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박물관 초등학교 대상 교육프로그램 개발 : 한신대학교 상설전시를 중심으로

        조성래 한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79

        박물관은 수집, 보존, 연구, 전시, 교육의 기능을 담당하는 사회적기구로서 그 교육적 기능에 대해 국제박물관협의회의 정관과 전문적인 윤리요강은 “박물관은 사회와 사회의 발전에 이바지하고, 공중에게 개방되는 비영리적인 항구 기관으로서 학습과 교육, 위락을 위해 인간과 인간의 환경에 대해 물질적인 증거를 수집, 보존, 연구, 교류, 전시한다.”라고 규정되어 있다. 현대의 박물관은 수집과 보존의 유물중심의 박물관의 역할에서 전시와 교육의 지역사회중심이라는 새로운 박물관의 사회적 기능으로의 역할 활성화를 요구받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맞게 국·공립·사립박물관들은 관람객들의 접근성을 높이고 다양한 교육적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등 적극적인 활동을 펴고 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대학박물관은 지역주민들을 위한 교육적 역할을 수행하는데 있어 활발하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대학박물관은 유물들과 수집품들이 모여 있는 수장고로서의 역할과 발굴, 연구, 조사기능을 충실하게 수행해 왔다. 하지만 학습사회의 도래라는 시대적 흐름과 지역사회교육기관으로서의 기능이 강조되는 박물관의 역할변화에 맞게 대학박물관의 변화도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교육적기능이 활발하게 이루어진 대학박물관의 사례도 있다. 이화여자대학교자연사박물관, 숙명여자대학교박물관, 영남대학교박물관 등은 많은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교육프로그램이 특별전이나 체험학습프로그램, 역사문화교실, 유적 답사 등을 중심으로 하고 있어 상설전시를 중심으로 한 프로그램은 그 수가 매우 적다. 박물관은 수장하고 있는 문화유산을 통해 보다 더 가까이 관람객들에게 다가가고 교육적 효과를 다할 수 있으나 상설전시에 대한 교육프로그램, 관람객의 수준에 따른 교육자료 등의 개발이 이루어지지 않아 그러한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 관람객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교육기관으로서의 대학박물관의 현황과 교육프로그램의 실태를 알아보고 더불어 그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생 단체 관람객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한신대학교 박물관의 상설전시를 이용하여 사전학습에서부터 본시학습, 사후학습까지 일련의 박물관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또한 이러한 교육프로그램의 과정이 여타 다른 박물관에도 적용되어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도록 박물관교육프로그램의 모형을 제시하였으며, 활동지를 개발하기 위한 다양한 예시안을 제시하였다. 인솔교사 또는 박물관의 교육담당자가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교사용 지도자료를 개발하여 교육의 편의성을 가지도록 하였다. 상설전시에 따른 다양한 체험학습 프로그램의 예시안을 제시하여 초등학생의 흥미에 맞추어 교육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단체관람객을 대상으로 한 교육프로그램으로 한정하였으나 대학박물관은 지역사회 교육기관으로서 다양한 관람객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대학교의 학생과 교직원, 교직원 가족, 지역사회 주민, 인근 지역 유치원 및 학교 단체관람객이 있으며 적용 대상과 시기에 따라 상설전시연계프로그램, 체험활동중심 프로그램, 주제답사프로그램, 주말 가족박물관학교, 여름방학 박물관교실 등으로 편성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위해 박물관 교육팀 구성, 운영기금 조성, 프로그램 개발 등의 운영기반이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 대학박물관을 포함한 박물관들의 교육적 기능은 더욱더 강화되어 갈 것이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대학박물관들이 지역사회와 평생학습기반사회의 요청에 따라 이제까지의 연구 성과를 적극적으로 교육활동에 반영하여 지역사회 교육기관으로서의 위상을 가지기를 기대한다. Of the educational function of museum, as social organization in charge of collecting, preserving, researching, exhibiting and education functions, the constitution and professional ethic guidelines of International Council of Museums provide as "The museum, as a non-profit permanent institution which contributes to social development and is opened to the public, collects, preserves, researches, exchanges and exhibits the physical evidences of human being and human environments for research, education and recreation." The contemporary museum is requested to activate role of new social function of museum as exhibition and education center for community from the role as collecting and preserving center of relics By this current of the times, national, public, private museums are going into active actions such as improvement of visitors' accessibility,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to provide diverse educational experiences, etc. However, it is true that the university museums are not active relatively to perform educational role for local residents. The university museums have performed faithfully their role as storage where the relics and collectible items are gathered and the function of excavation, research, and investigation. However, to meet the advent of learning society as current of the times and the changed role of museum's emphasized function as educational organizations for community, now change of the university museums is demanded. There are the cases of university museums of which educational function is made actively. Natural history museum of Ewha Woman's University, Sookmyung Women's University Museum, Yeungnam University Museum are managing many educational programs but since the educational programs are managed mainly by the special exhibition, experiential learning program, history and culture classes, exploration of ruins, etc, the program for regular exhibition are extremely low in numbers. Although he museum can get closer to visitors with culture heritage in their possession and get good educational effects, since the educational programs for regular exhibition and the educational materials according to the visitors' levels are not developed, such education is not conducted. Therefore, in this study, current status of university museums as social education institution for target visitors as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of educational programs were examined and based on the results, educational program for group visitors of elementary schools students was developed. Using regular exhibition of Hanshin University Museum, a series of museum educational course from preliminary learning, learning, to post-learning was developed. In addition, to develop program applying this educational process to other museums, museum educational program model was suggested and to develop activities worksheet, several examples were presented. To make easy to use for accompanying teachers or museum education officers, teaching materials for teacher was developed for teaching convenience and to proceed education according to the interes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 variety experiential learning examples for regular exhibition were presented. In this study, while the educational program was limited for target subjects as group of elementary students, university museums, as community educational institution, have diverse classes of visitors. For visitors, there are college students, collage staffs, collage staffs families, community residents, group visitors form neighboring kindergarten and schools and by the target visitors and time of the year, the programs can be organized to program linked with regular exhibition, experiential activities-oriented program, theme exploratory program, weekend family museum school, summer vacation museum classes, etc. In addition, to manage these programs, operational foundation such as educational team organization, operation fund-raising, programs development has to be constructed. As educational functions of museums including the university museums are growing enhanced more and more, based on this study, in response to the request of community and lifelong learning-based society, that the university museums would claim their position as community educational institutions by reflecting actively research achievements so far to educational activities is expected.

