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성균관대학교 사범교육정책을 위한 학생만족도 조사연구

        진영은,유길한,이훈병 성균관대학교 사범대학 교육연구소 2002 敎育硏究 Vol.1 No.1

        본 연구는 성균관대학교 사범대학 학생들의 만족도를 조사함으로써 본 대학의 사범교육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만족도 영역은 3영역으로 전체적 만족, 직업개발 만족, 그리고 교육발전 만족영역으로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전체 만족도에서는 대학의 다른 사람에 대한 추천, 발전가능성, 가치관의 정립, 그리고 기회비용의 가치에 대한 만족감에는 다소 높은 만족도를, 직업개발 만족영역에서는 직업을 얻을 가능성, 직업을 얻을 능력, 그리고 전문가가 될 가능성에서는 높은 만족도를, 교육발전 만족영역에서는 전공영역에 대한 이해와 전공의 필요성에서 다소 높은 만족도를 보여주었다. 또한 성별간 차이검증에는 각 영역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지만 학년과 전공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2001년 사범대학 학생만족도 결과분석을 통해 볼 때 사범대학의 사범교육정책은 ① 학교교육과정 및 학교교육의 신뢰성문제, ② 학과간 특성있는 교육정책의 부재, 그리고 ③ 학생들의 취업문제에 대한 행정지원 문제 등이 지적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고 효과적인 사범교육정책을 실현하기 위해 첫째, 사범대학 학생들의 만족도를 제고해야 한다. 둘째, 사범대학 학생들의 직업 능력 개발을 위해 실험(현장)실습의 기회를 강화해야한다. 셋째, 학생들의 취업문제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넷째, 학교교육과정의 개편과 교육의 신뢰성 회복이다. 다섯째, 계열간 특성에 따른 사범교육정책의 운영이 필요하다. 현재 성균관대학교 사범대학의 발전은 물론 학생들의 교육적 능력 향상을 극대화할 수 있는 교육정책을 운영하고자 하는 노력이 절실히 필요하다. Stakeholder in Teacher's college concerns about the quality of Teacher Education merit the attention of becoming a teacher. This study converts the quality problem of Teacher college primarily into questionnaire to find the differences in standards, especially by use of quantitative measure(T-test, ANOVA). So, the purpose of the study obtains policy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in Sung Kyun Kwan University. This study is comprised of three sections of student satisfaction: One is overall satisfaction for school of education quality; Another is career developmental satisfaction; The other is Educational development satisfaction in the school of education. First, the overall satisfaction is made up of the followings: 1) Recommendation of their university. 2) Development possibility of their university. 3) Personal self-satisfaction. 4) Stepping store for self-realization. 5) Opportunity cost of university life. 6) Time value of university life. 7) Choice for university life. Second, the career developmental satisfaction consist of the followings: 1) Possibility of obtaining a job. 2) Opportunity for internship. 3) Preparation for a hopeful job. 4) Possibility of getting a job. 5) Preparation for a professional. Third, the educational development satisfaction is comprised of the followings: 1) Understanding of major area. 2) Knowledge acquiring skills. 3) Interdisciplinary study. 4) Intellectual stimulation. 5) Necessary for my major. 6) Satisfaction of university curriculum. 7) Trustiness of university education. The findings of analysis indicate the problems of Teacher education, which are reliability problem of university education and curriculum, distinguishable curriculum design among the departments of school of education, and administrative support for job opportunity. As results, this study have some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The first implication is need of educational program reform for obtaining the students satisfaction. Another, the implication is need of attached secondary school for future- teacher's internship. The third implication is need of recovery of university curriculum innovation. This study is an alternative to the status quo, which is not always applicable, it may be adapted to similar situation elsewhere.

