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Faith and identity formation : a theological and a psychological perspective

        이정기 The Chicago Theological Seminary 1998 해외박사

        RANK : 232991

        신앙은 인간의 의미탐구의 한 과정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것은 종교가 영적 실존을 위한한 "기능"이 아니라, 영적실존의 "깊이"를 추구하는 것으로 해석하는 신학자 틸리히의 입장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그러므로 신앙의 추구는 깊이있는 영적 자아형성 과정에 다름 아니다. 여기, 신앙과 정체성 형성이 그 궤를 같이하고 있음을 발견한다. 왜냐하면, 정체성 형성과정은 에릭슨이 해석하고 있듯이, "나는 누구인가?"를 질문하고, 생명주기 과정을 통하여 "자아-개념"을 형성해 가므로, 끝내는 인간의 존재이유를 추적하는 한 과정이기 때문이다. 단지, 전자가 철학적, 신학적 접근을 통하여 그 목적을 추구하려 하고, 후자는 사회심리학적 접근을 통하여 그 과정과 방법론을 찾으려는 노력의 차이가 있을 뿐이다. 본 논문은 신학자 틸리히의 신학적, 실존적 인간이해와 에릭슨의 사회 심리학적 정체성 형성 이해를 틸리히가 제시한 "상호연결의 방법"을 적용하여, 인간경험의 공통적 영역을 구조적으로 수렴하고, 한국문화라는 토양 위에 그 영적 뿌리를 두고 있는 한국인의 신학적 정체성 형성을 위한 구체적 방법론을 찾기 위하여 신학적 실존을 위한 역동적 윤곽을 창조적으로 구성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틸리히에게 있어서, 인간실존은 자아-실현과정이다. 즉, 실존은 가능성, 현실성, 그리고 실존적 조건들에 대한 깨달음을 의미하며, 그 가능성이 현실성으로 전환하는 본질화과정이다. 그것은 자아-세계의 상호연결의 관계에서 출발한다. 자아는 세계와의 상호연결의 관계 구조 속에서, 개체화와 참여, 역동성과 형태, 그리고 자유와 운명의 양극성의 긴장 속에서, 자아-통전, 자아-창조, 그리고 자아-초월 이라는 생명과정을 통하여 본질적 자아로의 본질화를 지향한다. 신앙은 이들 연속성과 상대성의 역동적 과정 속에서 인간 실존으로 하여금 다차원적 전체로서의 중심구조 형태를 형성케 하는 용기이다. 에릭슨은 인격을 후성설에 근거한 태생학적 모델 뿐만 아니라, "침투하는 현실"로의 환경 모델에 근거하는 유기체적 전체로 본다. 자아는 그 두 모델을 근거로하여 생명주기 과정 속에서 종합, 균형, 그리고 중재의 과정을 겪으면서 통전적 중심화 과정을 통하여 유기체적 전체로 형성되어 간다. 정체성은 그 태생학적 모델-환경 모델의 두 관계구조 구조 속에서 자아가 인격을 통전해 가는 과정을 통하여, 자아가 갖고 있는 능력이 타자를 향하여(상대성) 동일성과 연속성을 가지므로 축적되어가는 확신이다. 틸리히의 관점에서 신앙은 통전적 중심화 과정 행위이다. 에릭슨의 입장에서 견고한 정체성은 통전적 중심화 과정을 통하여 형성되어 간다. 그 두 다른 관점을 상호 관계적 관점에서 수렴하면, 신앙은 견고하게 형성된 정체성이며, 신앙형성 과정은 구조적으로 정체성 형성과 그 유형을 같이한다. 여기, 신앙을 신학적 실존의 견고한 정체성 형성으로 해석하고, 신학과 심리학의 학문상호간 연구의 입장에서 그 과정과 방법론을 제시할 수 있다고 보며, 또한 하여야 한다고 본다.

