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아시아 여성빈곤의 구조적 요인에 관한 연구 : 일본, 대만, 싱가포르, 필리핀의 여성가구주를 중심으로 headed households in Japan, Taiwan, Singapore and Philippines

        문은영,강문구,전경옥,정슬기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소 2005 아시아여성연구 Vol.44 No.1

        본 연구에서는 아시아 여성빈곤의 구조적 요인을 일본, 대만, 싱가포르, 필리핀 사례를 들어 고찰해 보았다. 이를 위해 첫째, 아시아 국가의 특성과 여성빈곤의 실태를 파악하고, 둘째, 여성빈곤의 구조적 요인으로 가족, 노동시장, 복지정책의 특성과 문제점을 분헉하여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여성가구주 가구의 증가 현상과 이들이 빈곤층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빈곤의 여성화의 주된 지표로 볼 때 분명 아시아국가에서의 빈곤의 여성화 현상은 서구권과 마찬가지고 진행 중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아시아 4 개국 중 일본과 대만의 경우는 여성 한부모 가구에 국한하여 여성의 빈곤층 인구가 확산되어가는 지표를 명백히 확인할 수 있었고, 싱가포르 역시 빈곤층에 속한 여성가구주가 남성가구주 보다 더 많았다. 필리핀은 여성가구주 가구의 증가 추이가 위의 국가들에 비해 가장 저조하며, 빈곤계층에서의 여성가구주 가구의 수치도 오히려 남성가구주 가구보다 낮아 예외적인 국가로 간주되지만, 여성 빈곤 환경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다른 국가들과 유사하다. 즉 가족 내에서의 성별분업 측면과, 노동시장에서의 여성에 대한 성차별적이 요인 및 몰성적(gender blinded) 복지정책 등 구조적 요인의 측면에서 4개국 모두 여성이 남성보다 빈곤해질 조건에 처해 있으며 곧 '빈곤의 여성화'로 이어진다고 할 수 있다. 아시아 국가에서 공통적으로 발견할 수 있었던 점은 상이한 경제 수준에도 불구하고 가족과 노동시장, 복지에서 가족주의 강하게 작용하고 있었으며, 가부장제적 국가의 역할로 인해 여성빈곤의 구조적 요인이 지속되거나 강화되고 있는 점이다. This study examined structural factors involved in Women's poverty in cases of Japan, Taiwan, Singapore and Philippines. For the purposes of the study, the following steps were taken: First, characteristics and conditions of Women's poverty in each country were examined. Second,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family, labor market, welfare policy were analyzed as structural factors explaining Women's poverty. Lastly,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structural factors among these countries were examined. Identifying the increase in female-headed households and the rate they occupy among the poor as a criterion of feminization of poverty, it could be said that Women's poverty in Asia is on the rise, which is similar to the phenomenon in the western society. Female-headed households in poverty were found to be increasing in Japan and Taiwan, and in Singapore, more female-headed households were in poverty compared to their male counterparts. In the case of Philippines, the increase in female-headed households was lower compared to other three countries and the poverty rate among female-headed households was lower than their male counterparts. However, they were similar with other countries in that environment of Women's poverty is consistently expanding. That is, gender division of labor within family, gender discrimination in the labor market as well as gender blind welfare policies were common in all four Asian countries, which are conditions known to lead to feminization of poverty. A common feature found among Asian countries is that despite different economic statuses of each country, familialism was strong at work in the labor market as well as in the welfare policy. And along with the patriarchical system the government operates on, these structural factors of Women's poverty are being maintained and reinforced.

      • KCI등재후보

        정보시대의 여성인권

        백경재,김교정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소 2003 아시아여성연구 Vol.42 No.-

