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호남호국기념관 건립과 운영 활성화 방안 연구

        김현익 ( Kim Hyun Ik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21 역사학연구 Vol.81 No.-

        본 논고는 호남 최초 호국기념관인 호남호국기념관의 건립의의와 과정, 그리고 운영활성화 방안을 중심으로 작성하였다. 국가수호 현충시설 기념관인 호남호국기념관이 건립됨으로써 지역적 균형을 이룰 수 있게 되었고, 호국 정신을 기억하는 기념의 공간을 호남지역에 조성하였다는 것에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호남호국기념관을 건립할 당시, 국가보훈처는 사업운영방향의 취지에 부합하도록 독립, 호국, 민주에 관한 내용을 상설전시에 구성하려 했으나 호남의 호국영웅들과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의 내용을 추가하면서 재차 수정되었다. 국가수호 기념관이라는 기본 틀 안에서 6·25전쟁과 호국에 초점을 맞추게 되었고, 전시는 현재 6·25전쟁의 과정, 호남의 호국영웅과 학도병, 의병의 활동, 그리고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 등으로 구성되었다. 건립 진행 과정에서 자문회의는 “패널 위주의 전시 구성은 피로감을 줄 수 있다”는 자문을 제시하였고 전시주제와 관련한 문제들도 다방면 지적하였으나 아쉽게도 반영되지 않은 채 현재의 전시구성으로 확정되었다. 신생 기관인 호남호국기념관이 호국보훈의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어떤 방향성을 갖고 나아가야 할지 고민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호남호국기념관은 운영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야 하며, 지역적 특수성을 반영하여 전시를 기획하고,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그리고 호국 관련 콘텐츠 제작과 기증운동 홍보작업을전개하고, 데이터베이스 조성을 위한 치밀한 아카이브 작업과 구술사연구를 진행하여 많은 사람들이 장소와 시간의 제약 없이 이용하도록 만들어야 한다. 또한 호남 권역의 박물관 협력망을 구축한다면, 호남의 호국정신을 조명하고 소속 기관과의 교류를 통해 전문화된 프로그램을 창출해낼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위탁운영이 종료된 이후 기념관의 안정화와 중장기적인 운영 활성화 방안에 대해서도 고민해야 한다. 2020년 코로나 19로 인해 많은 기념관들이 휴관하면서 비대면 프로그램 개발에 더욱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학교 수업과 각종 행사가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현재, 호남호국기념관에서 시행할 수 있는 비대면 프로그램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 고민하며, 21세기 정보화 시대에 앞장서 개척한다는 신념으로 운영 활성화 방안 등의 개발 과제를 완수해야 할 것이다. 국난극복의 역사와 호국정신 계승 속에 건립된 호남호국기념관이 앞으로 당면한 과제들을 해결하고, 국론통합과 지역주민의 나라사랑정신 함양에 이바지하는 기관으로 성장할지에 대해 주목하고자 한다. This treatise focused on the significance and process of the construction of Honam Patriots Memorial Hall, the first Patriots Memorial Hall in Honam, and it was created focusing on the plan to activate the operation. The construction of the Honam Patriots Memorial Hall, a memorial hall for National Protection Memorial facilities, enabled regional balance to be achieved, and the significance of the creation of a memorial space to remember the spirit of patriotism was created in the Honam region. At the time of the construction of the Honam Patriots Memorial Hall, the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tried to organize a permanent exhibition on independence, patriots, and democracy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project operation direction, but it was revised again with the addition of Honam’s patriots heros and the MND Agency for KIA Recovery·Identification, In the basic framework of the National Protection Memorial Hall, the focus was on the Korean War and patriots, and now the exhibition consisted of the process of the Korean War, Honam’s patriots hero, school soldiers, the activities of Righteous army and MND Agency for KIA Recovery·Identification. During the construction process, the advisory meeting offered advice that “a panel centered exhibition composition can cause fatigue” and pointed out various issues related to the exhibition theme, but unfortunately, it was confirmed as the current exhibition composition without being reflected. It is necessary to think about what direction to proceed the new institution Honam patriots Memorial Hall should take in order to realize the value of patriots veterans. To this end, the Honam Patriots Memorial Hall should seek a plan to activate the operation, plan exhibitions and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reflecting regional specificity. In addition, patriots related content production and donation campaign promotion work is carried out, and detailed archive work and oral history research are conducted to create a database so that many people should be made to use It without restriction of place and time. Also, if the museum cooperation network in the Honam region is established, specialized programs can be created through exchanges with the affiliated institutions and examine Honam’s spirit of patriotism. Finally, after the consignment operation is finished, it is necessary to think about the stabilization of the memorial hall and plans to activate mid to long term operation. Many memorials are closed due to Covid-19 in 2020, further accelerating the development of non face to face programs. Now that school classes and various events are held online. the non face to face program that can be implemented at the Honam Patriots Memorial Hall is concerned with which direction to proceed, with the belief of pioneering in the information age of the 21st century, it will be necessary to complete development tasks such as plan to activate the operation Honam Patriots Memorial Hall, built in the history of overcoming the national crisis and the succession of the spirit of patriotism, aims to pay attention to whether it will grow as an institution contributing to the consolidation of national opinions and the cultivation of the spirit of love for the country of local residents.

