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서울 지역 학생 저탄소 녹색성장교육 방안 연구

        이상원 ( Sang Won Lee ),김종우 ( Jong Woo Kim ),김이성 ( Yi Sung Kim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1 한국초등교육 Vol.21 No.3

        본 연구는 서울 지역 학생 저탄소 녹색성장교육에 대한 중장기 발전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저탄소 녹색성장교육에 대한 교사 교육 및 연수, 교육과정 운영 그리고 학교 교육 여건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 연구와 설문 조사를 중심으로 수행되었다. 문헌 연구는 국내외 관련 문헌 자료의 수집 및 분석, 국내외 관련 기관 및 국가의 온라인을 통한 자료 수집 및 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에 관련한 시사점을 추출하였다. 설문 조사를 통한 요구도 분석은 각 분야별(예비교사, 현직 초등교사, 현직 중등교사, 관리자, 교육전문직)로 설문지를 작성하여 조사하였으며, 수합된 설문지에 대하여 요구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 문항 개발은 교수, 중등 환경 담당 교사, 초등학교 교사 등으로 구성된 공동 연구진에 의해 설문 조사 문항의 시안을 개발한 다음, 연구진 간의 내부 교차 검토 및 외부 전문가의 자문을 통해 비교·검토하여 개발하였다. 그리고 연구 방향과 내용 분석을 위한 연구진 및 전문가 워크숍 개최하였으며, 서울특별시교육연구정보원과 협조하여 중간보고 세미나 및 최종 보고회를 개최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목표(1개), 추진 전략(5개), 추진 영역(3개) 및 추진 과제 예시(10개)를 추출하였으며, 본 연구를 기초로 체계적인 서울 지역 학생 저탄소 녹색성장교육에 대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향후 보다 구체적인 단기, 중기, 장기의 정책 로드맵의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policy plan of low carbon green growth for students of schools in Seoul area. As methodology, this research conducted literature reviews of related research, surveys, several meetings between researchers and experts` workshops. Through this research, we derived one aim, five strategies, three main themes of education which can promote green growth. The policy aim is ``to improve understanding about sustainable development and capacity for participating green life``. The strategies to promote education for green growth are ``to enforce pre-teacher education for green growth education and practice``, ``to enforce school curriculum reformation for green growth education and practice``, ``to enforc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green growth education and practice``, ``to construct school facilities of classroom and school ground for green growth education and practice``, and ``to develop and disseminate of educational materials for green growth education and practice``. As three main themes of education could promote green growth, we established ``education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curriculum design``, and ``improvement of educational condition and development of educational materials`` In addition, we derived ten detail subjects which can support these themes. For further development of education policy, which can encourage schools and student to participate in building sustainable society, it should be suggested that more detail and short term/middle term/long term education strategy plans for education for green growth are essential.

      • KCI등재후보

        초등교원양성교육의 변화 요구에 따른 교육대학교 교육과정 개편 시안 연구: 서울교육대학교를 중심으로

        송영민 ( Young Min Song ),노철현 ( Cheol Hyeon Roh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3 한국초등교육 Vol.2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의 초등교원양성교육에 대한 변화 요구, 그리고 국내외 각 대학 교과정의 사례에 입각하여 교육대학교의 교육과정 개편 시안을 서울교육대학교를 중심으로 제시하는데에 있다. 최근의 초등교원양성교육에 대한 변화 요구는 ‘연계’, ‘융.복합’, 통합이라는 용어로 집약된다. 한편, 국내 대학의 경우 교양교육과정에서는 ‘역량’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학문 영역이 분류되고 있고, 전공교육에서 교과목 선택의 개방성 확대, 졸업이수 학점의 축소, 졸업을 위한 비학점 프로그램의 증가 등의 경향을 보이고 있다. 국외 대학의 경우, 전공과목의 선택 자율성 존중, 교과목 사이의 연계성 강화 및 전문지식 습득 시스템의 구축 등을 그 특징으로 들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 사항을 고려하여 교육과정 개편의 일반 원칙으로서 교양과정 구분 체계의 확립, 선택과목의 확대, 전공과정 및 전공심화과정의 개방성 확대, 졸업이수 학점의 적정화, 졸업을 위한 특별프로그램의 도입 등 다섯 가지를 제안하고, 그에 따라 교양교육과정의 구성 원칙과 개편 시안, 그리고 전공교육과정의 구성 원칙과 개편 시안을 제시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draft plan for curriculum reorganization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S.N.U.E.) based on the request of change in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today, the cases of curricula of domestic and foreign universities. First, the concept of ``connection`` or ``integration`` of curriculum shows the main request of change in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today. Second, in the cases of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in domestic universities, the domains of knowledge are divided into three types, ``foundation``, ``core``, ``general``, according to the concept of human ``capacity``. The main characteristics in major education are expansion of option in curriculum subjects, reduction of credits for graduation, and increase of noncredit program. Third, the main characteristics of curriculum in foreign universities are expansion of option in major education, to strength connection of curriculum subjects, buildup of professional knowledge acquisition system, and so on. Based on all of the above, this study suggests the five general principles for curriculum reorganization of S.N.U.E., 1) formulation of division system in general education, 2) expansion of elective courses, 3) expansion of option in major education, 4) rationalization of credits for graduation, 5) introduction of noncredit or extra program; and furthermore we propose the organization principles of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and major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draft plan for curriculum reorganization.