        인권은 사람이 가지는 기본적인 권리로서 그 개념이 시대에 따라 진행·발전되고 있다는 인식 하에 정보시대의 여성인권의 개념과 발전양상을 연구하였다. 새로운 정보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정보사회가 여성인권을 침해할 수도 있고, 여성인권 문제 해결을 위한 좋은 수단이 될 수 있다는 두 가지 가능성을 열어두고 정보시대의 여성인권의 개념과 범위를 재정립하고자 했다. 정보시대에서의 기본적 인권으로 정보에 동등하게 접근할 수 있는 권리인 정보접근권리(The right to access information)와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하고 정보를 공유 또는 통신할 수 있는 권리를 통신권리(The right to communication)로 상정하고 이에 대한 개념과 범위를 밝히고자 하였다. 기본적인 여성인권과 관련하여 정보사회가 가지는 특수성으로 인한 여성인권을 침해하는 사례를 통하여 그 원인, 문제점을 살펴보고, 해결 방안을 모색하였다. 정보사회에서 여성 인권의 핵심요소라 할 수 있는 동등한 정보접근 권리와, 사이버 공간에서 자유로운 통신권리를 보장받기 위한 개인적, 사회적, 문화적 측면에서의 요구되는 노력을 구체화하였다. 세계인권선언에 기초한 글로벌 정보사회를 건설하기 위한 국제적 노력 속에서, 정보사회는 계속 진행, 구성중이다. 정보사회의 발전은 비단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며, 역동적인 정보환경 속에서 사회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기존의 가치에 대한 다양한 시각에서의 해석이 요구된다. 여성의 인권 또한 시대의 변화에 따라 재정의되고, 다양하게 논의되고 발전할 수 있는 작업이 계속되어야한다. Human rights is a basic right for human and a developing concept, not completed one. The them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women human rights in the information age. International efforts for building global information society based on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 from gender perspective are studied. In line with the history of women human rights and the process of how women human rights has been developed and changed, the women human rights in the information age are formulated. By utiliz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ICT), information society provides both positive and negative effect to human rights. The case of violating women human rights and the cases of solving the problem of women human right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society have been investigated. The concepts and scope of women human rights in the information age are discussed and formulated. In our study, we identify the basic women rights in the information age as "the rights to access fo information" and "the right to communicate". And the factors for violating women human rights are identified and the strategies to solve this problem are recommended. To secure the women human rights to access to information and ICT and to communicate their freely in cyber space, the personal initiatives and challeges of information society and culture are needed. The information society is on going process and evolving concept. We learn to analyze the past values with a dynamic point of view in the new information environment. women human rights is the value that need to be re-analyzed and modify in the information society. In a course of preparing for the information society, women human rights have to be discussed continuously.

      • KCI등재후보

        여성주의 윤리와 한국 여성노동운동(1987-1999)

        장미경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소 2003 아시아여성연구 Vol.42 No.-

        페미니즘 이론에 의하면, 여성들이 '여성주의 윤리'에 기초하여 이슈나 운동방식 등에 있어서 남성 지배적 노동운동과 다른 방식을 선호한다고 주장되는데, 이 연구는 실제로 지난 10여년간의 여성노동운동에서 여성주의 윤리에 기반한 운동들이 실제로 나타났는지, 어떻게 나타났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연구결과 여성주의 윤리에 기초한 운동은 첫째, 관계적 윤리에 기초한 운동의 경우 가정과 직장을 병행할 수 있는 운동방식의 개발(여성 친화적 회의방식, 조직방식, 가족 친화적인 모임 구성), 지역탁아소 건설이나 지역부인 조직사업 등 직장과 지역을 연결하는 운동방식의 개발, 가족투쟁의 활성화, 소비자로서의 불매운동에서 살펴볼 수 있었다. 둘째, 배려·보살핌의 윤리에 기초한 운동은 기업측의 회유에도 동료를 배반하지 않는 자세 등에서 발견할 수 있는 도덕적 순수성에 기반한 운동 지향, 일상 나누기를 통한 배려와 보살핌의 윤리 함양, 기혼/미혼간, 그리고 생산직/사무직 노동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성공적인 연대를 형성한 사례들을 통해서 살펴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민주적·자율적 윤리에 기초한 운동은 소모임 활동방식과 민주적 의사소통, 의식화 투쟁 강조, 공동체·자조(自助)활동의 활성화(생산공동체, 실직자 조직 구성) 등에서 찾아볼 수 있었다. 이렇게 볼 때, 지난 10여년의 여성노동운동에서 페미니즘이 주장하는 여성주의 윤리에 기초한 여성운동방식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남성 지배적 노동운동에서 발견하기 어려운 여성운동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According to Feminist theories, Women are said to prefer different ways from man-dominant labor movements in issues and ways of movements, they having feminist ethics. This study tried to examine whether the movement based on feminist ethics actually existed or not, and how it did, in the last more 10 years. After researching, I could know that the movements based on feministic ethics existed like as followers; first, movements based on relational ethics were found out in the ways of movement let her work and home at the same time(a building women-friendly meeting and organizing ways, family-friendly meeting), in the ways of movement let her connect company and community such as a building the community-daycare center and male labor's wives organizations in communities, an activation of family struggle, a boycott of buying goods as consumers. Second, the movements based on care ethics were found out in movements for moral pure orientation, discovered in attitudes not to betray their comrades despite of their manager's temptation, a cultivation care ethics by sharing everyday lives, a formation successful solidarity withstanding differences between married and unmarried women, between manufacturing workers and clerical workers. Third, the movements based on democratic autonomous ethics were found out in small-dimention of meeting ways, democratic communications, consciousness-raising actions, an activation of community self-help actions(a building productive-communities and unemployed workers' organization). As feminists insisted, therefore, we could convince that the movement ways based on feminist ethics appeared in the last more 10 years women's labor movements, and these were specific properties of women's movements which we hardly discovered in man-dominant movement.

