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이후’의 인문학, 융합의 교차점에서

        박인찬(Inchan Pak) 숙명여자대학교 숙명인문학연구소 2018 횡단인문학 Vol.1 No.1

        우리는 인문학 열풍과 인문학 위기의 일견 모순된 시대에 살고 있다. 대학의 바깥에서는 과잉이지만 정작 안에서는 위기인 게 지금의 인문학이다. 그렇다면 대학의 인문학이 직면한 문제는 무엇이며, 그것을 타계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이 글은 숙명인문학연구소가 개최한 창립기념 학술대회 “인문학의 최전선에서: 미래를 위한 도전과 과제”에서 기조강연의 목적으로 처음 발표되었다. 대학에서의 인문학이 처해 있는 현실을 진단하는 한편, 전통과 쇄신의 기로에 서 있는 인문학의 방향을 다양한 학문분야들이 학문적 ‘행위자’들로서 관계를 맺는 ‘이후’의 인문학에서 찾고자 한다. 그리고 이러한 ‘이후’의 인문학을 실천하기 위한 제도적 발판으로 인문학연구소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는 게 이 글의 주장이다. Today is a seemingly contradictory age in which the humanities are exposed both to enthusiastic needs and serious crisis. Overabundant outside, yet impoverished inside college are the humanities now. Then, what are the problems that confront the humanities at college, and how could they be overcome? This essay was originally presented as a keynote speech in the conference entitled “At the Frontline of the Humanities: Challenges and Tasks for the Future” held to celebrate the foundation of the Sookmyung Research Institute of Humanities. Examining on the one hand the reality in which the humanities at college are placed, it suggests the ‘post’-humanities that aim at multifaceted networking and transaction of disciplinary ‘actants’ in the wake of Bruno Latour as the necessary future of the humanities at the crossroads of tradition and renovation. For this aim, as this paper finally argues, the significance that the Research Institute of Humanities shall have cannot be emphasized too much.

      • 마음인문학 공유분야의 현황과 비전 : 마음공부 공유 플랫폼을 중심으로

        백현기(Baek, Hyeon-Gi) 원광대학교 마음인문학연구소 2020 마음공부 Vol.1 No.-

        본 논문은 마음인문학 공유분야의 현황과 비전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마음인문학 공유분야가 그동안 연구한 현황 조사를 통해 확인한 현상을 바탕으로 한다. 그리고 연구소가 앞으로 나가야 할 바람직한 방향을 논의하고자 한다. 따라서 마음인문학 공유 플랫폼과 가상현실을 활용한 마음공부를 제안한다. 첫째, 마음인문학 공유 플랫폼은 다양한 사람들과 마음인문학 콘텐츠를 유기적으로 상호 교류하는 장이다. 이러한 공유 플랫폼 안에서 ‘지속적으로 다양한 마음인문학콘텐츠 수용을 통해 마음인문학 토대를 형성한다. 동시에 상호교류를 통한 마음인문학의 성장으로 새로운 가치관과 마음인문학을 창조하는 장’으로 정의하였다. 둘째, 마음공부의 많은 부분이 가상현실에서 경험할 수 있도록 제안했다. 현실세계에서 쉽게 경험하기 어려운 다양한 경험을 학습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가상현실은 마음공부의 목적 달성 측면에서도 유용한 교육방법 및 매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가상현실을 마음공부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교육과 재미의 요소를 적절히 조화한 교수설계 모델이 필요하다. 가상현실을 활용한 마음공부는 마음공부의 목표 달성에 도움을 주고 첨단 IT기술이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변화하는 시대에 새로운 교육 수단이 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present the present status and vision of the field of sharing the mind humanities. This study is based on the phenomenon that the field of sharing the humanities of the mind has been confirmed to be valid and useful as illustrated in the current status survey. And I want to discuss the desirable direction the institute should take. Therefore, I propose to study the mind using the mind humanities sharing platform and virtual reality. First, the Mind Humanities Sharing Platform is a venue for organically interacting with various people in the mind humanities content. Within this shared platform, the foundation of the mind humanities is formed through the continuous acceptance of various mind humanities contents. At the same time, it was defined as a place for creating new values and mind humanities through mutual exchange. Second, many parts of mind practice were suggested to be experienced in virtual reality. Virtual reality, which can provide learners with a variety of experiences that are difficult to experience in the real world, could also be a useful teaching method and medium in terms of achieving the purpose of mind practice. In order to apply virtual reality to mind study, a professor design model that appropriately combines elements of education and fun is needed. Mind practice using virtual reality will help achieve the goal of mind study and become a new means of education in a changing era when cutting-edge IT technology affects society as a whole.

