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치적 이슬람의 지하드관에 관한 연구

        이명희 한반도국제대학원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50639

        현대 세계 지하드 운동은 국가 간 전쟁, 자유의 투쟁, 분리주의 운동, 내전, 반정부 폭동, 종파와 지역 갈등, 국제 테러 등의 형태로 지구상에 걷잡을 수 없이 퍼지고 있다. 따라서 세계는 지하드로 정당화하는 테러로 인해 이슬람을 주목하게 되었다. 이에 본 논문은 정치적 이슬람의 지하드관을 분석하고 한국 정부와 국민의 관점과 역할을 제언하였다. -중략-

      • 기독교NGO활동 현장사례 분석연구 : 중앙아시아 3개국 현장사례 중심

        김성봉 한반도국제대학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50639

        본 논문의 핵심 주제는 NGO의 여러 활동을 관찰하고 분석할 수 있는 모델로 발전시킨 Frances O'Gorman의 연구를 하나의 분석틀로 선정하여 기독교NGO활동의 현장사례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을 시도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시도한 목적은 NGO활동 현장 사례의 분석을 통하여 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도움과 지원활동이 보다 더 실질적인 혜택과 나은 삶을 누리게 할 수 있는 방법인지를 모색함에 있다. 본 연구는 크게 이론작업과 자료수집에 관한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본 연구에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기위한 NGO에 관련한 이론작업이 선행되었다. 먼저, 기독교NGO 활동에 대한 이론적인 기반 정립을 하기 위하여 NGO(Non Government Organization), 개발NGO, 기독교NGO 등의 개념정의를 문헌자료 중심으로 하여 정리하였는데, 특히 ‘기독교NGO의 정체성, 또는 특성’을 정의하고 논의하는데 주력하였다. 그리고 현장의 자료수집과 관련된 연구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Frances O'Gorman의 틀(Framework)로 두 가지측면에서 접근을 시도하였다. 하나는 현재 IACD (Institute of Asia Culture and Development ; 아시아협력기구)를 통하여 수행되고 있는 중앙아시아 3개국 8개 현장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하여 현장의 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O'Gorman의 실천적 모델 다섯 가지를 활용하여 문제점과 대안모색을 하였으며, 또 하나의 방법은 유라시아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기독인활동가(Christian Worker) 53명의 의식성향과 기독교NGO활동성향에 관한 기초자료를 설문지 조사방식으로 수집하였다. 이 실천적 모델의 기본 틀로써 현장사례들을 진단 분석한 결과는 5 단계 접근방법 중에서 대부분의 프로젝트가 1, 2단계에 머무르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즉 이것은 지역주민의 역량개발이나 변화지향적인 실천이나 전략보다는 다분히 구호활동 중심적이라는 관찰이다. 다시 말해서 지역주민들에게 긴급히 필요한 것에 대하여는 무엇인가는 베풀고 있지만 지역사회 조직기반형성에 주체가 되는 지역주민들의 참여부분에 대하여는 미흡하였으며 또 주민들의 역량개발 측면에서도 흡족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종합적으로 요약할 수 있는 것은 대체적으로 아래와 같다. 현지인들이 직접 프로젝트를 책임지고 운영하도록 하려면 더욱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하며, 현지의 주민들이 당면하고 있는 가장 시급한 문제로서는 지역주민들의 일자리 창출,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의식 결여, 주민들의 자립능력 결핍 등이었다. 이러한 것들은 문제임과 동시에 현지NGO들의 과제이기도 하다. 지역개발을 통한 지역주민의 역량을 강화하여 그들의 문제를 해결해야 된다는 방법론상의 관점에서 본다면, 이것을 중앙아시아 지역사회에서도 지배하고 있는 ‘움마 (Ummah)공동체’의 현실과 연계하여 생각해 볼 수 있다. 현지 지역사회주민들의 모든 생활환경을 지배하고 있는 지역적 상황을 고려해 볼 때에 하나의 대안으로 그것에 상응하는 ‘기독교공동체’를 발전시키는 것도 하나의 분명한 가능성으로 부각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본 연구의 결과로 얻어진 하나의 가설이며 통찰력일 뿐이지만 깊은 의미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종합적인 진단과 분석을 바탕으로 기독교NGO활동의 역할에 관한 3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로 활동현장을 지역사회주민의 협력공동체로 전환시키는 과제로서의 역할, 둘째로 국제개발협력을 위한 연대로서의 매체역할, 셋째로 현지인 기독인 글로벌 리더십('Indigenous' Christian Global Leadership)을 세우는 공동체로서의 역할을 감당하여야 할 것을 제언한다.

