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一般系 高等學校 컴퓨터 敎育의 現況 및 改善方案 : 麗水市 一般系 高等學校 中心으로

        김흥용 麗水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9663

        Present society is a knowledge-bases information society. In a society like this, there is a new trend that various methods of education using computer and computer-related information are widely performed, and a lot of active researches to support the trend is required. So, there is a increasing importance of computer education to cultivate the individual's capability to use computers and computer-related informa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computer education in academic high schools, to find out possible problems, and to suggest some methods to improve the computer education in the 8th national curriculum. In order to get to this purpose, this paper takes four steps as following. First,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computer education and consider possible problems, if any. Second,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Information Attainment Approval System having been performed in academic high schools. Third, analyze the level of computer education in academic high schools. Fourth, suggest improvement method of computer education in academic high schools. To achieve the above mentioned purpose, this paper comparatively analyzed computer education of the 6th national curriculum and that of 7th national curriculum through literature research. It also surveyed the effectiveness of Information Attainment Approval System by using the students' response to the questionnaire on the system. It, then, looked over how many colleges and universities used the system as any norm to admit new students. Targets of this paper were 395 students randomly extracted from 2 academic high schools located in Yeosu. It was possible to get the difference in the recognition of computer education between male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It surveyed first-year, second-year, and third-year students evenly because the 6th National Curriculum and the 7th National Curriculum coexisted. Results of analysis passed Chi Square inspection and the level of significance was 5%. In table, when the number of frequency is less than 5, its meaning is weak, but, actually, the thing that has a low frequency was excluded from target. In case of non-response and extraordinary values, they were treated as missing value and were not applied as substitute value. Abov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in academic high school computer education, the field of interest was different by grade and sex of the students. Especially, it could be known that third-grade students were interested in computer education, but their need was not met on account of current university admission system. It means that the computer education focused on first-grade and second-grade students has to be performed in present educational system. Second, regardless of grade and sex of the target students, the students showed a strong interest in the field of graphic program and wanted to learn about it. It was surveyed that to guide various programs on graphic program was found as most effective educational field of computer education. Third, if school computer education cannot meet those requirements, it seems that it will be replaced by that of private computer education institutions. And it is necessary that Information Attainment Approval System should be used to screen out new students by colleges and universities to propel the computer education in academic high schools. Fourth, when guiding 「Information Society and Computer」 subject, it is necessary to differentiate the level of the male and female students' computer using ability when they choose the course of computer education program they want to take. It is also necessary to guide how to use homepages and how to prevent virus infection and to reinforce netiquette education.

      • 특수아 조기교육기관의 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운영의 실태와 개선방안

        조민숙 여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의 목적은 광주 전남의 특수학교 유치부와 사설 유아특수교육 기관의 운영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학교 유치부와 사설 유아특수교육기관의 진단 및 평가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둘째. 특수학교 유치부와 사설 유아특수교육기관의 교육과정 및 교육방법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 셋째. 특수학교 유치부와 사설 유아특수교육기관의 교사의 전문성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넷째. 특수학교 유치부와 사설 유아특수교육기관의 행정&#8228;재정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 다섯째. 특수학교 유치부와 사설 유아특수교육기관의 개선방향 할 점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광주, 전남의 특수학교 유치부 및 사설 유아 특수교육기관 전체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본 조사 연구에 사용한 조사도구는 이미선&#8228;강영택&#8228;조정환(1999), 김정은(2001), 손효정(2002), 송여준(2003)에서 사용된 설문지를 참고하여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일부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지의 신뢰도를 측정하기 위해 Cronbach &#9082; 계수를 산출한 결과 Cronbach &#9082;가 .779로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학교 유치부와 사설 유아특수교육기관의 진단 및 평가에 대한 결과는 특수학교 유치부와 ,사설 유아특수교육기관 두 그룹 모두 다양한 진단&#8228;평가도구를 적극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13개 항목 중 유아의 발달사 및 교육경력을 포함한 면담은 두 그룹 모두 평균 76.3%가 실시하고 있었으며, 지적능력에 대한 검사와 적응행동능력, 학습능력, 감각운동에 대한 검사는 특수학교 유치부가 68%, 사설유아특수교육기관이 59% 가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학교 유치부와 사설 유아특수교육기관의 교육과정 및 교육방법에 대한 결과는 유아특수교육기관의 교육과정 및 교육방법의 운영실태 영역에서 개별화 가족지원계획(IFSP)은 특수학교 유치부는 100%, 사설 유아특수교육기관은 93%로 전체 97.4%의 기관이 실시하고 있었고 활용 목적에 따른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의 효율적 활용실태에 대한 결과는 특수학교 유치부가 95%로, 사설 유아특수 교육기관 70% 보다 더 효율적으로 교수학습 자료를 목적에 알맞게 다양하게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과정 및 교육방법 영역에서의 17개 항목 중 교직원간의 협의 항목, 타 기관과의 연계한 통합교육 항목, 활용목적에 따른 다양한 교수 학습자료의 효율적 활용 항목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셋째. 특수학교 유치부와 사설 유아특수교육기관의 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결과는 교사의 전문성영역에서 특수학교 유치부가 100%, 사설 유아특수교육기관이 77.8%로 두 그룹간의 교사자격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5), 교사간의 팀 접근, 공동수업, 여부수업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넷째. 특수학교 유치부와 사설 유아특수교육기관의 행정&#8228;재정에 대한 결과는 재정 상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는데(p<.05) 즉, 특수학교 유치부가 사설유아특수교육기관보다 재정 상태가 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설유아특수교육기관은 80%가 곤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부모 대기실 확보 여부 항목에서는 유의한 차가 인정되었는데 즉, 사설유아특수교육기관(61.1%)이 특수학교 유치부(26.3%) 보다 더 많이 확보하고 있었다. 다섯째. 특수학교 유치부와 사설 유아특수교육기관의 개선방향에 대한 결과는 교사 간 의견불일치로 인한 교육과정 운영의 곤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5)를 보였고, 또한 교육과정 운영의 어려움에서 특수학교유치부보다 사설유아특수교육기관이 윗사람과의 의견차, 장애아동에 대한 주변의 인식부족, 지식과 지도기술의 문제, 교사 간 의견불일치, 학부모 협조 부족으로 인한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수당 인상으로 교사의 사명감과 교육의 질 향상 문항에서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본 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특수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것 중의 하나가 장애유아들에 대한 진단, 평가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장애유아를 조기에 발견, 이들 아동의 장애유형 및 정도 혹은 발달지체정도를 확인함으로써 특수교육 서비스대상 여부를 결정하는데 기초가 되므로 유아특수교육기관에서의 진단과 평가부분에 대한 연구 자료의 개발이 이루어져서 유아특수교육기관에 보급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장애유아에 대한 교육기회의 확대라는 차원에서 일정한 기준을 갖춘 사설유아특수교육기관을 무상교육기관으로 지정하는 경우, 이들 기관의 효율적 운영 및 아동 당 적정 교육비 지원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여 시행상의 혼란을 최대한 줄여야 할 것이다. 셋째, 사설 유아특수교육기관의 교사를 자격을 갖춘 교사로 충원해야 할 것이다. 현재 다양한 자격을 가진 교사들이 유아특수교육을 담당하고 있으나 대학이나 대학원과정에서 유아특수교사를 배출하고 있으므로 특수학교 초등이나 중등교사, 기타 비전공자를 유아특수교사 자격을 갖춘 교사로 대체해야 할 것이다.