      • DeCoNSTRuCTioN? ReCoNSTRuCTioN? : Radical Changes in Isaiah 40-55

        김창주 Chicago Theological Seminary 2001 국내박사

        RANK : 232975

        Isaiah 40-55 shows that the concept of "suffering" changed drastically during exile. What was Deutero-Isaiah's contribution to the change? Before Deutero-Isaiah, the place of suffering within biblical theology was largely understood in terms of retributive theory. Suffering as the result of sin received a negative connotation. For Deutero-Isaiah, however, suffering is considered a part of Yhwh's redemptive work (Isa. 45:7). The notion of suffering, especially innocent suffering, has a positive meaning attached to it for the first time. In fact, that the righteous one suffers is contrary to traditional teaching. The conflict between tradition (retribution) and reality (innocent suffering) was often questioned by some authors of the Hebrew Bible, however. According to retributive justice, the vicious cycle (sin and punishment) persists unchanged. Deutero-Isaiah might recognize why the tragic pattern of sin and punishment occurs. Thus, breaking the stranglehold is required: how could the recurring pattern of sin and punishment be broken? This is the first question that the prophet tries to answer through the idea of innocent suffering. Yet the issue of innocent suffering is set side by side with the theory of reward and punishment. The notion of compensation theory was not ignored completely. Rather, the prophet builds his idea of vicarious suffering on the traditional retributive theory. This is a new theological scenario expressed most clearly in Isaiah 52:13-53:12. Second, Deutero-Isaiah suggests a new thing, something "unheard" of and totally beyond all retributive justice: vicarious suffering. Yhwh forgives the culprits and transfers their culpability onto an innocent party. The hint of the vicariousness can be seen from the fact that Yhwh clears Israel 's sins and iniquities for his name 's sake (Isa. 43 :25 ; 48 :9-11. cf. Ezek. 20:9, 14, 22, 39). According to Ezekiel, however, there is no other way to be saved but by being righteous (14:14). Deutero-Isaiah goes so far as to state that the suffering of the righteous can save others: the sinful one could be made pure by a third party who suffers innocently for the sake of Yhwh's name. This substitution would be outrageous were it not for the fact that the innocent party is God's servant. The role of innocent suffering is considerably expanded to entail an efficacious sacrifice. There is a surplus of righteousness that spills over and benefits the unrighteous. Obviously, the circumstance in Babylon demanded a breakthrough that would free the exiles from the stalemate of the sin and punishment cycle. Paradoxically, the experience of the Babylonian captivity drove all Israel to the depth of hopelessness in which the new idea of vicarious suffering is germinated (Isa. 53:4-5).

      • Envisioning a new human community of mutuality, cooperation, and justice from the Korean context

        김필진 Chicago Theological Seminary 1995 해외박사

        RANK : 232975

        현재까지 한국의 학계의 어느 분야에서든 간에 여성의 이슈들을 체계적으로 다룬 연구들이 많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점에 감안하여 필자는 본 논문에서 여성의 이슈들을 특히 목회상담의 관점에서 접근하고 그 해결책을 모색하는데 주력하였다. 이 논문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독자들로 하여금 한 국에서의 여성의 이슈들을 필자의 사회 심리적 접근과 분석 그리고 신학적(목 회 상담적) 고찰을 통해 이해하도록 돕는데 있으며, 한국 여성의 문제들을 사 회학적, 심리학적, 목회상담적 관점들에 비추어서 그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으며, 한국 사회와 기독교회 안에서의 여성의 경험과 사회적 현실에 대해 민감하고 응답적인 여성 목회 상담을 개발하는데 있다. 여성들에게 부과된 억압적이고 불의한 사회적조건들의 근본적인 변화를 통 해 모든 여성의 행복을 보장함이 없이는 사회정의의 완전한 구현은 불가능하 다고 본다. 이러한 전제는 사회심리적 관점과 신학적 관점에서 한국 여성의 이슈들을 다룬 본 연구논문의 기초이다. 한국여성의 이슈들에 대한 비판적 분석과 해명의 목표는 우선 한국여성들에게 "의식향상의 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여성들의 변화의 과정은 그들 자신의 문제에 대한 인식과 변화의 가능 성에 대한 신념에서 출발하며, 그 다음 단계의 목표는 평등과 상호 성과 정의 에 기초한 새로운 사회 또는 새로운 인간 공동체를 바라보면서 현 사회에 대 한 대안들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러한 대안적 사회와 문화 (an alternative society and culture)에 대한 탐구의 목적은 모든 삶의 차원에서 모든 여성의 행복과 복지를 실현하는 데 있다. 본 연구논문은 한국여성의 문제들에 대한 사회심리학적 접근과 목회상담적 고찰이다. 본 논문은 한국여성의 문제들에 대한 이론적 분석과 고찰에 기초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과 고찰에 있어서 몇몇 심리학 이론들 특히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는 서구의 여성 심리학 이 론들과 목회상담 이론들을 채용하였다. 본 연구는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국의 사회, 문화적 상황과 여성 의 이슈들에 대한 비판적 분석과 기술, 한국여성의 이슈들에 부합하는 서구 심리학 이론들과 정신요법 이론들의 적용 그리고 한국의 사회와 기독교회내에 서 새로운 인간공동체를 지향하는 변화의 과정 모색이다.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discrepancy between media vehicle and advertising. exposures has an impact on the evaluation of television advertising schedules by empirically comparing vehicle exposure distributions with message exposure distributions of network television advertising schedules. Three hypotheses are tested: I) are th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vehicle and message exposure distributions of network television advertising schedules, 2) are th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ntercept between the vehicle and the message exposure distributions curves, and 3) are th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lop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message exposure distributions curves? A total sample of 1,016 vehicle and message exposure distributions obtained from 508 Korean network television advertising schedules were evaluated using regression analysis and F-tests. The results of the F-tests show that not only d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exist between the vehicle and message exposure distributions, but differences exist in the intercept and the slope between the vehicle and message exposure distribution curves. These empirical findings suggest that using vehicle rating data as inputs in the estimation of media evaluation factors such as reach, frequency, effective reach, gross rating points (GRPs), and exposure (or frequency) distributions can indeed mislead media planners to the evaluation of the impact of television advertising schedules on target audiences. This can subsequently distort the selection of the optimal schedule to deliver an advertising message to the extent that advertising and marketing objectives are achieved. Another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ccurate, parsimonious, consistent, and reliable method to estimate message exposure distributions of network television advertising schedules. This study developed a total of eleven regression equation models to be used to predict message exposure distributions as a function of vehicle exposure distributions and other schedule characteristics, such as vehicle gross rating points (vehicle GRPs), frequency, the number of insertions and programs. The eleven models developed are quite accurate in predicting message exposure distributions of network television advertising schedules with an adjusted R square ranging from The most accurate model is the double log-linear model of which the adjusted R square is .997. The double log-Linear model can be used by media planners to estimate message audiences and thus to incorporate these estimates of message audiences into developing and evaluating network television advertising schedules in terms of advertising exposure. In summary, this study is an attempt to get closer to establishing the value a brand receives for its dollars by evaluating network television advertising schedules in terms of advertising exposure rather than vehicle exposure.

