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21세기 사회복지정책과 국가역할 강화 : 소통과 참여사회구축을 위한 적극적 복지

        김영란 숙명여자대학교 사회·교육과학연구소 2006 사회 교육과학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21세기 복지국가는 사회적 약자층만이 아닌 모든 국민을 대상으로 한 삶의 질의 확보 즉, 사회안전망 구축과 함께 세계화로 인한 새로운 사회적 위험에 대한 예방기제로서 적극적 복지(Active Welfare)로의 전환에 대한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21세기 정치는 능동적 시민을 구성원으로 소통하고 시민사회-국가-시장 간의 소통을 통해 사회통합을 추구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사회통합은 모든 사회성원이 기회와 참여에서 동등권을 가지고 사회에 참여하는가의 여부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현재 물질적 생존기반과 사회적 지위가 취약한 사회적 약자는 사회적으로 배제되고 등권적 공존을 어렵게 한다. 따라서 국가는 시민들이 개인의 힘을 강화하기 위해 사회안전망 제공뿐만 아니라 사회적 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안전망을 제공하여 등권적 공존을 제공해야 한다. 그런데 이러한 공존을 위해서는 기존의 복지국가에서 사회투자국가로 그 성격을 전환해야 하는 것으로 사람에 대한 투자를 중심으로 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통과 참여사회를 위한 인프라로서 적극적 복지와 함께 사회복지에 대한 투자 및 인적자원에 대한 투자를 그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 교육과정학 이론 수립의 현황과 발전 전망

        윤병희 숙명여자대학교 사회·교육과학연구소 2003 사회 교육과학연구 Vol.7 No.1

        교육과정학 이론화의 현황에 대한 비판적 관찰은 인식론적, 방법론적 난맥상을 드러낸다. 우리의 분야는 이론에 대한 이론의 맥락을 확보하지 못한 채, 역사의식과 학문공동체로서 마땅히 갖춰야 할 비판적 의사소통을 결여하고 있다. 실제와 응용에 대한 지극히 단순하고도 소박한 인식론이 지배적이며, 교육학과 그 하위 탐구영역의 개념적 혼란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우리나라 교육과정학 연구의 접근들이라 할 수 있는 개발모형 접근, 논리철학 접근, 정책연구 접근, 재개념화 및 후기철학 접근, 그리고 교육본위 접근들에 대한 비판적 분석과 이론화의 가능성이 보다 심도 깊게 논의되어야 한다. 학문적 정체성에 기초한 이론의 맥락을 확보하고, 교육과정학 연구를 학교의 교육프로그램 연구와 개념적으로 차별화해야 하며, 학문공동체의 의사소통을 활성화하여 방법론적 자의식을 제고해야 한다. 이 때, 환원주의로서의 방법론적 자임 현상은 철저하게 배제되어야 한다.

      • 영재교육과정의 모형과 방향

        한기순 숙명여자대학교 사회 교육과학연구소 2001 사회 교육과학연구 Vol.5 No.1

        영재교육과정 모형은 영재들을 위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론적, 실질적 근거를 제시하며, 제대로 된 영재교육과정의 마련은 효과적인 영재교육 실현을 위해 무엇보다 중요한 요건이다. 영재를 판별하고 나서도 그들을 위한 올바른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면 영재교육은 그 위상을 상실하기 때문에, 학자들의 효과적인 영재교육과정의 개발에대한 관심과 노력은 영재교육의 어느 분야보다도 높다. 영재교육법의 통과로 본격적인 영재교육의 실시를 앞두고 있는 지금, 안타깝게도 우리는 우리의 실정과 여건에 적합한 영재교육과정 모형의 필요성과 개발에 대한 인식이 전무한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외에서 지금까지 계발된 영재교육과정 모형 중 가장 대표적인 일곱 가지 모형들을 간단히 소개하고, 그 모형들이 우리 나라 영재교육과정 개발에 시사하는 바를 제시함으로 교육과정 담당자들에게 영재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아이디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Models for the curriculum of gifted education provide theoretial and practical foundations that enhance effective and efficient learning process of the gifted. Well-organized curriculum is the most imprtant condition to maximize gifted education process. Since the absence of appropriate programs for gifted children, however rightfully we select them, does make gifted education groudless, scholars put their utmost intersets and effort into developing a resourceful curriculum. The full-scale gifted education prompted by the pass of gifted education bill will be immediately effective, but we do not have any conscious awareness for the necessary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most compatible with our vernacular situation and reality. This article will introduce briefly seven most representative models developed abroad, and suggest what implications the models have for the development of our own curriculum. It is hoped to illuminate some ideas that might help the educators devoted to developing the curriculum.