      • 박물관 유물 대여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 효과적인 초등 역사 수업을 위하여

        김현애 한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3

        1997년 11월에 교육철학회에서는 ‘박물관과 교육’이라는 주제로 학술 대회를 열었는데, 이를 계기로 박물관 교육에 대한 관심이 꾸준히 증가하여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 최근에 대내외적으로도 역사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이러한 관심과 요구를 교육과정에 반영하여 역사 교육을 강화하였다. 그러나 아직도 박물관이나 학교 현장에서는 이러한 요구를 실천할 만한 인프라 구축이 되어 있지 못하다는 생각에 이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박물관 교육 프로그램 중에서 유물 대여 프로그램이 역사 수업에서 널리 활용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시작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제시하고, 연구와 관련된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Ⅱ장에서는 박물관 교육의 역사와 유물 대여 프로그램을 활용하고 있는 외국의 사례를 알아보고, 우리나라에서 진행되고 있는 ‘찾아가는 박물관’과의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숙명여대 박물관에서 진행했던 ‘아웃리치 프로그램(Outreach Program)’을 6학년 1학기 사회과 수업에 적용한 수업안을 제시하였으며, 수업 전·후 실시한 설문지 분석을 통해 유물 대여 프로그램의 효용성을 알아보았다. 더불어 동료 교사에게 수업을 공개하여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들의 반응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사진이나 영상물을 통한 수업이나 박물관에 직접 찾아가는 것도 의미가 있지만, 교육용 유물을 직접 보고 만져보는 수업이 역사를 이해하는 데 훨씬 도움이 될 것이라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Ⅳ장에서는 직접 제작한 유물 상자를 이용해 수업을 해서 학교 현장에서 실제로 적용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였다. 외국 박물관의 경우처럼 박물관에서 교육용 유물 상자를 박스화하여 유물 상자를 대여해 준다면 높은 교육적 효과를 얻을 것으로 보이며, 구체적인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교육과정과 연계한 교육용 유물을 선정하여 유물 대여 상자를 교구화한다. 둘째, 국가 차원에서 교육용 유물 대여 서비스를 위한 예산을 지원한다. 셋째, 교사들이 편리하게 대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방법을 강구한다. 넷째, 유물 대여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박물관과 학교가 연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가 현재 진행되고 있는 ‘찾아가는 박물관’ 프로그램의 부족한 점을 보완하고, 박물관의 교육적 기능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유물 대여 프로그램이 활성화되어 초등 역사 수업에 큰 주춧돌이 되기를 바란다. The enhancement of museum education was sparked by the November 1997 ‘Museums and Education’ symposium, which was held by the Educational Philosophy Research Society. Recently, The education authorities has built up measures to educate history in 2007 National revised curriculum, reflecting interests and requests of inside and outside concern of history education. However, there's no infrastructure in the field of museum and education to support this requests into the education. From such concern and issue this study is started and researched. This study is started from the concern and issue that a museum loan program could be more vitalized in history teaching. Chapter Ⅰ identifies the purpose and approach of this study. It also examines antecedent research papers. Chapter Ⅱ inspects the history of museum education and the difference between ‘찾아가는 박물관’ the history program used in Korean museum and a museum loan program used in foreign countries. Chapter Ⅲ includes teaching plans that were implemented as part of the Outreach Program at Sookmyong Women’s University to 6th graders in spring semester. In addition, before and after questionnaires that were completed by the participants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Responses and suggestions from fellow teachers are also included. Lessons where students have direct contact with educational collections that correlate to the topic are more powerful and meaningful than just viewing pictures or visiting a museum. In Chapter Ⅳ, I have made educational collections by myself and developed lessons that can be conducted in an actual classroom setting. If we can borrow educational collections from Museum like in case of foreign country, the outcome of history teaching would be much better. Here are plans in detail. 1) Educational artifacts linked to school curriculum should be chosen to be teaching tools. 2) A national budget should be executed to loan service 3) A museum loan program should provide convenient service and easy access to teachers. 4) Local schools and museums should conduct teacher training to explain the museum loan program Through the use of a museum loan program, I hope that it will help enhance Korea’s ‘찾아가는 박물관’ curriculum and help provide a solid foundation in history for all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영상자료를 활용한 도덕교과 인권 교육 방안 연구

