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인천시 예산결정과정에 관한 연구 : 인천대학교 특별회계를 중심으로

        정형섭 仁川大學校 行政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인천시예산결정과정을 인천대학교의 예산결정과정을 중심으로 연구한 것이다. 대학의 자율성 확대와 교육수요의 증대에 따른 재원배 분의 합리성 추구, 예산제도 및 운영의 현실화에 기여할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이 논문은 인천광역시 예산결정에 관한 첫 번째 심층적 사례 분석으로서 여타 특별회계뿐 아니라 인천광역시 일반회계 예산결정 과정에도 도움을 줄 것이다. 아울러 이 논문은 공공기관의 예산결정과정의 합리적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우선적으로 본 연구를 위해 인천대학교의 재정현황과 실태에 대한 문제점을 바탕으로 인천시로부터 지원되는 전입금의 결정과 특별회계제도에 대한 개선점을 도출하기 위해 분석 틀을 정립하였다. 이를 위해 인천대학교 예산의 일반현황과 조직 및 기구, 대학의 의사결정의 특징과 3개 년도에 걸친 예산결정과정을 기초로 분석하였다. 인천대학교의 예산결정과정은 우리나라의 다른 공공기관 예산결정과정과 같이 점증주의적 특성을 보인다 할 수 있다. 대학의 의사결정은 하향적인 의사결정의 형태로 우선 행정자치부의 지침이 인천시, 인천대학교를 통해 전달되는 과정과 예산요구에 대한 사정의 과정 속에 나타났다. 상향적 의사결정 형태로서의 예산결정과정은 단과대학 및 행정부서의 요구가 기획 예산과에서 조정되어 인천시에 전달되고 있음을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인천대학교의 재정규모는 특별회계의 비중이 67%, 기성회계의 비중이 33%로 특별회계 예산이 대학 재정의 2/3를 점하고 있다. 특이할 사항은 특별회계 예산 중 시로부터 지원되는 전입금이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대학교의 예산중 전입금의 결정은 곧바로 특별회계 예산의 편성 및 결정으로 이어지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전입금의 결정은 대학의 자율성과 총장의 재량권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제도적으로 인천대학교의 특별회계는 대학 예산운영의 자율성 확보와 재원확보 면에서 타 국·공립 대학과 같이 일반회계로의 운영으로의 검토가 필요한 시점에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인천대학교의 예산은 예측이 가능한 예산으로 편성되어야 한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대학의 경쟁력 신장을 위해 시의 관심과 대학의 자구노력이 필요한 점과 대학예산 구조의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며 대학내부의 의사결정 구조를 정비하여야 함도 아울러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사례연구로서 분석의 결과를 일반화시키는 데는 제약이 있으며 자료수집 과정에서 부분적으로 오류가 있음을 밝혀둔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인천대학교 예산결정과정에 관한 최초의 체계적 연구라는 데 큰 의의를 찾고자 한다.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budgetary process of the Incheon Metropolitan City with a case study on the special account of the University of Incheon, which is an affiliate of the city. With its expanding autonomy and an increasing demand for college education in the region, the university is required to rationalize its resource allocation process and to improve both the system and operation of its budget-making. In this context, the current study is an attempt to find a right direction to that end and to address policy implications. This is perhaps the first in-depth research on the city's budgetary process and is expected to shed light on the complicated process of budget formulation not only in special accounts but also in the general account of the city. Also, it will serve as a basic data source for those who are interested in rationalizing the budgetary process of public organizations. Th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a frame of analysis which mainly comprises: a) current financial status of the University of Incheon, the organizations involved in budget preparation, and the many weaknesses and problems therein; b)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the city's transfer to the university; and c) the need for and the method of changing the budget account type.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through literature review, data analysis, and interviews. Financial data were collected for the past three years, from 1999 to 2001, and a series of interviews were designed to provide qualitative information. The major characteristic of the university's budget is its incremental nature, which can be found in almost all public organizations in this country. Budgetary decision-making process has both downward and upward aspects. The downward features are found in delivering the guidelines of budget-preparation issued by the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and in the examination of the submitted budget by the city's budget officials. On the other hand, the demands of colleges and administrative agencies usually move in an upward fashion from lower echelons of the university all the way to the city council. Another significant characteristic of the university's budget is that the proportion of the special account has steadily grown in recent years, and the ratio of special account to the own-source account is approximately two to one as of 2001.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the proportion of the city's. transfer out of the total size of the University of Incheon Special Account has become substantially large. Indeed, over the years, the decision of transfer amount has constituted the core of the university's budget preparation. The way how the transfer is determined, in turn, has implied enormous effects on the degree of the university's autonomy as well as on the president's discretionary power. The most important policy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erefore, a shift from a special account into the general account as is now adopted by other public universities in the nation; the alteration of the account type is believed to strengthen the university's autonomy, the possibility of securing sufficient financial resources, and particularly, the predictability of the city's transfer amount. This study also addresses a few additional policy implications: a> the city's attention and care should be echoed by the university's revenue-raising efforts in order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the university; b) the structure of the university budget should be modified; and c> the process of the internal decision-making is to be improved in such a direction as to expand economic rationality.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such as, for being a case study, a possible lack of external validity or some methodological errors in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Despite these possible constraints, the study has generated a number of important findings which could be very useful to researchers as well as to practitioners.

