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 아카이브 특성화 방안 연구

        이한솔 한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대학 아카이브를 기관 아카이브의 관점에서 모기관인 대학의 사명과 이를 실현하기 위한 전략적 특성을 고려한 대학 아카이브 특성화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대학 기록과 대학 아카이브에 대한 주요한 문헌을 살펴보고 국내외 대학에서 대학의 특성에 따라 특성화된 대학 자원을 활용하여 운영하는 아카이브에 대한 사례연구 및 해당 사례 담당자와의 인터뷰 조사를 수행하였다. 이에 따라 대학 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대학 아카이브 특성화 방안을 특성화 기반의 기록화 전략과 특성화와 연계된 운영상의 변화의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특성화 기반 기록화 전략은 대학이 특성화된 방향에 따라 대학의 자원을 활용하여 아카이빙 해야 한다. 또한 이러한 특성화 된 아카이브는 아카이브의 목적과 이용 대상을 명확히 하여 제공하는 정보 및 서비스를 쉽게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변화해야한다. 따라서 특성화와 연계된 아카이브 운영상의 변화는 세 가지로 정리하였다. 첫째, 종전의 공공 기록 위주의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 분석을 통한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가 아니라 대학 아카이브가 대학에서 특성화 된 자원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이용자 중심 서비스로 개편되어야 한다. 둘째, 이용자 중심 서비스에서 나아가 이용자에 대한 관점을 단방향으로 서비스를 제공해야하는 이용자로만 보는 것이 아니라 이용자의 직접 참여를 통하여 쌍방향으로 이용자와 생산자의 경계가 없는 프로슈머로 인식하는 정책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셋째, 이러한 변화를 통해 더 많은 사람들과의 긴밀한 관계 속에서 아카이브가 기록자들의 적극적인 활동을 위한 플랫폼이 되기 위해 아키비스트의 새로운 역할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university archive characterization plan that considers the mission of the university, the parent institution, and the strategic characteristics to realize it from the perspective of institutional archives. To this end, major literature on university records and university archives were examined, and case studies and interviews with relevant case managers were conducted on archives operated by domestic and foreign universities using university resources specializ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ies. Accordingly, a plan to characterize university archives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university characteristics was presented in terms of a characterization-based recording strategy and changes in operation linked to characterization. The characterization-based recording strategy should be archived using the university's resources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university is specialized. In addition, these specialized archives should be changed to make it easier to access and use the information and services provided by clarifying the purpose and use of the archive. Therefore, changes in archive operation related to characterization were described into three categories. First, it should be reorganized into a user-centered service so that university archives can fully utilize the resources specialized in universities, not user-centered services through user analysis of previous public record-oriented services. Second, beyond user-centered services, the perspective on users should not be viewed only as users who need to provide services in one direction, but should be converted to policies that recognize users as prosumers without boundaries between users and producers through direct participation. Third, through these changes, in close relationships with more people, the archive proposed a new role of Archivist to become a platform for active activities for recorders.

      •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과의존의 관계 : 감각처리와 심리사회적 변인의 매개효과

