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사상 : 대학 교양교육과 『논어』

        부남철 ( Nam Chul Bu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2 동양문화연구 Vol.12 No.-

        이 논문은 동양고전인 논어를 교양필수 과목으로 지정하고 교육해온 영산대학교에서의 교육 사례를 분석한 것이다. 이것은 대학의 인문학 교육에 있어서 현재까지 국내에서 유일한 사례이며 전통적인 학습방법을 대학의 강의실에서 적용하려고 했던 그 교육 방법에 있어서 실험적인 시도라고 할 수 있다. 필자는 먼저 대학에서 왜 논어를 교양과목으로 교육해야하는지 그런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 먼저 2가지 이유를 말한다. 모두가 인문학고전 교육이 중요하다고 동의하지만 목록만 추천할 뿐 실제로 그런고전을 읽게 하는 실제적 교육에 있어서는 관심을 두지 않았다는 상황에 대한 반성으로 시작되었고, 또한 논어 교육이 전통적 가치의 현대적 계승 발전을 중시하는 대학의 교육목적에서 설치되었다는 점도설명한다. 그러면서 논어 교육이 특히 인성 교육과 고전 학습을 통한지성의 함양이라는 목적이 있다는 점에 대해서 상술한다. 그러면서 논어가 위기지학의 인격수양을 강조하는 책이기에 그 교육에 있어서는 자율적인 인격 수양을 형성하는데 도움을 주는 점에 역점을 두어야하며 논어라는 책이 단지 진부한 고전이 아니라 현실의 삶 속에서 여전히 살아있는 지혜의 보고임을 학생들에게 이해시키는 작업이 중요함을 역설한다. 강의 방법에 있어서는 조선시대와 같이 논어 본문에 토를 붙여서 읽게 할 것인지, 집주까지 소개할 것인지와 같이 논어를 대학 강의실에서 학기단위로 강의할 때 고려해야 하는 문제들에 대해 서술한다. 그런 다 음에 논어 교육에 필요한 교재를 소개한다. 조선시대에 간행된 논어언해로부터 현대의 다양한 논어 역주서를 소개하고 논어 교육과 학습의 변천사를 설명하면서 이런 자료들을 논어 교육에 어떻게 참고할 것인지를 모색한다. 이어서 1997년부터논어를 교육해온 영산대학교에서의 교육과정과 교육 사례를 분석한다. 논어와 동양고전 관련 과목의 개설과 운영과 그 변천에 대해 서술하면서 현재 논어의 교육 비중은 개교 당시와 비교해서 절반으로 축소되었지만 그것이 동양고전 관련한 다양한 과목으로 분화되었다는 점을설명한다. 이런 논어에 대한 강의 평가가 교양필수과목이지만 결코 다른 과목에 비해서 낮지 않았다는 사실도 소개한다. 그러면서 논어강의가 영산대학교에서의 인문학 교육의 상징적 과목으로서 실제적인 교육성과를 거두었고, 대학에서의 동양고전 교육의 한 모범적 사례가 되었다고 평가한다. This is a case study of the liberal arts education at Youngsan University that has offered required courses on the Analects of Confucius to its undergraduate students. This program has been unique among Korean colleges and universities, and it represents an experimental effort to bring the traditional education approach to a modern classroom. Only a small number of traditional Confucian academies and institutes for East Asian Classics translation continue the traditional teaching program. Thus, the program at Youngsan University even sparked some controversy among some faculty and students. Here I first elucidate on the goals of teaching the Analects of Confucius in Youngsan University. They include "encouraging being an educated gentleman," providing timeless values from the East Asian classics, and basic knowledge of the Confucian classics and traditional culture of Korea. Other parts of the paper deal with the teaching methods of the Analects in the classrooms, and various editions of textbooks on the Analects. The Analects has been an integral part of the liberal art curriculum at Youngsan University since 1997, but its importance has declined somewhat as there are critics who opposed the teaching of the Analects as a requirement. On the other hand, we have been able to develop teaching methods on the Analects developed, and more courses are now offered on the related field of East Asian Classics. Although it was a requirement, course evaluations by students have been quite favorable. In the end, the teaching of the Analects can be considered a success, and it represents one of the exemplary humanities courses on the East Asian classics.