      • 장애아 반 편견(Anti-Bias) 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실태 연구

        이정연 麗水大學校 敎育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장애아 반 편견 (Anti-Bias) 교육에 대한 일반 유치원 교사의 인식과 실태를 파악함으로써 현장에서 반 편견 교육을 적절하게 수립하고 실시하며 유아들에게 일반 유치원에서의 성공적인 장애아 통합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장애아 반 편견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장애아 반 편견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태도는 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광주광역시 와 전라남도에 근무하는 초등학교 병설유치원 교사 197명이며 장애아 반 편견 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실태 조사를 위한 질문지가 사용되었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5점척도 문항과 선다형 문항에서는 척도에 따라 점수를 부여 한 후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했고, 교사의 학력의 차이는 F 검증을 실시한 후 사후비교 후 Duncan 검증을 실시하였고 X^(2)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아 반 편견 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실태를 알아본 결과 교사들은 장애아 반 편견 교육에 대한 교육의 증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장애아에 대한 편견이 고착되기 전에 장애를 긍정적으로 이해시킬 필요성을 매우 높게 생각하고 있었다. 장애아 반 편견 교육실시 적절한 정도는 이야기 나누기, 집단형태로는 소그룹형태가 적절하다는 인식이 높게 나타났고, 교육활동에 따른 주제는 가족과이웃, 교사의 역할은 유아와의 상호작용을 가장 중요시 여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실시하는 활동내용은 '내 몸의 소중함을 알아본다. '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가장바람직한 지도내용은 '장애아에 대한 친근감 느끼기', 반 편견이 현장에서 잘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는 '교사자신의 기술 및 지식부족', 실시목표는 '사회는 서로 다른 사람들이 더불어 사는 곳임을 알고 이해한다. '로 나타났다. 교육을 실시할 때 유아를 위한 월간 잡지를 가장 많이 참고하며 부모교육으로는 전화상담을 가장 많이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아 반 편견 교육에 대한 교사의 친숙도 및 이해도에서는 학력이 높은 대학원재 · 졸이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다른 모든 영역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유치원교사들은 장애아 반 편견교육에 대한 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태 측면에서는 유치원현장에서 장애아 반 편견 교육을 위한 여건이 조성되지 않고 있으며 정부차원에서의 교육부자료나 다양한 장애아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 편견 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유치원 교사의 연수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고 교육이 현실화 되고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교사들이 실질적이고 다양한 측면에서의 연수가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nd practice anti-bias education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and practice about anti-bias education. Furthermore, it is to provide a framework for the integrated education of disabled preschoolers and their non-disabled peers at general kindergartens. Research questions are as such: First, what is the situa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and practice about anti-bias education? Second, is it different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and practice about anti-bias education according to their school career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97 kindergarten teachers who worked at kindergartens attached to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Kwangju si and Jeonlanam do. Questionnaires were used to examin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and practice about anti-bias education. To verify the research questions, the questions utilizing a five point scale and multiple-choice questions scored by their own scale were used, and means and standard variations were calculated. The difference in teacher's school careers was tested by the Duncan test and X^(2) verification after a post-hoc comparison of F-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regarding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and practice about anti-bias education it was concluded that teachers were well aware of the importance of anti-bias education and the need to help children accept disabled peers affirmatively before their prejudiced views against the disabled children became fixated. Their perceptions showed that an appropriate level of anti-bias education was to that of talking each other with a form of a small group, and with respect to the education theme according to education activity, family and neighborhoods was shown to be important, and with teacher's role, the interactivity of children most important. Current activities for education were shown as follows', Let' find out why our body is precious was the most frequently chosen activity, Let's have Friendly relationship with disabled children was the most desirable education. The reason why anti-bias education was not active in class was teacher's incapability , the goal of the education was that we will understand this society is the place for every different people live together in harmony. The most frequent reference was the monthly magazines for preschooler's education. Phone consultation was the most frequent method to educate their parents. Second, graduate students and graduate school graduates showed the highest familiarity and understanding of anti-bias education,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ny other areas. In conclusion, kindergarten teachers were well aware of the importance and the need of anti-bias education. However, in the aspect of its practice, circumstances for anti-bias education at kindergarten are not firmly established. Therefore government level's education materials or the development of the various programs for disabled children's education are required. To promote anti-bias education, kindergarten teachers should have more chances to attend related training. Moreover, to actualize and activate anti-bias education, various and practical training programs for teachers should be provided.

