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地域社會文化와 地域社會 正體性 形成關係 硏究

        이세훈 韓南大學校 社會文化科學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51711

        First of all, about the motive and method for question to be presented, in 21C, the age of local decentratization of authority comes to our nation. It means that age which we have independently to lead the local self-govering culture of local society is changing. According to the flow of age, we need to investigate the identity of culture of community. Here, writer wants to study about the points, what kind of shaped culture is it, and what kind of senses on the foundation is it in which we live. Also, the identity which local society has been endured the changes of historical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In tradition, folk-ways and tale of local society have traditional senses and the oriental ideal system. There are traditional folk-ways such like Ge( from the accient time, mutual cooperative group which come down in our nation), Doore( local cooperative group ), or Hyang-Do( good custom in local area) and local music. In such kinds of culture of local society have improtant communality in them as inhabitants' joint senses. The communality had a role prescribing the closing and openness of local society so that about the point which kinds of direction was desirable is ultimate result of this thesis and object to study. Second of all, this is about the life of food, clothing and shelter in culture. All the cultures begin from the area of food, clothing and shelter, and they prescribe our practical mode of living. The human which Aristotle had declared was just" the social creature." The social creature means, sometimes, that they give and take each other their food, clothing and shelter to solve. Sharing their food, clothing and shelter for solution, they need mutual communication, and in which their communication has been effected reasonably is formed conscious structure prescribing their culture. Third, it is about the traditional culture and traditional concious structure. Our traditional cultured is confucian culture. The confucian culture is oriental culture and ideal system formed through interchange without ceasing with china. On these foundation, in our local culture, such a chinese culture or metaphsical conscious structure is implied. For example, Yulkok the great confucianist in our country saw that all the space, nature and human being existed being linked with reason and vitality in mystery. So to speak, he said, "reason and vitality cannot be seperated existentially. Of course, such a thinking tradition appears in the area of spirit and material unification in Tangun myth, as distinctive quality of korean idea, and Wonhyo's idea of peace and argument. Forth, about the desirable communality of local culture, the culture of local society is facing crisis by means of whole global economic flow in the name of worldlization. This become critical senses, if we don't follow the flow of worldwide culture, which can be lost the life as culture. But national joint senses is based on our traditional culture as our history and tradition showed. Such a common senses resisted against the flow of undesirable alien influence, and had the united senses. In such standpoint, what we make to revive communality which the culture of local society had is just shortcut which secure our cultural independency. After all, as writer belives what we promote various cultures and events of local society, and support systematically administration and residents' positive participation, would make the way to go to 21C. Ideal society should become the society which is thinking highly of local quality, and recognizing diversity of culture. Then, forming desirable communality, we can need possessing of feeling sympathy together with local residents' common concious structure. Therefore, such a activity of creative culture never can be seperated from historical back ground and tradition which local society had. In transmitting valuable culture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new formation of communality is possible as we bring conscious structure into relief, which can be showed modernly in times' situations.

      • 사회복지기관 사회복지사의 재교육 실태와 욕구에 관한 연구 : 대전광역시 사회복지기관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남연우 한남대학교 사회문화과학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51695

        Recognizing that there are not enough detailed discussions and reports on the activation plans for the reeducation of social workers, this study performed a survey investigation on social workers who have social worker certificates at social welfare organizations(local organizations and facilities for social welfare) from May 9th to 20th, 2003 through mails and interviews. This study was done through the investigation on the current condition of reeducation and desires of the social workers so that it can be the guiding plans for the activation of social workers' reeducation The followings show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on the condition of reeducation and desires of the social workers. First, more than half of the social workers never experienced the new worker orientation program but most of them experienced reeducation from the outside organizations. Most of them responded that they could not get the reeducation due to overwork. Second, of the education performed by the organization, the social workers of organizations showed the highest participation rate in the lecture of outside lecturer and they showed a high satisfactory level in training programs and other(oversea training) programs performed by the organization for the reeducation during the past year. The social workers of organization responded that the reeducation of social worker from inside and outside helps them improve their working skills so it shows that the necessity of reeducation and the application of it were high. The educational organizations with a high satisfactory level could be highly found in the reeducation of relevant associations or organizations but the reeducation performed by the government organizations had a low satisfactory level. The areas which the social workers are mostly reeducated are the theory and technique of direction intervention in clients. Third, when the desire of reeducation was looked into, the relevant association and organizations are thought to be appropriate for the outside reeducation organizations for social workers. They preferred lectures by outside lecturers for the inside reeducation and they wanted social welfare experts and experienced social workers as the lecturer of reeducation. They also think that twice a year is right for the reeducation time. The social workers said that they get the reeducation to improve one's quality and professionality, and both organizations and individuals showed much interest in the reeducation so this shows that both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have a high desire for reeducation. Fourth, an analysis was done on different variables related to reeducation. The result shows that the experience and participation in the reeducation are not determined by other variables such as working condition of the social workers at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or facilities but the reeducation of social worker is activated when both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show interest in the reeducation. Based on the condition and desire of the reeducation, the following activation plans were made for the reeducation. Frist, a basic education program needs to be developed for the new social workers. Second, the main organization that performs the reeducation should find out the exact desire of the social workers in order to select a them for the reeducation based on the social workers' desire. Third, in the education, the parts which generally showed high satisfactory level should be developed more and they should try to improve the current programs in quality and quantity. Fourth, the relevant associations or organizations, which the social workers prefer, should develop a concrete program for the reeducation. Fifth, a secured manpower that can take the place of the social worker is needed so that they can be substituted in some of the day shift or the night shift. By doing this, the social workers can get the reeducation without worrying about the insufficient time. Sixth, the relevant associations and organizations should try to settle the supports from the government and organizations. Seventh, above all things, the interest of the social workers and organizations in the reeducation is most important in order to activate the reeducation.

