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의 이용실태, 만족도, 욕구에 관한 연구 : 아산시 지역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김영실 선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는 아산시 영구임대아파트 단지내의 사회복지관에서 시행중인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의 이용실태, 만족도 및 욕구를 아동과 학부모 측면에서 검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아산시 지역사회복지관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해 초등학교 3-4학년 학생과 1-4학년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으며, 여기에는 사회복지관을 현재 이용하고 있는 경우, 이용하다 그만둔 경우, 이용하지 않는 경우 등을 포함시켰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회복지관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의 이용실태, 만족도 및 욕구를 아동을 통해 살펴보았다. 첫째, 아동의 이용실태 및 만족도는 현재 이용하고 있는 아동이 7%에 불과했고 이를 성별로 살펴보면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현재 이용 아동들의 이용 이유를 보면 부모님이 보내서 다니는 경우가 43%로 가장 많았고, 이용한 적이 없는 아동들이 이용하지 않는 이유는 사회복지관을 잘 몰라서가 37%로 가장 많았다. 전에 이용하다 그만둔 아동들의 이유를 보면 나쁜 친구들이 많아서가 22%로 가장 많았고, 사회복지관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을 현재 이용하고 있거나 이용한 적이 있는 아동들이 가장 즐거워하는 활동은 요리가 36%, 간식시간이 26% 이었으며, 방과후 교실의 가장 좋은 점은 숙제나 공부에 도움이 되어서가 48%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재미있는 놀이가 있어서가 29%이었다. 반면에 나쁜 점은 교실이 깨끗하지 않다, 없다가 23%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아동들이 방과후 교실에서 보내는 평균 시간은 1시간 이상 2시간 미만이 36%로 나타났다. 둘째,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에 대한 아동의 욕구를 살펴보면 아동들이 생각하는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 실시 적정기관으로는 초등학교 33%, 학원 28%, 사회복지관 17%의 순서로 나타났고 아동들이 가장 선호하는 지도교사는 학교선생님 38%, 아동지도사 25%, 자원봉사자 12% 순이었다.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 참여시 적정시간은 1시간 이상 2시간 미만이 56%로 나타났고, 아동들이 꼭 참여하고 싶은 프로그램은 예능·특기 개발이 24%로 가장 많았으며, 부족한 학습 보충, 컴퓨터, 신체활동 프로그램은 모두 18%로 같은 순위를 나타냈다. 성별로는 남학생은 신체활동을 33%가, 여학생은 예능·특기를 44%가 우선으로 하여 매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다음으로 사회복지관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의 이용실태, 만족도 및 욕구를 학부모를 통해 알아보았다. 첫째, 이용실태 및 만족도를 살펴보면 현재 보내고 있는 경우가 12%로 나타났다. 그리고 사회복지관 방과후 아동교실에 자녀를 보내는 이유를 보면 낮시간에 아이를 보살필 성인이 없어서, 아이가 심심해함으로 또래와 어울림의 목적으로, 학업성취를 위해서가 모두 21%로 가장 많았다. 또한 한번도 보낸 적이 없는 학부모의 이용하지 않는 이유를 보면 사회복지관을 잘 몰라서가 55%로 나타나 사회복지관의 홍보활동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할 필요가 있었고, 부모들이 전에는 보냈으나 지금은 보내지 않는 이유를 보면 방과후 프로그램이 마음에 안 들어서가 26%로 가장 많았다. 또한 부모들이 사회복지관 방과후 지도를 선택한 이유 중 저렴한 비용이 41%, 지리적으로 가까운 곳에 위치 32%로 나타나 저소득층 가정에 있어서 저렴한 비용이 사회복지관 방과후 프로그램의 선택시 우선 조건이 되고 있었다. 그리고 사회복지관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의 이용시간과 월회비에 대한 학부모의 만족도는 대체로 만족하고 있었다. 학부모들이 사회복지관의 방과후 프로그램 중 가장 좋다고 생각하고 있는 점은 수강료가 싸다 36%, 여러 과목을 한 장소에서 수강할 수 있다 32%로 나타났으며 반면에 좋지 않은점은 강사 교체가 잦다가 21%로 가장 많았다. 둘째,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에 대한 부모의 욕구를 살펴보면 부모들의 38%가 자녀의 방과후 지도비를 국가가 부담해 주기를 바라고 있었으며 부모들이 생각하는 방과후 실시 적정기관은 초등학교 47%, 사회복지관 28%, 학원 14% 순으로 나타나 초등학교를 가장 선호하고 있었다. 그리고 방과후 아동지도 적당시간은 1시간 이상 2시간 미만이 30%로 가장 많았고, 부모들이 희망하는 방과후 지도교사는 아동지도사 65%, 초등학교교사 14% 순으로 나타나 아동들과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부모들이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 선택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은 프로그램 내용 28%, 비용21%, 기관의 위치 18%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들의 방과후 지도에 대한 요구사항을 보면 아동의 전인적 교육이 28%, 아동의 안전한 보호가 25%, 특기지도가 23%의 순서로 나타났다. 부모가 희망하는 프로그램은 글쓰기, 독서가 13%로 가장 많았고, 그 외 영어·한문, 컴퓨터 12%, 숙제지도 11%, 음악·미술 9%, 학습지도 8% 순으로 나타나 학부모들은 학습지도나 숙제지도보다 글쓰기나 독서지도 등을 더 선호하고 있었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아산시 지역사회복지관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을 고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o what extent after-school child guidance program provided by social welfare center in permanently leased apartment complexes in the Asan city were utilized, how much satisfaction they gave to participants and what children and their parents expected from them. It's basically attempted to seek ways of making after-school programs more prevailing in that cit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ird and four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and parents whose children were in their first to fourth years, on whom a survey was conducted. All the children who were currently participating the social welfare center, stopped doing that and never participated that were investigated.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children's participation of after-school child guidance programs provided by the social welfare center, their satisfaction and their needs, just 7 percent of the children investigated currently participated in the after-school programs. By gender, the girls participated them more than the boys. Among the participants, 43 percent, the largest group, were made by their parents to attend the welfare center, and among the non-participants, 37 percent, the greatest group, weren't aware of that. In the case of the past participants, 22 percent stopped attending the center because there were lots of bad friends. The favorite activity of the current and past participants was cooking which is 36 percent, followed by snack time which is 26 percent. Concerning the best benefit of the after-school programs, 48 percent, the greatest group, found them to be useful for doing their homework or studying, and 29 percent, the second largest group, pointed out exciting plays. As to the disadvantage of the programs, 23 percent, the greatest group, answered the classroom was unclean. And 36 percent, the largest group, spent a mean of one to less than two hours in after-school classrooms. Second, in regard to the children's needs for after-school programs, 33 percent, the largest group, regarded elementary school as the best institute of providing after-school programs, followed by academies which is 28% and social welfare center which is 17 percent. The most preferred instructor was school teachers which is 38 percent, followed by child instructors which is 25% and volunteers which is 12 percent. 56 percent thought it's most advisable for them to participate in after-school programs for one to less than two hours. 24 percent, the greatest group, wanted to take part in programs that taught music or art or could develop their special talents. The second largest group, 18 percent, wanted to take computer classes, be engaged in physical activities or fix their academic deficiencies. Their gender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as the boys gave more weight to physical activities whereas the girls placed more stock in art, music and talent development. Concerning the participation of the after-school programs by the parents, their satisfaction level and needs, 12 percent of the parents investigated had their children attend the social welfare center. Among the user parents, 21 percent, the largest group, used the after-school programs because there were no adults who could take care of their children in the daytime, because their children were bored, or because they wanted to have their children get along with peers or improve their academic achievement. Among the non-participant's parents, 55 percent didn't participate in that as they didn't know about them. Social welfare center should be more publicized, and in the case of the past participants, 26 percent, the largest group, stopped participating them since they didn't like their after-school programs. As for the reason why they selected the social welfare center, 41 percent cited low cost, and 32 percent answered they were located around their houses. This fact indicated that the low-income families made low cost a priority when they selected after-school programs. They were roughly satisfied with the time of participating in the after-school programs and monthly cost. Concerning the best advantage of the after-school programs provided by the social welfare center, 36 percent pointed out inexpensive cost, and 32 percent replied it's possible to take different courses at the same place. As to their disadvantage, 21 percent, the greatest group, answered that the program instructors changed often. Second, concerning the parents' needs for after-school programs, 38 percent wanted the government to pay for after-school programs on behalf of them. They regarded elementary school as the best institute of offering after-school programs which is 47 percent, followed by social welfare center which is 28% and academies which is 14 percent. Thus, elementary school was preferred the most. 30 percent, the largest group, wanted their children to be taken care of after school for one to less than two hours, and their preference for program instructors was different from that of the children, as instructors who could take care of children were most preferred which is 65 percent, follow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ich is 14 percent. When they selected after-school programs, the content of program was considered most important which is 28 percent, followed by cost which is 21% and institute location which is 18 percent. As to their needs, well-round education was most widely expected which is 28 percent, followed by child safety which is 25 percent and talent improvement which is 23 percent. Reading and writing programs were most widely wanted which is 13 percent, followed by English, Chinese character and computer classes which is 12 percent, homework guidance which is 11 percent, and academic guidance which is 8 percent, which indicated the parents had a higher liking for writing or reading guidance rather than for academic or homework guidance. Based on the above-mentioned findings, how after-school programs provided by the social welfare center in the Asan city could produce better results and be more widespread was discussed.