      • 교육대학원 건설교육전공 교과과정에 관한 연구

        황윤호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55

        현대 사회는 고도의 산업 사회화와 지식화, 정보화와 다양화를 향하여 발전하는 사회이다. 우리 나라의 교육이 이에 대응한 고급 인력 양성과 새로운 첨단 과학 기술 분야에서의 경쟁 추세에서 낙후되지 않고 선도적 위치를 유지해 나가기 위해서는 학교에서 인력양성과 교육을 직접 담당하고 있는 교사의 질이 사회의 질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고등교육의 육성에 있어서 특수대학원의 일종으로서의 교육대학원은 실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하겠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교육대학원 건설교육전공을 설치한 6개 교육 대학원을 중심으로 설립의 기준이 되는 목적을 조사 비교하였으며, 교육 대학원의 기능과 역사적인 발달과정을 알아보고 교육대학원 건설교육의 교과과정에 있어서 바람직한 개선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이러한 조사를 토대로 각 교육대학원별 학사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설정 교과목을 분석하여 건설교육의 일반적 흐름과 과정의 특성, 그리고 교과목과 학점의 비교·분석 및 중등 공업계 전문교과과정과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교육대학원 건설교육전공 교과과정이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이 보다 미래지향적인가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대학원의 목적 및 성격규정에 대한 별도의 법적 조거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대학원 교육의 비효율성을 초래하므로 이에 대한 법적 근거 마련이 시급하다. 둘째, 교과과목 편제가 지나치게 세분화되어 전문성을 강조하기 보다는 복잡해 보였으며, 많은 교과목을 편제하고서도 학기당 학점을 초과해서 이수 할 수 없는 법규 때문에 획일적이고 폐쇄적인 운영상의 문제점이라 지적할 수 있다. 셋째, 교육대학원의 특징을 살릴 수 있는 교과교육학 과목의 개발을 위해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하겠다. 건설교사 내지는 건설교육전문가를 양성하는 전문기관으로서 교육현장의 문제점 발견 및 해결방안 제시, 새로운 지도방법 개발, 교사의 기능향상을 위한 방향으로 교과과정이 편성·운영되도록 개방적이고 지속적인 노력을 보여주어야 하겠다. 넷째, 중등공업계의 현장교육 위주의 실제문제 해결능력 함양을 목적으로 하는 교과목 개설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건설교육의 전공과목에 있어서 실험·실습분야도 함께 발전할 수 있도록 교육대학원이 보다 많은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편성·운영되도록 노력을 보여주어야 하겠다. 본 연구 결과 교육대학원의 특성에 맞는 건설교육을 통해 보다 효과적인 교육을 이룩할 수 있듯이 교육대학원별 특성을 최대한 고려한 건설교육 교과과정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Modern society is developing towards a highly advanced industrial and knowledge based society, as well as information society and diversification. In order to keep the competitive leading status of Korean education for high quality human powers and scientific technologies, the quality of teachers, who are responsible for cultivating human forces and educ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which determines the quality of a society. The special purpose of graduate schools does an important role in promoting these high-class educations. In this aspect, the basis of establishing graduate schools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focusing on 6 educational graduate schools, which have constructional education curriculums. The functions and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se educational graduate schools were surveyed, and methods for improving these curriculums were studied. Based on this investigation, the present status of each educational school and its curriculum were analyzed, and curriculum subjects were compar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general tendency and curriculum features of constructional education, and to suggest the future direction of constructional education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outlined below. Firstly, legal basis was necessary because there is an inefficiency and the purpose, and characters of educational graduate schools were not supported by legal basis. Secondly, the curriculum was too detailed to focus on any specialty. The legal regulation, which did not permit additional subjects exceeding a fixed number of credit hours for each semester induced a standardized and closed operation. Thirdly, it was necessary to do a variety of research to develop curriculum for pedagogies. As a special organization to cultivate educational experts in construction, there should be open and continuous efforts to make and operate curriculum to discover deficiencies and their solutions, to develop new tutoring methods, and to elevate the functionality of teachers. Fourthly, there was no subject to elevate the problem solving capacity focusing on field education in middle class industrial fields. Therefore, the educational graduate schools had better try to establish and operate to develop experiments and exercises as major subjects of constructional education. As more efficient education was possible via constructional education proper to the features of educational graduate schools, it was necessary to establish curriculums for constructional education, considering the features of each educational school.