      • KCI등재후보

        일반논문 : 지역 연계 인문학아카데미 개발 사례 연구 - 서울 종로, 성북, 도봉 지역 문화유산을 중심으로

        김명석 ( Myung Seok Kim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14 도시인문학연구 Vol.6 No.2

        이 연구는 지역 연계 평생교육 프로그램 사례 분석으로서, 연구자가 개발을 주도한 성신여자대학교 평생교육원의 성북, 종 로, 도봉구청과의 관학 연계 사업의 인문학아카데미 프로그램에 대한 일종의 자체분석 보고서이다. 4년간의 인문학아카데미 운 영과정에서 지역자치단체와 주민들의 다양한 욕구를 반영할 수 있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변형시켰다. 첫째, 지역문화유산에 대한 인문학적 성찰을 핵심 내용으로 삼는 “살아있는 인문학 박물관”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문화유 산이란 물질적 자원뿐만 아니라 인적자원으로 이해될 때 현재 성을 갖기에 지역 문화예술인들을 섭외하고, 지역문화유산 답사 프로그램을 실시했다. 둘째, 주민들의 대중적 관심과 흥미, 지적 욕구를 수용하여 영화나 미술을 비롯한 문화예술 제 분야와의 융합교육 프로그 램을 모색하였다. “이야기로 배우는 인문학” 프로그램은 토크쇼 형식의 이야기로 진행하는 강의 및 현장 학습을 글쓰기와 연계 화한 내면화 교육을 도입하였다. 이 과정에서 인문학적 성찰과 문화예술교육의 융합, 강사와 청중이 이야기로 소통하는 강의실, 지역 사회와 역사 속에서의 ‘나’의 발견을 추구하는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인문학아카 데미의 지향점으로 삼았다. 또한 지역문화유산을 활용한 현장 교육 모형으로서 종로구의 ‘소설가 구보 따라 종로 걷기’와 도 봉구의 ‘김수영 문학관과 도봉 역사문화길 탐방’을 소개하였다. 이와 같은 경험적 사례를 공유함으로써 인문학과 문화예술교 육과의 융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역 사회의 요구에 부응한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인문학아카데미의 모델이 되기를 희망한다. 한편 평생교육 프로그램은 주민들의 참여에 의해 완 성된다는 점에서 지역공동체의 동아리 활동과 같은 자발적인 네트워크로의 연결은 도시인문학의 또 하나의 과제가 될 것이 다. 이 연구가 인문학이 시민들에게 다가가는 대중적이고 실용적 인 학문으로 자리 잡는 하나의 시론이 되길 기대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amalgamation program development in the academy of humanities and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by Linking between Lifelong Education and Locality. This study Submitted a kind of the resulting report about linked business between Sungshin Women’s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center and Jongno-gu Office, Seongbuk-gu Office, Dobong-gu Office. In the four years of operating procedures of the Academy of Humanities the fusion program was developed. The fusion program expanded its curriculum and reflects the desire to Culture and Arts. ChapterⅡanalyzed A living museum of Humanities programs of Seongbuk-gu Office and Jongno-gu Office in terms of linking between lifelong education and local cultural heritage. And analyzed Humanities by storytelling programs of Seongbuk-gu Office and Jongno-gu Office in terms of the fusion program development in the humanities and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Chapter Ⅲ analyzed two on-site teaching model. Those are Walking with Mr. Gubo through Jongno in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 of Jongno-gu Office and Exploring the Kim Sooyoung Museum and Dobong historical and cultural way.