      • 지역사회학교를 통한 지역사회개발 연구 :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김현진 한반도국제대학원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50639

        본고의 연구 목적은 개발도상국에서 지역주민들과 함께 하는 지역사회개발을 이루기 위해서 교육 NGO에게 지역사회학교를 통한 지역사회개발의 타당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조사, NGO 관계자와의 심층인터뷰를 통해 풀무학교, 필리핀 지역사회학교, IACD 아프가니스탄 교육사업을 사례로 선정하였다. 분석틀을 만들어 사례들을 비교 분석하여 그 결과들을 평가했다. 첫 번째 분석틀로는 지역사회개발의 원리로 주민의 욕구 반영, 주민의 참여도, 재정자립도, 문제해결능력, 개발의 지속도, 지도자 양성, 외부기관의 지원이 있다. 이 분석틀로 풀무학교, 필리핀 지역사회학교, IACD 교육사업의 사례를 비교분석하여 그 반응정도를 순위별로 도식화 하였다. 그 결과로 50년 동안 꾸준히 지역사회개발을 해온 풀무학교가 주민의 참여도, 재정자립도, 문제해결능력, 개발의 지속도, 지도자 양성의 다섯 분야에서 선두를 차지하였다. 두 번째로 지역사회학교 운영의 원리인 교육목적, 설립주체, 활동내용, 지역사회조직, 교육방법, 교육결과로 분석틀을 만들어 세 가지 사례를 비교분석하였다. 사례 비교분석의 결과를 통해 지역사회개발의 원리가 지역사회학교 운영의 원리에 적절히 반영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지역사회학교를 통한 지역사회개발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개발도상국에서 지역사회학교를 통한 지역사회개발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점을 고려해야 한다. ① 주민들의 욕구를 반영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NGO 관계자가 사전 에 철저한 탐색을 해야 한다. 주민들에게 필요하고 주민들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어떤 학교유형을 원하는지, 지역주민들의 목소리에 귀 를 기울여야 한다. ② 주민의 참여도를 높여야 한다. 주민의 참여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지 역 주민들에게 지역사회학교와 지역사회개발에 대한 내용이 충분히 홍보되어야 하고, 지역문제에 대해 전 주민이 참여하여 자신의 발언 권을 가질 수 있어야 한다. ③ 주민들의 재정자립도를 높여야 한다. 결과적으로 지역주민들이 지역 사회학교와 지역사회개발의 운영비용을 충원하는데 적극적으로 나서 지 않는다면, 지역주민들의 자립심은 키워질 수 없다. 초기부터 NGO 관계자가 지역주민들에게 재정에 대한 인식을 갖게 하고 참여토록 해 야 한다. ④ 문제해결능력을 키워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주민들의 기초적인 지식 교육과 의식교육이 필요하다. ⑤ 지속가능한 개발을 이루여야 한다. 사전에 장기적인 안목을 갖고 계 획을 세우고, 주민들의 욕구를 채워주는 우선순위 사업을 선정하여 집중해야 한다. ⑥ 지도자를 양성해야 한다. 후진양성은 지역사회학교를 통한 지역사회 개발의 성패에 중요한 요소가 된다. ⑦ 외부기관의 지원을 이끌어 내야 한다. NGO관계자는 해당 국가의 교 육부와 지방 교육청과 긴밀한 관계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조직, 민간단 체, 국제기구, 해외 단기 봉사팀, 다른 NGO와의 협력을 통해 필요한 인적․물적 자원을 동원할 수 있다.