        박영수 한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도덕교과 수업 활동에서의 인권교육을 위한 개선 방안을 탐색하고, 그 한가지 방안으로써 영상자료를 활용한 인권교육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실천적으로 적용해 봄으로써 가능성을 탐색하는데 있다. 인권에 대한 요구는 우리 사회의 시대적 요청이다. 우리 사회의 민주화가 진척됨에 따라 학교에서의 인권 교육에 관한 관심이 증대되어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다. 그러나 학교에서의 인권교육은 여러 여건들로 인하여 아직은 초보적 수준에 머물러 있는 현실을 부정하기가 어렵다. 특히 학교 교육과정 안에서의 인권교육 실천 사례는 매우 미미한 수준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현실을 직시하고 도덕교과 활동을 중심으로 한 인권교육의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는 목적에서 시작되었다. 도덕교과 교육이 지향하는 인성 교육적 목표와 인권교육의 목표는 일치하는 면이 많다. 그러나 도덕교과에서 언급되고 있는 인권적 가치들은 대부분 부분적으로 언급되어 있으며, 인권교육을 위해 명시적으로 언급되어있는 경우가 드물다. 따라서 교사가 교과서를 중심으로 인권 수업을 전개하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교과의 내용을 재구성하고 목표에 따른 적절한 교수 방법을 구안해야 목적하는 수업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하여 Ⅱ장에서 문헌연구를 통하여 인권 교육의 기반이 되는 인권의 개념과 인권을 구성하고 있는 내용을 검토하고, 인권교육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교수방법들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를 도덕교과에 접목시키기 위하여 도덕교육과정에 포함된 인권 덕목들을 분석하고 도덕교과에서 활용되는 교수방법들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Ⅲ장에서는 영상자료를 활용한 도덕교과 인권교육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검토된 이론적 배경을 기초로 2학년 도덕교과 'Ⅰ.사회생활과 도덕' 단원에 나타난 인권 덕목 중 '생명 존중과 인간 존중', '평등권과 차별 받지 않을 권리', '정보화 사회와 인권침해 - 사생활 보호' 등의 가치를 선정하였다. 이 주제들을 선정한 이유는 우리가 언제든지 직면할 수 있는 중요한 인권적 사태임에도 불구하고, 그 개념의 추상성으로 인하여 인지적 접근법만으로는 쉽게 내면화하기 어려운 주제들이며, 아울러 교과활동에서 실천적 방법으로 접근하기 어려운 주제라 생각되었기 때문이었다. 이에 따라 선정된 인권 가치를 교육함에 있어서 선정된 가치들이 갖는 인권의 정의적 특성에 주목하였고, 이를 효과적으로 내면화시키기 위하여 영상자료를 활용한 수업 방법을 채택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안한 인권교육프로그램은 매 단원이 영화감상과 조별토의학습 및 정리과정으로 구성된 총 3차시 9시간 분량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수식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마지막으로, 구안된 인권 교육 프로그램은 연구자가 담당하고 있는 D중학교 2학년 1학급(26명)을 대상으로 2004년 9월부터 10월 중순까지 도덕 교과 수업시간을 통해 실시 · 적용되었다. 또한 본 인권 프로그램의 적용으로 인한 학생들의 인권 감수성의 변화 여부를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대학교 교육심리연구실에서 개발한 '중학생용 사회문제 판단 검사지'를 활용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본 인권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들의 태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연구자가 제작한 '인권교육 선호도 조사'에 대한 사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산출된 자료들은 SPSS(v9.0)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본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나타난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본 프로그램을 통한 인권수업의 과정 동안 학생들은 교과서 중심의 강의식 수업을 실시할 때보다, 훨씬 집중력 있고 적극적으로 수업활동에 참여하였다. 과정을 마친 후 실시한 '선호도 조사'에 의하면, 학생들은 활동에 흥미를 갖고(88.4%) 적극적으로 참여한 것(73%)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프로그램의 유익성에 대해서도 대체로 높은 평가(84.6%)를 보여주었다. 한편 인권의식의 변화에 있어서도 의미 있는 향상을 보여주었다. 먼저 실험집단의 인권의식 변화를 보면, 인권 감수성 사전검사에서 보다 사후 검사에서 11.47점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p=.014), 이러한 효과는 통제집단과의 비교에서도 의미 있는 차이를 보여주었는데(p=.012), 이는 영상 자료를 활용한 인권교육 프로그램이 인권의식을 개선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인권에 대한 관심도(50%)와 인권을 존중하려는 의식(94.62%), 그리고 미래의 인권사회를 위한 실천의지(57.96%) 등 인권과 관련된 태도의 개선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인권교육의 범위와 방법이 무척 광범위하다는 사실에 비추어 볼 때 본 연구에서 시도한 영상자료를 활용한 접근 방법은 인권교육을 위한 한 방법에 지나지 않음에 틀림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의 결과는 도덕교과 교육에서 인권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유용한 하나의 학습방안을 제공해 주었으며, 본 연구에서 분석한 도덕교과에 포함된 여러 인권 가치들은 학습목표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구안 ·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보다 체계화된 인권교육 방안이 앞으로 계속될 다양한 실천적 연구들을 통하여 심화 보완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an efficient teaching method for human rights education in secondary morality classes through a program using films. Current society needs human rights urgently. As our society becomes more democratized, our concerns on human rights education grow more and researches are prosperous as well. However, the level of human rights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s is in its early stage due to several limitations. Especially the experimental instances of human rights education based on national curriculum are insignificant. The objectives of education of humanity in moral education and human rights education are much similar. But most of the objectives of lesson of human rights are comprised in moral education and referred as a part of it. So teachers must reconstruct the contents of the subjects to unfold the lessons of human rights centering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hen, use suitable teaching methods accordingly. This study started from that point, and the followings were conducted. Firstly, in chapter Ⅱ, the concepts of human rights and general teaching methods of human rights education were reviewed through various literatures. Criteria of virtues of human rights comprised in moral education curriculum were analyzed, and teaching methods for moral education were examined. Secondly, in chapter Ⅲ, a program for teaching human rights using films was developed. The criteria of virtues of human rights are 'Respect for Life and Human Being', 'Equal Rights and Rights that Should Not Be Discriminated' and 'Information-Oriented Society and Infringement of Human Rights - Protection of Private Life', which are comprised in 'Unit 1. Social Life and Morality' in second middle school grader's moral education textbook. Those concepts are difficult to be internalized through cognitive methods because of its abstract nature, nor through practical methods with various class activities. In this study, however, emotional properties of the lesson objectives were emphasized in designing the program, and films were chosen to internalize those criteria efficiently. The program has three sessions, which is consisted of three parts - watching the films, group discussions, and concluding and lasts 9 class hours. ◁수식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Finally, this program was applied in the real classes. Followings are the results. The subject group were middle school second grade students(1class 26students). It was acted from September to mid October 2004. To evaluate the students' level of recognition of human rights after applying the program, 'Test of social problem judgment for middle school student' and questionnaire investigations for 'Students' Preference on human rights education' were done. The results were processed through SPSS for Windows(v9.0).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Students participated more actively and intensively in this program than lecture style lesson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for the preferences on human rights education, students evaluated highly of this program with deep interests and active participation. Students' level of recognition of human rights showed meaningfully. Firstly, the experimental group's level of recognition of human rights improved 11 points(p=0.014). These results were meaningful in comparison with controlled group(p=0.012). This means that this program had an effect on improvement of the students' level of recognition of human rights. It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interest level(↑ 50%) and sense of respect for human rights(↑84.62%), and on the attitudes for constructing a society of human rights(↑57.96%). This study must be no more than an educational method of teaching human rights in view of the wide range and methods of the human rights education. Neverthel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is is a useful method of teaching human rights in moral education. And it also showed that the crileria of virtues of human rights analyzed in this study could be applied through various teaching methods. Therefore, more systematized and practical researches on teaching human rights are expected to be intensified and supplemented.