      • 인천지역 교육시설의 건축환경과 실내공기질의 상관성 분석

        강승아 인천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Students spend an average of 4 to 14 hours a day in Educational Facilities. Therefore, their health is greatly affected by the Indoor Air Quality of Educational Facilities. The quality of air in Educational Facilities has been deteriorated in recent years due to diversification of construction materials, increased application of chemical substances, and the lack of ventilation systems incorporated in Educational Facilities. As a result, students who spend great deal of their time in newly constructed Educational Facilities suffer from "Sick School Syndrome", a phenomenon similar to the "Sick House Syndrome". This has a potential of becoming a serious health concern, especially among young students who have not fully developed strong immune systems. Currently, the rules and regulations on the Indoor Air Quality as enforc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s less strict than that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On top of this, there are only few studies conducted on the Air Quality of classrooms, not to mention the complete absence of study done on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Educational Facilities air quality and the building construction conditions. Based on the aforementioned background, this study presents some primary data based on the survey of classroom construction conditions and the measurements taken on the Air Quality of Educational Facilities. Relationships between the year of construction, the designs of Educational Facilities, and the density of pollutants are also analyzed and are included in this study. To summarize, there is a direct correlation between the year of classroom construction and the density of harmful chemicals present in Educational Facilities. 2008년 현재 전국의 교육시설(유치원, 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 대학교)은 19441개로, 신도시건설과 교육시설 개선사업으로 교육시설 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 한편, 최근 건물에서는 건축자재의 화학물질 사용증대, 고기밀화 및 환기부족 등의 원인으로 실내공기질 면에서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으며, 교육시설에 있어서도 학생들은 장시간(4h~14h/1day) 실내에서 생활하기 때문에 교실의 실내공기질은 학생들의 건강 및 쾌적성 면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신체적으로 미성숙하고 면역기능이 발달되지 않은 학생들은 실내공기오염으로 심각한 피해를 볼 수 있다. 한편, 교육시설은 면적당 재실자 수가 일반 사무실보다 4배 이상이고, 교실에서 다양한 교과목의 교육으로 인해 여러 종류의 오염물질이 존재할 수 있는데 교육과학기술부의 「학교보건법」은 환경부의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관리법」에 비해서 내용이 다소 미비한 상황이며, 교육시설의 실내공기환경에 관련된 연구 또한 부족한 실정이다. 교육시설의 실내공기질에 관한 기존의 연구로는, 학교 실내공기질 현장측정 및 성능평가, 친환경 자재, 환기시스템) 등에 관한 연구가 있으나 교육시설의 건축환경과 실내공기질의 상관성 분석에 관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든 상황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에서는 교육시설의 건축환경과 실내공기질의 상관성 분석을 목적으로 인천지역 교육시설을 대상으로 신개축년도와 실내마감재 및 가구 등의 건축조건에 대한 조사와 실내온열환경, 일산화탄소(CO), 이산화탄소(CO₂), 미세먼지(PM10), 포름알데히드(HCHO), 총휘발성유기화합물(TVOC), 각종 휘발성유기화합물질(VOCs)에 대한 측정 및 결과를 바탕으로 그들의 상관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 예비체육교사 전문성 함양을 위한 교육대학원 교육과정 개정 방안 탐색 : 현직 체육교사의 인식 및 경험을 바탕으로

        조영선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체육교사의 전문성 함양을 위한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교육과정 개정방안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실제 중등 체육교육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 그리고 현장 경험을 토대로 개선되어야 하는 부분은 무엇인지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A 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졸업생 6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로 연구 참여자들은 첫째, 교원자격증을 취득한 후 체육교사가 되기 위한 목적으로 체육교육전공을 입학했으며, 수업 계획 및 실천 능력을 가장 중요한 교사 전문성 요소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의 수업 측면에서 임용시험 준비에 도움이 되는 강의를 가장 인상 깊게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현장 적응 측면으로 실연 수업과 실기 수업의 필요성이 나타났다. 더불어 실제 현장을 간접 체험할 수 있는 실무교육의 필요성도 나타났다. 교육과정 외적인 부분으로는 효과적인 임용 준비를 위해 다양한 스터디 구성을 강조했으며 스터디가 유지될 수 있도록 재정적·환경적·도구적 지원을 강조했다. 연구결과에 대해 다음과 같이 논의한다. 첫째, 수업 전문성을 갖춘 교사양성을 위한 개정방안 모색의 필요가 있다. 둘째, 임용시험에 초점을 맞춘 수업 운영으로의 변화가 필요하다. 셋째, 수업 실연 및 실기지도 능력 함양을 위한 강의가 추가되는 형태의 교육과정 개정을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전체적인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졸업생들의 다양한 의견을 포괄할 수 있는 연구가 진행되어야할 것이며, 변화하는 교육대학원 학위제에 대한 인식과 그 변화에 따른 교육과정 개정 방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지식기반 확대를 위한 인천광역시 및 지역대학의 역할에 관한 연구