      • 地域單位 障碍學生의 敎育·醫療·雇用 支援 體制에 關한 硏究

        이성임 麗水大學校 敎育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장애아들의 통합을 지원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들을 찾아내고 이를 특수교육 관련 서비스로 이용할 수 있는 방안들을 찾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여수지역에 위치한 교육 기관의 현황 및 문제점은 어떠한가? 2. 여수지역에 위치한 의료 서비스 지원 기관의 현황 및 문제점 어떠한가? 3. 여수지역에 위치한 직업고용 서비스의 현황 및 문제점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여수지역사회의 특수교육기관은 조기교육 독립기관인 특수어린이집 1개원과, 병설유치원 2개원, 사립유치원 6개원, 어린이집 17개원이며, 특수학급이 설치된 학교로 초등학교가 37개교, 중학교 6개교, 고등학교 1개교, 특수학교 1개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의료기관중 물리치료, 작업치료, 감각 · 운동지각훈련, 심리 · 행동 적응훈련, 보행훈련, 일상생활훈련을 치료하는 의료기관은 공공기관 3개소와 사설기관 24개소를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장애 학생의 직업고용기관으로 직업교육을 담당하는 고등학교 1개교와 특수학교 1개교, 복지관 3개소 등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인터뷰, 문헌조사, 사례 조사 등의 종합적인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교육에 대한 체계적인 일반교육 · 특수교육의 연계 프로그램이 교육대학, 사범대학 또 현직 교사 연수 등에 도입되어야 하겠다. 통합학급 담당 교사를 위해 현재 실시하고 있는 승진가산점 부여라는 특혜 조건에 의해 많은 교사들이 특수학급을 담당하고 있으나, 장애아동이 통합되어 있는 반에 담임을 배정 할 때는 장애 아동을 잘 이해하며, 배려할 수 있는 성품을 가진 교사를 선정하여야 하겠다. 둘째, 지역사회중심 의료재활의 중요성과, 재활 요원의 확보 및 물리치료 기구를 확보해야 하겠다. 셋째, 장애학생의 학교에서 사회로의 성공적인 전환을 목표로 지역여건, 학생개개인의 특성과 직업적성에 알맞은 직업교육실시, 직업교육 내용의 다양화, 정보화 사회에 부응하는 직종개발과 전환교육프로그램개발 · 적용이 필요하며, 생활중심교육과정은 학교 안의 인위적인 환경(setting)에서 보다는 직접 지역사회에서 교수될 때 더욱 효과적일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wo-fold. First, it identified various services available in the community which promote inclusion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Second, it was to find out ways to use these services as related services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1. What are the status quo and problem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centers/schools ) providing special education services in Yeosu? 2. What are the status quo and problems of medical service support institutions in Yeosu? 3. What are the status quo and problems of employment service center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Yeosu? Educational institutions(centers/schools) included in this study were 1 private early intervention center, 2 kindergarten classrooms as an annex to the public school, 17 private early childhood centers, 38, 6, and 1 special education classrooms located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respectively, and 1 special school. Medical service support institutions included 3 public and 2 private medical institutions providing physical therapy, occupational therapy, sensory · motor perceptual training, psychological · behavioral adaptation training, orientation and mobility training, and daily living skills training. Employment service centers providing vocational education to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ncluded 1 high school, 1 special school, and 3 welfare facilities. This study employed interview,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e following: First, systematic and collaborative efforts between special education and general education is necessary to promote successful inclusion, and training on inclusion should be provided at preservice institutions(University of Education/College of Education) and inservice programs. Currently, many general education teachers choose inclusive classrooms to teach because they receive additional promotion points. However, it is important to select inclusion teachers who understand and care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Second, the importance of community-based medical rehabilitation should be recognized, and it is important to hire rehabilitation staff and purchase physical therapy devices. Third, in order to promote successful transi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from school to community, it is necessary to provide appropriate vocational training based on students' unique needs. It is needed to include various vocational training options and develop various types of occupation and transition programs to meet the needs of informational society. Also, it is more effective to provide life-centered curriculum in community than artificial settings.