      • 제3세계 해외교육NGO 활동평가 : 몽골 밝은미래학교 10년 역사를 중심으로

        권기홍 한반도국제대학원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50639

        본 연구의 기본 목적은 1997년 (사)아시아협력기구(Institute of Asian Culture and Development; IACD)에서 몽골 울란바타르에 설립한 정규사립학교인 「밝은미래학교」의 지난 10년간의 교육사업에 대한 중간 평가를 통해 해외 교육NGO의 현지 사회개발에의 기여성과 중요도를 검토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 주 연구 목표로 설정한 것은 1, 「밝은미래학교」의 교육이념, 철학, 정책의 교육기여도 2, 10년간의 교육NGO 운영에 따른 문제점과 향후 대책 3, 「밝은미래학교」의 몽골사회 내에서의 정체성과 비전 등인 바, 몽골사회에서 정상적인 교육을 받기에 어려움이 많은 특별한 성격의 입학생들을 대상으로 각종 교육입력으로 교육한 결과를 그 상관된 평가모형과 몇 가지 중요한 지표들을 선정하여 평가 분석하였다. 불우의 환경으로 수년씩 휴학하거나 교육의 기회를 누리지 못했던 소외층 아동과 청소년들을 모집하고 자격을 갖춘 현지인교사와 직원을 채용하여 일반 공립학교와 마찬가지로 무상 정규교육을 실시하였다. 설립이념을 “믿음, 소망, 사랑, 회복을 통한 몽골과 세계의 밝은 미래의 주인공을 배양함”에 두고 기독교적인 사랑과 봉사정신에 입각하여 5차원 전면교육, 소수정원 학급제, 올바른 인생관교육, 세계화 교육, 부모교실 등 5가지 교육정책을 추진하였다. 당 학교의 운영을 위해 다양한 직업과 연령과 봉사기간의 한국인 자원봉사자 연인원 30명과 년 평균 약 30명의 현지 교직원들이 수고하였다. 모든 재정은 전적으로 후원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목적에 따라 운영비, 장학금, 건축후원금을 별도로 모금하고 지출하였다. 년 평균 학생 수 약 155명이 교육을 받았는데, 그 수학률은 학년이 높아질수록 증가하였고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경우에 높았다. 전체학생들의 일반성적은 타 학교와 큰 차이가 없었지만, 고등학교 졸업고사 성적은 일반 학교의 평균에 비해 양호한 결과를 보이면서 2002년도부터 지금까지 10학년제(2005년부터는 11학년제) 초·중·고등학교 과정을 졸업한 총 56명의 iii 졸업생들은 약 90%의 비교적 높은 대학진학률을 나타내었다. 학교, 교사, 학생들의 각종 수상과 표창, 지속적인 국내외의 외부단체와의 교류 등은 정상적인 교육 활동이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생각된다. 각종 설문조사에서도 밝혀진 바, 본 학교의 정체성과 존립가치를 대상자 전원이 높이 평가하였을 뿐 아니라, 학생들은 학교에 대해 감사와 긍지를 가지고 있었고, 교사들도 보람과 기대를 가지고 근무하고 있었다. 물론, 학생 개개인의 특기적성교육 미흡, 교사들을 위한 복지정책의 일관성 부재, 후원자 발굴과 유지 및 재정사용과 관리의 비효율성 등은 중요한 실점으로 지적되었고, 향후 더 많은 학생들을 효과적으로 지도하기 위한 교사진, 교육시설과 커리큘럼의 개선, 효율적이고도 미래지향적인 건물 확보, 급속히 상승하는 교직원 월급을 포함한 운영비마련, 몽골인 차기지도자 준비 등 산적한 과제를 앞두고 있지만, 몽골에서 가장 어려운 환경의 자녀들을 최고의 시스템과 정신으로 몽골과 세계무대에서 실력 있는 지도자를 배출해내는 사립종합학교로 당당히 성장할 수 있으리라 기대되어진다.

