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석사학위논문 연구동향 분석

        변상희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11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석사학위논문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학문적 정체성을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했다. 연구문제 1.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의 연구주제 동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의 연구대상 동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의 연구방법 동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4.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의 통계방법 동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담심리전공 석사학위 논문이 첫 게재된 1995년 9월부터 2020년 8월까지 총 390편의 논문을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방법, 통계방법 분석 준거에 따라 시계열 빈도분석과 연구결과 간 교차분석을 실시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대 상담심리전공 석사학위 논문에서 가장 많이 연구된 주제는 성격 및 적응 연구 177편(45%)이며 성과연구가 108편(28%), 진로 및 적성연구 45편(12%) 순으로 나타났다. 이외 연구는 모두 10% 미만으로 나타나 상담 연구 영역 이 성격 및 적응 연구 등 특정 주제에 집중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연구대상은 연구대상이 없는 논문 4편을 제외한 386편 중 100편(25%)이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했다. 이어 중등 60편(15%), 고등 55편(14%), 성인 46편 (11%), 대학생 37편(9%) 순이다. 연구대상이 둘 이상인 경우를 제외하고 단일 연구대상에서 상담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적게 나타났다. 셋째, 연구방법은 전체 390편 중 370편(95%)이 양적연구로 확연히 집중된 반면 질적연구는 18편(4%), 혼합연구는 2편(1%)에 그쳤다. 양적연구는 매해 90%를 넘는 비율을 유지하고 있으며 2015년 이후 질적연구가 소폭 늘었지만 2018년 최대 5편이 게재된 것을 제외하고는 아예 선택되지 않거나 한 해 1~2편 정도만 게재됐다. 넷째, 통계방법은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상담심리학전공이 증설된 초반에는 프로그램 효과를 보기 위한 사전-사후 t검증 방법을 사용했으며, 이후 변인 간 상관 및 인과 관계를 보기 위한 상관분석 및 회귀 분석 방법에 집중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2014년 이후에는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여 다변인간 인과관계를 분석하는 흐름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상담심리전공 석사학위 논문의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방법, 통계방법의 흐름이 지속적으로 변화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연구대상의 다양성과 통계방법의 변화는 상담현장에서 실제 과제를 풀어내고자 하는 연구자들의 노력으로 해석된다. 상담학은 실제를 바탕으로 한 연구이므로 보다 더 확대된 시선의 창의적 연구 노력이 앞으로도 이어지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the master's degree thesis in counseling psychology at Jeju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explore academic identity. To this end, we have established a research problem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How is the research topic trend of the thesis on master's degree at Jeju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Research Question 2. What is the trend of the thesis on the master's degree at Jeju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Research Question 3. What is the trend of research methods in the thesis on master's degree at Jeju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Research Question 4. How is the statistical method trend of the master's degree thesis at Jeju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total of 390 papers were conducted from September 1995 to August 2020, when a master's thesis on counseling psychology was first published, in accordance with research topics, research subjects, research methods, and statistical method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the summary of the findings is as follows. First, 177 personality and adaptation studies (45%) were studied, followed by 108 performance studies (28%), and 45 career and aptitude studies (12%). All other studies appear to be less than 10%, confirming that counseling research areas are concentrated on specific topics such as personality and adaptation studies. Second, 100 (25%) out of 386 papers, excluding 4 papers without subjects, were targeted 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was followed by 60 middle and high schools (15 percent), 55 high schools (14 percent), 46 adults (11 percent) and 37 college students (9 percent). Except for cases where there is more than one subject, the least number of studies were conducted on counselors in a single subject. Third, 370 (95%) of the total 390 studies were concentrated on quantitative studies, while only 18 (4%) were conducted on qualitative studies and 2 (1%) on mixed studies. Quantitative research has maintained a ratio of more than 90% every year, and qualitative research has increased slightly since 2015, but only one or two were selected or published a year except for up to five in 2018.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in the early stages of the expansion of the Department of Education and Counseling Psychology at Jeju National University'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 pre-post-t verification method was used to see program effects. Since 2014, we have shown the flow of analyzing multidimensional causality using structural equations. The above findings confirmed that the trend of research topics, research subjects, research methods, and statistical methods in the master's degree thesis in counseling psychology at Jeju National University'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s continued to change. In particular, the diversity of subjects and changes in statistical methods are interpreted as researchers' efforts to solve real challenges at the counseling site. Since counseling is a practical study, we hope that creative research efforts with a wider perspective will continue in the future.