      • 듀이의 '교호작용' 개념의 교육적 함의

        김무길 성균관대학교 사범대학 교육연구소 2002 敎育硏究 Vol.1 No.1

        본 연구는 듀이의 인식과정으로서의 '교호작용'(transaction)의 개념에 비추어 '상호작용'(interaction)의 성격을 해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사실, 이때가지 듀이의 교육적 경험의 한 척도로 언급되어 온 '상호작용'은 그 용어 자체로 보아, 좁은 의미의 '평면적 상호작용'과 넓은 의미의 '입체적 상호작용'으로 각각 상이하게 해석될 가능성을 가지고 있었다. 듀이가 비교적 그의 후기 저작에서 '교호작용'이라는 새로운 용어를 쓰게 된 까닭은 자신이 의도한 상호작용이 자극-반응 식의 기계론적 상호작용이 아니라, 시공간상 인식의 범위가 확대된, 지적 상호작용이라는 점을 보다 명확히 하고자 하는 데에 있었다고 볼 수 있다. 교호작용은 삶의 존재적 상황에서 당면하는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해서 성립하는 것이지만, 동시에 좁은 범위의 '평면적 상호작용'의 차원을 벗어나서, 인식의 수준이 계속적으로 상승되는 '입체적 상호작용'을 의미한다. 이러한 교호작용의 전개 양상은 상호작용을 하는 양자 중 어느 한 쪽이 다른 쪽에 영향을 주는 일방적인 관계가 아니라, 상호 영향을 주고 받아, 양자 모두 변화, 발전하는, 그런 통합적인 관계에 입각해 있다. 여기에는 일체의 이원론적 분리를 부정, 극복하고자 하는, 그의 반이원론적 세계관이 반영되어 있다고 보아야 한다. 교호작용에 기초한 교육의 구체적 전개 양상은 적어도 세 가지 측면에서 조망될 수 있다. 즉, 경험의 성장을 지향하는 교육, 흥미와 교과가 통합되는 교육, 사회적 맥락과 연속적인 교육이 그것이다. 이 세 가지 양상들은 상호 병렬적인 관계로 파악되어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그것들은 공통으로 지적 사고작용을 전제로 하고 있으며, '경험의 성장'을 향하여 그 활동의 의미가 수렴되고 있기 때문이다. 교호작용에 기초한 교육론이 시사하는 바에 의하면, 교육에서는 인식수준의 계속적 향상이 이루어지도록 다양한 상호작용의 과정이 보다 풍부하게 일어나야 하며, 학습자에게 지금보다 더 많은 사고와 탐구의 기회가 주어져야 할 것이다. In his later work, Conduct and Experience, Dewey mentioned that interaction is the primary fact and it constitutes a trans-action. This statement shows us an important clue to re-interpret his theory of educative experience. The reason is that Dewey's theory of educative experience not only explains visible experience, but also presupposes transaction as cognitive process. In fact, it can be said that the term of 'interaction' spoken as a measure of educative experience in Dewey's theory, has two different meanings, keeping the literal analysis of the term itself in view. One is 'one-dimensional interaction' in a narrow sense, the other is 'three-dimensional interaction' in a broad sense. Dewey replaced 'interaction' by 'transaction' in his later works comparatively, because of the ambiguity of the meaning of interaction.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interpret the nature of 'interaction' in view of the concept of 'transaction' as cognitive process, and to search its implications for modern education. Dewey's transaction is not fragmentary interaction, but intellectual interaction accompanied with thinking. In other words, transaction is not based on the mechanical, stimulus-response relation such as Skinner's proposal, but on the wide knowing through 'three-dimensional interaction'. And it must be pointed out that the word of 'three-dimensional' in this study does not only mean three-dimensional space in mathematical context. Because it can be interpreted as the concept given with the continuity in time. Dewey's intention to use the term of 'transaction' is to emphasis that it is surely one step higher than mere interaction, and that in such transaction, there are plentiful, cognitive contexts : historical, cultural, and social contexts. In fact, transaction is only possible to get accomplished on the basis of interaction that is existential fact of life. But at the same time, it must be pointed out that transaction gets out of the level of mechanical interaction, and goes to the continuous progress of cognitive level. This unfolding aspect of transac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one-sided relation for one part to have influence on the other, but as integrated relation for both of them to change and develop under their reciprocal influences. This reflects Dewey's anti-dualistic viewpoint of the word that tries to reject and overcome all dualistic separations. It can be said that underlying Dewey's theory of educative experience is transaction as cognitive process. Concrete, unfolding aspects of education based on transaction shall at least be summarized in three aspects : firstly, education to the continuous growth of experience, secondly, education integrating child's interest and subject-matter's logic, thirdly, education linked with social context. But these three aspects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separate, parallel relation. Because all of them commonly presuppose intellectual thinking, and identically focus on the growth of experience. According to the implications of educational theory based on transaction, various interactions should be occurred in order to achieve the continuous progress of learner's cognitive level, and many chances of thinking and inquiry should be given to learners.

