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일반산업단지 입주기업들의 단지환경 만족도에 관한 연구 : 포항4, 왜관일반산업단지(추가단지 1단계)를 사례로

        황치일 영남대학교 산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47

        It was in the 1960s when Korea's full-scale industrialization began that the development system of industrial complexes was introduced to smooth the supply of industrial lots, react to the rapid growth of demands for industrial lots, and promote the efficiency of land use. The supplier-oriented system, however, has failed to make elastic reactions to changes to the user-oriented industrial environment. Thus there have been demands for the improvement of the system. This study set out to take a survey among the tenant companies of two general industrial complexes in Gyeongbuk established since 2000 according to the laws and guidelines for industrial complexes, investigate and analyze their satisfaction level with complex environments according to the infrastructure and other major elements from their perspective, and propose improvement plans. The analysis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enant companies were mostly satisfied with the industrial complexes in terms of location and area. Second, their satisfaction level with the roads and ramps on the sites of the industrial complexes was favorable. However, many of them voiced their opinions about the narrow road width on Pohang 4 General Industrial Complex due to the frequent passage of large-size vehicles, which raises a need to reflect those complex characteristics when planning a road scheme in future. Third, there were many responses about the small areas of parks and green spaces and about the improper location of Waegwan General Industrial Complex(Addition 1), which calls for a need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level with parks and green spaces. Fourth, most of the tenant companies were satisfied with the supporting facilities in terms of location and area, but many pointed to a need for public and work supporting facilities of the supporting facilities types. Thus, it is required to consider essential supporting facilities types in the planning stage. And, finally, they turned out to take into account traffic, infrastructure, closeness to concerned companies, and linking effects when selecting a factory lot, which means those elements should be considered when setting up plans to increase satisfaction with industrial environments. Based on those analysis results, the following improvement plans were proposed to increase satisfaction with industrial environments: ① They should consider the complex characteristics such as location and types of business when planning a road; ② They should present a clear set of criteria for the types and formation of parks so that the tenant companies can practically use parks and green spaces; ③ They should prescribe regulations about essential supporting facilities to promote living convenience and welfare for tenant employees; ④ They should set up an institutional device to reflect the users' opinions into the plans of parks, green spaces , and supporting facilities; and ⑤ They should establish a realistic public transportation plan for its greater convenience to vitalize industrial complexes and increase tenant companies' satisfaction level. 우리나라 산업단지 개발제도는 산업화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1960년대 이후부터 산업용지 공급의 원활화를 통하여 산업용지 수요급증에 대처하고 토지이용의 효율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도입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공급자 중심의 개발제도는 수요자 중심의 산업환경 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어 산업단지 개발제도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산업단지 관계법령 및 지침 등에 따라 2000년 이후 계획되어 조성된 경북지역 2개 일반산업단지 입주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개발시 고려한 기반시설 등 주요 계획내용을 입주후 기업들의 관점에서 단지환경 만족도를 조사하여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산업단지 입지와 면적은 대체적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산업단지 내 도로와 진입도로의 연계성 만족도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도로폭은 포항4일반산업단지의 경우 대형차량 통행이 빈번하여 좁다는 의견이 많아 단지특성을 반영한 도로계획의 필요성이 제기 되었다. 셋째, 공원ㆍ녹지의 면적에 대하여 좁다는 응답이 많았으며, 왜관(추가1)은 위치가 부적절하다는 응답이 많아 공원ㆍ녹지의 만족도 제고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지원시설의 위치나 면적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지원시설 유형중 공공시설, 업무지원시설 등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아 계획시 필수 지원시설 유형에 대한 고려도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공장용지 선택시 고려하는 사항은 교통 및 기반시설, 관련기업과의 인접성과 연계효과로 조사되어 단지환경 만족도를 높이기 위하여 계획 수립시 이에 대한 고려도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에 따른 단지환경 만족도 개선방안을 정리해 보면 ① 도로의 경우 계획시 산업단지 입지 및 유치업종 등 단지특성을 고려한 계획수립 필요, ② 공원ㆍ녹지의 경우 입주기업들이 실제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공원 유형이나 조성형태에 대한 명확한 기준제시, ③ 지원시설의 경우 필수 지원시설에 대한 규정을 마련하여 입주 근로자의 생활편익 및 복지 증진을 도모, ④ 공원ㆍ녹지 및 지원시설 계획시 수요자의 의견이 반영될 수 있는 제도적 장치 마련, ⑤ 대중교통의 편리성을 제고하기 위한 현실적인 대중교통계획 수립을 통해 산업단지의 활성화 및 입주기업의 만족도 제고이다.

