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 노인간호요양시설의 질 관리 지표 (QMI) 개발

        조혜숙 ( Hye Sook Cho ) 연세대학교 간호정책연구소 2006 간호학탐구 Vol.15 No.2

        우리나라의 고령화 속도는 저출산 현상과 맞물려 매우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다. 심신의 장애로 거동이 불편한 장기요양보호대상 노인과 여성의 사회진출, 핵가족화로 가족의 돌봄을 받을 수 없는 노인들에게 가정을 대신할 수 있는 시설이 필요하게 되었고 이러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가 노인요양시설에서의 보호이다. 2007년 노인요양보장제도를 도입하고자 하는 현 시점에서는 시설 인프라 구축을 위한 소규모 노인간호요양시설의 확대 보급과 질적 관리가 더욱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소규모 노인간호요양시설을 운영, 관리하는데 가이드를 줄 수 있는 구체적인 질적 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노인간호요양시설의 질 관리 지표(Quality Management Index, QMI)를 개발하였다. 노인간호요양시설의 질 관리 지표 개발을 위한 1단계 연구방법은, 문헌 고찰과 본 연구자의 시설운영 경험을 토대로 7개 차원, 38개 구성요소와 162개 예비 질 관리 지표를 도출하였고, 3차에 걸쳐 전문가집단의 내용타당성 검증과정을 거친 후 최종 7개 차원, 39개 구성요소와 148개의 지표를 개발하였다. 최종 개발된 한국 노인간호요양시설 질 관리 지표는 환경 차원, 직원 차원, 지역사회연계 차원, 분위기 차원, 간호 차원, 의사소통 차원, 거주자 만족도 차원으로 각각 하위 구성요소와 지표로 분류되어 있다. 본 연구는 노인간호요양시설의 질 관리를 위한 7개 차원과 39개 구성요소에 해당되는 148개 노인간호요양시설 질 관리 지표(QMI)를 개발함으로서 향후 노인간호요양시설의 질 평가도구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또한 노인간호요양시설을 개설할 때나 운영 시, 질적 관리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는 지침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향후 노인간호요양시설 인프라가 확충되었을 때 본 연구자의 질 관리 지표를 토대로 표준화된 질 관리 지표나 질 평가 지표를 개발하여 객관적으로 노인간호요양시설의 질적 수준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것을 제안한다. Purpose: Expecting a new system of nursing security for elderly in operation in 2007, a substantial expansion of nursing facilities for elderly and quality management of those facilities are imperative now. Therefore, specific quality management measures or schemes which could be used for the operation of small-scale nursing homes are in urgent ne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Quality Management Index(QMI) to guide Nursing Home management. Method: This study developed a QMI for small-scale nursing homes, which focused on quality management in structural dimensions such as environment, staffs, local community network, atmosphere, and quality management in process dimensions such as nursing, communication, resident satisfaction. The QMI developed in this study is based on extensive of nursing home operation. Result: A preliminary index for quality management of small-scale nursing homes had been derived from document study and management experiences. It had 7 dimensions, 38 components, and 162 indexes. By three times validity tests of experts subsequently, the final QMI consists of 7 dimensions, 39 components and 148 indexes. Conclusion: Having Developed a QMI for small-scale nursing home with 7 dimensions, 39 components and 148 indexe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in developing more elaborated quality evaluation tools for nursing homes, and also function as a practical guide of quality management for those who are opening and managing nursing homes. I hope this quality index could lead to further development of a standardized quality management index, and eventually contribute to quality improvement of nursing homes.