      • KCI등재

        『대학(大學)』청송장(聽訟章)의 이해-이천과 주자를 중심으로-

        황태현 ( Hwang Tae Hyun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6 동양문화연구 Vol.24 No.-

        본 논문은 유가의 핵심경전인 『大學』 聽訟章에 관한 연구다. 『大學』은 『中庸』과 함께 『禮記』의 한 편에서 독립된 경전으로 송대 성리학자들에 의해 본격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大學』에 대한 성리학자들의 관심은 古本 『大學』의 차서에 대한 의문으로 발전했고, 북송의 程明道와 程伊川 형제는 각자의 철학적 이해에 근거해 改本을 남긴다. 이후 주자는 『대학장구』를 지으면서 정이천개본 『大學』에 근거했다고 스스로 밝히고 있다. 정이천개본 『大學』과 주자의 『大學章句』는 기본적인 차서와 체열에 있어서는 대체로 일치하지만, 聽訟章에 있어서는 차이를 보인다. 정이천과 주자는 "格物致知"를 『대학』의 핵심으로 보고 있다는 점과, 청송장을 본말에 대한 해석이라고 보고 있다는 큰 틀에서 맥락을 같이 한다. 그러나 그들은 청송장과 격물장의 차서에 있어 다른 관점을 보이는데, 이 문제는 본말과 格物致知를 어떤 관계로 볼 것인가로 연결된다. 정이천은 청송장과 격물장을 연결해 하나의 장으로 봄으로써 격물치지의 핵심이 본말을 아는 것에 있다는 관점을 밝혔고, 주자는 청송장을 經과 傳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대학』이 經과 傳이라는 형식, 그리고 內聖外王이라는 내용이 본말의 구조를 지니고 있음을 밝히고자 했고, 또한 청송장만으로는 격물치지의 의미를 충분히 밝히지 못하고 있다고 보고 보망장을 지어 격물치지의 의미를 보다 선명하게 설명하려 한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chapter of preside at lawsuit in The Great Learning, one of core Confucian classics. The Great Learning is a classic separated from The Book of Rites along with The Doctrine of the Mean and started to attract full attention from Neo-Confucian scholars in Song Dynasty. The interest of Neo-Confucian scholars in The Great Learning evolved into their question about the order of its old texts. The Cheong-Ming-Dao and Cheng-Yi-Chuan brothers of Northern Song Dynasty left a changed version of its texts based on their respective philosophical understanding. Zhu-Xi confessed that his Embodied in The Great Learning was based on Cheng-Yi-Chuan`s version of The Great Learning. There is a match in the basic order and system between Cheng-Yi-Chuan`s version of The Great Learning and Zhu-Xi`s Embodied in The Great Learning, but they differ in the chapter of preside at lawsuit. Cheng-Yi-Chuan and Zhu-Xi are in the same line in major aspects that they regarded "studying the phenomena of nature in order to acquire knowledge" as the essence of The Great Learning and considered the chapter of preside at lawsuit as interpretations of whole course of an event from beginning to end. They, however, show different perspectives with regard to the order of chapter of preside at lawsuit and that of studying the phenomena of nature, which is connected to a question about relations between the whole course of an event from beginning to end and studying the phenomena of nature in order to acquire knowledge. While Cheng-Yi huan connected both the chapters, regarded them as a single chapter, and argued that the essence of studying the phenomena of nature in order to acquire knowledge lied in knowing the whole course of an event from beginning to end, Zhu-Xi placed the chapter of preside at lawsuit between the classics and commentaries on classics and demonstrated that the form of The Great Learning in the classics and commentaries on classics and the content of sagely within and kingly without had the structure of whole course of an event from beginning to end. In addition, he believed that the chapter of preside at lawsuit would not be enough to figure out the meaning of studying the phenomena of nature in order to acquire knowledge and wrote the chapter of Bu-wang to elucidate its meaning more clearly.

