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교육적 인식론의 관점에서 Plato의 「국가론」에 나타난 교육론 탐색

        정환금 ( Hwan Geum Chung ) 대경교육학회(구 우리교육학회) 2011 교육학논총 Vol.32 No.1

        본 연구는 교육적 인식론의 관점에서 플라톤의 「국가론」에 나타난 교육이론을 탐색하고, 교육적 함의를 규명하는데 있다. 플라톤의 「국가론」에 나타난 교육론은 주로「국가론」의 대화편에서 모색할 수 있다. 플라톤은 ``선의 형상``과 같은 실재의 본질에 관한 가정을 하고, 이를 교육을 통해 실현하고자 했다. 플라톤의 「국가론」에 나타난 교육론은 교육적 인식론의 개념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특히 플라톤의 교육론에서의 스승과 제자와의 관계는 교육적 인식론의 성립 요건인 교육적 관계의 개념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이는 플라톤의 「국가론」에 나타난 교육론을 교육적 인식론의 관점에서 탐색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플라톤의 교육론은 교육이 성립되는 스승과 제자와의 관계는 물론, 정의로운 인간을 기르고 정의로운 사회를 건설하는데 목적을 둔 교육목적, 순차에 따른 교육과정, 대화와 변증법에 나타난 교육방법 등을 중심으로 교육적 인식론의 관점과 관련하여 탐구할 수 있었다. 따라서 플라톤의 「국가론」에 나타난 교육론은 교육적 인식론의 관점과 유아교육과 초등교육을 포함하여 일반적 교육의 관점에도 교육적 함의를 제공한다. This study was to explore Plato`s theories of education in 『The Republic』 in the light of Educational Epistemology. Plato`s theory of education can be found in his writing, "The Dialogue" in 『The Republic』. He seems to have tried "form of good" in education. His educational theories are connected with the concept of educational epistemology. In particular, the teacher-student relation is connected with the concept of educational epistemology. That is why they can be discussed in the light of educational epistemology. And the concept of educational epistemology as reflected in his educational theories provides a theoretical base for exploring the process of education. Specifically, his educational theories addressed the educational relationship including the educational purpose of building just society, developmentally-appropriate curriculum, method of dialogue and dialectics and etc. Therefore his theories provide the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epistemology in the educational worlds including the process of education. And they provide useful implications not only for early childhood but also elementary education.

      • 제정 러시아 시기 러시아 이주 한인의 역사적 조국어로서 한국어 교육관의 변화

        이종원 ( Jong Won Yi ) 대경교육학회(구 우리교육학회) 2014 교육학논총 Vol.35 No.2

        민족정체성과 민족어의 사용과 교육은 순환적 관계를 지니고 있다는 관점에서 러시아 한인들의 민족 교육과 한국어 교육에 대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러시아 이주 초기에는 귀화 한인이던 아니던 간에 모두 조선 신민으로서 강한 정체감을 지니고 있어 러시아화 교육에 대해 강력하게 저항했다. 2) 러시아 를 정치적 조국으로 받아들인 귀화 한인들은 러시아 교육을 수용하고 민족 교육 을 배척하게 되었다. 비귀화 한인들은 돌아갈 고국에 대한 교육과 조국어 교육을 원했다. 3) 1차 세계 대전 후 일본과 우호적 관계를 갖게 된 러시아는 의병 활동 을 탄압하게 되어 연해주 한인들과 망명 우국지사들이 이 지역에서 독립 운동 방 향을 애국 계몽 교육운동으로 전환하였다. 한인 마을마다 학교를 설립하여 민족 교육과 민족어 교육을 하였다. 4) 1917년 부르주아 혁명 후 러시아 내에서 정치적 인정을 우선시한 귀화 한인들은 민족 자치 운동을 전개하였고, 일제는 이를 지원 하였다. 비귀화 한인들은 조국의 독립을 위해 투쟁하기 위해 항일 전쟁을 수행하 고 지원을 했다. 내전이 끝날 때까지 국제 간섭군으로 들어온 일본군과 영사관에 의해 연해주 한인 교육은 전반적으로 친일적 성향을 띠고 있어 민족 교육과 민족 어 교육이 매우 약화되었다. There is cycl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ation of national identity and the education of mother tongue. In this viewpoin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Russian-Koreans’ education of mother tongu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s: 1) The early Korean immigrants had strong identity as Korean Empire’s subjects. So they strongly resisted the education of Russification by Russian government and Russian Orthodox Church. 2) The Koreans who were naturalized as a Russian citizen adopted Russia as political country. They wanted education of Russification and rejected Korean education for their well-being in Russia. But the Koreans who were not naturalized as a Russian citizen hoped to return to Korea some time or other, so they wanted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and education in Korean. 3) After First World War, Russia became an ally of Japan and depressed Koreans’ war of independence in Maritime Province. The Russian Koreans who hoped Korea’s independence and the patriots who were fled from Korea to Maritime Province changed the direction of independence movement from armed struggle to educational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They established schools in every Korean villages and educated Korean language. 4) After 1917’s bourgeois revolution, the naturalized Koreans progressed autonomy movement in Maritime Province, and Japanese imperialists assisted their movement. But the non-naturalized Koreans conducted or assisted independence war. Until civil war in far east of Russia, the Koreans’ education in Maritime Province had an inclination toward pro-Japanese by Japanese imperialists and pro-Japanese group of Russian Koreans.

