 도모할 수 있었다. 명확하게 서울새남굿은 불교의 제례와 함께 구성되는 점을 분명하게 보여주는 증거이다. 제4장에서는 서울새남굿의 구전되는 무가를 대상으로 여러 가지 구성 요소에 대해서 상세하게 살펴보았다. 서울굿의 여느 굿거리처럼 다양한 무가들이 운용되는데 이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어떻게 굿이 연행되는가 하는 점을 구체적으로 살폈다. 무가의 구성요소와 함께 굿이 둘로 나누어 진행되는 점을 보고서 이들의 상호관련성을 나누어서 고찰하였다. 안당사경치기는 기쁨을 고양하고 가족의 안녕을 기원하는 것을 핵심으로 한다. 동시에 망자와 유가족의 만남을 중심으로 하여 사제자의 역할은 망자의 관점에서 유가족에게 전하는 말을 하고 이와 달리 망자에게 부탁하는 말을 하게 된다. 그 중간에 바로 만신이 媒介하고 있음을 밝혔다. 천근새남굿은 진오기굿과 같은 형태로 연행하는데 바리공주의 인도로 서방정토극락세계로 승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을 밝혔다. 도령돌기 절차가 복잡하게 발현되고 다양한 놀이를 수반하게 된다. 제5장에서는 서울새남굿의 물질문화를 중심으로 도구, 옷, 굿상 차림, 굿당의 장식 등을 다루었다. 서울지역의 의식주를 가장 화려하게 보여준다. 서울새남굿의 유형문화적 속성과 무형문화적 구성을 보여주는 점에서 서울새남굿의 가치와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도구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주로 굿을 하면서 쓰는 무구인 연장을 말한다. 옷은 신의 성격에 의해서 달리 입는 신의 옷을 말한다. 굿상 차림은 신에게 바치는 음식상을 말한다. 굿당의 장식은 가치가 있는 여러 가지 화려한 굿당의 장식을 말한다. 이러한 사실을 모두 서술하였다. 제6장에서는 망자김유감을 대상으로 하는 연행의 의의를 말하였다. 서울새남굿은 보기 힘든 굿이다. 이 굿을 국가기관에서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하여 관리하는데 이 굿에서 일정한 한계가 있다. 그래서 보기 어려운 이 굿을 대상으로 한 자료를 중심으로 연구하고 그 연행의 의의가 있음을 밝힘으로써, 새남굿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방법론을 내세우지 않고, 그 자체의 연행을 충실하게 드러내면서 망자김유감의 서울새남굿을 보여주듯이 서술한다. 굿의 실상이 그대로 드러나도록 하면서 굿이 연행되는 현장을 있는 그대로 보여 주고자 하는 것이 이 논문의 주제 가운데 하나이다. 이 논문에서는 분석하기보다 전반적 성격을 드러내면서 그 연행의 과정을 드러내려고 힘을 쏟았다. 다른 서울새남굿의 자료와 비교분석하지 못한 점이 이 논문의 결정적 한계이다. 앞으로 이 미진한 결과를 보충하고 이를 새롭게 연구할 수 있는 자료로 삼고자 한다.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시간성 지시 장치 발달 과정 연구 : 과거사태를 표현하는 시간성 지시를 중심으로

        김보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07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출현 시기별, 하위 유형별, 숙달도별 분석을 통해 초급 단계부터 고급 단계에 이르기까지 과거사태를 표현하는 시간성 지시 장치의 발달 과정을 고찰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서 첫째, 의미 기반 연구와 기능주의 언어 습득의 맥락에서 이루어진 시간성이란 개념을 고찰하고, 둘째, 시간성 지시 장치의 하위 유형을 화용적 지시 장치, 어휘적 지시 장치, 문법적 지시 장치로 제시하였다. 이제까지 한국어 시간성 지시 장치는 시제나 상 등 주로 문법형태소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되어 왔는데 형태 중심 접근법만으로는 문법형태소를 대신하여 담화 맥락이나 시간부사 등으로 시간성을 구현하는 학습자의 전략과 가설을 충분히 설명할 수 없다는 데에 이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15년부터 2017년까지 국립국어원의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 구축 및 연구 사업을 통해 구축된 학습자 종적 말뭉치를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다. 학습자 종적 말뭉치 중에서 본 연구 목적에 부합하는 네 명의 중국인 학습자들의 1년 6개월간의 문어(쓰기) 및 구어(인터뷰, 발표) 자료를 분석하여 시기별 발달 양상, 유형별 발달 양상, 숙달도별 발달 양상을 토대로 개별 학습자들의 시간성 지시 장치의 발달 과정을 추적하여 분석하였다. 우선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선행 연구들을 비판적인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이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2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사용되는 주요 개념을 설명하고, 시간성 지시 장치를 화용적 장치, 어휘적 장치, 문법적 장치로 분류하여 각 시간성 지시 장치의 하위 기제를 설정하여 시간성 지시 장치의 분석틀을 세웠다. 3장에서는 연구 자료와 자료 분석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2주에 한 번씩 1년 6개월에 걸쳐 쓰기와 말하기 자료를 수집한 국립국어원의 종적 말뭉치(문어: 11,664 어절, 구어: 49,201 어절)를 사용하였고, 화용적 장치, 어휘적 장치, 문법적 장치의 발달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주차별 출현 분포, 유형별 상대 비율, 숙달도별 사용률을 구하는 분석 방법을 취하였다. 4장에서는 문어에서의 시간성 지시 장치의 발달 양상을 화용적, 어휘적, 문법적 장치로 구분하여 세부적으로 고찰하였으며, 문법적 장치의 정확도를 중심으로 각 시간성 지시 장치의 하위 요인 간의 발달 관계를 분석하였다. 5장에서는 구어에서의 시간성 지시 장치의 발달 양상과 각 시간성 지시 장치의 하위 요인 간의 발달 관계를 고찰하였다. 6장에서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에게서 발견된 시간성 지시 장치의 발달 양상을 습득 환경과 모국어, 담화 유형을 변인으로 재검토함으로써 초급 단계에서 고급 단계에 이르도록 발견되는 시간성 지시 장치의 발달 과정을 입체적으로 조망하고 선행연구와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규명하였다. 마지막으로 7장에서는 이 연구의 결론과 의의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크게 4가지로 요약할 수 있으며 이는 아래와 같다. 첫째, 화용적 장치의 분석 결과를 보면, 먼저 시기별 출현 분포는 문어에서의 화용적 지시의 첫 출현은 3급이 되기 전에 이루어지고 화용적 장치가 초급과 중급 단계에서만 사용된 반면, 구어에서 화용적 지시의 첫 출현은 4급이 되기 전에 이루어지고 암시적 지시 기제는 초중고급에 걸쳐 폭넓게 출현하는 등 문어에서 더 이른 시기에 사용되는 경향을 보였다. 다음으로 유형별 발달 양상은 문어에서 시간 순서적 배열 기제가 초급 단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중급 단계에서 암시적 지시가 가장 빈번하게 사용된 것에 반해 구어에서는 초급 단계에서 시간 순서적 배열과 함께 암시적 지시도 높은 빈도로 출현하였다. 마지막으로 숙달도별 발달 양상은 문어와 구어에서 네 학습자 모두 동일하여 초급 단계에서 화용적 장치의 사용률이 가장 높고 고급으로 갈수록 사용률은 감소하였다. 둘째, 어휘적 장치의 분석 결과를 보면, 먼저 시기별 출현 분포는 문어에서 어휘적 지시 장치의 첫 출현 시기는 4급까지 분포된 반면, 구어에서의 첫 출현은 1-2급에 분포되어 있었다. 또한 문어에서는 숙달도별로 선호되는 어휘적 장치가 달랐으나 구어에서는 주로 표현 문형이 중급뿐 아니라 전 숙달도에서 빈번하게 이용되었다. 다음으로 유형별 발달 양상은 문어의 초급에서 달력상의 지시가 주로 출현하였고 중급에서 표현 문형이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었으며 고급에서 시간부사만 출현한 반면, 구어의 초급 단계에서는 달력상의 지시 외에도 시간부사, 표현 문형이 공동으로 빈번하게 출현하였으며 중급 단계에서도 표현 문형이 가장 빈번했고 고급 단계에서도 시간부사 외에 표현 문형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마지막으로 숙달도별 발달 양상은 문어와 구어에서 학습자들은 대체로 어휘적 장치의 사용률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셋째, 문법적 장치의 분석 결과를 보면, 먼저 시기별 출현 분포를 보면, 구어에서의 ‘-은’의 회피는 두드러져 습득 순서에서도 가장 늦은 시기에 출현하였다. 이는 문어에서는 종결형의 ‘-었-’ 출현 이후 연결형, 관형형에서의 ‘-었-’보다 ‘-은’의 출현이 먼저 이루어진 것과 대조되었다. 다음으로 유형별 사용 양상은 문어와 구어에서 선어말어미 ‘-었-’의 사용이 빈번하였고 관형사형 전성어미 ‘-은’은 소수 빈도만 출현하였다. 마지막으로 숙달도별 발달 양상은 문어에서 학습자들은 대체로 초급 단계에서 고급 단계로 가면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고 구어에서는 모든 학습자들이 초급에서 중급 단계에서는 유지되다가 고급 단계로 가면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넷째, 각 시간성 장치의 상호관계 양상을 살펴보면, 숙달도별 분석에서는 초급에서 중급으로 가면서 화용적 지시는 감소하고 어휘적 지시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중급 단계에서 고급 단계로 가면서 어휘적 지시는 유지/증가/감소하는 경우가 다양하게 나타났으나 문법적 지시 장치는 큰 폭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정확도별 분석에서는 초급과 중급 단계가 고급 단계에 비해 문법적 지시의 정확도가 낮았다. 중국인 학습자들은 시제 형태소의 정확도가 낮은 초중급 단계에서 문법적 장치를 미사용한 경우 초급에서는 화용적 장치를 통해 중급에서는 어휘적 장치를 통해서 불완전한 문법적 장치의 사용을 보완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요약하면, 본 연구에서의 네 명의 중국인 학습자는 과거사태를 나타내는 시간성 지시 장치의 발달적 사용을 보여주었다. 즉 문법적 장치의 사용이 능숙하지 못한 초급에서는 화용적 장치를, 중급 단계에서는 어휘적 장치를 더 사용하다가 고급 단계에서는 주로 문법적 장치를 통해 과거시간 범주의 시간성 지시를 구현해 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Chinese learners of Korean developed in terms of how they referred to past events as they moved from beginner to advanced levels. This study was organized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emporality and was modeled on meaning-oriented studies and around a functionalist language acquisition framework. It categorized means of temporal reference as either pragmatic, lexical, or grammatical. Historically, Korean temporal reference means have been studied mainly based on grammatical morphemes such as tense and aspect. However, form-oriented studies cannot fully explain how learners use narrative context or time adverbials to explore strategies and hypotheses about expressing temporality. In order to accomplish this research goal, this study observed what types of temporal references beginner,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defined as those who had been learning Korean for 6, 12, and 18 months,respectively, used. This data was drawn from the longitudinal corpus of data about four Chinese learners of Korean that was collect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between 2015 and 2017. The first chapter explain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study through a critical review of related studies. The second chapter explains the main concepts behind the organization of the study and defines pragmatic, lexical, and grammatical temporal reference means and their subcategories. The third chapter describes the research and analysis methods. This study used the longitudinal learner’s corpus composed of 11,664 written and 49,201 spoken words collected by the National Korean Language Institute. The words were collected from four Chinese learners every two weeks for 18 months. This chapter described the major results in terms of the rate at which different patterns were expressed over time and the relative frequency of the reference of each type of pattern. Chapter 4 classifies the temporal reference means expressed in the written corpus as either pragmatic, lexical, or grammatical and examined the developmental relationship between their sub-categories in terms of the accuracy of ‘-eot-’ use. Chapter 5 examines the developmental patterns of temporal reference means expressed in the spoken corpus and the developmental relationship between their sub-factors. Chapter 6 discusses the developmental pattern of temporal reference means from beginner to advanced levels according to acquisition environment, native language, and discourse type. Chapter 7 describes the study’s conclusions and significance. The four main results of this study which were as follows. First, pragmatic references appeared earlier in the written corpus than in spoken corpus. In the written corpus, pragmatic references first appeared before level 3 and were only used by beginner and intermediate learners while pragmatic references first appeared in the spoken corpus before level 4 Implicit reference mechanisms were widely used at all levels. The arrangement of chronological order was used the most in the written corpus by beginner learners and Implicit references were used the most by intermediate learners. Both arrangement of chronological order and Implicit references appeared frequently in the spoken corpus for beginner learners. All four learners showed the same developmental patterns in terms of proficiency. Pragmatic means were used the most frequently when they were at the beginner level and the frequency with which they were used decreased as learner level increased. Second, the first appearances of lexical reference means were distributed across levels 1–4 in the written corpus and levels 1–2 in the spoken corpus. In the written corpus, different lexical means were used depending on proficiency level, but in the spoken corpus, expressional sentences were used at all proficiency levels. Calendaric references in the written corpus mainly appeared at the beginner level, while expressional sentences were used the most frequently at the intermediate level and temporal adverbs only appeared at the advanced level. In the spoken corpus, calendaric references, temporal adverbs, and expressional sentences frequently appeared at the beginner level, while expressional sentences were the most common type of expression at the intermediate level, and temporal adverbs and expressional sentences were the most common at the advanced level. In both corpuses, learners generally used the types of expressions that they were learning at the moment within creasing frequency. Third, “-eun” appeared relatively infrequently and was the last of all types of grammatical reference means to appear in the spoken corpus. However, in the written corpus, “-eun” appeared before “-eot” in the connective sentences and “-eot” in the adnominal sentences. The prefinal ending “-eot” was frequently used in both corpuses, but the adnominal changing ending “-eun” appeared only a few times. Learners’ written proficiency generally increased as they moved from the beginner level to the advanced level, but their spoken proficiency remained the same between the beginner and intermediate levels but increased between the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s. Fourth, the use of pragmatic references decreased and the use of lexical references increased between the beginner and intermediate levels. The use of different lexical references did not change, increased, or decreased, but the use of grammatical references increased significantly. Grammatical reference accuracy increased as learners moved from the beginner level to the advanced level. The learners did not use grammatical references in the beginner and intermediate levels as they were relatively inaccurate in their use of tense morphemes, so instead they used pragmatic references in the beginner level and lexical references in the intermediate level instead. This study showed how four Chinese learners developed in their use of temporal reference means to discuss past events. Their facility at using grammatical means increased as they moved from the beginner level to the advanced level.

      • 한국어 문장의 의미 층위에 대한 연구 : 사건, 명제, 사실, 화행을 중심으로

        김태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07

        本稿では事件、命題、事実、言語行為等の意味レイヤーを中心に、韓国語のいくつかの言語現象を説明することを試みた。すなわち、これらの意味レイヤーがある言語表現の解釈に如何に関与するのか、また如何なる言語表現によってそれぞれの意味レイヤーが表現されるのかについて考察した。 そのために、まず核叙述単位を設定した。核叙述単位とは、述語が項を統率する構成体である。この核叙述単位は言語理論的な産物であって、実存するものではない。したがって本稿は、この核叙述単位を事件や命題であると把握するような、あらゆる議論に反対するものである。一方、事件や命題、事実、言語行為などは実存する実体である。まず言語形式によって表現される事件とは、ある世界において時空間上の位置を占めつつ、別のある事件を引き起こす原因となる事件が概念化された実体である。その反面、命題は事件がそのまま抽象的実体としてレイヤー変換されたものである。このように命題として変換されてはじめて、話者はそれを言語的演算の対象とすることができる。この時、その命題が話者にとって「真」であれば、それを事実と呼ぶことができる。 本稿では、文の意味や指示対象等がそのまま事件、命題、事実などに当たる、という類の議論をすべて拒否した。文は事件という客観と話者という主観が出会う場所であり、一つの意味レイヤーとしては確定し得ないものである。ただし文内部には意味レイヤーが存在する。つまり、文は「意味レイヤー」と「事件に加えられる限定や、命題・事実・言語行為に加えられる限定」が結合して成立するものと理解される。本稿ではこのような限定を、事件レベルの限定と談話レベルの限定とに分けた。このような限定要素としては、語彙的カテゴリーとして副詞、文法的カテゴリーとして先文末語尾があり、これらの要素が結合する順序は、事件から命題、事実、言語行為という方向に進む強い傾向性が見られる。 文はそのまま特定の意味レイヤーに結び付けられるものではないが、名詞語は特定の意味レイヤーにそのまま結び付けられる。そのような名詞語としては代用的代名詞(anaphoric pronoun)、名詞、名詞化構文などがある。また一部の名詞の中には特定の意味レイヤーを表す傾向の強いものがあり、これをX-性名詞と呼んだ。名詞化構文には、大きく分けて非完形補節の名詞化構文と完形補節の名詞化構文がある。前者は事件を、後者は命題を表す傾向が強い。これは、それぞれの由来が前者は動名詞形、後者は引用形式という様に相異なるためである。 ある名詞語が特定の意味レイヤーとして解釈される傾向が強いとは言っても、これは可変的である。すなわちある意味レイヤーと解釈されるか否かの核心的な主導権は名詞語でなくこの名詞語を統率する述語が握っている。これを本稿ではタイプ強制現象として説明した。すなわち当該の述語がその項において特定の意味レイヤーが現れることを強く要求するならば、当該の項にある名詞語はその特定意味レイヤーとして解釈されるわけである。これに対し本稿では、意味レイヤーXが項として現れることを要求するX-性述語を設定した。しかし、意味レイヤーの解釈において述語が全てであるわけではない。項に結合する助詞、述語自体の文法化、話者と文の主語が一致するか否か等により、名詞語の解釈は変調する。 本稿は以上の議論を進めるにあたり、文(発話)は話者と聞き手の存在を前提とする談話という脈絡において存在し、またその目的は意思疎通にあるという機能文法の言語観に立脚し、議論を展開した。意味レイヤーの解釈も、文の分析も、言語の主な目的が意思疎通にあるという前提がなければ不可能であろう。 본고에서는 사건, 명제, 사실, 화행 등의 의미 층위를 중심으로 한국어의 몇몇 언어 현상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곧 이 의미 층위들이 어떤 언어 표현의 해석에 어떻게 관여하는지, 한편으로는 어떤 언어 표현들을 통해 이러한 의미 층위들이 드러나는지에 대해 살폈다. 이에 우선 핵 서술 단위를 설정하였다. 핵 서술 단위는 서술어가 논항을 거느리고 있는 구성체이다. 이 핵 서술 단위는 언어 이론적인 산물일 뿐 실제로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 핵 서술 단위를 사건이나 명제로 파악하는 모든 논의에 반대한다. 한편 사건이나 명제, 사실, 화행 등은 존재하는 실체이다. 우선 ‘언어 형식을 빌려 표현되는 사건’은 어떤 세계에서 시공간을 점유하며 다른 사건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 사건이 개념화된 것이다. 반면 명제는 이러한 사건이 그대로 추상적 실체로 층위가 변환된 것이다. 이렇게 명제로 층위가 변환된 후에야 화자는 언어적 연산의 대상으로 삼을 수 있다. 다만 명제가 화자에게 ‘참’이라는 지위를 가지면 이를 사실이라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문장의 의미, 지시체 등이 사건이나 명제 혹은 사실에 해당한다고 하는 여러 논의를 거부하였다. 문장은 사건이라는 객관과 화자라는 주관이 만나는 곳이며, 한 의미 층위로 확정될 수 없다. 다만 문장 내부에는 의미 층위가 존재한다. 이에 따라 문장은 ‘의미 층위’ 그리고 ‘사건에 가해지는 한정이나 명제나 사실, 화행에 가해지는 한정’이 달라붙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해된다. 한정은 사건 차원의 한정과 담화 차원의 한정으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한정 요소에는 어휘적 범주로 부사어, 문법적 범주로 선문말 어미가 있는데, 이들 요소들은 달라붙는 순서에 있어 사건에서 명제, 사실, 화행으로 나아가는 강한 경향성을 보인다. 문장은 바로 특정 의미 층위에 연결되지 않지만 명사어는 특정 의미 층위에 바로 연결된다. 이러한 명사어에는 대용적 대명사, 명사, 명사화 구문 등이 있었다. 일부 명사 가운데에는 특정 의미 층위를 나타내는 경향이 강한 것이 있었다. 이를 X-성 명사라고 하였다. 명사화 구문은 크게 비완형 보절의 명사화 구문과 완형 보절의 명사화 구문이 있었다. 전자는 사건을 나타내는 경향이 강하고, 후자는 명제를 나타내는 경향이 강하다. 이는 각각의 유래가 전자는 동명사형, 후자는 인용 형식으로 상이하기 때문이다. 어떤 명사어가 특정 의미 층위로 해석되는 경향이 강하다고 하더라도 이는 가변적이다. 곧 어떤 의미 층위로 해석되는지 결정하는 핵심적인 주도권은 명사어가 아니라 이 명사어를 취하는 서술어가 가지고 있다. 이를 본고에서는 유형 강제 현상으로 설명하였다. 곧 해당 서술어가 그 논항으로 특정 의미 층위가 올 것을 강하게 요구하고 있다면, 해당 논항에 있는 명사어는 서술어가 요구하는 특정 의미 층위로 해석되는 것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의미 층위 X가 논항으로 올 것을 요구하는 X-성 서술어를 설정하였다. 하지만 의미 층위의 해석에 있어서 서술어가 전부인 것만은 아니다. 명사어에 결합하는 조사, 서술어 자체의 문법화, 화자와 문장 내 주어가 일치하는지의 여부 등에 따라 명사어의 해석은 변조된다. 본고는 이상의 논의를 진행함에 있어, 문장(발화)은 화자와 청자를 전제로 하는 담화를 맥락으로 가지고, 또한 그 목적은 의사소통에 있다고 하는 기능문법의 언어관에 입각하여 논의를 전개하였다. 의미 층위의 해석도, 문장의 분석도 언어의 주된 목적이 의사소통이라는 전제가 없다면 불가능할 것이다.

      • 『사상계』의 문예 전략 연구

        김경숙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23

        『사상계』의 문예 전략 연구 김 경 숙 부산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요 약 한국전쟁으로 사회 체제가 급격히 재편되고 전후 국가 재건의 의지가 사회 전반에 확장 되던 시기에 지식인을 중심으로 계몽적 문화사업의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사상계』는 장준하가 이런 사회의 요구를 읽고 ‘사회적 空器가 되는 잡지’를 만들겠다는 소명의식을 가지고 발간하였다. 주지하다시피 『사상계』는 대중의 계몽에 앞장섰던 지식인 교양잡지이며 편집인의 대다수가 언론, 경제, 정치, 문화 등 각 분야를 대표하는 당대 최고 지식인들로 구성되어 전성기의 『사상계』가 가진 매체로서의 위상은 실로 막강했다. 한편 1950년대와 60년대 문학장 및 담론장의 지형을 제대로 살피려면 종래의 순문예지 위주의 연구는 종합지가 띤 문예적 특성의 고찰로 확장될 필요가 있으며 『사상계』는 이 필요의 가장 적절한 대상이다. 『사상계』는 문학의 공리성을 강조한 장준하의 확고한 문학관과 이에 동조한 편집진의 문학관이 반영되어 순문학을 지향한 타문예지와는 차별성을 띠고 있다. 『사상계』는 1955년 편집위원회 체제를 도입한 후 공격적인 편집 전략을 통해서 잡지의 이념 전파와 계몽 의지를 더욱 확장하게 되는데 청년지식인을 주 독자층으로 했던 『사상계』가 독자와의 거리를 좁히며 소통하는 방법으로 선택한 것은 바로 문예 전략이었다. 종합지인 『사상계』는 이 문예 전략의 시행 이후 당대의 순문예지와 어깨를 겨룰 정도의 문학적 성과를 거두었고 이를 통해 문단에서의 입지 역시 확고해졌다. 이 논문에서 『사상계』의 문예 전략을 다룬 이유가 바로 이것인데 『사상계』가 펼친 문예 전략의 문학적 성과는 1950년대와 60년대를 단절적인 것으로 파악하는 문학계 일부의 관점을 시정 · 보완할 수 있을 정도의 무게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사상계』는 전쟁을 전후로 재편된 문단의 대다수 문인들(시인 264명, 소설가 184명, 극작가 13명, 평론가 242명)이 『사상계』 지면을 찾음으로써 시 927편, 소설 513편, 희곡과 시나리오 21편, 서평을 포함한 비평문 687편이라는 문학적 성과를 거두었다. 또 『사상계』가 제정한 동인문학상과 신인문학상은 당대 최고의 권위를 가진 신진 문인들의 등용문이었으며 이를 통해 배출된 역량 있는 문인들에 의해 우리 문학은 꾸준히 발전을 거듭할 수 있었다. 『사상계』가 매체 이념을 보편화시키기 위해 구사한 문예 전략의 목적은 문학의 사회적, 공리적 기능의 강화였으며 이 전략은 『사상계』가 생산한 경직되고 무거운 여러 비판담론들에 독자의 집중도를 높여서 『사상계』의 정론성을 더욱 공론화시키는 효과를 발휘했다. 따라서 『사상계』가 생산한 정치, 경제, 문화 등의 다양한 담론들과 『사상계』 문학은 밀접한 상관성을 보일 수밖에 없으며 매체 이념과 궤를 같이하는 특성을 나타낸다. 『사상계』가 해외 문학을 신속히 수용하고 동인문학상과 신인문학상을 통해 역량 있는 신인을 발굴했던 일련의 문예 전략이 매체와 문학의 구조적 역학관계를 뚜렷이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사상계』의 문예 전략의 면모를 밝히기 위해 『사상계』의 전체 발행기간(『사상』포함,1952.9-1970.5)을 대상으로 하되 사상계사가 문예 전략을 강력하게 시행했던 기간(1955~1963)에 더욱 집중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 논문에서 활용한 실증주의 방법론을 통해 『사상계』 통권 205권의 문학텍스트의 서지사항을 확인한 결과 기존 연구에서 빠뜨렸던 문학 자료의 채집과 보완이 가능했고 문예 전략의 주체였던 편집위원회에 대한 기존 자료의 오류를 상당 부분 바로 잡을 수 있었다. 이 논문이 원전 중심의 문학 텍스트 정리에 초점을 둔 이유는 『사상계』 문학에 대한 연구가 앞으로 더욱 활기를 띠기 위해서는 정확한 1차 자료의 정비가 필수적이라는 나름의 판단에서였다. 『사상계』의 문예 전략을 통해 전후부터 60년대에 이르는 기간의 문학장의 지형과 그 헤게모니 양태를 살펴보는 이 작업은 『사상계』라는 특정 잡지의 문학성 인식을 문제 삼는 것에 그치지 않고 70년대까지의 한국문학과 지식인 담론장의 흐름을 통합적이고 거시적인 안목으로 이해하는 작업의 일환이 될 것이다.