      • KCI등재후보

        대학생들의 한식, 중식 및 일식에 대한 선택속성, 전통적 고유성 및 만족도에 관한 비교연구 ― 부산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

        이미옥 ( Lee Mi Ock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6 동양문화연구 Vol.25 No.-

        K-Drama와 K-Pop은 세계화에 성공했지만 K-Food는 세계화에는 다소 미흡한 실정이다. K-Food가 세계인들에게만 인기가 부족한 것이 아니라, 한국인에게도 인기가 부족하다. 특히 젊은이들에게는 외식을 할 경우 우선순위에서 양식, 중식, 일식에 밀린지 오래되었다. 많은 한식에 관한 음식축제에도 불구하고 한식이 세계화되지 못한 것은 한식이 고유성을 지나치게 고집한 나머지 한국인은 물론 세계인의 입맛을 맞춰내지 못해 보편화를 이루지 못했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젊은이 중에서 부산지역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식, 중식 및 일식에 대한 선택속성, 식단의 특성에 대한 이미지 및 식단이용의 만족도를 비교분석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 대학생들의 한식, 중식 및 일식에 대한 선택속성, 식단의 특성에 대한 이미지 및 식단에 대한 만족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을 검정한 결과 대학생들은 한식이나 중식은 물론 일식을 선택할 때 맛이나 차림새 때문에 선택하는 것은 아니며, 중식은 향, 색, 메뉴의 다양성, 영양의 풍부, 웰빙건강식단, 입맛에 맞기 때문에 선택되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한식, 중식 및 일식별 식단의 특성에 대한 차이검정을 한 결과, 식단의 전통적인 고유성에 대해서는 중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보았을 때 한국의 대학생들은 각국의 식단의 특성에 대해서는 한식, 중식, 일식 간에 뚜렷한 특징적인 차이점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다. 가설은 부분적으로만 채택되었다. 이러한 결과가 시사하는 바는 한국의 기성세대들과는 달리 젊은 대학생들은 한식에 대한 선호도가 높지 않으며, 배달음식으로 많이 접하게 되는 중식이 의외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젊은 대학생들은 편리하게 배달되는 음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K-food) is thought to be rather unsuccessful compared to that of K-drama and K-pop. In fact, K-food is unpopular not only among the people around the world, but also among the Korean people. Korean food has been ranked lower than western, Chinese, and Japanese food as an option to dine out, especially among young generations. The failure of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in spite of numerous food festivals regarding Korean dishes, is thought to be caused by somewhat tenacious persistence on the uniqueness of Korean food, which leaded to the generalization of it towards the people outside Korea rather unsuccessfu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erform comparative analysis on college students in Busan area for their choice attributes o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food, their impression on the nature of the menu and their satisfaction level on each type of food. The following hypothesis was proposed. Hypothesis: There will be a meaningful difference on college students` choice factor, impression, and satisfaction level o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food. After carefully testing the hypothesis, we found that the taste or the plating of the dish was not the decisive factor when making a choice among Korean, Chinese and Japanese food. Chinese food was chosen because of its diverse flavor, color and menu, rich nutrition, well-being healthy diet, and appetite of college students: therefore, we concluded that Chinese food fits Korean college students` appetite. Additionally, whe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food were used to test difference, Chinese food showed the highest traditional uniqueness on its menu. Overall, it seemed like Korean college students had no distinctive difference over Korean, Chinese, and Japanese food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menus. The hypothesis was only partially adopted. What this result implies is that, unlike the older generations in Korea, the younger people have a weaker preference on Korean food, and surprisingly favorable evaluation on Chinese food, a common delivery food, which shows college students` preference on conveniently delivered food. Although there are Korean restaurants with delivery service, they are not as common as Chinese restaurants, which leads to lower preference on Korean food over Chinese food. Moreover, the result showed quite different evaluation on Japanese food from common sense on it, presumably because of the huge restriction of the Japanese food consumed by college students and its inconvenient nature of delivery.