      • 산업용지개발에서 산업단지 수법과 제2종지구단위계획 비교 연구

        김현철 영남대학교 산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47

        There are several ways to construct an industrial lot to build a factor in a non-urban area including an industrial complex by the Industrial Location Act, agricultural and industrial complex, Second District Unit Plan(industrial) by the Land Planning Act, and individual factories whose size is smaller than the scope of development acts in the area. Given that the ultimate goals of building a factor in a non-urban area match the implementation results whatever the method is, there is a need to reduce confusion with the system operation and social conflicts to the minimum by unifying the planning criteria. Thus this study was conceived and conducted. Despite the detailed criteria of the Individual Business Act, the system of the Second District Unit Plan has been rigid in its operation around the establishment criteria by the types according to the Guidelines for the Second District Unit Plan. As a result, there appeared irrationality and confusion with its implementation, and its original goal of controlling reckless development went off track. Today it serves as a regulation to inhibit development itself, which is clearly a misguided service. The professionals in the field accordingly regard the Second District Unit Plan as an unnecessary procedural obstacle and try to avoid it as much as possible, which reflects the status of the Second District Unit Plan today. Thus the study examined the methods of industrial lot development and its system, analyzed each of their cases, identified problems with the methods, and proposed directions for improvement. The directions for improvemen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decisive power of the Second District Unit Plan should be expanded to include local autonomous bodies and to cut down the time for overlapping administrative procedures. Secondly, the criteria of land use planning and infrastructure expansion should be unified between industrial complexes and the Second District Unit Plan(industrial) in their applications or flexible in their operations according to different business characteristics. Finally, the scope of free reversion of public facilities should be made clear and the subjects of management should be stipulated to improve management and operation and minimize damage to tenant companies. The study has its limitations even though it compared the methods of industrial complex development and the Second District Unit Plan(industrial); its analysis concentrated on the problems of the Second District Unit Plan(industrial); it failed to suggest the specific scope of decisive power of district unit planning to be commissioned to local autonomous bodies; it did not analyze the fitness of scope merely pointing out differences in the installation criteria between industrial complexes and district unit plans. Those reflect the very poor content arrangement as well as limitations with data gathering. However, the study results based on the investigator's experiences with the limitations of the laws and systems and the irrationality of operation will hopefully provide a base for improving the guidelines and operational issues that require urgent enhancement and identifying more fundamental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with the systems. 비도시지역에서 공장건립을 위한 산업용지를 조성하는 방법에는 『산업입지법』에 의한 산업단지, 농공단지, 『국토계획법』에 의한 제2종지구단위계획(산업형) 그리고, 용도지역별 개발행위규모 이하로 개별공장을 설립하는 방법이 있다. 어떠한 방법으로 산업용지를 개발하든 비도시지역에 공장건립을 한다는 궁극적 목표와 시행결과가 같다는 점에서 계획의 기준을 통일하여 제도 운용상의 혼란과 사회적 갈등을 최소화 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에서 본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제2종지구단위계획 제도가 개별사업법에 의한 세부기준에도 불구하고 『제2종지구단위계획 수립지침』상의 유형별 수립기준을 중심으로 경직되게 적용되어 시행상의 불합리와 혼란이 발생하고 무질서한 개발억제라는 초기목적을 벗어나 개발자체를 억제하는 규제로 오작동하고 있으며 이러한 결과 총체적으로 제2종지구단위계획을 일종의 불필요한 절차적 걸림돌 정도로 이해하고 가능한 한 피해가고자 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 실제 현장에서 인식되고 있는 제2종지구단위계획에 대한 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업용지 개발수법의 제도적 고찰부터 산업용지 개발 수법별 사례분석을 통한 산업용지 개발방법의 문제점과 앞으로의 개선방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개선방향을 요약하면 첫째, 제2종지구단위계획의 결정권을 기초자치단체로 확대 위임하여 중복 진행되는 행정절차 기간을 단축하고, 둘째, 토지이용계획의 기준과 기반시설확보기준을 산업단지와 제2종지구단위계획(산업형)에 통일하여 적용하거나 사업특성별로 탄력적으로 운용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셋째, 관리·운영의 개선방향으로 공공시설 무상귀속의 범위를 명확히 하고 관리주체를 명문화 하여 입주기업 피해를 최소화 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산업단지개발 수법과 제2종지구단위계획(산업형)을 비교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제2종지구단위계획(산업형)의 문제점에만 치중하여 분석하였고, 지구단위계획 결정권을 기초자치단체에 위임할 범위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하였으며, 산업단지와 지구단위계획의 기반시설 설치 기준의 차이점만 지적하고 그 규모의 적절성을 분석하지 못하였다는 점이다. 이는 자료취득의 한계와 함께 내용정리에 있어서도 많이 미흡한 결과라 하겠다. 하지만, 일선에서 법·제도의 한계와 운영의 불합리에 부딪치며 겪은 경험을 바탕으로 한 본 연구가 우선 시급히 개선될 필요가 있는 지침이나 운영상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보다 근본적인 제도상의 문제나 개선을 이끌어 낼 수 있는 밑바탕이 되었으면 하는 작은 바람이다.