      • 중학교 도덕과의 민주시민교육 연구

        이상철 한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9647

        Korean civil society, unlike its Western counterpart which has evolved through a self-generating process by the people, started and developed on the initiative of the authorities of the state, due to the conflicting situ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that produced foreign-dependent, authoritarian governments. A popular, resistant civil society, however, began to emerge simultaenously during the country's rapid capitalization in the 1970s. This grassroots movement gained intensity and speed in the following decade to the point of threatening the authority of the state in 1987. It continued to make great progress with the introduction of local autonomy system in the early 1990s, which ultimately led to the revolutionary achivements in the 2000 general elections. Meanwhile, with all the sky-rocketting enthusiasm for participating in democracy and interest in civic education in Korea, the country's educational field, which produces future democratic citizens, has been criticized of being unable to reflect the changing social reality rightly. At this juncture, the school curriculum entered into the seventh phase, where schools, instead of being given one set by the state one-sidedly, are now allowed to set their own curriculum diversely and creatively. The discipline of Ethics accordingly takes charge of democratic civic education as part of the creative, discretionary activities program. Therefore, this study is an attempt to find out a rightful direction for democratic civic education. To do so, first it will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the discipline of Ethics and its curriculum, along with the basic theories of democratic civic education. Then it will examine how Korean civil society started and what problems it faces. Finally, it will look for alternatives to reflect on the development of the democratic civic education program. In conclusion, given that education is the basis on which democratic attitudes and values are formed in Korea, the school is the place where such democratic civic education is actually practiced. The principal elements of the civic consciousness we must internalize as a member of civil society include a sense of responsibility (no less important than a sense of rights), a sense of common welfare (which puts the public interest before the personal), respect for public order, and law-abiding spirit (which respects the law and denounces the violation of the law). Such a civic consciousness can be internalized through school education. Therefore, school education can be the primary gateway to establish a rightful civic culture. Democratic civic education, however, cannot be achieved only within the boundaries of the school system. For adults to take part in diverse activities such as environmental movements, women's movements, consumer movements, educational democratization movements, etc. is a good way to achieve democratic civic education at first hand and to get a solid, profound understanding of civic culture.