      • 베이징 공간 재현의 변천 양상 연구 : '京味'와 '京味文學'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

        이수연 慶熙大學校 2019 국내박사

        RANK : 1550

        유구한 역사를 가진 베이징은 원(元)왕조 이후 현재까지 수도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는 중국을 대표하는 도시 공간이다. 이러한 베이징 공간에 대한 인문적인 연구는 ‘경미(京味)’와 ‘경미문학’이라는 개념이 출현하면서 진행되었다. ‘경미’는 1980년대 베이징 공간을 재현한 문학 작품의 비평 과정을 통해서 개념화 된 용어로, 문학 속 라오베이징(老北京)의 공간, 풍경, 인물, 사건, 언어를 토대로 한 문학 풍격이라는 정의로 보편화되었다. 이로 인해 ‘경미’와 ‘경미문학’ 개념을 근간으로 한 베이징 공간에 대한 인문적인 연구는 주로 베이징 전통에 편중되어 진행되었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문학 이외에 예술, 문화 등의 다양한 분야 연구에 ‘경미’가 확대 적용되면서 기존의 ‘경미’ 개념은 더욱 모호해지고 불분명한 개념이 되었다. 이로 인해 ‘경미’ 개념에 대한 재탐색을 주장하는 학자들도 등장하기 시작하였으나 여전히 ‘경미’의 중추적인 개념 정리가 명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연구가 진행되면서 다양한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경미’에 대한 관심은 증폭되고 있으며 점차 베이징 공간을 설명할 수 있는 함축적인 용어가 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문학연구 패러다임에서 공간연구 패러다임으로 방향을 전환하여 ‘경미’의 개념을 재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베이징 공간 재현 변천 양상을 이해하고 시대를 아우르는 베이징 공간의 인문경관 변천사를 파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서 첫째, 탈근대 이후 공간연구 담론으로 새롭게 부상한 로컬(Local) 담론과 연계하여 ‘경미’의 본질적인 의미를 제시하였으며 베이징 문학, ‘경미’ 재현 문학, ‘경미문학’의 범주를 분명하게 구분하였다. 둘째, 본 논문에서 제시한 ‘경미’의 개념을 바탕으로 ‘경미’가 형성된 봉건시기, ‘경미’ 재현 문학이 출현한 민국(民国)시기, ‘경미’의 문학적 재현이 정체된 17년의 사회주의와 문화대혁명시기, ‘경미’ 재현 문학이 확산된 신시기(新时期), ‘경미’ 재현 문학이 세분화 된 1990년 대 이후로 시기를 분리하여 시대별 베이징 공간 구조의 함의와 서로 다른 양상의 ‘경미’ 서사, 수사적 표현, 등을 고찰하여 시대별 ‘경미’와 ‘경미’ 재현 문학의 변천 양상을 살펴보았다. 셋째, 뉴미디어의 발달로 ‘경미’ 재현 방식이 확장되면서 ‘경미’ 서사와 결합한 영화, 드라마 작품이 점차 증가하였고, ‘경미’ 서사 영화, 드라마는 점차 새로운 문화를 창조하고 문화 흐름을 만드는 ‘경미’ 재현의 중요한 방식이 되었다. 이에 ‘경미’ 서사 영화, 드라마의 정의와 그 서사 재현 맥락을 분석하여 영상미디어를 통한 ‘경미’ 재현 양상 또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글로컬라이제이션(Glocalization) 조류 속에서 ‘경미’가 문화코드가 되어 확산되면서 ‘경미’문화를 베이징의 전통문화와 동일시하는 현상과 문화의 상업화에 주안점을 둔 범문화 현상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시대를 초월한 베이징 공간을 총체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경미’를 통해 베이징 공간과 인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인문지리적 환경이 조성한 문화적 양상을 파악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有着悠久历史的北京自元代以来直至今日一直作为中国的首都,同时也是中国最具代表性的“都市空间”之一。在此背景下,出现了“京味”和“京味文化”的人文研究。“京味”是一个已经概念化的名词,是指文学中以老北京的城市空间,风景,人物,时间,语言为基础,批评再现上世纪80年代“北京空间”的文学作品。因此,对于“京味”和“京味文化”的人文研究主要集中在对于传统北京文化的研究上。 但是,20世纪90年以后针对“京味”的研究,扩大到了艺术,文化等多领域,原有的“京味”概念逐渐变得模糊和界限不清。虽有学者提出再定义“京味”内涵,但是目前依然难以规整“京味”的核心概念,从而引起学术界一系列的争论。即便如此,学术界对于“京味”的研究却日益增加,“京味”逐渐成为说明“北京空间”的代名词。本论文在现有研究的基础上,从空间研究框架的方向出发对“京味”概念进行新的探索,以此为基础来把握“北京空间”再现的变迁,并结合时代特性展现“北京空间”变迁史。 首先,参照“后现代”空间研究以及近期出现的“本土(Local)”理论研究,揭示“京味”的本质含义,并进一步细分“北京文学”,“京味再现文学”,“京味文学”的所属范畴。 其次,依据本论文提出的“京味”概念,将“京味”划分为:“京味”形成的封建时期,“京味”再现文学初现的民国时期,以及“京味”的文学再现停滞的社会主义和文化大革命的17年的时期,“京味”再现文学扩大的新时期,“京味” 再现文学细分化的90年代以后的时期。考察不同时代“北京空间”构造的含义,及其不同特性的“京味”叙事,修辞表现等;同时考察不同时代的“京味”和“京味”再现文学的变迁。 第三,随着新媒体的发展,“京味”再现方式呈现更加多元的表现,“京味”叙事电影,电视剧作品逐渐增加,其逐渐成为在新文化和新潮流下“京味”再现的重要的方式。 因此,通过考察“京味”叙事电影,电视剧的定义和分析叙事脉络,通过影视作品来考察“京味”再现特性。 最后,在全球本土化(Glocalization)潮流中“京味”文化符号形成及扩散的同时,考察了以下两个内容:第一,将“京味”文化和北京传统文化视为同一概念的现象;第二,和商业化相关联的泛文化现象。 本研究旨在探明“北京空间”的人文学价值和人与空间的关系;具备把握由人文地理构成的文学现象的现实意义,此外,期望可以作为从整体和持续性角度研究“北京空间”的基石,起到理解“北京空间”的重要作用。 Beijing, a city with long history, is one of the major cities of China that has been the capital city since the Yuan Dynasty. Humanistic study of Beijing Space began with the emergence of concept of Beijing Atmosphere and Beijing Atmosphere Literature. Beijing Atmosphere is a term conceptualized in the process of criticizing the literature that has depicted Beijing Space in the 1980s and it is usually defined as a style of literature based on the spaces, landscapes, characters, events, and languages of Lao Beijing. For that reason, humanistic study of Beijing Space based on the concept of Beijing Atmosphere and Beijing Literature has mostly been focused on the tradition of Beijing. However, the previous concept of Beijing Atmosphere has become more ambiguous and unclear as Beijing Atmosphere has expanded to various areas of study besides literature, including arts and culture, since the 1990s. Some scholars have tried to re-define the concept of Beijing Atmosphere, but their studies have been controversial as the mainstream concept of Beijing Atmosphere is still not defined clearly. Nevertheless, it has been discovered that more people are showing interests in Beijing Atmosphere and it is gradually becoming a term used to imply Beijing Space. The current study has converted the paradigm of study from the previous literature study to the spatial study to re-define the concept of Beijing Atmosphere, comprehend the development of reproduction of Beijing Space, and identify the chronology of humanistic landscapes of Beijing Space over time. For those purposes, first, it suggested the essential meaning of Beijing Atmosphere in relation to the local discourse that has emerged as a spatial study discourse since Post-modernism and clearly categorized ‘Beijing Literature’, ‘Literature Reproducing Beijing Atmosphere’, and ‘Beijing Atmosphere Literature.’ Second, the periods in history were classified into the feudal period when Beijing Atmosphere emerged, the Period of Republic of China when Literature Reproducing Beijing emerged, the 17 years of socialism and Cultural Revolution when the literary reproduction of Beijing Atmosphere was stagnant, the new period when Literature Reproducing Beijing spread, and the period after the 1990 when Literature Reproducing Beijing was segmented. By doing so, the study discussed the implication of the structure of Beijing Space in each time period and different forms of epic and rhetoric expression of Beijing Atmosphere to examine the development of Beijing Atmosphere and Literature Reproducing Beijing over time. Third, as the method of reproducing Beijing Atmosphere has expanded with the development of new media, the number of movies and TV dramas combined with the epic of Beijing Atmosphere has gradually increased and such epic movies and TV dramas have created a new culture and cultural trend as a major method of reproduction of Beijing Atmosphere. Therefore, the study has analyzed the definition of epic movies and TV dramas of Beijing Atmosphere and the context of epic reproduction on video media. Finally, as Beijing Atmosphere has expanded as a cultural code through the wave of glocalization, the study discussed the identification of Beijing Atmosphere with the traditional cultural of Beijing and the cultural phenomena focused on the commercialization of culture. The current study cla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niversal humanistic value underlying the unique culture of Beijing and the people and spaces of Beijing and identified the cultural trends created by the humanistic and geographical environment of Beijing. The findings of the study would also lay a foundation for the paradigm of comprehensive and consistent study of Beijing Space for better understanding of Beijing Space.

      • 다문화가족 한국어교육 실태 및 文識性 개선 방안연구 : - 대전광역시 중구 한국어교육을 중심으로 -

        김우영 중부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55

        This research is about the needs of education of Multi Cultural Family(MCF) which is increasing recently. It explains the purpose of the study with title “actual condition of MCF’s Korean education and improvement of MCF’s reading and writing skills” and subtitle “Korean education with Jung-gu Daejeon City”  Accroding to the released statistics of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on November 2017, the number of MCF is 1,860,000. It’s 3.6% of total population of South Korea and it almost reached to 4% of population(2,000,000) which is considered as Multi-cultural country. As of November 2017, 6323 MCF and 20,348 people are living in Dae-jeon City which is located in the center of South Korea. By considering the history and MCF’s current situation and living condition, it is required to establish a long term policy from the Government to MCF that are generally vulnerable nationally, socially, and culturally. Violence, poverty, drinking, smoking, adultery, child abuse, prejudice about culture and education to those MCF that has come to Korea with Korean dream, has to be stopped to meet the requirements of world’s human right and morality. This thesis considered important meaning and value of reading and writing Korean language to MCF to improve their reading and writing skills and to improve their actual condi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improve reading and writing skills of Korean language, Muilti-Cultural Center of Junggu Daejeon City has taught MCF Korean language and traditional culture through classical novel. Teaching classical novel had many good effects on them. It helped them to learn Korean’s emotion, values, and thoughts. Through this improvement, they could be able to increase their communication ability and understanding about Korean culture. Studying Korean folk tale that are affected by Confucianism which is common in Asia and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filial duty, loyalty, justice, friendship, and respect helped MCF to understand Korean language and culture better. MCF has folk tale on their own similar to <kongjwi and patjwi. Korean Cinderella> <the story of Heungbu and Nolbu>. So, it was easier to have bond of sympathy in result to conveying Korean language reading and writing skills. When I teach, I emphasized MCF to pronounce Korean word correctly to help them to understand the value of Korean language’s phoneme and application. By teaching systematically how to pronounce consonant and vowel of Korean, MCF’s study effect was better and as a result, total Korean language reading and writing skills were improved. I could be able to form a bond of sympathy by teaching them how to sing Korean National anthem and folk song <Arirang>. It happened during Korean language class through songs and poems which goal is to help MCF’s improvement of reading and writing Korean language. By reading out loud famous poem of Korea, their pronunciation of Korean language was improved. Through the program, they learned classes called “how to spacing words of mistakable pronunciat of Korean language”, “study of mistakable Korean language pronunciation” and ”mistakable easy Korean grammar writing”. After regularly teaching them about Korean common language and grammar, their reading comprehension was improved from 50% to 70% when there was a test.  To teach MCF children followed by adult MCF, we need to have systematic curriculum that contributes for the future of Korea and identification. To make it happen, we need long term discrimination, magnanimity, and respect of diversity. Variety of communication, utilizing bilingual person, multilateral education, MCF children education from the schools are important. We need to teach MCF children Korean language from the basic so that they can be raised as prospective MCF children.  So far, this thesis discussed how to improve MCF’s Korean language education with title “actual condition of MCF’s Korean education and improvement of MCF’s reading and writing skills” and subtitle “Korean education with Jung-gu Daejeon City”. The number of MCF is increasing and therefore, we need to educate them with a proper teaching program and long term goals. To secure national competitiveness, we need more population. By utilizing MCF who has variety of talent and skills, we can make our country as successful multi cultural country by respecting diversity.

      • 부끄러움의 탐색과 근대적 주체 비판 연구-이청준 소설을 중심으로-

        송은정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07

        이청준 소설은 지배적인 담론을 내면화한 근대 주체들이 부끄러움을 느끼는 지점에서 현대성의 모순을 비판한다. 이청준 소설은 부조리한 세계에서 근대적 주체들의 증상을 가시화한다. 이 연구는 이청준 소설이 드러내는 부끄러운 주체들의 내면을 분석하여, ‘키 작은 자유인’의 제시가 내포하는 문학적 함의를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세 가지의 다른 배경을 가진 ‘전짓불 공포’를 다룬 소설들을 대상으로 한다. 첫 번째 ‘전짓불 공포’는 한국전쟁이나 광주5·18민주화운동과 같은 사건에서 자행된 좌우 이데올로기의 강요와 국가 폭력에 대한 주체의 공포이다. 두 번째 ‘전짓불 공포’는 1960~70년대 산업화의 가속화와 압축 성장의 구도에서 이루어진 물신화와 인간 소외 현상 등에서 주체가 느끼게 되는 공포이다. 세 번째 ‘전짓불 공포’는 이청준의 문학에 비춰지는 검열의 시선에서 비롯된다. 문학은 ‘개인의 진실’에 따른 것이어야 할 뿐 아니라 ‘사회적인 공의’를 감당하는 것이어야 한다는 당위가 두 개의 전짓불로 표상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는 작가로서 느끼는 외부의 압력 및 스스로가 가하는 내부 검열과 성찰을 겸하는 시선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전짓불의 공포는 주체에게 여러 층위의 부끄러움을 불러일으킨다. 이 연구는 이러한 주체의 부끄러움의 지점에서 비판되어야 할 현대성의 모순을 역사와 정치철학을 통해 살펴보았다. 부끄러운 주체의 내면은 게오르그 짐멜, 조르조 아감벤, 프리모 레비, 마사 너스바움 등의 ‘부끄러움’의 여러 정의들에, 부끄러움에 추동한 근대적 주체의 전환적 사유에 대한 모색은 알랭 바디우의 철학적 개념에 도움을 받았다. Ⅱ장에서는 소설 속 인물들로 하여금 부끄러움을 느끼게 만드는 한국의 현대성과 폭력적 상황에 대해 정리했다. 좌우 이념 갈등 및 국민의 정체성 형성을 위한 정책들, 산업개발 중심의 경제 체제는 부끄러운 근대적 주체를 생성한다. 이청준의 소설은 억압적 담론 앞에서 ‘자아 망실증’을 앓는 근대적 주체를 대신한 ‘자기 증거하기’로서의 소설과 ‘씻김질’의 소설을 지향한다. Ⅲ장에서는 첫 번째 ‘전짓불 공포’과 관련한 작품들을 살펴보았다. 국가는 그 구성원의 동화와 배제를 위해 ‘사상’이라는 비가시적 경계를 앞세워 끊임없이 배제되어야 할 내부의 적을 창출한다. 이로 인해 국가는 포섭해야 할 예외상태의 호모 사케르를 분별하기 어려워지면서 국민 전체를 암묵적인 적으로 간주한다. 이청준은 전쟁이라는 극한의 상황이 인간이 어쩔 수 없이 인간 자신에 대해 부끄러워할 수밖에 없는 상태로 몰아가는 모습에 주목하고 있는 것이다. Ⅳ장에서는 두 번째 ‘전짓불 공포’인 가난을 각인시키는 자본주의 체제에 대한 소설들을 분석했다. 자본의 논리를 내면화한 주체는 화폐로 교환될 수 있는 노동만을 반복할 뿐, 스스로의 존재 가치를 증명할 수 없는 가치불임의 상태에 빠지게 된다. 그 결과 존재의 정체성은 복제되는 상품처럼 자본의 가치 증식의 논리에 따르게 되며, 존재는 삶 속에서 생명성을 상실한다. 자본의 논리를 내면화한 인물들은 이것과 저것의 양가적 지평 속에서 속물적 부끄러움을 지닌 채 어느 것을 선택하지도, 포기하지도 못한다. Ⅴ장에서는 작가로서 느끼는 문학적 당위에 대한 공포를 살펴본다. 이청준의 ‘소설가 소설’에 등장하는 인물인 ‘소설가’ 역시 또 하나의 근대적 주체로 담론의 선택에 대한 강압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이청준 소설은 근대적 주체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인간 존재의 개별적 보편성에 대해 모색한다. 개별적 보편성은 개별자들이 자기 신념에 따른 진실을 지켜내는 개별성과 율법의 특수성이나 차이가 아니라 ‘구음의 합창’과 같은 모두에게 말 건넬 수 있는 은총의 형태인 보편성의 조화라고 할 수 있다. 이청준은 현대성의 비판과 함께 부끄러운 근대적 주체들의 면면을 드러내면서 이를 극복해 낼 대안적 주체인 ‘키 작은 자유인’을 제시하고 있다. ‘키작은 자유인’은 자신의 진실을 지켜내면서도 모두에게 말 건넬 수 있는 존재로 ‘개별적 보편성’을 담지해낸 존재이다. 이는 알랭 바디우의 개념을 빌어 말하자면 ‘진리 주체’로 자기 신념에 따른 자유로움으로 사건들의 공백 속에서 진리를 만들어가는 존재이다. 또한 기존의 담론을 전복시킬 수 있는 전투적인 면모를 지닌 ‘무명의 투사’라고도 할 수 있다. 이청준 문학의 핵심은 각각의 주체가 부끄러움에 추동되어 자유로운 ‘진리주체’로 전환되는 것이며, 등장인물은 물론 독자의 전환을 통해 경화된 부조리한 담론에 균열을 가해 세상을 변화시키는 것에 있다. 이청준의 일련의 문학적 시도들은 말할 수 없는 것을 말하려 하고, 아직 도래하지 않는 어떤 것들을 현시해 보이려고 하는 것이다. 이러한 아포리아에 대한 이청준의 문학적 사유는 그의 관념적 소설의 깊이를 더해주는 주요한 추동력이라고 할 수 있다.

      • 정약용 시문학의 노년 인식 양상

        김은미 부산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07

        In the studies on Dasan's poems until the end of the 20th century, the character of criticizing the reality of Dasan's poems was mainly brought to the fore. It is the nature of Dasan's poetic literature, but it is also due to the specific social environment and problem consciousness of our society in the 1970’s and 1980's, which is the realistic background of researchers. By the 21st century, however, the real political situation has changed. The change of political reality has diversely extended the interest of researchers who have paid attention to criticism of the reality of Dasan's poems. New research has emerged that approach the Dasan's poetic literature as a micro‐routine problem rather than a grand discourse. In this study, we propose Dasan's elderly perception problem as one of the new perspectives, and attempt to explore the aspects of elderly perception appearing in Jeong Yak‐yong's poetic literature. In the meantime, while the researchers focused on Dasan's public orientation, the private area had relatively few opportunities to scrutinize. The issue of elderly perception is a meaningful subject that can be examined in a diachronic way through Dasan's literary life. In addition, if there is a view angle that is inevitably calculated from the age of literature research, it is because to examine the aspects of elderly perception in Dasan's poems can be a new angle that this era, which is in the forefront of entry into the aged society, desires. Everyone is aging and reaching the elderly. Aging is a phenomenon in which the body structure and function decline over time, and in view of the continuing change that is the process of going to the elderly, in this study, as well as the life of the elderly, who acknowledges himself/herself and others as old people, we attempted to review all of the time from the youth to the process of getting older. This study examines how young Dasan perceives others' elderly, as he goes through his own aging, what emotional changes Dasan is going through, and lastly also examined what emotional state Dasan, who finally reached the elderly, is experiencing. Prior to experiencing aging on his own, young Dasan perceived the elderly in an observer position. The aging Dasan witnessed became an image in the poem as the gray hair, and the elderly was perceived as a time when everyone was inevitably suffering and when life was settled (精算) and maturity. Dasan occasionally pretended to be aging himself in poetry. Ga‐no‐ong (假老翁) of 'Chuckling of young Dasan' or "pretending to be old for a while" usually appears in a way that Dasan expresses himself in a poem an elderly in white hair, which Ga‐no‐ong can be seen as Dasan's defensive counterpart to the hardships of life. In Dasan's poems, chronological age is the standard of old age (老), but from time to time, Dasan goes beyond the chronological age concept and judges old age (老) by social age. This is related to the young Dasan perceiving the elderly of others as idealized. Dasan perceived the oldness and elderly he witnessed by idealizing him, and Dasan as an observer envied their idealized aging. However, the envy of this time was superficial envy, virtually eliminating the reality. As Dasan himself experiences aging, a variety of mental and physical changes occur due to aging in Dasan’s poetry. The aging of others as an observer was imaged with only gray hair, but self‐aging self‐experiencing appears to be a more concrete and self‐centered experience. In Dasan's poems, we look at aging as an inevitable process of life, but sometimes the inner depth of the anxiety caused by the external winds is also said to promote aging. Dasan's aging experiences a bodily sense of senility, and psychologically it is identified in many of the poems by reducing the helplessness. As he became aware of his own aging, Dasan showed a reduced self‐efficacy and showed his remorse for life. He is also aware that death is near. The perception of self‐aging was an experience of evoking helplessness (無力感). However, on the other hand, the experience of aging also appears as the acceptance of life and the psychology of conformity (順應). As aging becomes deeper, it gradually admits and accepts aging. In the poems, Dasan draws the elderly in the life of Cheongcheongong (聴天公) who hears of the will of heaven, and also shows the elderly's plan to study the scriptures as a citizen (逸民). He accepts and acknowledges his own elderly on his own and conforms to the principles of nature. This is also a feature of the elderly period that attempts to maintain subjective wellness through emotional optimization. In Dasan's literary life, Dasan's continuing commitment to governing is also found in many places. However, the time of exile and the experience of aging changed Dasan's governing orientation. Instead of going directly to real politics, he adjusted the scope of governing orientation in a way that studies Confucian Classics. In the life of the elderly period, where there are many restrictions, it reflects the psychology of selective optimization that chooses what is good and pursues it first. And to maintain wellness in a way that focuses on critical areas of life. Dasan at the time of the elderly intends to continue his governing orientation through Confucian Classics studies, and until the last minute of his life, he devotes himself to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It is an essential human experience to go through aging and reach the elderly. Dasan also faced this essential situation and felt helpless in the process, but in the end, he accepted his old age and adapted to the reason of nature. He also chose what elderly himself could do well and concentrated on it. In this perspective, reviewing the elderly perception patterns in Jeong Yak‐yong’s poetic literature is a rehabilitation of Dasan's literary life and a pre‐experience of the time we will experience in the future. This is not only helping to identify the entire picture of Dasan's poems, but also is necessary for us to live in an aging society, and it is also a kind of orientation to the path of the elderly that we will go to in the future. 20세기 말까지의 다산 시 연구에서는 다산 시의 현실 비판적 성격이 주로 부각되었다. 이것은 다산 시문학 본연의 모습이기도 하지만, 연구자들의 현실적 배경인 7, 80년대 우리 사회의 특수한 사회적 환경과 문제의식에 기인한 것이기도 했다. 그런데 21세기에 접어들면서 현실 정치적 상황이 달라졌다. 정치 현실의 변화는 다산 시의 현실 비판적 성격에 주목하던 연구자들의 관심도 보다 다양한 곳으로 확장시켰다. 거대담론이 아닌 미시적인 일상의 문제로 다산 시문학에 접근하는 새로운 연구들이 등장하게 된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새로운 시각의 하나로 다산의 노년 인식 문제를 제안하고, 정약용 시문학에 나타난 노년 인식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 동안 다산의 공적 지향에 대해 연구자들이 관심을 집중한 데 비해 사적 영역은 상대적으로 살필 기회가 적었는데, 노년 인식의 문제는 다산의 문학적 생애를 통시적으로 살필 수 있는 의미 있는 주제가 되기 때문이다. 또, 문학 연구에서 시대로부터 필연적으로 산출되는 조망의 각도가 있다고 한다면, 다산 시에서 노년 인식 양상을 검토하는 것은 초고령 사회 진입을 눈앞에 둔 이 시대가 원하는 새로운 각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사람은 누구나 노화를 겪으며 노년에 이른다. 노화란 시간이 흐르면서 생체 구조와 기능이 쇠퇴하는 현상이자 노년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인 변화상임을 고려하여, 이 연구에서는 자신과 타인 모두 노인이라 인정하는 노년의 삶은 물론이고, 젊은 시절부터 차츰 늙어가는 과정까지의 시간 모두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젊은 다산이 타인의 노년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자기 스스로 노화를 겪어가면서 다산은 또 어떤 정서적 변화를 겪게 되는지, 그러다가 마침내 노년에 이른 다산은 또 어떤 감정적 상태를 경험하게 되는지를 통시적으로 살펴보았다. 스스로 노화를 경험하기 이전의 젊은 다산은 관찰자적 입장에서 노년을 인식하였다. 다산이 목격한 늙음은 시에서 백발로 이미지화 되었으며, 노년은 누구나 필연적으로 겪는 시기이면서 삶이 정산(精算)되어 나타나는 시기이자 완숙의 시기로 인식되었다. 다산은 때때로 시에서 자신이 노화를 가장하기도 했다. ‘젊은 다산의 늙은 척 하기’ 또는 ‘한시적으로 늙은 척 하기’의 가노옹(假老翁)은 다산이 자신을 흰 머리로 노년화하여 시에 표현하는 방식으로 주로 나타나는데, 이런 가노옹은 세파에 대응하는 다산의 방어기제로 볼 수 있다. 다산 시에서는 연대기적 연령이 노(老)의 기준이 되기도 하지만, 때때로 다산은 연대기적 나이 개념을 벗어나 사회적 연령으로 노(老)를 판단하기도 한다. 이것은 젊은 다산이 타인의 노년을 이상화시켜 인식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관찰자로서의 다산은 자신이 목격한 늙음과 노년을 이상화하였고, 이상화된 그들의 늙음을 선망하였다. 그러나 이때의 선망은 사실상 현실성을 소거한 피상적 선망이었다. 다산 스스로가 노화를 경험하게 되면서는 다산의 시에 노화로 인한 심신의 변화가 다양하게 등장한다. 관찰자로서 바라보던 타인의 노화는 단지 백발로 이미지화 되었으나, 자신이 직접 체험한 자기 노화는 보다 구체적이고 자기집중적인 경험의 문제로 나타난다. 다산의 시에서는 인생의 필연적 과정으로 노화를 바라보지만, 때로는 외부의 풍파로 인한 내면의 수심이 노화를 재촉하는 것으로도 그려지고 있다. 다산이 겪는 노화는 신체적으로 노쇠감을 경험하며 심리적으로 무력감을 절감하는 것으로 시 곳곳에서 확인된다. 자기 노화를 자각하게 되면서 다산은 자기 효능감이 줄어든 모습을 보이며 지나온 인생에 대해서도 회한을 드러낸다. 또한 죽음이 가까이에 있음을 의식하고 있다. 자기 노화의 인식은 무력감(無力感)을 환기시키는 경험이었다. 그러나 한편으로 노화의 경험은 인생에 대한 수용과 순응(順應)의 심리로도 나타난다. 노화가 더욱 깊어지면서 차츰 노화를 인정하고 받아들이게 되는 것이다. 시에서 다산은 하늘의 뜻을 듣는 청천공(聽天公)의 삶으로 노년을 그리고 있으며, 일민(逸民)으로 살면서 경전을 연구하겠다는 노년의 계획도 보여주고 있다. 스스로 자신의 노년을 받아들이고 인정하며 자연의 이치에 순응하는 것이다. 이것은 정서 최적화를 통해 주관적 안녕감을 유지하려 하는 노년기의 특징이기도 하다. 다산의 문학적 생애에서는 다산이 가진 경세 지향의 지속적인 의지도 곳곳에서 발견된다. 그러나 유배의 시간과 노화의 경험은 다산의 경세 지향에 변화를 가져왔다. 현실 정치에 직접 나서는 대신 경학을 연구하는 방식으로 경세 지향의 범위를 조정한 것이다. 이는 많은 부분에 제약이 생기는 노년기의 삶에서, 자신이 잘할 수 있는 것을 선택하고 그것을 최우선적으로 추구하는 선택적 최적화의 심리가 반영된 것이다. 중요한 삶의 영역에 집중하는 방식으로 안녕감을 유지하려 한 것이다. 노년의 다산은 경학 연구를 통해 자신의 경세 지향을 지속하려 하였고, 인생의 마지막 순간까지 경학 연구에 매진한다. 노화를 겪고 노년에 이르는 것은 인간의 본질적인 경험이다. 다산 역시 이런 본질적인 상황에 직면했고 그 과정에서 무력감을 느끼기도 했으나 결국에는 자신의 늙음을 받아들였고 자연의 이치에 순응하였다. 또한 노년의 자신이 잘할 수 있는 것을 선택하고 거기에 집중하였다. 이런 면에서 정약용 시문학에 나타난 노년 인식 양상을 검토해 보는 것은 다산의 문학적 생애를 복원하는 일인 동시에 앞으로 우리가 겪게 될 시간에 대한 선체험이다. 이것은 다산 시의 전모를 파악하는 데 일조하는 작업일 뿐 아니라, 고령화 사회를 살고 있는 우리가 앞으로 가게 될 노년의 길에 대한 일종의 오리엔테이션이기도 한 것이다.

