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반도의 분단과 통일

        이수봉(Lee, Soobong) 총신대학교 평화통일연구소 2021 평화통일연구 Vol.3 No.1

        ‘통일에 대한 논의는 분단에서 출발한다.’는 분석은 대부분의 학자들이 공감하고 있다. 이 말의 의미는 통일은 분단의 문제를 극복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없다는 의미이며, 동시에 적극적 의미에서 통일이라는 긍정적 가치를 실현하는 의미가 있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분단과 통일에 대해 논하면서, 통일로 나아가는 이 시대의 한반도가 나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사회 역사적 측면에서 분단은 국민의 분단, 영토의 분단, 주권의 분단으로 이루어졌고, 분단은 외적 원인과 내적 원인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단의 책임을 외적 원인에만 돌리는 것은 운명론으로 흐를 가능성이 있어 주의할 필요가 있고, 내적 원인을 보완하여 분단에 대한 민족의 책임과 역사적 주체성을 확립할 필요가 있다. 통일은 분단시대의 통일 개념과 통일을 향한 전환기의 통일 개념과 통일 후의 통일 개념을 나누어 분석하였다. 통일이라는 같은 단어를 사용하여도, 분단시대의 통일은 점령적 통일이고, 통일시대의 통일은 분단을 청산하고 민족이 하나로 회복하자는 통일이며, 통일 후의 통일은 정의로운 사회 구축에 방점이 있다. 분단과 통일에 대한 이해는 삶의 정황 속에서 통일 담론을 형성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discussion of reunification begins with division.’ The analysis is shared by most scholars. This means that unification cannot be achieved without overcoming the problems of division. At the same time, this means realizing the positive value of unification. Therefore, we will discuss division and unification in this paper. And the researchers want to find a way for un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In terms of social and historical aspects, the division consisted of the division of the people, the division of territory, and the division of sovereignty. The division was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the causes of the trace and the internal causes. Attributing the responsibility of division to external causes will lead to fatalism.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national responsibility and a historical self-reliance for division by supplementing internal causes from the cause of division. Unification was analyzed by dividing the concept of unification in the divided period, of unification in the unifying era and of unification after unification. Even using the same word, the unification in the divided era is an occupying unification. The unification in the unifying era is aimed at ending division and restoring the nation as one. The unification after reunification has a focus on building a just society. It is expected that understanding of division and unification will contribute to forming a discourse on unification in the context of life in the Korean Peninsula.