      • 학교유형이 학생들의 공감 및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숙정,이경주 숙명여자대학교 사회·교육과학연구소 2002 사회 교육과학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학교유형에 따른 청소년기 학생들의 공감수준과 사회적 능력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어떠한 학교유형이 공감과 사회적 능력발달에 더 효과적인 환경인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남녀공학과 비공학에 재학중인 중학생들의 공감과 사회적 능력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서울시에 소재한 중학교 2학년 학생들 중 남녀공학에 재학중인 학생 103명과 비공학에 재학중인 학생 121명, 총 224명을 대상으로 하여 질문지법에 의해 공감과 사회적 능력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교유형별로 학생들의 공감수준에 차이가 있었다. 전체적으로 남녀공학 학생들이 비공학 학생들보다 공감수준이 높게 나타났다(남녀공학 M=34.21, 비공학 M=30.84). 둘째, 학교유형에 따른 사회적 능력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하위요인별로 조금씩의 차이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다(남녀공학 M=153.65, 비공학 M=156.40, p>. 05). 남학생의 경우, 대인적응성을 제외하고 나머지 사회적 능력의 하위요인(사교성, 사회참여도, 주도성, 인기도)들은 모두 남녀공학이 비공학 학생들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냈고, 여학생의 경우 사교성과 대인적응성, 사회적 참여는 남녀공학이 더 높은 점수를 보여주었고, 주도성과 인기도는 비공학이 더 높게 나타났으나 이러한 집단간의 차이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지 못했다. 청소년기는 자아정체감을 확립하고 새로운 환경에 대한 적응과 신체변화와 함께 정서적인 변화를 수용하고 변화하는 환경에 대한 적응과 조화를 이루어야 하는 시기이다. 학교에서의 자연스런 상호작용을 통해 남녀간의 사회적, 정서적 특성들을 공유하고 모델링 하면서 그들의 사회적 관계, 권리, 의무 등에 대한 인식과 함께 인지적 능력 뿐 아니라 정서적 능력에 대한 서로간의 이해와 배려는 성역할에 대한 고정관념을 탈피하고 남녀간의 장점을 배우면서 공감과 이타적인 사회적 능력을 발달시키는데 더 적절한 학교환경이 될 것이다.

      • 학교유형이 학생들의 공감 및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숙정,이경주 숙명여자대학교 사회·교육과학연구소 2002 사회 교육과학연구 Vol.5 No.2