      • KCI등재

        디지털 시대에 인문학의 변화 가능성 모색

        민춘기 ( Chun Gi Min )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6 용봉인문논총 Vol.- No.48

        이 논문에서는 디지털 시대에 인문학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인문학의 위기를 기회로 삼기 위해서는 시대와 사회의 요청에 부응하는 변화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특히 디지털 미디어에 익숙한 후속 세대들이 인문학을 계속 연구하고 공부하기 위한 준비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논문은 전통적인 인문학과 더불어 디지털인문학도 병행해야 한다는 입장에서 출발하여, 디지털인문학의 필요성과 외국의 현황 및 한국에서의 가능성과 방향에 대해 고찰하였다. 외국에서는 디지털인문학에 대한 연구와 교육이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국의 대학에서도 인문학이 전통적인 방법만을 고수하기보다는 디지털인문학의 장점을 최대한 살릴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인문학의 지속적인 발전과 디지털 시대의 학생들이 다양한 진로를 개발하는 데 디지털인문학이 유용하기 때문이다. 기존의 인문학에 새로운 가능성을 통합하기 위해, 여기에서 제시된 이론과 사례들을 각 대학의 실정에 맞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디지털 시대에 세계가 상호 소통하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 인문학이 세계적인 흐름을 수용하여 인문학의 세대 간 연결을 준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이 논문의 한계는 연구자의 주장과 논증에 의한 학술적 창의성이 부족하고 외국의 사례 중심 소개의 수준이라는 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대학에서 시작 단계에 있는 디지털인문학을 통한 새로운 방식의 인문학 연구와 교육에 대한 담론 형성에 기여한다는 점에서 이 논문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explore new directions of Korean humanities in digital era because it can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hat humanities should respond to demands of the society and needs of the students. Especially, it is necessary to prepare for the future of the younger generations who are already accustomed to the digital media. The view of the writer is that humanities can provide the students with a variety of opportunities to experience from digital humanities as well as traditional humanities. This article examined the necessity of digital humanities and cases in the foreign countries followed by definition of the term humanities and digital humanities. According to the previous cases, digital humanities can give various advantages to the current and future students because it can contribute to the sustainable growth of entire humanities and students` career development. Futhermore, it can facilitate research and education of humanities through using digital skills and bridging between the younger and older generations. It is desirable to develop useful programs which are able to be feasible in the Korean universities. To that end, it is recommendable to further research into concrete curricula, courses, and syllabi and so on for digital humanities.