      • 평화공동체 구축을 위한 관계적 정체성 교육 : 리꾀르의 관계적 자아이해와 룻기의 성경적 통찰을 중심으로

        강미랑(Kang, Mi Rang) 총신대학교 평화통일연구소 2020 평화통일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평화통일을 위한 기독교교육적 이론형성과 성경의 통찰을 찾고자 시작되었다. 먼저 기독교교육이 통일을 이야기하는 것은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하는 인간교육에 있어서 교육의 장인 가정, 학교, 교회, 사회가 분단으로 인해 여러 면에서 왜곡되어 있고, 그것들이 극복되어야 전인적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평화로운 통일을 위해 정치적인 접근만이 아니라 70년 이상의 분단으로 형성된 간극들을 함께 풀어갈 수 있는 삶의 역량들을 교육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고는 두 분단된 한반도의 양쪽 국민들이 함께 살아갈 준비단계로서 다양한 사람들이 서로를 이해하고, 받아들이며 함께 살아가기 위한 관계적 정체성을 교육하고자 한다. 이러한 교육의 기초이론으로 리꾀르의 자아정체성 이해와 내러티브 정체성 개념, 그리고 정체성 형성을 위한 내러티브 해석학을 다루고, 기독교교육의 원천적 이야기인 성경의 해석을 통해 성경과의 관계에서 재구성되는 관계적 정체성을 제시한다. 특히 룻기의 해석을 통해 아름답고 평화로운 공동체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성경적 통찰을 발견하였다. 룻기에 등장하는 룻, 나오미, 보아스를 비롯하여 잠시 등장하는 밭의 일꾼들, 성문의 장로들, 베들레헴 여인들 모두가 자신의 유익만을 구하지 않고, 자발적인 섬김으로 타인의 안위를 해결하는 데 최선을 다한다. 모든 차이들을 극복하며 사랑으로 희생을 아끼지 않는 이 공동체 위에 하나님께서는 생명을 주시고, 평화의 공동체가 되게 하신다. 남북의 통일도 이렇게 평화의 공동체를 이루는 개개 사람들의 관계적 정체성 형성으로 준비되고 모두가 협력하여 아름답게 이루어지길 바란다. This article is a Christian educational approach to a peaceful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Christian education, especially with the perspectives of the reformed theology, purposes to restore God’s image in every aspect of the human development. However, our educational contexts have been influenced by the division of South and North Korea. We experience the painful traces of the division in each circumstance concerning the family, the school, the church and the societies. Korean educational situation is not so suitable for the formation of the sound human self-identity in relation with their environments. This study focuses on the human self-identity formation in order to live together with others peacefully. First of all, when we think about the reunification of Korea, we have to prepare for the relationship with others, namely the North Koreans, who have the different thoughts, cultures, attitude, and lifestyles due to a time difference of more than 70 years.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this article is P. Ricoeur’s understanding of self-identity and the narrative hermeneutics. Following this narrative identity theory, we try to interpret the story of Ruth in the Bible. Ruth is a beautiful and peaceful story of the people with the relational identity. The story of Ruth has various characters with differences. The Bible story of Ruth suggests a concept of the peaceful community in which each member does their best to respond to the close other’s needs. This community is led by the grace of the Lord. Hesed is the key word in the book of Ruth. Ruth, Naomi and Boaz, furthermore ten elders and the women in Bethlehem except the first kinsman-redeemer who was just called as “friend” or “such a one” without mention of his name, they made a cooperation to build their peace community. An autonomous participation for the help of the relatives in crisis makes the peace community. In this peace community God gave a birth of a life. The biblical book of Ruth shows the way of peace and life. The Bible invites us to follow that story in our own situation.

      • 남한 윤리 교과서에 담긴 통일교육 분석 및 이해

        송두록(Song, DooRok) 총신대학교 평화통일연구소 2021 평화통일연구 Vol.4 No.1

        남한 윤리 교과서에서 통일교육이라는 이름 아래 가르쳐지고 있는 교육 콘텐츠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헌법과 통일교육지원법에 따른 개념 정의에 따라 ‘통일교육’을 규정하고 현행 교육과정 시기의 초등학교와 중고등학교의 윤리 교과서를 주로 분석해 보았다. 학교급에 따라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대한민국 제1차 교육과정 시기부터 제7차 교육과정 시기에 이르기까지 이루어졌던 자유민주주의에 대한 신념과 민족공동체의식 그리고 건전한 안보관에 기반했던 통일교육 내용들이 2007 교육과정 시기에 이어 현행 2015 교육과정 시기에 이르면 간단히 언급되거나 생략, 대체 또는 다른 교육 내용들이 추가되어서 가르쳐지고 있다. 미래 윤리 교과서의 통일교육에 담아야 할 내용들에 대한 통일교육철학적 성찰이 필요하다. To learn about educational content taught under the name of unification education in South Korean ethics textbooks, this study defined unification education according to the Constitution and the Unification Education Support Act and analyzed ethics textbook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during the current curriculum. Although there are differences in school level, unification education based on beliefs about liberal democracy, national community awareness and sound security from the first to seventh curriculum in Korea is briefly mentioned, omitted, or otherwise taught during the current 2015 curriculum. A philosophical reflection on unification education is needed on what should be included in unification education in future ethics textbooks.

      • 북한의 국어교육 및 수업의 현상학적 재구성 : 2013개정 고급중학교 1학년 『국어문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이효주(Lee, Hyo Ju) 총신대학교 평화통일연구소 2021 평화통일연구 Vol.4 No.1

