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독 청소년의 정체성과 모성적 돌봄의 상관관계

        이은선 서울장신대학교 목회상담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기독 청소년이 가진 자아감이 어머니의 돌봄과 어떠한 상관 관계를 맺고 있는지에 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청소년기에 있는 중 학생들을 위주로 하였으며, 여러 회에 걸친 상담내용을 토대로 문제점과 상관관계에 대한 평가를 심도있게 다루었다. 연구방법은 양적방법으로는 설명하기 힘든 복잡한 형상들을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해 현상에 속한 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하였다. 사춘기에 있는 청소년들의 이야기를 깊이 들어봄으로써 신앙과 일치되지 못하는 그들의 불안정한 정서 상태와 통합되지 못하는 자아의 정체성을 짚어보고 그들의 어머니와의 면담도 시도하여 초기관계와 돌봄의 형태를 통한 연관성을 연구해 보았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근거 이론적 접근을 시도하였는데, 주로 마가렛 말러와 위니캇, 설리반, 멜라니 클라인의 대상관계 이론에서 그 맥을 찾고자했다. 특히 ‘충분히 좋은 어머니’의 조건을 살펴봄으로써 청소년과 어머니의 돌봄의 질에 관한 관계성을 이끌어보고 해결점을 모색해 본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무관심한 양육에 노출된 아이는 통합적인 자아를 형성하지 못해 불신이 가득하며 매우 이기적인 경향을 보였다. 둘째, 기분장애를 가진 어머니의 아이는 정서장애에 노출되기 쉬우며, 신앙에 있어서도 제대로된 ‘상’을 구축하기 어렵다. 셋째, 지나치게 학습을 강요하는 어머니는 무기력한 아이를 만들 수 있고, 심한 일탈로도 이어지며 신앙관은 심한 괴리감을 갖게 된다. 넷째, 완고한 어머니는 초조한 아이를 만들 수 있으며 민감한 부분에선 공포증도 나타나고 하나님의 형상도 매우 완고한 ‘상’이 될 수 있어서 자유로운 사랑에 대한 믿음이 적어지게 된다. 다섯째, 무조건 좋은 어머니의 돌봄은 아이에게 부담을 만들어 줄 수 있다. 너무 성숙하기만을 기대하는 돌봄은 표출되지 못한 정서가 우울증으로도 나타날 수 있다. 여섯째, 강요된 신앙에 노출된 아이는 오히려 신앙과 멀어질 수 있으며, 부모의 신앙관을 통해 괴리감을 갖게 된다.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기독청소년의 정체성이 모성적 돌봄과 매우 밀접한 연관을 갖고 있으며, 그 원인을 상세히 짚어봄으로써 불안정한 정체성을 가지고 신앙의 이탈로까지 이어지는 기독청소년 문제의 해결점을 모색해 볼 수 있다. 청소년의 바람직한 정서의 통합성을 이루려면 먼저 어머니가 성숙한 돌봄의 자세를 가질 수 있도록 기독교 차원에서의 학습 프로그램이 이루어져야 하며, 청소년들을 위한 전용 상담 프로그램이 정착화 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다양한 재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을 교회 안에서 구체화한다면, 청소년들을 성숙한 신앙인으로 인도할 수 있는 기회가 더 풍성해질 수 있음을 제안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show how the sense of self possessed by Christian teenagers and motherly care are correlated. This study looked at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ir teenage years and dealt with an in-depth evaluation about the problems and correlation based on the contents of several counseling sessions. Also, the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data pertaining to the phenomena through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for figures that are difficult to explain with a quantitative method. The study addressed their identity as teenagers at puberty, which is not integrated with their unstable emotional state that does not match their faith, by being very attentive to their stories, and conducted research into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itial relationship with their mother and the pattern of motherly care by attempting an interview with their mothers. The study attempted a grounded theoretical approach through the research, and the context was intended to be mainly based on the object relations theory of Margaret Mahler, Winnicutt, Sullivan, and Melanie Klein. In particular, the study extracts the relationship between teenagers and the quality of motherly care, and seeks out solutions by reviewing the conditions of a “sufficiently good mother”. When reviewing the research results, first, teenagers exposed to an indifferent upbringing were filled with distrust as they could not form their integrative identity, and were likely to be very selfish. Second, teenagers who have mothers with mood disorders are likely to be exposed to emotional disorder, and it is also difficult to build a right “image” in faith. Third, mothers who use excessive force in making students study can make their children helpless, and in serious cases this may lead their children to deviate, and children feel a great gap in their views on faith. Fourth, obstinate mothers can make children uneasy, and children show fear in sensitive matters, and God’s figure may be very obstinate to them. Therefore, children have less faith in free love. Fifth, unconditionally good motherly care may make children feel burdened. Children may show depression as their emotions cannot be expressed if the mother takes care of them in expectation that children will become too mature. Sixth, children exposed to forced faith may rather drift farther from faith, and feel a sense of estrangement through their parents’ views about faith. The study can seek out solutions for the problems of Christian teenagers whose unstable identity may lead even to withdrawal from faith through this research by identifying the causes in detail as well as the fact that the identity of a Christian teenager is very closely coupled with motherly care. In order to have teenagers achieve desirable emotional integration, first, it is necessary to offer an education program from the perspective of Christianity in a way that mothers can have an attitude of mature care, and to have a counseling program specially designed for teenagers. This study is to propose that there would be more opportunities to lead teenagers to become mature men of faith if diverse programs for re-education could be materialized in churches.