      • KCI등재

        한말 호남의병 연구의 현황과 과제

        홍영기 ( Hong Young-ki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6 역사학연구 Vol.64 No.-

        이 연구는 한말 호남의병에 대한 연구 현황과 향후 과제에 대해 검토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해방후 지금까지 발표된 연구논저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특히, 이 주제에 대한 연구가 시작된 1970년대부터 현재까지의 호남의병에 대한 연구의 경향을 살펴보았으며, 아울러 향후 과제를 제시하였다. 한말 호남의병에 대한 연구는 1980년대에 이르러 본격화되었다. 그 이후 현재까지 약 70편의 논문이 발표되었으며, 박사학위논문도 2편이나 제출, 간행된바 있다. 물론 그 이전에는 독립운동사를 개관하는 과정에서 호남의병을 단편적으로 혹은 의병장의 활동을 중심으로 서술되어 왔다. 그후 자료집이 발굴, 간행되면서 1세대 연구자들이 1980년대 중반까지 호남의병 연구의 디딤돌을 마련하였다. 그리하여 1990년대에 이르러 2세대 연구자들이 연구와 자료집의 간행을 주도하였고, 2000년대에는 한층 심화된 연구로 진전되고 있다. 향후 과제로는 첫째 앞으로 호남의병 연구의 발전을 위해서는 새로운 연구자를 시급히 양성해야 한다. 둘째, 중·소 규모의 의진과 그것을 주도한 인물에 대한 연구로 심화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호남의병이 후기의병을 주도한 직접적 배경이나 다양한 원인을 찾아야 할 것이다. 넷째, 호남의병의 생활사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다섯째, 타 지역 의병과의 비교연구를 통해 각 지역별 의병의 특징을 밝혀야 할 것이다. 나아가 가능하다면 다른 나라의 민족운동과도 비교함으로써 한말의병의 세계사적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This study reviewed the status and future tasks of research for Honam Righteous Armies(HRA) in the Great Han Empire. For this, several prior studies which published since independence were examined and looked into especially in the 1970s which this subject started. In addition, future directions are discussed. A research on HRA of the Great Han Empire began in earnest in the 1980s. Since then, about 70 papers have been released so far, including two doctoral thesis. In the process of overview the history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activities of the RA leaders were focused while HRA were described in small parts. After this, the biographies of RA were discovered and released, amounting to the first generation of researchers studying HRA in the mid 1980s. As a result, a second generation of research lead to the publication around the 1990s and deeper studies were broadened in the 2000s. Future tasks are as follows : first, new researchers urgently need to be trained for the developmental study on HRA in the future. Second, the study should intensify into small and medium sized groups for RA and their leaders. Third, direct background research on several factors of the third RA which took the main lead by HRA, needs to be found. Fourth, studying the life history of HRA is also necessary. Fifth, regional characteristics of RA should be found through comparative study with other regions. Futhermore, comparing RA of the Great Han Empire more with other countries` national movements will have a more meaning in a worlds historical way.

