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알렉산더의 “교정적 정서경험” 개념과 그 심리학적 함의

        이순태(Lee Soon Tae),김명식(Kim Myung Shig)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7 인간연구 Vol.0 No.33

        알렉산더는 ‘교정적 정서경험’을 통해서 내담자가 이전에 부모에게서 경험한 것과는 다른 관계성을 재경험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특히 ‘대비의 원리’에 입각하여 치료자는 환자에게 과거에 환자가 정서적으로 경험했던 것과는 대비되는 ‘호의적인’ 경험을 ‘의도적으로’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다. 대상관계론적 시각에서 볼 때, 이런 주장은 인간 본연의 대상에 대한 애착의 가치를 무시한 것이다. 그러므로 환자들이 자기들에게 익숙한 대상을 추구하는 동안, 치료자는 환자들이 애착경험을 하는데 이용할 수 있도록 치료자 자신을 내주어야 한다. 교정적 정서경험에서 치료자는 환자에게 ‘교정적인’ 좋은 경험을 환자에게 주도적으로 제공한다. 그러나 분석에서 치료적 경험은 환자에 의해 발견되는 것이지, 치료자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교정적 정서경험을 상담으로의 적용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 첫째, 교정적 정서경험이라는 개념이 확장, 적용되어야 한다. 내담자에게 트라우마를 제공한 과거의 대상과는 다른 호의적인 대상이라는 개념을 넘어, 내담자에게 기꺼이 나쁜 대상이 되어주고, 보복하지 않고 견디어내는 것까지를 상담자의 기능에 포함할 필요가 있다. 둘째, 상담 초기부터 내담자에게 익숙하지 않은 대상을 제공하기 보다는, 먼저 내담자에게 익숙한 나쁜 대상에 대한 집착을 재연할 수 있도록 상담자는 내담자에게 배려를 해야 한다. 셋째, 치료자가 교정적 정서경험을 도출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행동하기 보다는, 진정성 있게, 자연스럽게 치료에 참여해야 한다. Through“corrective emotional experience,”Franz Alexander insists that clients should re-experience different childhood relationships from those of their parents. Alexander particularly states that “favorable” experiences should be offered “deliberately” by the healer in comparison to the emotions experienced in the past based on “the principle of contrast.”From the viewpoint of object relations theories, “corrective emotional experience” ignores the value that human nature attaches to a negative object or emotion. Therefore, while clients pursue bad objects to which they have become accustomed, the healers should provide their clients with themselves for attachment experiences. In corrective emotional experiences, healers provide good “corrective” experience to clients leading by healers. But the therapeutic experience is discovered by the patient, not offered by the healer. Based on this reasoning, this research is arranged so that corrective emotional experiences may be applied in counselling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corrective emotional experience” should be applied to the fullest extent. Within this concept, the favorable object differs from objects that have resulted in past trauma for the client. In addition to that, the function of the counsellor is to possibly be or provide the bad object, without causing the client to be subject to retribution. Second, counsellors should consider their patients in order to react to their attachment to the bad object that patients got used to, rather than simply providing objects to which the client has not formed an attachment from the beginning of the counselling. Third, the counsellor should genuinely take part in the treatment, be spontaneous, and not do anything to intentionally deduce the corrective emotional experience.

      • KCI등재

        가톨릭학교 평신도 교사의 역할 - 그리스도의 삼중직무를 중심으로 -

        김율옥(Kim, Yul Ok),김경이(Kim, Kyung Yee)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21 인간연구 Vol.- No.44