      • 노인복지시설기관의 지원실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아산시 노인복지 시설기관을 중심으로

        이정희 선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50703

        현대 사회로 접어들면서 노인문제는 곧 사회문제이자, 사회화 현상으로 나타나기 시작했다. 평균 수명 연령이 높아가고 노인 인구가 급속도로 증가되면서 노인병으로 인한 가족보호가 일상생활을 묶어 두기에 이르렀다. 오는 2020년에는 우리나라의 노인 인구가 14.3%로 고령사회로 접어들게 된다. 고령화 시대에 맞춰 노인복지 수요가 다양화되고, 전문화되면서 중앙정부든 지방정부든 간에 예산 비중이 늘어나 어떻게 하면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노인 복지 문제를 해결해 나가야 하는데 최대의 관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1999년 정부는 노인 복지 중장기 발전계획을 발표하였다. 4가지 기본 틀을 두고 2003년까지 추진하기로 한바 있다. 첫째 생활 안정 기반 조성, 둘째 건강한 노후 생활 보장, 셋째 복지 서비스 기반 확충, 넷째 활기찬 노년문화의 형성이라는 틀 속에서 자립 지원을 하기로 하였다. 선진국들에서도 고령사회에 대비한 노인 복지 정책을 최우선 과제로 일본에서는 1990년 복지법이 개정되면서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 체제와 지역 중심의 서비스 체제 개호대책 중심의 공적 개호보험 제도를 2000년 4월부터 추진하고 있으며, 자조, 공조의 중층적 노인 복지 체계를 구축하여 고 복지, 고 부담형의 복지사회를 공공과 민간의 적절한 책임을 나누어 역할을 분담하는 일본형 복지사회 구축을 이루고 있다. 미국도 연령 차별적 정책으로부터 탈피하고 민간 부문의 노인복지 책임에 대한 공유, 가족에 대한 역할 강조와 이에 대한 지원확대, 노인 자원의 사회적 활용, 장기 보호 시설의 확충, 주거서비스에 대한 지원 등으로 정책 방향을 설정하였으며, 이에 우리나라에서는 사회적 연대를 통하여 노인의 자립을 지원하면서 고비용 고 부담에 대비하여 보호시설의 신설보다는 기존 시설을 확충해 나가면서 재가 서비스로 전환해 가고 있다. 1999년도 정부 예산 80조원중 노인 복지 예산은 0.2%내외인 1,900억원으로 전국 320만 노인들의 복지수혜가 어려운 현실이다. 본 연구는 보호시설기관의 열악한 재정 형편을 분석 고찰하고 대책을 수립하는데 목적이 있으나 전국적으로 무료 양로, 요양시설이 대부분이고, 유료 실비나, 요양시설은 그나마 대도시에 편중되어 있고, 충남지역에서도 전국대비 월등히 작은 아산시 역시 농촌형 도시로서 3개 시설 기관으로는 자료분석의 심층조사가 현실적으로 어려웠다. 한정된 예산으로 질 좋은 서비스를 이용자에게 공급하기를 원하는 정부 당국이나, 평가에 고부담 비용은 2중, 3중의 고통을 받게 한다. 낮은 임금체계는 종사자들에게 사기저하를 불러일으키고 전문화된 프로그램 개발은 미흡하였다. 다행히도 아산시 인구 185천명(2001년) 대비 시설 수는 적지만 전체예산 중 노인복지 예산을 3% 내외로 정부예산 대비 상회한다. 아울러 재정 자립도 35%의 중·소도시 중 노인복지 예산이 1인당 3천원 내외로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열악한 시설 보호 기관의 실정에도 이용자 수가 300여명 되며 정상적인 운영하고 있다. 공급자의 원칙을 벗어나 이용자 원칙의 프로그램 개발에 노력하고 지역사회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시설 보호기관의 발전 방안에 대한 6가지 대안을 제시해보면, 첫째, 지원예산 확충으로 전체 국고보조지원 등에 노인복지 예산을 최대한 늘리고 보조비율을 높이고 지역사회 기여, 기탁 자에게 후원을 받는 등 재원 확보에 다각적인 노력을 하여 인적, 물적 자원의 질 향상을 기하고, 운영사업을 전문화한다. 둘째, 시설보호기관 종사자 1인당 입소노인 5.4명으로 선진국 대비 매우 높다. 과중한 업무와 낮은 보수로 사기 저하의 원인이 되어 전문 인력자가 겸임을 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전담인력 사기 진작을 위하여 전담인력 자에 대한 급여 현실화와 종사자의 질적 향상을 위해 각종 수당 제고, 교류 확대 등을 실시한다. 셋째, 시설 및 장비 서비스 개선으로 운동과 취미생활 부문에 시설과 장비를 확충하고 자원 봉사자를 최대한 활용하며, 공용기관의 인적, 물적 자원을 접목시켜 지속적으로 개선해야 한다. 넷째, 프로그램의 평가향상으로 형식적이고 단순한 프로그램을 배제하고, 입소노인들의 이용자 측면에서 진정 원하는 프로그램을 설문 받아 그들이 재활하고, 즐길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공급하고, 전문성 있는 기관에 수시로 평가를 의뢰 받아 잘못된 항목을 개선하고 선진국의 사례와 비교 분석하여 입소 노인들이 수용시설에서 느끼는 소외감, 고통 부담을 해결해 주어야 한다. 평가항목도 체계적으로 영역별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평가 분석해야 한다. 다섯째, 사업운영 개선으로 시설보호기관의 개별적, 독립적이 아닌 지역사회와 함께 하는 사업 메뉴를 편성하고 자체 운영비율을 최대한 높여야 한다. 여섯째, 지역사회의 유관 기관과 관계개선을 위해 의회, 시, 군, 구청과의 관계강화, 공공과 민간의 사회 안전 망 구축, 지역사회 복지협의회 조직을 활용하며, 사회복지 정보교환 체계로 각종 봉사활동 단체를 영입해야 한다. 이상 6가지 대안을 위한 기본적인 전제는 노인 복지시설기관의 현재 지원실태와 자원을 정확히 파악, 진단하고 운영 전반에 대한 대책을 강구해야 하는데 국고보조지원의 한정된 예산만에 의존하지 말고 민간자원을 충분히 활용하여 시설을 확충하고 프로그램 등을 포함한 모든 부문에서 공급자가 아닌 이용자의 편익에서 계획을 수립하고 전문기관이나 전문가로부터 비정기적으로 평가를 받아 부족한 면을 개선하여 노인들의 독립생활 증가에 따른 수용에 대비하고, 65세 이상 노인 인구의 만성질환자가 부담없이 치료하고, 재활할 수 있도록 의료와 보건이 절충되어 급격한 가족구조 변화에 다각적으로 대처하고 노인들의 경제, 건강수준에 맞춰 다양한 욕구의 발생을 복지 패러다임으로 전환하도록 종합적인 대책을 내놓지 못한 점과 본 연구대상 조사기관수가 적어 정확하게 진단 내리지 못한 채 결론을 내리게 된 아쉬움을 갖는다. In our transition to modern society, the problems of the elderly become pressing social problems, and begin to be manifest as a fact of life in the development of society. While the average lifespan is extending and the elderly population is rapidly increasing, and family protection issues stemming from illness of the elderly have come to be bound into the burdens of daily life. It is projected that by the year 2020 our nation will enter the age of the aging society with the elderly population growing to a 14.3% share of the total. With the aging society's advent comes increasingly diverse and specialized demands related to the welfare of the elderly, and whether at the level of the central or the local government outlays are on the rise as the issue of finding a rational and effective way of coping with these problems emerges into the forefront of most pressing issues. In 1999 the central government came forth with a mid- and long-term plan for the welfare of the elderly. This plan, involving four basic pillars of policy, was to be implemented through the year 2003. The first item was to set in place a foundation for life security; second, to provide for a health life in old age; third, to bolster the foundation for elderly welfare services, and was to provide support for self sufficiency on a framework of vital and abundant cultural life for the people in their advanced years. Policy issues of providing for the welfare of the elderly and coping in an aging society are, of cource, in the advanced nations, also a matter of utmost priority, with Japan revising their welfare laws in 1990, and in April 2000 begginning to undertake an overhaul of the public insurance systems centered in the user, in the systemic and locality realm, and in the area of policy measures creating a middle class self help, public help welfare system for the elderly, thus establishing a Japan style welfare society with the responsibility for the high benefit, high burden system, appropriately a shared burden of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 Likewise the United States is getting away from an age discrimination based welfare policy, and has established a variety of policy directions that include taking on public ownership of private sector elderly welfare responsibilities, stressing the role of the family and expanding support for this, making better social utilization of elderly citizen resources, upgrading long-term elderly care facilities, and enhancing support for residential services for the elderly. Meanwhile, in our own country through a united effort across the board in society we are supporting the self sufficiency of the elderly, while as a means of coping with the high expense burden we have favored the upgrade of existing care facilities over new construction while making a transition toward caring for the elderly in their homes. In terms of finances, these