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감꼭지나방 생태적 특성 및 방제약제 선발

        김정화,김길하,조수원,박은철,김순섭,황태구,최상기 충북대학교 첨단원예기술개발연구센터 1999 연구보고서 Vol.4 No.-

        경남지역과 충북지역 감나무의 재배, 해충 방제실태를 농가 방문하여 설문조사 한 결과 감 재배경력은 경남지역이 평균 10년이며, 충북지역은 평균 5년 정도이다. 감 재배 주수는 대다수 농가가 20주 이상이고, 재배관리에 대하여 자문을 받는 곳은 농업센터나 농약사 및 연구소 등이었다. 김 품종은 경남지역에서는 부유와 서촌조생, 충북지역에서는 등시와 월하 등을 재배하고 있었다. 시비종류는 이른봄 에 퇴비나 복합비료를 주었고, 감나무 생장 중 열매나 저장 중 열매에 발생하는 해충이 발견되었다. 해충방제를 위해 살충제를 살포하고 있는데 주로 감꼭지나방, 진딧물, 잎말이나방 및 깍지벌레 등으로 파마치온, 파단, 코니도, 신파마치온, 수프라사이드 등을 살포하였다. 감꼭지나방(Stathmopoda masinissa)의 발육생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감꼭지나방을 야외에서 채집하여 온도±1℃, 광주기 16L:8D, 상대습도 50~60%에서 실내 사육하였다. 각 층태별 기간은 알 7.4일, 유충기간 34.7일, 용 15.5일이었다. 각 령기간은 1령 3.5일, 2령 4.2일, 3령 5.2일, 4령 6.5일, 5령 15.4일이었으며, 특히 유층의 두폭을 측정하여 평균한 결과는 1령 0.20mm, 2령 0.40mm, 3령 0.65mm, 4령 0.87mm, 5령 1.07mm일 이었다. 성충의 수명은 수컷이 6.2일, 암컷이 10.1일 이었다. 용화율은 68.0% 우화율은 59.9%이었다. A survey in Kyungnam and chungbuk areas revealed that the average number of years for persimmon tree farming is 10 and 5 years, respectively. The number of trees per orchard is at least over 20, and the farmers have been usually advised through an agricultural center, an agrochemical store, or agrochemical research center. The varieties of the persimmons they grow are Buyu and Seocheon in Kyungnam, and Doogsi and Wolha in Chungbuk. The kind of fertilizers they sprayed in early spring is either compost or composite fertilizer. persimmon pests are often found in persimmon fruits while on a tree or in storage. Phamathion, Padan, Konido, Sinpamathion, and/or supuraside is usually used to control persimmon fruit moths, aphides, leafrollers, and scale insects.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al ecology of the persimmon fruit moth, Stathmopoda masinissa Meyrick, we collected and reared them under the laboratory condition which is at 25±1℃ of temperature, 16L:8D of photoperiod, and 85% of relative humidity. As a result, the developmental period of egg, larva, and pupa were 7.40, 34.7, and 15.5 days, respectively. The average period of each larval instar was 3.50, 4.17, 5.17, 6.46, and 15.42 days, respectively, and the average head capsule width was 0.20, 0.40, 0.65, 0.87, and 1.07mm, respectively. The average adult longevity was 6.2 days for males and 10.1 days for females. The pupation rate and the emergence rate were 68.0% and 59.9%, respectively.

      • 원예치료가 만성정신분열증 환자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손기철,엄수진,김수연,송종은,백기엽 충북대학교 첨단원예기술개발연구센터 2000 연구보고서 Vol.5 No.-