      • 가사서비스업 종사자의 근로실태와 복지욕구에 관한 연구

        김진영 한남대학교 사회문화과학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51695

        본 연구에서는 가사서비스업 종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근로실태, 그리고 복지욕구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조사는 대전지역 복지기관 및 여성단체에서 가사서비스업에 종사하고 있는 기혼여성 12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사서비스업 종사자의 평균 연령은 약 48세 정도였고, 고졸자 이상의 학력자와 남편이 실직한 경험이 있는 경우가 과반수 이상이었다. 가족전체 수입이 100만원 이상인 가정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정부지원금을 받은 경험이 있거나 받았다고 응답한 경우는 적어서 정부지원이 필요한 극빈곤층 보다 차상위층이나 그 이상의 계층에서 많은 참여를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조사대상자들은 가사서비스업 이전에 다른 일을 해 본 경험이 없는 경우가 있는 경우보다 미비한 차이로 더 많았으며. 다양한 기술과 자격증을 소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기술과 자격증에는 가사서비스업보다 사회적으로 높게 평가되고 있는 종류의 것도 있었다. 직업을 바꿀 의향이 있는 경우, 직업에 대한 낮은 사회적 인식 때문이라는 이유가 가장 많았다. 또 일로 인한 불쾌감을 경험했을 때는 다투지 않고, 참거나 같은 일을 하는 동료들과 상담한다는 응답이 많았다. 따라서 고용인으로서 나아가서는 가사서비스업에 대한 우리 사회의 의식전환이 시급하며, 근로에 대한 정신적 고통을 해결해 줄 수 통로가 있어야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조사대상자들은 일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반면 스트레스도 많이 느끼고 있었다. 특히 남편의 실직경험이 있는 여성들의 스트레스 정도가 높았다. 넷째, 조사대상자들이 받는 교육은 소속기관마다 차이가 있었으나 초기교육 특히 재교육 및 월례회의는 일을 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과 관련된 전문교육뿐만 아니라 다양한 교육욕구와 자신이나 가족의 문제 등으로 인한 상담욕구를 가지고 있었다. 가사서비스업의 자격증 제도와 종사자들의 욕구를 직접적으로 대변하고 옹호하는 협회의 필요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본인의 협회 참여의사 역시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사서비스업 종사자의 연령, 학력 및 경제수준 등 다양한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복지욕구에 맞는 복지서비스가 실시되어야 한다. 과거 가사서비스업은 빈곤층에서만 종사하는 업종으로 한정되어 왔으나, 조사결과 여러 계층에서 참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직종의 중요성과 다양성을 공론화해 가사서비스업 종사자의 위상을 정립해야 한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일과 가사로 인한 스트레스 해결을 위해 정서적 개입방법의 모색이 필요하다. 또 다양한 복지욕구 충족을 위해 교육 및 월례회의 강화와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셋째, 사회적 인증을 받을 수 있는 자격증을 신설하고, 조사대상자의 전문성을 확보하여 노동 가치를 높여야 한다. 더 나아가 사회보험의 가입을 통해 근로에 대한 안정화를 추진해야 한다. 넷째, 협회 창설로 가사서비스업 종사자의 사회적 지위를 공식화하는 방안도 적극 모색해야 할 것이다. 또 사회복지분야에서 여성자활사업의 일환으로 연계될 수 있는 방안도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home-making service employees, their working conditions and needs. It attempted to investigate 200 married women who were employed in homemaking service jobs across welfare centers and women's organizations in Daejeon metropolitan area. Out of these 200 subjects, the data from total 121 respondents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can be outlined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age of home-making service employees was about 48, and majority of them had academic careers beyond the graduation from high school and experiences in husband's unemployment. Majority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total household incomes exceeded min. 1 million Korean won, while a few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had ever once or more experiences in receiving governmental subsidy.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semi-destitute or lower classes more often participated in governmental support than destitute class in need. Secondly, the respondents without any experience in doing other jobs before employed in home-making service were a little more than those with such experience. And most respondents owned various skills and qualifications. Some of these skills and qualifications were socially even more respected than home-making service. For the respondents who intended to turn from current job, most of them attributed the reason to low social recognition for home-making job. In addition, when feeling any uneasiness or stress due to home-making works, many of them just withstood it or consulted co-workers about it rather than sought a quarrel with a party concerned. It is impending for employers or society to convert conventional awareness about home-making services into positive direction. Moreover, there should be potential paths to resolve mental suffering in home-making works. Thirdly, most respondents had relatively high satisfaction at their works, while often feeling stressed. Especially, the respondents with experience in husband's unemployment revealed higher stress than control group. Fourthly, the education provided for respondents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nature of organization employing them. It was notable that initial education - especially reorientation and monthly meeting - helped them carry on their home-making works. Moreover, most respondents had various educational needs including technical education related to their works, and also had counseling needs due to matters about themselves or their own family. Most respondents pointed out that it was very necessary to establish qualification system for home-making services and found an association that may advocate and speak for the needs of home-making employees at first hand. Besides, they also showed high intention to participate in associ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may offer several suggestions as follows: First, it is important to provide welfare service to meet various welfare needs and socio-demographic attributes such as age, academic career and economic level of home-making service employees. In past, home-making service was just deemed a business only for poor class. But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various classes participated in home-making service. Accordingly, it is required to set up the social position of home-making service employees by referring the importance and variety of home-making job to public opinions. Secondly, it is necessary to seek for possible emotional intervention to resolve their stress under jobs and home-making. And it is also necessary to enhance reorientation and monthly meeting for them and develop related programs so as to meet various welfare needs. Thirdly, it is essential to newly establish proven qualifications for home-making around society, while enhancing their labor values with full specialty and expertise in home-making. It is required to promote home-making workers' labor into more stable status than now by applying social insurance to them as well. Furthermore, it is recommended that their associations should be founded to formulate social position of home-making service employees.

      • 유아의 기질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와 교사의 평가를 중심으로

        정영선 韓南大學校 社會文化科學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51695

        본 연구는 유아의 기질 성향을 파악하고 유아의 조화로운 발달과 사회적으로 유능한 유아로 성장시키는 방법을 탐색하고자 하는 궁극적인 목적을 가지고 이를 위한 기초연구로 우리나라 유아의 기질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 알아보고 유아의 기질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대전광역시에 거주하는 만 3세에서 만 5세 유아 127명과 그들의 부모, 교사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검사도구로는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을 알아보기 위해서 Sparrow, Balla, Cicchetti가 1986년에 개발한 바인랜드 사회 적응행동 검사(Vineland Adaptive Behavior Scales)를 이영자, 이종숙, 양옥승(1987)이 한국판으로 번안해 놓은 것을 이정선(1999)이 간편형으로 개발한 것을 사용하였다. 부모용 유아 기질 척도(Parent Temperament Questionnaire)는 Thomas와 Chess(1977)가 뉴욕종단 연구를 통해 개발한 3세-7세 유아 기질검사를 고태순(1997)이 한국실정에 맞게 간편형으로 개발한 것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기질 성향은 기분의 전환이 쉽게 잘 이루어지는 반면 낯선 사람이나 낯선 또래에 대해 쉽게 친숙함을 보이는 경향은 낮았다. 둘째, 유아의 기질은 선천적인 것이고 유전적인 것이므로 사회인구학적 변인이 많은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인구학적 변인으로는 어머니의 평가에서는 교사의 교육경험과 가계의 월평균 소득이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친 반면 교사의 평가에서는 유아의 연령, 성별, 출생순위에 따라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쳤다. 넷째, 유아의 기질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쳤다. 세분화하면, 유아의 기질 중 대인관계적응성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영역 중 사회적 활동성, 사회적 안정성, 협조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활동수준은 사회적 안정성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쳤으며, 전환성은 사회적 규범에 대한 순응성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was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temperament on social competency in early childhood in order to explore ways to improve children's social ability. The subject of the study were 127 children between age 3 and 5 with their mothers and teachers. To measure childhood temperament, Thomas and Chess's Parent Temperament Questionnaire translated and simplified by Ko(1997) were used and to measure children's social competency, Sparrow, Balla, and Cicchetti's Vineland Adaptive Behavior Scales translated and simplified by Lee(1999) were used. The result of the study were:- 1. 3 and 5 year old Korean children changed mood easily but less friendly with strangers. 2. Children's temperamen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demographic variables meaning children's temperament was indeed innate. 3. Among the surveyed demographic variables, household income was found to influence mother rated children's social competency, children's age, sex, and birth order were found to influence teacher rated children's social competency. 4. Children's temperament did influence children's social competency. "Interpersonal adjustment" influenced "Social Activity", "Social Security", and "Cooperation". "Activity Level" influenced "Social Security", and "Change of Mood" influenced "Compliance to Social Rules".