      • KCI등재
      • 일반논문 : 국내 입법학 연구동향과 교육방안

        심우민 ( Woo Min Shim ) 영산대학교 법률연구소 2014 영산법률논총 Vol.11 No.2

        입법학 연구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가 국내에서도 상당기간 동안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아직까지 입법학은 확고하게 정립되었다기보다는 지속적인 발전과정을 거듭하고 있는 새로운 학문분야라고 할 수 있다. 한국사회의 민주화 및 의회정치의 정상화는 사회 구성원들로 하여금 입법의 문제에 관심을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그 결과 입법학 연구 및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과 관련하여 이 논문은 이제까지 한국의 입법학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입법학 교육을 위한 대응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특히 2013년부터 덕성여자대학교에서 개설 및 운영되어 온 “입법전문가 양성 특성화 사업” 참여 경험을 토대로 입법학 교육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였다. 또한 현실적인 차원에서 입법학 교육을 위한 교육기관을 새롭게 개설하는 논의에 앞서 입법학 콘텐츠의확보와 기존 교육기관에서의 입법학 교육을 선행할 필요가 있다는 점도 주장하였다. Although discourses that “legislative studies” as an academic field are necessary have taken a long time, it is still accepted that legislative studies are not the firmly established academic field but continuously developing one in Korea. democratization and normalization of parliamentary politics make the society take a profound interest in legislative studies. In this respect, this article examines the research trends of legislative studies till now, and suggests alternatives for the legislative education. Especially, detailed methods and modules are explained on the basis of experiences from Duksung Women’s University’s educational project for legislative experts. Additionally, this article insists that it should be preliminarily considered to prepare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normalize the legislative education in existing educational system rather than to establish new institutions for legislative education.

      • KCI등재

        일반논문 : 학용소고(學庸小考) -『대학(大學)』과 『중용(中庸)』의 몇 가지 문제에 대한 논의-

        서대원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2 동양문화연구 Vol.10 No.-

        본 논문에서는 『大學』과 『中庸』과 중용에 대한 다음 몇 가지 문제를 고찰하였다. ① 도대체 『大學』과 『中庸』이 동아시아 지성사에서 왜 중요한가? ② 저작 시가는 대체로 언제인가? ③ 저자는 누구인가? ④ 기본내용 사상 기조는 무엇인가? ①에 대해서는 중국 경학사를 통해 『大學』과 『中庸』과 중용이 동아시아 지성계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살펴 보았다. ②에 대해서는, 기존의 여러 주장과 자료를 검토하여 『大學』과 『中庸』의 저작시기에 대한 의견을 밝혔다. ③에 대해서는, 『中庸』은 子思作 이란 전래 주장이 여전히 유효함을 밝혔고, 『大學』에 대해서는 단지 대략적인 시기와 학파만을 살펴볼 수 있었다. ①②③과 출토문헌 등을 근거로 『大學』과 『中庸』의 사상기조를 살펴 보았다.