      • KCI등재

        교육대학 신입생의 특성 변화에 관한 연구: 2013학년도 서울교육대학교 신입생 실태조사를 중심으로

        김광수 ( Kwang Soo Kim ),김현령 ( Hyun Ryung Kim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3 한국초등교육 Vol.24 No.3

        최근 급변하는 사회문화적 환경 및 교직 사회의 변화와 맞물려 교육대학에 입학하는 학생들의 특성 또한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육대학 학생들의 변화하는 특성과 교직에 대한 인식을 이해함으로써 초등교원 양성의 질을 보장하기 위해서 교육대학의 교육과정 및 학생지도 방안의 수립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교육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교육대학교 2013학년도 신입생 실태조사 결과와 과거 신입생 실태조사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신입생 중 재수생의 비율이 급증하고 있고, 좋은 가정배경 및 학업능력이 뛰어난 우수한 인재들이 더 많이 입학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또한 신입생들은 적성 및 진로 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환경변화에 따른 시간 관리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초등교원 양성대학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Recently, the characteristics of entering freshmen in the University of Education have been changing according to the rapid changes in socio-cultural environment and community of teaching professio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changes in the characteristics of first-year students at the University of Education and their views on teaching profession. Researchers expect that the findings can encourage University of Education to develop their curriculum for guaranteeing the quality of training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For this purpose, based on the survey of entering freshmen in 2013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researchers compare the result of 2013 with the past. The following summarizes the result of the study. The ratio of repeat examinees have been sharply increased. Also, more outstanding students who have good family backgrounds and academic abilities get in to the university. First year students are more concerned about their aptitude and career issues than the past. And they are troubled in time management. With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University of Education are being discussed.

      • KCI등재후보

        전문예술교육가(TA) 양성을 위한 기초연구: 서울문화재단의 미적체험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김병주 ( Byoung Joo Kim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1 한국초등교육 Vol.22 No.2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의 확산과 함께 제기되는 전문적인 예술교육가의 양성과정에 대한 고민에서 출발하였다. 특히 ‘미적체험교육’이라는 개념을 강조하며 초중등생은 물론 전문매개자와 시민을 대상으로 하는 독자적인 예술교육 사업 및 연수프로그램 등을 실행해온 서울문화재단의 예술교육시스템을 중심으로 TA(Teaching Artist)로 통용되는 전문예술교육가의 양성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에 집중하였다. 이를 위해 예술교육과 창의성의 접목 및 서울문화재단의 통합예술교육 개념으로 제시된 ‘미적체험교육’의 의미와 연극예술교육의 이론적 배경, 전문예술교육가(TA)의 정의 및 덕목, 그리고 국내외의 전문예술교육가 양성 사례 등을 분석하여 기존의 예술가와 구분되는 전문적인 예술교육가의 정의와 특성을 점검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기반으로 향후 서울문화재단과 같은 공적지원기관 주도의 전문예술교육가 양성과정의 개요 및 기본적 운영방향에 대한 제언을 통해 우리 교육현장에 매우 중요한 역할과 가능성으로 기대되는 문화예술교육의 전문인력의 체계적 양성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stems from the need for a carefully designed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arts educators amidst rapidly growing interests in cultural and arts education in Korea. Among the governmental agencies, in particular, the arts education system of Seoul Foundation of Arts and Culture becomes a prominent case for this study for its wide-ranged arts education programs for arts educators and general public as well as primary and secondary students. The Foundation’s vision of arts education is represented through its unique motto of ‘aesthetic education’, strongly influenced and benchmarked by the practice and philosophy of Lincoln Center Institute in New York City. This study examines the preliminary inquiry as a basis for the Foundation’s Teaching Artists (TA) development program, focusing on areas of theoretical foundations for arts education and creativity, the meaning of aesthetic education, and for drama-based arts education. The reviews of modul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for arts educators in the U. S. and U. K. follows with a perspective of drawing a comparison with those of Korean cases. The study then seeks for the working definition of Teaching Artist and proposes some key virtues that the work of TA requires. They are: student/participant-centered approach; emphasis on artistic accessibility over artistic excellence; consciousness, or “wide-awakeness”; and openness and flexibility. The study concludes with suggestions of designing guidelines for well-balanced, systemic, and sustainable TA development program for public institution such as Seoul Foundation of Arts and Culture.

