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Blended Learning 사례 분석을 통한 활성화 방안 연구

        김성철(Sung Chul Kim),이선(Seon Lee) 한국 U러닝연합회 (구.한국사이버교육학회) 2004 e-Learning학술연구 Vol.3 No.1

        S company has introduces Blended Learning for gaining knowledge, skill and attitude with effect, and performance at once. We defined blended learning with compounding ways of pedagogical approaches. Also we are developing a training course according to the process, Needs Assessment-Task Analysis-Design-Development-Evaluation. Blended learning which is developed and managed by HQ from 2002 can be devided SL and learning community. SL contains personal theme study and e-learning that make co-learner, teacher and manager's interaction action. Personal theme study and e-learning can be adopted to the real work place, and help sharing and developing the knowledge. It's possible to make a personal contact through the lecture, discussion and practice. And also it helps sharing and developing the knowledge through a chance adopting and reflexing the information gaining from e-learning. The interaction in learning community base on the field helps to make a visible and non visible knowledge creating. The knowledge that shared and created through those ways causes visible result that improving the process and performance. We have managed Blended Learning in many ways such as - Connecting e-Learning and Classroom Studies. - Connecting e-Learning, Classroom Studies and Learning community - The process that perform the applicable subjects by blended learning There are many performances from developing and managing blended learning. First, making the learner overcome personal learning gap through pre-learning course. Second, inducing the learner to participate positively and recognize learning goal. Third, effective to spread the contents. Fourth, making adopt to the business field. Fifth, Growing the trust making between the business units and personal networking. Sixth, Contributing to the business performance of the unit. And also we found the limit of blended learnig such as - We need more active supporting of interaction that coincide with learner's needs. - It is very important to make a connecting between pre-studies and post studies. - The learner's request for pre-studies needs to be reflected to the post-studies. - We need to care for the learners continuously and control after the training. - We need a evaluation tool to make a higher quality of blended learning. To overcome the limit of blended learning, we have prepared lots of active tool for the developing, managing, and evaluating the program.'Among those tools,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at developing evaluation tools for higher quality of Blended Learning. Because evaluation tool that we have current can not show the specific improvement for developing and operating Blended Learning course. First of all, we could find 4 main elements such as satisfactory, interaction, effectiveness, application by Blended learning research. Multiful choices and open question should be suitable for this survey. For the first time we are going to make a survey at the finish time of e-Learning and classroom education. In case of field application survey, we are planing to make it 3 to 6 months later after the learning finished. Actually it's more needed the knowledge that contribute to the performance