        본 연구는 교회문헌을 통해 평신도 그리스도인이며 동시에 가톨릭학교 교사들의 역할에 대해 탐구한다. 교회가 평신도 그리스도인을 통해 교회의 구원 사명을 공유하는 것과 같이, 가톨릭학교 교육자들은 그리스도로부터 학교에 파견되어 교육을 통해 교회의 구원 사명에 참여한다. 가톨릭교회의 평신도에 대한 이해는 제2차 바티칸공의회 후 크게 변화되었으며, 하느님의 백성, 세상의 누룩, 그리스도 삼중직무에 참여로 대표된다. 그렇다면 가톨릭학교 평신도 교사가 수행해야 할 삼중직무 즉 예언자직, 왕직, 사제직이란 무엇인가? 예언자직을 수행한다는 것은 그리스도의 정신을 담은 전인교육 실천, 현세 질서의 쇄신, 신앙의 관점에서 문화 전달, 그리고 가톨릭교육 철학을 반영한 인간상을 제시하는 것이다. 왕직을 수행하는 것은 그리스도를 닮아 학생들과의 직접적인 친교 안에서 겸손과 개방된 자세로 돌봄을 실천하는 것이고, 자신의 삶으로써 하느님 나라를 보여주는 것이다. 사제직을 수행하는 것은 복음 정신을 갖는 것, 성사적 관점을 갖는 것, 세상의 모든 이들을 위하는 것, 세상의 성화를 위하는 것, 소명의식을 갖는 것, 자신의 성장을 위해 노력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사들이 삼중직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교사 스스로 성장을 위한 노력도 필요하지만, 가톨릭교회가 교육자의 양성을 위해 신앙적 지원과 공동체적 지원과 함께 가톨릭 학교에 대한 지원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This research explores the ministry of lay Catholics and Catholic school teachers in the light of the Church documents. Just as the Church shares its mission of salvation through lay Catholics, Catholic educators are sent to the school to participate in the Church’s mission of salvation through education. The Catholic Church’s understanding of the laity has changed dramatically after the Second Vatican Council. As active members of ‘the people of God’, and as ‘the leaven of the world’, they participate in the threefold ministry of Christ: the prophetic, the kingly, and the priestly ministry. Then, what are the threefold ministry of Christ that lay teachers at Catholic schools should perform? To carry out the prophetic ministry is to practice the whole-person education in the spirit of Christ, to renew the temporal order of the society, to engage in cultural activities from a Christian perspective, and to present the image of human persons that embody the philosophy of Catholic education. To carry out the kingly ministry is, like Christ, to practice caring for human persons with humility and openness in direct contact with the students, and to witness to the kingdom of God with one"s own life. To carry out the priestly ministry is to have the spirit of the Gospel, to have sacramental consciousness, to serve all people in the world, to work for the sanctification of the world, to have a sense of vocation, and to strive to grow in one"s faith. To fulfill the threefold ministry of Christ, teachers must make efforts for their growth and development. It is also proposed that the Catholic Church needs to support Catholic schools to develop effective Christian formation programs for teachers and to provide broader community support for teacher education.

      • KCI등재

        대학 인권교육의 의의에 관한 고찰

        김녕(Nyung Kim)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8 인간연구 Vol.0 No.35

        이 시대 한국의 청년들, 특히 대학생들은 행복한가? 대학생들은 ‘삶의 의미’와 ‘공부하는 이유’를 찾았는가? 대학에는 ‘큰 배움’과 ‘큰 물음’이 있는가? 어떤 대학생들은 대학 공부를 그만 두고 대부분의 대학생들은 몹시 힘들어하고 있다면, 대학은 어떻게 해야 할까? 본 논문은 그러한 문제의 원인이 대학 내의 인성교육, 시민교육, 가치교육의 부실에 있다고 보았고, 그것을 제대로 하기 위해서는 인권교육이 우선 중요함을 강조했다. 물론, 과거에 비해 현재의 대학 인권교육은 양적 확산 추세에 있기는 하지만 여전히 부족하며, 더 나아가 질적 심화가 요청되고 있다. 필자는 대학 인권교육이 단지 기본적 인권에 대한 교육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삶의 의미’와 ‘공부하는 이유’까지도 제시해 줄 수 있는 가치교육, 인성교육, 시민교육의 토대이자 이런 교육들을 보완하고 추동하는 교육이기에 ‘특별한’ 의의를 지닌다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인권교육이 어떻게 인성교육, 시민교육, 가치교육을 보완하고 추동할 수 있는지, 그리고 이러한 교육들이 ‘삶의 의미’와 ‘공부하는 이유’를 찾는 학생들에게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를 고찰하여 보았다. 아울러, 인권교육이 지닌 이러한 특별한 의의가 대학 내에서 커다란 공감대를 형성해 간다면, 인권교육은 양적으로 확산될 뿐만 아니라 질적으로도 심화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더 나아가, 본 논문은 인권교육이 삶과 세상에 대한 긍정과 희망을 가져다준다는 점, 보편적 가치이자 복음적 가치인 인권, 정의, 평화 등을 접하면서 대학생들은 신앙을 찾게 될 수도 있다는 점, 그리고 인성교육, 시민교육, 가치교육의 토대로서의 인권교육은 오늘의 대학생들을 비롯한 젊은 세대에게 기본적으로 꼭 필요한 ‘사유세계의 확장’을 가능케 하고 현재의 대학교육에 꼭 필요한 ‘큰 배움’과 ‘큰 물음’을 가져다준다는 점을 필자의 오랜 강의 경험에 비추어 강조하였다. Are youth in Korea, especially university students happy? Do they feel they have a ‘purpose of their life’ and a ‘reason for their subject of study’? Are big questions examined on campuses? What do universities do if their students drop out or become frustrated when they face these problems? A failure of Korean universities to address theses questions, to a certain extent, can be attributed to considerable deficiencies in regard to character, civic, and values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Human rights education is important in solving this problem because it is the foundation of and can encourage such educations. The number of human rights education courses offered at Korean universities has recently grown, but the number is insufficient and most of the courses must be improved in terms of quality and depth. This paper argues that improving human rights education and providing it to more students and professors will make a difference. It is proposed that human rights education be used to either educate students about values such as human dignity, human character equipped with sense of justice and solidarity, and civic empowerment and engagement, or supplement such educations. The study concludes that such educations can assist students in finding meaning of life and reason for study. Students can become optimistic and hopeful as world history shows that human rights movements are very often victorious. As human rights and related values, such as human dignity, justice and peace, are not only universal values but religious values shown in the Bible as well, some of students who yearn for these values can be drawn sometimes to religion and God. Further, human rights education can encourage students to consider big questions, which Korean universities do not currently encourage students to do.