      • 평생교육 프로그램 학습 및 생활 만족도 연구 : 국립대학 부설 평생교육 기관 중심

        김미경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79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examining how participating in lifelong education programs offered by lifelong learning centers at national universities in Korea affects adult learners’ life satisfaction and finding ways to maximize their life satisfaction. To this end, we first assess reasons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s, program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s of participants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Second, we look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reasons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and program satisfaction and third, investigate life satisfaction after the programs according to reasons of participation. Fourth, we als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program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following the programs.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 analyzed what factors affect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reasons of participation, participation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after participation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developed a research model to describe correlations of factors. In addition, to measure the factors, a questionnaire survey tested for reliability under the guidance of the supervising professor based on tools used for literature review was completed.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500 selected by random sampling from six point national universities nationwide which offer lifelong education programs. Out of 396 survey sheets returned, we used 362 of them for final analysis, excluding 34 incomplete ones. Regarding the data for final analysis, we conducted a reliability test for measuring tools and a t-test and One-way ANOVA to analyze the difference among factors. We also performed a correlation analysis to assess participation satisfaction according to reasons of participation, life satisfaction after participation according to reasons of participation, and life satisfaction after participation according to participation satisfaction. Finding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n it comes to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like the place of residence, sex, age, education, and monthly average income, education according to reason of participation and the place of residence according to participation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 while the rest of the factors were not. As far as participation satisfaction was concerned, it was higher among those living in Jeju and men rather than women. Regarding age, those in their 60s appeared to have highest satisfaction, and junior college graduates and those who earn 3 to 4 million won on average were found to be highly satisfied. The finding that older, high-income, and well-educated participants expressed higher satisfaction indicates that satisfaction of lifelong education grows higher among those who can afford to the programs in terms of money and time. Second,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reasons and satisfaction, we found that ‘academic expectation’ as a reason of participation affected ‘education content’ in participation satisfaction. Namely, ‘academic expectation’ was found to influence knowledge or information acquisition, satisfaction of academic desires, and ability to solve personal problems. ‘Internal expectation’ and ‘external expectation’ appeared to affect ‘interaction with other learners’ in participation satisfaction, therefore affecting frequent meetings with other students, fellow feeling, and building a consensus with other students regarding the programs.’ Third, when it come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reasons and life satisfaction after participation, ‘academic expectation’ as a participation reason was found to affect ‘education areas’ in life satisfaction after participation and ‘internal expectation’ influenced ‘social areas.’ In addition, ‘external expectation’ affected ‘career and employment area.’ Therefore, in relation to ‘academic expectation,’ follow-up education was considered important in terms of new information acquisition, academic curiosity, and lack of regular education, and ‘internal expectation’ was found to affect ‘cultivation of liberal arts, energy for life, and abundant life in the future.’ Furthermore, ‘external expectation’ influenced ‘career like employment and promotion, job efficiency, new work or activity, leisure tim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Fourth, in connection with the relationship to participation satisfaction according to life satisfaction after participation, in ‘career and employment area’ and ‘social area’ of life satisfaction after participation, participation satisfaction affected ‘satisfaction with interaction with other students,’ and ‘education area’ had an effect on ‘education content.’ Accordingly, ‘career and employment area’ and ‘social area’ were found to place importance over ‘new job, promotion at work, publication, exhibition, release of books, and chance of further education,’ while ‘education area’ affected ‘agreement with goals, positive effects on social life,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satisfaction of academic desires, and solution of personal problem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평생교육을 실시하는 기관 중 국립대학 부설 평생교육기관에 참여하는 성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학습 참여 후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학습자들의 생활 만족도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을 색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국립대학 부설 평생교육기관 프로그램 참여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대학부설 평생교육 참여동기, 참여 만족도, 참여 후 생활만족도를 분석한다. 둘째, 국립대학 부설 평생교육기관 프로그램 참여자의 참여동기와 참여 만족도와의 관계를 알아본다. 셋째, 국립대학 부설 평생교육기관 프로그램 참여자의 참여동기에 따른 참여후 생활만족도와의 관계를 알아본다. 넷째, 국립대학 부설 평생교육기관 프로그램 참여자의 참여 후 생활만족도와 참여 만족도와의 관계를 알아본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평생 교육 학습프로그램 참여동기, 참여만족도, 참여 후 생활만족도에 대하여 요인을 분석하고 각 요인별 상관관계를 설명하고자 연구모형을 개발하였다. 또한 이들 요인의 측정도구서로 선행연구에서 사용한 도구 및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신뢰도검사 후 본 연구 설문지를 완성하였다. 완성된 설문지는 대학 평생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국립 거점대학 6개 대학을 선정하여 무선표집 방법으로 총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한 학습자 수 396명중 불성실한 응답자 34명을 제외한 362명의 응답자를 대상으로 본 설문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되었다.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된 자료는 측정도구의 신뢰성 검증을 위해 신뢰도 분석, 각 요인별 차이분석을 위해 t-test와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평생학습자 참여동기에 따른 참여 만족도, 참여동기에 따른 참여 후 생활만족도, 참여 만족도에 따른 참여 후 생활만족도를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인 거주지역, 성별, 연령, 학력, 월평균 수입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참여동기에 따른 학력과 참여 만족도에 따른 거주지역은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나머지 요인은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지 못하였다. 참여 만족도는 타지역에 비해 제주지역이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여성보다는 남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연령대는 60대가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학력으로는 전문대졸, 월평균 수입은 300만원 이상 ~ 400만원 미만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고연령, 고소득, 고학력 등이 만족도가 높게 나타남에 따라 평생교육에도 경제적?시간적 여유가 있는 경우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참여동기와 참여 만족도의 관계를 살펴보면, 참여동기의 ‘학문적 기대’는 여 만족도의 ‘교육내용’에 영향을 미치고 있어 있다. 즉 ‘학문적 기대’는 지식이나 정보습득, 학문적 욕구 충족, 개인적 당면과재 해결 능력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내부지향적 기대’와 ‘외부지향적 기대’는 참여 만족도의 ‘학습동료와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학습동료와의 자주만남, 동료의식, 프로그램에 대한 동료와의 공감대 형성‘ 등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4·3이 제주교육에 미친 영향 : 교육시설의 피해를 중심으로