        남과 북은 동일한 한글을 사용하고 있지만, 오랜 시간 지속된 분단과 서로 다른 체제에서 기인한 이념적 대립으로 인해 원활한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느낄 만큼 많은 언어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언어적 차이는 시간이 지날수록 일상적인 교육 현장을 통해 재생산되고 고착화 된다. 통일을 대비한 남북한 국어교육의 방향성 구축을 위해서는 북한 국어교육의 실상을 아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 하에 본 연구에서는 북한의 국어교육과 2013년 개정된 고급중학교 1학년 『국어문학』을 중심으로 교육목표와 내용, 실제 교육현장의 교수형태 등을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본 고에서는 하나의 사례로 <4. 애국의 숨결> 단원의 일부 수업을 교원출신 탈북민과의 심층면접을 통해 현상학적으로 재구성하고자 한다. 이 연구가 남북한의 언어적 동질성 회복을 위한 통일 이후 국어교육의 청사진을 그리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Although the South and North Korea use the same Hangeul, there are so many language differences that it is difficult to communicate smoothly due to the long-standing division and ideological confrontation caused by different systems. As time goes by, these linguistic differences are reproduced and fixed through every day school education field. With the awareness that it is necessary to know the reality of North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order to establish the direc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North and South Korea in preparation for unification, this study focuse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North Korea and the first grade of high school, 『Korean Literature』, which was revised in 2013. It aims to analyze the goals and contents, and the form of teaching in the actual educational field. In particular, the study aims to reconstruct some of the classes in the <4. Breath of Patriotism> section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North Korean defectors who are former teacher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help to draw a blueprint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fter unification for the restoration of linguistic homogeneity between the two Koreas.

      • 2015 교육과정 고등학교 세계사교과서의 독일 분단과 통일 서술 분석

        전세원(Jeon, Se Won) 총신대학교 평화통일연구소 2020 평화통일연구 Vol.1 No.1

        이 글은 2015 교육과정 고등학교 세계사 교과서의 독일 분단과 통일에 관한 서술 내용을 분석한 글이다. 세계사 교육에서 특히 현대 사회를 이해하는데 학생들이 독일의 분단과 통일 과정을 배우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한국과 독일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분단의 길을 겪은 공통의 역사를 갖고 있지만 현재 독일은 통일이 되어 있는 반면 우리나라는 여전히 분단 상태에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현재 고등학생이 학교 교육과정에서 독일의 분단과 통일에 대해 배우는 내용은 무엇이며 어떤 부분을 보완해야 하는지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부분은 현행 4종의 세계사 교과서에서 독일의 분단과 통일에 대한 서술 자료와 시각자료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서술 분량의 문제, 서술 내용의 보충할 점, 제시 자료의 한계점 등 몇 가지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두 번째 부분은 문제점들을 보충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이 내용은 독일은 물론 전 유럽, 전 세계적으로 끼친 영향이 크기 때문에 교과서의 분량을 획기적으로 늘려 사건을 단순히 나열하는 식의 교과서 서술을 탈피해야 한다는 점을 주장하였다. 또한 독일과 우리나라를 단순히 ‘분단’이라는 공통적인 상황만 중점을 둘 것이 아니라 각 국가의 특수한 상황을 고려한 서술을 해야한다고 지적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이 시·공간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당시 독일의 상황을 이해하기 위한 다양한 자료를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제안하였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contents of description on division of Germany and German reunification in world history textbooks of high school in 2015 school curriculum. In world history education, it is very important that students learn about the division of Germany and German reunification process to understand the modern society. It is because both Korea and Germany has the common history that both went into the path of division after the Second World War, but Germany is now unified, but Korea is still in a divided state. In that case, there is need to study what contents are learned by high school students about the division of Germany and German reunification in school curriculum and what parts should be complemented. This study is largely divided into two parts. The first part makes an analysis of the division of Germany and German reunification in the existing four world history textbooks by dividing the materials into descriptive materials and visual ones. As a result, a few of problems could be discovered: volume of description, supplementation of descriptive contents, and limitation of presented data. The second part provides alternatives to complementing the problems. First of all, the content of this part claimed that the description of textbooks in the way of increasing the volume of textbooks dramatically and enumerating the events simply should be avoided, because this may greatly influence the entire Europe as well as Germany. It also pointed out that the description should consider the special situation of each nation instead of placing emphasis on the common situation of ‘division’ simply between Germany and Korea. Finally, it suggested that it would be important to develop various materials so that students could understand the situation of then-Germany, which is far apart, temporally and spatially.