      • 식민지 말기 한국소설의 감정 동학 연구

        황지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07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the patterns of emotional dynamics that emerged in the novels of Chae Man-sik, Park Tae-won and Lee Tae-joon during the late colonial period. It is confirmed that Korean novels during the late colonial period formed various emotions that led to the elimination of the wartime system country. This is significant in that it added a new keyword, ‘emotional research’to the history of Korean novels during the late colonial period. This study uses ‘emotional dynamics’ as a framework for analysis. The system allows individuals to learn certain emotions for efficient governance. And individuals can internalize these emotions, and they can also be active in generating new emotions that correspond to them and returning them to society. The latter case is referred to as emotional dynamic. Emotional dynamic is a valid way to break away from the conventional notion that emotions are the product of social learning, and further identify the dynamics of the emotional subject. Emotional dynamic is different from internalizing the emotional system, but when it is expressed negatively, it seems to conform to the system. On the other hand, it creates the possibility of implicating an emotional system when it operates positively. In Chapter II, this paper describes the appearance of a literary field that internalizes the colonial-era emotional system. Chapter III through Chapter V examines the three emotional dynamics in response to the ‘sound system’ and how they are shown to be negative and positive, respectively. Chapter III is about the melancholia of Chae Man-sik's novel, IV Chapter is about the shame of Park Tae-won's novel, Chapter V explores the sense of loss of Lee Tae-joon's novel. In section A of each chapter, section B of the emotional subject analyzes the pattern of the emotional subject's empirical space of the emotional subject, section C, in which the love verb casts by the emotional subject runs along with the system. And 1 looks at the positive image of the negative form of emotional dynamic, 2. Melancholia is a self-absorbed emotional dynamic, shame is a batter-conscious emotional dynamic, and loss is an emotional dynamic that imagines an ideal world. Depending on the various aspects of these emotions, the subject, place and love epistle in each novel also obtains different aspect. In Chapter III, Chae Man-sik orchestrates the wartime system through the emotional dynamics of Melancholia, which focuses on the inside. The Melancholia subject of the late colonial Chae Man-sik novel reveals the negativity of the sound system itself. Writers mistake the truth for being immersed in themselves who have lost their faith, and stop their reasons by creating self-indulgence in anxiety. On the other hand, the cooperation of intellectuals is the power to carry out the actions that visualize the blindness of the wartime system and the reasons that conflict with the times. The existence of the melancholic subject itself is a sharp manifestation of the negativity of the battle, symbolized by the bleaching of emotions and the immersion in the order of the times. This pattern is highlighted by the duality of places occupied by the melancholic subjects. The private place for people who enjoy a cheerful and stable life is in fact a divided Allegory place that reveals melancholia. On the other hand, a place that seems to be dominated by the chastity of despair is converted into a place where one can rebuild a life that can be enjoyed without succumbing to the responsible system. The male melancholic subject buried in narcissism is marveled at the desire to be disqualified. Therefore, he dreams of becoming an intact subject by using the method of contact with love, and when his attempt fails, he tries to be reborn and complete as a war entity faithful to the order of the system. Conversely, the female melancholic subject breaks down the fictional norms of the sound system. Melancholia, combined with motherhood, represents an illusion that an ideal women in the rear guard(Chong Hoo Buin), injected by the system cannot be achieved. In IV, Park examines the batter-conscious through a sense of shame, which is conscious. The incompetent fathers of Park Tae-won's novel either make false diction to accept shame as a disgrace, or try to evade wrongdoing by exposing aggression to invisible objects. On the other hand, the head of a household who perceives the family as a significant hitter faces shame and converts it into an ethical sense of responsibility. It is to restore the honor of the main body by using the pain brought by shame as a positive driving force. Emotionalism of shame works even in places of life. The juxtaposition sites soon metaphorically represent a place to coexist with a batter and show a shy player who is afraid because he cannot escape their gaze. But when the subject of shame recognizes his vulnerability, the place becomes a place where he or she can create a life force without relying on a sound system. Furthermore, shame combined with love's epic visualizes the desire to move behind the system. When a batter exists but fails to reflect on him significantly, shame degenerates love into a medium of exchange for desire. But if shame makes the subject and the batter look objectively, love is sublimated into an alternative feeling of a sound system. Love is born that understands and coexists with the vulnerability of oneself and others as it is. In Chapter V, Lee creates alternative cultural theories through emotional dynamics of loss that imagine an ideal world. The losing agent of Lee Tae-joon's novel seeks something to replace the present. This is a sentiment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sound system is perceived as negative. An orphaned youth tries to acquire a lost ideal world, but a sense of loss without cause only turns into reckless opportunism. The artist, on the other hand, realizes that he is the root cause of the sense of loss and tries to make the current transition. This sense of loss is more pronounced when considering the placeliness of the alternative world in mind. The sense of loss that one feels negatively aware of reality boils down to the desire to regain lost past and origin. The subject of the sense of loss seeks to bring back the values and nature of the tarnished past without any consideration and bring them to local and female. But when tradition and the past are optionally re-invented and revealed in a moment, the place becomes the birthplace of private reasons beyond the blindness-obsessed sanity toward the future. A sense of loss, combined with a love epic, enables utopian reasons beyond the system. When the subject buried in jealousy and times is stuck in the lost object, love keeps him still in the vile reality. On the contrary, when the loss of love extends to the planning of imagining a new community, the sense of loss works as a dynamic that realizes Utopia. A lover, not love, who leads to solidarity, shows the ethics of turning loss into positive force. The emotional dynamics of melancholia, shame and loss appearing in Chae Man-sik, Park Tae-won and Lee Tae-joon novels brought Korean novels' emotional landscape back to the end of the colonial period. As a result, the emotional dynamics of the late Colonial Period were the scene of emotions that dedicated the sound system. Sound, an emotional system at the end of the colonial period, seems to represent a positive state of emotion, but it is a negative emotion that blindly internalizes the system. On the other hand, the emotions of novels that correspond to the prosaic are referred to as negative, but rather act as a driving force for active action. Rather than internalize the healthy emotions that the system instills, these novels show a renewed sense of emotion. Therefore, this study advances the Korean novel in the end of the colonial period to stay in the projectile of social and historical facts. The novel played a role in redefining the world in response to reality. They analyzed the process of emotional dynamics of Korean novels in the late colonial period and questioned the research trend that only gave meaning to the validity of the results of the act. In the study of Korean novels during the late colonial period, he examined the various possibilities of interpretation of the works by examining the process as well as the results of emotion. This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internalizing the sound system should be investigated separately from the negative consequences of emotional dynamics in response to the system. As a result, we could examine both the positive aspects by analyzing novels that seemed to conform to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ocess of emotional dynamics, even though we did not internalize the sound system. It also destroys the history of literature, which evaluates the significance of the book by dividing the conclusion of the late colonial period into pro-Japanese/anti-Japanese dichotomy. And as a result of individualism and genre theory-oriented research, various works were dealt with together which could not be discussed. By discussing short stories, private novels, and feature-length novels under emotional dynamics, confirmed the importance of emotion as a keyword to identify each author's late colonial literary world. This issue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led to a review of the rich meanings of the late colonial Chae Man-sik, Park Tae-won and Lee Tae-joon novels. 본 연구는 식민지 말기 채만식, 박태원, 이태준 소설 속에 드러나는 감정 동학의 양태를 규명하고자 했다. 식민지 말기 한국소설이 전시 체제와 길항하며 건전 을 탈구축하는 다양한 감정을 형성했음을 확인한 것이다. 이는 식민지 말기 한국소설 연구사에 감정 연구라는 새로운 키워드를 추가했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다. 본고는 ‘감정 동학’을 분석틀로 차용한다. 체제는 효율적 통치를 위해 개인에게 특정한 감정을 학습하게 한다. 그리고 개인은 이 감정을 내면화할 수도 있으며, 이 감정에 대응하는 새로운 감정을 생성하여 사회에 돌려주는 능동성을 발휘하기도 한다. 후자의 경우를 ‘감정 동학’이라 명명한다. 감정 동학은 감정을 사회적 학습의 산물이라는 통념에서 벗어나게 하며, 나아가 감정 주체의 역동성을 파악하는 데 유효한 방법이다. 감정 동학은 감정 체제를 내면화한 것과 다르지만, 그것이 부정적으로 발현될 경우에는 체제에 순응하는 것처럼 보이는 양상을 띤다. 반면 긍정적으로 작동할 때 감정 체제를 내파 하는 가능성을 생성한다. 이 논문은 Ⅱ장에서 식민지 말기 감정 체제였던 건전을 설명하며 이를 내면화 하는 문학장의 모습을 다룬다. Ⅲ~Ⅴ장에서는 건전 체제에 대응하는 세 가지 감정 동학과 이것이 각각 부정/긍정적으로 드러나는 양상을 살핀다. Ⅲ장은 채만식 소설의 멜랑콜리를 Ⅳ장은 박태원 소설의 수치심을 Ⅴ장은 이태준 소설의 상실감을 탐구한다. 각 장의 A절에서는 감정 주체를 B절에서는 감정 주체의 경험적 공간인 감정 장소를 C절에서는 감정 주체가 주조하는 사랑의 서사가 체제와 길항하는 양상을 분석한다. 그리고 1은 감정 동학의 부정적 양태를 2는 긍정적 형상을 살핀다. 멜랑콜리는 자아에 몰두하는 감정 동학이며, 수치심은 타자를 의식하는 감정 동학이고, 상실감은 이상적 세계를 상상하는 감정 동학이다. 이들 감정의 다양한 양상에 따라 각 소설의 주체, 장소, 사랑의 양상도 다른 결을 획득한다. Ⅲ장에서 채만식은 내면에 집중하는 멜랑콜리의 감정 동학을 통해 전시 체제를 관조한다. 식민지 말기 채만식 소설의 멜랑콜리 주체는 건전 체제의 부정성 자체를 드러낸다. 문학가들은 신념을 잃어버린 자신에게 몰두하기에 진실을 착각하고, 불안 속에서 자기기만적 믿음을 만들어 사유를 중단한다. 반면 지식인들의 관조는 시대와 불화하는 사유와 전시 체제의 맹목성을 가시화하는 행위를 수행하는 힘이 된다. 즉, 멜랑콜리 주체의 존재 자체가 감정의 표백과 시대 명령에의 몰두로 상징되는 건전의 부정성을 첨예하게 드러내는 것이다. 이러한 양상은 멜랑콜리 주체들이 점유한 장소의 이중성을 통해 부각된다. 명랑하고 안정적인 삶을 누리는 인물들의 사유 장소는 사실 멜랑콜리를 드러내는 분열된 알레고리 장소이다. 반면 절망의 정조가 지배하는 것처럼 보이는 장소는 그 원인인 건전 체제에 굴복하지 않으면서 즐거울 수 있는 삶을 재건하는 곳으로 전환된다. 나르시시즘에 함몰된 남성 멜랑콜리 주체는 결격 없는 존재가 되고 싶은 욕망에 경도된다. 그러므로 연애라는 접촉방법을 이용하여 온전한 주체가 되길 꿈꾸며, 그 시도가 실패했을 때 체제의 명령에 충실한 전시 주체로 거듭나 완전해지려 한다. 이와 반대로, 여성 멜랑콜리 주체는 건전 체제의 허구적인 규범을 내파한다. 모성과 결합한 멜랑콜리는 체제가 주입하는 이상적 총후부인 모델이 이루어 질 수 없는 환상임을 체현한다. Ⅳ장에서 박태원은 타자를 의식하는 수치심의 감정 동학을 통해 명랑의 의미를 재고찰 한다. 박태원 소설의 무능한 아버지들은 수치심을 치욕으로 받아들이기에 거짓 서사를 만들거나, 보이지 않는 대상에 공격성을 드러내며 잘못을 회피하려한다. 반면 가족을 유의미한 타자로 인지한 가장은 수치심을 대면하여 이를 윤리적 책임의식으로 전환하는 건실성을 보여준다. 수치심이 불러오는 고통을 긍정적 동력으로 삼아 주체의 명예를 회복하는 것이다. 수치심의 감정 동학은 생활의 장소 속에서도 작동한다. 대립쌍으로 이루어진 장소들은 곧 타자와 공생하는 장소를 은유하며, 그들의 시선에서 벗어날 수 없기에 공포를 느끼는 수치심 주체의 모습을 보여준다. 그러나 수치심의 주체가 자신의 취약성을 인정할 때, 장소는 건전 체제에 기대지 않고도 생활력을 창출해낼 수 있는 현장이 된다. 가장은 가족의 시선을 바탕으로 고난을 전유하여 체제의 요구를 비껴가는 집 장소를 보존한다. 나아가 수치심은 사랑의 서사와 결합하여 체제 이면에서 움직이는 욕망을 가시화 한다. 타자가 존재하지만 그를 유의미하게 성찰하지 못할 때, 수치심은 사랑을 욕망의 교환 수단으로 전락시킨다. 그러나 수치심이 주체와 타자를 객관적으로 돌아보게 한다면 사랑은 건전 체제의 대안 감정으로 승화된다. 자신과 타인의 취약성을 있는 그대로 이해하며 공존하는 사랑이 탄생하는 것이다. Ⅴ장에서 이태준은 이상적 세계를 상상하는 상실감의 감정 동학을 통해 대안적 문화론을 창출한다. 이태준 소설의 상실감 주체는 현재를 대체할 무언가를 찾아 나선다. 이는 건전 체제를 부정적인 것으로 인지하는 사유가 전제된 감정이다. 고아 청년은 상실한 이상적 세계를 획득하려 하지만 사유 없는 상실감은 무분별한 기회주의로 변질될 뿐이다. 반면 예술가는 건전 체제를 제대로 사유하지 않았던 자신이 상실감의 근본 원인임을 깨닫고 행위를 멈추는 행위를 수행하며 현재의 전환을 꾀한다. 이러한 상실감은 대체 세계를 염두 하기에 장소성을 사유할 때 더 뚜렷하게 드러난다. 현실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기에 느끼는 상실감은 잃어버린 과거와 기원-조선적인 것을 되찾고자 하는 열망으로 귀결된다. 상실감의 주체는 퇴색한 과거의 가치와 자연을 어떤 고찰 없이 가져와 로컬과 여성에 대입하려 한다. 이 경우 장소에는 허무감이 가득할 뿐이다. 그러나 전통과 과거를 선택적으로 재발명하여 순간적으로 드러낼 때, 장소는 미래를 향한 맹목성에 사로잡힌 건전 체제를 넘어서는 사유의 탄생지가 된다. 상실감은 사랑의 서사와 결합하여 체제를 넘어서는 유토피아적 사유를 가능하게 한다. 질투와 시기에 함몰된 주체가 상실한 대상에 고착된다면 사랑은 그를 여전히 속악한 현실에 머물게 한다. 반대로 사랑의 상실이 새로운 공동체를 상상하는 기획으로 확장될 때 상실감은 유토피아를 실현하는 동학으로 작동한다. 사랑이 아닌 연대로 연결되는 연인의 모습은 상실감을 긍정적 힘으로 전환하는 윤리를 보여준다. 채만식, 박태원, 이태준 소설에 나타나는 멜랑콜리, 수치심, 상실감의 감정 동학은 식민지 말기 한국소설의 감정 지형도를 재구하게 했다. 그 결과 살펴본 식민지 말기의 감정 동학은 건전 체제를 전유하는 감정들의 현장이었다. 식민지 말기의 감정 체제인 건전은 감정의 긍정 상태를 표방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상 체제를 맹목적으로 내면화하게 만드는 부정적 감정이다. 반면, 건전에 대응하는 소설의 감정들은 부정적인 것으로 일컬어지지만 도리어 능동적인 행위를 추동하는 힘으로 작동한다. 이들 소설은 체제가 주입하는 건전 감정을 내면화하기보다, 감정을 새롭게 전유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식민지 말기 한국소설을 사회역사적 사실의 투사물에 머물게 하는데서 나아간다. 위 소설이 현실에 대응하여 세계를 새롭게 정의하는 역할을 수행했음을 사유한 것이다. 나아가 식민지 말기 한국소설이 지닌 감정 동학의 과정을 분석하여 행위 결과의 타당성에만 의미를 부여하는 연구 경향에 의문을 제기했다. 식민지 말기 한국 소설 연구에 있어 감정의 결과뿐만 아니라 그 과정을 고찰함으로써 작품의 다양한 해석 가능성을 살폈다. 이는 건전 체제를 내면화 한 결과와 체제에 대응하는 감정 동학의 부정적 결과를 구분하여 살펴야 함을 전제로 한다. 그 결과 건전 체제를 내면화지 않았지만, 감정 동학의 과정에 따라 체제에 순응하는 것처럼 보이는 소설들과 체제를 내파 하는 소설들을 분석하여 양가적 양상을 모두 살필 수 있었다. 이는 식민지 말기 작품의 결론을 친일/반일의 이분법으로 나누어 그 의의를 평가한 문학사를 탈구축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리고 개별론과 장르론 중심의 연구의 결과 총합하여 논의되지 못했던 다양한 작품을 함께 다루었다. 본고는 단편소설, 사소설, 장편연재소설을 감정 동학 아래 배치하여 논의함으로써 각 작가의 식민지 말기 문학세계를 규명할 키워드로서 감정의 중요성을 확인했다. 이러한 논점은 식민지 말기 채만식, 박태원, 이태준 소설이 지닌 풍부한 의미를 다시 고찰하게 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 『西漢演義』版本 硏究 : 국내 소장된 版本을 중심으로

        배우정 慶熙大學校 2019 국내박사

        RANK : 1550

        본 논문은 中國 歷史演義小說 가운데 明代 甄偉가 쓴 『西漢演義』에 초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西漢演義』는 임진왜란을 전후로 국내에 유입되어 中國出版本․漢文筆寫本․飜譯筆寫本․坊刻本(完板本)․舊活字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수용되었다. 이 작품은 우리 문단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으며 현재 국내에서도 상당한 수의 판본이 남아 전해지고 있다. 기존의 판본에 대한 연구는 단편적으로만 진행되었기에 본 논문에서는 국내에 소장된 『西漢演義』와 그 계통의 판본에 대한 전반적인 비교 연구에 집중하였다. 본 연구는 먼저 『西漢演義』의 형성에 영향을 준 작품 간의 수용관계에 대해 알아보고, 국내 유입기록을 통해 이 작품이 언제 국내에 유입되었는지 살펴보았다. 또 국내에 소장된 『西漢演義』를 수집하면서 『西漢演義』의 중국 출판본과 국내에서만 보이는 상당한 양의 『초한연의』필사본을 통해 두 책의 상호관계에 대한 기존의 논의를 검토하였다. 국내에 남아있는 『西漢演義』는 다른 중국 역사연의소설들보다 다양한 書名의 異本으로 유통되었다. 그리하여 본 논문에서는 書名을 중심으로 판본을 분류하여 계통을 정리하였다. 이 과정에서 판본의 형태를 통해 대략적인 제작 시기를 가늠할 수 있었으며 異本간의 영향 관계에 대해 비교할 수 있었다. 또한 서책의 제작방법에 따라 中國出版本․漢文筆寫本․飜譯筆寫本등으로 구분하여 그동안 단편적으로 정리되었던 『西漢演義』의 판본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였으며, 그 가운데 국내에서만 보이는 특이 판본들을 중점적으로 고찰하였다. 그 외 국내에 이 책이 성행했을 당시의 출판문화와 향유 계층, 시대적 흐름의 변화를 통한 작품에 대한 인식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이를 통해 『西漢演義』의 국내에서의 수용양상을 총체적으로 검토하였다. 국내에 있는 『西漢演義』의 中國版本은 木版本이 가장 많고, 그 서명에 따라 크게 單行本 약 7종, 合刊本 약 8종으로 분류된다. 이 계통 판본들은 대부분 劍嘯閣批評本을 母本으로하여 재간행하거나 복인본의 형태로 남아있는 中國版本이 다수임을 확인하였다. 국내에 소장된 中國版本은 淸代 간행된 판본이 대부분인데, 영남대 소장본인 『西漢通俗演義』는 기존에 발견된 판본들과는 확연한 차이가 있는 異本이다. ‘官版西漢通俗演義’라고 版心題에 刻印된 것으로 보아 官版本임을 알 수 있었다. 여러 가지 서지사항들로 추론해본 결과 이 판본은 明代末에 大業堂에서 간행된 초기版本일 것이라 판단된다. 국내 남아있는 『西漢演義』는 中國版本을 제외하면 필사본의 형태로 쓴 책이 가장 많이 남아있다. 현재 국내에서 보이는 『西漢演義』 필사본의 형태는 중 ‘原文筆寫本’, ‘漢文縮約筆寫本’, ‘한글飜譯筆寫本’, ‘축약하여 번역된 한글필사본’ 등의 다양한 형태가 확인된다. 이러한 『西漢演義』의 필사본은 서명에 따라 『西漢演義』계통과 『楚漢演義』계통의 필사본으로 크게 분류해보았다. 중국판본 『西漢演義』는 국내에 들어와서 漢文筆寫本 『楚漢演義』로 수용되었으며, 책의 회목과 형태 및 내용이 原典의 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漢文筆寫本의 표제와 서명은 『西漢演義』로 된 것도 일부 있으나, 대부분 『楚漢演義』의 서명으로 되어있었다. 漢文筆寫本은 작가의 편집 의도에 따라 강조하고 싶은 장면과 부각시키고자 하는 인물을 중심으로 변형된 여러 계통의 필사본이 전해지고 있다. 『西漢演義』는 국내 문헌의 기록에서 적어도 17세기에는 번역본이 존재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국내에 ‘서한’이라는 서명으로 된 飜譯筆寫本의 수는 약 20종이며, 이를 書名으로 분류해보면 총 6종이다. ‘초한’의 서명을 띤 번역필사본을 살펴보면 판본의 수 만해도 30여종이 넘고 17개의 異名이 나타난다. 漢文筆寫本에서도 ‘서한’ 계열의 판본보다는 ‘초한’이 들어간 서명의 판본의 수가 월등히 많았던 것으로 보아 漢文筆寫本 ‘초한연의’가 많이 유통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서한연의』와 『초한연의』 필사본의 흥행은 방각본이 간행되는 데 촉진제 역할을 하였으며, 급기야 민간에서 상업적 유통의 일환으로 제작된 방각본 출현의 계기가 되었다. 『西漢演義』를 바탕으로 한 작품으로 『초한전』의 완판본은 이 후 등장한 구활자본 『초한전』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었으며, 1908년 간행본이 후대에 여러 번 간행되었다. 19세기 후반에 성행했던 방각본은 구활자본이 간행되면서 쇠퇴하기 시작하였으며, 구활자본 소설은 1912년부터 본격적으로 출판되었다. 구활자본은 완판본을 저본으로 간행한 책과 작가가 개작하거나 특정한 인물과 사건을 중심으로 번안한 작품으로 나누어진다. 인물중심의 작품군에서는 項羽와 장자방을 중심으로 한 작품들이 많았고, 『西漢演義』의 영향을 많이 받은 작품도 있었으나, 소재만 차용하여 창작된 작품도 있었다. 이상으로 본 논문은 국내에 있는 『西漢演義』의 다양한 형태의 異本들을 조사하고 수집하였으며, 異本간의 상호연관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국내에서만 발견되는 『楚漢演義』 필사본과 한글 번역본 완판본 구활자본을 통해 국내의 수용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국내에 남아있는 『西漢演義』의 중국출판본을 비롯하여 그 계통에 관련된 작품들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conducted to examine 『XiHanyanyi(西漢演義)』 written by Zhenwei(甄偉) in the Ming Dynasty of the novels of the history of Chinese. It was introduced into Korea around the time of the Imperial Japan invasion and accepted in various forms including the Chinese edition, the Chinese character manuscript, the translated manuscript, the Origin of the Commercial Woodblock Version Wanpan(Commercial book in Jeonju), and the old printed manuscript. This work impacted on Korean manuscript considerably and a significant number of editions are still being distributed in Korea. Compared to a considerable number of copies, the study on the existing version was conducted only on a fragmentary basis. Therefore, this study is conducted to examine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XiHanyanyi』. First, this study is conducted to examine the acceptance of the works that influenced the formation of 『XiHanyanyi』 and investigated when it was introduced into Korea through the records of inflow. In addition, we collected 『XiHanyanyi』 which is kept in Korea to review the existing discussions on the interrelationships of the two books through the Chinese edition of 『XiHanyanyi』 and considerable amount of 『ChuHanyanyi(楚漢演義)』 manuscript. 『XiHanyanyi』 which is kept in Korea was circulated in various versions of the signatures more than other Chinese historical novels. Thus, in this study, we classified the versions based on signatures and organized the manuscript system. In the process, it was possible to estimate the approximate time of production through the manuscript form therefore we compared the influence relations between the different versions. Based on the method of production of the book, we divided them into Chinese manuscripts, Chinese character manuscripts and translated manuscripts. In addition, we conducted a comprehensive review on 『XiHanyanyi』 which had been summarized fragmentarily and unique manuscripts in Korea. We examined the changes in the perception on the works through changes of the culture, class and the flow of the times when this book was popular in Korea. Overall, we examined the acceptance patterns of 『XiHanyanyi』. The Chinese edition of the 『XiHanyanyi』 in Korea is mostly made by woodblock. And based on the signature, it is classified into about 7 kinds of books and 8 kinds of comprehensive books. Most of these manuscripts were reprinted based on “Jianxiaogepimanuscripts(劍嘯閣批評本)” and confirmed that there were many Chinese versions remaining in the form of copied versions or republished versions. The Chinese edition, which has been kept in Korea is mostly published in the Qing Dynasty. However, 『XiHantongsuyanyi(西漢通俗演義)』, which has been kept in Yeungnam University is a different book from the existing ones. As we considered that it is written “edition of a title(版心題)” on “YamenXiHantongsuyanyi(官版西漢通俗演義)”, we recognized it as “Yamenedition(官版本)”. As a result of inferring various bibliographies, this manuscript is presumed to be an early version published by Daiyetang(大業堂) at the end of the Myeong Dynasty. Except for the Chinese edition 『XiHanyanyi』 in Korea, the form of manuscripts are the largest number of remaining in Korea. At present, the manuscript 『XiHanyanyi』can be found in various forms such as Chinese original manuscripts, Chinese character manuscript manuscripts, Korean manuscripts, and Summarized Korean manuscripts. The manuscript 『XiHanyanyi』 is largely categorized into manuscripts of the line of 『XiHanyanyi』 and the line of 『ChuHanyanyi』. The Chinese version of 『XiHanyanyi』 is introduced to Korea and was accepted as a Chinese manuscript 『ChuHanyanyi』. We recognized that the structure and contents of the book do not largely deviate from the framework of the book. The title and the signature of the Chinese manuscript were part of 『XiHanyanyi』 but most of them were consisted of the signature of 『ChuHanyanyi』 . Chinese manuscripts have been transformed in various form based on the scenes and characters that the writer wants to emphasize according to the intention. It is presumed that the translated manuscript of 『XiHanyanyi』 has been recorded at least in the 17th century. Currently, the number of translated manuscripts with the signature of ‘XiHan’ in Korea is about 20. it is a total of 6 kinds when classified into signature. Considering the translated manuscripts with the signatures of ‘ChuHan’, there are more than 30 kinds and 17 different names. In the Chinese manuscript, the number of manuscripts containing the signature of ‘ChuHan’ was much more than the number of manuscripts containing the signature of ‘XiHan’. It was found that the Chinese manuscript 『ChuHanyanyi』 was more distributed. The successes of the manuscripts 『XiHanyanyi』 and 『ChuHanyanyi』acted as a catalyst for the publication of Woodblock edition. And finally it became the occasion for the appearance of Woodblock edition made as part of commercial distribution in the private sector. The completed edition of 『Chu-HanJeon(초한전)』 is written based on the 『XiHanyanyi』, which is the greatest impact on the old version of 『Chu-HanJeon』 the 1908 edition was published several times for next generations. Woodblock edition, which has been popular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began to decline with the publication of old manuscripts and the novels of the old manuscripts have been published in earnest in 1912. The old manuscripts are divided into books that have been published as original and completed manuscript and the books that the writer modified or adapted the book based on specific people and events. There were many books written based on XiangYu(項羽) and ZhangLiang(張良) in character-centered books, and there were books that is influenced by the 『XiHanyanyi』, however some of them were created by borrowing subject matters only. As above, we examined and collected various forms of 《XiHanyanyi》 in Korea to find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different books.In particular, we examined the domestic acceptance patterns on the books through the manuscripts of 《ChuHanyanyi》 which is found only in Korea and old and completed manuscript translated in Korea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sidered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books related to the line of 《XiHanyanyi》 and the Chinese edition which remain in Korea through above discussion. 本論文旨在對明代甄偉所著中國歷史演義小說《西漢演義》爲對象進行研究。 《西漢演義》在壬辰倭亂時期傳入國內,有中國出版本,諺文筆寫本,翻譯筆寫本,坊刻本(完版本),舊活字本等多種形式留存。這些作品不僅對國內文壇產生過重大影響,而且現今國內也有相當數量的版本流傳。 與現存相當數量的版本相比,由於現下對版本的研究比較片面,所以本輪文將研究重點放在國內所收藏的《西漢演義》和這一系列的全面版本比較研究上進行。 本論文首先對《西漢演義》的形成構成影響的作品間相互關係進行考察,通過流入國內的記錄,追溯每一個作品流入國內的時期。此外,一面收集國內所藏的《西漢演義》,一面將中國出版的《西漢演義》與只能在國內見到的大量《楚漢演義》筆寫本進行對照研究。 本論文中按照“書名”來對版本分類統計整理。在這一過程中,能夠通過版本的形態來大致推斷成書時期,還能對“異本”之間的相互影響關係進行比對。根據書冊製作方法的不同分爲:中國出版本,漢文筆寫本,飜譯筆寫本,將一直以來較爲片面研究整理的《西漢演義》版本進行綜合研究,特別是針對其中只在國內所見的特殊版本進行重點考察。此外,通過對成書當時的出版文化,讀者階層,時代變化的分析,來考察對作品認識的變化。以此來總體研究《西漢演義》在國內的現存收存狀況。 在國內的《西漢演義》中國版本按照書名可以大致分爲:單行本7種,合刊本8種。這一些列的版本大部分可以確認爲是以“劍嘯閣批評本” 爲母本再版發行,或是複印本形態留存的中國版本。國內所藏的中國版本大部分是清代刊行的版本,嶺南大學所藏《西漢通俗演義》是與現存其他版本有很大不同的“異本”。通過“官版西漢通俗演義”這一版心題刻印可以知道是官版本。通過各種書誌事項可以推斷是明代末年大業堂刊行的初期版本。 除了國內現存的《西漢演義》中國版本外,筆寫本形態的書最多。在現存可見的國內《西漢演義》筆寫本的形態中有“原文筆寫本”,“漢文縮約筆寫本”,“諺文翻譯筆寫本”,“縮寫翻譯諺文筆寫本”等多種形態得以確認。依照《西漢演義》的筆寫本書名的類型,大致可分爲:《西漢演義》系列筆寫本和《楚漢演義》系列筆寫本。 中國版的《西漢演義》在傳入國內后被收歸與漢文筆寫本《楚漢演義》之中,可以確認書的回目和形態以及內容之於原著的框架並無太大出入。漢文筆寫本的標題和書名雖有一部分爲《西漢演義》,但是大部分以《楚漢演義》的書名存世。根據漢文筆寫本作者的編輯意圖,通過著墨書寫的場面,附加刻畫的人物爲中心出現了各種系列小說傳世。依照國內文獻可以推定《西漢演義》至少存在十七世紀時期的翻譯本。現在國內“西漢”爲名的翻譯筆寫本約有20余種,按照書名可分爲6種。 通過考察書名中有“楚漢”的翻譯筆寫本,版本數量超過30多種,有17種“異名”版本。漢文筆寫本中較之“西漢”系列的版本,書名中有“楚漢”的版本要多得多。漢文筆寫本“楚漢演義”的流行度可見一斑。 《西漢演義》與《楚漢演義》的風行也成爲最終成爲民間商業流通一環的仿刻本出現的契機。以《西漢演義》爲基礎創作的《楚漢傳》完版本,對其後登場的舊活字版《楚漢傳》都有深遠的影響,1908年的刊行本後世有多次出版發行。 19世紀後半盛行的仿刻本在舊活字出版中逐步衰退,舊活字版本小說從1912年開始正式出版。舊活字本分爲兩類:一是以原本本爲底本出版的書籍,二是作者以特定任務或事件爲中心改寫的作品。人物中心的作品群中以項羽和張良爲主的作品較多,其中既有受《西漢演義》影響較多的作品,也有利用其素材進行再創作的作品。 通過上述內容,本論文通過對國內《西漢演義》現存多種形態的“異本”調查收集后對“異本”間的相互關係進行的考察。特別是通過只在國內發現的《楚漢演義》筆寫本,諺文翻譯本,完版本,舊活字本等調查研究來考察國內各版本的收藏現況。通過以上的考證,從國內現存《西漢演義》的中國出版本到其系列的相關作品進行了有意義的綜合性考察論證。