        윤석찬 濟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9679

        4·3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는 그 발생 배경과 양민학살문제 등이 중심을 이루어, 문화·예술·가정·여성문제 등에 관한 논의는 거의 없었다. 교육분야의 피해 실태도 조사된 바 없어, 본 연구에서는 광복 이후 제주지역에서 꽃핀 학교설립운동과 제주 4·3에서의 교육시설의 피해를 중심으로 4·3이 제주교육에 미친 영향을 조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지역의 교사들은 광복 이후 인민위원회 등에 활발히 참여했고, 4·3 발발 직전 김달삼, 이덕구 등 교사출신들이 남로당 제주도위원회의 주도권을 장악했다. 좌익계 교사들은 학교를 중심으로 자치의식과 민족의식을 강조하면서 학생과 주민들간에 공동체적 분위기를 형성시켰다. 이러한 좌익 성향으로 4·3의 주도 인물에 교사출신이 많았고, 그 제자들도 입산해 무장활동에 나서기도 했다. 이런 연유로 제주의 교사와 학생들은 사상적으로 의심받아 큰 희생을 치루었고, 교육시설도 피해를 입게 되었다. 둘째, 광복 이후 마을공동체의 합의를 모아 학교설립운동이 전도적으로 일어났다. 초등학교는 광복 당시 52개교에서 1948년에 95개교로 183%의 성장(전국 성장률 121%)을, 중학교도 광복 전 2개교에서 1948년에 16개교로 증가(전국 증가율 229%)했다. 미군정기에 설립된 초등학교 43개교의 77%인 33개교가 1946년에 세워졌다. 1946년은 제주에서 인민위원회 활동이 가장 활발했던 시기였다. 대정, 한림, 조천, 애월면지역의 인민위원회는 학교설립과 운영에 관여했다는 사실들이 밝혀지고 있다. 셋째, 지금까지 4·3으로 인한 교육시설의 피해 실태가 제대로 조사된 바 없어, 필자 나름대로 각종 문헌과 증언채록을 통해 소실 42, 건물해체 6(초등), 폐교 2개교(중등) 등 50개교가 피해를 입은 사실을 확인했다. 소실된 42개교는 초등 39, 중등 3개교로, 초등학교는 전체 95개교의 41%인 39개교, 중학교는 16개교의 19%인 3개교가 소실되었으며, 이 중 무장대에 의해 60%인 25개교, 토벌대에 의해 40%인 17개교가 손실을 입었다. 건물이 해체된 6개교와 폐교된 2개교도 당국에 의해 교육적 중단이 나타난 것이므로, 토벌로 입은 피해는 모두 25개교였다. 따라서 무장대에 의해 25개교가 소실되고, 토벌대에 의해 25개교가 손실을 입게 되어 제주교육의 기반은 무장대와 토벌대 양쪽에 의해 초토화되었다. 도민들은 4·3의 혼란 속에서 교육시설의 복구에 온 힘을 기울였다. 학교의 소실은 마을공동체의 파괴였으며, 그 복구는 공동체 정신의 회복이자 제주 4·3을 극복해 나간 교육적 노력이었다. Most of researches on 4·3 has been mainly concerning the background of 4·3 and the problem of massacre of innocent people. There were very few studies that had treated with 4·3 in the field of culture, art, or home or in the light of a women's problem. Also the actual condition of the damage in the educational side has never been investigated. This study aims at showing how briskly school foundation movement had been developed in Jeju-do after the liberation of our country and how 4·3 had had an effect on the education of Jeju, mainly treating with the damage of educational institu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digested as follows; First, many teachers in Jeju took part positively in such an activity as Council of People's Commissars after the liberation. And ex-teachers, such as Kim Dal-sam, Yi Duck-gu, and so on, took the lead in Jeju-do Branch of Nam-ro Party just before 4·3 broke out. These leftist teachers tried to inspire the spirit of self-government, national consciousness and the sense of oneness with Jeju people including their students. Not a few ex-teachers with such leftist leanings were among the leaders of 4·3. Also many of their students joined them and became guerrillas. For these reasons teachers and students of Jeju-do were suspected ideologically. As a result many of them were victimized and not a few educational facilities were destroyed. Second, after the liberation school foundation movement were briskly developed all over Jeju-do. The number of elementary schools increased from 52 just before the liberation to 95 in 1948. Its growth rate amounted 183%(national growth rate, 121%). The number of middle schools increased from 2 to 16(national growth rate, 229%). Thirty three out of 43 elementary schools founded under the rule of American Forces were built only for one year in 1946. The year was the time when the activities of the Council of People's Commissars were done most briskly. The investigations have shown that the Council of People's Commissars played a role in founding and managing schools in the area of Dae-jeong, Hallim, Jo-cheon, and Ae-wol. Third, until now no investigation has been made into the damage of educational institution by 4·3. But in my own way I could find out these facts through every kind of documents and recordings in the testimonies; Forty two school buildings were burnt down., six elementary school buildings were pulled down and two middle school buildings were closed. That is, the total of the schools damaged by 4·3 amounted to 50. Among 42 schools burnt down were 39 elementary schools and 3 middle schools, which shows that 41% out of 95 elementary schools in Jeju-do and 19% of 16 middle schools were destroyed by fire. Twenty-five of them were destroyed by the guerrillas, which amounted to 60% out of the whole burnt-down schools. The rest(25schools) were destroyed by the punitive force. The above-mentioned six middle schools and two elementary schools were respectively pulled down or closed by the authorities concerned. As a result, the education of Je-ju was badly hit by both the guerrillas and the punitive force. Even in a swirl of 4·3 Je-ju people did their best to restore the educational facilities. To them the destruction of schools meant that of the community. Also Their efforts to restore them meant the recovery of their sense of oneness of and their educational efforts to overcome the damage by 4·3.