        만성정신분열증 환자들은 장기간의 치료를 필요로 하고, 지금까지는 대부분의 환자들이 약물치료나 전통적인 정신치료에만 의존해왔다. 최근에는 정신분열증 환자치료에 있어서 여러 가지 사회 재활 프로그램이 도입되고 있는 실정이나 원예치료프로그램의 적용사례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원예치료가 만성정신분열증 환자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음성 꽃동네 정신분열증 환자 남녀 대조군 20명, 치료군 남녀 25명을 선정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대조군 20명에게는 원예치료를 실시하지 않았으나, 치료군 25명에게는 주 2회씩 2000년 4월 13일부터 9월 7일까지 원예치료를 실시하였다. 치료효과 검증을 위해 원예활동 평가표(evaluation of horticultural activity), 사회행동척도(social behavior scale), 자아존중감척도(self-esteem Scale), 인간관계측정지, 간이정신건강진단지(SCL-90-R) 등을 치료 전후로 시행하여 비교하였다. 자아존중감과 인간관계측정지에서는 대조군에서는 유의한 결과가 보이지 않은 반면, 치료군에서는 향상된 결과를 볼 수 있었다. 사회행동척도에서는 언어적인면보다 비언어적인면, 대화의 내용에서 치료군만 유의하게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간이정신건강진단지 평가는 불안, 우울, 대인예민성 부분에서 역시 치료군만 유의하게 호전된 효과를 볼 수 있었다. 또한 신체화, 강박증, 적대감, 공포불안, 편집증 등이 호전된 것으로 보여졌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원예활동평가에서는 참여성과 자아개념 및 주체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원예치료프로그램은 우울ㆍ폐쇄적인 대인관계를 보이는 정신분열증 환자들에게 심리ㆍ정서면과 사회성 향상에 효과적이라 판단된다. 또한 원예치료프로그램을 치료적인 목적뿐만 아니라 직업재활의 한 방면으로 이용가능 할 것이라 판단된다.

      • 광분해 촉진에 의한 시설환경중 잔류농약 경감기술 개발

        이재구,정인상,권정욱,안기창 충북대학교 한국과학재단 지정 첨단원예기술개발 연구센터 1997 연구보고서 Vol.2 No.-

        광분해 촉진에 의한 작물중 잔류농약의 인위적인 경감을 위하여 자연계에 천연적으로 존재하거나 또는 합성화합물중에서 감광작용을 가질 것으로 기대되는 40여종에 대하여 감광작용을 검정하여 6개의 화합물을 선발하고 사과와 오이에 사용되는 살균제중 iprodione, bitertanol, chlorothalonil, dichlofluanid 및 myclobutanil을 관행법에 따라 상기 작물에 살포한 후 감광제를 처리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① 40여종의 자연계에 천연적으로 존재하는 화합물과 합성유기 및 무기화합물의 감광작용을 탐색하여 ketone계인 PS-1, 방향족 amine계인 PS-2, quinone계인 PS-3, 무기화합물인 PS-4, 유기산염인 PS-5, 광촉매제인 PS-6를 선발하였고, 모래를 이용한 예비실험을 통하여 각 농약에 대하여 3종의 감광제를 선발하였다. ② 상기 농약의 각 작물에 대한 회수율은 0.5ppm과 1.0ppm에서 모두 91%∼106%로 비교적 양호하였다. ③ 사과에 처리된 iprodione의 경우 방향족 ketone계 감광제인 PS-1을 처리하고 15일 경과 후 잔류량은 무처리의 74%로 감소하였고, 그 이외의 감광제는 큰 효과는 없었다. ④ 감광제 처리에 의한 사과중 chlorothalonil의 잔류량 경감효과는 방향족 ketone계 감광제인 PS-1과 방향족 amine계 감광제인 PS-2를 처리하고 1일 경과 후에 그 잔류량은 대조구의 각각 56%와 54%로 그 효과가 현저하였다. ⑤ 사과에 처리된 bitertanol의 경우 모든 처리구에서 그다지 큰 효과는 없었으나 무기화합물인 PS-4처리구에서 처리 1일 후에 그 잔류량은 대조구의 63%이었다. ⑥ 오이에 처리된 iprodione의 경우 방향족 ketone계 감광제인 PS-1을 처리하고 3일과 15일 경과 후 그 잔류량은 무처리의 각각 44%와 30%로 광분해 촉진 효과가 컸다. ⑦ 감광제 처리에 의한 오이중 myclobutanil의 잔류량 경감효과는 반도체 광촉매제인 PS-6을 처리하고 1일 경과 후에 그 잔류량은 대조구의 73%이었다. ⑧ 감광제 처리에 의한 오이중 dichlofluanid의 잔류량 경감효과는 방향족 ketone게 감광제인 PS-1을 처리하고 3일과 7일 경과 후 그 잔류량은 각각 무처리의 44%와 25%로 광분해 촉진효과가 컸다. ⑨ 위의 결과를 요약하면 작물과 농약에 관계없이 방향족 ketone계 감광제인 PS-1은 비교적 광범위하게 광분해 촉진효과를 나타내었고, 방향족 amine계 감광제인 PS-2, 무기화합물 PS-4 및 반도체 광촉매제인 PS-6은 농약에 따라 특이하게 그 효과를 나타내었다.