      • Guilt, shame and han : transforming religious and psychological understandings of sin and self-loss

        황헌영 Chicago Theological Seminary 1998 해외박사

        RANK : 232975

        전통적인 기독교 세계에서는 인간의 "악의 경험(human predicament ; 인간곤경)"을 줄곤 인간이 스스로 저지른 '죄'와 그 결과에서 연유된다고 생각해왔다. 이세상 모든 고통과 질고는 신의 계명을 파괴하거나 범죄를 저지른 '가해자'들의 '죄'에 대하여 필연적 대가로 주어진 악을 경험하는 현상이라는 것이다. 모든 인간은 자신들의 죄를 통해 객관적인 악의 존재를 확인하는 동시에 주관적으로 '죄책감'의 사슬 속에 신음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전통적인 견해의 난점은 '가해자'들의 '죄'와 그'죄책감'이 과연 그 반대편 선사에서 있는. 가해자의 죄로 인해 희생당한 '피해자'들이 경험하는 '악'의 본질과 그 현상을 얼마나 설명해 줄 수 있을까하는 문제이다. 사랑과 정의가 짓밝히고 인간의 기본권리가 파괴되는, 억눌린 현실속에서 늘 부당하게만 대접받고 다른 인간들이 저질러온 죄악의 온상세서 신음하는 피해받은 인간들이 경험하는 주관적 '악'의 경험은 과연 가해자들의 '죄책감'과 같은 것인가? 만일 그렇지 않다면 우리는 무슨 개념을 들어 피해자들의 악의 경험을 구체적으로 설명할수 있을 것인가? 사실, 서양신학의 전통은 피해 받는 인간이 경험하는 '악'에 관하여 '개념화'하는데 소홀했다. 현대에 이르러 해방신학의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면서 비로소 제3세계의 억눌린 자들의 고통과 아름을 신학적으로 이해하려는 움직임이 크게 일고 있을 뿐이다. 다행히 한국 민중신학의 경우, 5000년 역사 가운데 수많은 외적의 침입과 부당한 신분계층의 차이에서 쓰라린 착취를 경험한 민중들이 겪는 ' 한'에 대한 신학적 작업으로 제3세계의 억압받는 민중들의 고통을 '개념화'하는데 공헌하였다. 그리고 '한'은 아직도 지극히 지엽적인 문화 사회적 개념으로만 소개되어져 왔을 뿐이고 신학작업의 한 주제로 받아지면서도 그 본질적인 심리학적 측면은 아직 깊이 있게 다루어지지 못했음을 부인할 수 없다. 필자의 이 논문( '98 시카고 신학대학원 박사논문)은 Heinz Kohut의 자기 심리학(Self psychology)의 이론으로 인간의 악에 관한 자기경험(the self's experience of evil)를 분석하고 이해하려는 시도 이다. 특히 피해를 입은 한 맺힌 인간들이 억울한 현실속에서 얻게된 자신의 고통에 대하여 어떻게 내면적으로 반응하는지 그리고 그 고통이 피해자 인간의 "자기 구조(self-structure)"를 어떻게 파괴해 가는지에 깊은 관심을 갖고 논물을 서술했다. 지극히 동아시아적이고 특별히 한국 문화와 역사라는 특수성에서 발생한 이 개념을 어느 특정 서양 심리이론에 근거하여 완전히 설명한다는 것은 처음부터 무리가 아닐 수 없다. 다만, 서양의 발달된 이론들을 비판적으로 수용 도입하여 한에 대한 심리적 분적의 기초작업을 닦아, 우리의 개념 '한'으로 고통받고 억눌린 세계 민중들의 심리를 대변할 이론으로 발전시킬 수 있다면 이보다 더 큰 보람도 없을 것이라는 기대가 있기 때문이다. 팔자는 Heinz Kohut의 이론으로 '한'에 대한 접근을 하기 위해, 먼지 인간 내면 고통에 관한 전통적 기독교의 견해와 Freud의 고전적 정신분석학의 기름침에 대하여 Heinz Kohut이 어떻게 반기를 들고 있는지 살피었다. 그리고 '한'의 발생과정에서 작용한 한국 전통 주요 종교들과 무속신앙과의 갈등을 통해 어떻게 '수치와분노'라는 심리적 내용물들이 한 맺힌 한국 민중의 가슴에 형성되어 왔는가를 살펴보면서, 한의 본질과 치유를 무속신앙과 자기심리학이 만나는 지점에서 찾으려 했다. 필자의 논점은 한 맺힌 자들의 고통과 악(predicament)의 경험이 죄를 범한 가해자들과는 달리, 피해자들의 자기자신에 대한 수치와 분노에서 발견되어지며, 그 치유의 가능성은 적절한 '자기애(self-love)의 개발을 통해 비극가운데서도 '참다운 자기 실현(the actualization of the authentic self)'을 이룰수 있도록 돕는데서 시작되다는 것이다. 즉, 치유자가 피해자의 '자기(self)'에게 '자기대상'self-object)으로 다가가 모든 아픔의 전이(transference)가 형성될 수 있도록 감정이입적 동감(empathic introspection)을 이룰 때, 한 맺힌 피해자들은 모든 아픔을 자기 것으로 나누고 함께 수용하는 은혜로운 손길을 확인하면서 비로소 '자가가치"(self-worth) 발견의 물꼬를 틀어 한을 극복, 자기실현의 계기로 승화시킬수 있다는 것이다. 