        김명구 한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최근 코로나 팬데믹 시기동안 사회적 거리두기로 일상이 변화되었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대학생들이 겪는 생활 스트레스가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감각처리 능력과 심리사회적 요인인 코로나로 인한 대인관계 어려움, 우울, 불안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진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국내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설문을 진행하였고 최종 213명의 대상자를 모집하였다. 설문지의 구성내용은 연구 참여에 대한 안내 및 협조 동의서,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 척도(RLSS-CS), 스마트폰 과의존 척도, 청소년/성인 감각프로파일(AASP), 우울 척도(CES-D-10), 불안 척도(GAD-7), 그리고 인구통계학적 질문 문항이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에는 기초 통계와 t검정, 피어슨 상관분석,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과 소벨 테스트(Sobel test)가 사용되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 사용 현황에서 참가자의 25.8%가 스마트폰 과의존군에 해당하였다. 스마트폰 주사용 기능에 대한 조사결과 남성의 주사용 기능은 커뮤니케이션, 여가사용, 정보검색 순이었고, 여성의 주사용 기능은 여가사용, 커뮤니케이션, 정보검색 순이었다. 스마트폰 일반사용자군의 주사용 기능은 커뮤니케이션, 여가사용, 정보검색 순이었고, 스마트폰 과의존군의 주사용 기능은 여가사용, 커뮤니케이션, 쇼핑, 정보검색 순이었다. 둘째, 성별에 따른 집단 간 차이로, 여성은 남성에 비해 대학생활 스트레스, 스마트폰 과의존, 코로나로 인한 대인관계 어려움, 우울과 불안에서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스마트폰 과의존군의 경우 일반사용자군에 비해 대학생활 스트레스, 감각추구, 코로나로 인한 대인관계 어려움, 우울과 불안 모두에서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셋째, 주요변인들 간의 상관분석 결과, 스마트폰 과의존은 대학생활 스트레스, 감각추구, 코로나로 인한 대인관계 어려움, 우울, 불안 변인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넷째, 위계적 다중 회귀 분석 결과 대학생활 스트레스는 스마트폰 과의존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에 대해 감각처리의 감각추구 영역과 코로나로 인한 대인관계 어려움은 유의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우울과 불안의 경우 대학생활 스트레스의 하위 차원인 대학생의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만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심리사회적 요구와 스트레스를 받는 대학생들을 스마트폰 과의존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life stress on overdependence on smartphone among university students whose life was affected by social distancing during the COVID-19 pandemic period. Sensory processing and psychosocial factors including difficulties in interpersonal relations due to COVID-19, depression and anxiety were also checked for their mediating effect. Online and offline surveys were conducted with students studying at universities in Korea and 213 respondents were selected as subjects. The surveys consisted of instructions about participation in the study, consent forms, Revised Life Stress Scale-College Students (RLSS-CS), Smartphone Overdependence Scale, 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 (AASP),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Scale-10 (CES-D-10), Generalized Anxiety Disorder-7 (GAD-7), and demographic question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25.8% of the participants belonged to the smartphone overdependence group. Major uses of smartphone included communication, pastime, and information search for male students and pastime,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search for female students. Subjects in the group of typical users used smartphone mainly for communication, pastime, and information search while their counterparts in the group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used smartphone mostly for pastime, communication, shopping, and information search. Second,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groups depending on gender; females earned higher scores than males in stress from university life, overdependence on smartphone, and difficulties in interpersonal relations due to COVID-19, depression, and anxiety. The group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earned higher scores than the group of typical users in stress from university life, sensation seeking, and difficulties in interpersonal relations due to COVID-19, depression, and anxiety. Third, correlation analysis of major variable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stress from university life, sensation seeking, and difficulties in interpersonal relations due to COVID-19, depression, and anxiety. Fourth,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und that stress from university life had a positive effect on overdependence on smartphone with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f sensation seeking of sensory processing and difficulties in interpersonal relations due to COVID-19. Depression and anxiety had a mediating effect onl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stress, a sub-scale of stress from university life and overdependence on smartphone. Based on these findings, measures are discussed to protect university students, who are under various psychosocial pressure and stress, from overdependence on smartphone.