      • 우즈베키스탄의 권위주의 국가체제 연구 : 민족주의를 중심으로

        박성호 한반도국제대학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50639

        본 논문에서는 우즈베키스탄이 권위주의적 국가체제를 형성하게 한 주된 요인으로서 민족주의의 문제를 살펴보고 권위주의 체제의 형성 원인과 성격 분석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우즈베키스탄 국가체제에 대한 지역연구에 있어서 이제까지의 연구 방법은 전통적으로 지정학적 시각에서 접근하였다. 이는 이곳 현지의 역사와 문화, 종족성(ethnicity)을 통한 접근과 연구는 배제하고, 중앙아시아라는 거대한 패권 경쟁의 무대와 서구 지역연구의 틀에서 국가체제를 연구하는 접근법이다. 이런 지역연구 패턴은 한국의 중앙아시아 연구에서도 동일하게 드러난다. 이를테면, 구체적인 한 국가와 종족에 대하여 접근하기보다는 중앙아시아라는 지역적 개념, 즉 서양과 동양의 중간에 위치한 지정학적 개념을 먼저 머리에 떠올렸던 것이다. 이런 개념의 지역연구는 중앙아시아에 있어서 역사적으로 뿌리 깊다. 이른바 맥킨더의 심장부 이론은 중앙아시아를 지정학적 관점에서 연구해온 서구 지역연구의 출발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연구 토대에 대해서 비판적으로 승계하면서 우즈베키스탄이라는 지역적 위치가 가지는 함의와 종족성에 대한 구체적인 특수성을 설명하고자 한다. 우즈베키스탄이라는 국가체제를 형성하는 요소로서 민족의 중층적 성격, 역사적, 문화적 요소가 현대의 권위주의 국가체제 형성을 위해서 어떻게 활용되며 어떤 힘으로 재생되는지에 대한 통합적인 시각으로 논문을 구성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수행하면서 본 논문은, 첫째로 2장에서 우즈베키스탄 권위주의 정치현상의 특이성을 이른바 우즈벡의 보이지 않는 정치(invisible politics)로 표현되는 지역적 파벌세력의 분포와 현재의 원리주의 이슬람의 정치적 성격들에서 규명한다. 카리모프 정부가 강력한 권위주의 국가체제를 통치하기 위한 수단으로, 위로부터의 호킴 제도의 정착과 아래로부터의 마할랴 제도의 정비를 통해 추구하고자 하는 중앙집권화의 구조에 대해서 나름의 분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덧붙여 이런 권위주의적 국가체제를 유지하기 위한 카리모프 정권의 정치논리가 민족주의 이데올로기를 중심으로, 현재의 우즈벡 사회에 어떠한 방법과 모양으로 재현되는지를 규명하였다. 둘째, 본 논문의 제3장을 통하여서는 우즈베키스탄의 권위주의 체제의 형성 원인으로 현재 우즈베키스탄의 지정학적 특수성을 유념해서 분석하고자 한다. 우즈베키스탄의 국경과 국경선이 가지는 의미를 통해 현재의 경계 만들기(boundary making)에 동원되는 문화적인 요소와 그것을 발명하고 생산하고 유포시키는 주체와 힘과 상황들이 무엇인가를 찾아볼 수 있다. 이는 역사적으로 우즈벡 민족이 위치한 지리적 함의에서 출발할 수 있다. 브로델에 의하면 인간은 움직이지 않는 지리적 구조에서 장기지속적인 인간의 역사를 되풀이한다. 그에 의하면 역사는 “거의 움직이지 않는 역사”이며 동시에 오랜 세월 동안 반복적으로 되풀이되는 역사에 있어서 지리적 구조는 절대적 영향력을 가진다. 우즈베키스탄의 지리적 위치와 지정학적 함의는 우즈벡 민족 이면의 지리적, 민족적, 역사적 분절성(分節性)에도 불구하고 소비에트에 의해 만들어진 민족경계가 오히려 현재의 권위주의적 국가체제를 형성한 요인이 되었음을 설명한다. 그와 더불어 현재 카리모프 정권이 강력한 권위주의적 국가체제를 형성케 한 원인으로, 강대국 사이에서 위험한 줄타기를 할 수밖에 없었던 대러시아 관계와 대미관계의 틀을 지적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지역에 대한 러시아의 영향은 절대적이다. 