      • KCI등재

        장소와 경험, 그리고 ‘동네’ 인문학

        박연규 경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6 시민인문학 Vol.31 No.-

        장소성은 인문학 대중화를 위해 반드시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장소를 근거로 해야만 인문학 대중화의 목표가 분명해지며 실질적인 인문학 교육프로그램도 구 체성을 띈다. 장소에 대한 이해는 세계를 인식하는 적합한 방식이다. 인문학이 궁극적으로 사람들에게 최선의 생활양식을 제공하는 데 있다고 한다면 장소가 그 출발점이 되어야 한다. 책임윤리가 탄생할 수 있는 곳도 바로 장소에 대한 경험이 축적되어가는 과정 에서 만들어지며, 다양한 인문적 덕목도 이에 근거해서 마련된다. 책임을 지는 주체는 국가나 사회와 같이 추상적인 집합체가 아니라 어디까지나 장소에 놓인 사람이다. 그러므로 인문학은 장소 경험의 주체로서의 사람들에 대해 초점을 맞 추어야 하며, 인문학 대중화의 큰 밑그림은 구체적인 장소를 살아가는 사람들로 부터 시작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시민인문학의 방향을 새롭게 제시하면서 그에 필요한 철학적 논의로서 장소와 경험의 중요성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장소 경험의 실천적 논 의를 위해 산촌자본주의와 동네인문학의 의미에 대해 논의했다. 지역과 장소에 대한 논의는 인문학 대중화를 위한 필수적인 요구 사항이며, 시민인문학의 정신 을 구현하기 위한 인문학 프로그램도 장소에 대한 이해와 반성을 통해 만들어져 야 한다는 사실을 강조했다. Place must be considered for the popularization of humanity. When the popularization is based on the place, humanities education programs are thus concretely specified. Understanding the place is an appropriate way for us to realize what the world is. Supposed that humanity gives the best forms of life, the insight of place can be a starting point. The birth of responsibility ethics is built in the accumulated process of experiencing place in which variable virtue items of humanities are arranged. The subject taking responsibility is not an abstract aggregate of nation or society but individuals living in the place. Humanity must be so focused on the individuals as the subject experiencing the place, and the rough sketch of the popularization of humanity must start from them. In this article I proposed a new direction for such citizen humanities, human city, humanity policy of popularization of humanities and saw the significance of place and experience. Then for the practical arguments of the placeexperience I discussed the possibility of rural capitalism and town humanities. In any way the discussion of locality and place is necessary to succeed the popularization of humanities, and the citizen humanity programs are completed through confirming the place.

      • 데이터 기반 인문학 연구 방법의 모색: 문중 고문서 아카이브와 디지털 인문학의 만남

        김현(Kim Hyeon),안승준(Ahn Seung Jun),류인태(Ryu In Tae) 숙명여자대학교 숙명인문학연구소 2018 횡단인문학 Vol.1 No.1

        단순히 인문학 자료를 디지털화 하거나, 연구 결과물을 디지털 형태로 간행하기보다는, 정보 기술의 환경에서 보다 창조적인 인문학 활동을 전개하는 것을 ‘디지털 인문학’이라고한다. 무엇이 ‘디지털 인문학적 연구’인가 라는 물음에 답을 줄 만한 연구 모델은 아직 명확하게 정립되어 있지 않다. 하지만, 최근 수년 사이 ‘디지털 인문학 연구’로 보고된 여러형태의 인문 분야 연구에서 가장 두드러진 공통점을 찾는다면, 그것은 종래에 인간의 언어로만 기술되었던 인문 지식의 요소들을 기계가독적(machine readable) 데이터로 전환하여, 컴퓨터가 그 정보의 해석을 도울 수 있게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필자는 이 글에서, ‘무엇이 디지털 인문학인가’하는 원론적 논의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인문 지식을 데이터로 전환하는 것은 어떠한 작업이며, 그것을 통해 학술적 성과를 기대 할 수 있는지를 설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과 인문정보학 교실에서 수행하고 있는 데이터 기반 문중고문서 연구를 사례로 제시하였다. 디지털 인문학의 프레임워크 위에서 만들어진 새로운 형식의 고문서 디지털 아카이브는 연구자들이 직접 그 디지털화된 문서의 내용을 데이터로 취급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데이터의 분석, 정리, 해석을 통해 찾아낸 ‘사실’과 ‘이야기’를 확장된 데이터로 축적해 나아갈 수 있게 함으로써, ‘자료’의 아카이브에서 ‘지식’의 아카이브로의 진화를 지향한다. 고문서 내용을 데이터로 전환하여 기계적 가독성을 부여하는 것은 일차적으로 과거의 생활사에 대한 인문학적 연구에 기여하겠지만, 향후 이러한 데이터의 광범위한 축적으로 만들어질 인문학 빅데이터는 현대에 발생하는 사회과학적, 산업적 빅데이터와 엮여져서 현대사회에 대한 이해와 과거 역사의 탐구 사이의 연결고리를 만들어내는 것도 가능하게할 것이다. 인문지식이 데이터로 소통될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을 통해 우리의 인문지식은 전통적인 인문학의 경계를 넘어서는 세계와도 교섭할 것이며, 인간과 사회에 대한 이해로서의 인문학의 외연을 더욱 의미 있게 확장해 갈 수 있을 것이다. Rather than simply digitizing humanities materials or providing humanities research results in a digital format, “digital humanities” encompasses ever more creative humanities endeavors in an information technology environment. There is still no research model which can clearly answer the question of what “digital humanities research” looks like. However, if we look at the similarities among humanities research which has been deemed to fall under the umbrella of “digital humanities research,” we can see the transformation of humanities knowledge elements from human-composed language to machine-readable data, which allows computers to aid in the interpretation of said information. The author will go a step beyond the fundamental discussion of “what digital humanities is,” to explain the nature of the work of transforming humanities knowledge into data, and what kind of scholarly outputs we can expect from such work. To this end, the author presents research led by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Jangseogak Archives and Cultural Informatics Lab which is based on old documents from paternalistic lineage organizations (munjung). A new form of digital archive of old documents made for a digital humanities framework allows researchers to turn the content of digitized old documents into data. In addition, through the accumulation of data which encompasses “truths” and “stories” discovered via data analysis, organization, and interpretation, an archive of “source materials” can evolve into an archive of “knowledge.” On preliminary level, transforming the content of old documents into data and making it machine readable contributes to humanities research on the lives of people of the past. However, looking forward, the widespread accumulation of such data can create big data on the humanities. And if this humanities big data is connected to big data dealing with contemporary social, academic, and business phenomena, it can serve as a link between the understanding of modern society and the history of the past. Through efforts to allow humanities knowledge to communicate as data, our humanities knowledge can go beyond the boundaries of traditional humanities and negotiate with the larger world, and it can more meaningfully expand the full realm of the humanities as an understanding of humans and society.