      • 설명책임성을 위한 사립대학 기록관리기준표의 개발

        정진우 한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55

        University is a unique social group that consists of professors, students, and faculty member pursuing truth. In addition, it is a cradle for academy and knowledge inheriting and developing intellectual culture, while producing the intelligent necessary in society and locality. Incessant development of the university leads to brighter future of the nation and an important asset and indicative for measuring social capacity. The university in the early days of Korean society conducted intrinsic mission of higher education institute, led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while speaking out a sound criticism. Since the middle of 1980s, however, the university started to expand in quantity and compete each other due to new liberalism policy including the former President Roh's "private university tuition liberalization" and the former President Kim Young-sam's "Establishment of university Normativsystem". As a result, present private university took charge of 86% of higher education and brought about various problems such as ambiguous tuition raise, management's reserve payment, unnecessary engineering project, cartel between the political authority and private school conglomerates, etc. This situation discolors mission of education, research, and social contribution by the university and negatively affect the future of the nation as well as the locality. What seems to diagnose and prevent private university from these problems is to secure 'accountability'. Accountability explains transparency and legitimacy of accountable administration and soundness for positive communication based upon evidentiality of every records. In addition, it keeps memory and history of private university and hands down onto later generation ideology of establishment of school and identity. But, at present recordkeeping of private university is located at a dead zone compared with other fields, and to solve this problem first of all, 'recordkeeping criteria table,' a controlling tool for recordkeeping shall be developed. Moreover, recordkeeping criteria table shall include the functions required to perform accountability as aforesaid. Accordingly, in this study, I would like to set forth private university recordkeeping criteria table for development accountability. To do so, at first, I have looked into definition of private university accountability and necessity of recordkeeping criteria table as a theoretical review of private university recordkeeping criteria table for the necessity of accountability. In addition, I have also analyzed factors of accountability as included as well as considerations in the event of developing recordkeeping criteria table. Secondly, I have drawn out analytic method of records classification system, 'essential production records' for accountability and type of 'publication records type', criteria for 'retention schedule' related to life-or-death-authority of the records based upon records properties as a development methodology of private university recordkeeping criteria table. Thirdly, I have applied to Hanshin University such theory and methodology drawn out as a real development case of the private university recordkeeping criteria table. 대학은 진리탐구를 목적으로 하는 교수, 학생, 교직원으로 이뤄진 독특한 사회집단이다. 또한, 학문과 지성의 요람으로서 고도의 지적문화를 전승하고 발전시키며, 교육을 통해 사회에 필요한 지성인을 배출하고 지역사회 속에서 다양한 형태로 봉사한다. 이처럼 대학의 부단한 발전은 국가의 미래이며 사회적 역량을 가늠하는 척도이자 중요한 자산이다. 초기 한국사회의 대학은 앞선 고등교육기관의 본연적 사명을 실천해 왔고, 민주화운동의 선구에 서는 등 사회의 모순에 대해 건전한 비판의 목소리를 내어왔다. 그러나 1980년대 중반 이후 신자유주의 논리를 바탕으로 한 노태우 정부의 "사립대 등록금 자율화 조치"와 문민정부의 "대학설립 준칙주의"로 인해, 대학은 양적으로 팽창하기 시작했고 경쟁이 심화하였다. 이 결과, 현재 사립대학은 고등교육의 약 86%를 담당하게 되었고 불투명한 등록금 인상, 경영진의 적립금 납입, 불필요한 토건사업, 정치권과 사학재벌의 카르텔 등 다양한 문제를 낳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대학의 교육・연구・사회봉사 사명을 퇴색시키며, 대학에서 배출된 지성인들이 책임질 지역사회와 국가의 미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반드시 해결해야 할 시대적 과업이 되었다. 사립대학의 이와 같은 문제들을 진단하고 예방케 하는 것은 기록을 통한 '설명책임성'의 확보이다. 설명책임성은 기록이 갖는 행위의 증거성을 바탕으로 책임행정의 투명성과 정당성, 구성원들의 순기능적인 의사소통을 나타내는 건전성을 내・외부에 설명한다. 또한, 사립대학의 기억과 역사를 보존하고 각 학교에 따라 달리 나타나는 건학이념과 정체성을 후대에 전승한다. 하지만 현재 사립대학의 기록관리는 다른 영역에 비해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상황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우선 기록관리를 위한 통제도구인 '기록관리기준표'를 개발해야 한다. 더불어 기록관리기준표는 앞서 언급한 필요성에 따라 설명책임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이 포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설명책임성을 위한 사립대학 기록관리기준표의 개발에 관하여 개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설명책임성을 위한 사립대학 기록관리기준표의 이론적 검토로서 사립대학 설명책임성의 정의와 기록관리기준표의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기록관리기준표의 개발 시 고려사항과 여기에 포함될 설명책임성 요소를 분석하였다. 둘째, 사립대학 기록관리기준표의 개발 방법론으로서 기록 속성에 기반한 기록분류체계 분석방법, 설명책임성을 위한 '필수생산기록'과 '공표기록유형'의 종류, 기록의 생사여탈권과 관련된 '처분지침' 기준을 도출하였다. 셋째, 사립대학 기록관리기준표의 실제 개발 사례로서 앞서 도출된 이론과 방법론을 한신대학교에 적용해 보았다.