      • 百濟文化祭 實態 및 活性化 方案에 관한 硏究

        이주영 韓南大學校 社會文化科學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51695

        21th century are promising Cultural Tourism Products by era of culture. Specially, local festival according to era is used to important subject in development of local economy and local culture do in Globalization with age of local Government. This area culture festival has big charm to detain tourists into importance resources for tourist development, and in local government as well as central government cultural tourism product concentrically plan and development. Is preserving culture and tradition as capital of hundred emperor trillion that is long history's Bu-yeo. Specially, Bak-Jae cultural festival on topics are contributing greatly in local culture development that is preserved today to representative local culture festival of Bu-yeo regional, and are represented by area specific Character and Tradition. Such as Bak-Jae cultural festival theme is cultural tourism products to have superior resources, but is not recognized practical value called cultural tourism products. The reason being because is not receiving hailing of local resident and tourists, is not contributing local economical development and community development. Because is not influencing in Bu-yeo Gun attempt area development, need countermeasure for area festival development being not considering local community and charm, cultural value, meaning of festival,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 and tourists, expectation effect of area etc. that is important leading person of area festival. Bak-Jae culture festival topic at the future cultural tourism products if arrange contents to develop as following be . Firstly, need change to little more excellent practical festival in current formal festival. variation by special quality and "practical festival" through current 86 events and develop to area event, and financial part must solve voluntarily. Second, center and rear culture heritage event because developing subject of Bak-Jae cultural festival topics in theme form. Connect and produce program and event schedule on the whole. Third, hold to event that local resident participates. Local society and inhabitants drive ready of event and administration operation so that can hold and manage voluntarily, and tradition customs event "Local resident" and "Tourists" together do by program that know compose . Fourth. Equipment of event space little more visual, space enemy, original, produce, and develop participation and experience program and form satisfaction to festival by atmosphere. compose to theme of spaces culture heritage pavilion using Kum-Gang River Park, should be grown by brand because develop, and develop Local products so that tourists may can experience. Conclusively, if synthesize way of Cultural Tourism Products based on present condition and analysis about Bu-yeo. is Bak-Jae Culture festival topics, contents should be executed after examine in dimension that is working-level to administer business actually that propose in investigator's situation.

      • 어머니의 부모 효능감 및 양육행동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과의 관계

        윤은미 韓南大學校 社會文化科學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51695

        본 연구는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의 영향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어머니의 부모 효능감과 양육행동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부모 효능감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유아의 건강한 사회적 능력 발달을 도모하고, 실제적인 측면에서는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어린이집 3곳과 유치원 2곳에 다니는 만 5-6세 유아 270명과 그들의 어머니 270명 및 대상 유아들을 한 학기 이상 맡아 온 담임 교사들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어머니의 부모 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서 PSOC(Gibauc-Wallston&Wanderman, 1978)를 신숙재(1997)가 수정·번안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또한 어머니의 양육행동을 알아보기 위해 박주희(2000)가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고,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을 측정하기 위해 NICHD Early Child Care Research Net work (1996)과 Peisner-Feinberg와 Burchinal(1997)의 여섯 가지 유아의 발달척도 중 유아의 사회적 능력 척도를 이 영과 김명순(1999)이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를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 먼저, 연구대상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의 일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부모 효능감과 양육행동,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과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과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어머니의 부모 효능감과 어머니의 양육행동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단순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어머니의 부모 효능감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단순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부모 효능감은 유아의 성별, 어머니의 교육수준, 어머니의 취업유무, 가구소득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어머니의 교육수준, 어머니의 취업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어머니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아동에게 일상생활에서 규칙을 정해 지키도록 하고, 행동의 한계를 설정하는 양육행동을 많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은 유아의 성별과 어머니의 교육수준, 가구소득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아가 남아보다 사회적 유능성이 높고, 어머니의 교육수준이 높고, 가구의 소득이 높을수록 사회적 유능성이 높은 경향이 있었다. 둘째, 어머니의 부모 효능감은 온정·격려, 한계설정, 거부·방임과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는데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어머니 양육행동 요인 중 온정·격려와 한계설정과는 정적 상관을 보였고, 거부·방임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즉, 어머니의 부모 효능감이 높을수록 자녀를 수용하고 애정표현이나 필요한 도움을 많이 제공하며, 자율성에 대한 칭찬과 격려 등과 같은 긍정적 행동을 많이 하고 또한, 자녀에게 일상생활에서 규칙을 정해 지키도록 하며, 행동의 한계를 설정하는 양육행동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어머니의 부모 효능감이 높을수록 자녀를 수용하지 못하는 행동을 하거나 화를 내거나 신체적으로 체벌을 가하는 행동을 덜하고, 자녀의 의견을 무시하거나 자녀와 상호작용을 기피하는 행동을 덜 하는 경향이 있었다. 셋째,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을 가장 잘 설명하는 어머니의 양육행동 요인은 온정·격려로 나타났다. 즉, 어머니가 유아에게 애정표현과 필요한 도움을 제공하고 자율성에 대한 칭찬과 격려 등과 같은 긍정적인 행동을 보일수록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은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한편 어머니의 부모 효능감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 This study was aimed at figuring out the relations between maternal's parental efficacy and parental behaviors in order to assist in understanding definitely the maternal's effects influencing on the children's social competency and finding out what relations between the maternal's parental behaviors and parental behaviors and the social competency of children have been shown. It is designed through this not only to encourage the sound social capabilities, but to provide the basic data needed for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parental's educational programs for promoting the social competency of children. The survey has been made for 270 children of 5-6 ages out of the 3 Kids House and 2 kindergartens located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270 of their parents and teachers in charge who have taken care of them more than one semester. The questionnaire of PSOC(Gibauc-Wallston &Wander man, 1978) adapted and revised by Shin, Suk-jae(1997) has been applied for measuring the parental efficacy. Also for figuring out maternal's parental behaviors, the scales developed by Par, Ju-hee(2000) and the scales for the children's social competency which have been adapted by Lee Young and Kim, Myung-soon(1999) out of the Children's 6 Development Scales of the Children NICHD Early Child Care Research Net work (1996) and Peisner-Feinberg와 Burchinal(1997) have been applied.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re was not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maternal's parental efficacy depending on the children's gender, maternal's educational level, maternal's employment or not and household income. Maternal's parental behaviors have shown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educational level and employment-or-not. That is mothers with relatively higher level of educational level have show tendency of making the children abiding by the rules in daily lives and shown such maternal behaviors as setting up act-limit. Also the children's social efficacy has been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children's gender, maternal's educational level and household income. The social competency have shown much more better in female children than male, higher maternal's educational level and high income household. Secondly the maternal's parental efficacy has shown significant interrelation with warmth, encouragement, limit establishment, denial and noninterference and looking further into details, out of the maternal's parental behaviors, warmth, encouragement, limit establishment have shown the positive interrelation and the negative with denial and noninterference. It means that the higher the maternal's parental efficacy is, the more mothers express love, provide much help to the children, do positive behaviors of praise and encouragement on the autonomy, guide them to follow the rules in their daily lives and extend the parental behaviors of limiting the boundary. On the contrary, the higher the maternal's parental efficacy is, the less in acting the behaviors not acceptable to the children, showing anger, inflicting corporal punishment, disregarding the kid's opinion, and avoiding the interactive with the children. Thirdly the warmth and encouragement out of the maternal's parental behaviors have been expressed as the elements explaining most the children's social competency. That is, as mothers have expressed their love, provided necessary helps, shown very positive behaviors of praise and encouragement on their autonomy, the children's social competency has been increased as well. On the contrary, there has not shown any significant interrelations between the maternal's parental efficacy and the children's social competency