      • KCI등재

        연구논문 : 임란 호남의병에 대한 연구현황과 과제

        하태규 ( Tae Gyu Ha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5 역사학연구 Vol.59 No.-

        임진왜란기 호남의병에 대한 연구는 1970년대 송정현교수가 선구적 역할을 하였고, 1980년대부터 조원래 교수가 주도하여 왔다. 최근 임진왜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여러 연구자들이 많은 연구성과를 발표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호남의 의병의 양상과 특성이 어느 정도 밝혀졌다. 그렇지만 아직 몇가지 측면에서 검토되어야할 과제가 남아 있다고 보여진다. 임란기 호남의병의 개념과 실체를 좀 분명히 규정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이를 위하여는 의병진을 형성하는 지도층의 계층 구조, 의병의 전투력의 근원이 되는 병력 구성원, 국가의 전란 대응책으로서 의병 장려정책과 통제책, 그에 따른 의병의 변질 문제 등을 좀 더 세심하게 분석할 필요가 있다. 호남의병의 봉기의 계기와 성격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 임란 초기 호남지역의 의병활동은 호남근왕병의 출동과 거의 같은 시기에 시작되었으며, ``도성함락과 임금의 파천``이라는 국가적 위기 상황에서 근왕을 목표로 결성되었다. 그러나 왜군의 호남 침공으로 위기에 직면하자 지역을 지키기 위한 향보활동을 하였고, 호남지방이 지켜진 뒤에는 주로 경상도로 출동하여 구국활동을 전개하였다. 기왕의 연구에서 대립적으로 파악했던 호남의병과 관군의 관계에 대해서도 좀 더 고찰이 필요하다. 호남 의병은 처음부터 수령이나 관군 장수들의 협력과 지원을 받으며 결성되었고, 그들이 전투에 임할 때도 서로 협력하여 적을 공격하였다. 또한, 임란기 호남의 관군이 엄존하고 구체적인 활동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무시하고 의병의 역할만을 강조하는 것도 불합리하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호남의병의 전술·전략적 역할에 대한 구체적이고 실증적인 사례 검토가 필요하다. 의병 관련 사료의 발굴과 함께, 현존하는 사료의 신빙성에 대한 검증도 필요하다. 그동안 연구자들이 활용하였던 사료 중에는 신빙성이 의심스러운 것이 상당히 많이 있다. 따라서 의병관련 사료에 대한 검증을 통하여 기왕의 연구성과도 비판적으로 뒤돌아 볼 필요가 있다. In 1970s professor Song Jeong Hyun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study of the Honam righteous army during the Imjinwaeran and professor Jo Won Rae has led the study since. Recently quite a number of researchers has announced many products of their studies with a high profile about the Imjinwaeran. The facet and the feature of the Honam righteous army have been revealed in some degree through such studies. But it would seem that there are some assignment that should be reviewed in several ways. It is considered that there is necessity to stipulate more clearly the concept and the substance of the Honam righteous army in the Imjinwaeran. For this, it is necessary to examine more closely about the hierarchy in the leadership class of the Honam righteous army, the members of army as the root of combat power, army incentive policy and control plan as the countermeasure of war, and as a result, the problem from transmutation of the righteous army etc. It is necessary to reexamine the start and character about the uprising of the Honam righteous army. In the early Imjinwaeran the action of the righteous army in Honam started with Royal guards in Honam at nearly the same time and was founded for the loyalty to the king in national crisis of ‘being taken capital city and royal refuge from the palace’. However there was the crisis because of Japanese invasion of Honam in Korea. and the righteous army started to protect their region. After guarding Honam area, it mobilized to Gyungsang province and kept on protecting the nation. Moreover there is the necessity to study more about relation between the Honam righteous army and the government army that is regarded as adversarial one. The Honam righteous army had been organized with the local governors or the royal forces’ cooperation and support from the beginning and they attacked the enemy together in the battle. Also it is absurd to overemphasize only the role of the righteous army though there was the royal forces in Honam during the Imjinwaeran. Therefore it is definitely required to examine the concrete and empirical cases about the tactical and strategic role of Honam righteous army. It is needed to inspect authenticity of the present historical records with discovery of historical documents about the righteous army. There are many unclear ones among the previous historical records to be utilized by history researchers. So it is also necessary to review critically the foregone research achievement through the verification of the historical documents related with the righteous army.

