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Fine Structural Approach of Granular Gland Regeneration after Skin Injury in Bombina orientalis

        정문진,임도선,문명진,Jeong, Moon-Jin,Lim, Do-Seon,Moon, Myung-Jin Korean Society of Electron Microscopy 2002 Applied microscopy Vol.32 No.3

        두꺼비 등 피부손상 후 과립선의 재생과정을 주사전자현미경과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절개에 의하여 피부손상을 가한 후 실험을 위하여 특수히 제작된 cage 내에서 최대 20일간 사육하였다. 투과전자현미경 관찰에서 손상 4일 후 미성숙 형태의 신생 과립선이 관찰되었으며, 상피세포는 신생 과립선의 첨단부로 이동하여 있었다. 상피세포의 표면은 편평하였으며 desmosome 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았다. 미토콘드리아를 많이 함유한 세포돌기 (MRC)들이 선의 내강을 형성하고 있었고, 이들 돌기에서는 hemidesmosome이 관찰되었다. 신생선의 기저강은 MRC, 과립형성전세포 및 과립형성 세포 등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특히, 손상 후 10일에 xanthophore가 상피세포의 기저부로 이동하여 있음이 관찰되었다. 이들 세포는 다수의 크기가 큰 pterinosome 과 중등도의 전자밀도를 가진 carotenoid vesicle을 포함하고 있었다. 손상 후 13일에, xanthophore는 많은 carotinoid vesicle과 lammelated pterinosomes을 포함하고 있었다. Iridophore는 손상 16일에 분화중인 xanthophore 주변에서 관찰되었다. 이러한 소견은 손상으로부터의 회복 과정에 선조세포(glandular precursor cell)로부터 과립선이 재생되며, 선세포의 팽대는 이들 신생 세포의 성숙 및 증식에 의한 것을 의미한다. Granular gland regeneration in the toad after dorsal skin wound histologically was examined using scanning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After cutaneous wounds were induced by excision, animals were maintained in special cages for up to 20 days. I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newly formed granular gland, though poorly developed, was seen on 4 day after injury. Epithelial cells moved toward apical region of newly formed gland. The cells had smooth surface and were not connected to other cells by desmosomes. Mitochondria rich cell (MRC) possessing long cytoplasmic processes formed a gland cavity and hemidesmosomes were found under the cell processes. Basal cavity of newly formed gland consisted of MRC, pro-granular producing cells (pGPC), and granular producing cell (GPC). Moreover it was observed that xanthophores moved to the base of the epithelial tissue on 10 day after the injury. These cells contained numerous pterinosomes and carotenoid vesicles. Immature pterinosomes were large and carotenoid vesicles were moderately electron dense. On 13 day after the injury, xanthophores contained abundant carotinoid vesicles and lammelated pterinosomes. Iridophores were also observed adjacent the developing xanthophores on 16 day post-injury. These observations indicated that regeneration of granular gland from glandular precursor cells during wound healing and subsequent expansion of the glandular cells might be dependent on maturation and proliferation of these newly formed cells.

      • KCI등재

        자라 위 및 십이지장 내분비세포에 관한 전자현미경적 연구

        전창진,이재현,이창헌,Jeon, Chang-Jin,Lee, Jae-Hyun,Lee, Chang-Eon Korean Society of Electron Microscopy 1986 Applied microscopy Vol.16 No.2