        서상호 仁川大學校 行政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639

        오늘날 세계경제는 지식을 기반으로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즉 지식의 축적이 개인이나 국가적 차원에서 부의 원천이 되고 있다는 말이다. 기존 노동 · 자본이 중심의 경쟁력과 양적 가치 중심으로 대표되는 아날로그 시대의 패러다임에서 급속한 변화와 지식 · 기술중심의 경쟁력 질적 가치 중심의 기술혁신으로 대표되는 디지털시대의 도래라는 환경변화와 과학기술 발달에 따른 공간구조의 변화는 지역이라는 개념을 희석시키고 세계가 하나의 공간이라는 개념이 필요한 의식의 변화를 요구하는 것이다. 특히 경제구조의 변화는 기업활동의 국경을 넘어 인프라 및 기술혁신 여건이 가장 잘 완비된 지역으로 이동하는 양상을 보이게 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인천지역의 지식기반 확대를 위해서 인천시와 지역대학이 어떠한 역할을 하여야 하는지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이라고 하겠다. 우선적으로 본 연구를 위해 인천지역의 지식기반산업화에 따른 문제점과 인천시와 지역대학이 지역 지식기반 산업 및 경제에 미치는 역할에 대해 지역산업의 특징, 자료분석, 통계분석, 문헌연구 등을 통하여 인천지역 지식기반산업의 경쟁력을 제고하고 지식기반경제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인천시와 지역대학들이 어떠한 역할을 해야되는지 분석하였다. 인천지역 산업의 특징은 수도권의 공업을 분담해 주는 생산도시 및 제조업중심의 산업지역으로 지식기반산업의 경쟁력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그 원인은 인천지역 지식기반 인프라의 미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인천지역의 경우 잘 발달된 산업기반 시설에 비해 4년제 대학, 국공립 시험연구기관이 매우 부족하며, 다른 지역보다 적은 졸업생을 배출하는 등 양적으로는 부족한 인력을 공급하고 있으며, 아울러 대학원생 등 석·박사급의 고급 연구인력 양성에 있어서는 매우 미흡한 점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인천지역 산업 및 지역대학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연구의 결론으로 인천지역 지식기반 확대를 위해서는 인천시 및 지역대학이 역할이 매우 높은 상관관계가 있으며, 지식기반시대에 인천지역은 전자정보기기, 메카트로닉스, 생물, 신소재, 환경, 물류산업을 인천산업정책의 새로운 기본방향으로 설정하고 이를 핵심전략산업으로 육성하고 있으며, 특히 경제자유구역 지정에 따른 송도 지식정보단지 조성에 필요한 지역대학의 IT·BT등 첨단산업 육성에 필요한 전문인력 인재양성과 지역산업 수요에 맞은 맞춤형 인력양성, 그리고 인천시의 지식기반사회로 전환하기 위한 첨단 전략산업 육성 계획의 실현과 연구개발 예산의 확대 지원이 가장 중요한 요소라 하겠다. 따라서 이러한 노력들이 인천의 전형적인 제조업 중심의 산업구조를 지식기반산업 구조로의 변환이 가능하며, 경제자유구역내 첨단정보 산업단지의 육성 및 발전을 가속화하여 인천진역 산업을 첨단지식산업 중심으로의 경쟁력을 키워줄 것이다. Contemporary global economy is charactedzed as a knowledge-based one. In other words, the accumulation of tnowledge becomes the most critical source of individual and national wealth. Rapid paradigm shift from the analogue age represented by emphasis on the competitiveness around labor and capital and the quantitative values to the digital age accentuating the competitiveness around knowledge and technology and the qualitative values. and the changes in spatial structures in accordance with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dilute or blur the term of regional boundary as well as require us to rethink the space in the broader, global sense. In particular, it is expected that changes in economic structure will lead and accelerate the movement of business activities beyond the national boundary in a traditional sense into those regions that establish infrastructure and provide advantageous business environment for technical innovation. Thus, the pu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ole of Incheon Metropolitan City government and local universities for the expansion of regional knowledge base. First of all, this study analyzes the problems in relation to the shift of regional industrial structure into knowledge-based one and the influences of city government and local universities on regional knowledge-based industries and economy, and proposes the roles of city government and local universities to enhance the competitive power of regional knowledge-based industries and to lead their incremental development. For this analytical purpose, this study carries out the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al industy, data analysis, statistical analysis and literature study. Incheon Metropolitan City area plays a role of industrial base for Seoul Metropolitan Area, a base that can be marked by both the preponderance of manufacture industries and the weak competitiveness of knowledge-based industries. These industrial characteristics of Incheon areas are primarily caused by the insufficiency of the regions infrastructure. In additiort Incheon area undergoes shortage of four-year universities and the national or local testing and research institutions, compared to the relatively well-established industrial infrastructures in that region. The shortage of advanced educational and research institutions results in the shortage of industrial manpower due to the quantitatively ingueicient supplr of university graduates and the feilure to foster the advanced research manpower such as doctoral or masters degree holders. To solve these problems of the irtdustries and local universities in Incheon region, this study proposes following measures on the basis of analis result that the expansion of regional knowledge base and the role of city government and local universities are positively correlated: (1) To keep pace with the pogression toward knowledge-based economy, city government is required to set its fundamental industrial policy direction forusing on industries such as IT equipment, meckatronics, biology, new materials, environment and logistics and to foster these industries strategically: (2) In pareicular, the establishment of Songdo knowledge and Information Industrial Complex according to the designation as Free Economic Zone is expected to create a vast demands on advanred manpower. Thus, local universities should to equipped with the sufficient capabilities to supply advanced manpower that the state-of-the-are industries induding IT and BT requires and should mate every effort to foster the customized manpower in accordance to the demands of regional industries; and (3) Incheon city government should formulate and implement the strategic plans for fostering the state-of-the-art industries required in shifting regional economy to knowledge-based one. In addition, the expansion of city budget for supporting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activities in the region should be not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the expansion of regional knowledge base. These efforts is expected to lead the changes in regional industrial structure from manufacture-centered to knowledge-based one and the acceleration of the fostering and development of state-of-the-art information industries within the free Economic Zone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Incheon region as a hub of state-of-the-art industries.