      • 어머니 양육 아동과 타인 양육 아동의 사회성에 대한 연구

        현금옥 韓南大學校 社會文化科學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51695

        본 연구는 양육자의 양육특성과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양육자의 양육특성에 따라서와 사회 인구학적 변인들이 양육특성과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특히 기존의 연구에서는 어머니와 아동을 대상으로 애착관계 및 사회성 발달에 접근하며 타인 양육 아동을 함께 접근하여 본 것은 보기 드물므로 어머니 양육 아동과 타인 양육 아동을 함께 분석하면서 비교해 보는 시도를 포함하고 있다. 1. 양육자의 양육특성과 아동 사회성의 일반적 수준은 어떠한가? 2.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양육특성 차이는 어떠한가? 3. 양육자 양육특성과 아동의 사회성 간의 관계는? 4. 양육자의 양육특성과 아동의 사회성이 어머니 취업여부에 따른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D광역시에 소재한 보육시설 10개소에서 현재 재원하고 있는 아동 600명의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하여 실시되었다. 아동의 연령은 만2세~만4세의 범위에 속하였고 성별은 남아 238명(54.8%), 여아196(45.6%)였다. 어머니는 취업지위에 따라 전업주부 300명과 취업주부 300명으로 구성하였으며, 설문 조사 기간은 2003년 2월 3일~20일 까지였다. 본 연구를 위해 사용된 척도는 양육자의 양육특성과 아동의 사회성 척도 두 가지였다. 양육자의 양육특성 척도는 부모 효능감은 신숙재(1997) 척도를 부모-자녀관계, 부모 역할 만족도, 배우자 지지는 현온강(1993)의 척도들을 응답 및 채점 방식을 부분적으로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아동의 사회성 척도는 교육부에서 제시한 사회성 관련 내용들에 기초한 협동성, 사교성, 책임성 등의 세 유형으로 구성된 척도를 사용하였다. 전체적으로 총600부(300X2)의 설문지가 배부되어 응답 내용이 부실하거나 성실치 못한 자료를 제외시켰고, 총 434(217X2)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처리에는 SAS(version 8.0)를 이용하였으며 빈도, 백분율, Cronbach의 a값, 평균, 표준 편차, ANOVA, Pearson의 적률 상관계수, 회기분석 등의 통계 기법들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양육자의 양육특성의 일반적 수준은 부모 역할 만족도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부모-자녀관계, 배우자 지지 등에서는 부모 양육태도 중에서 중간 이상의 높은 점수를 보였고, 자료의 분포를 볼 때 표준편차에 의해 보면 배우자 지지에서 넓은 분포를 보인 반면 부모 효능감에서는 분포가 많이 모여 있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아동 사회성의 협동성, 사교성, 책임성은 비교적 높은 점수를 보였고, 표준편차를 보면 아동의 사회성에 넓은 분포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양육자의 양육특성 중 부모 효능감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쳤고, 부모-자녀관계에서는 월평균 소득이 높고(300만원 이상), 주거형태에서 아파트가 동거가족 중 친가가 높은 점수를 보였고, 부모 역할 만족도에서는 부모의 월평균 소득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배우자 지지에서는 부모들의 학력이 높고 주거형태 중 아파트가 동거가족에서는 외가보다 친가가 더 많은 점수를 보였다. 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아동의 사회성 에서는 성별에서 여아가 남아보다 책임성에 높은 점수가 나타나고, 부모의 직업과 학력이 아동의 사회성에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월평균 소득에서 협동성이 높은 점수를 보였다. 주거 형태에서는 아파트가 높은 점수를 보인 반면 동거 가족은 아동의 사회성 요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셋째, 어머니 양육의 부모 효능감과 부모-자녀관계에서 아동의 사회성, 협동성, 책임성에 높은 상관을 보였다. 타인 양육은 아동 사회성과의 상관관계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 효능감과 부모 역할 만족도에 어머니 양육의 경우가 타인 양육보다 높게 나왔다. 이는 어머니가 자녀를 직접 키우는 경우가 부모 효능감, 부모 역할 만족도, 배우자지지 등이 더 만족하고 있다는 것이며 그러므로써 어머니 양육 아동이 아동의 사회성과의 상관관계가 높게 나왔다고 할 수 있다. 아동의 사회성에 있어서는 타인 양육 아동이 어머니 양육 아동보다 협동성과 책임성은 높게 나왔고 사교성은 유의한 차이가 없게 나왔다. 이러한 결과는 어머니 양육 아동의 사회성이 타인 양육 아동의 경우보다는 높다는 것으로 기대했던 것과는 상반되는 것으로 두 가지 측면에서 이야기 할 수 있다고 하겠다. 그 하나는 어머니 양육 아동의 사회성과 양육자 양육 특성과의 상관 관계가 어머니 양육에서 더 높게 나온 것은 상관관계 자체를 의미하는 것이지 타인 양육 아동보다 어머니 양육 아동의 사회성이 자동적으로 더 높아야 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므로 두 가지 결과가 상충하는 것이라고 볼 수 없다고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타인 양육 아동이 어머니 양육 아동에 비해 협동성과 책임성만 높게 나온 것은 사회성 가운데서도 사교성은 책임성이나 협동성에 비해 타인의 요구, 지시 또는 교육에 의해 나타나기가 어려운 행동이고 본인의 내면적 동기나 성격 또 자발적 행동에 더 많이 의존하는 행동인데다 가르치거나 요구되는 행동이 아닌데 비해 책임성 있는 행동이나 책임성과 협동적인 행동은 어디서든 유아에게 보다 빈번히 요구되는 행동으로 타인 양육에서 높게 나타날 수도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라 하겠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어머니 양육 아동은 어머니의 양육특성과 많은 관계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사항이 연결되어 아동의 사회성과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으나 타인 양육 아동에서는 사회성과 상관관계가 낮게 나타났다는 점을 고려하여 볼 때 아동 사회성의 어머니 양육 아동에 있어서 어머니가 아동을 양육할 때 합리적으로 일관성있게 긍정적으로 양육하여야 되겠다고 이야기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characteristics of parental and non-parental children and we used to research the only relationship between mother and children but we focus on what are the difference social relationship of parental and non-parental children on this study The research questions are posed as follow : 1. Parental affection related with occupation and education. 2.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related with income and living environment. 3. Satisfaction of parental position related with income. 4. Spouse's support level related with education and income. 