      • 제주지역 영양교사의 직무만족도 및 교사효능감 분석

        최수희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는 제주지역 영양교사를 대상으로 영양교육실태, 업무중요도 및 업무수행도, 직무만족도, 교사효능감을 조사하여 일반사항, 근무현황에 따른 업무중요도 및 업무수행도, 직무만족도, 교사효능감을 분석하고 업무중요도 및 업무수행도와 직무만족도 및 교사효능감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제주지역 초· 중· 고등학교에서 영양교사가 체계적이고 보다 나은 영양교육과 영양상담 실시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으며, 제주도내 초‧ 중‧ 고등학교 및 특수학교에서 근무하고 있는 영양교사를 대상으로 2021년 3월 22일부터 2021년 5월 17일까지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영양교사 136(정원기준)명 중 휴직중인 교사(6명)를 제외하고 130명 전원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회수된 설문지 총 96부(회수율 70%)를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조사된 자료는 SPSS Win Program (ver. 21.0)을 사용하여 통계 분석하였고, 각 조사 항목에 대해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구하였으며, 평균차이 검증은 t-test, ANOVA를 사용하여 집단 간의 유의성을 살펴보았으며, ANOVA에 대한 사후검증으로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실시하였다. 세부적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의 일반사항에서 연령은 50대가 57.3%로 가장 많았고, 기혼 비율이 69.8%로 높게 나타났으며, 최종학력은 대학원 졸업(재학 중 포함)이 44.8%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 하였다. 근무경력은 26년 이상이 39.6%로 가장 많았고, 1년 연봉은 5,000만원 이상이 60.4%로 가장 많았다. 조사대상의 근무현황에서 현재 근무처는 초등학교가 57.3%, 급식유형은 도시형 58.3%, 담당하는 학교수는 1개교가 84.4%로 높은 비율을 차지 하였고, 급식관리 형태는 단독조리가 87.5%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영양교육 실태를 직접영양교육, 간접영양교육으로 나누어 조사한 결과, 직접 영양교육 실시 방법으로 영양상담이 34.8.%으로 가장 많았고, 조사대상이 영양교육을 실시하기 어려운 이유에 대해 ‘업무과다로 인하여’ 라는 응답이 59%로 가장 많았다. 영양교육 수업을 실시하지 못함으로 느끼는 아쉬운 점으로는 ‘간접교육으로만 영양교육을 실시하여 교육의 질이 향상되지 못하는 점’이 63.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조사대상이 영양 및 식생활 교육 활성화를 위해 가장 필요한 과제로 생각하는 것으로는 ‘업무 경감 및 영양 교육을 위한 시수 확보’가 45.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조사대상의 업무중요도와 업무수행도를 분석한 결과, 업무중요도는 급식관리가 4.71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업무수행도에 있어서도 급식관리가 4.38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근무현황에 따른 업무수행도에서는 급식유형과 급식관리영역에서 도시형이 4.53점, 근무현황에 따른 업무중요도에서는 담당학교 수와 학부모 대상 교육 및 영양상담영역에서 2개교가 4.13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넷째, 조사대상의 직무만족도는 3.41점으로 ‘학생‧교직원‧조리종사자들과의 인간관계(3.69점)’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근무환경(3.61점)’, ‘상사의 감독(3.61점)’, ‘직무자체(3.40점)’, ‘급여 및 복지(3.03점)’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승진 및 교육의 기회(2.09점)’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 되었다. 다섯째, 조사대상의 교사효능감은 3.31점으로 ‘대인관계(3.46점)’에 대한 효능감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자기계발 및 자기관리능력(3.50점)’, ‘교과지도(3.18점)’의 순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업무중요도 및 업무수행도와 직무만족도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직무만족도의 직무자체 요인과 업무 수행도의 교육계획 수립 및 자료제작 ·배부 요인, 근무환경 요인과 업무중요도의 급식관리 요인, 학생‧ 교직원‧ 조리종사자들과의 인간관계 요인은 업무중요도의 학부모 대상교육 및 영양상담 요인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요인들, 상사의감독 요인은 업무중요도의 교육계획 수립 및 제작·배부, 학생대상 교육 및 영양상담 요인들과 정(+)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도와 교사효능감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직무만족도의 직무자체, 학생‧ 교직원‧ 조리종사자들과의 인간관계 요인은 교사효능감의 모든 요인과 정(+)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살펴볼 때, 제주도내 영양교사는 과중한 급식 및 행정 업무로 인해 영양교육 및 영양상담 실시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영양교육 및 영양상담이 효율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불필요한 행정업무 경감을 위한 방안과 최소한의 의무적 영양 교육 시수배정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사료되며, 또한 영양교사들은 스스로 영양교육 및 영양 상담에 관한 실천 의지를 갖고 끊임없는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aimed to contribute to find a solution to make nutrition teacher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Jeju conduct better nutrition education and nutrition counseling, by investigating the actual situation of nutrition education, the importance of work and work performance for nutrition teachers in Jeju, as well as the importance of work, work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teacher efficacy according to general conditions and work conditions, and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importance of work,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and teacher efficac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22, 2021 to May 17, 2021 for nutrition teachers working in Jeju Island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nd special schools, and A total of 96 copies of the questionnaire (recovery rate 70%) collected by surveying all 130 teachers out of 136 nutrition teachers (capacity standard) excluding teachers on leave (6 teachers), were used as analytical materials. The surveyed material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SPSS Win Program (ver. 21.0) to determine the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for each survey unit, and the verification of the mean difference was performed through t-test, ANOVA, which was used to explain the significance between populations. We also conducted 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in the post-verification of ANOVA. The results of the detailed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nutrition teachers, the age was the highest at 57.3% in their 50s, the married rate appeared higher at 69.8% than unmarried, and the final educational background was graduated from graduate school (including while attending school) at 44.8 of the highest rate. The most common work career was 26 years or more at 39.6%, and the annual salary was 50 million won or more at 60.4%. Currently, elementary schools accounted for 57.3%, meal service types were urban 58.3%, and the number of their schools in charge was one at 84.4%. With regard to management of meal service, most of them were operated by single cooking at 87.5%. Second,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actual situation of nutrition education by dividing it into direct nutrition education and indirect nutrition education, nutrition counseling was the most common at 34.8% in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direct nutrition education. 59%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 reason it is hard for them to conduct nutrition education was due to overwork. The most regrettable point that they feel nutrition education classes cannot be implemented is that nutrition education is implemented only by indirect education and the quality of education is not improved, they answered at 63.3%. As the most necessary task for teachers to activate nutrition and dietary education, nutrition teachers answered securing a system for work reduction and nutrition class hours the highest at 45.1%.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ortance of work and work performance, meal service management was highest at 4.71 points out of 5 in the importance of work, and was showed at 4.38 points with the highest point in work performance as well. In work performance by work of nutrition teachers according to work situation, the type of meal service and meal service management belonged to urban type with 4.53 highest points out of 5. In the importance of work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work, the number of schools in charge and education for parents and nutrition counseling were two schools with a high score of 4.13 points out of 5. Fourth, the nutrition teacher's job satisfaction was 3.41 points out of 5, with the highest satisfaction of ‘human relations with students, teachers and cooks (3.69)’, ‘working environment (3.61)’, ‘supervision by their boss (3.61)’, ‘job itself (3.40)’, and ‘Salary and welfare (3.03)’, and ‘promotion and educational opportunities (2.09)’ were the least satisfied. An analysis of job satisfaction by general matte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marriage status, final education, work history, and one-year salary. Fifth, teacher efficacy of nutrition teacher scored 3.31 points out of 5, with the highes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3.46)’, and ‘self-development and self-management ability (3.50)’ and ‘subject guidance (3.18)’ in order. Six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 between the importance of work and work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job itself factors in job satisfaction and education planning, material production and distribution factors in work performance, work environment factors and meal service management factors in the importance of work, the factors of human relations with students, teachers, and cooks and all remaining factors except for parental education and nutrition counseling factors in work importance, and boss supervision factors turned out to have a positive (+) correlation with education planning, production, and distribution in the importance of work, and education for students and nutrition counseling.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teacher efficacy, job satisfaction itself and the factors of human relations with students, teachers, and cooks showed positive (+) correlation with all the factors of teacher efficacy. Based on the above study results, nutrition teachers in Jeju island had difficulty in conducting nutrition education and nutrition counseling due to excessive work such as meal service and administrative work. In order to ensure efficient nutrition education and nutrition consultation, it is essential that measures to reduce unnecessary administrative work and efforts such as allocating minimum required nutrition classes for students are needed. In addition, nutrition teachers themselves should make constant efforts with a resolution to provide nutrition education and nutrition counseling.