      • 障碍幼兒의 早期發見 및 統合敎育을 위한 幼稚園 敎師의 特殊敎育에 대한 認識

        정영옥 麗水大學校 敎育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장애유아의 조기발견 및 통합교육을 위한 유치원 교사의 유아특수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 분석하여 알아봄으로써 유아특수교육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얻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유아특수교육에 대한 유치원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1-1 유아특수교육에 대한 유치원교사들의 태도는 변인(학력, 소지자격, 교육경력)에 따라 어떠한가? 1-2 유아특수교육에 대한 유치원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기초지식은 변인(학력, 소지자격, 경력)에 따라 어떠한가? 1-3 유치원교사들의 조기발견 및 진단에 필요한 기초지식은 변인(학력, 소지자격, 경력)에 따라 어떠한가? 둘째, 유아특수교육에 대한 유치원교사들의 인식은 장애유아 교육경험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연구의 대상은 전남지역에 소재한 공·사립 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 27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도구로는 김경남(2001), 이소현(1996), 이현숙(2003)의 논문을 토대로 본 연구자가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독립표본 t검증 및 일원변량분석(ANOVA)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유아에 대한 태도에서 기본적인 인식도를 조사한 결과 전체적인 인식수준은 평균 3.94로 나타나 유치원교사는 장애아에 대한 높은 인식수준을 나타내었으며, 이중 일반유치원교사가 장애유아를 지도해선 안된다가 평균 4.5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학력, 소지자격, 경력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학력은 대학원재·졸이 가장 높은 인식을 나타냈고 소지자격에 따라서는 유아특수 교사 자격증을 가진 교사보다 일반유치원 교사들이 장애유아의 태도에 대한 인식이 더 높게 나타났다. 경력에 따른 인식도는 15-19년 경력집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일반유치원교사는 장애유아와 정상아가 같은 교실 안에서 수업이 이루어질 경우 서로간의 상호작용 문제나, 교육과정을 실시하는데 있어서 어려움을 가져다줄 수 있으며 가르치는 교사에게도 장애유아를 다룰 수 있는 전문성이 요구되어지기 때문에 어렵다라는 조사결과가 나타났다. 둘째, 통합교육을 위해 필요한 지식의 인식수준은 전체평균이 3.77로 나타나 유치원교사들의 통합교육의 필요성과 가능성에 대해 대부분의 교사들이 적극적으로 실시해야 함을 인식하였고, 학력, 소지자격, 경력에 따라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학력은 대학원재·졸이 가장 높은 인식을 나타냈고 소지자격에 따라서는 유아특수 교사 자격증을 가진 교사 보다 일반유치원 교사들이 통합교육을 위해 필요한 지식에 있어서 인식이 더 높게 나타났다. 경력에 따른 인식도는 10-14년 경력집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중 일반학급교사와 특수학급교사간의 상호이해와 협력이 평균 4.56으로 높게 나타났고, 가장 낮게 나타난 것은 장애유아를 위한 가장 적절한 교육은 정상아동과 격리된 특수 교육기관에서만 이루어져야 한다는 의견으로 일반유치원 교사들은 통합교육에 대한 충분하지 않은 이해와 지식 부족으로 인해 부정적으로 답변하거나 중립적인 답변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유아의 조기발견 및 진단의 인식은 전체 평균 4.10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이중 '장애유아의 조기발견 및 진단이 특수아 조기교육에 있어서 매우 기본적이고도 필수적인 요소이다'가 평균 4.59로 가장 높았고, '특수교육을 전공한 사람만이 장애유아를 조기에 발견하고 진단할 수 있다'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학력, 소지자격, 경력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학력은 대학원재·졸이 가장 높은 인식을 나타냈고 소지자격에 따라서는 일반유치원 교사 자격증을 가진 교사 보다 유아특수 교사 자격증을 가진 교사들이 장애유아의 조기발견 및 진단에 대해 인식이 더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특수아를 위한 조기교육의 필요성은 인식하나 특수교육에 대한 지식과 이해가 부족한 것으로 보아 교사들의 전문성이 요구된다. 넷째, 특수유아교육경험 유무에 따른 유아특수교육에 대한 유치원교사들의 인식은 현장에 있는 교사들이 교육경험 유무의 차이점 보다는 공통성에 대해 더 많이 중요하다고 인식 하였고, 인식수준에 있어서는 특수유아교육경험 유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교사들은 장애유아든 정상유아든 모든 유아들에게 교육경험 유무에 관계없이 유아교육과 유아특수교육을 강조하고 있어 모든 유아교육에 있어서 중요하다고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at getting basic data that can enhance the efficiency of education far the disabled children through the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tion of it, for early detection of disabled children and integrated education of them. To achieve this, we set up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 what is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tion of education for the disabled children? 1-1. What attitudes to education for the disabled children do kindergarten teachers have with respect to variances (scholarly attainments, certification, and educational experiences)? 1-2. What knowledge of education far the disabled children do kindergarten teachers have with respect to variances (scholarly attainments, certification, and educational experiences)? 1-3 What knowledge of early detection and diagnosis do kindergarten teachers have with respect to variance (scholarly attainments, certification, and educational experiences)? Second, are there differences in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tion of education of the disabled children according to whether they have experiences in this discipline? The subjects are 271 kindergarten teachers from public-private kindergartens in Jeonnam. We use the research tools in Kim (2001) and Lee (1996, 2003) after revising and improving them. The collected data have undergone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kindergarten teachers' average recognition standard is 3.94 in the basic recognition degree of attitudes to the disabled children, which proves that the kindergarten teachers have high standard of the recognition. Especially, they give 4.95 to the claim that common kindergarten teachers, among others, should not teach the disabled children. On the other hand, there have bee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sults of analysis with variance of scholarly attainments, certification, and educational experiences. Those teachers with a postgraduate degree show the highest recognition, and the common kindergarten teachers show higher recognition of attitudes to the disabled children than those teachers who have certification of education of the disabled children. In the degree of recognition with respect to educational experiences, the group with 15-19 years of experiences in the discipline shows the highest degree. The common kindergarten teachers have replied on the problem with a mixed education of the regular and disabled children that that kind of education has many difficulties because there may arise problems of interaction between them and fulfillment of curriculums, and because it requires the teachers to have expertism in dealing with the disabled children. Second, the average recognition standard of knowledge needed in integrated education is 3.77, which means that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ze the necessity and possibility of integrated education. On the other hand, there have bee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sults of analysis with variance of scholarly attainments, certification, and educational experiences. Those teachers with a postgraduate degree show the highest recognition, and the common kindergarten teachers show higher recognition of the knowledge needed in integrated education than those teachers who have certification of education of the disabled children. In the degree of recognition with respect to educational experiences, the group with 10-14 years of experiences in the discipline shows the highest degree. They give 4.56 to mutual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between teachers with and with out certification. The lowest is the opinion that the most proper education far the disabled children is the education in an education institution for the disabled children separated from regular children. The common teachers replied negatively or neutrally to this issue because they lack satisfactory understanding and knowledge. Third, the kindergarten teachers' average recognition standard is 4.10 in the recognition of early detection and diagnosis of the disabled children. They give 4.59 to the claim that the early detection and diagnosis is a basic and necessary element in early education of the disabled children. But they give the lowest value to the claim that only those teachers majoring in education of the disabled can early detect and diagnose a disabled infant. On the other hand, there have bee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sults of analysis with variance of scholarly attainments, certification, and educational experiences. Those teachers with a postgraduate degree show the highest recognition, and those teachers who have certification of education of the disabled children show higher recognition of early detection and diagnosis of the disabled children than the common kindergarten teachers. This means that kindergarten teachers should have expertism in this discipline. Fourth, the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tion of education of the disabled children according to whether they have experiences in this discipline tells that the teachers in the scene put more stress on commonness than on educational experiences. But the standard of recognition shows that there a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hether or not they have experiences in education of the disabled children. The teachers appeared to believe that all aspects of education of children are important whether they belong to common education or to education of the disabled children. ///.끝.