programs are hampered by the difficulty of having a mere .02%, or 190 billion won out of a total budget of 80 trillion won allocated to meeting the needs of 3,200,000 senior citizens. While this research study looks into the difficult situation of scant funding for care facilities and agencies and aims at proposing policy solutions, across the nation the elderly care and treatment facilities that are no-cost facilities are in the majority, and the facilities and treatment centers that charge a fee prevail in the big cities, while they represent a very small minority in the Ch'ungnsm area, thus, the in depth study and analysis of data was hampered in reality in its focus on the study of Asan City, since Asan is a rural farming community with only three facility agencies. While the government wants to provide good quality services to the users with limited budget outlays, it is a frequently made assessment that users suffer doubled and tripled trauma in bearing the burden of high expenses. Fortunately, while Asan City's number of facilities is small in relation to its population of 185,000 (in the year 2001), its outlays for elderly welfare care running around 3% exceed the budget share of the central government outlays for this. Meanwhile, the trend is one of increase in elderly welfare budget shares with budget outlays running around 300 won per capita in midsize and small cities, with as 35% rate of financial self-sufficiency. There is as effort to move away from the supplier oriented principle to user oriented principles in the development of programs; and the resources of the local area are being utilized to the maximum. In conclusion, laying out six recommendations for improvement in care facilities and agencies, the are as follows: First, a multifaceted effort to secure resources for support through such means as the expansion of support budget allocations, increasing the budget share of support for the elderly in the total budget, raising the rate of assistance and along with the contribution of local area society, receiving support from trusts. Second, compared to advanced nations, the patient to worker ratio is very high, standing at 5.4 patients per staff member. Many problems are prevalent such as excessively overloaded duties and low pay cause lowering of morale and specialized staff members are burdened with excessive multitasking in many cases. In this regard, to build up the morale of the regular staff worker, their pay should be increased to realistic levels, and various kinds of special benefits should be increase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workers, along with an increase in information exchange within the staff. Third, Through the improvement of facilities, equipment and services in the area of hobbies and sports and maximum utilization of resource persons, there needs to be an ongoing improvement effort through grafting into the operation of public facilities a combination of increased personnel and physical resources Forth, through the evaluation status of the programs, those that are mere formalities or overly simple need to be eliminated, surveying to learn the kinds of programs that are preferred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user, to provide the kinds of activities they enjoy and find stimulating. Specialized agencies need to be consulted for ongoing evaluation of programs and inferior programs need to be improved, and by comparison and analysis of real examples in advanced nations, feelings of isolation and suffering that the elderly who use these facilities and programs experience need to be addressed and alleviated. Evaluation items need to be broken down by category and thoroughly analyzed in a systematic way. Fifth, operations in this kind of endeavor need to be improved and a menu of activities needs to be derived working with the local community, not as individual, independent endeavors of the facility care agency; while the extent of self operation needs to be increased to the maximum extent possible. Sixth, for improvement of relations with the relevant agencies within the local community, strengthening ties with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legislative councils of all levels of government down to the level of province, county, city and borough, building a social security network bridging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utilizing the local community's welfare committee, there is need to put into operation various service activity organizations as a means for exchanging social welfare related information. The fundamental essential prerequisite of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se recommendations is the accurate awareness of the present actual status of support for elderly welfare facilities organizations and a diagnostic assessment of their needs, and then pursuing an across the board, comprehensive plan of action to address these needs, without relying solely on the assistance and support of the national treasury's limited budget, but rather adequately utilizing private sector resources. Geared to the convenience and benefit of the user and not the provider, plans need to be established to expand facilities and programs and all other related items, with evaluations being received on an ongoing basis from expert agencies and specialized individuals, with areas of deficiency so identified being remedied accordingly, providing accommodation for the increased independent living of the elderly, providing for the treatment and of chronic illness of the elderly above age 65, so that they can be revitalized through provision of treatment and health maintenance facilities. Acknowledgement of the limitation this research has in drawing its conclusions without presenting a comprehensive plan of action that translates into a new welfare paradigm addressing all of the above considerations and addressing all of the rapids changes in family structure, suited to varied requirements that arise from the economic and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and also without adequate diagnostic analysis of the problem, owing to the limited number of facilities and agencies available for study in the target area.