      • 연약지반상에 합리적인 구조물 구축 방법에 관한 연구

        김현태 영남대학교 산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31

        This study conducted to check the reasonable construction of structure on the soft ground by comparison of gethering data from 5 field cases. It is important that the selection of the best ground improvement method for resonable construction of structre on the soft ground. In the case the depth of the soft ground is shallow(depth of up to 5m), it is effective to replace the soft ground with material of good quality or to minimize the problem of a settlement by pre-loading method. For a deep depth of the soft ground, it is available to apply pre-loading with vertical drain method for sortening of consolidation time and increasing of shear strength. The case of appliation of vertical drain method, an engineer should be determined residual settlement including secondary consolidation settlement which is generally not reflected until nowadays. It is also need to prevent the additional displacement of soft ground beneath structre due to pumping of adjacent ground water. When the depth of the soft ground is shallow and the relatively fine condition, it is useful to build into shallow foundation(direct foundation) in the optimum depth. But if the structre load is relatively heavy comparing with bearing capacity of soft ground and the depth of soft ground is thick (more than 20m), we have to apply deep foundation. If you apply the deep foundation method, you should be choose structre load, point bearing pile or friction pile considering bearing stratum, structre load, and soil properties. Dynamic compaction method for improvement of soft ground for prevention of liquifaction is also available, when the ground consist of loose course soils with depth of less than 10m. 연약지반상에 합리적인 구조물 구축을 위해서는 지반개량공법 을 면밀히 검토한 후 적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추가적으로 지반조건에 따른 합리적인 기초의 타설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며 다양한 문헌과 현장사례를 검토하여 연약지반상에 합리적인 구조물 구축 방안에 대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연약지반 심도가 약 5m∼10m 로 얕은 경우는 연약지반을 양질의 재료로 치환하하거나 선행하중재하(Pre-Loading)공법을 적용하여 공용기간중 지반의 변위, 손상 등에 따른 문제를 최소화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대심도의 연약지반의 경우는 연직배수공법을 적용하여 배수거리를 현격히 줄여 압밀촉진과 강도증가를 유발시켜 구조물 구축이 가능한 지반 강도를 단시간 내에 확보 하여 공기를 단축시키고 공사비를 절감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세립분의 함량이 적은 조립토로 구성된 10m이하의 사질토지반의 경우는 다짐효율이 증대된 장비 및 햄머를 이용한 다짐공법을 적용하여 개량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액상화, 침하, 전단변형등의 문제를 개선시키는데 유용하리라 판단된다. 압밀 개량공법에 의한 지반개량을 수행 할 경우에는 현재 국내 설계에서는 고려하지 않고 있는 creep 변형에 기인한 2차 압밀침하량을 포함하여 잔류침하량이 허용침하량(10cm) 이내에 있도록 조치 할 필요가 있다. 연약지반상에 구조물 축조시 그 하부지반을 합리적으로 개량하는 것도 중요하나 인근에서의 양수(pumping)등으로 추가변위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도 필요하다. 연약지반의 심도가 얕고 비교적 촘촘한 모래층 또는 굳은 실트 및 점성토층이 존재할 경우 적정깊이(동결심도이하, 침하발생깊이이하, 팽창이나 수축의 영향을 받지않는 깊이이하)에 얕은기초(확대기초)를 설치한다. 단 그 하부에 연약한 점성토층이 깊은심도까지 존재할 경우에는 상부하중이 비교적 작다면 연약한 점토층에 근접하지 않은 위치에 확대기초를 설치 가능하나 상부하중이 크다면 깊은기초(말뚝)를 타설하여야 한다. 연약지반의 심도가 비교적 깊고 굳지않은 점성토 및 느슨한 모래층이 존재하며 상부의 대규모 구조물 설치시에는 치환공법 및 진동다짐공법을 이용하여 개량한 후 얕은기초(확대기초)의 설치가 가능하다. 단 대심도의 연약지반 하부에 암반층이 존재하거나 중간심도에 굳은 점성토층 및 촘촘한 모래층이 존재할 경우에는 말뚝기초를 암반까지 타설하거나 현장타설말뚝을 중간심도까지 타설하여야 한다.