      • 대학 아카이브의 참여전시 활성화 방향 연구

        정해인 한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55

        As a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the university conducts educational work for students. In addition, students who have undergone the university curriculum go to society and become members of the society's composition and development. However, theoretical education alone cannot be a talent who performs social virtues. Based on theoretical higher education, university students can develop various skills such as teamwork, creativity, and sociality by performing numerous activities such as student autonomy, clubs, and small groups in the department over the years. In addition, universities are located in one area for a long time, and each university has its own history and culture, and promotes universities based on them. In addition, they try to perform the tasks of the institution by conducting programs for local residents in connection with the region, away from targeting students. These phenomena suggest that universities should not only carry out educational tasks, but also create a continuous communication posture for internal members of the university, especially students and even local residents, and create a communication venue for this. However, due to COVID-19, universities did not conduct or conduct non-face-to-face classes and internal programs of universities for about two years from 2019 to 2021. This led to a break in communication between universities, internal and external members, students and professors, and students. In addition, as non-face-to-face classes led to fewer visits to universities, students did not pay attention to the identity and history of the university, and student autonomy activities also decreased, and the sense of community solidarity and belonging in the school was also reduced. The university archive can actively utilize the recording service sector, which has been sluggish so far, especially exhibitions that can be easily interested by many users, to solve the problems and tasks of the parent institution, and play the role of the institution. However, traditional wall exhibitions in the form of one-sided information transmission cannot solve university tasks such as disconnection of communication and deterioration of community cohesion. In order to give the members of the school a sense of belonging to the community, increase solidarity, and create a place of communication, the university archive should now hold a participatory exhibition involving users. In the overall process of the exhibition, cooperation with the student community can further maximize the educational and promotional effects of the existing exhibition, increase interest in records and record management as students face-to-face with records, and improve their sense of belonging to the community.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and exchange through participation due to participation exhibition with the student community, university archives can reach students by familiarizing the image of the institution, and students can recognize that university archives are essential for recording activities. In addition, the exhibition of participation through cooperation with students develops and strengthens students' creativity, teamwork, and communication skills, and enables them to seek a new career path through job experience. This effect is not limited to the student community. The university archive can show this attitude of communication to the local community, further establish the regional identity and culture of the institution through connection with local residents, and become an institution necessary for external members, not internal members of the university. 대학은 고등교육기관으로서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 업무를 수행한다. 또한 대학의 교육과정을 거친 학생들은 사회로 나아가 사회를 구성하고 발전을 도모하는 일원이 된다. 하지만 이론적인 교육만으로는 사회적인 덕목을 수행하는 인재가 될 수 없다. 이론적인 고등교육을 바탕으로 대학의 학생들은 수년간 학생자치, 동아리, 과 내 소모임 등 수많은 활동들을 수행하며 팀워크, 창의성, 사회성 등 여러 가지의 역량을 개발할 수 있다. 또한 대학은 한 지역에 오랫동안 위치하여 각 대학들만의 역사와 문화성을 가지고 있고 이를 바탕으로 대학을 홍보한다. 그리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것을 벗어나 지역과도 연계하여 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수행하며 기관의 업무를 수행하려 한다. 이런 현상들은 대학은 교육의 업무만 수행할 것이 아니라 대학 내부 구성원들, 특히 대다수 구성원인 학생들과 나아가 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지속적인 소통의 자세가 필요하며, 이를 위한 커뮤니케이션의 장을 자주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코로나19로 인해 대학은 2019년부터 2021년까지 약 2년의 시간동안 비대면 수업을 비롯하여 대학 내부 프로그램들까지 비대면으로 진행하거나 진행하지 않았다. 이는 대학과 내부 및 외부 구성원들, 학생과 교수, 학생들 간의 소통의 단절을 불러왔다. 또한 비대면 수업으로 인해 대학으로 향하는 발길이 뜸해지면서 학생들은 대학의 정체성 및 역사성에 주목하지 않고 학생자치활동 또한 줄어들며 학내 공동체 결속력과 소속감 또한 저하될 수 밖에 없었다. 대학 아카이브는 그동안 부진했던 기록서비스 분야, 특히 많은 이용자들이 쉽게 흥미를 느낄 수 있는 전시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모기관인 대학의 문제와 과제를 해결하고 기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일방적인 정보전달 형식의 전통적 벽면전시로는 현실적으로 당면한 소통의 단절 및 공동체 결속력 저하 등 대학의 과제를 해결할 수 없다. 학내 구성원들의 공동체 소속감을 부여하고 결속력을 높이고, 소통의 장을 만들기 위해서 대학 아카이브는 이제 이용자들이 참여하는 참여전시를 진행해야 한다. 전시의 전체적인 과정에서 학생 공동체와 협력하여 진행하는 것은 기존 전시의 교육, 홍보효과를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고 학생들이 직접 기록물을 마주하고 다루게 되면서 기록물 및 기록관리에 대한 관심 증진이 가능하고 제일 중요한 적극적 소통과 공동체 소속감 향상을 가능하게 한다. 뿐만 아니라 대학 아카이브는 학생 공동체와의 참여 전시로 인해 참여를 매개로 하여 일어나는 소통 및 교류의 과정에서 대학 아카이브는 기관의 이미지를 친숙하게 하여 학생들에게 다가갈 수 있고, 학생들은 기록 활동을 하는데 있어 대학 아카이브가 꼭 필요한 기관이라고 인식 할 수 있다. 또한 학생들과의 협력을 통한 참여 전시는 학생들의 창의성, 팀워크, 의사소통능력을 개발 및 강화시켜주며 직업체험을 통한 새로운 진로 모색을 가능하게 한다. 이런 효과는 학생 공동체에게 국한되어 있지 않다. 대학 아카이브는 지역 공동체에도 이와 같은 소통의 자세를 보여줄 수 있고, 지역주민들과의 연계를 통하여 기관의 지역정체성과 문화성을 더욱 확립하고 대학 내부구성원이 아닌 외부 구성원에게도 필요한 기관이 될 수 있다.