      • KCI등재

        연구논문 : 호남절의록의 사료가치 검토(1)

        김동수 ( Dong Soo Kim ) 호남사학회(구-전남사학회) 2011 역사학연구 Vol.44 No.-

        호남절의록?은 호남 의향론(義鄕論)의 핵심자료 중의 하나로 널리 이용되는 책이다. 그러므로 이 자료를 이용하여 여러 국난(國難)시기에 호남지방의 모의(募義)활동의 양상이나 경향 등을 여러 가지로 분석해내는 연구들이 이루어지기도 하였다. 그런데 ?호남절의록?의 기사 내용 중에는 사실과는 다른 잘못된 내용이 꽤 있는 것으로 의심된다.?호남절의록의 사료 가치를 검토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몇 가지가 있겠으나 필자는 현재의 여러 형편 등을 고려하여 우선 "?호남절의록?에서 다룬 이른바 5난사에 관련된 인물들이 얼마나 누락없이 수록되었는가?"라는 문제에 초점을 두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방법으론 이른바 5난사중의 몇 사건에 관해 출판된 몇 자료들에 수록된 인물들과 ?호남절의록?의 해당 사건의 수록인물들을 서로 비교해 보았다. 아울러 ?호남절의록?의 서지적 부분의 문제로서 저자·출판년·참고 자료 등에 대해서도 의문을 제기하고 검토해 보았다. ?호남절의록?의 수록인물들과 여타 절의록?류에 수록된 인물들을 비교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① 임진왜란 당시 장성 남문에서 창의한 사적을 다룬 ?남문창의록? 과 비교해 보면, ?호남절의록?은 남문창의의 사적이 있는 인물의 30% 정도 밖에 정리하지 않은 셈이라고 할 수 있다. ② 이괄의 난 때의 거의 사적을 정리한 ?호남모의록?괴 비교하면 양서가 엇비슷하게 보인다. 그러나 양서 중에 서로 일치하는 인물은 100명에 지나지 않아 ?호남절의록?은 거의의 사적이 있는 인물의 68%, ?호남모의록?은 61% 를 정리, 수록하였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③ 1627년의 후금의 침입(정묘호란) 때의 창의사를 다룬 ?정묘거의록?과 비교해 보면, ?호남절의록?에는 정묘년 거의 사적이 있는 사람들 총 수의 약36%, ?정묘거의록?에는 약 76%의 비율로 입록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를 보면 ?호남절의록?과 ?정묘거의록? 모두 不完하지만, ?호남절의록?이 특히 누락된 인물이 더 많다고 할 수 있다. ④ 1636년의 청나라의 침입(병자호란) 때의 창의사를 다룬 자료에는 두가지가 있는데, 이흥발 등 5현의 의진(義陣)을 중심으로 정리한 ?병자창의록?과, 은봉 안방준의 의진을 중심으로 정리한 ?은봉창의록?이다. 이 두 자료의 수록 인물들과 ?호남절의록?과를 비교해 보면 ?호남절의록?에 병자년의 거의 사적이 있는 인물로 입록된 인원은 병자거의 사적이 있는 총 인원의 30%정도에 불과한 수효가 된다. ?병자창의록?에는 총 인원의 62% 정도, ?은봉창의록?은 28% 정도가 정리되어 있는 셈이라고 말할 수 있지만, 이 둘은 각기의 의진사를 중심으로 정리한 것인 때문에 이처럼 비교하여 수치를 제시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은 검토라고도 할 수 있다. 그런데 ?호남절의록?에는 병자창의록과 ?은봉창의록?에 보이는 거의의 지휘부에 속한다고 볼 수 있는 인물들이 많이 누락되어 있다. 이처럼 지휘부의 많은 인물들이 누락된 까닭이 무엇인지도 궁금하다. 이처럼 매우 단순하고 거칠게 ?호남절의록?과 5난사관련 일부 자료에의 수록 인물들의 수효를 비교해 보는 작업을 수행한 결과 자료에 따라 비율에는 차이가 있으나 어쨌든 ?호남절의록?에 매우 많은 누락이 있음을 확인해 볼수 있었다. 인물들이 대거 누락되어 있는 것은 ?호남절의록?의 자료수집과 정리가 매우 부족한 데서 비롯된 것일 수도 있고, 또는 ?호남절의록?이 나름대로의 편찬 원칙과 기준을 가지고 인물들을 정선한데서 비롯된 것일 수도 있다. 이에 대한 검토는 이 글에서는 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어쨌든 수록인물에 많은 누락이 있다는 것은 곧 호남절의록 의사료가치에 큰 한계가 있는 것임을 말해 주는 것이라 하겠다. 그러므로 ?호남절의록?을 활용하여 호남지방의 의병 활동상을 정리하고자 할 때에는 이런 면에 대한 고려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Honamjeoluirok is widely used as one of primary historical materials for Honam as Righteous Region. in Korean. For example, the book is used to academically examine the historical progresses of righteous activities of Honam people in national crises, and their tendencies. However, it is suspected that the book carries within itself factual errors. There could be various ways of evaluating the book in terms of historical material. Granting this, I focus