상처받는 자 들과 함께 하고 그 고통을 자신의 것으로 끌어안던(empathic) 예수의 치유법이 바로 그것이었음을 주치할 때 이 치유법은 더욱 의미가 있다. The pernnial tension between tradition and transformation as the purpose of religious education has existed throughout history but it was George Allbert Coe who articulated this tension with his question, "Shall the primary purpose of Christian education be to hand on a religion, or to create a new worid?" This study ezamines historical understandings of the tension and explores the ways in which twentieth century religious educators, especially Coe, C. Ellis Nelson, John Westerfoff, Sara Little, and Mary Boys, handled both the tension between tradition and transformation as purpose, and the tension betweensocialization and teaching as process/method.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lay a for understanding these tensions, a foundation we can use to bulid educational theories. In the early 20th century, Coe dichotomized tradition and transformation as the purpose of religious education, pursuing transformation over tradition. However, in developing a theory whose aim wae the creation of a new world he maintained a balance between socialization and intentional teaching as process. In the mid 20th century, exponents of the Christian education mivement attempted to recover the tradition element they thought had been lost to the emphasis on transformation. For this movement, recovering tradition meant finding a suitable theology onwhich to base "Christian" education. In the late 20th century, sa society and culture became more diverse, secular and pluralistic, Nelson and Little shared the same purpose : transformation of society through tradition, while advocating different processes. Both are responding to Dwayne Huebner's question'"... is education in a religious community necessary or is living with others inherent1y educational?' At the close of the 20th century, the overrding question is, "how can we transform this dysfunctional society?" In response to this question some contemporary theories will be introduced.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dichotomy between handing on tradition and transformation as a purpose for religious education is a false dichotomy. While distinctive, neither is complete without the other. The same is true with socialization and teaching as process. We must overcome the dichotomy of either/or, and embrace the tension of both/and.