      • 대학기록의 편찬 방법과 절차 : 한신대학교 민주화운동 자료집 편찬을 중심으로

        성진아 한신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과거의 기록물관리는 기록물의 행정적․학술적․문화적으로 가치 있는 대학의 기록물을 수집하고 관리․보존하는 것만을 주요 기능으로 보았다. 그러나 기록물을 이용하고자 하는 이용자들의 요구와 흥미가 다양해지고 있으며 기록물의 활발한 이용을 촉진․장려하는 이용서비스가 중요한 임무로 부각되게 되었다. 기록물의 이용을 활발히 하기 위해 편찬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출판물이라 함은 일차적 발행목적이 기록물관리기관에 대한 이해와 자원을 유도하고, 잠재적 이용자의 이용욕구를 자극하는 것이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자료집 편찬과정에서 계획, 수집, 정리와 기술, 선별과 평가의 과정을 한신대학교 개교 70주년 민주화운동 자료집 편찬과정을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효과적인 편찬과정을 모색해보았다. 이러한 최종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첫째, 구체적인 사례로 한신대학교의 자료집 편찬과정을 중심으로 계획단계에서부터 수집, 정리와 기술, 선별과 평가에 이르기까지의 대학 기록 자료집의 특성을 알아보고 단계별 진행 절차와 방법을 정리하고, 둘째, 편찬 과정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그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이 연구는 아직까지 체계적으로 수집⋅관리되지 못한 한신대학교 민주화운동 관련 자료를 계획, 수집, 정리와 기술, 선별과 평가 등의 편찬방법과 절차를 살펴봄으로서 국내 민주화운동에 관한 자료집 편찬 방법에 도움을 줄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국내와 외국 자료집 편찬과정 방법의 사례가 전무하여 조사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아직 대학기록관에서의 자료집 편찬은 시작 단계이기는 하나 다양한 시각에서 대학기록물의 여러 측면을 분석할 수 있는 연구들의 끊임없는 문제 제기와 개선을 통해 진정한 기록정보의 활용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 체육계열 대학수험생의 성취목표지향성과 불안의 관계

        방성욱 한신대학교 스포츠재활과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 연구에서는 체육계열 대학수험생의 성취목표지향성과 불안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대상으로는 경기도에 있는 체육계열대학의 수험생을 모집단으로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체대입시생과 체대입시 전문학원에 다니는 수험생을 대상으로 집락무선표집법에 의해 총 282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로는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설문지구성은 성취목표지향성으로는 Elliott(1999)와 Pintrich(2000) 및 Elliott와 McGregor(2001)이 제시한 성취목표지향성 이론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중등학생들에 맞게 김아영과 이주화(2005)에 의해 타당화된 척도를 사용하였다. 불안의 설문내용은 Spielberger, Grosuch 및 Lushene(1970)이 개발한 검사지를 한덕웅, 이창호와 탁진국(1993)이 표준화 한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이에 따른 자료처리는 SPSS 15.0 Version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원변량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체육계열 대학수험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성취목표지향성과 불안은 차이가 있다. 우선 성취목표지향성에 있어 활동빈도가 낮을수록 숙달회피정도가 높았으며, 활동강도가 낮을수록 수행회피정도가 높았다. 또한 불안정도는 여성에 비해 남성이 높았으며, 활동빈도가 높을수록 불안정도가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활동기간이 길수록 특성불안이 낮게 나타났으며, 활동강도가 높을수록 특성불안이 낮았다. 둘째, 체육계열 대학수험생의 성취목표지향성은 불안에 영향을 미친다. 성취목표지향성의 하위변인 중 수행접근과 숙달접근이 높을수록 상태불안과 특성불안은 낮으며, 수행회피가 높을수록 상태불안은 높고, 특성불안의 경우는 수행회피와 숙달회피가 높을수록 특성불안이 높았다.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anxiety of physical education college test-taker. To achieve the purpose, 282 subjects from high school and entrance examination academy in test-taker who are physical education college test-taker, sampled by the cluster random sampling method. The survey questionnaire were 1)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developed by Kim & Lee(2005) and 2) the anxiety developed by Spielberger, Grosuch & Lushene(1970) and standardized in the Korea language by Han, Lee & Tak(1993). The statistical methods utilized in the study for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were one-way ANOVA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5.0.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 Firstly,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anxiety different by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physical education college test-taker. Secondly,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influences anxiety different by of physical education college test-taker.