      • KCI등재후보

        교육대학교 구성원들의 체육활동에 대한 인식과 교내 체육시설 활용도 조사

        장용규 ( Yong Kyu Chang ),엄우섭 ( Woo Seob Eom ),김방출 ( Bang Chool Kim ),권순용 ( Sun Yong Kwon ),주은정 ( Eun Jeong Joo ),장신호 ( Shin Ho Jang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3 한국초등교육 Vol.24 No.2

        본 연구에서는 학생과 교직원을 포함한 교육대학교 구성원들의 체육활동에 대한 인식과 교내 체육시설 활용도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서울시 소재 교육대학교의 구성원 중 340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조사 결과, 학생과 교직원을 포함한 교육대학교 구성원들의 체육활동의 가치에 대해서 가장 많은 수의 응답자(60.6%)가 건강 및 체력 증진을 가장 큰 가치로 인식한다고 응답하였다. 전체 응답자의 84.1%는 초등학교 교육에 있어서 체육 활동이 매우 중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체육활동이 교육대학교 구성원들의 생활 및 초등학교 교육에 미치는 기여도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에도 불구하고, 체육시설에 대한 만족도는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관이 교사교육 시설로서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이유에 대해 응답자들이 가장 공감하는 것은 실기수업을 전부 수용하지 못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 활용 및 복지시설로서 교내 체육 시설에 대한 이용도 및 만족도 조사에서는 전체 38.1%가 ``건강 및 체력 증진의 장``을 큰 의미로 인식하였고 전체 33.1%가 ``운동 동아리 활동 공간``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교대 구성원들의 활발하고 다양한 체육관 이용 실태에도 불구하고 여가 활용 및 복지 시설로서 교내 체육관 시설에 대한 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교육대학교 체육활동의 활성화 및 체육관련 교사교육의 효율성, 교육대학교 구성원들의 복지증대의 측면을 고려할 때 교내 체육 시설의 현대화와 다양한 체육 기구 및 프로그램의 개발 및 보급이 매우 시급한 과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ulties and students` perceptions of physical activities and intramural sports facilities at the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For this research, 340 participants of the members of the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seoul city were selected. The responses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using SPSS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s for values of physical activities, the greater numbers(60.6%) of the participants, including students and the faculties, chose "health and fitness promotion" as the most values. 84.1% of the respondents responded that physical education is the most important in elementary education. Nevertheless, in spite of their positive perceptions of the university members` llfe and the degree of contribution to elementary education, their satisfaction of the intramural sports facilities appeared very low. The respondents also thought that the gymnasium has difficulty not accommodating the whole practical skill classes. In the accessibility and satisfaction survey category, 38.1 % of all respondents regarded the intramural facilities as a meaningful place of health and fitness promotion. 33.1 % of them perceived them as the club activity spaces. However, in spite of the members` positive and active participations in the university intramural activities, their satisfaction level of the facilities use appeared very low in the perspective of leisure and welfare aspects. Considering significant aspects of facilitating physical activities, supporting physical teacher education, and promoting the members` welfare 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e results imply that it is urgent tasks to modernize the intramural facilities and develop high quality physical programs.