      • KCI등재

        인문도시를 위한 인문정책 방향 : 수원시를 중심으로

        박연규 경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시민인문학 Vol.28 No.-

        인문학의 대중화는 이제 시대의 화두가 되었다. 한국연구재단에서는 이러한 인문학 대중화 사업을 위해 시민강좌사업과 인문도시 사업 등을 추진해오고 있 다. 그 중에서도 인문도시 사업은 도시와 대학이 하나가 되어 인문학의 방향과 운영을 함께 모색하는 것으로 기획되었다. 이는 대학의 인문학을 도시의 시민들 이 골고루 혜택을 받을 수 있게 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수원시는 3년 전부터 교육부의 인문학 대중화 사업과는 별도로 지자체의 이념 과 시장의 신념에 의해 인문학을 중심에 놓는 도시정책, 즉 인문학 중심도시를 설계하고 시행해 왔다. 교육부의 사업과 수원시의 사업이 비록 서로 다른 맥락에 서 시도되었지만 그 지향하는 바는 인문학이 시민을 위한 것이 되어야 한다는 것 으로 수렴될 수 있다. 이 글은 논자가 수원시의 2014년부터 2018년까지의 <수원시 인문학 중심도시 추진계획> 용역과제의 연구책임을 맡으면서, 한 도시가 어떤 목적과 방향을 갖 고 시민을 위한 인문학 대중화를 실현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해 논의한 것이다. 이를 위해 수원시의 도시정책과 인문학 대중화의 관련성을 밝히면서, 첫째, 도시 의 인문정책은 시정 초기 단계부터 도시정책과 하나가 되어 실시되어야 함을 주 장했다. 둘째, 도시의 인문정책은 시민들의 행복을 위해 도시의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 기여할 수 있어야 함을 지적했다. 셋째, 이러한 관점에서 인문학 사 업이 실제로 어떻게 이루어져야 할 것인가를 다양한 사례를 통해 제시했다. 인문학의 대중화는 한 도시의 공동체적 삶, 예를 들어 시민의 행복, 안전, 건강 또는 공정의식을 정상화시키는 데 일조해야 한다. 그리고 인문학이 단순히 대학 밖으로 나오는 것만으로는 만족해서는 안 되며 그것이 시민사회의 수준을 높이 고 나아가서는 시민의 공동체 의식을 강화할 수 있어야만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It has become common to talk about popularization of Humanities in contemporary society of Korea. The Education Ministry and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have promoted to develop the business of humanities and the Humanistic City project, including several academic lectures for the general public. Especially the Humanistic City project has been common concern for both city and universities. It would be right to deal with the importance of humanities, for it would give us an opportunity to share the benefits of humanities for the public who are alienated. Since 2012, Suwon City embarked the project for the humanities-centered development of the city. It has been the moto of the local government and has shown many different aspects in different contexts. The project, I believe, has been successful, for it has given a chance to show that the Humanities project really works. In this article, I will show that this Humanities project has been successful in the case study of Suwon City. The article, which was originated from my own experience as a leading researcher in the workshop entitled as “Suwon si Humanities-centered City Plan,”is ordered as follows. First, I will show why we should start with the attention of the beginning level of city policy. Second, I will explain why the city humanities project should be able to solve the problems that the citizens of Suwon confront. Third, I will propose several practical cases which are useful to understanding the humanities project that can be practically worked. I find that academic events are not sufficient to make public the humanities. Nevertheless, we come to realization that the concerns for the normalized life of city community, such as happiness, safe, health, and justness of citizens are critically important to level up or enhance the civic life of community.