5. Children's social character related with parents are working or no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 choose 600 children from 10 kindergartens in Dae-Jeon city, KOREA and parental and non-parental parents 300 respectively were selected by interviewing kindergarten teachers. Children were between ages 2 and 4 and survey period was from 3rd of Feb to 20th of Feb 2003. We used parental knowledge of parental and non-parental and children's social character development. Parental knowledge of parental and non-parental used parental affection,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satisfaction of parental position and spouse's support level(Hyun, Ok Kang : 1993)(Shin, Sook Jae : 1997) and social characteristic development used cooperation, respectability and social intercourse. We research 600 people and get rid of interviewee's dishonest answer, totally 432(217×2) used for final analyses and we used SAS(Version 8.0) for statistical analyses.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Parental affection,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Satisfaction of parental position, Spouse's support level, Children's social character show us the same result to make good social character of children. Here is the answer, like parent's occupation is professional job show the highest scores, living environment is preferred apartment than multi- or single-family house. Family style is preferred the father's former home than the mother's former home and income is preferred professional job than service job. According to this result economy is very important to effect on family. Parental children's parental affection and satisfaction of parental position are better than non-parental. But the only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re better than parental. However generally speaking many things of parental children are better than non-parental children on this study. According to this research, parents with high level of education, income, and with professional occupations and a good family environment are very important to effect on to make children's social character. It means, non-parental study is for how effect on non-parental children and that parents. Parental children situation will make stable family environment and good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when parents play their roles well. It must be good effect on children for when they grow up. Nowadays fathers take care of their own children with wife, this research show us society is changing, also good job, salary and family environment are very important to effect on parental and non-parental children. Now we look at the limited point and suggest on this research. First, if a teacher could not understand every children's behavior, we may see a different answer, because only the teacher considered social character of children on this research. And we used the picture or resume on this report, otherwise parents consider social character of children together, we will reduce errors from teachers' judgement. (we should use measurement tools of children's social character to teachers, children and parents). Second, this research show us parental limited points by only parental affection,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satisfaction of parental position, spouse's support level. We will find more correct the result and the answer, when we add some special things on this research. Third, we have to research "How to get rid of interviewee's dishonest answer" first and when we use it, we will get the best solution and result about the subjects of this study. Forth, we support to think, it is very difficult to research and make an true answer, because the target was children, that we have to consider and study those problems, after that we hope to keep researching about this study then we can find the best answer for the future research. Finally, From this result we can look at the two different points, first parental is better than non-parental children's social characters, but we do not have to definition about this result, because this means, only show us relation between parental and non-parental. second, children's cooperation and responsibility are better than parental, specially social intercourse, because special intercourse is hard affected from other's demand, order or education, it is really made by their own mind, character and spontaneous behavior. so we can not see parental children's all social character are not higher than non-parental children. Although children had non-parental situation, the period, and carer's mind are very important effects on children That is why, Non-parental children's cooperation and responsibility are better than parental Also, parental children will make stable family environment and good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when parents play their roles well and when parents take care their own children, care them by rationally and positively. It must be good effects on children when they grow up. Father take care of their own children with wife, this research show us that. It is depend on the period, the term and carer's mind and experience when children had non-parental situation.