      • KCI등재후보

        여성 장애인의 정체성과 인권 : 공동체로서의 집단정체성 구축과 인권 문제를 중심으로

        홍석준,성정현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소 2003 아시아여성연구 Vol.42 No.-

        본 연구는 여성 장애인들의 정체성과 인권의 문제 사이에 어떠한 관계가 있으며, 이들의 정체성과 인권에 대한 새로운 개념을 구축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어떠한 활동을 하는가에 주목함으로써 여성 장애인을 하나의 당당한 소수자 집단으로 인식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통해 여성 장애인들을 하나의 사회집단으로 인정하는 분위기를 조성하는 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여성 장애인의 자조모임의 실태를 알아보고 목표와 취지 및 실천 프로그램은 어떠한 것들이 있으며, 이를 통한 세력화를 위해 여성 장애인들은 실제로 어떠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는가에 대한 설명을 제시하였다. 나아가 그들의 자조모임과 정부 산하기관 및 국내외의 NGO들과는 어떠한 연계 형성을 구성하고 있으며, 그것의 앞으로의 방향과 전개가 갖는 정치사회적, 문화적 의미는 무엇인가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구결과, 현재 공식적으로 파악된 여성 장애인 관련 자조집단은 169개였으며, 이중 서울, 경기지역은 31개였다. 이 자조집단들에 대한 조사를 통해 총 13개의 집단의 설립연도, 목표, 활동, 동기, 연계집단 등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아직까지는 다양한 연계망을 구축하고 있지는 않았으며, 기관중심적인 설립 및 활동의 양상을 보이고 있었지만, 최근 여성 장애인의 권익을 보호하고 이를 확보하려는 목적 하에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는 자조집단의 형성과 구축을 통해 여성 장애인의 사회적 지위가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앞으로 여성 장애인 개개인의 사회적 차별을 극복할 수 있는 역량과 기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자조집단을 활성화하는 이론적, 실천적 작업은 여성 장애인의 개인적, 사회적 대처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될 것이라는 결론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Women with disabilities face a double discrimination and violation of human rights due to their gender and disabilities. To analyze the relations between their identification and human rights and to construct a new concept, this study focus on their self-groups. That is to sa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scribe the self-groups and communities of Korean women with disabilities in respect of human rights and group identification. Therefore thirteen groups' leaders or social workers are interviewed to investigate the goals, motivations, programs or activities, and networks. The study combines analysis of telephone interview data, e-mail responses and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Results show that most of disabled women's groups are social welfare agency-centred communities and their network activities are not diverse, community-based and job-oriented. But their programs and activities reveal the goals to protect and ensure the disabled women's rights, Therefore the formations and constructions of diverse self support groups or communities contribute to develop the social status the women with disabilities and human rights. To guarantee the rights of women with disabilities,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ir communities and group identifications.