      • KCI등재후보

        특집 : 도시인문학의 등장 - 학문적 담론과 실천

        서우석 ( U Seok Seo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14 도시인문학연구 Vol.6 No.2

        최근 도시와 인문학의 연결이 다양해지면서 도시인문학이 새로운 학문영역으로서 등장하였다. 도시인문학은 엄밀하게 정 의된 분화학문으로서의 인문학이 아니라 다양한 접근이 공존하 는 복합적인 학술적 논의들과 실천 행위로 볼 수 있다. 본 연 구는 도시인문학의 등장 배경을 분석하고 도시인문학의 다양한 구성을 제시함으로써 도시인문학의 다양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 고 도시인문학 발전을 위해 필요한 논의에 기여하고자 한다. 도 시인문학은 정부의 인문학 지원사업을 배경으로 새로운 인문학 의 융합학문으로서 등장하였는데 대학의 제도화된 움직임으로 서 서울시립대의 도시인문학 이외에도 다른 대학에서 진행되고 있는 마을 인문학이나 로컬리티 인문학도 도시인문학의 성격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대학 밖에서의 도시인문학은 도 시 공간의 장소성을 보완하는 내러티브와 역사적 지식을 제공 해 주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오늘날 도시브랜딩과 도시관광이 도시경쟁력의 중요한 자원이 되는 상황에서 도시인문학이 도시 마케팅의 자원 구축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비판 담론으로서의 도시인문학은 도시기업가주의와 토건주의 개발에 대한 비판적 관점을 제공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시인문학은 다양한 실천 프로그램으로서도 기능하는데 이는 인문학의 대중화나 사회적 약자를 위한 프로그램을 포괄할 뿐만 아니라 도시정치의 프로 그램으로서도 활용되고 있으며 수원의 사례에서 보듯이 인문도 시 사업으로 구체화되는 경우도 나타나고 있다. 서 서울시립대의 도시인문학 이외에도 다른 대학에서 진행되고 있는 마을 인문학이나 로컬리티 인문학도 도시인문학의 성격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대학 밖에서의 도시인문학은 도 시 공간의 장소성을 보완하는 내러티브와 역사적 지식을 제공 해 주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오늘날 도시브랜딩과 도시관광이 도시경쟁력의 중요한 자원이 되는 상황에서 도시인문학이 도시 마케팅의 자원 구축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비판 담론으로서의 도시인문학은 도시기업가주의와 토건주의 개발에 대한 비판적 관점을 제공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시인문학은 다양한 실천 프로그램으로서도 기능하는데 이는 인문학의 대중화나 사회적 약자를 위한 프로그램을 포괄할 뿐만 아니라 도시정치의 프로 그램으로서도 활용되고 있으며 수원의 사례에서 보듯이 인문도 시 사업으로 구체화되는 경우도 나타나고 있다. Recently, urban humanities emerged as a new academic field and gained an increasing attention from an academic world as well as from a side of public policy. Observing the current discourses and practices leads to acknowledge that urban humanities can be viewed as a complex array of academic discourses, as sociology is described as a multi-paradigm science. First, urban humanities appeared in the academic world as a new kind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Second, urban humanities provide narratives and historical knowledge for cities so that the placeness of city space could come into being or, if it already existed, be strengthened. Third, urban humanities offers a critical perspective to the urban entrepreneurialism in general and especially a construction-oriented growth coalition in Korea. Fourth, urban humanities function as an underlying logic for diverse action plan programs ranging from a Clemente course to humanistic city planning as the case of Suwon City shows. To conclude, I make some suggestions for further discussions.