      • 농촌 교육정책의 문제점 분석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경민 한남대학교 사회문화과학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51695

        산업화와 도시화 과정은 도시 교육의 팽창을 가져 온 반면 농촌교육을 피폐화 시켜 왔다. 교육의 중요성은 농촌보다는 산업화 과정에서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필요로 하는 도시에서 상대적으로 더 강조되어 왔다. 따라서 도시에서의 교육은 많은 사람들의 관심 대상이었으나 농촌에서의 교육은 주변적 위치에 머물러 있었다. 농촌 교육은 이제 도시에서의 교육과 비교하여 교육적 불평등을 현저하게 드러내는 한 영역으로써 논의되고 있다. 정부는 현재의 농촌이 직면하고 있는 ‘위기’에 대응하고 도시와 농촌의 균형 발전을 꾀하기 위한 여러 가지 정책을 추진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은 일관성을 보이지 못했으며 오히려 농촌 주민들의 생활을 더욱 어렵게 만들었다. 농촌 교육에 대한 대응 또한 다양하고 지역의 특수성에 맞는 지원 및 개선측면에서 보다는 획일적인 기준의 적용이나 일시적인 정책으로 일관해 왔다. 학교에서의 학업성취 결과가 개인의 사회·경제적 배경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사실을 고려할 때, 결국 지역별 교육 격차가 사회적 불평등으로 연결되는 고리를 형성하고 있음을 드러내는 것이다. 더구나 우리나라처럼 교육비 부담에 있어 수익자부담원칙이 적용되는 경우 격차는 더욱 심화된다. 농촌 학교교육의 효과성이 뒤떨어지는 근본적 원인은 산업구조의 변화, 노동시장에서의 인력수급구조 변화, 농업정책의 비일관성, 농업에 대한 인식의 변화 등과 같은 교육외적인 사회구조적 요인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 도시와 농촌간에 발생하는 교육의 격차는 교육 내적인 요인에 의하여 설명이 가능하다. 교육 내적인 요인은 변화 가능한 변인들이라는 점에서 이에 의한 교육격차는 우리의 노력을 통하여 해결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교육 내적인 요인을 분석하는 작업의 의의가 있다. 이 연구는 사회구조적 요인으로써 농촌교육 정책이 표방한 목표와 그 구현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지향해온 것과 실천에서의 괴리가 갖는 문제점을 설명하고자 한다. 그리고 교육내적 요인으로써 농촌교육의 현황을 면밀히 살펴보고자 한다. 이 연구는 농촌 교육구조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하여 지역 인적 자원 개발을 위한 농촌 교육 체제의 개선 과제 추출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농촌 교육을 전망하고 교육 여건을 혁신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 연구는 자원의 분배 및 활용에서 지역적 교육격차의 문제를 제시하고, 농촌교육 현황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지역 인적 자원 개발측면에서 농촌교육 정책이 나아갈 방향과 지원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 연구의 문제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지역 학교교육 관련 정책은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가? 둘째, 학교교육체제별 농촌지역 교육과 도시지역 교육의 격차는 무엇인가? 셋째, 농촌지역 교육의 문제점과 특수성은 무엇인가? 넷째, 지역 인적 자원 개발을 위한 농촌 교육체제의 개선과제는 무엇인가? 이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농업정책과 농촌 교육정책의 변천 과정을 살펴보기 위하여 문헌연구를 하고 정책이 보고되거나 발표된 신문 및 잡지의 내용을 분석한다. 둘째, 농촌 교육의 변인이 변화해 온 과정과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서 관련되는 농업, 경제, 인구, 교육분야의 통계조사 자료를 참고로 한다. 산업화와 함께 재편된 산업구조는 도시로의 이농을 심화시켰고, 농촌은 황폐화되었다. 전체인구에서 농가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을 보면 1960년 58.20%에서, 2001년 8.3%로 줄어들었다. 농가당 인구도 1960년 6.20명에서 1999년 3.05명으로 줄어들었다. 농가 인구의 급감은 결과적으로 농촌의 학교 수와 학생수의 급감을 초래했다. 2000년 현재 초등학교 학급당 학생수를 보면, 전국 평균은 35.8명이고 읍면지역은 24.9명이다. 2000년 현재 초등학교 교원당 학생수를 보면, 전국 평균은 28.7명이고 읍면지역은 18.5명이다. 이 통계를 살펴보면 읍면단위 지역의 교육조건은 외관상 전국 평균보다 훨씬 좋은 상태인 것처럼 보이나 내부적으로는 농촌 인구 감소로 인하여 여러 가지 심각한 문제를 안고 있다. 정부는 1982부터 교육과정 정상운영이 어렵다는 교육 본질적인 문제 이외에도 교육재정 및 인력의 효율성 문제를 제기하면서 소규모 학교의 통·폐합 정책을 추진하기 시작하였다. 학생 수 감소는 분교장 격하와 폐교의 악순환을 낳고 있으며 이것은 또다시 농촌의 쇠퇴를 심화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농가의 교육 재정 측면을 살펴보면, 농가평균 가계비는 계속 증가 추세에 있다가, 2002년에는 3.2% 부적 성장을 하였다. 가처분 소득 중 가계비가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내는 평균 소비 성향도 높아지는 추세에 있다가 2002년에는 4.3% 부적 성장을 하였다. 가계비에서 소비지출 중 교육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계속 증가하고 있다가 2001년부터 급격히 감소추세에 있으며, 2002년에는 9.2% 부적 성장을 했다. 농가의 교육비는 1980년대 이후 국가의 사교육비 의존적인 교육재정구조가 정착됨에 따라 더욱 증가될 수밖에 없었으며, 90년대에는 더욱 증가하였다. 그러나 2000년 이후 국가 경제가 어려워짐에 따라 교육비는 가계비보다 큰 폭으로 감소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농촌은 산업화과정에서 상대적으로 저조하거나 부적인 성장을 하면서 황폐화되어가고 있다. 농가의 경제는 꾸준히 성장을 하고 있지만 여전히 도시 가구의 70%선에 머물러 있다. 농가는 도시 가구보다 수입이 적은데도 불구하고 1975년 산업화가 가속화된 이후부터 급격하게 더 많은 교육비를 지출하는 추세에 있다. 농가의 교육비 부담률은 도시가구의 교육비지출보다 2%가량 더 많다. 농가의 교육비 지출은 매년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지출은 도시가계의 그것과의 불평등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현상적으로 볼 때, 농촌의 교육여건은 도시의 그것보다 불리함에도 불구하고 농가의 교육비지출이 도시의 그것보다 높은 이유는 두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농촌지역 학생들의 진학률 증가가 가계의 교육비지출을 가중시키고 있다 둘째, 교육시설이라는 물리적 환경이 농촌에 불리하게 도시에 편중되어 있어 지역적 여건에 따른 이촌 취학 등 통학 방법이 교육비지출 증가의 주요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한마디로, 교육분배의 불평등이 농촌지역 가계로 하여금 교육비부담을 가중시키는 원인이었다. 고등교육수요자를 고등학생과 학부모로 나누어 진학희망대학의 소재지를 조사해 본 결과, 고등학생은 73.2%, 학부모는 80.8%가 수도권 대학 진학을 원하고 있는 통계에서 알 수 있듯이 농촌 지역학부모의 유학비 부담은 큰 것을 예상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농간 가계의 교육비 부담요인에서 차이가 있었다. 도시 근로자가구는 교육비 중 과외 활동비가, 농촌가계는 도시지역 유학비가 차지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과외교육비는 상급학교 입시비용 지향적 비용으로 전환되어서 학력의 충실도를 다지지만, 유학비는 교육접근 기회비용으로 순수 소비지출액이다. 따라서 교육비 부담요인의 격차는 도·농간 학생들의 교육격차를 유발하고 최종적으로는 교육기회의 전반적인 불평등배분에 기여할 뿐이다. 한마디로, 교육기회의 평등이란 관점에서 볼 때 도시 근로자가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모든 농가는 피해자였다. 결론적으로 교육비의 수익자 부담원칙으로 인하여 교육기회의 불평등 접근이 불가피해 진다. 즉, 교육비 부담은 주로 개인이 책임져야 하므로 개인의 경제력에 따라 교육기회 접근 가능성이 달라져, 교육기회균등의 원칙이란 이념일 뿐 실제로는 차별적으로 적용된다. 한마디로, 교육비 수준이 가계소득에 비해 과중한 저소득층 학생들은 교육비 부담능력의 차이로 상급학교의 교육을 표기하거나 열악한 여건에 직면하게 된다. 따라서 농촌의 자녀교육에 대해 별도의 조치가 강구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에서 지난 40 여 년간 교육재원의 증대와 더불어, 교육 평등을 위한 관계 법률 및 교육정책에 힘입어 평등성은 교육재정 수립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준거가 되어왔다(최은수, 1992: 147). 