      • 중상층이하 노후 대책을 위한 노인복지형주택에 관한 연구

        유영웅 선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50687

        현대사회에서 노인문제는 여러 가지 문제를 포함하고 있지만 대체로 경제적 빈곤문제, 질병과 건강관리문제, 역할상실문제, 고독 및 소외문제, 노인부양 및 보호 문제, 긴 여가시간의 문제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러한 노인문제 중에서 현재 가장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는 문제는 노인부양문제라고 볼 수 있다. 고도의 산업화 사회는 가족에 대한 책임보다는 개인의 성공에 더 높은 가치를 부여함으로서 전통적인 사회구조 속에서의 가족의 형태를 붕괴시켰으며 여성의 사회적 진출과 기대 수명 연장 등을 가져왔다. 이로 인해 노인부양 문제가 심각하게 부각되고 있다. 부양문제는 우선적으로 개인이나 가족이 직면하는 문제이지만 이러한 문제가 현대사회로 넘어오면서 사회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게 나타난다는 것은 심각한 사회문제라고 할 수 있다. 노인부양문제는 노인주택문제를 가 져 왔으며, 노인주택문제는 노인인구의 증가라는 직접적인 원인이외에도 사회에 산업화와 도시화, 그에 따른 노인주택에 대한 욕구의 증가, 가족구조와 가치관의 변화 등의 사회적인 요인과 노인주택 공급 정책 부진, 노인을 위한 주거시설의 미흡 등의 간접적인 원인도 노인 주택문제 발생에 일조하였다. 고령화 사회로 진입한 우리나라의 노인주택문제는 이제 개인의 차원에서 해결 할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 차원에서 다루고 해결해야 할 시점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우리나라 노인주택 정책은 수용시설 위주의 저소득층만을 대상으로 한 한정적 범위에서 추진해 온 것이 현실이다. 이제 보다 광범위하게 노인들이 노인주택 정책 혜택을 보는 방향으로 전환해야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선진국의 노인복지주택을 살펴보고 선진국에서의 노인주택유형에는 어떤 것이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도입하여 정책 반영할 유형을 알아보고, 현재 우리나라 복지시설이 안고 있는 문제점 파악과 함께 보다 효과적으로 노인주택 해결 방안을 모색 하였다. 그 방안으로 노인복지형주택 모델의 제시를 통해 고령화 사 회에서 나타나는 노인주택문제를 해결방안을 제시하여 현재 우리나라가 안고 는 노인주택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아 보았다.

      • 중산층이하 노후 대책을 위한‘노인복지형주택’에 관한 연구

        유영웅 선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50687

        현대사회에서 노인문제는 여러 가지 문제를 포함하고 있지만 대체로 경제적 빈곤문제,질병과 건강관리문제,역할상실문제, 고독 및 소외문제,노인부양 및 보호 문제,긴 여가시간의 문제 등으로 분류될수 있다. 이러한 노인문제 중에서 현재 가장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는 문제는노인부양문제라고 볼 수 있다. 고도의 산업화 사회는 가족에 대한 책임보다는 개인의 성공에 더 높은 가치를 부여함으로서 전통적인 사회구조 속에서의 가족의 형태를 붕괴시켰으며 여성의 사회적 진출과 기대 수명 연장 등을 가져왔다. 이로 인해 노인부양 문제가 심각하게 부각되고 있다. 부양문제는 우선적으로 개인이나 가족이 직면하는 문제이지만 이러한 문제가 현대사회로 넘어오면서 사회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게 나타난다는 것은 심각한 사회문제라고 할 수 있다. 노인부양문제는 노인주택문제를 가져 왔으며, 노인주택문제는 노인인구의 증가라는 직접적인 원인이외에도 사회에 산업화와 도시화, 그에 따른 노인주택에 대한 욕구의 증가 가족구조와 가치관의 변화 등의 사회적인 , 요인과 노인주택 공급 정책 부진, 노인을 위한 주거시설의 미흡 등의 간접적인 원인도 노인주택문제 발생에 일조하였다. 고령화 사회로 진입한 우리나라의 노인주택문제는 이제 개인의 차원에서 해결 할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 차원에서 다루고 해결해야 할시점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우리나라 노인주택 정책은 수용시설 위주의 저소득층만을 대상으로 한 한정적 범위에서 추진해 온 것이 현실이다. 이제 보다 광범위하게 노인들이 노인주택 정책 혜택을 보는 방향으로 전환해야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선진국의 노인복지주택을 살펴보고 선진국에서의 노인주택유형에는 어떤 것이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도입하여 정책 반영할 유형을 알아보고, 현재 우리나라 복지시설이 안고 있는 문제점 파악과 함께 보다 효과적으로 노인주택 해결 방안을 모색하였다. 그 방안으로 노인복지형주택 모델의 제시를 통해 고령화 사회에서 나타나는 노인주택문제를 해결방안을 제시하여 현재 우리나라가 안고 는 노인주택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아 보았다. Old man problem includes various problem on modern society, but I can be classified with back generally economical poverty problem, disease and health care problem, role loss problem, solitude and estrangement problem, old man support and protection problem, problem of long free time etc Problem that is appearing most seriously present among this old man problem can see that it is old man support problem. Highly industrialization society collapsed family's form within traditional social structure and brought woman's social advance life expectancy tool etc. by giving higher value in individual's success than responsibility about family. Old man support problem is embossed seriously thereby. Support problem is problem that individual or family faces preferentially, but to appear extensively over society whole as these problem comes over by modern society can speak that it is serious social problem. Old man support problem brought old man housing problem, and old man housing problem is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at circle beside direct that is old man population's increase, indirect cause of social factor and old man house supply policy slump of change and so on of augmentation of desire for old man house, family structure and sense of values, insufficiency of residential occupancy for old man helped in old man housing problem outbreak accordingly. Old man housing problem of our country that enter to aging society is visual point to deal in social dimension and not problem to solve in individual's dimension now and solve. But, it is actuality propel in a limitative extent to low-income brackets of housing putting first of our country old man house policy until present. Old mans must change old man house policy benefit to this direction now more extensively. Therefore, in this study, examine old people's welfare house of advanced nation and something searches type to reflect policy because is and introduces in our country in old man house type in advanced nation, and present our country welfare institution groped old man house solution more effectively with problem grasping which is huging. Old man housing problem that appear on aging society by the plan through old people's welfare elder brother house model's presentation presenting solution present our country beginning of old man house problem solution that is huging find.

