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평양 장로회신학교 초기 역사(1901-1922) – 신학교 명칭(校名)의 변경과정을 중심으로

        변창욱(BYUN, Chang Uk)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21 장신논단 Vol.53 No.2

        본 논문은 평양 장로회신학교(이하 신학교)가 설립된 1901년부터 신학교 본관 건물을 헌당하는 1922년까지 신학교 명칭(校名)의 변천과정을 중점적으로 분석한다. 1907년 9월 장로회공의회는 그 이전까지 ‘신학반’(1890-1907)이라 불리던 명칭을 공식적으로 ‘조선 장로회신학교’로 부르기로 결의했다. 또한 1907-1909년 ‘大韓’(대한), ‘大韓國’(대한국) 용어가 신학교 명칭에 사용되다가, 1910년 한일병탄 이후 장로교회의 모든 공식문서에서 ’대한‘(大韓)이 ‘조선’(朝鮮)으로 변경되어 나타난다. 이처럼 4개 장로회선교부의 연합사역으로 시작된 신학교육의 초기 명칭은 ‘신학반’이었으나, 1907년 6월 ‘대한장로회신학교’(1907)로 잠시 불리다가, 1907년 9월 노회 창설과 함께 ‘조선장로회신학교’(1907-1912/1916)라는 공식 명칭으로 불렸으며, 그 후 ‘조선 예수교 장로회신학교’(1912/1916-1940) 등으로 변경되어갔다. ‘대한’에서 ‘조선’으로의 국호 변경은 1910년 한일병탄 이후 일제(日帝)에 의한 대한제국 국호(國號) 말살과 ‘조선’의 강요 등의 정치상황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살펴보았다. 평양 장로회신학교의 초기 역사는 우리에게 개(個) 교회 중심 혹은 교파교회 중심의 분파적 선교사역이 아니라 연합과 협력사역의 필연성과 당위성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는 신학교 발간 문서와 신학교 관련 자료, 즉 노회-총회 회의록, 장로교 선교공의회 회의록, 『신학교 요람』(영어판, 1916, 1923, 1928, 1931; 한글판 1916, 1931), 평양신학교 직인(職印), 『조선총독부 官報』(관보) 등 1차 자료를 중심으로 신학교 명칭 변경과정을 분석한다. 특히 대한제국(大韓帝國)의 국호 ‘대한국’과 ‘한국’이 한일병탄 이후 일제에 의해 ‘조선’으로 변경되는 과정을 추적하여 이러한 변화가 신학교의 공식 명칭 변경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를 살펴본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신학교 공식 명칭과 여러 약칭(略稱)의 역사적 형성과정을 밝힘으로써 신학교 명칭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돕는데 있다. This thesis explores the process of changing the names of the Pyongyang Seminary from 1901 to 1922, when the new main building of the Seminary was constructed. In September 1907, the annual meeting of the Council of Presbyterian Missions began to use the name ‘Chosun Presbyterian Theological Seminary’ instead of calling it the “Theological Class.” In June 1907, the name of the Seminary was the ‘Presbyterian Theological Seminary of the Great Korea’(大韓). But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presbytery in 1907, it was modified to the ‘Chosun Presbyterian Theological Seminary’ (1907-1916). With the annexation of Korea by imperialistic Japan in 1910, all official names of the Presbyterian Church that used ‘Korea’(大韓) or ‘Great Korea’(大韓國) were inevitably altered to ‘Chosun’(朝鮮) because the national name of the Korean Empire(大韓帝國) was forcibly changed to Chosun by colonial Japan. The early history of Pyongyang Presbyterian Seminary emphasizes the necessity of unity and inter-denominational (or ecumenical) cooperation rather than sectarian mission centered on individual or denominational churches. This study is based on documents published by the Seminary, primary sources related to the Seminary left by missionaries, minutes of the General Assembly of 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the Seminary Catalogue (English version, 1916, 1923, 1928, 1931; Korean version 1916, 1931), the Pyongyang Seminary’s official seal, and the Official Gazette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Chosun. The thesis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demonstrate how Korea’s official country name affected the Seminary’s name as wel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numerous changes of the Seminary’s name by analyzing the historical milieu of the Seminary.

      • KCI등재

        교회의 ‘공적 관계성’의 관점에서 장신신학 읽기‚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성명에 대한 신학적 윤리적 분석과 평가를 중심으로 ‚