      • 대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양육태도와 진로스트레스의 관계 : 성역할 고정관념의 매개효과와 자율성의 조절효과

        조준혁 한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진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 관계에서 성역할 고정관념의 매개효과와 자율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대학생 333명을 대상으로 진로스트레스 척도(Career Stress Inventory : CSI), 한국판 부모자녀 결합 형태검사(The Parent Bonding Instrument-Korean version), 성역할 고정관념 척도, 자율성 척도를 사용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28.0과 PROCESS Macro version 4.0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각된 부모 양육태도의 돌봄과 과보호 차원은 성역할 고정관념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둘째, 성역할 고정관념은 진로스트레스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셋째, 지각된 부모 양육태도의 돌봄과 과보호 차원은 진로스트레스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넷째, 성역할 고정관념은 부모양육태도의 돌봄과 과보호 차원 및 진로스트레스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였다. 다섯째, 자율성은 부모양육태도의 돌봄과 과보호 차원이 성역할 고정관념을 거쳐 진로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경로에서는 유의한 조절효과를 나타냈으나 진로스트레스로의 직접경로에 대한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주목하여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confirm the effect of parenting attitudes of parent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on career stress and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gender role stereotype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autonomy in this relationship. To verify this, 333 college students were surveyed online using the Career Stress Inventory (CSI), the Korean version of the Parent Bonding Instrument-Korean version, the gender role stereotype scale, and the autonomy scale, and analyzed using SPSS 28.0 and PROCESS Macroversion 4.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care and overprotection of perceived parental attitude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gender role stereotype. Second, the gender role stereotype significantly affected career stress. Third, the level of care and overprotection of perceived parental attitude significantly affected career stress. Fourth, the gender role stereotyp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re and overprotection dimension of parental parenting attitude and career stress. Fifth, autonomy showe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in the indirect path in which the care and overprotection dimension of parental parenting attitudes influenced career stress through gender role stereotypes, but the moderating effect in the direct path was not significant. Based on these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by paying attention to the variables affecting the career stress of college students.

      • 일상아카이브 방법론을 통한 새로운 대학기록 수집방안 : 학생공동체 기록을 중심으로

        오윤택 한신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23

        대학에서 학생들은 자신들의 소속, 관심사 등을 중심으로 공동체를 구성한다. 이른바 학생 공동체라 불리며, 학생회·동아리의 형태가 대표적이다. 이를 중심으로 학생들은 대학에서 다양한 활동을 수행하며, 그러한 경험을 축적하고 계승한다. 대학에서 학생들이 차지하는 비율은 절대적으로 높으며, 이들이 수행하는 활동은 해당 대학의 모습을 가장 잘 보여주는 사항이라 할 수 있다. 학생들의 자치활동을 역사로 남기고자 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먼저 활동 자체가 기록으로 남기 어려운 부분들이 많다는 점, 대학에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지만 머물러 있는 시간이 짧다는 점, 자치활동의 운영주체가 1년 단위로 계속 교체된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그 외에도 대학기록관을 중심으로 하는 기록을 관리하는 역사가 그리 길지 않았다는 점, 기록의 생산시점과 수집시점의 간격이 매우 크다는 점 등도 중요하게 작용한다. 따라서 이를 수집하고 관리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었다. 이를 계속 반복할 이유에 대한 의문이 본 연구의 출발점이며, 그에 대한 해답으로는 수집 이전 단계에서 기록을 관리하는 문화의 정착과 확산이었다. 수집 이전 단계의 기록 관리를 고민한 계기는, 좋은 수집계획이 있어도 수집해야 하는 기록이 없으면 소용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학기록관 입장에서는 수집 이전 단계에서 기록이 어떠한 형태로든 남아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고민한 것이 일상아카이브(Everyday life Archives)였으며,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참여형 아카이브(participatory archives)와 영국식 공동체 아카이브(community archives in the UK)였다. 두 방법의 공통점은 수집기관과 공동체간의 협력관계를 중시한다는 점이다. 이는 대학에서 학생 공동체의 기록을 적극적으로 수집하기 위해서는 두 주체간의 협력관계가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학생 공동체의 기록은 단순히 일회성 수집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수집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집과, 수집이전단계의 기록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지가 목적이다. 수집기관과 공동체간의 협력을 통한 수집활동으로 참여형 아카이브를 고민했으며, 수집이전단계의 기록을 관리하는 문제는 영국식 공동체 아카이브로 고민했다. 이를 통해 얻고자 한 것은 대학기록관과 학생 공동체간의 협력을 통한 기록 관리의 정착, 자체적인 기록 관리 문화가 정착됨에 따라 점차 확산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학생 공동체가 지속적으로 자신들의 기록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환경의 조성이다. 이를 위해 한신대학교 한국사학과 학생회에서 학생들 스스로 기록을 관리하는 것을 시도했지만, 지속성의 문제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비록 만족할만한 성과를 거둔 것은 아니지만, 과정을 통하여 대학기록관이 어떠한 역할을 수행해야 할지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을 것이다.