      • 사회복지사의 이직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만족 요인에 관한 연구 : 충남지역 생활시설 사회복지사들을 중심으로

        곽서영 선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50687

        오늘날 사회복지 현장의 열악한 환경으로 인해 유능한 사회복지사가 현장을 떠나고 있다. 사회복지 현장에 사회복지사가 없다면 학교에 선생님이 없다는 것과 다름이 없다. 사회복지생활시설 종사자의 이직의도에 대한 기존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직무만족도와 조직헌신도가 이직의도 결정의 중요변수밝혀졌다.임금이 적을수록,승진기회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이직의도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근속기간이 길거나 이직 경험이 있는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생활시설 종사자의 이직의도는 승진기회가 적을수록, 근속기간 길수록,이직경험이 있을수록 이직의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이러한 현상은 일반적으로 생활시설 종사자는 임금수준이 낮고 제한된 조직규모에서 승진의 기회가 적을 뿐 아니라 근속기간이 길어질수록 심화되는 상대적 지위하락이 이직 동기를 유발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복지생활시설에 종사하고 있는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 실태와 이직의사와의 관련을 파악하여 사회복지조직의 복지서비스개선에 필요한 인력관리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위의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2005년 현재 충청남도에 근무하고 있는 사회복지사 명을 대상으로 200 이들에게 자기평가 기입법을 통한 질문지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인구사회적 요인에 따른 차이분석결과25세 이하 연령층과 미혼자들의 전반적 만족도가 타 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업무량이 적절한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전반적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전반적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요인은 보수만족도, 동료관계,기관만족도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사회복지생활시설의 근무여건을 장기근속자와 기혼자에 적합하도록 개선하여 종사자들의 전반적 만족도를 개선하여 이직의도를 약화시키고 장기근속을 조장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생활시설 종사자의 적절한 직무분담을 통해 전반적 만족도를 높여야 한다. 따라서 이직관리를 위해서는 적절한 업무분담이 중요하다. 셋째, 보수를 중심으로 한 근무여건을 개선하여 장기근속의 여건을 조성하여야 한다. 넷째, 직무요인 중 중요한 동료와의 관계가 전반적 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복지기관 내 동료관계를 활성화시키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이에 더하여 기관운영을 민주화하여 종사자들의 만족도를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위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자는 생활시설에 사회복지사의 이직을 줄이기 위한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대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생활시설의 근무여건을 , 장기근속자와 기혼자에 적합하도록 개선하려면 무엇보다도 사명감 고취와 근무시간의 조정에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장기근속을 하기 위해서 사회복지직을 택한 이후 지속할 동기를 부여할 수 있도록 사전교육과 직장교육을 통해 사회복지사의 사명감 고취 등에 많은 시간을 할애해야 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활시설은 2교대 내지 3교대를 기준으로 반복된다.기혼자 같은 경우 가정이 있으므로 3교대를 하더라도 야근을 하는 날보다는 되도록이면 주간에 근무할 수 있게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둘째,사회복지사 개개인의 관심영역,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방안들을 개발하고 나아가 직무분석을 통해 사회복지사 스스로의 특성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게 적절한 직무분담을 해야 할 것이다. 적절한 직무분담을 하기위한 인력확보도 중요하기 때문에 기관을 운영하는 기관장이나 이를 담당하는 기관의 부서에서도 노력을 기울여야 하겠다. 셋째, 보수를 중심으로 한 근무여건을 개선하여 장기근속의 여건을 조성하여야 한다. 특히 시간외 근무 미수당횟수에 따른 보상을 해 줌으로써 사회복지사들의 근무 의욕을 높이는 계기가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직무요인 중 중요한 동료와의 관계가 전반적 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기관 내 동료관계를 활성화시키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기관 동료간의 경조사를 챙기거나,화합을 도모하기 위한 놀이마당이나 또는 봉사, 여행 등 목적을 가지고 움직이는 모임을 만들어 함께 참여하는 것도 동료간의 돈독한 관계를 맺는데 좋은 밑바탕이 될 것이다 이에 . 더하여 기관운영을 민주화하여 서로의 의견을 제시하고 공감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도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 결과는 사회복지사의 이직 및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직무특성 요인에 대해서 그 관계를 파악하여 이의 기초적 지식을마련하였다는데서 의미를 가진다. 본 연구는 앞으로 사회복지사에대한 이직방지를 위한 동기부여와 직무만족에 관계에 관한 실증적 연구의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남편과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고미숙 선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671