      • D광역시 도심지역 배전전력설비 님비현상 해소 사례 분석 연구

        김주복 영남대학교 산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31

        In the modern society we may have difficulty in living satisfactorily and face the severe aspect as well, if the electricity doesn't supply any parts in a harmonious manner. Nowadays, many people recognize the electric supply facilities as disgusting ones because they think it could do harm to the beauty of city and cause discomfort in walking on the street in the central district and dense housing area. In such a reason, people require continuously that the facilities of electric supply are enabled to be transferred to another place . Especially, settled in the center of the D road in the D metropolis, the electric-distributing boxes (the underground outfits as means of electric supply) are required to be moved from seller close to here for a long period. Therefore, the up-to-date electric power transmission station was brought so as to dissolve their dissatisfactions. Now, we are to cross-correlate expenditure, mainly organized factors, the merits and demerits about mechanical method of the electric power transmission station. In addition we are to scrutinize expenditure of the individual facilities according to overhead facilities, underground facilities and electric power transmission station before the explanation of the mechanical method of the electric power transmission station brought in D road zone initially. No matter how it might give tiny help, we are going to help others from the preparation for a construction work to the completion of it when they try to construct the facilities in this way in other metropolis. When it comes to the selection of the measure how to set up the facilities on the ground or not, after buying the surrounding building, one of the biggest problems is the outbreak of people's dissatisfaction. So, it's very significant core that the agencies concerned and the shopping center cooperation comprise the committee and then keep intense relationships mutually.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hat it is more favorable to set up the electric power transmission station on the ground after purchasing the building. Moreover, it appeared that 95% of the sellers who suggested requests were tenants as the result of an opinion poll carried out after construction being completed. the biggest their complaints were the profit loss and passing over the road inconveniently owing to the long span of the construction. In such a respect, a small amount of complaint was included respectively in all items of the poll despite construction which is aspired for as well as is invested in lots of money and labor. In the near future, we'll be struck in the state of having no choice but to search for the epoch-making alternatives on account of the high environmental concerns of people and the limitation of the present electric power supply method to keep pace with individualistic thought. As the expectations of service and the electric power qualities are growing gradually, we need to get the smart grid accompanied with IT technology and diverse electric power transmission station in the central district and dense housing area. We have to keep track of the development of the electric outfits in harmony with the environment in the electric power distribution field and the study of the method of electric supply strenuously. End. 현대사회에서 전기가 없이는 잠시도 불편하여 생활하기 힘들며 산업분야 등 전력을 사용하는 어떤 분야도 전력공급이 원활하지 않으면 심각한 국면에 직면하게 된다. 대도시 도심지나 주택밀집지역은 통행불편과 도시미관 저해 등을 이유로 전력공급설비에 대해 혐오설비로 인식하여 설치 거부 및 이설 요청 민원이 끊이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D광역시 D도로의 도로 중앙에 설치된 배전박스(전력공급용 지상기기) 이설요청을 주변 상인들이 수년간에 걸쳐 제기해 옴에 따라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선진화된 지중배전스테이션 공법을 도입하게 되었다. 그래서 배전전력공급설비에서 가공설비와 지중설비 그리고 배전스테이션 공법에 대한 개요, 주요 구성요소, 장단점 그리고 소요예산을 상호 비교분석한다. 또한, D도로에 최초로 도입한 지중배전스테이션 공법에 앞서 가공설비로 공급시, 지중설비로 공급시 그리고 지중배전스테이션으로 공급시에 따른 각 설비별 소요예산을 상호 비교 분석한다. 그러므로 타 대도시 도심지역 배전스테이션 공법으로 공사할 경우 업무추진에 참고할 수 있도록 준비에서 완공까지 조금이나마 도움을 주고자 한다. 배전스테이션 공법 적용 중 인근 건물을 구입하여 지상에 전력기기를 설치하는 방안과 지하에 전력기기를 매입하는 방안을 선택하는데 있어 가장 큰 문제가 민원발생이므로 사전에 관련기관들과 상인연합회 등이 협의체를 구성하여 긴밀한 협조체제를 구축하는 것이 원활한 공사추진의 핵심이다. 본 연구결과는 건물 구입후 지상배전스테이션 설치가 유리한 것으로 예측되어진다. 배전스테이션공사 구간 내 인근 상인들을 대상으로 공사완료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95(%)가 세입자 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큰 불만은 공사기간이 길어 통행불편 및 영업 손실로 인한 것이 대부분이었으며 이로 인해 많은 예산과 인력이 투입되어 그토록 원하던 공사였지만 모든 설문조사 항목에 조금씩 불만이 내포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국민들의 환경에 대한 높은 관심과 개인주의적 사고 편향으로 기존의 전력공급방안으로는 전력사업이 한계에 도달하여 획기적인 대안을 찾지 않을 수 없는 여건이다. 또한 전력품질과 서비스에 대한 기대수준이 점점 높아지고 있어 대도시 번화가나 주택 밀집지역의 전력공급설비에 대한 다양한 배전스테이션이나 IT기술이 접목된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 등을 필요로 한다. 또한 지속적인 전력공급방안 연구와 배전분야에 소요되는 환경조화형 전력공급설비 기자재 개발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끝.