      • 서정주 시에 나타난 미각과 후각 이미지 연구

        이병철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55

        서정주의 첫 시집인 『화사집』은 에로스와 리비도로 충만한 육체적 생명성의 이미지들로 이루어진 시집이다. 에로스의 구체적 행위에 있어 혀를 통해 성적 대상을 맛보고, 코로 냄새 맡는 과정이 필연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을 떠올리며 시집을 읽어보면, 서정주의 초기 시에는 미각과 후각 이미지가 유난히 자주 나타나며 강렬한 감각적 인상을 환기시킨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된다. 두 번째 시집 『귀촉도』부터 다섯 번째 시집 『동천』에 이르는 중기 시에서 서정주는 육체의 한계성을 극복하고 초월할 방법론으로 ‘영통(靈通)’과 ‘혼교(魂交)’를 통한 영원회귀를 추구하는데, 이때 영통과 혼교의 과정에서 산 사람은 자연물이나 음식 등 사물의 맛과 냄새에 스며든 죽은 이의 ‘혼신(魂身)’을 흡수함으로써 신(귀신)과 소통하고 동화를 이룬다. 이 외부 물질의 흡수를 통한 비물질과의 합일에 있어 미각과 후각 이미지는 중요한 상징으로 나타난다. 서정주는 후기 시의 대표작인 『질마재 신화』에서 전근대적 농경사회 공동체의 범속하고 일상적인 의식주로부터 신성(神性)을 추출해내 ‘질마재’라는 공간과 거기 살고 있는 사람들을 불멸하는 신의 영역으로 끌어올린다. 이때 ‘대흉년’이라든가 ‘똥오줌’으로 대표되는 ‘비천함’마저 신화가 되는데, 이 비천한 범속성과 신성을 아우르는 구체적 기호로 미각과 후각 이미지는 또다시 전면에 배치된다. 이처럼 서정주의 시에서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는 미각과 후각은 인간의 오감 중 매우 특별한 감각임에도 불구하고 한국시에서 시각과 청각에 비해 잘 이미지화되지 않아 왔다. 혀와 코는 세계를 감각으로 인지하는 원초적이고 직접적인 기관이다. 귀를 막거나 눈을 감아 소리와 물상을 차단할 수는 있지만 일부러 미각을 없앨 수는 없다. 생명의 유지를 위해 음식을 먹는 과정에서 맛을 느낄 수밖에 없는 까닭이다. 또 코를 막는다고 냄새를 피할 수도 없다. 코를 막으면 숨을 쉴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주지하는바 미각과 후각은 생명과 가장 밀접한 감각이다. 『화사집』의 강렬한 육체적 생명성에는 미각과 후각에의 집착이 나타난다. 미각과 후각의 이미지화는 이른바 ‘생명의 탐구’를 시업(詩業)의 과제로 삼았던 서정주에게 반드시 해결해야 할 작업이었으며, 유교적 엄숙주의와 가부장적 가치체계 등 기성의 관습과 금기를 전복하고 파기하려는 내적 욕망의 가장 강력한 동력인 리비도의 구체적 수행주체였을 것이다. 첫 시집 이후 서정주의 관심은 육체성에서 정신성으로 옮겨 간다. 불교사상과 신라정신, 샤머니즘에 몰입하며 ‘물질’인 인간이 ‘비물질’인 신(귀신)과 소통하고 교류하며 동화할 수 있는 세계를 지향하게 된 것이다. 이 과정에서 미각과 후각 이미지는 마치 샤먼의 ‘제의’에 동원되는 여러 상징처럼 이승과 저승을 이어주는 중요한 메타포로 부각된다. 서정주는 초기 시편의 강렬한 육체성을 떠난 후에도 미각과 후각에 대한 집착과 애호를 폐기하지 않았다. 이 글은 서정주의 시세계를 이루고 있는 감각 이미지들 중 주목할 만한 다수의 장면들이 미각과 후각 원리에 의해 직조되었다는 데 착안하여, 각각의 이미지들이 육체적 생명성과 영원회귀라는 서정주 내면의 욕망과 세계관을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 살펴보는 동시에, 맛과 냄새라는 주관적인 감각 자극이 구체적인 이미지로 형상화되는 과정에 주목하고 있다.

      • 한국어의 사잇소리 현상 연구

        유소연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9 국내박사

        RANK : 248655

        The “Sai-sori” phenomena are found in modern colloquial Korean and should be discussed with a focus on colloquial speech and the actual utterance units. This paper conducted a critical analysis of existing research to identify the concept, cause and the realization of the sai-sori phenomena. Utterance units are recognized through morphological, syntactic, semantic, and pragmatic consideration. The existing morphological concept of “words,” therefore, could be complemented with the phonological word, which is a unit a speaker recognizes as a single chunk in speech. This paper studies the hierarchy of phonological units, centering on phonological words and phrases. In this regard, the study touches upon the following three issues. First, the necessity of setting up phonological units are examined. Consideration is put towards whether phonological units can be explained with morphological and syntactic terms, such as ‘words, phrases’. The paper also discusses on which criteria to use when distinguishing phonological units when necessary. Second, the concept of phonological unit is identified. Third, the structure of phonological units is reviewed, focusing on phonological words and phrases. Afterwards, their relations are observed through actual phonological phenomena. A phonological word is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elements and has internal boundaries, which could be called the internal boundaries of a phonological word. Sai-sori is a natural phonological phenomenon which occurs when such a boundary is realized. To examine the synchronic realization patterns of the sai-sori phenomena through the realization of internal phonological word boundaries, this paper used the corpus of read speech in Seoul dialect. This paper identified the realization of the sai-sori phenomena in actual speech as well as the factors affecting it. This study further confirmed that the optional realization of phonetic phenomena could b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hierarchy of phonological word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re are cases of sai-sori phenomena when the initial consonant of the syllable following the boundary glottalizes. This phenomenon is found in modern Korean speech but could also be found in bibliographical data on premodern Korean. This paper examined the bibliographical data on ancient, middle, and early modern Korean to identify the cause and realization of the sai-sori phenomena. This study estimated when the sai-sori phenomena first took place by estimating the period when the unreleasing of the syllable endings or glottalization or [ʔ] appeared as phonetic phenomena. This paper further estimated when the sound of the vowel /i/ changed and when the /n/-insertion occurred, as a part of the sai-sori phenomena. The cases of the adnominal clausal ending “尸/” modifying the following noun were found in hyangchal and Seokdokgugyeol. These cases were so well constructed that they could be perceived as single endings that have been realized as a single utterance unit. The realization of the adnominal case marker “叱/” between nouns could also be considered to be a phonological word. The insertion of “叱/” within a word form that has been considered to be a single word in the later eras confirmed that an internal boundary is perceived within a construction that is perceived as a single unit. Glottalization cannot be found in data on ancient Korean since the records were written in borrowed Chinese characters. There, however, were constructions that may have possibly been realized as phonological words. Considering that glottalization was found in records on middle Korean written in Korean characters, it can be inferred that this phonological phenomenon first took place long before it was recorded. The sai-sori phenomena could be confirmed through the bibliographical data on middle and early modern Korean. The formal environments in which the sai-sori phenomena occurred in both ancient and modern Korean were found to be related. 사잇소리 현상은 현대국어의 口語에서 실현되는 현상이므로, 구어와 실제 발화 단위를 중심으로 논의되어야 한다. 이에 기존 연구들을 비판적으로 고찰해, 사잇소리 현상의 개념과 발생 원인 및 실현양상을 파악해 보았다. 발화 단위에 다한 인식은 형태론적, 통사론적, 의미론적, 화용론적 정보가 모두 고려돼 나타난다. 따라서 기존의 형태론적 용어인 ‘단어’의 개념을 보완해, 발화 시 하나의 덩어리를 인식되는 단위로 음운론적 단어를 설정할 수 있다. 음운론적 단어는 두 개 이상의 요소가 결합됨으로써 내부에 경계를 갖는다. 이를 음운론적 단어 내부 경계라고 부를 수 있다. 경계가 실현됨으로써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음운현상을 사잇소리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음운론적 단어에서 음운론적 단어 내부 경계의 실현으로 인한 사잇소리 현상의 공시적 실현경향을 파악하기 위해 서울말 낭독체 발화 말뭉치 자료를 이용하였다. 실제 발화에서 사잇소리 현상의 실현 경향을 파악하였고, 이러한 실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무엇인지 파악해 보았다. 또한 음운현상의 수의적 실현을 음운론적 단어의 위계적 구조와 관련지어 논의할 수 있음도 확인해 보았다. 사잇소리 현상 중에서 경계에 후행하는 음절의 초성이 경음화되는 현상이 확인된다. 이 현상이 현대국어의 구어에서도 보이지만, 현대국어 이전 시기의 문헌 자료들을 통해서도 확인된다. 이에 사잇소리 현상의 발생원인과 실현양상을 고대국어, 중세국어, 근대국어의 문헌자료를 통해 파악해 보았다. 음절말 미파화 현상이나 경음의 실현, [ʔ]의 음성적 실현의 발생시기를 가늠해 봄으로써, 사잇소리 현상의 발생 시기를 추정해 보았다. 또한 모음 /ㅣ/의 음가 변화와 사잇소리 현상으로서의 /ㄴ/첨가 현상의 발생 시기를 추정해 보았다. 관형사형 어미 ‘尸’가 후행하는 명사를 수식하는 쓰임이 향찰과 석독구결 자료에서 발견되며, 이러한 구성이 하나의 어미로 인식될 정도로 긴밀한 구성을 보인다. 이것이 하나의 발화 단위로 실현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관형격 표지 ‘叱’이 명사와 명사 사이에서 실현되는 구성도 음운론적 단어로 볼 수 있다. 후대에 하나의 단어로 인식되는 어형의 내부에 ‘叱’이 표기됨으로 통해, 하나의 단위로 인식되는 구성에서 내부 경계가 인식되는 현상이 표기를 통해 확인됨을 알 수 있다. 고대 국어를 반영한 자료는 차자 표기의 한계로 인해 경음의 실현을 확인할 수 없다. 다만 음운론적 단어로 실현되었을 가능성을 보이는 구성이 확인된다. 또한 훈민정음으로 표기된 중세국어 자료들에서는 경음화 현상이 확인됨을 통해, 이 음운현상이 발생하게 된 시기가 문헌자료에서 표기를 통해 확인되는 시기보다 훨씬 이전 시기일 것임을 추정할 수 있다. 사잇소리 현상의 실현을 중세국어, 근대국어에서는 문헌 자료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문헌자료를 통해 사잇소리 현상이 실현되는 어형의 환경들이 고대국어와 현대국어에도 관련성을 보인다.

      • 백제어의 자음 연구 : 한자음의 음운 대응을 중심으로

        XU YE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07

        This dissertation aims to decipher the consonants system of Old Korean in Baekje which is based upon the phonological correspondences of Sinographic readings which can be attested in Chinese, Korean, and Japanese chronicles, epigraphs and wooden tablets. Chapter Ⅰ firstly discusses the histrory of phonological studies on Old Korean in Baekje from the late of 19th century to the contemporary era which can be divided into two phases: The Embryonic Phase (1879~1970) and The Development Phase (1971~). The Embryonic Phase started with the toponymy research of Korean Peninsula by Japanese scholar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Development Phase (1971~) was initiated by the publications of Baekjemunhwa, Baekjeyeongu, MahanBaekjemunhwa in South Korea, mostly including some short introductory papers, Samguksaki(1145) Jiriji based studies, Nihonshoi(720) based studied, and all chronicles combined studies, epigraphs and wooden tablets based studies. Secondly, the detailed methodologies are proposed, which include the background of history studies on Baekje; the background of historical linguistics which is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phonological correspondences of Sinographic readings in lexicons of Old Korean in Baekje; the entire sequence of this study including the textual research of all first-hand materials, the collection of all Baekjeic lexicons and phonographic morphemes, the match-made of the phonological correspondences of Sinographic readings in Old Korean in Baekje, based on archaeological, historical, toponymy studies, and the phonological analysis of Sinographic readings. In Chapter Ⅱ, textual research was carried out thoroughly. The materials used include all Baekjeic first-hand materials of Chinese, Korean, and Japanese Chronicles from the late 3rd century to 13th century, as well as epigraph materials and wooden tablets in both China and Korea. Also, Old Korean Proper Nouns such as place names, personal names, and Kings names were collected to pick out all phonographs of Old Korean in Baekje for phonological analysis in the phonological correspondences of Sinographic readings. Moreover, to decipher the consonants system of Old Korean in Baekje, the explanations of all phonographs in Guangyun are based on Yu(2008), the Chinese phonological systems include the Minimal Old Chinese, Late Han, Middle Chinese which are mainly based on the reconstructions in Schuessler(2009). The historical Korean phonological systems include Old Korean, Middle Korean, Middle Sino-Korean which are mainly based on the studies of Park(1971), Lee(1972, 1998, 2011), Lee(1995), Kwon(1997ㄴ, 2005, 2009ㄱ, 2009ㄴ), Ito(2007). The historical Japanese systems include archaic kana orthography studies, Old Japanese and Ko-on, Go-on and Kan-on of Sino-Japanese which are mainly based on ōya(1911), Vovin(2009), Miyake(2003a), Frellesvig(2010), Tsukishima(1995), Numoto(1986, 1997). At last in Chapter Ⅱ, there are 7 consonants as initials in a syllable that can be deciphered: voiceless bilabial plosive **p-, voiceless alveolar dental **t-, voiceless velar **k-, bilabial nasal **m-, alveolar dental nasal **n-, voiceless alveolar dental fricative **s-, and voiceless alveolar affricate **ts-. The oppositions of voicing and the oppositions of aspiration cannot be attested. The glottal initial /ʔ/ which is reconstructed in Middle Chinese is deciphered as Zero **Ø in the phonographs of Baekje. Chapter Ⅲ deciphers the consonant **-r- as a liquid that can be attested between syllables, instead of an initial consonant or coda in a word. And the elimination of /-r-/ as a special phonological change is well attested in old Korean lexicons including Baekje’s. Chapter Ⅳ deciphers the consonants **-l, **-s, **-n, **-ŋ as coda in a syllable in Old Korean in Baekje. Moreover, the lateral **-l is explained as the elimination of vowel V2 and the unrelease of C2 in a C1V1.C2V2 word structure. And unreleased voiceless alveolar dental fricative **-s is explained as the elimination of vowel V2 and the unrelease of C2 in a C1V1.C2V2 type word or as a genitive case between two words. The change of syllabic structural in C1V1.C2V2 type word is explained as a result of language contact with Chinese and Chinese characters whose syllabic structure is (C)(G)VC. Chapter Ⅴ concludes with an appeal for the trilateral cooperation from Chinese, Korean and Japanese historical phonology studies which include the sounds of Old, Late Han, Middle Chinese, Sino-Korean studies, and Sino-Japanese studies, as well as the interdisciplinary work on Archaeology, History, Toponymy to decipher the phonological systems of Old Korean. Meanwhile,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hich include recriticizing all first-hand materials, reevaluating and developing the methodology in old Korean phonology studies are reflected. Finally the future research outlook on old Korean studies is put forward reasonably. 百濟(B.C. 18~660)는 지정학적으로 한반도의 심장부인 한강변에 왕도를 정하고 대외적인 교류를 적극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정치, 문화적으로 성장하고 발전했던 진취적인 나라이다. 고대 삼국 중 백제 문화는 高句麗(B.C. 37~668), 新羅(B.C. 57 ~668)와 다른 독특한 성격과 양상을 가지면서 발전하였다. 또한 백제는 주변에 있는 東晉(317~420) 및 南朝(420~589) 시기의 중국, 飛鳥 時代(593~710)의 일본과도 교섭과 교류 면에서 가장 활발한 면모를 보여 주었다. 백제어(Old Korean in Baekje)란 고대 시기 한반도의 정치사적인 구분에 부합하는 한 나라인 백제라는 국가에서 사용했던 언어를 가리킨다. 백제의 정치사에 근거하면 백제어는 기원전 18년부터 660년까지 漢江 流域을 중심으로 한 한반도에 西南部에서 사용되었던 韓系의 언어라고 할 수 있다. 백제어의 연구는 언어학적인 연구는 물론이려니와 고대 한반도 지역과 관련된 고고학, 역사학, 인류학, 지리학, 언어지리학, 사회언어학 등 인접 과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특히 백제는 역사학적으로 중국 및 일본과 교류가 활발하였다는 점에서 중국, 한반도, 일본(문헌 자료가 편찬된 연대순으로)에 산재하여 있는 백제어 관련 문헌 자료를 바탕으로 한 백제어의 자음 연구는 타당성이 있다. 본고에서는 본격적으로 백제어의 자음 연구를 진행하기 전에 백제어를 연구사적으로 검토하였다. 먼저 한국의 백제학 연구사를 기준으로 하여 백제어 연구가 이루어진 시기를 초창기(The Start-up Phase, 1879~1970)와 발전기(The Development Phase, 1971~현재)로 나누고, 연구 자료와 연구 방법, 구체적인 연구 내용과 성과, 학계에 미친 영향 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사적 검토 결과를 바탕으로 백제어 음운 연구의 새로운 연구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백제어의 자음 연구를 위해서는 우선 백제어를 보여 주는 문헌의 전체 모습을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보고, 한국, 중국, 일본의 문헌 자료에 나타나는 백제어의 어휘를 조사·정리하여 백제어의 데이터베이스를 작성하였다. 구체적으로는 竭澤而漁(못이나 호수의 물을 퍼내고 물고기를 잡는다는 뜻이다)와 같이 3세기 말부터 13세기 말까지 나타난 중국의 正史類 자료, 金石文類 자료, 韓國의 史書類 자료, 金石文 및 木簡類 자료, 일본의 史書類 자료, 氏族 관련 史料, 推古遺文 資料 등에 대해, 그 각각에 기재되어 있는 백제어의 어휘를 직접 조사한 후 地名·人名·王名·官職名을 포함한 백제어의 어휘에 나타난 음표자(phonograph)를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印歐語를 중심으로 한 역사비교언어학 방법론을 기반으로 백제어의 자음 연구에 한자음의 음운 대응(phonological correspondence of Sinographic readings)이라는 개념을 적용시켰다. 먼저 백제학과 관련된 歷史學·地名學의 연구와 比定에 근거하여, 백제어의 어휘를 표기한 음표소들을 한자음의 음운 대응으로 맞추고, 漢語, 韓國語, 日本語의 음운 체계에 대한 통시음운론적인 연구를 기반으로 백제어의 자음 체계를 해독하였다. 또한 본고는 기본적으로 백제어의 어휘에 나타난 음표자들이 漢語 음운사에서 차지하는 위치에 대하여 余迺永(2008)의 『新校互註宋本廣韻』을 참조하였으며, 시기 구분은 Schuessler(2009)에서 재구한 最低 限度 漢語 上古音(Minimal Old Chinese), 後漢音(Later Han Chinese), 中古音(Middle Chinese) 을 따랐다. 한국어의 통시음운론에 대한 연구는 주로 李基文(1972, 1998, 2011)을, 중세 한국한자음에 대한 연구는 朴炳采(1971), 權仁瀚(1997ㄴ, 2005, 2009ㄱ, 2009ㄴ), 伊藤智ゆき(2007) 등의 연구 성과를 참조하였다. 또한 上代 日本語에 대한 연구는 주로 馬渕和夫(1999), Miyake(2003a)와 Frellesvig(2010)을, 推古遺文 上代特殊假名, 萬葉假名에 대한 연구는 大矢透(1911), 大野晉(1953), 森博達(1991)와 Vovin(2009)를, 일본한자음에 대한 연구는 李敦柱(1995), 築島裕(1995, 1997)와 沼本克明(1986, 1997) 등의 연구 성과를 참조하였다. 본고의 Ⅱ장에서는 위와 같은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백제어의 자음을 해독하였다. 음절초의 자음 체계는 **p-, **t-, **k-, **m-, **n-, **s-, **ts- 총 7개를 해독하였고, 중고 漢語 喉塞音 /ʔ/의 경우는 독립적인 음소로 존재하지 않았고 零聲母 **Ø로 해독하였다. 다음으로 Ⅲ장에서는 유음의 경우에 대하여 어중 자리에 나타난 **-r-를 해독하였고 이 **-r-가 어중 자리에 일어난 탈락 현상을 분석하였다. 본고 Ⅳ장에서는 백제어의 음절말에 나타난 자음 **-l, **-s, **-n, **-ŋ 총 4개를 해독하였다. 그중 음절말 자리에 나타난 **-l, **-s 자음은 백제어 C1V1.C2V2형 어휘의 음절 구조가 단음절인 C1V1C2’로 변하는 과정에서 일어난 음절말 모음 V2의 탈락과 C2의 미파화와 관련이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음절 구조의 변화는 (C)(G)VC형 음절 구조인 한자어의 차용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추론하였다. 본고의 Ⅴ장에서는 본 연구의 논의를 요약하고 연구 자료와 연구 방법에 대한 한계점을 재반성하였으며,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해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한반도 언어 계통론 연구의 일부로서, 韓系語 연구의 기초적인 작업에 해당한다. 본 연구의 결과가 고대 한국어의 연구 및 발전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 한국어 다의어의 문맥적 변이 의미 기술 양상 연구

        제갈덕주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23

        In this study, I analyze descriptive aspects of Korean polysemy as found in the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and propose an alternate approach for the issue of “contextual transferred meanings.” To do so, I investigate expressions on the lexical, syntactic, and pragmatic levels and discuss the implications of each of the conditions. The meaning of “contextual transferred meaning” describes when a word or phrase has the capacity for multiple meanings contingent on the context in which it is found. Dependent on the content and circumstance within a sentence, a word’s meaning may be limited or adjusted accordingly. The resulting semantic change is recognized as “contextual transferred meaning.” These “contextual transferred meanings” are innately involved in the human process of linguistic comprehension. With our intrinsic understanding that words have polysemous characteristics, humans construct infinite perceptions and phenomena from the finite framework of language. However, in our modern world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e sheer multiplicity of language brings forth difficulties in natural language translation processes via machine translation due to the layered semantic complexiti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find a model of Korean polysemy suitable for natural language processing. Chapter 1 begins by examining the objectives and necessity of this study; after reviewing the research scope and methodologies, previous studies in the field are reviewed. In Chapter 2,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as the primary subject of the study are assessed, followed by a theoretical discussion of the meaning of “contextual transferred meaning.” Next, Chapters 3 through 5 analyze the descriptive aspects of “contextual transferred meaning” terms of the lexical, syntactic, and pragmatic aspects, respectively. Chapter 3 examines the variations of contextual transferred meanings by dividing words into categories of substantive nouns and non-substantive nouns. In the substantive noun classification, words referring to specific works (such as “책,” meaning “book”) or legal terms (such as “시청,” meaning “city hall”) will be examined, while among the non-substantive nouns, linguistic terms (such as “말,” meaning “word” or “language”) or musical terms (such as “노래,” meaning “song”) will be analyzed. Chapter 4 examines the descriptive and technical aspects of contextual transferred meanings as they apply to sentence formation and collocation phrases. Sentence formation refers to the syntactic structures for the creation of a sentence; however, unlike typical general structures, those with polysemous expressions allow for a special syntactic structure that adequately reflects the content. Unlike the contextual meanings viewed from a lexical perspective, from a syntactic standpoint, contextual meanings depend highly on sentence structure patterns. This chapter explores these varied polysemous examples through syntactic analysis. In addition, this section goes further to examine “contextual transferred meanings” in collocations or idiomatic phrases. Collocations are a sequence of words that co-occur with one another. These words or terms are bound together and are set in their preferred usages.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varied contextual meanings that arise in such collocations. In Chapter 5, I examine metaphorical variations in meaning. A metaphorical variation is a contextual transference of meaning arising from cognitive or rhetorical features such as metaphors and metonymy. Among metaphors, there are everyday metaphors and literary metaphors ; through such usage, words are given additional, new meanings in addition to its original definition. Chapter 6 investigates the descriptive mechanisms of contextual transferred meanings and aim to provide an alternative solution. Finally, in Chapter 7, a conclusion is drawn from the analyses provided. 이 연구에서는 『표준국어대사전』에 나타나는 다의어의 기술 실태를 분석한다. 이 연구에서는 그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문맥적 변이 의미의 문제점을 지적해 본다. 그리고 이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어휘적인 측면과 통사적인 측면과 화용적인 측면에서 문제점을 집중적으로 다루어 보고자 한다. ‘문맥적 변이 의미’란 문맥에 맞게 변이된 의미이다. 특히 단어가 문장을 형성하고 그 문장이 어떤 상황을 서술할 때 형성되는 의미이다. 문맥에서는 단어의 의미가 한정적으로 쓰이거나 상황에 맞게 조정된다. 이러한 의미 변화의 결과를 본고에서는 ‘변이 의미’로 다루고 있다. 이러한 ‘변이 의미’들을 문장의 의미 해석에 관여한다. 인간의 직관적인 의미 해석은 다의성과 관련이 있다. 하나의 단어가 다양한 의미를 지닐 수 있기 때문에 인간은 유한한 언어로 무한한 현상과 사실을 재구성해 낼 수 있다. 반면 다의성 때문에 인간의 언어는 복잡하다. 이러한 복잡성이 인공지능 시대에 필요한 자연어의 기계 번역에 어려움을 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연어 처리에 적합한 다의어 모델을 발굴하기 위해 이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먼저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에 대해 살펴본다. 또한 연구 대상 및 방법에 대해 논의한 후 선행 연구에 대해 검토해 볼 예정이다. 그런 다음 2장에서는 연구 대상이 되는 『표준국어대사전』에 대해 전반적인 사항을 검토해 본다. 그런 후 문맥적 변이 의미에 대한 이론적인 검토를 실시한다. 다음으로 3장에서 5장까지는 ‘어휘적 측면’, ‘통사적 측면’, ‘화용적 측면’에서 변이 의미의 기술 양상에 대해 살펴볼 예정이다. 3장에서는 ‘실체성 명사’와 ‘비실체성 명사’로 나누어 각각의 변이 의미와 사전 기술 양상을 살펴본다. ‘실체성 명사’ 가운데서는 ‘책’과 같은 작품류와 ‘시청’과 같은 법인류를 중심으로 살펴볼 예정이다. ‘비실체성 명사’ 가운데서는 ‘말’과 같은 언어류와 ‘노래’와 같은 음악류를 중심으로 살펴볼 예정이다. 4장에서는 ‘문형 형성’ 및 ‘연어성구’와 관련된 변이 의미와 사전 기술 양상을 살펴본다. 문형 형성이란 문형이란 문장을 만들기 위한 통사구조를 의미한다. 그런데 일반적인 구조와는 달리 변이 의미는 문맥에 맞게 조정할 수 있는 특수한 통사구조를 지니고 있다. 어휘적인 측면의 변이 의미와는 달리 통사적인 측면의 변이 의미는 문형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이 연구에서는 그러한 문형 형성의 측면에서 다의성 문제를 논의해 보고자 한다. 또한 연어성구란 하나의 숙어로 굳어진 구 단위 이상의 표현을 의미한다. 어떤 단어와 단어는 특수한 방식으로 결속되어 있는데, 이들은 하나로 굳어져서 분리되지 않는다. 그러한 특수한 결속 상태에서는 특수한 의미가 발생하여 다의성을 지니게 된다. 본고에서는 그러한 다의성 문제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5장에서는 ‘비유적 변이’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비유적 변이란 은유나 환유 같은 인지적·수사적 특징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맥적 변이이다. 이러한 비유에는 일상적인 비유와 문학적인 비유가 있다. 이러한 비유 방식에 의해 단어는 기본의미 이외의 새로운 의미를 생성하게 된다. 그런 다음 6장에서는 변이 의미의 기술 문제를 짚어보고, 그에 대한 대안과 방향성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그런 후 7장에서는 이를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결론을 짓는다.