      • A study of marital infidelity in the Korean confucian family system

        김의식 Chicago Theological Seminary 1996 해외박사

        RANK : 232975

        오늘날 가정에 있어서 부부 외도가 전세계적으로 점점 늘어가고 있다. 서구문화의 영향을 인해, 유교 문화권 속에서 음성적으로 행해지던 한국에서조차 양성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외도에 있어서 엄격한 윤리적 가치를 제시하고 있는 기독교 가정까지도 위협을 받고 있는 현실이다. 외도는 개인적으로 배우자(특히 여성들)의 마음에 깊은 상처를 줄 뿐만 아니라, 주위의 가족들에게까지 고통을 안겨다 주고 사회의 심각한 문제들을 만들고 있다. 본 논문은 먼저 한국 문화에 깊은 영향을 준 유교의 가르침이 최근의 부부 외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를 분석한다. 그리고 한국의 가장 많은 교회인장로교 창시자 존 캘빈(John Calvin)의 신학과 여성 신학(Feminist Theory)의관점에서 문제에 접근한다. 무엇보다 부부 외도가 한국의 복잡한 가족 관계 구조 속에서 기인하는 것을 지적하고, 가정 상담 학자 머레이 보웬 (Murrey Bowen)의 ‘가족 체계 이론 (Family Systems Theory)를 사용하여 가족 관계 속에서의 문제를 풀어 간다. 그리고 부부 외도의 주된 이슈인 성문제를 치료 하기 위해 성상담 학자인 헬렌 싱어 캐플란 (Helen Singer Kaplan)의 ‘새로 운 성치료법'(New Sex Therapy)을 적용해 본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신학적 원리와 심리학적 접근을 통합시켜서 한국 가정의외도 문제를 가장 실제적이고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부부 하나됨의 이 론'(The Oneness Model)을 제안한다. 이것은 부부의 영적인 헌신(Spiritual Commitment)을 통해 가족간의 관계(Family Relationship)를 개선하면서 더 나아가 정서적 친밀감(Emotional Intimacy)을 높여 주고 육체적 성관계(Physi- cal Sex)를 퐁요롭게 해 주는 원리를 제시하고 있다. 본 논문은 외도 문제로 고통을 겪고 있는 유교 문화권의 한국 가정들, 특히 기독교 가정들의 문제 해결에 하나의 소중한 대안이 될 것이다. A. 문제 제기 및 목적 지금 서양은 부부 외도와 이혼이 급속적으로 늘어가고 있다. 더구나 이조 시대의 축첩 제도에 뿌리를 두고 음성적으로 행해지던 유교 문화권 속의 한국의 외도조차 서구 문화의 영향으로 점점 양성화되고 있다. 그리하여 가정과 사회의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는 현실이다. 본 논문을 발전시켜 나가는데 있어서 두 가지 논리를 세운다. 첫째는 부부 외도를 한국 가족 관계의 복잡한 구조 속에서 이해해야 한다는 것이고, 둘째 는 외도의 주된 원인이 부부 사이의 성적인 문제로부터 기인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본 논문은 한국에 깊은 영향을 준 유교 문화가 최근 부부 외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를 분석한다. 그리고 결혼과 가족과 외도에 관해서 장로교 창시자인 존 캘빈(John Calvin)의 신학과 여성 신학(Feminist Theory)의 관점에서 접근한다. 더 나아가 한국의 이러한 복잡한 가족 관계를 풀어 나가는데 있어서 가정 상담학작인 머레이 보웬(Murrey Bowen)의 ‘가족 체계 이론'(Family Systems Theory)을 사용하고, 성적인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성상담학자인 헬렌 싱어 캐플란 (Helen Singer Kaplan)의 ‘새로운 성치료법'(New Sex Therapy) 을 적용한다. 그리하여 이러한 신학적 접근과 심리학적 적용을 통합하여 ‘부부 하나됨의 모델'(The Oneness Model0을 제시함으로 한국 유교 문화권 속에서의 부부 외도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B. 연구 방법 본 논문의 연구 방법은 역사적(historical), 분석적(analytical), 그리고 임상적(clinical method)방법을 사용한다. 한국의 역사적 배경으로부터 시작 하여 최근의 통계자료들을 분석하고 현대의 가족 치료(Marriage & Family Th-erapy)를 한국 부부에게 임상적으로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 시도한다. 마지막 으로 이상의 문화적이고 신학적인 원리와 가족 치료의 심리학적 접근을 통합 하여 보다 효과적이고 실제적인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C. 요약 본 논문은 한국 부부 외도에 관한 신학적, 심리학적 접근의 통합을 시도함 으로 실제적이고 효과적인 대안을 제시한다. 제1장에서는 논문의 문제 제기와 연구 목적, 방법과 과정에 대해 언급한다.