        이창호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18 장신논단 Vol.50 No.1

        The essence of the Christian church as a public entity lies in its public nature. The public nature of the church has as its essential element its relationship with the secular realm, which involves a variety of public relations and interactions formed by public subjects and socio-political transformations created by such interactions. Therefore, it is considered as an ethical mandate for the church to form public relations with the secular realm and participate publicly in it. If the church’s public participation is an ethical mandate, what is it like and how can the church participate in the public sphere as an agent of public transformation? On what grounds should the public relationship of the church be justified? To respond properly to these questions and fulfill public responsibilities is one of the Christian church’s most important duties. In this paper, I attempt to explore the public relationship of the theology of Presbyterian University and Theological Seminary and offer constructive suggestions conducive to enriching the Christian church’s understanding of public relationships. First, I will examine the theological statements of PUTS issued in 1985, 2002, 2003 and 2015 in terms of public relationship and discuss theological justifications about the formation of public relations and the pursuit of public transformations. Second, I propose four ideal types of public participation, highlighting classic and contemporary theologians who represent each type and justify these types theologically. Also, I attempt to define the place of the theology of PUTS by analyzing and evaluating the theology’s understanding of public relationship in light of the four types. Lastly, I conclude with several ethical suggestions which are conducive to strengthening the identity of the theology of PUTS and enriching the public relationship of world Christianity. 공적 실체로서 기독교회의 본질은 공공성에 있다. 기독교회의 공공성은 공적 영역과의 관계성을 결정적인 요소로 내포하는데, 이 관계성은 필연적으로 그 관계에 참여하는 주체들 사이의 관계 형성과 상호작용을 동반하며 그러한 상호작용은 공적 변화를 일으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교회가 세상과 공적 관계를 형성 하고 또 공적으로 참여하는 것은 윤리적으로 당위적인 명령이라고 해야 할 것이 다. 본 논문의 목적은 이 과제 수행의 일환으로, 장로회신학대학교의 신학 곧 장신신학의 공적 관계성을 탐색하고 그러한 탐색을 통해 기독교의 공적 관계성 이해를 이론적으로 또 실천적으로 성숙시키는 데 이바지하는 것이다. 먼저 1985년, 2002년, 2003년, 2015년에 발표된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성명들을 ‘공적 관계 성’의 관점 곧 교회와 세상의 공적 관계 형성, 공적 참여와 변화(혹은 변혁) 추구 등의 관점에서 논하고, 공적 관계 형성과 변혁 추구에 대한 신학적 정당화에 대해 탐구할 것이다. 다음으로 기독교의 공적 관계성의 패러다임적 모형을 탐색하고그 신학적 근거를 논구하고자 하는데 크게 네 가지 모형을 제시할 것이다. 또한 장신신학의 ‘공적 관계성’을 이 모형들의 관점에서 분석·평가함으로써 장신신학의 위치를 탐색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장신신학의 정체성 강화와 세계 기독교의 공적 관계성 성숙에의 기여를 목적으로 하는 몇 가지 제안을 하고자 한다.

      • KCI등재

        비영리 학교법인 이사회에 대한 적응적 리더십 교육

        이원일(LEE Wonil)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16 장신논단 Vol.48 No.2

        세계화시대에 비영리 학교법인으로서의 신학대학교는 리더십의 위기 가운데 있다. 어떤 방향으로 어떻게 나가야 할 것인지에 대한 분별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신학교육의 경영 주체로서 총장이 당연직 이사로 포함되어 있는 이사회의 리더십에 대한 관심과 함양이 필요한 이유이다. 이사회의 리더십 유형은 기술적, 전략적, 적응적 유형 등이다. 세계화시대에 요구되는 리더십은 가치, 사명, 그리고 비전 등을 중요하게 여기는 적응적 리더십이다. 적응적 리더십의 주요한 특성은 발코니, 경계선상 그리고 거버넌스 등이다. 이러한 특성들에 의한 적응적 리더십을 함양하기 위해 이 논문에서는 실천신학적 접근을 제시하고 있다. 신학공동체 내외에서 무엇이 진행되고 일어나고 있는지에 대한 물음을 중요하게 여기는 서술적-경험적 과정이다. 다음으로 진행되는 일들에 대하여 그 진정성을 탐구하는 비판적 성찰의 과정으로 해석적 과정이다. 그리고 삶의 변화에 대하여 섭리하시는 하나님의 역사에 대한 질문의 과정으로서 규범적 과정이다. 끝으로 변화의 소용돌이 가운데서 지금 여기에서 무엇을 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분별과 실천을 강조하는 실용적 과정이다. 네 가지 요소들의 순환적 과정으로서 비영리 학교법인 이사회의 적응적 리더십 함양을 말하고 있다. 평생교육의 차원에서 비영리 학교법인 이사회로서의 신학대학교의 이사회도 그 사명과 책임을 위해 교육의 대상이어야 함을 말하고 있다. 비영리 학교법인 이사회로서의 신학대학교 이사회에 대한 적응적 리더십에 대한 교육으로 말미암아, 이사회는 세계화시대에 위기 가운데 있는 신학교육을 적응적인 리더십으로 변화를 촉진해나가며 한국 대학교육의 변화를 이끌어나가는 데 기여할 것이다. Theological College(University)(TCU) as a nonprofit educational foundation tries to change toward specialization for the problem solving of theological education in globalization era. Board of trustees in TCU has an accountability to the theological education toward the nurturing of ministers in the global world. How could the Board of trustees take the responsibility and duty for the nurturing of ministers in the changing world. Board of trustees needs to have an adaptive leadership which is related with value, meaning, mission, and vision. The adaptive leadership have characteristics of balcony, edge, and governance for changing of the TCU. By these characteristics board of trustees is to be educated with an adaptive leadership for responsibility of theological education. An adaptive leadership could be cultivated by expressive outcomes and null curriculum which have an artistic characteristics of narrative imagination. The formation processes of adaptive leadership are descriptive-empirical, interpretive, normative, and pragmatical cycles. Descriptive-empirical step is the step of observation in the context of TCU with many ways. Interpretive process is the step of a critical reflection to the observation. Normative process is the step of integration between context and theological text through a hermeneutical circle. And pragmatic process is the step of the strategic suggestion about value, meaning, mission, and vision by the governance of partnership with faculty, staff, and student. The most common design for TCU’s governance is the tripartite system which is board, president, and faculty. The board of trustees needs to have governance for the deep change of TCU as a nonprofit educational foundation.