      • KCI등재

        인문학 인성 프로그램의 평가 및 제안 - 서울구치소 사례를 중심으로 -

        김영식,이백철 경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4 시민인문학 Vol.27 No.-

        교정시설 수형자를 대상으로 한 체계적인 인문학 교육은 2007년 인권연대가 의정부교도소에서 주관한 ‘평화인문학’이 시작점이 되었다. 이후 2012년부터는 법무부 교정본부 차원에서 전국 교정시설로 확대하였을 뿐만 아니라 신설된 각종 수형자 인성교육의 가장 주요한 내용으로 자리 잡았다. 다만, 단기간에 전면 확대시행 됨에 따라 인문학교육의 체계가 정립되지 않아 기관마다 다른 실정에 있어 이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논문은 교정시설 인 문학 교육의 도입과정과 실태를 알아보고 향후 바람직한 교정시설 인문학 교 육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서울구치소 신입 수형자 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만족도와 효과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조사연구를 수행하였다. 신입수형자 150 명 중 신입교육 참여자 65명에게 교육 실시 후 2014년 5월 13일~ 5월 23일에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이 중 교육취소자 4부를 제외하고 총 61부를 최종 분 석에 사용하였으며, 측정도구는 교육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한 설문지, 로젠버 그가 개발하고 전병제가 번역한 자아존중감 척도(rosenberg self-esteem scale, RSES)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2.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Frequency), 기술통계, Shapiro-Wilk 검정, Mann-Whitnet U test, Wilcoxon Sign Rank Test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인문학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인문학 교육 참여 전 교육에 대한 기대 5점 만점에 3.9점, 교육의 흥미정도 4.03점, 내 용의 이해정도 3.84점, 마음가짐에 도움 정도는 4.15점이었으며, 인문학교육을 받고 어디에 도움이 되었는지 여부는 자신에 대한 이해가 40명(25.6%)로 가장 높았다. 인문학교육 전·후 자아존중감의 비교는 인문학교육이 수형자의 자아존 중감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Z=-2.638, p=.004). 결과적으로 인문학을 통한 인성교육은 수용자가 스스로 자아성찰과 자아형성을 재구조화하는데 효 과가 있다. 다만 수용 현실에 맞는 인문학 교육과정 개발과 인문학적 생태환 경 조성, 전 수용자로 확대하는 개선 대책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표본수가 충 분하지 않아 다각적인 분석과 검증이 연계되지는 못하여 앞으로 대상자를 확 대하고 반복적인 지속 연구로 일반화를 이끌어나갈 필요가 있다. The humanities education for inmates in prison first started at Eu Jung Bu correctional institution by the Citizens' Solidarity for Human Rights in 2007. Since then, it has been spread to all facilities, and also became one of the most important education programs in Korea, now. However, due to its full-out implementation in a relatively short time, many problems have been found especially in the areas of instructors, curriculum, and teaching methods., et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Seoul Detention Center case of the humanities education program, and propose measures to correct the problems. For this purpose, I have researched how a new inmate first has been adjusted and changed in the facilitity during the incarceration. By doing that, I found how the humanities courses were provided, how it worked and suggested the desirable measures to improve humanities education program in prison setting.. I handed out questionnaires to 65 orientation participants among 150 new arrived inmates from 13th to 23rd, May of 2014. With those questionnaires, I used total 61 as final analysis. As for the assessment tool, I used the questionaire, which measuring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the Rosenbeg Self-Esteem Scale, RSES. SPSS 12.0 was used for the purpose of carrying on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s, Shapiro-wil, Mann-whitnet U Test and Wilcoxon Sign Rank Test. As the final outcome, I found that the level of satisfaction for the course of humanities was 3.9 point out of 5 point, 4.03 point for the level of interest for the course, 3.84 point for the level of understanding the cours, 4.15 point for one's attitude of mind. 40 participants answered 'yes(25.6%)' for the question of what they get assisted by the course of humanities. Comparison of self-worth before and after the course shows that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inmates' self-worth(Z=-2.638, p=.004). Consequently, the education of humanisim through humanities have proven to have effect of reconstructing self-examination and self-identity for inmates, though there should be developed specific humanities' courses suitable for situation and characteristics of inmates in correctional institution. Therefore, I suggested that we should bring about much improvement for the system of managing instructors and create ecological system for humanities, besides, expanding it on every inmates in prison. Because there was not enough samples, I wasn't able to connect multilateral analysis and verification. However, it needs to be generalize with the help of repeating research and expanding subject of this program.