        자라의 위 및 십이지장에 출현하는 내분비세포의 형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전자현미경으로 관찰을 행하였던 바, 과립의 크기, 형태, 전자밀도 및 세포의 형태 등에 의해 다음과 같이 6종의 세포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I형 : 직경 $100{\sim}430nm$(평균 290nm)로서 전자밀도가 낮고 많은 수의 다양한 형태의 과립을 가진 것. II형 : 직경 $190{\sim}430nm$(평균 280nm)로서 높은 전자밀도를 나타내며 다양한 형태의 과립을 가진 것, III형 : 직경 $170{\sim}650nm$(평균 430nm)로서 전자밀도가 높고 과립막과 내용물 사이에 넓은 halo를 형성하는 과립을 가진 것. IV형 : 직경 $140{\sim}370nm$(평균 240nm)로서 전자밀도가 대체로 낮고 과립막과 내용물이 밀착된 과립을 가진 깃. V형 : 직경 $300{\sim}600nm$(평균 410nm)로서 전자밀도는 낮거나 중등도이며, 과립은 곽립막과 내용물 사이에 명확한 halo를 형성하고, 세포질내 미세섬유를 가지는 것. VI형 : 직경 $100{\sim}220nm$(평균 160nm)로서 대체로 소형의 과립을 가지며, 전자밀도는 다양하고 과립은 과립막과 내용물 사이에 halo를 형성하는 것, 밀착된 것 또는 내용물이 결정구조를 나타내는 것 등으로 다양하며 세포질내 풍부한 미세섬유를 가지는 것. The endocrine cells of the stomach and duodenum of the pond tortoise (Amyda sinensis) have been studied by electron microscopy. At least six types of endocrine cells could be identified in these regions. Type I cells were characterized by having pleomorphic or medium sized granules ($100{\sim}430nm$ in diameter, mean; 290 nm) which were moderate in electron density. Type II cells were characterized by having pleomorphic or medium sized granules ($190{\sim}430nm$ in diameter, mean; 280 nm) which were high in electron density. Type III cells were characterized by having large oval or irregular granules($170{\sim}650nm$, mean: 430 nm) with wide vesicular halo which were high in electron density. Type IV cells were characterized by having round or medium sized granules($140{\sim}370nm$, mean; 240 nm) which were low to moderate in electron density and showed a very thin halo. Type V cells were characterized by having large round or oval granules($300{\sim}600nm$, mean; 410 nm) which were low to moderate in electron density and showed a dense core and a wide clear halo. Microfilaments were also found in the cytoplasm. Type VI cells were characterized by having round and small granules($100{\sim}220nm$, mean; 160 nm) which were low to moderate in electron density and showed a very thin halo or crystalline structure of the contents. Many microfilament bundles were also found in the cytoplasm.

      • KCI등재

        Electron Microscopic Study on Detoxication Effect of Red Ginseng Extract on Mouse Liver Injury induced by Methyl Mercury

        정희원,Chung, Hee-Won Korean Society of Electron Microscopy 1987 Applied microscopy Vol.17 No.1

        생쥐 간세포(肝細胞)의 미세구조(微細構造)에 미치는 메틸수은(水銀)의 독성적(毒性的) 영향(影響)과 이에 대한 홍삼(紅蔘) 추출물(抽出物)의 해독효과를 전자현미경적(電子顯微鏡的)으로 연구하였다. 대조군(對照群)의 간세포(肝細胞)에 비하여 메틸수은(水銀)만을 투여(投與)한 군(群)에서는 핵(核)의 일부가 붕괴(崩壞)되고, mitochondria의 팽대(膨大), cristae의 수축(收縮) 내지 손실(損失) 및 다수의 대형 강포(腔胞)의 출현(出現)이 일어나고 glycogen의 양(量)이 감소되었다. 메틸수은(水銀)과 홍삼(紅蔘) 추출물(抽出物)을 병행(倂行) 투여(投與)한 군(群)에서는 메틸수은(水銀)만을 투여(投與)한 군(群)에서보다 mitochondria의 팽대(膨大) 정도(程度)가 적고 강포(腔胞)의 크기와 수가 감소되었으며 정상(正常) 세포(細胞)와 비슷한 상태로 나타났다. Detoxication effect of red ginseng extract against toxicity of methly mercury on ultrastructure of mouse liver was studied by electron microscopy. The hepatocyte of methyl mercury treatment group showed partial rupture of nucleus, mitochondrial swelling, decrease of glycogen content, and appearance of a great number of large vacuoles. While, the hepatocyte of methyl mercury-red ginseng extract treatment group showed slight mitochondrial swelling and decrease of vacuoles in size and number than those of methyl mercury treatment group.

      • KCI등재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Study on the Sinusoidal Fenestrations in the Hepatic Lobule of Normal Rat

        고성은,신영철,Koh, Seong-Eun,Shin, Young-Chul Korean Society of Electron Microscopy 1995 Applied microscopy Vol.25 No.4