      • KCI등재후보

        근대화 시기 주변부 여성노동에 대한 담론 : 식모'(食母)를 중심으로 In the focus of 'Housemaid'

        김원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소 2004 아시아여성연구 Vol.43 No.1

        본 연구는 근대화 프로젝트 시기 여성노동 범주를 '통일적인 것'으로 분석하지 않는다. 오히려 여성을 둘러싼 중심과 주변 관계로 인해 발생하는 '타자적 재현'에 주목한다. 근대화 시기 주변부 여성의 담론과 세계를 탐구하는 것은 단순히 이들의 생활을 서술하는 것이 아니다. 중요한 것은 이들을 둘러싼 보이지 않던 담론과 지식의 체계를 재구성하는 것이다. 근대화 시기 노동자와 노동운동에 대한 상당수 연구 자료 및 문헌에는 여성 노동자들이 등장한다. 하지만 이는 대부분 공적 영역이라고 구분된 '공장 노동'에 집중되어 있다. 본 연구가 기존 연구들과 구별되는 의미는 식모라는 주변부 여성을 둘러싼 담론들 사이의 갈등과 각축을 분석함으로써 이들이 '주변화-타자화'되는 역사적 과정을 드러낸 점이다. 구체적으로 식모의 존재를 가정과 사회질서를 위협하는 '요보호 여성'(혹은 잠재적 윤락여성)으로 간주, 이들에 대한 정신적 계몽을 강조한 국가의 담론과 정책, 식모에 의해 행해진 사회범죄의 원인을 은폐한 남성 지식인들의 담론 그리고 식모의 존재를 전업주부를 중심으로 한 근대적 가족 형성의 장애물로 사고하고, 당시 군사정권의 가부장적인 근대화 프로젝트와 공모한 중심부 여성의 담론은 분리된 것이 아니었다. 이들 담론은 근대화 시기 등장한 식모를 둘러싼 각축전이었다. This study does not analyze female labor category in modernization project period with 'unitary thing'. Rather we takes notice of 'representation of other' occurred by core-periphery relations sorrouding women. Researching the discourse and world of marginal female labor around the modernization times is not just to describe their everyday life. Important thing is reconstruction of system of invisible discourse and knowledge that besieged them. Female workers appear a number of researches and literature concerning female workers and labor movement in modernization times. But this is mostly concentrated on 'factory work' categorized public sphere. The meaning that this study is distinguished from existing study are exposing the historical process that 'marginalizaton of housemaid' by analyzing the struggle and conflict of discourses surrounding housemaid. Concretely discourse and policy of the state emphasized mental enlightenment of housemaid, regarded them 'potential ruined woman' that threat family and social order. The discourses of male intellectual concealed the causes of social criminal carried by housemaid. Discourses of elite women regarded existence of housemaid as obstacles of modern family formation, and their discourses are not divided with patriarchy modernization project conspired with elite women. These discourses are field of struggle surrounding housemaid that appeared in modernization period.

      • KCI등재후보

        경제발전과 여성의 경제적 지위

        유옥란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소 2004 아시아여성연구 Vol.43 No.1

        한국은 과거 30년간의 경제발전 과정에서 여성의 취업증가로 노동시장의 구조가 크게 바뀌었고, 서비스산업의 확대와 새로운 정보기술 산업 즉 IT 산업의 발전으로 여성인력의 활용문제가 주요 현실적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난 30년간의 통계자료의 분석을 통하여 경제발전에 따른 여성노동시장의 구조변화와 여성의 경제적 지위변화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경제발전이 여성의 노동인력에 미친 영향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향후 지식기반 산업의 발전에 따른 여성노동자의 미래를 예측하고 여성인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분석결과 경제가 발전함에 따라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이 지속적으로 증대하였고 한국 특유의 M자형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유형이 점차 완만해 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더욱이 경제발전에 따른 소득증대에 의한 대학 진학률의 증가와 더불어 19세 이하의 여성노동자의 취업률이 하락함을 알 수 있었다. 그 외 모든 연령층의 여성노동자들의 취업률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한국 경제발전에서의 여성 역할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었다. 반면 직급별 여성취업자와 종사상의 지위별 여성 취업자에 대한 분석결과 과장급 이상의 여성 취업자는 다소 증가하고 있으나 남성대비 5%수준에 머물고 있고 대다수의 여성 취업자들이 비정규직에 종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21세기 섬세한 여성노동을 필요로 하는 새로운 지식기반 산업의 발전에 따른 향후 여성노동자의 미래는 도전적인 여성들에 의해 노동시장에서의 지도자적 역할과 기회가 증대될 것이다. 더욱이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여성노동자들의 경력단절 없는 재취업보장제도와 직업훈련제도가 보장 될 경우 한국경제에서의 여성의 미래는 더욱 밝게 될 것이다. The structure of the labor market in Korea has been changing because of the increase of women's employment through the process of the economic development last thirty years. According that the services' industry is more increased and new information technology industry and IT industry has been developing, the utility of women's labor is to be an important issue. Therefore, by using the data of last thirty years, this study analyses critically the fluctuation of women's labor market structure and the change of economic position of woman's labor. Also, this study analyses the future of women's labor hereafter in the process of information technology industry and IT industry more developing and the plan of utility of women's labor. On examining the fluctuation of women's labor market structure, we find that th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of women's labor has increased and the type of women's labor supply of the shape of M has been changing to the shape of inverse U. The proportion of employment of women's labor for the class over the head of a section has been increased, but the proportion is to the extent of 5% of the man's labor. Besides, the large of employment of women's labor is included among the informal jobs. However, when the policies of supporting and developing women's labor are taken effect, the future of women's labor in the process of information technology industry and IT industry developing hereafter will be better than now.