      • 수능성적에 대한 사교육 효과분석

        김경식 ( Kyung Sik Kim ),이현철 ( Hyun Chul Lee ) 대경교육학회(구 우리교육학회) 2011 교육학논총 Vol.32 No.2

        본 연구에서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전국규모 종단자료를 이용하여 대학수학능력시험점수에 대한 사교육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해보고, 교육현장에서 사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교육적 논의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수학과외와 사교육효과인식은 종속변수인 학생들의 수능 점수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수학과외 여부의 경우 수학과외를 참여하고 있는 학생들이 수학과외를 참여하지 않고 있는 학생들보다 학업성취에 있어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고 있었으며, 사교육효과인식의 경우도 학생들의 사교육에 대한 효과성 인식이 수리영역의 등급향상에 도움을 주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사교육 관련 변수들의 이러한 맥락은 수리영역에 대한 사교육의 효과가 실제하고 있으며, 나아가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사교육에 대한 믿음과 환상들이 결코 명확한 근거 없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아님을 보여주는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shadow education on CSAT. For this purpose, we uses a sample from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4 data conducted by the KRIVET and analysis methods are HGLM, which can examine for ordinal data for analyzing 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of HGLM provides that self-study, education expectation, and SES indicates that associated with an increase of points in the Math CSAT achievement score and effectiveness of shadow education on dependent variable was statistic significant, especially participating of shadow education and trust about shadow education. It provide that student recognized not only the effectiveness of shadow education on CSAT, but they have trust about effectiveness of shadow education on CSAT.

      • 창의적 체험활동의 봉사활동 교육과정 변천 연구

        조영남 ( Cho Young-nam ) 대경교육학회(구 우리교육학회) 2018 교육학논총 Vol.39 No.2

        이 연구는 2015 교육과정의 창의적 체험활동 4대 영역 중 하나인 봉사활동 교육과정의 변천 과정을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봉사활동은 7차 교육과정 때 처음으로 특별활동의 대 영역으로 편성되어 2015 교육과정의 창의적 체험활동까지 계속 대 영역으로 편성되어 있다. 하지만 봉사활동은 2차 교육과정 때 학교의 아동 전체가 참가하는 활동의 예로 처음 등장하였다. 2차 부분 개정과 3차 교육과정 때에는 특별활동의 대 영역인 클럽활동의 하위 영역에 봉사, 관리를 위한 클럽활동으로 편성되었다. 4차 교육과정 때에는 학교행사의 하위 내용 중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행사의 예로 봉사활동이 편성되었다가, 5차 교육과정 때 다시 클럽활동의 하위 영역으로 봉사·수련활동이 편성되었다. 6차 교육과정 때에는 봉사·지원활동이 대 영역인 학교활동의 하위 영역인 행사활동의 소 영역으로 편성되었다. 봉사활동의 개념과 성격 그리고 교육과정 개정 차시별 봉사활동의 목표와 내용 체계를 분석한 결과, 봉사활동이 7차 교육과정 때 대 영역으로 처음 편성되었으나, 2차 교육과정 때부터 점진적으로 강화되어 온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금까지 고시된 교육과정에는 봉사활동의 목표와 내용 체계가 다소 형식적으로 개정되어 왔으며, 봉사활동의 개념과 성격도 명확하게 진술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봉사활동 교육과정을 더욱 체계화하여 학생들이 나눔과 배려를 실천하고 더불어 사는 공동체 의식과 공동체 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service activity curriculum in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Service means to contribute to the community without rewards for the public benefit. Service spirit is reflected in the educational ideals, goals and curriculum of Korea. Service activity was firstly introduced as a sub-domain of extra-curricular activity in the 2nd curriculum and continued to the 6th curriculum. In the 7th curriculum, service activity was introduced as a main domain of extra-curricular activity and continued to the 2007 curriculum. But in the 2009 curriculum, the name of extra-curricular activity was changed into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and continued to the 2015 curriculum. Service activity was also introduced as a main domain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in the 2009 curriculum and continued to the 2015 curriculum.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bjectives, and contents of service activity, it has been revealed that the aspects of service activity were reflected through the 2nd to the 2015 curriculum. Service activity as a main domain organized firstly into the 7th curriculum, the basic spirit is continued from the 2nd curriculum and successively evolved to the 2015 curriculum. But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service activity was not defined clearly in the curriculum documents. And the objectives and contents of service activity revised a little bit formally without reasonable grounds. For the efficient implementation of service activity, national curriculum should present more reasonable standards for teachers and students. Also, it is needed to help the students to cultivate the community competency and spirit through the rich environments for the active service activity.