      • 토오크 로드 부시 러버 최적의 디자인으로 인한 성능 내구 향상

        조재천 영남대학교 산업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31

        고무 재료는 금속 또는 세라믹 소재와 달리 초탄성을 가진 특수 소재이다. 남미와 동남아시아에서 자연적으로 생산되는 천연고무와 석유화학 산업의 한 분야로 생산되는 합성고무로 나눠진다. 여러 첨단 사업(IT, NT, ET, BT등)과 자동차, 반도체 등 국내 주력 수출산업 및 실버 산업의 핵심 부품을 공급하는 주요 산업이다. 국내 고무산업은 규모는 세계 4~5위 정도이나 기술력으로 볼때 많이 뒤쳐져있다. 고무 전문 연구소 부재등의 고무기술 개발의 Infra 부족, 기술개발력과 인력이 부족하며 3D업종으로 분류되어 선호하지 않는 산업으로 불리어진다. 또한 고무제품의 설계 및 평가기술이 약하여 배합기술 및 고무관련 Data Base가 대대적으로 구축되어 체계적인 개발기술력이 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최대한의 비선형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대형트럭 및 버스의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토오크로드 부시 러버를 해석하여 고무 부품의 설계를 체계화 하고자 한다. 따라서, 기존 벤치마킹으로 제작되어 개발의 대부분을 시행 착오에 의한 경험적 수법이나 반복적인 실험을 통해 설계되었던 토오크로드 러버부시를 유한요소 ANSY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Recycle Design을 실시하여 기존 제품의 피로파손 원인을 규명하는 동시에 피로내구력을 향상시키는 개선활동을 하고자한다. 토오크로드 러버부시(TORQUE ROD RUBBER BUSH)의 기능은 대형 트럭 및 버스의 Chassis에서 Body로의 진동및 충격 흡수를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BUSH의 형상은 단순하면서도 Torsional 방향, Radial 방향, Conical 방향, Axle 방향에 다양한 차량 NVH(Noise Vibration and Harshness)를 만족해야하는 특성을 요구하고 있다.

      • 심가공용 BTA 드릴의 최적 절삭조건에 따른 수명 평가에 대한 연구

        서장훈 영남대학교 산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31

        BTA (Boring and Trepanning Association) 가공이 보편화 되면서 대체 에너지산업, 조선, 원자력 그리고 열교환기 산업에서 더욱 우수한 가공성과 수명을 요구하게 된다. 특히 항공기 산업과 원자력 발전 산업에서는 시장에서 흔히 사용하지 않는 난삭재를 적용하게 되면서 더욱 깊어진 가공과 더불어 지속적인 수명 증가와 가공성을 요구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사용하고 있는 심공가공 드릴의 종류 및 특징을 알아보고, 최근 수요가 조금씩 늘어나고 있는 난삭재의 절삭 조건에 따른 drill 수명 영향에 대하여 실험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 공동주택 소방안전 개선에 관한 연구 : 건축허가 소방동의 과정을 중심으로

        박영준 영남대학교 산업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31

        공동주택 소방안전 개선에 관한 연구 - 건축허가 소방동의 과정을 중심으로 - 朴 昤 俊 嶺南大學校 産業大學院 産業安全學科 産業安全 專攻 要 約 본 논문은 공동주택의 건축허가 과정의 소방동의 처리시 소방안전 확보에 대한 연구이다. 건축허가 동의의 요건인 소방관련법에서 정한 내용의 검토만으로 건축물의 화재안전성에 대한 확인이 이루어졌다고는 할 수 없다. 소방시설 등의 설치와 더불어 건축물의 구조적인 방재대책과 피난방화시설, 소방활동상의 문제점 등 화재위험영향 요소에 대한 모든 사항이 사전에 고려되어야 한다. 대구광역시에 위치한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건축허가 동의업무의 처리 실태조사와 문제점을 발굴하고 개선사항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건축허가 소방동의업무 담당공무원의 전문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소방공무원 중 국가기술자격 및 이공계 학위 취득자로 인력풀 제도를 활용하고, 장기적으로 소방기술직 등 별도 채용이 바람직하다. 2) 건축허가 동의 검토범위가 확대되어야 한다. 