      • KCI등재

        가톨릭 인본주의와 대학의 역할

        이종진(Lee, Jong-jin)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1 인간연구 Vol.0 No.22

        본고의 목적은 국내외적으로 대학이 위기를 맞고 있는 상황에서 가톨릭대학교의 이념을 확인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해 실천적인 반성을 수행하는 데에 있다. 본론에서는 첫째로, ‘가톨릭 인본주의’에 대한 개념적 정의를 시도하고 있다. 즉, ‘가톨릭 인본주의’는 전통적인 성서적-그리스도교적 인본사상이 가톨릭적인 지반 위에서 르네상스 인본주의의 특질들을 수용하면서 형성된 사조라고 규정 될 수 있다. ‘하느님의 모상에 따라 창조된 인간’이라는 성서적 인간이해, 은총과 자연의 양립가능성, 신앙과 이성의 통합가능성, 원죄에 의해서도 온전히 훼손되지 않은 인간의 ‘자유의지’에 대한 가르침 등이 가톨릭 인본주의의 ‘본래적인’ 내용들로 이해된다. 둘째로, 가톨릭대학교의 정체성과 사명은 ‘보편적 인본주의’로서의 가톨릭 인본주의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사실이 요한 바오로 2세의 교황령 Ex Corde Ecclesiae(『교회의 심장부로부터』)를 통해서 제시 되고 있다. 아울러 가톨릭 인본주의의 이념이 시대사조와의 대화를 거치면서 그 내용이 더욱 풍부하게 발전되고 있고, 그와 함께 가톨릭대학교에 주어진 사명도 보다 실천적인 성격을 띠게 된다는 점도 고찰되고 있다. 셋째로, 이 문헌에 나타난 가톨릭대학교의 정체성과 사명, 특히 사회정의의 증진이라는 시대적 사명을 우리보다 앞선 전통을 가진 국외의 가톨릭대학교들이 어떻게 이해하고 또 실천해 가고 있는지를 구체적인 사례들과 함께 소개하였다. 결론부에서는 이상의 실천적 반성을 통하여 국내의 가톨릭대학교들에 주어진 과제와 전망을 필자 나름대로 제시하였다. This paper aims to reaffirm the roles of Catholic universities at a time when universities at home and abroad face crises, and aims to establish specific actions to fulfill those roles. This paper first attempts to define the concept of “Catholic humanism.” Catholic humanism is based on traditional Catholic ideas combined with biblical-Christian humanism, and embraces renaissance humanism. By nature, Catholic humanism is thought to include the biblical understanding of humans that imitates the image of God, the compatibility of grace and nature, the possibility of integration of faith and reason, and human free will that cannot be restricted even by original sin. Second, it is suggested that the identities and missions of Catholic universities are based on Catholic humanism as universal humanism as Pope John Paul Ⅱ’s “Ex Corde Ecclesiae” suggested. In addition, Catholic humanism has been enriched through active interactions with the trends of each era, and accordingly, the missions of Catholic universities have become more practical. Third, this paper introduces how overseas Catholic universities have traditionally understood and implemented their identities and missions, particularly social justice which is the mission of Catholic universities in this era. In the conclusion, the writer presents the challenges and prospects faced by Korean Catholic universities.