      • 문화예술 평생교육의 실천적 교수모형에 관한 소고

        김애령 ( Ai Lyoung Kim ) 대경교육학회(구 우리교육학회) 2013 교육학논총 Vol.34 No.2

        본 논문은 문화예술 평생교육의 실천적 교수모형에 관한 연구이다. 문화예술 교육과 평생교육의 관련성을 제도적, 구조적, 가치적, 실천적 측면에서 분석?조명하였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문화예술교육에서 추구하는 가치들이 수업장면에서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도록 평생교육사 양성과정에서의 문화예술교육방법론을 ADDIE 교수설계모형의 토대 위에서 설계?제시하였다. 체계적 교수설계모형의 개발은 학습자의 요구(need)를 반영하여 적절한 교수방법을 적용할 수 있 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며, 최적의 학습지원체제의 마련 및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유지를 위해서도 매우 필요하다. 이러란 맥락에서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이 평생교육과 어떠한 관련성을 가지며 어떠한 측면의 가치들을 공유하는가에 주목하고 문화예술교육과 평생교육의 연계성을 정책적, 구조적, 가치적, 실천적 측면에서 분석·조명하였으며, 나아가 평생교육사 양성과정에서의 문화예술교육의 구체적인 방법론을 ADDIE 설계모형 토대위에서 적용?제시하여 평생교육지도자들이 문화예술교육을 실천하는데 지침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In the context of times need which challenge to the creative-society and social realization of culture & arts education should be accomplished aslifelong education, the lifelong learning in our society has become one of main topic to changeover paradigm of culture-art education policy. Despite of inevitable relationship & closeness between culture-arts education and lifelong education, our culture-arts education has been used independently without any academic relations with lifelong education. And culture-arts education curriculum in the lifelong education training course have been conducted without having any kinds of educational standard. This study has focused on the relations between culture-arts education and lifelong education and the common value of both parts, also analyzed and illuminated relationships of both parts in political, structural and practical method. Moreover, has intended to suggest guideline of culture-art educational methodology to lifelong educational leaders by applying practical culture-art education methodology of lifelong learning course on ADDIE design model.

      • 학교 평생교육 활성화 방안 탐색

        박성순 ( Soung Soon Park ),이병환 ( Byung Hwan Lee ) 대경교육학회(구 우리교육학회) 2010 교육학논총 Vol.31 No.2

        이 연구는 학교 평생교육 활성화 방안을 다각도로 모색하고자 전라남도 13개 학교 현장에서 평생교육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교원들을 대상으로 2010년 9월 30일부터 10월 15일 까지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 문항에는 학교 평생교육 운영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학교 평생교육 운영상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밝혀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평생교육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학교시설을 학생들과 지역민이 함께 사용할 수 있는 학교 시설 복합화가 필요하다. 둘째, 학교 평생교육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지역교육청, 공공도서관, 주민자치센터 등 평생교육을 담당하는 유관기관과 협조하여 각 기관별 특성화된 프로그램을 특화하여 운영하는 것이 수요자의 선택을 도와주는 일일 뿐만 아니라 참여자 확보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학교 평생교육에 대한 다양한 홍보를 통해 학부모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의 주민들이 적극적으로 참여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향후 내실있는 학교 평생교육 운영은 지역사회 교육력 증진에 크게 기여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활성화 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aimed at suggesting the right direction in which the lifelong program should follow considering its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within arising needs. To activate of the lifelong education in school, it is important that we should know what kinds of the expectations and needs they have, the potential teachers and lecturers in lifelong education, and what kind of attitude do they have on problems and how to solve them. This survey was conducted on teachers and residents who have experience in lifelong learning. Questionnaires were used and collected results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 The findings from the study are listed below: Firstly, the downside to the lifelong program is caused by an insufficiency, in both quantity and quality, of the legal and institutional framework and its financial support. This results in a shortage of well-trained technical professionals and a lack of understanding in the residential community. Secondly, in managing lifelong education, various material resources and individuals should be used. Those involved should discuss ways to vitalize the lifelong program with the school as the center of focus. Finally, lifelong education in school must find the following solution: development of customized programs specific to region, construction of a regional network, and security of financial budgeting and human resources.