this research upon the recording of the figures involved in so-call Five National Crises. With this focus in mind, this research compares Honamjeoluirok with other materials in their recording of the people related in Five National Crises. Also, this research critically examines the issues such as the authorship, the publication date, and the bibliographies. The comparison of the recorded peoples shows the followings. First, Honamjeoluirok recorded some 30 percentage of people contained in Nammunchang`uirok(南門倡義錄) in their accounts of the righteous activities at Nammun of Jangseong(長城) region in Japan`s 1592 Invasion of Korea. Second, Honamjeoluirok contained the almost same number of the righteous people as Honammouirok(湖南募義錄) did in their accounts of the righteous activities in the time of Yi Kwal`s(李适) Revolt. In addition, while taking into account the fact that the people commonly recorded in the two books numbered 100, we can say that the former recorded 68 percentage of the righteous people while the latter recorded 61 percentage of the righteous people in the same Revolt. Third, more people were left off Honamjeoluirok than Jeongmyogeouirok(丁卯節義錄) in their accounts of Manchus`s 1627 Invasion of Korea in that the former contained 36 percentage of all the people who had the merits in the Invasion while the latter contained 76 percentage of the total number. Forth, Honamjeoluirok recorded only some 30 percentage of all the people who had the merits in Chinese Qing`s(淸) 1636 Invasion of Korea when it is compared, in terms of the number of the people included, with the two sources which recorded the history of righteous activities in the Invasion: the one, Byeongjachanguirok(丙子倡義錄) which centered on the activities of the Righteous Camp(義陣) of Yi Heung-bal(李興?) and other leaders, recording 62 percentage of all the related people; the other, Eunbongchanguirok (隱峰倡義錄) which centered on the activities of An Bang-jun`s Righteous Camp, recording 28 percentage of them. Additionally, this research raises the question: why Honamjeoluirok left out many people, almost all of whom seem to have taken commanding posts according to the other two books. Admitting that just the numerical comparison carries within itself some methodological limitations, what is briefed above confirms the fact that Honamjeoluirok omitted not a few people worthy of notice in their activities. This implys that Honamjeoluirok was lacking in its collection and compilation of related materials, and at the same time that it does not have a great value in terms of historical material. Therefore, we need to take this implication into full account when we use Honamjeoluirok in the jobe of writing the history of the righteous activities in Honam.