      • 심리운동 교육이 대학생의 인성에 미치는 영향

        권호성 한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심리운동 교육활동이 그들의 인성에 미치는 영향, 특히 예방적 효과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는 H대학교에서 현재 피교육자로서 심리운동 교육을 받고 있는 26명을 대상으로 13주간 주 1회 실시하였으며 다면적 인성검사 2(MMPI-2)를 적용하여 사전, 사후로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MMPI-2 타당도 척도 및 임상 척도에서는 Ma(경조증) 척도를 제외한 모든 척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평균적으로는 차이를 보였으나, 전 ․ 후 모두 정상범주에 속하고 있다. 둘째, MMPI-2 재구성 임상 척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평균적으로는 차이를 보였으나, 전 ․ 후 모두 정상범주에 속하고 있다. 셋째, MMPI-2 성격병리 5요인 척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평균적으로는 차이를 보였으나, 전 ․ 후 모두 정상범주에 속하고 있다. 넷째, MMPI-2 내용 척도에서는 ASP(반사회적 특성), LSE(낮은 자존감)척도를 제외한 모든 척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평균적으로는 차이를 보였으나, 전 ․ 후 모두 정상범주에 속하고 있다. 다섯째, MMPI-2 보충 척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평균적으로는 차이를 보였으나, 전 ․ 후 모두 정상범주에 속하고 있다. 본 연구 결과 심리운동 교육이 대학생들 사회적, 심리적 부분에서의 안정감에 상당한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인성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을, 특히 예방적 차원에서나 교육적인 면에서도 효과가 있었다고 사료되어 진다. 따라서 심리운동 교육은 부적절한 인성에 예방적 차원으로 심리운동이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으며, 꾸준한 심리운동 교육을 통해 대학생의 스트레스를 적절히 해소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볼 수 있었기 때문에, 정신문제로 야기되는 자살 및 우울증, 인터넷게임 중독 등의 예방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psychomotor education of university students on their personal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26 "H"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then taking a course on psychomotricity. The study lasted for 13 weeks with MMPI-2 administered once a week before and after each clas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in all MMPI-2 measures, with the exception of validity scale, clinical scale, and Ma scale, though there were no substantial statistical differences on the scales and both before and after test results fell under normal range, differences on average were observed. Secondly, there were no substantial statistical differences and both before and after results fell under normal range, differences on average were observed. Thirdly, though there were no substantial statistical differences on MMPI-2 Personality Psychopathology Five Scales and both before and after results fell under normal range, differences on average were observed. Fourthly, in all MMPI-2 scales, with the exception of ASP and LES scales, there were no substantial statistical differences and both before and after results fell under normal range, differences on average were observed. Fifthly, on MMPI-2 supplementary scale, though there were no substantial statistical differences and both before and after results fell under normal range, differences on average were observed. This study suggests that psychomotor education on university students may be effective as a preventive measure for psychopathology.