        간소엽에 있는 동모양혈관내피창은 혈관과 간세포사이의 물질교환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위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 내피창에 관해서는 아직도 검토되어야 할 문제가 많이 남아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동모양혈관내피창 중 특히 큰창의 실재 여부와 창의 소엽내 분포상을 관찰하고 창의 크기와 분포상을 기초로 하여 내피창의 유형과 분포상을 재검토하고자 하였다. 실험동물은 식이조건을 일정하게 하기 위하여 최종 식이 투여 3시간 후에 관류고정하였으며 식에 따라 제작된 모든 조직표본은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동모양혈관의 내면에서 여러가지 크기의 내피창이 관찰되었는데 이들은 작은창, 중간창 및 큰창의 3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작은 창은 낱개로 나타나거나 여러 개가 모여서 나타났으며 중간창은 낱개로 또는 작은창에 섞여서 나타났다. 큰 창도 낱개로 나타나거나 작은창과 중간창에 둘러싸여 나타났다. 특히 중간창은 소엽의 중심대에 많이 분포하는 경향이 있어 새로운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큰창은 다른 유형의 창과 마찬가지로 그 윤곽이 평탄하였으며 세포질에 의해 분할된 상도 관찰되었으나 파열된 상은 찾아 볼 수 없었기 때문에 인공산물이 아닐 것으로 추정하였다. 소엽은 창의 분포에 따라 주변대, 중간대 및 중심대로 구분되었다. 주변대에서는 작은창만이 보이는 동모양혈관이 많이 관찰되었다. 중심대에서는 중간창과 작은창이 보이는 동모양혈관이 많이 관찰되었다. 중간대에서는 큰창과 중간창 및 작은창이 다 같이 보이는 동모양혈관이 많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소견으로 미루어 동모양혈관내피창은 소엽의 주변대에서 중간대로 가면서 점차적으로 커지다가 중간대에서 중심대로 가면서 작아지는 경향을 보이지만 중심대의 창은 주변대의 것에 비하면 큰 편이다. Rat liver sinusoids were observ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he sinusoids were provided with fenestrations which were divided into three types; small, medium-sized and large. The small fenestrations were usually gathered into clusters. The medium-sized fenestrations were either individually organized or in the cluster of small fenestrations. The large fenestrations were usually accompanied by small or medium-sized fenestrations. The lobule was divided into three zones; peripheral, intermediate and central,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pattern of the fenestrations. The sinusoid providing with small fenestrations (type I) were predominant in the peripheral zone. The sinusoid showing medium-sized fenestrations (type II) were frequently observed in the central zone. The sinusoid having large fenestrations (type III) were abundant in the intermediate zone. This evidence indicate that the sinusoidal fenestrations become larger toward the intermediate zone from the peripheral zone of the lobule and progressively smaller toward the central zone. However, the fenestrations observed in the central zone seem to be larger than those seen in the peripheral zone of the lobule.

      • KCI등재

        Histological Examination of Tissue Isolated from Fascia with a View of Meridian System

        김동희,등영건,장병수,정한석,김단,권기록,이규재,Kim, Dong-Heui,Deung, Young-Kun,Chang, Byung-Soo,Jung, Han-Suk,Jin, Dan,Kwon, Ki-Rok,Lee, Kyu-Jae Korean Society of Electron Microscopy 2006 Applied microscopy Vol.36 No.3

        동양의학 이론의 주요 관심사인 경락의 연구에 있어 생체 내 신호전달 체계와 해부학적 실체에 대한 단서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1960년대 이루어졌던 봉한학설의 이론과 문헌을 근거로 하여 토끼의 복막에 존재하는 봉한관으로 생각되는 반투명의 회백색의 탄성이 있는 섬유상 구조물을 분리하여 조직학적으로 관찰하였다. 각 조직 샘플은 봉한관 확인을 위하여 hematoxylin eosin과 Masson's trichrome 염색, 교원섬유는 Van Gieson's 염색, 신경은 Kluver Barrera's luxol fast blul 염색을 하여 비교함으로써 구성성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광학현미경상에서 관찰된 조직들은 교원섬유와 신경으로 구성된 집합체였으며 다발의 형태를 이루고 있었고, 여러 개의 myoid spindle형태의 세포들이 종으로 배열되어 있었다. 이러한 세포들은 신경의 슈반세포이며 봉한관의 myoid형태의 세포들과 같은 소견이었다. 같은 부위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잘 배열된 교원섬유와 신경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신경다발 사이로 교원섬유가 둘러싸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복막에 존재하는 봉한관은 교원섬유와 어우러진 신경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신경과 어우러져 존재하는 교원섬유의 절연성과, 침의 치료에 있어 교원섬유가 주위의 신경과의 신호전달 체계에 영향을 미치는 점을 고려하여 볼 때 교원섬유와 신경 그리고 혈관의 유기적인 관계 속에서 교원섬유의 새로운 역할 규명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threadlike structures of fascia were examined by tight and electron microscopy. In order to distinguish its tissue organization, we used staining methods including hematoxylin-eosin, Masson's trichrome, Van Gieson's collagen fiber stain and Kluver-Barrera's luxol fast blue for nerve stain. Under the light microscope, the threadlike structures were composed of many collagen fibers and nerve. In higher magnification, they looked like as the bundle of tubular structures. Many myoid cell-spindle nuclei were observed in the tissue, which were taken from the fascia. It was identical with Bonghan duct known as one of meridian network theory. In the early 1960's the North Korean Bong-Han Kim showed the anatomical structures of the acupuncture points, and explained the meridian system as the concrete duct network system. According to Bonghan theory the Bonghan ducts spread throughout the body Because it is believed that the duct could have the role of signal pathway, the theory was reinvestigated in these days. All of the threadlike structures isolated from fascia shows the abundance of collagen fibers. The electron microscope examination (TEM) could confirm the well arranged collagen fiber and nerve. This investigation reveals that superficial Bohghan duct are nerve fiber parallel running with collagen fibers. We conjectured that the intermingled structure of collagen fiber, blood vessel and nerve fiber might have the role of meridian system. And the more, regardless of histological research, the study on collagen fiber as response transmitter in acupuncture treatment are in need.