소방동의 요건으로 소방관련법에 국한하지 않고 건축물의 위치․구조․설비에서부터 피난․방화 기준과 소방활동상의 문제점을 검토하고 안전이라는 대전제하에 모든사항을 다루어야 한다. 3) 피난․방화시설의 적극적인 검토로 건물구조적인 방화대책을 개선시켜 나가고, 초고층 건축물에 대한 소방관련법의 제정이 필요하다. 4) 공동주택 단지에 대한 소방차량 진입과 화재진압상 필요한 소방활동상 문제점은 사전에 검토 보완되어야 한다. 5) 공동주택 소방시설 등의 적용과 설치는 합법성 보다는 합목적성 위주로 검토되어야하고 장기적으로 초고층 및 대규모 건축물에 적합한 소방시설의 개발이 절실하다. M. S. Thesis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Fire Safety for Apartment buildings ( Focused on the Process of Concent for building Permit of fire safety ) Yeong-Jun Park Department of Industrial Safety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Science & Technology Yeungnam University ( Directed by Professor : Kwang-Sik Lee ) Abstract This is a study on security of fire safety given dealing with the fire-fighting consent in the building permit process of apartment buildings. Fire safety of buildings cannot be said to have been confirmed just with examination of the contents, which were prescribed by the fire-related Act, which is the requisite for the building permit consent. All matters need to be considered in advance on influential elements of fire risk such as problems about the structural disaster prevention measure in buildings, the refuge & fire protection facility, and the fire-fighting activity along with the installation of fire facility. It surveyed the actual condition of handling the building permit consent service and excavated problems targeting apartment buildings where is located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findings on improvement are as follows. 1) Professionalism of civil servant in charge of the building permit fire consent service needs to be secured. It is desirable to utilize manpower pool system with people who acquired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and the engineering academic degree among fire officials and to employ separately fire-fighting technical post in the long term. 2) There is a need of being expanded the range of examining the building permit consent. There is a need of examining the refugee․fire prevention standard and problems in light of fire-fighting activity from the location․structure․equipment without being limited to the fire-related Act as the requisite for the fire consent. 3) There is a need of proceeding with improving the buildings structural fire-prevention measure as the positive examination of the refugee․fire prevention facilities and of enacting the fire-related Act on a high-rise buildings. 4) There is a need of examining and supplementing in advance the problems about fire-fighting activity necessary for the enter of fire-fighting vehicle into the apartment buildings complex and for extinguishing the fire. 5) The application and installation of the apartment buildings fire-fighting facilities need to be examined centering on rationale rather than legality. There is a need of desperately developing the fire-fighting facilities proper for high-rise and large-scale buildings in the long term.