      • 육묘용 포트지 제조기술 개발

        박종문,서원성 충북대학교 한국과학재단 지정 첨단원예기술개발연구센터 1996 연구보고서 Vol.1 No.-

        원지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원료를 배합하고, 실험적으로 수초지를 제조하여 물성을 측정하고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육묘용 수입 포트 원지의 특성 ① 육묘용 포트지의 사용환경의 특성상 일반종이보다 높은 습윤강도를 가진다. 즉 인장강도의 경우 건조강도의 약 35% 이상, 파열강도의 경우 건조강도의 약 60%이상의 습윤강도를 나타낸다. ② 일정기간 후, 즉 육묘판으로 부터 경작지로 이식될 때 일정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합성섬유를 일정비율(약 30%로 추정) 혼용하였다. ③ 수분, 공기 등의 효율적 이동을 위하여 높은 통기성을 가진다. (약 10 Gurly sec) 2) 실험실적으로 제조한 수초지의 물성 ① 사이징 처리 : AKD를 건조 펄프 무게에 대하여 0.5% 첨가하여 충분한 사이즈도를 얻을 수 있었다. 0.5% 이상 투입할 경우 사이즈 효과는 향상되나 강도 저하의 원인이 된다. ② 습윤지력증강제 : 강도적 측면에서는 건조 펄프 무게의 2% 첨가가 가장 좋은 결과를 보였으나, 통기성을 고려한다면 1% 첨가가 적절할 것으로 사료된다. ③ 따라서 최적 지료조성비는 T3-1이며, 강도적 측면에서는 수입 포트 원지 보다 우수하나, 통기성이 다소 낮으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원료 펄프의 고해도를 낮추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환경보존형 유용천적의 보존과 활용에 관한 연구

        이형래 충북대학교 한국과학재단 지정 첨단원예기술개발연구센터 1996 연구보고서 Vol.1 No.-

        유용천적인 무당벌레가 농림작물의 주요 해충인 진딧물류의 포식능력과 농약으로부터 천적을 보호할 목적으로 진딧물 방제용 약제들을 공시하여 무당벌레의 독성비교를 실시하였고 몇가지 진딧물농약을 이용한 누대도태를 실시한 결과는 1. 기주인 복숭아혹진딧물을 제공하면서 무당벌레의 누대사육을 실시하여 각종시험의 공시천적으로 활용되었다. 2. 무당벌레 성충의 진딧물 포식량은 복숭아혹진딧물에서 암컷과 수컷에서의 1일 포식량이 각각 62.8 마리와 60.2마리이었고, 목화진딧물에서는 각각 175.0마리와 157.5마리, 조팝나무진딧물에는 각각 92.4마리와 74.2마리의 포식능력이 매우 높았다. 3. 무당벌레의 성충과 유충에 대한 진딧물 방제약제의 독성비교는 메타 25% 유제, 코니도 10% 수화제, 피리모 25% 수화제 및 아시트 50%수화제의 추천방제농도의 1/2 농도에서 살충율이 낮았으며 유충의 경우도 같은 경향이나 성충에서 보다 높은 살충력을 보였다. 4. 약제 저항성 천적 유발은 진딧물 방제약제중에서 독성이 비교적 낮은 4종약의 1/2 농도에로 성충단계에서 누대도태를 실시중이다.