      • 교육과정 개념화의 이미지 유형

        이원희 ( Won Hee Lee ) 대경교육학회(구 우리교육학회) 2014 교육학논총 Vol.35 No.2

        교육과정을 개념화하는 양태는 다양한 수준을 넘어서 혼란스럽기까지 하다. 교육과정의 여러 가지 접근은 학문을 다채롭게 장식하는 효과는 있지만, 구성원 간의 의사소통을 어렵게 하고 교육과정 관련 교육공동체의 구심점을 상실케 하 며 교육 실제의 문제 해결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학 자나 교육자가 각기 자기의 관점에서 교육과정을 개념화하는 유형을 직선적, 상 관적, 대비적, 탈구조적 네 가지 이미지로 구분하여 정리한 것이다. 교육과정 개 념화의 이미지 유형 연구는 교육과정에 관한 각가지 복잡함과 다단함을 시각화 하고 교육과정 논의를 단순화하여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를 가속화하는 하나의 시도로 볼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find out the imagery types of curriculum conceptualization, and to review their characteristics for the curricular foundation of data visualization or information graphics(infographics) which "are graphic visual representations of information, data or knowledge intended to present complex information quickly and clearly"(wikipedia). As results of this study, they can be classified with four types of image on curriculum inquiry: liner, interactive, contradistinctive, and post-structural types. Liner type may be used to represent the data of systems approach or information processing model, and also visualize the prescribed ways of curriculum control in centralized system. Second, one of interactions or associations can be used to describe the work-specific area and overlapping domain between (or among) curriculum concepts and similar ones. Third, type of contrast which is based on the "binary oppositions or distinctions" may be argued with two different side of concepts. The last one is actually difficult to depict the image of concept because of the various approaches to criticize the curricular texts to understand. These findings may be utilize to sketch big data into classifying with four types of curriculum studies. Further to these ones, it is required to study visual tools to elaborate imagery types of curriculum conceptualization.

      • IB교육과정의 도입과 과제 -대구시교육청을 중심으로-

        신경애 ( Shin Kyungae ) 대경교육학회(구 우리교육학회) 2020 교육학논총 Vol.41 No.1

        한국은 급격한 국제 사회의 변화에 대응하고 미래 사회에 대비한 공교육의 혁신을 도모하고 있다. 이를 위해 최근 국내 학계와 현장에서 IB 프로그램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IB가 한국의 만성적인 주입식 교육의 폐해를 개선하고, 공교육 혁신의 성공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기 때문이다. 또한 2015년 개정교육과정이 추구하는 인간상과 핵심역량이 IB와 공유하는 부분이 많고, 교육과정-수업-평가의 연계를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이다. 이처럼 한국의 공교육의 변화, 교육 경쟁력 강화를 위해 주목을 받고 있는 IB의 도입과 과제에 대해 본 연구에서는 대구시교육청의 시도를 중심으로 탐구한다. 대구시 교육청은 2018년부터 본격적으로 공교육에서 IB 프로그램의 도입을 추진해왔다. 그 결실로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초등학교와 중학교가 2021년에 공립학교로서는 한국 최초로 IB 국제 인증교가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대구 지역의 교육풍토에 적합한 IB 프로그램의 안착방안을 모색함으로써, 한국의 교육과정 선진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특히 IB 프로그램에 관한 기대와 관심이 극대화된 이 시기에 본 연구는 글로벌 교육을 추진하는 동력으로 작용할 것이다. Korea is responding to rapid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and is promoting innovation in public education in preparation for the future society. To this end, research on IB programs has been actively conducted in domestic academia and in the field. This is because IB is expected to improve the harmful effects of chronic infusion education in Korea and contribute to the success of public education innovation. In addition, this is because the human character and core competencies pursued by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re often shared with the IB, and are thought to be an opportunity to strengthen the link between the curriculum-teaching-evaluation. As such, this study explores the efforts of the Daegu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on the challenge and tasks of IB, which are attracting attention to change public education in Korea and strengthen educational competitiveness. The Daegu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has been promoting the introduction of IB programs in public education in earnest since 2018. As a result,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became the first public schools in Korea to become IB international accredited schools in 2021.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the curriculum in Korea by finding a way to settle the IB programs suitable for the educational climate in Daegu. In particular, in this period when expectations and interest in IB programs are maximized, this study is thought to serve as a driving force for global education.