      • 李奎報의 ‘說’을 통한 고전산문교육연구

        문광철 한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47

        조상들의 드높은 정신세계와 문예미가 느껴지는 좋은 고전산문을 학생들이 감상할 기회를 얻지 못하는 것은 참으로 안타까운 현실이다. 많은 작품이 아니더라도 작품을 엄선하여 교육현장에서 그 가치를 만끽할 수 있는 교수학습활동이 이루어진다면, 학생들은 이러한 학습경험을 바탕으로 문학 감상 활동을 넓혀갈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고전산문작품 중 치밀한 사유와 인생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이 담겨있는 고려시대 李奎報의 說 작품을 대상으로 바람직한 고전산문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 2장에서는 李奎報의 문학관과 그의 산문의 특질을 중심으로 李奎報 문학의 특질을 살펴보았고, 본문 3장에서는 李奎報의 12편 說 작품을 구성 및 표현에서 작품의 내용 및 교훈에 이르는 종합적인 고찰을 시도하였다. 본문 4장에서는 李奎報 說의 문학교육 실태와 문제를 다루었다. 李奎報의 說 작품 중 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문학교과서에 수록된 6편의 說 작품을 중심으로 어떻게 교과서에 수록되었으며 교과서 편재 상 보이는 문제점이 무엇인가를 살펴보았다. 본문 5장에서는 3장과 4장에서 살펴본 바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李奎報 說의 문학교육 방안을 연구하였다. 李奎報의 說 작품들은 감상을 확대시켜 현실에 적용하는 학습이나 토론 및 문답 등을 통해 비판적 사고력 신장을 기할 수 있고, 가치관의 정립 등의 철학적 문제에 대한 교육이 가능한 작품으로 이러한 부분에 활용도를 높이는 학습활동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본고에서는 다양한 문학교육과정의 접목, 교육목표와 학습활동의 긴밀한 연계, 說의 갈래적 특성에 대한 학습, 문답식 전개를 활용한 토론학습, 그리고 무엇보다도 작품 내용의 본질적인 학습 등에 주안을 두고 李奎報 說의 문학교육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인권교육이 도덕성 발달 수준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류민석 한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고에서는 인권교육이 학생들의 도덕성 발달을 촉진한다는 가설 하에 그것을 검증해 봄으로써 도덕교육의 지평을 넓혀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위하여 제2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으로 인권교육과 도덕성 발달과의 관계에 대해서 살펴보았는데 인권교육에 관련해서는 인권의 개념, 인권의 특성, 인권개념의 변천, 인권보장의 역사 등과 인권교육의 필요성, 개념, 원칙, 배경, 목표, 방법, 내용, 의의 등을 알아보았고, 도덕성 발달에 관해서는 피아제의 도덕성 발달 이론,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 Rest의 DIT 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본 연구를 위하여 실제로 6차시에 걸쳐 수행하였던 인권교육의 학습지도안을 실었으며 제4장에서는 Rest가 고안한 DIT로 인권교육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인권교육을 실시하지 않는 통제집단을 사전 사후로 나누어 도덕성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제5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실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권교육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사전 검사보다 사후검사에서 학생들의 도덕 판단 능력이 향상되었다. 이는 학생들이 인권교육을 체험함으로써 학생들이 자신의 권리와 의무에 대한 의식을 발달시키고, 다른 사람들의 권리에 대해 열린 태도를 갖추며, 인간의 존엄성에 있어서는 너와 내가 따로 없다는 보편성을 인식하고, 이것을 실현하려는 태도를 가지게 됨으로써 단순히 개인적인 차원에서 머물던 도덕판단의 기준들이 사회적이고 역사적인 차원으로 확대 심화되었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된다. 둘째, 인권교육을 적용하지 않는 통제집단의 사후 검사 보다 인권교육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사후검사에서 도덕성 발달 단계가 높아 졌다. 이것은 도덕성 발달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자연적인 상태로 방치하기 보다 의도적인 노력을 해야 하며 인권교육이 이러한 노력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인권교육을 적용하지 않는 통제 집단은 도덕성 발달 수준이 크게 변화하지 않았다. 이는 비록 동일한 학년이라도 인권교육을 실시하지 않는 통제집단은 본 연구 기간 동안 의미 있는 도덕성의 발달을 가져오지 못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들을 보면 6차시에 걸친 본 연구의 인권교육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도덕성 발달 수준을 향상시켰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인권교육이 학생들의 도덕성 발달을 촉진한다는 본 연구의 가설은 입증된 셈이며 도덕교육에 인권교육을 포함시켜 도덕교육의 지평을 넓혀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purports to verify the hypothesis that the human rights education promotes a sense of morality and broaden s the horizon of moral education. For this study, the second chapter outl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uman rights education and the moral development as a theoretical framework. When it comes to the human rights education, we look into the concept of human rights, their characteristics, the shift in their concepts, the history of human rights protection, etc. We also examine the human rights education and their need, concept, principles, backgrounds, goals, methods, contents and significance, etc. As for the moral development, we assess Piaget's moral development theory, Kohlberg's moral development theory, Rest's DIT, etc. The third chapter presents the teaching guideline for human rights education, which was practically performed six times for this study. The fourth chapter compares experimental group's morality which was given human rights education, with the morality of controlled group which was not given this education, in the pretest and the posterior test according to DIT designed by Rest. The fifth chapter comes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after human rights education, the experimental group's moral judgment ability turned out better in the posterior test than in the pretest. It seems that students, by getting human rights education, can develop their consciousness of rights and duties, open to others' rights; they are aware of the universality that there's no "You" and "I" when it comes to human dignity and try to realize human rights; the standards for moral judgment in simply the individual dimension may expand into the social and historical one. Second, in the posterior test, the experimental group with human rights education showed higher stages in the moral development than the controlled group without human rights education. It means that it takes more purposeful efforts to enhance levels of moral development, rather than letting them be, and that human rights education works well. Third, the controlled group without getting human rights education didn't show much of a change in moral development level. Even the controlled group in the same grade didn't reach a significant moral development during the research period. These results show that the attempted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s pertinent to this study improved students' moral development. Accordingly, the hypothesis that human rights education prompts students' moral development proves to be persuasive, and we should broaden the horizon of moral education by including the human rights education among the moral education.