      • 간호과정 임상적용을 위한 지식관리시스템 개발 연구

        김정애 연세대학교 간호정책연구소 2001 간호학탐구 Vol.10 No.1

        본 연구에서는 지식관리시스템을 적용하여 환자특성, 관련요인, NANDA 간호진단, 간호중재분류, 간호결과분류 및 간호전문가의 지식 등을 이용한 간호과정 지식관리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시스템의 임상적용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스템 접속빈도와 사용자 만족도를 조사하였고, 사용자가 시스템을 사용하면서 입력한 자료를 분석하여 시스템의 실용성을 평가함으로써 임상에서의 간호과정 적용과 간호의 질 향상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이론적 기틀은 전문가, 지식관리시스템, 사용자를 연계한 지식생성, 지식저장, 지식고유/사용 등의 지식관리 기능을 적용하여 도출하였다. 지식관리시스템의 개발에 관한 연구와 스프트웨어 공학의 전통적인 수명주기를 근거로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지식요건 상세화 단계에서는 지식분류체계, 지식지도, 지식베이스 설계 및 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결과 및 간호진단 전문가 지식에 대한 컨텐츠를 개발하였다. 2000년 6월 15일부터 8월 14일까지 2달 동안 조사지를 이용한 297명의 실제 환자의 임상사례로 간호진단 규칙을 도출하여 간호진단 전문가 지식을 수출하였다. 기술구조확정 단계에서는 Windows NT2000, MS-SQL, Web Server, Compaq Proliant 5500을 이용하여 A.S.P.로 Web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기술구조를 확정하였다. 지식베이스 개발 단계에서는 지식베이스 관리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UI 개발 단계에서는 사용자를 위한 환경을 구축하였다. 구축된 간호과정 지식관리시스템이 연구목적에 부합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2000년 10월 29일부터 11월 11일까지 2주동안 가상의 자료로 시스템 구축환경하에서 시스템을 검증하였으며, 11월 12일부터 11월 16일까지는 인터넷상에서 검증하였다. 개발된 간호과정 지식관리시스템의 임상적용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해 본 시스템을 홈페이지에 개설하고(http://www.nursingprocess.com) 2000년 11월 17일부터 12월 7일까지 3주동안 Web상에서 설문조사를 하여 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책임간호사, 수간호사로써 본 시스템을 사용한 51명의 사용자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5점 척도의 Likert scale에 의한 평가에서 정확성/신뢰성이 3.82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웹사이트(3.78), 편의성(3.74), 기준문항(3.72), 능률성(3.61), 시스템 개선(3.32) 및 형식/충분성(3.23) 순이었다. 사용자들이 시스템 사용에 대해 만족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이를 통해 간호과정 지식관리시스템의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시스템을 사용하면서 저장한 110예의 임상사례에 대한 간호진단·간호중재 ·간호결과 자료를 분석한 결과 간호진단 규칙이 있는 34개 간호진단에서 총 416건의 자료 중 단 6건만이 간호진단 규칙에 해당되지 않는 자료로 나타나는 등 간호과정 지식관리시스템이 간호과정에 대한 지식관리를 잘 수행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lthough the importance of the nursing process has been emphasized, teaching methods for clinical application of the nursing process are very limited. In order to increase clinical application of the nursing process, a Knowledge Management System for the Nursing Process was developed It includes patient characteristics, 'related' factors, NANDA nursing diagnoses, Nursing Intervention Classification(NIC), Nursing Outcome Classification(NOC) and knowledge of experts in nursing. In order to improve quality of nursing, validity of the clinical application of the system, frequency of the system access, and end-user satisfaction was ascertained. The development of the Knowledge Management System followed the existing steps of software engineering. In the first stage, content in relation to the knowledge classification system, knowledge map, knowledge-base design, nursing diagnoses, nursing interventions, nursing outcomes and the expert's knowledge of nursing diagnoses were developed. In the stage for decisions on technical structure, a knowledge repository was built up with MS-SQL under the operating system of Windows NT 2000. Decisions on technical structure were made so as to provide a system to end-users with Web Server, Compao Proliant 5500 using the web program A.S.P. In the stage of development of the knowledge base, the Knowledge-base Management System was developed, and in the stage of development of the User Interface, the environment for end-users was established. In order to examine the validity of clinical application of the Knowledge Management System of Nursing Process a homepage at http://www.nursingprocess.com was opened and the developed system was installed. Fifty-one users of this system participated in analysis of end-user satisfaction. The results showed that accuracy/trustworthiness of the system had the highest average score at 3.82. Website(3.78), user friendly(3.78), standard inquiry item(3.72), and efficiency(3.61) also showed high satisfaction scores. Finally, in the analysis of data on nursing diagnoses, nursing interventions and nursing outcomes of 110 cases used by the system users, only 6 cases were found to have violated the rules of nursing diagnos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Knowledge Management System of Nursing Process met the teaching objectives.