      • The rhetoric of love ethics in the Johannine Farewell discourse

        현경식 Chicago Theological Seminary 1997 해외박사

        RANK : 232975

        요한복음의 고별담화(13장-17장)에 있는 "서로 사랑하라"는 예수의 "새 계 명"을 사회학-역사-공동체적인 입장과 문학적인 비평을 혼합해서 연구한 논문이다. 방법론의 가치는 "수사학적인 비평"을 사용했고, 주로 아리스토텔레스의 고전 수사학을 이용했다. 사회-역사적인 방법론에는 Mary Douglas의 사회인류 학적인 이론과, 네이레이(Neyrey)와 멀리나(Malina)의 사회-문화적인 성서 비평이론을 사용했다. 논문의 요지는 어떠한 신학적인 그리고 이념적인 주제보다는 신앙공동체의 사회 역사적인 정황과 그에 적응하는 윤리가 먼저 우선되어야 한다는 것이다.요한 공동체의 기독론, 종말론 등은 그 공동체의 윤리와 밀접히 관계되어 있 고, 그러한 공동체 윤리의 입장에서 신학적인 관점과 이론들이 재설명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요한복음 13장-17장을 윤리적인 입장에서 새롭 게 조명한 것이라 볼 수 있다. 이러한 윤리적인 독법(reading)은 본문(13장-17장) 자체가 논리적으로 독자들에게 호소하고 있음을 수사학적인 비평에 의 해서 증명되고 있다.

      • (The)portraits of god-fearers in acts of apostles : its historical background and literary function

        송순열 Chicago Theological Seminary 1995 해외박사

        RANK : 232975

        이 논문의 의도는 사도행전에 나오는 하나님을 두려워하는 사람들(God - F earers)에 대해서 역사적인 실체와 문학적인 기능을 조사하는 것이다. God-fearers 란 이방인으로 유대인이나 유대종교가 좋아 유대의 관습을 지키 고 유대회당에도 정규적으로 참석하지만, 아직 개종까지는 하지 않은 반유대 인으로 규정된다. 본 논문의 Part one 에서는 유대인이나 유대종교에 호의적인 사람들을(Sy mpathizers) 그리스-로마시대의 문학작품들(Josephus, Philo, Juvenal, Epic tetus. ..) 과 비문(Sardis, Miletus, Aphrodisias. ..) 들에서 찾아보는 것이 다. 그 결과 거기에는 개종은 하지 않았지만 유대종교가 좋아 유대의 관습을 지키고 정규적으로 유대교회당에 참석하는 많은 이방인들이 있음이 조사됐다 특히나 Aphrodisias비문의 증거에서는 God-fearer 란 그룹이 등장하고 유대 회당이나 지역사회에 현저한 활동을 했음이 드러나 있다. 본 논문의 Part two 에서는 사도행전에 나타난 God-fearer 들을 분석하고 이들의 문학적인 기능을 밝히는 것이다. 사도행전에는 God-fearer를 ψoβo υμεvoι τov ψεov 혹은 oεβoμενoι τov θεov의 두 용어를 사 용하는데, 어떤 때는 개인에게, 어떤 때는 그룹의 사람들을 칭할 때 쓰여지 고 있다. 누가가 사용하는 God-fearer 분명히 우리가 1부에서 조사한대로 이 방인으로 유대의 관습이나 회당에 참석하는 사람들을 말하는데 쓰고 있다. 누가는 당시의 이방인이나 유대인들에 비교해서 God-fearer들을 매우 긍정적 으로 기술하고 있고, 신약성서에서 유일하게 God-fearer에 대해서 언급하고 있는 것은 누가가 접한 기독교공동체의 특수한 유대교의 환경, 즉 유대인이 아닌 이방인들에게 호의를 베푸는 유대교 환경이었음을 알수 있다. 이러한 조사를 바탕으로 다음의 결론에 도달했다. 첫째로, God-fearer는 이방선교를 합법화하기 위한 도구로 쓰여진다. God-fearer는 첫번째 교회의 확장인 행6:1-8:3 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사 마리아선교에서 좀더 부각되고, 바울의 회개에 이은 고넬리우스 이야기에 더 욱더 강하게, 그리고 바울의 선교에서 최고점을 이룬다. This dissertation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hite-collar labor movement and the current process of democratization in Korea. More specifically, the central concerns are 1) to relate Korean political reforms to labor-management relations; 2) to study the effects of changes in the political sphere on the development of white-collar labor organization; and, 3) to examine the contribution of labor actions to the overall process of political change toward democratization. White-collar unions are chosen for particular attention because they have been a leading force in the organizational expansion and resurgence of the overall Korean labor movement during the last few years of political transition. The expansion of Korean white-collar labor unionism is stymied largely by employer opposition and intervention, the prevalence of a fragmented industrial relations system, and workers reluctance to support the union movement. It is also conditioned by the persistence of the legacy of authoritarian state control, the absence of party-union ties, and the lack of professional and stable union leadership. The contribution of the labor movement to democratization is explained by workers belief in the legitimacy of the democratic state, their positive evaluations of the political outcomes of the regime change, and their willingness to sacrifice labor demands for the political objective of regime consolidation. This dissertation shows that changing political events have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unionism in Korea. In addition, it asserts that the white-collar labor movement has eventually contributed to a more moderate path of democratization and to the consolidation of a democratic regime in Korea by limiting labor particular interests and collective action in favor of stabilizing democracy.