      • 선사유적 박물관 전시 및 교육 프로그램 분석 : 제주 삼양동 유적을 중심으로

        임보아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에서는 학교현장의 선사시대 교육이 지니고 있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 선사유적 박물관 전시 및 교육 프로그램의 교육적 가치에 주목하였다. 특히, 제주지역 내 선사시대를 특화시켜 전시하고 있는 삼양동 선사유적 박물관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이런 필요성에 근거해, 본 연구에서는 제주 삼양동 선사유적 박물관 전시 및 교육 프로그램의 교육적 개선을 위한 비판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삼양동 선사유적 박물관 전시 및 교육 프로그램을 분석하기에 앞서 고고학 연구의 세 가지 접근인 문화사 고고학, 과정주의 고고학, 탈 과정주의 고고학과 하인의 구성주의 박물관 교육론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고고학적 전시구조와 교육프로그램을 ‘기술-직접적 설명 접근법’, ‘설명-발견 접근법’, 해석-구성주의 접근법‘으로 유형화하고, 그에 따른 분석 관점과 분석 요소를 개발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제주 삼양동 선사 유적 박물관 전시 및 교육 프로그램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삼양동 선사 유적 전시 및 교육 프로그램의 기획은 전체적으로 ‘기술- 직접적 설명’ 접근법을 취하고 있었다. 관람자인 학생들이 고고학적 자료를 바탕으로 과거 사람들의 이야기를 발견하고 의미를 구성하기보다는 과거의 생활양식에 관한 정보를 세세하게 전달하는 방식으로 기획되어 있었다. 둘째, 삼양동 선사유적 전시 및 교육 프로그램은 순차적으로 제시된 경로를 통해 체험을 유도하였다. 시작과 끝이 분명하고 의도적인 동선을 제공하는 삼양동 선사유적 박물관은 ‘기술-직접적 설명 접근법’에 속하는 유형으로, 고고학적 지식을 관람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데 좋은 방식이었다. 하지만, 이 접근법이 관람자로 하여금 고고학적 지식을 발견하게 하고(설명-발견 접근법), 자신만의 의미를 구성하도록 (해석-구성주의 접근법) 격려하지는 못하였다. 셋째, 삼양동 선사유적 박물관의 전시와 교육 프로그램은 관람자의 의미 구성 방식과 관련해 문화사적 기술의 습득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설명 패널과 유물 라벨에는 유물의 시기, 명칭, 용도, 재질, 형식, 이주 및 전파에 관련된 정보들만 제공되고 있었다. 또한 현장체험학습교재는 이러한 고고학적 기술 내용을 확인하는데 그치고 있었다. 한편, 전시와 교육 프로그램은 관람자의 사전 경험과 인지 발달을 고려하거나 직접 조작, 탐색, 실험 등의 다양한 활동을 통해 자신만의 지식을 구성하게 하는 측면에서도 미흡한 점을 드러냈다. 삼양동 선사유적 박물관 전시 및 교육프로그램은 전체적으로 기술-직접적 설명 접근법 유형에 치우쳐, 설명-발견적 접근, 해석-구성주의적 접근을 고려한 전시 및 교육프로그램으로의 개선이 필요하다. 선사유적 박물관은 선사인의 삶을 추론하고 해석하는 고고학자들의 탐구 과정을 체험해 볼 수 있는 교육공간으로, 학생들은 선사유적 박물관 전시 및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고고학적 맥락에서의 역사적 사고력을 기를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삼양동 선사유적 전시 및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비판적 분석은 향후 삼양동 유적지의 교육적 개선 작업의 일환으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가 학교 역사교육에서 제주 삼양동 선사유적 박물관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작은 디딤돌이 되기를 바란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educational value of prehistoric museum exhibition and educational programs as a part of an effort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prehistory education in schools. Especially, the need for educational involvement was recognized of Samyang-dong Prehistoric Museum, where its exhibitions include prehistoric remains of Jeju. Based on this fact, this study attempted a critical analysis on the exhibition and educational programs of Samyang-dong Prehistoric Museum for their improvement. Prior to analysis, the three approaches to archaeological studies were explored, namely culture historical archaeology, processual archaeology, and post-processual archaeology as well as the constructive museum education put forth by George E. Hein. Based on the findings, the archaeological exhibition structure and educational programs were categorized into ‘description-direct explanation approach’,‘explanation-discovery approach’, and ‘interpretation-constructivism approach’ and their analytic perspectives and factors were develop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exhibition and educational programs of Samyang-dong Prehistoric Museum are as follows: First, the exhibition and educational programs, in general, took up the ‘description-direct explanation approach’, meaning that rather than allowing the spectators to find stories and constructing meanings from the archaeological records, the museum directly delivered detailed information regarding the lives of the past. Second, the exhibition and educational programs encouraged the spectators to take in the experience in the sequence that they intended. With a clear beginning and ending and a deliberate route, the ‘description-direct explanation approach’ opted by the museum may be an effective means to deliver archaeological knowledge to the spectators, but it was constrained in terms of allowing the spectators discovering archaeological information on their own and constructing meanings. Third, with respect to construction of meanings by the spectators, the exhibition and educational programs focused on learning of ‘cultural historical description’. The explanatory panels and labels only provided information regarding the time, form, migration and dissemination, materials, purpose of use, and function. What’s more, the sole purpose of the museum handouts was to confirm these archaeological descriptions only. The exhibition and educational programs also displayed their deficit in facilitating the spectators to construct their own knowledge through various activities, including direct operation, exploration or experimentation, nor took into consideration the past experience and cognitive development of the spectators. The exhibition and educational programs of Samyang-dong Prehistoric Museum is exceedingly predisposed toward ‘description-direct explanation approach’ and must be modified to incorporate ‘explanation-discovery approach’ and ‘interpretation-constructivism approach’. Because a prehistoric museum should be an educational space for the spectators to experience the exploratory courses of archaeologists in inferring and interpreting the lives of people in prehistoric times and the students should be provided with opportunity to develop their historical thinking skills in an archaeological context. The results of this critical analysis on the exhibition and educational programs of Samyang-dong Prehistoric Museum should be utilized in the course of museum’s attempt at educational improvement. In the same context, I hope this study serves as a steppingstone for schools to exploit Samyang-dong Prehistoric Museum as a part of their history courses.

      • 수학교사의 수리논술 교육에 대한 인식 분석 :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소속 수학교사를 중심으로

        김동국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79

        In recent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s, students are selected mainly through the school record book. However, some major universities are still drawing a lot of people into essay writ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of mathematics teacher's education about mathematics essay education and to learn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mathematics essay education. For this purpose, we surveyed the following three subjects to see how the mathematics teachers at the Jeju Special Self - Governing Province School of Education perceive mathematics essay education. First, we analyzed the present state of mathematics essay education and the general view about mathematics essay education at the Jeju Special Self - Governing Province School of Education. Second, we analyzed the perception of the use of mathematical textbooks (mathematical essay components) of mathematics teachers belonging to Jeju Special Self - governing Province. Third, we analyzed the perceptions of mathematics teachers belonging to Jeju Special Self - governing Province about the correlation between mathematics essay test and math textbook (mathematical essay componen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rom this study. First, most mathematics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questionnaire conducted mathematical essay education during the after - school hours and vacation. Although there are many teachers who want the training related to mathematical essay, the number of teachers who have completed the relevant training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other teachers. Most mathematics teachers said that mathematical essay education is necessary and that the reason for the improvement of integrated thinking ability as well as mathematical knowledge and the content of mathematics subject in university essay exams are important. For the effects of mathematical essay education, improvement of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bility, improvement of application ability of mathematical knowledge, improvement of critical thinking ability, development of logical thinking ability, improvement of ability to express mathematical thinking, and improvement of creative thinking ability were cited. An important element of mathematical essay education is ability to understand and analyze repair essay items, mathematical background knowledge required for mathematical writing, and communication skills through discussion with fellow students. As for the method of operation of mathematical essay education, it is appropriate for students to run autonomous essay clubs or conduct after-school classes themselves. The reason why mathematics essay education is difficult is the lack of proper textbooks, the shortage of teachers' research time, and the lack of expertise in essay writing. As for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mathematical essay education, it is said that it is necessary to relieve the school work and support research, and it is surveyed that the training of mathematical essay teacher is urgent. Second, 44% of the respondents answered positively about mathematical essay education in mathematics class, but 29% of respondents were negative. This is because the burden of preparing mathematics essay class in mathematics teachers was felt. It was found that the most preferred method of class teaching mathematical essays was discussion class. For the textbooks suitable for the mathematics essay class, it was found that the university entrance mathematics essay which was previously presented is most appropriate Third, in the question about how the mathematical essay component of mathematics textbooks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mathematical writing ability, 52% of the respondents answered positively, while 37% of the respondents showed a somewhat reserved answer. Also, it was found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university mathematics essay problem and mathematical textbook 's correlation with mathematical essay component was not significant. This suggests that mathematics teachers have doubts as to whether mathematics textbooks can actually help improve mathematical essay skills. Fourth, most teachers perceive the need for extra classes such as special activities or after school classes for effective school mathematics essay education. 최근 대학입학 수시 전형에서 학생부종합전형이 대세라는 말이 나올 만큼 많은 대학들이 학교생활기록부를 중심으로 학생들을 선발하고 있다. 하지만 일부 주요 대학에서는 아직도 많은 인원을 논술 전형으로 뽑고 있는 현실이다. 이에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소속 수학교사들의 수리논술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공교육에서 수리논술교육의 발전 방향에 대해 시사점을 얻고자 함에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소속 수학교사들의 수리논술 교육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첫째,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소속 수학교사들의 수리논술 교육의 현황 및 수리논술 교육에 관한 일반적인 견해를 분석하였다. 둘째,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소속 수학교사들의 수학교과서(수리논술적 구성요소)의 활용도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셋째,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소속 수학교사들의 대학수리논술 기출문제와 수학교과서(수리 논술적 구성요소)와의 상관성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제주특별자치도 교육청 소속 고등학교 수학교사들은 학교에서 수리논술 수업이 필요하며 특별활동시간을 이용하여 수리논술 수업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하지만 수리논술교육관련 교재의 부족, 수리논술 관련 전문성 부족, 학교 업무 부담으로 인한 연구 시간 부족 등의 이유로 수리논술 지도 방향을 잡는데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연구결과 통해 현장에 있는 수학교사들이 수리논술 교육을 수정 보완하여 좀 더 나은 수리논술 교육을 할 수 있길 바란다.