      • 국내 만성질환 관리 간호연구 동향

        박영주,한금선 연세대학교 간호정책연구소 2002 간호학탐구 Vol.11 No.2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1990년 이후 보고된 만성질환 관련 간호 연구 검토를 통해 만성질환자 관리를 위하여 시도된 간호중재들을 검토함으로써 향후 만성질환자 관리를 위한 간호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최종 분석에 포함된 연구는 만성질환 개념의 연구 85편, 고혈압 연구 47편, 당뇨 연구 63편, 관절염 연구 58편이었으며, 분석 기준은 만성질환, 고혈압, 당뇨, 관절염 연구 별로 연구대상, 연구설계, 관련 개념 및 간호중재의 4가지 틀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만성질환자 간호중재연구의 연구 설계는 만성질환 연구의 14.1%(12편), 고혈압 연구의 55.3%(26편), 당뇨연구의 33.3%(21편), 관절염 연구의 17.2%(10편)가 실험 설계로 수행되어 간호 중재의 효과를 검증할 수 있는 실험 연구가 요구되는 실정이었다. 중재 연구에서 주로 이용된 간호중재의 전략은 운동, 교육, 효능증진, 자가간호, 이완, 지지 등의 방법을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동안의 국내 만성질환 연구들은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대상자 또는 대상자를 돌보는 가족을 대상으로 만성질환 관리와 관련되어 개인자원으로서는 강인성, 대처, 자기효능, 통회적지지, 가정간호의 개념을 다룬 것으로 보인다. 만성질환자 대상자의 반응으로는 심리적 반응으로는 자존감, 우울, 스트레스 개념을, 신체적 반응으로는 통증, 신체기능의 개념을, 사회적 반응으로는 가족기능의 반응을 다룬 것으로 나타나며, 이러한 반응의 결과로는 삶의 질의 개념을 측정하고 있다. 미래 보다 체계적인 만성질환자 간호 중재 연구를 위해서는 간호중재별 효과 검정 변수의 반봅연구를 통한 경험적 지식의 축적 및 간호중재별 효과 측정 변수 개념의 조작화(operationalization)의 다양성을 지양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각 중재 프로그램과 관련하여 기본 공통 속성을 파악하고 이를 통하여 표준화된 간호중재가 개발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flect the trends of nursing research on chronic illness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future nursing research on the management of the patients with chronic illness in Korea. The criteria of analyzing the research was the research subjects, the key concepts, and nursing interventions on chronic illness used in articles published in each nursing journal of seven branches of Korea Academic of Nursing, Master Thesis, and Dissertation from 1990 t0 2002, in Korea. This study analyzed 85 chronic illness, 47 hypertension, 63 diabetus mellitus(DM), 58 rheumatic arthritis(RA)articles as the study subject. There were experimental design in 12 (14.1%) of chronic illness articles, 26(55.3%) of hypertension articles, 21(33.3%) of D.M.articles, 10(17.2%) of RA articles as the study design. As the key concepts for research variables, there were studied self-efficacy(23), self-care activity(20), family support(13), compliance(11), depression(11), quality of life(9), and so on. Prevailing strategies for nursing intervention were exercise, education, promoting-efficacy, self-care, relaxation, support, and so on. According to the above findings, the domain of personal resources were hardness, coping, self-efficacy, health belief, self-care, self-control, and health related knowledge, and the domain of social resources were social support, family support, and home health care. The responses of chronically ill patients were included psychological responses (self-esteem, depression, stress), physical responses(pain, physical function), and social responses(family function). Also the concept of life was major outcome variable in the nursing research on the management of the patients with chronic illness.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replication to establish the effect of nursing intervention and operationalization for outcome variables. Al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standardized nursing intervention on each type of disease for advanced management of he patients with chronic illness in Korea.