      • KCI등재

        의학교육에서 가톨릭 정신의 구현

        김평만(Kim Pyeong-man),임선희(Yim Seon-hee),오승민(Oh Seung-min)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1 인간연구 Vol.0 No.21

        오늘날 자연과학 중심의 생의학 모델에 근거한 의료와 의학교육, 철학적 반성이 결여된 생명과학기술의 발전 등으로 말미암아, 의료의 비인간화 및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다양한 윤리문제들이 발생하고, 의료인의 정체성에도 혼란이 초래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 중 하나로, 의과대학에서 인문사회의학을 교육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 의학전문대학원에서도 인문사회의학 교육과정인 옴니버스 과정을 개발하여 운영하게 되었다. 옴니버스 교육은 인문사회학 과정에 가톨릭 정신을 결합하여, 가톨릭 정체성을 지닌 의사의 양성을 목표로 한다. 가톨릭 정체성을 지닌 의사란 소명의식과 사명감을 지닌 인격적으로 성숙한 의사, 의료지식과 기술역량뿐 아니라 공감하는 역량과 도덕적 역량을 지닌 의사, 환자 개인뿐 아니라 사회적 요구에도 응답하는 봉사의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의사다. 다른 의과대학에서 운영되는 인문사회의학 교육과 달리, 통상적인 인문사회학적 관점에 가톨릭 정신이 결합되면서, 옴니버스 과정은 인간과 의료를 바라보는 시선과 환자의 치유를 영적인 차원으로까지 확장시키고, 의학직업전문성을 추구하는 의료인의 길이 변화의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수준에 그치지 않고 복음적인 인간 성숙을 기반으로 충만한 사명감을 지닌 생명의 봉사자 양성을 목표로 한다. 이 논문은 먼저 옴니버스 교육과정의 시작 배경을 살펴보고, 이어서 옴니버스 교육을 구성하는 원리와 내용을 살펴봄으로써 가톨릭 정신이 옴니버스 과정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옴니버스 과정의 교육방법론을 살펴보고 방법론 자체에 구현된 가톨릭 정신을 살펴본다. 이어 이 논문의 결론으로, 가톨릭 정신은 의대 교육과정에서 봉사나 자선, 그리고 생명윤리에 대한 가르침 등 특정한 분야를 통해 구현되는 것보다, 인간과 의료에 대한 인식론과 참다운 의료인 상에 대한 존재론의 차원에서 구현되는 것이 더 근본적이고 중요하다는 것을 언급한다. 즉, 예수 그리스도의 말씀을 통해 환자와 의료를 복음적 시선으로 이해하는 자세와, 고통 받는 사람들의 이웃이 되라고 부름 받은 의료인의 사명에 응답하려는 태도를 교육하는 것이 의학교육에 구현된 가톨릭 정신이며, 여러 가지 한계에 도달한 현대 의료를 극복하는 출발점임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Due to the biomedical model affecting medicine and medical education since the mid-19th century and the advance of biotechnologies unaccompanied by philosophical reflection, medicine has been dehumanized and industrialized. As a consequence, these developments are causing ethical problems and identity confusion among medical professionals. As one of the potential solutions to these problems,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need to be integrated into medical education. For this reason, we have developed a new curriculum named the “Omnibus Curriculum”, and implemented it in the curriculum of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chool of Medicine. The Omnibus Curriculum aims to produce medical professionals who embody Catholic identity. We understand Catholic identity to imply various characteristics, including an open attitude to professional vocation, spiritual and personal maturity, a high level of empathy, high ethical standards, servant leadership, and a high sensitivity to social justice. The curriculum can achieve these aims through the embodiment of Catholicism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tudies, an approach that serves to distinguish the Omnibus Curriculum from similar curricula offered in other medical schools. In this article, we introduce the background to the development of the Omnibus Curriculum, and show how it embodies Catholicism. In addition, we present our creative teaching methods, which mimic the creative teaching methods of Jesus. After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we are now convinced that Catholicism can offer answers to the ontological and epistemological questions confronting medicine, the medical system, and medical professionals, and can provide important directions for surmounting the current obstacles in modern medicine and medical education.