농촌에 관한 정책이 표방하고 있는 내용을 보더라도 교육기회의 평등은 중점 과제이다. 그러나 정책을 결정할 때 예산은 한정되어 있으므로 정책대안들간의 비용-효과성이 검토되어야 한다. 즉 효율성의 문제가 제기된다. 농·어촌 소규모 학교의 통·폐합 정책은 정부가 표방하는 교육기회의 평등성 보다는 경제적 효율성이 우선하는 정책으로 볼 수 있다. 정부의 정책이 실제적 차원에서 실행될 때 표방하는 바와 괴리되는 문제점을 드러낸 것이다. 농업에 관한 정책, 농촌의 경제와 농가경제 등 교육외적인 사회구조적 문제는 교육내적인 문제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즉 농가 경제의 쇠퇴는 농촌 지역의 학생들의 교육기회를 박탈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농촌지역 학교의 소규모화로 인하여 교육투자의 측면에서 농촌의 1인당 공교육비의 상승은 비효율적이라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또한 농촌의 주민들은 가까운 거리에 원하는 학교가 없어 더 큰 지역사회나 도시로 자녀들을 보내 교육을 시키게 되고 농가의 교육비 부담이 더욱 가중되어 가고 있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다. 농촌 교육은 인구 및 학생수의 감소 그리고 그로 인한 소규모학교의 통폐합, 복식학급의 증가, 교육의 질 저하, 지역주민들의 자녀교육 불만족, 자녀의 도시전학, 원거리 통학과 교육비 부담증가 등 악순환의 고리를 끊지 못하고 있다. 이 문제는 점 점 더 농어촌의 교육여건을 어렵게 만들고, 그것이 지역주민들의 마음을 지역사회 학교에서 멀어지게 만들며, 이농의 원인을 제공하는 형태로 악순환 되고 있다. 이 악순환의 고리를 끊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농촌교육을 지역사회의 활력요소 재건이라는 새로운 시각에서 접근해야 한다. 그러나 지역사회의 개발과 활성화는 교육 정책적 처방만으로는 어려우며 지역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모든 분야가 동시에 총체적으로 작동될 수 있는 종합 대책이 필요하다. 농촌 학교의 지역 교육·문화·복지 종합센터화를 통한 지역사회 활성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농촌 소규모 학교 활성화를 위해 지역사회의 참여와 공동운영체계 확립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필요한 사항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규모 학교 통·폐합을 지양하며, 지역 종합교육기관으로 활용해야 한다. 소규모 학교의 운영비를 지역사회와 공동부담하고, 정부의 재정지원을 강화해야 한다. 둘째, 지역주민의 평생교육, 농·어업교육, 부녀교육 등 지역사회학교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 셋째, 농촌 종합교육시설 내에 노인시설, 주민체육시설, 보건의료시설, 도서관, 박물관 등 기존의 구역 내 문화·복지시설을 함께 설비한 지역교육·문화·복지 종합센터를 구축해야 한다. 이러한 지역사회의 참여와 공동 운영체계를 위한 지역 교육·문화·복지의 종합센터 구축은 지방 자치단체와 관련 부처 담당관으로 구성된 협의기구의 결정에 따라 지역실정에 맞추어 단계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농촌 학교의 문제점으로 지적되는 농촌 학교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교육·교과 프로그램 확충, 복식학급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이렇게 많은 아이디어가 실현되기 위해서는 농촌 교육지원을 위한 특별 예산관리체계 수립이 요구된다. 우선 각 부처 소관의 농어촌 교육·문화·체육 등 복지 종합센터 설립 및 운영을 위한 공동출연 예산체계를 수립해야 한다. 둘째, 기존의 시설 종합정비와 운영은 관련부처가 별도의 예산을 확보하도록 하고 이를 공동 출연하여 운영하는 독립예산과 회계방식을 도입해야 한다. A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issolve difference in quality increasing educational discriminatory between urban and rural communities as analyzing rural educational policy and educational condition Korean rural education, Comparing with that of urban area, is considered as the territory having considerable inequality. Government has been driving various policies to limit these problems and contributes well-balanced development for equity education reducing the inequalities. But polices driven by the government is fragmentary and unconnected as studying analysis of rural economy, society and culture condition. It is in the face of dangerous reality falling in the effectiveness that policies for development of rural education have been driven uniformly and disconnectedly than assisted and improved considering regional peculiarity. Namely, rural schooling education is intimately related to the factor of social structure like change of industrial structure, fragmentary agricultural polices and negative recognition of agriculture. Meanwhile, differences of rural and urban education, presenting educational condition, came out arising in the process of educational expanse, desertification of rural economy and decreasing rural populations. And those occurred rural exodus and merger and abolition of small scale school by educational opportunity inequality following principle that beneficiaries should pay for part of education. It is possible to explain this phenomenon by inner and Exterior factors of education. This study suggests inner educational program and external program as two ways to solve current education problems showing up rural economy, society, culture's condition and analysis about condition of rural education. Inner educational programs as follows; (1) Rural educational community have to increase the zealous teachers with good abilities and investigate the ways of assisting those (2) The Korea Ministry of Education must consider educational standard like the rights of parents requiring their children's entering the senior school, school's role in region community and development contents of educational activity of school (3) Expansion of educational facilities and development of efficient programs to make educational convention center synthesizing regional educational culture, public welfare are strongly demanded Exterior factors draws out more active role of rural schools like the centering in regional society and showing the vision for rebuilding of regional community. To be concluded, school have to be as the synthetic center with facilities for old men/women, residents gymnastics, public health institution, and function as residents welfare institution for education, culture, health.