      • 포도의 촉성재배법 확립과 휴면타파제 개발에 관한 연구

        김승희,손창화,김선규 충북대학교 한국과학재단 지정 첨단원예기술개발 연구센터 1996 연구보고서 Vol.1 No.-

        메리트청, 부진그린, 시아나미드, 마늘즙과 에키닌골드, 석회질소, 질산암모늄 처리가 대봉과 델라웨어 포도의 휴면타파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발아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약제는 메리트청으로, 델라웨어에서는 1회처리로 평균 7일, 2회처리로는 13일 빨리 발아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봉은 1회처리로 6일, 2회처리로 5일이 빨랐다. 델라웨어에서는 대부분의 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발아일이 빨랐으며, 마늘즙 처리는 발아를 크게 촉진시키지는 않았지만 발아를 고르게 하였다. 개화기는 품종과 휴면타파제 종류에 따라 반응이 달랐는데, 델라웨어 품종은 1회처리로 대부분의 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오히려 늦어지는 경향이었으며, 2회처리구는 석회질소와 질산암모늄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개화기를 앞당겼다. 대봉은 대부분의 처리구에서 빨리 개화되었으며, 메리트청 1회처리구에서 가장 개화가 단축되었다. 개화기에서는 발아에서보다 차이가 많이 줄어들었으며, 심지어 발아가 빨랐던 눈이 늦게 개화하는 경우도 있었다. 델라웨어에서는 3-4일 변색기를 앞당긴 메리트청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변색기가 늦었다. 대봉의 경우는 모든 처리구에서 변색기가 빨랐는데, 시아나미드 2회처리가 가장 변색기를 앞당겼다. 메리트청, 부진그린, 시아나미드 등은 델라웨어의 수확기를 앞당겼으며, 특히 수확 개시기를 빠르게 하였다. 대봉의 경우 시아나미드 1회처리, 메리트청 2회처리, 그리고 질산암모늄 1회처리를 제외하면 대조구보다 수확기를 촉진했는데, 특히 질산암모늄 2회처리가 가장 효과적이었다. 대부분의 처리구에서 수확시기는 대조구보다 빨랐으나 수확기간은 오히려 길어지는 경향이었다. Effects of merit Blue, Phtin Green, cyanamide, garlic extract and the processed formula(Ekinin Gold), lime nitrogen, and ammonium nitrate on dormancy breaking in Delaware and Daebong grapes were studied. Merit Blue was most effective for dormancy breaking, hastening the budburst date for 1-2 weeks in Delaware and 5-6 days in Daebong grapes. Garlic extract didn't after the budburst date but resulted in even budbreak. Flowering in Delaware was delayed with single application of chemicals, but double application hastened the flowering. Harvest date, especially the beginning of the harvest in Delaware was hastened by Merit Blue, Phtin Green, and cyanamide, while double application of ammonium nitrate was most effective for Daebong. The dormancy breaking agents tended to hasten the harvest date, but prolonged the harvesting period.

      • TMV에 의한 고추의 역병에 대한 전신획득저항성 유도

        이성희,차재순,이주연 충북대학교 한국과학재단 지정 첨단원예기술개발 연구센터 1997 연구보고서 Vol.2 No.-

        고추에 있어서 전신획득저항성 및 PR 단백질 축적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TMV pepper strain을 고추잎에 접종하고 4일후 고추역병균 P. capsici를 고추줄기에 접종후 역병발생량을 비교하였다. TMV를 전접종한 고추에서는 TMV를 전접종하지 않은 고추에서보다 역병발생량이 크게 감소하였는데, TMV를 전접종한 고추의 역병 발병도와 병반길이는 역병접종 10일째에 TMV를 전접종하지 않은 고추의 약 50% 수준이었다. 담배의 PR1b와 PR5a 항혈청을 이용한 immuno-blot으로 추적한 고추의 PR1 과 PR5 단백질은 TMV 접종엽과 접종상위엽에서 TMV 접종 24시간후부터 세포간극에서 동시에 검출되기 시작하였다. PR1 과 PR5 단백질은 TMV 접종엽에서는 TMV 접종 4-5일후 잎이 탈락할때까지 그 양이 크게 증가하였다. PR5는 TMV 접종상위엽에서 TMV 접종후 그 양이 크게 증가하지는 않았지만 실험종료일인 TMV 접종 20일후까지 검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고추에서 TMV 검염에 의해 역병에 대한 전신획득저항성이 유도되며, 전신획득저항성이 유도되는 동안 매우 빠르게 고추전신에서 PR 단백질의 생산이 유도되고, 생성된 PR 단백질들이 오래동안 유지됨을 암시하고 있다. Induction of systemic acquired resistance (SAR) against phytophthora blight and PR protein accumulation by TMV in pepper plant (Capsicum annuum cv. Nockwang) were examined to understand the mechanism of systemic acquired resistance in pepper plant. The zoospore suspension of Phytophthora capsici was inoculated on stem of pepper plant on which TMV-pepper strain had been inoculated on fully expanded 3 leaves, and the amount of phytophthora blight incidence was determined with time course. Both disease severity and lesion length of phytophthora blight were much smaller in TMV pre-inoculated pepper plant than in uninoculated control plant. The amount of phytophthora blight in TMV pre-inoculated pepper was about 50% of uninoculated control plant's at 10 days after P. capsici inoculation. PR1 and PR5 protein were monitored in intercellular fluid of TMV inoculated and uninoculated upper leaves by immuno-blot with tobacco PR1b and PR5a antibody to find accumulation of PR proteins locally and systemically during induction of SAR. PR1 and PR5 were detected from 24 hours after TMV inoculation both TMV inoculated and uninoculated upper leaves, and increased rapidly in TMV inoculated leaves until th leaves were defoliated on 4-5 days after TMV inoculation. PR5 was not increased in uninoculated upper leaves as much as in TMV inoculated leaves, but it can be detected until 20 days after TMV inocul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MV infection induces SAR against phytophthora blight in pepper plant, and PR proteins is accumulated very rapidly after TMV infection systematically during induction of SAR and maintained for quite long time in pepper plant.