      • KCI등재

        Mechanisms of proton secretion by carbonic anhydrase-containing cells in turtle bladder

        전진석,Jeon, Jin-Seok Korean Society of Electron Microscopy 1992 Applied microscopy Vol.22 No.2

        Turtle bladder 상피세포(上皮細胞)의 수송기작(輸送機作)을 in vitro에서 효과적으로 연구하기 위하여 Lucite chamber 한가운데 상피조직을 두고 전압고정법(電壓固定法)을 적용하여 상피 세포층의 막전위(膜電位)를 측정한 후 급속 동결(凍結)하고 투과 및 주사형 전자현미경(電子顯微鏡)으로 탄산 탈수효소를 함유하는 세포의 표면막 특성을 분석(分析)하였다. 방광(膀胱)의 점막층(粘膜層)은 두 타입의 탄산탈수효소를 함유한 세포가 특징적인데 정단부(丁端部)와 기저부(基底部) 세포막에서는 각기 다른 수송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즉 ${\alpha}$ 및 ${\beta}$형 탄산탈수효소가 풍부한 세포는 정단세포막(丁端細胞膜)의 proton 펌프를 이용하여 $H^+$ 분필(分泌)에 관여하거나 bicarbonate의 재흡수(再吸收)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믿어진다. 본 연구에서 탄산탈수효소를 함유한 ${\alpha}$형의 세포의 proton 분필수송(分泌輸送)과 세포막 투과성 변화와의 상관관계를 관찰하였는 바, 이들 세포에서 $H^+$을 분비하는 과정에서 정단부의 표면세포막(表面細胞膜) P-face에는 특이한 구조로서 세포막내(細胞膜內) 입자(粒子)들이 다량으로 분포하였다. 이와같은 세포막내(細胞膜內) 입자(粒子)들은 proton 펌프를 함유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beta}$형의 세포에서는 기저세포막(基底細胞膜)에서 관찰되고 있다. 이와같은 결과는 방광상피(膀胱上皮) 세포내 탄산탈수효소는 $H^+$과 $HCO_{3}^{-}$의 생성에 관여하지만, 특히 ${\alpha}$형 세포에서 정단세포막의 proton 펌프를 이용한 $H^{+}$ 분필수송(分泌輸送)과 기저세포막을 통한 bicarbonate의 재흡수(再吸收) 기능을 설명해 주는 중요한 사실로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H^+$ transport mechanism by observing the properties of cellular membrane having an ${\alpha}$ type of carbonic anhydrase (CA)-containing cells in turtle urinary bladder. The urinary bladder consists of a heterogenous population of cells. As a result of fine observation with traditional thin-section electron microscopy. the bladder epithelium has three different cell types on mucosal surface. They are a basal cell, a granular cell and a third type of CA-rich cell. The CA-rich cells are divided into two distinct smaller groups within them and called them ${\alpha}$ type and ${\beta}$ type of CA cells. The ${\alpha}$ type of CA cells are responsible for the proton secretion using the proton pumps on the apical plasma membrane, while the ${\beta}$ type of CA cells secrete bicarbonate via an oppositely-directed proton pumps in their basolateral plasma membrane. After performing the freeze-fracture technique, it was shown that there were distributed a large number of intramembranous particles having a special structure on the apical membrane of ${\alpha}$ type of CA-rich cells in the process of their $H^+$ secretion. In turtle bladder ${\alpha}$ type of CA-rich cells, this particle was the only prominent structure in the apical membrane. These intramembrane rod-shaped particles probably represent the integral membrane components of the proton pump. This result may explain that carbonic anhydrase within epithelial cell of urinary bladder takes part in formation of $H^+$ and bicarbonate, that active transport of $H^+$ is done, and that the reabsorption of bicarbonate suggests transport mechanism containing $H^+$ secretion. However, it seems that more studies are required for considering their regular transport pathway.