        (국문요약)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남편과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cculturation Stress of Migrated Female on Husband of Satisfaction 선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가족상담. 치료학과 : 고 미 숙 지도교수 : 오 규 영 세계화, 지구촌화가 가속화 되고 있는 현대 사회의 흐름 속에서 오늘날 우리 한국 사회는 전통적 단일 민족 국가가 아닌 다문화 사회로 빠르게 진입하고 있다. 다민족․다문화 사회로 빠르게 변모해 감에 따라 한국남성과 결혼하여 입국한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남편과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무엇이 도움이 될 수 있을지에 대한 방안을 규명 하고자 한다. 국제결혼의 증가로 다문화가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많은 선행연구들 대부분은 다문화 가정에 대한 접근으로 결혼이 - ⅱ - 주여성이 한국문화에 동화 할 것을 전제한 경우가 많았다. 건강한 다문화 사회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가정의 주체이며 가장 기본이 되 는 부부간의 관계가 좋아야 할 것이며, 이에 부부간의 만족도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필요하다. 본 연구의 조사도구는 전문가의 조언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태안군 다문화가정(총231가정-전수조사)을 대상으로 실태조사 및 욕구조사로 진행 하였다. 조사내용으로는 ①경제활동상태 자녀양육, 가족 부양 등 가족 관계와 만족도, ②사회서비스 수요 및 욕구, 문화적응 스트레스 및 프로그램 관심도, 결혼이민자 한국사회 적응 측정 등으로 구분하였다.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 소속되어 있는 방문 지도사를 조사원으로 활용하였으며 가구방문을 원칙으로 전수조사를 실시 하였다. 결혼이주여성과의 충분한 라포 형성이 되어 있는 방문지도사를 조사원으로 선택한 이유는 안정적으로 정착하지 못하였거나 신규 입국자들은 낯선 한국 사람들을 꺼려하는 경우가 많아 조사에 어려움이 따를 것을 예상하였기 때문이다. 조사 내용 중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부부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win 18.0 Package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본 자료의 분석은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중회귀분석, 기술통계분석, 교차분석, 일원변량분석 등을 적용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진행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결혼이주여성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남편과의 만족 - ⅲ - 도를 분석한 결과 결혼동기, 결혼경로, 학력, 종교, 소득 등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문화적 충격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높더라도, 향수병(그리움)에 의 한 문화 적응 스트레스와 지각된 차별감에 의한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낮게 나타나면 전반적인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음을 알 수가 있었다. 남편의 수입이 높을수록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낮게 나타났다. 결혼을 하면서 이주해 오는 결혼이주여성들은 이주의 목적이 코리안드림과 본국의 가족에게 경제적 지원을 위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남편의 수입이 높으면 그만큼 스트레스가 낮게 나타나는 것이다. 또한, 지각된 차별감이 낮을수록 부부만족도는 높다. 즉 차별감이 낮으면 스트레스는 낮게 나타난다. 지각된 차별감은 한국인에 의한 것으로 많은 사람들이 과거에 비하면 호의적으로 변화되어 가고 있지만 여전히 차별감을 느끼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남편과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됨에 따라 가장 기본이 되는 부부가 서로 존중하고 신뢰하면 그들을 보는 일반인들도 외국인에 대한 적대감과 차별감은 감소 될 것이다. 결혼이주여성과 남편과의 만족도를 높인다는 것은 요즘 사회문제로 떠오르고 있는 이혼율을 낮추는데도 기여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만큼 시급히 요청되어야 할 문제이므로, 부부향상 프로그램을 통한 부부 관계의 질을 높이는 방법을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부부와 시부모와의 관계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또한 좀 더 빠르게 가족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방법이 될 것이다.

      • 노인학대의 인식에 관한 연구 : 노인, 사회복지사, 일반성인의 차이점

        지향순 선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50671

        이미 고령화 사회로 접어든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유래를 찾아 볼 수 없는 급속한 고령화를 격고 있다. 전통적인 유교적 효 사상을 강조하여 노인부양을 가정에 맡겨왔던 우리 사회는 이러한 고령화에 따른 노인인구의 증가와 핵가족화 등으로 인한 가족기능의 약화로 각 가정에 노인부양에 대한 부담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노인부양에 대한 부담은 노인학대의 개연성을 높이고 있으며, 이를 반영하듯 최근 우리사회에 노인학대가 빠르게 증가하여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노인학대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금까지 연구된 적이 없는 노인과 일반성인, 사회복지사들을 대상으로 한 노인학대 인식 차이점을 조사하고 이를 통하여 노인을 중심으로 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아산시와 천안시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과 일반성인 그리고 충청남도내에 근무 중인 사회복지사와 복지담당자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자가 직접 작성한 설문지를 이용하여 면대면의 형식으로 406부의 정선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으로 노인들의 경우 학력과 소득이 낮고 종교가 없는 70대 이상의 건강한 여성 노인들이었으며, 일반성인의 경우 고등학교 이상의 학력을 지닌 30대의 기혼 남성들이었으며, 사회복지사의 경우 경력이 3년 미만인 20대의 여성들이 대부분이었다. 노인학대에 대한 인식도는 사회복지사가 가장 높았으며, 언어적, 경제적 학대에 있어 노인들이 사회복지사들보다 인식도가 높았다. 노인학대 인식도에 영향을 주는 각 집단의 일반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사회복지사의 경우 나이와 경력, 일반성인의 경우 거주형태와 교육수준으로 즉 나이와 경력이 많은 사회복지사일수록 부모와 별거하고 교육수준이 낮은 일반성인일수록 노인학대 인지도가 높았다. 이상의 결과들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노인학대 정책발전을 위하여, 다음 네 가지를 제언하였다. 첫째, 노인학대에 대한 일반성인들의 인지도를 높이기 위한 홍보와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노인학대의 예방을 위해 노인부양 가정에 대한 정부차원의 경제적 지원이 있어야 한다. 셋째, 노인학대 예방과 사후 관리를 위한 기관 즉 노인학대 상담센터의 확충이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노인학대에 관련된 법규의 조정으로 노인학대 가해자에 대한 처벌을 강화함으로써 노인학대를 예방할 수 있어야겠다. Korea, already be in aging society, has undergone rapid Aging that cannot be found around world. The Korean Society has required that the family should support the aged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confucianism filial duty. The family responsibility for supporting the aged has increased because of an increase in the aged population and the weakening of the family function owing to the two-generation family and so on. Those heavy responsibility makes to increase the probability about elder abuse. In these day, the rapid increasing of the elder abuse becomes the social problem. But the study on the elder abuse is not activity. According to those mentioned, this study make suggestions for elder abuse through the study on the differences perception of elder abuse between the elder, the social workers and the adul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four hundred six the elderly and the adult who are currently lived in A San City and Cheon An City and the social workers who are working in Chung Nam Province. A questionnaire was directly constructed by investor.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program.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be described as below: A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lmost of the elderly are the seventies, healthy female and non-religious. Almost of the adult are the thirties, married men and graduate the high school. Almost of the social workers are the twenties women and have worked in the facilities less than three years. The social workers shows the highest perception degree for the whole among the three groups. The elderly people shows higher perception degree for the verbal abuse and financial exploitation than the social workers. Influential factors on the perception degree for elder abuse were career and age in social worker's case and residence type and education in the adult's case. In other word, the social worker with higher career and age were more likely to have high perception degree. The adult with lower levels of education and living separate with their parents were more likely to have high perception degree. Through discussed above, the followings were suggested for the development of elder abuse policies : First, we have to increase the education and the public information for raising the level of the adult's elder abuse perception.; Second, the Government supply the financial support for the family that is living with their parents.; Third, we have to make more Elder Abuse Counselling Center to prevent from elder abuse and management to the victims.; And the finally, we have to prevent from elder abuse through making the law strong, for example making the punishment for the injurer strong.