      • 재일한국학교의‘한국역사’교육실태와 개선방안

        이경훈 한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47

        ABSTRACT Korean History’Education status of Korean School in Japan and the Method for Improvement Lee, Kyung Hoon Department of History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nshin University "Korean residents in Japan" have been living with experiencing the ethnic discrimination and the economic difficulties in Japan. In spite of it, they have been maintained the ethnic identity by teaching the history of Korea and the traditional culture to their children. Korean Schools in Japan are responsible for ethnic education of these.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a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ethnic education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from 1965. So they sent the teachers and principals, and supported the budget. While people who live here to stay in Japan increase, the society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has changed. Some of the Koreans in Japan, people who naturalized with or married to a Japanese is increasing. Third or forth- generation "Korean residents in Japan" have experienced confusion in identity because they are not familiar with South Korea by using mother tongue as the Japanese. As the society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changes, ethnic education is being carried out in order to help "Korean residents in Japan" to be able to live in Japan with confidence, rather than increase the ethnic identity. However, education of "Korean History" in Korean-schools has been advanced without the formal curriculum and textbooks. This does not suit the changed ethnic educ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I took a look at how the education of "Korean History" is proceed and recognized the problems. And I took a survey to students and interviewed teachers by visiting the three Korean-Schools in Japan. I understood the level of knowledge of the history of South Korean students through this. And I presented a direction of improvement and resolution of the problems of education of "Korean Histor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ducation of “Korean History” should be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students’ language level, knowledge level, and their living environment. The students of Korean-School settle in Japan using Japanese as their mother tongue. The knowledge of “Korean History” Korean-School students in Japan have is basic compared to the one upper elementary students or middle school students have in the home country. Materials must be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the level of students. Second, the contents of knowledge must be selected for the students in order to live in Japan with pride in the relationship with South Korea rather than to emphasize the ethnic identity. “Korean History” has evolved through conflicts and lively exchanges with other ethnic groups around. In particular, it should be treated as an important matter that active exchanges with Japan had a major impact on Japanese history and Korean history. Third, to treat the history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as a significant item is necessary for Korean-School students to live as “Korean residents in Japan” with the confidence. It must be known to them that “Korean residents in Japan” live in Japanese society overcoming the ethnic discrimination. This contributes greatly to the formation of identity as “Korean resident in Japan”. Fourth, we need to let them know that they have interests in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not to end with the simple delivery of knowledge of the history and the traditional culture. We have to introduce a variety of problems happening in the history of the divided Korean Peninsula now, and have to inform the importance of the unity by teaching the pain from the division shown in Japan. Fifth, to ensure the excellent “Korean History” teachers is as important as the development of materials of “Korean History”. We must recognize that the composition of students and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Korean-Schools in Japan are different from those in China and Vietnam. Moreover, we need political efforts to create favorable conditions that they can be concentrated on ethnic education. 국문초록 재일한국학교는 일본 내의 민족차별과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도 재일한국인 학생들이 한국어와 한국역사, 전통문화 교육을 통해 자신들의 뿌리를 찾고 민족적 정체성을 유지하게 하기 위해 꾸준히 민족교육을 추진해오고 있다. 한국정부도 1965년 한일수교 전후부터 재일한국인의 민족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학교관리자와 교사를 파견하고 예산을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재일한국인 사회는 본국으로 귀환하는 사람들보다 현지에 정착하여 생활하는 사람들이 증가하면서 변화하고 있다. 현재 재일한국인들 중에는 일본인과 결혼하거나 일본으로 귀화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또한 일본에서 태어난 재일한국인 3세, 4세들은 한국에 뿌리를 두고 있지만 일본어를 모어(母語)로 삼고 한국을 경험하지 못하면서 자신의 정체성에 혼란을 겪고 있다. 이와 같은 재일한국인 사회의 변화에 따라 재일한국인에 대한 민족교육은 민족정체성의 강화보다 재일한국인으로서 자긍심을 갖고 일본에서 당당하게 살아가는 힘을 길러주는 방향으로 전환하고 있다. 그러나 재일한국학교에서 민족교육의 일부를 담당하는 ‘한국역사’ 교과의 수업은 정식 교육과정과 교과서도 없이 진행되고 있어 위와 같이 변화하는 민족교육을 수행하는데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재일한국학교 3개교를 직접 방문하여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와 담당 교사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재일한국학교에서 ‘한국역사’ 교육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또한 설문조사를 통해 학생들의 한국역사에 대한 인식과 지식수준을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역사’ 교과교육의 문제점 해소와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한국역사’ 교과교육은 학생들의 언어수준과 한국역사에 대한 지식수준, 이들의 생활환경에 맞게 이루어져야 한다. 재일한국학교 재학생의 대부분은 일본어를 모어(母語)로 생활하며 일본에서 살아가려고 한다. 또한 한국역사 지식은 본국의 초등학교 고학년 또는 중학교 기초 수준이다. 이러한 학생들의 수준을 고려하여 교재가 제작되어야 한다. 둘째, 민족정체성을 강조하기 보다는 자신이 한국과 관계가 있다는 것을 자긍심으로 갖고 일본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내용지식이 선정되어야 한다. 한국의 역사가 주변지역, 다른 민족과의 활발한 교류와 갈등을 통해 변화, 발전하였음을 알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특히 일본과의 활발한 상호교류가 한국역사와 일본역사에 큰 영향을 주었음을 내용선정의 주요사항으로 고려해야 한다. 셋째, 재일한국인으로서 일본에서 당당하게 살아갈 수 있는 힘을 길러줄 수 있도록 재일한국인의 형성에 관한 내용을 주요항목으로 선정해야 한다. 재일한국인이 오랜기간 동안 민족차별을 극복하고 스스로의 권리를 찾기 위한 활동을 통해 일본사회에서 당당하게 살아가고 있다는 것을 깨닫게 하여 재일한국인으로서 정체성 형성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넷째, 일본사회에서 재일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을 갖고 한반도의 통일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단순히 전통문화와 과거 역사에 대한 지식전달에 그치지 않고 현재 분단된 한반도의 역사에서 전개되고 있는 여러 가지 문제를 소개하고 일본에서 나타나는 분단의 아픔을 내용요소로 삼아 통일의 중요성을 일깨울 수 있어야 한다. 다섯째, ‘한국역사’ 교재개발 만큼 중요한 것이 우수한 ‘한국역사’ 담당교사를 확보하는 것이다. 재일한국학교의 역사적 배경이나 학생구성이 중국이나 베트남 등지의 재외한국학교의 그것과는 다르다는 것을 인식하고 이들이 민족교육에 전념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기 위한 정책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 아동의 성숙한 인성 함양을 위한 비판적 사고식 수업 방안 연구