      • 과학영재 교육기관 운영에 관한 연구 : 과학고등학교를 중심으로 Focus on the Science High Schools

        윤건호 성균관대학교 사범대학 교육연구소 2002 敎育硏究 Vol.1 No.1

        이 연구는 과학영재 교육기관으로서의 과학고등학교 교육이 만족스럽게 운영되고 있는가를 연구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과학고등학교의 교육을 6개 영역(학생 영재성, 교수학습활동, 교직자체, 교과 외 활동, 근무여건, 행정제도)으로 나누고, 6개 영역에 대한 과학고등학교 교사들의 만족도를 설문지를 통한 조사연구를 통해 밝혔다. 만족도의 측정은 '매우 불만족'에서 '매우 만족'까지 6단계를 1, 2, 3, 4, 5, 6의 순으로 배점하였다. 연구내용에 따라 그 결과를 요약·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과학고등하교 교육운영에 있어서는 교육운영 전체 영역에 대한 만족도는 '조금 만족한다(3.772)'에 가깝게 나타났다. 각 집단별 만족도 수준으로는 학생 영재성 관련 영역의 만족도는 4.284, 교수 학습활동 영역의 만족수준은 3,963, 교직자체 영역 만족수준은 4.27, 교과 외 활동 영역의 만족수준은 4.00, 근무여건 영역의 만족수준은 3.973, 행정제도 영역의 만족수준은 2.344로 나타났다. 과학고등학교 교육운영 관련 문항의 만족 수준은 4.687에서 1.845까지의 수준을 나타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 education operations of science high schools were offered satisfactorily in that sort of school. for attaining the purpose, six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covering the satisfaction level at education operations. In order to see if education was offered satisfactorily in science high schools,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ver teacher satisfaction level at six areas of science high schools education operations : student giftedness, teaching-learning activity, teaching profession, extracurricular activity, working condition and administrative system. The brief findings of the study of the satisfaction level at science high schools education operations were as below: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teachers investigated at the overall areas of science high schools education operations(3.772) were between a little dissatisfaction and a little satisfaction. Every group's satisfaction level ranged from 2.344 to 4.284. The area they expressed most satisfaction at was student giftedness(4.284), which was more than a little satisfaction. The administrative system appeared to be unsatisfactory(2.344), and the teachers expressed the least satisfaction at this area. The item the teachers showed most satisfaction at(4.687) was students'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math or science contest, which could be nearly said to be satisfactory. The item that gave the next most satisfaction to the teachers(4.442) was students' task performance, which was more than a little satisfaction. The item that gained the least satisfaction from the teachers(1.620) was the abolition of school achievement comparison system, which could be said to be very unsatisfactory.

      • 조선시대 서원의 사회교화 연구

        장재천 성균관대학교 사범대학 교육연구소 2002 敎育硏究 Vol.1 No.1

        조선시대 서원의 교육은 '존현'(尊賢-사회교육적 측면)과 '강학'(講學-학교교육적 측면)이라고 하는 두 가지의 목표를 양대 축으로 설정하여 이루어졌으며, 그것은 또 대체로 도학(道學-성리학)적인 이상세계를 실현하려는 지방 사림(士林)들의 향촌 장악 의도 하에 실행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의 구체적 실현을 위해, 서원은 사회교화 차원으로서는 존현을 위한 제향(祭亨), 향음주례(鄕飮酒禮), 향사례(鄕射禮), 향약(鄕約), 강회(講會), 통문(通文)을 통한 사리공론(土林公論)의 조성 등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그와 같은 방법들은 거의 모두가 모델링(modeling) 기법에 의한 예(禮)·효(孝)·제(悌)의 실천을 통해서 성리학적 신분질서를 계속 재정립하고, 향민들을 장악 내지는 교화시키려는 데에 그 주된 목적이 있었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the forms of the aspects of social education in the Sue-Won(書院) of the Chosun Dynasty through a literature research. The Sue-Won(書院) in the Chosun Dynasty could be seen that it had been carried out two aims called 'the fosterage of capable men' and 'the indoctrination of customs', in order to realization a utopia of 'Dae-Dong Society(大同社會)' under the ruling ideology of confucianism as the Sung-Kyun-Kwan(成均館) and Hyang-Gyo(鄕校). However, the social education on the indoctrination of customs in the Chosun Dynasty could be seen that it had been accomplished in the main with the national universities as the central figure, in the Hyang-Gyo(鄕校) and the Sue-won(書院) as the local figure. For that reason, I think that the ruling class of the Chosun Dynasty at that time regard looked upon very much importantly as the maintenance of ruling ideology what we called 'Confucianism'. Therefore, the social education in the Sue-Won(書院) had been executed to the programs of Je-Hyang(祭享), Special Lecture Meeting(特別講習), Hyang-Yak(鄕約), Tong-Moon(通文) for the maintenance of confucianism ruling ideology in the local society. Finally, the such educational all contents and methods were to construct a Utopia of Dae-Dong Society which confucianism pursued to put through pratice of Ye(禮) and Hyo-Je(孝悌).