      • 인터넷 교육방송 수업의 제작과 활용

        송미혜 濟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는 제주교육인터넷방송국의 중학교 3학년 수학과 학교현장수업 제작에 참여한 학생들이 인터넷 교육방송 수업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인터넷교육방송 수업을 활용하였을 때 수학적인 성향과 학습태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제주교육인터넷방송 중학교 3학년 수학과 학교현장수업 제작에 참여한 학생들이 인터넷교육방송 수업에 대한 인식이 변화할 것인가? 2. 제주교육인터넷방송 수업을 활용하였을 때 학생들의 수학적 성향과 학습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할 것인가? 위의 연구 문제의 분석을 위하여 제주교육인터넷방송의 중학교 3학년 수학과 학교현장수업 제작에 참여한 애월중학교 3학년 학생 75명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이 연구하였다. 1. <연구문제 1>의 분석을 위한 내용 1) 중학교 3학년 수학교과서를 분석하고 주요내용을 추출한 후 수준별 교수-학습 과정안과 수준별 학습자료를 제작, 활용하였다. 2) 본 연구자는 제주교육인터넷방송 중학교 3학년 수학과 학교현장 수업 제작에 강사로 참여하였고 애월중학교 3학년 75명의 학생이 촬영에 임하였다. 2. <연구문제 2>의 분석을 위한 내용 1) 교육과정 분석, 교재연구, 컨텐츠 분석, 사전시청, 활용방법을 결정하여 수업 자료를 교재화하여 수준별 수업에 활용하였다. 2) 인터넷 교육방송 수업 중 보충과정의 강좌를 재구성하여 특별보충수업에 활용하였다. 3) 수준별 학습지를 재구성하여 수준별 보충수업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분석은 제주교육인터넷방송에 대한 인지도를 사전, 사후 검사하였고, 수학교과에 대한 성향과 수학과 학습태도를 사전, 사후 검사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온 검증 결과를 기초로 하여 인터넷 교육방송 수업에 대하여 긍정적인 인식의 변화를 가져왔고, 수학적 성향과 수학과 학습태도에도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that the 3rd grade students of the middle school, who taken part in producing the school spot class of Jeju Educational Webcasting Network, have the change of their recognition about internet broadcasting class, and have an affirmative effect on their learning attitude and mathematical inclination, in applying internet broadcasting class. For this, the study is as follows: 1. Will the middle school 3rd grade students taken part in the school spot class product of Jeju Educational Webcasting Network change their recognition about internet broadcasting class? 2. Applying Jeju Educational Webcasting Network class, can an mathematical inclination and learning attitude of the students be changed as an affirmative one? In order to analyze the above study problem, I investigated 3rd grade students of the Ae-wol middle school taken part in producing the school spot class of Jeju Educational Webcasting Network. 1. The contents for analysis of "study problem 1" 1) After the analysis and abstract of 3rd grade textbook of the middle school, I produced and used differentiated teaching-learning materials for the curriculum differentiation. 2) I took part in producing the mathematics subject spot class of Jeju Educational Webcasting Network as a mathematics instructor, and 3rd grade 75 students of Ae-weol middle school were involved in that class. 2. The contents for analysis of "study problem 2" 1) After the decision of curriculum analysis, teaching material study, contents analysis, watching in advance, and using method, I used differentiated class materials for teaching. 2) I used a special supplementary lessons after the reconstruction of the special course during the Internet broadcasting class. 3) I used a differentiated supplementary lessons after the reconstruction of the differentiated study book. The results analysis of this study is investigated the sense of recognition about Jeju Educational Webcasting Network in advance and afterward, and compared and analyzed an inclination about a mathematical subject and learning attitude in advance and afterward.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verification from this study, I concluded that it was brought to an affirmative change of the recognition about the Internet broadcasting class as well as an mathematical inclination and learning attitude of mathematics subject.