      • 하나님 표상에 대한 목회상담적 연구

        송수진 서울장신대학교 목회상담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671

        이 논문은 개인에게 있는 하나님 표상에 관심을 가지고, 이 하나님 표상이 개인과 하나님과의 관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주목하였다. 하나님 표상이란 신학적인 하나님 개념이 아니라 개인이 하나님에 대해 갖고 있는 ‘정서적 느낌’이다. 대상관계이론의 관점에서, 개인은 생의 초기에 부모님과 가졌던 관계를 바탕으로 내적 대상을 형성하고 발달시킨다. ‘하나님’도 아이의 내적 대상이 되어 부모의 특성을 가지고 있거나, 아니면 부모가 갖고 있지 않은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이 ‘하나님 표상’은 아이의 심리적 삶의 특징들을 갖고 있어서 다분히 주관적일 수 있다. 개인은 하나님 표상과 평생 중요한 관계를 맺거나, 아니면 잊혀져 있다가 생의 중요한 순간에 하나님 표상을 떠올릴 수 있다. 리주토의 이론에 의하면 개인이 하나님 표상과 평생 함께 하기 위해선 개인의 성숙에 보조를 맞추어 하나님 표상도 변화되어야 가능하다. 개인에게 긍정적인 하나님 표상은 심리적 잠재력의 기능을 한다. 개인은 하나님 표상을 통해 세계를 통일된 전체로 볼 수 있고, 삶의 위기에서 자신을 지탱할 수 있고, 위로와 힘의 원천을 발견할 수 있다.