      • KCI등재

        “교육” 특성화 대학으로서의 교육대학교 발전 모델 탐색

        지준호 ( Chun Ho Chi ),김성식 ( Sung Sik Kim ),이병규 ( Byung Kyu Lee ),김선혜 ( Sun Hye Kim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2 한국초등교육 Vol.23 No.1

        본 연구는 다변화 사회에 고등교육의 개혁에 대한 요구를 교육대학교의 교사교육 개혁과 관련지어 ``교육`` 특성화 대학으로서의 교육대학교 발전 모델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모델 개발을 위한 준거와 기본방향을 설정하고, 서울교육대학교의 최근10여 년간의 장단기 발전계획 및 교육과학기술부와의 MOU 특성화 내용을 분석하였다. ``교육`` 특성화 대학으로서의 모델은 교육대학교의 역량 강화 및 교사의 질적 수준 향상, 그리고 초등교육의 발전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해 크게 4대 과제, 즉 비사범계 전공 설치, 대학원 박사과정 신설, 학생 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 그리고 이들 3대 영역을 지원하는 조직 체제 구축을 핵심 영역으로 제안하였다. 따라서 개발된 ``교육``특성화 대학으로서의 발전 모델은 서울교육대학교가 처한 다양한 교육환경 요인을 극복하고 대학 안정화 및 내실화를 기하는 계기가 될 것이며, 대학 발전을 위한 중장기 발전계획을 수립하는 준거 및 계획 실행의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아울러 교사양성을 위한 새로운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은 물론, 각 교육대학교의 발전 모델을 개발하는 기초 자료 및 교원양성대학교 특성화 추진의 참고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 education-based development model for reforming a university of education in order to cope with social demands on improving quality of teachers education. This study has constructed basic principles and criteria of the model through analyzing the development plan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SNUE) and the memorandum made recently by the universities of education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MEST).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odel should be focused on goals such as building of educational capability, assurance of teachers quality, and eventually innovation of elementary education. To realize these goals, four key strategies were suggested: initiation of non-teacher training program, opening of a doctor`s course, operation of various student`s capacity building program, and establishment of administrational support system. The suggested education-specialized development model is expected to provide grounds to overcome challenges that universities of education have ever faced with. And it will be also used as a reference document for a new plan of raising quality of teachers.

      • KCI등재후보

        교육연극, 방법에서 철학으로: 황정현의 교육연극 접근방식 고찰

        김주연 ( Joo Yon Kim ),김병주 ( Byoung Joo Kim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4 한국초등교육 Vol.25 No.4

        국내에 소개된 지 불과 25년 남짓한 우리 교육연극의 역사에서 황정현은 줄곧 중심에 자리하여 왔다. 2000년 한국교육연극학회 설립에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2004년부터 2009년까지 3, 4대 회장을 역임하면서, 각종 워크샵 및 학술 세미나 개최와 학술지 발간 등 교육연극 다변화의 촉매제 역할을 하였다. 또한 정규 양성과정이 전무하던 2005년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특별과정 신설을 시작으로, 2007년 대학원 석사과정 설립을 이루어내며 한국 교육연극의 양적·질적 변화의 토대를 구축 하였다. 이러한 기반 위에서 뿌리내린 교육연극이 우리 교육의 현장과 문화예술의 현장에서 본격 적 도약을 목전에 둔 시점에서 그는 앞으로의 과제들을 후학들의 몫으로 남겨둔 채 황망하게 영면 하였다. 일 년이 흐른 지금, 그가 교육연극의 틀을 마련하면서 그렸던 밑그림은 무엇이고 후학들에 게 이 그림은 어떤 의미를 제시하는 가를 고찰하고자 한다. 황정현이 교육연극에 접근한 방식은 크게 두 가지 단계로 나눠 볼 수 있다. 하나는 총체적 언어 교육을 위한 방법적 접근방식과 또 하 나는 하나의 교과로 확립하려고 한 교과 교육적 접근방식이다. 황정현은 연극의 허구성을 통한 총 체적 의미 구성과 제1, 2의 언어 기능을 모두 포용하는 연극의 언어적 총체성에서 총체적 언어 교 육 구현을 위한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또한 창의적 사고력을 촉진하면서, 허구세계에 기반을 둔 인 지 과정에서 산출되는 인식내용을 구성주의적으로 생성하는 교육연극에서 교과 교육적 가능성을 보았다. 이러한 그의 접근 방식들은 교육연극이 국내 교육현장에서 어떤 궤적을 그리며 성장해왔는지를 보여준다. 총체적 언어 교육을 위한 방법적 접근방식과 하나의 교과로 확립하려 한 교과 교육적 접근방식은 교육연극이 교육과 만났을 때, 한편으로는 방법으로서 또 한편으로는 목적으로서 현실화될 수 있음을 제시하여 교육연극의 가능성에 대한 청사진을 제시한다고 볼 수 있다. Hwang had taken central role for the last 25 years of Korean educational drama history. He actively participated in forming Korea Association for Drama/ Theatre and Education, and he had served as president from 2004 to 2009. During the time, he established M.A. program of Educational Drama, the first-ever in Korea, and essentially constructed foundational work for educational drama in Korea, before his sudden and untimely demise in 2013. Therefore, it is worth exploring what he sought from educational drama. Hwang``s theoretical approaches are divided into two ways. Educational method for whole language approach is at one hand and subject matter education is the other. Hwang discovered the possibility of embodying whole language approach from wholistic meaning making process and the diversity of languages intrinsic in drama``s fiction. In terms of subject matter education, Hwang attempts to establish educational drama as a subject illuminating drama``s cognitive process. To employ educational drama as a method for whole language approach, he pinpointed drama``s wholistic meaning making process and the wholeness of language. This is a new way to seek educational method because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are connected in principle. In addition, his trial to establish educational drama as a subject is another valuable trial. His approaches demonstrates that educational drama operates not only as an educational method but also as a subject, and his approaches may become a blue-print to guide where educational drama need to aim for in the future.