      • KCI등재후보

        대중문화의 성상품화와 인권

        이선옥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소 2003 아시아여성연구 Vol.42 No.-

        성적 욕망이 무한 증식되는 대중문화 속에서 여성의 성상품화는 단순한 성적 이미지의 상품화만이 아니라 훨씬 내밀해지고 복잡한 형태로 진전되고 있다. 이 글은 과장되고 파편화된 페티시가 되는 이미지의 문제나, 성이 돈이나 힘에 의해 지배되는 교환가치가 되는 플롯들, 그리고 이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게 하는 서술자의 남성성의 문제를 드러내고 분석하였다. 여성의 성상품화는 여성을 대상화하여 피해자로 만들어낸다는 것만이 아니라 몸에 대한 표현을 둘러싸고 이루어지는 권력관계의 토대가 된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는 성상품화의 문제를 젠더 정치학의 관점에서 권력관계가 성차에 호소함으로써 어떻게 자연화되는가를 보려는 것이다. 육체적인 힘의 우열이나 돈과 육체 사이의 지배관계, 지적 능력과 성적 매력 사이의 위계 관계 등이 남녀의 관계로 그려질 때 권력관계는 마치 자연스러운 질서로 느껴지게 된다. 남녀의 관계로 그려지는 차이들은 생물학적인 조화로 여겨지게 되고, 차이의 위계만들기가 자연스럽게 느껴지기 때문이다. 성상품화의 위계만들기는 성적 대상으로만 존재하는 여성의 몸을 열등성으로 훈육시킬 뿐 아니라 지배와 종속의 섹스화를 통해 인간의 몸에 대한 폭력적 지배 가능성을 만들어낸다. 성이 교환가치로만 이해되고 팔리는 구조는 남성이 성적 이미지의 대상이 될 때도 마찬가지의 지배/피비재 방식을 재생산할 것이라 생각한다. 그렇게 본다면 평등이나 육체의 해방과는 거리가 먼 현상이라 볼 수 있다. 여성의 성상품화를 문제 삼는 이유는 여성이 자기소멸적인 가치에 집착하게 만드는 일일 뿐 아니라 성에 대한 폭력적 지배방식에 대한 자연화 방식이라는 점이 지적되어야 할 것이다. 그렇다면 무엇이 성상품화에 대한 전복적 상상력이 될 것인가. 도덕주의로의 회귀가 아닌 위계를 해체하는 새로운 에로티시즘의 출현은 가능한 것일까. 아직은 시도의 과정에 역담론들, 여성적 쾌락의 드러내기나 로맨스 서사의 다시쓰기 등등의 변화들이 어떻게 진행될 것인지 좀더 지켜보아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recuperate the possibility of new eroticism by analyzing the ways that sexuality isbeing commodified in the recent mass-cultural texts. In contrast to the straightforward commodification of explicit images in the earlier period, the current sexual commodification, based on masculine plot and narrator, tends to take more sophisticated form. Some of th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the contemporary cultural texts are; that fragmented and exaggerated fetishes determine the images: that the plots reflect the value system that power and wealth frame sexuality: and that the narrator naturalizes this value through the masculine perspective. This shift devaluates the familiar dichotomy of objectified female victim and male aggressor as analytical framework. I would like to emphasize the sexual commodification of women as the foundation for power to regulate the representations of body. Therefore, the studies on the sexual commodification should focus on the gender politics of power or, in other words, on the ways that power has been naturalized itself by appealing to the sexual difference. By describing the dominance of physical force and the commercial exchanges of bodies as male-female erotic relationship, and by building the hierarchy between intelligence and sexual attractiveness, the recourse on the sexual difference has naturalized power. It is this sexualization of dominance/subjugation or the infriorization of feminine body that legitimizes the violent domination of human body. For improving of human right, we need to subvert the violent domination of human body. Neither the simple reversal of male/female position - as one can find in the sexual commodification of male body images in the recent romance comic books which does not question the commodification of sexuality per se -, nor the return to old moralism, cannot provide subversive imagination to replace the commodification of sexuality. Only by producing more cultural texts that deconstruct the hierarchyas such, the possibility of new eroticism can emerge.

