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누가 조를 죽게 만들었는가?

        장남수 울산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1 人文論叢 Vol.20 No.-

        This paper aims to inquire the responsibility following the death of Jo in Bleak House. Jo and his 'habitat', Tom-all-Alone's are the critical links connecting the privileged and the under-privileged, the high and the low, so his death comes out to be central to the meaning of this novel, which is related with "class privilege and inequality" and also with the quality of life in this society. The recognition that, contrary to the apparent class distinctions, people cannot be ultimately separated and the so-called 'diseases' in one part of society soon contaminate the whole society comprises the main theme of this work, which is reinforced by the closely organized structure. The close relation of all the parts of this novel shows the writer's growing awareness of the social interconnections, and vice versa. If not, we don't have to pay attention to the social outcast like Jo. In order to establish connections between parts, Dickens resorts to, besides plot, many methods or motifs. We can enumerate the coherence of images, the mystery techniques, the motif of epidemic and parenthood, and "sudden relationships" among characters, and what not. In conclusion, it is clear the ultimate responsibility for the death of Jo should go to the whole social system, that is, the capitalist economy, not to the particular section. No one in this system is immune from the death of Jo.

      • 코르네이유의『티트와 베레니스』연구 : 극적 구성의 변화를 중심으로

        박무호 울산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2 人文論叢 Vol.21 No.-

        Cette e´tude a pour but d´e´clairer les caracte´ristiques de Tite et Be´re´nice, qui est de 1670. Pour ce but nous analysons les caracte´ristiques de Tite et Be´re´nice, qui se sont re´ve´le´es lors de notre comparaison entre cette pie´ce et Cinna. Tout d´abord nous examinons les personnages. Dans Tite et Be´re´nice l´Empereur y paral^t presque toujours, mais les autres ne le respecte pas. Pour la confidente, nous analysons la confidente qui dans Cinna joue un ro^le tre´s limite´. Dans Tite et Be´re´nice le confident/la confidente prennent de l´importance. Ensuite, nous traitons les aspects du conflit qui est l´essence me^me du theva^tre. Dans Tite et Be´re´nice les conflits inte´rieurs qui sont du^s a`des passions opposeves dans le me^me personnage, sont diminue´es, et presque tous les conflits ne sont pas re´solus. En revenche, dans Cinna tous les conflits sont re´solues par la volonte´ des personnages. Enfin, nous cherchons a`voir le changement du ro^le the´a^tral selon les sexes. C´est-a`-dire que dans Cinna, les hommes tre`s privile´gie´s dirigent la pie`les a` leur devoir. Mais dans Tite et Be´re´nice, leur ro^le est inverse´. En conclusion, nous expliquons le cause de ce changement: l´abandon des lde´es politiques.

      • UN ESTUDIO SOBRE LA FILOSOFIA HISPANOAMERICANA : Enfocado en sus caracteri´sticos a trave´s del panorama histo´rico

        Koo, Kwang Yeul 울산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1 人文論叢 Vol.20 No.-

        중남미 철학사는 시대적으로 크게 16C∼18C의 교부철학시기(특히, 토마스 아퀴나스의 스칼라철학)와 19C 독립기의 사상적 혼돈시기, 그리고 20C, 이른바 모자이크식 철학의 시기로 3분해 볼 수 있다. 유럽의 사상과 철학의 본격적인 유입은 중남미 국가들의 독립후에나 이루어진다. 엄격한 교회윤리와 계율, 획일적이고 일방적인 본국의 식민지 교육정책에서 비롯된 고정된 사고의 틀과 해묵은 편견으로부터 자유로워진 이들은 밀물처럼 밀려오는 서구사상과 철학을 별 저항없이 받아들이게 된다. 주지주의와 주의주의, 교부철학과 프로테스탄티즘, 자본주의와 공산주의 등 심지어 정반대되는 사상과 철학마저도 선후 구분없이 동시에 들어와 사상의 난장을 형성하게 이른다. 중남미인들의 사상과 철학의 변증적 결론은 자생적인 고유철학의 부재로 말미암아(여기서 인디오 원주민 사상은 논외를 하고) 극히 외부적 요소들에 의해 의존적으로 도출될 수 밖에 없다. 하나의 사상이나 철학의 씨앗이 떨어져 제대로 된 싹도 틔우기 전에 또 다른 것들이 그 위를 덮어 이전 것의 존재를 무색하게 하니, 한 시대의 정상적인 사상의 진화내지 발전의 궤도를 거슬러 보기란 거의 불가능해 보이기도 한다. 용광로에서 채 녹기도 전에 새로운 것이 주입되어, 조각조각 어수선한 모자이크로 남는 현상속에서 한시대의 심오한 사상의 성숙을 만나기란 그리 쉽지 않을 것이다. 이것은 그들 자신에 대한 정체성 부족과 상대적으로 일천한 민족역사에도 기인하지만, 혼혈국가 특유의 몰개성주의도 한 몫을 하고 있다. 이러한 여건하에서도 중남미 고유철학의 진화는 가능한 것일까? 본고의 목적은 이 문제에 대한 직접적인 해답을 구하기 보다는 이러한 의문과 회의가 싹트게 된 배경 내지 원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하는 데 있다.