      • 초등학교 아동의 방과 후 활동실태 및 욕구에 관한 연구

        이진숙 한남대학교 사회문화과학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51695

        지금까지 각 가정에서 맡아오던 아동의 보호 및 교육에 대한 책임을 이제는 사회가 분담해야할 시기가 되었다. 사회와 가족구조의 변화로 맞벌이 부부가 많아졌으며 사회의 요구에 따라 여성의 사회참여가 증가되고 전업주부 역시 자아실현과 가사노동의 축소 및 생활의 편리함으로 자신만의 시간을 갖으려는 사회적 분위기가 되어가고 있다. 따라서 초등학교 자녀들이 학교가 끝난 후 형제, 자매와 보내야하거나, 친구와 함께 또는 홀로 사설학원 등을 전전하며 부모의 귀가 시간까지 어른의 보호 없이 지내야 하는 시간이 많아졌다. 이러한 아동들은 안전사고의 위험과 좋지 않은 환경에 노출될 확률이 많다. 이러한 현실에서 학령기 아동을 보호 할 수 있는 사회적 배려가 필요하다. 어릴 때부터 형성된 습관은 인생 전체에 있어서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습관은 제 2의 천성”, “세살버릇 여든까지 간다.”는 우리의 속담에서 알 수 있듯이 유아기나 초등학교 시절에 좋은 습관이 형성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현재 방과 후 아동 지도는 1996년 1월 개정된「영 유아 보육법」제 16조에 의해 보육사업의 일환으로 실시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활성화 되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지난 2004년 1월 29일「영 유아 보육법」이 다시 개정되었다. 내용을 살펴보아도 방과 후 아동지도에 대한 개정사항 언급이 전혀 없는 것을 감안한다면 국가에서는 아직도 초등학생의 방과 후 실태에 대해 심각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방과 후 아동지도는 개인적 책임인 동시에 사회적 책임이기 때문에 국가적 차원의 법과 제도적으로 마련되지 못한다면 현실에서의 민간의 방과 후 아동지도에 대한 지원은 미흡하다고 볼 수밖에 없다. 아동이 건강한 환경에서 성장하고 여성의 취업욕구를 사회적으로 수용하여 사회와 국가가 공동관심을 가지고 해결해 나가려는 의지가 있을 때 방과 후 아동지도에 대한 문제점이 풀려나갈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으로는 부는 40세 이상∼45세 미만, 모는 35세 이상∼40세 미만이 가장 많았으며 부모의 학력은 모두 대졸이상이 높게 나타났다. 가정의 취업형태는 부만 취업 51.6%, 맞벌이 47.9%로 나타났으며 가정의 소득은 400만원이상의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방과 후 활동실태에 대해 알아보았다. 자녀의 보호실태는 방과 후 어른이 집에 없을 때도 있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으며 주로 자녀와 함께 지내는 사람으로는 부모가 46.9%이며 혼자서 지낸다 19.7%, 형제자매와 지낸다 13.2%로 나타나 어른 없이 지내는 아동의 보호와 지도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방과 후 활동실태는 활동하고 있다가 95.7%로 월등히 높게 나타났으며 그 이유로는 미래를 위해서라고 응답하였다. 또한 2인 이상의 그룹지도나 개인지도 형태의 사교육의 응답이 높았으며 매일 1∼2시간의 교육을 받고 교육비는 25만원이상의 지출을 하고 있다가 응답이 높았다. 교육비의 부담정도는 조금 부담 된다의 응답이 높게 나타났으며 정서적 사회성을 아동지도의 중요순위에 높게 나타났고 더 좋은 방법이 있을 때까지 유지하겠다라는 결과가 높게 나타났다. 대부분의 아동들은 자신에 맞는 특기나 적성보다는 학습증진을 위해 사교육기관에서 활동을 하는데 이와 같은 사교육 열풍은 계층간의 위화감을 물론 가정경제를 위협하기도 하고 공교육 부실화로 가져올 수도 있다. 방과 후 아동지도는 국가의 백년대계를 이루는 교육에 관련되는 중요한 일이다. 아동들이 건전한 발달과 안전한 보호로 건강하고 올바르게 자랄 수 있도록 국가와 사회의 지원과 관심으로 방과 후 아동지도가 활성화 된다면 청소년 문제도 예방할 수 있는 미래지향적인 방과 후 아동지도로서 자리 잡을 수 있다. 셋째, 방과 후 아동지도 관련기관에 대한 부모의 욕구를 알아보았다. 방과 후 아동지도 관련기관에 대한 결과로는 필요하다 90.2%로 아이들의 편안함, 안정감을 위해서가 높게 나타났다. 그에 따른 지도교사는 방과 후 아동지도사로 전문 인력을 원하고 있었으며 관련기관 형태로는 초등학교가 높게 나타났다. 직장이 주 5일 근무로 인한 주 5일과 오후 6시까지 아동들을 지도해주길 원했다. 같은 학년으로 구성된 반 편성을 원했으며 교사 1명에 아동 4∼6명이 함께하는 것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들 대다수는 아동들을 믿고 맡길 수 있는 관련기관이 없고, 설사 있더라도 시설이 열악하고 프로그램이 다양하지 못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사설기관에 보내게 된다고 한다. 따라서 사교육의 폐해와 공교육의 정상화를 위하고 학부모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사회와 국가가 관련기관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 현재의 여건으로 보아 초등학교 시설이나, 사회복지관, 어린이집, 종교시설 등을 이용할 수 있도록 되어있지만 활성화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또한 공공시설(예, 동사무소, 도서관, 우체국 등)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방안도 적극적으로 검토 되어야 한다. 방과 후 아동지도는 일부 계층에서 필요한 문제가 아닌 초등학교에 다니는 모든 아동이 대상이다. 아동의 전인적 발달은 물론 가정의 안정을 위해서도 개인적인 차원이 아닌 국가적인 차원에서 방과 후 아동지도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위해 정책적인 결정을 해야 한다. With the changes of the times, participation of Korean women in society is remarkably increasing. Women are working for economic purpose as well as for self-realization. Married women, however, are confronted with many hardships such as childbirth, child-care, education school children. Children with working parents also are likely to be exposed to unfavorable environment. With divorced parent or separated family, children have to go around private institutions, watch TV, or play computer games with no limit after school. They are also exposed to various dangers and difficulties such as kidnapping, etc.... Accordingly, after-school program for primary school children has become not only a private problem but a serious social issue.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thesis wants to examine the present situation of after-school program for primary school children and parents need for relative institution and facilities for after-school program and then suggest a proper program. First, most of primary school children take 1~2 hour private or group lessons after school daily, and the expenditure of 250,000 won was regarded as some burden. Consequently, need for after-school program to lessen the economic burden of private education is raised, and it is desired that after-school activities be institutionalized to mee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 Second, it is found out that what is thought most important is children's emotional stability and their social development. Primary schools were most favored as relevant institutions for after-school program in point of children's comfort and stability. For this, it is hoped that the principals of the schools become more open minded and active to offer the facilities for the program. Third, professional teachers for after-school program were absolutely necessary. They should be able to understand children's emotional, physical, intellectual, spiritual and social development and their characteristics and help them. Accordingly, we need special training institution for the special teachers and offer fresh program to children continuously. In conclusion, private effort and support for after-school program has its limits, and improvement of the system and support or the whole society and government should be realized.

      • 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레크리에이션 활용에 대한 인식연구

        이병석 韓南大學校 社會文化科學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51695

        As a study about the recognition of social workers at social welfare centers on recreation , this study was done with a purpose of presenting the application of recreation for the social workers of social welfare centers by looking into the degree of recognition on recreation and the necessary professional training along with its application. 377 out of 735 social workers of 147 social welfare centers located in Pusan, Daegu, Daejeon, Choongchungdo, and Kyongsangdo responded the investigation and total of 326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51 copies that are not reliable. With the collected data, the study looked in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workers, their recognition on recreation, education, and application of recreation. The followings are the summarized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re were more female social workers than male social workers at the social welfare center with the rate of 70% and more than half of them were below 30. As for the field they are in charge of, most social workers were in charge of home care service and then it was in order of elderly welfare, child welfare, and community welfare but there was not big difference. As for the occupation, most were social workers with 236 of them. Second, as for the social workers' recognition on recreation, generally they understood recreation and they feel that recreation is necessary in programs that the social workers operate. They also recognized the necessity of recreation in the general social welfare programs. Third, in the analysis on recreation education of the social workers, there were only 103 social workers with the qualification in recreation and generally they recognized that the recreation education is necessary when working as a social worker. They also wanted professional recreation instructors who majored in the social welfare at an professional organization to teach them about recreation. Fourth, when the social workers' application of recreation was looked into, the investigation showed that it can be very effective if the social workers were applied in the social welfare programs rather than the outside resources. This shows that many of the social workers think that it is more effective to use social workers, who were trained with recreation, in the social welfare programs. Fifth, when the social workers' application field of recreation was analyzed, the social workers can apply recreation in the field of teenager, elderly, and child and these fields take a large ratio. They also recognized that through recreation, they can help people with social relationship and stability. Therefore, this study recommends that the social workers of social welfare centers should be given more opportunities of recreation education so that they can apply it in the social welfare programs and also hopes that the recreation education can help the social workers run the social welfare progra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