하지만 신생독립국인 우즈베키스탄 정권은 90년대 의도적인 거리두기를 통해서 자국의 국가정체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간다. 하지만 우즈벡 정부의 체제강화를 위한 정치적 선택은 1990년대와 2000년대를 지나면서 매우 빠르게 변화한다. 또한, 근대 초기 우즈벡 민족의 바스마치 운동이라는 뼈아픈 저항운동의 경험과 소비에트 전체주의에 의한 권위주의 경험은 현재의 강력한 권위주의 국가체제 형성에 밑거름이 되었다. 이와 더불어 우즈베키스탄 정부가 넘어서야 할 현실로서의 국가의 총체적 경제난은 카리모프로 하여금 권위주의 국가체제의 형성을 이루게 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셋째, 본 논문의 4장에서는 우즈베키스탄 권위주의 체제에 대한 분석으로는 구조주의적(Structuralism) 시각과 원초주의적(Primordialism) 시각으로 우즈베키스탄 국가체제를 분석하였다. 구조주의적 시각은 신생 우즈베키스탄 공화국이 세계경제체제의 틀 속에서 어떤 역사적 단계를 경험하는지를 전체적(Totality) 관점에서 해석한다. 원초주의적 시각에 의한 접근은 이들 우즈벡 민족의 과거 정치적 경험이 현재에 어떻게 재현되고 재생되는지를 설명한다. 그것을 통하여 현재의 권위주의 국가체재를 형성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이들 민족 종족성에 근거한 원초주의적 관점에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우선 우즈베키스탄의 권위주의 정치현상에 대한 논의에서 분명히 지적할 부분은 현재의 권위주의 체제는 중앙아시아라는 무대 위의 역사를 가진 우즈벡 민족의 정치문화에 기인한다는 사실이다. 중앙아시아의 경계는 바로 정착민족과 유목민족의 경계를 의미하는 바, 이곳의 文化的, 政治的, 社會的 變動은 일상적이고 항구적이다. 과거 정착문명의 영역이 확장됨에 따라 그 경계가 넓어지면서 새로운 유목민족 집단은 늘 유동성의 상황에 처하게 된다. 이들은 과거 수천 년의 역사기간을 통하여 유목에서 정착으로의 변동을 수없이 경험하며 현재에 이르고 있다. 이들이 이런 변동의 과정을 경험하면서 체득한 것은 오늘날 유목민족의 문화적 특성으로 남아 있다. 유목민족의 정치적 특성 역시 오랫동안 이들의 정치문화로 면면히 이어져 오고 있다. 향후 카리모프 정권의 전망은 어떻게 될 것인가? 대체적으로 카리모프 정권의 붕괴의 시나리오는 아마도 외부가 아닌 카리모프 진영 내부에서 시작될 가능성이 크다. 이 일은 이전에는 카리모프의 측근이었지만, 최근에 정치적 압력으로 물러난 사람들을 주축으로 시도될 가능성이 있을 것이다. 사실 현재로서는 카리모프가 외부로부터의 위험보다 내부의 위험에 처해 있다고 보는 것은 성급한 판단이지만 개연성 있는 추측일 것이다. 본 논문에서 규명한 권위주의적 국가체제는 우즈벡 민족사의 입장에서 볼 때는 계속 재생되고 있는 정치현상이다. 중앙집권화와 폭력적 타자화의 고리는 체제적 모순 때문에 붕괴의 위험을 항상 안고 있다. 그러므로 우즈베키스탄의 정치 위정자는 현재의 근시안적 정치 해결책보다는 좀 더 멀리 보고 소통의 장이 열려 있는 자국의 정치체제를 추구하여야 할 것이다. 역사적으로 이 땅의 통치자는 유목부족의 수적 열세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기동력을 기초로 인근의 오아시스를 지배하였고, 반대로 오아시스의 경우에도 자신들의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 유목민들에게 필요한 물품을 공납하는 형식의 ‘공생적인 관계’를 유지했다. 중앙아시아에서 유목민과 오아시스의 결합은 유목제국의 출현을 가져왔다. 역사적으로 이 땅의 통치자는 그들의 공생의 길을 열어감에 있어, 대결이 아닌 통합을 통해 정치적 돌파구를 찾아왔다. 원초주의적 측면에서 볼 때 카리모프 정권의 권위주의적 국가체제는 자국의 민족사적 발전에 오히려 장애가 된다는 점을 명심하여야 할 것이다. Key Word : 권위주의체제, 우즈베키스탄, 민족주의, 유목국가, 호킴 제도, 마할랴.