      • 원예작물의 주요병 발생억제를 위한 첨단미생물 개발

        차재순 충북대학교 한국과학재단 지정 첨단원예기술개발연구센터 1996 연구보고서 Vol.1 No.-

        1. Salicylic Acid처리에 의해 고추의 녹광, 청홍 두 품종 모두에서 역병의 발병을 감소시켰다. 발병억제 정도가 낮았지만 Salicyclic Acid가 고추에서 병저항성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지금까지 2개균주, 56과 62 분리균주가 직접 고추에서 저항성을 유도하는 균주로 선발되었다. 3. 분리균주 67과 70의 배양액의 ethyl acetate 추출물이 고추에서 강력한 역병저항성을 유도하였다.

      • 주야온도처리 및 생장조절제의 처리가 살비아 플러그묘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이명인,손기철 충북대학교 한국과학재단지정 첨단원예기술개발 연구센터 1997 연구보고서 Vol.2 No.-

        본 실험은 하루중의 살비아 플러그묘의 줄기신장의 변화, 온도상승 및 온도하강 처리가 살비아의 초장신장에 미치는 영향, 주야간 온도차(DIF)에 따른 살비아 플러그묘의 생장과 광합성의 변화, 그리고 DIF와 생장조절제의 동시처리가 살비아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살비아 플러그묘는 일몰시에 초장신장이 가장 잘 일어났고, 이때에 여러 가지 온도하강·상승처리를 한 결과 0DIF(24/24)에서 일출후와 일몰후에 2시간씩 온도하강(16C)을 한 처리에서 초장의 감소효과가 있었고 또한 4C의 물로 관수를 한 처리에서도 효과가 있었다. DIF에 따른 광합성을 보면, 하위엽은 정오 부근에서 광합성이 가장 높았고 상위엽은 하루중 균일한 광합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광도에 따른 변화로는 저광도에서는 차이가 적었고, 고광도에서는 온도에 따라 차이가 뚜렷하였다. DIF와 생장조절제의 동시처리의 경우, 살비아 플러그묘의 초장은 생장조절제의 농도가 높을때는 DIF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았다. -8DIF는 육묘시 초장조절에 효과적이었고 충실도는 증가하였으나 꽃수가 감소되어 풍성한 꽃을 얻을 수 없었다. 0DIF는 육묘시 +8DIF에 비해 큰 효과를 나타내지 못했다. 또한 생장조절제들을 저농도로 처리한 것은 정식후 무처리구와 초장이 비슷하여 초장조절에 효과적이지 못하였다. 따라서, 초장조절에는 +8DIF에 Paclobutrazol, Uniconazole을 각각 4, 5ppm으로 처리하는 것이 효과적이라 판단된다.