      • 日帝下 濟州島 初等敎育機關의 形成에 關한 硏究

        문창규 濟州大學校 敎育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는 일제하 제주도내 초등교육기관의 형성에 관한 연구로서 당시의 島內 초등학교의 설립과정과 초등육법제의 개정에 따른 초등교육기관 및 교육내용의 변화·발전과정을 제도적 측면에서 분석·고찰한 것으로서, (1) 일제하 제주도 改良書堂에 대한 조사를 통해 제주도 근대초등교육의 근원을 확인하고, (2) 일제하 사립초등학교와 공립초등학교의 설립과 (3) 朝鮮敎育令을 중심으로한 일제의 각종 법규와 이에 따른 교육내용을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첫째 일본제국주의가 전개한 식민지주의교육과 濟州島의 사정에 대해 개괄적인 면을 살폈고, 둘째 근대초등교육기관을 개량서당, 사립학교, 공립학교 등 유형별로 그 설립 과정을 탐색했으며, 셋째로 일제의 한국침략 기간을 6 단계의 시기로 구분하고 당시 제정·공포된 초등교육에 관한 법제와 그 미친 영향을 고찰한 후, 마지막으로 초등교육기관들이 가지는 교육사적 의의를 찾아 보았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주도의 근대교육의 여명은 개화파 인사들이 이곳으로 유배와서 벌었던 교학활동에서부터 찾을 수 있는데 전통적인 漢學 중심의 교학과는 다른 내용의 전개 구조를 갖게 되었으며, 이로써 제주도에서도 근대교육사상이 본격적으로 소개되고 동시에 근대학교들이 개교를 보게 되었다. 일제하 제주도의 초등교육기관들은 대부분이 서당에서 비롯하여 사립학교, 공립학교 또는 간이학교로 전환되었는데 당시 존재했던 재량서당들이 과도기적 역할을 담당했다. 이에서 보면 本島의 근대초등교육기관의 탄생은 정부 주도의 공교육제도에 의했다기 보다는 개화파 인사들의 노력에 의해 설립된 사립학교에서 비롯되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신교육 운동이 활발히 전개되는 가운데 세워진 이 사립학교들은 민족의식을 고취시키고 문맹퇴치를 중심으로 국민보통교육을 실시하는데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 그러나 일제의 동화주의 정책으로 인해 지속적인 교학활동이 이루어지지 못했다. 또한 일부 사립학교들은 마을공동부담에 의해 설립되어 民立學校의 성격을 띠고 있었는데도 폐교를 맞든지 일제의 교육에 동조할 수 밖에 없는 공립학교로의 전환을 맞게 되었다. 당시 초등교육의 내용면에 있어서는 修身과 국어(일본어), 그리고 산술이 주요 교과로서 대부분의 시간을 차지하여 지도되었는데, 일부 개량서당에 있어서는 폐쇄될 때까지 일본어를 가르치지 않아 민족 자존심을 굽히지 않기도 했다. 일본의 식민지주의 교육정책은 일본인 자녀들이 다니던 학교와 한국인 자녀들이 다니는 학교를 제도적인 면에서부터 차별을 두었는데 심상소학교의 4년과정이나 간이학교 2년 과정의 완성교육은 이를 잘 나타내는 사실이다. 일제하 근대초등교육기관들이 일제의 지배와 간섭 속에서 태동되고 발전해 왔지만 구한말 설립된 제주보통학교는 국민교육을 위한 근대공교육제도로서 제주도 초등학교의 효시가 되었다는 사실에 큰 의의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on the formation of elementary education organizations. Also, this analyzes how erected elementary schools, how changed or developed educational contents and elementary educational organizations according to the revisions of elementary education laws at that time. So, this study is (1) to find the root of modern elementary education of Cheju through a broad research about village schools on Cheju island under governing of Japan (2) the establishment of private schools and public schools (3) to investigate several laws of Japan, especially Chosun educational laws(朝鮮敎育令), and educational contents. The process is as follows: First of all, I introduced the colonial education of Japan and situations of Cheju in those days. Second, I found how established the modern elementary schools, like village schools(改良書堂), private schools, public schools. Third, I divided the period of Japan's invasion of Korea into 6 steps. Then, I analyze elementary educational law s and their effect Finally, I examined the educational meanings which elementary education organizations have. The summary of the result is as follows: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such great enlightened exiles showed the dawn of modern education in Cheju. That was different from traditional education taught Chinese letters and books, and then, the modern educational thought was introduced. Modern schools were established at that point, also. Derived from traditional village schools, most of the elementary education organizations were transformed into private schools, public schools or simplified schools(簡易學校). In the middle, there were village schools between traditional village schools and later organizations. That is, modern elementary schools came from private schools established by enlightened people, not public educational system by government-centered. These private schools were erected when new educational movement was developed actively. They tried to heightened national consciousness and teach most of people, especially the unlettered. But they failed to teach continuously because of Japan's assimilation policy. Although some private schools were established by pools of people seemed to national school, they were closed or must change to be public schools which had to follow the education of Japan. Only ethics, Japanese and arithmetic were usually taught in elementary schools, but there were some village schools that didn't allow to teaching Japanese until were closed because of national pride. In the colonial education policy of Japan, there was discrimination against Korean children's schools in respect of laws. It appeared at Shimsang 4 years courses or simplified schools 2 years complete education courses. Even though modern elementary education system have developed under the domination and control of Japan, Cheju common schools at the end of Chosen dynasty are the first elementary schools as modem public education system for people. That makes a big difference on the history of Korean education.