      • KCI등재

        초등 사회과 지리 영역에서의 인공지능 활용 교육의 가능성: 한성 백제의 역사경관을 중심으로

        조윤진 ( Joe Yoon Gene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한국초등교육 Vol.32 No.2

        인공지능 활용 교육의 중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초등 사회과 지리 영역을 보다 효과적으로 재구성할 수 있도록 인공지능 원리와 활용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기존 초등 사회과 지리 영역은 지리 영역과 타 영역의 분절, 지역화 교과서의 적극적인 지역화 부족, 코로나19로 인한 교외 활동 제약과 장소감 형성의 어려움, 지역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참여 활동 부족 등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리와 역사의 만남인 역사경관의 개념을 활용하여 과거의 한성백제의 역사가 현재 송파·강동 교육지원청 관내 경관으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이해하였다. 더불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와 연계하여 학생들이 지역 사회에서 자신이 무엇을 실천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 초등 사회과 지리 영역의 내용을 통하여 자신의 삶의 장소를 세계적인 가치와 연계해 나갈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인공지능, 인공지능 교육, 인공지능 활용 교육에 대한 정의를 내리고, 초등 인공지능 교육 내용 기준에 따라 초등 사회과 지리 영역에서의 인공지능 활용 교육의 구체적 방법을 제시하였다. 첫 번째는 역사경관 학습을 인공지능 활용 교육을 통해 진행하는 방법이다. 이는 학생들에게 물리적, 시간적 제약이 따르는 경관 수업의 실감화에 도움을 주고자 하기 위함이다. VR을 통해 학생들에게 역사경관을 실제와 가장 유사하게 체험하도록 하였으며, 역사경관을 티쳐블 머신을 통하여 분류하는 활동으로 학생 스스로가 생각하는 각 문화유산들의 역사경관의 상을 서로 비교해 볼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게 하였다. 두 번째는 문화유산으로서의 한성백제를 인공지능 활용 교육을 통해 알아가는 과정이다. 학생들에게 의사결정트리를 활용하여 문화유산으로서의 한성백제의 가치를 확인하도록 하였고, 이를 통해 학생들이 지역 문화유산에 대한 장소감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도모하였다. 또한 워드클라우드 생성기를 통해 한성백제에 대한 서로의 생각과 더불어 지역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지역 문화유산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어떠한 실천을 해야하는지 공유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도록 구성하였다. As the importance of AI utilization education has increased, research has been conducted focusing on AI principles and utilization to help more effectively reconstruct geographical areas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Existing geographical areas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have limitations such as the division of geography and other areas, the lack of active localization of localizable textbook, the difficulty of outside the school activities due to Covid-19, difficulty to develop sense of place and the lack of participation as community members. To solve this problem, the concept of a historical landscape, a meeting of geography and history, was used to understand how the history of Seoul Baekje is currently represented as a historical landscape within Songpa and Gangdong district office of education. In addition, in conjunction with the UNESCO World Heritage List, students can identify what they can practice in the community and link their place of life to global values through the contents of geographical areas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To define AI, AI education, AI utilization education, and present specific methods of AI education in geographical areas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according to the content criteria of elementary AI education. The first is a way to conduct historical landscape learning through AI utilization education. It is to help students realize the physical and time-constrained landscape classes. The second is to learn about Seoul Baekje as a cultural heritage through AI utilization education. Students were asked to identify the value of Seoul Baekje as a cultural heritage by using a Decision Tree, which encouraged students to form a sense of place for local cultural heritage. In addition, Word Cloud generators are designed to share each other's thoughts on Seoul Baekje as well as the opportunity to share what actions should be taken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local cultural heritage as members of the community.