      • KCI등재후보

        여성빈곤의 구조적 요인과 빈곤의 여성화 : 가족, 노동시장, 복지정책에 관한 여성주의적 재고 Feminist Rethinking on Family, Labor Market and Social Policy

        김혜영,이은주,윤홍식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소 2005 아시아여성연구 Vol.44 No.1

        IMF 위기 이후 경제적 어려움은 가족 불안정성의 증가로 이어져 이혼과 별거로 인한 여성가구주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여성의 불안정한 노동시장 지위는 여성가구주들을 일하지만 빈곤한 '신빈곤층'으로 내몰고 있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빈곤인구에서 여성의 비중이 높아지는 '빈곤의 여성화'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남성 생계부양자와 매개되지 않은 여성의 빈곤가능성이 훨씬 높아진다는 점에서 여성빈곤은 여성을 독립된 개인이기 보다는 가족 의존적 존재로 규정하는 가부장적 사회의 모순적 현상으로 인식하고, 여성의 빈곤 가능성을 재생산하는 한국사회의 구조적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한국가족구조의 급격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여성의 경제적 독립을 가로막는 노동시장의 구조적 차별과 여성 배제적인 복지정책을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향후 여성의 사회적 권리를 인정하는 여성정책의 방향을 모색해볼 것이다. Financial difficulties after the IMF crisis led to increase in instability of family and female-headed households, resulted by divorces and separations, are increasing, However, the unstable situation for women in labor market is driving female-headed households into 'neo-poverty' where they do work but are still poor, and this is resulting 'feminization of poverty' as the number of women increase among the poors. Therefore, this paper recognizes Women's poverty as the contradictory result of patriarchal-industrial society which prescribes women as a family-dependent being rather than an independent individual from the fact that possibilities of women becoming poor are much higher if they are without male breadwinner, and discusses characteristics of Korean social structure which reproduces possibilities of women becoming poor. In short, by investigating critically the patriarchal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families, labor market and social policies in Korea, this paper hopes to explain that Women's poverty are consequence of patriarchal exclusion and suggest some new directions for policies on women which acknowledge social rights of women

      • KCI등재후보

        한국 남성과 결혼한 중국 조선족 여성들의 한국에서의 적응기 생활체험에 관한 연구 : 여성주의적 고찰 A Feminist Approach

        최금해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소 2005 아시아여성연구 Vol.44 No.1

        본 연구는 현상학적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해서 한국 남성과 결혼한 중국 조선족 여성들의 한국에서의 생활체험은 어떠하며 그리고 이들의 적응기 생활의 욕구와 문제는 무엇인지를 여성주의관점에서 파악하는 데 연구목적을 두고 있다.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서 생활한 지 6개월 이상인 기혼 조선족 여성 8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2회 이상의 심층적인 면담과 참여관찰을 통해 생활체험의 의미와 본질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이런 과정을 통해 조선족 여성들의 생활체험의 존질적 주제는 "다양한 관계 속에서 정체성 혼란을 체험한다"이다.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국 남성과 결혼한 조선족 여성들에게 여성주의적인 개입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essence of life experience of the Korean-Chinese women who are married to Korean men in adjustment period. This study adopted phenomenological method.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8 Korean-Chinese women who have been married to Korean men and been living in Korea for more 6 months. The data for the analysis conducted more than twice for each participant were collected by intensive interviews and observation. The essential theme is "the experience of the change of identity in the various relationships", This finding will help develop the feminist intervention that support Korean-Chinese women in international marriage for their adjustment in Korea.