      • 한국사 교과서 내 북한사 서술의 특징

        임인재(Im, In Jae) 총신대학교 평화통일연구소 2020 평화통일연구 Vol.1 No.1

        남북관계의 갈등은 분단 직후부터 지금까지 지속되었던 문제이다. 전세계적으로 냉전은 종식되었지만 한반도 내의 이념 갈등은 여전히 존재한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평화통일을 추구해야 하는 것이 우리의 중요한 과제임을 또한 부정할 수 없다. 그러나 분단 이후 시간이 흐를수록 통일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기보다는 점차 북한과의 통일이 필요하지 않다는 인식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반공의식은 현 역사교과서에도 여전히 존재한다. 본 논문은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북한사 서술을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서술상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객관적인 북한사 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한다. 지금까지 역사교과서 내의 북한사 서술과 관련된 논의는 첫째, 이념적인 입장에서 서술한 연구이다. 둘째, 이념적 대립에서 벗어난 시도이다. 이러한 논의들은 대부분 한반도의 평화와 공존을 위한 서술 형태로 바뀌어야 함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교과서를 분석하고 역사교과서의 서술과 역사교육의 방향은 평화통일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The conflict between the two Koreas has been a perennial problem since the division of the peninsula. Though the Cold War ended worldwide, ideological conflicts still exist on the Korean Peninsula. However, despite these circumstances, we cannot deny that it is also our important task to pursue peaceful reunification. However, as time goes by since the division of the peninsula, there is also a growing perception that unification with North Korea is not needed gradually, rather than emphasis on its importance. This anti-communist awareness still exists in current history textbooks. Through the process of analyzing descriptions of North Korean history in high 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s, this paper presents descriptive problems and ways to improve them, through which it explores the direction of objective education of North Korean history. Until now, discussions on the description of North Korean history in history textbooks have been first and ideologically described. Second, it is an attempt away from ideological confrontation. Most of these discussions suggest that they should be changed to a narrative form for peace and coexistence on the Korean Peninsula. Accordingly, the textbooks should be analyzed and the descriptions of history textbooks and the direction of history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in a way that seeks peaceful unification.

      • 김정은 시대 북한의 통일교육

        엄현숙(Oum, Hyun Suk) 총신대학교 평화통일연구소 2021 평화통일연구 Vol.4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북한 내 통일정책의 변화가 정치교육에 미칠 가능성을 살펴보는 데 있다. 본 연구는 2021년 1월 개정된 당 규약의 일부 개정된 내용을 중심으로 제한된 범위에서 분석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북한의 기본 노선은 변하지 않았고, 그래서 북한이 추구할 통일교육의 내용도 크게 달라질 수 없다. 다만, 보다 광범위한 측면에서 북한 교육을 분석한다면, 북한의 교육은 변화할 뿐만 아니라 세계적 추세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possibility that changes in unification policy in North Korea will affect political education. This study is a limited range of analyses centered on some amendments to the Party Convention as amended in January 2021. According to the report, North Korea’s basic route has not changed, so the contents of unification education that North Korea will pursue cannot be significantly changed. However, if we analyze North Korean education from a broader perspective, North Korean education not only changes but also responds sensitively trends.

      • 북한의 역사교사 양성과 역사교육

        허은철(Heo, Eunchul) 총신대학교 평화통일연구소 2020 평화통일연구 Vol.2 No.1

        해방 이후 한국은 분단으로 인해 갈등과 대결이 이어졌다. 이 과정에서 남과 북의 이질적 성향이 점점 짙어져 현재까지 이르렀다. 분단 70여 년이 지난 지금, 이제 통일에 대한 다양한 논의와 준비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고에서는 통일 이후 학교 교육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서 역사 교원양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먼저 북한의 자료를 통해 북한 역사 교원양성의 역사를 살펴보고 그 현황을 제시하였다. 또한 북한 사범대학의 역사과 교육과정이 어떻게 운영되는지 살펴보았으며, 북한 역사교사와 학교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남한의 역사교사 양성과 비교할 수 있으며, 통일 이후 북한 역사교육 인력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그리고 통일 역사교육의 방향을 어떻게 세워야 할 것인지 고찰할 수 있었다. 향후 이와 관련한 다양한 논의를 진행하여 한반도 통일 이후 교육을 준비해 나가야 할 것이다. After liberation, the division of Korea led to conflict and confrontation. In this process, the heterogeneous tendencies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have grown increasingly deep and have reached the present day. Now, more than 70 years after division, it is time for various discussions and preparations for unification. Now, more than 70 years after division, it is time for various discussions and preparations for unification. In this paper, I looked at the training of history teachers as part of an effort to stably operate school education after unification. First, I examined the history of training North Korean history teachers through North Korean data and presented the current situation. In addition, it examined how the history and curriculum of the North Korean Normal University was operated, and how North Korean history teachers and school education were conducted.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compare the South Korean history teacher training process with the North Korean history teacher training process. In addition, after unification, it was possible to review ways to utilize North Korean history education personnel and establish a direction for unification history education. In the future, various discussions related to this should be conducted to prepare for education after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 영화 <의형제>를 통해 살펴보는 남북한 관계구축의 지향점