      • 스페인어와 한국어의 격 체계 대조 연구

        성충훈 울산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1 人文論叢 Vol.20 No.-

        El caso, segu´n el concepto tradicional, es una categorlva gramatical de tres criterios, forma, significado y funcio´n. El espan~ol tiene seis casos que son 'nominativo, genitivo, acusativo, dativo, vocativo y ablativo' mientras que el coreano tiene siete que son 'nominativo, objetivo, vocativo, predicativo, caso adverbial, caso complemento y caso adjetival'. En ambas lenguas existen nominativo y vocativo. Existen predicativo, caso complemento y caso adjetival so´lo en coreano. El acusativo espan~ol y el objetivo coreano tiene uan misma funcio´n de ser objeto directo en la oracio´n. El dativo espan~ol y las partl´culas del caso adverbial '~egue, -hante, -que' representa el objeto indirecto. En coreano, para expresar el tiempo, hay so´lo una partl´cula del caso adverbial '-e'. Pero en espan~ol las preposiones 'a', 'de', 'para', etc representan el tiempo. Para indicar el instrumento y el modo, en coreano se usa las partl´culas '-(eu)ro, -(eu)rosseo' y en espan~ol, las preposiciones 'con', 'en' y 'por'. Las partl´culas '-sseo, -esseo, -eguesseo' representan el origen o precedencia, mientras que en espan~ol los representan las preposiciones 'de' y 'desde'. La causa la representan las partl´culas '-e, -(eu)ro' y la preposicio´n 'por'.

      • 「문학과 현대문명의 문제」에 관한 토론

        박무호 울산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1 人文論叢 Vol.20 No.-

        본 토론자는 영문학에 대한 기초 지식도 아주 미약하고, 현대문명에 관한 담론에 대해서도 큰 관심이 없었을 뿐만 아니라 특히 90년대 이후 유행(?)처럼 번지던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관심도 상식 수준을 벗어나지 않습니다. 따라서 영문학 작품을 중심으로 한 근ㆍ현대문명의 문제에 대한 발표자의 깊은 모색에 대해 중요한 문제들을 심도 있게 논의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일이지만, "보다 자유롭게 얘기할 수 있다" 는 세미나의 성격에 맞추어서 이후에 전개될 토론의 단초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몇 가지 이야기를 나누고자 합니다.

      • 「만문노당」과 「구만주당」對照表 : 太祖朝(1)

        김두현 울산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2 人文論叢 Vol.21 No.-

        최근 청대사의 성격을 새롭게 조망하려는 일련의 연구에서 만주어자료의 중요성이 다시 부각되고 있다. 구만주당의 경우 그 사료적 중요성에 대해서는 일찍부터 강조되었지만 아직까지도 구만주당을 활용한 연구는 그다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이것은 구만주당을 이용하려할 때의 여러 가지의 어려움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구만주당의 기사 내용이 연월일 순서대로 배열되어 있지 않은 점도 구만주당 분석의 활성화를 막는 큰 요인 중에 하나라고 여겨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