      • RAPD법과 형태적 특성에 의한 자생 바위솔속 식물의 유전적 다양성과 유연관계 분석

        이철희,이병애 충북대학교 첨단원예기술개발연구센터 1999 연구보고서 Vol.4 No.-

        한국에 자생하는 바위솔속 식물들의 유전적 근연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여러 지역에서 수집한 22종류의 종들을 사용하여 RAPD 분석을 실시하였다. 60개의 random primer와 22개의 바위솔속 수집종의 genomic DNA를 가지고 RAPD 분석을 하여 쉽게 판별이 가능하며 재현성이 있는 PCR 산물을 증폭하는 10개의 primer를 선발하였다. 10개의 primer들을 사용하여 재현성이 있는 52개의 밴드를 얻었으며, 그 중에서 다형성을 보인 밴드가 43개로 82.7%의 polymorphisms을 나타내었다. UPGMA의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dendrogram을 작성한 결과 18종의 바위솔속 식물은 3개의 군(A, B, C 군)으로 집괴되었으며, 잎의 형태적 특성을 기초로 한 전통적인 분류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그러나 4종은 어떤 분류군에도 속하지 않았다. 안면도 수집종(9번)을 제외한 바위솔(3~9번)의 유사도 지수는 84.2~92.3%로 연화바위솔(18-22번; 66.3~73.9%)이나 둥근바위솔(12~17번; 69.7~83.7%)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C군에 속하는 바위솔은 형태적으로 유사하며, 공통적으로 엽형은 피침형, 엽두는 예철두이며, 1~2mm의 가시를 갖는 형태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바위솔은 지역종간에 변이가 적은 비교적 유전적으로 안정된 종으로 생각된다. A군인 연화바위솔(18~22번)은 유사도가 66.3~73.9%로 낮게 나타났다. A군에 속한 식물들의 잎은 예두, 둔두 혹은 원두의 엽두 형태를 가진 도란형이나 타원형으로 형태가 다양하다. 그러나 잎의 끝에 가시가 없고 회분빛녹색의 잎을 갖는 등 다른 군과 구별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B군인 둥근바위솔(O. malacophyllus)도 유사도 지수가 69.7~83.7%로 비교적 낮게 분석되었다. 형태 특성은 엽형이 도란형이며, 엽두가 예두인 잎을 가지고 있다. 또한 가시가 없고 잎에 붉은점으로 치밀하게 구성된 테두리선을 갖는 것이 이 군에 속한 식물의 특징이다. 난쟁이바위솔(O. sikokiana)과 좀바위솔은 유사도는 68.4%로 멀게 나타났다. 특히, 난쟁이바위솔은 다른종과 구별되는 독특한 형태적 특징을 갖고 있다. 포천 수집종(11번)과 매물도 수집종인 호랑이발톱(10번)은 다른 종과의 유사도가 각각 65.7%와 63.9%로 낮게 나타났다. 이 2종은 현재 명명되지 않는 새로운 종으로 추정된다. The genetic relationship of Korean native Orostachys species collected from various regions were analysed using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method. A total of 60 random primers were tested on eache genomic DNA of 22 Oroatachys species to examine RAPD patterns. Ten out of sixty primers tested, which amplified easily-scorabel and reproducible PCR products, were selected for gentic analysis. A total of 52 distinct amplification fragments by the selected primers were scored, 43 (82.7%) of which showed polymorphisms between species. Eighteen Oroatachys species analysed with UPGMA were clustered into three groups, A, B and C. These clusters were consistent with the conventional taxonomy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s of leaves mainly. However, 4 species were not clustered into any group. The similarity coefficient value of O. japonicus(no. 3~8) except Anmyeondo collected variety(no. 9) showed higher level with 84.2~92.3% than O. iwarenge(no. 18~22; 66.3~73.9%) or O. malacophyllus (no. 12~17; 69.7~83.7%). O. japonicus(no. 3~9) in group C have similar leaf morphology and characterized by lanceolate leaves, cuspidate leaf apex and 1~2mm thorn. Therefore, O. japonicus is thought to be genetically stable, and have less regional variation. O. iwarenge species in group A (no. 18~22) showed low similarity with 66.3~73.9% according to the cluster analysis. Morphological characters within group A were diversified, such as obovate and elliptical leaves with acute, obtuse and round leaf apices: However, this group could be differentiate from other groups by no thorn and grey powdery green colored leaves. O. malacophyllus species in group B (no. 12~17) showed low similarity with 66.7~83.7% according to the cluster analysis. This group is morphologically characterized by obovate leaves and acute leaf apex. This group could be differentiate from other groups by no thorn and leaf outlines formed by densely populated red dots. O. sikokiana and O. minutus had very low similarlity coefficient of 68.4% with other species studied, and had distinguished phenotypes. different to other species. Species collected from Maemuldo (no. 10) and Pocheon(no, 11) showed less than 65.7% or 63.9% similarity coefficient respectively with other species. It is assumed that these 2 species could be the new species which were not named and classified. The clustered groups from RAPD analysis are in agreement with the conventional taxonomy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s. Therefore, RAPD analysis can be used for providing an alternative classification system to identify genotypes and morphological characters of Oroatachys spec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