      • 창의적 체험활동과 방과후 학교

        조영남 ( Young Nam Cho ) 대경교육학회(구 우리교육학회) 2014 교육학논총 Vol.35 No.2

        이 연구는 창의적 체험활동과 방과후 학교의 변천과 성격 및 목표, 내용체계를 중심으로 양자 간의 관계를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창의적 체험활동은 나눔 과 배려를 실천하는 창의 인성 교육을 위해 기존의 특별활동과 재량활동을 통합 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신설되었다. 방과후 학교는 1995년 5.31 교육개혁안 에서 특기·적성 교육을 위한 방과후 교육활동이라는 이름으로 시작된 이후, 기존 에 사용되던 여러 용어들을 통합하여 2006년부터 방과후 학교로 공식화 하였다. 창의적 체험활동은 교과와 함께 정규 교육과정에 편제되어 있는 반면, 방과후 학 교는 정규 교육과정이 아닌 방과후에 이루어지는 활동이다. 초등학교에서의 창의 적 체험활동은 모든 학생들이 반드시 이수해야 하는 의무교육과 무상교육 차원에 서 이루어지고 있다. 반면, 방과후 학교는 학생들의 희망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루 어지며 실비의 교육비를 부담하여야 한다. 창의적 체험활동과 방과후 학교는 태 동 배경과 성격과 목표 및 내용 체계 등 여러 면에서의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개 성과 특기를 신장하고 자아실현의 기초를 형성하고자 하는 공통의 교육목표를 가 지고 있다. 창의적 체험활동과 방과후 학교가 대립이 아닌 상생의 관점에서 시너 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행, 재정적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historical changes, character, objectives and contents of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y and after-school.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y was newly introduced via integrating extra-curriculum and school discretion activity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fter-school was formalized in 2006 integrating the terms of after-school educational activity, special talents and aptitude education.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y was included in the formal curriculum with subjects. But after-school was not included in the formal curriculum.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y was implemented in a dimension of compulsory and fre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But after-school was implemented selectively according to the students``s hope and students have to pay the tuition. Like these,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y and after-school were different in many aspects. But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y and after-school have the common objectives to foster individuality and special talents, and form the basis of self-actualization. So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y and after-school were not in the positions of opposition but interaction.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s should be strengthened to demonstrate the synergy effects of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y and after-school.

      • 상황인지와 교사교육

        이원희 ( Won Hee Lee ) 대경교육학회(구 우리교육학회) 2012 교육학논총 Vol.33 No.2

        상황인지론은 인지가 인간 두뇌 내부의 작동을 넘어서, 상황과 더불어 상황 속에서 상황을 통해서 일어난다는 인지학설이다. 현행 교사교육의 문제는 학교 라는 상황을 비켜나 이론과 실제가 맞지 않은 교육을 하는 데에서 오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도제제도와 인지도제 이론은 상황인지에 적합한 교사교육을 실시하 려면 주목해 할 교육제도이며 이론이다. 교사교육이 상황인지 또는 상황학습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려면 교사교육은 학교 현장에서 도제교육과 같은 형태로 이루 어져야 한다. 그리고 학교를 중심으로 교사와 학생이 함께 하고 교원양성대학과 임용기관이 더불어 하는 새로운 교사교육의 공동체를 조성해야 한다. This article approaches problems of teacher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ituated cognition, such as apprentice-like education, apprenticeship, and cognitive apprenticeship. The theory of situated cognition has it that cognition takes place in, with, and through situation, whereas,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theory, cognition is a phenomenon occurring almost exclusively within the brain. Cognition or learning in everyday life occurs in the context of authentic activity of interactive participation. One of the serious problems in teacher education is that of the separation of theory from practice: i.e., teaching of teaching theory out of the situation of teaching. College professors transmit more often than not the theoretical knowledge without reference to the school practice, while participating school teachers tend to coach student teachers by experiential knowledge alone, without recourse to the theoretical updates in the college. Both the situation-free theoretical teaching in the college and the cognition-deficient practice teaching in the school contribute to the disappointing mediocrity of current teacher education progra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