      • KCI등재후보

        「 평행선」과 「소금」을 중심으로 살펴본 여성 노동자 다큐멘터리 : Documentaries for Female Laborers

        조진희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소 2005 아시아여성연구 Vol.44 No.1

        최근 몇 년간 여성 노동자의 삶과 투쟁을 다루고 있는 다큐멘터리들은 한국의 '노동자 다큐멘터리'에 있어서 주요한 하나의 흐름으로 등장하였다. 이들 '여성 노동자 다큐멘터리'를 제작하는 개인이나 단체 등은 학생운동 출신의 여성 영상 운동가 또는 여성 노동자 출신들로 구성이 되어있다. 국제통화기금체제를 실시한 이후의 경제유연화 정책 속에서 가속되는 여성노동자의 비정규직화, 현대 자동차 노조의 여성노조원에 대한 정리해고가 상징하고 있는 노동조합의 관료화와 가부장적인 운영 관행과 같은 첨예한 정치적 상황 속에서 노동운동에 깊이 관여하고 있던 여성들 중의 일원은 여성노조 그리고 여성 단체 등과의 긴밀한 공조 하에 영상을 통한 저항운동을 본격적으로 시작한 것이다. 이 논문은 '희망'이 제작한 「평행선」과 「소금」들을 중심으로 하여 '여성 노동자 다큐멘터리'들의 장르적인 특성과 흐름을 논의하고자 한다. 물론 '희망'에 대한 연구가 여성 노동자들의 삶과 현안을 다루는 다큐멘터리를 제작하고 있는 개인이나 제작 집단의 활동을 모두 함축할 수는 없겠지만 '희망'의 지속적인 창작 활동과 작품들의 소재의 변화 때문에 '희망'에 대한 연구는 곧 당면하고 있는 정치적인 현안과 밀접한 관련 하에 전개되고 있는 '여성 노동자 다큐멘터리'의 흐름을 추론해 볼 수 있는 한 방편으로 기능하고라고 생각한다. 「평행선」과 같이 노동조합원을 1차적인 관객으로 설정하고 있는 다큐멘터리에서 「소금」과 같이 일반관객과의 소통을 지향한 다큐멘터리에 이르기 까지 '희망'이 제작한 다큐멘터리들은 여느 '여성 노동자 다큐멘터리' 들처럼 여성 노동자들의 권익향상이라는 목표지향적인 성격을 강하게 드러내고 있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 정치적 목소리로서의 가능성과 한계점을 함께 짚어봄으로써 영상을 통한 노동 운동과 여성 운동과의 간극에 대한 주의를 환기시키기를 기대하고 있다. This essay will examine the context and conditions of contemporary women's documentary video-making by focusing on 'Hope', a women's video collective based in Seoul, active since 1996 and still operating. Its work, 「 Parallel Lines 」and 「 Salt 」, focuses on female laborers. 「 Parallel Lines 」deals with female laborers at Hyundai Motor Company. In 1989, the company decided a massive lay-off and the female workers were its major target. 「 Parallel Lines 」documents female workers' struggle to re-enter the public world of work and power, which nevertheless ended up as a failure. 「 Salt 」is about the railway women workers. Ticket sellers and the workers in the transportation part work in a 24 hour shift. In the situation, a great number of female workers underwent miscarriages. Besides, for working mothers, bringing up children seems to be a war because it is too hard to find a place looking after children at night. 「 Salt 」, exposing this harsh circumstances for would-be mothers and working mothers, tries to function as a public forum for female railway women workers. Because of the range of topics addressed, and because of Hope's consistent output, a study of their work provides one way of charting the course of recent women's documentary video-making practice as it engages with female laborers. In terms of form and content, the work of 'Hope' and other similar video collectives (some include 'Labor Reporters' Network' and 'Outcry') are 'political documentary'. By political documentary, I refer to any film or video that espouse an explicit opinion or position whose articulation contributes toward some manner of change. Political documentary tends to prefer a 'realist' structure and 'talking heads' might be its representative technique. My study will first analyze both the form and the content of Hope's documentary videos and sister texts-documentaries by women tackling similar issues. By doing so, I believe that I can highlight both the possibility and limitation of these political documentaries as a vehicle for a social chan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