      • 初等學校 性敎育에 對한 敎師와 學父母의 認識의 差異

        정연호 麗水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초등학교 성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의 차이를 분석해 봄으로써 성교육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기초자료를 얻고, 교사와 학부모의 성에 대한 인식 범위를 확장해 나가는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자가 규명하고자 하는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교사와 학부모간에는 성윤리에 대한 태도에 있어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 교사와 학부모간에는 성교육에 대한 태도에 있어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3) 교사와 학부모간에는 성욕구에 대한 태도에 있어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4) 교사와 학부모간에는 성교육 지도 내용 선정과 지도 방향에 대한 견해에 있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Y지역 초등학교 3개교의 교사와 학부모를 대상으로 2003년 9월부터 11월까지 실시하였다. 교사용 질문지는 54매를 배포하여 45매가 회수되었으며, 학부모 질문지는 270부를 배부, 그 중 190부가 회수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와 학부모간의 성윤리에 대한 태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다만 교사가 학부모에 비하여 다소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둘째, 부모와 교사간의 성교육에 대한 태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교사들의 학교에서 의도적인 성교육 시도'는 절반, '학부모의 의도적인 성교육 시도'는 25.7%에 한정된 것은 체계적인 성교육이 실시되어야 함을 강력히 시사해 준다. 셋째, 교사와 학부모의 성욕구에 대한 태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남녀가 손을 잡는 것', '성욕에 대한 생각'에 대해서는 교사의 긍정반응이 학부모보다 10%정도 더 높았다. '임신 중절'에 대한 긍정반응은 교사(81.3%)가 학부모(45.5%)보다 상당히 높았다. 학부모와 교사의 성욕구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줄여나가야 함을 시사해 준다. 넷째, 교사와 학부모간의 성교육에 관한 지도 내용 선정과 지도 방향에 대한 견해를 비교해 볼 때 아동의 성조숙 이해도, 성에 대한 지식의 습득원에는 의의 있는 차이를 보였다. 성지식 습득원에 대해 교사는 인터넷을 믿고 있으나, 반대로 학부모는 전적으로 교사를 믿고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 결과는 성교육의 책임을 서로 미루고 있는 현실을 잘 대변해 주고 있다. 초등학교 성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의 차이는 대개 유의미한 차이가 없으나, 몇 가지 항목에서는 큰 차이를 보였다. 이를 활용하여 성교육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기초자료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초등학생의 성지식의 습득원에 대한 견해가 크게 엇갈리는 것은 성교육의 방향을 정립하는 데 많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study provides analysis on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sex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tries to obtain basic but effective information on the sex education, and seeks to extend the scope of teachers' and parents' perception on sex. The study will consider the following problems: 1)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attitude toward sex ethics? 2)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attitude toward sex education? 3)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attitude toward sexual desire? 4)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attitude toward selecting materials and direction in sex education? The target of the study is teachers and parents of three elementary schools in Y, and the research is done from September to November in 2003. Fifty-four research papers for teachers are distributed and 45 of them are retrieved. Two hundred seventy papers are distributed to parents and 190 of them are retrieved. The result is as the following: First, there is no notable difference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attitude toward sex ethics, but teachers tend to be more positive on the matter than parents. Second, there is no notable difference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attitude toward sex education. However, respondents have chosen "teachers' efforts to give sex education at school (50%)" and "parents' efforts to give sex education (25.7%)", and it shows that a systematic sex education is urgently needed. Third, there is notable difference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attitude toward sexual desire. On such thing as "holding hands" or "attitude toward sexual desire", there are more teachers (about 10% more) than parents who have shown positive attitude. Concerning "abortion", teachers (81.3%) tend to have positive attitude toward it than parents (45.5%) do. This shows that the difference in their view should be lessened. Fourth, upon comparing parents' and teachers' attitude toward selecting materials and direction in sex education, some notable differences are seen in their recognition of children's understanding of sex and sources of information. Teachers usually depend on the Internet, but parents depend on teachers. The result shows how each group passes responsibility to others. Overall, there is no notable difference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perception on sex education, but there are a few that are noteworthy. Taking advantage of these will provide very effective materials or ways incarrying out sex education. The big difference shown in the source of information suggests many ways in which to direct children when giving sex education.