      • KCI등재

        마한·백제권 고분과 합천 삼가고분군 다곽식고분의 비교 -전남지역 고총고분을 중심으로-

        최영주 ( Young-joo Choi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21 역사학연구 Vol.82 No.-

        본 논문은 마한·백제지역 가운데 전남지역의 고총고분 중 나주 복암리 3호분과 신촌리 9호분을 중심으로 합천 삼가고분군과의 고분의 축조 순서와 기술에 대해서 비교 검토하였다. 전남지역의 고총고분과 삼가고분군의 다곽식고분은 선행하는 매장시설을 인식하면서 다장을 통한 수직확장과 주구의 의례행위 등에서 공통적인 모습을 보인다. 하지만 양 지역의 고분은 고분의 입지와 분형, 매장시설과 위치, 고총화 방식과 축조기술 등에서 차이를 보였다. 그중에서 고분의 고총화 과정에서 양 지역의 고분에서 차이를 보인다. 전남지역 고총고분은 선행분구 조정과 수직확장을 통한 고총화를 했기 때문에 이에 맞는 구축기술이 필요로 했다. 그러나 삼가고분군에서는 중 소형분이 경사면을 따라 위쪽으로 봉분을 덧붙이는 방식으로 고총화를 했기 때문에 구축기술은 필요로 하지 않았다. 따라서 합천 삼가고분군의 ‘삼가식 다곽식고분’은 전남지역의 고총고분과 다르고 가야지역 어느 고분군과도 다른 삼가고분군만의 특징이다. 고대 가야사회의 일면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삼가고분군에 대한 정책적 지원과 학계의 관심과 노력이 절실하다. This paper compared and reviewed the construction sequence and technology of the ancient tombs with the Hapcheon Samga ancient tombs, focusing on Naju Bokam-ri tomb No. 3 and Sinchon-ri tomb No. 9 among the high-mounded tombs in the Mahan-Baekje area. The high-mound tombs in Jeollanam-do and multi-chambered ancient tombs in Samga ancient tombs have something in common that they were vertically expanded through many funerals and there were ritual behaviors in pits, recognizing existing burial facilities. However, the ancient tombs in the two regions differed in tomb's location and shape, burial facilities and locations, and the method of high mound and construction techniques. Among them, the ancient tombs in two regions differ in the process of high mound. The high-mound tombs in Jeollanam-do Province needed a corresponding construction technology because they became high mounds by adjusting existing burial mounds and expanding vertically. However, in Samga ancient tombs, the construction technology was not necessary because tombs were made by adding burial mounds upward along the slope of the small and medium-sized tombs. Therefore, the Samga-style multi-chambered ancient tomb in Hapcheon Samga ancient tombs is different from high-mound tombs in Jeollanam-do and any other ancient tombs in Gaya region. Samga ancient tombs are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aspects of ancient Gaya society, so policy support and academic interests and efforts are urgently neede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구논문 : 장성지역의 유학 전통과 특징

        고영진 ( Young Jin Koh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4 역사학연구 Vol.55 No.-

        이 글은 호남 유학의 형성과 발전 과정의 전형이라고 할 정도로 그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는 장성지역의 유학 전통과 그 특징을 살펴본 것이다. 장성지역의 유학은 약간의 차이가 없지 않았으나 전체 호남 유학의 흐름에서 크게 벗어나는 것은 아니었다. 즉 고려 말부터 16세기 전반까지 장성지역의 유학 전통은 서릉과 송흠ㆍ박수량에서 볼 수 있듯이, 향촌교화적인 성격을 가지고 기묘사림의 도학사상, 지치추의유학과 크게 다르지 않으면서도 효와 청렴, 지행합일의 강조 등 수기적이고 실천적인 측면을 중시하였다. 16세기 중반 이들의 사상을 계승하여 학문적으로 더욱 발전시킨 김인후는 향촌 교화에 대한 열망과 사심 없고 청렴한 지방관의 중요성, 지나치지 않음과 겸손함에 기반한 삶의 태도 등을 선배 학인들로부터 이어받았다. 여기에 성리학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천명도」, 「주역관상도」, 「서명사천도」 등을 저술하였으며 서경덕ㆍ정지운ㆍ이항ㆍ기대승ㆍ노수신 등과의 수준 높은 학술논쟁을 통해 성리학의 이론적 심화와 이이학파의 학설이 정립되는 데 선구적인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그의 학문적 위상은 문인들에 의해 발전적으로 계승되어 송시열과 정조에 의해 ‘도학과 절의ㆍ문장을 다 갖춘 사람’, ‘동방의 周子’, ‘호남의 공자’로 평가받으며 호남지역에서는 유일하게 문묘에 배향되었다. 또한 효와 충, 청렴과 절의, 지행합일을 강조하는 이 지역의 유학 전통은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장성 남문창의 등 활발한 의병활동으로 나타났으며, 여기에 민본적 성격까지 덧붙여져 한말 기정진의 위정척사상과 문인들의 사회경제 개혁책, 의병활동 등을 통해 다시 한번 구현되었다. 따라서 장성의 유학 전통과 특징은 호남 유학의 성격과 발전 과정의 전형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며 나아가 조선 사상계의 전체적인 흐름과도 궤를 같이하고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looks into the tradition and the characteristic of Confucianism in Jangseong Region. Confucianism in Jangseong region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stream of Confucianism in Honam province. From Goryo Dynasty to the mid-sixteenth centry in Joseon Dynasty Confucian tradition in Jangseong region had emphasized the sides of self-discipline and practice like Seo Reung, Song Heum and Park Soo-Ryang. Kim In-Hoo who much developed their thoughts played a leading role in theoretical deepening of Confucianism and a formulating of Yi I school’s theory. His thougths was succeeded by his disciples developmentally and he was considered as ‘the man who has a moral philosophy, fidelity and a literature’, ‘Zhou Dunyi(周子) of the East’ and ‘Confucius of Honam province’. He was only canonized into Confucian shrine among the Honam scholars. Confucian tradition in Jangseong region which emphasized filial piety and royalty, integrity and fidelity, uniting knowledge and conduct were succeeded to the Righteous Army as Jangseong Namun Changui(長城南門倡義). Futhermore It was realized as Ki Jeong-Jin’s expulsion of wickedness theory, his disciples’ socio-economic reformation and Righteous Army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refore it is no exaggerating to say that Confucian tradition and the characteristic in Jangseong region was a model of Confucianism in Honam province. It also had a same way of the general stream of the thinking world in Joseon.