      • 노선과 품목을 고려한 해공복합운송 이용자 유지전략에 관한 연구 : : 인천항과 인천공항을 중심으로

        이혜원 인천대학교 동북아 물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23

        높은 경제성장률과 정보통신 인프라 및 노동력 등의 강점을 가지고 있는 한국과 WTO 가입이후 급속한 경제성장을 바탕으로 동북아 교역 및 해운, 물류시장에서 중추적 변화를 주도하고 있는 중국을 중심으로 세계경제에서 동북아의 중요성이 점차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총무역량은 세계 전체 교역량의 약 30%에 달하고 있으며, 그 교역량이 매년 꾸준히 증가하는 등 양국을 중심으로 동북아 비즈니스권이 형성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최근 몇 년간 인천국제공항을 중심으로 한 해공복합운송물동량 유치에 관심을 기울여왔다. 그러나 세계경제발전에 부정적인 요소들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인천지역 해공복합운송 수요부분에 직·간접적인 영향이 미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따라서 인천지역의 해공복합운송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다각적인 전략수립과 실행이 필요할 것이며, 해공복합운송 이용자들의 선호요소를 파악해서 고객을 유지하고 발전시키는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해 해공복합운송 개선방안에 관한 이론을 체계화하고 현재 인천항-인천공항을 현재 이용하고 있는 포워딩업체를 대상으로 해공복합운송 선호요인에 대한 실증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론적 연구결과를 토대로 명제를 설정하고 컨조인트분석을 통해 명제를 확인하였으며, 요인별로 구분한 해공복합운송 개선방안에 대해 IPA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노선뿐만 아니라 취급품목의 종류에 따라 운송수단을 선택하는데 각각 어떤 요소를 중요시하는지 파악함으로써 각 요소별로 주요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는 향후 해공복합운송 이용자들을 유지시키기 위한 전략마련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Presently, the importance of Northeast Asia is getting more highlighted in world economy centering around Korea having advantages of high economic growth, information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and manpower and China initiating critical changes in the markets of trade, marine transport, and logistics in Northeast Asia based on its rapid economic growth after joining WTO. In addition, business areas of Northeast Asia are being formed centering around these two countries as their total trade reaches about 30% of total global trade and the trade is being constantly increased year after year. Korea also has paid attention to inducing Sea&Air transportation for several years lately centering around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and Incheon Port. However, as negative factors have appeared in developing global economy, it is analyzed that it could affect the Sea&Air freight demand in the Incheon area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implement multilateral strategies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Sea&Air intermodal transportation in the Incheon area and also conduct researches to maintain and develop it through figuring out the preferences of Sea&Air intermodal transportation users. This study has systematized methologies for improving Sea&Air intermodal transportation through documentary research and also conducted positive research targeting forwarders presently using Incheon Port - Incheon Airport. This thesis establishes propositions based on the result of theoretical research, verifies them through conjoint analysis, and conducts IPA analysis on the methods for improving Sea&Air intermodal transportation characterized by factors. From the researches obtained in this study, we suggest major measures to improve each factor by figuring out which factor is valued when selecting means of transportation by items carried as well as routes.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help establish strategies to maintain Sea&Air intermodal transportation users afterwards.

      • 仁川都市再生事業의 活性化方案에 관한 硏究

        심상규 인천대학교 경영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23

        국 문 요 약 도시공간은 그 시대의 사회·문화적 활동을 반영하는 흔적으로 국가경쟁력 못지 않게 주요 도시지역간의 경쟁력은 중요해졌으며, 도시재생사업은 이러한 지역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 주목 받고 있다. 우리나라는 짧은 근대 도시계획의 역사에 비해 세계적으로 유래가 없는 급속한 도시화과정을 거치면서 신도시·신시가지 개발위주의 정책으로 양적 도시성장에 치중하여 왔다. 도시재생사업은 산업구조의 변화 및 신도시·신시가지 위주의 도시확장으로 상대적으로 낙후되고 있는 기존도시의 문제에 대한 정책적 대안으로 도시재생이 등장하게 되었으며, 새로운 기능을 도입·창출하여 경제적·사회적·문화적으로 부흥시키는 것으로 재개발·재건축 및 뉴타운사업보다 포괄적인 공간적 개념으로 이해되고 있다. 인천시의 도시재생사업은 자유경제구역의 추진과 함께 상대적으로 침체된 기성시가지의 불균형해소를 위한 지역균형발전사업의 일환으로 쇠퇴한 구도심과 기성시가지를 재활성화 하는 사업으로 2014년 아시안게임 전에 완료를 목표로, 광역적이고 복합적인 개발을 추진하는 국내의 최초이자 대표적인 사업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천시 도시재생사업의 추진현황을 분석하여 도시재생사업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주요 선도사업의 추진현황과 실태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첫째, 인천시는 도시재생사업이 추진되기 이전에는 주택재개발사업이 매우 부진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단기간에 대규모의 주택공급이 가능한 신도시․신시가지의 개발방식보다는 구도심․구시가지의 도시재생사업이 비용․편익분석에서 경제적․환경적 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녹지공간을 확보하고 가용토지를 비축하기 위해서도 도시재생사업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둘째, 국토해양부에서는 도시재생사업을 활성화하고 지원체계를 마련하기 위해 가칭「도시재생지원법」의 제정을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는 산재되어 있는 도시재생사업의 관련 법령을 통합하고, 국고․금융․세제 등의 지원을 포함한 일관된 법령으로「도시재생사업법」의 제정을 제안하였다. 셋째, 인천시의 도시재생사업은 대부분의 입체도시계획으로 추진되므로 사업 완료 후 지하의 건물과 건물을 연결하는 보행데크, 경인고속도로, LRT 터미널 등 관리 행정청이 서로 다른 시설물들이 입체로 설치되는바 이에 따른 유기적인 유지관리를 위해 통합관리주체에 대해 검토하여야 한다. 넷째, 우리나라는 입체도시계획에 대한 법률의 미비로 각 법률간 연계성이 미흡하여 서울의 강북․강남의 단절처럼 인천시는 경인철도나 경인고속도로 주변의 남․북간, 동․서간의 단절이 도시발전을 저해하고 있다. 따라서 입체도시계획에 관한 법률의 개정이 필요하다. 다섯째, 도시재생사업은 해당 지역을 재편하고 기존 거주자들의 재정착을 추구하고 주민들의 갈등과 불신을 해소하기 위해 사업초기단계에서부터 주민참여제도를 활성화 하고 주민들의 일자리 창출과 함께 도시의 잠재력을 육성할 수 있는 도시재생정책이 전개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진행에 있어 근대의 역사․문화적 가치가 높은 내항거점과 루원시티의 입체도시계획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였다. 특히, 선진국의 입체도시계획시설에 대한 유지관리에 대하여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 여성결혼이민자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가 긍정적 자녀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 - 인천광역시를 중심으로 -