      • 대학생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

        정희선 한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대학생의 심리사회적 변인 중 아동기 학대 경험, 우울, 절망, 대인관계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지역에 위치한 4년제 종합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817명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에는 783부가 사용되었다. 설문에 사용된 연구도구는 성인 스마트폰 자가진단 척도(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Scale for Adult), 아동 학대 및 외상 척도(Child Abuse and Trauma Scale), 우울 척도(Center of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Scale), 절망 척도(Beck Hopelessness Scale), 대인관계 척도(Relationship Change Scale)이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 사용실태에서 연구 대상자 783명(100%) 모두 스마트폰을 사용하였으며, 하루 평균 3시간 이상 사용자는 459명으로 58.6%였으며, 스마트폰 사용 내용에서 SNS 이용자는 76.8%였고, SNS 인맥이 100명 이상인 경우가 71.3%, SNS 유지 인맥이 소수인 경우 35.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스마트폰 중독 점수에 따라 집단을 분류한 결과, 일반 사용자군은 80.2%,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은 11.6%, 고위험 사용자군은 8.2%로 연구대상의 19.8%가 스마트폰 중독 위험군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마트폰 중독 척도에 따른 세 집단 간(일반 사용자군,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 고위험 사용자군) 아동기 학대 경험, 부정적 가정환경 및 방임, 우울, 절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스마트폰 중독 척도에 따른 두 집단 간(일반 사용자군,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고위험 사용자군)에서는 대인관계의 만족감, 이해성에서 추가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스마트폰 중독 위험 사용자군일수록 아동기 학대 경험, 부정적 가정환경 및 방임에 더 많이 노출되었고, 우울과 절망 수준도 높게 나타나며, 대인관계에서 만족감과 이해성이 더 낮게 나타났다. 셋째, 다중회귀분석결과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model Ⅰ은 성별, 연령, 아동기 학대 경험, 우울, 절망, 대인관계가 모두 투입되어 13.7%의 설명력을 나타냈다(F=21.410, p<.001). model Ⅱ에서는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설명력이 가장 낮은 대인관계 변수가 제거되어 13.8%의 설명력을 나타냈다(F=25.701, p<.001). model Ⅲ에서는 절망, 대인관계 변수가 제거되어 13.9%의 설명력을 나타냈으며(F=31.998, p<.001), 우울, 아동기 학대 경험 순으로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성향에는 정신건강 요인인 우울감과 아동기 부모자녀 관계요인인 아동기 학대경험이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밝혀졌다. 그러므로 스마트폰 중독에 관한 이해 및 중재와 예방에 있어서 심리사회적 변인에 대한 고려의 중요성을 다시금 제안하는 바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psychosocial variables of college students – child abuse, depression, hopelessness, and relations – on smartphone addiction. A survey was conducted for 817 male and female students in a four-year university located in Gyeonggi-do, and 783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Research instruments included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Scale for Adult, Child Abuse and Trauma Scale, Center of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Scale, Beck Hopelessness Scale, and Relationship Change Scal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20.0.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ll subjects (783 students) were using smartphones and 58.6% of them (459 students) used them at least three hours a day. In terms of the contents that they used, 76.8% of the students used SNS: 71.3% of them had more than 100 SNS friends and 35.8% of them continued to maintain friendship with the SNS friends, which was the highest percentage in terms of the number of SNS friends with whom friendship was maintained. According to the scores of smartphone addiction, 80.2% of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as general users while 11.6% and 8.2% of them were at potential risk and high risk respectively. In other words, 19.8% of the subjects were at risk of smartphone addiction. Secon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erms of child abuse, negative home environment and neglect, depression, and hopelessness between the three groups (general use, potential risk of addiction, and high risk of addiction) based on the smartphone addiction scale.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also found in terms of satisfaction and understanding in relations between the two groups (general use and potential risk of addiction & high risk of addiction) based on the smartphone addiction scale. A higher level of addiction was linked to a higher level of exposure to child abuse, negative home environment and neglect, a higher degree of depression and hopelessness, and a lower level of satisfaction and understanding in relations. Third, based 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odel I, which included all variables affecting smartphone addiction such as gender, age, child abuse, depression, hopelessness, and relations, showed13.7%ofexplanation(F=21.410,p<.001). Model II did not include the variable of relations which had the lowest degree of explanation and showed 13.8% of explanation (F=25.701, p<.001). Model III excluded the variables of hopelessness and relations and recorded 13.9% of explanation (F=31.998, p<.001). Depression had the biggest effect on smartphone addiction followed by child abuse. The findings revealed that depression, a mental health factor, and child abuse, a parent-child relationship factor, affected smartphone addiction of college students. The significance of psychosocial factors should be reconsidered in understanding, mediation, and prevention of smartphone addi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