        김윤영 한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9647

        수많은 동물들 가운데 인간만이 이성을 가지고 사유하며 환경을 변화시켜 왔기 때문에, 우리는 인간을 일컬어 이성적 존재라 한다. 그러나 현대에 이르러 이성의 힘은 점점 약화되고 인간의 본능과 감정에 충실한 것이 선(善)인 듯 여겨지기도 하면서, 우리 사회는 많은 도덕적 혼란 상태에 빠져 있다. 물질적인 풍요로움은 과거에 비해 비약적으로 증대되었지만 이와는 반대로 인간만이 지닌 도덕성은 황폐해진 뼈아픈 현실로 인해, 사회의 비판적 눈길은 학교로 향하고 있다. 즉 학교에서의 도덕 교육은 그다지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우리나라 도덕 교육은 여러 가지 이유들 때문에 변질되어 이용되었을 뿐, 아이들의 인성 함양을 위한 교과로서의 자리매김을 할 기회조차 마련되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이에 필자는, 요즘 아이들이 감정과 즉흥적인 기분으로 말하고 행동함으로써 깊이 있는 사고를 하지 못한다는 점을 발견하고 이성적인 사고 능력을 키워 줌으로써 성숙한 인성을 함양하도록 돕는 것이 진정한 도덕 교육의 역할임을 인식하였다. 다양한 문화와 가치관의 혼재, 그리고 급격한 변화의 물결 속에서 살아갈 우리의 아이들을 위해서는, 무엇이 옳고 그릇 것인지에 대해 스스로 깊이 있게 판단하고 행동으로 옮길 수 있는 ‘비판적 사고’의 성향이 매우 필요하다. 그리하여 ‘비판적 사고’에 대한 정의나 성향, 기능 등등에 대하여 Ⅲ장에서 자세히 다루었다. 초등학교의 아이들에게는, 정교화된 비판적 사고력의 기법을 가르치기에 다소 무리가 따를 수 있으므로 그에 앞서 ‘비판적 사고’의 성향 즉 비판적 사고를 하려고 하는 마음가짐을 아이들이 갖도록 교사들은 도와 주어야 한다. 성급한 결론을 도출해 내기에 급급한 그러한 토론이 아니라 충분한 검토와 사색을 통해 ‘올바르고 참된’ 것을 추구할 수 있는 토론의 기회를 자주 주고, 교과서나 아이들이 읽는 동화책의 내용도 당연히 옳기 때문에 따라야 한다는 식이 아니라 우리도 모르게 진실이 왜곡되어 있는 것은 아닌지 또는 편협된 생각은 아닌지 함께 생각해 보며 읽도록 유도한다. 학급 내 갈등 상황이 생겼을 때에도 교사가 일방적으로 판단하여 처벌하는 것을 지양하고 아이들 스스로 깊이 생각하여 옳고 그름을 판단하여 잘못을 깨닫게 하며, 아이들과의 대화에 있어서 늘 성실하고 개방적인 태도로 임하여 아이들이 주변 환경과 자기 자신에 대해 늘 호기심을 갖고 탐구할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해 주어야 한다. 또한 비판적 사고의 성향은 비단 도덕 교과에서만 강조되어선 안 되므로 모든 교과를 가르칠 때, 교사는 늘 비판적 사고의 육성을 염두에 두고 아이들의 이성적인 사고 능력이 계발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그러나 앞에서 열거한 제안들이 큰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결되어야 할 문제가 있다. 바로 ‘교사 자신의 비판적 사고’에 대한 생각이다. 교사 스스로가 아이들의 이성적인 사고 능력을 무시하고 교사의 판단대로 아이들을 대한다면, 아이들은 교사의 말만 잘 따르는 로봇과 같은 존재가 될 뿐이다. 그러므로 교사가 먼저 비판적 사고의 중요성을 깊이 인식하고 아이들과 함께 생활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여, 우리의 미래를 짊어지고 갈 아이들이 스스로 인간으로서의 존엄성을 인식하고 늘 ‘올바르고 참되고 가치있는’ 것을 추구하며 살아나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통일교육의 새로운 방향에 대한 일 고찰