      • KCI등재

        Electron Microscopic Visualization of Dendrolimus spectabilis Midgut Cells infected by D. spectabilis Nuclear Polyhedrosis Virus

        이형환,이근광,이민웅,Lee, Hyung-Hoan,Lee, Keun-Kwang,Lee, Min-Woong Korean Society of Electron Microscopy 1991 Applied microscopy Vol.21 No.1

        Dendrolimus spectabilis nuclear polyhedrosis virus(DsNPV)에 감염되어 죽은 솔나방(D. spectabilis)유충의 중장세포를 전자현미경(TEM)으로 관찰하였다. 감염된 중장세포의 핵에서 DsNPV는 복제하였으며, DsNPV의 virogentic stroma가 핵속에 나타났고, nucleocapsid도 형성되었다. 또한 NPV의 polyhedra형성을 핵에서 관찰했다. Midgut cells of the dead Dendrolimus spectabilis larvae by infection of D. spectabilis nuclear polyhedrosis virus (DsNPV) were observed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DsNPV replicated in the nucleus of the infected midgut cells and the virogenic stroma of DsNPV appeared in the nucleus, from which nucleocapsids were formed. Also the formation of polyhedral inclusion bodies were observed in the nucleus.

      • KCI등재

        자루이형흡충(Stictodora fuscatum)의 표면 미세구조

        손운목,Sohn, Woon-Mok Korean Society of Electron Microscopy 2000 Applied microscopy Vol.30 No.2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observe the surface ultrastructures of Stictadora furcatum (Trematoda: Heterophyidae). Adult worms were recovered from the cat experimentally infected with metacercariae, and were prepared for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he body was leaf-like and ventrally concave. The oral sucker armed with prominent tegumental spines on the inner surface, and it's lips were obscure. Sensory papillae (type I) in single or grouped forms symmetrically arranged around the oral sucker. The ventrogenital opening retained protruding gonotyl spines and sperms discharged from the genital pore . The body surface was covered with scale-like multipointed tegumental spines. The density and digitated point of spines were gradually decreased toward the posterior end of the body. The digitated points of spines on the anterior portion were 9-12, on the middle were 7-8 and 5-6, and on the posterior were 2-3 and peg-like. Although the tegumental ultrastructure of S. fuscatum was generally similar to those of other heterophyid flukes , the oral sucker with tegumental spines on the inner surface and without obvious lips, and the ventrogenital opening with protruding gonotyl spines were suggested to be the characteristic features.

      • KCI등재

        Microbial Colonization of the Aquatic Duckweed, Spirodela polyrhiza, during Development

        김인선,Kim, In-Sun Korean Society of Electron Microscopy 2004 Applied microscopy Vol.34 No.2