      • KCI등재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의 〈통전적 신학〉적 정체성과 〈온신학〉의 과제

        김도훈(KIM Do-Hoon)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16 장신논단 Vol.48 No.1

        이 글은 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측의 〈통전적 신학〉적 정체성의 형성과정을 연구하고 통전적 신학의 후속 흐름이라고 할 수 있는 온신학이 추구해야 할 과제를 모색하는 글이다. 그러나 이글은 우선적으로 대한예수교장로회 신학의 통전적 발전과정을 찾아내는 데 주력하였다. 그 과정에서 언더우드, 남궁혁, 채필근, 한경직이라는 인물과 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측 교단의 교리를 연구자료로 삼았다. a. 이들은 한국교회에 비교적 많은 영향력을 미친 인물이고 그들의 생각이나 실천이 통전적 성격을 적절히 보여주었기 때문이며, b. 통합측 교리는 통합측의 정체성의 고백이며 거기서 복음적이며 개혁신학적인 동시에 연합과 일치의 정신을 찾을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이 논문의 결론에서 간단히 언급하고자 한 것은 온신학의 과제이다. 통전적 신학이라고 칭하든 온신학이라고 부르든, 온신학은 온전한 신학이 아니라 ‘온전함을 추구하는 신학’이다. 그러므로 지속적인 자기성찰로 더 온전함에 가까이 다가가는 신학이 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온신학의 방법론은 온신학의 나아갈 방향이며 과제이기도 하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그러므로 온신학은 ⅰ. 에큐메니칼 운동의 신학과 복음주의 운동의 신학의 통전을 지향하는가, ⅱ. 개신교신학, 가톨릭신학, 동방교회의 신학을 종합적, 통전적으로 검토하는가, ⅲ. 기독교신학뿐만 아니라 모든 종교와 문명의 내용을 신학적으로 검토하고 평가하고 있는가, ⅳ. 신학과 타학문과의 대화를 중요시하고 타학문에 대한 신학적 평가와 신학적 인도를 수행하고 있는가, 무엇보다도 ⅴ. 예수 그리스도의 계시의 궁극성과 성경의 표준성을 전제하고 있는가 하는 평가기준으로 자신의 신학을 엄밀히 판단해야 한다. 그리고 온신학은 내용적으로도 삼위일체 신학, 하나님의 주권과 은총의 신학, 온전한 복음, 하나님 나라를 위한 신학, 대화적 신학, 기도의 신학, 사랑의 윤리 등을 끊임없이 모색하고 있는가, 예수 그리스도와 성경에 근거하여 끊임없이 개혁해가는 개혁신학인가를 결코 잊지 않아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formation of Ohn-theological identity of 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Tonghap) and to describe future challenge of Ohn Theology. The range of this study has a limitation to Tonghap denomination due to the relatively long history of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and its diversity of denominations. This article mainly introduces the Confessions of Faith of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Tonghap) and looks into the foremost men, H. G. Underwood, Nam Kunghyuk, Chae Pilgeun, and Han Kyungchik who had greatly influenced Korean Churches. The Confessions of Fatihs of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Tonghap) are manifestation of its identity, and the examination of history of the doctrine of Tonghap reveals evangelical, reformed-theological spirits and unified spirits at the same time. This thesis is also to expose the tasks of Ohn Theology. It is not a complete theology but a theology that is on the way to the wholeness. Therefore, It has to pursue to be holistic by continuous study. It is also important to note that the methodology of Ohn theology is its direction as well as future challenge. It is required to examine itself constantly based on followings: ⅰ. Does it aim a harmony of ecumenical and evangelical movement? ⅱ. Does it synthetically consider theologies of Protestantism, Catholicism and Orthodox Church? ⅲ. Does it examine overall religions and cultures with theological point of view? ⅳ. Does it know the importance of dialogues with other studies and practice theological review and guidance to them? ⅴ. Is it based on finality of the revelation of Jesus Christ and normality of the Bi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