      • 디지털 학습 플랫포밍 최적화 전략

        김미량 성균관대학교 사범대학 교육연구소 2002 敎育硏究 Vol.1 No.1

        디지털 학습은 전자우편, 토론, 실시간 컨퍼런싱, 그룹웨어, 파일전송, 응용 소프트웨어, 시뮬레이션, 교육과정 개발 및 관리 도구 등을 구성요소로 하여 디지털 세상에서 펼쳐지는 새로운 형태의 학습이다. 디지털 학습플랫폼은 이와 같은 구성요소 중에서 디지털 학습을 설계, 개발, 실행, 평가, 관리하는 기지의 역할을 하는 통합 프로그램을 말한다. 디지털 학습 플랫폼이 얼마나 최적의 기능과 학습환경을 제공해 주는가에 따라, 또 디지털 학습 플랫폼이 얼마나 디지털 학습의 설계, 개발, 운영을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지원해 줄 수 있는가에 따라 학습에 대한 동기유발은 물론 학습에의 시간, 노력, 참여와 같은 투입행동에 결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디지털 학습 플랫폼이 제공하는 기능에는 저작기능, 컨퍼린싱 기능, 상호작용 지원도구, 관리평가기능, 학습보조지원기능 등이 있다. 이러한 플랫폼 구성에서 가장 중요한 측면은 학습장면에서 일어나야 하는 개별 학습자의 학습경험과 활동들을 중심으로 설계되어야 하며 디지털 학습환경에 적용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학습의 방법들이 활용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문제는 저마다 다른 '개인' 학습자의 고유한 학습환경에 완벽한 최상의 플랫폼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에 있다. 다양한 개인 학습자의 요구들을 수렴하고 구체적인 학습내용과 과제의 특성을 고려하여, 보다 효과적, 효율적, 매력적 학습을 시도, 지도, 관리하기 위해 플랫폼의 최적화를 추구할 따름이다. 본 연구에서는 최적의 디지털 학습환경을 개인 학습자에게 제공해 주기 위해 필요한 전략과 가이드 라인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Digital learning offers distinct advantages over traditional classroom training. It accommodates all levels of expertise, and lets students work at their own pace, and it can be accessed from anywhere in the world. The Digital Learning Platform is an integrated Internet-based courseware development and delivery platform. The platform is used to develop and deploy self-paced courses. With the right digital learning platform, a virtual classroom can become a reality. The main components of the platform include the authoring tools, conferencing tool, interactive supporting tool, learning management system, and learning assistance tool. Learning management system provides management a way to obtain information on training progress and drive results. The most important aspect of building an effective platform is to design the system around the individual learners' experiences and learning activities. The platform also needs to be designed to fully utilize various learning methods. But the problem is there exists no single best, optimized platform for every individual learner. Once the needs of individual learners, the scope of training contents, and the goals of training are determined, unique platform strategy might be optimized. In this paper, strategic guidelines for optimizing digital learning platform are to be provided.

      • LAN 관리를 위한 성능 및 장애 관리 시스템의 설계에 관한 연구

        안성진 성균관대학교 사범대학 교육연구소 2002 敎育硏究 Vol.1 No.1

        본 논문에서는 RMON MIB을 분석하여 관련 MIB 객체를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LAN 세그먼트의 성능과 장애 관리를 위한 분석 항목을 정의하였다. 또한, 제시한 분석 항목을 기반으로 LAN의 성능 및 장애 관리를 위한 클라이언트 및 서버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제시된 관리 시스템은 관리 공간의 제약, 사용의 불편성 그리고 플랫폼 의존성이라는 한계를 극복하고 또, 그 실제 네트워크 상에서 적용성과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JAVA를 이용한 웹 기반 기술을 적용하여 설계되었다. LAN 성능 및 장애 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관리자는 웹을 통해 네트워크 진단과 장애 감지, 네트워크 구성 및 설계 등과 같은 LAN상의 관리 행위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has defined the analysis items for performance and fault management by analyzing RMON MIB. Also, the client/server systems are designed for LAN performance and fault management based on the proposed analysis items. The proposed management system shows the resolving management domain, easy of use, and platform independence. And it is designed to enhance adaptability and applicability in real network environment by web based technologies using Java. Thru LAN performance and fault management this system provides a manager with LAN management activities such as network troubleshooting, monitoring, fault detection, and network design by Web.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