than logically structured. It is also required that the penetration through personal contact by e learning, classroom studies and learning community. And that's why blended learning that well united objectivity and subjectivity. Last of all, we need to improve the quality of blended learning at the time of developing and operating which can make higher satisfaction, effectiveness and the performance. s사에서는 지식, 스킬, 태도의 효과적인 습득 및 시간비용의 효율성을 꾀하는 한편 암묵적 지식의 창출, 현장 업무의 성과를 동시에 거두기 위하여 Blended Learning을 도입하게 되었다. 다양한 교육학적 접근 방법론간의 조합으로 Blended Learning을 정의하고, 요구분석(Needs Assessment)-과제분석(Task Analysis)-설계(Design)-개발(Develop ment)-평가(Evaluation) 프로세스를 따라 과정을 설계개발하고 있다. 2002년부터 현재까지 s사에서 개발되고 운영된 Blended Learning의 유형은 크게 자기주도 학습과 집합교육, 학습공동체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자기주도 학습 가운데에는 개별 테마연구로 과제 수행이 있으며, 양질의 정보 습득과 동료 학습자, 교수자, 운영자간의 활발한 상호작용이 가능한 e러닝이 있다. 개별 테마연구와 e러닝은 학습한 결과를 다시 현장 업무에 적용해 볼 수 있으며, 지식경영 시스템과 연결되어 보다 많은 지식을 공유하고 창출할 수 있도록 돕는다. 집합교육에서 진행되는 강의, 토론, 실습등 다양한 교육 방법을 통해서는 동료 학습자, 교수자간 인간적 접촉이 가능하고, e러닝에서 습득한 정보를 성찰하고 적용해 보는 기회를 통해 지식창출 및 공유가 가능해 진다. 현장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학습공동체 내 상호작용은 명시적 지식과 더불어 암시적 지식 창출을 돕는다. 이렇게 공유되고 창출된 지식은 현장에 적용되어 업무를 개선시키고 경영 성과까지 거두는 가시적 효과까지 가져올 수 있다. Blended Learning이 운영된 다양한 방식으로는 첫째, e러닝과 집합교육을 연계한 방식이 있었다. 이 중에는 집합교육의 선수학습으로 e러닝을 운영하는 과정과 집합교육의 내용과 연계된 선수학습은 아니나 전 집합교육 과정의 필수학습으로 e러닝을 운영하는 과정, e러닝과 집합교육 두 가지 교수방법이 병행 운영되는 과정이 있다. 둘째, e러닝, 집합교육과 학습 공동체를 연계한 방식이 있으며, 연계되는 학습 공동체에는 CoP(Community of Practice)와 Action Learning이 있다. 셋째, e러닝, 집합교육을 통해 지식, 스킬, 태도를 습득한 후 현장에 적용 가능한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이다. 넷째, 신입사원을 대상으로 집합교육 후 e러닝, 현장 OJT(on the job training)의 병행 교육으로 현장 실습을 보다 강화한 과정이 있다. 이러한 다양한 방식으로 Blended Learning을 개발하고 운영한 결과 학습자 개인과 조직에 가져다주는 성과에는 첫째, 선수학습 제공으로 인해 학습자간 학습수준 극복이 가능해졌다. 둘째, 학습자들이 학습목표를 뚜렷이 인식할 수 있고 적극적인 학습에의 참여도 가능하였다. 셋째, 학습내용에 대한 학습자의 전이와 파지 효과를 높일 수 있었다. 넷째, 실제 현장에서의 적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다섯째, 인적 네트워크 활성화와 부서간 신뢰형성이 이루어질 수 있었다. 여섯째, Blended Learning 학습은 조직의 경영성과에 기여할 수 있었다. 또한, Blended Learning 문헌연구를 기반으로 고찰해 본 한계점에는 첫째, 학습자들이 필요로 하는 교육 내용으로 보다 활발한 상호작용 지원이 필요하였다. 둘째, 사전학습과 사후 학습간의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연계가 매우 중요했다. 셋째, 사전 학습 후 학습자들의 학습내용 혹은 운영에 관한 요구가 사후 학습에 반영될 필요가 있었다. 넷째, 과정 수료자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와 현업활용 독려 및 점검이 필요했다. 다섯째, 개발, 운영의 수준을 측정하고 보완하여 Blended Learning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평가도구가 매우 필요했다. Blended Learning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s사에서는 개발, 운영, 평가 단계에서의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여 다각도로 시도하고 있다. 그 가운데에서도 본 연구에서 궁극적으로 밝히고자 하는 활성화 방안은 Blended Learning의 질을 제고시키기 위한 평가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기존의 평가 도구가 향후 Blended Learning 과정 개발이 나운영면에 있어 구체적인 개선점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먼저, Blended Learning 문헌연구를 통해 평가에 필요한 핵심요소를 도출한 결과 만족도, 상호작용, 학습효과, 현장 적용도의 네 가지를 주요 핵심 요소로 제시할 수 있었다. 조사 방법은 5지 선다형의 설문과 개방형 질문을 활용한 인터뷰가 가장 적합하며, 조사 시기로는 우선 e러닝과 집합교육 종료시점에 설문과 인터뷰를 실시하고, 현장 적용도의 경우 학습종료 3~6개월 후 다시 인터뷰를 실시하여 측정하는 것이 가장 적합할 것으로 고려하고 있다. 기업 내에서 체계적이고 논리적으로 잘 조직된 정보도 많이 요구되고 있지만, 수많은 문제를 해결하고 미래를 조망하며 경영성과에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지식이 보다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e러닝을 통한 양질의 정보전달과 함께 집합교육,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