      • 몽골 기독교의 정체성에 관한 역사적 고찰과 전망 : 기독부흥운동을 중심으로

        이성근 한반도국제대학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50639

        본 논문은 역사적 고찰을 통하여 몽골 기독교의 정체성을 연구한 것이다. 기독교가 몽골인들 가운데 어떤 역사성을 가지는지, 그리고 중세 몽골 기독교 신앙 활동의 한 특징이었던 ‘백투예루살렘’이 현대 몽골 기독교의 기독부흥운동과 어떤 연계성을 가지는지, 그리고 현대 몽골 기독교 부흥의 특징과 전망에 초점을 맞추었다. 본 연구는 ‘현대 몽골인들이 생각하는 것처럼 과연 기독교는 신흥종교이며, 몽골민족의 전통을 파괴하는 외래종교인가?’ ‘왜 부흥했던 중세 몽골 기독교는 갑자기 사라졌는가?’ ‘중세 몽골 기독교의 백투예루살렘과 현대 몽골 기독교의 부흥운동은 어떤 연계성을 가지며, 과연 기독부흥운동은 성공할 수 있을 것인가?’라는 세 가지 질문에서 출발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다음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 각 질문들에 접근하였다. 첫 번째 부분은 문헌조사를 통한 몽골 기독교의 역사적 고찰이다. 몽골에 기독교를 전파한 네스토리안교회와 동방선교에 대해 살펴보고, 몽골 기독교의 전래와 중세 몽골 기독교의 부흥과 쇠퇴의 과정, 그리고 근대 몽골 기독교 선교의 역사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러한 역사적 고찰을 통하여 몽골 기독교의 정체성을 새롭게 정립할 수 있을 것이다. 두 번째 부분은 문헌조사를 통한 중세 몽골 기독교의 성공과 실패에 관한 분석이다. 중세 몽골 기독교의 신앙 활동의 특징과 대표적 신앙 활동이었던 백투예루살렘에 대해 살펴보았다. 아울러 중세 몽골 기독교가 몽골 기독교에 미친 긍정적 영향과 실패의 원인을 분석하였다. vi 세 번째 부분은 현지조사를 통한 현대 몽골 기독부흥운동과 전망에 관한 것이다. 사회주의 체제와 개방화 등의 역사적 변화 속에 기독교가 어떻게 부흥하고 있으며 도전은 무엇인지, 그리고 현대 몽골 기독교의 지향점은 무엇인지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아울러 현대 몽골 기독교의 부흥운동의 특징은 무엇이며 향후 성공할 수 있을 것인지를 전망해 보고자 한다. 여기서는 인터뷰 조사와 설문조사 등의 현지조사가 이뤄졌다. 이 연구를 통하여 드러난 몽골 기독교의 정체성은 개방화 이후 갑자기 등장한 신흥종교, 외래종교가 아니라 - 현대 몽골의 주요 전통인 불교가 부흥하기 전 - 13세기에 이미 몽골제국의 주요 전통으로 자리를 잡았던 몽골의 대표종교라는 것이다. 그리고 중세 몽골 기독교는 매우 정치적이어서 순수한 신앙으로 민간에 토착화되지 못한 한계성을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몽골제국의 패망과 함께 갑자기 사라지게 되었다. 이러한 역사적 교훈을 갖고 있는 현대 몽골 기독교는 20/10 비전 선언을 통하여 부흥운동을 전개하고 있으며, 이것은 교회개척운동과 백투예루살렘 선교운동으로 구체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몽골 기독교 지도자들은 과거 몽골의 세계가 영광스런 역사이기도 하지만 기독교 신앙의 입장에서 무고한 피를 흐리게 한 유감스러운 역사임을 인정하고, 이제는 무력이 아닌 사랑과 용서로 대표되는 기독교 신앙을 가지고 다시 세계를 정복할 사명을 갖게 되었다. 향후 이 비전은 몽골 기독교의 가장 중요한 정체성이 될 전망이다.