      • 17세기 영남지역 산수유기 연구 : 청량산·지리산·가야산을 중심으로

        김종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07

        This study analyzed a travel essay collection titled Sansuyugi, written by scholars in the 17th century. Literary men (Scholars) left this collection after making a tour of Cheongryang mountain, Jiri mountain, and Gaya mountain. It discussed specifically the spatial perception and the orientation, seen in the writings of the Yeongnam region. The summari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uthor, I examined the background of Sansuyuram (journey for beautiful landscapes) in the 17th century Yeongnam region. The whole heritage culture of the previous periods was transmitted at that time, and the Sansuyuram was rediscovered with the compilation of the record of culture and characteristics of local noble family and county society as well as the landscapes of the Yeongnam region. Second, it examined spatial perception and characteristics Sansuyugi. First of all, scholars of those days recognized that Cheongryang mountain was a place (求道空間) to seek for the truth after traveling remains of Yi Hwang. Secondly, scholars perceived that Jiri mountain was a place (愛民空間) of loving people after making a tour of Chosik's remains and Cheonghak-dong. Finally, They perceived Gaya mountain as Utopia(超世空間). Third, it examined the intention of 17th's century's literary men through the spatial perception that they had in view of Sansuyugi. First of all, they observed and penetrated the essence of the things, and purified their mind and emotions. Then, they handed down the Confucian scholar spirit of the Yeongnam region through Sansuyuram. Finally, they came to seek for the equal pleasure of the human beings. Fourth, it examined the implications of Sansuyugi in the Youngnam province through spatial perception and orientation. First of all, scholars of those days equated Cheongryang mountain and Jiri mountain, and Yi Hwang and Chosik. Next, scholars practiced the love of learning. Lastly, they consolidated the unity of the Youngnam school. The significance of literary history, seen in Sansuyugi of the Yeongnam province in the 17th century is as follows: First, self-cultivating value was contained in Sansuyugi in the 17th century Yeongnam province. Next, Sansuyugi in the 17th century, seen in the Youngnam province is the comprehensive work, which inherited the sightseeing of the early streams of the Sarim school and the Dohak school. Lastly, Historical evidence and record was demonstrated before the 17th century's Sansuyugi. Accordingly, the significance of this discussion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compared the 17th century Yeongnam region, Cheongryang Mountain, Jiri Mountain and Gaya Mountain. It confirmed the spatial perception of literary men(scholars) for the landscapes of Youngnam regions amid the confusing situation of factional politics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Second, it studied the tradition and transition of the heritage culture in the 17th century when early Sarim school and Dohak school appeared among the literary men. Following Kim Jong-jik, Yi Hwang, literary men (scholars) formed the literary group of those days and handed down the heritage cultures of the sages of the old who had sought for the truth. Third, it examined landscape sightseeing (Sansuyuram) in terms of self-cultivation. There is a saying ‘A person reading books is a literary man (讀書曰 士).’ it reveals the culture of true literary men by exploring the orientation of self-cultivating or self-training from the special experience of landscape sightseeing (Sansuyuram). This discussion examined spatial perception and orientation, contained in Sansuyugi in the 17th century Youngnam province. However, there are some remaining issues to be addressed. First, the length of period needs to be expanded. Second. the expansion of regions is required. Third, parts should be divided.

      • 한국어 교육을 위한 양보관계 연결어미 교수 방안 : '-아도', '-더라도', '-을지라도', '-은들'을 중심으로

        임삼미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07

        The study aims to develop stepwise teaching methods to effectively teach concessive conjunctive endings, such as ‘-아도', ‘-더라도', ‘-을지라도’, ‘-은들’, for Korean learners to use them correctly in actual language conversation. Considering that the advanced learners would meet with all of these concessive conjunctive endings, this research suggested the need of an appropriate class model for learners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each concessive conjunctive ending and use concessive conjunctive endings more precisely. Conjunctive endings in Korean are hard to use correctly for Korean learners. Korean language has countless conjunctive endings assuming diverse semantic functions. That is why proper communication or correct understanding of speaker's intention is hardly made without using the conjunctive endings correctly. Numerous and complex conjunctive endings account for why conjunctive endings are considered important in teaching Korean grammar. Nevertheless, previous studies on conjunctive endings are far from satisfaction fromthe perspective of teaching methods. Based on the problem perceived, the current study focused on conjunctive endings assuming semantically concessive relations in Korean grammatical items: ‘-아도', ‘-더라도', ‘-을지라도’, ‘-은들’. Chapter 1 clarified the purpose of the research and investigated into preceding researches. It took a loot at Korean language studies concerning concessive conjunctive endings and the trend of Korean teaching.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preceding researches, there are not enough researches concerning Korean teaching while the ones about Korean language were being conducted relatively actively. Chapter 2 clarified the concept of concessive conjunctive endings by defining the category of concessive relations and compared distinctive features between the concessive and conditional/contrastive categories. In sum, a series of concessive conjunctive endings were selected that must be taugh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아도', ‘-더라도', ‘-을지라도’, ‘-은들’. Chapter 3 analyzed on syntactic, semantic and pragmatic information concerning distinctive features of ‘-아도', ‘-더라도', ‘-을지라도’, ‘-은들’ in preceding studies and a Korean grammar dictionary. Also, it inquired out the usage of these concessive conjunctive endings in real life through corpuses between the natives. The syntactic information was analyzed based on six criteria. As for the semantic information, the common implications of ‘condition, assumption and being contrary to one's expectations' the concessive conjunctive endings assume were examined. Then, the concessive conjunctive endings were compared with one another to understand different meanings they convey. The pragmatic information was analyzed in detail for Korean learners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each concessive conjunctive ending. Based on the findings, grammatical description of the concessive conjunctive endings was attempted. Chapter 4 investigated into the explanation concerning distinctive features of ‘-아도', ‘-더라도', ‘-을지라도’, ‘-은들’ in Korean composite textbooks. According to the analysis, Korean textbooks did not offer a ground for successive learning, as they lacked distinctive features or explanation of grammar. Therefore, it made a suggestion of solving the problems found within Korean textbooks to enhance them. Chapter 5 tried to organize the hierarchy of concessive conjunctive ending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lso, considering the theoretical discussion above mentioned, teaching methods effective for Korean learners were developed focusing on the conjunctive endings of concessive relations. This study suggested effective teaching methods, which consists of stages of Warm-up→Presentation→Practice→Use→ Follow up. The model was designed to offer efficient classes to Korean learners by emphasizing distinctive different of ‘-아도', ‘-더라도', ‘-을지라도’, ‘-은들’.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erms of the following aspects: First, the category of concessive relations was clarified and conjunctive endings representing concessive relations were selected based on their frequency of usage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Second, syntactic, semantic and pragmatic analyses were applied to each concessive conjunctive ending to attempt grammatical description including morphologic, syntactic, semantic and pragmatic information. Third, based on the frequency of usage, grammatical constraints and the possibility of generalizations, the concessive conjunctive endings were arranged in a hierarchy fit for teaching. Fourth, stepwise teaching methods for concessive conjunctive endings effective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were developed.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양보관계 연결어미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사용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의식 하에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효과적인 양보관계 연결어미 교수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교수 방안의 목표는 양보관계 연결어미 사용 시 학습자의 오류율을 줄이는 데에 있다. 따라서 목표 문법의 통사, 의미, 화용정보를 명확히 제시하여 학습자가 이를 정확히 사용할 수 있게 교수 방안을 구성하였다. 또한 목표 문법 학습 시 선행 학습된 유사 문법과의 차이점을 명확히 이해하고 상황에 알맞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네 개의 양보관계 연결어미를 학습한 고급 단계 학습자의 오류 원인 및 형태를 고려해 양보관계 연결어미 간 변별점과 차이점을 명확히 교수하여 학습자가 양보관계 연결어미를 오류 없이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 한국 만담과 중국 相聲의 비교 연구

        王潔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07

        본고는 한국 만담과 중국 상성의 형성과정과 분류 및 특질을 비교 검토하여 근대시기 한 · 중 두 나라의 웃음문화의 일면을 탐색하고 두 장르가 갖는 공연예술사적 의미를 밝힌 논문이다. 만담과 상성에 대한 비교 연구는 한 · 중 두 나라의 해학적 공연예술에 대한 비교 연구를 넘어 근대 초기부터 현재까지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소화적 전통을 함께 해온 한국인과 중국인들의 웃음 세계를 비교 검토하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Ⅱ장 1절에서는 만담과 상성의 기원에 대한 문제와 그 주변 장르들에 대해 검토했다. 공연 장르로서의 만담이 형성되기 이전에 각종 지면에 ‘만담’이라고 불리었던 글들은 ‘만문’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했다. 만문적 성격의 ‘만담’은 점차로 해학적인 ‘문필만담’으로 지형을 옮겨가는 변형 과정을 거치면서 신불출이 말하는 ‘공연만담’이 형성되었다. 한국의 공연만담은 그 명칭은 일본에서 유래된 것이지만 유행이 확산되는 과정에서 넌센스나 스케치와 같은 서양 극양식의 영향을 받았다. 이에 비해 상성은 중국의 전통적인 공연 장르로부터 태생한 공연 양식이었다. 만담과 상성은 생성 과정에 있어 모두 다층적이고 다면적인 성격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Ⅱ장 2절에서는 만담과 상성의 분류 문제를 다뤘다. 만담의 경우, 1930년대 들어서 각종 레코드사가 유성기 음반을 내면서 다양한 명칭으로 만담을 지칭했다. 등장하는 배우의 인원수에 따라 만담을 ‘독만담’, ‘대화만담’, ‘군만담’ 등으로 분류했다. 상성도 같은 분류 방법으로 분류하여 단구상성, 대구상성, 군구상성 등으로 분류했다. Ⅲ장에서는 구체적인 작품분석을 통해 만담과 상성에 드러나는 공연상의 특징과 웃음을 유발하는 기법들을 중심으로 두 장르를 비교 검토했다. 공연 형식 상 독만담과 단구상성은 1인 공연물, 대화만담과 대구상성은 2인 공연물, 군만담과 군구상성은 3인 이상의 다인 공연물에 해당한다. 1인 공연물에서 보편적으로 드러나는 특성은 서사성 강화이다. 공연만담 가운데 특히 독만담에 끼친 문필만담의 영향으로 말미암아 시사적이며 서사성과 교시성이 강조된 작품으로 경사된 양상을 확인했다. 그 과정에서 1930년대 황재경의 만담사적 위치를 새롭게 조명했다. 독만담에서 드러나는 극적 양식의 웃음 창출 방법은 재담의 형식에서도 흔하게 발견되는 것이며 상성의 포복과 매우 유사한 웃음 창출 방법이라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단구상성 작품들이 민간고사나 소화, 소설, 평서 등의 장르에서 취재된 것이라는 사실도 확인했다. 2인 공연물인 대화만담에서는 일반적인 작품일 경우 일인일역이라는 새로운 배역 구조가 형성된다. 대화만담에 이르러 남녀 배우가 성공적인 조합됨으로써 만담의 유희성이 강화되고 오락적 장르로 인식된다. 한국 만담사에서 넌센스라는 장르 명칭이 1930년대에 가장 많이 사용된 까닭은 일제강점기라는 시대상황에 부합하는 풍자성을 담아낼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서사성이 강한 단구상성과 달리 대구상성에서는 두 사람의 대화 형식으로 상성이 진행되기 때문에 서사성이 약화되고 대화가 강조되며 지문과 같은 극적인 요소가 개입되기도 하는데 이 점은 대화만담과 동일했다. 3인 이상의 배우가 등장하는 다인 공연물인 군만담과 군구상성에 대해서 살핀 결과, 다인 공연물에 이르러 군만담과 군구상성은 모두 극양식으로 경사되고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군담만은 서양극의 극적 요소로부터 영향을 받으면서, 군구상성은 중국 전통극의 요소들을 수용하면서 웃음을 창출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Ⅳ장 부대 양식과 공연예술사적 의미에 대해 검토했다. 만담과 상성 공연에서 부대 공연 양식은 공연의 단조로움을 피하고 관중의 이목을 집중시키기 위해 삽입하거나 작품 전후에 공연하는 부속적 성격을 지닌다. 만담과 상성은 대중매체의 역사적 흐름과 더불어 장르의 부침을 겪으며 존재해온 장르이다. 1930년대 시작된 현장 공연 만담은 대중매체의 변화에 따라 레코드 만담, 라디오 만담, 텔레비전 만담으로 차츰 변화해 왔다. 상성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공연 장소나 전파 매체를 중심으로 상성사를 구분할 수 있다. 한국의 웃음문화에 있어서 만담은 시대의 담론을 웃음으로 승화시킬 수 있는 장르였으며 전통 해학 공연 양식인 재담의 전통을 흡수한 장르로 한국인의 웃음의 맥을 이은 장르라고 할 수 있다. 상성이 대중매체에서도 인기를 누리는 비결은 상성의 현장공연이 활성화되어 있기 때문이다. 상성과 만담의 비교 연구는 두 나라의 웃음문화에 대한 비교를 넘어 전통 공연문화의 활로를 찾는 데에도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本文通过对近代时期韩中两国‘笑文化’的重要组成部分--韩国的漫谈和中国的相声这两种表演艺术形式的形成过程及分类和特征进行比较研究, 揭示两者所具有的相似性和特殊性, 对两者在韩中两国的表演艺术史上具有的意义进行了分析. 在第二章第一节中,对漫谈和相声的起源问题及与其相似的体裁进行了分析. 在表演形式的漫谈诞生以前. 报纸杂志等各种纸媒上曾有被称为‘漫谈’而实质为‘漫文’的文艺形式出现, 这种‘漫文’性质的‘漫谈’逐渐转化为诙谐性的‘文笔漫谈’, 此后又产生了以申不出为代表的‘表演漫谈’的形式. ‘漫谈’一词在中日韩都有使用且都源自日本, 但只在日韩有指称表演形式的涵义, 韩国的‘漫谈’一词语源上虽然源自日语, 但随着表演形式的扩张和发展, 更多受到的是西方戏剧形式的影响. 与此相反, 中国的相声则是在本国传统表演形式的基础上形成和发展的. 本文中对现存的关于相声起源的多种见解一一进行剖析的, 判定相声的形成不是源自某一个人或某一种形式, 而是广泛吸收了多种艺术形式的元素而诞生的, 也正是由于这种多源的形成过程, 相声才具有了其多元性的特点. 在第二章第二节中, 对漫谈和相声的分类问题进行了剖析. 在进入20世纪30年代后, 各大唱片公司发行的唱片收录了大量的漫谈作品并赋予了漫谈多种多样的名称, 由于这些名称并没有一定的分类系统, 本文选择按照登场演员的数量, 将漫谈分为‘独漫谈’、‘对话漫谈’和‘群漫谈’. 相声也选取了同样的分类方式, 分为单口相声、对口相声和群口相声. 第三章中通过具体的作品分析, 对漫谈和相声在表演上的特征和搞笑技巧方面进行了比较. 单人表演形式对应漫谈中的独漫谈和相声中的单口相声, 双人表演形式对应漫谈中的对话漫谈和相声中的对口相声, 多人表演形式对应漫谈中的群漫谈和相声中的群口相声. 单人表演形式中普遍表现的特征是叙事性强. 文笔漫谈对表演漫谈的影响主要体现在对独漫谈的影响方面, 由于这种影响, 独漫谈作品中体现出比较强的叙事性和时事性及教化性, 黄材景作为独漫谈表演的代表人物, 在漫谈发展史上具有重要的意义.独漫谈中存在的戏剧性搞笑方式在韩国传统才谈中也普遍存在, 同时又与中国相声中‘包袱’的构成方式十分相近. 而不同于独漫谈, 单口相声的叙事性主要是由于单口相声大部分都取材于民间故事或笑话、小说、评书等文学性体裁. 双人表演形式中, 对话漫谈开始形成了一人一角的角色分配, 一男一女的成功组合使得漫谈表演的重心向娱乐性转移. 20世纪30年代, 指称漫谈时,‘无厘头(Nonse nse)’这一名称开始广范围的使用, 究其原因, 主要是因为当时处在日本殖民的特殊时期, 讽刺性体裁符合大众的需要. 相声方面, 不同于以叙事为主的单口相声, 对口相声采取两人对话的形式, 叙事性相对减弱, 戏剧性表现相对增强, 这一点与对话漫谈相同. 三人或以上数量演员登场的表演形式中, 群漫谈和群口相声共同表现出的特征是表演形式愈发向戏剧倾斜. 然而不同于相声的戏剧性表现主要来源于中国传统戏剧的影响, 漫谈中的戏剧性则主要来源于西方现代戏剧. 第四章中对漫谈和相声表演中存在的附属形式以及漫谈和相声在表演艺术史上的意义进行了分析. 所谓附属形式, 是在漫谈和相声表演中为了吸引观众注意力避免单调乏味而进行的附带性的表演, 漫谈中主要是民谣, 相声中则有太平歌词、数来宝、双簧等多种形式. 漫谈和相声两者都是随着传播媒介和演出场所的变化而发展变化的. 韩国的漫谈吸收了才谈的传统, 将时代性的谈论升华为笑的文化, 与后代的喜剧形式连接, 在韩国笑文化史上起到了承前启后的作用. 相声则则依靠大众媒体扩大影响力的同时, 回归扎根于传统剧场表演, 具有坚实的基础和有活力的前景. 对相声和漫谈的比较研究, 不仅仅能探究出两种表演艺术形式的同异之处, 对于两国传统演艺文化的继承和保护方面,也有积极的意义.

      • 노희경 TV 드라마에 나타난 타자지향성과 공동체 의식 연구

        강성애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07

        This dissertation mainly studied <I’ll be a popular song>, <Goodbye solo>, <World where they live>, <No problem, it’s love>, <Dear my friends>, <Live> to show that other directed type & community spirit were enhanced in Roh Hee Gyeong’s drama written after 2006. Mainly dealing with spoilage & reconstruction of family in the early period of writing drama, Roh Hee Gyeong was known as a writer who coerced maternity or family love. However, as she wrote drama that described relation in social community such as pseudo family, village friend, company colleague which was beyond the boundary of family since 2006, new frame to view Roh Hee Gyeong is necessary. Although describing social community can be seen in other TV dramas as the latest trend of TV drama, Roh Hee Gyeong’s latter drama unlike those which used community only as background highlights other directed type and community spirit itself theme by making audiences note several persons instead of specific person by using multiplex narrative mode. Thus, studying Roh Hee Gyeong’s latter drama would make it easy to analyze passion for community appearing in this time. In Chapter 2, the process in which unfamiliar stranger enters community which is already formed on the basis of <Goodbye solo>and <No problem, it’s love> to make community together is checked. In 2 dramas, stranger as afflicted existence came to belong to community as they confess their furtive story to others. In 2 dramas psychiatrists appeared and they were also tortured with scar. Elitism was collapsed through the scene where they confessed their pain to common people. Community appearing in 2 dramas showed the feature of pseudo family community. In 2 dramas, house worked as healing space. In the space called house, persons viewed each other with pitiful vision, living by sharing the same emotion. Then, house could play the role to highlight community spirit which Roh Hee Gyeong intended to express. In Chapter 3, the aged female community traveling together and seeking freedom is described mainly in <I’ll be a popular song> and <Dear my friends>. Especially, women who were oppressed by paternalism, escaped from house for freedom, freely took rest, played and did nothing were described in details. In this process, members of friends community or family community found the unfamiliar part of the others, accepted it and integrally harmonized each other. The space of <Dear my friends> is mainly house at the beginning, but it is gradually changed to broad nature as drama progresses, which symbolizes that separated persons became to be in solidarity. Further, the old persons’ dynamism & progressive attitude toward life was expressed through the community of old persons who were on the running camping car. In Chapter 4, communication & hope appearing in urban company community were described mainly on the basis of <World where they live> and <Live>. In 2 dramas, the job of company employees was hindered due to their past scar. They were in solidarity, sharing pain each other. Especially, participating in the colleague’s funeral rite together, experiencing death & perceiving that they are subject to limit, death, they realized equal relation. Thus, urban space where they worked could have been described as a place full of hope. City also became a space of passion where colleagues toiling together ate, drank, sang and danced together. Since Roh Hee Gyeong’s bitter life was expressed as it was in the drama of Roh Hee Gyeong’s early works, sincerity on life was seen. However, Roh Hee Gyeong told the story of others instead of her own in the latter works, weakening sincerity with contrived happy ending and minute conflict. Instead, the inner side of person was investigated in depth as psychoanalysis and psychology were introduced. Thus insufficient sincerity could be supplemented to some extent. Further, Roh Hee Gyeong’s latter drama is meaningful in that it described persons who were not isolated in their frame, but open to others, thereby making them speculate non-violent community. It is valuable, because it stimulates to make current society more affirmative by closely showing the process in which community is formed mainly on the basis of emotions such as pity, sympathy, freedom & hope. In these days when treatment for others becomes more significant, Roh Hee Gyeong’s drama which lays out case and constitutes plot mainly on the basis of ethical attitude towards the others can be said to be culture text that can help solving social problem. However, it has limit that shows aesthetic defect as it often openly reveals didactic attitude. 이 논문은 2006년 이후 집필된 노희경의 드라마들에서 타자지향성과 공동체 의식이 강화되고 있음을 밝히기 위해 <유행가가 되리>, <굿바이 솔로>, <그들이 사는 세상>, <괜찮아 사랑이야>, <디어 마이 프렌즈>, <라이브>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노희경은 드라마 집필 초창기에 가족의 훼손과 재건을 주로 다뤘기에 모성이나 가족애를 강요한 작가로 알려져 있었다. 하지만 2006년 이후로 가족을 벗어난 유사가족, 동네 친구, 직장 동료 등 사회 공동체 내에서의 관계를 그린 드라마를 그리고 있어 노희경을 바라보는 새로운 틀이 필요해졌다. 사회 공동체를 그리는 것은 한국 TV 드라마의 최신 경향으로 다른 TV 드라마들에서 살펴볼 수 있지만, 공동체를 배경으로만 사용하고 있는 드라마들과 달리 노희경의 후기 드라마는 다중 서사 방식을 사용하여 특정 인물 중심이 아닌 여러 명의 인물들을 모두 주목함으로 인해 타자지향성과 공동체 의식 자체가 주제가 되도록 한다는 특징을 보인다. 따라서 노희경 후기 드라마를 연구하는 것은 이 시대에 나타난 공동체에 대한 열망을 분석하는 데 용이하다고 할 수 있다. 2장에서는 <굿바이 솔로>와 <괜찮아 사랑이야>를 중심으로 이미 형성되어 있는 공동체에 낯선 이방인이 들어와 함께 공동체를 이루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두 드라마에서 이방인은 모두 아픔을 가진 존재로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내밀한 이야기를 고백하면서 공동체에 속하게 됐다. 두 드라마에는 정신과 의사가 등장하는데, 이들 역시 상처로 고통받는 인물들이다. 이들이 일반인들에게 자신의 아픔을 고백하는 장면을 통해 엘리트주의가 무너졌다. 두 드라마에 나타나는 공동체는 유사가족 공동체의 특징을 보이며, 두 드라마에서 집은 치유의 공간으로 작용했다. 집이라는 공간에서 인물들은 서로를 연민의 시선으로 바라보며 같은 감정을 공유하고 살아갔다. 이를 통해 집은 노희경이 표현하고자 하는 공동체 의식을 부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었다. 3장에서는 <유행가가 되리>와 <디어 마이 프렌즈>를 중심으로 노인 여성 공동체들이 함께 놀고 여행하면서 자유를 찾아가는 모습을 살펴보았다. 특히 가부장제에 억눌려 있던 여성들이 자유를 찾아 집을 나오고 마음껏 쉬고 놀면서 아무것도 하지 않는 모습이 세밀하게 잘 나타났다. 이 과정 가운데 친구 공동체나 가족 공동체 구성원들이 서로의 낯선 부분들을 발견하고 그것들을 수용함으로써 서로 온전히 화합하는 과정이 나타났다. <디마프>의 공간은 초반에는 주로 집이었으나 후반부로 갈수록 넓은 자연으로 바뀐다. 이는 분리되어 있던 사람들이 연대하게 되었음을 상징한다. 또한 캠핑카를 타고 달리는 노인 공동체의 모습을 통해 노인들이 가진 역동성과 삶을 향한 진취적 태도가 표현되었다. 4장에서는 <그들이 사는 세상>, <라이브>를 중심으로 도심의 직장 공동체 속에 나타난 소통과 희망에 대해 살펴보았다. 두 드라마에서 직장인들은 과거 상처로 인해 자신이 하는 일에 방해를 받는데, 서로의 아픔을 공유하며 연대하였다. 특히 함께 동료의 장례식에 참석하며 죽음을 체험하고 자신들이 죽음이라는 한계를 가진 존재임을 자각하면서 평등한 관계를 이뤄나갔다. 따라서 이들이 일하는 도시 공간은 희망이 가득한 곳으로 그려질 수 있었다. 도시는 함께 고생한 동료들이 같이 먹고 마시며 노래하고 춤을 추는 열정의 공간이 되기도 했다. 노희경의 초반 작품들에서는 노희경의 아팠던 삶을 가감 없이 드라마에 표현되었기에 삶에 대한 진정성이 나타났다. 그러나 후반 작품들에서 노희경은 자신의 이야기가 아닌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하는데, 이때 작위적인 해피엔딩과 소소한 갈등으로 인해 진정성이 약화되었다. 대신, 정신분석과 심리학 도입하여 인물의 내면을 심도 있게 고찰함으로 부족한 진정성을 어느 정도 확보할 수 있었다. 또한 노희경의 후기 드라마는 자신의 틀에 고립되어 있지 않고 타자에게 열려 있는 인물들을 그림으로 인해 폭력적이지 않은 공동체를 사유하게 만들었다는 데 의의를 지닌다. 또한 연민이나 공감, 자유와 희망과 같은 감정을 중심으로 공동체를 형성하는 과정을 세밀하게 보여줌으로써 현 사회를 보다 긍정적으로 만드는 데 자극을 주었기에 가치를 지닌다. 타자들에 대한 처우 문제가 점점 중요해지는 요즘, 타자에 대한 윤리적 태도를 중심으로 사건들을 배열하고 플롯을 구성한 노희경의 드라마는 사회 문제 해결에 일조할 수 있는 문화 텍스트라 할 수 있다. 다만, 가르치려는 태도가 종종 노골적으로 드러나 미적 결함을 보인다는 한계를 지닌다.