        This study is to find out which type of school is more effective for students to develop their empathy and social competences through comparing and analyzing young students' level of empathy and social competences by their school types. To achieve this purpose,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ose middle school students who attend schools for both sexes and those who attend non-coeducational schools on their level of empathy and social competence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total of 224 Second Year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including 103 students attending coeducational schools and 121 students attending non-coeducational schools, to analyze students' level of empathy and social competenc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students' empathy. As a whole, coeducational school students showed higher level of sympathy than those who attend non-coeducational schools (coeducational M = 32.62, non-coeducational M = 30.84). In case of male students the results are noticeable as those who attend coeducation school students (M=33.91) showed more marks than those non-coeducational school students (M=32.62). In case of female students the results are those who attend non-coeducation school students (M=34.91) showed more marks than those coeducational school students (M=33.48). 2. As results of the comparative analysis on their social competences by school types, there were little differences due to the minor factors but did not show meaningful statistical figures (coeducational MI53.65, non-coeducational M=156.40, p>. 05). In case of male students, excluding the personal relation adaptability rest of the areas of minor factors (such as sociability, ability to participate, leadership and degrees of popularity) showed the coeducational schools marked higher than the non-coeducational school students. In case of female students, coeducational school students showed higher marks in the areas of sociability, ability to participate, and personal relation adaptability, while non-coeducational students marked higher in the areas of degrees of popularity and leadership, but those as for each group, the results had fail to provide meaningful figures. The adolescent period is the times when deliberate efforts are made for positioning or repositioning identity through their previous experiences and plan their parts of the futures. It is also important to construct their self-identity, as well as to accept new environment and culture during that period. Through natural interactions between two sexes, joining and modeling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their understanding of social relation, obligation, and right as well as understanding and consideration of cultural ability are to come out of the fixed idea, learning about advantages of both male and female while developing common and unselfishness of social ability will provide appropriate school environment. 본 연구는 학교유형에 따른 청소년기 학생들의 공감수준과 사회적 능력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어떠한 학교유형이 공감과 사회적 능력발달에 더 효과적인 환경인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복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남녀공학과 비공학에 재학중인 중학생들의 공감과 사회적 능력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서울시에 소재한 중학교 2학년 학생들 중 남녀공학에 재학중인 학생 103명과 비공학에 재학중인 학생 121명 총 224명을 대상으로 하여 질문지법에 의해 공감과 사회적 능력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교유형별로 학생들의 공감수준에 차이가 있다. 전체적으로 남녀공학 학생들이 비공학 학생들보다 공감수준이 높게 나타났다(남녀공학 M=153.65, 비공학 M=156.40, p>. 05). 남학생의 경우, 대인적응성을 제외하고 나머지 사회적 능력의 하위요인(사교성, 사회참여도, 주도성, 인기도)들은 모두 남녀공학이 비공학 학생들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냈고, 여학생의 경우 사교성과 대인적응성, 사회적 참여는 남녀공학이 더 높은 점수를 보여주었고, 주도성과 인기도는 비공학기 더 높게 나타났으나 이러한 집단간의 차이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지 못했다. 청소년기는 자아정체감을 확립하고 새로운 환경에 대한 적응과 신체변화와 함께 정서적인 변화를 수용하고 변화하는 환경에 대한 적응과 조화를 이루어야 하는 시기이다. 학교에서의 자연스런 상호작용을 통해 남녀간의 사회적, 정서적 특성들을 공유하고 모델링 하면서 그들의 사회적 관계, 권리, 의무 등에 대한 인식과 함께 인지적 능력 뿐 아니라 정서적 능력에 대한 서로간의 이해와 배려는 성역할에 대한 고정관념을 탈피하고 남녀간의 장점을 배우면서 공감과 이타적인 사회적 능력을 발달시키는데 더 적절한 학교환경이 될 것이다.

      • 정보화 시대의 영재교육

        송인섭 숙명여자대학교 사회·교육과학연구소 2000 사회 교육과학연구 Vol.4 No.1

        본 논문은 21세기에 대비한 영재교육의 한 방법을 논의하였다. 좀 더 구체화하면 영재교육의 프로그램은 지식주입의 방법, 단순 지식의 기억수준에서 이루어지지 말아야 한다. 영재교육의 프로그램은 지적사고 프로그램, 미래에 대한 사고능력, 창의성 등등과 관련되어 종합적 교육이 되어야 한다. 특히 학생들을 불모로 하는 지나친 상업주의를 경계해야 한다. 지나친 상업주의에 빠져 타당성과 신뢰성이 없는 교육에서 탈피하기 위해서는 제대로의 기능을 하는 영재관련 연구소를 국가적 차원에서 육성 지원한다는 전제가 되어야 한다. 영재의 교육프로그램과 판별방법은 [일반사고력], [수학·과학 등의 사고력] 그리고 [특수한 적성에 따른 사고력]으로 구성되고 이에 따른 과학적이며 통합적인 영재 판별 접근이 제안될 수 있다. 첫 단계로 영재아에게 인간의 사고에 기본이 되는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영재아들의 기본적 사고를 가능케 하며 탐구 의욕을 고취시키는 것이 기본 사고·창의성 프로그램의 목적이다. 둘째로 인간에게는 각 사람에게 고유하게 갖고 있는 적성적 능력이 있다. 이러한 특별 분야에 우수한 능력을 가지고 있거나 잠재력과 소질이 엿보이는 아동에게 그 적성과 발달 속도에 맞는 특별한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는 프로그램이다. 셋째로 이 단계에서는 영재아들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키우고 다양한 흥미와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다양한 프로그램의 내용을 아동들의 특성에 따라 선택하도록 한다. 넷째로 특별 프로그램은 각종 경시대회에서 입상한 학생들을 장학생으로 키워 각 영역에서 계속적인 지도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이다. 나는 누구냐라는 질문은 인간에게 있어서 가장 핵심적인 질문이며 중요한 명제이다. 내가 나 자신을 어떻게 보느냐가 우리 자신의 행동을 결정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 질문에 대한 대답으로 생각해 볼 수 있는 것이 자아존중감이다. 자신이 자신의 자아 존중감을 긍정적으로 높게 가지고 있느냐 아니면 그 반대이냐 하는 문제는 영재성을 가지고 있는 아동에게 아주 중요하다. 끝으로 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영재 교육은 다양한 전공을 가지고 있는 통합적이고 종합적인 사고에서 이론과 실제가 나올 때 그 신뢰성과 타당성을 가질 수 있다. 둘째, 영재교육은 일련의 과정이 논리적 합리적인 근거 위에서 단계 단계가 논의되고 영재교육 모형 위에 반