      • KCI등재후보

        인간과 환경

        김재득(Kim Jae-deuk),장동하(Chang Dong-ha)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07 인간연구 Vol.- No.12

        가톨릭교회의 인간과 환경 관련 운동을 살펴보면 일정 시기에 폭발적 원론 수준으로 일어난 이후에 지금까지 뚜렷한 상승 곡선을 유지하였다고 볼 수 없다. 가톨릭 환경운동이 사회 환경 단체의 환경운동과 큰 차별성이 없이 진행되어 왔다. 이것은 가톨릭 신자들이 함께 실천해 나갈 수 있는 ‘풀뿌리 환경운동’의 미약함을 의미한다. 다행히 최근의 가톨릭교회 안을 들여다보면 우리농실천, 생협 등 가톨릭 신자들의 환경 의식을 고취하기 위한 풀뿌리 환경운동들이 진행되고 있다. 환경 사목의 외향이 각종 성명서와 퍼포먼스를 앞세우는 쪽으로 급격히 부풀려진다거나, 그 결과를 ‘보여 주기 식’으로 치달았다는 지적은 타 종교에 비하여 조금은 비켜 갈 수 있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환경 문학, 환경 미술, 환경 영화, 환경 음악과 같은 생태 환경문화에 대한 지속적 지원과 관심이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인간과 환경의 중요성을 깊이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그동안 전국 모임으로는 천주교환경연대에서 2002년 천주교창조보 전모임으로 탈바꿈한 ‘천주교창조보전모임’이 있다. 그러나 대안을 제시하지 못한 채 생활 속의 실천에만 그치고 있어서 정착 단계로 업그레이드되었다고 평가하기에는 부족하다. 현재로서는 뾰족한 수가 없어 보이지만 전혀 불가능한 것이 아니기에 가톨릭 환경운동 단체에 대한 바람과 과제를 첫째, 조직 분야(구성 및 기획), 둘째, 인적 분야(교육 및 연구 활동 과제), 셋째, 대외적 네트워크 분야(연대 및 실천과제)로 나누어서 제시하였다. 여기에서 연구자가 제안한 15개의 과제를 동시에 모두 해결하자는 의견은 아니다. 인간과 환경 및 생태 문화에 대비한 환경운동 및 환경 정책은 교육 정책의 경우처럼 백년대계 차원에서 책임감 있게 성심껏 세워져야 한다. 적지 않은 성과를 낸 가톨릭교회이지만 아직 갈 길은 멀다. 한 방울의 물이 모이고 모여 강물을 이루듯, 그 작은 실천들이 마침내 이 사회를 지속 가능한 생태적 사회로 바꿀 수 있기에 인간과 환경을 위하는 가톨릭교회에 대한 희망을 놓지 않는다. It is true that there have not accumulated the great results of activities concerned with human and environment in catholic church. It shows that catholic environment activity has gone without big difference comparing the other green lobbys’ eco-activities. This means that ‘Grass roots environment exercise’ that catholics can practice together have been insignificant. Recently grass roots environment movement(MOV)s are coming along very well fortunately. Moreover, the attempt to escape in exercise of ‘Showing’ is often witnessed. But, despite continuous support and interest are required for ecosystem culture such as environment literature, environment graphics, environment movie, we are not recognizing deeply importance of human and environment. It does not look like perfect solution, but is not entirely impossible for the present. First, organization (composition and plan) Second, human (education and research activities subject) Third, an exterior network policy (era and practice subject) are presented with desire and key task about Catholic environment exercise group.

      • KCI등재

        두 문화, 사회생물학, 그리고 통섭

        이영희(Lee Young-hee)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0 인간연구 Vol.0 No.18