        정몽순 인천대학교 행정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23

        【국문초록】 여성결혼이민자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가 긍정적 자녀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인천광역시를 중심으로- 인천대학교 행정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정 몽 순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에 거주하고 있는 한국 남성들과 결혼한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그들이 지각하고 있는 사회적 지지가 긍정적 자녀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여,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보다 효과적이며 기능적인 자녀양육에 있어서의 대안과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2009년 9월 1일부터 9월 20일까지 인천지역 다문화지원센터(남구, 강화군, 계양구)를 이용하는 결혼이민자중 3세부터 초등학교 재학중인 아동의 자녀를 둔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121부를 SPSS15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연구대상자들의 결혼이민자 연령은 30세이며, 국적으로는 중국과 베트남 출신들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체류기간은 평균 71개월이며 학력은 고졸이상으로 중등교육 이상의 교육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혼이민자의 특성을 바탕으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적 양육태도 중 애정적 양육태도와 자율적 양육태도 모두에서 베트남 출신 여성이민자가, 종교가 없을 때, 시어머니와 동거할 때, 자녀가 적을수록 자녀에 대한 긍정적 양육태도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성결혼이민자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수준에서 공식적 지지망 보다 비공식적으로 지각되는 사회적 지지의 수준이 높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비공식적 지지망중 정서적 지지가 가장 높았으며, 공식적 지지에서는 정보적 지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여성 결혼이민자중 베트남, 필리핀, 일본 출신의 여성결혼이민자가, 체류기간이 길수록, 자녀수가 적을수록, 시부모와 동거할수록, 결혼이민여성의 정보적 지지의 지각수준이 클수록 자녀에 대한 애정적 태도에 대한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율적 양육태도의 영향력은 애정적 태도와 마찬가지로 체류기간이 길수록, 자녀수가 적을수록, 또한 사회적 지지 중 물질적지지, 정보적지지, 평가적지지가 결혼이민여성이 자녀에 대한 자율적 태도에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성 결혼이민자들의 긍정적 자녀양육 태도를 위한 공식적․비공식적지지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다문화사회에서 서로를 이해하고 변화하는 모습을 가질수 있도록 결혼이민자는 물론 그들의 자녀, 시부모나 배우자, 우리의 일반 주민들까지 끊임없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공식적 지지역할을 할 수 있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가 시․군․구마다 설치되어야 하며, 지역의 노인인구를 활용하여 특히, 친정어머니 역할을 할 수 있는 노인과 연계된 프로그램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더불어 여성결혼이민자들이 빨리 국적을 취득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국적이 없더라도 직업교육이나 취업이 쉽도록 하여 경제적으로 자립할 수 있는 길을 마련하여야 한다. 【ABSTRACT】 Impact of Perceived Social Support on Positive Maternal Attitude among Female Marriage Immigrants: the case of Incheon Jeong Mong-sun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Incheo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perceived social support on positive maternal attitude among female marriage immigrants who got married to Korean men and dwelled in the region of Incheon in an attempt to seek a more effective and feasible social welfare alternative to their child rearing.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female marriage immigrants who were selected from among the users of multicultural support centers located in Nam-gu, Ganghwa-gun and Gyeyang-gu in Incheon. The selected immigrants had preschoolers aged three and up or school children.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answer sheets from 121 respondents were gathered, and a SPSS 15.0 program was employed to make a statistical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ata,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were at the average age of 30. By nationality, most of them were from China and Vietnam. As to the length of stay, they stayed in our country for a mean of 71 months. By academic credential, they graduated from high school or a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 which indicated that they received secondary or higher education. In conjunction with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regard to positive maternal attitude, both of affectionate and autonomous maternal attitude, which were classified into positive maternal attitude, were more prevalent among the female immigrants who were from Vietnam, who had no religion, who lived with their mothers-in-law together and who had fewer children. Second, as to perceived social support, they found themselves to be given more informal social support than formal one. Specifically, emotional support was most prevalent in terms of informal support. In the case of formal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was most dominant. Third, the female immigrants who were from Vietnam, the Philippines and Japan were more affected in terms of affective maternal attitude when their length of stay was longer, when they had fewer children, when they lived with their parents-in-law together, and when they found themselves to be provided with more informational support. Fourth, the autonomous maternal attitude of the female immigrants was more influenced when their length of stay was longer and when they had fewer children, and that was under the larger influence of material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and evaluative support, which were all part of social support. There are some suggestions on a supply of formal and informal support required for the development of positive maternal attitude among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Prolonged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o not only marriage immigrants but their children, parents-in-law, spouses and even local residents so that everybody could understand each other and keep changing in a positive manner.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that could function as formal support providers should be installed in every rural and urban region, and the kind of program that links female marriage immigrants and elderly women who could take care of them like their mothers should be prepared. Besides, they should be assisted to acquire Korean nationality as soon as possible, and they should be allowed at the same time to receive vocational education and get a job to stand on their own feet even though they have yet to acquire Korean nationality.