      • A Comparative study of the experience of the numinous : Che-u Ch'oe, C.G. Jung, and Paul Tillich

        권명수 Chicago Theological Seminary 1998 해외박사

        RANK : 232975

        이 논문은 동서의 신비 (the numinous) 체험의 비교 연구이다. 한국의 전통적 종교 체험의 하나인 최제우의 신비체험과 서구 신비체험의 한 이해인 융과 틸릭의 신비체험 이해를 비교 분석하여 유사점과 차이점을 밝히며, 한국인의 종교성과 그 체험의 이해를 시도하고저 한 것이다. 이런 시도를 통해 한국인의 신앙체험의 존재론적 정당성을 확립하고 한국 전통에 대한 긍정적 용인과 동양적 하나님 이해의 학문적 접근의 초석을 놓고져 한 것이다. 제 1장에서는 본 연구가 다루고져 하는 주제의 기초를 놓는 역할을 한다. 한국의 민중신학은 70-80년대를 지나면서 한국의 정치 경제적 상황에서 '복음이 소외되어온 이들에게 무엇을 의미하는가?'라는 질문에 온몸으로 답하고져 하는 이들의 증언을 토대로 형성되고 발전되어 왔다. 특히 직장을 잃고 목숨을 건 신학 활동을 한 서남동교수의 성령론적 해석학의 민중신학을 필자는 넘겨받고 있다. 그러나 90년 대에 들어서며, 한국의 정치적 상황이 군사독재에서 형식적이나마 문민정부로 바뀌면서, 민중 신학자들 가운데 자신들의 정체성과 활동에 대한 물음을 묻게 되며 나름의 극복의 시도가 관찰되고 있다. 그 시도 중의 하나가 민중 생명력에 대한 외경과 이에 대한 신학적 이해를 시도하게 되었다. 생명운동을 이야기하는 김지하와 문화신학를 시도하는 김경재를 위시하여 이정배 등에 의하여 주도되고 있다. 이들은 한국의 문화를 주체적인 시각에서 이해하고 해석코저 한다. 이에 대한 방법론적인 토대인 전통과 문화에 대한 철학적인 평가를 요한다. 본 연구가 시도하고져 하는 한국 신비체험의 비교 대상인 최제우는 19세기 말 사람으로서 그의 체험과 이해가 오늘의 우리에게도 고려해야 할 정당성을 갖고 있다는 논리적 근거를 확립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가다머 (J.Gadamer)와 브라운 (D.Brown)의 전통(tradition) 이해를 토대로 우리의 과거가 비록 서구의 그것과 외관적으로 비교우위를 차지않는 것같다고 해도 우리의 전통을 결코 소홀히 할 수 없다는 것을 밝히고져 하는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잘못하다간 우리는 무조건 서구를 모방해야만 잘 살 수 있다는 잘못된 서구 우위적인 무의식적인 전제에서 모든 활동을 함으로 사상적 식민주의의 포로가 되기 때문이다. 제 2장에서는 최제우를 통해 한국인의 종교체험을 이해하고져 한다. 왜냐하며 최제우는 조선 말의 혼란한 정치적 상황과 서구 열강의 아시아의 진입으로 인해 온 나라의 백성의 민심이 흉흉하고 안정을 찾지 못할 때, 이들의 구제를 위해 구도 생활을 하던 중, 불현 듯 강력한 신비적 종교체험을 하게 되었다. 그는 이 체험을 통해 자신의 건강과 삶이 획기적 변화를 하게 되고, 당시 백성들의 나아갈 길이라 깨닫고, 포교 활동을 결심하게 된다. 그래서 글과 개인적 포교활동을 통해 많은 민중의 삶에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최제우의 종교체험의 원천인 기의 개념이해와, 치유와 건강에 대한 이해, 체험의 사회 윤리적 관계등을 살펴본다. 제3장에서는 심층 심리학자인 칼 구스타프 융을 통해 신비체험의 심리학적 이해을 추구한다. 융은 심리의 경험적 현상을 중요시한다. 왜냐하면, 사람에게 체험되는 것만이 실재한다고 볼수 있다는 극단적인 경험주의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체험의 출처는 인간심층에 있는 집단무의식의 영역에 존재하는 원형에서 기인한다고 본다. 