      • 영화 [리틀 포레스트]를 활용한 한국어 문화 교육 방안 연구 : -영화 접근 방법과 지문 교육을 중심으로-

        나윤희 한반도국제대학원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39

        본고에서는 구성주의 교육 관점의 문제중심학습을 기반으로 한국의 현대 일상생활 환경과 대중문화를 잘 반영하고 있는 힐링 영화를 활용하여 한국 언어 문화 교육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고는 한국어 교육의 영화를 활용한 한국어 문화 교육 분야에서 비언어적인 요소가 내포하고 있는 힐링 이론과 그동안 간과되었던 지문(地文)에 대한 연구 분석을 통해 한국어 문화 교육에 접목하고자 하였다. 지문을 문맥(context)에 대한 이해라고 본다면 텍스트에 대한 이해는 기본적으로 콘텍스트인 지문에 대한 이해에서 생성된다고 볼 수 있다. 콘텍스트 교육은 텍스트 교육에 선행되기도 하고 필수불가결한 것이다. 지문은 대사로 표현되지 않은 마음의 상태, 비언어적인 것들을 표현한다. 영화에서의 지문교육은 지금까지 깊게 분석해 보지 않았던 영역으로 대사교육 못지않게 중요할 수 있고 한국어 교육에 유용성도 크다. 영화 몇 편만으로도 필요한 한국어교육 목표에 달성할 수 있다. 영화는 종이 교재에 비해 접근성과 용이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어 영화 교육 자체로 기존의 한국어 수업을 대체할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교사에게 영화를 읽는 문화 가이드로서 전문성과 영상을 재구성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영화를 활용한 한국어 문화 교육에 있어 지문 교육과 함께 실제적인 지침과, 새로운 문화 접근 방법으로서 한국 언어 이해의 깊이를 더하는 실험적 연구로 제안하였다. This study suggests a new method of Korean culture and language education based on problem-oriented learning by using “healing” movies that well-reflect modern day Korean lifestyle and popular culture. The intention of this study was to integrate nonverbal elements, which includes healing theory, and film’s action and sound descriptions(지문), henceforth descriptions(이하 지문), that were overlooked in the Korean culture and language education. Assuming descriptions as an understanding of context, the understanding of the actual speech is developed from understanding the descriptions. Context education precedes text education and it is a prerequisite. The descriptions express the state of mind and non-verbal elements that are not expressed in the speech lines. Teaching Korean language by studying speech descriptions in the movies is an area that has not been examined in depth and it is as important as studying speech lines. Therefore, studying descriptions(지문 교육) could be usefulness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descriptions that indicate non-verbal information, students can learn various sounds(onomatopoeia), motions(mimetic words), tools, nouns, verbs and adjectives describing situations, progression or repetition, adnominal forms representing relationships, as well as grammatical expressions. This enables students to att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that is implied by Korean movies. Using this method, one could achieve the purpos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ith a few set of movies. Education through movies has advantages that it is more accessible and convenient than traditional paper-based educational material. Education through films poses a possibility that it may replace existing Korean classes. However, educators require professionalism as a cultural guide who can “read” movies and skills to rearrange scenes for targeted purposes. This experimental study suggests a new approach to cultural and language education that could add depth to understanding Korean culture and language by studying speech descriptions in Korean films and it includes practical guideline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using them.