      • System Dynamics를 활용한 인천항 컨테이너 물동량 예측 연구

        김유나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시스템적 사고를 모델화하는 도구인 시스템 다이내믹스(System Dynamics) 분석방법론을 활용하여 인천항의 컨테이너 물동량을 예측하기 위한 모델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둔다. 2020년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팬데믹 이후 역사상 가장 많은 해운 노선과 일정이 축소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물류비용이 기하급수적으로 상승하며 글로벌 공급망 전반에 혼란을 가중시켰다. 최근 국내 항만별 물동량을 살펴보면 부산항, 광양항, 울산항, 인천항의 경우 2018년 대비 2019년에 각각 12.4%, 11.8%, 7.1%, 3.6% 감소하는 등 항만 대부분이 COVID-19의 영향을 받아 대폭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2020년 인천항 컨테이너 물동량의 경우 2019년 대비 5.8% 늘며 상승 추세를 나타냈으며, 2021년 인천항은 3,354천 TEU를 처리하며 역대 최대 연간 물동량을 기록했다. COVID-19 확산 초기에는 인천항도 국내 다른 항들과 마찬가지로 물동량 감소를 경험했으나 물동량 유치 인센티브 확대 및 규제 개선, 이탈 가능 항로 집중 관리를 통한 기존 항로 안정화 및 신규 항로 개설 등 방안을 마련해 추가 물동량 유치를 위해 노력하였다. 그 결과 2020년 6개의 신규항로를 개설하고 중부권 화주 유치에 성공하며 물동량 증대를 이루었다. 2021년에는 5개의 신규항로를 추가로 개설하여 66개의 항로를 보유하였으며, 2022년에는 5개의 이탈항로가 있었으나 신규항로가 8개 추가되며 총 69개의 항로를 서비스하였다. 인천항은 2023년 2월 기준 총 67개의 정기항로를 가진 국내 2위 컨테이너 항만이다. 불확실성 요소가 난무하며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전세계 해운 환경 속에서 무역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의 항만 경쟁력에 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최근 COVID-19 확산 여파와 글로벌 공급망 교란 등 불확실성이 가중된 상황에서도 세계 및 국내 항만과 대비된 양상을 나타내는 인천항의 컨테이너 물동량을 최대한 정확히 예측하고 국내 항만의 항만관리 및 정책 방향설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핵심적인 자료를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인천항 컨테이너 물동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추출하고, 추출한 변수에 대한 전문가 인터뷰를 진행하여 각 변수의 중요도를 산출하였다. 산출된 해당 변수들 간의 상호관련성에 기초하여 인과관계를 파악 후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활용한 모델링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변수는 상하이항(중국) 컨테이너 물동량, 한국 컨테이너 물동량, 기항 선복량 그리고 기항 선박 수이며 인천항 컨테이너 물동량을 목적변수로 하는 예측 모델링을 진행하였다. 과거 수행된 물동량 예측 분석의 경우 과거의 물동량 자료를 토대로 추세와 패턴을 고려하여 예측을 진행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물동량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분석에 활용하여 예측을 진행하고 예측에 대한 검증 및 정확성을 분석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모델은 인천항 물동량에 영향을 주는 변수를 선행연구 및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선정하고 해당 변수의 추세와 패턴, 변수의 반영 시기 그리고 불규칙 변동 등을 고려하여 각 변수값에 대한 예측을 진행한 후 예측된 값만을 시뮬레이션에 활용하여 물동량 예측을 진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앞으로의 인천항 컨테이너 물동량 예측에 활용할 수 있는 모형을 제시했다는 측면에서 학문적인 시사점이 있으며, 향후 항만을 관리하고 정책의 방향을 설정할 때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산업적 시사점이 있다. 특히 현실 상황이 반영된 정확한 물동량 예측은 항만의 개발규모 산정, 항만 인센티브제도 운영, 항만 노동인력 규모 예측 등 다양한 측면에서 활용 가능하다. 때문에 이를 토대로 의사결정자는 의사 결정 및 정책을 진행하기 전 더 나은 전략을 수립하고, 더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odel for predicting container throughput at Incheon Port using the System Dynamics methodology, a tool for modeling systemic thinking. After the COVID-19 pandemic in 2020, the largest number of shipping routes and schedules in history were reduced, causing logistics costs to skyrocket and exacerbating confusion in the global supply chain. Recent domestic port throughput showed that most ports, such as Busan, Gwangyang, Ulsan, and Incheon, decreased by 12.4%, 11.8%, 7.1%, and 3.6% respectively in 2019 compared to 2018 due to the influence of COVID-19. However, Incheon Port's container throughput increased by 5.8% in 2020 compared to 2019, showing an upward trend. Incheon Port handled a record annual throughput of 3,354,000 TEUs in 2021. Initially, Incheon Port experienced a decrease in throughput like other domestic ports due to the spread of COVID-19, but efforts were made to attract additional throughput through expanded throughput incentives, regulatory improvements, and focused management of potential routes. As a result, Incheon Port opened six new routes in 2020 and successfully attracted customers in the central region, increasing throughput. As of 2023, Incheon Port has become the second-largest container port in South Korea with a total of 67 regular routes. Research on the competitiveness of South Korean ports in the uncertain and rapidly changing global shipping environment is crucial for the trade- dependent country.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predict Incheon Port's container throughput as accurately as possible, considering the recent impact of COVID-19 and global supply chain disruptions, and to derive key data to help domestic port management and policy direction setting. In this study, factors affecting Incheon Port's container throughput were extracted through prior research, and expert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importance of each factor. Based on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the derived variables, causal relationships were identified, and modeling was conducted using System Dynamics. The variables used in this study were Shanghai Port(China) container throughput, Korean container throughput, the ship cargo volume of a port of call, and the number of vessel arrivals, with the predictive modeling targeting Incheon Port's container throughput as the dependent variable. Most previous throughput prediction analyses have focused on predicting trends and patterns based on historical throughput data. Studies analyzing factors influencing throughput and validating the accuracy of predictions are rare. This research model is significant as it selects variables affecting Incheon Port throughput through prior research and expert interviews, considering trends and patterns, the timing of variable reflection, and irregular fluctuations for each variable value, and conducts throughput prediction using only the predicted values in the simulation. The study has academic implications in providing a model that can be used for future predictions of Incheon Port's container throughput, and industrial implications as a basis for managing ports and setting policy directions. Accurate throughput predictions reflecting real-world situations can be utilized in various aspects such as determining port development scale, operating port incentive systems, and predicting port labor force size. Based on this, decision-makers can establish better strategies and make more effective decisions before proceeding with policy implementation.