      • 실행연구를 통한 한국어 말하기 채점자 훈련 모형 개발 연구

        조윤정 中央大學校 大學院 2019 국내박사

        RANK : 248607

        이 연구의 목적은 주관적이고 직관적인 말하기 평가의 문제점을 인식하여 말하기 수행 평가의 채점자 훈련을 실행함으로써 신뢰성 있고 일관된 채점을 위한 한국어 말하기 채점자 훈련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실행연구의 방법을 사용하여 한국어 말하기 채점자 훈련 모형을 설계하였다. 연구자는 총 4회의 채점 실행 과정을 통해 연구 참여자 그룹과 채점자 그룹의 채점 결과를 관찰하고 분석하면서 채점자 훈련 모형을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채점 결과의 분석은 FACETS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1차 채점과 2차 채점의 실행은 연구 참여자 그룹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채점 결과 엄격성은 1차보다 2차 채점에서 연구 참여자 모두 관대한 채점을 하였다. 일관성의 경우는 1차 채점에서는 연구 참여자 모두 일관성을 유지하였으나, 2차 채점에서는 일부 약간의 부적합 결과가 나왔고, 채점자 간의 점수 일치도도 전체적으로 향상되었으나 일부 떨어진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는 2차 채점에서 처음 실행한 EBB 채점 척도의 기술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파악하여 보다 상세하게 채점 기준의 내용을 수정・보완하여 기술하였다. 3차 채점 실행은 연구 참여자 그룹과 채점자 그룹, 두 그룹으로 나누어 동시에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 그룹에게는 2차 채점 후 수정 보완된 평가 도구와 EBB 채점 척도를 사용하게 했고, 채점자 그룹에게는 1차 채점 때의 평가 도구와 분석적 채점 기준표를 제공하였다. 그 결과 연구 참여자 그룹과 채점자 그룹 모두 일관된 채점을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연구 참여자 그룹에게서 일련의 채점자 훈련 과정과 채점 조정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4차 채점 실행에서는 채점자 그룹을 대상으로 말하기 채점자 훈련모형을 적용하였다. 채점 결과, 엄격성은 EBB 채점 척도의 영향으로 관대한 채점의 경향을 보였고 일관성은 채점자 5명 모두 적합도 범위에 포함되어 있었다. 일치도의 경우는 R1을 제외하고 30% 이상을 유지하였고, 평가 영역과의 편향성, 기댓값에 어긋나는 결과값을 통해 채점자 훈련의 효과와 특정 문항에서의 감점 요소가 잘 반영되었다는 것을 다시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어 교육에서 말하기 평가에 대한 채점 기준, 채점자의 신뢰도와 일관성, 편향성과 같은 채점 관련 연구가 지속되고 있으나 채점자 훈련에 대한 필요성만 제기할 뿐 실증적 연구 사례는 아직 나오지 않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한국어 교사를 대상으로 교사 주도적 한국어 말하기 채점자 훈련 모형을 적용한 실질적 사례를 제시하였다는 것과 보다 일관된 채점을 위해 채점 기준의 하위 세부 기준을 설정한 EBB 채점 방식을 제안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현재 한국어능력시험(TOPIK) 말하기 평가의 도입이 가시화되고 있다. 말하기 채점에 대한 관심이 늘어날 것이고 일관되고 신뢰성 있는 채점의 필요성이 현실화될 것이다. 이 연구가 보다 발전된 한국어 말하기 채점자 훈련 연구의 기초 자료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lement Korean language speaking test rater training in recognition of the problem of subjective and intuitive rating, so that more reliable and consistent assessment criteria can be developed. This study utilized the method of action research in designing an rater training model for Korean speaking. The author conducted four rounds of assessment to observe and analyze the rating results from a group of research participants and a group of rater to develop and apply the rater training model. The rating results were analyzed using the FACETS program. The first and second rounds of rating were conducted with the participant group. On severity, the results showed that all participants rated more generously in the second round of rating compared to the first one. With regard to consistency, all participants retained consistency in the first round of rating, but a few unfit results occurred in the second round, while the agreement among raters improved overall barring some discrepancies. The discrepancies were a result of problems in the description of the EBB rating scale implemented for the first time in the second round of rating, which was amended and supplemented with further details in the rating criteria. The third round of rating was conducted simultaneously on the two groups. The participant group used the assessment tools and the EBB rating scale amended and supplemented after the second round, while the rater group was provided with the same assessment tools and analytic rating criteria from the first round. In the results, it could be seen that the participant group and the rater group were both consistent in their ratings, and it confirmed a series of effects from the rating amendments and rater training process in the participant group. In the fourth and final round of rating, the rater training model for speaking was applied to the rater group. In the results, severity showed a trend of generous ratings, thanks to the EBB rating scale, while all five raters were within the range for consistency. An agreement was maintained above 30% except for R1, and it was confirmed again from the bias with assessment area and outcomes deviating from the expected values that the effects of rater training and deduction factors in certain queries were well reflected. There are continued studies related to rating, such as rating criteria in speaking tests, reliability, consistency, and bias of rater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but these studies have only raised the necessity for rater training, while no empirical studies have been presented thus far. Therefore,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as it presents a practical case in application of a teacher-led rater training model for speaking test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proposes an EBB rating scale with detailed sub-criteria in its evaluation for more consistency. The introduction of the speaking test section in the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TOPIK) is underway. It will give rise to more interest in rating speaking, and the need for consistent and reliable rating criteria will become more urgent. I hope this study can serve as a foundation for further sophistication in studies on rater training for Korean language speaking.

      • 韓國人 對話에 나타나는 體面威脅行爲 樣相에 관한 硏究

        김지연 中央大學校 大學院 2019 국내박사

        RANK : 248607

        이 연구는 한국인의 대화에서 나타나는 대화 참여자들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체면위협행위 양상과 그 관계를 확인하고, 실제 대화를 통해 그 특징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본고는 의사소통 상황에서 대화 참여자들이 지니고 있는 사회적 요인이 미치는 영향력을 통해 체면위협행위의 변화 양상을 밝히기 위한 관심에서 시작되었다. 특히 한국 사회의 언어적 기능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공손성 가운데 체면 요소를 중심으로 체면위협행위가 나타나는 양상과 그 관계, 한국인의 대화에서 찾을 수 있는 고유한 특성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먼저 사회적 상호작용성을 가진 대화에서 체면위협행위가 나타날 수 있는 특징과 범위, 대표적 양상을 확인한 후 구체적인 체면위협행위 양상을 TV 매체를 통해 토론과 가족 간 대화를 수집하여 유형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토론에서는 체면위협행위 특징을 지닌 대화로 수집된 대화 양상이 총 60개, 가족-간 대화에서는 총 26개를 확인할 수 있었다. 토론에서는 청자의 소극적 체면을 위협하는 행위가 28.33%, 청자의 적극적 체면을 위협하는 행위가 41.66%, 청자의 혼합적(소극적+적극적) 체면을 위협하는 행위가 20%, 화자 자신의 체면을 위협하는 행위가 10%로 나타났다. 그에 반해 부모-자녀 간 대화에서는 청자의 소극적 체면을 위협하는 행위가 50%, 청자의 적극적 체면을 위협하는 행위가 23.07%, 청자의 혼합적(소극적+적극적) 체면을 위협하는 행위가 19.23%, 화자 자신의 체면을 위협하는 행위가 7.69%를 차지하였다. 토론과 부모-자녀 간 대화 유형 모두 청자의 체면을 위협하는 행위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하지만 토론에서는 청자의 적극적 체면을 위협하는 행위가 가장 많이 드러난 반면에, 가족 간 대화에서는 청자의 소극적 체면을 위협하는 행위가 두드러지게 드러났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한국인의 특성이 반영된 새로운 체면위협행위로 ‘방어, 경멸, 담쌓기, 방해/중복, 회피, 질문’이 등장하게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인의 대화에서 나타나는 언어 외적인 요소, 즉 상황 요인이 체면과 연관성을 맺고 있다는 점을 체면위협행위의 특성에서 밝힌 바 있다. 특히 상황 요인, 즉 객체가 체면위협행위와 상관성을 지니며 화ㆍ청자로만 이루어진 체면위협행위의 관계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토론과 부모-자녀 간 대화에서 나타나는 객체에 대한 체면위협행위 양상은 각각 3.33%와 34.61%의 비율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부모-자녀 간 대화에서 객체에 대한 체면위협행위 양상이 높은 비율을 차지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기존에 화자와 청자를 중심으로 분석한 체면위협행위 양상에 ‘객체’라는 요소가 삽입되면서 그 관계와 체면위협행위의 부담의 정도가 변화할 수 있다는 특성을 추측할 수 있었다. 객체와 체면위협행위 양상의 종류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실제 대화에 대한 더 많은 분석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본고는 한국인의 대화에서 갖는 고유한 체면위협행위 양상, 범위, 관계적 측면이 존재할 수 있다고 보았고, 이를 TV 토론과 부모-자녀 간 대화를 통해 실제적 측면을 살펴보았다. 특히 한국인의 고유한 체면위협행위 특성인 ‘객체’에 대한 체면위협행위 양상을 밝히고자 하였다. 궁극적으로는 실제 대화에서 나타나는 체면위협행위가 화자와 청자, 객체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그 관계를 살피고 이를 통해 한국인 대화의 고유한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상황과 유형에 따라 연구 자료를 확대하고 보다 정밀하고 체계적인 기준을 통해 체면위협행위 양상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한국인의 체면위협행위 특성이 대화에서 갖는 효과성에 대해 검증할 필요가 있다. 본고와 같이 한국인 대화에서 갖는 고유한 특징과 관련된 연구들이 꾸준히 이루어진다면 의사소통 전략의 실용적인 자료로써 의의를 가질 수 있으며 화용적 특성을 더 활성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e current study is to examine the social interaction between the participants in Korean conversations to understand the aspects of face threatening acts and their relationships in Korean conversations, in addition to observing the features of face threatening acts in actual conversations. The current study began because of an interest to elucidate on the changing aspects of face threatening acts through the impact of social factors in conversation participants. In particular, the aim was to analyze the aspects of face threatening acts and their relationship, as well as unique features of Korean conversations, by focusing on the face element of politeness, which has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linguistic function of the Korean society. First of all, the characteristics, scope, and typical aspects of face threatening acts in conversations with social interactivity were analyzed, after which cases of debates and family conversations were collected from TV media to examine specific aspects of face threatening acts. This collection activity confirmed sixty face threatening conversation aspects in debate settings, and twenty-six of the same in family conversations. In debate settings, 28.33% of cases were acts that threaten negative face of the listener, 41.66% were those that threaten positive face of the listener, 20% were those that threaten mixed (negative + positive_ face of the listener, and the remaining 10% were those that threaten the face of the speaker himself or herself. In contrast, in parent-child conversations, 50% were acts that threaten negative face of the listener, 23.07% were those that threaten positive face of the listener, and 19.23% were those that threaten mixed (negative + positive) face of the listener, and 7.69% were those that threaten the face of the speaker himself or herself. In both debates and parent-child conversations, the highest proportion was taken by acts that threaten the face of the listener. Of note, however, is that while acts that threaten positive face of the listener were the most frequent in debate settings, those that threaten negative face of the listener were more pronounced in conversations between family members. In addition, the current study confirmed new types of face threatening acts exhibiting unique Korean properties; defense, contempt, shutting off, disruption/redundancy, avoidance, and questioning. Characteristics of face threatening acts revealed that extralinguistic factors in Korean conversations—that is, situational factors—are related to face. In particular, the current study confirmed that in such situational factors, an object is related to face threatening acts, and can have an impact on face threatening acts composed only of a speaker and a listener. In relation, the aspects of face threatening acts on the object between debate settings and parent-child conversations were found to be 3.33% and 34.61%, respectively. In sum, a higher level of face threatening acts on an object was observed in the aspect of parent-child conversations. Furthermore, by inserting the element of “objects” in the aspect of face threatening acts, which was previously analyzed around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the current study was able to conjecture that the degree of burde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versation participants and face threatening acts can differ. In order to analyze the types of objects and aspects of face threatening acts, more analyses of actual conversations will be required. The current study hypothesized that face threatening acts in Korean conversations have unique aspects, scope, and relational elements, and analyzed the reality of that conjecture by studying debates and parent-child conversations on TV. In particular, the study sought to reveal a uniquely Korean aspect of face threatening act, which is threatening the face of an object. The ultimate goal of analysis was to survey the impact of face threatening acts in actual conversations on the speaker, listener, and object, and to use this information to examine unique characteristics of Korean conversations. Future research will need to expand the situations and types of subject materials and introduce more precise and systematic standards to study aspects of face threatening acts. Furthermore, there is a ne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characteristics of face threatening acts in Korean conversations. Sustained research on unique features of Korean conversations, as addressed in the current study, will lead to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data about communication strategies, which can in turn be advanced from the perspective of pragmatics.

      • 어휘주의에 기초한 'X하다'의 형태·통사적 구성 연구

        정대식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07

        이 글은 어휘주의 문법의 최근 이론인 HPSG의 방법을 통해, 한국어 용언 ‘하다’의 형태‧통사적 구성을 살펴보았다. HPSG는 제약에 기반한 문법으로 각 어휘 항목들의 문법 정보를 기반으로 운용된다. 그리고 어휘 항목은 문장에서 어절과 직접적으로 대응된다. 어절은 어간의 문법 정보와 어미의 문법 정보가 합쳐진 문법 정보를 가진다. 그런데 굴절형이 몇 가지로 제한되는 영어와 같은 언어들과는 달리, 한국어에는 다양한 형태의 굴절형이 존재하며, 게다가 그러한 굴절형을 이루는 어미들은 각각 다양한 통사 정보를 가지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한국어 어미의 문법 정보 기술에 적합한 모형이 필요하여, ‘형태론적 단위’를 설정하였다. 그리고 ‘하다’에 대하여 알아보기에 앞서, 어휘주의 문법에 대하여 개관하였는데, 어휘주의 문법은 핵어자질 원리와 하위범주화 원리로 운용되었다. 핵어자질 원리는 구와 그 구를 구성하는 핵 딸의 핵 정보를 공유하는 원리이며, 하위범주화 원리는 핵어가 가지는 하위범주화 정보에 명세된 논항과 일치하는 논항을 통합해 나가는 원리이다. 그리고 한국어의 언어 유형적 특성에 맞도록, 어간과 어미들의 통합 원리를 따로 설명하기 위하여 ‘형태론의 통합 규약’을 설정하였다. 이러한 원리들을 통하여 어휘주의 문법이 운용되는 모습을, 한국어의 용언을 대상으로 대략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러한 이론적 기초를 토대로, ‘하다’의 형태적 구성을 살펴보았는데, 이를 통하여 단일어 ‘하다’는 자립동사 ‘하다’, 자립형용사 ‘하다’, 의존동사 ‘하다’, 의존형용사 ‘하다’의 4가지 종류로 분류된다는 사실을 파악하였고, 복합어 ‘X하다’는 자립동사 ‘X하다’, 자립형용사 ‘X하다’, 의존동사 ‘X하다’, 의존형용사 ‘X하다’의 4가지 종류로 분류된다는 사실을 파악하였다. 이어서 ‘하다’를 핵으로 하여 형성된 구문의 통사적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는데, 먼저 자립동사 ‘하다’는 타동사와 이중타동사로 쓰였다. 그런데 타동사 ‘하다’와 이중타동사 ‘하다’는 형태‧통사적으로는 동일한 특성을 보이지만 의미적으로는 달라서, 이들을 각각 중동사 ‘하다’와 경동사 ‘하다’로 구분하였다. 또, 경동사 ‘하다’가 수여 명사와 함께 쓰이는 경우도 있었는데, 이 경우 하나의 보충어를 더 취하여, 따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자립형용사 ‘하다’는 하나의 보충어를 취하는 서술어였지만, 보충어에 보조사만 허용하는 특징을 보였다. 자립동사 ‘X하다’는 자동사와 타동사로 쓰였는데, 타동사로 쓰일 경우의 보충어를 ‘수의적 보충어’로 설명하였다. 그리고 수여동사로 쓰이는 ‘X하다’는 앞선 ‘X하다’와는 다른 종류의 ‘X하다’로 분리하였다. 한편, 자립형용사 ‘X하다’는 자동사로만 쓰였다. 의존동사 ‘하다’는 보충어로 NP나 S, 또는 VP/AP를 취하는데, NP를 보충어로 취하는 경우는 ‘척’과 같은 부사성 의존명사들과 결합하는 경우였다. 그리고 선행용언을 핵어로 하는 구에 주어가 존재하면 S를 보충어로 취하는 것으로 보았고, 선행용언을 핵어로 하는 구에 주어가 존재하지 않으면 VP/AP를 보충어로 취하는 것으로 보았다. 의존형용사 ‘하다’는 보충어로 NP나 S를 취하는데, NP를 보충어로 취하는 경우는 ‘듯’과 같은 부사성 의존명사들과 결합하는 경우였다. 그리고 S를 보충어로 취하는 경우는 선행용언이 형용사인 ‘기는 하다’구문과 같은 경우였다. 끝으로 의존동사 ‘X하다’는 보충어로 VP를 취하고, 의존형용사 ‘X하다’는 보충어로 AP를 취하는데, 대표적으로는 ‘않다’와 같은 부정용언이 존재하였다.

      • 한·중 비교구문 대조 연구

        유효단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07

        본 논문은 매개변인의 관점에서 한∙중 차등 비교구문과 동등 비교구문을 대상으로 한국어와 중국어 비교구문의 통사∙의미적 특징을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우선, 한∙중 비교구문의 통사구조에 따라서 한∙중 비교구문의 대조기준을 구-비교구문과 절-비교구문, 서술적 비교와 한정적 비교, 주어 비교와 목적어 비교 세 가지로 나눈다. 둘째, 구와 절 비교구문은 한 언어의 비교구문을 분석하는 매개변인으로서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한∙중 비교구문에서 구-비교구문과 절-비교구문의 실현 양상이 어떻게 되는지, 한∙중 구-비교구문과 절-비교구문에서 서술적 비교와 한정적 비교, 주어 비교와 목적어 비교의 실현 양상을 살펴보도록 한다. 셋째, 매개변인 관점에서 비교구문의 의미 해석은 두 가지로 나뉠 수 있다. 즉 개체 비교와 정도 비교이다. 개체 비교는 구-비교구문과 관련되는 반면에 정도 비교는 절-비교구문과 관련된다. 이에 따라서 한 언어의 비교구문이 개체 비교인지 정도 비교인지를 판단하는 기준을 정리하도록 한다. 이 판단기준에 의하여 한국어와 중국어 비교구문의 의미적 특징을 분석하고 개체 비교와 정도 비교의 실현 양상을 정리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결론에서 본 논문의 연구 성과가 무엇인지를 정리하는 동시에 아직 남아있는 문제를 지적하도록 한다.

      • 龍洲 趙絅 문학 연구

        리쓰항 韓南大學校 2019 국내박사

        RANK : 248607

        본고는 17세기 남인문단의 중심인물인 용주 조경의 문학에 대한 연구이다. 17세기는 시대의 격변기였다. 이 때 병자호란, 인조반정, 南·西투쟁 등 사건으로 인해 정치, 경제, 문학의 변화를 일으켰다. 그 중에 문학에서는 朱子學의 견고한 지위에 균열이 생겼고 다양한 사상은 점차 중시를 받게 되었다. 문인들은 이에 대해 새로운 문학 시도를 진행하였는데 그 중에 남인 쪽에서는 秦漢古文을 주자학의 대안 방편으로 삼고 선양하였다. 17세기 남인문단에서는 진한고문이라는 조류가 나타났지만 주자학이 여전히 큰 영향력을 지니고 있었다. 동시에 후세가 강조했던 17세기의 南·西투쟁은 시간 상 보면 불과 20년이고 그전에 100년 동안은 두 당파가 서로 교유하면서 지냈다. 특히 인조반정 이후 北·南·西당파의 교유는 다양한 남인 문학의 형성을 촉진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그리하여 17세기의 남인문단은 진한고문이라는 문학 특징을 띠고 있지만 문단의 정체성을 보면 다양한 모습을 지내고 있었다. 또한 18세기 남인의 중심인물인 蔡濟恭은 남인정권을 보존하기 위해 17세기의 남인문인들을 淸·濁으로 나누었고 청남을 높게 평가하였고 탁남을 낮게 평가하였다. 그리하여 후세 연구에서 許穆 등은 청남을 중시하고 權愈, 柳命天 등은 탁남을 홀시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그러므로 본고는 용주 문학의 연구를 통해 17세기 남인문단에서 결여된 탁남의 연구를 보충하고 문단의 전체성을 고찰하려고 한다. 용주는 진한고문, 주자학, 당송고문, 노장 등 다양한 문학을 취하였고 서인·북인·남인과 긴밀한 교유를 하였다. 그의 다양한 문학경향은 17세기 남인문단의 실상을 제시하였고, 그의 넓은 교유관계는 당쟁이전에 각 당파 문인 사이의 긴밀한 교유를 보여주었다. 그 중에 무엇보다 진한고문을 숭상하면서도 주자학을 그대로 수용하는 그의 사상은 진한고문만 강조하고 주자학을 갱신하려고 하는 허목을 위시한 일대 문인들과 비교가 된다. 용주의 문학은 17세기 남인들이 여전히 주자학의 영향을 받고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현상이 존재하였다는 것을 제시하고, 문단의 다양성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용주는 실제로 남인문단 격변기의 전형적인 인물이다.

      • 한글장편소설의 관계윤리 연구

        고은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07

        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spects of the relational ethics that show in Korean Full-length Novels, examine the facets of the ethical awareness of the Joseon society in discussing their ethical character and meaning, and bring light on the significance that the discussed titles hold in the history of novels. Ethicality takes up a major portion of the esthetics related to the content of Korean Classical Long Novel. However, as Korean Classical Long Novel also include in their narrative such aspects as are at variance and compete with ideological ethics and rather take advantage of it, the ethical awareness which appears in the novels need to be meticulously discussed from new perspectives. In this light, this study focuses the issue of relational ethics related to interpersonal relation that carries heavy weight in Korean Classical Long Novel and discusses its aspects, characteristics, and meaning. It should be desirable to analyze the entirety of Korean Classical Long Novel for the discussion, but since it involves such a vast task, the study chooses for its discussion those titles selected as representing different centuries between the 17th and the 19th century. They are Sohyeonseongrok, the dilogy of Yuhyogongseonhaengrok and Yussisamdaerok, and the dilogy of Boeungiurok and Myeonghaengjeonguirok, which were major titles which were created and enjoyed in the 17th, 18th, and 19th century, respectively. Thus, the study sheds light on their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by making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narratives of relational ethics commonly seen in the three dilogies. Chapter Ⅱ, which extracts narrative related to relational ethics from the different titles, presents brief summaries of the relevant episodes or narrative passages. Focusing on family, the study divides its examination into the four categories of father-son or spousal relationship in the family and the monarch-vassal or slave-master relationship outside the family. Extracting the important relational ethics narratives based on the content of Chapter Ⅱ, the study focuses its review on Chapter Ⅲ and Chapter Ⅳ. Chapter Ⅲ ― The Aspects of the Relationships within a Tribe’ discusses the father-son relationship and the spousal relationship. The review of the father-son relationship narratives from the three dilogies shows that in Sohyeonseongrok, the will of Lady Yang, the matron, served as the absolute reference in judging right or wrong and filial piety toward Lady Yang is perceived by the members of the So family. Yuhyogongseonhaengrok and Boeungiurok present a story of a son who fulfills his filial duty in spite of the abuse from his uncouth father. Yuyeon in Yuhyogongseonhaengrok blindly sticks to the recognition from his father as he fulfills his utmost filial piety, thus eventually disregarding and sacrificing the relational ethics involving other persons, whereas Wi Yeon-cheong in Boeungiurok strives in pursuit of both the filial duty to his father and social merciful justice. The examination of the spousal relationships that appear in the three dilogies shows that Sohyeonseongrok reveals the perception in which love, fury, and jealousy involving men and women are tolerated and understood, despite the gender differences. Yussisamdaerok shows that the wife’s behaviors which violate the female decorum are strictly regulated, whereas the husband’s speech and behaviors outside the norm are generously tolerated, thus revealing a manifest spousal hierarchy. In contrast, the spousal relationship from Myeonghaengjeonguirok prizes emotional bonding more than that in the two other titles, upholds the reciprocal ethics for a married couple. ‘Chapter Ⅳ ― The Aspects of the Relationships Outside the Tribe’ examines the monarch-vassal relationship and the master-slave relationship. The review of the monarch-vassal relationships in the three dilogies shows that despite their antipathy toward the monarch, the So family characters of Sohyeonseongrok stick to their government posts for the glory of their family, and the Yu family in the dilogy of Yuhyogongseonhaegrok and Yussisamdaerok, who dutifully submits to the absolute imperial authority, connives at the turmoil in the royal court, saying that he’d rather bide his time now that his family’s well-being is at risk. The Wi family in the dilogy of Boeungiurok and Myeonghaengjeonguirok appears similar to the Yu family but shows stronger commitment as a vassal, often risking his life for the country. In Korean Classical Long Novel, the subordinate personalities such as maid or courtesan usually appear as minor characters, whereas the subordinate personalities in the world of Sohyeonseongrok are treated by the characters of the So family as subhuman. Also in the dilogy of Yuhyogongseonhaengrok and Yussisamdaerok, the subordinate personalities are neglected, but the repressive perspective on those subordinates is eliminated as is not the case with Sohyeonseongrok. Meanwhile, in the master-slave relationships in Boeungiurok and Myeonghaengjeonguirok, the subordinates appear respected as humans, as their interior topography is described. Expanding on the analysis made in chaptersⅢ and Ⅳ, Chapter Ⅴ discusses the significance of the awareness of the relational ethics which shows in the three dilogies. First, the chapter examines the ethical awareness which shows in Korean Classical Long Novel in the relationship among the norms, systems, and reality of the society that enjoyed the literary works. It seems that as a result, the differentiation of the moral sentiments works as the major principle that forms and maintains the Confucian hierarchy. Second, the three dilogies deal mainly with how the ethical personalities are put through unjustified and oppressive conditions. Here, the inflicters of the oppression take up the top posts in the relational ethics as parents, husband, or monarch, they cannot be denied or resisted easily. So, the ethical characters who are powerless underdogs weave narratives in which they cinch victory with their morality as their weapon. Third, focusing on the face that Korean Classical Long Novel reveals a family-centric attitude, the study demonstrates that the pursuit of the family interest should be perceived as the pursuit of public value and not as the pursuit of personal emotions. As the contemporary notion of public and private perceived family as a public domain as is not the case today, people could understand the pursuit of family glory as deriving not from personal greed but from the public ideal. Chapter Ⅵ discusses the significance of the three dilogies in the history of novels. Sohyeonseongrok, which was enjoyed in the 17th century, portrays the ethical awareness that recognizes those characters who engage in problematic behaviors while harboring desires at variance with the ethical norm, as was not the case with other contemporary titles. The authorial impulse committed to a faithful representation of the real pictures, the novel could vividly depict even the personal desires of the families of gentleman scholars and the shabby and ferocious behaviors involved in their pursuit. It resulted in the invention of the new character of ‘the debonair man’ who pursued both worldly feelings and desires. The 18th century was a period that carried the ideology revealed in the 17t century novels but in which ethical interest was strengthened and embodied in diverse forms. The dilogy of Yuhyogongseonhaengrok and Yussisamdaerok are the works that represent one single tendency found in the period and show characteristically strengthened hierarchy of the relational ethics. It seems that the titles fascinated the upscale readers as well by excellently depicting the hierarchy of the Confucian order with a language that matched the attitude grounded on manners. Last but not the least, the dilogy of Boeungiurok and Myeonghaengjeonguirok, which were apparently enjoyed in the 19th century, demonstrate their commitment to seriously reflecting on the Confucian merciful justice in the midst of the changing times and renewing and expanding it in a realistic manner. These characteristics were formed in the sociocultural atmosphere of the 19th century in which the male intellectuals participated in the writing of the full-length fiction and that saw those novels which revealed new thinking and a shift in thought. The public ambience is significant, in that while sticking to the conservative Confucian ethics, it tried to describe a world that saw the coexistence between family ethics and social ethics and built reciprocal relationships with those isolated personalities. 본고는 한글장편소설에 나타난 관계윤리 양상을 분석하여 그 윤리적 성격과 의미를 논의하고, 조선사회 윤리 의식의 일단을 고구(考究)하며 대상 작품들의 소설사적 의의를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한글장편소설에서 윤리성은 내용미학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그리고 한글장편소설에 유교적 이념 윤리가 잘 구현된 것처럼 인식되어왔다. 그러나 한글장편소설에는 이념 윤리와 어긋나고 길항하며, 이념 윤리를 이용하는 국면이 서사화 되기도 한바, 작품에 드러난 윤리 의식에 대해 새로운 관점에서 면밀히 논의할 필요가 있다. 본고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한글장편소설에서 높은 비중으로 다뤄진, 인간과 인간 간의 관계 맺기와 관련된 관계윤리의 문제에 집중하여 그 양상과 특징, 그리고 의미에 대해 논의하였다. 논의를 전개하기 위해 한글장편소설 전반을 분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워낙 방대한 작업인 만큼 17세기에서 19세기에 이르기까지 각 세기를 대표하는 작품을 선정, 논의 대상으로 삼았다. 그것은 '소현성록', '유효공선행록'·'유씨삼대록' 연작, '보은기우록'·'명행정의록' 연작으로, 각각 17, 18, 19세기에 창작, 향유된 대표적인 작품이다. 이 작품들은 문학사적으로 중요한 의의가 있으며 무엇보다 윤리적 문제에 대해 진지한 서술의식을 보인다는 점에서 연구 대상으로 선택하였다. 이에 세 연작에 공통적으로 나타난 관계윤리 서사를 비교 분석하여 그 특징과 의의를 밝혔다. Ⅱ장에서는 각 작품에서 관계윤리와 관련된 서사를 추출하여 관계 서사 단위담 혹은 서사단락을 간략히 정리하여 소개하였다. 가족을 중심으로 가족 내 관계인 부자 관계와 부부 관계, 그리고 가족 외 관계인 군신 관계와 노주 관계, 네 범주로 나누어 살폈다. Ⅱ장의 내용을 토대로 중요한 관계윤리 서사를 선별하여 Ⅲ장과 Ⅳ장에서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Ⅲ. 족내(族內)의 관계 양상’에서는 부자 관계와 부부 관계에 대해 논의하였다. 세 연작의 부자 관계 서사를 살핀 결과, '소현성록'은 가모장(家母長) 양부인의 뜻이 시비판단의 절대적 준거로 작동하였고, 소부 구성원들에게 양부인에 대한 효(孝)는 가장 우선하는 가치로 인식되었다. '유효공선행록'과 '보은기우록'에서는 혼암한 부친의 학대에도 효행을 다하는 아들의 이야기가 전개되었다. 이때 '유효공선행록'의 유연은 지효(至孝)를 다하는 과정에서 부친의 인정에 맹목적으로 집착하며 점차 다른 존재들과의 관계윤리를 무시, 희생시키는 양상을 보인 반면, '보은기우록'의 위연청은 부친에 대한 효(孝)와 사회적 인의(仁義)를 모두 추구하고자 고투하였다. 다음으로 세 연작의 부부 관계 서사에 대해 살핀 결과, '소현성록'에는 성차에 따른 정도의 차가 있었지만 남녀의 사랑, 분노, 질투 등의 감정이 용인되고 이해되는 의식이 나타났다. '유씨삼대록'은 여도(女道)에 어긋난 아내의 행동은 엄격히 규제되고, 비규범적인 남편의 언행은 관대하게 용인되며 부부 간 위계성이 강하게 드러났다. 반면 '명행정의록'의 부부 관계는 앞서 두 작품에 비해 감성 교류가 중시되면서 부부 간 상호적 윤리를 지향하는 의식을 보였다. ‘Ⅳ. 족외(族外)의 관계 양상’에서는 군신 관계와 노주 관계를 살폈다. 세 연작의 군신 관계 서사를 살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소현성록'의 소부 인물들은 불의(不義)한 군주에 대해 저항감을 지녔으면서도 가문의 존영을 위해 관직을 고수하는 양상을 보였다. '유효공선행록'·'유씨삼대록'연작, '보은기우록'·'명행정의록' 연작 역시 가문의 존영을 우선하는 경향이 보였지만, 두 작품에는 '소현성록'과 달리 군신유의(君臣有義)에 대한 고민이 보였다. '유씨삼대록'에는 혼군(昏君)을 보필하기 위한 갈등이 그려지는데, 혼란스러운 조정을 척결하려는 의지가 표출되면서도 천수(天數)가 명분으로 내세워지며 가문이 우선되었다. '보은기우록'·'명행정의록'의 위부도 유부와 비슷한 양상을 보였으나 신하로서의 사명의식을 보다 강하게 드러내며 때로 위험을 무릅쓰고 국가를 위해 나서기도 했다. 한글장편소설에서 시비, 기생 등의 하위주체는 주변인물로만 등장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소현성록'은 하위주체에 대한 폭력적 시각이 두드러졌고, 소부 인물들을 그들을 비인간으로 취급했다. '유효공선행록'·'유씨삼대록' 연작에서 역시 하위주체가 제대로 조명되지 못하나 '소현성록'과 달리 하위주체에 대한 폭력적 관점은 소거되어 있었다. 반면 '보은기우록'·'명행정의록'의 경우 하위주체의 내면이 생생하게 그려지면서 인격체로 존중되고 있었다. Ⅴ장에서는 Ⅲ,Ⅳ장의 분석 내용을 토대로 세 연작에 드러난 관계윤리 의미에 대해 논의했다. 첫째, 한글장편소설에 드러난 윤리 의식을 작품이 향유된 사회의 규범과 제도, 사회현실과의 관계 속에서 살폈다. 그 결과 도덕감정의 차등화, 위계화가 유교적 위계질서를 형성, 유지하는 주요한 원리로 작동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세 연작은 윤리적 인물들이 부당하고 폭압적인 상황을 겪어내는 과정을 주요하게 다뤘다. 이때 폭압의 주체가 부모, 남편, 군주 등 관계윤리에서 상위에 해당 되는 존재들이기에 간단히 부정하거나 대항할 수 없는데, 무력한 약자인 윤리적 인물들은 도덕성을 무기로 삼아 승리하는 서사를 만들어냈다. 셋째, 한글장편소설에는 가문 이기주의의 태도가 드러나 있다고 논의되어 왔는데, 가문의 이익을 추구하는 태도는 이기성과 연결되는 사정(私情)이 아니라 공적 가치의 추구로 이해된 지점이 있음을 논증했다. 당대 공사(公私) 관념에서 가문은 오늘날과 달리 공적 범주로 인식되었기에, 가문의 존영 추구가 사욕(私慾)이 아니라 공심(公心)에서 비롯된 것으로 정당화될 수 있었다. Ⅵ장에서는 세 연작의 소설사적 의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17세기 향유된 '소현성록'은 동시대의 작품들과 달리, 규범 윤리에 어긋난 욕망을 품고 문제적 행위를 하는 인물들이 시인(是認)되는 윤리 의식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윤리 의식에 기반하여 현실적 모습을 충실히 묘사하려는 작가적 충동이 작동할 수 있었고, 사족층의 사적(私的) 욕망, 그것을 추구하는 지질하고 패려한 행태들이 생동감 있게 드러나게 되었다. 그 결과 세속적 감정과 욕망을 추구하는 새로운 선인군(善人群) 인물이 창안되었다. 18세기는 17세기 소설이 보여준 이념을 그대로 계승하면서도 윤리적 관심이 강화되며 다채롭게 형상화된 시기이다. '유효공선행록'·'유씨삼대록' 연작은 그 시기의 한 가지 경향을 대표하는 작품으로 관계윤리의 위계적 성격이 강화된 특징이 있었다. 특히 '유씨삼대록'은 유교 질서의 위계성을 예적 태도에 부합하는 정연한 언어로 잘 그려내어 고급한 상층의 독자들도 매료시켰던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19세기 향유된 것으로 보이는 '보은기우록'‧'명행정의록' 연작은 변화하는 세태 속에서 유교적 인의(仁義)에 대해 진지한 태도로 성찰하고 그것을 현실적으로 갱신, 확대하려는 의식을 드러냈다. 이러한 특징은 지식층 남성이 장편소설 창작에 참여하고, 새로운 사유와 사상의 전환을 보이는 소설들이 등장한 19세기 사회문화적 분위기에서 형성된 것으로, 보수적 유교 윤리를 고수하면서도 가족윤리와 사회적 윤리가 공존하고, 소외된 존재들과도 상호적 관계가 구축되는 세계를 그리려 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었다.