      • 都市 새마을 敎育에 關한 實態調査 硏究 : 서울市內 國民學校를 中心으로 Focused on Elementary School in Seoul City

        安규 서울 敎育大學校 1977 論文集 Vol.10 No.-

        The Urban Saemaul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in schools to form the active and practical citizenship serving the development of the community and the nation by means of cultivating the Saemaul Spirit: self-support, self-reliance, and cooperation. The Saemaul Education in Seoul has brought about the changes in the structure of conciousnees of the citizens, their daily life, and created the neighbor-loving social environment. Among the great effects of the Urban Saemaul Education in Seoul are the following aspects: (1) economical daily living, (2) cooperation among neighborhood, (3) serviec activities in various fields, (4) diligent and productive living, and (5) polite attitudes in public life. Some impediments to the Urban Saemaul Education are the indifference of the citizens owing to the traits of the urban society and teacher's low commitment to the Urban Saemaul Education itself. The general problems raised in this study of the contents, methods, and management of the Urban Saemaul Education in Seoul city are as the following; (1) Teacher's attitudes toward and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Urban Saemaul Education should be enhanced. (2) Rapid expectation and evaluation of the results of the Urban Saemaul Education lead only to show demonstration effect. (3) The achievement-centered tendency in the process of the Urban Saemaul Education impedes the genuine educational activies. (4) Competitive, achivement-centered reports made by over-burdened teachers lack the validity of the contents included. (5) The shortage of the expenditures to be needed should be urgently supplemented. (6) Teaching methods and techniques should be developed so as not to degrade the Urban Saemoul Education. (7) The lack of cooperation and participation of the inhabitants is the great barriers to the Urban Saemaul Education.

      • KCI등재

        건강교육 강좌 참여에 따른 교육대학생의 신체구성과 체력 변화에 관한 연구

        이동규 ( Dong Kyu Lee ),엄우섭 ( Woo Seob Eom ),박성태 ( Sung Tae Park ),안근옥 ( Keun Ok An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1 한국초등교육 Vol.21 No.1

        본 연구는 교육대학교에 재학 중인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건강교육 교양강좌 참가를 통해 학기 초와 학기 말에 신체구성과 기초체력에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 지를 분석함으로써, 예비초등교사의 건강교육 교수 능력을 높이기 위한 강좌 내용을 구성하는 데 있어서 참고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15주간의 건강교육 강좌 참가를 통한 신체구성의 변화에서 체중과 체질량지수는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건강교육 참여 전에 비해 참여 후에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고, 체지방률은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건강교육 참여 전에 비해 참여 후에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교육 강좌 참가를 통한 기초체력의 변화에서는 근지구력과 유연성, 민첩성은 남녀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근력과 순발력, 평형성은 여학생에서만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심폐지구력은 남녀 모두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볼 때 건강교육 강좌를 수강함으로써 교육대학생의 운동습관의 긍정적 변화를 통해 일부 체력 요인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건강교육을 통한 건강체력 증진을 위한 향후 연구와 건강교육 강좌 내용 선정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교육대학생들의 생활양식과 식이 습관에 대한 정확한 조사를 통한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교육대학생의 학년 증가에 따른 신체구성이 어떤 변화를 보이는지에 대하여 종적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둘째, 건강교육 강좌 내용에 있어서 식이 습관을 비롯한 생활양식 교정에 대한 내용을 보충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교육대학생의 체력 향상을 위해서는 건강교육 강좌 외에 더 체계적인 체력관리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change of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fitness to participation in health education of grade 1 students in university of education. As results of this study, the change of body weight and BMI through the participation in Health education did not differ in both men and women. In % body fat, both men and wome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participation in health education than before participation. In the change of physical fitness through participation in health education, muscle endurance, flexibility and agility a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both men and women after participation in health education. The changes of muscle strength, power and balance a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women.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cardio- respiratory endurance. In conclusion, participation in health education on body composition alone can not induce the desired changes and through health education with behavior modification therapy improved some physical fitness with positive changes in exercise habi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