      • 소규모 학교 통·폐합정책에 대한 공간의 차별적 대응양상 : 제주도 북제주군 납읍초등학교를 사례로

        오영매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논문은 소규모 학교 통.폐합정책에 대한 공간의 차별적 대응양상에 관한 사례연구이다. 제주도 북제주군 애월읍 납읍초등학교를 사례로 정부의 일방적인 주도로 이루어지고 있는 소규모 학교 통·폐합정책에 대하여 지역 공간에서 차별적으로 나타난 지역 주민의 대응양상을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문헌연구와 현지답사를 병행하였으며, 1991년 분교장 격하 예정이었던 납읍초등학교와 그 지역사회 주민들을 통하여 10년동안 이루어진 학교살리기 운동 과정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규모 학교 통.폐합의 사회.경제적 배경은 농어촌 인구감소와 그로 인한 농어촌학교의 소규모화에서 비롯된다. 교육부는 1982년부터 교육과정의 정상적 운영과 교육재정의 효율적 사용을 목적으로 소규모 학교 통.폐합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교육부 운영지침을 토대로 제주도 교육청이 수립한 통.폐합 실행계획에 따라 제주도에서는 모두 47개교가 분교장으로 개편되거나 폐교되었다. 둘째, 전국적으로 실행된 소규모 학교 통.폐합정책에 대해 납읍리 주민들은 ‘학교살리기 운동’이라는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대응양상을 보여 주었다. 마을 주민들은 위기를 인식하고 먼저 운동주체인 대책위원회를 구성한 후 학교살리기운동에 주민 전체가 동참하도록 호소하였다. 이어 대책위원회와 납읍초등학교총동창회는 타지역에 거주하는 동문들의 자녀들을 대상으로 전입을 장려하여 학생 수를 확보함으로써 통.폐합을 막아보려 하였으나 성과는 미약하였다. 이들은 다시 마을의 빈집을 수리하고 무상으로 임대해 주어 타지역의 취학 아동을 전입시키면서 학생 수가 일시적으로 늘어나 학교는 통·폐합을 면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마을 주민들은 보다 안정적이고 장기적인 대책이 필요함을 절감하고 6년여 동안 10억 원이 넘는 기금을 조성하여 전입자용 공동주택 3동을 건립, 무상 임대해 줌으로써 지역공동체운동을 성공으로 이끌게 된 것이다. 학교살리기운동은 단순히 납읍초등학교의 통·폐합을 막아냈다는 의미를 넘어서 주민들에게 마을의 긍지와 자존심을 지킬 수 있게 되었다는 자긍심과 함께 미약해져가던 지역공동체 의식을 다시 한번 강화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셋째, 납읍초등학교살리기 운동의 성공요인으로는 반촌의식에 기초한 사회 문화적 환경, 자생단체의 강한 조직력과 리더들의 적극적 역할, 주민들의 강한 의지와 민주적 의사 결정과정, 지원 가능한 인적 요소와 경제적 기반, 제주시와의 인접성, 행정기관과 언론기관의 우호적 지원 등을 들 수 있다. 이런 요인들은 납읍리만이 가지고 있는 ‘공간성’(spatiality)에서 연유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는 일률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소규모 학교 통.폐합정책에 대한 납읍리 주민들의 차별적 대응이라는 가시적인 양상으로 나타났다고 할 수 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아래와 같은 몇 가지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지역의 특수성을 반영하여 다양한 통·폐합 기준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학생 수만을 고려한 단일 기준안을 획일적으로 적용하기 보다는 대상 학교의 역사성과 지역사회 속에서 학교의 역할과 의미, 학교에 대한 주민들의 기대와 애착 등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지역의 특성에 적절하고 유연한 기준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통·폐합 정책을 실행하는 과정에서도 지역 주민들의 참여권과 선택권이 보장되어야 한다. 교육부가 일방적, 하향적으로 통·폐합을 집행하려 할 것이 아니라, 최소한 공청회나 각종 토론회 등 지역 주민들의 의견을 최대한 수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주민들의 공감을 확산시키는 공론화 과정을 거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공론화 과정에서 지역 주민들은 단순한 방청객이나 설득 대상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자신들의 의견과 입장을 개진하는 중요한 주체로 인정되어야 하며, 최종적인 선택권 역시 지역 주민들에게 주어져야 한다. 셋째, 정부 부처간 유기적이고 합리적인 정책수립이 요구된다. ’90년대 이후 농림부는 ‘돌아오는 농어촌 만들기’ 사업에 42조원이라는 막대한 국가 예산을 투입하여 농촌인구부양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반면, 교육부는 농어촌 소규모 학교 통·폐합정책을 강행하여 농촌인구유출을 가속화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정부 부처간 상호 모순된 지역정책은 엄청난 국가 예산을 낭비할 뿐만 아니라 정책의 신뢰도를 추락시키는 중요한 요인이 되기도 한다. 끝으로, 장기적 안목으로 볼 때 농촌 지역의 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특별한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농어촌과 농어촌 학교를 위한 재정적 지원과 법적인 뒷받침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농어촌교육특별법’이나 ‘농어촌 소규모 학교 지원법’ 등을 제정하여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농어촌 학교교육의 활성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농어촌 마을 지키기와 학교 지키기의 이중고를 겪고 있는 농어촌 지역주민들에게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교육을 위한 새로운 대안이 제시되길 바라며, 농어촌 소규모 학교에 대한 우선적인 지원과 육성 방안을 마련하여 파행으로 치닫는 교육현실에 대한 새로운 지평을 열어가는데 본 연구가 작은 디딤돌이 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dentify problems arising from the policie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concerning the abolition and amalgamation of small schools while examining locally different responses to the abolition and amalgamation of small schools as a case study. It includes a critical review of educational policies and to suggest some future implications based on document study and field study, keeping track of a ten year campaign by local residents to preserve Nab-Eup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Aewol-eup, Bukjeju-gun, Jejudo. The school was supposed to be downgraded in 1991 to a branch school.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social and economic backgrounds of abolition and amalgamation of small schools derive from population decrease and reduction of schools in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Since 1982,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promoted the abolition and amalgamation of small schools for the purpose of adequate management of its curriculums and efficient operation of educational budget. There have been 47 elementary schools either abolished or downgraded to branch schools in accordance with the Jeju Education Office's policy of abolition and amalgamation under the Ministry of Education's administrative guides. 2. In their response to the policies on abolition and amalgamation of small schools, Nabeup-ri residents' campaign to preserve their local elementary school started with leadership organization and promoting and creating public opinions. They recognized the crisis and appealed to the whole residential community to join the campaign in order to preserve the school while forming an emergency commission. At first, the commission and the general alumni association encouraged the graduates to move back in with their children in vain. The next step they took was to repair vacant houses and offer free rent to attract children from other residential communities. With new occupants moving in, the number of students increased temporarily and the school could avoid abolition and amalgamation. Local residents, however, identified the need for more stable long-term plans and took initiatives. For over six years, after all, they made a sucess case of a local community campaign by raising 1 billion won and building town houses with free rent. They successfully attracted households with elementary schoolers and eventually preserved their school and kept their pride. 3. The success factors of the campaign can be attributed to the social-cultural environment based on local residents' traditional class identity as gentlemanship, strong organization power of voluntary groups, leaders' active roles, residents' strong will and democratic process of decision-making, human resources for support and economic base, adjacent location to the City of Jeju, and favorable support from the local administrations and mass media. These factors can be accounted for as special localities, and led to their different response to policies on small school abolition and amalgamation which are being applied uniformly across local areas. According to the above findings, this thesis suggests future implications for the policies on small school abolition and amalgamation as follows: (1) provision of a variety of abolition and amalgamation plans reflecting local specifics, (2) guarantee of local residents' participation and selection, (3) making consistent policies agreed by administrative authorities concerned and (4) consideration for balanced development of communities and principles of equity. Still, it is hard to deny the need for abolition and amalgamation of small schools. But it is necessary to have practical discussions and reviews to prevent procedural problems arising from hasty enforcement of administrative policies and to be equipped with appropriate diagnosis of and alternatives to reduce their adverse effects.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from the case study conducted for this dissertation. First, Nab-Eup Elementary School's preservation is largely indebted to special locality Nab-Eup residents possess, and thus their school district is maintained as a kind of administrative divisions accordingly. Second, what is in need for residents in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are not the policies of abolition and amalgamation of schools, but those of support and assistance for small schools. Third, from a long-term view, rural areas should be considered with a special system for education. That is to say, to guarantee financial and legal support for farming villages and their schools, required are legislation of ‘special education law for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and ‘supportive law for small schools in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Lastly, this thesis concludes that new alternatives are presented to provide stable education for residents in rural areas which tend to suffer the double burden of preservation of their own towns and their school. Hopefully, this study opens a new page for the reality of education in small schools in crippled operation which is in need of prior support and long-term aid pla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