      • 이상 소설의 미학적 정치성 연구

        강숙영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9 국내박사

        RANK : 248607

        This paper is to illuminate the politicality of aesthetics in Lee Sang’s literature. Lee Sang pursues the literature that dissents from ethos as old conventions, creates new possibilities of the sensible and distributes them into the various domains of life. His idea can be regarded as a preoccupation of Jacques Ranciere`s unique view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tics and literature, to which we have recently paid attention. The novels of Lee Sang pursued to create a new emotional possibility of life beyond all the old customs and conventional power. “A darkroom of a Map”, is a illegible text unconcerned with practice of normative language and grammar of novels. Lee Sang was confronted with inherent ego in fear of death in that time. His ego of a living person was broken up having a new self-consciousness about life. "A darkroom of a map" is a record of the process of his transformation from a engineer Kim Hae Gyoung to a writer Yi Sang, tracing on his track to wander about the city. And the inner light of his mind, the impetus for its transformation, materialize to "ampere", the objective correlative, in his character’s room. The meaning of the title `A map` is a metaphor of the despairing, meaningless world become strange to him. ‘A darkroom` symbolizes his inner mind desolated like `ruin of the location`, `grave` where he couldn`t settle down comfortably. However, Lee Sang complete the separation from the former self, succeeding in creating a new essential ego by art. "A darkroom of a map" is the narrative of self-restoration. Through art, Lee Sang could restore the light of existence. Lee Sang, experimenting with unusual and unique forms from previous short stories, refused to be subjugated in the conventional recognition system and tried to break it down. In "wings", Lee Sang completed self-delusion writing by creating a various semantic structures with the language of "Wit and Paradox." This writing strategy distorts the speaker's perception of reality. This fact is revealed through the speaker's attitude toward ‘silver coins’. Silver coins symbolizes the speaker's 'clear spirit' and the 'a mute coin bank' represents the speaker's unconsciousness of refusing to recognize reality. The speaker's attitude to ignore the social meaning of silver coin and "Wit and Paradox" embody the ‘33rd house’ as a space of Heterotopia. For Lee Sang, love and belief in women was an "soaring ladder" that allowed him to forget the restraints of reality. The women constantly produce signs for male speakers to decode. The women's imperfect love enables unfixed interpretation, like the signs of art. Male characters learn the truth of life through anxiety and fear caused by the failure of love. It is possible that the women change into the symbol 'modern.' The fail of love is also a shadow of modern times that Lee Sang intended to criticize through his stories. The space of 'Taegeuk' reached by the speaker of "Jongsaenggi" embodies the outermost space where there is a language of silence. The ‘Taegeuk’ is not a physical and spatial place, but a threshold point that cannot be expressed in knowledge and language. "Jongsaenggi" is a self-portrait of an artist who is enduring death to go out there. The creation of his novels was an attempt to suggest a new perspective away from the view of Logos. The unique gaze of penetrating and cross-eyed is his strategy to tear apart the world's shroud and awaken the potential of a language. In the Lee Sang’s novels, the subversion of the text image is made on two levels. The first is to focus on the visual composition of the letters themselves, and the second is to seek the unfamiliarness of the emerging visual image while reading the sentences. In story of “Donghae”, ‘the sharp blade’ is the eyes of punktum which disassemble ‘a shapeless modern boy’, Lee Sang. He shows a new sense of value to overcome the devastation created by modern values to us. . In "Hwansi gi(the diary of a visual hallucination )," Lee Sang tells that the modern values of romantic love and a shining future can distort the view facing the truth. Lee Sang tries to penetrate small and insignificant things through the violence of the senses that touches the limits of conventional perception. The antennae of Lee Sang explores the language of resonating with the world, tries to bring down the image of free thought. In "Lost flower," the ‘time’ is the main matter rather than an epic. The ‘Lost flower’ means the Lost time. The symmetrical point of time in this work is the author's literary space consisting of love and death, creation and extinction, and the origin and regression. Like a spider, the protagonist of “Ji-Ju-Whoe-Shi” senses all the vibrations around him and stretches his tentacles. Lee Sang calls for action against the power system by ending the work with imperative sentence. As such, Lee Sang of novel language generates sensory stimuli. The images of the thought that his strange languages generate take us elsewhere. There is the power of creation for a new world. The novelty that goes beyond all the banality is the writer's long-cherished desire. The language of the senses that is made by Lee Sang is more practical than the language of ethics. The novels of Lee Sang are the course of a revolution to acquire a new "value" by creating a strange senses that subversive the general sense of experience.

      • 한중 동사의 논항구조 대조 연구 : 한국어 위치말을 중심으로

        공팅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07

        본 논문은 한국어의 위치말을 논항으로 가지는 동사의 논항 구조와 그것에 대응하는 중국어 동사의 논항 구조를 대조하여 연구한다. 그리고 한중 동사의 논항구조를 대조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고, 중국인 학습자가 한국어를 더욱 잘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데 도움이 되도록 하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이 논문은 모두 여섯 개의 장으로 구성된다. 1장은 서론으로서 연구 목적, 연구 방법과 연구 범위, 선행 연구 고찰을 소개한다. 2장은 한중 동사 논항구조의 특징에 대해 살펴본다. 2.1에서는 한국어 동사의 논항구조의 특징이다. 한국어 동사구의 문제와 위치말의 위치를 설명한다. 2.2에서는 중국어 동사의 논항구조의 특징이다. 중국어 동사구의 문제와 개사구의 위치를 설명한다. 3장은 한국어 동사의 논항구조의 유형에 대한 내용이다. 3.1에서는 논항구조의 유형을 위치말만 나타나는 경우와 위치말과 다른 논항이 함께 나타나는 경우을 분류한다. 3.2.에서는 유형별로 다시 동사의 논항구조의 유형을 설명한다. 즉, [NP-에], [NP-에게], [NP-에서], [NP-에게서]의 논항을 가진 동사를 분류한다. 4장은 중국어 동사의 논항구조의 유형에 대한 내용이다. 4.1에서는 위치말을 가진 한국어 동사에 대응하는 중국어 동사의 목록과 그것에 따른 논항구조의 유형을 제시한다. 개사구를 논항으로 가지는 것과 다른 성분을 논항으로 가지는 것으로 분류한다. 4.2에서는 유형별로 다시 동사의 논항구조의 유형을 설명한다. 즉, [在 NP], [給 NP], [到 NP], [從 NP]를 논항으로 가지는 동사를 정리하고 다시 분류한다. 5장은 한중 동사 논항구조의 대조연구이다. 한중 위치말 표지의 대조, 한국어 위치말이 개사구에 대응하는 동사와 한국어 위치말이 다른 성분에 대응하는 동사의 3가지 방면으로 대조한다. 마지막으로 6장은 결론으로서 이상의 논의를 요약한다.

      • 이상 시 연구 : 주체와 대상의 특성을 중심으로

        김영건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07

        이 논문은 이상의 시를 재조명하였다. 그의 시에 드러나는 시의식과 시인 이상을 유기적으로 연결한 총체적 입장에서 이상, 이상의 시, 그의 시에 나타나는 시의식을 통합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이 논문은 이상의 텍스트에 집중하였다. 텍스트는 내재분석을 통해서 해석하였다. 텍스트는 발화에서 시작된다. 텍스트 안에서 ‘주체’와 ‘대상’이라는 실재적 존재를 등장시켰다. 이 논문은 이렇게 생성된 실재적 존재를 ‘주체’와 ‘대상’이라고 보고 논의를 진전시켰다. ‘주체’와 ‘대상’을 각기 상위 개념으로 해서 그 아래 해당하는 하위 개념을 포섭시켰다. ‘주체’의 하위 개념은 각기 ‘유희’, ‘분열’, ‘사회’라는 개념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개념은 텍스트에서 유희적 주체, 분열적 주체, 사회적 주체로 드러났다. ‘대상’의 하위 개념은 각기 ‘무기’, ‘유기’, ‘윤리’라는 개념으로 분석되었다. 이 개념은 텍스트 안에서 ‘무기적 대상’, ‘유기적 대상’, ‘윤리적 대상’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이 분석된 개념을 통해서 각각의 상위 개념과 하위 개념은 본론에 배치하였다. Ⅱ장에서는 유희적 주체와 무기적 대상에 관한 논의가 진행되었다. 유희적 주체는 ‘기호’와 ‘언어’라는 측면에서 논의되었다. 이상의 텍스트에서 ‘이미지’와 ‘수과학’을 통해서 드러났음을 확인하였다. 기호적 주체에서, 수학 기호로 표상된 언어는 이상의 시 텍스트에서 언어처럼 자유롭게 사유하고 공간을 확장하며 이동하는 관념으로 기능하는 대상이었다. 언어 문자로 표기된 도상은 이상 시에서 시의식을 드러내는 표지로 활용되었다. 이상은 자신의 의식을 무의식적 차원으로 대응시키는 방식으로 수학 기호와 언어 문자로 표기된 표현을 도상화해서 압축하고 함의를 충만하게 만들었다. 시의 화자는 이상 시의 텍스트에 직접적 해명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때 시의 화자 스스로 직접적 제시를 피하기 위한 차선의 방법을 선택했다. 문장 부호 괄호를 삽입한 이후 직접적인 언술을 피하며 등장하였다. 시의 화자의 등장 이후 주체는 직접 발화의 방식으로 텍스트에 표상된 도상과 소통하는 모습을 보였다. 주체가 관념화된 사물 대상을 실체의 대상으로 느끼게 만든 도상은 “▽”, “△”, “ □” 등이었다. 시인은 시의 화자의 입을 빌려 텍스트에 “×”와 “◇” 같은 도상화된 수학소를 배치했다. 주체와 대상의 전환적 국면에 개입하거나 텍스트 내에서 주체의 진술을 언술 상에서 기능적으로 지원하는 언표적 차원의 구조적 공간화에 성공하는 모습을 보였다. 유희적 주체는 텍스트 안에서 관념화된 무기적 대상을 사물 대상으로 대면한 것으로 머물지 않았다. 주체와 타자로 동등한 층위에서 소통하고 함께 놀이하는 태도를 보였다. 언어적 주체는 문자언어로 표기된 음성언어의 측면이 강함을 확인하였다. 이때 시인은 시의 화자의 목소리로 적극 개입하였다. 주체로서 직접 발화 방식으로 텍스트에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참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동시에 시인은 앞서 1절에서 확인하였던 “×”와 “◇” 같은 도상화된 수학소를 배치하였다. 말줄임표와 같은 문장 부호, 직접 인용한 문장 부호, 강조하거나 기능적 환기의 목적성을 함의한 언표의 비약적 강조를 통하여 1절에서 공간성에 대한 관념의 사유를 드러냈던 부분을 2절에서는 시간성에 대한 관념적 표현으로 확대하는 모습을 보였다. “같은날의오후”와 같은 언표는 직접 발화하는 직접 인용 부호와 상관관계를 통해서 과거 시제의 표현이나 완료된 표현으로 진술하는 향상된 언술 태도를 유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物理的으로아팠었다”(「BOITEUX ․ BOITEUSE」)는 언술과 같이 무기화된 관념을 감정적으로 언술하기도 하였다. 「BOITEUX ․ BOITEUSE」에서 “긴것”과 “짧은 것”으로 표현된 언술은 주체와 대상의 상대적 대응을 제시하였다. 주체는 “이고자하면서” “이지아니할것인가”와 같은 양가적 언표로 이중적 태도를 보였다. 주체의 이중적 태도는 주체가 관념화된 대상이나 타자를 직접 발화와 직접 대면을 통해서 동일한 실체로 인지하는 모습으로 나타났다. 대상을 실체로 사유한 주체는 대상의 호칭을 “여자”와 같이 다수를 지칭하는 도상화된 사물 언어가 아닌 특정 대상을 명확하게 지칭하는 고유한 언어로 표현하기에 이르렀다. 이때의 주체는 “여자”라는 대상과 타자를 “천사”(「흥행물천사」)로 표현하였다 “창백한 여자”(「광녀의 고백」)로 묘사하면서 “쵸콜레이트”와 같은 언표로 자신의 성을 말놀이로 표출하고 있었다. 그리고 주체는 “여자의입(口)은작기 때문에”와 같은 언술을 통해서 타자의 신체에 대해서 구체적 묘사를 하는 대담함을 보이기도 하였다. 신체 기관과 한자어의 조합은 주체의 표출된 성의식을 보다 추상적으로 자극하는 기제로 작용하였다. 주체는 “여자는물과같이때때로미쳐서”와 같은 언술과 “갈핵한순백색”, 그리고 “잔내비와같이웃는여자”로 대상을 매우 구체적이면서 세세한 묘사로 표현하며 유희 자체로 대하는 모습을 보였다. 주체가 대상을 대면하고 대상을 주체 자신과 같은 타자화된 실체로 인정하는 모습과 주체의 이러한 태도는 “-하라”는 명령형의 언술로 보다 구체적으로 표현되면서 Ⅲ장과 같이 주체가 분열하는 양태를 보이게 만드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Ⅲ장은 분열적 주체와 유기적 대상에 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분열적 주체는 자기 분열의 주체와 병리학적 주체로 등장하였다. 자기 분열의 주체는 자아 분열로 평가받았던 기존 연구와 변별되는 용어로 사용하였다. 주체와 자아의 개념 차이에서 기인한 듯하지만, 자기 분열은 이상의 시 텍스트 안에서 주체가 머무는 위치에만 한정한 개념으로 사용되었다. 자아 분열보다는 집중된 의미로 사용되었다. 분열적 주체는 대상을 유기적 대상인 타자로 인식하는 주체로 Ⅱ장에서 확인했던 유희적 주체보다 구체적으로 대상을 대면하는 모습을 견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주체가 대상을 구체적으로 대면하는 모습은 알랭 바디우의 주체를 층위로 나누는 논의를 차용해서 ‘존재’에서 ‘진리’의 층위가 순환하는 양상으로 변화하는 것을 받아들었고, 이에 주체가 ‘존재’로 혹은 타자인 대상이 세계화되고 다시 주체로의 변모 가능성에 대한 변화 기제로 ‘통상적인 변화’와 ‘독특한 변화’의 촉발체가 필요함을 논의화 하였다. 대상이 주체나 세계로 확대되고 비유적으로 확장되는 모습은 향후 진행될 논의인 Ⅳ장의 사회적 주체로의 이행 가능성을 확인하는 측면으로 연계되는 모습임을 가능성의 차원에서 살펴볼 수 있었다. 자기 분열의 주체는 지시대상으로서의 거울이라는 대상과 ‘나’에 대해서 주체의 인식의 층위를 확인하면서 진행되었다. 주체는 시적 주체로 대상을 응시하는 모습을 일관되게 보였다. 「거울」, 「시제15호」, 「명경」과 같은 시편에서 주체는 구조의 측면에서 가시적으로 대칭되었다. 명시적으로 대칭되는 모습을 통해서 대상과 대면하거나 대상과 대면하면서 얻게 되는 감정의 소외에 대해서 고뇌하는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주체의 대상에 대한 이러한 동경과 소외는 “거울속의나를근심하고진찰할수엄스니퍽섭섭하”다고 언술하는 주체의 감정적 발화를 통해서 그가 대상과 갈등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때의 주체는 실재하지 않는 차원으로의 이행, 상상계로 전이되거나 상징 차원에서 현실이 함몰되는 모습을 보였다. 주체의 자기 반영은 거울의 기능에 의한 것이기도 했지만, 주체는 반영의 양상으로 시선의 범위 안에서 대상을 응시하는 모습을 지향했음을 확인하였다. 주체가 응시하는 대상은 주체 자신의 ‘신체’로 대별되었다. 주체는 자신의 신체를 통해서 현실의 질병을 직시하게 되었다. 현실에서 대상과의 조우와 신체로 의식되는 주체의 인식은 신체를 ‘감각’하고 ‘지각’하며 인공화하기까지 하였다. 신체와 대상의 인공적 묘사는 대상을 글쓰기로 비유하여 언술한다거나 실험 개체로 인지하는 태도로 일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체가 대상을 인공적으로 인식하는 장면은 “찌저진벽지에죽어가는나비”와 같은 언술된 언표를 통해서 대상을 본질에 가깝게 만들고 있었다. 주체의 이러한 태도는 「시제4호」와 같이 주체가 대상을 무기적으로 인식하는 퇴행의 모습을 통해서 상상계로 완전 전이 가능함을 추론하게 하였다. 주체 자신을 대상으로 인식하는 극단의 모습으로 변모하였다. “sCANDAL이라는것은무엇이냐”는 언술을 통해서 주체가 “너” “너구나” “너지” “너다” “아니다 너로구나”의 언표로 발화하는 양상은 거울 기능의 확장 가능성을 보이는 분열의 모습으로 파악되었다. 「시제1호」의 3연을 통해서 구조에 대한 대칭 가능성의 확장되고 확대될 수 있는 분석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병리학적 주체는 대상을 신체화하거나 폐질환과 각혈로 드러나는 질병의 모티프가 나타나고 있음을 이상의 시 「위독 내부」, 「역단 행로」, 「역단 아침」, 「제목 없음(게재면에 ‘斷想’이라고 명명되어 있다) 7-8」을 통해서 확인하였다. 신체가 비유 확장되는 작품은 「각혈의 아침」와 「시제9호 총구」로 두 작품에서 동일하게 알레고리화 된 신체의 모습을 “총구”와 “탄환”으로 각혈의 순간을 표현한 언표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Ⅳ장은 사회적 주체와 윤리적 대상에 관한 논의로 진행되었다. 사회적 주체는 ‘가족’과 ‘사회’라는 측면에서 주체가 가까운 곳에서 만날 수 있는 관계맺음의 대상에서 시작되었다. 복잡하게 기능하는 제도적 질서 양상까지 확대되었다. ‘가족’은 이상의 시에서 드러난 ‘아버지’, ‘아내’의 표상을 통해서 ‘수직적’ 그리고 ‘선택적’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이렇게 고찰된 주체의 면모는 억압받고 고뇌하는 모습으로 파악되었다. 「시제2호」와 「육친」 그리고 「가정」을 통해서 비유와 환유의 방법으로 전유되거나 재전유를 통해서 나타났다. 주체는 사회적 주체로서 억압하고 상충하며 갈등하는 주체로서 파악되었다. 「시제2호」, 「육친」, 「가정」을 통해서 드러난 대상은 ‘아버지’로 대표 표상되었다. 「생애」, 「지비」, 「추구」에서 확인된 ‘아내’로 언표 된 대상의 표상과의 관계를 이겨내려고 할 뿐 아니라 현실의 상황을 초월하고자 하는 모습으로 드러났다. 가족 공동체를 경험한 주체는 규율의 공동체로 편입되었다. 근대화된 거리인 「가외가전」에서의 세계와 그 세계 속의 거리에서 일상을 보내는 ‘여성’과 ‘인간 군상’들의 모습을 통해서 사회적 주체로 거듭나는 모습을 확인하였다. 주체는 자신의 의지를 대상과의 관계와 사회라는 질서와 제도 안에서 피력하는 미적 주체로 모습을 보였다. 동시에 그들과의 조화로운 융화와 포용을 통해서 정치적으로 그리고 윤리적으로 변모하는 모습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논문은 이렇게 현실의 상황과 그 안에 속한 주체가 자의식을 통해서 정황을 초월하고자 하는 의지를 갖고 있는 미적 주체로의 태도를 지향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사회’는 이상의 시에 드러난 ‘조상’과 ‘여성’ 및 ‘거리’의 표상을 통해서 계열로서의 그리고 통합으로서의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이때 드러난 주체의 면모는 기존의 전통적인 봉건 사회 질서에 편입되지만 이것을 거부하고자 하는 자의식을 드러낸 주체의 모습이었다. 이상 시에 드러난 주체는 근대적인 질서의 중심에서 ‘관계’ 맺고 기능하는 주체였다. 근대화된 거리와 그 안에서 혹은 그 거리 위에서 발견할 수 있는 거리의 ‘여성’ 그리고 인간 군상들과 그들이 ‘다툼’하는 모습, 서로가 서로에게 무서운 대상이나 무서워하는 대상으로 드러나는 ‘아해’로 언표 되는 인간 군상의 표상들은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의 모습과 별반 차이가 없었다. 그의 시에 드러난 이러한 거리의 ‘여성’과 ‘다툼’하는 인간 군상의 모습들, 그리고 그 안에서 무서워하거나 무서운 모습으로 등장하는 ‘존재’ 자체인 ‘아해’의 표상으로 귀결되는 대상은 ‘정치적’이며 ‘윤리적’ 차원으로 드러났다. 특히, 이들의 모습은 초월하는 태도로 대상이자 타자가 주체화되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 일제말기 친일문학의 내적논리와 회고의 전략 : 이광수, 김동인, 채만식을 중심으로