      • KCI등재

        항일청년 최규창의 삶과 투쟁

        김홍길 ( Kim Hong-gil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8 역사학연구 Vol.72 No.-

        이 연구는 학생운동과 농민운동에 참여자 최규창에 대한 연구였다. 최규창은 영암 구림에서 성장했고, 아동기에 3.1운동을 겪었다. 본격적인 항일운동 참여로 총 3차례 옥고를 치렀다. 학생맹휴(1928), 광주학생독립운동(1929), 영암농민운동(1932)을 겪은 후 그가 직면한 두 개의 현실은 민족의 운명에 대한 책임과 부친의 사망으로 가족의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처지였다. 항일은 긴 투옥으로 이어졌고, 가족의 비극과 가난을 수반했다. 광주학생운동으로 두 번의 옥고를 치르고, 1931년 동아일보 기자가 되지만, 1932년 영암농민운동으로 투옥된다. 1937년 호남평론 광주특파원을 맡지만 중일전쟁으로 활동이 중단된다. 1939년 전남도청 촉탁을 맡았고 사상보국동맹에 참여했지만 대화숙이나 일본 감시당국의 예방구금에 동원되고 감시당했다. 그는 학파농장에 의탁도 해보고, 양복점도 운영했지만 궁핍을 개선할 수 없었다. 해방 후 그는 건국준비위원회에 참여했고, 1946년 호남신문 기자가 되었다. 그후 1948년 겨울 조선중앙일보 기자가 된다. 좌우갈등 속에서 그는 잘 적응하지 못했다. 그러나 1949년 여름 갑자기 폐렴으로 사망했다. 그는 항일투사였지만, 철저한 사회주의자는 아니었다. 그의 삶이 항일활동을 통해 충분히 대변되지는 않는다. 시련의 시기에 따라 처세했지만 그렇다고 친일의 길로 가지도 않았다. 최규창의 삶과 죽음은 당시 호남청년의 삶의 일부를 반영한다. 우리는 시대 상황과 아픔을 통해 그 시대의 진실에 다가갈 수 있는 것이다. The study is about the life of Choi Kyu-chang, a student activist and a farmer's activist. Choi grew up in Yeongam Gurim, He was imprisoned for three times by anti-Japanese movement that including Student Solidarity(1928), the Gwangju Student Movement(1929), and the Yeongam peasant uprising (1932). He faced to The two realities which is family responsibilities and national responsibility. The day led to long imprisonment, accompanied by family tragedy and poverty. He became a reporter for the Dong-A Ilbo in 1931, but he was imprisoned for the farmers' movement, and became a special correspondent for the Honam Criticism in 1937, but was suspended due to the second Sino-Japanese War. he was commissioned by the South Jeolla provincial government in 1939, but was detained in the Sasang Security Alliance(思想報國聯盟) and Gwangju Daehwasuk(光州大和宿). He leaned on a school farm and ran a tailor's shop, but It can’ not improve poverty. After his liberation, he joined the committee and became a reporter for the Honam newspaper in 1946. Then he became a reporter for the Chosun JoongAng Ilbo in the winter of 1948. He didn't adjust well in the conflict. But in the summer of 1949, he suddenly died of pneumonia. He was an anti-Japanese fighter, but he was not a complete socialist. His life is not fully represented through anti-Japanese activities. Despite the circumstances of the ordeal, he did not go to the path of pro-Japanese collaborators. Choi's life and death reflect part of the tragedy. We can approach the truth of the time through its reality and pa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