      • 한국교육의 근대성과 근대화 과정의 검토

        이종태 숙명여자대학교 사회 교육과학연구소 2001 사회 교육과학연구 Vol.5 No.1

        이 글의 목적은 최근 한국교육이 직면하고있는 위기적 증상들 -예컨대 수업 곤란, 기본적인 학교질서의 붕괴, 학교 이탈 현상 등-을 설명하는 논리 중 '근대교육 패러다임 위기론'이 관연 적합한가를 검토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한 논의의 핵삼은 한국교육을 서구적 의미의 전형적인 '근대교육'이라고 할 수 있는가를 따지는 것이다. 이글에서는 서구 그대교육의 특징을 보편교육의 이념, 국가교육체제의 확립, 교육내용의 합리성과사회적 유용성의 추구, 학력주의(또는 학력에 의한 사회적 지위 획득)의 네가지로 파악하였다. 이러한 특징들이 한국교육에서 언제,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파악하는 것은 곧 한국교육의 근대성 여부를 판단하는 관건이다. 그런데 최근의 한국 근대교육 형성에 관한 연구들은 단지 한국교육이 서구 교육을 얼마나 닮았는가보다는 어떤 과정을 거처 그러한 결과에 도달했는가에 좀더 많은 관심을 둔다. 그것은 한편으로 한국인에 의한 자생적인 근대화 측면을 강조하는 것이기도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한국교육의 근대성을 서구의 그것과는 다른, 독특한 형태로 이해하는 것이기도 하다. 한국교육의 근대화 과정에 관한 검토 결과는 다음과 같다. 근대교육의 단초는 이미 개화기에 마련되었으며, 일제 강점기 교육은 이것이 양적으로 확충되는 과정이었고,해방 후 새로운 독립국가의 출범으로 근대교육의 형식이 완결되었다. 그러나 보편교육의 실현과 같은 근대교육의 실질적인 내용은 6, 70년대의 산업화를 거치면서 비로소 충족되었고, 80년대에 이르러서는 과잉 근대화되는 양상마저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우리의 문화적 전통과 식민지 경험, 민족 분단에 따른 사고의 폐쇄성, 그리고 압축된 과잉 성장 등은 한국교육의 근대성이 서구와는 다른 특질을 갖도록 하였다. 결론적으로, 90년대 후반부터 표출된 한국교육의 위기 현상은 한편으로 이러한 비정상적 근내화 과정에서 비롯된 병리현상과 새롭게 대두된 탈근대적 시대 변화에 효과적으로 적응하지 못한 데서 오는 종래 학교교육의 정체성, 효용성 위기의 중첩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Koran education appears to be confronted with malaise such as the permeation of school failure or drop out, destruction of school norms, and difficulties in giving instr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crisis theory of the modern paradigm of education” to explain such malaise by discussing whether Korean education is really modern as construed in the theory. This study defines the characters of modern forms of the Western education as the expansion of universal education, establishment of public educational system, pursuit of rational educational contents and social utility, and support of meritocratic mobility.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and how theses characters appear in the modernization process or Korean education. The modern character of education was in bud dur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enlightenment period(Ke-hwa-gi) and went through the quantitative increase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period. After the independence, the form of modern education had been established. But it is during the industrialization period between the 1960s and the 1970s that the real content of modern education such as the implementation of universal education had been accomplished. In this historical evolution, the following factors complicated the modernization process of Korean education, contributing to making it different from that of the Western education: cultural tradition, colonial experiences, national division, and hasty and condensed development. Based on this historical interpretation,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crisis of Korean education is its identity crisis and utility crisis, compounded by both the pathologies of Korean version of modernization and the maladjustment to the postmodern social trend.