      • KCI등재

        일반논문 : 명명덕(明明德)을 통해서 본 인식과 실천의 합일

        이연정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5 동양문화연구 Vol.20 No.-

        대학 첫머리에 제기된 명명덕(明明德)은 위학(爲學)의 기본적 수양공부이다. 여기에서 주목할 점은 명명덕(明明德)은 수양공부의 범주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본체, 심성론상의 의미까지 관통하고 있어 주자 철학의 특징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에, 명명덕(明明德)을 본체, 심성, 수양공부의 세 가지 각도에서 해석함으로써 주자 철학의 특징을 도출하는데,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인식과 실천공부의 합일을 이루었다는 것이다. 필자는 명명덕(明明德)에 대한 주자의 해석에 근거하여 명명덕(明明德)을 본체, 심성, 수양공부의 세 가지 각도에서 서술하는데, 나아가, 격물치지, 정심성의를 위한 경(敬), 이 두 가지로 그 의미를 전개하여 결국 주자철학의 목표인 지행합일 추구를 본 밝히는데, 그 의의를 둔다. 본 논문의 대강은 다음과 같다. 우선은 대학에서 제기된 명명덕의 의미를 살펴봄으로써 그 함의를 살펴보는데, 명덕은 허령하여 어둡지 않은 천리가 그대로 발현되는 상태로 본체로서 하늘이 명하여 얻은바 그 자체이고, 이 본연을 그대로 내재화하여 인간의 본성을 확립하며, 이 명덕이 가려지지 않도록 지켜나가는 과정이 수양공부임을 관철시킨다. 명명덕의 인식과 실천과정에 대해 검토하면서 자연히 수양의 실재 공부처(工夫處)이자 주체인 “심”의 지각, 주재 작용을 강조하며, 명덕을 온전히 발현하여 사물의 이치를 지각하고 참 지식(眞知)을 얻는 심의 인식지각작용과 이를 기준으로 실천공부를 해나가는 심의 주재능력을 제시하여, 공부로 연결시켜간다. 다음으로는 명명덕의 공부방법에 대해 검토하는데, 심의 인식지각능력이 발휘되는 공부인 격물치지와 심의 주재능력이 발휘되는 정심성의로 설명하고, 나아가 실재 일용공부로서의 “경(敬)공부”로까지 확대하여 서술한다. 마지막으로는 명명덕을 통해 드러난 인식과 실천의 결합을 통해 “지행합일”이라는 목표를 완성하는 주자 철학의 특징을 재조명한다. 在≪大學章句≫提出的“明明德”是指基本的修養工夫。 在這註意的是, 明明德不局限修養工夫的範疇, 而貫通本體, 心性方面, 通透朱子哲學的特征。 因此, 對“明明德”通過本體、心性、修養工夫的角度的解釋來突出朱子哲學的特征, 在這註重的是在於認識與實踐工夫之合壹。筆者根據對於“明明德”朱子的解釋, 從本體、心性、修養工夫的角度來論述,進壹步展開格物致知、正心誠意之“敬”工夫, 終於歸結到“知行合壹”。 本論文的意義在於證明是朱子修養工夫的目標就認識與時間工夫的結合卽“知行合壹”。本論文的大致如下:首先, 討論在≪大學≫提出的“明明德”的含義, 從本體、心性、修養工夫的角度來探求內涵。 “明德”是指發現虛靈不昧的從天命來賦予的本然狀態, 直接內在化成爲人性, 堅持保存本然狀態, 爲充分發現“明德”本然, 存天理, 滅人欲就是修養工夫。其次, 討論“明明德”的認識和實踐過程, 以修養的落實到工夫處的同時, 主體“心”的知覺、主宰作用, 論述心與明明德之間的關系。再次, 討論“明明德”的功夫方法, 擴展到認識與實踐對待的工夫方法, 以認識工夫要求發揮認識心“格物致知”、以實踐工夫要求發揮主宰心“正心誠意”及“敬”工夫, 提示具體的日用實踐工夫。最後, 通過“明明德”表現出的認識和實踐的結合, 考察朱子哲學的特征“知行合壹”。

      • KCI등재
      • KCI등재후보

        學庸小考 — 『大學』과 『中庸』의 몇 가지 문제에 대한 논의 —

        서대원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2 동양문화연구 Vol.10 No.-

        본 논문에서는 『大學』과 『中庸』과 중용에 대한 다음 몇 가지 문제를 고찰하였다. ① 도대체 『大學』과 『中庸』이 동아시아 지성사에서 왜 중요한가? ② 저작 시가는 대체로 언제인가? ③ 저자는 누구인가? ④ 기본 내용 사상 기조는 무엇인가?①에 대해서는 중국 경학사를 통해 『大學』과 『中庸』과 중용이 동아시아 지성계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살펴 보았다. ②에 대해서는, 기존의 여러 주장과 자료를 검토하여 『大學』과 『中庸ㅍ의 저작시기에 대한 의견을 밝혔다. ③에 대해서는, 『中庸』은 子思作이란 전래 주장이 여전히 유효함을 밝혔고, 『大學』에 대해서는 단지 대략적인 시기와 학파만을 살펴 볼 수 있었다. ①②③과 출토문헌 등을 근거로 『大學』과 『中庸』의 사상기조를 살펴 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