      • 障碍理解敎育에 대한 初等學校敎師의 認識 硏究

        김정숙 麗水大學校 敎育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9647

        이 연구는 장애이해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전반적인 태도를 조사하여 장애이해교육을 내실화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교사들의 교직 경력, 특수교육경험유무, 특수교육관련연수 유무, 소지자격 종류 등의 각 변인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전남지역의 초등학교 교사 220명에게 질문지를 배포하여 그중 200부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교사들은 장애이해교육에 대해 깊은 관심과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실제로 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환경 조성이 되어있지 않아 이를 위한 교사 연수 및 교수-학습 자료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일반학교에서 장애이해교육이 실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관련 내용을 삽입하여 일반 아동들의 장애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전환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현재 교육과정에서는 장애이해교육을 위한 내용이 아주 미약하며 , 이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이 없어 교사들은 크게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 실정이다. 결국, 일반학교에서 일반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장애이해교육이 실질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관심과 이를 실천하려는 의지가 필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정규수업시간에 정기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교과서에 장애이해교육 관련 내용을 확대 제시하여 장애이해교육을 의무화하고, 일반학교에서 실질적으로 장애이해교육이 이루어지게 하기 위해서는 장애이해교육 관련 연수과정을 개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리라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ttitude toward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an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Teachers' attitude was analyzed based on teachers'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weather they have had special education teaching experience or not, weather they have attended special education in-service training or not, and types of teaching certificate. 220 questionnaire were mailed to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JeonNam area, and 200 out of 220 questionnaire were returned and included in th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are as follows: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deeply interested in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and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However, there are some barriers in implementing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program. Thus, there is a dire need for in-service training on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and appropriate teaching-learning materials should be provided. In order to implement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successfully, disability-related topics should be incorporated into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and textbooks. This will help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develop positive attitude on disability. Unfortunately, current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includes limited amount of disability-related content. Because there are no specific guidelines about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teachers are not concerned about it. As a result, teachers' interests and willingness are crucial to implement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in general education settings. That is, disability-related content should be expanded and taught on a regular basis during a regular class period. Moreover,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should become obligatory. Lastly, it is desirable to set up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related in-service training so that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can actually be implemented in general education settings.