      • 제왕절개산모의 가정간호서비스 이용시 비용절감 효과 분석

        조원정,김미정 연세대학교 간호정책연구소 2001 간호학탐구 Vol.10 No.1

        본 연구는 제왕절개술 후 산모가 지출하는 직접의료비용 뿐 아니라 간접의료비용, 보호자 상주시에 따른 기회비용을 산출함으로써 가정간호서비스 이용시 비용절감효과를 밝히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훈련된 가정간호사가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하여 입원과 퇴원시, 가정방문시 자료를 수집한 것으로 최종 분석 대상자는 각각15명씩 총 30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를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x2-test로 분석한 것으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병균간호산모군은 평균 8.1일 입원하여 직접의료비용으로 1인당 평균 303,526.5원, 가정산호산모군은 평균 6.0일 입원하여 1인당 평균 242,136.7원을 지불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병원간호산모군과 가정간호산모군의 입원에 따른 부대비용은 교통비, 식비, 기타비용의 세 측면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359). 보호자 상주시간을 조사한 결과, 병원간호산모군은 1인당 평균 123.3시간, 가정간호산모군은 1인당 평균 91.1시간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359) 보호자 상주시간에 따른 기회비용을 산출하기 위하여 직업을 가진 보호자의 상주시간을 조사한 결과, 병원간호산모군은 1인당 평균 79.4시간, 가정간호산모군은 1인당평균 36.7시간 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37) 보호자 상주시간에 따른 기회비용을 산출하기 위하여 직업을 가진 보호자의 상주시간을 조사한 결과, 병원간호산모군은 1인당 평균 79.4시간, 가정간호산모군은 1인당평균 36.7시간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20). 병원간호산모군은 1인당 평균 517,959.6원, 가정간호산모군은 1인당 평균 23,409.5원의 보호자 상주시간에 따른 기회비용이 산출되었다. 병원간호산모군의 총의료비용은 925,060.1원, 가정간호산모군의 총 의료비용은 566,538.2원으로 산출되어(p=0.006), 제왕절개술 후 가정간호를 받는 산모의 경우 1인당 358,531.9원의 비용절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본 연구는 농촌지역으로 국한되어 있으므로 도시지역을 대상으로 한 반복 연구를 제외한다. 이를 통해 농촌지역과 도시지역의 의료비용에서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가정간호사업의 객관적인 평가와 함께 활발한 전개를 뒷받침하기 위하여 DRG와 연계되어질 수 있는 가정간호사업에 대한 의료비용분석에 대한 연구를 제언한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각 질병별 가정간호를 받은 군과 병원간호를 받은 군을 대상으로 전국규모의 비용효과 산출을 위한 연구를 제언한다.