      • 기독교인과 비기독교인이 미혼독신생활에서 느끼는 불안에 대한 연구

        이경진 서울장신대학교 목회상담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639

        A. 연구결과와 해석 1. 독신생활자의 만족요인 기독교인과 비기독교인 미혼 독신자들의 공통된 만족 요인으로는 생활의 자유, 의사결정권의 자율성을 들 수 있다. 독신생활을 함으로 인해서 부모의 통제를 벗어나 다양한 삶을 영위하며 통제를 받지 않는 다는 것이다. 자유라는 것은 사전적인 의미로 “남의 구속을 받지 않고, 제 마음대로 함”, “법률의 범위 안에서 마음대로 하는 행동” 등으로 표현하고 있다. 현대의 복잡한 현실로 인해서 통제받고 구속받는 것을 싫어하는 것이 현대인의 특징이다. 빠른 정보화의 발전으로 개인컴퓨터를 가지고 있는 현대인들은 자신에게 맞춘 여러 가지 정보만을 수집하고 사용한다. 다른 사람들과의 대화도 자신과 맞는 사람만을 찾아서 이야기를 나눈다. 이렇게 개인주의적이며 이기주의적인 성향이 강해지고 가치관의 변화로 인해 생활의 자유를 갖고자 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고 만족하는 것으로 보인다. 연구 결과로 볼 때 대상자들은 짧지 않은 독신생활에서 느끼는 자유에 익숙해져 있고 만족하는 모습들을 보였다. 또한 자신들이 가진 삶의 특권을 마음껏 누리고 긍정적, 적극적으로 살려고 노력하며 당당함, 솔직함, 미래에 대한 자신감을 가지고 풍요롭게 살아가고 있었으며 생활의 자율성과 직업적 성공, 자아 개발의 기회가 많으며 자율성과 선택권에 대한 만족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미혼 독신자들은 가족을 위해 걱정할 필요가 없고 자기가 벌어서 원하는대로 돈을 쓸 수 있음으로 자유로운 생활을 영위하면서 자신의 건강, 취미나 여가 활동이나 자신의 일, 즉 자신의 인생과 미래에 돌리고 있었다. 자신의 삶을 만족시키기 위해 자신이 선택한 방법으로 자신의 감정에 충실하며 열정적으로 살고 있으며, 자신의 일에 대해 중요한 가치를 가지고 즐기며 살 수 있었고, 자신의 노력에 따라 열심히 일하면 무엇이든지 이룰 수 있는 가능성과 여건이 주어져 직업적 성공과 자아 개발을 이룰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사례연구에서 보듯이 기독교 독신이나 비기독교 독신에서 나타나는 만족요인은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2. 독신생활자의 불만족 요인 기독교 독신생활자나 비기독교독신생활자의 불만족 요인은 주변에서 주는 정신적·심리적 압박감이다. 미혼 독신자는 이미 인간의 다양한 삶의 형태 중의 하나로 생활상의 어려움은 감내 할 수 있지만, 주변에서 주는 심리적 압박감 등은 그들을 견디기 힘들게 할 수도 있다. 즉 단지 결혼하지 않고 혼자 살고 있다는 이유로 주위 사람으로부터 따가운 시선을 받아야 하며, 가족으로부터는 결혼하라는 권유에서 오는 압박감을 느껴야 한다. 또 친구나 동료가 결혼할 때 막연한 외로움과 불안감을 느낄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게 되면서 정신 질환 등의 문제로 이어진다. a. 기독교인의 독신생활 기독교 내담자의 경우 독신생활에서 나타나는 문제에 대해 비교적 잘 견뎌내며 건강한 생활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감정의 기복이 있고 불안과 심리적인 외로움과 고독감을 가지고 있었다. 그 원인은 과거 문제로 인해 나타나는 문제 일수도 있으나 지금의 독신생활과 결합되어 나타나는 증상으로 보인다. 독신자들이 독신생활을 하게 된 동기는 각자 다르게 나타나고 있으나 학업과 직장으로 인해서 혼자 독립하여 살아가고 있었다. 그들은 때때로 감정 조절을 하지 못하고 감정에 치우쳐 우울하고 불안을 느끼는 경우가 있을 때는 음악을 듣거나 함께 신앙생활을 하는 친구를 만나 이야기를 하거나 교회 사역자들에게 조언을 구하거나 기도를 하면서 감정을 조절하고 있었다. b.. 비기독교인의 독신생활 비기독교 내담자의 경우 기독교 내담자에 비해 감정이 앞서고 신체적인 부분과 심리적인 부분 모두에서 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들은 쉽게 불안과 외로움에 빠져들었고, 그것을 이기기 위한 방법으로 음주를 선택하는 경우가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그 이후에 숙취로 인해 건강한 신체를 유지하지 못하고 일상생활에 지장을 초래하고 있었다. 또한 함께 어울려 이야기를 나누는 것이 아니라 증상이 악화되어 혼자 술을 마시고 잠자리에 드는 일이 자주 나타나고 있었다. 스트레스로 인해 흡연도 늘어난다고 하였다. 심리적인 부분에 있어서는 음주 후에 풀리는 것이 아니라 그 순간만 잊을 뿐 완전히 해결되지 않아 다시 음주를 하며 반복적인 악순환의 생활을 반복하게 된다고 하였다. The age of people's first marriage has gradually gone up in modern times. Thanks to young people's change in recognition and women's increase in their status, people's age at marriage has gradually become delayed and there have been more people who have not liked the interruption and control of other neighboring people and have enjoyed their individual lives. In modern times, there have been increasing numbers of single peoples and scattered families due to social elements. Those who have lived alone have increased compared to the past. It has been appeared that they might have some sorts of psychological problems. In this aspec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those who had religions and those who had not and to examine what forms they have maintained and how they have solved their psychological problem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assumption that the lives of those who had religions were sounder than the lives of those who had not religions. For the research method, a qualitative study was selected in the belief that it would be more appropriate to find out the reasons for unmarried singles' maintaining their singlehood and to know deeply how they actually have felt and lived and the study looked closely into their religious attitudes and activities, a sense of anxiety felt in their free time and the degree of stress and depression felt for loneliness and solitude. As a result of the study, it has been noted that most of singles were enjoying their freedom in their lives and were satisfied with having their autonomous right to make decisions. However, there have been many changes in their emotion caused by a sense of their anxiety, loneliness and solitude due to their unstable future. It has been hard for them to have personal relationships with others due to their continuous individual living and they have tended to lead an intemperate life while escaping from the control of their family. As such, it has been shown that those who lived alone disliked the interference of others. Therefore, they liked to be alone and to solve problems on their own; however, there have been many cases that such problems were not resolved appropriately. Most of people claimed such problems, but there were big differences between those who had religions and those who did not have them in terms of solving them. Even among those who had religions, there were some differences between Christians and non-Christians. The Christians made efforts to solve them on their own by controlling their behaviors with the aid of their religious living, but the non-Christians tended to hide them by means of drinking alcohol and spending time with Internet game during the given time. In this regard, it has been believed that the Christianity could be helpful for single people to live healthier lives by enabling them to have abilities to control their own behaviors and to have an in-depth interpersonal relationship with others. It would be necessary for single people to have the Christianity that could control intemperate behaviors caused by anxiety and loneliness and could help them form deeper relationship with ot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