      • 북한이탈여성의 사회 적응과정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 요인에 관한 연구

        정지후 선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671

        (국문 초록) 북한이탈여성의 사회 적응과정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 요인에 관한 연구 선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가족상담. 치료학과 : 정 지 후 지도교수 : 오 규 영 북한이탈주민은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고, 이들 중 북한이탈여성이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북한이탈여성이 한국사회에 적응하면서 경험하는 다양한 스트레스 요인에 대해 체계적으로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북한이탈여성과 관련된 기존 연구들 대부분은 남성을 포함한 북한이탈주민 전체를 대상으로 삼고 있어 이들이 경험하는 현실적 상황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연구논문 수 또한 많지 않다. 따라서 북한이탈 주민 중 기혼여성의 한국사회 적응경험에 대해 다각적으로 분석한 질적 연구가 시급히 요청된다. 이에 본 연구는 현상학적 연구방법인 콜라이찌 방법을 토대로 아산시에 거주하는 북한이탈여성 8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 ⅱ - 연구 내용 분석 결과, 북한이탈여성들은 한국사회 적응과정에서 겪게 되는 심리적 상태, 경제상태, 직장생활, 가정생활, 국가지원제도 및 관리부실, 이들이 지각한 성공모델 등 다양한 요인들이 있으며, 한 가지 적응경험이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한정할 수 없음을 나타내고 있다. 심리적으로는 사회적 위치 변화로 인한 위축, 새로운 사회에 대한 기대와 현실의 차이, 우울, 수면장애, 불안, 외상후스트레스 장애, 과잉 일반화 현상이 일반여성들에 비해 높았다. 경제적으로는 실업상태, 과도한 브로커 비용 지불, 재중, 재북 가족에 경제적 지원으로 힘들어 하는 여성들이 많았다. 직장생활에서는 체력부족, 신체화 증상, 편견, 차별과 무시, 구직정보 부족, 언어장벽, 양육인프라 미비로 인한 경제활동의 어려움이 있다. 직장동료들이나 사장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는 북한이탈주민에 대해 긍정적으로 보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지만 북한이탈여성 대부분은 직장생활에서 차별과 무시를 경험한다고 밝혔다. 가정생활은 한국배우자들의 북한출신 배우자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상황에 따라 변화는 가치관, 배우자와 별거로 인한 스트레스, 도피수단으로써 결혼 결정, 자녀 양육문제, 노후 문제 등이 있다. 북한이탈주민 여성들은 중국에서 체류 시 인신매매를 경험을 했고 이중결혼으로 재중, 재북에 가족을 구성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정책 및 지원제도, 관리부실면에서는 형식적인 정책, 관리부실, 다양한 프로그램 지원 부족, 기관정보 부족 등이 있다. 북한이탈여성들이 지각한 성공모델은 한국사회에서 자신이 목표한 것을 성취, 자격증 취득, 직업의 형태, 한국배우자와의 결혼을 포함하고 있다. 북한이탈여성들은 가족관계에서의 가족의 의미나 가족 존재의 중요성보다 경제적 안정 측면에 더 집중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마지막으로 기존 연구와 달리 연구 참여자들의 자녀들은 한국사회에서의 별다른 문제없이 학교생활, - ⅲ - 교우관계, 학업성적 면에서 적응을 잘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자녀들이 한국사회에 잘 적응하고 있는 것으로 인해 북한이탈여성들의 적응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북한이탈여성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했다는 점과 이들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한 사회적 대안의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주제어 : 북한이탈여성, 스트레스 요인, 적응경험

      •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와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다문화가정 청소년을 중심으로

        김종선 선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671

        국문요약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와 사회적지지가 청소년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다문화가정청소년을 중심으로 - 선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가족상담·치료학과 : 김종선 지도교수 : 오규영 1990년대 이후 다문화가정 수가 급속히 증가하고, 이에 따라 다문화가정청소년 수도 증가하였는데, 2015년 교육부 교육통계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 다문화가정청소년 수는 67,806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가정청소년과는 다른 환경에서 성장한 다문화가정청소년들에게 합리적 의사결정에 의한 진로선택을 할 수 있도록 특성화되고 차별화된 진로교육정책이 필요한 시점이라 생각된다. 하지만 이들에게 맞는 특성화된 진로교육과 진로교육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는 미흡한 수준에 머물러 있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청소년들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사회적지지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검증하여 다문화가정청소년들의 진로교육과 진로교육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은 연구목적을 고려하여 비교적 다문화가정 분포도가 높은 경기도 K시와 충청남도 C시에 거주하는 16세부터 19세까지의 다문화가정청소년 25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개발한 중·고등학생용 진로성숙도 검사지(임언· 정윤경·상경아, 2001)를 이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회수된 검사지는 SPSS 18.0 Package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분석, LSD(Least Significant Different) 다중회기분석을 진행하였다. 차이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구사회학적 특성 변인 중 첫째, 성별은 여학생이 친구지지와 독립성, 일의 중요성, 계획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연령이 낮을수록 또래 문화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특성 때문에 연령에 따른 사회적지지는 16세 미만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업성적은 부모의 긍정적인 양육태도를 지각 할수록 성적과 관련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다문화가정청소년을 한국인으로 보는 주변시각은 교사가 다문화가정청소년과 일반가정청소년을 동일시 한다는 측면에서는 긍정적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성장 배경과 문화적 환경이 다른 다문화가정청소년에 대한 차별화된 지원과 배려의 측면이 부족하다는 점에서 부정적이다. 다섯째, 진로의사결정에서 문제의논을 부모와 함께 하는 집단이 혼자 하는 집단보다 부모의 양육태도를 긍정적으로 지각하며, 부모의 양육태도를 부정적으로 보는 집단은 문제의논을 주로 친구와 해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지지에서도 부모와 문제의논을 하는 집단이 교사지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국적정체성에서는 스스로를 외국인이라고 생각할수록 일의 중요성이나 계획성에서 차이가 났으며, 더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외국부모의 한국어 실력이 높을수록 교사지지가 높았고, 언어를 통해 문화적 이질성을 극복함으로써 자기이해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위의 결과를 기초로 진로성숙도의 하위영역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위계적 회기분석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립성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인인 사회적지지가 영향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부모보다는 교사나 친구에 대한 의존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둘째, 일의 중요성에는 여학생이 일의 중요성 수준이 높았다. 부모의 양육태도가 부(負)적일수록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이런 결과는 다문화가정청소년들이 일의 중요성을 보는 관점에서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영향을 덜 받는 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계획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중 여학생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여학생들이 자신의 미래 직업에 대한 대비가 훨씬 체계적임을 의미한다. 부모의 양육태도가 긍정적일수록 계획성이 높았다. 넷째, 자기이해에서는 긍정적인 양육태도인 온정/사랑이 높을수록 자기이해가 높았으며, 사회적지지인 교사지지나 친구지지가 높을수록 자기이해가 높았다. 진로성숙도의 하위유형 변인으로 독립성, 일의 중요성, 계획성, 자기이해는 사회적지지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다문화가정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양육태도와 사회적지지가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위와 같은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다문화가정청소년에게는 사회적지지에 대한 영향이 일반가정청소년보다 중요하며, 특히 사회적지지 중 교사지지는 자기효능감을 높여주는 중요 역할을 하고, 진로성숙도의 하위유형인 자기이해, 독립성, 계획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다. 학교현장에서 교사지지와 친구지지가 다문화가정청소년의 진로성숙도에 직·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의 중요성을 바탕으로 특성화된 진로교육과 프로그램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주요어 : 진로성숙도, 진로교육, 사회적지지,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 The Effect of Parents' Rearing Attitude and Social Support on Career Maturity - Research on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s Sun moon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Family Counseling and Treatment Department : Kim Jong Sun Supervisor: Professor Oh Kyu Young This study has objective of providing fundamental data for career education and career education policy making for multicultural family youth after analyzing and verifying the effect of influence of parenting attitude and social support on the career maturity of the youth.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he research topic has been determined as below: 1. Are there differences in parenting attitude, social support and career maturity basis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2. Do parenting attitude and social support as perceived by the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ties have impact on career maturity?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Career Maturity Examination Paper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Lee Un, Jeong Yun Gyeong, Sang Gyeong Ah, 2001) developed by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on 250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s aged between 16 and 19 living in Gyeonggi K city and Chungcheongnamdo C city which have relative higher percentage of multicultural family distribution. For analysis, statistical program SPSS18.0 Package is used, and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analysis, LSD(Least Significant Differ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o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female students had higher support from friends and career maturity compared to male students. For age, students younger than 16 years of age has higher social support. Academic performance differed as the adolescents were more aware of the warmth and love demonstrated in their parents' parenting attitude. Perception of recognizing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y as Korean has meaningful difference in teachers support. Students who discussed with parents when making career decisions perceived their parenting attitude more positively, and teachers support is higher among social support. Female students were more sensitive to ethnic/national identity than male students, and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importance of task and planning ability. Based on this,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 of career maturity to subordinate scope. Independence has meaningful difference statistically in teacher and friend support. Importance of career has meaningful difference among female students and with more negative (-)parenting attitude, more meaningful the difference was. Female students also showed a meaningful difference in terms of Planning, and it was especially true with more positive parenting attitude. The same result showed in Self-understanding.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to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y is more important than to the students of regular family. Especially, teacher and friend support from school environment increases self-efficacy, which has an effect on career maturity. Based on this, qualitative changes need to be made in school environment rather than home environment for career maturity. Also, specialized multicultural approach and flexibility need to be used. Career education program and policymaking are required for career maturity of adolescents from multicutural families. Key Words : Career maturity, Career education, Social Support,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 사회적 배제와 체면민감성이 농촌노인우울에 미치는 영향