      • 전문 간호사 제도 현황 및 발전 과제

        김미원 ( Mi Won Kim ) 연세대학교 간호정책연구소 2006 간호학탐구 Vol.15 No.2

        본 글은 90년대 초부터 정책을 추진한 결과 2000년도에 이르러 법제화되기 시작하여 2006년 첫 시험을 통해 전문간호사를 배출하기까지 전문간호사 제도화의 경과를 정리하고 현황을 확인 한 후 미래 방향을 짚어 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이와 같이 전문간호사 제도의 중요한 사항들에 대한 그동안 정책적 추진 경과를 검토하여 보는 것은 현재 전문간호사의 정착과 발전에 요구되는 많은 과제에 대한 해결방향을 찾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구체적 내용으로는 전문간호사 관련 법령의 변화, 전문간호사 분야의 변화, 전문간호사의 자격, 전문간호사 역할 및 직무, 전문간호사 교육, 전문간호사 시험에 대해 정리하였다. 논의에서는 이와 같은 경과를 정리함에 따라 확인된 문제와 앞으로 정착하고 발전해 나가기 위한 추후 발전과제와 방향을 짚어 보았다. Since a policy of Advanced Practice Nursing was proceeded from the beginning of the 1990s, it started to be legally institutionalized in 2000 and advanced practice nurses were finally produced through its first examination in 2006. This study aimed to arrange the development of institutionalization of Advanced Practice Nursing so far and conform its present condition so as to examine its future course. It`s expected that reviewing on the development in policy so far for important factors of Advanced Practice Nursing would be of help to find a solution to many assignments needed for the settlement and development of current Advanced Practice Nursing. This study specifically arranged a change of relative laws of Advanced Practice Nursing, change of the relative field, qualifications for Advanced Practice Nurse, roles and duties of the job, Advanced Practice Nurse education and examinations. From the discussion, this study arranged this development so as to examine the confirmed matter, further assignments for development and courses to be settled and developed in the future.

      • 한국간호교육제도의 현황,문제점 및 전망

        이향련 ( Hyang Yeon Lee ) 연세대학교 간호정책연구소 2006 간호학탐구 Vol.15 No.2

        최근 보건의료환경은 저출산 고령화로 인해 인구구조가 변화하고 있으며 질병의 구조 및 이에 따른 의료수요도 변화되고 있다. 그러므로 질병치료중심 의료서비스 요구보다 비건전한 생활습관을 배제하고 건전한 생활습관의 변화로 질병을 예방하고 조기 발견, 치료하며 건강을 유지, 증진시킬 수 있는 건강관리 체계로 전환되고 있다. 보건의료제도에서 가장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간호사를 교육하는 교육제도 역시 현 시대에 맞도록 변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시점에서 한국간호제도의 현황을 확인하고 문제점과 전략을 제시하는 것은 의미있는 일이라고 본다. 간호교육제도의 문제는 3,4년제 이원화, 간호사 학사학위 다원화제도, 의료법에 전문간호사의 역할 규명 부재, 간호교육기관 양적 팽창에 따른 질적 저하의 문제가 제기된다. 이에 대한 전략은 첫째, 간호학의 입학수준은 학사수준으로 일원화한다는 정책으로 의료법(간호사법)에 학사학위자에 한해 간호사 면허시험을 볼 수 있다는 내용을 삽입할 필요가 있다. 둘째, 간호사 학사학위 제도의 다원화로 간호학문의 정통성에 문제를 초래 할 수 있으므로 표준화된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일정한 질적통제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간호평가원의 기능을 활성화하여 양적으로 팽창한 간호 교육기관의 질적 통제를 철저히 한다. 넷째, 전문간호사의 역할을 의료법에 삽입한다. 다섯째, 전문 영역별 의료인간에 전문 간호분야의 역할규명에 대한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여섯째, 타학문 전공자의 N.D.(Doctor of Nursing)프로그램을 고려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간호협회나 학회에서 제도적 연구가 필요하다 Current Korean health care environment such as low birthrate and aging changes a population structure and health care needs. Rather than medical services for treatment of diseases, health care providers have focused on 1) disease prevention by encouraging healthy life style, 2) early identification of disease, and 3) health maintenance and promotion. These movements demand changes in the nursing education system. Therefore, we evaluated current Korean nursing education system, found problems and proposed strategies. Problems in the nursing education system are; 1) a dual education program (3-or 4-year system), 2) varieties of contents of Registered Nurse-Bachelor of Science in Nursing (RN-BSN) programs, 3) confusion of nurse practitioners` role, and 4) decrease in quality of education due to the quantitative extension of nursing institutes. The strategies we are proposing are; first, the dual nursing education system should be united into the 4-year Bachelor program and the qualification for the Korean nurse license examination should be bachelors as a statement in the medical law. Second, a standardized nursing program for quality assurance is needed because varieties of contents of Registered Nurse-Bachelor of Science in Nursing (RN-BSN) programs may mislead about nursing identity. Third,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should play an active role to maintain and control quality of nursing institutes. Forth, roles of nurse practitioners should be stated in the medical law. Fifth, communications among health professions about roles of a nursing profession are necessary. Sixth, Doctor of Nursing (ND) program for other professions should be considered. Korean Nurses Association or Korean Society of Nursing Science should conduct research for this.