        박수빈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07

        본 논문에서는 일제말기(1937년~1945년) 친일문학과 해방기 회고의 전략적 성격을 문인들의 ‘자기규정’과 ‘식민지적 정체성’을 통해 살펴보았다. 일제말기 친일문인들은 대중적 지도자나 사상가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제국일본과 조선 사이의 ‘번역자’로 살아왔다. 그러나 일제의 외부적 압력과 문인의 내부적 혼란이 극대화된 시점에 갑작스럽게 이루어진 해방은 이들을 순식간에 민족의 죄인이자 평범한 인민의 한 사람으로 끌어내렸다. 해방공간에서 친일문인들은 일제말기 제국일본의 식민지배이데올로기를 조선(인)에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노력했던 것 이상으로, ‘정치적’이고 ‘전략적’인 자기변호의 텍스트를 생산해낼 필요성을 느끼게 된다. 친일문인들의 해방기 ‘회고’는 문인의 내적 욕망과 외부적 압력이 동시에 작용한 결과라는 점, 시대와 이데올로기의 관계 속에서 자신의 문학적, 사회적 생존을 모색하기 위한 행위의 결과물이라는 점에서 일제말기의 ‘친일문학’과 매우 닮아있다. 본 논문의 기본적인 시각은 제국주의와 주체의 관계성에 주목한다는 점에서 탈식민주의적 담론의 자장 속에서 형성된 것이다. 선행연구와 차별을 두기 위해 일제말기 친일문학에 영향을 미친 외부적 요인보다는 문인 개개인의 사상적 배경과 문학론, 그들의 식민지적 주체형성 과정에 주목함으로써, 친일문학이 그저 외압에 의한 몰개성한 선전문학이 아님을 규명하려 했다. 이를 위해 각기 다른 사상적 배경과 문학론, 식민지적 주체성을 형성하면서 일제하에서나 해방공간에서 활발히 작품 활동을 이광수, 김동인, 채만식을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이 세 명의 문인을 통해 친일문학이 일제의 식민지배이데올로기를 문인 각자의 맥락에서 내면화한 결과물이라는 공통점을 발견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취하는 서술전략과 서술방식의 차이점에 주목하였다. 또한 친일의 범위와 의미를 일제강점기에 국한시키지 않고, 이를 해방 후 회고와 연결시킴으로써 친일의 시작과 완결을 철저히 작가 본인의 맥락에서 살펴볼 수 있도록 했다. 서론에서는 친일문학에 대한 기존 연구사가 갖고 있던 견고한 민족주의적 시각에 대해 정리하고, 이를 돌파하려는 최근 연구 성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사 검토를 통해 최근 친일문학 연구에서 주목하는 ‘식민지적 주체’의 문제를 본 논문의 문제의식에 적극적으로 반영하였다. 또한 친일문학(연구)의 정치적 성격으로 인해 연구자들이 경직된 태도와 시각을 갖게 된다는 점을 지적하며 친일문학 연구의 난점과 방법론의 문제를 정리하였다. Ⅱ장에서는 일제말기 조선문단의 상황과 문인협회의 존재의의를 바탕으로, 세 문인의 ‘친일논리’가 구축되는 과정을 그들의 비평(적)텍스트를 통해 살펴보았다. 일제말기 조선의 문인들은 일본을 중심으로 한 ‘대아시아’ 개념 속에서 근대와 동양을 초극하고 서구에 대항할 가능성을 찾았다. 문인협회는 문인들의 친일행위를 집단화・조직화하고, 일본으로부터 ‘국민문학론’을 수용하는 등 새로운 문학의 방향을 모색했지만 문학론의 불명확성으로 인해 식민지적 주체의 사상적 균열과 분열을 만들어내는데 일조하였다. 식민지 조선의 독립을 위한 근간인 ‘민족주의’가 친일로 흐르게 되는 양상은 일견 아이러니로 보이지만, 이광수를 통해 보면 민족주의와 제국주의는 결코 상반된 개념이 아님을 알게 된다. 그의 민족주의는 ‘자강론’, ‘실력양성론’ 등과 결합하면서 자연스럽게 동화주의(assimilation)로 이어지는 양상을 보이기 때문이다. 반면 김동인의 친일논리는 그의 민족의식의 부재를 잘 보여준다. 그는 일본이 내세우는 식민지배이데올로기에 현혹되지 않기 때문에 이를 내면화하거나 자기화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는다. 김동인은 자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자신이 조선문단의 대표적 친일문인으로 보이기를 원했다. 생존을 위해서는 일제하에서 문인의 가치를 높여야 한다는 생각에 이르자, 일찍이 문학의 자율성에 대한 철저한 옹호자였던 김동인은 문학이 가장 중요한 ‘도구’일 수 있다는 자가당착적 결론에 다다른다. 그래서 일제말기 김동인에게는 주체성이 결여된 식민지 지식인의 수동적인 모습과 식민지배 체제 내에서 가치 있는 존재가 되고자하는 피식민자의 욕망이 동시에 발견된다. 반면 무력한 니힐리스트이자 체제순응자인 채만식의 사회주의는 ‘전체주의’라는 공통점으로 인해 일제하 신체제로 빨려 들어가는 양상을 보인다. 채만식의 친일논리는 이광수에 대한 모방으로, 친일소설의 구상은 히노 아시헤이의 영향 하에서 그 기반을 마련하지만, 이광수와 달리 채만식은 조선(인)을 초극하여 사고할 수 없다는 점에서 결정적인 차이를 보인다. 조선과 조선문학, 그리고 조선인으로서 자신을 모두 미달된 존재로 규정했던 채만식은 현실적 제조건으로부터 결코 벗어날 수 없는 존재이기에 시대에 순응하는 것으로써 자신의 길을 정한다. Ⅲ장에서는 일제말기 문인에게 내면화된 식민지배이데올로기의 결과물인 소설텍스트를 분석해보았다. 특히 이 장에서는 해방 후 삭제된 서사를 복원하고, 지금까지 연구대상이 되지 못했던 친일소설텍스트들을 새롭게 의미화 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세 문인의 ‘개성’은 문학작품의 제재(題材)와 장르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광수의 친일소설은 기본적으로 일상에서 제재를 취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는 조선인에게는 충(忠)을, 일본인에게는 성(誠)의 정신을 주입시키려 함으로써 계몽의 이중적 의도를 보인다. 완전한 내선일체의 완성은 한쪽의 노력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광수 특유의 도식적인 인물구도는 ‘내지인-조선인’ 사이에서 효과적으로 구현되어 ‘정신적 내선일체’를 완성하고, 원술을 동원한 군인정신의 강조는 징병제 실시를 통한 ‘실질적 내선일체’의 기획을 뒷받침하는 데 성공한다. 그러나 미완으로 남은 일군의 소설들에서 이광수는 내선일체론과 국민문학론의 허상을 스스로 폭로하고, 불완전한 내면을 드러내기도 한다. 김동인의 친일소설은 모두 백제, 일본, 중국을 배경으로 하는 ‘역사소설’이다. 김동인의 친일역사소설은 텍스트 자체만으로 볼 때에는 친일적 요소를 발견하기 어렵지만, 컨텍스트와 함께 읽으면 그 안에 숨겨진 식민사관과 텍스트의 진짜 의미를 발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고도의 전략적 글쓰기라 할 수 있다. 그는 서구를 통해 동양의 가치를 재인식하고, 일본중심의 대동아공영권 구상을 뒷받침한다. 아편전쟁을 제재로 삼은 두 편의 역사소설에서 김동인은 중국의 치욕적인 역사를 통해 反서구의 정서를 정당화하고, 친중적인 서술태도로 제국일본의 대동아공영권 구상을 뒷받침한다. 일본정신을 반영한 예술가소설에서는 국책문학 창작에 대한 일본인 문사의 고민을 담았지만, 그 함의는 조선 문인의 일본어 글쓰기에 대한 고민으로 읽는 것이 옳다. 일제의 고대사복원 계획과 발맞춘 친일역사소설에서는 일본역사관을 바탕으로 백제와 일본의 역사적 친연성을 강조하고, 과거 백제가 일본의 도움으로 당군을 물리친 것처럼 조선이 일본을 도와 중국에 대항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채만식의 친일소설은 르포문학의 형태를 띤 전쟁소설과 후방의 역할을 강조하는 총후문학으로 이루어져 있다. 직접 전쟁에 참여하는 용맹한 일본군, 후방에서 이를 적극 지원하는 이상적 ‘총후부인’과 ‘군국의 어머니’를 통해 채만식의 소설은 군국주의적 전체주의를 선전한다. 일제말기 채만식의 소설 가운데 장편 『아름다운 새벽』은 해방 후 단행본으로 엮이는 과정에서 친일적 요소가 의도적으로 삭제되면서 해석상의 혼란을 야기했다. 본고에서는 삭제된 서사를 복원하고, 채만식 친일논리와 해방기의 정치성을 보여주는 텍스트로 의미화 하였다. Ⅳ장에서는 해방공간에서 쓰인 세 문인의 회고를 대상으로 친일문인들의 ‘자기규정’과 반성의 ‘전략’적 측면을 연관시켜 살펴보았다. 특히 복잡한 수사와 정치적 맥락 사이에 숨겨진 텍스트의 ‘진의’를 찾고자 했다. 이광수는 인생의 모든 기간을 대상으로 하는 ‘자서전’이 아님에도 친일협력의 기간을 ‘일제말기’에 한정하고, 그 의미를 희석시키기 위해 자서전 형식의 회고를 썼다. 자의적으로 서술시간을 조절함으로써 ‘민족주의자’의 순수성을 강조하기 위한 전략이었다. 반면 김동인은 이광수를 ‘민족주의를 내세워 자발적으로 친일한 민족적 지도자’로, 자신을 ‘일생 조선문 소설쓰기에만 몰두한 순수하고 무력한 소설가’로 규정함으로써 친일의 그림자를 이광수에게 덧씌우고 자신은 그 비판으로부터 벗어나려 한다. 특히 그는 자신의 문학적 공로를 과장되게 제시하고, 일제하와 미군정의 ‘지배/점령’을 동일하게 의미화 함으로써 자신을 철저한 피해자에 위치시킨다. 채만식은 스스로를 민족의 ‘죄인’으로 규정하지만, 그의 회고에는 죄의식과 억울함이 동시에 나타난다. 그의 회고에서는 반복적으로 죄에 대한 인정과 동기에 대한 부정이 중첩되어 서술된다. 자신의 친일을 인정하면서도, 본심에서 이루어진 것은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려 하는 채만식의 회고는 본심과 양심 사이의 팽팽한 힘겨루기를 보여준다. 해방기 채만식의 인식은 ‘조선인 대부분이 민족의 죄인’이라는 것이다. 자기풍자와 자기폭로를 통해 죄의식을 드러내고는 있지만, 그런 면에서 채만식의 회고는 친일에 대한 반성적 텍스트가 아닌 자기변호의 텍스트임이 분명해진다. 문인들의 친일의 동기와 경로, 해방 후 보여준 자기비판과 반성까지 검토한 후 드러나는 것은 식민지적 주체의 모순과 분열의 복잡한 양상이다. 친일문학은 그 자체로 정치적인 텍스트지만 그것이 전부는 아니다. ‘문학’이란 한 인간이 세계를 보는 관점이자, 그 자신의 반영이기 때문이다. 친일문학은 국책을 위한 전략적 글쓰기인 동시에 한 작가의 문학적 지향과 식민지적 정체성을 담고 있는 대상이다. 친일문인은 식민주의 내부의 구조적인 불균등성을 극복하는 것이 목표이지만 정작 자신들의 존재가 이 체제를 상징한다는 것, 나아가 체제를 더 공고히 한다는 사실을 깨닫지 못한다. 이 논문은 세 문인의 일제말기와 해방기의 텍스트를 통해 식민지적 주체의 형성과 분열, 일제식민지배이데올로기의 환상과 모순, 친일문학에 내재된 피식민자의 욕망과 주체의 한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해방 후에도 여전히 세계의 비주체적 존재에 머물 수밖에 없었던 그들에게서 ‘식민지 근대성’의 또 다른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다.

      • 한글장편소설에 나타난 폭력의 형상과 의미 연구

        최어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07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forms and meaning of violence in Korean classical roman-fleuve, focusing on the works Sohyeonseongrok (蘇賢成錄), Yuhyogongsunhangrok (劉孝公善行錄), Boeungiurok (報恩奇遇錄) and Myeongjubowoelbing (明珠寶月聘).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Chapter 2 reviewed the violence that appears in Korean classical roman-fleuve. In Korean classical roman-fleuve, personal violence, structural violence, which was inherent in the society of that time and forms the basis of the actions of the characters in the roman-fleuve, and cultural violence, which justifies all of the above, function within a tiered system. This thesis examined the multi-level aspect of the violence in the violence narratives by analysing specific examples in each work. Chapter 3 analyzed the forms and meaning of the violence featured in all four works. In Sohyeonseongrok, protagonists who are the head of the family or soon-to-be head of the family, such as Lady Yang, So Hyeon-seong, So Woon-seong and So Woon-myeong, use violence as a tool for governing the household, disciplining their children or undutiful daughters-in-law through violence. Therefore, the cause or result of the violence they commit are never questioned and the violence is instead repeatedly justified by the narrator and the supporting characters. However, this continuous justification of violence within the work paradoxically evokes more doubt about the justness of the violence. Despite this, Sohyeonseongrok clearly regards violence as a tool for the establishment of public justice. As a result, the narrative of violence in the work principally demonstrates the effectiveness of violence. Like this, Sohyeonseongrok appears to acknowledge the practical value of violence as a tool. In Yuhyogongsunhangrok, it is Yu Jeong-kyeong who directly commits violence against his son Yu Yeon, but the narrative continuously focuses on how the violence arises as a result of Yu Hong’s character flaws and the troubles suffered by those around him because of this. In other words, the narrative places the blame for the violence on Yu Hong’s personal weaknesses. However, although the work vividly depicts the way in which the violence first committed by Yu Jeong-kyeong as a result of Yu Hong’s lies leads to instances of violence that affect more members of the family, it fails to question the attitude or response adopted by Yu Yeon which is the primary cause of this. The conclusion of the work, which focuses only on the fact of Yu Jeong-kyeong and Yu Yeon’s reconciliation, eliminates any potential within the work for true examination of, or reflection on, the terrible consequences of violence. As such, the work’s conclusion merely reveals the meaninglessness of the characters’ reconciliation as the violence in Yuhyogongsunhangrok is left unresolved. Boeungiurok, is similar to Yuhyogongsunhangrok in its depiction of a protagonist who is forced to endure the violence of their father. However, the protagonist of Boeungiurok, Wui Yeon-cheong, does not submit to his father but actively retaliates against him. The violence is therefore incited by Wui Ji-deok and Wui Yeon-cheong each demonstrating their commitment to the belief that they are in the right. Boeungiurok does not put all the blame for the violence on Wui Ji-deok but shows interest in his penitence as the direct perpetrator of the violence. Although this revelation is framed as occurring within a ‘dream’, Wui Ji-deok experiencing suffering and this leading to his penitence distinguishes the work from Yuhyogongsunhangrok. Boeungiurok offers the potential of violence being quelled by using a dream as a literary device. Myeongjubowoelbing portrays impulsive agents of violence spurred on by their sufferings gradually securing power by banding together as well as depicting in great detail the violence committed against the protagonists as a result of this. Of course, the more impulsive the conspiracy, the weaker its foundation. As the agents of violence continuously expand their power, the level of violence inflicted on the victims also escalates to an extreme degree. The narrative of violence in Myeongjubowoelbing shows violence being mercilessly inflicted on victims whose entire lives are shattered, revealing the cruelty of violence. It can be argued that Myeongjubowoelbing shows more interest in the atrocity of violence than the repentance of the perpetrator or reconciliation between perpetrator and victim. Chapter 4 of this thesis attempted to explore the narrative strategies adopted by all four violence narratives to immerse the reader and enhance the entertainment value of the narrative. The first subchapter examined the Korean classical roman-fleuve violence narratives’ strategy of reducing the violence to the problem of a specific individual, thereby distancing the reader both from the agents and victims of violence. The first part of this subchapter studied the way in which the violence narratives reduce the violence to, or cover it up as, the problem of ‘a sick woman’. The female agents of violence in Korean classical roman-fleuve are portrayed in a manner akin to monsters or maniacs, which has the effect of estranging and fascinating the reader. The violence narratives fail to connect the dramatic images of these women to underlying problems in the surrounding structures, society or community, or to the alienation and marginalization of women promoted by them, and reduces the female agents of violence to a source of amusement. The second part of this subchapter analyzed the exhibition of the bodies damaged by violence in the violence narratives. The descriptions of injured bodies arouse in the reader a sense of satisfaction and superiority by reminding them of their own wellbeing. The graphic depictions of mangled bodies make the reader regard the experience of violence within the narrative as an isolated, unusual experience specific to the affected individual. This holds the reader back from recognizing that the pitifully broken bodies of the victims in the narrative might be the result of unfairly inflicted violence or a consequence promoted by real contemporary structures and society. The second subchapter investigated the process of the otherization of the affliction suffered by the characters in the violence narratives through contemptuous laughter and a conclusion of reconciliation. On some occasions, either during the moment an act of violence is committed or sometime after the act, a derisive comment is made about the violent event. This tone of mockery on the subject of violence waters down the problematic nature of the violence. Likewise, the repeated implication of a happy ending will likely have prevented contemporary readers from fully empathizing with the tragedy created by the violence in the narrative, which this thesis deemed problematic as it could lead to a sense of detachment from one’s own afflictions which become ‘otherized’. The third subchapter dealt with the way in which the violence narratives in Korean classical roman-fleuve make readers more deeply immersed in the narrative by reflecting their contemporary social reality. In particular, the heads of the household, the main perpetrators of the violence within the works, are depicted as being prone to anger, indifferent to household affairs or simply ignorant. Another element that stands out is the way in which violence is flaunted by the perpetrators and proliferated through the phenomenon of ‘collective punishment’. These factors encourage the reader to question the head of the household, who is portrayed as a negative figure, and will thereby have offered some comfort to the female readership. Furthermore, on some occasions, a third party will physically intervene or try to persuade the perpetrator with words in an attempt to put a stop to the violence. Although the solidarity and protest offered by the third parties are feeble attempts which usually have no real impact, their intervention will have provided readers some comfort by showing that the victims were not completely neglected. This thesis argues that through the strategies explained above, Korean classical roman-fleuve violence narratives allowed contemporary readers to become complacent about violence by reducing the violence to the personal problem of the affected individual and preventing the reader from connecting it to the problems of the real structures and society around them. Finally, chapter 5 of this thesis contemplated the fictional significance of violence narratives in Korean roman-fleuve. First, it compared them with short Korean novels that also deal with violence within the family, such as Janghwahonryeonjeon (薔花紅蓮傳) and Kiminhyangjeon (金仁香傳), and, focusing on the characterisation of the heads of the household and the victims’ attitudes, examined the aspects that are concealed in Korean roman-fleuve violence narratives in relation to the source of the violence. Then, by comparing the four texts chosen for this thesis with early forms of the Korean roman-fleuve such as Gueunmong (九雲夢), Sassinamjeongi (謝氏南征記) and Changseongamirok (彰善感義錄), this thesis investigated the expansion of the roles of female characters in correspondence with the development of the violence narrative. In comparison to 17th century fiction, narratives that were developed after the publication of Sohyeonseongrok, the era of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roman-fleuve, contain more diverse descriptions of violence, richer and more vivid descriptions of the inner workings of morally questionable characters and increased interest in damaged human minds and bodies. 화합과 조화의 세계를 형상화했다고 여겨지는 한글장편소설에는 차별, 혐오, 적대, 폭력, 불화, 불행 등 삶의 부정적인 국면에 대한 이야기가 비중 있게 등장한다. 본 논문에서는 그중에서도 ‘폭력’의 문제에 집중하여, <소현성록>, <유효공선행록>, <보은기우록> 및 <명주보월빙>에 나타난 폭력의 형상과 의미를 밝히고자 했다. 이를 기반으로 한글장편소설의 폭력 서사가 취하고 있는 전략과 소설사적 의의를 규명하는 것을 최종의 목표로 삼았다. 본 연구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Ⅱ장에서는 한글장편소설에 나타난 폭력의 다층성에 대해 조망하였다. 한글장편소설에서는 가시적이며 사적(私的)인 방식으로 발생하는 개인적 폭력과, 작품 속 인물 행동의 근거가 되며 당대에 내재하고 있었다고 여겨지는 구조적 폭력, 이 모든 것을 합리화하는 문화적 폭력이 중층적으로 작용한다. 여기에서는 이와 같은 폭력의 다층적 양상을 작품 속 구체적인 예를 통해 고찰하였다. 제Ⅲ장에서는 <소현성록>, <유효공선행록>, <보은기우록> 및 <명주보월빙>에 나타나는 폭력의 형상과 그 의미에 대해 고찰하였다. <소현성록>에서는 양부인, 소현성, 소운성, 소운명 등 가부장 또는 장차 가부장이 될 주인공들이 등장하여 제가(齊家)의 도구로 폭력을 사용한다. 그리하여 폭력의 원인이나 결과에 대한 관심이나 문제의식은 차단되고, 가부장의 폭력은 서술자와 주변인물의 발화를 통해서 정당화된다. <소현성록>은 폭력의 수단적 가치에 대해 인정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작품 속에서 폭력에 대한 정당화가 거듭될수록, 그 행위의 정당성에 의심이 생겨나는 역설이 발생한다. 이는 궁극적으로 폭력의 수단적 가치를 인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진실을 드러내는 측면이라고 보았다. <유효공선행록>과 <보은기우록>에서는 폭력적인 인간을 등장시키고 이를 본격적으로 문제 삼고 있다. 특히 폭력의 책임 소재를 찾고 화합하는 결말에 관심을 두고 있다. 이는 폭력에 대한 반성적 시각을 보이는 것으로, <소현성록>과 구별된다. <유효공선행록>에서는 부친 유정경이 유연을 향한 직접적 폭력의 가해자로 등장하지만, 작품은 지속적으로 유홍의 성격적 결함이 그 원천에 놓여있음을 강조한다. <유효공선행록>은 폭력의 책임을 유홍의 성격적 결함에서 찾고 있는 것이다. 다만 유홍의 거짓말로부터 시작된 유정경의 폭력이 가내의 여러 인물들을 향한 폭력으로 재생산되는 과정을 핍진하게 그리면서도, 이때 중요한 원인이 되고 있는 유연의 태도와 대응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문제제기를 하지 않는다. 사태의 원인을 유홍에게 전가시키면서도 유정경과 유연의 관계 회복에만 관심을 두는 결말은, 폭력의 참상에 대한 진정한 탐구와 반성을 불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작품의 결말에 제시되는 화합이 실은 공허한 것임을 드러내는 역설로 이어졌다고 보았다. <보은기우록>은 부친의 폭력을 감내하는 주인공이 등장한다는 점에서 <유효공선행록>과 매우 유사하다. 다만 위연청은 부친에게 일방적으로 순응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뜻을 굽히지 않고 적극적으로 대응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작품은 위지덕과 위연청이 스스로 옳다고 믿는 삶의 태도와 가치관을 피력하는 과정에서 폭력이 발생하는 과정을 그려낸다. 이렇듯 <보은기우록>에서는 폭력의 책임을 위지덕에게만 전가시키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직접적인 폭력의 가해자로서 그의 반성에 진지한 관심을 두고 있는 점이 주목된다. 특히 ‘꿈’이라는 환상적 장치를 사용하되, 그 안에서 위지덕으로 하여금 고통을 경험하게 하는 점, 이로써 회과를 이끌어내고 있는 점은 <유효공선행록>과 대조적이라고 보았다. <보은기우록>은 꿈을 통해 폭력을 추방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명주보월빙>에서는 충동적인 폭력의 주체가 각자의 불행에 힘입어 결탁해나가는 과정을 자세히 형상화한다. <명주보월빙>에서는 욕망의 결탁의 결과로서 폭력을 그리고 있는 것이다. 다만 그 결탁이 매우 충동적인만큼 취약한 기반 위에서 이루어졌음을 동시에 보여주기도 한다. <명주보월빙>에서는 폭력의 주체들이 지속적으로 세력을 늘려나가면서, 피해자를 향한 폭력의 수위 또한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형상화해서 보여준다. 따라서 피해자들은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폭력에 희생되어 일상과 삶 전체를 말살당하는 지경에 이르게 된다. 이와 같은 점에서 <명주보월빙>은 폭력적 인간의 회과나 그와의 화해보다는, 그것이 지닌 잔혹성 자체에 관심을 두고 있다고 보았다. 제Ⅵ장에서는 폭력 서사가 독자의 몰입을 유도하고 흥미를 제고시키기 위해 공통적으로 취하고 있는 서사 전략에 대해 탐구하였다. 제1절에서는 한글장편소설의 폭력 서사가 폭력을 개인의 문제로 축소시키고, 이로써 독자들로 하여금 폭력의 주체와 대상 모두에게 거리를 두게 하는 전략에 대해 살폈다. 폭력 서사에서 여성 폭력 주체는 폭력을 기계적으로 재생산하며 과잉된 형태로 표출하는 것은 물론이고, 약자에게 폭력을 ‘전이’시키는 것으로 그려진다는 점에서, ‘병증’에 걸린 존재로 그려지고 있다고 보았다. 또한 분노에 절어있거나 감정을 주체하지 못하는 모습이 괴물이나 미치광이와 흡사하게 그려지는데, 자극적인 이들의 모습에서 독자는 거부감과 매혹을 동시에 느낄 것이라고 보았다. 폭력 서사가 이와 같은 여성을 집중 조명하는 과정은, 여성의 폭력이 실은 구조와 사회, 집단, 혹은 그들에 의한 소외와 배제 등의 문제와 연루되어 있음을 망각하게 하고, 흥미의 대상으로 전락시키기 위한 전략이라고 보았다. 이어서 폭력 서사가 폭력으로 인해 망가진 인간의 신체를 서사에 전면화하는 현상에 대해 살폈다. 폭력의 피해자는 피가 낭자하고 뼈가 드러난 채로, 혹은 머리가 깨어지거나 얼굴이 으깨어진 채로, 심한 경우에는 주검이나 육괴에 가까운 형상으로 서사의 전면에 드러난다. 이때 처참하게 훼손된 등장인물의 신체는 독자에게 온전한 신체를 상기시키도록 하면서 만족감과 우월감을 제공하여 독서를 지속하게 할 것이라고 보았다. 폭력 서사가 망가진 신체에 대한 자극적인 묘사에 집중할수록, 작품 속 폭력의 경험을 특수하고 비정상적인 개인의 문제로 축소시키는 한편, 참혹하게 변해버린 신체가 사실은 부당하게 가해진 폭력의 결과이거나 구조와 사회에 의해 조장된 결과일 수 있다는 자각을 방해할 것이라고 보았다. 제2절에서는 폭력 서사가 웃음과 화합하는 결말을 통해 독자로 하여금 등장인물들이 겪는 불행을 망각하게 하는 과정에 대해 살폈다. 폭력 사태에 직접 가담하지 않았던 주변인물들이 과거의 폭력 사건을 농담으로 재담론화하는 현상이 일부 확인되는데, 이는 폭력의 순간들을 웃음과 뒤섞어 연출하면서 그 문제적 성격을 반감시킨다고 보았다. 한편 작품에서 반복적으로 암시되는 행복한 결말은 독자들로 하여금 작품 속 폭력이 만들어낸 비극에 온전하게 감정이입하는 것을 차단하게 하고, 이를 통해 작품 속 참상과 불행을 타자화하는 결과로 이어졌을 것이라고 보았다. 제3절에서는 한글장편소설 속 폭력 서사가 현실 반영을 통해 독자들의 몰입감을 제고시키는 측면에 대해 다루었다. 특히 강력한 폭력의 담지자로 등장하는 가부장이 분노에 매우 취약하거나, 가중사에 무관심하거나 심지어 어리석은 인물로 그려진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또한 가부장이 폭력을 ‘연좌’의 형태로 자행하고 폭력성을 과시하는 면모가 부각되기도 하는데, 폭력 서사는 이와 같은 부정적인 가부장의 형상을 묘사하면서 여성 독자들에게 위안을 제공했을 것이라고 보았다. 이어서 폭력이 발생할 때, 제삼자들이 개입하여 폭력 사태를 중지시키거나 가해자를 향해 설득의 말을 하는 장면들이 보인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제삼자들이 보이는 연대나 저항은 매우 미약한 수준이며, 실질적인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가 더 많지만, 피해자들이 끝내 방치되지는 않으리라는 전망을 보여주면서 독자들에게 위로와 안도감을 제공했을 것이라고 보았다. 이상의 전략을 통해 폭력 서사는 독자로 하여금 작품 속 폭력이 형상화하는 여러 문제들에 거리를 두게 하고, 작품 속 폭력의 주체와 대상들을 모두 타자화하도록 통제해 왔다고 보았다. 이와 같은 점에서 폭력 서사는 향유자들을 폭력에 안주하게 만들었다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제Ⅴ장에서는 한글장편소설 폭력 서사의 소설사적 의의를 고찰하였다. 먼저 가정 내에서 일어나는 폭력의 문제를 다룬다는 점에서 단편 가정소설을 함께 논의할 수 있다고 보고, <장화홍련전>, <김인향전> 등과 비교를 진행하였다. 특히 가부장의 형상과 피해자의 태도를 중심으로 한글장편소설이 폭력의 근원에 대해 은폐하고 있는 점에 대해 살폈다. 이어서, 한글장편소설 형성기의 작품인 <구운몽>, <사씨남정기>, <창선감의록> 등과의 비교를 통해, 폭력 서사의 통시적 변화를 고찰하고자 했다. 특히 <소현성록> 이후 한글장편소설의 폭력 서사가 확대되며, 여성인물들이 부각되는 점에 대해 살폈다. 더불어 이전 시기 작품들에서 볼 수 없는 폭력에 대한 다채로운 묘사, 풍부하고 핍진한 인물의 부정적인 내면에 대한 묘사, 망가진 인간의 정신과 신체에 대한 관심이 폭력 서사를 통해 성취되었다고 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