      • 방탄소년단(BTS)을 통한 한국어 콘텐츠 분석 및 활용 방안

        김윤희 한반도국제대학원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39

        본 연구에서는 한류의 새역사를 쓰며 전 세계의 주목을 받는 K-Pop 가수 방탄소년단(BTS)을 통한 한국어 교육 방법에 관해 연구하였다. BTS를 통해 전 세계적으로 한국어를 배우기 원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자발적인 관심과 학습을 통해서 한국어가 전 세계적으로 알려졌음을 발견하였다. BTS를 통해 한국어에 관심을 가진 팬들은 노래를 한국어로 부르는 것은 물론이고 한국어를 읽고 쓰고 BTS와 관련된 모든 영상과 자료들을 번역하는 데까지 힘을 쏟고 있다. BTS의 노래와 영상 등을 활용하여 한국어 학습 콘텐츠들이 만들어지고 있고, 이를 통해 체계화된 한국어 교육의 확대가 일어나고 있다. 본 논문에서 BTS 한국어 교재와 팬들을 통해서 자발적으로 만들어지는 다양한 BTS 콘텐츠가 한국어 학습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보였다. 또한,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하여 기존의 한국어 학습과 다른 BTS 콘텐츠를 활용한 한국어 학습 방안에 관해서 연구했다. BTS의 콘텐츠를 활용하여 만들어진 한국어 교재와 해외 한국어 학당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세종 한국어 교재를 비교 분석했다. 이에 더하여, BTS 공식 팬 커뮤니티 플랫폼인 ‘위버스’에서 제공하는 한국어 학습 영상자료 분석과 활용을 통해 학습자들이 더욱 흥미롭게 한국어를 배우는 방법을 고민했다. BTS 교재와 다양한 BTS 콘텐츠, 학습 동영상과 노래를 통해 읽기, 쓰기, 듣기, 말하기의 활동을 할 수 있는 한국어 교안을 제시하였다. 특별히 기존의 교안들의 틀을 깨고 문법과 어휘,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학습자가 흥미를 느낄 수 있는 BTS 소재―BTS 팬들이 제공하는 사진, 편지, 기사 등―를 가지고 수업을 진행하도록 교안을 작성했다. 본 연구는 BTS에 관한 다양한 콘텐츠가 한국어 학습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한 데에 큰 의의를 두었다. 이후의 다양한 한류와 문화콘텐츠 관련 연구를 통해서 한국어를 더 쉽고 체계적으로 접할 수 있는 교육 교재, 프로그램과 학습 콘텐츠들을 고안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개발된 BTS의 다양한 콘텐츠가 한국어 학당과 강좌, 온라인 한국어 수업 등의 한국어 교육에 활발하게 사용된다면, 실제로 더 많은 학습자가 한국어를 더욱 쉽고 재미있게 접하며 한국어를 유창하게 구사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다양한 한국어 학습방법의 개발이 한국어가 세계 주류의 언어로 자리 잡는 데 큰 역할을 할 수 있기를 바란다. This study develops Korean language education utilizing the famous K-Pop boy band, BTS, writing a new history of the Korean Wave of K-Pop music. The Korean language has become well-known all over the world through BTS fans’ voluntary interest and learning. BTS fans not only sing songs in Korean, but also read, write, and translate all videos and materials related to BTS. This study argues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can expand through the creative contents such as songs and videos produced by BTS. This paper also shows that Korean textbooks and various contents voluntarily created by BTS can be used for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effectively. In addition, Korean language learning plans using the BTS contents reflect the needs of learners, which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Korean language learning method. This paper shows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Learn! Korean with BTS’ and Sejong Korean textbooks, which are widely used in overseas Korean language institutes as existing textbooks. Moreover, there is great potential for learners to learn Korean in more interesting ways by analyzing and utilizing video materials produced by the official BTS fan community platform named ‘Weverse’. This study presents various Korean teaching plans using BTS content materials such as BTS textbooks, videos and songs. In particular, this study provides new types of Korean teaching methods using photos, letters, and articles provided by BTS fans. This study shows that various BTS Korean contents can be used for Korean language learning. It is necessary in the long term to devise educational materials and learning contents related to the Korean Wave, which can attract foreigners to learn the Korean language. Subsequent research needs to develop various contents of BTS, which are actively used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institutes, Korean lectures, and online Korean classes. It is expected that these new contents allow more learners to interact with Korean culture in a more fun way and to speak Korean fluently. Lastly, BTS and other Korean Wave contents can play a significant role in establishing Korean as the world's mainstream langu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