      • Theory : The Newman Systems Model

        김선아 ( Sun Ah Kim ) 연세대학교 간호정책연구소 2006 간호학탐구 Vol.14 No.2

        Neuman의 이론은 인간을 스트레스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기본욕구 충족에 중점을 두어 체계적인 접근을 시도하는 것이다. 스트레스의 원인은 확인될 수 있고, 간호중재를 통해서 이를 제거할 수 있다고 Neuman은 믿었다. Neuman은 대상자의 문제를 확인하고, 목표를 설정하며, 간호중재로써 예방 개념을 활용하는 전체 과정을 통해 인간의 기본욕구가 충족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본 이론은 다양한 문화권에 살고 있는 사람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수준의 보편성과 추상성을 갖고 있을 뿐 아니라 간호중재를 통해서 문제에 대한 처방을 내릴 수도 있다고 인정받고 있다. The Neuman Systems Model has extended nursing science as a needs and causality-focused framework. From this model, nurses consider the client to be a wholistic individual who reacts to stressors. Also Nurses would predict the outcomes of interventions to strengthen the lines of defense against stress. Neuman`s model is useful not only in the acute critical care area because of the focus on achieving regaining, and maintaining system stability, but it is also useful in community health situation because of its focus on prevention. Neuman`s model has been used widely in nursing education and nursing practice. Although the Neuman model is not testable in its entirely, it gives ideas to hypotheses that are testable in research. As as result, it has been used as a conceptual framework broadly in nursing research.

      • 세계화와 간호사의 해외취업

        송지호 ( Ji Ho Song ) 연세대학교 간호정책연구소 2006 간호학탐구 Vol.15 No.2

        간호의 세계화 목표는 우선 세계인의 건강을 증진시키고 많은 많은 국가의 간호사들 간에 간호지식과 경험을 공유하기 위함이며 간호과학을 향상시켜 지구촌 모든 사람들에게 그 혜택을 주기 위함이다. 세계화 시대를 살아가는 간호사들은 경영마인드와 과학적 지식, 윤리적 관심, 정보기술혁명 등에 관한 지식과 기술을 겸비하고 사고와 언어에 있어 개방적이고 유연해야 하며 문화적 관심을 가짐으로서 세계화에 동참할 수 있다. 최근 전 세계적인 간호사의 부족현상으로 인해 국제적으로 간호사의 국가 간 이동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미국에서의 심각한 간호사 부족현상은 한국간호사들의 해외취업 활성화를 시키는 동인이 되고 있다. 한국간호사가 해외취업을 원하는 국가는 미국을 비롯한 영어권 국가이다. 그러나 한국간호사들이 미국병원에서 적응하는 과정 중 가장 큰 장애는 언어장애와 실무능력차이, 문화적 차이, 그리고 인간관계 양상의 차이로 겪는 어려움이다. 우리 간호사들이 해외취업을 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장애요인을 극복할 수 있는 대책이 있어야 한다. 따라서 언어능력과 실무능력, 문화적 적응능력이 향상되고 영주권 취득에 필요한 비자스크린 등이 해결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을 서두르는 일이 무엇보다 시급하다고 생각된다. International trade agreements are impacting on nursing. Nursing is becoming global profession, so nurses need to be responsive to practice globally. Goals for globalization of nursing are to improve the health of people in the world and to share nursing knowledge and experiences among nurses across countries and to advance nursing science and art to benefit the people in the global village. A shortage of RNs exists in countries throughout the world. The primary receiving countries are U.S, Australia, Canada and U.K. The effects of migration on donor countries include the loss of skilled personnel and economic investment, receiving countries receive skilled nurses to fill critical shortages with less economic investment But nurses migrates to seek better wages and working conditions than in their native countries. Most of Korean nurses want to work in the U.S. When Korean nurses work in the hospital setting in the U.S, the language barrier was a problem faced by them. They faced problems of a difference of nursing practice and cultural difference,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the stage of adjustment. This shows some kind of programmes should be developed to facilitate and solve Korean Nurses` adjustment to USA hospital in the future.