        김기숙 선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671

        노령인구의 증가로 우리나라는 10년 이내에 노인이 차지하는 비율이 전체인구의 20%를 넘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 충남의 전체인구 중 노인 인구의 비율은 25%로 타지역보다 매우 높은 편이다. 노령인구의 비율이 높다 보니 그들이 겪고 있는 사회 환경적인 어려움도 많이 발생한다. 노령층이 경험하는 환경적 영향과 우울에 관한 선행연구는 미흡하며 다 수가 대도시 위주의 연구이다. 더구나 농촌노인이 받는 사회적 배제와 체면민감성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베이비부머세대들의 은 퇴가 시작되고 있는 이 시대에 농촌노인의 우울에 대한 연구는 우리의 미래 대비에 필요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농촌노인의 사회적 배제와 체면민감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농촌 노인 우울에 사회적 배제와 체 면민감성이 주는 영향이 어느 정도인지를 파악하여 학문적·정책적 함의 를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농촌노인의 우울감 예방 및 완 화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자들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사회적 지원체계의 정책 마련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조사대상은 연구 목적에 맞게 충남의 군 단위 지역인 태안, 홍성, 청양, 서천, 부여군 등 5개의 군 지역을 선정했으며 이 지역 중에서도 노인 복지관이 없는 마을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직접 65세 이상 노인들을 대상 으로 가가호호 찾아가는 비확률 표집인 눈덩이 표집을 하였다. 농촌노인 들 중에서는 글자를 모르거나 시력이 저하되어 글이 보이지 않는 노인들 이 많아 설문 방식으로 조사원 4명과 연구자가 함께 일대일 인터뷰 방법 을 실시하였다. 자료의 조사기간은 2015년 4월 3일부터 16일까지 2주간 이며 연구대상인원은 208명이고 척도는 인구사회학적특성을 비롯해 사회 적 배제, 체면민감성, 우울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 통계처리는 SPSS 18.0 Package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 석하였으며, 연구 목적에 맞게 빈도분석, 독립표본 t-Test, 일원배치 분 산분석(one-way ANOVA),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인 성별, 연령, 월평균소득 등에 따라 우울감 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남성보다는 여성이, 연령이 높을수록, 월평균소득이 낮을수록 우울이 높게 나타났다. 농촌노인의 나 이가 많을수록 경제배제 및 체면민감성과 우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배제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관계적 배제, 건 강 배제, 경제 배제가 높을수록 우울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인구사회학 적 변인을 통제한 후의 설명력은 25%인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인 선행 연구결과와 다른 것은 노인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에서는 없던 관계적 배제가 우울에 영향을 미친 것을 보면 농촌노인이 관계를 중요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우울을 감소하게하기 위해서는 관계적인 것 을 잘 할 수 있는 지원체계 즉 사회적지지, 정서적지지 체계를 강화하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건강배제는 노인이라면 누구나 겪는 배제이지만 특히 농촌에서는 노인 건강에 도움을 주는 보건소, 복지관등과 거리가 멀어 이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므로 건강관련 프로그램을 지원해 주는 정책방안과 지원체계구 축이 시급하다. 셋째, 체면민감성이 농촌노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체면민 감성이 높을수록 우울이 높게 나타났고, 인구사회학적 변인과 사회적 배 제 변인을 통제한 후의 설명력은 7%인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노인은 유 교적 가치관을 중시 여기므로 이를 바탕으로 생각하고 행동한다. 체면 때문 에 농촌노인생활에 도움이 되는 복지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농촌노인을 위 해 체면이 손상 받지 않도록 복지서비스를 시행할 때는 세심한 방법으로의 접근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노인 우울에 관해서 여러 변인과의 관계를 연구한 선행연구를 분석해 보면 한계를 갖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선 연구대상이 노령인구 비율이 낮은 도시의 복지관 이용 노인이라는 것이다. 이들은 사회적 배 제도 비교적 덜 받는다. 사회적 배제를 몇 개만 단편적으로 연구하였다 는 점, 우리나라의 노인세대는 유교문화의 익숙함에서 오는 체면민감성 이라는 중요한 심리적 기제를 연구하지 않았다는 점이 선행연구의 한계 이고 선행연구의 부족한 부분을 연구했다는 점에서 매우 의의가 있다. 그러나 농촌 노인의 사회적 배제와 체면민감성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서는 도시 노인의 연구를 병행하였다면 더욱 뚜렷한 차이를 비교 연구할 수 있었을 것이다. 즉 이것을 보완하여 도, 농 비교를 한다면 농촌노인의 우울을 설명하는데 보다 설명력 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