        현대사회에서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사이의 상호작용은 날로 커져 가고 있다. 과학기술이 현대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날로 커져가고 있을 뿐만 아니라, 과학기술의 발전 역시 진공 속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맥락에 크게 의존한다는 사실이 밝혀지기 시작하면서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사이를 유기적으로 연계해야 한다는 목소리들이 최근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입각하여 널리 회자되고 있는 개념이 바로 “두 문화”(two cultures)이다. 1959년 스노우 경(Sir C.P.Snow)이 말한 두 문화 문제는 과학 문화와 인문 문화 사이의 심각한 괴리 현상을 지적한 것으로써, 이후 이 두 문화 개념은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사이의 갈등과 격차를 의미하는 핵심어로 통용되고 있다. 조금 다른 맥락이기는 하지만 1975년에 하버드대의 생물학자인 에드워드 윌슨(Edward Wilson)은 스노우 경과 비슷하게 두 문화에 대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자신이 새로이 주창한 사회생물학을 통해 두 문화의 통합을 전망하였다. 윌슨은 이를 더욱 발전시켜 1998년도에 “컨실리언스”(consilience)라는 개념으로 두 문화의 통합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더욱 체계화하였다. 필자는 이 글에서 스노우 경의 두 문화 개념, 사회생물학에 투영된 두 문화 문제, 그리고 윌슨의 통섭 개념들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통해 이들이 과학기술과 인문사회를 진정으로 통합하는 데 한계가 많음을 주장하고자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문화의 극복 문제는 매우 중요하고 시급한 과제이므로 필자는 이 글의 결론 부분에서, 두 문화 문제의 극복을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서 연방주의적 과학기술학이라는 개념의 유용성을 제안하고 있다. The interaction between techno-science and humanities has increased more than ever. The increased interaction between the two has become the base of the argument that we should try to bridge the two areas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and cope with modern society, and this has been particularly persuasive among the intellectuals. Historically Sir C. P.Snow invented the term “two cultures” in the late 1950s in order to show that there were considerable gap between the science culture and the humanities culture. In the mid 1970s, Harvard biology professor Edward Wilson tried to solve what has been dubbed the two cultures problem by developing sociobiology. In the late 1990s, he once again argued ambitiously that the great unity of all knowledge could be achieved through “consilience”, the term borrowed from a historian of science, by which he means that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can be absorbed into biology. This paper critically appraises whether those who tried to raise questions and provide solutions with regard to the two cultures problem have been successful. Based upon the negative appraisal, this paper finally suggests that a federalist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STS) approach can serve as an alternative to the reductionist and imperialist approaches proposed by Snow and Wilson.

      • KCI등재
      • KCI등재

        지속과 변용의 측면에서 본 19세기 유학의 젠더 담론

        이숙인(Lee, Sook In)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9 인간연구 Vol.0 No.39

        젠더 인식의 측면에서 19세기는 불변의 시대이면서 변화의 시대였다. 유교적 규범이 지속되고 강화된다는 점에서 불변이라면, 여성의 경험이 지식 구성의 재료가 되고 여성의 가치가 다양해진다는 점에서 변화이다. 양극단의 두 흐름을 통해 19세기 젠더 담론의 이상과 현실을 드러내고자 했다. 먼저 남녀의 성품이 다르다는 전제로부터 여성의 역할을 끌어내는 유교 고유의 젠더 규범이 19세기에도 변함없이 강조되었다. 전통과의 연속성이 강한 전반기는 물론 개항을 기점으로 유교의 위상에 변화가 온 후반기에도 유교 근본주의자들의 여성 인식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전통 규범의 지속과 강화의 입장에 선 유학자들의 젠더 담론을 품성론과 역할론을 중심으로 분석했다. 품성과 역할의 담론은 여성을 대상화하고 활용하기에 유용하다는 점에서 젠더 위계를 유지하는 핵심 개념이다. 변화를 모색하는 흐름을 추적하며 세기 벽두의 두 여성 지식인의 저술에 주목했다. 임신·출산이 이루어지는 장소로서의 여성 몸과 유교규범을 넘어선 역사 및 신화 속 여성들, 그 발견은 19세기 여성 인식의 지평을 여는 것이다. 또 여성 담론의 주체가 다양해지면서 은폐되었던 하층 여성들의 존재가 드러나고, 순종이 아닌 주도하는 ‘통 큰’ 여성들이 소개되는 등 시대에 따른 변화가 포착되었다. 유교적 젠더 규범을 지속시키려는 입장과 그 변용을 모색하는 입장이 공존했던 시대의 실상을 구체적 자료를 통해 확인하고 그 의미를 찾아보고자 했다. The 19th century in terms of gender awareness was an age of immutability and change. While Confucian norms were continued and strengthened, during that period, women’s experience became a material for the composition of knowledge and women’s values were diversified. This paper tried to reveal the ideal and reality of Confucian gender norms of the 19th century with focus on the two streams. On the one hand, Confucian gender norms were invariably emphasized in the 19th century. Confucian gender discourses advocating continuation and reinforcement of traditional norms, therefore, were analysed, with emphasis on characterism and role theory. The character and role in Confucianism is the key concept of maintaining the gender hierarchy. One the other hand, the change of the 19th century began with two female intellectuals. Yi Sajudang rediscovered a woman’s body as a place where pregnancy and childbirth take place, and Yi Bingheogak introduced the various lives of women beyond Confucian norms. Also, in the 19th century, the lives of lower-class women were revealed as the subject matter of the gender discourse diversified. In conclusion I tried to find out the reality and meaning of the era when the position to continue the Confucian gender norm and the position to seek its variation coexisting.