      • '學校生活規定'을 통해 본 學生人權 實態 分析

        김준수 麗水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9647

        그동안 한국의 교육세계에서 학생들은 수동적인 시혜의 대상으로 인식되어 왔다. 이로 인해 학생들의 주체성이나 자율성은 성장의 기회를 제한 받고, 상대적으로 교육변화의 주체로도 인식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교육변화가 학교변화를 중핵으로 하고, 학교변화는 논리적으로 학생관의 변화를 전제하는 만큼, 학생에 대한 인식 전환을 위한 논의는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 연구는 여수지역 중등학교의 '학교생활규정'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학교현장에서 학생의 인권이 어떻게 규정·이해되고 있는 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학생 인권의 개념과 의의를 이론적으로 탐색하였고, 구체적으로 학생들의 삶을 규정하고 있는 학교생활규정을 분석함으로써 교육현실에서 받아들여지고 있는 인권의 의미와 침해적 요소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여수 시내 19개 중·고등학교의 '학교생활규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의 내용은 학교생활규정이 학생의 참여권과 적법한 절차를 보장받을 권리, 표현의 자유를 보호받을 권리, 사생활의 비밀을 보호받을 권리, 학생에 대한 체벌 등을 어떻게 규정하고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학교생활규정'의 내용을 중심으로 학생인권을 분석해본 결과, 학생들은 학교에서 많은 인권의 침해를 받고 있었다. 유엔의 '아동권리조약'과 대한민국 헌법이 보장하고 있는 권리도 학교현장에서 학생의 인권을 보장해주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학생들은 권리의 주체라기보다는 훈육과 보호, 통제의 대상으로 간주되고 있다. 이러한 생각은 '학교생활규정'에 그대로 반영되어 학생인권은 권리를 부당하게 유보당하고 침해당하고 있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권의 측면에서, 학생회의 권한이나 활동 내용은 학교당국의 일방적인 의사에 따라 얼마든지 사전 사후의 제약이 무제한적으로 허용되고 있고, 불응할 때에는 항상 일방적으로 징계를 당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자치활동에 관한 실체적 보장이 이루어질 수 없게 되어 있다. 둘째, 학교에서 학생들의 적법절차 권리에 대한 보장정도는 만족할 만한 수준이 아니다. 학생들은 자신의 권리를 보호·구제하기 위한 절차인 통지, 자기변호 및 적절한 방어기회, 증거제출의 권리, 불복의 권리 등을 제한적인 범위 내에서만 보장받고 있는 실정이다. 셋째, 학생의 표현의 자유는 학생의 잠재력을 발전시키고 민주시민의 자질 및 능력을 함양시킨다는 점에서 특별히 보호되어야 할 권리다. 그렇지만 학교생활규정에서 학생의 표현의 자유를 제한하는 규정이 많다. 넷째, '학생의 사생활권'은 특별히 존중되고 보호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학생의 사생활권을 적극적으로 보장하는 내용이 없다. 그러다 보니 학교현장에서는 소지품 검사나 용의검사 등 학생의 사생활권이 광범위하게 침해받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정보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학생의 개인정보가 전산처리되고 있지만 학생의 사생활이 보호받지 못하고 만천하에 그대로 드러나고 있는 실정이다. 다섯째, 학교생활규정은 학생체벌에 대한 규정을 두고 있다. 초·중등교육법 시행령이 '교육상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학생에게 신체적 고통을 가해서는 안된다고 규정하고 있지만, 모호한 기준은 폭력적이고 비인간적인 체벌로부터 학생들의 인권침해를 막을 수 있는 기준이 되기 어렵다. 따라서 학교생활규정의 체벌조항은 마땅히 삭제되어야 한다. 이처럼 학교현장에서 학생들의 인권침해가 일상화되고 있는 비민주적 구조가 유지되고 있는 것은 사회 구성원들의 무관심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학교현장에서 나타나는 학생인권 침해를 가능하게 하는 학교문화를 개혁하고, 학생인권을 신장시키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몇 가지 제안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내에서 교사·학부모·학생 등 교육관련자 모두가 학생을 인권의 주체로 인정하고 존중하는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다. 둘째, 학생인권의 신장을 위해 교사들의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학교 내의 의사결정 구조가 학생들의 참여를 인정하는 구조로 변화되어야 한다. 넷째, 학생인권의 보호를 위해 인권단체나 청소년단체, 교육단체 등이 학생인권 문제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학교를 견제함으로써 학교 내부에서 학생인권이 신장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make the concept of "human right of students" and try to find out how the human right of the students are kept in school, by scrutinizing "the rules of school life(RSL)." To achieve the purpose, I have compared and analyzed the RSL of the 19 middle and high schools in Yesoo, studying the books about the idea/concept and the content of the human right of students and the legal and social status of students. Especially I have scrutinized how the RSL restrains the right of participation, the expression, and the protection of individual privacy. Moreover, I have looked into the rules of physical punishment, and tried to find out whether the right of the proper processes are properly defined and executed in school. After analyzing the human right of students through the RSL, we found that there were a lot of invasion in the human right of students in the schools. It is the reality that even the rights that are protected by the 'Convention on the Right of the Child' of UN and the Korean Constitute are not properly insured in the schools. Students are regarded not as the subjects of the right but as the objects of disciplines, protection, and control. As the above thoughts are reflected in the RSL directly, the human rights of students are detained and invaded improperly. For the right of participation, the reality is that the unlimited constraints of the school authority are permitted for the rights or activities of the student council before or after their activities. If students do not follow the school authority's guide, they can be punished without proper procedure, and thus the real protection of the activities of students council is not protected. Because the right of expression can make the students' innate ability improve and make the quality and ability as the citizens of democratic society develope, it should be specially protected. There are, however, many rules constraining the right of expression in the RSLs Though the right of privacy of students should be respected and protected, there is no active rules protecting it. Thus, the reality is that there is extensive invasion of the students' privacy in school, such as the check of private belongings and personal appearance. Especially, under the circumstance of computerization of students' personal information, the right of self-control for personal information should be admitted. There are rules concerning physical punishment in the RSLs. Though Enforcement Decree of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restricts the case of physical punishment only for 'the unavoidable cases for educational purposes', the unspecified restriction cannot be the reliable standard to prevent students from the abusive and inhuman physical punishment. Thus, the rules for physical punishment in the RSLs must be eliminated. The protection level of students' right of proper processes in school is not satisfactory. Only within a limited level, students get the right of notification, self-justification and proper defending opportunities, evidence submission, disobedience, etc. which are necessary processes for the protection and the save for students' personal rights. We can say that because of the ignorance of the members of the society, the invasion of students' human rights becomes a part of everyday life and the anti-democratic structure is maintained in school. To change the school atmosphere that make the invasion of students' rights possible and to make students' rights improve, I suggest the following things; First, all the education related people-teachers, parents, students, etc.-should change their perception as to regard students as the subjects of the human rights and respect them. Second, teachers' efforts are necessary. Third, the decision making structure in school has to be changed to admit students' participation. Fourth, human right, young adults, and educational organization should pay attention continuously to students' rights, and observe the school to improve the rights of students in school.