융은 이와같은 강력한 신비체험의 경험이 인간의 건강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으로 요청된다. 그런데 이런 성의 체험은 윤리적 시사점을 지니고 있다. 즉 인간 각자의 개성화를 통해 건강한 개개인이 됨으로서 건강한 사회의 구성원이 되어 건강한 사회를 이루는 데 기여한다고 본다. 제4장은 폴 틸릭의 신학을 통하여 신비체험의 신학적 이해를 시도한다. 틸릭은 종교란 신비(또는 거룩) 체험에서 유래한다고 본다. 17세기 이후 계몽주의와 근대주의의 영향으로 신학의 강조점이 체험에서 이성의 역할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나아가 종교에서 신비의 영역과 체험이 약화되는 상황이었다. 틸릭은 이런 상황에서 성령의 임재로 말미암는 신적 능력의 체험이 인간의 영혼의 건강과 윤리적 삶에 기반이 된다고 주장한다. 제5장은 위 세사람의 신비체험 이해의 구체적 비교를 시도한다. 세 사람 모두 인간은 신비체험을 할 수 있고 인간의 삶에, 종교에 필수적이라고 보았다. 그러나 그들은 자신들의 입장에 따라 최제우는 신비체험이 기로부터 유래한다고 하고, 융은 원형으로부터, 틸릭은 성령으로부터 유래한다고 믿었다. 또한 이들이 보는 신비체험이 사회적 윤리성에 대한 시사점에 있어서 차이점이 두드려진다고 본다. 즉 융은 개인주의적 입장을 지니고 있고, 틸릭은 일원론적 윤리성을 부각시키고 있다. 이에 비해 최제우는 사회적 윤리를 말하고 있다. 신비체험을 하면, 그 개인은 자신뿐 만아니라 이웃과 자연까지를 하나의 공동체로 아우르는 현상으로 나아간다고 주장하고 있다. 신비체험이 사회적 공통성에 시사하는 점이 이런 면에서 크게 그 차이가 부각되고 있다. 6장에서는 지금까지 연구한 신비체험의 중요성이 시사하는 바를 살펴보며 사례연구를 통해 본 연구의 실천적 효용성을 살펴본다. 거룩의 체험은 영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왜냐하면 첫째, 신비체험을 통해 인간은 개성화를 향해 나아가게 되며, 이는 神聖化 (deification)의 길로 점점 나아가게 되는 것이다. 모든 신자의 사명이 주님을 닮아가는 것일진대, 신비체험이 이를 뒷받침하는 동기와 추진하는 원동력이 된다. 둘째는 이렇게 귀한 가치가 있는 신비체험이 쉽게 얻어질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거기에는 마귀의 장난과 인간의 욕심과 불안정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영분별이란 목회적 기능이 요구된다. 이는 영성지도의 핵심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신비체험의 깊은 이해를 전제로 하고 있다. 셋째, 신비체험은 생태학적 영성을 향한 발상의 전환을 유도한다. 전통적 영성은 지구의 생명과 환경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고 있었기에 신비 (거룩) 체험을 그 영성적 삶의 핵심에 두게 되면 삶이 획기적으로 바뀌고 영성이 바뀌게 된다. 인간의 신비 (거룩)체험은 단순한 현상이 아니다. 복합적 요소들이 이 체험에 섞여 있기에 우리는 여러 학문의 상호협조적 연구로 이해를 시도해야 한다. 특히 체험자의 개인적, 사회적, 문화적 특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그래서, 한국인의 신비적 종교체험 연구는 한국적 영성에 기인한 것으로서 복합적 현상에 대한 다면적 접근으로 한국적 상황을 고려하며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