      • 오마하 시스템(OMAHA SYSTEM)를 이용한 지역사회 주민들의 건강관리 요구조사

        조원정,유일영,채선미,함옥경,서구민 연세대학교 간호정책연구소 2002 간호학탐구 Vol.11 No.1

        최근 우리나라는 경제·사회적 발전, 인구구조의 변화, 그리고 질병양상의 변화에 따른 국민 건강요구의 증가를 경험하고 있다. 국민의 건강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지역주민의 요구에 근거한 보건사업의 제공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고위험 집단의 건강문제, 만성질환관리, 영유아보건, 정신보건, 가족문제, 자녀문제, 노인문제, 일상생활습관 및 영양, 운동 등의 건강관리뿐만 아니라, 사회, 경제적 문제와 환경문제 등을 포괄하는 종합적 가족사정이 필요하다. 특히 스스로 건강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는 소외계층을 우선 순위로하여 필요하다면 가정방문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주민의 건강요구와 건강문제를 규명하는데 있어 오마하 분류체계의 적용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한 것으로 서울시의 한 개 등을 선정하여 주민들의 건강문제와 건강요구를 파악하였다. 간호대학 연구자들과 마포구 보건소 간호사가 합동 연구팀을 구성하여, 사업계획 수립 및 방문간호사들을 등기화시키기 위한 모임을 가졌고, 지역사회 지도자들 만나 연구 목적을 설명하여 정보수집을 위한 협조를 얻었다. 훈련된 공공근로 방문간호사 11명이 표준화된 도구를 이용하여 서울에 위치한 1개동 주민 총 1,499세대 4,024명에 대한 건강실태 및 건강관리요구조사를 하였으며, 자료수집도구로는 가족건강기록부, 연령별 건강력 조사지(임부, 산모, 신생아, 영유아, 성인용), 간이치매 사정도구(65세 이상), 및 방문간호서비스 요구 조사지가 이용되었다. 지역사회 내 가족 간호문제는 오마하 진단체계를 이용하여 빈곤, 주거환경 불량, 지지자원의 부족, 정서적 불안정, 부적절한 건강관리, 통증, 물질남용의 위험성 등의 간호진단이 도출되었다. 도출된 간호진단에 근거하여 건강교육, 건강증진 및 환경개선을 위한 프로그램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한국에서 지역사회주민의 건강요구를 규명하기 위해 오마하 분류체계를 이용하는 것은 적절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The advancement of medical science, improved economic status, demographic transition, and changes in disease patterns have changed the expectations and demands of health and quality of life of people. Health promotion and prevention of illness are important aspects of public health. Provision of comprehensive health services tailored to the target community is required to many community health center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feasibility of utilizing the OMAHA classification system to identify community health needs and health problems. The joint research team was organized by nurse educators and public health nurses at one community health center. From the beginning, frequent meetings were held to motivate public health nurses which was the key to success of this problem. A workshop for community leaders and stakeholders was held to gain cooperation for data collection. A survey of households was conducted to assess family and personal health history, and visiting nursing service needs. Trained eleven visiting nurses conducted data collection through home visiting. A total of 4,024 community residents from 1,449 households reside in one district of Seoul participated in the survey. Instruments used for the study include family health record, health history record for each age group, and requests for specific visiting nurses service. Using OMAHA system, seven community diagnosis were drawn. They were poverty, poor living conditions, lack of community resources, emotional instability, inappropriate management of health problems, pain, and high risk of substance abus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appropriate to use OMAHA classification system in identifying community health needs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