      • 전국교직원노동조합 활동에 대한 초등 조합원들의 인식 연구

        강성윤 麗水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9647

        이 연구는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이 합법화 이후에 수행하고 있는 사업들에 대하여 초등 조합원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전교조가 수행하고 있는 사업에 대하여 필요성에 대한 인식과 사업의 결과(활동방향)에 대한 인식을 교육운동적 측면과 노동조합적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이상과 같은 연구의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교육운동적 관점의 사업과 노동조합적 관점의 사업으로 구분하였으며, 사업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정도와 사업의 결과(방향)에 대한 인식정도를 나누어서 질문지를 제작하여 활용하였다. 질문지는 전국을 4개의 권역으로 구분, 주요도시 9개 도시를 선정하여 초등조합원들 368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전교조가 수행한 활동에 대한 초등조합원들의 인식을 살펴보면 사업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정도는 비교적 높은 편으로 나타났으며 사업결과(활동방향)에 대한 인식정도는 그리 높지 않게 나타났다. 둘째, 전교조가 수행해온 활동에 대하여 관점별로 비교해보면 교육운동적 관점의 사업보다 노동조합적 관점의 사업에 대한 필요성과 활동결과(방향)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교육경력에 따른 인식정도는 참교육실천을 위한 연구 및 실천활동에 대한 필요성과 단체협약에 대한 필요성에서는 교육경력이 짧을수록, 그리고 교육제도 개선을 위한 사업활동 결과(방향)에 대한 인식에서는 교육경력이 많을수록 인식도가 높게 나타냈다. 넷째, 학교규모에 따른 인식정도는 참교육 실천을 위한 연구 및 실천활동의 사업결과(방향)에 대한 만족도와 각종 홍보활동에 대한 만족도에서 학교규모가 클수록 인식도가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조합원 비율에 따른 사업에 대한 인식정도는 교육정책의 대안으로 전교조활동에 대한 필요성과 교직원 직위향상을 위한 사업결과(방향)에 대한 인식에서 조합원 비율이 높을수록 인식도가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전교조 가입시기에 따른 사업에 대한 인식정도는 교육제도 개선을 위한 사업의 필요성을 비롯한 9개 영역에서 법제화 이전에 가입한 조합원들의 인식도가 높게 나타났으면, 조합원들의 의견집약과정에 대한 인식도 에서는 법제화 후에 가입한 조합원들의 인식도가 높게 나타났다. 일곱째, 교사들의 근무지에 따른 사업에 대한 인식정도는 교육의 민주화와 자주성 확립을 위한 사업결과(방향)에 대한 만족도를 비롯한 9개 영역에서 중·소도시에서 근무하는 조합원들이 대도시에서 근무하는 조합원들보다 인식도가 높게 나타났다. 여덟째, 간부활동 경력에 따른 사업에 대한 인식정도에서는 교직원 지위향상을 위한 사업의 필요성에서는 간부활동 경험이 있는 조합원들의 인식도가 높게 나타났고 단체협약에 대한 사업결과(방향)에 대한 만족도를 비롯한 5개 영역에서는 간부활동 경험이 없는 조합원들의 인식도가 높게 나타났다. 결과를 전체적으로 평가해 볼 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업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는 높은 반면에 사업결과(활동방향)에 대한 인식정도는 그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운동적 측면의 사업보다는 노동조합적 측면의 사업에 대한 인식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아서, 전교조의 정체성을 위하여 대중조합원들을 끊임없이 전교조의 이념으로 의식화시키는 노력이 있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교조가 사업을 집행하는 과정에서 하향식 구조보다는 상향식 구조를 최대한 지향하는 사업 작풍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해주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중앙단위의 의사결정의 구조를 본부중심에서 현장중심으로 전환하는 것도 신중하게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대중 조합원들이 전교조가 수행하는 사업들에 대하여 주체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은 우리 교육의 미래를 위해서나 전교조의 조직 발전을 위해서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일 것이다. The dissertation aims to identify elementary teacher-members' perception of the activities and businesses the KTU has been performing since the legalization of the KTU. It also addresses the perception of the needs for the KTU's businesses and the outcomes of their businesses (business orientations) both in terms of an educational campaign and a labor union. For this purpose of the dissertation, the survey questionnaire was developed, in which the KTU's businesses are broken down into the businesses of an educational campaign and those of a labor union, and the perception of the business needs and business outcomes is also divided. The survey was conducted against 368 elementary school teacher-members in nine major cities belonging to 4 different circles. And the surv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members' perception of the KTU's businesses done so far, their perception of the needs for the businesses is relatively high, but their perception for the business outcomes(business orientations) is not that high. Second, the level of their satisfaction with the KTU's activities in both terms of business needs and outcomes is higher from the point view of an educational campaign than that of a labor union. Third, the differences in members' teaching experience lead to the finding that the teachers with shorter experience have a higher perception level of needs for the research of true education practices and actual activities and for collective agreements, and that the teachers with longer experience have a higher perception level of business outcomes (business orientations) for the reform of educational policies. Fourth, the differences in the size of schools where members work indicate that the bigger the school is, the higher level of perception the members have in their satisfaction of the research of true education practices and actual activities and of promotional activities. Fifth, the differences if the proportion of members to non-members lead to the finding that the more members are in their schools, the higher level of perception they have in the needs for the KTU as an alternative educational policies and the business outcomes (orientations) to enhance teachers' status. Sixth, the differences in membership period show that the members who joined the KTU before the legalization display the higher level of perception of 9 areas including educational policy reforms than the members who joined after. However, the members who joined the KTU after have the higher level of perception of the process of members' consensus. Seventh, the differences in working areas lead to the fact that the members working in small cities show the higher level of perception of 9 areas including the satisfaction level with the businesses concerning the education democratization and independence than those working in big cities. Eighth, the differences in management experience in the KTU indicate that the members with the KTU management experience have higher level of perception 5 areas including outcomes (orientations) of the KTU's collective agreements than those without. To sum up, the perception level of business needs is high, but that of business outcomes (orientations) is lower than expected. As the perception level in labor union businesses is higher than in educational campaign businesses, there should be efforts to raise awareness of general members to maintain KTU's identity. In addition, the bottom-up way of operation in the KTU should be more utilized way than the top-down way. In this sense, it leaves much room for consideration to change its headquarter-centered decision-making structures to individual field-centered decision-making structures. For the sake of the future of Korean education, it is an issue calling for immediate attention to take measures for general members to independently to participate in the KTU's businesses and activities.

      • 學習者 中心의 小說 敎育 敎授學習 方案

        정선옥 麗水大學校 敎育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9647

        The novel education that has been offered until now in school classroom was teaching-learning design model mainly based on objectivist epistemology; a teacher-centered lecture. However, many research studies reported that the teacher-centered objectivist novel classes lacked learner centered, and thus less effective. To improve such methodological problems in highschool novel education, the researcher tried to draw practical suggestions through teaching Heosaengjon not by a lecture oriented teacher-centered method, but by a learner-centered method. The researcher developed a learner centered model from Heosaengjon and applied to a experimental group. Three sessions were administered to the group and were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rough a survey. The analysis showed that students taught with the learner centered model had a meaningfully high educational effects compared to teacher-centered lecture model.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meaningful high achievement in extracting universal meaning in relationship with the modern society, that it is related to modern politics and economics, and understanding the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Furthermore, the experimental group's understanding of teaching objectives were higher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us, the researcher suggests that the learner-centered teaching-learning model be developed and applied when teaching novels in the highschool textbook. The model is likely to enhance the cognitive organizational ability in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