        정선례 한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9647

        지금 한반도는 남북 정상회담이 열리고 남북간의 화해 시대로 접어들고 있으나 우리의 통일교육은 예전의 냉전적 사고 틀에서 형성된 관행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더구나 학생들은 급격히 변해가고 있는데 아직도 통일교육은 학생들의 피부에 와 닿지 않는 체제비교, 이론주입교육에 머물러 있다. 진정한 통일교육의 부재라고 진단할 수 있는 현실을 개선하여 이제 남북의 화해, 평화통일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통일교육의 새로운 모습을 만들어 나가기 위한 노력이 우리 교사들의 주도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교 통일교육의 현실적 문제점을 짚어보고 화해, 평화통일을 위한 바람직한 통일교육의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먼저 현행 학교 통일교육의 문제점으로 지적해 본 것은 첫째, 학교 통일교육의 영향력이 상실된 이유 둘째, 통일교육 관련 교과서 내용상의 문제 셋째, 학교 통일교육 과정의 문제로서 체제비교 중심의 교육과정과 도덕과 중심의 교육과정 넷째, 교수학습 방법상의 문제 다섯째, 타성화된 통일 행사이다. 민족화해를 위한 통일교육에서는 화해교육의 필요성과 사고의 전환 그리고 자주교육과의 관련성과 함께 평화와 공존을 위한 통일교육과 북한이해교육의 내용을 담았다. 아울러 학교 현장에서 실제로 적용될 수 있는 통일교육의 방법으로 훈화 및 이야기 자료와 조사활동자료 그리고 영상 및 참여식 학습자료를 제시한다. 통일을 자신의 삶과 연관지어 생각하는 학생들을 찾아보기 힘든 현실에서 통일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새롭게 만들어 나가야 할 우리 교사들의 어려움과 고민은 클 수밖에 없다. 더구나 통일 논의의 제한이 여전하고 교육과정 구성에 있어서 교육 주체의 자율성이 한정되어 있는 여건 또한 학교 통일교육을 타성과 관행에서 벗어나기 어렵게 하는 요인이다. 그런 의미에서 통일시대의 주인공인 학생들이 통일 지향적 가치관과 삶의 양식을 갖게 하고 통일을 앞당기기 위해 노력하는 마음의 자세를 배양하기 위한 화해와 평화를 위한 통일교육은 그 필요성이 더욱 요청되는 시점이라고 하겠다. Our current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is stayed in a typical routines which have been formed by cold war way of thinking and framework in the former times, notwithstanding the south and north summit talk is opened and it is approaching at national reconciliatory era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in Korean peninsula. Furthermore the students are remarkably changed, but the current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does not still reach directly to students mind and has been concentrated on cramming education like political system comparison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In the absence of real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we teachers have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making a new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curriculum bring the new paradigm for accomplishment of reconciliation and peaceful unific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it makes new attempt to point out the actual problems of current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progressed so far and it suggests the new alternative of education how to carry out the racial reconciliation and peaceful unification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in the future. First of all this study represents the problems which are pointed out as below for current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First problem is that the influence on current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is loosing. Second problem is that the textbook contents deficiency in relation with unification education. Third problem is that the comparison curriculum of political system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and morality oriented curriculum as the things derived from the course of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Fourth problem is that the conventional tutorial method supplied for students in current unification education curriculum Fifth problem is that the typical and stereotyped unification demonstrations and events without new encouragement to participants. The unification education program suggested in this study contains both the necessity of the unification education for racial reconciliation and the innovative change of way of thinking for a national reconciliation together with understanding the north Korea as well as unification education for peaceful coexistence based on self reliance education program. In addition, this study recommends the practical tutorial materials and applicable alternative methods such as the discourses, a talk data, an investigation activity data, video data and a participant studying data which are useful to real school education curriculum. Under the current difficult circumstance, we scarcely find a few students who think of our country unification in relation with their actual life and we our teachers may have difficulty with the agony in innovating the textbook curriculum and method for the conventional unification education. It may be more difficult circumstances such as the limit of opening discussion on the country unification and the autonomic education programming on the school education curriculum to be free from the stereotyped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Finally it may be stated that the future subject will be the establishment of our people consensus for the reconciliation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by making the unification education be generalized and civilized for peaceful unification and racial reconcilable coope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