      • 전기화재원인분석 및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김홍조 영남대학교 산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31

        전기화재는 전기제품 또는 전선에서 발생된다. 전기제품에서 화재원인 이라면 화재원인 부위를 규명해야 할 것이다 보편적으로 스위치 결함 절연접지, 설계불량등을 들을 수 있다 또한 전선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다면 전선의 피복의 노후로 인한 합선 , 단락 등의 원인 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인분석을 위하여 화재현장의 보존과 당시 화재 현장을 재구성하여 원인을 규명하여야 하며 이에 따른 예방대책으로는 전기배선, 스위치, 접속기구 등은 항상 절연을 확인하고 전동기 등의 전기기구는 정상적인 상태에서 운전을 하며 단락이나 기타 이상 사태가 발생하였을 때 과전류를 즉시 차단할 수 있는 배선용 차단기 등을 설치한다. 개폐기를 불연성의 외함 내에 내장시키거나 통형 퓨즈 사용변압기는 가능한 한 독립된 내화구조의 변전실에 설치하거나, 다른 건물에서 충분히 떨어진 장소에 설치해야 할것이다 이와 병행하여 유아기부터 조기안전교육의 강화와 전기기기 사용증가에 따른 전기화재예방에 대한 지속적인 홍보가 필요하다 Electrical fire usually comes from electrical appliances or wires. When it comes to the fire cause from electrical appliances, it is imperative to find out the where the fire came from. Generally, the major causes are referred to be defectives of switch, ground insulation, and design. If the fire cause is thought to be derived from the wire, the major causes are referred to be short circuit by aging of wire coating. For the efficient cause analysis of aforementioned problems, it is important to keep the fire scene intact, and find out the cause by reorganizing the scene by the time. Further, it is required to double check if the wires, switches, connectors are properly insulated, and to operate the electricalappliances such as motor in appropriate condition, and to set up molded case circuit breaker for blocking excessive current when unusual problems such as short circuit occur. In addition, it is desirable to install the switch inside the incombustible box, and to erect cartridge-fuse transformer in the independent fireproof substation or in the building secluded from others. Along with the said instructions, it is indispensible to expand safety education since childhood, and to continue public relations for the prevention of electrical fire by the increased use of electrical applia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