      • GIS를 활용한 인천지역의 토양오염 현황분석

        김장일 仁川大學校 産業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8623

        GIS 기법을 활용한 토양오염의 공간적 분석 및 이를 지도화 하는 연구는 대기, 지하수 관련 분야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토양오염에 대한 부분은 지형자료등 GIS 기초자료의 DB 부족 등으로 아직 미흡한 상태이며, 좀더 많은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오염된 토양을 개선하기 위한 기초작업으로 GIS기법을 활용하여 토양오염도를 작성함으로서 이를 토대로 토양오염원에 대한 관리 및 오염경로를 파악하여 오염된 토양을 개선할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이는 인천지역에 산재된 기업들로부터 비정상적으로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관리하는 데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인천지역의 토양오염 현황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토양오염도는 없는 상황이며 이는 기업의 친환경적 운영을 위해 필수적이고, 기업의 환경정보지원을 위해 선행되어야 할 문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천지역의 토양오염 측정망을 이용하여 인천지역의 토양오염 상태를 파악하여 기업의 환경정보지원을 위한 인천지역의 토양 오염도를 작성하는데 그 목표가 있다. 인천지역에는 2004년 현재 120곳의 토양오염 측정망이 운영되고 있으며, 이를 활용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이다. 매년 측정되고 있는 전국과 지역의 토양오염 측정망의 자료를 관련기관에서 획득하며, 이 자료를 적극 활용하여 연도별, 오염물질별 토양오염도를 작성한다. 토양오염도는 GI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등고선도를 작성하였다. 연구의 기초단계로 토양환경보전법, 관련문헌 등을 통해 연구에 필요한 자료를 조사하였고, 환경부와 지역에서 운영하는 토양오염 측정망 자료를 관련 관청, 연구소에서 획득하였다. 획득한 자료를 분석하여 오염물질의 변화추이 등에 대하여 그래프로 작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인천광역시내의 토양오염측정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GIS에 활용 가능한 공간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공간추정 기법을 이용하여 인천지역 토양오염현황 분포도의 작성 및 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광범위하고 방대한 양의 공간정보 분석이 가능한 GIS를 활용하여 현장에서 측정된 Cd, Cu, As, Hg, Pb, Cr^(+6), pH의 토양오염농도에 대한 연별, 토지이용별 토양오염도를 작성함으로써 인천지역의 토양오염현황에 대한 시간적, 공간적 상태를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이를 통하여 인천지역 토양오염상태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시민이 토양오염상태를 쉽게 인식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공간분포도를 작성하였다. GIS의 중첩분석을 통하여 토양오염원인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고 오염물질의 이동경로를 추적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작성된 토양오염분포도는 인천지역의 토양오염상태에 대한 시간적이고 공간적인 추세자료로 제공하여 토양오염도평가, 사전환경성검토사업 등의 정책 수립분야에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의사결정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토지용도별, 지역별, 연별의 토양오염원의 변화추이를 GIS를 활용한 다양한 기법의 공간분석을 통해 토양오염 측정소의 재배치 또는 추가적인 설치, 토양오염 개선대책수립, 장기와 단기의 토양오염변화추이 추정 및 토양오염사고 감시 등의 지원자료로 참고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assess the soil contamination of Incheon metropolitan area and to analyze the existing contents of heavy metals(Cd, Cu, As, Hg, Pb, Cr^(+6)) and PH in soil. The samples had been collected from yew 1998 to yew 2002 by the Soil Contamination Monitoring Network. The existing data from studies was arranged and collected soil contamination data through monitoring network program to assess the current status of soil. In this study, data from Ministry of Environment, Environmental Division of Incheon Metropolitan City, and environmental related research center and agency have been collected and soil contamination data was analysised by utiliting the environmental monitoring program. Total 120 soil contamination monitoring locations are designated for obtaining the data continuously. Effective management and storage techniques of those data are imperative to show the information with the location of the sites concerne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is introduced to manage the databases and present the information effectively with the graphics form of contour lines. This study will utilize GIS tools to assess the current conditions of soil contaminations. First, soil contamination will be visualized digitally with GIS tools in order to analyze the past and present conditions. The graphical presentations of heavy metal contamination we made with respect to an individual heavy metal, by year, and its usage of land. Finally, the trend of soil in contamination over time can be easily determined by combining GIS tools and monitoring network. This environmental map would be helpful for making plans to remediate the soil contaminated area. Further, the established system can be applied to the soil contamination management of Incheon metropolitan area to set up the regulatory acts and project of governmental poli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