        이요한(LEE, Yo Han) 총신대학교 평화통일연구소 2020 평화통일연구 Vol.2 No.1

        <의형제>는 반공영화의 성격에서 탈피하여 대중에게 많은 호응을 받은 영화로서, 2000년대 분단영화 제작 기조의 연장선상에 자리하는 작품이다. 본고에서는 그간 진행된 <의형제> 분석이 남북 간 분단의식 및 현실인식 모색에 치중했다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통일서사에 입각하여 영화에 내포된 남북 통합의 지향점과 한계점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의형제>에서 파악된 남북한 관계 구축의 지향점은 크게 두 가지로서, 하나는 기존의 민족의식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동반자적 관계를 설정하였다는 점이며, 다른 하나는 남북 관계구축을 위해 시혜적 경제협력을 뛰어넘는 공감대와 신뢰 형성이 중요하다는 점이다. 그러나 영화에서는 통합과정의 한계점 또한 드러나고 있는데, 이는 남북 간 상호 협조의 경험을 축적하는 도구로 제 3자와의 대립을 활용했다는 점이다. 이러한 통합 방식은 궁극적으로는 통일사회 발전을 저해하기에 지양해야 할 방식으로 상정된다. <Secret Reunion> is a film that escaped from the nature of an anti-communist film and received a lot of response from the public, and is an extension of the basis of the production of division films in the 2000s. In this paper, based on the unified narrative, analyze <Secret Reun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are two main aims of establishing inter-Korean relations identified in <Secret Reunion>, one is that it has set a new partnership relationship by breaking away from the existing national consciousness, and the other is that it is conceivable to establish inter-Korean relations. It is important to build consensus and trust beyond economic cooperation. However, the film also reveals the limitations of the integration process, which is that it utilized confrontation with third parties as a tool to accumulate experiences of mutual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This integration method is supposed to be a method that should be avoided as it ultimately hinders the development of a unified society.

      • 기독교 교육적 관점에서 살펴본 한국사 교과서의 북한과 통일에 대한 서술

        고유경(Ko, Yoo Kyoung) 총신대학교 평화통일연구소 2021 평화통일연구 Vol.4 No.1

        남북 분단의 역사가 계속되는 가운데 한국사 교과서에서도 북한의 역사는 현대사로서 하나의 챕터로 다루어지고 있다. 본고에서는 한국사 교과서에서 북한을 어떻게 서술하고 있으며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교과서에서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전반에 걸쳐 북한은 이상하고 이해하기 어려우며 실패할 수밖에 없는 부정적 존재로 서술되어 있었다. 게다가 통일에 관한 서술 역시 추상적이며 분량이 적고, 그마저도 수동적으로 서술되어 있었다. 이러한 서술은 북한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가져올 수 있으며 통일교육적 측면에서도 아쉬움이 있다. 정치적, 경제적 득실을 떠나 선교적, 회복적, 인류애적 측면에서의 북한 인식이 필요하다. As the history of division between North and South continues, even in Korean history textbooks, the history of North Korea is treated as a single chapter as a modern history. This paper analyzes how North Korea is described in Korean history textbooks and how they view unification. In the textbooks, North Korea was described as a strange, incomprehensible, and negative existence in all areas of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Moreover, the description of unification was also abstract and small, and even that was written passively. Such a description can bring negative perceptions about North Korea, and it is also disappointing in terms of education for unification. Awareness of North Korea in terms of missionary, restorative, and humanity-loving aspects is necessary regardless of political and economic gains and lo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