      • 교육기본권과 교육재정의 확보 및 배분

        송기창 숙명여자대학교 사회·교육과학연구소 2005 사회 교육과학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교육기본권의 개념을 고찰한 후, 교육기본권의 관점에서 교육재정 확보 및 배분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한 후, 교육기본권 보장을 위한 교육재정의 과제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교육재정과 교육기본권을 관련시켜 교육재원 규모가 교육기본권 보장을 위하여 충분한 것인가, 교육기본권 보장을 위하여 충분히 공정하게 배분되고 있는가, 나아가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교육재원 확보 및 배분을 위한 책임을 다하고 있는가 등을 고찰하였다. 교육기본권이라는 보장이라는 관점에서 현행 교육재원 확보제도와 배분 제도를 분석한 결과, 교육재정 총량규모가 교육기본권 보장에 미흡할 뿐만 아니라 교육재원 부담주체간 형평성에도 문제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교육재정 배분과정에서 학교급별, 영역별로 형평성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 연구에서 제안된 교육기본권 보장을 위한 교육재정제도의 개선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교육재정교부금제도를 도입하여 사업비의 규모를 축소하고 안정적인 재원확보가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둘째, 대학 재정지원제도를 개혁하여 사립대학 및 학생에 대한 투자를 확대해야 한다. 셋째, 사립 중등학교 재정지원을 위한 재원 확보책을 강구해야 한다. 넷째, 유아교육, 특수교육, 영재교육, 평생교육 등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다섯째, 대학생에 대한 교육비 지원제도가 확충되어야 한다.

      • "관계 중심 교육"과 학교학습

        이숙정 숙명여자대학교 사회 교육과학연구소 2001 사회 교육과학연구 Vol.5 No.1

        The current forms of school learning is based on individual-centered education, encouraging intense competition and discouraging educational relationship. This study intends to search an alternative notion of education to i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trodue the notion of “relation-centered education; to discuss its learning theories; and to suggest the ways to pursue it in the classroom. To accomplish the purposes, three different learning theories conducive to a relation-centered notion of education are reviewed. These theories are: 1) experiental learning theory of Dewey, 2) sociocultural learning theory of Vygotsky, and 3) situated learning theory of lave & Wenger. In light of the concept of the “relation” forming and formed by educational activities, these theories focus on the experiential, contextual, situated, and participatory nature of learning which is too often neglected in conventional schooling. As a way to undertake a relation-centered education in a classroom three principles are provided: 1) constitution of moral learning community based upon the ethics of caring, 2) encouragement of intersubjective communication, and 3) development of collaborative learning. A notion of relation-centered education and its principles are expected to open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horizon where we can critically examine the current mode of schooling and search a new understanding of learning.

      • 비판적 사고 교육의 현황과 방향 모색

        박선환 숙명여자대학교 사회 교육과학연구소 1999 사회 교육과학연구 Vol.3 No.-

        Critical thinking which must be one of the major educational goals may well serve to not only solve the problems in a reasonable way but also enhance human dignity, construct a mature democratic society and develop the education. Critical thinking among the high thinking abilities is suggested as not only reasonable problem solving with creative thinking but also central thinking field working on the finding, understanding and evaluation of problem. Above all, we can't escape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critical thinking in the point of doing the most central role to judge and evaluate the propriety of every thinking. Critical thinking is treated as one of important education goal in every country including America. and various trials are developed to promote this in real education field. Now, approaching to the 21th century,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our educational reality depresses and ignores critical thinking abilities rather than extending it although the ability of thinking critically is required seriously than any other time. Education should make the students adapt to the changing world. The role of education should not be restricted to only transmitting the structured knowledge simply. Our students are skilled at only accepting passively and not critically, and we should foster their ability so that they may consider about knowledge. information and think critically. We need the intentional and planned education to stretch the student's critical thinking abilities for this purpose. In this study, I supposed that we could promote students' critical thinking abilities through education on the basis of wide pre-study results and discussed about the criticism of present Korean education interfering with the stretch of critical thinking abilities. consideration of present condition of domestic and foreign critical thinking education. and approaching plan for critical thinking education hereaf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