        수생식물 개구리밥(Spirodela polyrhiza)의 식물체 발달 과정에서 나타나는 미생물과의 상호관계를 주사전자현미경 및 세포학적으로 추적하여 연구하였다. 개구리밥은 부유성 식물로 분화 발달 초기부터 잠수부위에 여러 종류의 박테리아, 남조류, 규조류 등이 서식하였다. 미분화된 어린 식물체에는 성숙 발달한 식물체에 비해 미생물들이 낮은 빈도로 출현하였고, 성숙한 식물체에서는 특히 엽상체 하피에 가장 많은 미생물들이 서식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점액성 물질이 층을 이루는 근관에 많이 관찰되었다. 반면, 신장 발달 중의 뿌리에는 일반적인 분포를 보였으며, 상피에는 미생물이 거의 분포하지 않는 양상을 보였다. 이들 미생물이 개구리밥 조직 내에 침입하여 식물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조사하기 위해 엽상체, 연결사, 뿌리, 근관, 무성생식낭 등의 구조를 세포학적으로 추적한 결과, 어느 부위에서도 조직 내로 미생물이 침입하여 세포를 괴사시키거나 감염시키는 일은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개구리밥 식물체의 발달과정에 있어 미생물들은 어떠한 해를 주지 않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개구리밥에 서식하는 미생물의 질소고정치를 측정하여 그 기능을 식물체의 세포학적 측면과 접목시켜 연구하면 개구리밥과 미생물과의 상호관계가 공생적인지를 더 확실하게 밝힐 수 있을 것이다. Fresh specimens of the aquatic macrophyte, Spirodela polyrhiza, have been examined employing scanning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Observations revealed the occurrence of microbial colonization during development. Submerged parts of the small, free-floating S. polyrhiza body exhibited a variety of microorganisms such as bacteria, cyanobacteria, and diatoms throughout their development. However, immature and/or young plants normally demonstrated much less microbial colonization compared to mature plants. During the study, heavy colonization by the microorganisms was routinely encountered at maturity, especially in the fully developed abaxial fronds and root caps. The mucilaginous layer was shown along the root caps, and the microorganisms appeared to be either clustered or attached to this layer. In contrast, only moderate degrees of colonization were observed in the root, and little to no colonization was observable in the adaxial frond surface.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clearly demonstrated the microbial colonization to be external in the S. polyrhiza specimen examined in the current study. The association between the microorganisms and S. polyrhiza has been considered non-harmful, as no frond senescence and almost no mechanical penetration of the plant by the microorganisms were noticed during the study.

      • KCI등재

        Spermatozoal Ultrastructure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the Subfamily Gobioninae (Cyprinidae, Teleostei) 1. Ultrastructure of the Spermatozoa of the Korean Slender Gudgeon Squalidus gracilis majimae

        이영환,김구환,Lee, Young-Hwan,Kim, Kgu-Hwan Korean Society of Electron Microscopy 1998 Applied microscopy Vol.28 No.1

        The spermatozoon of Squalidus gracilis majimae is approximately $36.6{\mu}m$ in length and is characterized by a spherical nucleils with the clear chromatin, a short midpiece containing the mitochondria, and a flagellum positioned tangentially to the nucleus. An acrosome is absent as in all teleost fishes. The nucleus is about $1.9{\mu}m$ in diameter and in its periphery contains the electron-lucent chromatin distinguished from the electron-dense chromatin occupying most of the nucleus. The shallow nuclear fossa contains the proximal centriole, instead of two centrioles in deep nuclear fossa in siluroids. The proximal and distal centrioles are oriented approximately $140^{\circ}$ to each other. The mitochondria of 10 or more in number are arranged in three layers and do not surround the axoneme. The asymmetrical distribution of the mitochondria and the eccentrical position of the nucleus with regard to the tail are the general pattern of the cyprinid spermatozoa. S. gracilis majimae spermatozoa have the most mitochondria and the deepest cytoplasmic canal among cyprinid species. The flagellum lacks the lateral fins. 모샘치아과의 한국고유종인 긴몰개 (Squalidus gracilis majimae)의 정자는 구형의 두부와 짧은 중편 및 긴 편모를 가지고 있으며 그 길이는 $36.6{\mu}m$이었다. 두부에는 다른 경골어류에서와 같이 첨체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핵은 $1.9{\mu}m$의 직경을 가지고 핵막 주변부에는 전자밀도가 낮은 염색질 부위를 포함하고 있었다. 핵와는 다른 잉어류에서와 같이 핵막이 얕게 함입되어 기부중심립만을 포함하고 있어서, 메기류의 기부 및 말단부 중심립을 포함하는 긴 핵와와는 큰 차이를 보여주었다. 두 중심립은 서로 약 $140^{\circ}$의 각도로 배열되어 있었다. 미토콘드리아는 중편세포질에 3층으로 배열되어 있으나 축사를 둘러싸고 있지 않으며 축사와는 세포질관에 의해 분리되어 있었다. 정자의 꼬리에 대한 핵의 위치와 미토콘드리아의 비대칭적 배열은 잉어과 정자의 공통된 특징으로 나타나며, 미토콘드리아가 분포된 중편세포질은 다른 잉어류에서보다 훨씬 풍부하였다. 긴몰개의 정자는 현재까지 밝혀진 잉어과의 정자중에서 세포질관의 길이가 가장 길고, 미토콘드리아의 수도 가장 많이 나타났다. 편모에는 lateral fins가 관찰되지 않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