      • KCI등재

        한국 문화정책의 창조적 전회

        정종은(Jong Eun Chung)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3 인간연구 Vol.0 No.25

        이 연구는 영국의 신노동당(1997~2010)에 의해 시작되어 전 세계로 확산되어 온 문화정책의 ‘창조적 전회’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한다. 창조산업, 창조경제, 창조도시 등 일군의 새로운 개념들을 중심으로 기존의 국가 단위 문화정책을 구조조정하고자 한 이 전회는 대륙과 반구의 경계를 넘어 빠르게 확산되어 왔으며, 그 결과 많은 국가들이 그 자신의 역사나 현재의 상황과 관계없이 이 흐름에 편승하는 경향마저 보이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국민의 정부’(1998~2003)와 ‘참여정부’(2003~2008)하에서 발생한 ‘문화산업 정책의 부상’이라는 사건이 유사한 창조적 전회가 한국에서도 발생했음을 보여 주는 직접적인 증거라는 점을 논구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고는 양국에서 창조적 전회를 추동한 담론 및 정책 수단의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정책적 이행은 산업화의 상이한 궤적과 속도 등으로 인해 영국의 그것과는 매우 다를 수밖에 없었다는 점도 보일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자는 ‘동아시아 개발국가’라는 개념을 진입 지점으로 삼아 1997~1998년의 아시아 금융위기 이후 한국이 왜 그리고 어떻게 이러한 문화정책상의 이행을 겪게 되었는지를 고찰할 것이며, 다음으로는 그러한 이행의 결과물로서 등장한 문화정책의 틀거리는 무엇이었고 이는 개발국가 시대의 문화정책 및 동시대 영국의 문화정책과 무엇이 어떻게 다른지를 제시할 것이다. 이를 통해서 문화산업정책 영역에서 분명하게 구체화된 ‘한국의 창조적 전회’는 서구 조절국가에서 빌려 온 ‘팔길이 원칙’(자유/자율성의 원칙)과 과거 개발국가 시대의 관습을 원용한 ‘문화산업의 국가기간산업화 비전’(압축적인 투자/견인)을 두 기둥으로 삼고 있었다는 점이 분명해질 것인 바, 바로 이것이 한국의 창조적 전회를 ‘신개발주의’라는 개념을 통해 설명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This study starts with the worldwide interest in the ‘creative turn’ in national cultural policy, which was initiated by the British New Labour governments (1997~2010). Indeed, the turn, which sought to restructure cultural policy with a constellation of new concepts such as creative industries, creative economy and creative cities, has had a remarkable takeup in many parts of the world. Whatever their past histories or contemporary situations, many countries appear to have quickly adopted this new trend. Within this context, this study argues that the ‘rise of cultural industries policy’ under the Kim Dae-Jung and Roh Moo-Hyun Governments (1998~2008) can be taken as direct evidence that a similar kind of creative turn also happened in South Korea. However, despite the similarities in the driving discourses and policy methods, this study also argues that the Korean policy shif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its British counterpart as a result of the differences in the paces and trajectories of industrialization in these nations. Starting from the concept of the ‘East Asian developmental state’ as an entry point, I will explore how and why Korea went through a cultural industries policy shift in the period following the 1997~1998 Asian financial criisis and then reconstruct the distinctive policy framework that was produced as a result of the shift. I will conclude this study by stressing the ‘creative turn’ of Korean cultural industries policy was based upon the two pillars, ‘arm’s length principle’ (i.e. freedom/autonomy) borrowed from the regulatory states and the ‘vision of making cultural industries into a new national basic industry’(i.e. investment/traction) borrowed from the country’s own developmental era. this is the reason why the creative turn can be called ‘neo-development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