      • KCI등재

        일반논문: 철학 : 규범적 인문학과 기술적 인문학 -과학 기술과 인문학 융합의 두 얼굴-

        박승억 ( Seung Ug Park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4 인문학연구 Vol.0 No.47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 뜨겁게 논의되고 있는 주제 중 하나는 과학 기술과 인문학의 융합이다. 이 때, 융합은 이중적인 의미에서 말해지고 있다. 한 편으로는 과학기술의 발전은 인문학적 정향을 필요로 한다는 의미에서, 다른 한 편 과학 기술과 인문학은 서로 상보적인 관계에서 시너지를 낼 수 있다는 의미에서 융합이 말해지고 있다. 이렇게 융합에 소환되는 두 경향의 인문학을 규범적 인문학(normative humanities)과 기술적 인문학(descriptive humanities)으로 구분할 수 있을 것이다. 비록 이 두 경향이 인문학이라는 하나의 뿌리에서 나온 것이기는 하지만 서로 다른 태도의 두 경향이 명백한 구별 없이 혼용될 경우, 자칫 우리는 인문학의 규범적 성격이 해소되어 버리는 역설적인 결과를 맞이할 수도 있다. 이는 융합의 요구를 현실의 필요에서 제기하기는 하지만 그 실제적인 가능성을 학문의 실제적인 역사적인 문맥을 고려하지 않은 채 소박하게 믿어버릴 때 초래될 수도 있는 결과일 것이다. In this paper, I have tried to make clear the conditions of convergence of science and humanities. As Charles P. Snow well showed us the problem of "two culture", it is certain that both camps need the collaboration. Since the social influence of science and technology is increasingly growing in scale. we need to complement science and technology from a ethical point of view. In this situation, "convergence" seems to be a most powerful strategy to meet the demand. I believe that there are two types of demand of convergence, and they are radically different from each other. I have respectively specified the demands : the demand of normative convergence and the demand of descriptive convergence. We can correspondingly classify the humanities into two groups which meet each demand : normative humanities and descriptive humanities. It is important for the successful convergence to understand the differences of both demands and the characteristics of both human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